KR101335251B1 - 파이프 설치 시스템 및 이를 구비한 파이프 설치선 - Google Patents

파이프 설치 시스템 및 이를 구비한 파이프 설치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35251B1
KR101335251B1 KR1020120018761A KR20120018761A KR101335251B1 KR 101335251 B1 KR101335251 B1 KR 101335251B1 KR 1020120018761 A KR1020120018761 A KR 1020120018761A KR 20120018761 A KR20120018761 A KR 20120018761A KR 101335251 B1 KR101335251 B1 KR 1013352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k
pipe
work unit
unit
tensio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87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97259A (ko
Inventor
홍영화
박선규
박성국
유홍재
이희원
임옥진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187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5251B1/ko
Publication of KR201300972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72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52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52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00Laying or reclaiming pipes; Repairing or joining pipes on or under water
    • F16L1/12Laying or reclaiming pipes on or under water
    • F16L1/16Laying or reclaiming pipes on or under water on the bottom
    • F16L1/18Laying or reclaiming pipes on or under water on the bottom the pipes being S- or J-shaped and under tension during laying
    • F16L1/19Laying or reclaiming pipes on or under water on the bottom the pipes being S- or J-shaped and under tension during laying the pipes being J-shap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03Pipe-laying vess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04Cable-laying vess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00Laying or reclaiming pipes; Repairing or joining pipes on or under water
    • F16L1/12Laying or reclaiming pipes on or under wa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00Laying or reclaiming pipes; Repairing or joining pipes on or under water
    • F16L1/12Laying or reclaiming pipes on or under water
    • F16L1/20Accessories therefor, e.g. floats, weights
    • F16L1/202Accessories therefor, e.g. floats, weights fixed on or to vessels
    • F16L1/205Pipe-laying shi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00Laying or reclaiming pipes; Repairing or joining pipes on or under water
    • F16L1/12Laying or reclaiming pipes on or under water
    • F16L1/20Accessories therefor, e.g. floats, weights
    • F16L1/202Accessories therefor, e.g. floats, weights fixed on or to vessels
    • F16L1/207Pipe handling apparat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Pipeline Systems (AREA)

Abstract

파이프 설치 시스템 및 이를 구비한 파이프 설치선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파이프 설치 시스템은 해저에 파이프라인을 설치하는 파이프 설치 시스템에 있어서, 선체 상부에 마련되며, 각각의 파이프 연결면에 대해 제1파이프연결작업을 수행하는 제1작업유닛; 제1작업유닛의 내측에 겹치게 마련되며, 제1작업유닛에 의해 제1파이프연결작업이 수행된 파이프 연결면에 대해 제2파이프연결작업을 수행하는 제2작업유닛; 및 제1작업유닛 내측에 겹치게 마련된 제2작업유닛을 하방으로 이동시키거나, 하방으로 이동된 제2작업유닛을 제1작업유닛 내측에 겹치게 원위치시키는 승강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파이프 설치 시스템 및 이를 구비한 파이프 설치선{PIPE LAYING SYSTEM, AND PIPE LAYING SHIP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파이프 설치 시스템 및 이를 구비한 파이프 설치선에 관한 것이다.
파이프 설치선은 연해 또는 심해를 이동하며 선체에 마련된 파이프 설치 시스템을 이용하여 해저에 복수의 파이프가 연결된 파이프라인을 설치(laying)한다. 예컨대, 해저에 파이프라인을 설치하는 방법에 따라서 S-lay, J-lay, Reel-lay, Flex-lay 등의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이 중, J-lay 방식은 파이프 설치선에 장착된 타워를 이용하여 대략 48m 길이의 파이프를 수직으로 세워 파이프연결작업을 수행한 후, 파이프연결작업이 수행된 파이프라인을 해저에 설치하는 방식이다. 이를 위해, 타워에는 파이프연결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작업스테이션(Workstation)이 마련되어 있으며, 작업스테이션은 통상적으로 타워의 하부에 설치된다. 예컨대, 작업스테이션에는 파이프 연결면(또는 조인트 필드)에 대한 용접작업, 용접검사, 코팅작업 등을 수행하기 위한 설비들이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용접은 통상적으로 3단계~4단계의 복수의 단계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J-lay 방식은 심해설치를 위해 개발되었으나, 타워 길이의 한계로 인해 설치속도가 느리다. 즉, 하나의 작업스테이션에서 통상적으로 파이프 4개의 조인트 필드에 대해 파이프연결작업이 수행됨으로 파이프설치작업이 지체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스테이션을 확장시키거나, 한번에 파이프연결작업이 수행되는 파이프의 개수를 늘려 파이프설치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필요성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복수의 작업유닛을 통해 파이프연결작업을 분할하여 수행함으로써, 파이프의 설치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파이프 설치 시스템 및 이를 구비한 파이프 설치선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파이프설치작업을 수행하지 않는 경우 작업유닛을 선체내에 수용하고 파이프설치작업을 수행하는 경우 작업유닛을 선체외부로 돌출시킴으로써 선박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파이프 설치 시스템 및 이를 구비한 파이프 설치선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해저에 파이프라인을 설치하는 파이프 설치 시스템에 있어서, 선체 상부에 마련되며, 각각의 파이프 연결면에 대해 제1파이프연결작업을 수행하는 제1작업유닛; 상기 제1작업유닛의 내측에 겹치게 마련되며, 상기 제1작업유닛에 의해 제1파이프연결작업이 수행된 파이프 연결면에 대해 제2파이프연결작업을 수행하는 제2작업유닛; 및 상기 제1작업유닛 내측에 겹치게 마련된 상기 제2작업유닛을 하방으로 이동시키거나, 하방으로 이동된 상기 제2작업유닛을 상기 제1작업유닛 내측에 겹치게 원위치시키는 승강제어부;를 포함하는 파이프 설치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1작업유닛은 상기 제1작업유닛의 내측면과 상기 제2작업유닛의 외측면 사이의 영역에 마련되며, 파이프의 하중을 지지하여 파이프가 일정한 속도로 하방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텐셔너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작업유닛은 상기 제2작업유닛이 하방으로 이동한 경우, 상기 제1작업유닛의 내측면과 상기 제2작업유닛의 외측면 사이의 영역에 마련에 마련된 상기 텐셔너를 상기 제1작업유닛의 중심방향으로 이동시키거나, 상기 제1작업유닛의 중심방향으로 이동된 상기 텐셔너를 상기 제1작업유닛의 내측면과 상기 제2작업유닛의 외측면 사이의 영역에 원위치시키는 텐셔너 이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작업유닛 및 상기 제2작업유닛에서 수행되는 각각의 파이프연결작업은 복수의 용접작업, 용접검사 및 코팅작업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제1작업유닛 및 상기 제2작업유닛에는 상기 파이프연결작업을 분할하여 수행하기 위한 각각의 작업스테이션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2작업유닛은 상기 제1작업유닛과 상기 제2작업유닛에서 각각의 파이프연결작업이 안정적으로 수행되도록 파이프를 지지하는 지지클램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해저에 파이프라인을 설치하는 파이프 설치 시스템에 있어서, 선체 상부에 마련되며, 각각의 파이프 연결면에 대해 제1파이프연결작업을 수행하는 제1작업유닛; 상기 제1작업유닛으로부터 선체 저면 하측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제1작업유닛에 의해 제1파이프연결작업이 수행된 파이프 연결면에 대해 제2파이프연결작업을 수행하는 제2작업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1작업유닛 및 상기 제2작업유닛은 상기 파이프연결작업을 분할하여 수행하기 위한 각각의 작업스테이션을 포함하는 파이프 설치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작업스테이션은 복수의 용접작업, 용접검사 및 코팅작업 중 하나 이상을 분할하여 수행하기 위한 설비를 각각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술한 파이프 설치 시스템을 구비한 파이프 설치선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파이프 설치선은 상기 파이프 설치 시스템을 이용하여 파이프라인을 해저에 J-lay 방식으로 설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파이프 설치 시스템 및 이를 구비한 파이프 설치선은 복수의 작업유닛을 통해 파이프연결작업을 분할하여 수행함으로써, 파이프연결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파이프연결작업 수행시, 제1작업유닛 내측에 겹치게 마련된 제2작업유닛의 적어도 일부가 수중으로 잠기도록 제2작업유닛을 하방으로 이동시켜, 제1작업유닛과 제2작업유닛에 의해 파이프연결작업이 분할되어 수행되도록 함으로써, 파이프연결작업의 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파이프연결작업이 완료되면, 제1작업유닛의 내측으로 제2작업유닛이 원위치되도록 함으로써, 파이프연결작업을 완료된 파이프 설치선의 이동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1작업유닛 내측에 제2작업유닛이 겹치게 마련됨으로써, 파이프 설치선의 선체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파이프 설치 시스템이 구비된 파이프 설치선을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파이프연결작업 수행 전에 제1작업유닛 내측에 겹치게 마련된 제2작업유닛을 포함하는 파이프 설치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파이프연결작업 수행을 위해 제1작업유닛 내측으로부터 하방으로 이동한 제2작업유닛을 포함하는 파이프 설치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4와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선체에 적재된 파이프를 세워 제1작업유닛 내측으로 이동시키는 과정을 도시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파이프 설치 시스템이 구비된 파이프 설치선을 도시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파이프 설치선(1)은 추진체에 의해 이동하면서 파이프 설치 시스템(100)을 이용하여 해저에 파이프를 설치한다. 이를 위해 파이프 설치선(1)은 바지선(3)에 의해 이송된 파이프를 크레인(2)을 이용하여 선체 상부에 적재시키고, 적재된 파이프를 일렉터(4)(Elector)를 이용하여 타워 형태로 마련된 파이프 설치 시스템(100)으로 이송한다. 그러면, 파이프 설치 시스템(100)은 각각의 파이프를 이동시키면서 파이프연결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각 파이프를 파이프 설치 시스템(100)으로 이송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도 4와 도 5에서 후술한다. 파이프 설치선(1)은 예컨대, J-lay 방식으로 파이프를 심해에 설치하는 선박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 2와 도 3을 기초로 파이프 설치 시스템(100)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파이프연결작업 수행 전에 제1작업유닛 내측에 겹치게 마련된 제2작업유닛을 포함하는 파이프 설치 시스템을 도시한다.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파이프연결작업 수행을 위해 제1작업유닛 내측으로부터 하방으로 이동한 제2작업유닛을 포함하는 파이프 설치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2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파이프 설치 시스템(100)은 파이프연결작업을 분할하여 수행하며, 복수의 파이프(41~43)가 연결된 파이프라인(40)을 해저에 설치한다. 이러한 파이프 설치 시스템(100)은 파이프 설치선(1)에 타워 형태로 마련되어 수직하게 설치되거나, 일정 각도로 비스듬하게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파이프 설치 시스템(100)이 수직으로 설치된 형태를 기초로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파이프 설치 시스템(100)의 각 구성요소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상술한 파이프 설치 시스템(100)은 제1작업유닛(10), 제2작업유닛(20) 및 승강제어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승강제어부는 설치위치를 한정하지 않으므로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다.
제1작업유닛(10)은 선체(1a) 상부에 마련되며, 각각의 파이프 연결면(또는 조인트 필드)에 대해 제1파이프연결작업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제1작업유닛(10)은 제1작업스테이션(12), 텐셔너(Tensioner)(14) 및 텐셔너 이동부(16)를 포함한다.
제1작업스테이션(12)은 제1작업유닛(10)의 하단부에 마련될 수 있으며, 제1파이프연결작업을 수행한다. 통상적으로 파이프연결작업 중 용접작업은 3단계 내지 4단계의 과정을 거쳐서 수행된다. 그리고, 용접작업이 완료되면 용접검사 및 코팅작업이 이루어진다.
이하, 제1작업스테이션(12)은 예컨대 4단계를 거쳐 수행되는 용접작업 중 제1파이프연결작업으로서 제1용접작업(1단계~2단계)을 수행하고, 후술할 제2작업스테이션(22)은 제2파이프연결작업으로서 제1용접작업을 제외한 나머지 제2용접작업(3단계~4단계)과 용접검사 및 코팅작업을 수행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예컨대 제1작업스테이션(12)이 용접작업, 용접검사를 수행하고, 제2작업스테이션(22)이 코팅작업을 수행하는 것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제1작업스테이션(12)은 제1파이프연결작업(제1용접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설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작업스테이션(12)은 기 이송된 파이프(42)와 새로 이송된 신규 파이프(41)에 대한 정렬(라인업) 작업을 수행하는 얼라이너(Aligner)(미도시)를 마련할 수 있다. 예컨대, 얼라이너(미도시)는 제1작업스테이션(12)의 상단 또는 내측에 마련되며, 제1작업스테이션(12)으로 이송된 신규 파이프(41)와 기 이송된 파이프(42)를 정렬시켜 상술한 제1파이프연결작업이 수행되도록 한다. 그러나, 상술한 일렉터(4, 도 1 참조)에 의해 신규 파이프가 정렬된 상태에서 제1작업스테이션(12)으로 이동되거나, 제1작업스테이션(12)에 파이프가 정렬된 상태에서 이동될 수 있도록 가이드 통로(미도시)가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얼라이너가 생략될 수 있다.
텐셔너(14)는 제1작업유닛(10)의 내측면과 제2작업유닛(20)의 외측면 사이의 영역에 하나 이상 마련된다. 텐셔너(14)는 파이프의 하중을 지지하며 각 파이프를 일정한 속도로 하방으로 이동시킨다. 예컨대, 텐셔너(14)는 제1작업유닛(10) 내측으로 각각의 파이프가 이송되면, 각 파이프를 제1작업유닛(10)의 제1작업스테이션(12)으로 일정속도로 이동시킨다.
텐셔너 이동부(16)는 제1작업유닛(10)의 내측에 겹치게 마련된 제2작업유닛(20)이 파이프연결작업을 위해 하방으로 이동한 경우, 제1작업유닛(10)의 내측면과 제2작업유닛(20)의 외측면 사이의 영역에 마련된 텐셔너(14)를 제1작업유닛(10)의 중심(X’) 방향으로 이동시켜 텐셔너(14)에 의해 파이프가 지지되도록 한다.
또한, 텐셔너 이동부(16)는 제1작업유닛(10) 및 제2작업유닛(20)에 의한 파이프연결작업이 모두 완료된 경우(즉, 해저 파이프라인(40) 설치가 완료된 경우), 제2작업유닛(20)이 제1작업유닛(10)의 내측에 원위치될 수 있도록 텐셔너(14)를 제1작업유닛(10)의 내측면과 제2작업유닛(20)의 외측면 사이의 영역에 원위치시킨다. 텐셔너 이동부(16)는 예컨대 액추에이터(Actuator)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텐셔너(14)가 텐셔너 이동부(16)에 의해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다양한 직경을 가진 파이프의 연결작업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다.
제2작업유닛(20)은 제1작업유닛(10)에 의해 제1파이프연결작업이 수행된 파이프 연결면에 대해 제2파이프연결작업을 수행하고, 제2파이프연결작업이 수행된 해당 파이프라인(40)을 해저에 설치한다. 이때, 제1작업유닛(10) 및 제2작업유닛(20)에 의해 각각의 파이프연결작업이 수행된 파이프라인(40)은 제2작업유닛(20)의 하단에 마련된 개구부(23)를 통해 수중으로 하강하면서 해저에 설치된다. 개구부(23)의 주변부에는 수밀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한 밀폐부재(23a)가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제2작업유닛(20)은 제1작업유닛(10)의 내측에 겹치게 마련되며, 파이프연결작업 수행시 제1작업유닛(10)의 내측으로부터 하방으로 이동한다. 여기서, 1작업유닛(10) 내측에 겹치게 마련된 제2작업유닛(20)이 수중으로 이동하여 제2작업유닛(20)의 적어도 일부가 잠기도록, 선체(1a)에는 수중과 연결되는 문풀(Moon pool)(30)이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제2작업유닛(20)은 적어도 일부가 수중으로 잠기도록 제1작업유닛(10)의 내측으로부터 일정거리 하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그리고, 일정거리 하방으로 이동한 제2작업유닛(20)의 후단부는 제1작업유닛(10)의 하단부에 일부 겹쳐진 상태에서 정지된다. 이는, 해저 파이프라인(40) 설치작업이 완료되어 다시 제2작업유닛(20)을 제1작업유닛(10)의 내측으로 겹치게 이동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제2작업유닛(20)의 이동을 위해, 제1작업유닛(10)은 피니언 형태의 구동휠(15)을 포함하고, 제2작업유닛(20)은 구동휠(15)과 맞물리는 래크 형태의 레일(25)을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 예에서 제2작업유닛(20)이 구동휠(15)을 포함하고, 제1작업유닛(10)이 레일(25)을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2작업유닛(20)은 제1작업유닛(10)의 내측으로부터 하방으로 이동하거나, 제1작업유닛(10)의 내측에 겹치도록 상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이에 한정하지 않고, 예컨대 제2작업유닛(20)은 유압피스톤 방식 또는 와이어를 이용한 도르레 방식에 의해 상하로 이동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제2작업유닛(20)은 다른 실시 예에서 적어도 일부가 수중으로 잠기도록 제1작업유닛(10)으로부터 선체 저면 하측으로 연장된 형태로 고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상술한 승강제어부가 생략될 수 있다.
한편, 제1작업유닛(10)에 의해 제1파이프연결작업이 수행된 파이프 연결면에 대해 제2파이프연결작업을 수행하고, 제2파이프연결작업이 수행된 해당 파이프라인(40)을 해저에 설치하기 위해, 상술한 제2작업유닛(20)은 제2작업스테이션(22) 및 지지클램프(24)를 포함한다.
제2작업스테이션(22)은 제1파이프연결작업이 수행된 파이프 연결면에 대해 제2파이프연결작업을 수행한다. 제2작업스테이션(22)은 제2작업유닛(20)의 하단부에 마련될 수 있다. 제2작업스테이션(22)은 제2파이프연결작업으로서 예컨대, 상술한 제1작업스테이션(12)에서 수행된 제1용접작업을 제외한 나머지 제2용접작업 및 용접검사와 코팅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설비들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에 하나의 작업스테이션에서 수행되었던 파이프연결작업(복수의 용접작업, 용접검사 및 코팅작업 등)이 제1작업유닛(10)과 제2작업유닛(20)의 작업스테이션에서 분할 수행되므로, 파이프연결작업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지지클램프(24)는 제1작업유닛(10)과 제2작업유닛(20)에서 각각의 파이프연결작업이 안정적으로 수행되도록 파이프(라인)를 지지한다. 예컨대, 제1작업유닛(10)에 마련된 상술한 텐셔너(14)가 제1작업스테이션(12)으로 파이프를 이동시키면, 제1작업스테이션(12)은 지지클램프(24)에 의해 지지되는 기 이송된 파이프(42)와 텐셔너(14)에 의해 지지되는 신규 파이프(41)에 대해 제1파이프연결작업을 안정적으로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지지클램프(24)는 다양한 직경을 가진 파이프에 적용 가능하도록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된 상술한 텐셔너(14)와 함께 다양한 직경을 가진 파이프의 연결작업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다.
승강제어부는 제1작업유닛(10) 내측에 겹치게 마련된 제2작업유닛(20)을 하방으로 이동시키거나, 하방으로 이동된 제2작업유닛(20)을 제1작업유닛(10) 내측에 겹치게 원위치시킨다. 승강제어부는 설치위치가 한정되지 않으므로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다.
여기서, 승강제어부는 제1작업유닛(10) 및 제2작업유닛(20)에 의해 각각의 파이프연결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미리 설정된 이동정보 및 외부로부터 수신한 제어명령 중 하나 이상에 따라 제1작업유닛(10) 내측에 겹치게 마련된 제2작업유닛(20)을 제1작업유닛(10)의 중심축(X’)을 따라 하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승강제어부는 제1작업유닛(10) 및 제2작업유닛(20)에 의해 각각의 파이프연결작업이 완료되면(즉, 해저 파이프라인(40) 설치작업이 완료된 경우), 미리 설정된 이동정보 및 외부로부터 수신한 제어명령 중 하나 이상에 따라 하방으로 이동된 제2작업유닛(20)이 제1작업유닛(10) 내측에 겹치게 원위치될 수 있도록 상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예컨대, 제2작업유닛(20)의 이동을 위해 상술한 래크와 피니언 방식을 사용할 경우, 승강제어부는 제1작업유닛(10)에 마련된 구동휠(15)을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구동시켜 제2작업유닛(20)을 하방 또는 상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내용에서는 제1작업유닛(10) 및 제2작업유닛(20)이 파이프연결작업을 분할 수행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이해와 설명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예를 들어, 파이프연결작업을 분할 수행하는 작업유닛은 3개 이상 마련될 수 있으며, 각각의 작업유닛이 서로 겹치게 마련될 수 있다. 이 경우, 상술한 승강제어부는 겹치게 마련된 각각의 작업유닛을 하방으로 이동시키거나, 하방으로 이동된 각각의 작업유닛을 서로 겹치게 원위치시키게 된다.
이하, 도 2와 도 3을 기초로 파이프 설치 시스템(100)을 이용하여 해저에 파이프라인(40)을 설치하는 과정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1작업유닛(10) 및 제2작업유닛(20)에 의해 각각의 파이프연결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승강제어부가 제1작업유닛(10) 내측에 겹치게 마련된 제2작업유닛(20)을 하방으로 일정거리 이동시킨다. 제2작업유닛(20)은 래크와 피니언 방식, 유압피스톤 방식 또는 와이어를 이용한 도르레 방식에 의해 이동될 수 있다.
다음으로, 제1작업유닛(10)의 내측으로 파이프가 이송되면, 제1작업유닛(10)이 각각의 파이프 연결면에 대해 제1파이프연결작업을 수행한다. 제1작업유닛(10)의 내측으로 파이프를 이송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도 4 및 도 5에서 후술한다. 예컨대 제1작업유닛(10)은 제1파이프연결작업으로서 상술한 제1용접작업을 해당 파이프 연결면에 대해 수행한다.
다음으로, 제1작업유닛(10)이 제1파이프연결작업이 수행된 파이프 연결면을 제2작업유닛(20)으로 이동시킨다. 이는 제1작업유닛(10)에 마련된 텐셔너(14)가 각 파이프를 일정속도로 하방으로 이동시키는 과정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으로, 제2작업유닛(20)이 파이프 연결면에 대해 제2파이프연결작업을 수행한다. 이때, 제2작업유닛(20)은 복수의 용접작업 중 제1작업유닛(10)에 의해 수행된 제1용접작업을 제외한 나머지 제2용접작업 및 용접검사와 코팅작업을 해당 파이프 연결면에 대해 수행한다.
다음으로, 제2작업유닛(20)이 제2파이프연결작업이 수행된 파이프라인(40)을 해저에 설치한다. 이는 제1작업유닛(10)에 마련된 텐셔너(14)가 각 파이프를 일정속도로 하방으로 이동시키는 과정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이후, 승강제어부는 해저 파이프라인(40) 설치작업이 완료되면 제1작업유닛(10)의 내측으로 제2작업유닛(20)을 원위치시킨다.
도 4와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선체에 적재된 파이프를 세워 제1작업유닛 내측으로 이동시키는 과정을 도시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2작업유닛(20)이 제1작업유닛(10)의 내측으로부터 하방으로 이동하면, 제1작업유닛(10)으로 각각의 파이프가 이송된다.
도 1,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일렉터(4)는 선체(1a) 상부에 적재된 파이프 중 이송지지부(6)로 이동된 각각의 파이프를 세워 제1작업유닛(10)으로 이동시킨다. 그리고, 일렉터(4)는 제1작업유닛(10)의 작업스테이션 상단에 마련된 입구(17)에 파이프를 정렬시킨다. 여기서, 제1작업유닛(10)에 마련된 텐셔너(14)가 해당 파이프의 중량을 지지하면서 일정속도로 파이프가 제1작업유닛(10)의 작업스테이션으로 하강되도록 한다.
이러한 일렉터(4)는 파이프를 홀딩하기 위한 핸드부(4a)를 하나 이상 구비하고 있다. 핸드부(4a)는 좌우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으며, 파이프를 홀딩한 상태에서 제1작업유닛(10) 상단의 입구(17)에 파이프를 정렬시켜 놓는다. 텐셔너(14)와 핸드부(4a)는 서로 간섭되지 않도록 마련되며, 텐셔너(14)는 액추에이터 등에 의해 밀려나와 입구(17)에 정렬된 파이프를 지지하면서 일정속도로 파이프를 제1작업유닛(10)의 작업스테이션으로 하강시키게 된다.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 파이프 설치선 4: 일렉터
10: 제1작업유닛 12: 제1작업스테이션
14: 텐셔너 16: 텐셔너 이동부
20: 제2작업유닛 22: 제2작업스테이션
24: 지지클램프 100: 파이프 설치 시스템

Claims (9)

  1. 해저에 파이프라인을 설치하는 파이프 설치 시스템에 있어서,
    선체 상부에 마련되며, 각각의 파이프 연결면에 대해 제1파이프연결작업을 수행하는 제1작업유닛;
    상기 제1작업유닛의 내측에 겹치게 마련되며, 상기 제1작업유닛에 의해 제1파이프연결작업이 수행된 파이프 연결면에 대해 제2파이프연결작업을 수행하는 제2작업유닛; 및
    상기 제1작업유닛 내측에 겹치게 마련된 상기 제2작업유닛을 하방으로 이동시키거나, 하방으로 이동된 상기 제2작업유닛을 상기 제1작업유닛 내측에 겹치게 원위치시키는 승강제어부;
    를 포함하는 파이프 설치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작업유닛은
    상기 제1작업유닛의 내측면과 상기 제2작업유닛의 외측면 사이의 영역에 마련되며, 파이프의 하중을 지지하여 파이프가 일정한 속도로 하방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텐셔너를 포함하는 파이프 설치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작업유닛은
    상기 제2작업유닛이 하방으로 이동한 경우, 상기 제1작업유닛의 내측면과 상기 제2작업유닛의 외측면 사이의 영역에 마련에 마련된 상기 텐셔너를 상기 제1작업유닛의 중심방향으로 이동시키거나, 상기 제1작업유닛의 중심방향으로 이동된 상기 텐셔너를 상기 제1작업유닛의 내측면과 상기 제2작업유닛의 외측면 사이의 영역에 원위치시키는 텐셔너 이동부를 더 포함하는 파이프 설치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작업유닛 및 상기 제2작업유닛에서 수행되는 각각의 파이프연결작업은 복수의 용접작업, 용접검사 및 코팅작업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제1작업유닛 및 상기 제2작업유닛에는 상기 파이프연결작업을 분할하여 수행하기 위한 각각의 작업스테이션이 마련된 파이프 설치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작업유닛은
    상기 제1작업유닛과 상기 제2작업유닛에서 각각의 파이프연결작업이 안정적으로 수행되도록 파이프를 지지하는 지지클램프를 포함하는 파이프 설치 시스템.
  6. 삭제
  7. 삭제
  8.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파이프 설치 시스템을 구비한 파이프 설치선.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 설치 시스템을 이용하여 파이프라인을 해저에 J-lay 방식으로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설치선.
KR1020120018761A 2012-02-24 2012-02-24 파이프 설치 시스템 및 이를 구비한 파이프 설치선 KR1013352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8761A KR101335251B1 (ko) 2012-02-24 2012-02-24 파이프 설치 시스템 및 이를 구비한 파이프 설치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8761A KR101335251B1 (ko) 2012-02-24 2012-02-24 파이프 설치 시스템 및 이를 구비한 파이프 설치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7259A KR20130097259A (ko) 2013-09-03
KR101335251B1 true KR101335251B1 (ko) 2013-12-03

Family

ID=494496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8761A KR101335251B1 (ko) 2012-02-24 2012-02-24 파이프 설치 시스템 및 이를 구비한 파이프 설치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3525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2012695C2 (en) * 2013-12-02 2015-06-03 Oceanflore B V Device for launching a subsurface mining vehicle into a water mass and recovering the same from the water mass.
KR101506839B1 (ko) * 2014-02-07 2015-03-27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드릴쉽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099355A1 (en) * 2007-02-13 2008-08-21 Sbm Atlantia, Inc. System usable with a pipe laying vessel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099355A1 (en) * 2007-02-13 2008-08-21 Sbm Atlantia, Inc. System usable with a pipe laying vesse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7259A (ko) 2013-09-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005050B1 (en) Marine pipeline installation system and methods
US10393288B2 (en) Marine reel lay method pipeline installation system and methods
AU2008233376B2 (en) Pipeline laying vessel and method of laying a pipeline
US7806628B2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laying of elongate articles from a vessel
CN105042184A (zh) 一种轻型双节点管道j型铺设系统
KR101335251B1 (ko) 파이프 설치 시스템 및 이를 구비한 파이프 설치선
KR20140028865A (ko) 시추용 드릴 파이프 운반 방법
US20110286801A1 (en) J-lay system with dual loading capability
US8870495B2 (en) Vessel and method for laying a pipeline
CN105333226A (zh) 深水j型铺管船的铺设装置
CN106461121B (zh) 用于j形管件铺设的管件安装系统,海上管道铺设系统及处理管件或配件的方法
KR101368673B1 (ko) 파이프공급장치, 파이프설치선, 파이프공급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파이프설치방법
KR101358145B1 (ko) 파이프 설치 시스템 및 이를 구비한 파이프 설치선
EP3289263A1 (en) Marine reel lay method pipeline installation system and methods
US10113666B2 (en) Marine pipelaying system and method for lowering and/or raising an offshore pipeline and including one or more accessories thereto
KR20150010290A (ko) 해상 플랫폼의 파이프 라인 설치방법
KR101503275B1 (ko) 크리스마스 트리 운반장치 및 운반방법
KR101399856B1 (ko) 해저 파이프 설치용 구조체
KR20140024570A (ko) 선박 핸드 레일 선행설치공법
EP3485188B1 (en) Installation pallet
KR101412491B1 (ko) 해저 파이프 설치용 구조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3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3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