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8308B1 - 건설중장비용 병렬 링키지 타입 작업장치 - Google Patents

건설중장비용 병렬 링키지 타입 작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8308B1
KR101778308B1 KR1020110143636A KR20110143636A KR101778308B1 KR 101778308 B1 KR101778308 B1 KR 101778308B1 KR 1020110143636 A KR1020110143636 A KR 1020110143636A KR 20110143636 A KR20110143636 A KR 20110143636A KR 101778308 B1 KR101778308 B1 KR 1017783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allel
rotatably connected
cylinder
bucket
le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436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75315A (ko
Inventor
김혁중
유영선
황경호
김종원
한용희
김선호
박흥근
Original Assignee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436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8308B1/ko
Priority to JP2014549983A priority patent/JP5890041B2/ja
Priority to EP12863324.5A priority patent/EP2799626B1/en
Priority to PCT/KR2012/011385 priority patent/WO2013100521A1/ko
Priority to US14/369,062 priority patent/US9447560B2/en
Priority to CN201280064936.XA priority patent/CN104011298B/zh
Publication of KR201300753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753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83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83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6Component parts
    • E02F3/42Drives for dippers, buckets, dipper-arms or bucket-arm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with bucket-arms, i.e. a pair of arms, e.g. manufacturing processes, form, geometry, material of bucket-arms directly pivoted on the frames of tractors or self-propelled machines
    • E02F3/3405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with bucket-arms, i.e. a pair of arms, e.g. manufacturing processes, form, geometry, material of bucket-arms directly pivoted on the frames of tractors or self-propelled machines and comprising an additional linkage mechanism
    • E02F3/340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with bucket-arms, i.e. a pair of arms, e.g. manufacturing processes, form, geometry, material of bucket-arms directly pivoted on the frames of tractors or self-propelled machines and comprising an additional linkage mechanism of the parallelogram-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65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non-masted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6Component parts
    • E02F3/40Dippers; Buckets ; Grab devices, e.g. manufacturing processes for buckets, form, geometry or material of bucke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6Component parts
    • E02F3/42Drives for dippers, buckets, dipper-arms or bucket-arms
    • E02F3/43Control of dipper or bucket position; Control of sequence of drive operations
    • E02F3/431Control of dipper or bucket position; Control of sequence of drive operations for bucket-arms, front-end loaders, dumpers or the like
    • E02F3/432Control of dipper or bucket position; Control of sequence of drive operations for bucket-arms, front-end loaders, dumpers or the like for keeping the bucket in a predetermined position or attitude
    • E02F3/433Control of dipper or bucket position; Control of sequence of drive operations for bucket-arms, front-end loaders, dumpers or the like for keeping the bucket in a predetermined position or attitude horizontal, e.g. self-levelling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2Hydraulic or pneumatic drives
    • E02F9/2264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elements for hydraulic drives
    • E02F9/2271Actuators and supports therefor and protection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Operation Control Of Excavators (AREA)
  • Earth Dril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병렬 레버와 병렬 링크가 작업툴이 내측으로 꺽이지 않도록 작용하므로, 작업툴이 상승하더라도 상기 작업툴이 내측을 향해 기울러지는 틸팅 현상을 방지하여 작업툴의 높이별 자세 변화량을 줄일 수 있는 건설중장비용 병렬 링키지 타입 작업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작동 유압이 각 실린더의 헤드 측으로 공급되면 작동 유압이 실린더 로드 측으로 공급되는 경우에 비해 일시에 더욱 많은 유량을 공급할 수 있으므로 지면 자세에서의 굴삭력이나 힘을 높일 수 있는 건설중장비용 병렬 링키지 타입 작업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병렬 링키지를 작동시키는 실린더를 종전과 같이 2개 구비하고 그 작동관계 역시 유사하게 되어 있어서, 링키지를 조작하는 주요 각도 제원이 일반적인 작업환경과 유사하므로, 처음 사용하는 작업자도 별도의 교육이나 이질감 없이 곧바로 익숙하게 사용할 수 있는 건설중장비용 병렬 링키지 타입 작업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건설중장비용 병렬 링키지 타입 작업장치{Parallel linkage type operating apparatus for construction heavy equipment}
본 발명은 건설중장비용 병렬 링키지 타입 작업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리프트 암에 의해 작업툴(예: 버킷)이 상승하더라도 상기 작업툴이 내측을 향해 기울러지는 틸팅 현상을 방지하여 작업툴의 높이별 자세 변화량을 줄이면서도 지면 자세에서의 힘(예: 굴삭력)은 높일 수 있는 건설중장비용 병렬 링키지 타입 작업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링키지를 조작하는 주요 각도 제원이 종전부터 사용하여 오던 일반적인 작업환경과 유사하여, 처음 사용하는 작업자도 별도의 교육이나 이질감 없이 곧바로 익숙하게 사용할 수 있는 건설중장비용 병렬 링키지 타입 작업장치에 관한 것이다.
다양한 건설중장비 중 특히 소형의 셔블(shovel)계 굴착기나 휠 로더(wheel loader)와 같은 장비는 그 전방에 작업장치를 구비하고 있는데, 작업장치는 유압 장치에 의해 작동하는 링키지(linkage)와 상기 링키지에 연결된 버킷(bucket)과 같은 작업툴(tool)을 포함한다.
따라서, 지면 자세에서는 작업툴을 이용하여 토사, 비료 및 눈 등의 작업 대상물을 굴삭하거나 퍼올리는 작업을 수행하고, 리프트 암에 의해 작업툴을 상승시킨 경우에는 덤프 작업을 수행하는 등 다양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한다.
한편, 이상과 같은 장비는 한국등록특허 제998097호 및 한국공개특허 제2010-57257호를 비롯한 다양한 문헌을 통해 공개되고 있고, 특히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Z BAR'라고 불리는 장비나,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Paralle or Tool Carrier(TC)'라고 불리는 장비는 현재도 현장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 'Z BAR'라고 불리는 장비는 도 1과 같이 링키지에 연결된 버킷(작업툴)을 상승시킬 경우, 버킷이 지면에 대해 수평을 유지하지 못하고 내측을 향해 기울어지는 틸팅(혹은, 'crowd' 라고도 함) 현상이 발생하므로, 버킷의 높이별 자세 변화량이 크고 작업자가 조작하기에 어려움이 있었다.
반면, 상기 'Paralle or Tool Carrier(TC)'라고 불리는 장비는 도 2와 같이 링키지에 연결된 포크(작업툴)를 상승시킬 경우, 포크가 지면에 대해 계속 수평을 유지하므로 포크의 높이별 자세 변화량은 거의 없거나 매우 작지만, 그 대신 포크로 가할 수 있는 힘이 작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종래에는 버킷이나 포크 등과 같은 작업툴을 작동시키는 링키지의 구조적 문제로 인하여, 작업툴을 상승시킬 경우 높이별 자세 변화량이 크다는 문제점이 있거나, 혹은 높이별 자세 변화량이 없는 경우에는 버킷의 굴삭력이 작거나 포크의 힘이 작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리프트 암에 의해 작업툴이 상승하더라도 상기 작업툴이 내측을 향해 기울어지는 틸팅 현상을 방지하여 작업툴의 높이별 자세 변화량을 줄이면서도 지면 자세에서의 힘은 높일 수 있는 건설중장비용 병렬 링키지 타입 작업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그에 더해 링키지를 조작하는 주요 각도 제원이 종전부터 사용하여 오던 일반적인 작업환경과 유사하여, 처음 사용하는 작업자도 별도의 교육이나 이질감 없이 곧바로 익숙하게 사용할 수 있는 건설중장비용 병렬 링키지 타입 작업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건설중장비용 병렬 링키지 타입 작업장치는 주행장치의 전방에 연결되는 베이스 프레임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상부 양측에 각각 구비된 사이드 브라켓과; 일단은 상기 사이드 브라켓의 상부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은 버킷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리프트 암과; 일단은 상기 사이드 브라켓의 하부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리프트 암의 길이 방향 중심측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리프트 실린더와;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상부 중심측에 구비된 센터 브라켓과; 일단이 상기 센터 브라켓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병렬 링크와; 하부가 상기 병렬 링크의 타단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병렬 레버와; 일단이 상기 병렬 레버의 상부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버킷 실린더와; 상부는 상기 버킷 실린더의 타단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하부는 푸쉬 링크를 통해 상기 버킷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틸트 레버; 및 일단부는 상기 병렬 레버의 중심측과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틸트 레버의 중심측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연결축부는 양단이 상기 한 쌍의 리프트 암에 각각 고정된 고정축과; 일단은 상기 고정축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병렬 레버의 중심측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제1연결축; 및 상기 제1연결축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며, 일단은 상기 고정축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틸트 레버의 중심측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제2연결축;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병렬 레버는 측단면이 이등변 삼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병렬 링크와, 버킷 실린더 및 제1연결축은 각각 상기 이등변 삼각형의 꼭지점 부근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리프트 실린더와 버킷 실린더는 각각 실린더 로드가 버킷을 향하는 전방측을 향하도록 설치되어 있고, 작동 유압은 실린더 헤드측으로 공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병렬 레버와 병렬 링크가 작업툴이 내측으로 꺽이지 않도록 작용하므로, 작업툴이 상승하더라도 상기 작업툴이 내측을 향해 기울러지는 틸팅 현상을 방지하여 작업툴의 높이별 자세 변화량을 줄일 수 있게 한다.
또한, 작동 유압이 각 실린더의 헤드 측으로 공급되면 작동 유압이 실린더 로드 측으로 공급되는 경우에 비해 일시에 더욱 많은 유량을 공급할 수 있으므로 지면 자세에서의 굴삭력이나 힘을 높일 수 있게 한다.
또한, 병렬 링키지를 작동시키는 실린더를 종전과 같이 2개 구비하고 그 작동관계 역시 유사하게 되어 있어서, 링키지를 조작하는 주요 각도 제원이 일반적인 작업환경과 유사하므로, 처음 사용하는 작업자도 별도의 교육이나 이질감 없이 곧바로 익숙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한다.
도 1은 링키지에 의해 작업툴을 작동시키는 종래의 건설중장비를 나타낸 일 예이다.
도 2는 링키지에 의해 작업툴을 작동시키는 종래의 건설중장비를 나타낸 다른 예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건설중장비용 병렬 링키지 타입 작업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건설중장비용 병렬 링키지 타입 작업장치를 나타낸 측면 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건설중장비용 병렬 링키지 타입 작업장치의 실린더를 나타낸 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건설중장비용 병렬 링키지 타입 작업장치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연속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건설중장비용 병렬 링키지 타입 작업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이하에서는 병렬 링키지(linkage)에 의해 작동되는 작업툴(work tool)로서 버킷(bucket)을 일 예로 들어 설명하고, 다양한 건설중장비 중 휠 로더(wheel loader)를 일 예로 들어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아니하고, 작업툴로서 포크(fork)를 비롯한 다양한 것이 사용될 수 있고, 건설중장비로서 셔블(shovel)계 중장비와 같은 다양한 장비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자명할 것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건설중장비용 병렬 링키지 타입 작업장치는 작업툴인 버킷(B)을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구성으로서 베이스 프레임(110)과, 사이드 브라켓(111)과, 리프트 암(120) 및 리프트 실린더(130)를 포함한다.
또한, 상승 또는 하강 중인 버킷(B)의 자세를 잡아주는 구성으로서 센터 브라켓(112)과, 병렬 링크(140)와, 병렬 레버(lever)(150)와, 버킷 실린더(160)와, 틸트 레버(170) 및 연결축부(181, 182, 183)를 포함한다. 연결축부(181, 182, 183)는 고정축(181)과, 제1연결축(182) 및 제2연결축(183)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베이스 프레임(110)은 주행장치와 운전석을 구비한 휠 로더(wheel loader)의 전방에 연결되는 부분으로, 보통은 휠 로더의 전방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도록 후단부에 조향 브라켓을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이상과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작업장치가 설계된 각도만큼 휠 로더의 전방에서 좌우 방향으로 회전하게 하고, 작업장치를 지지한다.
사이드 브라켓(111)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110)의 상부 양측에 각각 구비되어 있으며, 일 예로 대략 'ㄷ'자로 이루어진 브라켓이 상하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고 개방부가 전방을 바라보도록 고정되어 있다.
또한, 리프트 암(120)과 리프트 실린더(130)가 연결되는 상부와 하부에는 각각 회동 브라켓이 삽입 고정되어 있어서, 사이드 브라켓(111)의 상부와 하부에 리프트 암(120)과 리프트 실린더(130)가 각각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리프트 암(120)은 리프트 실린더(130)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버킷(B)을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것으로, 베이스 프레임(110)의 양측에 각각 고정되어 있는 사이드 브라켓(111)에 각각 연결되며, 일단은 사이드 브라켓(111)의 상부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은 버킷(B)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이러한 리프트 암(120)은 일 예로서 전체적으로 완곡하고 길이가 긴 'S'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리프트 실린더(130)는 리프트 암(120)을 작동시키는 것으로 유압 실린더가 사용되며, 일단은 사이드 브라켓(111)의 하부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은 리프트 암(120)의 길이 방향 중심측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리프트 실린더(130)도 한 쌍으로 이루어져 있어서 한 쌍의 리프트 암(120)을 각각 작동시킨다.
특히, 리프트 실린더(130)의 실린더 헤드(head)측이 상기 일단으로서 사이드 브라켓(111)과 연결되고, 실린더에서 인출되는 실린더 로드(rod)의 선단부가 상기 타단으로서 리프트 암(120)에 연결되며, 상기 실린더 로드를 인출시키는 작동 유압은 실린더 헤드측으로 공급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린더 로드측은 실린더 헤드측에 비해 실린더 로드의 부피만큼 실린더 내부의 공간이 더 작다. 따라서, 실린더 헤드 측으로 작동 유압을 공급하면 실린더 로드 측으로 작동 유압을 공급하는 경우에 비해 일시에 공급할 수 있는 유량이 많아서 더욱 강한 힘을 제공한다.
또한, 리프트 실린더(130)는 'S'형상으로 이루어진 리프트 암(120)의 중심측에 형성된 굴곡부에 연결되어 있어서, 리프트 실린더(130)의 실린더 로드가 인출되면 리프트 암(120)을 더욱 강한 힘으로 밀 수 있게 한다.
센터 브라켓(112)은 베이스 프레임(110)의 상부 중심측에 구비되어 있어서 상기 사이드 브라켓(111) 사이에 배치되고, 내부에는 힌지 브라켓이 고정되어 있어서 힌지 브라켓에 병렬 링크(140)를 끼운 후 회전핀을 조립하면 병렬 링크(140)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한다.
병렬 링크(140)는 일단은 센터 브라켓(112)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은 병렬 레버(150)의 하부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병렬 레버(150)는 버킷 실린더(160)와 버킷(B)을 연동시키는 것으로, 도면을 기준으로 병렬 레버(150)의 하부에는 병렬 링크(140)의 타단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부에는 버킷 실린더(160)의 헤드 측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그 중심축에는 연결축부(181, 182, 183)의 제1연결축(182)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특히, 병렬 레버(150)는 측단면이 대략 이등변 삼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때 병렬 링크(140)와, 버킷 실린더(160) 및 연결축부(181, 182, 183)의 제1연결축(182)이 각각 꼭지점 부근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어서, 이들이 서로 안정적으로 연동되게 한다.
버킷 실린더(160)는 버킷(B)의 각도를 조절하여 굴삭 자세나 덤프 자세를 취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유압 실린더가 사용되며, 일단은 상술한 바와 같이 병렬 레버(150)의 상부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은 틸트 레버(170)의 상부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이러한 버킷 실린더(160)도 리프트 실린더(130)와 마찬가지로 실린더 헤드측이 상기 일단으로서 병렬 레버(150)에 연결되고, 실린더로부터 인출되는 실린더 로드의 선단부가 상기 타단으로서 틸트 레버(170)에 연결되며, 이때 작동 유압은 실린더 헤드측으로 공급되어 더욱 강한 힘을 제공할 수 있게 한다.
틸트 레버(170)는 지렛대의 역할을 하여 버킷 실린더(160)의 동력을 버킷(B)에 전달하는 것으로, 그 상부는 버킷 실린더(160)의 타단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하부는 푸쉬 링크(171)를 통해 버킷(B)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즉, 틸트 레버(170)의 하부에는 푸쉬 링크(171)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푸쉬 링크(171)는 버킷(B)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연결축부(181, 182, 183)는 상기 틸트 레버(170)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것으로, 일단부는 병렬 레버(150)의 중심 인근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부는 틸트 레버(170)의 중심 인근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이러한 연결축부(181, 182, 183)는 일 예로 고정축(181)과, 제1연결축(182) 및 제2연결축(183)으로 이루어지는데, 고정축(181)의 양단은 한 쌍의 리프트 암(120)에 각각 고정되고, 제1연결축(182)은 고정축(181)의 중심측에 고정되고, 제2연결축(183)은 상기 제1연결축(182)의 양측부에서 고정축(181)에 고정된다.
또한, 제1연결축(182)은 일단은 고정축(181)에 고정되고, 타단은 병렬 레버(150)의 중심측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제2연결축(183)은 일단은 고정축(181)에 고정되고, 타단은 틸트 레버(170)의 중심측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이상과 같은 구성에 의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가 리프트 실린더(130)를 작동시켜 실린더 로드를 인입 또는 인출시키면 리프트 암(120)이 사이드 브라켓(111)에 지지된 상태에서 회동하면서 버킷(B)을 상승 또는 하강시킨다.
또한, 리프트 암(120)이 상승 또는 하강하면 리프트 암(120)에 연결된 연결축부(181, 182, 183)를 비롯하여 병렬 링크(140)와, 병렬 레버(150)와, 버킷 실린더(160) 및 틸트 레버(170)도 함께 상승하거나 하강한다.
또한, 이러한 상태에서 작업자가 버킷 실린더(160)를 작동시켜 실린더 로드를 인입시키면 틸트 레버(170)의 상부가 당겨지면서 버킷(B)이 전방으로 기울어지고, 반대로 실린더 로드를 인출시키면 틸트 레버(170)의 상부가 전방으로 회동하면서 버킷(B)이 내측으로 기울어지므로, 굴삭이나 덤프 등의 다양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한다.
특히, 본 발명은 리프트 암(120)에 의해 버킷(B)이 상승하면 그 상승 각도에 따라 병렬 링크(140)와 병렬 레버(150)가 자동으로 접혀 버킷(B)이 상승시 내측으로 기울어지는 틸팅(혹은, 'crowd') 현상이 방지되므로 버킷(B)이 항상 작업면에 대해 항상 수평을 유지하게 된다. 즉, 본 발명은 버킷(B)의 높이별 자세 변화량이 매우 작게 된다.
따라서, 작업자가 버킷(B)을 바라보며 상승 높이를 조작할 때 동일한 기준에서 상승 높이를 판단할 수 있어서 정밀한 높이 제어를 가능하게 한다.
또한, 버킷(B) 상승시 작업자의 조작과 무관하게 자세가 계속 변하는 것을 방지하므로, 덤프 등을 위해 버킷(B) 각도를 조작시 균일한 자세에서 필요한 만큼 기울이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또한, 틸트 레버(170)와 병렬 레버(150) 각각의 중심부가 연결축부(181, 182, 183)에 독립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어, 버킷 실린더(160)의 구동시 틸트 레버(170)와 병렬 레버(150)의 자세를 더욱 세밀하게 조절할 수 있으므로, 이상과 같은 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게 한다.
또한, 작동 유압이 각 실린더의 헤드 측으로 공급되면 작동 유압이 실린더 로드 측으로 공급되는 경우에 비해 일시에 더욱 많은 유량을 공급할 수 있으므로 지면 자세에서의 굴삭력을 더욱 높일 수 있게 한다.
또한, 버킷(B)의 상승은 리프트 실린더(130)가 담당하고, 버킷(B)의 각도는 버킷 실린더(160)가 담당하는데, 이러한 조작 제원은 종전부터 사용하여 오던 일반적인 휠 로더의 작업환경과 유사하여 처음 사용하는 작업자도 별도의 교육이나 이질감 없이 곧바로 익숙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한다.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대하여 상술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는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므로,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110: 베이스 프레임 111: 사이드 브라켓
112: 센터 브라켓 120: 리프트 암
130: 리프트 실린더 140: 병렬 링크
150: 병렬 레버 160: 버킷 실린더
170: 틸트 레버 171: 푸쉬 링크
181: 고정축 182: 제1연결축
183: 제2연결축 B: 버킷

Claims (4)

  1. 주행장치의 전방에 연결되는 베이스 프레임(110)과;
    일단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110)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은 버킷(B)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리프트 암(120)과;
    일단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110)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리프트 암(120)의 길이 방향 중심측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리프트 실린더(130)와;
    일단이 상기 베이스 프레임(110)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병렬 링크(140)와;
    하부가 상기 병렬 링크(140)의 타단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병렬 레버(150)와;
    일단이 상기 병렬 레버(150)의 상부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버킷 실린더(160)와;
    상부는 상기 버킷 실린더(160)의 타단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하부는 푸쉬 링크(171)를 통해 상기 버킷(B)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틸트 레버(170); 및
    일단이 상기 병렬 레버(150)의 중심측과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연결축(182)과, 일단이 상기 틸트 레버(170)의 중심측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연결축(183)을 포함하는 연결축부(181, 182, 18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중장비용 병렬 링키지 타입 작업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축부(181, 182, 183)는,
    양단이 상기 한 쌍의 리프트 암(120)에 각각 고정된 고정축(181)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연결축(182)의 타단은 상기 고정축(181)에 고정되고, 상기 제2연결축(183)의 타단은 상기 고정축(181)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중장비용 병렬 링키지 타입 작업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병렬 레버(150)는 측단면이 이등변 삼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병렬 링크(140)와, 버킷 실린더(160) 및 제1연결축(182)은 각각 상기 이등변 삼각형의 꼭지점 부근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중장비용 병렬 링키지 타입 작업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병렬 링크(140)와 상기 병렬 레버(150)는,
    상기 버킷 실린더(160)의 구동 없이 상기 리프트 암이 상승되면, 상기 병렬 링크(140)와 상기 베이스 프레임(110)의 연결부위와 상기 병렬 레버(150)와 상기 버킷 실린더(160)의 연결부위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상대 회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중장비용 병렬 링키지 타입 작업장치.
KR1020110143636A 2011-12-27 2011-12-27 건설중장비용 병렬 링키지 타입 작업장치 KR1017783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3636A KR101778308B1 (ko) 2011-12-27 2011-12-27 건설중장비용 병렬 링키지 타입 작업장치
JP2014549983A JP5890041B2 (ja) 2011-12-27 2012-12-24 建設重機用パラレルリンケージタイプの作業装置
EP12863324.5A EP2799626B1 (en) 2011-12-27 2012-12-24 Parallel linkage-type working apparatus for construction equipment
PCT/KR2012/011385 WO2013100521A1 (ko) 2011-12-27 2012-12-24 건설중장비용 병렬 링키지 타입 작업장치
US14/369,062 US9447560B2 (en) 2011-12-27 2012-12-24 Parallel linkage-type working apparatus for construction equipment
CN201280064936.XA CN104011298B (zh) 2011-12-27 2012-12-24 重型工程机械用并列连杆型作业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3636A KR101778308B1 (ko) 2011-12-27 2011-12-27 건설중장비용 병렬 링키지 타입 작업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5315A KR20130075315A (ko) 2013-07-05
KR101778308B1 true KR101778308B1 (ko) 2017-09-27

Family

ID=486978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43636A KR101778308B1 (ko) 2011-12-27 2011-12-27 건설중장비용 병렬 링키지 타입 작업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447560B2 (ko)
EP (1) EP2799626B1 (ko)
JP (1) JP5890041B2 (ko)
KR (1) KR101778308B1 (ko)
CN (1) CN104011298B (ko)
WO (1) WO201310052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60230371A1 (en) * 2015-02-06 2016-08-11 Caterpillar Underground Mining Pty Ltd Guard system for a sensing device
SE541316C2 (sv) 2017-10-31 2019-06-25 Epiroc Rock Drills Ab Lyftanordning och lastmaskin för underjordsapplikationer
CN108301448B (zh) * 2018-01-26 2019-08-20 广西柳工机械股份有限公司 装载机工作装置
CN110005000A (zh) * 2019-03-22 2019-07-12 浙江工业大学 矿用液压挖掘机的斗杆结构
FR3140361A1 (fr) * 2022-09-30 2024-04-05 Antony BLIN Bras Déployabl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86929A (ja) 2006-01-13 2007-07-26 Komatsu Ltd 作業機械
US20130108403A1 (en) 2011-11-02 2013-05-02 Caterpillar, Inc. Machine,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Hovering An Implement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645369A (en) * 1950-03-15 1953-07-14 Frederick W Allan Power loader
US4798512A (en) * 1987-09-11 1989-01-17 Deere & Company Loader boom construction
JPH0285423A (ja) * 1988-09-19 1990-03-26 Komatsu Ltd 作業機リンク機構
SE462624B (sv) 1988-12-06 1990-07-30 Vme Ind Sweden Ab Laenkarmsystem vid lastmaskiner
JP3239059B2 (ja) 1995-12-18 2001-12-17 新キャタピラー三菱株式会社 建設機械
DE19702624A1 (de) 1997-01-25 1998-07-30 Zettelmeyer Gmbh Lademaschine mit einer Anlenkkinematik für verschiedene Anbaugeräte, insbesondere Radlager-Kinematik
US6116847A (en) * 1998-01-30 2000-09-12 Caterpillar Inc. Lift arm for a work machine having extended height and enhanced stability
JP3687950B2 (ja) * 1999-07-12 2005-08-24 Tcm株式会社 ブーム装置
GB2362148B (en) * 2000-05-10 2004-03-24 Bamford Excavators Ltd A machine having a working arm
JP2004036153A (ja) * 2002-07-01 2004-02-05 Yanmar Agricult Equip Co Ltd 作業車
JP4248545B2 (ja) 2003-07-30 2009-04-02 株式会社小松製作所 作業機械
CN2659973Y (zh) * 2003-12-08 2004-12-01 山东临沂工程机械股份有限公司 装载机高卸装置
SE532563C2 (sv) 2005-01-31 2010-02-23 Komatsu Mfg Co Ltd Arbetsmaskin där arbetsverktyget är bytbart mellan en skopa och en gaffel
US8276705B2 (en) 2006-03-29 2012-10-02 Kubota Corporation Wheel loader
KR101299860B1 (ko) 2008-11-21 2013-08-23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휠 로더용 길이연장 작업장치
CN201943096U (zh) * 2010-12-28 2011-08-24 宁夏海辰机械有限公司 多用履带式装载机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86929A (ja) 2006-01-13 2007-07-26 Komatsu Ltd 作業機械
US20130108403A1 (en) 2011-11-02 2013-05-02 Caterpillar, Inc. Machine,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Hovering An Imple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799626A4 (en) 2015-12-30
CN104011298B (zh) 2016-03-30
CN104011298A (zh) 2014-08-27
WO2013100521A1 (ko) 2013-07-04
JP5890041B2 (ja) 2016-03-22
US20140341690A1 (en) 2014-11-20
EP2799626A1 (en) 2014-11-05
US9447560B2 (en) 2016-09-20
JP2015504991A (ja) 2015-02-16
EP2799626B1 (en) 2017-11-29
KR20130075315A (ko) 2013-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78308B1 (ko) 건설중장비용 병렬 링키지 타입 작업장치
CN101311430B (zh) 工作机
CN210194719U (zh) 采矿机
US20140271078A1 (en) Lift arm structure with an articulated knee portion
AU2017202342B2 (en) Rope shovel with non-linear digging assembly
CN101311429B (zh) 操作工作机的方法
CN101426980A (zh) 挖掘作业机的悬臂
JP2005526194A (ja) 土木作業および、載荷を昇降および移送するなどの他の作業用の可動装置
US20070180742A1 (en) Tool mount for a self-propelled vehicle
JP2019167686A (ja) 建設機械
US9719231B2 (en) Implement system for machine
US8807909B2 (en) Tilting system for loader machine
CN101311428B (zh) 操作工作机的方法
KR102231846B1 (ko) 포크레인 개량 버킷
JP2002030690A (ja) アタッチメント水平機構付き掘削作業車
KR20170101494A (ko) 스키드로더
JP7263000B2 (ja) 荷役作業車両
JP5938908B2 (ja) 排土装置を備えた建設機械
KR200471710Y1 (ko) 트랙터
CN111827380A (zh) 适用于河道作业的长距离挖掘机动臂
CA3137171A1 (en) Sweeper implement
KR20240044677A (ko) 유압승강식 도저와 다짐기구가 구비된 건설장비
KR20170101497A (ko) 스키드로더
JP2004509253A (ja) 土工ブレード用アタッチメント
EP3341529A1 (en) A rotary actuator for an excavator, a method for tilting an excavator tool and use of a rotary actu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