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1846B1 - 포크레인 개량 버킷 - Google Patents

포크레인 개량 버킷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1846B1
KR102231846B1 KR1020200170181A KR20200170181A KR102231846B1 KR 102231846 B1 KR102231846 B1 KR 102231846B1 KR 1020200170181 A KR1020200170181 A KR 1020200170181A KR 20200170181 A KR20200170181 A KR 20200170181A KR 102231846 B1 KR102231846 B1 KR 1022318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cket
rotation
hydraulic cylinder
fixing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01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갑종
박재일
Original Assignee
박재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재일 filed Critical 박재일
Priority to KR10202001701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184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18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18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6Component parts
    • E02F3/3604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 E02F3/3677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allowing movement, e.g. rotation or translation, of the tool around or along another axis as the movement implied by the boom or arms, e.g. for tilting buckets
    • E02F3/3681Rota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6Component parts
    • E02F3/40Dippers; Buckets ; Grab devices, e.g. manufacturing processes for buckets, form, geometry or material of buckets
    • E02F3/402Dippers; Buckets ; Grab devices, e.g. manufacturing processes for buckets, form, geometry or material of buckets with means for facilitating the loading thereof, e.g. conveyors
    • E02F3/404Dippers; Buckets ; Grab devices, e.g. manufacturing processes for buckets, form, geometry or material of buckets with means for facilitating the loading thereof, e.g. conveyors comprising two parts movable relative to each other, e.g. for gripp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hovels (AREA)

Abstract

기존의 포크레인에 회전링크를 구비하여 버킷의 회전 각도를 조절하면서, 작업을 할 수 있어 더욱 자유롭게 작업을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작업 중에 흙이나, 물, 또는 이동이 필요한 물질을 상기 버킷에 담아 처리하는 경우 회전링크가 경사진 문제로 버킷의 내용물이 쏟아지는 문제가 있어, 작업자가 특별히 버킷의 경사각을 신경쓰며 작업해야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개량버킷을 제공한다. 상기 개량버킷은 버킷; 및 상기 버킷의 상단 양 끝단에 용접 결합되어 버킷을 움직이는 힘을 받는 한 쌍의 고정브라켓; 및 상기 한 쌍의 고정브라켓과 회전가능하게 고정브라켓과 회전브라켓 연결봉을 이용하여 결합되어 상기 버킷의 회전각을 조절할 수 있는 한 쌍의 회전브라켓; 및 상기 한 쌍의 회전브라켓의 중단부에 상기 고정브라켓과 회전브라켓 연결봉과 함께 회전링크와 결합하는 회전링크결합봉; 및 상기 한 쌍의 회전브라켓의 하단에 구비되어 상기 버킷의 회전각을 조절하기위한 유압실린더의 일단이 결합되는 상단 유압실린더 고정봉; 및 상기 고정브라켓의 후방하단에 구비되어 상기 유압실린더의 타단과 결합되는 하단 유압실린더 고정봉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크레인 개량버킷을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상기 회전링크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버킷의 내용물이 쏟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포크레인 개량 버킷{.}
본 발명은 포크레인 버킷에 관한 것이다. 더욱 자세하게는 회전 링크을 구비한 포크레인에 있어서, 상기 회전 링크의 회전시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이다.
본 발명 출원 이전의 선행기술로는 포크레인 버킷의 기능을 특정 목적에 맞게 수정한 것으로 포크레인 버킷의 내측의 오목한 오목홈부상에 흙투입 절개공이 형성되고, 상기 포크레인 버킷의 외측면의 하부 가장자리상에 하부 고정고리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 고정고리에 인접하게 고정끈 당김고리가 형성되고, 상기 흙투입 절개공의 상부에 유압실린더가 승강가능하게 고정되고, 상기 유압실린더의 로드단부에 상부 톤백고정고리가 고정되어, 옹벽을 적재되기 위하여 적재되는 톤백의 크기에 따라 상기 상부 톤백고정고리의 위치를 변경시켜 용이하게 톤백을 고정시키는 것이 가능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또 다른 선행기술로는 버킷을 교체하지 않고, 버킷의 폭보다 좁은 고랑을 파는 등의 작업을 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포크레인용 버킷에 관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이 기술의 포크레인용 버킷은 버킷본체에, 버킷본체에 비해 폭이 좁은 굴삭패널이 구비되어, 상기 굴삭패널이 상기 지지케이스의 내부로 삽입되도록 후퇴시킨 사태에서, 상기 버킷본체를 이용하여 넓은도랑을 파거나 흙을 퍼내는 작업을 할 수 있으며, 상기 굴삭패널이 돌출되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굴삭패널을 이용하여 폭이 좁은 도랑을 파낼 수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998509호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56972
본 발명은 도1에 도시된 기존의 포크레인에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은 회전 링크를 부착하여 사용하는 경우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링크가 회전하면, 회전 링크가 설치되어 회전되는 회전각도에 따라 버킷의 내용물이 쏟아지는 문제가 있어 이를 해결하고자 하는 것이다.
기존의 포크레인에 회전 링크를 버킷과 작업암 사이에 구비하여 상기 버킷을 탈착하여 위치를 교환하지 않고, 버킷을 전방을 향하거나, 후방을 향하도록 회전시킬 수 있는 것이 상기 회전링크이다. 기존에는 흙을 전방에서 깍는 작업을 하는 경우와 전방에서 퍼 올리는 작업을 하는 경우에 상기 버킷의 방향을 바꾸기 위하여 버킷을 탈부착해야하는 문제가 있어왔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한 것이 상기 회전링크이다 도4를 참고하면, 상기 회전 링크의 기능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일반적인 작업을 하는 경우에는 특별한 문제점이 없이 사용이 편리한 장점이 있다. 그러나, 작업을 하는 도중에 작업 중에 발생한 흙이나, 물, 또는 레미콘으로부터 콘크리트를 받아 붓는 등과 같이 상기 버킷을 이용하여 물건 또는 액체 등을 대상으로 작업을 하는 경우 도 4와 같이 회전 링크가 회전할때 상기 버킷의 경사조절은 상기 작업암에 부착된 버킷 유압실린더에 의해서만 앞.뒤 경사 조절만 가능하기 때문에 상기 회전링크가 회전하여 상기 버킷이 상기 작업암에 대하여 90도 회전된 위치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버킷의 상하 각도 조절방법이 없어, 버킷의 경사가 조절되지 않아 버킷의 내용물이 쏟아지는 문제가 있다. 특히 레이콘에서 콘크리트를 버킷에 받아 작업을 해야하는 경우에는 작업이 더욱 불가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하기의 과제해결 수단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개량버킷은,
버킷(320); 및
상기 버킷(320)의 오픈된 상단 양 끝단에 용접 결합되어 버킷을 움직이는 힘을 받는 한 쌍의 고정브라켓(330); 및
상기 한 쌍의 고정브라켓(330)과 상기 상단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브라켓과 회전브라켓 연결봉(360)을 이용하여 결합되어 상기 버킷의 회전각을 조절할 수 있는 한 쌍의 회전브라켓(340); 및
상기 한 쌍의 회전브라켓(340)의 상기 상단 아래쪽에 상기 고정브라켓과 회전브라켓 연결봉과 함께 회전링크와 결합하는 회전링크결합봉(370); 및
상기 한 쌍의 회전브라켓(340)의 상기 상단의 타단에 구비되어 상기 버킷의 회전각을 조절하기위한 유압실린더의 일단이 결합되는 상단 유압실린더 고정봉(390); 및
상기 고정브라켓(330)의 상기 용접 결합 타단에 구비되어, 상기 유압실린더(350)의 타단과 결합되는 하단 유압실린더 고정봉(39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크레인 개량버킷을 제공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또한, 상기 유압실린더는 포크레인의 집게 유압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크레인 개량버킷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고정브라켓에는 경사센서를 구비하여 상기 회전 링크가 회전하는 경우 상기 경사센서에서 측정된 경사값이 상기 버킷의 내용물이 쏟아지는 각도인 경우, LED 경고등 또는 경고음을 발생하여 작업자에게 상기 버킷의 내용물이 쏟아지는 것을 알려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크레인 개량버킷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회전 링크를 버킷에 구비하고, 여러 작업을 하는 포크레인에 있어서, 상기 회전 링크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버킷의 내용물이 쏟아지는 것을 본 발명의 버킷의 각도를 제어할 수 있는 개량 버킷을 사용함으로써 버킷의 내용물이 쏟아지지 않고 작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기존의 버킷을 구비한 일반형 포크레인을 도시하고 있다.
도 2는 기존의 버킷에 회전 링크가 구비된 포크레인을 결합한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도 3은 기존의 버킷에 회전 링크가 구비된 포크레인의 경우 작업시 상기 버킷의 전후 방향 회전 반경이 변화되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도 4는 기존의 버킷에 회전 링크가 구비된 포크레인의 경우 상기 버킷을 상기 회전링크로 회전 시키는 경우 상기 버킷 끝단의 위치가 아래쪽으로 기울어져 상기 버킷의 내용물이 쏟아지는 것을 작업자가 제어할 수 없어 쏟아지는 것을 도면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개량 버킷을 회전 링크가 구비된 포크레인에 결합한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개량 버킷을 회전 링크가 구비된 포크레인에 결합한 경우 상기 개량 버킷이 각도를 조절할 수 있음을 도시하고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개량 버킷의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개량 버킷에 구비된 유압실린더의 작동 사시도 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개량 버킷의 작동도로 버킷의 끝단의 회전을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개량 버킷을 사용하는 경우 상기 회전링크의 동작에 의하여 상기 개량 버킷이 회전하는 경우 상기 개량 버킷의 유압실린더를 동작하여 상기 개량 버킷의 버킷 끝단을 들어올려 상기 개량 버킷 내부의 내용물의 쏟아짐 없이 상기 회전 링크를 동작하여 작업을 하는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의 작용효과를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기존의 포크레인(도1 참조)에 회전 링크를 버킷과 작업암 사이에 구비하여 상기 버킷을 탈착하여 위치를 교환하지 않고, 버킷을 전방을 향하거나, 후방을 향하도록 회전시킬 수 있는 것이 상기 회전링크(도2 참조)이다. 기존에는 흙을 전방에서 깍는 작업을 하는 경우와 전방에서 퍼 올리는 작업을 하는 경우에 상기 버킷의 방향을 바꾸기 위하여 버킷을 탈부착해야하는 문제가 있어왔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한 것이 상기 회전링크이다.
일반적인 작업을 하는 경우에 상기 회전링크의 부착에 의한 특별한 문제점이 없이 사용이 편리한 장점이 있다. 그러나, 작업 중에 발생한 흙이나, 물, 또는 레미콘으로부터 콘크리트를 받아 붓는 등과 같이 상기 버킷을 이용하여 물건 또는 액체 등을 대상으로 작업을 하는 경우 도 4와 같이 회전 링크가 회전할때 (상기 버킷의 경사조절은 상기 작업암에 부착된 버킷 유압실린더에 의해서만 앞.뒤 경사 조절만 가능하기 때문에 상기 회전링크가 회전하여 상기 버킷이 상기 작업암에 대하여 90도 회전된 위치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버킷의 상하 각도 조절방법이 없어) 버킷의 경사가 조절되지 않아 버킷의 내용물이 쏟아지는 문제가 있다. 특히 레이콘에서 콘크리트를 버킷에 받아 작업을 해야하는 경우에는 작업이 더욱 불가하였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회전링크를 작업암과 버킷 사이에 더 구비하기 때문에 상기 작업암의 길이가 실질적으로 늘어나게 되어, 상기 회전링크를 구비한 포크레인은 기존의 포크레임과 비교하여 작업 암의 길이가 길어져 작업각도에 제한을 받을 수 있다. 상기 늘어난 길이는 약 35cm 정도로 작업암의 길이와 비교하면 작다고 볼 수 있으나, 다양한 작업을 하는 포크레인의 특성상 상기 길이의 변화는 작업각도에 영향이 있다.
앞의 설명을 좀 더 부언하면, 상기 회전링크의 버킷과 작업암 사이의 구비로, 상기 버킷을 회전하면서 작업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회전링크의 회전으로 상기 버킷이 회전하는 경우(도4 참조) 상기 회전링크의 회전중심각이 안쪽(작업자 쪽)으로 기울어져 있어, 반대쪽으로 회전하는 경우 내용물이 쏟아진다. 특히, 상기 버킷이 90도 회전한 경우에는 상기 작업암을 어떻게 조작하여도 상기 버킷의 내용물이 쏟아지지 않는 각도로 버킷을 제어할 수단이 없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량된 버킷을 회전 링크에 연결한 구성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링크의 회전에도 불구하고, 버킷의 내용물이 쏟아지는 문제를 해결하고 있다.
기존의 포크레인에 회전 링크를 설치하는 경우 버킷을 수평에 대하여 각도를 만들어 작업할 수 있고, 버킷을 앞쪽으로 파내는 작업도 가능하고, 버킷을 180도 회전 시켜 작업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개량 버킷의 유압실린더를 이용하여 버킷의 끝단의 각도를 조절하는 사시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7은 본 발명의 개량 버킷의 상세 사시도이다. 본 출원 발명은 버킷의 오픈된 부분을 상단(위쪽)으로 설정하고, 버킷을 기준으로 버킷에 고정되었으면 고정부, 버킷에 대하여 회전을하면 회전부로 발명의 구성과 결합관계를 정의하여 사용하였다.
버킷(320); 및
상기 버킷(320)의 오픈된 상단 양 끝단에 용접 결합되어 버킷을 움직이는 힘을 받는 한 쌍의 고정브라켓(330); 및
상기 한 쌍의 고정브라켓(330)과 상기 상단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브라켓과 회전브라켓 연결봉(360)을 이용하여 결합되어 상기 버킷의 회전각을 조절할 수 있는 한 쌍의 회전브라켓(340); 및
상기 한 쌍의 회전브라켓(340)의 상기 상단 아래쪽에 상기 고정브라켓과 회전브라켓 연결봉과 함께 회전링크와 결합하는 회전링크결합봉(370); 및
상기 한 쌍의 회전브라켓(340)의 상기 상단의 타단에 구비되어 상기 버킷의 회전각을 조절하기위한 유압실린더의 일단이 결합되는 상단 유압실린더 고정봉(390); 및
상기 고정브라켓(330)의 상기 용접 결합 타단에 구비되어, 상기 유압실린더(350)의 타단과 결합되는 하단 유압실린더 고정봉(39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버킷을 추가로 회전시키는 유압실린더는 포크레인에 구비되어 집게를 제어하는데 사용하는 집게용 유압을 연결하여 사용하면, 기존의 포크레인에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개량버킷의 기능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 상기 유압실린더에 유압을 연결하지 않을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유압실린더가 움직일 수 있는 것이고, 이러한 움직임에 의하여 버킷의 위치가 움직이게 되어 원활한 작업이 불가능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위하여 상기 고정브라켓의 중단부에 회전브라켓과 만나는 지점에 고정핀 연결 홀을 각각 구비하고 상기 고정핀 연결 홀을 고정브라켓 및 회전브라켓 고정핀으로 연결하여 고정함으로써 기존의 버킷과 동일하게 동작하도록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개량 버킷의 작동 사시도로 유압실린더의 동작에 의한 버킷의 끝단의 움직임을 도시하고 있다. 버킷의 끝단이 바닦면에서 수평면까지 올릴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고정브라켓과 회전브라켓의 거리를 상기 유압실린더의 신장과 신축에 의하여 조절함으로써 상기 버킷의 수평명과의 각도를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상기 회전 링크의 회전에 의하여 기존에 버킷에서 내용물이 쏟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개량 버킷의 작동 측면도 이다. 유압실린더의 동작에 의하여 버킷의 수평면과의 각도가 제어됨을 알 수 있다. 도10은 상기 회전링크의 회전에도 불구하고 볼 발명의 개량된 버킷을 사용하는 경우 내용물이 쏟아지지 않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은 추가적으로 고정브라켓에 경사센서를 더 구비하고 상기 회전링크가 회전하는 경우 상기 경사 센서에서 측정된 경사 값이 상기 버킷의 내용물이 쏟아지는 각도인 경우, LED 경고등 또는 경고음을 발생하여 작업자에게 버킷의 내용물이 쏟아지는 것을 알릴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경사센서 값을 읽어 LED경고등 및 경고음 발생기를 제어하는 제어기를 더 구비할 수 있다.
100 : 기존의 포크레인에 기존의 버킷을 연결
110 : 기존의 버킷
200 : 포크레인에 회전 링크를 결합하고 기존의 버킷을 연결
210 : 회전링크
300 : 포크레인에 회전 링크를 결합하고 본 발명의 버킷을 연결
310 : 개량버킷
320 : 버킷
330 : 고정브라켓
340: 회전브라켓
350 : 유압실린더
360 : 고정브라켓과 회전브라켓 연결봉
370 : 회전링크결합봉
380 : 고정브라켓 및 회전브라켓 고정핀
390 : 상단 유압실린더 고정봉
395 : 하단 유압실린더 고정봉

Claims (2)

  1. 버킷(320); 및
    상기 버킷(320)의 오픈된 상단 양 끝단에 용접 결합되어 버킷을 움직이는 힘을 받는 한 쌍의 고정브라켓(330); 및
    상기 한 쌍의 고정브라켓(330)과 상기 상단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브라켓과 회전브라켓 연결봉(360)을 이용하여 결합되어 상기 버킷의 회전각을 조절할 수 있는 한 쌍의 회전브라켓(340); 및
    상기 한 쌍의 회전브라켓(340)의 상기 상단 아래쪽에 상기 고정브라켓과 회전브라켓 연결봉과 함께 회전링크와 결합하는 회전링크결합봉(370); 및
    상기 한 쌍의 회전브라켓(340)의 상기 상단의 타단에 구비되어 상기 버킷의 회전각을 조절하기위한 유압실린더의 일단이 결합되는 상단 유압실린더 고정봉(390); 및
    상기 고정브라켓(330)의 상기 용접 결합 타단에 구비되어, 상기 유압실린더(350)의 타단과 결합되는 하단 유압실린더 고정봉(39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크레인 개량버킷.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압실린더는 포크레인의 집게 유압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크레인 개량버킷.
KR1020200170181A 2020-12-08 2020-12-08 포크레인 개량 버킷 KR1022318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0181A KR102231846B1 (ko) 2020-12-08 2020-12-08 포크레인 개량 버킷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0181A KR102231846B1 (ko) 2020-12-08 2020-12-08 포크레인 개량 버킷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1846B1 true KR102231846B1 (ko) 2021-03-26

Family

ID=752595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0181A KR102231846B1 (ko) 2020-12-08 2020-12-08 포크레인 개량 버킷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1846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5876U (ko) * 1997-07-16 1999-02-18 이창우 굴삭기 버켓 집게
KR20150052237A (ko) * 2012-09-05 2015-05-13 에스코 코포레이션 케이블 샤블용 버킷
KR20150093927A (ko) * 2014-02-09 2015-08-19 윤길수 리퍼 기능을 갖는 굴삭기용 집게
KR20170056972A (ko) 2015-11-16 2017-05-24 황재성 포크레인용 버킷
US20190071840A1 (en) * 2017-09-06 2019-03-07 Clark Equipment Company Bucket cleanout
KR101998509B1 (ko) 2018-01-24 2019-07-09 송종섭 톤백 옹벽 적재용 포크레인용 버킷 및 포크레인용 버킷을 이용한 톤백 옹벽 적재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5876U (ko) * 1997-07-16 1999-02-18 이창우 굴삭기 버켓 집게
KR20150052237A (ko) * 2012-09-05 2015-05-13 에스코 코포레이션 케이블 샤블용 버킷
KR20150093927A (ko) * 2014-02-09 2015-08-19 윤길수 리퍼 기능을 갖는 굴삭기용 집게
KR20170056972A (ko) 2015-11-16 2017-05-24 황재성 포크레인용 버킷
US20190071840A1 (en) * 2017-09-06 2019-03-07 Clark Equipment Company Bucket cleanout
KR101998509B1 (ko) 2018-01-24 2019-07-09 송종섭 톤백 옹벽 적재용 포크레인용 버킷 및 포크레인용 버킷을 이용한 톤백 옹벽 적재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231116A (en) Excavating machine
JP2004044375A (ja) 作業機械の掘削アセンブリ用の制御システム
AU2017202342B2 (en) Rope shovel with non-linear digging assembly
JP5890041B2 (ja) 建設重機用パラレルリンケージタイプの作業装置
KR102231846B1 (ko) 포크레인 개량 버킷
IL24168A (en) Excavators
EP0900886A2 (en) Swing type excavator
US4827636A (en) Trencher crumber assembly
GB2088930A (en) Trenching Machine
CN210421202U (zh) 一种挖掘机
JP2002021812A (ja) 油圧シリンダーの断面略コ字形の三面保護構造
JPS63272820A (ja) 掘削運搬車両
US3289866A (en) Back hoe dipper attachment for digging laterally sloped excavations
CN214832981U (zh) 一种推铲中间支架
JPH11303120A (ja) 建設機械の作業装置
US3389816A (en) Overcenter backhoe
CN111827380A (zh) 适用于河道作业的长距离挖掘机动臂
JP2022033380A (ja) 作業機械の接続機構
GB2304682A (en) Work Implement Assembly
JP3307462B2 (ja) 建設機械
JP2002167793A (ja) 油圧ショベルのバケット揺動機構
KR20210120159A (ko) 버켓의 수평 유지를 위한 로우더 장치
JP2000120104A (ja) 建設機械のアタッチメント連結装置
JP4292221B2 (ja) 旋回作業機
JP2875742B2 (ja) バックホウのブーム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