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93927A - 리퍼 기능을 갖는 굴삭기용 집게 - Google Patents

리퍼 기능을 갖는 굴삭기용 집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93927A
KR20150093927A KR1020140014518A KR20140014518A KR20150093927A KR 20150093927 A KR20150093927 A KR 20150093927A KR 1020140014518 A KR1020140014518 A KR 1020140014518A KR 20140014518 A KR20140014518 A KR 20140014518A KR 20150093927 A KR20150093927 A KR 201500939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om
link
fastening
clamping
boom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45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길수
Original Assignee
윤길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길수 filed Critical 윤길수
Priority to KR10201400145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93927A/ko
Publication of KR201500939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392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6Component parts
    • E02F3/40Dippers; Buckets ; Grab devices, e.g. manufacturing processes for buckets, form, geometry or material of buckets
    • E02F3/402Dippers; Buckets ; Grab devices, e.g. manufacturing processes for buckets, form, geometry or material of buckets with means for facilitating the loading thereof, e.g. conveyors
    • E02F3/404Dippers; Buckets ; Grab devices, e.g. manufacturing processes for buckets, form, geometry or material of buckets with means for facilitating the loading thereof, e.g. conveyors comprising two parts movable relative to each other, e.g. for gripping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6Component parts
    • E02F3/40Dippers; Buckets ; Grab devices, e.g. manufacturing processes for buckets, form, geometry or material of buckets
    • E02F3/413Dippers; Buckets ; Grab devices, e.g. manufacturing processes for buckets, form, geometry or material of buckets with grabbing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40Special vehicles
    • B60Y2200/41Construction vehicles, e.g. graders, excavators
    • B60Y2200/412Excava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5/00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for special purposes
    • E02F5/30Auxiliary apparatus, e.g. for thawing, cracking, blowing-up, or other preparatory treatment of the soil
    • E02F5/32Ripp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Jib C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굴삭기용 집게 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보조 유압실린더를 구비하지 않고 메인 유압실린더만으로 집게의 작동이 가능하도록 하되,
기존에 비해 제2집게편을 붐대에 고정 연결시키기 위한 고정연결부의 설치 및 분리가 손쉽도록 할 뿐만 아니라 고정연결부의 설치과정에서 붐대 표면 등의 훼손이 전혀 발생 되지 않도록 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그리고 다양한 크기의 집게를 손쉽게 붐대에 교체 장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리퍼 기능을 갖는 굴삭기용 집게{RIPPER FOR EXCAVATOR CLAMP}
본 발명은 굴삭기의 붐대에 착탈 구조로 설치되어 강관이나 돌 등의 물체를 집어 이동시키는 집게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유압실린더를 추가로 설치하지 않더라도 집게의 작동이 가능하도록 하되, 기존에 비해 집게의 탈부착구조를 간소화함은 물론 유지보수가 용이하며 집게설치를 위해 용접 등의 과정을 거칠 필요가 없을 뿐만 아니라 다양한 크기의 집게를 손쉽게 교체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굴삭기는 작업 종류에 따라 버킷이나 집게를 붐대에 설치하여 해당 작업을 실시하는데, 예를 들어 굴토작업 시에는 붐대에 버킷을 설치한 상태로 작업이 이루어지고 강관이나 암석 등을 옮기는 작업 시에는 붐대에 별도의 집게를 교체 설치한 상태로 작업이 이루어진다.
일반적으로 굴삭기의 붐대에는 기본적으로 버킷 등의 회동을 위한 메인 유압실린더가 기본적으로 설치되어 있는데, 기존에는 집게의 벌어짐과 오므라짐 작동을 위해 붐대에 별도 보조 유압실실더가 추가로 설치된다.
즉 메인 유압실린더와 보조 유압실린더에 의해 집게를 구성하는 제1집게편과 제2집게편을 동시에 회동시켜 집게의 벌어짐과 오므라짐 동작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하지만 이렇게 보조 유압실린더를 통해 제1집게편과 제2집게편이 동시에 회동 될 경우, 집게의 전체 벌어짐 폭이 커지기는 하지만, 이는 강관 등을 들어올리고 이동시키는 힘과는 무관하므로 실제 공사 현장에서는 이렇게 집게가 과도하게 벌어지는 구조가 불필요하다.
즉 집게가 적정 수준만큼만 벌어지면 되므로 이렇게 제1, 2집게편의 동시 회동 구조가 굳이 필요 없다.
그리고 이처럼 기존에는 메인 유압실린더 외에 보조 유압실린더가 추가로 설치됨에 따라, 구조가 복잡해질 뿐만 아니라 보조 유압실린더 무게에 의해 붐대에 가해지는 하중이 커져 작업시 부하가 적용되는 문제점이 수반된다.
최근에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0404947호와 같이 보조 유압실린더를 설치하지 않고 제2집게편이 고정된 상태에서 제1집게편만이 메인 유압실린더에 의해 회동 되도록 한 구조가 제안되어 있다.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붐대의 후측면에 걸이구 형태의 가이드부재가 고정설치되고 제2집게편에는 가이드축이 설치되어 가이드축이 가이드부재에 걸쳐짐에 따라 제2집게편 전체가 가이드부재에 의해 고정된 상태가 된다.
이렇게 제2집게편이 고정된 상태에서 제1집게편이 메인 유압실린더에 의해 회동됨에 따라 집게의 벌어짐과 오므라짐 작동이 이루어지는 구조이다.
그런데 이 종래기술은 가이드부재가 붐대 표면 상에 부착 고정 상태로 설치되기 때문에 가이드부재의 설치를 위해 불가피하게 붐대에 용접이나 볼팅가공을 할 수밖에 없어 붐대의 훼손이 수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렇게 가이드부재를 용접 등의 복잡한 방식으로 설치될 수밖에 없음에 따라, 설치가 어렵고 번거로울 수밖에 없을 뿐만 아니라, 파손 등에 의해 가이드부재를 교체가 필요할 경우 교체 자체가 매우 어려운 단점도 있다.
뿐만 아니라 이렇게 가이드부재가 고정 설치되고 이러한 가이드부재에 제2집게편의 가이드축이 걸쳐지는 구조이기 때문에, 해당 집게보다 크거나 작은 집게로 교체 사용할 경우 가이드부재와 해당 집게의 가이드축 간의 위치가 맞지 않게 된다.
즉 종래 기술은 크기가 다른 집게의 교체 적용이 불가능한 구조이다.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 제20-0404947호(2005.12.26)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기본적으로 보조 유압실린더를 구비하지 않고 메인 유압실린더만으로 집게의 작동이 가능하도록 하되, 기존에 비해 제2집게편을 붐대에 고정 연결시키기 위한 고정연결부의 설치 및 분리가 손쉽도록 할 뿐만 아니라 고정연결부의 설치과정에서 붐대 표면등의 훼손이 전혀 발생 되지 않도록 한 굴삭기용 집게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그리고 다양한 크기의 집게를 손쉽게 붐대에 교체 장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굴삭기용 집게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제안된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는,
붐대의 양측면에 돌출 형성된 링크축, 상기 붐대의 양측에 대칭 형
태로 위치되고 각 일단부가 상기 각 링크축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으며 타단부가 실린더로드에 연결되어 있는 두개의 제1링크, 일단부가 상기 붐대의 하단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실린더로드에 연결되어 있는 제2링크를 갖는 굴삭기의 붐대에 착탈되는 집게장치에 있어서,
일단부가 상기 링크축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된 상태에서 붐대의
후측을 향해 돌출된 형태로 위치되는 회동편 및 상기 회동편의 타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붐대 후면의 좌우 폭을 가로지르는 형태로 위치되는 체결부재를 갖는 체결고정부, 일측이 상기 제2링크에 분리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함께 회동되는 제1집게편 및 일측이 상기 제1집게편과 힌지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체결고정부와 연결되어 있는 제2집게편을 갖는 집게부, 상기 하단부가 상기 제2집게편에 연결된 상태에서 위쪽을 향해 돌출되어 있고 상단부가 상기 체결부재와 붐대 사이로 삽입되어 있는 체결유도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회동편은 일단부가 상기 한쪽 링크축 중 붐대 일측면과 한쪽 제1링크 사이 구간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는 제1회동편, 일단부가 반대쪽 링크축 중 붐대 반대쪽면과 반대쪽 제1링크 사이 구간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는 제2회동편을 포함하고,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제1링크와 제2링크의 타단부 사이에 위치된 상태에서 양단부가 상기 제1, 2링크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체결부재는 일정길이의 봉 형상이고 양단부가 회전축을 통해 상기 제1, 2링크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체결유도부재는 판재 형태이고 상단부가 상기 체결부재와 상기 붐대 사이를 관통한 상태에서 위쪽으로 돌출될 정도의 길이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붐대의 후측면에 붐대의 상하 길이방향을 따라 좌우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는 복수개의 제1가이드바아, 상기 체결유도부재 중 상기 붐대의 후측면과 마주하는 면 상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각 제1가이드바아 간 사이에 삽입되어 있는 제2가이드바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외에 굴삭기 붐대의 양측면에 돌출 형성된 링크축, 상기 붐대의 양측에 대칭 형태로 위치되고 각 일단부가 상기 각 링크축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으며 타단부가 실린더로드에 연결되어 있는 두개의 제1링크, 일단부가 상기 붐대의 하단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실린더로드에 연결되어 있는 제2링크를 갖는 굴삭기의 붐대에 착탈되는 집게장치에 있어서,
상기 각 제1링크 중 상기 각 링크축에 연결되어 있는 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있는 연장편, 상기 각 연장편 사이에 위치되어 있고 양단부가 각 연장편에 연결되어 상기 붐대의 후측면을 가로지는 형태로 위치하는 체결부재, 일측이 상기 제2링크에 분리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함께 회동되는 제1집게편, 및 일측이 상기 제1집게편과 힌지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체결고정부와 연결되어 있는 제2집게편을 갖는 집게부, 상기 하단부가 상기 제2집게편에 연결된 상태에서 위쪽을 향해 돌출되어 있고 상단부가 상기 체결부재와 붐대의 후측면 사이로 삽입되어 있는 체결유도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이러한 여러 실시 예를 갖는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제2집게편이 체결유도부재와 체결고정부 간의 체결에 의해 고정된 상태에서 제1집게편 만이 유압실린더에 의해 회동하므로, 집게부의 작동을 위한 별도의 유압실린더가 추가될 필요가 없어 그만큼 구조가 간소해지고 붐대에 가해지는 중량 하중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그리고 체결고정부의 제1, 2회동편이 기존의 링크축에 끼워지는 형태로 설치됨으로, 종래기술과 달리 체결고정부의 설치를 위해 용접 등의 작업을 할 필요가 없으므로, 기존에 비해 체결고정부의 설치뿐만 아니라 유지보수 시 분해도 손쉽게 이루어질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체결부재도 단순히 제1, 2회동편에 조립 방식으로 연결됨에 따라 유지보수 시 쉽게 분리하여 교체가 가능한 장점도 갖는다.
그리고 체결부재가 봉 형상이고 제1, 2회동편 사이에서 회전가능한 구조이기 때문에 체결유도부재가 체결부재와 붐대 사이에 끼워진 상태에서 집게부의 각도 등을 변화시킬 때 체결부재가 체결유도부재와의 마찰에 의해 회전되므로 체결유도부재에 가해지는 응력을 최소화할 수 있어 체결유도부재의 파손 등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단순 판재형태의 체결유도부재가 체결부재와 붐대 사이에 끼워지는 상태로 제2집게편이 체결고정부에 연결 및 고정되기 때문에, 크기가 다른 집게부를 교체 사용하더라도 체결유도부재가 체결부재와 붐대 사이에 끼워지기만 하면 해당 집게부와 체결고정부 간의 체결이 구현됨으로, 다양한 크기의 집게부를 교체사용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그리고 체결유도부재가 체결부재와 붐대사이에 끼워지는 과정에서 붐대의 제1가이드바아와 체결유도부재의 제2가이드바아 간의 끼움이 이루어짐으로 체결유도부재의 흔들림 등이 방지되어 안정적인 체결이 이루어질 수 있는 장점도 갖는다.
이 외에 각 제1링크의 일단부를 연장시켜 연장편을 형성시키고 각 연장편 사이에 체결부재를 연결시키는 구조로 체결고정부를 구현할 경우, 제1링크가 제1, 2회동편의 기능을 할 수 있으므로 구조를 보다 간소화 할 수 있는 장점도 갖는다.
도1은 전체 분해사시도
도2는 체결고정부가 붐대에 결합된 상태에서 집게부의 분해 상태 사시도
도3은 전체 결합사시도
도4는 도3의 전체 측단면도
도5는 제1집게편이 회동된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6은 제1, 2회동편이 생략되고 제1링크에 연장편이 형성된 상태의 측단면도
이하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바탕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구성 및 그에 따른 효과를 설명하도록 한다.
참고로 본 발명이 적용되는 굴삭기는 공지의 구조가 적용되는데,
즉 [도 1] 및 [도 2]와 같이 붐대(1)의 전측면 상에는 유압실린더(2)가 설치되어 있고 붐대(1)의 하단에는 걸이구(4)를 갖는 제2링크(5)의 일단부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고 제2링크(5)의 타단부에는 연결링크(6)의 일단부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으며 연결링크의 타단부는 유압실린더(2)의 실린더로드(3)가 연결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붐대 하단 부근의 양측면에는 링크축(7)이 돌출형성되어 있고 두개의 제1링크(8)가 붐대(1)의 좌우측면 상에 위치된 상태에서 각 제1링크(8)의 일단부가 각 링크축(7)에 의해 관통되어져 링크축(7)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으며 타단부는 연결링크(6)의 타단부에 연결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굴삭기의 붐대(1)에 설치되는 본 발명 집게장치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체결고정부(100)와 집게부(200) 및 체결유도부재(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체결고정부(100)는 후술하는 집게부(200)의 제2집게편(220)을
붐대(1)에 고정 연결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다시 회동편(110)과 체결부재(1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 중 회동편(110)은 체결고정부(100)와 붐대(1) 간의 연결기능을 하는 것으로, 다시 제1회동편(112) 및 제2회동편(114)으로 나뉘어 구성된다.
제1, 2회동편(112)(114)은 상호 동일한 형태의 판재 형상이고 일단부에는 링크축(7)과의 결합을 위한 제1결합공(115)이 형성되고 타단부에는 후술하는 체결부재(120)와의 결합을 위한 제2결합공(116)이 형성된 구조이다.
이러한 제1, 2회동편(112)(114)은 붐대(1)를 사이에 두고 양측에 대칭 형태로 위치되고 각 링크축(7) 중 각 제1링크(8)와 붐대 측면 사이 구간이 각 제1결합공(115)에 관통되어진 상태에서 타단부가 붐대의 후측을 향해 돌출된 형태로 위치됨에 따라 각 제2결합공(116)이 붐대의 후측에 좌우 대칭 형태로 위치된다.
이로 인해 제1, 2회동편(112)(114)은 각 링크축(7)을 중심으로 상하 회동이 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러한 제1, 2회동편(112)(114)의 설치과정은 단순히 각 제1링크(8)를 각 링크축(7)으로부터 분리시킨 상태에서 제1, 2회동편(112)(114)의 제1결합공(115)에 각 링크축(7)을 관통시킨 뒤 각 제1링크(8)를 링크축(7)에 결합시키는 방식으로 설치된다.
따라서 제1, 2회동편(112)(114)은 각 제1링크(8)에 의해 링크축(7)으로부터 원치 않게 분리되는 현상이 방지된다.
이러한 제1, 2회동편(112)(114)과 함께 체결고정부(100)를 구성하는 체결부재(120)는 체결고정부(100)와 후술하는 체결유도부재(300)을 체결시켜 제2집게편(220)의 고정연결기능을 하는 것으로,
전체적으로 일정길이를 갖는 원형 봉 형상이고 제1, 2회동편(112)(114)의 타단부 사이에 위치된 상태에서 양단부가 제1, 2회동편(112)(114)의 제2결합공(116)에 끼워진 상태로 설치된다.
따라서 체결부재(120)는 제2결합공(116)을 중심으로 자체적으로 회전 가능한 상태가 된다.
별도의 회전축(122)이 제1, 2회동편(112)(114)의 제2결합공(116)를 통해 체결부재(120)의 양단부에 끼워지고 회전축(122)의 머리부와 제1, 2회동편(112)(114) 사이에는 와셔(124)가 설치되어 체결부재(120)가 제2결합공(116)을 통해 빠져나오지 못하게 된다.
이처럼 본 발명은 집게부(200)와 붐대(1) 간의 체결을 위한 체결고정부(100)가 제1, 2회동편(112)(114) 및 링크축(7) 간의 조립방식으로 붐대에 설치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체결고정부가 붐대에 용접 등을 통해 고정 설치되는 종래기술에 비해 체결고정부(100)의 설치 및 분리가 훨씬 용이하게 된다.
이렇게 체결고정부(100)가 설치된 붐대(1)에는 집게부(200)가 설치된다.
집게부(200)는 강관이나 암석 등을 집어 이동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다시 제1집게편(210)과 제2집게편(2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 중 제1집게편(210)은 집게부(200)의 벌어짐과 오므라짐 기능을 하는 것으로 포크 형태의 제1파지편(212) 및 제2파지편(214)이 좌우 간격을 두고 배치된 상태이고 제1, 2파지편(212)(214)의 상단부는 상호 연결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제1파지편(212)과 제2파지편(214)의 상측 사이에는 붐대(1) 걸이구(4)와의 결합을 위한 제1걸이축(215) 및 제2걸이축(216)이 형성된 구조이다.
제2집게편(220)은 제1집게편(210)과 더불어 집게부를 구성하는 요소로 제1집게편(210)과 대칭구조, 즉 제3파지편(222) 및 제4파지편(224)이 좌우 간격을 두고 배치된 상태이고 제3파지편(222)과 제4파지편(224)의 상단부는 연결판(225)에 의해 상호 연결된 구조이다.
이때 제2집게편(220)의 최 상단부와 제1집게편(210)의 최 상단부는 힌지축(230)을 통해 상호 연결됨에 따라 제1, 2집게편(210)(220)은 힌지축(230)을 중심으로 상호 대칭 방향으로 회동 가능한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집게부(200)는 제1집게편(210)의 제1, 2걸이축(215)(216)이 붐대(1) 제2링크(5)의 걸이구(4)에 걸려짐에 따라 붐대(1) 하단에 설치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집게부(200)에는 체결유도부재(300)가 구비된다. 체결유도부재(300)는 집게부(200)의 제2집게편(220)을 체결고정부(100)에 체결시켜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일정길이를 갖는 판재 형태이고 하단부가 제2집게편(220)의 연결판(225)에 일체로 연결된 상태에서 위쪽을 향해 돌출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체결유도부재(300)의 좌우폭은 제1, 2회동편(112)(114) 간의 간격 이하로 제작되어 후측면의 좌우폭 전체 구간이 체결부재(120) 둘레면에 접촉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체결유도부재(300)의 길이는 집게부(200)가 제2링크(5)에 연결된 상태에서 상단부가 체결고정부(100)의 체결부재(120) 보다 위쪽에 위치될 정도의 길이로 제작된다.
이러한 체결유도부재(300)의 전측면에는 체결유도부재(300)가 체결고정부(100)에 체결되었을 때 불필요한 흔들림 현상등을 방지하기 위한 복수개의 제1가이드바아(310)가 좌우 간격을 두고 배열형성된다.
그리고 이때 붐대(1)의 후측면에는 복수개의 제2가이드바아(320)가 좌우 간격을 두고 배열형성된다.
이러한 체결유도부재(300)는 [도 3] 내지 [도 5]와 같이 제1집게편(210)이 제2링크()에 체결된 상태에서 체결고정부(100)의 체결부재(120)와 붐대(1) 후측면 사이에 끼워진 상태로 체결고정부(100)와 체결된다.
이때 체결유도부재(300)의 상단부는 체결부재(120)와 붐대 사이를 관통한 상태에서 위쪽으로 더 돌출된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체결부재(120)는 자체 중량과 더불어 제1, 2회동편(112)(114)의 자중에 의해 후측면을 누르고 있는 상태가 된다.
이렇게 체결유도부재(300)가 체결부재(120) 및 붐대 사이에 끼워져 체결부재(120)가 체결유도부재(300)를 잡고 있는 상태가 됨에 따라 제1집게편(210)의 회동 과정에서 제2집게편(220)은 위치가 고정된 상태가 된다.
이 과정에서 각 제1가이드바아(310)가 각 제2가이드바아(320)사이에 끼워진 상태가 된다.
참고로 제1, 2가이드바아는 체결유도부재의 흔들림을 더욱 방지하기 위한 요소로, 체결유도부재의 흔들림 우려가 없을 경우 생략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작용 및 그 과정에서 발생되는 특유의 효과를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체결고정부(100)를 붐대에 설치하기 위해 [도 1]과 같이 각 제1링크(8)를 링크축(7)으로부터 분리시킨 뒤 제1, 2회동편(112)(114)의 제1결합공(115)을 각 링크축(7)에 끼운 상태에서 제2결합공(116)에 체결부재(120)의 양단부를 끼워넣은 뒤 회전축(122)으로 체결시킨다.
그 후 각 제1링크(8)를 링크축(7)에 다시 고정 시키면 체결고정부(100)의 설치가 완료된다.
이처럼 본 발명은 별도의 용접 등의 작업 없이 단순히 제1, 2회동편(112)(114)을 링크축(7)에 끼워넣는 형태로 조립하여 설치함에 따라, 기존과 달리 체결고정부(100)의설치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체결고정부의 유지보수 시 분리도 손쉽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용접 등의 작업을 하지 않기 때문에 체결고정부(100)를 설치하는 과정에서 붐대(1) 표면이 원치 않게 손상되는 현상도 방지된다.
이 상태에서 집게부(200)가 지면에 놓여진 상태에서 붐대(1)를 이동시켜 [도 3]과 같이 체결유도부재(300)가 체결부재(120)와 붐대(1)후면 사이에 끼워지도록 한다.
이렇게 체결유도부재(300)가 끼워지는 과정에서 체결부재(120)는 체결유도부재(300)에 밀려 위쪽으로 들어 올려지려 하게 되고, 이때 제1회동편(112)과 제2회동편(114)의 회동에 의해 체결유도부재(300)의 두께만큼 자연스럽게 들어 올려지게 된다.
이렇게 체결부재(120)가 쉽게 들어올려짐에 따라 체결유도부재(300)가 손쉽게 체결부재(120)와 붐대(1) 후측면 사이에 원활하게 끼워지게 된다.
뿐만 아니라 위에서 설명한 것처럼 체결부재(120)가 자체적으로 회전 가능한 상태이기 때문에 체결유도부재(300)가 끼워지는 과정에서 체결부재(120)가 체결유도부재(300)와의 마찰에 의해 회전됨으로 체결유도부재(300)의 끼움이 더욱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이렇게 체결유도부재(300)가 체결부재(120)와 붐대 사이에 끼워지는 과정에서 체결유도부재(300)의 각 제1가이드바아(310)가 붐대(1)의 각 제2가이드바아(320) 사이에 끼워짐에 따라 체결유도부재(300)의 삽입이 더욱 안정적으로 유도된다.
이렇게 체결유도부재(300)가 체결고정부(100)에 체결되는 과정에서 제2링크(5)의 걸이구(4)가 제1집게편(210)의 제1, 2걸이축(215)(216)에 결합됨에 따라 집게부(200) 전체가 붐대 단부에 장착된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붐대를 들어올린 뒤 유압실린더(2)를 작동시키면 제2링크(5)의 회동에 의해 제1집게편(210)이 전후 회동되는 반면 제2집게편(220)은 체결유도부재(300)가 체결부재(120)와 붐대 사이에 끼워져 잡혀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전후 흔들림 없이 고정된 상태가 유지된다.
이 상태에서 붐대를 전후 회동시키더라도 제2집게편(220)은 체결유도부재(300)가 체결부재(120)와 붐대 사이에 끼워진 상태이기 때문에 전후 흔들림 현상이 발생되지 않게 된다.
또한 제1집게편(210)의 회동에 의해 집게부의 벌어짐과 오므라짐 작동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제2집게편(220)은 제1가이드바아(310)와 제2가이드바아(320)의 체결구조에 의해 좌우 흔들림 현상도 방지된다.
이상 설명한 것처럼 본 발명은 제2집게편(220)을 붐대에 고정시키기 위한 체결고정부(100)가 단순 조립구조를 통해 붐대에 설치되기 때문에 기존에 비해 체결고정부(100)의 설치가 손쉬워짐은 물론 설치과정에서 붐대 표면이 손상되는 등의 현상이 방지되도록 할 뿐만 아니라 체결고정부(100)의 분해도 손쉽게 가능하므로 유지보수가 용이하도록 한 것을 가장 큰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이러한 구조와 더불어 제2집게편(220)이 단순히 판재 형태의 체결유도부재(300)가 체결부재와 붐대 사이에 끼워지는 형태로 체결고정부에 체결됨에 따라 체결구조가 간소해지도록 한 점도 또 다른 특징 중 하나이다.
만약 크기가 다른 집게를 교체 장착하고자 할 경우에도 체결유도부재(300)의 길이를 충분히 길게 제작하여 체결부재와 붐대 사이에 끼워질 수 있도록 하면 됨으로 기존과 달리 다양한 크기의 집게를 수시로 교체 장착할 수 있게 되며, 이점 또한 본 발명의 특징 중 하나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변형 예를 나타낸 도면으로, 제1, 2회동편(112)(114)을 생략하고 각 제1링크(8)가 제1, 2회동축의 기능을 대체하도록 한 것에 차이가 있다.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각 제1링크(8) 중 링크축(7)에 연결된 쪽 단부를 후측으로 연장시켜 연장편(400)을 형성시키고 각 연장편(400) 사이에 체결부재(120)를 위치시킨 뒤 양단부를 각 연장편(400)에 연결시킨 형태로 체결고정부(100)를 구현한 것이다.
이 상태에서 제2집게편(220)의 체결유도부재(300)가 체결부재(120)와 붐대 사이에 끼워지도록 한다. 이러한 변형예는 제1, 2회동축을 생략하게 됨으로, 그만큼 위 실시예에 비해 구조를 간소화 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게 된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의 여러 특징들은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 및 조합되어 실시될 수 있으나, 이러한 변형 및 조합이 제1, 2회동편의 단부가 링크축에 끼워지는 형태로 조립되고 제2집게편으로부터 돌출된 체결유도부재가 제1, 2회동편 사이에 위치한 체결부재와 붐대 사이에 끼워지도록 함에 따라 기존에 비해 체결고정부의 설치 및 분리가 용이하도록 한 구성 및 목적과 관련이 있을 경우에는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판단되어야 한다.
1 : 붐대 2 : 유압실린더
3 : 실린더로드 4 : 걸이구
5 : 제2링크 6 : 연결링크
7 : 링크축 8 : 제1링크
100 : 체결고정부 110 : 회동편
112 : 제1회동편 114 : 제2회동편
115 : 제1결합공 116 : 제2결합공
120 : 체결부재 122 : 회전축
124 : 와셔 200 : 집게부
210 : 제1집게편 212 : 제1파지편
214 : 제2파지편 215 : 제1걸이축
216 : 제2걸이축 220 : 제2집게편
222 : 제3파지편 224 : 제4파지편
225 : 연결판 230 : 힌지축
300 : 체결유도부재 310 : 제1가이드바아
320 : 제2가이드바아 400 : 연장편

Claims (5)

  1. 붐대의 양측면에 돌출 형성된 링크축, 상기 붐대의 양측에 대칭 형태로 위치
    되고 각 일단부가 상기 각 링크축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으며 타단부가 실린더로드에 연결되어 있는 두개의 제1링크, 일단부가 상기 붐대의 하단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실린더로드에 연결되어 있는 제2링크를 갖는 굴삭기의 붐대에 착탈되는 집게장치에 있어서,
    일단부가 상기 링크축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된 상태에서 붐대의 후측을 향
    해 돌출된 형태로 위치되는 회동편 및 상기 회동편의 타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붐대후면의 좌우 폭을 가로지르는 형태로 위치되는 체결부재를 갖는 체결고정부,
    일측이 상기 제2링크에 분리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함께 회동되는 제1집게편및 일측이 상기 제1집게편과 힌지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체결고정부와 연결되어 있는 제2집게편을 갖는 집게부,
    상기 하단부가 상기 제2집게편에 연결된 상태에서 위쪽을 향해 돌출되어 있고 상단부가 상기 체결부재와 붐대 사이로 삽입되어 있는 체결유도부재
    를 포함하는 굴삭기용 집게장치.
  2. 제1항에서,
    상기 회동편은,
    일단부가 상기 한쪽 링크축 중 붐대 일측면과 한쪽 제1링크 사이 구간에 회
    동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는 제1회동편 및 일단부가 반대쪽 링크축 중 붐대 반대쪽면과 반대쪽 제1링크 사이 구간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는 제2회동편을
    포함하고,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제1링크와 제2링크의 타 단부 사이에 위치된 상태에서양단부가 상기 제1, 2링크에 연결되어 있는
    굴삭기용 집게장치.
  3. 제2항에서,
    상기 체결부재는 일정길이의 봉 형상이고 양단부가 회전축을 통해 상기 제1, 2링크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굴삭기용 집게장치.
  4. 제1항에서,
    상기 체결유도부재는 판재 형태이고 상단부가 상기 체결부재와 상기 붐대 사이를 관통한 상태에서 위쪽으로 돌출되어 있는
    굴삭기용 집게장치.
  5. 제4항에서,
    상기 붐대의 후측면에 붐대의 상하 길이방향을 따라 좌우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는 복수개의 제1가이드바아,
    상기 체결유도부재 중 상기 붐대의 후측면과 마주하는 면 상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각 제1가이드바아 간 사이에 삽입되어 있는 제2가이드바아
    를 더 포함하는 굴삭기용 집게장치.
KR1020140014518A 2014-02-09 2014-02-09 리퍼 기능을 갖는 굴삭기용 집게 KR2015009392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4518A KR20150093927A (ko) 2014-02-09 2014-02-09 리퍼 기능을 갖는 굴삭기용 집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4518A KR20150093927A (ko) 2014-02-09 2014-02-09 리퍼 기능을 갖는 굴삭기용 집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3927A true KR20150093927A (ko) 2015-08-19

Family

ID=540575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4518A KR20150093927A (ko) 2014-02-09 2014-02-09 리퍼 기능을 갖는 굴삭기용 집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9392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1846B1 (ko) * 2020-12-08 2021-03-26 박재일 포크레인 개량 버킷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1846B1 (ko) * 2020-12-08 2021-03-26 박재일 포크레인 개량 버킷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51302Y1 (ko) 굴삭기용 집게발 고정장치
JP2003522859A5 (ko)
KR20150093927A (ko) 리퍼 기능을 갖는 굴삭기용 집게
KR20150093926A (ko) 굴삭기용 집게
KR200476754Y1 (ko) 굴삭기용 착탈식 집게장치
KR101353244B1 (ko) 굴삭기용 착탈식 집게장치
KR102145621B1 (ko) 굴착기용 안전 집게 가위
KR200492231Y1 (ko) 굴삭기 장착용 집게 받침대
KR200456465Y1 (ko) 포크레인용 보조집게
KR101442165B1 (ko) 클램프장착형 굴삭기용 집게장치
KR200404947Y1 (ko) 굴삭기용 착탈식 집게
KR200493426Y1 (ko) 굴삭기 장착용 집게 받침대
KR200251572Y1 (ko) 굴삭기 버킷 장착용 클램프의 안전장치
JP5777058B2 (ja) 解体装置
KR20090026325A (ko) 탈부착이 용이한 굴삭기용 자동 장착식 멀티 그래플
KR101300877B1 (ko) 굴삭기의 집게발용 안전장치
KR200356041Y1 (ko) 굴삭기용 유압 집게장치
KR200355983Y1 (ko) 굴삭기용 유압 집게장치
KR101459242B1 (ko) 굴삭기용 니퍼 겸용 집게 장치
KR20120136598A (ko) 굴삭기용 스톤 그립
JP6437804B2 (ja) 建設機械
JP2010255343A (ja) 高所解体機のアタッチメント輸送冶具
JP4339061B2 (ja) 吊下式アタッチメント着脱装置とハンドリング機
KR101074289B1 (ko) 이동 작업차용 로더에 설치되는 어태치먼트 장착장치
KR101381493B1 (ko) 굴삭기 도저 실린더의 개폐식 보호덮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