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6041Y1 - 굴삭기용 유압 집게장치 - Google Patents
굴삭기용 유압 집게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356041Y1 KR200356041Y1 KR20-2004-0010764U KR20040010764U KR200356041Y1 KR 200356041 Y1 KR200356041 Y1 KR 200356041Y1 KR 20040010764 U KR20040010764 U KR 20040010764U KR 200356041 Y1 KR200356041 Y1 KR 200356041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xcavator
- arm
- bracket
- hydraulic cylinder
- sides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9000004575 stone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16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9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023 woo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900 installation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18 renov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6—Component parts
- E02F3/40—Dippers; Buckets ; Grab devices, e.g. manufacturing processes for buckets, form, geometry or material of buckets
- E02F3/402—Dippers; Buckets ; Grab devices, e.g. manufacturing processes for buckets, form, geometry or material of buckets with means for facilitating the loading thereof, e.g. conveyors
- E02F3/404—Dippers; Buckets ; Grab devices, e.g. manufacturing processes for buckets, form, geometry or material of buckets with means for facilitating the loading thereof, e.g. conveyors comprising two parts movable relative to each other, e.g. for gripping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6—Component parts
- E02F3/40—Dippers; Buckets ; Grab devices, e.g. manufacturing processes for buckets, form, geometry or material of buckets
- E02F3/413—Dippers; Buckets ; Grab devices, e.g. manufacturing processes for buckets, form, geometry or material of buckets with grabbing device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2—Hydraulic or pneumatic drives
- E02F9/2264—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elements for hydraulic driv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40—Special vehicles
- B60Y2200/41—Construction vehicles, e.g. graders, excavators
- B60Y2200/412—Excav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hove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조경공사나 또는 하천공사 등의 석축시공에 사용되는 굴삭기의 유압 집게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기존의 굴삭기를 개조하여 변형시키거나 굴삭기에 별도의 부품을 부착할 필요없이 집게장치를 보다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는 굴삭기용 유압 집게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의 특징은 굴삭기의 암 하측부에 회동가능케 집게본체가 설치되고 상기 집게본체와 암의 상측부에 피스톤축과 유압실린더가 설치된 기존 굴삭기의 집게장치에 있어서, 암에서 링크대가 장착된 고정핀에 끼워져 체결되는 결합부재가 양측에 돌출 형성되고 이와 반대쪽 하단으로 양측에 지지부재가 돌출 형성되며 지지부재에서 상단쪽으로 고정부재가 돌출 형성되어 암의 하측부 내측면에 밀착 설치되는 브라켓과; 브라켓의 하단쪽 지지부재에 고정핀으로 회동가능케 장착되는 지지공이 양측에 형성되고 지지공에서 상단쪽으로 체결공이 형성된 체결부재가 형성되며 버켓과 마주하는 쪽에 만곡형태의 파지부가 형성된 집게본체와; 상기 집게본체의 상단쪽 체결부재에 피스톤축이 장착되고 브라켓의 상단쪽 고정부재에 유압실린더가 설치되는 것이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조경공사나 또는 하천공사 등의 석축시공에 사용되는 굴삭기의 유압 집게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기존 굴삭기의 버켓 한쪽에 집게장치를 설치하여 돌이나 석재 등의 중량물을 쉽게 들어올려 석축시공을 간편하게 하는 것으로, 특히 기존의 굴삭기를 개조하여 변형시키거나 굴삭기에 별도의 부품을 부착할 필요없이 보다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는 굴삭기용 유압 집게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경공사나 또는 하천공사 등에 석축시공을 하는 경우는 대부분 2~3명의 작업자가 굴삭기의 버켓이나 견인고리에 와이어를 결속하고 시공작업에 필요한 석재를 와이어로 묶은 다음 굴삭기로 이동시켜 석재를 일정하게 배열하거나 적층시켜 시공작업이 이루어진다.
그러나, 상기의 작업방식은 석재를 와이어로 묶어 이동하므로 이동하는 장소가 멀리 떨어져 있는 경우 이동시간이 오래 걸리고, 특히 이동과정에서 와이어가 석재에서 해체되면 석재가 떨어져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위험성이 뒤따르며, 이러한 안전사고는 대부분 작업자의 부주의로 발생하고 있다.
최근에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기존 굴삭기에 집게장치를 설치함으로서 석재를 용이하게 운반하여 시공작업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러한 굴삭기의 집게장치에 대한 기술은 국내 실용신안등록 제0171738호(집게장치를 갖는 굴삭기)와, 실용신안등록 제0253890호(굴삭기용 조경, 석축장비)에 제시되어 있다.
상기의 선행기술에서 "집게장치를 갖는 굴삭기"의 기술은 도면의 도 1 과 같이 굴삭기의 붐대(1)에 암(3)이 회전가능케 설치되고, 붐대(1)에 암(3)을 회동시키는 유압실린더(2)가 설치되며, 상기 암(3)에 유압실린더(4)와 버켓(5)과 링크대(6)가 장착된 기존의 굴삭기에 있어서, 암(3)의 내측 상하단에 각각 브라켓(12)(14)이 융착 고정되고, 만곡형태의 지지부재(11)를 구비한 집게본체(10)가 상기 하단쪽의 브라켓(14)에 고정핀으로 회동가능케 설치되며, 상기 상단쪽의 브라켓(12)과 집게본체(10)에 유압실린더(13)가 설치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구조의 선행기술은 유압실린더의 작동으로 집게본체가 암의 하단에서 회동하여 버켓과 한쌍으로 석재를 물어서 들어올려 이동시키는 기술이나, 유압실린더의 작동으로 집게본체에 무리한 힘이 가해지면 유압실린더가 설치된 암의 상측부분에 균열이 발생하고 파손되는 문제점이 발생하며, 또한 기존 사용중인 굴삭기의 암에 상하 브라켓을 융착시켜야 하는 별도의 개조작업이 필요하므로 굴삭기에 변형이 가해지고 고가의 설치비용이 소요되는 문제점들이 있었다.
한편 상기의 선행기술에서 "굴삭기용 조경, 석축장비"의 기술은 도면의 도 2 와 같이 기존 굴삭기의 구조에서 하단에 만곡형태의 파지부(21)가 구비되고 상단에 연장부(22)가 형성된 집게본체(20)가 버켓(5)의 전방 상단에 부착된 결합부(23)에 힌지 결합되고, 집게본체(20)의 상단 연장부(22)와 버켓(5)의 후방 상단에 양측으로 한쌍의 유압실린더(24)가 설치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이와 같은 구조의 선행기술은 유압실린더의 작동으로 집게본체가 결합부를 중심으로 회동하여 버켓과 한쌍으로 석재를 물어서 들어올려 이동시키는 기술이나, 집게본체가 버켓의 상단에 부착된 결합부를 중심으로 회동하므로 회동반경이 상대적으로 작아 작업에 불편함이 있었으며, 또한 기존의 버켓에 유압실린더와 집게본체를 별도로 설치해야 하므로 버켓에 변형이 가해지고 고가의 설치비용이 소요되는 문제점들이 있었다.
본 출원인은 상기와 같은 기존 굴삭기의 집게장치에 따른 문제점들을 해결하고자 기존 사용하고 있는 굴삭기를 개조하여 변형시키거나 굴삭기에 별도의 부품을 부착할 필요없이 집게장치를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고안된 기술로서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04-0006343호(굴삭기용 유압 집게장치)를 선출원 하였다.
본 고안은 본 출원인이 선출원한 굴삭기용 유압 집게장치의 개량된 고안으로서, 기존 사용하고 있는 굴삭기를 개조하여 변형시키거나 굴삭기에 별도의 부품을 부착할 필요없이 집게장치를 굴삭기에 보다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굴삭기용 유압 집게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본 고안의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은 굴삭기의 암 하측부에 회동가능케 집게본체가 설치되고 상기 집게본체와 암의 상측부에 피스톤축과 유압실린더가 설치된 기존 굴삭기의 집게장치에 있어서, 암에서 링크대가 장착된 고정핀에 끼워져 체결되는 결합부재가 양측에 돌출 형성되고 이와 반대쪽 하단으로 양측에 지지부재가 돌출 형성되며 지지부재에서 상단쪽으로 고정부재가 돌출 형성되어 암의 하측부 내측면에 밀착 설치되는 브라켓과; 브라켓의 하단쪽 지지부재에 고정핀으로 회동가능케 장착되는 지지공이 양측에 형성되고 지지공에서 상단쪽으로 체결공이 형성된 체결부재가 형성되며 버켓과 마주하는 쪽에 만곡형태의 파지부가 형성된 집게본체와; 상기 집게본체의 상단쪽 체결부재에 피스톤축이 장착되고 브라켓의 상단쪽 고정부재에 유압실린더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도 1 과 도 2 는 기존 굴삭기의 집게장치를 도시한 설치상태도
도 3 은 본 고안의 실시예를 도시한 설치상태도
도 4 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분해 사시도
도 5 와 도 6 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작동상태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붐대 2: 유압실린더
3: 암 4: 유압실린더
5: 버켓 6: 링크대
30: 브라켓 31: 결합부재
32: 지지부재 33: 고정부재
40: 집게본체 40a: 지지공
41: 파지부 42: 체결부재
50: 유압실린더 51: 피스톤축
P1,P2,P3,P4: 고정핀
본 고안은 기존의 굴삭기를 개조하여 변형시키거나 굴삭기에 별도의 부품을 부착할 필요없이 집게장치를 보다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유압 집게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으로서, 도면에 도시하고 있는 도 3 내지 도 6 에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자세히 나타내고 있다.
본 고안의 특징은 굴삭기의 암 하측부에 회동가능케 집게본체가 설치되고 상기 집게본체와 암의 상측부에 피스톤축과 유압실린더가 설치된 기존 굴삭기의 집게장치에 있어서,
암(3)에서 링크대(6)가 장착된 고정핀(P1)에 끼워져 체결되는 결합부재(31)가 양측에 돌출 형성되고 이와 반대쪽 하단으로 양측에 지지부재(32)가 돌출 형성되며 지지부재(32)에서 상단쪽으로 고정부재(33)가 돌출 형성되어 암(3)의 하측부 내측면에 밀착 설치되는 브라켓(30)과; 브라켓(30)의 하단쪽 지지부재(32)에 고정핀(P2)으로 회동가능케 장착되는 지지공(40a)이 양측에 형성되고 지지공(40a)에서 상단쪽으로 체결공(42a)이 형성된 체결부재(42)가 형성되며 버켓(5)과 마주하는 쪽에 만곡형태의 파지부(41)가 형성된 집게본체(40)와; 상기 집게본체(40)의 상단쪽 체결부재(42)에 피스톤축(51)이 장착되고 브라켓(30)의 상단쪽 고정부재(33)에 유압실린더(50)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주된 요지는 집게본체(40)와 유압실린더(50)를 브라켓(30)에 설치하고, 상기 브라켓(30)을 암(3)의 하측부에서 링크대(6)가 장착되는 고정핀(P1)에 끼워 암(3)의 내측면 쪽에 밀착 설치함으로서 기존의 굴삭기를 개조하지 않고 보다 간편하게 설치하는 것이다.
본 고안에서 브라켓(30)은 암(3)의 하측부 내측면 쪽에 밀착 설치되게 판형태이고, 링크대(6)가 암(3)에 장착되는 고정핀(P1)에 끼워져 설치되게 암(3)의 외측면 쪽으로 결합공(31a)이 형성된 결합부재(31)를 양측에 돌출 형성하며, 상기 결합부재(31)의 반대쪽 하단으로 지지공(32a)이 형성된 지지부재(32)를 양측으로 돌출 형성한다.
또한 브라켓(30)의 하단쪽에 형성된 지지부재(32)에서 상단 쪽으로 고정공(33a)이 형성된 고정부재(33)를 양측에 돌출 형성하는 것이며, 이러한 구조의 브라켓(30)은 암(3)의 하측부 고정핀(P1)에 끼워져 장착되는 결합부재(31)가 암(3)의 내측면에서 외측면 쪽으로 돌출 형성되고, 암(3)의 내측면쪽 상하단에 지지부재(32)와 고정부재(33)가 돌출 형성되는 것이다.
브라켓(30)에서 링크대(6)가 장착된 고정핀(P1)에 끼워져 장착되는 양측 결합부재(31)는 양쪽 링크대(6)의 안쪽에 배치되어 암(3)과 밀착 설치되게 암(3)보다 큰 폭을 갖도록 형성함이 바람직하고, 고정핀(P1)은 양측 결합부재(31)를 감안하여 기존보다 약간 큰 길이를 갖도록 제작하여 사용한다.
한편 본 고안에서 버켓(5)과 한쌍으로 석재나 목재 등을 물어서 들어올리는 집게본체(40)는 상측부에 양측으로 지지공(40a)이 형성되고, 지지공(40a)에서 상단쪽으로 체결공(42a)이 형성된 체결부재(42)가 형성되며, 버켓(5)과 마주하는 쪽에만곡형태의 파지부(41)가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에서 집게본체(40)의 양측 지지공(40a)은 브라켓(30)의 하단쪽에 형성된 양측 지지부재(32)사이에 내삽되고, 지지부재(32)의 지지공(32a)과 집게본체(40)의 지지공(40a)에 고정핀(P2)이 끼워져 회동가능케 설치된다.
그리고, 브라켓(30)과 집게본체(40) 사이에 유압실린더(50)와 피스톤축(51)이 설치되는 것으로, 여기서 피스톤축(51)은 집게본체(40)의 상단쪽에서 체결부재(42)의 체결공(42a)에 고정핀(P4)을 끼워 피스톤축(51)을 회동가능케 장착하고, 또한 유압실린더(50)는 브라켓(30)에서 상단쪽에 형성된 고정부재(33)의 고정공(33a)에 고정핀(P3)을 끼워 유압실린더(50)를 회동가능케 설치할 수 있다.
한편 상기에서 브라켓(30)과 집게본체(40)에 설치된 유압실린더(50)와 피스톤축(51)의 위치를 달리하여 설치할 수 있는 것으로서 즉, 유압실린더(50)를 집게본체(40)의 체결부재(42)에 장착하고, 피스톤축(51)을 브라켓(30)의 상단쪽 고정부재(33)에 설치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브라켓(30)에 설치된 집게본체(40)는 유압실린더(50)의 작동에 의해 지지부재(32)에 장착된 고정핀(P2)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작동됨으로서 버켓(5)과 한쌍으로 석재나 목재 등을 물어서 들어올려 작업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설치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브라켓(30)에 집게본체(40)를 설치하는 것으로, 브라켓(30)의 하단쪽에 형성된 지지부재(32) 사이에 집게본체(40)의 지지공(40a)을 끼우고, 지지부재(32)의 지지공(32a)과 집게본체(40)의 지지공(40a)에 고정핀(P2)을 끼워 회동가능케 설치한 다음 집게본체(40)의 상단쪽 체결부재(42)에 고정핀(P4)을 끼워 피스톤축(51)을 장착하는 한편 브라켓(30)의 상단쪽 고정부재(33)에 고정핀(P3)을 장착하여 유압실린더(50)를 설치한다.
다음은 집게본체(40)와 유압실린더(50)가 설치된 브라켓(30)을 굴삭기의 암(3)에 설치하는 것으로, 먼저 링크대(6)와 암(3)에 끼워져 장착된 고정핀(P1)을 해체하여 뺀 다음 암(3)의 하측부 내측면에 브라켓(30)을 밀착시켜 암(3)의 양측면에 결합부재(31)를 위치시킨 다음 고정핀(P1)을 링크대(6)와 결합부재(31)의 결합공(31a)과 암(3)에 끼워 브라켓(30)을 설치하게 된다.
따라서, 브라켓(30)은 암(3)의 하측부 내측면에 밀착된 상태로 링크대(6)와 함께 고정핀(P1)에 끼워져 고정 설치되며, 본 고안에서 브라켓(30)과 집게본체(40)에 설치된 유압실린더(50)는 굴삭기의 유압장치에서 공급되는 유압으로 작동되게 유압라인을 설치하고, 굴삭기에서 버켓(5)을 구동시키는 유압실린더(4)와 함께 작동되게 구성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기존 사용하고 있는 굴삭기에서 별도의 개조작업이 필요없으며, 집게본체(40)와 유압실린더(50)가 설치된 브라켓(30)을 암(3)의 하측부 고정핀(P1)에 끼워 설치함으로서 설치작업이 보다 간편하고, 또한 도면에 도시된 도 5 내지 도 6 과 같이 브라켓(30)의 하단부에서 유압실린더(50)의 작동으로 집게본체(40)가 회동함에 따라 회동반경이 커서 작업성이 향상되는 것이다.
상기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 하였으며,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상기의 실시예를 통해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으로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기존 사용하고 있는 굴삭기에서 링크대가 장착되는 암의 하측부 고정핀에 집게본체와 유압실린더가 장착된 브라켓을 끼워 고정 설치함으로서 기존의 굴삭기를 개조하여 변형시키거나 굴삭기에 별도의 부품을 부착할 필요없이 보다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는 한편 집게본체의 회동반경이 비교적 커서 작업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Claims (1)
- 굴삭기의 암 하측부에 회동가능케 집게본체가 설치되고 상기 집게본체와 암의 상측부에 피스톤축과 유압실린더가 설치된 기존 굴삭기의 집게장치에 있어서,암(3)에서 링크대(6)가 장착된 고정핀(P1)에 끼워져 체결되는 결합부재(31)가 양측에 돌출 형성되고 이와 반대쪽 하단으로 양측에 지지부재(32)가 돌출 형성되며 지지부재(32)에서 상단쪽으로 고정부재(33)가 돌출 형성되어 암(3)의 하측부 내측면에 밀착 설치되는 브라켓(30)과; 브라켓(30)의 하단쪽 지지부재(32)에 고정핀(P2)으로 회동가능케 장착되는 지지공(40a)이 양측에 형성되고 지지공(40a)에서 상단쪽으로 체결공(42a)이 형성된 체결부재(42)가 형성되며 버켓(5)과 마주하는 쪽에 만곡형태의 파지부(41)가 형성된 집게본체(40)와; 상기 집게본체(40)의 상단쪽 체결부재(42)에 피스톤축(51)이 장착되고 브라켓(30)의 상단쪽 고정부재(33)에 유압실린더(50)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삭기용 유압 집게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4-0010764U KR200356041Y1 (ko) | 2004-04-19 | 2004-04-19 | 굴삭기용 유압 집게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4-0010764U KR200356041Y1 (ko) | 2004-04-19 | 2004-04-19 | 굴삭기용 유압 집게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356041Y1 true KR200356041Y1 (ko) | 2004-07-12 |
Family
ID=493480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4-0010764U KR200356041Y1 (ko) | 2004-04-19 | 2004-04-19 | 굴삭기용 유압 집게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356041Y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53244B1 (ko) | 2013-08-16 | 2014-01-20 | 김수철 | 굴삭기용 착탈식 집게장치 |
KR200476754Y1 (ko) | 2015-02-04 | 2015-04-02 | 김수철 | 굴삭기용 착탈식 집게장치 |
-
2004
- 2004-04-19 KR KR20-2004-0010764U patent/KR200356041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53244B1 (ko) | 2013-08-16 | 2014-01-20 | 김수철 | 굴삭기용 착탈식 집게장치 |
KR200476754Y1 (ko) | 2015-02-04 | 2015-04-02 | 김수철 | 굴삭기용 착탈식 집게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6088939A (en) | Implement adapter for an excavation tool assembly | |
KR20140106518A (ko) | 붐 스윙형 굴삭기의 유압 배관 고정장치 | |
KR200356041Y1 (ko) | 굴삭기용 유압 집게장치 | |
EP1124017A1 (en) | Hydraulically driven working machine | |
KR200492231Y1 (ko) | 굴삭기 장착용 집게 받침대 | |
KR200355983Y1 (ko) | 굴삭기용 유압 집게장치 | |
KR101970722B1 (ko) | 굴삭기 집게발용 안전장치를 구비한 굴삭기용 집게발 | |
KR101515562B1 (ko) | 좌우굴절이 가능한 퀵 커플러 | |
JPH11193542A (ja) | 建設機械用フロント装置及びそれに用いるブーム並びにその組立方法 | |
KR101442165B1 (ko) | 클램프장착형 굴삭기용 집게장치 | |
JP5789158B2 (ja) | 建設機械のシリンダ装置 | |
KR200493426Y1 (ko) | 굴삭기 장착용 집게 받침대 | |
JP2004108055A (ja) | 建設機械の作業装置 | |
KR100990884B1 (ko) | 굴삭기용 집게장치 | |
JP4042907B2 (ja) | 作業機用フロント装置と作業機 | |
JP5372818B2 (ja) | 作業機械、作業機械のフロント装置、及び作業機械のフロント装置の装着方法 | |
KR20110031041A (ko) | 굴삭기용 집게장치 | |
JP2922862B2 (ja) | 解体作業用フォーク | |
KR20150093926A (ko) | 굴삭기용 집게 | |
KR20150093927A (ko) | 리퍼 기능을 갖는 굴삭기용 집게 | |
JP2000291261A (ja) | 鉄塔建設用ブーム | |
KR20120136598A (ko) | 굴삭기용 스톤 그립 | |
JP4781416B2 (ja) | 建設機械 | |
KR101727635B1 (ko) | 건설중장비용 퀵 커플러 | |
JP3839196B2 (ja) | ケーシングドライバの可動バンドの浮き上がり防止機構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