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26325A - 탈부착이 용이한 굴삭기용 자동 장착식 멀티 그래플 - Google Patents

탈부착이 용이한 굴삭기용 자동 장착식 멀티 그래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26325A
KR20090026325A KR1020090014578A KR20090014578A KR20090026325A KR 20090026325 A KR20090026325 A KR 20090026325A KR 1020090014578 A KR1020090014578 A KR 1020090014578A KR 20090014578 A KR20090014578 A KR 20090014578A KR 20090026325 A KR20090026325 A KR 200900263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apple
tongs
hole
pair
bi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45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정득
Original Assignee
박정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정득 filed Critical 박정득
Priority to KR10200900145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26325A/ko
Publication of KR200900263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632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6Component parts
    • E02F3/40Dippers; Buckets ; Grab devices, e.g. manufacturing processes for buckets, form, geometry or material of buckets
    • E02F3/402Dippers; Buckets ; Grab devices, e.g. manufacturing processes for buckets, form, geometry or material of buckets with means for facilitating the loading thereof, e.g. conveyors
    • E02F3/404Dippers; Buckets ; Grab devices, e.g. manufacturing processes for buckets, form, geometry or material of buckets with means for facilitating the loading thereof, e.g. conveyors comprising two parts movable relative to each other, e.g. for gripping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6Component parts
    • E02F3/40Dippers; Buckets ; Grab devices, e.g. manufacturing processes for buckets, form, geometry or material of buckets
    • E02F3/413Dippers; Buckets ; Grab devices, e.g. manufacturing processes for buckets, form, geometry or material of buckets with grabbing devic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96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arrangements for alternate or simultaneous use of different digg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40Special vehicles
    • B60Y2200/41Construction vehicles, e.g. graders, excavators
    • B60Y2200/412Excav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oad-Engaging Elements For C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멀티 그래플은,
대응되는 크기와 형태로 형성되어 지지판(31)을 중앙에 개재한 상태로 상호 결합하며, 구동아암(11)과 결부된 실린더 로드(12)의 신축구동에 따라 조작되는 한 쌍의 상단집게(30);와, 대응되는 크기와 형태로 형성되어 받침판(53)을 중앙에 개재한 상태로 상호 결합하는 한 쌍의 하단집게(50);와, 상기 한 쌍의 상단집게 및 하단집게를 일체로 결속하여 동시에 연동할 수 있도록 제1결속구(41) 및 제2결속구(42)가 양방향 나란하게 배치되고, 제1결속구의 중앙부에는 적정 간격만큼 절개 형성한 절개면을 포함하여서 이루어지는 집게연동플레이트(40);와, 상기 상단집게 및 하단집게의 상단부 외측에서 이들을 연결 구성하며, 유연하고 안정감 있는 회동을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다수의 결속공이 천공된 한 쌍의 보강브래킷(60);과, 상기 보강브래킷이 상·하단집게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보강브래킷의 외측면에 고정장착되어 상단집게와 보강브래킷 간에 견고한 결속을 유도하는 한 쌍의 링크조립체(70);와, 상기 한 쌍의 보강브래킷 사이 공간에 배치되어, 마주보는 보강브래킷을 상호 연결하기 위한 제3,4결속부재(94,93)에 거치되고, 제2,3,4결속부재를 자체 장착할 수 있도록 이와 대응되는 크기의 체결공이 다수 구비되는 한 쌍의 축설프레임(80);과, 상기 축설프레임의 체결공을 통해 횡 방향으로 관통 형성시킨 제2결속부재에는 구동아암 배면에 장착된 고정홀더(20)가 수용될 수 있도록 구성함을 그 특징으로 한다.
굴삭기 집게, 굴삭기 그래플

Description

탈부착이 용이한 굴삭기용 자동 장착식 멀티 그래플 {MULTI-GRAPPLE FOR EXCAVATOR}
본 발명은 소정의 대상물을 파지하거나 적재 또는 운반하기 위하여 굴삭기에 교체 장착할 수 있도록 구성한 그래플(Grapple,집게)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굴삭기의 구동아암 단부에 장착되는 그래플의 구성을 적극 개선하여 작업자가 별도의 수작업 공정을 거치지 않고도 자동으로 상기 그래플을 간편하게 장착 및 탈거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나아가 하나의 유압실린더를 구동시켜 양쪽 집게의 작동을 동시에 구현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최소한의 실린더 행정으로 최대의 작업효과를 발휘하며, 유압실린더에 편중되는 부하를 최소화하여 기기장치의 유지 및 보수비용을 절감하는 등 작업의 효율과 능률성에 있어 이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것에 이점이 있는 탈부착이 용이한 굴삭기용 자동 장착식 멀티 그래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굴삭기는 상·하수도 공사를 위한 지면의 복개공사나 산지와 임 야의 개토 공사를 포함하여 다양한 분야의 공사에 널리 사용되고 있는 건설장비의 일종으로, 붐대와 연결된 아암의 끝단에 통상의 버킷을 결합시켜 사용하고 있다.
상기 버킷은 유압실린더에 의해 아암의 내측으로 회동 가능한 구조이며,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버킷이 구동되면서 흙이나 모래 등과 같은 부피가 작은 대상물의 이동이 편리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버킷의 수용구조는 흙이나 모래와 같이 부피가 작은 대상물의 이동에는 유용하지만, 버킷이 굴삭기 안쪽으로 회동하면서 대상물을 퍼내는 방식임에 따라 부피가 큰 조경석이나 나무 등의 물체는 버킷 내부에 수용할 수 없게 되고, 수용한다 하더라도 안정감이 결여되어 이동이 곤란하며, 이동하는 과정에서 낙하하는 일이 빈번하게 발생하는 등 안전사고의 유발 가능성이 있다.
이에, 근래에는 부피가 큰 물체를 용이하게 잡을 수 있도록 다양한 형상으로 구성한 그래플(GRAPPLE)을 굴삭기에 장착하여 사용하고 있다. 상기 그래플은 통상 집게라고도 지칭되는 파지기구의 일종으로, 원목이나 흄관 등을 상·하차하거나 폐차장에서 고철 등을 집하하는 경우에 사용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그래플 장치를 나타낸 개략적인 구성도로서, 그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붐대(A)에 회동암(B)이 핀(C)으로 결합되어 있고, 상기 회동암(B)의 하부에는 구조물을 파지하는 한 쌍의 집게(D,E)가 상호 오므라지거나 벌어질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회동암과 각 집게 사이에는 실린더(F,G)가 복수 개의 링크(H)에 의해 힌지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실린더의 로드가 최대한 당겨진 상태에서는 한 쌍의 집게가 상호 벌어지게 되는바, 이러한 상태에서 집게 사이에 구조물이 위치되도록 한 다음, 실린더의 로드를 인출시키면 대상 구조물을 적절히 파지하게 된다.
전술한 종래 굴삭기의 그래플 장치는, 한 쌍의 집게를 동시에 오므리거나 벌리기 위해서 몸체와 집게 사이에 스트로크가 큰 고가의 실린더를 각각 설치하여야만 하므로 생산원가가 상승하는 것은 물론, 각각의 실린더를 구동하기 위해서 별도의 유압라인을 구성하여야 하기 때문에 유압회로의 구성에 많은 어려움이 수반되는 문제점에 직면해 있다.
또한, 굴삭기는 작업 종류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부착기구들을 교체하면서 작업을 수행하게 되고, 이때 흄관이나 기타 버킷으로 수집할 수 없는 대상물의 경우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그래플을 부가 연계하여 작업을 진행하였는바, 상기 그래플을 굴삭기 아암에 장착하거나 분리하기 위해서 기존에는 굴삭기 운전석에 위치하고 있던 운전자가 붐대 및 아암을 조종하는 한편, 보조자는 아암과 해당 그래플의 핀 구멍을 일치되게 맞춘 후, 별도의 고정핀 삽입작업을 운전자와 상호 협조하면서 완료하는 방식으로, 모든 과정이 수동형이었다.
이는, 결과적으로 부착기구(그래플)의 교체 시간을 지체시켜 교체 작업에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게 하며, 타 장비에 비해 상당한 중량과 크기로 구성된 상기 그래플을 작업자의 수작업에 의한 방식으로 교체함에 따라 교체 작업이 용이하지 않을 뿐 아니라, 이로 인해 작업 능률 및 효율이 저하되고, 중장비에 작업자가 노출 된 상태에서 일련의 작업을 수행하게 되어 안전사고의 위험에서 여전히 벗어나지 못하는 한계에 놓여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보다 적극적으로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본 발명의 탈부착이 용이한 굴삭기용 자동 장착식 멀티 그래플을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그래플은,
대응되는 크기와 형태로 형성되어 지지판을 중앙에 개재한 상태로 상호 결합하며, 구동아암과 결부된 실린더 로드의 신축구동에 따라 조작되는 한 쌍의 상단집게;와,
대응되는 크기와 형태로 형성되어 받침판을 중앙에 개재한 상태로 상호 결합하는 한 쌍의 하단집게;와,
상기 한 쌍의 상단집게 및 하단집게를 일체로 결속하여 동시에 연동할 수 있도록 제1결속구 및 제2결속구가 양방향 나란하게 배치되고, 제1결속구의 중앙부에는 적정 간격만큼 절개 형성한 절개면을 포함하여서 이루어지는 집게연동플레이트;와,
상기 상단집게 및 하단집게의 상단부 외측에서 이들을 연결 구성하며, 유연하고 안정감 있는 회동을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다수의 결속공이 천공된 한 쌍의 보강브래킷;과,
상기 보강브래킷이 상·하단집게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보강브래킷의 외측면에 고정장착되어 상단집게와 보강브래킷 간에 견고한 결속을 유도하는 한 쌍의 링크조립체;와,
상기 한 쌍의 보강브래킷 사이 공간에 배치되어, 마주보는 보강브래킷을 상호 연결하기 위한 제3,4결속부재에 거치되고, 제2,3,4결속부재를 자체 장착할 수 있도록 이와 대응되는 크기의 체결공이 다수 구비되는 한 쌍의 축설프레임;과,
상기 축설프레임의 체결공을 통해 횡 방향으로 관통 형성시킨 제2결속부재에는 구동아암 배면에 장착된 고정홀더가 수용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에 그 특징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따르면, 굴삭기 운전석에 위치한 운전자의 간단한 조작만으로 본 발명의 그래플을 굴삭기 붐대에 장착하거나 분리할 수 있으므로 그래플의 교체작업이 극히 용이하여 교체 시간이 단축될 뿐만 아니라, 이에 따라 작업 능률이 더욱 향상되어 안전 사고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기대된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그래플연동플레이트를 부가 장착하여 하나의 유압실린더 유압력만으로 집게A와 집게B를 동시에 연동할 수 있는바, 최소한의 실린더 행정으로 그래플을 작동시켜 작업효과를 극대화하는 한편, 이와 더불어 구동아암에 연 결된 그래플이 오작동이나 부주의 등에 의해 인위적으로 분리되는 것을 적극 방지하여 향상된 안정성을 구현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건축, 토목 분야에 사용되는 굴삭기는 작업의 종류에 따라 버킷, 브레이커, 크레셔, 콘크리트 파쇄기 등의 작업장비들을 아암의 선단에 연결하여 원하는 작업을 행하였는바, 본 발명에서는 굴삭기에 적용되는 이러한 작업장비들 중 특히 그래플(집게) 장치의 구성을 적극 개선하여, 그래플과 굴삭기의 구동아암을 상호 간편하게 결합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 그래플 장치에 관련되는 것임을 주지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 예에 의하여 구성된 멀티 그래플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 예에 의하여 구성된 멀티 그래플의 결합사시도이고, 도 4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 예에 의하여 구성된 멀티 그래플의 측단면도이고, 도 4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 예에 의하여 구성된 멀티 그래플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예시단면도이다.
통상, 굴삭기는 본체 일측에서 실린더의 유압력으로 회동하는 붐대가 결합되고, 상기 붐대의 선단에는 구동아암이 소정의 각도의 범위 내에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구동아암의 선단에는 다수 개의 고정핀을 이용하여 그래플이 결합되는 것을 기본 구성으로 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멀티 그래플은, 한 쌍의 상단집게(30); 한 쌍의 하단집게(50); 집게연동플레이트(40); 한 쌍의 보강브래킷(60); 한 쌍의 축설프레임(80); 및 이들을 상호 결속하기 위한 다수의 로크핀(43,44,38)과 결속부재(91,95,94,93,92)로 구성하되, 이러한 구성으로 구현되는 그래플은 구동아암(11)에 장착시킨 고정홀더(20)와 상호 작용하여 안정감 있게 걸림 수용된다.
상기 상단집게(30)는 굴삭기의 붐대(미도시함)와 결부되어 실린더로 구동하는 구동아암(11)에 의해 소정 각도 범위 내에서 회동하게 되는 구성요소로, 도면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서로 마주보는 방향이 되도록 배치하여 그 중심 공간에 소정의 플레이트 형상으로 마련한 지지판(31)을 별도의 고정핀(32)으로 고정하고, 각 상단집게 내면에는 원통 형상으로 소정 간격 돌출되게 형성한 핀로드(37)가 구축되며, 이후 기술할 다수의 로크핀 및 결속부재가 인입될 수 있도록 복수 개의 삽입홀(33,34,35,36)이 천공된다. 상기 핀로드(37)는 제3로크핀(38)에 수용될 제2고정훅(14b)이 양측 방향으로 유동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것은 물론, 제3로크핀이 보다 견고하게 지탱될 수 있도록 보강 프레임의 역할을 한다.
상기 상단집게(30)에는 제1삽입홀(33), 제2삽입홀(34), 제3삽입홀(35), 제4삽입홀(36)이 천공되는바, 각각 제1삽입홀에는 제1결속부재(91)가 인입 후 조립되고, 제2삽입홀에는 링크조립체(70)의 끼움부(71)가, 제3삽입홀에는 제1로크핀(43) 이, 제4삽입홀에는 제3로크핀(38)이 개별적으로 맞춤 수용된다.
상기 하단집게(50)는 상단집게(30)와 동일한 방식으로 나란히 대향되게 배치하여 그 중심 공간에 소정의 플레이트 형상으로 마련한 받침판(53)을 또 다른 고정핀(53)으로 고정하고, 각 하단집게에는 자체적으로 제5삽입홀(51) 및 제6삽입홀(52)을 형성시켜 제2로크핀(44)의 양단과 제5결속부재(92)의 양단이 용이하게 인입되어 한 쌍의 분리된 하단집게가 일체된 형상이 되어 동일한 움직임을 구현하도록 한다.
상기 집게연동플레이트(40)는 전술한 한 쌍의 상단집게(30) 및 하단집게(50)를 동시에 구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본 발명의 요부이며, 그 형상은 도 2에서와 같이 적정 두께의 사각 프레임으로 구성하되, 가로축 양 끝단은 소정의 로크핀(43,44)이 수용되기에 적합하도록 장 방향 내측 공간부로 이루어진 제1결속구(41) 및 제2결속구(42)가 구축되고, 상기 제1결속구가 접한 집게연동플레이트의 외주연 중심측은 사각 형상으로 절개하여 제1고정훅(14a)이 절개면 내부 공간에 적절하게 수용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집게연동플레이트(40)의 제1결속구(41)에는 제1로크핀(43)이 입설되어 상단집게(30)의 제3삽입홀(35)에 제1로크핀 양단이 안착하면서 고정되는 구조인 반면, 집게연동플레이트의 제2결속구(42)에는 제2로크핀(44)이 입설되어 하단집 게(50)의 제5삽입홀(51)에 제2로크핀 양단이 맞춤 수용되면서 견고한 맞물림을 유지하게 되는 방식이다.
상기 보강브래킷(60)은 상·하단집게(30,50)의 상단부가 인접하는 외측면에 공통으로 배치하여서 상부와 하단집게 간에 원활한 회동을 구현하기 위하여 링크 방식으로 운용되는 구성요소로, 제1결속공(61); 제2결속공(62); 제3결속공(63); 제4결속공(64);이 천공된다. 마주보는 한 쌍의 보강브래킷(60)을 구축함에 있어서, 상기한 제1결속공에는 제3결속부재(94)가, 제2결속공에는 제4결속부재(93)가, 제3결속공에는 제5결속부재(92)가, 제4결속공에는 제1결속부재(91)가 각각 인입된다.
상기 축설프레임(80)은 완만한 곡선 형상으로 이루어져 제2체결공(81)과 제3체결공(82), 제4체결공(83)이 적정 간격 이격된 형태로 구성되며, 대향되게 배치한 하단집게(50)의 상측 공간에 위치되어 제2결속부재(62) 및 제3결속부재(94), 제4결속부재(93)를 순차 인입시켜 고정함으로써 앞서 기술한 한 쌍의 보강브래킷(60) 사이 공간에서 종 방향으로 세워지는 구조이다.
도면부호 70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링크조립체(70)를 지칭하는데, 이러한 링크조립체는 도 2에서와 같은 형상으로 제작되어 보강브래킷(60)과 상단집게(30)를 상호 연결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즉, 상기 보강브래킷이 상단집게 외측면과 연계되어 결속될 수 있도록 보강브래킷의 제4결속공(64)과 상단집게의 제1삽입홀(33)을 교차되게 위치시키는 한편, 링크조립체의 제1체결공(72) 또한 이들과 연속될 수 있도록 동일한 지점에 배치한 후, 별도의 제1결속부재(91)를 제1체결공, 제4결속공, 제1삽입홀의 순으로 끼워 넣어 너트 등의 부속품으로 삽착한다.
또한, 상기 링크조립체(70)의 타측 단부에는 소정 간격만큼 연장 돌출된 원통형의 또 다른 끼움부(71)를 형성하여 상단집게의 제2삽입홀(34)에 끼움 고정함으로써 상단집게가 회동하는 움직임에 따라 상기 링크조립체가 보강브래킷(60)에 삽입된 제1결속부재(91)를 기점으로 일정 범위 내에서 왕복 구동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링크조립체는 상단집게 외측면에서 보강브래킷을 개재한 상태 그대로 상단집게와 상호 결속되어 상단집게로부터 보강브래킷이 이탈되지 않도록 방지하며, 상단집게의 회동에 따라 동일한 움직임을 힌지식으로 구현하게 된다.
상기 고정홀더(20)는 굴삭기의 붐대 배면에 고정 장착되어 본 발명의 멀티 그래플을 걸어 올릴 수 있도록 구성하는바, 이는 U자형 반고리 형태로 형성하여 한 쌍의 축설프레임(80)을 통해 삽설된 제2결속부재(95)에 걸림 수용될 수 있도록 구성한다.
본 발명에서 지칭하는 상단집게(30)와 하단집게(50)는 단순히 설명의 편의를 위해 예시적으로 구분한 것일 뿐, 사전적인 의미에 한정하여 특정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곤란할 것이다.
본 발명에서의 제1,2,3로크핀(43,44,38)은 동일한 직경과 길이로 이루어져 마주보는 집게 사이에 거치되면서 그 양단이 상기 집게들과 정확히 맞물려 견고하게 고정되고, 이로 인해 집게 각각은 소정 거리의 이격된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제1,2,3,4,5결속부재(91,95,94,93,92)는 직경이 각각 동일하고 길이가 상이한 체결도구로써, 너트 등의 부속품을 타측 단부에 결합시켜 고정하는 방식인바, 상기 각 결속부재의 결합으로 해당 부위는 힌지 방식으로 회전하여 유연한 회동이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구성은 종래의 기술과 유사 내지 동일한 기술적 사상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 예에 의하여 구성된 본 발명 멀티 그래플의 작동방식 및 이로 인해 구현되는 효과를 위주로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하기에 기술할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통상, 굴삭기를 운용함에 있어서, 운전자는 구동아암을 조작하고 보조 작업자가 직접 그래플을 핀 등으로 연결하여 고정 장착하고 있으나, 이는 그래플의 교체 작업이 용이하지 않아 작업시간이 상당히 소요될 뿐만 아니라, 빈번하게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등의 문제점을 적극적으로 해소하기 위한 일련의 장치이다.
본 발명의 멀티 그래플을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멀티 그래플은,
대응되는 크기와 형태로 형성되어 지지판(31)을 중앙에 개재한 상태로 상호 결합하며, 구동아암(11)과 결부된 실린더 로드(12)의 신축구동에 따라 조작되는 한 쌍의 상단집게(30);와, 대응되는 크기와 형태로 형성되어 받침판(53)을 중앙에 개재한 상태로 상호 결합하는 한 쌍의 하단집게(50);와, 상기 한 쌍의 상단집게 및 하단집게를 일체로 결속하여 동시에 연동할 수 있도록 제1결속구(41) 및 제2결속구(42)가 양방향 나란하게 배치되고, 제1결속구의 중앙부에는 적정 간격만큼 절개 형성한 절개면을 포함하여서 이루어지는 집게연동플레이트(40);와, 상기 상단집게 및 하단집게의 상단부 외측에서 이들을 연결 구성하며, 유연하고 안정감 있는 회동을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다수의 결속공이 천공된 한 쌍의 보강브래킷(60);과, 상기 보강브래킷이 상·하단집게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보강브래킷의 외측면에 고정장착되어 상단집게와 보강브래킷 간에 견고한 결속을 유도하는 한 쌍의 링크조립체(70);와, 상기 한 쌍의 보강브래킷 사이 공간에 배치되어, 마주보는 보강브래킷을 상호 연결하기 위한 제3,4결속부재(94,93)에 거치되고, 제2,3,4결속부재를 자체 장착할 수 있도록 이와 대응되는 크기의 체결공이 다수 구비되는 한 쌍의 축설프레임(80);과, 상기 축설프레임의 체결공을 통해 횡 방향으로 관통 형성시킨 제2결속부재에는 구동아암 배면에 장착된 고정홀더(20)가 수용될 수 있도록 구성함을 그 특징으로 한다.
상기 멀티 그래플의 전체적인 조립과정을 설명하면,
한 쌍의 상단집게(30)를 적정 간격 이격시켜 대향되게 배치한 후 지지판(31)을 별도의 고정핀(32)으로 고정하고 상단집게의 제1삽입홀(33)에 제1결속부재(91)를 인입시키되, 이때 상기 제1결속부재(91)는 상단집게 외측에 배치된 보강브래킷(60)의 제4결속공(64)을 거쳐 제1삽입홀(33)에 삽설되고, 상단집게의 제2삽입홀(34)에는 링크조립체(70) 일단에 형성시킨 돌출된 끼움부(71)가 끼워지며, 상단집게의 제3삽입홀(35)에는 집게연동플레이트(40)와 결합된 제1로크핀(43)의 단부가 끼워져 제1로크핀의 양 단부가 한 쌍의 상단집게 사이에서 견고한 맞물림을 유지하게 된다. 또한, 상단집게의 제4삽입홀(36)에는 제3로크핀(38)을 더 삽설하여 이격된 한 쌍의 상단집게(30)를 더욱 견고하게 하며, 이후 제3로크핀으로 하여금 제2고정훅(14b)이 걸림 수용된다.
상기 상단집게(30)의 조립과 함께 하단집게(50) 또한 상단집게와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시켜 배치하고, 이격된 하단집게 사이 공간에 완만한 곡선 타입의 받침판이 또 다른 고정핀(53)에 의해 상호 결합된다. 받침판과 상호 결합된 하단집게의 제6삽입홀(52)은 바깥쪽에서 근접하는 보강브래킷(60)의 제3결속공(63)과 겹치도록 위치시켜 제5결속부재(92)를 삽설하도록 하고, 하단집게에 형성한 제5삽입홀(51)에는 집게연동플레이트와 결합된 제2로크핀(44)의 각 일단이 삽설된다.
결국, 상기 집게연동플레이트(40)는 제1로크핀(43)과 제2로크핀(44)이 각각 상단집게와 하단집게 일단에 끼워져 자체 고정됨에 따라 구동아암(11)에 결부된 실린더로드(12)가 구동하여 제3로크핀(38)을 구동시키면 제3로크핀과 결합된 상단집게가 구동하는 것은 물론, 상단집게가 구동하면서 집게연동플레이트와 고정결합된 하단집게(50) 또한 구동시켜 하나의 실린더 행정으로 양측 집게 모두를 동시에 조작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하단집게 사이 공간에는 한 쌍의 축설프레임(80)을 입설하는바, 입설방식은 보강브래킷(60)에 형성한 제1결속공(61)과 축설프레임의 제3체결공(82)을 일치시켜 제3결속부재(94)를 삽설하고, 보강브래킷의 제2결속공(62)은 축설프레임의 제4체결공(83)과 일치시켜 제4결속부재(93)를 삽설하는 방식으로 구현된다. 상기 축설프레임(80)은 제3,4결속부재에 거치되는 수단에 의해 고정되며, 축설프레임의 제2체결공에는 또 다른 제2결속부재(95)를 삽설하여 구동아암에 고정 장착시킨 고정홀더(20)가 걸릴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고정홀더(20)는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동아암 배면에 고정되고, 구동아암과 결부된 실린더로드(12)는 다수의 링크부(13)에 의해 클램프(14)와 힌지 결합된다. 상기 클램프(14)는 종래와 동일 내지 유사한 기술 내용으로, 그 하단에 갈고리 모양의 제1고정훅(14a) 및 제2고정훅(14b)이 각각 구축되며, 상기 제2고정훅(14b)은 클램프 내부에 안착된 별도의 실린더(미도시함)에 의해 로드가 신축하면서 전방으로 이완되거나 또는 제자리로 수축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작용에 의하 여 상단집게(30)와 결합된 제3로크핀(38)에 상기 제2고정훅(14b)이 적절하게 걸림 고정될 수 있게 된다.
상기 멀티 그래플이 구동아암과 상호 결합되는 과정을 단계별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최초, 굴삭기의 운전석에 위치한 작업자가 붐대를 조작하여 구동아암을 구동하고, 상기 구동아암 단부에 힌지 결합된 클램프(14)를 소폭 하강 조작하여 제1고정훅(14a)을 제1로크핀(43)에 거치하면, 상기 클램프의 내부 공간에 마련한 또 다른 실린더가 구동되어 제2고정훅(14b)이 전후방으로 인출되면서 제3로크핀(38)과 긴밀한 접촉을 구현하게 된다. 상기 제1고정훅이 제1로크핀과 상호 결속되는 위치에 있어서, 그 위치는 집게연동플레이트(40)에 형성한 절개면으로 제1고정훅(14a)의 단부가 수용되는 구조이므로 보다 안정감 있는 결속을 구축할 수 있다.
상기의 결합과정을 완료하면, 운전자는 구동아암을 조작하여 실린더로드를 인출하게 되고, 실린더로드의 인출에 따라 클램프의 전단이 구동아암과 클램프를 연결하는 힌지축에 의해 일정 범위 내에서 회동하게 되는바, 이와 같은 클램프의 회동이 제2고정훅(14b)에 걸린 제3로크핀(38)을 들어올리거나 하강시켜 상단집게의 작동을 도모함으로써 소기의 작업을 달성하게 된다.
상기 클램프(14)의 회동으로 제2고정훅(14b)이 구동되면서 제3로크핀(38)과 결부된 상단집게(30)가 상하 움직임을 구현하고, 이러한 상단집게의 상하 움직임은 집게연동플레이트(40)를 수단으로 제2로크핀(44)에 의해 고정결합된 하단집게(50)에 전달되어 결과적으로 하나의 실린더 구동만으로 상단집게 및 하단집게를 동시에 조작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구성의 그래플 장치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 예에 의하여 구성된 멀티 그래플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 예에 의하여 구성된 멀티 그래플의 결합사시도.
도 4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 예에 의하여 구성된 멀티 그래플의 측단면도.
도 4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 예에 의하여 구성된 멀티 그래플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예시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구동아암 12 : 실린더로드
13 : 링크부 14 : 클램프
14a : 제1고정훅 14b : 제2고정훅
20 : 고정홀더 30 : 상단집게
31 : 지지판 33 : 제1삽입홀
34 : 제2삽입홀 35 : 제3삽입홀
36 : 제4삽입홀 37 : 핀로드
38 : 제3로크핀 40 : 집게연동플레이트
41 : 제1결속구 42 : 제2결속구
43 : 제1로크핀 44 : 제2로크핀
50 : 하단집게 51 : 제5삽입홀
52 : 제6삽입홀 60 : 보강브래킷
61 : 제1결속공 62 : 제2결속공
63 : 제3결속공 64 : 제4결속공
70 : 링크조립체 71 : 끼움부
72 : 제1체결공 80 : 축설프레임
81 : 제2체결공 82 : 제3체결공
83 : 제4체결공 91 : 제1결속부재
92 : 제5결속부재 93 : 제4결속부재
94 : 제3결속부재 95 : 제2결속부재

Claims (5)

  1. 제1,2고정훅(14a,14b)으로 이루어진 클램프(14)에 자동 장착되는 그래플을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그래플은,
    동일한 크기와 형태로 복수 개 형성되어 상호 마주보는 방향이 되도록 배치하고, 그 중심 공간에는 플레이트 형상의 지지판(31)을 고정핀으로 고정하며, 제1,2,3,4삽입홀(33,34,35,36)이 각각 천공된 상단집게(30);와,
    동일한 크기와 형태로 복수 개 형성되어 상호 마주보는 방향이 되도록 배치하고, 그 중심 공간에는 플레이트 형상의 받침판(53)을 고정핀으로 고정하며, 제5삽입홀(51)과 제6삽입홀(52)이 각각 천공된 하단집게(50);와,
    가로축 양 끝단은 로크핀(43,44)이 수용되기에 적합하도록 내측이 관통 형성된 제1결속구(41)와 제2결속구(42)로 이루어지고, 제1결속구의 중앙은 사각 형상으로 절개한 절개면이 형성된 집게연동플레이트(40);와,
    상기 상단집게(30) 및 하단집게(50)의 상단부 외측에 배치되며, 제1,2,3,4결속공(61,62,63,64)이 각각 천공된 한 쌍의 보강브래킷(60);과,
    일측 단부에 제1체결공(72)이 천공되며, 타측 단부에는 연장 돌출된 원통형의 끼움부(71)가 형성되어 상단집게(30)와 보강브래킷(60)을 연결 구성하는 한 쌍의 링크조립체(70); 및
    완만한 곡선 형상으로 이루어져 제2,3,4체결공(81,82,83)을 적정 간격 이격 되게 형성시킨 한 쌍의 축설프레임(80);을 포함하여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이 용이한 굴삭기용 자동 장착식 멀티 그래플.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집게연동플레이트(40)는,
    제1결속구(41)에 제1로크핀(43)을 삽설하고 삽설된 제1로크핀의 양측 단부가 상단집게의 제3삽입홀(35)에 각각 끼워지는 한편, 제2결속구(42)에는 제2로크핀(44)이 삽설되고 삽설된 제2로크핀의 양측 단부가 하단집게의 제5삽입홀(51)에 각각 끼워져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이 용이한 굴삭기용 자동 장착식 멀티 그래플.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축설프레임(80)에 각각 형성시킨 제2체결공(81)에는 제2결속부재(95)를 삽설하여 구동아암 배면에 장착된 고정홀더(20)가 제2결속부재(95)에 걸림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에 특징이 있는 탈부착이 용이한 굴삭기용 자동 장착식 멀티 그래플.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집게연동플레이트에 삽설된 제1로크핀(43)에는 제1고정훅(14a)을 위치시켜 걸림 고정하되, 제1고정훅의 단부는 집게연동플레이트의 절개면에 수용되며, 상단집게와 결합된 제3로크핀(38)의 중심측에는 제2고정훅(14b)이 걸려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에 특징이 있는 탈부착이 용이한 굴삭기용 자동 장착식 멀티 그래플.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집게(30) 일면에는, 원통 형상으로 소정 간격 돌출되며 그 내부가 관통 형성된 핀로드(37)를 더 구축하여 제3로크핀(38)을 보강하는 것은 물론, 제2고정훅(14b)이 양측 방향으로 유동되지 않게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이 용이한 굴삭기용 자동 장착식 멀티 그래플.
KR1020090014578A 2009-02-21 2009-02-21 탈부착이 용이한 굴삭기용 자동 장착식 멀티 그래플 KR2009002632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4578A KR20090026325A (ko) 2009-02-21 2009-02-21 탈부착이 용이한 굴삭기용 자동 장착식 멀티 그래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4578A KR20090026325A (ko) 2009-02-21 2009-02-21 탈부착이 용이한 굴삭기용 자동 장착식 멀티 그래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6325A true KR20090026325A (ko) 2009-03-12

Family

ID=406943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4578A KR20090026325A (ko) 2009-02-21 2009-02-21 탈부착이 용이한 굴삭기용 자동 장착식 멀티 그래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26325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331050A (zh) * 2018-02-06 2018-07-27 江阴市世盟机械有限公司 一种副筋板
CN108331049A (zh) * 2018-02-06 2018-07-27 江阴市世盟机械有限公司 一种抓石器上的连接盘外筋板
KR102444209B1 (ko) * 2022-04-28 2022-09-16 오동열 굴삭기 집게 조립체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331050A (zh) * 2018-02-06 2018-07-27 江阴市世盟机械有限公司 一种副筋板
CN108331049A (zh) * 2018-02-06 2018-07-27 江阴市世盟机械有限公司 一种抓石器上的连接盘外筋板
KR102444209B1 (ko) * 2022-04-28 2022-09-16 오동열 굴삭기 집게 조립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68130B1 (ko) 탈부착이 용이한 굴삭기용 자동 장착식 멀티 그래플
KR20100007078U (ko) 굴삭기용 집게발 고정장치
US6499904B2 (en) Excavator coupler using fluid operated actuator
US6523284B1 (en) Multi-purpose material handling apparatus
US6098321A (en) Bucket converter for an excavation bucket
KR20090026325A (ko) 탈부착이 용이한 굴삭기용 자동 장착식 멀티 그래플
US20110013982A1 (en) Compaction Apparatus and Method of Use
JP7054120B2 (ja) ロッドハンドリングアタッチメント
US6979167B2 (en) Excavator coupler assembly
US20070020079A1 (en) Bucket for pin grabber coupler
JP2013241727A (ja) フロントローダ
JP4028438B2 (ja) ピン抜差し方法およびそれに用いるピン抜差し治具
KR200456465Y1 (ko) 포크레인용 보조집게
KR200404947Y1 (ko) 굴삭기용 착탈식 집게
KR200460628Y1 (ko) 굴삭기의 집게부
US20030204973A1 (en) Backhoe finishing attachment
JP4553784B2 (ja) 樹木移植機
KR200493426Y1 (ko) 굴삭기 장착용 집게 받침대
JP2014020012A (ja) 建設機械の作業装置
RU65832U1 (ru) Машина погрузочно-разгрузочная
KR20080098836A (ko) 중장비용 다용도 어태치먼트 결합장치
JP6873429B2 (ja) バケットへのブレーカー取付構造
EP2662500A1 (en) Work tool lock extension
WO2020066120A1 (ja) 作業機械
WO1991014835A1 (en) Multipurpose attachment for excavators and the lik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