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8190B1 - 기능성 마늘소금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기능성 마늘소금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8190B1
KR101778190B1 KR1020160056587A KR20160056587A KR101778190B1 KR 101778190 B1 KR101778190 B1 KR 101778190B1 KR 1020160056587 A KR1020160056587 A KR 1020160056587A KR 20160056587 A KR20160056587 A KR 20160056587A KR 101778190 B1 KR101778190 B1 KR 1017781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salt
garlic
on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65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혜은
최원석
김현술
권이성
Original Assignee
농업회사법인 써니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농업회사법인 써니 (주) filed Critical 농업회사법인 써니 (주)
Priority to KR10201600565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819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81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81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40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0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 modulating effect on ag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06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bone mass, e.g. osteoporosis preven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0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cancer preven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6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effect on cardiovascular health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23V2250/212Garlic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yc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a) 천일염, 마늘, 표고버섯 및 양파를 세척하는 세척단계, (b) 세척단계를 통해 세척된 천일염의 수분 및 간수를 제거하도록 탈수시키는 탈수단계, (c) 천일염, 마늘, 표고버섯 및 양파를 입도 0.1~0.6mm의 분말로 분쇄시키는 분쇄단계 및 (d) 천일염 100 중량부에 대하여, 마늘 5~20 중량부, 표고버섯 5~10 중량부, 양파 5~10 중량부를 혼합하는 혼합단계를 포함하는 기능성 마늘소금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기능성 마늘소금 제조방법을 통해 제조된 기능성 마늘소금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기능성 마늘소금 및 그 제조방법{FUNCTIONALITY GARLIC SAL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BY}
본 발명은 기능성 마늘소금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강에 이로운 마늘이 함유되어 있어, 항산화 기능성을 가지는 기능성 마늘소금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소금은 나트륨과 염소의 화합물로서 조미 및 염장 등의 일생생활과 공업 방면에서 다양하게 사용된다.
인간 및 동물에게 있어 소금은 생리적으로 필요 불가결한 요소이다. 소금은 체액에 존재하며, 삼투압의 유지라는 중요한 구실을 담당한다.
특히, 인간의 혈액 속에는 약 0.9%의 염분이 함유되어 있다. 소금의 나트륨은 체내에서 탄산과 결합하여 중탄산염이 되고, 혈액이나 기타 체액의 알칼리성을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인산과 결합한 것은 완충물질로서 체액의 산/알칼리의 평형을 유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체내에 칼륨이 많아지고, 나트륨이 적어지면 생명이 위태로운 상황이 종종 발생한다.
소금의 필요량은 노동의 종류 및 기후 등에 따라서 달라진다. 보통 성인의 경우 하루 12~13g이 필요하다. 또한, 세계보건기구(WHO)에서 정한 나트륨 하루 섭취 권장량은 성인 기준 2,000mg 미만이다.
하지만, 나트륨을 하루 권장량보다 과다하게 섭취할 경우, 인체에 부정적인 영향을 준다. 특히, 콜라겐 수치를 떨어뜨려 피부 노화를 일으키고, 신경과민, 불면증 및 혈액순환 장애 등의 질병을 유발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소금에 다양한 재료를 혼합시켜, 인체에 이로운 기능성을 가지는 소금에 대한 개발이 모색되어 왔다.
종래의 기술로 한국공개특허공보 특2002-0062875호(발명의 명칭 :마늘을 이용한 맛깔 소금 제조방법)와 같은 발명이 제안되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건강에 이로운 마늘이 함유되어 있어, 항산화 기능성을 가지는 기능성 마늘소금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a) 천일염, 마늘, 표고버섯 및 양파를 세척하는 세척단계; (b) 상기 세척단계를 통해 세척된 상기 천일염의 수분 및 간수를 제거하도록 탈수시키는 탈수단계; (c) 상기 천일염, 상기 마늘, 상기 표고버섯 및 상기 양파를 입도 0.1~0.6mm의 분말로 분쇄시키는 분쇄단계; 및 (d) 상기 천일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마늘 5~20 중량부, 상기 표고버섯 5~10 중량부 및 상기 양파 5~10 중량부를 혼합하는 혼합단계;를 포함하는 기능성 마늘소금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단계 (d)는, 약알칼리수 100 중량부에 대하여, 삼채뿌리 2~10 중량부, 구기자 5~10 중량부, 숙지황 뿌리 6~15 중량부, 감초 5~10 중량부, 톳 7~9 중량부, 어성초 3~6 중량부, 현미 7~9 중량부, 솔잎 2~4 중량부, 야콘 2~5 중량부, 비트뿌리 2~4 중량부 및 서목태 1~3 중량부 중 어느 하나의 재료를 혼합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계 (d)는, 아로니아베리 3~15 중량부, 용안육 3~10 중량부, 애엽 5~10 중량부 및 창이자 5~12 중량부 중 어느 하나의 재료를 첨가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기능성 마늘소금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항암 효과가 높은 기능성 마늘소금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항산화 성분을 함유함으로써, 섭취자의 건강을 증진하고, 관절질환 및 심혈관질환 등과 같은 질병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항산화물질인 플라보노이드 성분이 많이 함유된 마늘을 이용함으로써, 활성산소 제거 효과가 우수하다.
또한, 본 발명을 통해 제조된 기능성 마늘소금을 섭취하는 경우, 항노화 및 체내 영양소의 균형에 도움이 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능성 마늘소금 제조방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흐름도.
이하, 도면을 참조한 본 발명의 설명은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하는 내용은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되는 용어로서, 그 자체에 의미가 한정되지 아니하며,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사용되는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이하에서 기재되는 "포함하다", "구비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 1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능성 마늘소금 제조방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능성 마늘소금 및 그 제조방법은
천일염, 마늘, 표고버섯 및 양파를 세척하는 단계(S100), 세척단계를 통해 세척된 천일염의 수분 및 간수를 제거하도록 탈수시키는 단계(S200), 천일염, 마늘, 표고버섯 및 양파를 입도 0.1~0.6mm의 분말로 분쇄시키는 단계(S300) 및 천일염 100 중량부에 대하여, 마늘 5~20 중량부, 표고버섯 5~10 중량부 및 양파 5~10 중량부를 혼합하는 단계(S400)를 포함할 수 있다.
참고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능성 마늘소금 및 그 제조방법은 HACCP(Hazard Analysis Critical Control Point)의 엄격한 규정에 적합하도록, 안전하고 위생적인 공정을 통해 제조될 수 있다.
참고로, 마늘에는 플라보노이드 성분이 함유되어 있다. 특히, 흑마늘에는 플라보노이드 물질이 많이 있다.
플라보노이드(Flavonoid)는 활성유해산소 제거, 항균, 항염, 항궤양, 상처치유 및 면역강화 등의 효과가 있다. 플라보노이드는 마늘의 생리활성기능을 나타내는 대표적인 구성성분이다.
플라보노이드는 페놀계 화합물의 총칭으로 약 500 종류가 발견되었다. 또한, 플라보노이드는 담황색을 띠는 물질로 인체 내에서 "생리활성효능"을 나타낸다.
천일염, 마늘, 표고버섯 및 양파를 세척하는 단계(S100)는 천일염, 마늘, 표고버섯 및 양파를 세척할 수 있다. 세척을 통해 천일염, 마늘, 표고버섯 및 양파에 묻은 이물질 및 농약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천일염, 마늘, 표고버섯 및 양파를 세척하는 단계(S100)는 천일염, 마늘, 표고버섯 및 양파를 세척한 이후, 세척된 천일염, 마늘, 표고버섯 및 양파를 건조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세척된 천일염, 마늘, 표고버섯 및 양파를 섭씨 25 내지 40도에서 12~24 시간 동안 건조시킬 수 있다.
세척단계를 통해 세척된 천일염의 수분 및 간수를 제거하도록 탈수시키는 단계(S200)는 세척단계를 통해 세척된 천일염의 수분 및 간수를 제거하도록 탈수시킬 수 있다. 세척단계를 통해 세척된 천일염의 수분 및 간수를 제거하도록 탈수시키는 단계(S200)는 세척된 천일염을 간수탈수기를 이용하여 15분 내지 60분 동안 탈수시킬 수 있다.
천일염, 마늘, 표고버섯 및 양파를 입도 0.1~0.6mm의 분말로 분쇄시키는 단계(S300)는 천일염, 마늘, 표고버섯 및 양파를 입도 0.1~0.6mm의 분말로 분쇄시킬 수 있다.
천일염, 마늘, 표고버섯 및 양파의 입도가 0.1mm 미만일 경우, 음식 본연의 맛이 저하될 가능성이 있다. 또한, 천일염, 마늘, 표고버섯 및 양파의 입도가 0.6mm 초과일 경우, 각 재료들간의 혼합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
천일염 100 중량부에 대하여, 마늘 5~20 중량부, 표고버섯 5~10 중량부 및 양파 5~10 중량부를 혼합하는 단계(S400)는 천일염 100 중량부에 대하여, 마늘 5~20 중량부, 표고버섯 5~10 중량부 및 양파 5~10 중량부를 혼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천일염 100 중량부에 대하여, 마늘 5~20 중량부, 표고버섯 5~10 중량부 및 양파 5~10 중량부를 혼합하는 단계(S400)는 천일염 100 중량부에 대하여, 마늘 10 중량부, 표고버섯 5 중량부 및 양파 5 중량부를 혼합할 수 있다.
천일염은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한다.
참고로, 천일염은 미네랄 성분이 풍부하다. 천일염은 항산화성이 뛰어나 질병을 예방하는 효과가 탁월하다.
마늘은 셀레늄, 시스테인, 메티오닌 등이 풍부하다. 마늘은 항암작용에 도움이 된다. 마늘은 강력한 해독작용을 하여 간장을 강화시키는데 도움을 주고, 세균을 제거할 수 있다. 마늘은 고혈압 및 당뇨 개선에 도움이 된다.
마늘의 배합량은 5~20 중량부가 좋다. 마늘의 배합량이 5 중량부 미만일 경우, 항암 작용를 하는 영양소가 충분히 함유되지 못할 수 있다. 또한, 마늘의 배합량이 20 중량부 초과일 경우, 위장 장애를 일으켜 설사 및 위염 등의 증상이 발생할 수 있다.
표고버섯은 혈관 기능 개선에 효과가 있다. 표고버섯은 발암물질을 배설하는 효과가 탁월하다.
표고버섯의 배합량은 5~10 중량부가 좋다. 표고버섯의 배합량이 5 중량부 미만일 경우, 발암물질을 배설하는 작용이 미미할 수 있다. 또한, 표고버섯의 배합량이 10 중량부 초과일 경우, 혈중 요산수치가 높아질 수 있다.
양파는 지방을 분해하는 성분인 안토시아닌, 쿼세틴이 풍부하다. 양파는 고지혈증 완화에 효과가 좋다. 양파는 항산화 효과가 뛰어나다. 양파는 고혈압 예방 및 치료에 탁월하다.
양파의 배합량은 5~10 중량부가 좋다. 양파의 배합량이 5 중량부 미만일 경우, 고지혈증 치료 및 항암효능을 하는 영양소가 충분히 함유되지 못할 수 있다. 또한, 양파의 배합량이 10 중량부 초과일 경우, 칼륨을 과다하게 섭취하여 신장 환자들 같은 경우 칼륨 배설이 잘 되지 않아 고칼륨혈증을 초래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조공정을 거쳐 항산화 기능성을 가진 마늘소금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 예로, 정제수 1000 중량부에 천일염 100 중량부, 마늘 5~20 중량부, 표고버섯 5~10 중량부 및 양파 5~10 중량부를 혼합시킨 후, 혼합된 혼합액을 100~110도에서 12시간 내지 24시간동안 가열시켜 정제수를 증발시킴으로써 소금을 제조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 예로 천일염 100중량부를 pH 7.8~8.5 약알칼리수와 탄산수소나트륨(NaHCO3)이 7:3 내지 9:1 비율로 혼합된 용해용액과 혼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 예로 천일염 100 중량부에 대하여, 마늘 5~20 중량부, 표고버섯 5~10 중량부 및 양파 5~10 중량부를 혼합하는 단계(S400)에 있어서, 약알칼리수 100 중량부를 더 첨가시킬 수 있다.
또한, 약알칼리수 100 중량부에 대하여, 삼채뿌리 2~10 중량부, 구기자 5~10 중량부, 숙지황 뿌리 6~15 중량부, 감초 5~10 중량부, 톳 7~9 중량부, 어성초 3~6 중량부, 현미 7~9 중량부, 솔잎 2~4 중량부, 야콘 2~5 중량부, 비트뿌리 2~4 중량부 및 서목태 1~3 중량부 중 어느 하나의 재료를 혼합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약알칼리수는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한다.
삼채뿌리는 식이유황, 질소, 칼륨, 철분, 망간, 아연 및 사포닌이 함유되어 있어 성인병 예방에 탁월한 효과가 있다.
삼채뿌리의 배합량은 2~10 중량부가 좋다. 삼채뿌리의 배합량이 2 중량부 미만일 경우, 정혈 작용이 미미할 수 있다. 또한, 삼채뿌리의 배합량이 10 중량부 초과일 경우, 명현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구기자는 비특이성 면역증강작용, 조혈작용, 콜레스테롤 강하작용, 항지방간 작용, 혈압강하, 혈당강하, 생장촉진 및 항암작용 등이 있다.
구기자의 배합량은 5~10 중량부가 좋다. 구기자의 배합량이 5 중량부 미만일 경우, 정력 증강에 대한 향상 효과가 미미할 수 있다. 또한, 구기자의 배합량이 10 중량부 초과일 경우, 체중이 현저하게 증가할 가능성이 있다.
숙지황 뿌리는 신장, 심장, 간장 기능 등을 강화 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숙지황 뿌리의 배합량은 6~15 중량부가 좋다. 숙지황 뿌리의 배합량이 6 중량부 미만일 경우, 기력 보충에 대한 향상 효과가 미미할 수 있다. 또한, 숙지황 뿌리의 배합량이 15 중량부 초과일 경우, 설사를 유발할 가능성이 있다.
감초는 해독작용, 간염, 두드러기, 피부염, 습진 등에 효과가 있다. 또한, 감초는 진해, 거담, 근육이완, 이뇨작용 등에도 효과가 있다.
감초의 배합량은 5~10 중량부가 좋다. 감초의 배합량이 5 중량부 미만일 경우, 항암 효과가 미미할 수 있다. 또한, 감초의 배합량이 10 중량부 초과일 경우, 위 기능에 부작용을 초래할 가능성이 있다.
톳은 노화예방, 성인병예방, 고혈압 등 혈관질환에 좋은 효과가 있다.
톳의 배합량은 7~9 중량부가 좋다. 톳의 배합량이 7 중량부 미만일 경우, 빈혈 효과를 가지는 영양소가 충분히 함유되지 못할 수 있다. 또한, 톳의 배합량이 9 중량부 초과일 경우, 무기비소가 체내에 과다하게 축척되어 중독 증상이 발생할 수 있다.
어성초는 염증질환, 혈액순환 개선 및 해독작용의 효과가 있다.
어성초의 배합량은 3~6 중량부가 좋다. 어성초의 배합량이 3 중량부 미만일 경우, 체내 중금속에 대한 해독의 효과가 미미할 수 있다. 또한, 어성초의 배합량이 6 중량부 초과일 경우, 칼륨 성분이 과다하게 많아져, 영양섭취의 불균형을 초래할 수 있다.
현미는 식이섬유가 풍부하고, 당뇨병의 치료 및 결석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현미의 배합량은 7~9 중량부가 좋다. 현미의 배합량이 7 중량부 미만일 경우, 영양소가 충분히 함유되지 못할 수 있다. 또한, 현미의 배합량이 9 중량부 초과일 경우, 영양소를 과다 섭취하여 1일 영양소 섭취량의 불균형을 초래할 가능성이 있다.
솔잎은 간장, 위장 및 순환질환을 예방할 수 있다.
솔잎의 배합량은 2~4 중량부가 좋다. 솔잎의 배합량이 2 중량부 미만일 경우, 빈혈 개선 효과가 미미할 수 있다. 또한, 솔잎의 배합량이 4 중량부 초과일 경우, 발열이 일어날 가능성이 있다.
야콘은 식이섬유가 풍부하여 변비개선에 좋고, 프락토 올리고당 성분이 함유되어 있어 당뇨 예방에 좋은 효과가 있다.
야콘의 배합량은 2~5 중량부가 좋다. 야콘의 배합량이 2 중량부 미만일 경우, 혈당 감소 효과가 미미할 수 있다. 또한, 야콘의 배합량이 5 중량부 초과일 경우, 변비를 유발할 가능성이 있다.
비트뿌리는 칼슘, 망간, 철, 비타민C, 엽산 등이 풍부하여, 적혈구 생성, 변비, 암, 결석제거, 빈혈치료에 효과가 있다.
비트뿌리의 배합량은 2~4 중량부가 좋다. 비트뿌리의 배합량이 2 중량부 미만일 경우, 혈압 강하 작용이 미미할 수 있다. 또한, 비트뿌리의 배합량이 4 중량부 초과일 경우, 설사를 유발할 가능성이 있다.
서목태는 안토니신 성분이 콜라겐 기능을 도와 줌으로써, 피부에 탄력을 주고 기미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서목태의 배합량은 1~3 중량부가 좋다. 서목태의 배합량이 1 중량부 미만일 경우, 당뇨 예방 효과가 미미할 수 있다. 또한, 서목태의 배합량이 3 중량부 초과일 경우, 위산이 과다하게 분비될 가능성이 있다.
또한, 다른 실시 예로 천일염 100 중량부에 대하여, 마늘 5~20 중량부, 표고버섯 5~10 중량부 및 양파 5~10 중량부를 혼합하는 단계(S400)에 있어서, 아로니아베리 3~15 중량부, 용안육 3~10 중량부, 애엽 5~10 중량부 및 창이자 5~12 중량부 중 어느 하나의 재료를 첨가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아로니아베리는 심혈관 질환, 각종 암, 치매, 당뇨질환, 간질환, 위장질환, 신경질환, 시력장애, 비만, 불임증, 류머티즘, 성기능, 비뇨기질환, 바이러스성 질환 등에 탁월한 효능이 있다. 아로니아베리는 다량의 당류와 안토시아닌, 비타민 B1, 비타민 B2, 판토텐산, 플라보노이드(flavonoid) 등을 함유하고 있다.
특히, 아로니아베리에 들어있는 안토시아닌은 산화방지 작용이 월등해 체세포를 보호하고 면역 체계를 증진할 뿐만 아니라, 항암 작용에도 뛰어난 효과가 있다. 안토시아닌 색소는 혈관내의 노폐물을 용해 및 배설시켜 심장병과 뇌졸증을 예방하고 혈액을 정화하며, 눈의 피로, 시력 저하와 같은 시각 장애를 예방 및 치료할 수 있다.
아로니아베리의 배합량은 3~15 중량부가 좋다. 아로니아베리의 배합량이 3 중량부 미만일 경우, 항암 작용이 미미할 수 있다. 또한, 아로니아베리의 배합량이 15 중량부 초과일 경우, 위 기능에 부작용을 초래할 가능성이 있다.
용안육은 용안(龍眼) Dimocarpus longan Loureiro (무환자과 Sapindaceae)의 헛씨껍질로써, 산후 부종, 빈혈, 다한증, 소화불량 및 항암 작용에 효과가 있다.
용안육의 배합량은 3~10 중량부가 좋다. 용안육의 배합량이 3 중량부 미만일 경우, 항암 작용이 미미할 수 있다. 또한, 용안육의 배합량이 10 중량부 초과일 경우, 간 기능에 부작용을 초래할 가능성이 있다.
애엽은 국화과의 황해쑥(Artemisia argyi Lev. et Vant.), 쑥(A. princeps Pamp. var. orientlis Hara) 또는 산쑥(A. montana Pamp.)의 잎 및 어린줄기를 말린 약재(한국)이다. 애엽은 기혈(氣血)과 경맥(經脈)을 따뜻하게 하므로 자궁과 하복부가 허약하고 차서 생기는 자궁 출혈, 임신 중 출혈, 토혈, 코피, 각혈에 지혈 반응을 나타낸다. 또한, 애엽은 하초(下焦)가 허약하고 차며 복부에 냉감과 동통이 있는 증상 및 생리불순, 생리통, 대하(帶下) 등에 사용하며 습진, 피부가려움증 등에 효과가 있다.
애엽의 배합량은 5~10 중량부가 좋다. 애엽의 배합량이 5 중량부 미만일 경우, 혈액 순환 향상효과가 미미할 수 있다. 또한, 애엽의 배합량이 10 중량부 초과일 경우, 장 기능에 부작용을 초래할 가능성이 있다.
창이자는 축농증, 비염, 두통, 발열, 기침, 사지동통마비, 굴신이 자유스럽지 못할 때, 피부가려움증, 중이염 등에 효과가 있다.
창이자의 배합량은 5~12 중량부가 좋다. 창이자의 배합량이 5 중량부 미만일 경우, 항암효과가 미미할 수 있다. 또한, 창이자의 배합량이 12 중량부 초과일 경우, 발열을 초래할 가능성이 있다.
또한, 다른 실시 예로 천일염 100 중량부에 대하여, 마늘 5~20 중량부, 표고버섯 5~10 중량부 및 양파 5~10 중량부를 혼합하는 단계(S400)에 있어서, 치아씨드 1~5 중량부를 더 첨가시킬 수 있다.
치아씨드는 마그네슘, 칼륨 및 오메가 3등의 영양분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다. 치아씨드는 다이어트 부작용으로 올 수 있는 변비 증상을 개선시킬 수 있다.
또한, 치아씨드는 체내 독소 제거 및 혈액순화에도 탁월한 효과가 있다. 치아씨드는 항산화 성분이 토코페롤 성분이 풍부해 노화를 예방할 수 있다.
치아씨드의 배합량은 배합량은 1~5 중량부가 좋다. 치아씨드의 배합량이 1 중량부 미만일 경우, 혈액순환 개선효과가 미미할 수 있다. 또한, 치아씨드의 배합량이 5 중량부 초과일 경우, 설사를 유발할 가능성이 있다.
또한, 다른 실시 예로 천일염 100 중량부에 대하여, 마늘 5~20 중량부, 표고버섯 5~10 중량부 및 양파 5~10 중량부를 혼합하는 단계(S400)에 있어서, 혼합물에 무화과 1~3 중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무화과는 팩틴 및 피신이라는 효소가 풍부하다. 무화과는 정혈, 정장, 항염, 해독 및 비만방지에 효과가 있다. 또한, 무화과는 변비에 좋고, 소화작용을 촉진시킨다.
무화과를 발효시켜, 분말형태의 발효무화과분말로 제조하여 사용할 수 있다.
발효무화과분말의 배합량은 1~3 중량부가 좋다. 발효무화과분말의 배합량이 1중량부 미만일 경우, 항산화 작용이 미미할 수 있다. 또한, 발효무화과분말의 합량이 3중량부 초과일 경우, 알레르기를 유발할 가능성이 있다.
또한, 다른 실시 예로 천일염 100 중량부에 대하여, 마늘 5~20 중량부, 표고버섯 5~10 중량부, 양파 5~10 중량부를 혼합하는 단계(S400) 이후, 제조된 기능성 마늘소금의 표면을 코팅액으로 코팅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코팅액은 20~35 brix의 프로폴리스 용액과 구연산, 녹차추출물, 생강즙, 알로에 추출액 및 홍삼액을 혼합하여 제조될 수 있다.
프로폴리스(propolis)는 항균, (항박테리아, 항바이러스,) 항산화, 면역기능 등과 같은 생리활성적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녹차추출물은 녹차에 포함된 탄닌 성분의 소염작용을 통해 세균의 번식과 성장을 억제한다.
또한, 녹차의 카테킨은 항산화력이 강해 살모넬라균, 비브리오균 및 병원성 대장균 등을 박멸할 수 있다.
생강즙은 혈액순환을 촉진시킨다. 또한, 생강즙은 혈관에 콜레스테롤이 쌓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알로에 추출액은 세균과 곰팡이에 강한 살균력이 있고, 독소를 중화하는 알로에틴이 들어 있으며 궤양에 효과가 있으며, 알로에우르신 및 알로미틴을 함유하여 항암효과가 높다.
홍삼액은 항당뇨, 항암작용을 하고, 심장을 강화해주고 혈압을 조절해주는 효과가 있다.
또한, 코팅액은 기능성 마늘소금 100중량부 대비 10~20중량부만큼 사용될 수 있다.
코팅액이 10 중량부 미만일 경우, 기능성 마늘소금의 표면을 제대로 코팅하기 어려울 수 있다. 또한, 코팅액이 20 중량부 초과일 경우, 기능성 마늘소금의 알갱이가 일부 녹을 가능성이 있다.
코팅방법은 스프레이 분사 코팅 및 침지법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하 실시 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기능성 마늘소금 및 그 제조방법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실시 예에서 이용한 기능성 마늘소금과 비교 예의 성분 분석을 표로 나타내었다. 다만, 이들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제시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들 실시 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 예1] 기능성 마늘소금
천일염 100g, 마늘 10g, 표고버섯 10g 및 양파 10g을 혼합시킨다. 각 원료들이 혼합된 혼합물을 혼합기에 투입하고, 6시간 동안 교반 시킨다. 교반된 기능성 마늘소금을 얻는다.
[비교 예1] 소금
천일염 100g, 표고버섯 10g 및 양파 10g를 혼합시킨다. 각 원료들이 혼합된 혼합물을 혼합기에 투입하고, 6시간 동안 교반 시킨다. 교반된 소금을 얻는다.
[기능성 마늘소금의 물성 평가]
실시예 1 및 비교예에서 기능성 마늘소금의 항산화활성을 평가하여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측정방법은 실시예 1(기능성 마늘소금) 및 비교예의 샘플이 각각 10, 100 ㎍ 첨가된 용액 2㎖와 0.2mM DPPH(1,1-diphenyl-2-picrylhydrazyl) 용액 1㎖를 혼합한 후, 암소에서 30분간 방치한 후, 517㎚에서 흡광도 측정장비(THERMO, GENESIS 10-S)를 사용하여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표 1]
Figure 112016044096969-pat00001
DPPH법에 의한 Free radical 소거 정도를 확인할 수 있다. 이는 DPPH법으로 흡광도값을 찍어 RC으로 나타내고 각각의 항산화제의 항산화정도를 비교할 수 있다.
DPPH는 비교적 안정한 라디칼을 갖는 물질로 항산화활성이 있는 물질과 만나면 라디칼이 소거되어 탈색되는 점을 이용하여 항산화 활성을 검정한다.
참고로, DPPH는 그 자체가 매우 안정한 Free radical로서 517nm에서 특징적인 광흡수를 나타내는 보라색 화합물이다. 특히 여러가지 항산화 기작 중 Proton-radical scavaenger에 의하여 탈색되기 때문에 항산화 활성을 육안으로 쉽게 관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 결과를 통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능성 마늘소금은 대조군에 비해 항산화 활성도가 향상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Claims (4)

  1. (a) 천일염, 마늘, 표고버섯 및 양파를 세척하는 세척단계;
    (b) 상기 세척단계를 통해 세척된 상기 천일염의 수분 및 간수를 제거하도록 탈수시키는 탈수단계;
    (c) 상기 천일염, 상기 마늘, 상기 표고버섯 및 상기 양파를 입도 0.1~0.6mm의 분말로 분쇄시키는 분쇄단계;
    (d) 상기 천일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마늘 5~20 중량부, 상기 표고버섯 5~10 중량부 및 상기 양파 5~10 중량부를 혼합하고, 추가로 아로니아베리 3~15 중량부, 용안육 3~10 중량부, 애엽 5~10 중량부 및 창이자 5~12 중량부 중 어느 하나의 재료를 첨가시켜 혼합하는 단계; 및
    (e) 상기 천일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혼합하는 단계를 통해 제조된 소금의 표면을 코팅액으로 코팅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코팅액은, 20~35 brix의 프로폴리스 용액과, 구연산, 녹차추출물, 생강즙, 알로에 추출액 및 홍삼액을 혼합하여 제조되는 것으로서, 소금 100 중량부 대비 10~20 중량부만큼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마늘소금 제조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60056587A 2016-05-09 2016-05-09 기능성 마늘소금 및 그 제조방법 KR1017781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6587A KR101778190B1 (ko) 2016-05-09 2016-05-09 기능성 마늘소금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6587A KR101778190B1 (ko) 2016-05-09 2016-05-09 기능성 마늘소금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78190B1 true KR101778190B1 (ko) 2017-09-14

Family

ID=599267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6587A KR101778190B1 (ko) 2016-05-09 2016-05-09 기능성 마늘소금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8190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7579B1 (ko) * 2021-04-15 2022-01-06 성낙영 양파, 마늘 껍질 및 커피박 추출물이 코팅된 소금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398765B1 (ko) * 2021-10-27 2022-05-18 주식회사 보삼바이오산업 함초추출물을 함유하는 소금의 제조방법
KR20220081619A (ko) * 2020-12-09 2022-06-16 박진규 양념소금의 제조방법
KR20220115330A (ko) * 2021-02-10 2022-08-17 주식회사 케이제이엠바이오 알로에 기능성 소금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20166729A (ko) 2021-06-09 2022-12-19 주식회사 농업회사법인 밀온바이오 버섯류의 발효조성물을 이용한 발효버섯-다시마 저염 소금 및 제조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5682B1 (ko) * 2014-02-17 2015-02-26 (주)화인에프티 효소 처리 및 분무건조공법을 이용한 식물향미소금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5682B1 (ko) * 2014-02-17 2015-02-26 (주)화인에프티 효소 처리 및 분무건조공법을 이용한 식물향미소금의 제조방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81619A (ko) * 2020-12-09 2022-06-16 박진규 양념소금의 제조방법
KR102491631B1 (ko) 2020-12-09 2023-01-20 박진규 양념소금의 제조방법
KR20220115330A (ko) * 2021-02-10 2022-08-17 주식회사 케이제이엠바이오 알로에 기능성 소금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625754B1 (ko) * 2021-02-10 2024-01-16 주식회사 케이제이엠바이오 알로에 기능성 소금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347579B1 (ko) * 2021-04-15 2022-01-06 성낙영 양파, 마늘 껍질 및 커피박 추출물이 코팅된 소금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20166729A (ko) 2021-06-09 2022-12-19 주식회사 농업회사법인 밀온바이오 버섯류의 발효조성물을 이용한 발효버섯-다시마 저염 소금 및 제조방법
KR102398765B1 (ko) * 2021-10-27 2022-05-18 주식회사 보삼바이오산업 함초추출물을 함유하는 소금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78190B1 (ko) 기능성 마늘소금 및 그 제조방법
KR101383276B1 (ko) 아로니아 음료 농축액 및 그 제조방법
KR101662779B1 (ko) 니파야자 꽃대를 이용한 기능성 차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한 기능성 차
Friday et al. Investigations on the nutritional and medicinal potentials of Ceiba pentandra leaf: A common vegetable in Nigeria
KR20090044840A (ko) 야생초를 이용한 선식과 이를 이용한 선식음료
KR101408814B1 (ko) 항산화능과 관능성이 우수한 한방 약선차 및 건강 기능 식품
KR101837163B1 (ko) 미강 발효물을 이용한 선식 및 그 제조방법
KR20120076857A (ko) 오디를 이용한 선식 및 그 제조방법
KR20110073717A (ko) 기능성 식품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00010912A (ko) 식품 첨가물
KR101632794B1 (ko) 흰점박이 꽃무지를 주재료로 하는 환의 제조방법
KR20150120740A (ko) 무청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 및 항산화를 위한 동물사료 조성물
EP2682123B1 (en) Biologically active food additive for normalizing the function of the thyroid gland
Rani et al. Natural antioxidants and their intrinsic worth for wellbeing
KR20130122834A (ko) 총백을 이용한 기능성 한방차 및 그 제조방법
KR102376726B1 (ko) 건강기능성 펫푸드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816079B1 (ko) 기능성 쌀의 제조방법 및 제조된 곡물
KR20170060196A (ko) 미강 발효물을 이용한 연육소스 및 그 제조방법
KR101322279B1 (ko) 천마 엑기스를 함유하는 기능성 음료 및 그 제조방법
CN105981853A (zh) 一种营养功能丰富的温和的暖茶饮料配方
KR101053064B1 (ko) 식용 달팽이와 장어뼈와 한약재를 이용한 피부개선용 보조식품
KR101870422B1 (ko) 니파야자 꽃대를 이용한 기능성 조성물
KR20050115836A (ko) 현미배아,소맥배아, 발아현미등 각종영양재료를 주제로한균형식품
KR100336650B1 (ko) 두뇌 활성화 및 성장 촉진 기능을 강화한 생식 타입의차(茶) 조성물
KR20030053417A (ko) 삼백초를 주성분으로 한 건강식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