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7579B1 - 양파, 마늘 껍질 및 커피박 추출물이 코팅된 소금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양파, 마늘 껍질 및 커피박 추출물이 코팅된 소금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7579B1
KR102347579B1 KR1020210048911A KR20210048911A KR102347579B1 KR 102347579 B1 KR102347579 B1 KR 102347579B1 KR 1020210048911 A KR1020210048911 A KR 1020210048911A KR 20210048911 A KR20210048911 A KR 20210048911A KR 102347579 B1 KR102347579 B1 KR 1023475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onion
salt
garlic
coffe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89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성낙영
Original Assignee
성낙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낙영 filed Critical 성낙영
Priority to KR10202100489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757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75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7579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40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10Natural 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Extracts thereof
    • A23L27/105Natural 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Extracts thereof obtained from liliaceae, e.g. onions, garlic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84Flavour masking or reducing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20Removal of unwanted matter, e.g. deodorisation or detoxifica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15Flavour affecting agen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23V2250/212Garlic

Abstract

본 발명은 양파, 마늘 껍질 및 커피박 추출물이 코팅된 소금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양파 추출물, 마늘껍질 추출물 및 커피박 추출물로 코팅된 소금은 단순하게 간을 맞추는 차원의 조미료가 아니라 사람의 건강을 증진하고 기호도를 증대시키는 효과를 가지는 기능성 소금으로서 양파 및 마늘껍질을 이용함으로써 폴리페놀을 함유하여 기능적인 면을 극대화시키고, 커피박을 첨가함으로써 양파 및 마늘 특유의 향 및 매운맛을 제거하여 기호도를 극대화시킨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양파 추출물, 마늘껍질 추출물 및 커피박 추출물로 코팅된 소금은 항산화 및 항염증 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혈소판 응집을 억제하여 혈전생성을 저해하는 효능이 있으며, 혈관의 수축을 억제하여 혈관 이완을 유도하는 효능이 있으며, 콜레스테롤의 증가를 억제하여 혈액과 간의 지질을 감소시키는 효능이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따른 양파 추출물, 마늘껍질 추출물 및 커피박 추출물로 코팅된 소금을 이용하여 구운 육류는 양파, 마늘 및 커피박의 유용성분을 다량 함유하면서도 맛과 향에 대한 기호도가 대폭 증대되는 바, 본 발명에 따른 양파 추출물, 마늘껍질 추출물 및 커피박 추출물로 코팅된 소금은 육류 섭취로 인해 유발될 수 있는 비만, 암 등 각종 성인병에 대한 부담 없이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Description

양파, 마늘 껍질 및 커피박 추출물이 코팅된 소금 및 이의 제조방법 {Salt coated with onion, garlic peel and coffee meal extracts and the proces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본 발명은 양파, 마늘 껍질 및 커피박 추출물이 코팅된 소금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양파 및 마늘껍질을 이용함으로써 폴리페놀 등 기능성 성분의 함량을 극대화시키고, 커피박을 첨가함으로써 양파 및 마늘 특유의 향 및 매운맛을 제거하여 기호도를 극대화시킨 기능성 소금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식염(食鹽)이라고도 지칭되는 소금(salt, 화학식: NaCl)은 식품을 조리하는 과정에서 널리 사용되며, 짠맛을 내는 가장 흔하고도 기본적인 조미료이다. 소금은 인체 내에서 체액의 삼투압을 조절하고, 소화액을 구성하는 중요한 성분으로 생명유지에 필수적인 성분이기도 하다.
소금은 사람이 살아가는데 없어서는 안 될 중요한 물질로서, 건강한 사람의 혈액 속에는 0.9% 정도의 염분이 포함되어 몸 구석구석을 돌면서 세포 속의 노폐물을 배출시키고 신진대사를 활성화시키고, 체액의 삼투압을 일정하게 유지하며, 산과 알칼리의 균형을 이루게 한다.
소금에는 각종 미네랄과 함께 나트륨이 함유되어 있는데, 이 중 나트륨을 과다 섭취할 경우 고혈압, 심장질환, 위암, 만성신부전증 등이 발병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소금은 강한 염도를 지닌 식품으로 각종 음식 조리 시 짠맛을 내는 양념으로 사용되고, 식품 재료에 부패를 막는 염장을 실시할 때나 발효식품을 제조 시에도 필수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인간의 식생활에 있어 없어서는 안 될 중요한 소재중 하나이다.
소금의 종류로는 천일염, 암염, 기계염, 재제염, 가공염 등으로 분류할 수가 있다.
천일염(NaCl: 80~85%; Ca: 0.2%; Mg: 0.5~1.0%; SO4: 1.0~1.5%; K: 0.1~0.17%; 수분 8~12%)은 해수를 저류지로 유입시킨 다음, 태양열 및 바람 등의 자연력을 이용하여 바닷물을 농축시켜 만들어지는 소금으로서, 우리나라에서는 서해와 남해의 염전에서 생산되며, 천일염의 염도는 일반적으로 90% 내외이고, 색상은 백색과 투명색이 있으나, 한국산은 기상 조건의 영향으로 염도 80% 내외의 백색 성상을 갖는다.
정제 암염(NaCl: 99.2~99.7%; Ca: 0.03~0.05%; Mg: 0.013~0.035%; SO4: 0.13~0.15%; K: 0.01~0.02%; 수분: 2.0~2.5%)은 지하의 암염층을 채굴하여 제염한 소금으로서, 채굴된 암염은 분쇄, 선별, 정제 가공에 의해 생산되며, 염도는 보통 96% 이상이고, 색은 투명색이 일반적이나, 지질에 따라서는 회색, 갈색, 적색, 청색 등의 색상을 가질 수 있다.
기계염(NaCl: 99%; Ca: 0.1%; Mg: 0.2%; SO4: 0.4%; K: 0.1%; 수분: 0.3%)은 정제염이라고도 불리어지며, 해수를 양이온 교환막과 음이온 교환막이 교호적으로 설치된 이온교환기 사이로 통과시키면서 전기분해하고, 염분 농축 해수를 증발관에 넣어 수분을 증발시키고, 건조기 중에서 건조시켜 제조되는 소금으로서, 일반적으로 염화나트륨의 순도가 99% 이상이고 쓴맛을 나타내는 마그네슘염이 제거되어 흡습성이 적고 백색 성상을 갖는다.
재제염(NaCl: 88%; Ca: 0.1~0.15%; Mg: 0.2~0.5%; SO4: 0.4~0.8%; K: 0.1%; 수분: 9%)은 원료 소금을 용해, 탈수, 건조 등의 과정을 거친 다음, 다시 재결정화시켜 제조되는 소금(시중에서는 '꽃소금'이라 통칭됨)을 지칭하며, 일반적으로는 국내산 천일염 20%와 수입염(정제 암염) 80%를 혼합하여 약 115℃에서 약 18시간 동안 가열하여 생산되며, 염도는 90% 이상으로 비교적 높다.
상기한 외에도 가공염은 원료 소금을 볶음, 태움, 용융 등의 방법으로 그 원형을 변형한 소금 또는 기타 식품 첨가물을 가하여 가공한 소금이 있으며, 전형적인 예로서는 구운 소금과 죽염 등을 들 수가 있다.
최근에는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져 소금에 기능성 성분을 부가한 기능성 소금으로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기능성 소금과 관련한 특허문헌으로는 한국등록특허 제10-1036247호는 차엽이 첨가된 황토소금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하여 기재되어 있으며, 한국등록특허 제10-1958571호는 미네랄 소금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미네랄 소금에 관하여 기재되어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단순하게 간을 맞추는 차원의 조미료가 아니라 사람의 건강을 증진하고 기호도를 증대시킬 수 있는 기능성 소금을 개발하기 위해 계속 연구를 진행하던 중 양파 및 마늘껍질을 이용함으로써 폴리페놀 등 기능성 성분의 함량을 극대화시키고, 커피박을 첨가함으로써 양파 및 마늘 특유의 향 및 매운맛을 제거하여 기호도를 극대화시킨 소금을 제조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기능성 및 기호도가 증대된 소금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상기 기능성 및 기호도가 증대된 소금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양파 추출물, 마늘껍질 추출물 및 커피박 추출물로 이루어진 천연 추출물로 코팅된 소금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천연 추출물로 코팅된 소금은 소금 100 중량부에 대하여 천연 추출물이 10 내지 20 중량부의 양으로 코팅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천연 추출물은 양파 추출물, 마늘껍질 추출물 및 커피박 추출물이 1:1:1 내지 2:2:1의 중량비로 혼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다른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하기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파 추출물, 마늘껍질 추출물 및 커피박 추출물로 이루어진 천연 추출물로 코팅된 소금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S1) 양파 추출물, 마늘껍질 추출물 및 커피박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S2) 상기 단계 (S1)에서 제조된 양파 추출물, 마늘껍질 추출물 및 커피박 추출물을 1:1:1 내지 2:2:1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천연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S3) 소금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단계 (S2)에서 제조된 천연 추출물을 10 내지 20 중량부의 양으로 첨가한 다음 50 내지 60℃의 온도에서 교반하는 단계; 및
(S4) 상기 단계 (S3)에서 천연 추출물로 코팅된 소금을 열풍 건조 또는 덖음하는 단계.
바람직하게, 상기 열풍건조 또는 덖음 공정은 70 내지 90℃에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양파 추출물, 마늘껍질 추출물 및 커피박 추출물로 코팅된 소금은 단순하게 간을 맞추는 차원의 조미료가 아니라 사람의 건강을 증진하고 기호도를 증대시키는 효과를 가지는 기능성 소금으로서 양파 및 마늘껍질을 이용함으로써 폴리페놀을 함유하여 기능적인 면을 극대화시키고, 커피박을 첨가함으로써 양파 및 마늘 특유의 향 및 매운맛을 제거하여 기호도를 극대화시킨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양파 추출물, 마늘껍질 추출물 및 커피박 추출물로 코팅된 소금은 항산화 및 항염증 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혈소판 응집을 억제하여 혈전생성을 저해하는 효능이 있으며, 혈관의 수축을 억제하여 혈관 이완을 유도하는 효능이 있으며, 콜레스테롤의 증가를 억제하여 혈액과 간의 지질을 감소시키는 효능이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따른 양파 추출물, 마늘껍질 추출물 및 커피박 추출물로 코팅된 소금을 이용하여 구운 육류는 양파, 마늘 및 커피박의 유용성분을 다량 함유하면서도 맛과 향에 대한 기호도가 대폭 증대되는 바, 본 발명에 따른 양파 추출물, 마늘껍질 추출물 및 커피박 추출물로 코팅된 소금은 육류 섭취로 인해 유발될 수 있는 비만, 암 등 각종 성인병에 대한 부담 없이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하 본 발명을 좀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는 양파 추출물, 마늘껍질 추출물 및 커피박 추출물로 이루어진 천연 추출물로 코팅된 소금을 제공한다.
상기 소금은 천일염, 정제염, 꽃소금 및 죽염 등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어떠한 것이든 사용가능하나, 천일염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마늘(garlic)은 우리나라의 4대 채소 중 하나로, 우리나라의 거의 모든 요리에 쓰이며, 각종 양념에 빠져서는 안 될 중요한 식재료이다. 마늘의 강한 향이 비린내를 없애고 음식의 맛을 좋게 하며 식욕 증진 효과가 있기 때문에 향신료로도 사랑받는다. 마늘은 알리신 성분을 포함한 여러 유용한 성분들을 함유하고 있어 항암효과, 피로 해소, 면역력 강화 등에 도움을 준다.
마늘의 주성분은 탄수화물 20%, 단백질 3.3%, 지방 0.4%, 섬유질 0.92%, 회분 13.4%을 위시하여 비타민 B1, 비타민 B2, 비타민 C, 글루탐산(glutamic acid), 칼슘, 철, 인, 아연, 셀레늄, 알리신 등 다양한 영양소가 함유되어 있다.
마늘을 감싸고 있는 마늘껍질은 마늘 알맹이보다 혈중 지질을 낮춰주는 알리신과 수용성 식이섬유 함량이 4배가량 높다. 면역력을 키워주는 폴리페놀 역시 알맹이의 7배 이상이기 때문에 혈관 질환 예방은 물론 노화 억제에도 좋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양파는 주로 비늘줄기를 식용으로 하는데, 비늘줄기에서 나는 독특한 냄새는 이황화프로필황화알릴 등의 화합물 때문이다. 이것은 생리적으로 소화액 분비를 촉진하고 흥분발한이뇨 등의 효과가 있다. 또한, 비늘줄기에는 각종 비타민과 함께 칼슘인산 등의 무기질이 들어 있어 혈액 중의 유해 물질을 제거하는 작용이 있다. 비늘줄기는 샐러드나 수프, 그리고 고기 요리에 많이 사용되며 각종 요리에 향신료 등으로 이용된다. 잎은 100g 중에 비타민A 5,000IU, 비타민C 45mg, 칼슘 80mg, 마그네슘 24mg, 칼륨 220mg이 들어 있다.
최근의 연구에 의하면 양파에는 기능성 성분으로 항산화 작용을 나타내는 플라보노이드계 물질과 다양한 생리활성을 갖는 황화합물이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밝혀져 성인병 예방을 위한 기능성 식품으로서의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양파의 플라보노이드 성분 중에는 퀘르세틴(quercetin), 캠퍼롤(kaempferol), 루틴(rutin)과 같은 플라보노이드계 물질이 함유되어 있으며, 특히 강력한 항산화제로서 세포의 산화적 손상과 지방의 산패를 막아주는 역할을 하는 퀘르세틴은 전체 플라보노이드의 80% 이상으로 다른 야채나 과일에 비하여 매우 높게 함유되어 있다. 양파에 존재하는 이러한 퀘르세틴 관련물질과 알릴 디설파이드(allyl disulfide), 디알릴 설파이드(diallyl sulfide), S-메틸시스테인-술폭시드(S-methylcysteine-sulfoxide)와 같은 황화합물은 항산화, 항고혈압, 동맥경화, 항균작용, 콜레스테롤 저하, 알레르기 반응 억제, 혈액순환 증가 등에 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특히, 퀘르세틴은 플라보노이드의 일종으로 식물에 널리 분포된 색소로 인체내에서 암예방, 항염증, 당뇨병 개선과 합병증 예방, 니코틴 해독, 피부암 예방, 항 바이러스 작용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혈관장애를 방지하는데 탁월한 역할을 수행한다.
양파에 많은 퀘르세틴은 특히 흡수, 대사가 좋아 혈장의 농도를 안정되게 유지시키므로, 혈관계의 병의 예방, 진전 저지에 효과 있게 작용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커피박은 커피 열수 추출물(에스프레소 및 드립 커피)의 제조 공정에서 생기는 추출잔사로, 1 kg의 커피 열수 추출물 당 약 0.91 kg이 생성된다(Silva et al., 1998). 커피박은 가정이나 커피 전문점 등에서 원두커피를 추출할 때 발생하고, 각종 인스턴트커피를 제조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데 별다른 이용 없이 버려지고 있다. 커피박은 점차 많은 양이 배출되고 있어 폐기물 양의 증가라는 차원에서 뿐만 아니라 경제적으로도 커다란 손실로 그 처리 방법 및 효용성을 강구하여야 한다(McKendry, 2002).
커피박에는 단백질 10%, 조섬유 23%, 조지방 6% 정도의 영양성분을 가지고 있으며(Ko et al., 2012), 커피박은 커피 분말보다 카페인량이 월등히 적고, 최근 커피박에 커피 열수 추출물의 추출 공정에서 추출되지 못한 polyphenolic 또는 nonpolyphenolic compound와 커피의 볶음 과정에서 생성된 Maillard 반응 중합물이 남아 있어 항산화 활성을 가진다는 연구결과(Yen et al., 2005)가 보고되었다.
본 발명의 용어 "추출물(extract)"은 생약을 적절한 침출액으로 짜내고 침출액을 증발시켜 농축한 제제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나, 추출처리에 의해 얻어지는 추출액, 추출액의 희석액 또는 농축액, 추출액을 건조하여 얻어지는 건조물, 이들의 조정제물 또는 정제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추출물은 당업계에 공지된 일반적인 추출방법, 분리 및 정제방법을 이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추출방법으로는 열탕 추출, 열수 추출, 냉침 추출, 환류 냉각 추출 또는 초음파 추출 등의 방법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양태에 따르면, 천연 추출물은 천연 식물을 그대로 분쇄하여 사용하거나, 열풍건조기 또는 동결건조기를 이용하여 건조하여 분쇄한 후 추출용매, 예컨대 물, 탄소수 1~3개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콜 및 이들의 혼합용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용매를 추출용매, 바람직하게는 물 또는 에탄올을 사용하여 추출할 수 있으며, 상기 추출 용매의 양은 천연 식물 건조 중량의 2 내지 20 중량배,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5 중량배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태양에 따르면, 천연 추출물은 천연 식물을 그대로 분쇄하여 사용하거나, 열풍건조기 또는 동결건조기를 이용하여 건조하여 분쇄한 후 물 또는 물과 알콜 혼합물을 사용하여 실온에서 2 내지 10일, 바람직하게는 7일 동안 추출한 다음, 여과지로 여과한 후 농축하여 물에 녹는 성분과 알콜에 녹는 성분 분리하여 물 용해성분과 알콜 용해성분을 5:4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각 천연 추출물을 각각 수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천연 추출물은 양파 추출물, 마늘껍질 추출물 및 커피박 추출물이 1:1:1 내지 2:2:1의 중량비로 혼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상기 천연 추출물의 혼합비율이 상기 범위를 벗어날 경우 기능성 및 기호도 증대효과를 수득하기 어렵다.
본 발명의 하나의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천연 추출물로 코팅된 소금은 소금 100 중량부에 대하여 천연 추출물이 10 내지 20 중량부의 양으로 코팅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상기 천연 추출물의 양이 10 중량부 미만이면 기능성 및 기호도를 증대시키기 어려우며, 천연 추출물의 양이 20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소금의 짠맛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은 하기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파 추출물, 마늘껍질 추출물 및 커피박 추출물로 이루어진 천연 추출물로 코팅된 소금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S1) 양파 추출물, 마늘껍질 추출물 및 커피박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S2) 상기 단계 (S1)에서 제조된 양파 추출물, 마늘껍질 추출물 및 커피박 추출물을 1:1:1 내지 2:2:1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천연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S3) 소금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단계 (S2)에서 제조된 천연 추출물을 10 내지 20 중량부의 양으로 첨가한 다음 50 내지 60℃의 온도에서 교반하는 단계; 및
(S4) 상기 단계 (S3)에서 천연 추출물로 코팅된 소금을 열풍 건조 또는 덖음하는 단계.
본 발명의 하나의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열풍건조 또는 덖음 공정은 70 내지 90℃에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양파 추출물, 마늘껍질 추출물 및 커피박 추출물로 코팅된 소금은 단순하게 간을 맞추는 차원의 조미료가 아니라 사람의 건강을 증진하고 기호도를 증대시키는 효과를 가지는 기능성 소금으로서 양파 및 마늘껍질을 이용함으로써 폴리페놀을 함유하여 기능적인 면을 극대화시키고, 커피박을 첨가함으로써 양파 및 마늘 특유의 향 및 매운맛을 제거하여 기호도를 극대화시킨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양파 추출물, 마늘껍질 추출물 및 커피박 추출물로 코팅된 소금은 항산화 및 항염증 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혈소판 응집을 억제하여 혈전생성을 저해하는 효능이 있으며, 혈관의 수축을 억제하여 혈관 이완을 유도하는 효능이 있으며, 콜레스테롤의 증가를 억제하여 혈액과 간의 지질을 감소시키는 효능이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따른 양파 추출물, 마늘껍질 추출물 및 커피박 추출물로 코팅된 소금을 이용하여 구운 육류는 양파, 마늘 및 커피박의 유용성분을 다량 함유하면서도 맛과 향에 대한 기호도가 대폭 증대되는 바, 본 발명에 따른 양파 추출물, 마늘껍질 추출물 및 커피박 추출물로 코팅된 소금은 육류 섭취로 인해 유발될 수 있는 비만, 암 등 각종 성인병에 대한 부담 없이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시예 등을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제조예 1> 양파 추출물, 마늘껍질 추출물 및 커피박 추출물의 제조
양파, 마늘껍질 및 커피박 각각을 1㎏씩 정제수에 넣고 100℃에서 1시간 동안 열추출하여 양파 추출물, 마늘껍질 추출물 및 커피박 추출물을 각각 수득하였다. 상기 각 추출물을 어드벤텍 2호(Advantec No. 2, 110mm) 여과지로 감압 여과하여 불용성 물질을 제거한 후 냉각 콘덴서가 장착된 농축기를 사용하여 40℃에서 감압 농축하였다. 감압 농축된 추출물의 용매를 완전히 제거하기 위하여 정제수 0.5ℓ를 넣어 현탁시킨 후 동결건조기를 이용하여 양파 추출물, 마늘껍질 추출물 및 커피박 추출물을 각각 획득하였다.
<실시예 1> 양파 추출물, 마늘껍질 추출물 및 커피박 추출물로 코팅된 소금 제조
상기 제조예 1에서 제조된 양파 추출물, 마늘껍질 추출물 및 커피박 추출물을 1:1:1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천연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소금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에서 제조된 천연 추출물을 15 중량부의 양으로 첨가한 다음 55℃의 온도에서 교반한 다음 80℃에서 열풍 건조하여 양파 추출물, 마늘껍질 추출물 및 커피박 추출물이 코팅된 소금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천연 추출물로서 양파 추출물을 포함하지 않고, 마늘껍질 추출물 및 커피박 추출물을 1:1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유사한 방법으로 코팅된 소금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천연 추출물로서 마늘껍질 추출물을 포함하지 않고, 양파 추출물 및 커피박 추출물을 1:1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유사한 방법으로 코팅된 소금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3>
천연 추출물로서 커피박 추출물을 포함하지 않고, 양파 추출물 및 마늘껍질 추출물을 1:1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유사한 방법으로 코팅된 소금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4>
비교예 4로서 일반 소금을 사용하였다.
<시험예 1> 양파 추출물, 마늘껍질 추출물 및 커피박 추출물이 코팅된 소금의 총 페놀화합물 함량 측정
총 페놀화합물 함량은 폴린-데니스(Folin-Denis) 방법에 따라 분석하였다.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양파 추출물, 마늘껍질 추출물 및 커피박 추출물이 코팅된 소금을 물에 용해시킨 시료액(10% 농도) 1 mL에 증류수 3 mL를 넣고 Folin & Ciocalteau's 페놀 시약 1 mL를 첨가한 후 27℃ 쉐이킹배스(Shaking bath)에서 혼합하였다. 5분 후 NaCO3 포화용액 1 mL를 넣고 혼합하여 실온에서 1시간 방치한 후 640 nm에서 분광광도계(UV-1650PC, SHIMADZU)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페놀화합물 함량은 퀘르세틴, 클로로겐산, 탄닌산 및 카테킨의 농도를 이용하여 검량선을 작성한 다음 정량하였다.
본 발명의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양파 추출물, 마늘껍질 추출물 및 커피박 추출물이 코팅된 소금과 비교예 1 내지 4에서 제조된 소금의 총 페놀화합물 함량을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시료 총 페놀 함량(ppm)
퀘르세틴
클로로겐산
탄닌산
카테킨
실시예 1
729.9±8.6
804.3±12.9
541.8±8.9
644.8±7.4
비교예 1
111.6±1.7
141.7±8.7
139.1±9.8
135.4±4.4
비교예 2
328.4±1.4
475.1±7.3
491.5±8.1
456.5±1.3
비교예 3
301.5±8.1
432.1±7.2
428.4±2.4
743.1±1.1
비교예 4
-
-
-
-
상기 표 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양파 추출물, 마늘껍질 추출물 및 커피박 추출물이 코팅된 소금의 총 페놀화합물 함량은 비교예 1 내지 4의 소금에 비하여 월등하게 높게 나타났다.
이로부터, 양파 추출물, 마늘껍질 추출물 및 커피박 추출물을 혼합시킴으로써 유효성분의 함량이 극대화되는 상승효과를 수득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시험예 2> 양파 추출물, 마늘껍질 추출물 및 커피박 추출물이 코팅된 소금의 알코올 탈수소효소(ADH) 및 알데하이드 탈수소효소(ALDH) 활성도 실험
(1) 알코올 탈수소효소(Alcohol dehydrogenase, ADH)의 활성도 측정
ADH 활성도는 분광광도계를 이용하여 340㎚에서 형성되는 NADH의 흡광도를 측정하여 활성도를 표시하였다. 즉 반응액의 조성은 증류수 1.4 ㎖, 에탄올 0.3 ㎖, 20mM NAD+ 수용액 0.3㎖, 각각의 샘플을 0.1㎖를 첨가하고 1.0 M Tris-Hcl buffer 용액(pH 8.8)을 0.75 ㎖ 첨가하여 총부피가 2.85 ㎖이 되도록 첨가한 후, 25℃ 항온조에서 10분간 반응시키고, ADH(5unit/㎖) 0.15㎖를 가하여 반응용량이 3㎖이 되도록 조절하여 25℃에서 3분간 예비배양하고 5분 동안 340㎚에서 흡광도의 변화를 측정하였으며, 이때 대조군은 증류수를 사용하였다.
ADH 활성은 반응 종료시 최대 흡광도를 대조군의 최대 흡광도에 대한 비율로 나타내었으며, 다음과 같은 수학식 1로 계산하였으며, 그 결과는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21043771380-pat00001
(A : 대조군의 최대 흡광도, B : 실험구의 최대 흡광도)
대조군 실시예 1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ADH 활성능 (%) 100 179.8±0.16 78.1±0.17 134.6±0.11 132.1±0.13 -
상기 표 2에서 보듯이, ADH에 대한 활성을 측정한 결과,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양파 추출물, 마늘껍질 추출물 및 커피박 추출물이 코팅된 소금은 179.8%의 최대 활성을 보여 비교예 1 내지 4에 비하여 매우 높은 활성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2) 알데하이드 탈수소효소(Acetaldehyde dehydrogenase, ALDH)의 활성도 측정
ALDH의 활성도는 NADH 생성에 따른 흡광도의 변화를 340㎚에서 측정하였다. ALDH의 활성도 측정을 위해 증류수 2.1 mL, 1.0 M Tris-HCl buffer(pH 8.0), 0.3 mL, 20 mM NAD+ 0.1 mL, 0.1 M acetaldehyde 0.1 mL, 3.0 M KCl 0.1 mL, 0.33 M 2-mercaptoethanol 0.1 mL, 시료 0.1 mL를 혼합한 후, 25℃에서 10분간 반응시키고 ALDH (1 unit/ml) 0.1 mL를 첨가한 후, 반응용액이 3 mL이 되도록 조절하여 cuvette에 넣고 25℃에서 5분간 예비 배양한 후, 5분간 340 nm에서 흡광도의 변화를 측정하였으며, 이 때 대조군은 증류수를 사용하였다.
ALDH 활성계산식은 다음과 같은 수학식 2로 계산하였으며, 그 결과는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21043771380-pat00002
(A : 대조군의 최대 흡광도, B : 실험구의 최대 흡광도)
대조군 실시예 1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ALDH 활성능 (%) 100 168.3±0.17 65.5±0.18 111.3±0.65 112.4±0.21 -
상기 표 3에서 보듯이, ALDH에 대한 활성을 측정한 결과,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양파 추출물, 마늘껍질 추출물 및 커피박 추출물이 코팅된 소금은 167.3%의 최대 활성을 보여 비교예 1 내지 4에 비하여 매우 높은 활성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험예 3> 양파 추출물, 마늘껍질 추출물 및 커피박 추출물이 코팅된 소금의 대식세포주 (RAW264.7)에서 LPS에 의해 유도된 NO 억제 측정
대식세포에서는 LPS와 같은 외부 자극 등에 의해 염증반응이 일어나면 NO를 분비하고 염증성 사이토카인과 같은 다양한 물질을 생성하고, 염증반응을 조절하는 다양한 병리적인 반응이 일어난다. LPS로 염증반응을 유도한 RAW264.7 세포에서 실시예 1의 양파 추출물, 마늘껍질 추출물 및 커피박 추출물이 코팅된 소금을 처리하여 항염증 효능을 조사하였다.
안정화된 NO 산화물인 NO2 (Nitrite)는 Griess 반응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먼저 마우스의 대식세포주(RAW264.7)를 96웰 플레이트에 well당 5 X 104 cells/100 μl씩 분주한 뒤, 24 시간 동안 CO2 배양하였다. LPS (lipopolysaccharide)를 1μg/ml 농도로 처리하고 1시간 CO₂ 배양한 뒤 준비한 양파 추출물, 마늘껍질 추출물 및 커피박 추출물이 코팅된 소금을 처리하여 24 시간 동안 CO₂배양하였다. 그 다음 각 배양 상층액을 96웰 플레이트에 넣고 여기에 동량의 Griess 시약 (0.1% N-1-naphtyl-ethylendiamine in H2O : 1% sulfanilamide in 5% H3PO4 = 1 : 1)을 첨가하여 10분간 반응시킨 후, 마이크로플레이트 리더로 55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NO2 (Nitrite)의 농도는 NaNO2 (sodium nitrite)를 100 μM에서부터 0.7 μM 까지 2배씩 희석하여 얻은 표준곡선과 비교하여 계산하였다. LPS는 양성대조군으로 사용하였다.
그 결과(Concentration(μg/ml))는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LPS 실시예 1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7.27±0.5 0.19±0.21 4.24±0.6 6.67±0.7 5.22±0.1 -
상기 표 4에서 보듯이,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양파 추출물, 마늘껍질 추출물 및 커피박 추출물이 코팅된 소금은 NO를 억제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시험예 4> 피로회복 개선 효과 확인
상기 실시예 1의 양파 추출물, 마늘껍질 추출물 및 커피박 추출물이 코팅된 소금 및 비교예 1 내지 4의 소금을 각 군별로 3명씩 10~40대의 남녀노소 27명에게 30일간, 매일 하루 3번 110㎖씩 점심식사 후 2시간 후에 1 t-스푼씩 복용하게 하였으며, 30일간의 복용 후, 피로감 개선 정도를 하기 표 5에 5점 타점법(5점 : 아주 우수함, 4점 : 우수함, 3점 : 보통, 2점 : 나쁨, 1점 : 아주나쁨)으로 나타내게 하였다.
피로감
개선 효과
실시예 1 4.7±3.8
비교예 1 1.5±3.1
비교예 2 2.2±2.6
비교예 3 2.5±1.5
비교예 4 0.4±2.7
상기 표 5에서 보듯이,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양파 추출물, 마늘껍질 추출물 및 커피박 추출물이 코팅된 소금은 피로감 개선효과가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시험예 5> 체중 및 혈중 콜레스테롤 감소 실험
실험동물로 ICR 마우스를 이용하여, 상기 실시예 1의 양파 추출물, 마늘껍질 추출물 및 커피박 추출물이 코팅된 소금 및 비교예 1 내지 4의 소금을 재료로 한 시험대조군과 정상군을 식이 급여하며 사육 비교하였다.
본 실험에서 기본 식이는 AIN-76을 기본으로 단백질급원은 카제인(Japan), 탄수화물급원은 옥수수전분(제일제당), 지방급원으로 옥수수유(대상)을 사용한 정상군과 시험대조군을 비교하는 방식으로 진행하였다. 본 실험에 사용한 소금은 매일 일정시간(식이 후) 에 1 mg 씩 경구 급여하였으며 식이와 식수는 임의로 자유롭게 섭취하도록 하였다. 시험동물 사육환경은 항온(20±2℃), 항습(50±5%)하고 12 시간 광주기로 일정 조건을 유지하면서 폴리카보네이트 케이지에서 2 마리씩 분리하여 사육하였다. 동물에서 콜레스테롤은 혈류를 따라 순환하며 몇몇 기관에서 합성되며 혈류 내에서 콜레스테롤 수치가 크면 동맥경화의 주요 원인이 되므로 분석항목은 (1) 체중변화 및 식이섭취량, (2) 혈중 콜레스테롤 및 중성지질을 측정하는 것으로 진행하였다.
사육이 끝난 실험동물은 12 시간 절식시킨 후 에테르(Ether)를 흡입시켜 마취시킨 다음 복부 하대정맥으로부터 채혈하였으며, 헤파린을 처리하여 원심분리(15 mins, 3,000 RPM)로 혈장을 분리하여 지질함량을 측정하였다.
각 실험동물의 내장(간, 부고환, 신장)을 혈액채취 후 즉시 적출하여 PBS(Phosphate Buffered saline) 용액으로 수차례 헹군 후 표면 수분을 제거하여 비교 정량하였다. 혈장 중성지질은 McGowan 등(1983)의 효소법을 이용한 발색방식의 중성지방 측정용 시액(Asan kit)를 사용하여 55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으며, 혈장 총 콜레스테롤은 Allain 등(1974)의 효소법을 응용한 총콜레스테롤 측정용 시액(Asan kit)를 사용하여 발색처리하여 50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이를 콜레스테롤 표준곡선과 비교 정량하는 방식으로 하였으며, 장기의 지질은 Folch 등(1957)의 방법으로 잘게 자른 후 2 ml, Chloroform: Methyl alcohol 2:1 용액하에서 추출하여 중성지질, 콜레스테롤은 혈장에서와 동일 방법으로 정량하였다. 각 항목은 통계처리하여 평균값으로 하였다.
(1) 체중변화
실험동물의 체중변화 및 식이섭취량을 하기 표 6 및 7에 각각 나타내었다.
하기 표 6을 참조하면, 실시예 1의 양파 추출물, 마늘껍질 추출물 및 커피박 추출물이 코팅된 소금을 경구 급여한 실험동물의 경우 실험전에 비하여 체중이 유사 또는 저하되었고, 반면 비교예 1 내지 4로부터 제조된 소금을 경구 급여한 실험동물 및 정상군의 경우 실험전에 비하여 체중이 증가했음을 확인할 수 있다.
하기 표 7을 참조하면, 실시예 1 및 비교예 1 내지 4로부터 제조된 소금을 경구 급여한 실험동물 및 정상군의 식이섭취량은 모두 유사한 것으로 확인하였다.
실험전(g) 실험후(g)
실시예 1 27.64 26.02
비교예 1 27.72 28.33
비교예 2 27.57 27.77
비교예 3 27.62 27.98
비교예 4 27.65 28.16
식이섭취량(g)
실시예 1 4.0
비교예 1 4.1
비교예 2 4.1
비교예 3 4.1
비교예 4 4.1
이를 통하여 모든 실험동물의 식이 섭취량이 유사함에도 불구하고, 실시예 1의 양파 추출물, 마늘껍질 추출물 및 커피박 추출물이 코팅된 소금을 섭취한 실험동물의 체중이 모두 증가하지 않고, 실험 전과 유사함을 확인하였다.
(2) 혈중 콜레스테롤 및 중성지질
실험동물의 혈장 중성지질, 혈장 콜레스테롤, 부고환 중성지질, 신장 조직의 중성지질 및 간조직에서의 콜레스테롤을 하기 표 8 및 9에 나타내었다.
하기 표 8을 참조하면, 실시예 1의 양파 추출물, 마늘껍질 추출물 및 커피박 추출물이 코팅된 소금을 섭취한 시험대조군은 실험전에 비해 혈장 중성지질이 현저히 감소한 반면, 비교예 1 내지 4의 소금을 섭취한 시험대조군은 유의적인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실험전(mg/dL) 실험후(mg/dL)
실시예 1 121 117
비교예 1 120 135
비교예 2 121 128
비교예 3 120 129
비교예 4 120 139
하기 표 9를 참조하면, 실시예 1의 양파 추출물, 마늘껍질 추출물 및 커피박 추출물이 코팅된 소금을 섭취한 시험대조군은 실험전에 비해 혈장 콜레스테롤이 현저히 감소한 반면, 비교예 1 내지 4는 유의적인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음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전(mg/dL) 실험후(mg/dL)
실시예 1 156 123
비교예 1 157 153
비교예 2 156 146
비교예 3 157 147
비교예 4 157 158
상기 결과를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의 양파 추출물, 마늘껍질 추출물 및 커피박 추출물이 코팅된 소금은 중성지질의 양의 감소현상을 확인할 수 있어 지방과 콜레스테롤을 개선시키는 특징을 확인하였다.
<시험예 6> 양파 추출물, 마늘껍질 추출물 및 커피박 추출물이 코팅된 소금의 관능검사
상기 실시예 1의 양파 추출물, 마늘껍질 추출물 및 커피박 추출물이 코팅된 소금의 마늘향, 양파향, 색상, 맛 및 전반적 기호도에 대해 관능적인 품질평가를 실시하였다. 본 식품의 관능적 식별 능력이 있는 관능검사요원 10명을 선정하여 관능적 품질의 평가 척도는 9점 채점법(9점: 아주 좋다, 7점: 좋다, 5점: 보통이다, 3점: 조금 나쁘다, 1점: 아주 나쁘다)으로 하였다. 관능검사 결과는 ANOVA를 이용하여 5% 수준에서 Duncan's multiple range test에 의해 각 시료간의 유의적인 차이를 검증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10(평균값)에 나타내었다.
구분 실시예 1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마늘향 8.8 2.6 3.3 2.8 2.5
양파향 8.8 2.7 3.1 2.8 2.3
색상 8.8 2.5 3.2 3.1 2.2
8.9 2.7 3.3 3.1 2.2
전반적
기호도
8.9 2.6 3.2 2.9 2.3
상기 결과를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의 양파 추출물, 마늘껍질 추출물 및 커피박 추출물이 코팅된 소금은 마늘향, 양파향, 색상 및 맛 및 전반적 기호도에 대한 기호도가 매우 높아 전체적인 기호도가 각각 8.9로 매우 높게 평가되었다. 특히 커피박 추출물에 의해 마늘향 및 양파향이 거의 완전하게 제거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비교예 1 내지 4에서 제조된 소금은 전체적인 기호도가 각각 2.3 내지 3.2로 매우 낮았다.
<시험예 7> 양파 추출물, 마늘껍질 추출물 및 커피박 추출물이 코팅된 소금을 사용한 육류의 관능 평가
실시예 1의 양파 추출물, 마늘껍질 추출물 및 커피박 추출물이 코팅된 소금을 이용하여 소고기를 구워서 관능검사를 수행하였다. 상기 각 구워진 소고기의 관능평가를 수행하였다.
본 식품의 관능적 식별 능력이 있는 관능검사요원 10명을 선정하여 관능적 품질의 평가 척도는 9점 채점법(9점: 아주 좋다, 7점: 좋다, 5점: 보통이다, 3점: 조금 나쁘다, 1점: 아주 나쁘다)으로 하였다. 관능검사 결과는 ANOVA를 이용하여 5% 수준에서 Duncan's multiple range test에 의해 각 시료간의 유의적인 차이를 검증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11(평균값)에 나타내었다.
육류 잡내 조직감 전체적 기호도
실시예 1 8.9 8.9 8.9 8.9 8.9 8.9
비교예 1 3.8 4.1 3.6 1.3 2.3 2.9
비교예 2 3.9 4.2 2.3 2.3 2.1 2.8
비교예 3 4.1 4.1 3.5 3.5 3.1 3.5
비교예 4 3.3 3.5 3.3 2.3 3.3 34.3
상기 표 11에서 보듯이,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양파 추출물, 마늘껍질 추출물 및 커피박 추출물이 코팅된 소금을 이용하여 소고기를 구운 경우 색, 맛 및 향에서 우수한 평가를 받았으며, 특히 육류의 잡내가 거의 완벽하게 제거되어 전반적인 기호도 평가에서 매우 우수한 평가를 받았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인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구현예일 뿐이며, 이에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5)

  1. (S1) 양파 추출물, 마늘껍질 추출물 및 커피박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S2) 상기 단계 (S1)에서 제조된 양파 추출물, 마늘껍질 추출물 및 커피박 추출물을 1:1:1 내지 2:2:1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천연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S3) 소금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단계 (S2)에서 제조된 천연 추출물을 10 내지 20 중량부의 양으로 첨가한 다음 50 내지 60℃의 온도에서 교반하는 단계; 및
    (S4) 상기 단계 (S3)에서 천연 추출물로 코팅된 소금을 열풍 건조 또는 덖음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열풍 건조 또는 덖음 공정은 70 내지 90℃에서 수행하는 소금의 제조방법.
  2. 제1항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소금.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210048911A 2021-04-15 2021-04-15 양파, 마늘 껍질 및 커피박 추출물이 코팅된 소금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3475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8911A KR102347579B1 (ko) 2021-04-15 2021-04-15 양파, 마늘 껍질 및 커피박 추출물이 코팅된 소금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8911A KR102347579B1 (ko) 2021-04-15 2021-04-15 양파, 마늘 껍질 및 커피박 추출물이 코팅된 소금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47579B1 true KR102347579B1 (ko) 2022-01-06

Family

ID=793476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8911A KR102347579B1 (ko) 2021-04-15 2021-04-15 양파, 마늘 껍질 및 커피박 추출물이 코팅된 소금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757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80465A (ko) * 2008-04-11 2008-09-04 김남호 식물진액을 함유한 소금 및 그 제조방법
JP2010252752A (ja) * 2009-04-28 2010-11-11 Owase Shinsosui Shio Gakusha Kk 植物系原料を含む食用塩の製造方法
KR101778190B1 (ko) * 2016-05-09 2017-09-14 농업회사법인 써니 (주) 기능성 마늘소금 및 그 제조방법
KR20200122200A (ko) * 2019-04-17 2020-10-27 임회규 기능성 소금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80465A (ko) * 2008-04-11 2008-09-04 김남호 식물진액을 함유한 소금 및 그 제조방법
JP2010252752A (ja) * 2009-04-28 2010-11-11 Owase Shinsosui Shio Gakusha Kk 植物系原料を含む食用塩の製造方法
KR101778190B1 (ko) * 2016-05-09 2017-09-14 농업회사법인 써니 (주) 기능성 마늘소금 및 그 제조방법
KR20200122200A (ko) * 2019-04-17 2020-10-27 임회규 기능성 소금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14065B1 (ko) 야생초를 이용한 선식과 이를 이용한 선식음료
JP2007507437A (ja) 竹葉抗酸化物とその用途
Graham et al. Total phenol content and antioxidant activity of okra seeds from different genotypes
KR101530626B1 (ko) 보리를 이용한 커피대용 분말차 및 그 제조방법
KR101151961B1 (ko) 야생초를 이용한 저(低)나트륨, 저(低)염소, 고(高)칼륨 김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한 김치
KR100718074B1 (ko) 뽕잎분말을 첨가한 김치와 그 제조방법
KR101896024B1 (ko) 가르시니아 캄보지아 추출물을 활용한 기능성 식품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092841B1 (ko) 냉면 육수의 제조방법
KR102036522B1 (ko) 시나몬오매를 이용한 간장 제조방법
KR101704750B1 (ko) 천일염 및 함초를 이용한 함초소금 제조 방법
KR102347579B1 (ko) 양파, 마늘 껍질 및 커피박 추출물이 코팅된 소금 및 이의 제조방법
JP5561984B2 (ja) 新規飲料
Zahoor et al. Antinutritional factors in some date palm (Phoenix dactylifera L.) varieties grown in Pakistan
KR102420110B1 (ko) 장어탕 및 그 제조 방법
KR102410059B1 (ko) 꽃게 껍질을 이용한 천연 조미료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꽃게 껍질 천연 조미료
JP2005237291A (ja) 健康食品
KR102323687B1 (ko) 은행 견과와 도라지 뿌리 추출물을 함유하는 앙금의 제조 방법
KR102414793B1 (ko) 솔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양파즙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솔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양파즙
Khojah et al. Fortification of macaroni with pomegranate peels as dietary fiber and natural antioxidant for the treatment of obesity and high cholesterol in rats
KR100584782B1 (ko) 맛과 향이 보존된 마늘죽염 또는 마늘소금 복합조미소재의제조방법
KR101240664B1 (ko) 깻잎 향신료와 조미료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352258B1 (ko) 허브 추출물이 코팅된 멸치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489041B1 (ko) 기능성 양념을 사용한 저염 배추 김치의 제조방법
KR102478336B1 (ko) 깐풍샌드김밥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깐풍샌드김밥
KR102538184B1 (ko) 호박차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호박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