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81619A - 양념소금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양념소금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81619A
KR20220081619A KR1020200171320A KR20200171320A KR20220081619A KR 20220081619 A KR20220081619 A KR 20220081619A KR 1020200171320 A KR1020200171320 A KR 1020200171320A KR 20200171320 A KR20200171320 A KR 20200171320A KR 20220081619 A KR20220081619 A KR 202200816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extract
salt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13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91631B1 (ko
Inventor
박진규
Original Assignee
박진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진규 filed Critical 박진규
Priority to KR10202001713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1631B1/ko
Publication of KR202200816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16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16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163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40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10Natural 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Extracts thereof
    • A23L27/11Natural 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Extracts thereof obtained by solvent extrac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065Microorganis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10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20Removal of unwanted matter, e.g. deodorisation or detoxifica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9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ood processing or handling, e.g. food conservati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념소금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천일염의 불순물을 제거하는 단계(단계 1); 물 100중량부에 산뽕나무 20~30중량부, 표고버섯 1~5중량부, 양파 1~5중량부, 다시마 1~5중량부 및 감초 1~5중량부를 가하고 100~105℃에서 24~25시간 동안 가열한 후에 여과하여 제1 추출액을 수득하는 단계(단계 2); 및 상기 불순물이 제거된 천일염 100중량부에 상기 제1 추출액 6~10중량부를 가하고 195~200℃에서 5~10분 동안 1차 볶는 단계(단계 3); 를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하며, 양념소금 제조시 첨가한 성분과 소금의 분리를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7차례 볶음으로 인해 맛이 우수한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양념소금의 제조방법{Manufacturing Method of Wild Ginseng Syrup}
본 발명은 양념소금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양념소금 제조시 첨가한 성분과 소금의 분리를 방지할 수 있으며, 맛이 우수한, 양념소금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소금은 인간이 생명을 유지하는데 있어서 반드시 필요한 무기질 중 하나로 음식의 맛을 내는 조미료로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소금은 위액의 구성성분인 염산을 만들고 근육, 신경 등의 작용을 조절하는 등 여러가지 생리적 기능을 담당하게 된다. 특히 나트륨은 세포외액에 가장 많이 존재하는 양이온으로 세포외액량, 산·염기 평형, 세포막 전위 등의 조절 및 세포막에서 물질의 능동수송을 수행한다.
이처럼 소금이 인체 내에서 중요한 작용을 하나 소금 섭취량이 많아지면 인체 대사에 문제를 야기한다. 특히, 우리나라는 김치, 장류, 찌개 등과 같은 염분 고섭취 식습관으로 소금 섭취량이 많다.
일반적으로 천일염은 미네랄이 풍부한데, 우리나라의 천일염은 세계 5대 갯벌 중의 하나로서 미네랄이 풍부한 갯벌염전을 기반으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은 생산기반으로 천일염은 몸에 좋은 알칼리성 소금으로 산화가 낮고 칼슘(Ca), 마그네슘(Mg), 칼륨(K) 등 다양한 양이온들을 함유하고 있어 연화방지 효과가 우수하여 우리의 전통식품 김치, 장류, 젓갈류 등 그 고유의 맛과 풍미를 유지시켜왔다.
이러한 소금에는 염화나트륨뿐만 아니라 간수(MgCl2·6H2O) 및 불순물이 함유되어 있다. 간수는 바닷물이나 짠물을 농축시켜서 소금을 채취하고 난 나머지 용액으로 주성분은 염화마그네슘이며, 독특한 자극성의 쓴맛을 내어 조리에 이용하는 경우 음식의 맛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된다.
따라서 시중에서 판매되고 있는 천일염은 물 세척하여 원심분리법으로 해수의 오염물질과 간수를 제거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리고 우리나라 전통의 간수제거법은 소금자루를 쌓아 1~2년 동안 방치해 놓거나 구멍 뚫린 항아리에 소금을 넣어 2~3년 정도 방치해 두어 흡습성의 간수가 녹아 빠져나가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의 방법은 시간이 많이 걸리는 단점과 물 세척 과정의 용해로 인한 소금손실이 있으며, 간수의 제거율도 크게 높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0867144호(2008.11.10.)에는 간수와 불순물을 제거한 맑은 소금 및 그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제조방법은 간수를 제거하기 위해 습도를 95%, 온도 30℃의 저장고에 2 내지 3주간 소금을 적재하여 간수를 용출시키는 데, 이는 간수를 제거하는 데 많은 기간이 걸릴 뿐만 아니라 인체에 유용한 미네랄까지 함께 배출되므로 소금의 품질이 저하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0848694호(2008.07.28.)에는 증기를 이용한 천일염의 가공방법 및 가공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가공방법은 천일염에 고온의 증기를 가하여 간수를 제거하는 데, 이러한 종래의 기술은 고온의 증기에 의해 소금의 표면이 녹으면서 간수와 함께 천일염의 유용성분들까지도 제거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소금의 손실이 많고 소금 결정의 표면에서만 간수가 제거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제10-1602717호(2016.03.11.)에는 뽕잎 소금의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뽕잎 소금의 제조방법은 뽕잎 분말을 이용하여 자극성이 있는 쓴맛의 간수 및 불순물을 효과적으로 제거한 장점이 있지만, 국물이 있는 요리에 사용할 때 첨가한 뽕잎 분말이 분리되는 현상으로 국물이 탁해지거나 무침요리 등이 지저분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KR 10-0867144 B1 2008.11.10. KR 10-0848694 B1 2008.07.28. KR 10-1602717 B1 2016.03.11.
본 발명의 목적은 양념소금 제조시 첨가한 성분과 소금의 분리를 방지할 수 있는, 양념소금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맛이 우수한, 양념소금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수단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천일염의 불순물을 제거하는 단계(단계 1); 물 100중량부에 산뽕나무 20~30중량부, 표고버섯 1~5중량부, 양파 1~5중량부, 다시마 1~5중량부 및 감초 1~5중량부를 가하고 100~105℃에서 24~25시간 동안 가열한 후에 여과하여 제1 추출액을 수득하는 단계(단계 2); 및 상기 불순물이 제거된 천일염 100중량부에 상기 제1 추출액 6~10중량부를 가하고 195~200℃에서 5~10분 동안 1차 볶는 단계(단계 3); 를 포함하는, 양념소금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단계 1은 혼합수 100중량부에 천일염 50~60중량부를 가하고 30~35℃에서 2~3시간 동안 가열하되, 상기 혼합수는 정제수 60~70중량%, 함초 15~25중량%, 고들빼기 10~20중량% 및 둥굴레 1~5중량%를 20~25℃에서 10~12시간 동안 방치하여 수득한다.
상기 단계 3 이후에, 물 100중량부에 마키베리(maquiberry) 20~30중량부, 블랙초크베리(black chokeberry) 1~5중량부, 링곤베리(lingonberry) 1~5중량부, 블루베리(blueberry) 1~5중량부 및 크랜베리(cranberry) 1~5중량부를 가하고 80~85℃에서 1~2시간 동안 가열한 후에 여과하여 제2 추출액을 수득하는 단계(단계 4); 상기 1차 볶은 천일염 100중량부에 상기 제2 추출액 6~10중량부를 가하고 190~195℃에서 5~10분 동안 2차 볶는 단계(단계 5); 물 100중량부에 도라지 20~30중량부, 산양삼 1~5중량부, 배 1~5중량부, 생강 1~5중량부 및 콩나물 1~5중량부를 가하고 105~110℃에서 5~6시간 동안 가열한 후에 여과하여 제3 추출액을 수득하는 단계(단계 6); 상기 2차 볶은 천일염 100중량부에 상기 제3 추출액 6~10중량부를 가하고 185~190℃에서 5~10분 동안 3차 볶는 단계(단계 7); 물 100중량부에 황기 20~30중량부, 방풍 1~5중량부, 클로렐라 1~5중량부, 당귀 1~5중량부 및 소엽 1~5중량부를 가하고 95~100℃에서 1~2시간 동안 가열한 후에 여과하여 제4 추출액을 수득하는 단계(단계 8); 상기 3차 볶은 천일염 100중량부에 상기 제4 추출액 6~10중량부를 가하고 180~185℃에서 5~10분 동안 4차 볶는 단계(단계 9); 물 100중량부에 은행잎 20~30 중량부, 연잎 1~5중량부, 솔잎 1~5중량부, 감잎 1~5중량부 및 꾸지뽕잎 1~5중량부를 가하고 85~90℃에서 1~2시간 동안 가열한 후에 여과하여 제5 추출액을 수득하는 단계(단계 10); 상기 4차 볶은 천일염 100중량부에 상기 제5 추출액 6~10중량부를 가하고 175~180℃에서 5~10분 동안 5차 볶는 단계(단계 11); 물 100중량부에 구기자 20~30중량부, 맥문동 1~5중량부, 황금 1~5중량부, 오미자 1~5중량부 및 오가피 1~5중량부를 가하고 95~100℃에서 2~3시간 동안 가열한 후에 여과하여 제6 추출액을 수득하는 단계(단계 12); 상기 5차 볶은 천일염 100중량부에 상기 제6 추출액 6~10중량부를 가하고 170~175℃에서 5~10분 동안 6차 볶는 단계(단계 13); 물 100중량부에 금은화 20~30중량부, 숙지황 1~5중량부, 계피 1~5중량부, 야관문 1~5중량부 및 삼지구엽초 1~5중량부를 가하고 95~100℃에서 1~2시간 동안 가열한 후에 여과하여 제7 추출액을 수득하는 단계(단계 14); 및 상기 6차 볶은 천일염 100중량부에 상기 제7 추출액 6~10중량부를 가하고 165~170℃에서 5~10분 동안 7차 볶는 단계(단계 15); 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양념소금 100중량부에 스테비아발효추출물 0.1~1중량부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되, 상기 스테비아 추출발효물은 스테비아 100중량부에 정제수 800~1,000중량부를 넣고 90~95℃에서 4~6시간 동안 추출한 스테비아 추출액 100중량부에 복합합성균 5~10중량부를 첨가하고 35~40℃에서 46~48시간 동안 발효시킨 발효액을 동결건조하며, 상기 복합합성균은 홍국균 40~50중량%, 고초균 20~30중량%, 효모 10~20중량% 및 누룩균 5~15중량%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양념소금의 제조방법은 양념소금 제조시 첨가한 성분과 소금의 분리를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양념소금의 제조방법은 7차례 볶음으로 인해 맛이 우수한 장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양념소금의 제조방법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양념소금의 제조방법은,
천일염의 불순물을 제거하는 단계(단계 1);
물 100중량부에 산뽕나무 20~30중량부, 표고버섯 1~5중량부, 양파 1~5중량부, 다시마 1~5중량부 및 감초 1~5중량부를 가하고 100~105℃에서 24~25시간 동안 가열한 후에 여과하여 제1 추출액을 수득하는 단계(단계 2); 및
상기 불순물이 제거된 천일염 100중량부에 상기 제1 추출액 6~10중량부를 가하고 195~200℃에서 5~10분 동안 1차 볶는 단계(단계 3);
를 포함한다.
상기 단계 1은 혼합수 100중량부에 천일염 50~60중량부를 가하고 30~35℃에서 2~3시간 동안 가열하여 불순물을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혼합수는 정제수 60~70중량%, 함초 15~25중량%, 고들빼기 10~20중량% 및 둥굴레 1~5중량%를 20~25℃에서 10~12시간 동안 방치하여 수득한다.
상기 함초(Salicornia Herbacea L.)는 명아주과(Chenopodaceae)에 속하는 일년생 초본으로 우리나라 남해안과 서해안 백령도 제주도 울릉도와 같은 섬 지방의 바닷물이 닿는 해안이나 갯벌등 염습지대에서 자생하는 대표적인 염생식물 중 하나이며, 민간에서는 마디가 튀어나온 풀이라고 하여 퉁퉁마디라고 불워지고 있고, 갯벌 식물인 함초는 다량의 염분을 체내에 축적하고 있으며 섬유질뿐만 아니라 마그네슘, 칼슘. 철 그리고 칼륨등의 천연 미네랄과 비타민을 다량 함유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발린(Valnine), 류신(Leucine), 프로린(Proline) 등 필수아미노산과 다당체가 함유되어 있어, 민간에서는 봄철 몸이 나른하고 밥맛이 없을 때 함초 나물을 먹으면 눈이 맑아지고 밥맛이 좋아지며, 황해도 지방에서는 소화불량 위장병, 간염, 신장병 등 약용으로도 쓰여졌다고 전해져 오고 있다.
상기 고들빼기는 쌍떡잎식물 초롱꽃목 국화과의 두해살이풀로 산과 들이나 밭 근처에서 자라며 농가에서 재배하기도 한다. 일반적으로 고들빼기는 맛이 차고 쓰며, 설사를 멎게 하고 부기를 가라앉히는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해열, 해독, 건위, 조혈, 소종 등의 효능이 있으며 허파의 열기를 식혀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고들빼기는 전체 식물에 함유된 유용물질로 익서린 Z(ixerin Z)와 11,13α-디하이드로익서린 Z(11,13α-dihydroixerin Z)의 존재가 보고된 바 있다.
상기 둥굴레는 외떡잎식물 백합목 백합과의 여러해살이풀로서, 이러한 식물의 뿌리를 말려 차로 끓여 먹는 방식으로 현재 이용하고 있으며, 둥굴레 뿌리가 가진 숭늉과 같은 특이한 고유의 향미 및 기능성 유효 성분을 통한 신진대사 촉진, 항산화, 심신안정 및 혈당수치 조절 등의 효과들로 인해 많은 사람에게 많이 소비되고 있다.
상기 단계 2는 물 100중량부에 산뽕나무 20~30중량부, 표고버섯 1~5중량부, 양파 1~5중량부, 다시마 1~5중량부 및 감초 1~5중량부를 가하고 100~105℃에서 24~25시간 동안 가열한 후에 여과하여 제1 추출액을 수득하는 단계이다.
상기 산뽕나무(Morus bombycis koidz)는 중국이 원산으로 알려진 높이 10 내지 12 m의 낙엽교목으로, 자생종은 논, 밭둑이나 산기슭의 양지에서 자란다. 나무껍질은 회갈색이며 세로로 불규칙하게 갈라진다. 잎이 어긋나며, 잎자루는 길이 2 내지 6㎝, 잎몸은 길이 7 내지 15 ㎝, 폭 5 내지 15 ㎝, 앞면은 껄끄럽고 뒷면은 주맥에 흰털이 있다. 잎몸 밑 부분이 비대칭적으로 깊게 파이기도 한다. 암수의 그루가 다르나 드물게는 같기도 하며, 꽃은 6월에 핀다. 꽃잎은 없고 꽃밥은 연한 노란색이다. 열매는 집합과이며 길이 5 내지 14 ㎜로 흑자색으로 익는다. 목재는 가구재, 악기재, 조각재 등으로 쓰이며 어린잎과 열매는 식용, 약용으로 사용한다. 뽕나무에 비해 주두가 씨방보다 긴 것이 특징이다. 또한, 산뽕나무는 항균 및 항산화 활성이 우수하다고 보고되었다
본 발명에서는 산뽕나무 줄기 및 잎을 사용한다.
상기 표고버섯은 예로부터 불로장생의 명약이라 알려졌을만큼 영양이 풍부하다. '동의보감'과 '본초강목'에서는 '기를 강하게 하고 허기를 느끼지 않게 하여 풍을 고치고 혈액순환을 돕는다'고 기록하고 있다. 피를 맑게 하고 식욕을 돋워주는 효과도 있는데, 돼지고기 요리를 할때 같이 넣으면 흡수가 더 잘된다. 표고버섯만의 독특한 감칠맛은 구아닐산이 다른 버섯에 비해 많기 때문인데, 구아닐산은 콜레스테롤 수치를 낮추는 성질이 있어 고혈압과 심장병 환자들에게 좋다. 또한, 표고버섯에 들어있는 렌티난은 강력한 항암 물질로 면역 체계를 활성화한다. 따라서 암뿐만 아니라 감기 같은 바이러스 질병과 고혈압, 당뇨에도 효과가 있다. 또한, 표고버섯은 각종 무기질과 비타민이 풍부하며 섬유소가 위와 소장의 소화를 도와 비만증, 당뇨병, 심장병, 간장 질환에 좋다. 또한 단백질, 칼슘, 인, 철분이 많고 뼈를 튼튼히 하는 비타민 D, 조혈 작용에 필수적인 비타민 B, 혈액의 대사를 돕는 엘리타테닌 등의 성분이 풍부해 성장기 어린이들에게도 좋다. 햇볕에 말린 표고버섯은 생 표고버섯 보다 2배 정도 영양이 많은데, 특히 칼슘 흡수를 돕는 비타민 D가 많아 이를 튼튼하게 하고 골다공증을 예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양파(Allium cepa L.)는 수선화과의 부추아 과 부추 속에 속한 식물이다. 부추 속은 보통 부추 과에 분류되지만 백합 과로 분류하는 사람도 있다. 영양 성분은 물 90.4 %, 단백질 1 %, 지방 0.1 % 및 탄수화물 7.6 %이고, 양파 100 g 속에 비타민C 7 mg, 칼슘 15 mg 및 인 30 mg이 들어있다. 양파에 함유된 유효성분으로 퀘르세틴 (quercetin)이 알려져 있으며, 퀘르세틴은 항염증작용, 뇌세포보호활성, 항암작용, 항당뇨, 항비만 및 항고혈압 등 각종 생리활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보고되어있다.
상기 다시마(Laminaria)는 갈조식물 다시마목 다시마과의 한 속으로, 전통적인 해조식품이다. 한국, 일본, 캄차카반도, 사할린섬 등의 태평양 연안에 분포하며, 크기는 1.5 내지 3.5m 이고, 나비는 25 내지 40cm 이다. 다시마속 식물은 태평양 연안에 20여 종이 자라고 있으며, 10 m 이상의 큰 종류도 있는데, 주요 종으로는 참다시마(L. japonica), 오호츠크다시마(L.ochotensis), 애기다시마(L. religiosa)등이 있다. 다시마에는 카로틴류, 크산토필류, 엽록소 등의 여러 가지 색소 외에 탄소동화작용으로 만들어지는 마니트, 라미나린 등의 탄수화물과 세포벽의 성분인 알긴산이 많이 들어 있고, 요오드, 비타민 B2, 글루탐산 등의 아미노산이 들어 있다고 알려져있다.
상기 감초(Ghycyrrhizae Radix et Rhizoma, GR)는 콩과(fabaceae)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식물로 주로 뿌리를 이용하며 적갈색 또는 암갈색을 나타내고, 특유의 단맛이 있다. 자감초(Ghycyrrhizae Radix Praeparata)는 감초의 표면 색깔이 보라색이 될 때까지 볶아서 만든다. 감초의 주요 성분으로는 글리시리진(glycyrrhizin), 사포닌(saponin), 플라보노이드(flavonoid), 다당류(polysaccharides) 및 아스파라긴산(asparagine)이 있으며, 약간의 호모나탈로인(homonataloin), 레진(resins) 및 섬유질(fibers)을 함유하고 있다. 특히 글리시리진의 경우 고혈압 환자에서 콜레스테롤 및 혈압을 낮추며, 항암효과, 항산화효과 및 항진균 효과가 있다.
상기 단계 3 이후에,
물 100중량부에 마키베리(maquiberry) 20~30중량부, 블랙초크베리(black chokeberry) 1~5중량부, 링곤베리(lingonberry) 1~5중량부, 블루베리(blueberry) 1~5중량부 및 크랜베리(cranberry) 1~5중량부를 가하고 80~85℃에서 1~2시간 동안 가열한 후에 여과하여 제2 추출액을 수득하는 단계(단계 4); 및
상기 1차 볶은 천일염 100중량부에 상기 제2 추출액 6~10중량부를 가하고 190~195℃에서 5~10분 동안 2차 볶는 단계(단계 5);
를 추가할 수 있다.
상기 마키베리의 학명은 Aristotelia chilensis (Molina) Stuntz 로서 담팔수과 (Elaeocarpaceae)에 속한다. 칠레 등 남미에 자생하며, 진한 보랏빛을 띠는 열매는 안토시아닌을 포함하여 뛰어난 항산화 작용을 가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마키베리에 포함된 안토시아닌으로 델피니딘(delphinidin)은 항염증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블랙초크베리는 아로니아로도 불리우며, 북유럽 및 북아메리카가 원산지로 아로니아는 다량의 당류(20%)와 안토시아닌(Antocyanin), 폴리페놀(Polyphenol), 비타민 B1, B2, 판토텐산, 프라보노이드(Flavonoid) 등을 함유하고 있다. 특히 안토시아닌의 함량이 매우 높아 자연계에 있는 식물들 중 안토시아닌의 함량이 가장 높은 편에 속한다. 안토시아닌은 꽃이나 과실 등에 포함되어 있는 안토시아닌의 색소배당체로서 가수분해에 의해 하나 또는 둘의 단당류와 아글리콘으로 분류되며, 주요 지표물질은 Cyanidin 3-O-galactoside이다. 안토시아닌은 기본적으로 세포 내에서는 모두 배당체로 존재하여 적색, 청색, 보라색을 나타내며 산으로 가수분해하면 적색부과 당부분으로 나누어지는 수용성 색소로서, 세포의 노화를 촉진시키고 각종 성인병의 원인이 되는 활성산소를 제거하는 항산화 작용, 발암물질의 작용을 억제하는 항변이원성 작용, 고혈압, 동맥경화, 심근경색 등 심혈관계질환을 일으키는 변화요소 억제작용 및 체내의 콜레스테롤 제거 작용, 간의 기능을 활성시켜 간기능 개선으로 지방간, 간경화 및 알콜성 간질환의 예방 및 치료, 혈액순환촉진으로 뇌 대사기능 증진 및 치매 예방 등의 다양한 효능이 밝혀지고 있다.
상기 링곤베리는 북유럽의 야생에서 수확되는 베리류의 일종이다. 상기 링곤베리는 달콤하면서도 시큼한 맛을 나타내며, 스웨덴에서 식재료로서 주로 사용된다. 상기 링곤베리는 폴리페놀인 레스베라트롤을 포함함으로써, 비타민C의 약 30 배 이상의 항산화력을 나타낼 수 있다. 상기 링곤베리는 레스베라트롤을 포함하며, 상기 레스베라트롤은 장수 유전자인 시트루인 단백질 효소를 활성화시켜 세포 노화를 억제하고 대사량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항산화 효과, 면역력 향상 효과, 및 다이어트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상기 블루베리(Blueberry)는 진달래과(Ericaceae)에 속하는 북아메리카산 관목으로서, 달콤한 맛을 가지는 열매에는 비타민 C와 철(Fe)이 풍부하고, 유기산과 안토시아닌과 같은 항산화물질을 함유하고 있다. 특히, 블루베리(Blueberry)는 시력개선효과, 망막의 변성과 백내장 방지 효과, 혈중콜레스테롤 및 혈당 감소효과, 골밀도 감소를 저해하는 효능을 가진다고 알려져 있다. 또한 블루베리(Blueberry)는 항암효과와 고지방식이에서 항비만 효과를 가진다고 보고되어 있다.
상기 크랜베리(Cranberry)는 우수한 항암효과, 항산화 효과를 지닌 폴리페놀류를 포함하고 있다. 주요 과일 중 가장 높은 함량의 폴리페놀을 함유하고 있으며, 세균 부착 억제효과가 있어 요로감염, 위궤양 등의 예방효과가 있다. 대표적인 약성으로는 방광염, 요도염, 신우신염 등의 요로 감염 및 전립선염을 예방하고, 재발위험을 줄여준다.
상기 단계 5 이후에,
물 100중량부에 도라지 20~30중량부, 산양삼 1~5중량부, 배 1~5중량부, 생강 1~5중량부 및 콩나물 1~5중량부를 가하고 105~110℃에서 5~6시간 동안 가열한 후에 여과하여 제3 추출액을 수득하는 단계(단계 6); 및
상기 2차 볶은 천일염 100중량부에 상기 제3 추출액 6~10중량부를 가하고 185~190℃에서 5~10분 동안 3차 볶는 단계(단계 7);
를 추가할 수 있다.
상기 도라지는 당질, 칼슘, 철분, 비타민 B, 비타민 C 및 인삼의 주요 성분 중 하나인 사포닌을 다량 함유하고 있어, 한방에서는 기관지염, 편도선염 등에 대한 항염증, 거담, 항궤양, 진해, 해열, 진통 등의 효과를 위한 약재로 사용되기도 한다. 또한, 도라지에 함유된 물질들은 곰팡이의 독소 생성을 감소시키며, 실험동물에 투여했을 때 식균작용을 촉진하였을 뿐 아니라, 도라지에 함유된 이눌린 성분은 생쥐를 이용한 항암실험에서 강력한 항암활성을 보인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눌린은 혈당을 강하하고, 장을 튼튼하게 하며 숙취해소에도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산양삼은 인삼보다 10배, 홍삼보다는 4~5배 많은 사포닌이 들어있어 면역력을 높이는 데 큰 효능이 있으며, 이와 더불어 혈액순환, 당뇨 예방, 소화력 증진, 스트레스 완화, 기력 증진 등의 효능이 있다.
상기 배는 전국 각지에서 재배되고 있으며 배나무는 높이가 6~7m쯤 자라는데, 잎은 뾰족하게 빛나며 잔 톱니가 있는 난형이다. 열매는 조금 시나 맛이 달고 수분이 많으며, 색깔은 엷은 황갈색, 엷은 노란색, 엷은 녹색 등이 있다. 민간의약에서 배는 기침약으로 주로 쓰이고, 배에는 고기 요리의 자극을 완화하고 소화를 돕는 효소가 있어, 예로부터 고기 요리를 많이 먹는 나라에서 많이 사용하고 있다. 특히 소갈에는 배즙을 꿀에 달여 병에 넣어 두고 수시로 뜨거운 물이나 냉수에 타서 마시면 좋다고 알려져 있다. 어린아이가 배가 차서 아플 때에는 배나무 잎을 한 뭉치 삶아 그 물을 마시면 좋다고 전해왔다. 또한, 체했을 때 배나무 잎을 달여 그 즙을 먹으면 좋다고 알려져 있다. 본초강목, 한방집약서 등 고의학 문헌에 따르면 배는 위궤양, 변비, 이뇨작용 촉진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담, 해열, 기침 등에도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생강은 외떡잎식물 생강목 생강과의 여러해살이풀로 주로 뿌리를 식용과 약용으로 사용한다. 생강은 감기로 인한 오한, 발열, 두통, 구토, 해수, 가래를 치료하며 식중독으로 인한 복통설사, 복만에도 효과가 있어 끓는물에 생강을 달여서 차로 마시기도 한다. 약리작용으로 위액분비촉진, 소화력 증진, 심장흥분 작용, 혈액순환촉진, 억균작용 등이 보고되었다.
상기 콩나물(bean sprout)은 대두를 발아시킨 것으로 계절에 관계없이 단시간에 쉽게 기를 수 있어 경제적이고 영양적으로 우수한 상용식품으로 알려져 있다. 콩나물의 빛깔은 흰색이나 담황색의 것이 좋고, 비타민 B 1 , 비타민 B 2 , 비타민 C가 많이 함유되어 있다.
상기 단계 7 이후에,
물 100중량부에 황기 20~30중량부, 방풍 1~5중량부, 클로렐라 1~5중량부, 당귀 1~5중량부 및 소엽 1~5중량부를 가하고 95~100℃에서 1~2시간 동안 가열한 후에 여과하여 제4 추출액을 수득하는 단계(단계 8); 및
상기 3차 볶은 천일염 100중량부에 상기 제4 추출액 6~10중량부를 가하고 180~185℃에서 5~10분 동안 4차 볶는 단계(단계 9);
를 추가할 수 있다.
상기 황기(생약명: Astragalus Root, 학명: Astragalus membranaceus Bunge)는 뿌리를 건조하여 한약재로 사용하며, 맛은 달고 성질은 따뜻하고, 비장과 폐에서 작용한다. 황기는 기를 보하고 몸을 단단하게 하는 효능이 있어, 땀을 멈추게 하고 몸을 따뜻하게 하며, 이뇨작용을 돕고 종양을 제거하는 효능이 있다. 또한, 기운을 맑게 하는 작용이 있어 독소를 빼내어 피부를 새로이 나게한다. 따라서, 황기는 몸이 단단하지 못하고 약한 사람의 다한증, 기운이 약해 거동이 어려운 증상, 소변이 잘 나오지 않는 증상, 피부의 수종, 기운과 혈액의 부족, 부스럼 및 악창 내의 함몰 증상, 문드러지지 않은 고름 또는 온갖 외과 및 피부과 질환이 오래 되어 곪아 터져 잘아물지 않는 증상 등을 치료하는데 사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방풍(생약명: Saposhnikovia Root, 학명: Saposhnikovia divaricata Schischkin)은 식물의 뿌리를 건조하여 한약재로 사용하며, 맛은 시고 성질은 따뜻하며, 간, 비장 및 방광경에서 작용한다. 방풍은 피부에 맺힌 사기를 풀어주고, 풍증을 잠재우며, 습기의 정체로 인한 관절통, 신경통 등의 통증을 제거하고, 경련을 멈추게 하는 효능이 있어, 외부 자극에 의해 발생한 병증을 치료하기 위한 상비약으로 흔히 사용되어 왔다. 방풍은 한증, 열증, 허증 및 실증과 같은 증상의 종류에 상관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오한발열, 두통 또는 몸의 통증, 찬 바람을 쏘여서 발생한 열증 또는 한증, 목이 붓고 아픈 증상 등을 치료하는데 사용되어 왔다. 방풍은 찬 바람 및 습한 바람을 쏘여 팔다리가 저리고 아픈 병증을 치료하는데 사용되며, 관절이 무겁고 시린 통증이 있는 증상, 뼈마디가 아픈 증상, 사지의 근맥이 땅기고 경련이 일어나며 뒤틀리는 증상 등을 치료하는데에도 사용된다. 또한, 방풍은 풍증을 제거하고 가려움증을 멈추는 효능이 있어 풍창을 개선하고 피부 소양증을 등을 치료하며, 간장에 붙은 인대에 들어가 풍증을 없애고 사지 뻗뻗해진 경증을 풀어주는 효능이 있어, 파상풍, 몸이 뒤로 젖혀지는 증상, 축이 뽑혀 경련이 나는 증상 등을 치료하는데 사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클로렐라(chlorella)는 담수, 해수, 공기, 토양 등 다양한 생태계에서 생존하며 엽록소를 가지고 있어 햇빛으로부터 광합성에 필요한 에너지를 얻고 이산화탄소와 같은 무기물로부터 탄소원을 얻어 독립적으로 성장이 가능한 생물을 일컫는다. 클로렐라는 편모가 없어 운동력이 없고, 세포는 1개의 핵과 컵 모양의 엽록체로 이루어지며, 성장한 세포는 특이한 세포 분열을 통해 빠르게 증식하고, 보통 4개의 딸세포가 내생포자를 형성하고 있으며, 피레노이도사(Pyrenoidosa), 불가리스(Bulgaris), 엘립소이데아(Ellipsoidea) 등 현재 약 10여종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클로렐라는 5대 영양소를 비롯한 40여 가지의 영양소를 모두 함유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광합성 능력도 우수하여 엽록소가 일반 채소류보다 10배나 많고, 현대인에게 결핍되어 있는 미네랄(mineral), 비타민 등이 다량 함유되어 있어 신체 영양의 균형을 맞추어 주고, 면역력 강화, 중금속 배출, 다이옥신 흡수 억제 등에 대한 뛰어난 효과가 있다. 게다가, 클로렐라는 알칼리성 식품으로서 육류나 곡류 등의 과다섭취로 인한 산성 체질을 알칼리성 체질로 변화시켜 주어 체내의 이온 밸런스의 균형을 유지해 주는 유용한 기능을 한다.
상기 당귀는 산형과(Umbelliferae)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인 안젤리카 기가스(Angelica gigas NAKAI), 안젤리카 시넨시스(A. sinensis DIELS), 안젤리카 아쿠틸로바(A. acutiloba KITAG.) 및 동속 근연식물의 뿌리를 건조한 것으로서, 보혈화혈, 조경지통, 윤조활장의 효능을 가진다고 알려져 있다. 뿌리는 진정작용, 진경작용, 혈압내림작용 등이 있고, 뿌리정유의 수용액을 관절염에 쓰면 진통작용과 소염작용이 있다고 하며, 한방에서는 빈혈증, 부인병, 임산부의 산후 회복에 주로 쓰이며 이 밖에도 심한 기침, 부스럼 등에 쓰인다.
상기 소엽(Perilla Leaf)은 꿀풀과에 속하는 1년생 초본 식물로서 차조기(Perilla frutescens var. acuta KUDO.)의 잎이다.
상기 단계 9 이후에,
물 100중량부에 은행잎 20~30중량부, 연잎 1~5중량부, 솔잎 1~5중량부, 감잎 1~5중량부 및 꾸지뽕잎 1~5중량부를 가하고 85~90℃에서 1~2시간 동안 가열한 후에 여과하여 제5 추출액을 수득하는 단계(단계 10); 및
상기 4차 볶은 천일염 100중량부에 상기 제5 추출액 6~10중량부를 가하고 175~180℃에서 5~10분 동안 5차 볶는 단계(단계 11);
를 추가할 수 있다.
상기 은행잎 성분의 경우, 플라보노이드 성분이 은행잎 엑기스의 주성분으로 알려져 있으며, 플라보노이드 성분은 항균, 항진균, 항바이러스 작용, 혈관계 조절 작용, 강장 작용, 항염증 작용, 항암 작용 등 많은 약리학적인 작용이 있는 것으로 밝혀져 있다. 또 다른 성분인 테르펜 락톤계 화합물인 빌로바라이드와 징코라이드는 살충 및 항균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있다. 특히, 플라보노이드 및 테르펜 락톤이 인체에 주요 유효성분으로 알려져, 그 동안 주로 혈액 순환 및 혈행 개선의 효능, 효과로 사용되어 왔다. 현재 시판되고 있는 은행잎 추출물에는 플라보노이드가 22~27%, 테르펜 락톤이 5~7% 정도 포함되어 있고, 플라보노이드 24%, 테르펜 락톤이 6% 비율로 존재할 때 가장 우수한 활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연구되어 있다.
상기 연잎은 미나리아재비목 수련과의 여러해살이 수초로서 연(Nelumbo nucifera)이라고도 하고, 비타민 C와 비타민 B12 및 아스파라긴, 아르기닌, 티로신 같은 아미노산이 함유되어 있어 피로회복 및 피부미용 개선작용 등에 효과가 있음은 물론 로에메린(roemerine)과 누시페린(nuciferine) 성분의 진통 진정작용이 있어 신경과민이나 스트레스 등에 효과가 있고, 민간에서는 폐렴, 기관지천식, 임질, 강장, 소화불량 뿐만 아니라, 뱀과 독벌레에 물렸을 때 사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왔다.
상기 솔잎은 소나무과의 상록침엽 교목의 잎으로서, 솔잎의 대표적인 성분인 탄닌은 피부에 번식하고 있는 미생물의 살균처리 효과가 있고, 엽록소는 상처나 모공수축에 탁월하고, 비타민류는 노화 억제에 필요한 항산화효소의 생성을 촉진해 주고, 지방산류는 유해물질 생성을 억제하고, 면역력강화에 도움을 주므로 여드름, 아토피에 좋으며, 수용성물질은 세척에 탁월한 효과와 세균류에 대해 직접적인 살균력을 가지고 있어 감염 또는 상처의 청정화가 가능하며 세포의 재생 및 표피의 형성에 도움을 준다고 알려져 있다.
상기 감잎은 페놀성 물질과 플라보노이드. 식이섬유. 비타민 C, 칼슘, 무기질, 아미노산, 복합 다당류 등이 다량 함유 되어 있다고 알려져 있다. 특히 폴리페놀의 기본구조인 Tannin은 몸의 붓기를 제거해 주고, 콜레스테롤의 축적을 막아 혈관 건강에 도움이되며, 고혈압, 동맥경화증 등을 예방한다고 알려져 있다.
상기 꾸지뽕잎은 한국·일본·중국 등지에 분포한다. 대표적인 효능은 혈관건강에 도움을 주며 어혈을 풀어 혈액순환을 원활히 해준다. 꾸지뽕 잎의 유용성분중 폴리페놀의 일종인 Catechine은 노화를 촉진하는 활성산소를 억제하는 강한 항산화제로 알려져 있다. 항암과 항당뇨등에 효능을 나타내주는 Catechine은 특히 혈관건강에 도움을 준다. 혈관내에 쌓인 콜레스테롤 및 중성지방을 제거해주고 배출 시킨다. 또한 체내의 산화질소생성을 증가시켜 혈관내피세포를 튼튼하게 해줘 탄력성을 높여주게 된다. 이와 더불어 꾸지뽕잎의 Rutin 또한 혈관건강에 도움이 되는 바로 알려져 있다.
상기 단계 11 이후에,
물 100중량부에 구기자 20~30중량부, 맥문동 1~5중량부, 황금 1~5중량부, 오미자 1~5중량부 및 오가피 1~5중량부를 가하고 95~100℃에서 2~3시간 동안 가열한 후에 여과하여 제6 추출액을 수득하는 단계(단계 12); 및
상기 5차 볶은 천일염 100중량부에 상기 제6 추출액 6~10중량부를 가하고 170~175℃에서 5~10분 동안 6차 볶는 단계(단계 13);
를 추가할 수 있다.
상기 구기자는 전통적으로 질병(간장, 신장, 혈압개선, 당뇨병 등)을 예방하고 원기(어지럼증, 신경성질환 등)를 회복시키는 효능으로 알려져 왔고, 주요 유효성분으로는 베타인(betaine)과 제아잔틴(zeaxanthin), β-시토스테롤(β-sitosterol), 피살리엔(physalien), 콜린(cholin) 등이 있으며, 그 중에 가장 대표적인 성분으로 알려져 있는 것은 베타인(betaine)과 제아잔틴(zeaxanthin)이다. 베타인(betaine)은 수용성으로 물을 용매로 하는 차나 탕에 존재하고, 제아잔틴(zeaxanthin)은 지용성으로 에탄올(ethanol)과 같은 유기용매에 추출되어 나오는 주요 기능성 성분이다. 구기자의 임상적 효능은 본초강목, 동의보감 등의 여러 본초문헌들에서 찾아 볼 수 있는데, 주로 고혈압, 두통, 마비, 신경성질환, 당뇨병 등의 성인병에 효능이 뛰어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최근에는 콜레스테롤 저감 효과도 보고된 바 있다.
상기 맥문동은 약재류로서 단독으로 사용하기 보다는 보약재의 일부로 첨가하여 사용되어 왔다. 그 대표적인 것으로는 생맥산, 온경탕, 감초탕 등 보음약이 있다. 맥문동의 주요 약리 성분으로는 스테로이드계 사포닌인 오피오포제닌(ophiopogenine) A, B, 메틸오피오포고논(methylophiopogonone) A, B, 오피오포고나논(ophiopogonanone) A, 메틸오피오포기나논(methylophiopoginanone) A, B 등의 호모-아이소플라보노이드류가 함유되어 있으며, 그 외 β-시토스테롤, 스티그마스테롤, β-시토스테롤 글루코시드, 올리고당 등의 다양한 다당류가 괴근에 약 60%이상 함유되어 있다. 맥문동 괴근에는 항암활성이 있으며 그 주요 성분이 스피케토사이드(spicatoside) A와 B의 구조를 가진 사포닌이다. 또한, 고콜레스테롤 식이를 급여한 쥐에 맥문동 추출물 섭취량을 증가시키면 지질배설량을 증가시켜 지질이 감소되고, 기아 스트레스로 유발된 생쥐의 혈중 코르티코스테론의 농도를 감소시켜 기아 스트레스를 감소시킨다.
상기 황금(생약명: Scutellaria Root, 학명: Scutellaria baicalensis Georgi)은 식물의 주피를 제거한 뿌리를 건조하여 한약재로 사용하며, 맛은 쓰고 성질은 차며, 폐, 담, 위, 대장 및 소장경에서 작용한다. 황금은 열을 식히고 습기를 말리며, 열을 태움으로써 독을 제거하는 효능이 있다. 또한, 황금은 지혈 및 임산부의 태기를 안정시키는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황금은 습기로 말미암아 발생하는 열병, 덥고 따듯하며 가슴이 답답하여 토하고 앓는 증상, 습한 열로 인해 흉부가 막혀 가득차고 답답한 반면, 아프지는 않은 증상, 황달, 폐에 열증이 생겨 기침이 나는 증상, 몸의 열이 높아 가슴에 열감과 갈증을 느끼는 증상, 혈액에 열이 높아 코피가 나는 증상, 종기 및 부스럼, 임산부의 복중 태아의 움직임이 불안한 증상, 자궁출혈, 혈뇨 등을 치료하는데 사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오미자(Schizandra chinensis)는 목련과에 속하는 넝굴성 식물인 오미자나무의 열매로 껍질의 신맛, 과육의 단맛, 씨의 맵고 쓴맛, 전체적으로 가지고 있는 짠맛 등 다섯 가지 맛이 배어난다고 해서 오미자라고 불린다. 오미자는 식용 및 약용으로 애용되고 있으며, 오미자의 주요 구성 성분으로는 디벤조[a,c]시클로옥타디엔(dibenzo[a,c]cyclooctadiene) 골격을 가진 약 30종류의 리그난이 포함되고, 대표적인 생리 활성 물질로는 시잔드린(schizandrin), 고미신(gomisin), 디옥시시잔드린(deoxyschizandrin), 시잔드롤(schizandrol) 등이 있다. 오미자의 약리작용으로서 항산화, 항균, 항혈전, 항비만, 항염증, 항암, 간 보호 효과 등이 보고된 바 있다.
상기 오가피는 오갈피라고도 불리며 학명은 아칸토파낙스 세실리플로루스(Acanthopanax sessiliflorus)로 식물 분류학적으로 두릅나무과(Araliaceae)에 속하는 낙엽 관목이며, 동속 식물의 뿌리껍질은 약용으로 이용되고 있다. 오가피에 함유된 리그난(lignan) 계통의 아칸토시드(acanthoside) B 및 D(eleutheroside E)는 강장, 당질 및 지방대사, 알코올 해독, 식욕 증진, 혈액 순환, 보온, 변비 개선 및 지방간에 유효하며, 아칸토시드 A와 C는 골수 조절, 백혈구 증가(면역, 저항력 향상), 알러지성 질환 개선, 암 치료 후 빠른 회복에 효과가 있다.
상기 단계 13 이후에,
물 100중량부에 금은화 20~30중량부, 숙지황 1~5중량부, 계피 1~5중량부, 야관문 1~5중량부 및 삼지구엽초 1~5중량부를 가하고 95~100℃에서 1~2시간 동안 가열한 후에 여과하여 제7 추출액을 수득하는 단계(단계 14); 및
상기 6차 볶은 천일염 100중량부에 상기 제7 추출액 6~10중량부를 가하고 165~170℃에서 5~10분 동안 7차 볶는 단계(단계 15);
를 추가할 수 있다.
상기 금은화(Lonicerae Flos)는 인동과(Caprifoliaceae) 인동덩굴(Lonicera japonica Thunberg)의 꽃봉오리 또는 막 피기 시작한 꽃이다. 인동덩굴은 줄기 또는 잎이 부착한 줄기를 인동이라 한다. 한국내에서는 전국 각지의 길섶, 산기슭, 개울가에 잘 자란다. 6, 7월경에 흰색의 꽃이 나중에 노란꽃이 된다고 하여 금은화라고 하며 초여름에 꽃봉오리가 맺혀 개화되기전 상태로 모아 그늘에 건조하여 사용한다. 꽃봉오리는 작은 막대모양을 한 꽃봉오리와 입술모양의 꽃이 섞여 있으며 길이는 15~35mm 정도이고, 위부분은 직경 약 3mm, 아래부분은 직경 약 1.5mm이다. 바깥면은 황백색 또는 녹백색이고 오래 저장한 것일수록 색은 진하다. 확대경으로 보면 연한 갈색의 털이 밀생하고 꽃받침은 녹색으로 끝이 5개로 갈라져 있고 갈라진 조각은 털이 있고 길이가 약 2mm이다. 수술은 5개로 황색이고 암술은 1개이며 자방에는 털이 없다. 맛은 담배하고 쓰며 특유한 냄새가 난다. 금은화의 주요 활성 물질에는 다양한 작용기를 가진 페놀성 화합물(phenolic compounds), 이리돌리스(iridolis), 플라보노이드(flavonoids) 등이 있다. 생리활성 물질에 대한 연구에 의하면, 함유된 천연물질 중에서 생리활성과 함량이 우수한 물질로는 페놀성 화합물 중 chrologenic acid, 3,5-dicaffeoylquinic acid, 이리돌리스 중 swerosids와 (E)-aldosecologanin, 그리고 플라보노이드 중 luteolin-7-O-glucoside 등이 보고되어있다. 금은화는 몸의 열증을 제거하고 독성 물질의 작용을 없애는 약성을 가지고 있으며 한방에서는 종기, 매독, 임질, 치질, 맥관염 등에 널리 활용하고 있다. 약리적으로는 이질균, 장티푸스균, 파라티푸스균, 대장균, 백일해균, 디프테리아균, 결핵균, 포도구균, 용혈성 연쇄구균 등에 비교적 강력한 염증 억제 작용이 보고되고 있으며, 당뇨병, 류마티스 관절염 치료 및 혈액의 독성을 제거하거나 중화시키는 약물로 사용되어 오고 있다.
상기 숙지황은 지황(Rehmannia glutinosa Liboschitz var. purpurea Makino 또는 R. glutinosa Liboschitz)의 뿌리를 가공한 것으로, 혈액 결핍 및 이에 따른 간과 심장의 영양 부족의 치료를 위해 사용되고, 또한 간과 신장의 음을 강하게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간과 심장의 영양 부족에 따라 등 통증, 어지럼증, 현기증, 이명, 청력감퇴, 주기적인 발열, 식은땀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숙지황은 충을 보충하고, 뼈골을 채우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신장의 영양결핍에 따른 헛기침, 천명, 천식 등을 경감시킬 수 있다고 알려진다.
상기 계피(Cinnamomum cassia bark)는 녹나무과에 속하며 주로 중국의 남부나 베트남, 스리랑카, 인도차이나 및 한국에 자생한다. 계피의 주요성분으로는 시나믹 알데히드(cinnamic aldehyde), 유제놀(eugenol) 등이 알려져 있고, 예로부터 발한제, 해열제, 진통제 뿐 아니라 식료품의 향료 등 다양하게 사용되어 왔다. 또한, 장 연동운동을 촉진하고 장내의 이상발효를 억제하는 방부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으며 미생물 오염과 생장을 억제하는 천연 항균제이다.
상기 야관문은 쌍떡잎식물 장미목 콩과의 반관목로서 콩과에 딸린 여러해살이 풀로서, 우리말로는 비수리(Lespedeza cuneata)라 하며, 예부터 천연 정력제로 알려진 야관문(비수리)은 비뇨 생식기계통, 간기능계통, 호흡기계통에 효과가 있고 알려져 있다. 야관문은 흔한 풀이다. 새로 찻길을 닦느라고 깍아낸 비탈 같은 곳에 무리지어 자란다. 즉, 야관문은 콩과에 속하는 다년생초이며, 키는 1m 정도이고 반관목처럼 보인다. 잎은 3장의 잔잎으로 이루어진 겹잎으로 어긋난다. 잎보다 작은 연한 노란색 꽃이 늦여름부터 이른 가을에 걸쳐 잎겨드랑이에 2~4송이씩 무리지어 피며 때때로 꽃이 벌어지지 않는 폐쇄화가 달리기도 한다. 줄기는 엮어 광주리를 만드는 데 썼고, 중국에서는 한방에서 거담·기관지염을 치료하거나 강장제로 사용하기도 한다. 주로 우리 나라 각처의 들에서 자생하며 일본과 중국, 대만 등지에도 분포한다. 가축 사료 및 빗자루 재료 과거 황폐지의 지피물 조성과 지력증진 식물로 사방조림지에 파종한 바도 있다. 야관문의 성분은 피니톨(pinitol), 플라보노이드(flavonoid), 페놀(phenol)성 성분, 탄닌(tannin) 및 베타-시토스테롤(β-sitosterol)을 함유한다. 상기 플라보노이드(flavonoid)에서는 키어세틴(quercetin), 캠프페롤(kaempferol), 비테신(vitexin), 오리엔틴(orientin) 등으로 분리된다. 야관문의 맛은 쓰고 약간 매우며, 성질은 평하고 독이 없다. 폐와 간, 콩팥에 주로 작용한다. 간과 콩팥을 튼튼하게 하고 어혈을 없애며 부은 것을 내리게 한다. 몽정, 대하, 설사, 타박상, 천식을 낫게 하고 눈을 밝게 하며 근육과 힘줄을 부드럽게 하며 혈액순환이 잘 되게 한다. 또 열을 내리고 뱃속에 있는 벌레를 죽이며 유방에 생긴 종기, 뱀에 물린 상처, 눈이 빨갛게 충혈된 것을 치료하며, 위궤양, 탈항에도 효과가 있다. 야관문의 잎, 뿌리, 줄기에는 플라보노이드, 피니톨, 페놀, 탄닌, 시토스테롤 등이 있는데, 이들 성분이 염증을 없애고 가래를 삭이며 황색포도상구균, 폐렴상구균, 연쇄상구균, 카타르구균 등을 죽이거나 억제한다.
상기 삼지구엽초(Epimedium koreanum)는 쌍떡잎식물 미나리아재비목 매자나무과의 여러해살이풀로, 한국, 중국 동북부 지역 등에서 자생하고 있는 식물이다. 주로, 산지의 나무 그늘에서 자라며, 뿌리줄기는 옆으로 뻗고 잔뿌리가 많이 달린다. 줄기는 뭉쳐나고 높이가 30 cm이며 가늘고 털이 없으며 밑부분은 비늘 모양의 잎으로 둘러싸인다. 줄기 윗부분은 3개의 가지가 갈라지고 가지 끝마다 3개의 잎이 달리므로 삼지구엽초라고 한다. 뿌리에서 나온 잎은 모여나고 잎자루가 길다. 줄기에 달린 잎은 길이 5~13.5 cm의 달걀 모양이고 끝이 뾰족하며 밑부분은 심장 모양이고 가장자리에 털 같은 잔 톱니가 있다. 꽃은 5월에 피고 줄기 끝에 총상꽃차례를 이루며 밑을 향해 달린다. 열매는 골돌이고 길이 10~13 mm의 양끝이 뾰족한 원기둥 모양이다. 한방에서는 식물체 전체를 음양곽이라는 약재로 쓰는데, 최음, 강장, 강정 및 거풍 효과가 있다. 민간에서는 음위, 신경쇠약, 건망증, 히스테리 및 발기력 부족 등에 사용한다.
본 발명은, 상기 양념소금 100중량부에 스테비아발효추출물 0.1~1중량부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양념소금에 스테비아발효추출물을 추가함으로써 맛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스테비아는 국화과에 속하는 다년생 숙근초이다. 남아메리카의 파라과이, 아르헨티나, 브라질등의 국경 산간지에 자생하고 있다. 잎은 피침형이고 가는 톱니가 있으며 굴곡이 있고 잎자루는 없으며 줄기에 마주나기로 붙는다. 줄기는 70-100 cm쯤 자라며 각 마디에는 잎이 달리고 잎겨드랑이에서 가지가 돋는다. 월동 중 줄기의 기능은 상실되며 뿌리 가까이 있는 숨은 눈에서 새가지가 자라 매년 새로운 줄기를 이루게 된다. 뿌리는 원뿌리의 발달이 분명하지 않고 많은 곁뿌리와 막뿌리가 있으며, 생육 후기에는 굵은 뿌리가 발달해서 저장 기능을 가지게 된다. 꽃은 한 송이에 5-6개의 통상화가 모여서 피며, 자가불화합성의 성질을 보인다. 단일성 식물이므로 단일 조건에서 개화가 촉진된다. 스테비아 잎에는 주요한 감미성분으로 스테비오사이드(stevioside)를 전초 무게 대비 6-7% 함유하고 있는데, 그 함유율은 개체에 따라 차이가 크다. 상기 스테비오사이드는 감미도가 설탕의 250배이며, 비발암성 혹은 무칼로리의 당 대체 감미료로서 해산품, 피클 야채, 디저트, 음료와 과자류 등에 사용되고 있으며, 비만, 당뇨병, 심장병, 고혈압, 고지혈증 등의 성인병 환자 및 충치 환자들에게 저혈당 감미료로 각광받고 있다.
상기 스테비아 추출발효물은 스테비아 100중량부에 정제수 800~1,000중량부를 넣고 90~95℃에서 4~6시간 동안 추출한 스테비아 추출액 100중량부에 복합합성균 5~10중량부를 첨가하고 35~40℃에서 46~48시간 동안 발효시킨 발효액을 동결건조하여 제조한다.
상기 복합합성균은 홍국균 40~50중량%, 고초균 20~30중량%, 효모 10~20중량% 및 누룩균 5~15중량%를 포함한다.
상기 홍국균은 자낭균문 모나스커스(Monascus)속에 속하는 붉은색의 사상균으로서, 쌀 등과 같은 곡류를 발효시키는 과정에서 각종 유익한 대사산물로 진한 빨간색의 색소 및 모나콜린 K 등을 생산한다. 이 균은 중국을 중심으로 동아시아의 여러 지역에서 천연의 식품 착색제나 가공품 및 소화 촉진과 혈류 개선의 소재로서 오랫동안 사용되어 왔다. 홍국균이 생성하는 2차 대사산물인 메비놀린은 콜레스테롤 생합성효소인 HMG-CoA(3-hydroxy-methyl-3-glutaryl-coenzyme) 환원효소를 강력하게 저해하여 혈중지질 농도를 감소시키고 콜레스테롤 합성을 억제하거나 항진균, 혈당상승의 억제, 혈압조절, 항비만, 항암 등과 같은 각종 기능성을 가진다. 또한, 홍국균은 적색계 색소(rubropuntain, monascorubin)와 황색계 색소(monascin, ankaflavin), 자색계 색소(rubropunctamine, monascorubramine) 등을 생성하며, 이와 같은 색소물질은 항균 및 항암효과가 있다.
상기 홍국균은 모나스커스 필로서스(Monascus pilosus), 모나스커스 러버(Monascus ruber), 모나스커스 퍼프레우스(Monascus purpureus), 모나스커스 카올리앙(Monascus kaoliang), 모나스커스 바리케리(Monascus barykery) 및 모나스커스 안카(Monascus anka)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고초균은 바실러스 섭틸리스(B. subtilis), 바실러스 리크네포르미스(B. lichneformis), 바실러스 메가테리움(B. megaterium), 바실러스 아밀로리퀘파시엔스(B. amyloliquefaciens), 바실러스 낫토(B. natto), 바실러스 안스라시스(B.antharcis), 바실러스렌투스(B.lentus), 바실러스 퍼미러스(B.pumilus), 바실러스 더링지엔시스(B.thuringiensis), 바실러스 알베이(B.alvei), 바실러스 아조토픽산스(B.azotofixans), 바실러스 매세란스(B.macerans), 바실러스 포리믹사(B.polymyxa), 바실러스 파필리에(B.popilliae), 바실러스 코아글란스(B.coagulans), 바실러스 스테아로더모필러스(B.stearothermophilus), 바실러스 파스퇴리(B.pasteurii), 바실러스 패리커스(B.sphaericus) 및 바실러스 패스티디오서스(B.fastidiosus)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효모는 사카로마이세스 루시(Saccharomyces rouxii),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시아에(Saccharomyces cereviciae), 사카로마이세스 오비폴미스(Saccharomyces oviformis) 및 사카로마이세스 스테이네리(Saccharomyces steineri)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누룩균은 아스퍼질러스 오리제(Aspergillus oryzae) 및 아스퍼질러스 소제(Aspergillus soja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양념소금의 제조방법은 양념소금 제조시 첨가한 성분과 소금의 분리를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양념소금의 제조방법은 7차례 볶음으로 인해 맛이 우수한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양념소금은 음식을 조리할 때에 사용할 수 있고, 고기를 구울 때 사용할 수 있으며, 구강을 양치할 때 사용할 수 있다.
이하, 실시 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효과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 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 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혼합수 100중량부에 천일염 60중량부를 가하고 35℃에서 3시간 동안 가열하여 천일염의 불순물을 제거하였다. 상기 혼합수는 정제수 60중량%, 함초 20중량%, 고들빼기 15중량% 및 둥굴레 5중량%를 25℃에서 12시간 동안 방치하여 수득하였다. 물 100중량부에 산뽕나무 25 중량부, 표고버섯 5중량부, 양파 5중량부, 다시마 5중량부 및 감초 5중량부를 가하고 100℃에서 24시간 동안 가열한 후에 여과하여 제1 추출액을 수득하였다. 상기 산뽕나무는 산뽕나무 가지 및 산뽕나무 잎을 중량비 1:1로 사용하였다. 상기 불순물이 제거된 천일염 100중량부에 상기 제1 추출액 10중량부를 가하고 200℃에서 5분 동안 1차 볶아서 양념소금을 제조하였다.
물 100중량부에 마키베리(maquiberry) 25중량부, 블랙초크베리(black chokeberry) 5중량부, 링곤베리(lingonberry) 5중량부, 블루베리(blueberry) 5중량부 및 크랜베리(cranberry) 5중량부를 가하고 85℃에서 1시간 동안 가열한 후에 여과하여 제2 추출액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상기 1차 볶은 천일염 100중량부에 상기 제2 추출액 10중량부를 가하고 195℃에서 5분 동안 2차 볶았다. 물 100중량부에 도라지 25중량부, 산양삼뿌리 5중량부, 배 5중량부, 생강 5중량부 및 콩나물 5중량부를 가하고 110℃에서 6시간 동안 가열한 후에 여과하여 제3 추출액을 수득하였다. 상기 2차 볶은 천일염 100중량부에 상기 제3 추출액 10중량부를 가하고 190℃에서 5분 동안 3차 볶았다. 물 100중량부에 황기 25중량부, 방풍 5중량부, 클로렐라 5중량부, 당귀 5중량부 및 소엽 5중량부를 가하고 100℃에서 1시간 동안 가열한 후에 여과하여 제4 추출액을 수득하였다. 상기 3차 볶은 천일염 100중량부에 상기 제4 추출액 10중량부를 가하고 185℃에서 5분 동안 4차 볶았다. 물 100중량부에 은행잎 25중량부, 연잎 5중량부, 솔잎 5중량부, 감잎 5중량부 및 꾸지뽕잎 5중량부를 가하고 90℃에서 1시간 동안 가열한 후에 여과하여 제5 추출액을 수득하였다. 상기 4차 볶은 천일염 100중량부에 상기 제5 추출액 10중량부를 가하고 180℃에서 5분 동안 5차 볶았다. 물 100중량부에 구기자 25중량부, 맥문동 5중량부, 황금 5중량부, 오미자 5중량부 및 오가피 5중량부를 가하고 100℃에서 2시간 동안 가열한 후에 여과하여 제6 추출액을 수득하였다. 상기 5차 볶은 천일염 100중량부에 상기 제6 추출액 10중량부를 가하고 175℃에서 5분 동안 6차 볶았다. 물 100중량부에 금은화 25중량부, 숙지황 5중량부, 계피 5중량부, 야관문 5중량부 및 삼지구엽초 5중량부를 가하고 100℃에서 1시간 동안 가열한 후에 여과하여 제7 추출액을 수득하였다. 상기 6차 볶은 천일염 100중량부에 상기 제7 추출액 10중량부를 가하고 170℃에서 5분 동안 7차 볶아서 양념소금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에서 제조한 양념소금 100중량부에 스테비아 추출발효물 1중량부를 혼합하여 양념소금을 제조하였다.
상기 스테비아 추출발효물은 스테비아 100중량부에 정제수 1,000중량부를 넣고 95℃에서 4시간 동안 추출한 스테비아 추출액 100중량부에 복합합성균 5중량부를 첨가하고 35℃에서 48시간 동안 발효시킨 발효액을 동결건조하여 제조하였다. 상기 복합합성균은 홍국균 50중량%, 고초균 30중량%, 효모 15중량% 및 누룩균 5중량%를 혼합하여 제조하였다. 상기 홍국균은 모나스커스 필로서스(Monascus pilosus)를 사용하였고, 상기 고초균은 바실러스 섭틸리스(B. subtilis)를 사용하였고, 상기 효모는 사카로마이세스 루시(Saccharomyces rouxii)를 사용하였고, 상기 누룩균은 아스퍼질러스 오리제(Aspergillus oryzae)를 사용하였다.
[비교예 1]
천일염을 정제수에 용해하고, 상기 정제수에 참숯 활성탄 분말을 혼합하여 상기 천일염에 함유되어 있는 미세 불순물을 흡착하여 제거하였고, 상기 천일염 용액을 건조 및 분쇄하고 가열 및 냉각하여 0.5 내지 5mm의 입경의 천일염 분말을 제조하였다. 다음으로, 뽕잎 생재를 솔잎 및 탄산수소나트륨을 이용하여 세척한 후 건조하였고, 상기 건조된 뽕잎을 100 내지 200메시(mesh)의 입도로 분말화하였다. 이어서, 상기 천일염 96중량% 및 뽕잎 분말 4중량%를 혼합하여 항아리에 저장하였고, 상기 항아리에 2년 동안 보관하여 상기 천일염에 함유되어 있는 간수를 제거함으로써, 뽕잎 소금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1]
실시예 1 내지 3에서 제조한 양념소금과 비교예 1에서 제조한 뽕잎소금에 대하여 관능평가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관능시험은 식품관련 전문가 및 일반 소비자 5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고, 점수 및 평가기순은 9점 채점법을 이용하였다. 평가 기준은 매우 좋음; 9점, 좋음; 7점, 보통; 5점, 나쁨; 3점, 매우 나쁨; 1점으로 하였다.
전체적인 기호도
실시예 1 8.7 8.6 8.6 8.6
실시예 2 8.8 8.8 8.7 8.7
실시예 3 8.9 8.8 8.7 8.8
비교예 1 8.7 8.6 8.5 8.6
표 1에 의하면,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양념소금은 비교예 1의 뽕잎소금에 비하여 비하여 맛 및 전체적인 기호도가 유사한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실시예 2, 3에서 제조한 양념소금은 비교예 1의 뽕잎소금에 비하여 ㅁ맛 향, 색 및 전체적인 기호도가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2]
실시예 1 내지 3에서 제조한 양념소금과 비교예 1에서 제조한 뽕잎소금을 사용하여 생선구이를 조리하여 맛을 평가하도록 하였으며,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관능시험은 식품관련 전문가 및 일반 소비자 5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고, 점수 및 평가기순은 9점 채점법을 이용하였다. 평가 기준은 매우 좋음; 9점, 좋음; 7점, 보통; 5점, 나쁨; 3점, 매우 나쁨; 1점으로 하였다.
생선구이 맛
실시예 1 8.3
실시예 2 8.5
실시예 3 8.6
비교예 1 8.1
표 2에 의하면,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의 양념소금을 이용하여 조리한 생선구이는 비교예 1의 뽕잎소금을 이용하여 조리한 생선구이에 비하여 맛이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다.
[실험예 3]
실시예 1 내지 3에서 제조한 양념소금과 비교예 1에서 제조한 뽕잎소금의 염도를 측정하여 표 3에 나타내었다.
염도(%)
실시예 1 86.7
실시예 2 83.7
실시예 3 82.1
비교예 1 93.3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1 내지 3의 양념소금은 비교예 1의 뽕잎 소금에 비해 염도가 낮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Claims (4)

  1. 천일염의 불순물을 제거하는 단계(단계 1);
    물 100중량부에 산뽕나무 20~30중량부, 표고버섯 1~5중량부, 양파 1~5중량부, 다시마 1~5중량부 및 감초 1~5중량부를 가하고 100~105℃에서 24~25시간 동안 가열한 후에 여과하여 제1 추출액을 수득하는 단계(단계 2); 및
    상기 불순물이 제거된 천일염 100중량부에 상기 제1 추출액 6~10중량부를 가하고 195~200℃에서 5~10분 동안 1차 볶는 단계(단계 3);
    를 포함하는,
    양념소금의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1은 혼합수 100중량부에 천일염 50~60중량부를 가하고 30~35℃에서 2~3시간 동안 가열하되,
    상기 혼합수는 정제수 60~70중량%, 함초 15~25중량%, 고들빼기 10~20중량% 및 둥굴레 1~5중량%를 20~25℃에서 10~12시간 동안 방치하여 수득하는,
    양념소금의 제조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3 이후에,
    물 100중량부에 마키베리(maquiberry) 20~30중량부, 블랙초크베리(black chokeberry) 1~5중량부, 링곤베리(lingonberry) 1~5중량부, 블루베리(blueberry) 1~5중량부 및 크랜베리(cranberry) 1~5중량부를 가하고 80~85℃에서 1~2시간 동안 가열한 후에 여과하여 제2 추출액을 수득하는 단계(단계 4);
    상기 1차 볶은 천일염 100중량부에 상기 제2 추출액 6~10중량부를 가하고 190~195℃에서 5~10분 동안 2차 볶는 단계(단계 5);
    물 100중량부에 도라지 20~30중량부, 산양삼 1~5중량부, 배 1~5중량부, 생강 1~5중량부 및 콩나물 1~5중량부를 가하고 105~110℃에서 5~6시간 동안 가열한 후에 여과하여 제3 추출액을 수득하는 단계(단계 6);
    상기 2차 볶은 천일염 100중량부에 상기 제3 추출액 6~10중량부를 가하고 185~190℃에서 5~10분 동안 3차 볶는 단계(단계 7);
    물 100중량부에 황기 20~30중량부, 방풍 1~5중량부, 클로렐라 1~5중량부, 당귀 1~5중량부 및 소엽 1~5중량부를 가하고 95~100℃에서 1~2시간 동안 가열한 후에 여과하여 제4 추출액을 수득하는 단계(단계 8);
    상기 3차 볶은 천일염 100중량부에 상기 제4 추출액 6~10중량부를 가하고 180~185℃에서 5~10분 동안 4차 볶는 단계(단계 9);
    물 100중량부에 은행잎 20~30중량부, 연잎 1~5중량부, 솔잎 1~5중량부, 감잎 1~5중량부 및 꾸지뽕잎 1~5중량부를 가하고 85~90℃에서 1~2시간 동안 가열한 후에 여과하여 제5 추출액을 수득하는 단계(단계 10);
    상기 4차 볶은 천일염 100중량부에 상기 제5 추출액 6~10중량부를 가하고 175~180℃에서 5~10분 동안 5차 볶는 단계(단계 11);
    물 100중량부에 구기자 20~30중량부, 맥문동 1~5중량부, 황금 1~5중량부, 오미자 1~5중량부 및 오가피 1~5중량부를 가하고 95~100℃에서 2~3시간 동안 가열한 후에 여과하여 제6 추출액을 수득하는 단계(단계 12);
    상기 5차 볶은 천일염 100중량부에 상기 제6 추출액 6~10중량부를 가하고 170~175℃에서 5~10분 동안 6차 볶는 단계(단계 13);
    물 100중량부에 금은화 20~30중량부, 숙지황 1~5중량부, 계피 1~5중량부, 야관문 1~5중량부 및 삼지구엽초 1~5중량부를 가하고 95~100℃에서 1~2시간 동안 가열한 후에 여과하여 제7 추출액을 수득하는 단계(단계 14); 및
    상기 6차 볶은 천일염 100중량부에 상기 제7 추출액 6~10중량부를 가하고 165~170℃에서 5~10분 동안 7차 볶는 단계(단계 15);
    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양념소금의 제조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양념소금 100중량부에 스테비아발효추출물 0.1~1중량부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되,
    상기 스테비아 추출발효물은 스테비아 100중량부에 정제수 800~1,000중량부를 넣고 90~95℃에서 4~6시간 동안 추출한 스테비아 추출액 100중량부에 복합합성균 5~10중량부를 첨가하고 35~40℃에서 46~48시간 동안 발효시킨 발효액을 동결건조하며,
    상기 복합합성균은 홍국균 40~50중량%, 고초균 20~30중량%, 효모 10~20중량% 및 누룩균 5~15중량%를 포함하는,
    양념소금의 제조방법.
KR1020200171320A 2020-12-09 2020-12-09 양념소금의 제조방법 KR1024916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1320A KR102491631B1 (ko) 2020-12-09 2020-12-09 양념소금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1320A KR102491631B1 (ko) 2020-12-09 2020-12-09 양념소금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1619A true KR20220081619A (ko) 2022-06-16
KR102491631B1 KR102491631B1 (ko) 2023-01-20

Family

ID=822172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1320A KR102491631B1 (ko) 2020-12-09 2020-12-09 양념소금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1631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8694B1 (ko) 2006-11-17 2008-07-28 박무성 증기를 이용한 천일염의 가공방법 및 가공장치
KR20080080465A (ko) * 2008-04-11 2008-09-04 김남호 식물진액을 함유한 소금 및 그 제조방법
KR100867144B1 (ko) 2007-04-23 2008-11-10 대구가톨릭대학교산학협력단 간수와 불순물을 제거한 맑은 소금 및 그 제조방법
KR20140072562A (ko) * 2012-12-05 2014-06-13 송형성 약제소금의 제조방법
KR20150025861A (ko) * 2013-08-30 2015-03-11 김재곤 연과 뽕나무 추출물을 포함한 소금 및 그 제조방법
KR101602717B1 (ko) 2015-11-27 2016-03-11 박종익 뽕잎 소금의 제조방법
KR101778190B1 (ko) * 2016-05-09 2017-09-14 농업회사법인 써니 (주) 기능성 마늘소금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8694B1 (ko) 2006-11-17 2008-07-28 박무성 증기를 이용한 천일염의 가공방법 및 가공장치
KR100867144B1 (ko) 2007-04-23 2008-11-10 대구가톨릭대학교산학협력단 간수와 불순물을 제거한 맑은 소금 및 그 제조방법
KR20080080465A (ko) * 2008-04-11 2008-09-04 김남호 식물진액을 함유한 소금 및 그 제조방법
KR20140072562A (ko) * 2012-12-05 2014-06-13 송형성 약제소금의 제조방법
KR20150025861A (ko) * 2013-08-30 2015-03-11 김재곤 연과 뽕나무 추출물을 포함한 소금 및 그 제조방법
KR101602717B1 (ko) 2015-11-27 2016-03-11 박종익 뽕잎 소금의 제조방법
KR101778190B1 (ko) * 2016-05-09 2017-09-14 농업회사법인 써니 (주) 기능성 마늘소금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91631B1 (ko) 2023-0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36052B1 (ko) 허브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간기능보호용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음료
KR20160087114A (ko) 꽃을 이용한 식품첨가제
CN104171203A (zh) 一种梨凉茶、制备方法及其应用
CN107156828A (zh) 一种适用于炎性肠病患者的全营养配方食品
CN111802615A (zh) 一种健康的麻辣味型火锅底料及其制备方法
CN103843953A (zh) 一种火麻佛手茶
KR101850400B1 (ko) 닭가슴살 육포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육포의 제조방법
CN105249369A (zh) 一种橡子刺梨槐花果酱的制作方法
KR100878664B1 (ko) 한방 간고등어 제조방법
KR101961356B1 (ko) 엉겅퀴 엑기스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04522661A (zh) 含金银花提取物的保健含片及其生产方法
KR20180089696A (ko) 천연식물 추출물의 잔류농약 제거방법
KR101961349B1 (ko) 백숙용 한방 엑기스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768612B1 (ko) 간기능 개선 효과를 갖는 식품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건강차의 제조방법
KR101028073B1 (ko) 혈액순환을 개선하여 신체 각 부위를 활성화 시키며 면역력을 증진시키는 작용 및 기전을 가진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CN104172054A (zh) 一种米粉的卤水
KR102491631B1 (ko) 양념소금의 제조방법
KR102136053B1 (ko) 허브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음료
KR101203790B1 (ko) 머위 된장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머위 된장
KR20090014254A (ko) 달콤한 미나리 침출 및 액상 차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KR100894284B1 (ko) 머위, 매실 및 함초를 함유하는 침출차와 액상추출차의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한 침출차와 액상추출차
KR102568831B1 (ko) 산양삼청의 제조방법
CN104256466A (zh) 一种米粉的卤水的制备方法
Ashok et al. Underutilized leafy vegetables of India and their pharmaceutical value to provoke human immune system
CN105055597B (zh) 治疗孔雀肠胃炎的中药制剂及其生产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