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2717B1 - 뽕잎 소금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뽕잎 소금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2717B1
KR101602717B1 KR1020150166900A KR20150166900A KR101602717B1 KR 101602717 B1 KR101602717 B1 KR 101602717B1 KR 1020150166900 A KR1020150166900 A KR 1020150166900A KR 20150166900 A KR20150166900 A KR 20150166900A KR 101602717 B1 KR101602717 B1 KR 1016027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lt
mulberry leaf
sun
drying
pow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69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종익
Original Assignee
박종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종익 filed Critical 박종익
Priority to KR10201501669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271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27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27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23L1/237
    • A23L1/0011
    • A23L1/0151
    • A23L1/0156
    • A23L1/3002

Landscapes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뽕잎 소금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뽕잎 소금의 제조방법은 천일염을 정제수에 용해하여 천일염 용액을 제조하는 천일염 용해 단계(S100); 상기 천일염 용액에 참숯 활성탄 분말을 첨가하여 교반함으로써 미세 불순물을 흡착하고, 상기 참숯 활성탄 분말을 체를 이용하여 걸러냄으로써 불순물이 제거된 천일염 용액을 제조하는 천일염 용액 교반 및 분리 단계(S200); 상기 불순물이 제거된 천일염 용액을 증발 또는 건조시켜 천일염을 재결정화하고 건조하는 천일염 재결정화 및 건조 단계(S300); 상기 건조된 천일염을 일정한 입경으로 분쇄하여 분말화하는 천일염 재결정의 분말화 단계(S400); 상기 분말화된 천일염을 가열하여 상기 천일염에 포함되어 있는 인체에 유해한 성분을 열분해하여 기화시켜 제거하는 천일염 가열 및 냉각 단계(S500); 상기 천일염 분말과 혼합될 뽕잎 생재를 준비하고, 뽕잎 생재의 풋내를 제거하고 이물질을 제거하는 뽕잎 세척 단계(S600); 상기 세척된 뽕잎 생재의 물기를 제거하는 뽕잎 건조 단계(S700); 상기 건조된 뽕잎을 분쇄하여 분말화하는 뽕잎 분말화 단계(S800); 상기 분말화된 천일염과 뽕잎을 혼합하는 천일염 및 뽕잎 분말 혼합 단계(S900); 및 상기 천일염과 뽕잎 분말을 일정한 용기에 보관하여 천일염에 포함되어 있는 간수를 제거하고 상기 천일염에 뽕잎 분말이 흡수되도록 저장하는 혼합된 천일염 및 뽕잎 분말 저장 단계(S1000)를 포함한다.
상기한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은 뽕잎 분말을 이용하여 자극성이 있는 쓴맛의 간수 및 불순물을 효과적으로 제거하고 천연의 색상 및 맛과 향을 가질 수 있으며 뽕잎의 유효성분이 소금에 균일하게 흡수되어 인체에 유익하고 뽕잎의 풍미를 맛볼 수 있다.

Description

뽕잎 소금의 제조방법{MANUFACTURING METHOD FOR MULBERRY LEAVES SALT}
본 발명은 뽕잎 소금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뽕잎 분말을 이용하여 자극성이 있는 쓴맛의 간수 및 불순물을 효과적으로 제거하고 천연의 색상 및 맛과 향을 가지는 뽕잎 소금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소금은 인간이 생명을 유지하는데 있어서 반드시 필요한 무기질 중 하나로 음식의 맛을 내는 조미료로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소금은 위액의 구성성분인 염산을 만들고 근육, 신경 등의 작용을 조절하는 등 여러가지 생리적 기능을 담당하게 된다. 특히 나트륨은 세포외액에 가장 많이 존재하는 양이온으로 세포외액량, 산·염기 평형, 세포막 전위 등의 조절 및 세포막에서 물질의 능동수송을 수행한다.
이처럼 소금이 인체 내에서 중요한 작용을 하나 소금 섭취량이 많아지면 인체 대사에 문제를 야기한다. 특히, 우리나라는 김치, 장류, 찌개 등과 같은 염분 고섭취 식습관으로 소금 섭취량이 많다.
일반적으로 천일염은 미네랄이 풍부한데, 우리나라의 천일염은 세계 5대 갯벌 중의 하나로서 미네랄이 풍부한 갯벌염전을 기반으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은 생산기반으로 천일염은 몸에 좋은 알칼리성 소금으로 산화가 낮고 칼슘(Ca), 마그네슘(Mg), 칼륨(K) 등 다양한 양이온들을 함유하고 있어 연화방지 효과가 우수하여 우리의 전통식품 김치, 장류, 젓갈류 등 그 고유의 맛과 풍미를 유지시켜왔다.
이러한 소금에는 염화나트륨뿐만 아니라 간수(Mgcl2·6H2O) 및 불순물이 함유되어 있다. 간수는 바닷물이나 짠물을 농축시켜서 소금을 채취하고 난 나머지 용액으로 주성분은 염화마그네슘이며, 독특한 자극성의 쓴맛을 내어 조리에 이용하는 경우 음식의 맛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된다.
따라서 시중에서 판매되고 있는 천일염은 물 세척하여 원심분리법으로 해수의 오염물질과 간수를 제거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리고 우리나라 전통의 간수제거법은 소금자루를 쌓아 1~2년 동안 방치해 놓거나 구멍 뚫린 항아리에 소금을 넣어 2~3년 정도 방치해 두어 흡습성의 간수가 녹아 빠져나가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의 방법은 시간이 많이 걸리는 단점과 물 세척 과정의 용해로 인한 소금손실이 있으며, 간수의 제거율도 크게 높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국내등록특허 제10-0867144호에는 간수와 불순물을 제거한 맑은 소금 및 그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제조방법은 간수를 제거하기 위해 습도를 95%, 온도 30℃의 저장고에 2 내지 3주간 소금을 적재하여 간수를 용출시키는 데, 이는 간수를 제거하는 데 많은 기간이 걸릴 뿐만 아니라 인체에 유용한 미네랄까지 함께 배출되므로 소금의 품질이 저하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국내공개특허 제10-2008-0044589호에는 증기를 이용한 천일염의 가공방법 및 가공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가공방법은 천일염에 고온의 증기를 가하여 간수를 제거하는 데, 이러한 종래의 기술은 고온의 증기에 의해 소금의 표면이 녹으면서 간수와 함께 천일염의 유용성분들까지도 제거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소금의 손실이 많고 소금 결정의 표면에서만 간수가 제거되는 문제점이 있다.
국내등록특허 제10-1192563호(2012년 10월 11일 등록) 국내등록특허 제10-1140156호(2012년 04월 19일 등록)
본 발명은 뽕잎 분말을 이용하여 자극성이 있는 쓴맛의 간수 및 불순물을 효과적으로 제거하고 천연의 색상 및 맛과 향을 가지는 뽕잎 소금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뽕잎의 유효성분이 소금에 균일하게 흡수되어 인체에 유익하고 뽕잎의 풍미를 맛볼 수 있는 뽕잎 소금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천일염을 용해, 재결정화 및 가열함으로써 짠맛의 강도가 통상의 소금에 비하여 향상되고 쓴맛 및 불쾌미가 개선된 뽕잎 소금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양한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뽕잎 소금의 제조방법은 천일염을 정제수에 용해하여 천일염 용액을 제조하는 천일염 용해 단계(S100); 상기 천일염 용액에 참숯 활성탄 분말을 첨가하여 교반함으로써 미세 불순물을 흡착하고, 상기 참숯 활성탄 분말을 체를 이용하여 걸러냄으로써 불순물이 제거된 천일염 용액을 제조하는 천일염 용액 교반 및 분리 단계(S200); 상기 불순물이 제거된 천일염 용액을 증발 또는 건조시켜 천일염을 재결정화하고 건조하는 천일염 재결정화 및 건조 단계(S300); 상기 건조된 천일염을 일정한 입경으로 분쇄하여 분말화하는 천일염 재결정의 분말화 단계(S400); 상기 분말화된 천일염을 가열하여 상기 천일염에 포함되어 있는 인체에 유해한 성분을 열분해하여 기화시켜 제거하는 천일염 가열 및 냉각 단계(S500); 상기 천일염 분말과 혼합될 뽕잎 생재를 준비하고, 뽕잎 생재의 풋내를 제거하고 이물질을 제거하는 뽕잎 세척 단계(S600); 상기 세척된 뽕잎 생재의 물기를 제거하는 뽕잎 건조 단계(S700); 상기 건조된 뽕잎을 분쇄하여 분말화하는 뽕잎 분말화 단계(S800); 상기 분말화된 천일염과 뽕잎을 혼합하는 천일염 및 뽕잎 분말 혼합 단계(S900); 및 상기 천일염과 뽕잎 분말을 일정한 용기에 보관하여 천일염에 포함되어 있는 간수를 제거하고 상기 천일염에 뽕잎 분말이 흡수되도록 저장하는 혼합된 천일염 및 뽕잎 분말 저장 단계(S1000)를 포함한다.
상기 천일염 용액 교반 및 분리 단계(S200)에서 상기 참숯 활성탄은 평균 입도가 1000 내지 3000㎛의 범위로 분말화되어 사용되고, 상기 천일염 용액 100 중량부에 대하여 참숯 활성탄 분말은 5 내지 10 중량부가 포함되어 교반되며, 상기 천일염 재결정화 및 건조 단계(S300)에서는 300 내지 350℃로 예열된 챔버에서 150 내지 250분 동안 수행되되, 상기 챔버 내에 구비된 교반기를 10000 내지 13000rpm의 속도로 회전시키면서 상기 정제수를 건조시켜 제거할 수 있다.
상기 천일염 재결정의 분말화 단계(S400)에서 천일염은 0.5 내지 5mm의 입경으로 분말화되고, 상기 천일염 가열 및 냉각 단계(S500)에서 상기 천일염의 가열은 500 내지 1000℃의 온도에서 2 내지 3시간 동안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뽕잎 세척 단계(S600)에서는 정제수 전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솔잎 5 내지 10 중량부 및 탄산수소나트륨(NaHCO3) 2 내지 3 중량부를 혼합하여 끓인 물에 상기 뽕잎 생재를 세척할 수 있다.
상기 뽕잎 건조 단계(S700)는 건조 후 상기 뽕잎 생재의 수분 함량이 처음의 10 내지 20%가 될 때까지 진행되고, 상기 뽕잎 분말화 단계(S800)에서 상기 뽕잎은 100 내지 200메시의 입도로 분말화될 수 있다.
상기 천일염 및 뽕잎 분말 혼합 단계(S900)는 상기 천일염은 95 내지 97중량% 및 상기 뽕잎 분말은 3 내지 5중량%가 포함되도록 혼합될 수 있다.
기타 실시 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뽕잎 소금은 뽕잎 분말을 이용하여 자극성이 있는 쓴맛의 간수 및 불순물을 효과적으로 제거하고 천연의 색상 및 맛과 향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뽕잎 소금은 뽕잎의 유효성분이 소금에 균일하게 흡수되어 인체에 유익하고 뽕잎의 풍미를 맛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뽕잎 소금은 천일염을 용해, 재결정화 및 가열함으로써 짠맛의 강도가 통상의 소금에 비하여 향상되고 쓴맛 및 불쾌미가 개선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실시예는, 구체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다양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이 충분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뽕잎 소금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뽕잎 소금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뽕잎 소금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뽕잎 소금의 제조방법은 천일염 용해 단계(S100), 천일염 용액 교반 및 분리 단계(S200), 천일염 재결정화 및 건조 단계(S300), 천일염 재결정의 분말화 단계(S400), 천일염 가열 및 냉각 단계(S500), 뽕잎 세척 단계(S600), 뽕잎 건조 단계(S700), 뽕잎 분말화 단계(S800), 천일염 및 뽕잎 분말 혼합 단계(S900), 및 혼합된 천일염 및 뽕잎 분말 저장 단계(S1000)를 포함한다.
1. 천일염 용해 단계(S100)
상기 천일염 용해 단계(S100)는 천일염을 정제수에 용해하여 천일염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이다.
상기 천일염에는 바닷물을 가두어 놓고 햇볕과 바람으로 수분을 증발, 결정시켜 제조되는데, 이러한 천일염에는 미세 불순물이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천일염 용해 단계에서는 상기 천일염을 정제수에 용해함으로써, 상기 정제수에 포함되어 있는 미세 불순물을 용해시키거나 용해된 천일염으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2. 천일염 용액 교반 및 분리 단계(S200)
상기 천일염 용액 교반 및 분리 단계(S200)는 상기 천일염 용액에 참숯 활성탄 분말을 첨가하여 교반함으로써 미세 불순물을 흡착하고, 상기 참숯 활성탄 분말을 체를 이용하여 걸러냄으로써 불순물이 제거된 천일염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이다.
상기 참숯 활성탄은 불쾌한 냄새나 미세 불순물을 흡착하는 성질을 가지도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상기 천일염 용액에 상기 참숯 활성탄 분말을 첨가함으로써 상기 천일염 용액에 포함되어 있는 미세 불순물 등을 제거할 수 있다.
상기 천일염 용액 교반 및 분리 단계(S200)에서 상기 참숯 활성탄은 평균 입도가 1000 내지 3000㎛의 범위로 분말화되어 사용될 수 있고, 상기 천일염 용액 100 중량부에 대하여 참숯 활성탄 분말은 5 내지 10 중량부가 포함되어 교반될 수 있는데, 상기 참숯 활성탄 분말이 상기한 하한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에는 흡착 효과가 저하될 수 있고, 상기한 상한 범위를 초과하여 포함되는 경우에는 참숯 활성탄 분말의 사용량 증가에 따른 흡착 효율 증가율이 크지 않고, 공정비용이 증가할 수 있다.
3. 천일염 재결정화 및 건조 단계(S300)
상기 천일염 재결정화 및 건조 단계(S300)는 상기 불순물이 제거된 천일염 용액을 증발 또는 건조시켜 천일염을 재결정화하고 건조하여 정제수를 제거하는 단계이다.
상기 천일염 재결정화 및 건조 단계(S300)는 300 내지 350℃로 예열된 챔버에서 150 내지 250분 동안 수행될 수 있는데, 공급노즐을 통해 상기 챔버로 미세 불순물이 제거된 천일염 용액을 분사하는 형태로 공급함으로써 천일염을 재결정화하여 정제수를 건조시켜 제거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 상기 천일염 재결정화 및 건조 단계(S300)는 건조 속도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상기 챔버 내에 구비된 교반기를 10000 내지 13000rpm의 속도로 회전시키면서 상기 정제수를 건조시켜 제거할 수 있다.
4. 천일염 재결정의 분말화 단계(S400)
상기 천일염 재결정의 분말화 단계(S400)는 건조된 천일염을 일정한 입경으로 분쇄하여 분말화하는 단계로, 뽕잎 분말과 균일하게 혼합될 수 있도록 0.5 내지 5mm의 입경으로 분말화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천일염 재결정의 분말화 단계(S400)는 건조된 천일염을 분쇄기 등을 이용하여 가압 및 분쇄함으로써 분말화된 식염을 제조할 수 있다.
5. 천일염 가열 및 냉각 단계(S500)
상기 천일염 가열 및 냉각 단계(S500)는 상기 분말화된 천일염을 가열하여 상기 천일염에 포함되어 있는 인체에 유해한 성분을 열분해하여 기화시켜 제거하는 단계이다.
상기 천일염 가열 및 냉각 단계(S500)에서 상기 천일염의 가열은 500 내지 1000℃의 온도에서 2 내지 3시간 동안 점진적으로 온도를 상승시켜 가열함과 동시에 팬의 송풍력으로 천일염 속에 포함된 인체에 유해한 성분을 열분해하여 기화시킴으로써 상기 천일염에 포함되어 있는 유해한 성분을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6. 뽕잎 세척 단계(S600)
상기 뽕잎 세척 단계(S600)는 뽕잎 생재의 풋내를 제거하고 이물질을 제거하는 단계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뽕잎 세척 단계(S600)에서는 뽕잎에 함유되어 있는 섬유질을 연화시키고 엽록소 색소의 유지를 위하여 정제수 전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솔잎 5 내지 10 중량부 및 탄산수소나트륨(NaHCO3) 2 내지 3 중량부를 혼합하여 끓인 물에 상기 뽕잎 생재를 세척함으로써 진행될 수 있다.
상기 뽕잎은 콜레스테롤과 중성지질을 떨어뜨리는 가바(GABA) 성분이 풍부하여 혈압을 낮추고, 루틴(Rutin)은 모세혈관을 강화해 출혈성 질환이 있는 병에 효과적이며, 혈당강하 물질인 DNJ 성분이 혈당을 떨어뜨려 당뇨에도 효과적이다.
또한, 상기 뽕잎에는 철분, 칼슘을 비롯한 50여종의 미량 효소들이 다량 함유되어 있으므로, 본 발명과 같이 상기 뽕잎 분말과 혼합되어 제조되는 뽕잎 소금은 쓴맛 및 불쾌미가 개선되고 맛과 풍미가 향상될 수 있다.
7. 뽕잎 건조 단계(S700)
상기 뽕잎 건조 단계(S700)는 상기 세척된 뽕잎 생재의 물기를 제거하는 단계로, 상기 뽕잎 건조 단계(S700)는 자연건조 또는 열풍 건조를 이용하여 진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뽕잎 건조 단계(S700)는 건조 후 상기 뽕잎 생재의 수분 함량이 처음의 10 내지 20%가 될 때까지 진행될 수 있다.
8. 뽕잎 분말화 단계(S800)
상기 뽕잎 분말화 단계(S800)는 건조된 뽕잎을 분쇄하여 분말화하는 단계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뽕잎 분말화 단계(S800)는 추후 공정에서 진행되는 천일염과의 균일하고 용이한 혼합을 위하여 100 내지 200메시(mesh)의 입도로 분말화될 수 있다.
9. 천일염 및 뽕잎 분말 혼합 단계(S900)
상기 천일염 및 뽕잎 분말 혼합 단계(S900)는 상기 천일염과 분말화된 뽕잎을 혼합하는 단계이다.
상기 천일염 및 뽕잎 분말 혼합 단계(S900)에서는 뽕잎 분말이 천일염에 용이하게 흡수되도록 하기 위하여 전체 천일염 및 뽕잎 분말의 혼합물 중에서 상기 천일염은 95 내지 97중량% 및 상기 뽕잎 분말은 3 내지 5중량%가 포함되도록 혼합할 수 있다.
10. 혼합된 천일염 및 뽕잎 분말 저장 단계(S1000)
상기 천일염 및 뽕잎 분말 혼합물 저장 단계(S1000)는 상기 천일염과 뽕잎 분말을 일정한 용기에 보관하여 천일염에 포함되어 있는 간수를 제거하여 소금을 제조하는 단계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혼합된 천일염 및 뽕잎 분말 저장 단계(S1000)는 항아리에 상기 천일염 및 뽕잎 분말을 2 내지 3년 동안 보관함으로써 진행될 수 있고, 상기 항아리의 저면에는 일정한 구멍이 형성되도록 구성하여 상기 천일염에 함유되어 있는 간수가 상기 구멍을 통해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혼합된 천일염 및 뽕잎 분말 저장 단계(S1000)를 거침으로써 천일염에 함유되어 있는 간수가 제거됨과 동시에 상기 뽕잎 분말이 흡수되어 뽕잎 소금을 제조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뽕잎 소금의 제조방법에 대한 실시예들을 들어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 실시예 >
먼저, 천일염을 정제수에 용해하고, 상기 정제수에 참숯 활성탄 분말을 혼합하여 상기 천일염에 함유되어 있는 미세 불순물을 흡착하여 제거하였고, 상기 천일염 용액을 건조 및 분쇄하고 가열 및 냉각하여 0.5 내지 5mm의 입경의 천일염 분말을 제조하였다.
다음으로, 뽕잎 생재를 솔잎 및 탄산수소나트륨을 이용하여 세척한 후 건조하였고, 상기 건조된 뽕잎을 100 내지 200메시(mesh)의 입도로 분말화하였다.
이어서, 상기 천일염 96중량% 및 뽕잎 분말 4중량%를 혼합하여 항아리에 저장하였고, 상기 항아리에 2년 동안 보관하여 상기 천일염에 함유되어 있는 간수를 제거함으로써, 뽕잎 소금을 제조하였다.
< 비교예 >
천일염을 준비하였고, 상기 천일염을 항아리에 2년 동안 보관함으로써, 비교예에 따른 소금을 제조하였다.
상기의 실시예와 같이 제조된 뽕잎 소금과 전술한 비교예를 통해 준비된 소금의 불쾌미, 향 및 기호도 등에 대하여 관능평가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아래 [표 2]에 나타내었다. 관능시험은 식품관련 전문가 및 일반 소비자 5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고, 점수 및 평가기준은 9점 채점법을 이용하였으며, 아래 [표 1]에 나타내었다.
점수 평가 기준
9 매우 좋음
7 좋음
5 보통
3 나쁨
1 매우 나쁨
구분 불쾌미 정도 색상 종합적 선호도
실시예 8.7 8.6 8.5 8.6
비교예 5.0 5.3 5.2 5.1
전술한 [표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실시예를 통해 제조된 뽕잎 소금과 비교예를 통해 제조된 소금의 불쾌미, 향, 색상 및 종합적 선호도를 비교한 결과, 실시예에 의해 제조된 뽕잎 소금이 비교예에 의해 제조된 소금에 비해 전체적인 불쾌미, 향, 색상 및 종합적 선호도가 우수한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는 천일염에 함유되어 있는 미세 불순물을 제거하고 뽕잎 분말을 이용하여 간수를 제거함과 동시에 뽕잎 분말이 소금에 흡수되도록 함으로써, 소금의 향과 풍미를 향상시킨 것으로 판단된다.
< 뽕잎 소금의 성분 분석 >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뽕잎 소금과 비교예에 따라 제조된 소금의 성분분석을 수행하였다. 성분분석은 식품의약품안전처 식품공전의 방법으로 진행하였고, 함유되어 있는 일부 성분들의 결과를 하기의 [표 3]에 나타내었다.
구분(중량%) 실시예 비교예
나트륨 36.7 33.1
염소 56.9 52.2
칼륨 0.50 0.28
칼슘 0.13 0.35
마그네슘 0.87 0.98
0.0065 0.0043
망간 0.00088 0.0008
아연 0.00025 0.0001 이하
0.0001 0.0003 이하
게르마늄 미량 0.0001 이하
유황 0.29 0.11
환원당 및 당류 0.55 -
아미노산 1.32 -
사포닌 0.08 -
비타민 0.002 -
가바(GABA) 0.03 -
루틴(Rutin) 0.04 -
상기 [표 3]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뽕잎 소금은 나트륨, 염소 등의 성분이 높아 짠맛이 증가되고, 뽕잎 분말에 의해 가바, 비타민, 루틴 등의 성분이 함유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일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6)

  1. 천일염을 정제수에 용해하여 천일염 용액을 제조하는 천일염 용해 단계(S100);
    상기 천일염 용액에 참숯 활성탄 분말을 첨가하여 교반함으로써 미세 불순물을 흡착하고, 상기 참숯 활성탄 분말을 체를 이용하여 걸러냄으로써 불순물이 제거된 천일염 용액을 제조하는 천일염 용액 교반 및 분리 단계(S200);
    상기 불순물이 제거된 천일염 용액을 증발 또는 건조시켜 천일염을 재결정화하고 건조하는 천일염 재결정화 및 건조 단계(S300);
    상기 건조된 천일염을 일정한 입경으로 분쇄하여 분말화하는 천일염 재결정의 분말화 단계(S400);
    상기 분말화된 천일염을 가열하여 상기 천일염에 포함되어 있는 인체에 유해한 성분을 열분해하여 기화시켜 제거하는 천일염 가열 및 냉각 단계(S500);
    상기 천일염 분말과 혼합될 뽕잎 생재를 준비하고, 뽕잎 생재의 풋내를 제거하고 이물질을 제거하는 뽕잎 세척 단계(S600);
    상기 세척된 뽕잎 생재의 물기를 제거하는 뽕잎 건조 단계(S700);
    상기 건조된 뽕잎을 분쇄하여 분말화하는 뽕잎 분말화 단계(S800);
    상기 분말화된 천일염과 뽕잎을 혼합하는 천일염 및 뽕잎 분말 혼합 단계(S900); 및
    상기 천일염과 뽕잎 분말을 일정한 용기에 보관하여 천일염에 포함되어 있는 간수를 제거하고 상기 천일염에 뽕잎 분말이 흡수되도록 저장하는 혼합된 천일염 및 뽕잎 분말 저장 단계(S1000)를 포함하되,
    상기 뽕잎 세척 단계(S600)에서는 정제수 전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솔잎 5 내지 10 중량부 및 탄산수소나트륨(NaHCO3) 2 내지 3 중량부를 혼합하여 끓인 물에 상기 뽕잎 생재를 세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뽕잎 소금의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천일염 용액 교반 및 분리 단계(S200)에서 상기 참숯 활성탄은 평균 입도가 1000 내지 3000㎛의 범위로 분말화되어 사용되고, 상기 천일염 용액 100 중량부에 대하여 참숯 활성탄 분말은 5 내지 10 중량부가 포함되어 교반되며,
    상기 천일염 재결정화 및 건조 단계(S300)에서는 300 내지 350℃로 예열된 챔버에서 150 내지 250분 동안 수행되되, 상기 챔버 내에 구비된 교반기를 10000 내지 13000rpm의 속도로 회전시키면서 상기 정제수를 건조시켜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뽕잎 소금의 제조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천일염 재결정의 분말화 단계(S400)에서 천일염은 0.5 내지 5mm의 입경으로 분말화되고,
    상기 천일염 가열 및 냉각 단계(S500)에서 상기 천일염의 가열은 500 내지 1000℃의 온도에서 2 내지 3시간 동안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뽕잎 소금의 제조방법.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뽕잎 건조 단계(S700)는 건조 후 상기 뽕잎 생재의 수분 함량이 처음의 10 내지 20%가 될 때까지 진행되고,
    상기 뽕잎 분말화 단계(S800)에서 상기 뽕잎은 100 내지 200메시의 입도로 분말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뽕잎 소금의 제조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천일염 및 뽕잎 분말 혼합 단계(S900)는 상기 천일염은 95 내지 97중량% 및 상기 뽕잎 분말은 3 내지 5중량%가 포함되도록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뽕잎 소금의 제조방법.
KR1020150166900A 2015-11-27 2015-11-27 뽕잎 소금의 제조방법 KR1016027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6900A KR101602717B1 (ko) 2015-11-27 2015-11-27 뽕잎 소금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6900A KR101602717B1 (ko) 2015-11-27 2015-11-27 뽕잎 소금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02717B1 true KR101602717B1 (ko) 2016-03-11

Family

ID=555830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6900A KR101602717B1 (ko) 2015-11-27 2015-11-27 뽕잎 소금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2717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53832A (ko) * 2020-06-11 2021-12-20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오디 소금 또는 뽕잎 소금의 제조방법
KR20210154426A (ko) * 2020-06-12 2021-12-21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오디 소금 또는 뽕잎 소금의 제조방법
KR102363222B1 (ko) * 2021-04-23 2022-02-15 이춘근 혼합소금 제조방법
KR20220081619A (ko) 2020-12-09 2022-06-16 박진규 양념소금의 제조방법
KR20220098645A (ko) * 2021-01-04 2022-07-12 임회규 건조죽염 제조방법 및 그 제조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7545A (ko) * 1998-07-04 2000-02-07 이성문 생소금을 주제로 한 건강식품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90113927A (ko) * 2008-04-29 2009-11-03 정찬영 유기질 미네랄이 함유된 식용소금의 제조방법
KR20110002740A (ko) * 2009-07-02 2011-01-10 (주)화순테마랜드 뽕잎을 이용한 기능성 소금의 제조방법
KR20110009297A (ko) * 2009-07-22 2011-01-28 윤정은 황토와 뽕잎성분이 함유된 황토뽕잎소금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7545A (ko) * 1998-07-04 2000-02-07 이성문 생소금을 주제로 한 건강식품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90113927A (ko) * 2008-04-29 2009-11-03 정찬영 유기질 미네랄이 함유된 식용소금의 제조방법
KR20110002740A (ko) * 2009-07-02 2011-01-10 (주)화순테마랜드 뽕잎을 이용한 기능성 소금의 제조방법
KR101140156B1 (ko) 2009-07-02 2012-05-02 (주)죽력원 뽕잎을 이용한 기능성 소금의 제조방법
KR20110009297A (ko) * 2009-07-22 2011-01-28 윤정은 황토와 뽕잎성분이 함유된 황토뽕잎소금 제조방법
KR101192563B1 (ko) 2009-07-22 2012-10-17 윤정은 황토와 뽕잎성분이 함유된 황토뽕잎소금 제조방법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53832A (ko) * 2020-06-11 2021-12-20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오디 소금 또는 뽕잎 소금의 제조방법
KR102504383B1 (ko) * 2020-06-11 2023-03-03 대한민국 오디 소금 또는 뽕잎 소금의 제조방법
KR20210154426A (ko) * 2020-06-12 2021-12-21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오디 소금 또는 뽕잎 소금의 제조방법
KR102504384B1 (ko) * 2020-06-12 2023-03-02 대한민국 오디 소금 또는 뽕잎 소금의 제조방법
KR20220081619A (ko) 2020-12-09 2022-06-16 박진규 양념소금의 제조방법
KR20220098645A (ko) * 2021-01-04 2022-07-12 임회규 건조죽염 제조방법 및 그 제조장치
KR102517775B1 (ko) 2021-01-04 2023-04-06 임회규 건조죽염 제조방법 및 그 제조장치
KR102363222B1 (ko) * 2021-04-23 2022-02-15 이춘근 혼합소금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02717B1 (ko) 뽕잎 소금의 제조방법
JP5561161B2 (ja) アッケシソウ属由来の塩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955538B2 (ja) 植物起源の低ナトリウム塩
KR101140156B1 (ko) 뽕잎을 이용한 기능성 소금의 제조방법
KR101704750B1 (ko) 천일염 및 함초를 이용한 함초소금 제조 방법
KR20170024207A (ko) 식이섬유를 이용한 저염소금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식이섬유를 이용한 저염소금
KR101036325B1 (ko) 미네랄 강화 소금 및 그 제조방법
KR20160121305A (ko) 붉나무소금 및 그 제조 방법
KR101789747B1 (ko) 솔잎 소금의 제조방법
KR20110007279A (ko) 향기나는 소금 제조 방법
KR100520098B1 (ko) 버섯소금 제조방법
KR20150112174A (ko) 청양고추 소금 및 그 제조 방법
KR101672857B1 (ko) 간장게장의 제조방법
KR20160020746A (ko) 생홍고추를 이용한 토마토김치 및 그 제조방법
CN105661467B (zh) 一种红茶食用盐及其制作方法
KR100963558B1 (ko) 기능성 마늘 소금의 제조방법
KR100923150B1 (ko) 솔잎소금 제조방법
KR20110039967A (ko) 고품질 천일염의 속성 제조방법 및 그에 따라 제조된 천일염
KR101706954B1 (ko) 양념게장의 제조방법
CN110800985A (zh) 一种融合沙棘的多品种食用竹盐及其制备方法
KR100505199B1 (ko) 칼슘 염 및 그 제조 방법
KR102662891B1 (ko) 해삼 열수추출물을 이용한 소금 가공방법
KR20200098234A (ko) 유리가마를 이용한 용융 소금제조방법
KR101931766B1 (ko) 기능성 흑마늘 소금의 제조방법
KR101880566B1 (ko) 염장을 이용한 기능성 저염 소금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3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