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4893B1 - 정착장치 및 이를 갖는 화상형성장치 - Google Patents

정착장치 및 이를 갖는 화상형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4893B1
KR101774893B1 KR1020110000666A KR20110000666A KR101774893B1 KR 101774893 B1 KR101774893 B1 KR 101774893B1 KR 1020110000666 A KR1020110000666 A KR 1020110000666A KR 20110000666 A KR20110000666 A KR 20110000666A KR 101774893 B1 KR101774893 B1 KR 1017748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fixing
pressing
pressure
side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06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79405A (ko
Inventor
임재혁
최재명
문상철
김현일
박충규
Original Assignee
에스프린팅솔루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프린팅솔루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프린팅솔루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006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4893B1/ko
Priority to EP11195201.6A priority patent/EP2472336B1/en
Priority to US13/339,952 priority patent/US9354573B2/en
Priority to CN201110459374.6A priority patent/CN102681408B/zh
Publication of KR201200794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794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48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48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2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 G03G15/2003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 G03G15/201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using contact heat
    • G03G15/206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using contact heat combined with pressure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9/00Details other than those peculiar to special kinds or types of apparatus
    • G07F9/10Casings or parts thereof, e.g. with means for heating or cool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6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3/00Coin-free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ensing or fluids, semiliquids or granular material from reservoirs
    • G07F13/06Coin-free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ensing or fluids, semiliquids or granular material from reservoirs with selective dispensing of different fluids or materials or mixtures thereof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20Details of the fixing device or porcess
    • G03G2215/2003Structural features of the fixing device
    • G03G2215/2016Heating belt
    • G03G2215/2035Heating belt the fixing nip having a stationary belt support member opposing a pressure membe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ixing For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착장치 및 이를 갖는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내부에 열원을 구비한 정착벨트와 정착벨트와 마주하는 가압롤러 사이에 형성되는 정착닙의 위치를 일정하게 유지시키도록 정착벨트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사이드 프레임의 이동을 규제하기 위한 위치규제장치를 구비함으로써, 가압롤러의 변형에 의한 기록매체 이송경로의 변경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정착장치 및 이를 갖는 화상형성장치{FUS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기록매체에 고정시키는 정착장치와 이를 갖는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상형성장치는 기록매체에 화상을 인쇄하는 장치로서, 프린터, 복사기, 팩스 및 이들의 기능을 통합하여 구현한 복합기 등이 이에 해당한다.
전자사진방식을 채택한 화상형성장치는 소정 전위로 대전된 감광체에 광을 주사하여 감광체의 표면에 정전잠상을 형성한 후, 이 정전잠상에 현상제를 공급하여 가시화상을 형성한다. 감광체에 형성된 가시화상은 기록매체에 전사되고, 기록매체에 전사된 가시화상은 정착장치를 지나면서 기록매체에 고정된다.
정착장치는 내부에 열원을 구비한 가열유닛과, 이 가열유닛에 밀착되어 정착닙(nip)을 형성하는 가압롤러를 구비한다. 화상이 전사되어 있는 기록매체가 가열유닛과 가압롤러 사이의 정착닙에 진입하면, 정착닙에서 작용하는 열과 압력에 의해 화상이 기록매체에 고정된다.
본 발명의 일측면은 반복적인 열과 압력에 의해 가압롤러의 외경이 변화되더라도 기록매체 이송경로의 변경을 방지할 수 있는 정착장치 및 이를 갖는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착장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압롤러;와, 내부에 열원을 구비한 필름 형태의 정착벨트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며 상기 하우징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 사이드 프레임을 구비하고, 상기 가압롤러와 마주하여 배치되는 가열유닛;과, 상기 가압롤러와 상기 정착벨트 사이에 정착닙을 형성하도록 상기 사이드 프레임을 가압하여 상기 정착벨트를 상기 가압롤러에 밀착시키는 가압유닛;과, 상기 가압유닛에 의해 가압되어 이동되는 상기 사이드 프레임의 위치를 규제함으로써 상기 정착닙의 위치를 일정하게 유지시키기 위한 위치규제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이드 프레임은 일측은 상기 가압유닛에 지지되며 타측은 상기 위치규제장치에 지지되고, 상기 위치규제장치는 상기 하우징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위치규제장치는 상기 가압유닛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정착닙을 형성하는 제1위치와 상기 정착닙의 압력을 해제하는 제2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압유닛은 탄성부재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사이드 프레임을 가압하는 가압레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압레버는 일단은 가압레버 회전축에 결합되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타단은 상기 탄성부재에 지지되며 그 중도에는 상기 사이드 프레임과 접촉되는 접촉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회전시 상기 위치규제장치를 상기 제2위치로 이동시키도록 상기 위치규제장치를 가압하는 가압 해제 레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압 해제 레버는 가압 해제 레버 회전축, 상기 가압 해제 레버 회전축에서 일측으로 연장되는 레버부 및 상기 가압 해제 레버 회전축에서 타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위치규제장치와 접촉하는 캠면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캠면은 상기 가압 해제 레버 회전축의 회전 중심으로부터 제1거리 만큼 이격된 닙 형성면과, 상기 가압 해제 레버 회전축의 회전 중심으로부터 제2거리 만큼 이격된 닙 해제면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압 해제 레버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동원에 의해 회전하여 상기 레버부와 접촉하는 캠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레버부는 인접하는 외부 구조물의 동작과 연동되어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정착장치에 공급되는 기록매체의 종류에 따라 상기 레버부의 회전각도를 조절하도록 상기 구동원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위치규제장치는 상기 사이드 프레임과 결합되는 제1결합부와, 상기 가압 해제 레버 회전축과 결합되는 상하로 길이가 긴 슬롯을 구비한 제2결합부와, 상기 가압 해제 레버의 캠 면과 접촉되는 캡 접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화상형성장치는 기록매체에 미정착 화상을 가열하여 정착하기 위한 정착장치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정착장치는, 하우징;과, 내부에 열원을 구비한 필름 형태의 정착벨트를 지지하며 상기 하우징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사이드 프레임을 구비한 가열장치;와, 상기 가열장치와 대향 배치되어 상기 하우징 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압롤러;와, 상기 정착벨트와 상기 가압롤러 사이에 정착닙을 형성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어 상기 사이드 프레임을 상기 가압롤러 쪽으로 가압하는 가압유닛;과, 상기 가압롤러의 변형에 의한 상기 정착닙의 위치 변화를 방지하도록 상기 가압유닛에 의해 이동되는 상기 사이드 프레임의 위치를 규제하는 위치규제장치;와, 상기 하우징에 소정각도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회전시 상기 위치규제장치를 가압함에 따라 상기 정착벨트와 상기 가압롤러 사이의 상기 정착닙의 압력을 해제하는 가압 해제 레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위치규제장치는 일측이 상기 사이드 프레임에 지지되고, 타측은 상기 가압 해제 레버에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위치규제장치는 상기 정착닙을 형성하는 제1위치와 상기 정착닙의 압력을 해제하는 제2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압유닛은 일단이 상기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타단이 탄성부재에 지지되어 상기 사이드 프레임을 가압하는 가압레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위치규제장치는 상기 가압레버에 의해 상기 사이드 프레임이 상기 제1위치를 넘어 상기 가압롤러 쪽으로 이동되는 것을 규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압 해제 레버에는 상기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일단에는 상기 위치규제장치와 접촉하는 캠면을 구비하고, 타단에는 상기 가압 해제 레버를 회동시키기 위한 레버부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캠면은 상기 제1위치를 유지시키기 위한 닙 형성면과, 상기 제2위치를 유지시키기 위한 닙 해제면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압 해제 레버를 작동시키도록 구동원에 의해 회전하여 상기 레버부와 접촉하는 캠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체의 일측을 개폐하는 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레버부는 상기 커버의 동작과 연동되어 동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구동원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정착장치 내에 이송되는 기록매체의 종류에 따라 상기 구동원을 작동시켜 상기 레버부의 회전 각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정착장치 및 이를 갖는 화상형성장치는 정착닙의 위치가 일정하게 유지되므로 기록매체의 이송경로를 안정화하여 화상 품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착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착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가열유닛과 가압롤러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가열유닛과 가압롤러의 결합 상태도이다.
도 6은 도 5의 측면도이다.
도 7은 기존의 가압롤러 변형에 의한 기록매체 이송경로의 변경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본 실시예에 의한 가압 해제 레버의 동작 상태도이다.
도 9는 다른 실시예에 의한 가압 해제 레버의 동작 상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상형성장치(1)는 본체(10), 기록매체 공급장치(20), 광주사장치(30), 복수의 감광체(40Y, 40M, 40C, 40K), 현상장치(50), 전사장치(60), 정착장치(70)와, 기록매체 배출장치(8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체(10)는 화상형성장치(1)의 외관을 형성하는 한편, 그 내부에 설치되는 각종 부품들을 지지한다. 본체(10)의 일부분은 개폐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본체(10)의 개방된 부분을 통해 각종 부품을 교체, 수리하거나 본체(10) 내부에 걸린 기록매체를 제거할 수 있다.
기록매체 공급장치(20)는 기록매체(S)를 전사장치(60) 쪽으로 공급한다. 기록매체 공급장치(20)는 기록매체(S)가 보관되는 카세트(22)와, 카세트(22)에 보관된 기록매체(S)를 한 장씩 픽업하는 픽업롤러(24)와, 픽업된 기록매체를 전사장치(60) 쪽으로 이송하는 이송롤러들(26)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광주사장치(30)는 화상 정보에 상응하는 광을 감광체들(40Y, 40M, 40C, 40K)에 조사하여 감광체들(40Y, 40M, 40C, 40K)의 표면에 정전잠상을 형성한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광주사장치(30)는 광빔을 출사하는 광원,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폴리곤 미러를 통해 출사된 광빔을 편향시키는 편향장치, 편향된 광빔을 감광체들에 수렴시키는 에프세타 렌즈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현상장치(50)는 감광체들(40Y, 40M, 40C, 40K)에 형성된 정전잠상에 현상제를 공급하여 가시적인 화상을 형성한다. 현상장치(50)는 서로 다른 색상의 현상제, 예를 들면 블랙(K), 시안(C), 마젠타(M), 옐로우(Y) 색상의 현상제가 각각 수용되는 4개의 현상기(50Y, 50M, 50C, 50K)로 구성될 수 있다.
각각의 현상기(50Y, 50M, 50C, 50K)는 대전기(52), 현상제저장부(54), 현상제이송부재(56)와 현상부재(58)를 가진다. 각 대전기(52)는 감광체들(40Y, 40M, 40C, 40K)에 정전잠상을 형성하기에 앞서 감광체들(40Y, 40M, 40C, 40K)의 표면을 대전시킨다. 현상제저장부(54)에 저장된 현상제는 현상제이송부재(56)에 의해 현상부재(58) 쪽으로 이송되며, 현상부재(58)는 감광체들(40Y, 40M, 40C, 40K)에 형성된 정전잠상에 현상제를 공급하여 가시화상을 형성한다.
도 1에서는 4개의 감광체들(40Y, 40M, 40C, 40K)이 각각의 현상기(50Y, 50M, 50C, 50K)에 포함된 예를 도시하였으나, 이와는 달리 4개의 현상기가 하나의 감광체에 가시화상을 형성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전사장치(60)는 감광체들(40Y, 40M, 40C, 40K)에 형성된 가시화상을 전달받아 기록매체로 전사한다. 전사장치(60)는 전사벨트(61), 구동롤러(62), 지지롤러(63), 텐션롤러들(64)(65)과 전사롤러들(66Y, 66M, 66C, 66K)을 포함한다.
전사벨트(61)는 구동롤러(62)와 지지롤러(63)에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된다. 구동롤러(62)는 본체(10) 내부에 장착된 구동원(미도시)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한다. 지지롤러(63)는 구동롤러(62)의 반대편에서 전사벨트(61)의 내면을 지지하도록 배치된다.
전사벨트(61)의 외주면은 각 감광체(40Y, 40M, 40C, 40K)와 마주한다. 전사롤러들(66Y, 66M, 66C, 66K)은 각 감광체(40Y, 40M, 40C, 40K)에 대응하여 배치되고, 전사벨트(61)의 내주면을 지지한다.
화상형성장치(1)가 컬러 인쇄 동작을 수행할 때 전사롤러들(66Y, 66M, 66C, 66K)은 각 감광체(40Y, 40M, 40C, 40K) 쪽으로 가압된다. 그러면 감광체들(40Y, 40M, 40C, 40K)에 형성된 각각의 가시화상은 전사롤러들(66Y, 66M, 66C, 66K)에 의해 전사벨트(61)로 전사되어 중첩되고, 전사벨트(61)의 화상은 기록매체 공급장치(20)로부터 공급되어 전사롤러(67)와 전사벨트(61) 사이를 통과하는 기록매체에 전사된다.
한편, 화상형성장치(1)가 흑백 인쇄 동작을 수행할 때 감광체(40K)에 대응하는 전사롤러(66K)는 대응되는 감광체(40K) 쪽으로 가압되며, 나머지 전사롤러들(66Y, 66M, 66C)은 대응되는 감광체들(40Y, 40M, 40C)로부터 이격된다.
전사장치(60)를 통과한 기록매체는 정착장치(70)로 진입한다. 정착장치(70)는 기록매체에 열과 압력을 가하도록 구성되어 기록매체 상의 미정착 화상을 기록매체에 고정시킨다.
정착장치(70)를 통과한 기록매체는 기록매체 배출장치(80)로 안내되고, 기록매체 배출장치(80)는 기록매체를 화상형성장치(1)의 외부로 배출한다. 기록매체 배출장치(80)는 배출롤러(82)와, 배출롤러(82)에 대향하여 설치되는 배출백업롤러(8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2와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착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와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착장치(70)는 가열유닛(102)과 가압롤러(10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아래의 설명에서 정착장치(70)의 길이방향(X)은 가압롤러(104)의 축방향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정의한다. 정착장치(70)의 길이방향(X)은 정착장치(70)의 가열유닛(102)을 구성하는 부품, 예를 들면, 정착벨트(140), 벨트 가이드부재(200) 또는 닙 플레이트(220)의 길이방향으로 표현될 수 있다.
가열유닛(102)과 가압롤러(104)는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되어 기록매체(S)가 통과하는 정착닙(N)을 형성한다. 가열유닛(102)은 미정착 화상이 형성된 기록매체(S)의 표면에 접촉하여 열을 전달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가압롤러(104)는 가열유닛(102)에 압접되도록 배치된다.
가열유닛(102)은 열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되는 열원(120)과, 열원(120)의 주위를 회전하도록 배치되는 정착벨트(140)를 포함한다. 정착벨트(140)는 가압롤러(104)에 맞물려 회전하도록 배치된다.
가압롤러(104)는 정착벨트(140)에 마주하여 배치되고, 소정 압력으로 정착벨트(140)와 밀착하여 정착닙(N)을 형성한다. 가압롤러(104)는 화상형성장치 본체(10)에 장착되는 구동원(미도시)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한다. 현상제화상이 전사되어 있는 기록매체(S)는 가압롤러(104)와 정착벨트(140) 사이의 정착닙(N)을 통과하는데, 이 때 열과 압력에 의해 현상제화상이 기록매체에 고정된다.
가압롤러(104)는 샤프트(105)와 탄성층(106)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샤프트(105)는 가압롤러(104)의 중심부에 배치되어 회전축으로서 기능하며, 그 위에 적층되는 소재들을 지지한다. 샤프트(105)는 알루미늄이나 스틸과 같은 금속재로 형성될 수 있다. 탄성층(106)은 샤프트(105)의 주위를 덮도록 배치되며, 가압롤러(104)와 정착벨트(140)의 압접 시에 탄성 변형하면서 정착벨트(140)와의 사이에 정착닙(N)을 형성한다. 탄성층(106)은 통상적으로 실리콘 고무로 형성될 수 있다.
탄성층(106)의 표면에는 기록매체가 가압롤러(104)에 붙는 것을 방지하는 이형층(107)이 형성될 수 있다. 이형층(107)은 불소 수지, 예를 들면 PFA(Perfluoroalkoxy)로 형성되는 튜브로 구성될 수 있다.
정착벨트(140)의 길이방향(X)에 대해 정착벨트(140)의 양측 단부는 사이드 프레임(160)들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정착벨트(140)는 열원(120)에 의해 가열되어 정착닙(N)을 지나는 기록매체(S)에 열을 전달한다.
열원(120)은 정착벨트(140)의 내부에 배치된다. 열원(120)의 양단은 사이드 커버(121)에 각각 결합되고, 사이드 커버(121)는 사이드 프레임(160)에 고정됨으로써 열원(120)은 사이드 프레임(160)에 의해 지지된다. 열원(130)으로는 적어도 하나의 할로겐 램프 또는 히터가 사용될 수 있다.
사이드 프레임(160)은 정착벨트(140)의 길이방향(X)으로 정착벨트(140)의 양측 가에 각각 배치된다. 사이드 프레임(160)은 정착벨트(140)의 길이방향 이동을 제한하는 규제벽(162)과 정착벨트(140) 단부의 내면을 지지하는 사이드 벨트가이드(170)를 가진다. 규제벽(162)은 소정 간격을 두고 나란히 배치되는 두 다리부(162a)와, 이 두 다리부(162a)를 연결하는 연결부(162b)를 포함한다.
사이드 벨트가이드(170)는 규제벽(162)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정착벨트(140)의 내부로 삽입된다. 사이드 벨트가이드(170)는 규제벽(162)의 두 다리부(162a)와 연결부(162b)에 걸쳐 호 형상으로 형성된다. 사이드 벨트가이드(170)의 외주면은 정착벨트(140)의 단부의 내면을 지지하여 정착벨트(140)의 회전을 가이드한다.
두 사이드 프레임(160) 사이에는 지지부재(180)가 배치된다. 지지부재(180)는 가열유닛(102)을 구성하는 부품들을 지지하는 기본 골격으로서 기능하므로, 외력에 의해 쉽게 변형되지 않도록 강성이 큰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지지부재(180)는 지지플레이트(182)들, 벤딩플레이트(184)들과 연결플레이트(186)들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지지플레이트(182)들은 두 사이드 프레임(160)의 사이에서 정착장치(70)의 길이방향(X)으로 연장된다. 지지플레이트(182)들은 서로 이격된 상태에서 나란히 배치된다. 연결플레이트(186)는 지지플레이트(182)의 길이방향 단부를 연결한다. 연결플레이트(186)는 사이드 프레임(160)의 내측에서 사이드 프레임(160)에 결합된다. 지지부재(180)는 사이드 프레임(160)들과 함께 가열유닛(102)의 골격 구조를 형성한다.
벤딩플레이트(184)들은 각각의 지지플레이트(182)에서 내측으로 절곡된다. 벤딩플레이트(184)들은 벨트 가이드부재(200)의 내면에 안착되어 벨트 가이드부재(200)를 지지한다.
벤딩플레이트(184)들의 사이에는 제1개구부(188)가 정의된다. 열원(120)에서 방사되는 열 중 일부는 상기 제1개구부(188)를 통과하여 정착닙(N) 쪽으로 전달된다.
지지부재(180)에서 제1개구부(188)의 반대측에는 제2개구부(190)가 형성된다. 제2개구부(190)는 열원(120)의 복사열이 지지부재(180)를 그대로 통과하여 정착벨트(140)에 직접적으로 도달할 수 있도록 한다.
벨트 가이드부재(200)는 정착닙(N) 근처에서 정착벨트(140)의 내면(142)을 지지하도록 배치되어 정착벨트(140)의 회전을 가이드한다. 벨트 가이드부재(200)는 정착벨트(140)의 길이방향(X)을 따라 연장된다.
벨트 가이드부재(200)의 길이방향 양단에는 지지부재(180)를 향해 후크(202)들이 돌출된다. 지지부재(180)의 지지플레이트(182)들에는 후크(202)들에 대응하여 체결공(183)들이 형성된다. 후크(202)들은 지지플레이트(182)들 사이로 삽입되고, 후크(202)들의 걸림부가 체결공(183)들에 삽입됨에 따라 벨트 가이드부재(200)는 지지부재(180)에 결합된다.
벨트 가이드부재(200)에는 지지부재(180)의 제1개구부(188)에 대응하도록 제3개구부(204)가 형성된다. 열원(120)에서 복사된 열은 지지부재의 제1개구부(188)와 벨트 가이드부재(200)의 제3개구부(204)를 통과하여 정착닙(N) 쪽으로 직접 전달될 수 있다.
벨트 가이드부재(200)는 정착벨트(140)의 회전방향(R)에 대해 제3개구부(204)의 상류측과 하류측에 각각 배치되는 제1가이드부(200a)와 제2가이드부(200b)를 포함한다. 제1가이드부(200a)와 제2가이드부(200b)의 외면은 정착벨트(140)의 회전을 원활하게 안내할 수 있도록 호형으로 형성된다. 벨트 가이드부재(200)의 제1가이드부(200a)와 제2가이드부(200b)의 단부는 호형을 가지는 사이드 벨트가이드(170)의 양단에 연결된다.
정착벨트(140)의 내면(142)과 마주하는 벨트 가이드부재(200)의 외면부에는 정착벨트(140)의 길이방향(X)을 따라 형성되는 수용홈(206)이 마련된다. 수용홈(206)은 벨트 가이드부재(200)의 제3개구부(204)와 연통된다. 수용홈(206)은 제3개구부(204)의 양측으로 확장되어 그 일부는 제1가이드부(200a)에 형성되고, 다른 일부는 제2가이드부(200b)에 형성된다.
벨트 가이드부재(200)의 수용홈(206)에는 닙 플레이트(220)가 배치된다. 닙 플레이트(220)는 정착벨트(140)의 외주면과 가압롤러(104) 사이에 정착닙(N)이 형성되도록 정착벨트(140)의 내면(142)을 지지한다.
닙 플레이트(220)는 정착벨트(140)의 길이방향(X)을 따라 연장되는 가압부(226)를 포함한다. 가압부(226)는 정착벨트(140)의 내면(142)에 접촉하도록 배치되고, 가압롤러(104)에 대향하여 정착벨트(140)를 가압한다. 가압부(226)의 폭 방향 단부에는 테두리벽(228)이 돌출된다.
닙 플레이트(220)는 기록매체에 열을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도록 비열이 작고 열전도도가 우수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닙 플레이트(220)는 알루미늄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닙 플레이트(220)에는 애노다이징(anodizing)을 통한 산화 피막(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고, 이 산화 피막 상에는 세라믹-테프론 코팅층이 형성될 수 있다.
닙 플레이트(220)는 정착벨트(140)의 외면을 가압하는 가압롤러(104)에 대향하여 정착벨트(140)의 내면(142)을 가압하는데, 정착벨트(140)와 닙 플레이트(220) 간에 마찰력이 크게 작용하면 정착벨트(140)가 손상되거나 정착벨트(140)가 원활하게 회전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된다. 따라서 정착벨트(140)와 닙 플레이트(220) 간에 작용하는 마찰력을 저감할 수 있도록 정착벨트(140)의 내면(142)에는 그리스(grease)와 같은 윤활제가 도포될 수 있다.
열원(120)과 정착벨트(140)의 사이에는 열전달부재(240)가 배치될 수 있다. 열전달부재(240)는 몸체부(242), 제1,2레그부(244)(246)를 구비한다.
몸체부(242)는 열원(120)에 의해 가열되도록 열원(120)의 주위에 배치된다. 제1레그부(244)는 몸체부(242)의 일단에서 정착벨트(140)를 향해 연장되고, 제2레그부(246)는 몸체부(242)의 타단에서 정착벨트(140)를 향해 연장된다. 제1레그부(244)와 제2레그부(246)는 지지부재(180)의 제1개구부(188)와 벨트 가이드부재(200)의 제3개구부(204)를 통과한다. 벨트 가이드부재(200)의 제3개구부(204)의 내측면은 열전달부재(170)의 제1레그부(244)와 제2레그부(246)의 외측을 지지한다.
제1레그부(244)의 단부는 벨트 가이드부재(200)의 제1가이드부(200a) 쪽으로 절곡되어 제1열전달부(248)를 형성하고, 제2레그부(246)의 단부는 벨트 가이드부재(200)의 제2가이드부(200b) 쪽으로 절곡되어 제2열전달부(250)를 형성한다.
제1열전달부(248)와 제2열전달부(250)는 닙 플레이트(220)에 열을 전달할 수 있도록 그 일측면이 닙 플레이트(220)와 접촉하고, 제1열전달부(248)와 제2열전달부(250)의 타측면은 벨트 가이드부재(200)의 외면에 지지된다.
제1레그부(244)와 제2레그부(246) 사이에는 제4개구부(252)가 정의된다. 열원(120)은 열전달부재(170)의 제4개구부(252)를 통해 닙 플레이트(220)를 직접적으로 복사 가열하고, 가열된 닙 플레이트(220)는 정착벨트(140)에 열을 전달한다.
열전달부재(240)의 몸체부(242)는 제4개구부(252)의 반대측에 형성되는 제5개구부(254)를 구비한다. 열원(120)은 열전달부재(240)의 제5개구부(254)와 지지부재(180)의 제2개구부(190)를 통해 정착벨트(140)를 직접적으로 복사 가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정착벨트(140)의 온도를 한층 더 빠르게 상승시킬 수 있으며, 정착벨트(140)가 회전하는 도중에 정착벨트(140)의 온도가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가열유닛과 가압롤러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가열유닛과 가압롤러의 결합 상태도이고, 도 6은 도 5의 측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가열유닛(102) 및 가압롤러(104)는 양단이 각각 하우징(300)에 지지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가열유닛(102)은 하우징(300)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가압롤러(104)는 하우징(300)에 고정된 위치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가압롤러(104)의 샤프트(105)는 하우징(300)을 관통하여 본체(10)내에 설치된 구동원(미도시)에 의해 동력을 전달 받도록 설치될 수 있다.
하우징(300)에는 가열유닛(102)의 슬라이딩 이동을 가이드 하도록 절개된 가이드 홈(301)이 구비되고, 가이드 홈(301)에는 사이드 프레임(160)이 결합될 수 있다.
사이드 프레임(160)에는 가이드 홈(301)과 결합되기 위한 가이드 슬롯(167)이 구비되고, 가이드 슬롯(167)은 가이드 홈(301)에 결합됨에 따라 사이드 프레임(160)은 가이드 홈(301)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사이드 프레임(160)은 마주하도록 배치된 가압롤러(104) 쪽으로 이동함에 따라 정착벨트(140)가 가압롤러(104)와 접촉하여 정착닙(N)을 형성하게 된다.
정착닙(N)을 형성하는 소정의 가압력을 제공하도록 하우징(300)에는 사이드 프레임(160)을 가압롤러(104) 쪽으로 가압하는 가압유닛(310)이 설치될 수 있다.
가압유닛(310)은 일측이 가압레버 회전축(311)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타측이 탄성부재(312)에 지지되는 가압레버(313)를 구비할 수 있다.
가압레버(313)의 중도에는 사이드 프레임(160)과 접촉하는 만곡 형상의 접촉부(314)를 구비하고, 접촉부(314)는 탄성부재(312)의 탄성력에 의해 사이드 프레임(160)이 가압롤러(104) 쪽으로 이동하는 가압력을 부여하게 된다.
탄성부재(312)는 일단이 하우징(300)에 마련된 스프링 지지부(302)에 지지되고, 타단이 가압레버(313)에 지지되는 인장 스프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가압유닛(310)이 일단은 하우징(30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타단은 탄성부재(312)에 지지되는 가압레버(313)로 구성하였으나, 이는 일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사이드 프레임(160)을 가압롤러(104) 쪽으로 가압하는 지속적인 탄성력을 부여하는 것이라면 어떠한 형태라도 가능함은 당연하다.
이러한 구성을 통하여, 가압유닛(310)이 사이드 프레임(160)을 가압함에 따라 가열유닛(102)은 가압롤러(104) 쪽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가열유닛(102)의 정착벨트(140)는 가압롤러(104)와 접촉되어 일정한 압력을 형성함으로써 정착벨트(140)와 가압롤러(104) 사이에는 정착닙(N)을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정착장치(70)에 공급되는 기록매체(S)의 미정착 화상은 정착닙(N)을 통과하는 동안 열과 압력에 의해 기록매체(S)에 정착되게 된다.
한편, 반복적인 열과 압력에 의해 가압롤러(104)의 탄성층(106)은 그 외경이 미세하게 줄어드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고, 가압유닛(310)을 통하여 일정 가압력에 가압되고 있는 정착벨트(140)는 가압롤러(104)의 변형된 거리 만큼 가압롤러(104) 쪽으로 이동되게 되므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착벨트(140)와 가압롤러(104) 사이의 정착닙(N)의 위치가 초기 가상선의 위치에서 실선의 위치로 변경되게 된다.
이에 따라, 전사장치(60)와 정착장치(70) 사이 또는 정착장치(70)와 배지장치(80) 사이의 각종 롤러들 간의 기록매체(S) 이송경로 상에서 롤러들 간의 위치가 틀어지게 되므로 용지 거동이 불안정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가압롤러(104)의 외경 변화는 가압롤러(104)의 선속의 변화를 초래하고, 이는 기록매체(S)의 이송 속도를 불완전 하게 하므로, 화상의 쏠림, 주름 등과 같은 화상 결함 또는 잼 발생 등을 초래할 수 있게 된다.
이를 방지하도록, 본 실시예에서는 가압유닛(310)에 의해 가압되어 이동되는 사이드 프레임(160)의 위치를 규제하여 정착닙(N)의 위치를 일정하게 유지시키기 위한 위치규제장치(320)를 구비할 수 있다.
위치규제장치(320)는 가압유닛(310)에 의해 가압되어 가압롤러(104) 쪽으로 이동되는 사이드 프레임(160)이 일정 거리 이상 이동되는 것을 규제하도록 함으로써 초기 설정된 정착닙(N)의 위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위치규제장치(320)는 소정 강성을 갖는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바디부(321)를 구비하고, 바디부(321)의 일측은 사이드 프레임(160)을 지지하도록 벤딩 형성된 제1결합부(322)를 구비하고, 바디부(321)의 타측은 하우징(300)에 결합되는 제2결합부(323)를 구비할 수 있다.
바디부(321)에는 가압롤러(104)의 샤프트(105)가 관통되는 샤프트공(326)이 구비되고, 샤프트공(326)은 샤프트(105)의 직경보다 상대적으로 큰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는 바디부(321)가 이동하는 경우 샤프트(105)와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제1결합부(322)는 사이드 프레임(160)과 일체로 이동할 수 있도록 사이드 프레임(160)에 고정될 수 있다.
제2결합부(323)에는 길이가 긴 장공 형태의 슬롯(324)이 구비되고, 하우징(300)에는 장공의 슬롯(324)을 관통하게 설치되는 잼 레버 회전축(331)이 구비될 수 있다.
바디부(321)와 제2결합부(323) 사이에는 단차진 캠 접촉부(325)가 구비되고, 캠 접촉부(325)는 가압 해제 레버(330)와 접촉될 수 있다.
이러한 위치규제장치(320)는 정착벨트(140)와 가압롤러(104) 사이에 정착닙(N)을 형성하도록 가압롤러(104)를 가압하는 제1위치와, 정착닙(N)의 압력을 해제하도록 가압롤러(104)와 이격되는 제2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위치규제장치(320)는 초기 설정된 정착닙(N)을 형성하는 제1위치를 넘어 이동되지 못하도록 가압 해제 레버(33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가압 해제 레버(330)는 잼 레버 회전축(33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잼 레버 회전축(331)에서 일측으로 연장되는 레버부(332)와 잼 레버 회전축(331)에서 타측으로 연장되는 캠면(333)을 구비할 수 있다.
캠면(333)은 위치규제장치(320)의 캠 접촉부(325)와 접촉되는 부분으로서, 가압유닛(310)에 의해 사이드 프레임(160)이 가압롤러(104) 쪽으로 이동시 일정 거리 이상 이동되는 것을 제한하기 위한 닙 형성면(334)과, 정착닙(N)의 압력을 해제하도록 가압유닛(310)의 가압력과 반대 방향의 가압력을 위치규제장치(320)에 가하기 위한 닙 해제면(335)을 구비할 수 있다.
잼 레버 회전축(331)의 회전 중심으로부터 닙 형성면(334) 까지의 직선거리는 잼 레버 회전축(331)의 회전 중심으로부터 닙 해제면(335) 까지의 직선거리보다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가압 해제 레버(330)가 회전되는 경우 닙 해제면(335)이 위치규제장치(320)를 가압하게 되고, 가압된 위치규제장치(320)는 사이드 프레임(160)을 가압하게 됨으로써 사이드 프레임(160)에 결합된 정착벨트(140)는 가압롤러(104)와 이격되게 된다.
또한, 닙 형성면(334)은 위치규제장치(320)가 가압유닛(310)에 가압되어 이동되는 경우 일정 범위 이상 가압롤러(104) 쪽으로 이동되는 것을 제한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즉, 닙 형성면(334)은 가압유닛(310)에 가압되어 가압롤러(104) 쪽으로 이동되는 사이드 프레임(160)이 초기 설정된 정착닙(N)의 위치를 벗어나 가압롤러(104)를 가압하지 못하도록 위치규제장치(320)의 이동을 규제함으로써 위치규제장치(320)에 지지된 사이드 프레임(160)의 이동을 제한하게 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가압 해제 레버(330)의 닙 형성면(334)을 통해 위치규제장치(320)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하였으나, 가압 해제 레버(330)가 없는 경우에는 하우징(300)의 일측에서 돌출된 스토퍼 돌기를 통하여 위치규제장치(320)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가압 해제 레버(330)의 레버부(332) 근방의 하우징(300)에는 레버부(332)를 회동시키기 위한 캠유닛(340)이 설치될 수 있다.
캠유닛(340)은 편심된 회전 중싱을 가지는 캠 바디부(342)와, 캠 바디부(342)를 회전시키도록 축 결합되는 캠축(341)을 구비할 수 있다. 캠축(341)은 본체(10)에 마련된 구동원(미도시)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한다.
캠 바디부(342)는 타원 형상을 가지도록 구비될 수 있다. 타원 형상의 캠 바디부(342)의 외주면에는 가압 해제 레버(330)의 레버부(332)와 면 접촉하는 레버 접촉부(343)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캠유닛(340)은 사용자가 가압 해제 레버(330)를 직접 회동시키는 대신 구동원(350)(예, 구동모터 등)에 의해 가압 해제 레버(330)를 회동시키기 위한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기록매체(S)의 두께를 측정하기 위한 기록매체 감지센서(미도시)를 본체(10) 내에 배치하고, 기록매체 감지센서에 의해 감지된 신호를 제어부(360)로 보내고, 제어부(360)는 캠유닛(340)의 캠축(341)과 결합된 구동원(350)를 동작시켜 캠유닛(340)의 회전 각도를 조절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기록매체(S)의 두께에 따른 캠유닛(340)의 제어방법을 살펴보면, 화상형성장치의 전원이 온(ON)된 상태에서 기록매체 감지센서(미도시)에서는 기록매체(S)의 두께를 측정하고, 측정된 신호는 제어부(360)로 전달하게 된다.
한편, 기록매체(S)의 두께는 별도의 감지센서를 통하여 측정되도록 하였으나, 사용자가 UI 또는 인쇄 드라이버(DRIVER) 등과 같은 설정 수단을 통하여 기록매체(S)의 종류를 선택하고, 선택된 값은 메모리와 같은 저장매체에 저장된 후 제어부(360)로 전달되도록 구성할 수 있을 것이다.
제어부(360)는 저장된 기록매체(S)의 정보에 따라서 구동원(350)을 회전시켜 캠 바디부(342)를 회전시키고, 캠 바디부(342)는 가압 해제 레버(330)의 레버부(332)를 가압하여 가압 해제 레버(330)를 동작시킴으로써 정착벨트(140)와 가압롤러(104) 사이의 정착닙(N)의 압력을 변경하게 된다.
이러한 정착닙(N)의 압력은 기록매체(S)의 종류에 따라서 변경될 수 있다. 예로서, 컬(curl)이 심한 얇은 기록매체(S)의 경우에는 정착닙(N)의 압력을 해제하여 컬 발생을 줄일 수 있으며, 봉투와 같은 기록매체(S)의 경우에는 정착닙(N)의 압력을 크게 하여 봉투 주름 및 붙음과 같은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의 정착장치의 작동 및 효과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8은 본 실시예의 가압벨트와 가압롤러 사이의 정착닙 압력이 해제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먼저, 정착벨트(14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사이드 프레임(160)은 하우징(300)의 가이드 홈(301)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 상태에 있게 된다.
또한, 사이드 프레임(160)의 상측은 가압유닛(310)에 의해 지지되며 하측은 위치규제장치(320)에 지지되고, 위치규제장치(320)의 하측은 하우징(300)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가압 해제 레버(330)에 지지된 상태에 있게 된다.
즉, 사이드 프레임(160) 및 위치규제장치(320)는 서로 연동하여 하우징(300)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되, 각각 가압유닛(310) 및 가압 해제 레버(330)에 지지된 상태에 있게 된다.
가압유닛(310)에 의해 가압되는 사이드 프레임(160)은 가압롤러(104) 쪽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정착벨트(140)와 가압롤러(104) 사이에는 정착닙(N)을 형성하게 된다.
이때, 정착닙(N)의 위치는 위치규제장치(320)가 사이드 프레임(160)이 설정된 범위 이상 가압롤러(104) 쪽으로 이동되는 것을 제한함에 따라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반복적인 열과 압력에 의하여 가압롤러(104)의 외경이 국부적으로 변경되더라도 정착닙(N)의 위치는 항상 일정하게 유지되게 되므로 기록매체(S)의 이송경로가 변경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정착벨트(140)와 가압롤러(104) 사이에 잼 발생시에는 사용자가 가압 해제 레버(330)를 동작시키게 되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 해제 레버(330)는 회동됨에 따라 닙 해제면(335)이 위치규제장치(320)를 가압하게 되고, 위치규제장치(320)와 결합된 사이드 프레임(160)은 위치규제장치(320)와 함께 가압됨에 따라 정착벨트(140)와 가압롤러(104) 사이에 형성되는 정착닙(N)의 압력은 해제되게 되어 잼 제거가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가압 해제 레버(330)는 사용자가 직접 회전시키도록 하였으나, 제어부(360)에 의한 제어를 통한 캠유닛(340)의 동작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가압 해제 레버(330)는 캠유닛(34)의 동작 또는 사용자가 직접 회전시키도록 구성되었으나,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커버(12)와 같은 외부 구조물의 동작과 연동됨으로써 가압 해제 레버(330)가 회동되도록 구비할 수 있다.
즉, 커버(12)에는 가압 해제 레버(330)의 레버부(332)와 간섭되는 락커부재(13)를 구비하고, 락커부재(13)는 스프링(14)에 탄성 지지되어 진퇴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커버(12)가 오픈시 레버부(332)와 간섭되는 락커부재(13)가 가압 해제 레버(330)를 회동시키게 됨에 따라 정착닙(N)의 압력은 자동 해제되므로 기록매체(S)를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어 사용의 편리성이 향상되게 된다.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0: 본체, 20: 기록매체 공급장치,
30: 광주사장치, 40: 감광체,
50: 현상장치, 60: 전사장치,
70: 정착장치, 102: 가열유닛,
104: 가압롤러, 120: 열원,
140: 정착벨트, 160: 사이드 프레임,
300: 하우징, 310: 가압유닛,
313: 가압레버, 320: 위치규제장치,
322: 제1결합부, 323: 제2결합부,
325: 캡 접촉부, 330: 가압 해제 레버,
332: 레버부, 333: 캠면,
340: 캠 유닛, 360: 제어부.

Claims (22)

  1.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압롤러;
    내부에 열원을 구비한 필름 형태의 정착벨트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며 상기 하우징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 사이드 프레임을 구비하고, 상기 가압롤러와 마주하여 배치되는 가열유닛;
    상기 가압롤러와 상기 정착벨트 사이에 정착닙을 형성하도록 상기 사이드 프레임을 가압하여 상기 정착벨트를 상기 가압롤러에 밀착시키는 가압유닛;
    상기 가압유닛에 의해 가압되어 이동되는 상기 사이드 프레임의 위치를 규제함으로써 상기 정착닙의 위치를 초기 설정된 위치로 일정하게 유지시키기 위한 위치규제장치;를 포함하는 정착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프레임은 일측은 상기 가압유닛에 지지되며 타측은 상기 위치규제장치에 지지되고, 상기 위치규제장치는 상기 하우징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착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규제장치는 상기 가압유닛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정착닙을 형성하는 제1위치와 상기 정착닙의 압력을 해제하는 제2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착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유닛은 탄성부재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사이드 프레임을 가압하는 가압레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착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레버는 일단은 가압레버 회전축에 결합되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타단은 상기 탄성부재에 지지되며 그 중도에는 상기 사이드 프레임과 접촉되는 접촉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착장치.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회전시 상기 위치규제장치를 상기 제2위치로 이동시키도록 상기 위치규제장치를 가압하는 가압 해제 레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착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해제 레버는 가압 해제 레버 회전축, 상기 가압 해제 레버 회전축에서 일측으로 연장되는 레버부 및 상기 가압 해제 레버 회전축에서 타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위치규제장치와 접촉하는 캠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착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캠면은 상기 가압 해제 레버 회전축의 회전 중심으로부터 제1거리 만큼 이격된 닙 형성면과, 상기 가압 해제 레버 회전축의 회전 중심으로부터 제2거리 만큼 이격된 닙 해제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착장치.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해제 레버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동원에 의해 회전하여 상기 레버부와 접촉하는 캠 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착장치.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부는 인접하는 외부 구조물의 동작과 연동되어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착장치.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정착장치에 공급되는 기록매체의 종류에 따라 상기 레버부의 회전각도를 조절하도록 상기 구동원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착장치.
  12.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규제장치는 상기 사이드 프레임과 결합되는 제1결합부와, 상기 가압 해제 레버 회전축과 결합되는 상하로 길이가 긴 슬롯을 구비한 제2결합부와, 상기 가압 해제 레버의 캠 면과 접촉되는 캡 접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착장치.
  13. 기록매체에 미정착 화상을 가열하여 정착하기 위한 정착장치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정착장치는,
    하우징;
    내부에 열원을 구비한 필름 형태의 정착벨트를 지지하며 상기 하우징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사이드 프레임을 구비한 가열장치;
    상기 가열장치와 대향 배치되어 상기 하우징 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압롤러;
    상기 정착벨트와 상기 가압롤러 사이에 정착닙을 형성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어 상기 사이드 프레임을 상기 가압롤러 쪽으로 가압하는 가압유닛;
    상기 가압롤러의 변형에 의한 상기 정착닙의 위치를 초기 설정된 위치로 일정하게 유지시키기 위해 상기 가압유닛에 의해 이동되는 상기 사이드 프레임의 위치를 규제하는 위치규제장치;
    상기 하우징에 소정각도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회전시 상기 위치규제장치를 가압함에 따라 상기 정착벨트와 상기 가압롤러 사이의 상기 정착닙의 압력을 해제하는 가압 해제 레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규제장치는 일측이 상기 사이드 프레임에 지지되고, 타측은 상기 가압 해제 레버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규제장치는 상기 정착닙을 형성하는 제1위치와 상기 정착닙의 압력을 해제하는 제2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유닛은 일단이 상기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타단이 탄성부재에 지지되어 상기 사이드 프레임을 가압하는 가압레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규제장치는 상기 가압레버에 의해 상기 사이드 프레임이 상기 제1위치를 넘어 상기 가압롤러 쪽으로 이동되는 것을 규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8.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해제 레버에는 상기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일단에는 상기 위치규제장치와 접촉하는 캠면을 구비하고, 타단에는 상기 가압 해제 레버를 회동시키기 위한 레버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캠면은 상기 제1위치를 유지시키기 위한 닙 형성면과, 상기 제2위치를 유지시키기 위한 닙 해제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해제 레버를 작동시키도록 구동원에 의해 회전하여 상기 레버부와 접촉하는 캠 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1. 제 19항에 있어서,
    본체의 일측을 개폐하는 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레버부는 상기 커버의 동작과 연동되어 동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2.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원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정착장치 내에 이송되는 기록매체의 종류에 따라 상기 구동원을 작동시켜 상기 레버부의 회전 각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KR1020110000666A 2011-01-04 2011-01-04 정착장치 및 이를 갖는 화상형성장치 KR1017748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0666A KR101774893B1 (ko) 2011-01-04 2011-01-04 정착장치 및 이를 갖는 화상형성장치
EP11195201.6A EP2472336B1 (en) 2011-01-04 2011-12-22 Fus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US13/339,952 US9354573B2 (en) 2011-01-04 2011-12-29 Fus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CN201110459374.6A CN102681408B (zh) 2011-01-04 2011-12-31 定影器件和具有其的图像形成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0666A KR101774893B1 (ko) 2011-01-04 2011-01-04 정착장치 및 이를 갖는 화상형성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9405A KR20120079405A (ko) 2012-07-12
KR101774893B1 true KR101774893B1 (ko) 2017-09-19

Family

ID=454956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0666A KR101774893B1 (ko) 2011-01-04 2011-01-04 정착장치 및 이를 갖는 화상형성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354573B2 (ko)
EP (1) EP2472336B1 (ko)
KR (1) KR101774893B1 (ko)
CN (1) CN10268140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077734B2 (ja) 2011-04-28 2017-02-08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定着装置
JP5884292B2 (ja) * 2011-04-28 2016-03-15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定着装置
JP5938863B2 (ja) * 2011-09-20 2016-06-22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定着装置
JP5863739B2 (ja) * 2012-11-21 2016-02-17 キヤノン株式会社 像加熱装置
US9046840B2 (en) * 2013-03-07 2015-06-02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heating apparatus having pressing mechanism configured to press a first unit toward a second unit
JP6405779B2 (ja) * 2013-10-18 2018-10-17 株式会社リコー 定着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5983957B2 (ja) * 2014-02-06 2016-09-06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定着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6540987B2 (ja) * 2015-02-19 2019-07-10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及び定着装置
JP6544108B2 (ja) * 2015-07-22 2019-07-17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JP6883273B2 (ja) * 2015-12-25 2021-06-09 株式会社リコー 定着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6701569B2 (ja) * 2016-05-16 2020-05-27 株式会社リコー 定着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18013637A (ja) * 2016-07-21 2018-01-25 株式会社沖データ 定着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6873812B2 (ja) * 2017-05-01 2021-05-19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2020126212A (ja) * 2019-01-31 2020-08-20 株式会社リコー 定着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21012233A (ja) * 2019-07-03 2021-02-04 株式会社リコー 加圧装置、定着装置、画像形成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09521A (ja) * 2002-09-18 2004-04-08 Ricoh Co Ltd 定着装置
JP2005037542A (ja) * 2003-07-17 2005-02-10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
US20090232549A1 (en) * 2008-03-12 2009-09-17 Larry Steven Foster Fuser Assembly Including A NIP Release Bias Spring
JP2010204222A (ja) 2009-02-28 2010-09-16 Ricoh Co Ltd 定着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84717B2 (ja) 1990-06-11 1999-04-19 キヤノン株式会社 像加熱装置
JP3223628B2 (ja) * 1993-02-08 2001-10-29 キヤノン株式会社 定着装置
JP5120915B2 (ja) 2006-11-17 2013-01-16 株式会社リコー 定着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8275886A (ja) 2007-04-27 2008-11-13 Canon Inc 加熱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8298989A (ja) * 2007-05-30 2008-12-11 Canon Inc 画像形成装置および定着装置の制御方法
JP5116395B2 (ja) 2007-08-03 2013-01-09 キヤノン株式会社 定着装置
JP5254059B2 (ja) * 2009-01-23 2013-08-07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定着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5263147B2 (ja) * 2009-12-28 2013-08-14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定着装置
JP5541734B2 (ja) * 2010-12-14 2014-07-09 キヤノン株式会社 像加熱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09521A (ja) * 2002-09-18 2004-04-08 Ricoh Co Ltd 定着装置
JP2005037542A (ja) * 2003-07-17 2005-02-10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
US20090232549A1 (en) * 2008-03-12 2009-09-17 Larry Steven Foster Fuser Assembly Including A NIP Release Bias Spring
JP2010204222A (ja) 2009-02-28 2010-09-16 Ricoh Co Ltd 定着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20170957A1 (en) 2012-07-05
EP2472336B1 (en) 2019-03-20
KR20120079405A (ko) 2012-07-12
EP2472336A3 (en) 2015-06-17
US9354573B2 (en) 2016-05-31
EP2472336A2 (en) 2012-07-04
CN102681408A (zh) 2012-09-19
CN102681408B (zh) 2016-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74893B1 (ko) 정착장치 및 이를 갖는 화상형성장치
KR101764202B1 (ko) 정착장치와 이를 가지는 화상형성장치
EP1612619B1 (en) Image forming apparatus capable of applying a high, easily releasable fixing-nip pressure
US8095041B2 (en) Fix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8224206B2 (en) Fusing unit including roller adjustment mechanism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US9720361B2 (en) Belt device, fix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9454099B2 (en) Toner container including a lid member pulled out in an inclined direction
US8942612B2 (en) Image heating apparatus
JP2007171372A (ja) 定着装置、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形成方法
JP5429553B2 (ja) 定着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10852671B2 (en) Fixing device including a cleaner to clean a surface of a cleaning target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orporating same
US9316964B2 (en) Fix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7428396B2 (en) Power transmitting device for develop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the same
US10698351B1 (en) Fix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2008090172A (ja) 定着装置
US9372462B1 (en) Image forming apparatus
JP4449922B2 (ja) 定着装置
US10768569B2 (en) Fix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11143994B2 (en) Image heating apparatus
US11016423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variable fixing temperature and nip width
JP2009217161A (ja) ベルト搬送装置、定着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6098753B1 (ja) 定着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8256864A (ja) トナー残量検知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