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4684B1 - 커브 진입로 차량 안전 진입 시스템 - Google Patents

커브 진입로 차량 안전 진입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4684B1
KR101774684B1 KR1020160011484A KR20160011484A KR101774684B1 KR 101774684 B1 KR101774684 B1 KR 101774684B1 KR 1020160011484 A KR1020160011484 A KR 1020160011484A KR 20160011484 A KR20160011484 A KR 20160011484A KR 101774684 B1 KR101774684 B1 KR 1017746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vehicle
distance
angl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114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90753A (ko
Inventor
정윤원
권택익
김경민
황철현
박진승
Original Assignee
한국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국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0114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4684B1/ko
Publication of KR201700907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07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46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46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50Road surface markings; 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 E01F9/535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50Road surface markings; 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 E01F9/535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 E01F9/547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illuminate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5/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acoustic waves, e.g. sonar systems
    • G01S15/88Sonar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01S15/93Sonar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for anti-collision purposes
    • G01S15/931Sonar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for anti-collision purposes of land vehicles
    • G01S17/936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3/00Alarms responsive to un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mote Sen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커브 진입로 차량 안전 진입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커브 진입로 벽에 부착된 센서부를 구비함으로써, 차량과 벽 사이의 거리와 각도를 센싱하여 제어부로 송출하고, 제어부에서 이를 토대로 사고 위험도를 판단하여 사고 위험도에 따라 각기 다른 색상의 시각 정보로 표시함으로써, 급경사 커브길에서 방향감각 저하 및 차량의 크기를 계산하지 못하더라도 시각 정보를 통해 사고를 예방하고, 운전자의 감각을 높일 수 있도록 하고, 적외선 센서와 초음파 센서를 번갈아가며 설치함으로써, 빛을 흡수하는 특성을 가진 검은색 차량에 대해 적외선 센서의 감지 오류를 방지하는 초음파 센서로 안전성과 완성도를 높이고, 오류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커브 진입로 차량 안전 진입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커브 진입로 벽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거나 내장되어 벽과 감시 영역에 침입한 특정 대상물과의 거리 및 각도를 감지하는 센서부; 센서부에서 센싱된 값인 거리 및 각도로 사고 위험성을 판단하는 제어부; 제어부로부터 판단된 위험도에 따라 각기 다른 색상으로 출력하여 위험상황을 알리는 시각 정보 출력부; 및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포함하는 커브 진입로 차량 안전 진입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커브 진입로 차량 안전 진입 시스템{omitted}
본 발명은 커브 진입로 차량 안전 진입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커브 진입로 벽에 부착된 센서부를 구비함으로써, 차량과 벽 사이의 거리와 각도를 센싱하여 제어부로 송출하고, 제어부에서 이를 토대로 사고 위험도를 판단하여 사고 위험도에 따라 각기 다른 색상의 시각 정보로 표시함으로써, 급경사 커브길에서 방향감각 저하 및 차량의 크기를 계산하지 못하더라도 시각 정보를 통해 사고를 예방하고, 운전자의 감각을 높일 수 있도록 하고, 적외선 센서와 초음파 센서를 번갈아가며 설치함으로써, 빛을 흡수하는 특성을 가진 검은색 차량에 대해 적외선 센서의 감지 오류를 방지하는 초음파 센서로 안전성과 완성도를 높이고, 오류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커브 진입로 차량 안전 진입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지하 주차장에 진입하는 차량 중 커브길 통과시에는 운전자의 핸들조작 미숙 등에 의해서 사고가 종종 발생하게 된다.
그러나, 현재 지하 주차장에서 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기술은 벽면에 형광물질을 부착하여 운전자에게 급커브와 같은 경고를 나타내었다. 이는 차량운전자 개개인에게 정보를 제시하는 것이 아니라 급커브가 존재한다는 간판과 같은 역할을 하는 기능밖에 갖추지 못하였다.
또한, 지하 주차장 진입로는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원형 또는 타원형 형태로 진입로가 시공되며, 초보운전자와 같은 경우 방향감각과 차량의 크기를 계산하지 못하는 공간감각으로 지하주차장의 급하고 가파른 경사에 벽과 충돌하는 사고를 일으키게 되지만, 이를 예방 및 대처하기 위한 기술은 미흡한 실정이다.
선행기술문헌 : KR 공개특허공보 제2005-0054126호(2005.6.10. 공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특히 커브 진입로 이용 시 운전자 개개인에게 차량과 진입로 벽과의 거리를 자동 계산하여 안내해주는 커브 진입로 차량 안전 진입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에 따른 커브 진입로 차량 안전 진입 시스템은 감시 영역의 거리 및 각도를 감지하기 위하여 적외선을 발생시키는 적외선 센서, 빛을 흡수하는 특성을 가진 검은색 대상에 대해 적외선 센서의 감지 오류를 방지하기 위해 감시 영역에 초음파를 보내고 출입하는 대상으로부터 반사된 초음파를 받아 대상의 색상에 관계없이 대상물의 거리, 각도를 감지하는 초음파 센서를 포함하고, 커브 진입로 벽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거나 내장되어 벽과 감시 영역에 침입한 특정 대상물과의 거리 및 각도를 감지하며, 적외선 센서의 감지 오류를 방지하기 위해 적외선 센서와 초음파 센서는 번갈아가며 적어도 각 하나 이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부; 센서부에서 센싱된 값인 거리 및 각도로 사고 위험성을 판단하는 제어부; 제어부로부터 판단된 위험도에 따라 각기 다른 색상으로 출력하여 위험상황을 알리는 시각 정보 출력부; 및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에 따른 커브 진입로 차량 안전 진입 방법은 커브 진입로 벽에 위치한 센서부로 대상을 감지하고, 감지된 대상이 차량인지 아닌지 확인하는 차량 진입 확인단계; 차량 진입 확인단계에서 센서부로부터 차량으로 확인되었을 경우, 차량 수 및 해당 차량의 위치를 확인하는 차량 수 및 위치 확인단계; 차량 수 및 위치 확인단계에서 확인된 각 차량과 커브 진입로 벽과의 거리 및 각도를 센서부에서 감지하여 제어부로 송출하는 거리 및 각도 감지단계; 거리 및 각도 감지단계에서 감지되어 제어부로 송출된 거리 값과 각도 값을 토대로 안전, 주의, 경고를 포함하는 사고 위험도를 판단하여 시각 정보 출력부로 송출하는 사고 위험도 판단 단계; 및 사고 위험도 판단 단계에서 송출된 사고 위험도에 따라 각기 다른 색상으로 출력하거나 경보를 발령하는 알림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커브 진입로 벽에 부착된 센서부를 구비함으로써, 차량과 벽 사이의 거리와 각도를 센싱하여 제어부로 송출하고, 제어부에서 이를 토대로 사고 위험도를 판단하여 사고 위험도에 따라 각기 다른 색상의 시각 정보로 표시함으로써, 급경사 커브길에서 방향감각 저하 및 차량의 크기를 계산하지 못하더라도 시각 정보를 통해 사고를 예방하고, 운전자의 감각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적외선 센서와 초음파 센서를 번갈아가며 설치함으로써, 빛을 흡수하는 특성을 가진 검은색 차량에 대해 적외선 센서의 감지 오류를 방지하는 초음파 센서로 안전성과 완성도를 높이고, 오류를 최소화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커브 진입로 차량 안전 진입 시스템의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센서부가 배치된 벽면을 구현한 사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센서부가 배치된 벽면을 구현하여 위험도를 '주의'로 판단한 사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센서부가 배치된 벽면을 구현하여 위험도를 '경고'로 판단한 사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커브 진입로 차량 안전 진입 방법의 순서도, 및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커브 진입로 차량 안전 진입 방법의 나타낸 알고리즘의 예시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커브 진입로 차량 안전 진입 시스템의 개념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센서부(10)가 배치된 벽면을 구현한 사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센서부(10)가 배치된 벽면을 구현하여 위험도를 '주의'로 판단한 사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센서부(10)가 배치된 벽면을 구현하여 위험도를 '경고'로 판단한 사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커브 진입로 차량 안전 진입방법의 순서도이고,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커브 진입로 차량 안전 진입 방법의 나타낸 알고리즘의 예시이다.
본 발명은 커브 진입로 차량 안전 진입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커브 진입로 벽에 부착된 센서부(10)를 구비함으로써, 차량과 벽 사이의 거리와 각도를 센싱하여 제어부(20)로 송출하고, 제어부(20)에서 이를 토대로 사고 위험도를 판단하여 사고 위험도에 따라 각기 다른 색상의 시각 정보로 표시함으로써, 급경사 커브길에서 방향감각 저하 및 차량의 크기를 계산하지 못하더라도 시각 정보를 통해 사고를 예방하고, 운전자의 감각을 높일 수 있도록 하고, 적외선 센서(10a)와 초음파 센서(10b)를 번갈아가며 설치함으로써, 빛을 흡수하는 특성을 가진 검은색 차량에 대해 적외선 센서(10a)의 감지 오류를 방지하는 초음파 센서(10b)로 안전성과 완성도를 높이고, 오류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커브 진입로 차량 안전 진입 시스템은 센서부(10), 제어부(20), 시각 정보 출력부(30), 및 전원부(40)를 포함한다.
이하, 센서부(10)부터 설명하기로 한다.
센서부(10)는 적외선 센서(10a)와 초음파 센서(10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 적외선 센서(10a)부터 설명하기로 한다.
적외선 센서(10a)는 감시 영역의 거리 및 각도를 감지하기 위하여 적외선을 발생시킨다.
또한, 적외선 센서(10a)는 적외선을 이용하기 때문에 짧은 파장을 사용하는 특성상 분해능이 우수하고, 직진성이 강하므로 인식 실패율이 낮은 편이나, 검은색의 차량의 경우 모든 빛을 흡수하는 특성이 있어 적외선 센서(10a)가 인식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고자 본 발명에서 초음파 센서(10b)를 포함하여 센서부(10)를 구성하였다.
초음파 센서(10b)는 빛을 흡수하는 특성을 가진 검은색 대상에 대해 적외선 센서(10a)의 감지 오류를 방지하기 위해 감시 영역에 초음파를 보내고 출입하는 대상으로부터 반사된 초음파를 받아 대상의 색상에 관계없이 대상물의 거리, 각도를 감지한다.
또한, 초음파 센서(10b)의 경우, 음파를 사용하기 때문에 파장이 길어 적외선 센서(10a)보다는 분해능이 떨어지고, 회절 현상으로 인식 실패율이 적외선 센서(10a)보다 높은 편이나 차량의 색상에 관계없이 인식할 수 있기에 적외선 센서(10a)의 검은색 차량을 인식하지 못하는 단점을 보완할 수 있다.
또한, 센서부(10)는 커브 진입로 벽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거나 내장되어 벽과 감시 영역에 침입한 특정 대상물과의 거리 및 각도를 감지하며, 적외선 센서(10a)의 감지 오류를 방지하기 위해 적외선 센서(10a)와 초음파 센서(10b)는 번갈아가며 적어도 각 하나 이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례로, 도 2를 참조하면, 가상의 벽에 센서부(10)를 설치한 사진으로, 적외선 센서(10a)는 10개, 초음파 센서(10b)는 9개를 서로 번갈아가며 배치하였다. 이로써, 빛을 흡수하는 특성을 가진 검은색 차량에 대해 적외선 센서(10a)의 감지 오류를 방지하는 초음파 센서(10b)로 안전성과 완성도를 높이고, 오류를 최소화하는 효과가 있다.
제어부(20)는 센서부(10)에서 센싱된 값인 거리 및 각도로 사고 위험성을 판단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어부(20)는 센서부(10)에서 센싱된 거리 및 각도 값을 읽어들여, 변화된 값을 찾고, 일정하게 줄어들거나 늘어나는 구간을 차량이 있는 구간이라 판단하고, 차량의 수와 위치를 파악하게 되며, 그 구간에서 센서부(10)와 센서부(10)에서 감지된 차량이 가장 가까운 거리 값에 따라 "안전", "주의", "경고"를 포함하는 사고 위험도를 판단하게 된다.
시각 정보 출력부(30)는 제어부(20)로부터 판단된 위험도에 따라 각기 다른 색상으로 출력하여 위험상황을 알린다.
일례로, 도 3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제어부(20)로부터 "주의"로 판단하는 거리에 대상(도 3의 사람 손)이 접근하게 되면, 시각 정보 출력부(30)에 노란색의 빛이 출력되고, 제어부(20)로부터 "경고"로 판단하는 거리에 대상(도 4의 사람 손)이 접근하게 되면, 빨간색의 빛이 출력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전원부(40)는 전원을 공급한다.
또한, 도 5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커브 진입로 차량 안전 진입 방법은 차량 진입 확인단계(S10), 차량 수 및 위치 확인단계(S20), 거리 및 각도 감지단계(S30), 사고 위험도 판단 단계(S40), 알림 단계(S50)를 포함한다.
이하, 차량 진입 확인단계(S10)부터 설명하기로 한다.
차량 진입 확인단계(S10)는 커브 진입로 벽에 위치한 센서부(10)로 대상을 감지하고, 감지된 대상이 차량인지 아닌지 확인한다.
차량 수 및 위치 확인단계(S20)는 차량 진입 확인단계(S10)에서 센서부(10)로부터 차량으로 확인되었을 경우, 차량 수 및 해당 차량의 위치를 확인한다.
거리 및 각도 감지단계(S30)는 차량 수 및 위치 확인단계(S20)에서 확인된 각 차량과 커브 진입로 벽과의 거리 및 각도를 센서부(10)에서 감지하여 제어부(20)로 송출한다.
사고 위험도 판단 단계(S40)는 거리 및 각도 감지단계(S30)에서 감지되어 제어부(20)로 송출된 거리 값과 각도 값을 토대로 안전, 주의, 경고를 포함하는 사고 위험도를 판단하여 시각 정보 출력부(30)로 송출한다.
알림 단계(S50)는 사고 위험도 판단 단계(S40)에서 송출된 사고 위험도에 따라 각기 다른 색상으로 출력하거나 경보를 발령한다.
일례로, 도 6을 참조하면, 커브 진입로에 설치된 센서부(10)에서 센싱된 값을 일고, 차량 유무를 판단하여 차량이 확인되면, 차량 수와 위치를 확인하되, 센서부(10)와 차량과의 거리 값 중 가장 가까운 값으로 사고 위험도를 판단하여, 이에 따라 "안전", "주의", "위험"으로 구분하여 각기 다른 색상으로 출력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a - 적외선 센서 10b - 초음파 센서
10 - 센서부 20 - 제어부
30 - 시각 정보 출력부 40 - 전원부
S10 - 차량 진입 확인단계 S20 - 차량 수 및 위치 확인단계
S30 - 거리 및 각도 감지단계 S40 - 사고 위험도 판단 단계
S50 - 알림 단계

Claims (5)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감시 영역의 거리 및 각도를 감지하기 위하여 적외선을 발생시키는 적외선 센서,
    빛을 흡수하는 특성을 가진 검은색 대상에 대해 적외선 센서의 감지 오류를 방지하기 위해 감시 영역에 초음파를 보내고 출입하는 대상으로부터 반사된 초음파를 받아 대상의 색상에 관계없이 대상물의 거리, 각도를 감지하는 초음파 센서
    를 포함하고,
    커브 진입로 벽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거나 내장되어 벽과 감시 영역에 침입한 특정 대상물과의 거리 및 각도를 감지하며, 적외선 센서의 감지 오류를 방지하기 위해 적외선 센서와 초음파 센서는 번갈아가며 적어도 각 하나 이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부;
    센서부에서 센싱된 값인 거리 및 각도로 사고 위험성을 판단하는 제어부;
    제어부로부터 판단된 위험도에 따라 각기 다른 색상으로 출력하여 위험상황을 알리는 시각 정보 출력부; 및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를 포함하고,
    커브 진입로 벽에 위치한 센서부로 대상을 감지하고, 감지된 대상이 차량인지 아닌지 확인하고, 센서부로부터 차량으로 확인되었을 경우, 차량 수 및 해당 차량의 위치를 확인하며, 확인된 각 차량과 커브 진입로 벽과의 거리 및 각도를 센서부에서 감지하여 제어부로 송출하고, 감지되어 제어부로 송출된 거리 값과 각도 값을 토대로 안전, 주의, 경고를 포함하는 사고 위험도를 판단하여 시각 정보 출력부로 송출하며, 송출된 사고 위험도에 따라 각기 다른 색상으로 출력하거나 경보를 발령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커브 진입로 차량 안전 진입 시스템.
  5. 삭제
KR1020160011484A 2016-01-29 2016-01-29 커브 진입로 차량 안전 진입 시스템 KR1017746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1484A KR101774684B1 (ko) 2016-01-29 2016-01-29 커브 진입로 차량 안전 진입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1484A KR101774684B1 (ko) 2016-01-29 2016-01-29 커브 진입로 차량 안전 진입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0753A KR20170090753A (ko) 2017-08-08
KR101774684B1 true KR101774684B1 (ko) 2017-09-05

Family

ID=596533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1484A KR101774684B1 (ko) 2016-01-29 2016-01-29 커브 진입로 차량 안전 진입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468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7104B1 (ko) * 2018-09-12 2019-03-11 태승진 주차 가이드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52171A (ko) 2020-10-20 2022-04-27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커브 길 물체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2611329B1 (ko) * 2021-07-06 2023-12-07 (주)선우종합상사 공사장용 출입차 알림 장치
CN114530037A (zh) * 2022-01-20 2022-05-24 摩拜(北京)信息技术有限公司 车辆及其定点停车检测方法、装置、电子设备和系统
CN115171387A (zh) * 2022-07-08 2022-10-11 国能(天津)大港发电厂有限公司 车辆安全监测系统、方法、电子设备及车辆
KR102634760B1 (ko) 2023-03-10 2024-02-13 (주)성원티피에스 나선형 주차장 진입로의 충돌 방지를 위한 유도 표시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38662B2 (ja) * 1997-06-02 2001-02-26 米沢日本電気株式会社 キーボード入力装置
JP2002163791A (ja) * 2000-11-24 2002-06-07 Natl Inst For Land & Infrastructure Management Mlit カーブ進入危険防止支援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38662B2 (ja) * 1997-06-02 2001-02-26 米沢日本電気株式会社 キーボード入力装置
JP2002163791A (ja) * 2000-11-24 2002-06-07 Natl Inst For Land & Infrastructure Management Mlit カーブ進入危険防止支援システ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7104B1 (ko) * 2018-09-12 2019-03-11 태승진 주차 가이드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0753A (ko) 2017-08-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74684B1 (ko) 커브 진입로 차량 안전 진입 시스템
JP6764896B2 (ja) 後方から近づいて来る車両を検知する装置を備えたオートバイ
US20190329780A1 (en) Method and Device for Supporting a Lane Change for a Vehicle
KR20170114054A (ko) 충돌방지장치 및 충돌방지방법
JP2006155615A (ja) 車道縁部マークと車道の縁の構造的境界との識別による車線離脱警告システム
KR102002860B1 (ko) 보행자를 보호하는 알림서비스 제공 시스템
CN106463058B (zh) 包括由安装在相对车辆侧上的车辆传感器感测的警告的驾驶员辅助系统
EP0720075B1 (en) Off-lane alarm apparatus
KR101815721B1 (ko) 사각지대 감지 장치 및 방법
KR20110118882A (ko) 차량의 사이드미러를 대체하는 측방충돌방지 경보시스템
JP2010065402A (ja) 道路用安全システム及び警報方法
KR20150087737A (ko) 차량 위험 감지 시스템
JP2007131092A (ja) 障害物検出装置及びこれを含む車両制動システム
KR200407699Y1 (ko) 졸음운전방지 및 무단 차선이탈 방지장치
JP4238718B2 (ja) 車両用障害物検出装置
KR102239014B1 (ko) 사각지대 경보 제어 시스템 및 방법
JP2008262446A (ja) 運転支援装置
JP2007062434A (ja) 車両用警報装置
JP2005145196A (ja) 車両周辺監視装置
JP4738374B2 (ja) 踏切障害物検知装置
KR102176770B1 (ko) 다수의 센서를 이용한 장애물 감지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0193434B1 (ko) 자동차의 측방충돌방지 경보장치
KR100210918B1 (ko) 자동차의 측방충돌 경보장치의 과다경보 억제방법
KR20160038473A (ko) 차량의 지면 단차 판단 시스템
KR19980058687A (ko) 측방충돌 경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