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7104B1 - 주차 가이드시스템 - Google Patents

주차 가이드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7104B1
KR101957104B1 KR1020180109034A KR20180109034A KR101957104B1 KR 101957104 B1 KR101957104 B1 KR 101957104B1 KR 1020180109034 A KR1020180109034 A KR 1020180109034A KR 20180109034 A KR20180109034 A KR 20180109034A KR 101957104 B1 KR101957104 B1 KR 1019571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king
vehicle
sensor
signal
signal gene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90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태승진
조미경
태은지
태자민
Original Assignee
태승진
조미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태승진, 조미경 filed Critical 태승진
Priority to KR10201801090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710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71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71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6Anti-collision systems
    • G08G1/168Driving aids for parking, e.g. acoustic or visual feedback on parking spac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5Traffic ligh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차 가이드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이 출입되도록 주차라인으로 표시된 주차공간의 전단부에 구비되어 차량을 감지하기 위한 감지센서, 상기 주차라인의 양측단부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차량의 측면과의 거리를 측정하기 위한 측정센서, 상기 주차공간에 위치된 차량의 운전자에게 주차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신호발생부, 및 상기 감지센서와 측정센서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신호발생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차량의 위치를 감지하여 신호를 발생시킴에 따라 운전자가 안전하게 주차시킬 수 있도록 가이드함에 따라, 안전한 주차가 가능하며, 자차의 도어가 개방될 수 있는 공간은 물론, 인접한 주차공간에 주차된 차량의 도어가 개방될 수 공간도 확보할 수 있어 차량 파손을 방지 및 최소화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주차 가이드시스템{Parking guide system}
본 발명은 주차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해당 주차공간으로의 차량 진입을 감지하여 차량을 주차공간의 중간부로 가이드함에 따라 안전한 주차는 물론, 차량의 파손을 방지 및 최소화시킬 수 있는 주차 가이드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후방 주차시에 운전자는 차량에 장착된 사이드 미러와 룸 미러를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사이드 미러와 룸 미러에는 보이지 않는 사각지대가 있어 운전자가 안전하게 주차하는데에는 한계가 있다.
물론, 주차에 자신이 있는 운전자는 직접 얼굴을 뒤로 돌려서 후진 주차하기도 하지만, 미숙한 운전자의 경우, 주차에 어려움이 있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 종래 주차가이드시스템은 공개특허 10-2011-0056593호에서 개진된 바와 같이, 차량에 카메라를 설치하여 차량 후진 시, 차량 내부의 화면을 통해 영상을 직접보며 주차하고 있다.
이러한 주차가이드시스템은 운전자가 차량 후방의 상태를 정확하게 보면서 주차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화면상의 거리와 실제거리는 감각의 차이가 존재함에 따라, 오히려 주차를 더욱 어렵게 만드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주차공간으로 진입한 차량을 가이드함에 따라, 안전하게 주차할 수 있음은 물론, 파손을 방지할 수 있게 하는 기술에 대한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차량이 출입되도록 주차라인으로 표시된 주차공간의 전단부에 구비되어 차량을 감지하기 위한 감지센서, 상기 주차라인의 양측단부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차량의 측면과의 거리를 측정하기 위한 측정센서, 상기 주차공간에 위치된 차량의 운전자에게 주차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신호발생부, 및 상기 감지센서와 측정센서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신호발생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여 차량의 위치를 감지하여 신호를 발생시킴에 따라 운전자가 안전하게 주차시킬 수 있도록 가이드함에 따라, 안전한 주차가 가능하며, 자차의 도어가 개방될 수 있는 공간은 물론, 인접한 주차공간에 주차된 차량의 도어가 개방될 수 공간도 확보할 수 있어 차량 파손을 방지 및 최소화시킬 수 있는 주차 가이드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은, 차량이 출입되도록 주차라인으로 표시된 주차공간의 전단부에 구비되어 차량을 감지하기 위한 감지센서, 상기 주차라인의 양측단부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차량의 측면과의 거리를 측정하기 위한 측정센서, 상기 주차공간에 위치된 차량의 운전자에게 주차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신호발생부, 및 상기 감지센서와 측정센서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신호발생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각 측정센서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호 비교함에 따라, 차량의 해당 측면과 주차공간의 해당 측단부와의 이격거리에 따라 상기 신호발생부를 제어한다.
그리고 상기 감지센서는,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센서로, 상기 주차공간의 전단부 중간부를 기준으로 일측부에 구비되는 일측감지센서, 및 상기 주차공간의 전단부 중간부를 기준으로 타측부에 구비되는 타측감지센서,를 포함하고, 일측감지센서와 타측감지센서에 의해 주차공간의 전단부 일측이나 타측으로 이동하는 차량을 감지한다.
또한, 상기 일측감지센서와 타측감지센서는, 차량 출입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복수 개 배열되어 감지함에 따라, 상기 제어부를 통해 차량의 최초 출입위치를 확인한다.
그리고 상기 측정센서는, 상기 차량의 일측면과의 거리를 측정하기 위해 상기 주차라인의 일측단부에 구비되는 일측측정센서, 및 상기 차량의 타측면과의 거리를 측정하기 위해 상기 주차라인의 타측단부에 구비되는 타측측정센서,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신호발생부는, 상기 주차라인의 일측단부에 구비되어 신호를 발생시키는 일측신호발생부, 및 상기 주차라인의 타측단부에 구비되어 신호를 발생시키는 타측신호발생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일측측정센서는, 상기 주차라인의 일측단부의 전단부에 구비되는 제1일측측정센서, 및 상기 주차라인의 일측단부의 후단부에 구비되는 제2일측측정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타측측정센서는, 상기 주차라인의 타측단부의 전단부에 구비되는 제1타측측정센서, 및 상기 주차라인의 타측단부의 후단부에 구비되는 제2타측측정센서,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일측신호발생부는, 상기 주차라인의 일측단부의 전단부에 구비되는 제1일측신호발생부, 및 상기 주차라인의 일측단부의 후단부에 구비되는 제2일측신호발생부,를 포함하고, 상기 타측신호발생부는, 상기 주차라인의 타측단부의 전단부에 구비되는 제1타측신호발생부, 및 상기 주차라인의 타측단부의 후단부에 구비되는 제2타측신호발생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일측신호발생부는, 상기 주차라인의 일측단부를 따라 일정간격으로 복수 개 구비되고, 상기 타측신호발생부는, 상기 주차라인의 타측단부를 따라 일정간격으로 복수 개 구비된다.
또한, 상기 신호발생부는, 광원을 발생시키며, 안전신호와 준경고신호 및 경고신호를 발생시킨다.
그리고 상기 안전신호는 초록색이고, 상기 준경고신호는 노란색이며, 상기 경고신호는 빨간색이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주차공간부의 주차라인의 폭과 상기 주차라인의 해당 측단부와의 허용거리가 기 설정되고, 상기 각 측정센서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허용거리 이상 이격될 경우, 안전신호가 발생되도록 상기 신호발생부를 제어한다.
그리고 상기 주차공간부의 전단부 상측에 주차확인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센서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주차확인부를 제어한다.
또한, 상기 신호발생부의 신호를 반사시키기 위한 반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반사부는 신호발생부의 신호가 차량의 사이드미러를 통해 운전자가 확인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주차 가이드시스템에 의하면, 차량의 위치를 감지하여 신호를 발생시킴에 따라 운전자가 안전하게 주차시킬 수 있도록 가이드함에 따라, 안전한 주차가 가능하다.
그리고 주차된 차량의 도어가 개방될 수 있는 공간은 물론, 인접한 주차공간에 주차된 다른 차량의 도어가 개방될 수 공간도 확보할 수 있어 차량 파손을 방지 및 최소화시킬 수 있다.
이에, 공용주택과 공공주차지역 등의 주차공간에서 주차불량에 의한 민원분쟁과 주민간의 불화를 해소시킬 수 있게 하는 매우 유용하고 효과적인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주차 가이드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주차 가이드시스템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주차 가이드시스템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감지센서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주차 가이드시스템에 반사부가 더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주차 가이드시스템에 주차확인부가 더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과 함께 이하에 개시될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고자 하는 것이며,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유일한 실시형태를 나타내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완전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서 구체적 세부사항을 포함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이러한 구체적 세부사항 없이도 실시될 수 있음을 안다.
몇몇 경우, 본 발명의 개념이 모호해지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공지의 구조 및 장치는 생략되거나, 각 구조 및 장치의 핵심기능을 중심으로 한 블록도 형식으로 도시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comprising 또는 including)"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한다. 또한, "일(a 또는 an)", "하나(one)", "그(the)" 및 유사 관련어는 본 발명을 기술하는 문맥에 있어서(특히, 이하의 청구항의 문맥에서) 본 명세서에 달리 지시되거나 문맥에 의해 분명하게 반박되지 않는 한, 단수 및 복수 모두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주차 가이드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주차 가이드시스템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주차 가이드시스템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감지센서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주차 가이드시스템에 반사부가 더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주차 가이드시스템에 주차확인부가 더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주차 가이드시스템은 감지센서(100)와 측정센서(200), 신호발생부(300) 및 제어부(400)를 포함한다.
감지센서(100)는 차량이 출입되도록 주차라인(20)으로 표시된 주차공간의 전단부에 구비되어 차량을 감지하기 위해 구비된다.
그리고 측정센서(200)는 주차라인(20)의 양측단부에 각각 구비되어 차량의 측면과의 거리를 측정하기 위해 구비된다.
신호발생부(300)는 주차공간에 위치된 차량의 운전자에게 주차상태를 표시하기 위해 구비된다.
또한 제어부(400)는 감지센서(100)와 측정센서(200)의 신호를 수신하여 신호발생부(300)를 제어하기 위해 구비된다.
이러한 주차 가이드시스템의 작동상태를 살펴보면, 주차라인(20)의 전단부로 차량이 진입할 경우, 감지센서(100)에 의해 차량이 감지되며, 출입 시, 측정센서(200)의 신호를 수신한 제어부(400)에 의해 운전자가 용이하게 확인하도록 신호발생부(300)가 제어된다.
이 신호발생부(300)의 신호에 따라 운전자는 차량을 주차라인(20)의 중간부에 주차되도록 가이드하여 안전한 주차를 유도한다.
이에, 각 주차라인에 주차된 각 차량들의 간격이 이격되어 차량 승하차 시, 도어가 개방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할 수 있어 개방된 도어에 의해 옆 차량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한, 제어부(400)는 측정센서(200)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호 비교함에 따라, 차량의 해당 측면과 주차공간의 해당 측단부와의 이격거리에 따라 신호발생부(300)를 제어한다.
그리고 감지센서(100)는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센서로, 일측감지센서(110)와 타측감지센서(120)를 포함한다.
일측감지센서(110)는 주차공간의 전단부 중간부를 기준으로 일측부에 구비된다.
또한 타측감지센서(120)는 주차공간의 전단부 중간부를 기준으로 타측부에 구비된다.
이러한 일측감지센서(110)와 타측감지센서(120)에 의해 주차공간의 전단부 일측이나 타측으로 이동하는 차량을 감지할 수 있어 감지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측정센서(200)는 이격거리를 측정하는 것으로, 일측측정센서(210)와 타측측정센서(220)를 포함한다.
일측측정센서(210)는 차량의 일측면과의 거리를 측정하기 위해 주차라인(20)의 일측단부에 구비된다.
또한 타측측정센서(220)는 차량의 타측면과의 거리를 측정하기 위해 주차라인(20)의 타측단부에 구비된다.
제어부(400)는 일측측정센서(210)와 타측측정센서(220)의 신호를 상호 비교함에 따라, 차량의 해당 측면과 주차라인의 해당 측단부와의 이격거리를 동일하게 유지하도록 신호발생부(300)를 제어한다.
그리고 신호발생부(300)는 일측신호발생부(310)와 타측신호발생부(320)를 포함한다.
일측신호발생부(310)는 주차라인(20)의 일측단부에 구비되어 신호를 발생시킨다.
또한 타측신호발생부(320)는 주차라인(20)의 타측단부에 구비되어 신호를 발생시킨다.
여기서, 일측측정센서(210)와 타측측정센서(220), 일측신호발생부(310)와 타측신호발생부(320)는 해당 주차라인(20) 부근에 구비되는 것으로, 바닥에 설치되거나 또는 운전자가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일정 높이에 위치된다.
이에, 운전자가 차량 내부에서 신호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어 정확하게 안전한 주차를 유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감지센서(100)가 차량을 감지되면, 제어부(400)는 진입확인신호를 발생시키도록 신호발생부(30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측정센서(200)로부터 입력되는 값에 따라 신호발생부(300)는 다양한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일측신호발생부(310) 및 타측신호발생부(320)는 각각 다른 신호를 발생시켜, 운전자가 차량이 주차공간 중심으로부터 어느 쪽으로 벗어나 있는 지 확인이 가능할 수 있다.
그리고 다른 실시 예로,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일측측정센서(210)는 제1일측측정센서(212)와 제2일측측정센서(214)를 포함한다.
제1일측측정센서(212)는 주차라인(20)의 일측단부의 전단부에 구비되고, 제2일측측정센서(214)는 주차라인(20)의 일측단부의 후단부에 구비된다.
또한 타측측정센서(220)는 제1타측측정센서(222)와 제2타측측정센서(224)를 포함한다.
제1타측측정센서(222)는 주차라인(20)의 타측단부의 전단부에 구비되고, 제2타측측정센서(224)는 주차라인(20)의 타측단부의 후단부에 구비된다.
이 제1일측측정센서(212)와 제2일측측정센서(214)는 차량의 일측 전단부와 후단부의 이격거리를 각각 측정하고, 제1타측측정센서(222)와 제2타측측정센서(224)는 차량의 타측 전단부와 후단부의 이격거리를 각각 측정한다.
그리고 일측신호발생부(310)는 제1일측신호발생부(312)와 제2일측신호발생부(314)를 포함한다.
제1일측신호발생부(312)는 주차라인(20)의 일측단부의 전단부에 구비되고, 제2일측신호발생부(314)는 주차라인(20)의 일측단부의 후단부에 구비된다.
또한 타측신호발생부(320)는 제1타측신호발생부(322)와 제2타측신호발생부(324)를 포함한다.
제1타측신호발생부(322)는 주차라인(20)의 타측단부의 전단부에 구비되며, 제2타측신호발생부(324)는 주차라인(20)의 타측단부의 후단부에 구비된다.
이러한 각 신호를 수신한 제어부(400)는 차량의 안전한 주차를 유도한다.
여기서, 제1일측측정센서(212)와 제2일측측정센서(214), 제1타측측정센서(222) 및 제2타측측정센서(224)는 차량의 앞범퍼 및 뒷범퍼와 해당 주차라인의 이격거리를 측정하거나 해당 타이어와 해당 주차라인의 이격거리를 측정한다.
그리고 제1일측신호발생부(312)와 제2일측신호발생부(314), 제1타측신호발생부(322) 및 제2타측신호발생부(324)는 해당 측정센서(212, 214, 222, 224)의 신호를 수신한 제어부(400)에 의해 개별신호를 발생시켜 차량 주차를 더욱 안전하게 가이드할 수 있다.
한편 또 다른 실시 예로,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신호발생부(300)는 주차라인(20)의 양측단부를 따라 일정간격으로 복수 개 구비된다.
다시 말해, 일측신호발생부(310)는 주차라인(20)의 일측단부를 따라 일정간격으로 복수 개 구비되고, 타측신호발생부(320)는 주차라인(20)의 타측단부를 따라 일정간격으로 복수 개 구비된다.
이에, 운전자는 차량의 사이드미러를 보고 복수의 신호발생부(310, 320)의 신호를 보고 안전하게 주차시킬 수 있다.
여기서, 각 실시 예의 신호발생부(300)는 광원과 경고음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발생된다.
이러한 광원은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어 안전신호와 준경고신호 및 경고신호를 발생시키거나 점멸시킨다.
일 실시 예로, 안전신호는 초록색이고, 준경고신호는 노란색이며, 경고신호는 빨간색이다.
이에, 운전자는 발생 신호에 따라 차량을 안전하게 주차시킬 수 있다.
여기서, 준경고신호인 노란색과 경고신호인 빨간색은 차량의 일측부가 해당 주차라인에 근접한 길이, 즉, 해당 측정센서의 측정 거리가 설정된 일정거리 이하일 경우, 노란색이 발광되고, 계속하여 주차라인과 더욱 더 가까워질 경우, 빨간색으로 발광하여 경고를 알린다.
반대로, 차량의 타측부는 해당 측정센서와의 거리가 멀어짐에 따라, 안전신호인 초록색이 발광됨이 당연하다.
운전자는 노란색이나 빨간색이 발광되는 반대방향, 즉 초록색이 발광되는 방향으로 핸들을 회전시켜 방향을 변경하거나 주차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차량자세를 바로잡는 등의 행동으로 안전한 주차를 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복수의 신호발생부(300)는 감지센서(100)에서 차량의 진입이 감지되는 경우, 순차적 점멸로 해당 주차공간으로 주차를 유도하는 주차유도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이에, 차량의 주차를 더욱 안전하게 유도할 수 있다.
그리고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일측감지센서(110)와 타측감지센서(120)는 차량 출입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각각 일정 간격으로 복수 개 배열되어 차량을 감지한다.
이러한 복수의 일측감지센서(110)와 타측감지센서(120)는 진입하는 차량의 타이어를 감지하여 해당 주차라인에서의 최초 진입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특히, 일측감지센서(110)와 타측감지센서(120) 중 먼저 감지된 센서방향에서 진입됨을 알 수 있고, 이 일측감지센서(110)와 타측감지센서(120)가 동시에 감지될 경우, 직선으로 진입함을 알 수 있다.
이에, 제어부(400)는 신호발생부(300)를 제어하여 차량을 주차라인(20) 중간부로 유도함에 따라, 안전한 주차를 가이드한다.
여기서, 제어부(400)는 주차공간의 주차라인(20)의 폭과 주차라인(20)의 해당 측단부와의 허용거리가 기설정되는 것으로, 허용거리는 각 차량의 폭에 따라, 범위가 재설정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각 차량의 폭은 복수의 일측감지센서(110)와 타측감지센서(120)에 의해 제어부(400)에서 측정 가능하며, 이 측정값을 기준으로 허용범위를 산출하여 허용거리를 설정한다.
이 설정된 허용거리를 기준으로 신호발생부(300)를 제어하여 다양한 폭의 차량에 대해서도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다.
물론, 이 허용거리 이하로 간격이 좁혀질 경우, 해당 신호발생부(310)는 준경고신호와 경고신호를 발생시키고, 다른 신호발생부(320)는 안전신호를 발생시킴에 따라, 차량을 안전신호로 가이드한다.
그리고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각 실시 예의 주차 가이드시스템은 반사부(500)를 더 포함한다.
이 반사부(500)는 신호발생부(300)의 신호를 반사시키기 위해 구비되는 것으로, 반사부(500)에 의해 반사되는 신호가 차량의 사이드미러를 통해 운전자가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물론, 신호발생부(300)는 주차라인이 그려진 바닥에 구비되지 않고, 운전자가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프레임 등의 고정물에 구비되거나 승강될 수도 있다.
이에, 운전자는 얼굴을 돌리지 않고 사이드미러와 육안으로 안전한 주차를 실시할 수 있다.
그리고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주차 가이드시스템은 주차확인부(600)를 더 포함한다.
이 주차확인부(600)는 주차공간의 전단부 상측에 구비되어 해당 주차라인(20)에 차량의 존재여부를 원거리에서 확인 가능하다.
제어부(400)는 감지센서(200)의 신호를 수신하여 주차확인부(600)를 제어하는 것으로, 주차확인부(600)는 주차 가능한 주차공간인 경우, 초록색으로 점등되고, 차량이 주차되어 있을 경우, 빨간색으로 점등된다.
이와 같은, 주차 가이드시스템에 의하면, 주차된 차량의 도어가 개방될 수 있는 공간은 물론, 인접한 주차공간에 주차된 다른 차량의 도어가 개방될 수 공간도 확보할 수 있어 차량 파손을 방지 및 최소화시킬 수 있다.
이에, 공용주택(아파트, 오피스텔 등)과 공공주차지역 등에서 주차불량에 의한 민원분쟁과 주민간의 불화를 해소시킬 수 있게 하는 매우 유용하고 효과적인 발명이다.
이는, 운전자가 경각심과 주의력을 자각할 수 있게 하여 정상주차의 필요성을 스스로 깨달을 수 있으며, 주차효율성을 100%로 달성할 수 있다.
100 : 감지센서 200 : 측정센서
300 : 신호발생부 400 : 제어부
500 : 반사부 600 : 주차확인부

Claims (6)

  1. 차량이 출입되도록 주차라인으로 표시된 주차공간의 전단부에 구비되어 차량을 감지하기 위한 감지센서;
    상기 주차라인의 양측단부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차량의 측면과의 거리를 측정하기 위한 측정센서;
    상기 주차공간에 위치된 차량의 운전자에게 주차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신호발생부; 및
    상기 감지센서와 측정센서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신호발생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측정센서는 상기 차량의 일측면과의 거리를 측정하기 위해 상기 주차라인의 일측단부에 구비되는 일측측정센서; 및 상기 차량의 타측면과의 거리를 측정하기 위해 상기 주차라인의 타측단부에 구비되는 타측측정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일측측정센서는, 상기 주차라인의 일측단부의 전단부에 구비되는 제1일측측정센서; 및 상기 주차라인의 일측단부의 후단부에 구비되는 제2 일측측정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타측측정센서는 상기 주차라인의 타측단부의 전단부에 구비되는 제1타측측정센서; 및 상기 주차라인의 타측단부의 후단부에 구비되는 제2타측측정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신호발생부는 상기 주차라인의 일측단부에 구비되어 신호를 발생시키는 일측신호발생부; 및 상기 주차라인의 타측단부에 구비되어 신호를 발생시키는 타측신호발생부;를 포함하고,
    상기 일측신호발생부는 상기 주차라인의 일측단부의 전단부에 구비되는 제1일측신호발생부; 및 상기 주차라인의 일측단부의 후단부에 구비되는 제2일측신호발생부;를 포함하고, 상기 타측신호발생부는, 상기 주차라인의 타측단부의 전단부에 구비되는 제1타측신호발생부; 및 상기 주차라인의 타측단부의 후단부에 구비되는 제2타측신호발생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일측측정센서와 타측측정센서의 신호를 상호 비교함에 따라, 차량의 해당 측면과 주차라인의 해당 측단부와의 이격거리를 동일하게 유지하도록 신호발생부가 안전신호와 준경고신호 및 경고신호의 광원을 발생시키도록 제어하는 주차 가이드시스템이고,
    상기 주차 가이드시스템은 운전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신호발생부의 신호를 차량의 사이드미러로 반사시키기 위한 반사부를 포함하는 주차 가이드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센서는,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센서로,
    상기 주차공간의 전단부 중간부를 기준으로 일측부에 구비되는 일측감지센서; 및
    상기 주차공간의 전단부 중간부를 기준으로 타측부에 구비되는 타측감지센서;를 포함하고,
    일측감지센서와 타측감지센서에 의해 주차공간의 전단부 일측이나 타측으로 이동하는 차량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 가이드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일측감지센서와 타측감지센서는,
    차량 출입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복수 개 배열되어 감지함에 따라, 상기 제어부를 통해 차량의 최초 출입위치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 가이드시스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주차라인으로 표시된 주차공간의 전단부 상측에 주차확인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센서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주차확인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 가이드시스템.
KR1020180109034A 2018-09-12 2018-09-12 주차 가이드시스템 KR1019571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9034A KR101957104B1 (ko) 2018-09-12 2018-09-12 주차 가이드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9034A KR101957104B1 (ko) 2018-09-12 2018-09-12 주차 가이드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57104B1 true KR101957104B1 (ko) 2019-03-11

Family

ID=657585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9034A KR101957104B1 (ko) 2018-09-12 2018-09-12 주차 가이드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710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97597A (zh) * 2019-05-30 2019-09-03 北京百度网讯科技有限公司 一种停车辅助方法及装置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5273B1 (ko) * 2012-09-28 2014-07-04 박성웅 주차표시장치와 이를 이용한 주차표시 및 안내방법
KR20140116680A (ko) * 2013-03-25 2014-10-06 (주)에스디시스템 센서의 비정상동작 감시 기능이 구비된 주차면 차량감지 시스템
KR101561668B1 (ko) * 2015-02-17 2015-10-30 민사현 주차장의 충돌 방지 장치 및 시스템
KR20160081251A (ko) * 2014-12-31 2016-07-08 신종덕 주차라인 표시 장치
KR101774684B1 (ko) * 2016-01-29 2017-09-05 한국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커브 진입로 차량 안전 진입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5273B1 (ko) * 2012-09-28 2014-07-04 박성웅 주차표시장치와 이를 이용한 주차표시 및 안내방법
KR20140116680A (ko) * 2013-03-25 2014-10-06 (주)에스디시스템 센서의 비정상동작 감시 기능이 구비된 주차면 차량감지 시스템
KR20160081251A (ko) * 2014-12-31 2016-07-08 신종덕 주차라인 표시 장치
KR101561668B1 (ko) * 2015-02-17 2015-10-30 민사현 주차장의 충돌 방지 장치 및 시스템
KR101774684B1 (ko) * 2016-01-29 2017-09-05 한국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커브 진입로 차량 안전 진입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97597A (zh) * 2019-05-30 2019-09-03 北京百度网讯科技有限公司 一种停车辅助方法及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61668B1 (ko) 주차장의 충돌 방지 장치 및 시스템
JP4621652B2 (ja) 移動目標の高速イメージング検査設備及び方法
KR101507451B1 (ko) 역주행 차량 방지 시스템
US20040032326A1 (en) Intruder detection device and intruder detection method
KR101886325B1 (ko) 주차장 교차로의 진입차량 경고 시스템
KR102126118B1 (ko) 지그비통신과 높이측정을 이용한 차량 통제 시스템
KR101957104B1 (ko) 주차 가이드시스템
KR100799317B1 (ko) 차량 승강장 안전관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JP2008514907A (ja) 駐車余地を測定する赤外線センサ及び車両に対する周囲の状況の監視
KR20210031589A (ko) 터널 내부 차량 사고 방지시스템
JP4301703B2 (ja) レーザ反射式車両検知装置
KR100970495B1 (ko) 버스베이에서의 불법 주정차 차량 계도 및 단속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계도 및 단속방법
KR101644179B1 (ko) 횡단보도의 보행자안전시스템 및 그 방법
JP4818781B2 (ja) 駐車場における車高制限確認装置
JP5404466B2 (ja) 駐車場出入口の警報装置
CN207458346U (zh) 一种隧道安全防护装置以及系统
KR20130128054A (ko) 차량용 안전시스템
JP2021036352A (ja) 死角人又は車存在検出容易化装置
KR100715782B1 (ko) 적외선 감지장치
KR200434451Y1 (ko) 주차 유도 장치
JP3166038B2 (ja) 機械式駐車場の火災監視システム
KR200449500Y1 (ko) 하이패스구간용 차량 및 차속 검출장치
KR101410109B1 (ko) 차량용 측방 장애물 감지 장치 및 시스템
JP3554043B2 (ja) プラットホームの安全監視システムおよびこれを用いた安全監視方法
KR102215737B1 (ko) 지능형 무인 주차관제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