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9500Y1 - 하이패스구간용 차량 및 차속 검출장치 - Google Patents

하이패스구간용 차량 및 차속 검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9500Y1
KR200449500Y1 KR2020080015605U KR20080015605U KR200449500Y1 KR 200449500 Y1 KR200449500 Y1 KR 200449500Y1 KR 2020080015605 U KR2020080015605 U KR 2020080015605U KR 20080015605 U KR20080015605 U KR 20080015605U KR 200449500 Y1 KR200449500 Y1 KR 20044950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unit
auxiliary
driving
det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1560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5618U (ko
Inventor
이학수
성기복
양광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오디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오디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오디텍
Priority to KR202008001560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9500Y1/ko
Publication of KR2010000561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561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950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950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52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with provision for determining speed or overspee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17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identifying vehicles
    • G08G1/0175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identifying vehicles by photographing vehicles, e.g. when violating traffic rul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4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using optical or ultrasonic detect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고속도로의 하이패스구간 내에 설치되어 차량여부 및 차량속도를 검출할 수 있고, 특히, 고속으로 진입하는 차량의 주행속도를 정확히 측정할 수 있어 하이패스구간 내의 사고시 과실여부를 정확히 판단할 수 있고, 제조비용이 저렴하고 설치가 매우 간편한 하이패스구간용 차량 및 차속 검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하이패스, 차량여부, 차량속도, 차속

Description

하이패스구간용 차량 및 차속 검출장치{VEHICLE AND VEHICLE SPEED DETECTION APPARATUS FOR HI-PASS}
본 고안은 고속도로, 특히 고속도로의 하이패스구간에 설치되어 차량여부 및 차량속도를 검출하기 위한 차량 및 차속 검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고속으로 진입하는 차량의 주행속도를 정확히 측정할 수 있고 종래의 하이패스구간 내에 간편하고 저렴한 비용으로 설치할 수 있는 차량 및 차속 검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속도로 등의 유료도로에 설치된 차량감지장치는 크게 레이저 감응방식, 적외선 타입 광센서와 답판센서를 혼용하는 방식 등으로 대별된다. 이 중 레이저 감응방식의 경우 생산 및 유지보수의 비용이 크게 부담되어 많이 사용되지 않고, 혼용방식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혼용방식의 경우 답판센서의 높은 고장 보수율, 고가의 제조 및 시공비용 등으로 인해 수요상 많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한편, 고속도로의 통행료의 지불에 따른 차량정체를 방지하기 위해 최근에 달리는 차안에서 무선 또는 적외선 통신 등을 이용하여 통행료를 지불할 수 있는 최첨단 전자요금 징수시스템(하이패스; Hi-pass)이 도입되어 널리 시행되고 있다.
하이패스시스템은 차량 내에 장착되는 차량단말기(OBU)와, 하이패스구간의 요금소에 설치되어 상기 차량단말기와 통신하여 차량정보를 수신하고 통행료를 수납하는 통신부와, 진입하는 차량을 감지하여 차량여부를 검출하는 차량검출부와, 상기 차량단말기가 장착되지 않은 차량이 진입하여 통과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차단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현재 하이패스 구간의 경우 시속 30km로 진입하도록 권고하고 있으나, 빠른속도로 진입하여 통과하는 차량이 늘고 있고, 빈번하게 빠른 속도로 진입한 차량이 상기 차단기가 미처 올라가기전에 통과하려다 상기 차단기를 추돌하는 사고가 발생하고 있다.
특히, 차량과 차단기의 추돌사고시 차량의 진입속도, 차단기의 오작동 등에 따른 운전자와 요금소의 사고 과실여부와, 하이패스 단말기가 장착되지 않은 단말기 미장착 차량의 진입시 차단기의 차단에 따른 급브레이크 조작에 의해 뒤따르는 차량과의 추돌사고시 차량의 진입속도, 안전거리확보 등에 의해 운전자간의 사고과실여부가 문제시 되고 있어, 하이패스구간을 통과하는 차량의 속도를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는 차속검출장치가 요구되고 있다.
한편, 차속검출장치로서 종래의 레이저 속도측정장치 또는 답판센서를 이용할 수 있으나, 레이저 속도측정장치의 경우 가격이 고가이고, 답판센서의 경우 시공시 하이패스구간을 차단해야 하기 때문에 시공기간동안 차량정체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고, 시공 및 보수비용이 고가인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은 고속도로의 하이패스구간으로 고속진입하는 차량의 차량여부 및 속도를 정확히 측정할 수 있고, 제조 및 시공이 매우 간편할 뿐만 아니라 시공비용이 저렴한 하이패스구간용 차량 및 차속 검출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복수의 차량감지센서가 세로로 배열형성되어 진입한 차량의 측면을 스캔하는 제1 차량감지부와 제2 차량감지부가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설치되고, 상기 제1 차량감지부 및 제2 차량감지부에 제1 보조감지센서부 및 제2 보조감지센서부가 각각 구비되고,
상기 제1 차량감지부 및 제2 차량감지부의 복수의 차량감지센서를 순차적으로 구동시키고, 상기 제1 보조감지센서부 및 제2 보조감지센서부를 구동시키는 구동부와;
상기 제1 차량감지부 및 제2 차량감지부의 스캔정보를 근거로 차량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제1 보조감지센서부 및 제2 보조감지센서부의 출력신호를 근거로 차량속도를 연산하는 제어부;가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패스구간용 차량 및 차속 검출장치를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제1 보조감지센서부 및 제2 보조감지센서부는 상기 제1 차량감 지부 및 제2 차량감지부의 복수의 차량감지센서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하이패스구간용 차량 및 차속 검출장치는 고속으로 진입하는 차량의 차량여부 및 차속을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어, 하이패스구간 내의 사고시 과실여부를 정확히 판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상기 제1 차량감지부 및 제2 차량감지부에 제1 보조감지센서부 및 제2 보조감지센서부를 각각 구비하고, 기존의 제어부를 이용하여 상기 제1 보조감지센서부 및 제2 보조감지센서부의 검출신호를 근거로 차량의 속도를 검출함으로써, 제조비용이 저렴하고 설치가 매우 간편한 효과가 있다.
이하 본 고안의 하이패스구간용 차량 및 차속 검출장치를 실시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고,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고안의 하이패스구간용 차량 및 차속 검출장치가 설치된 도로의 일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인 하이패스구간용 차량 및 차속 검출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본 고안의 하이패스구간용 차량 및 차속검출장치는 도 1 및 도 2와 같이 하이패스구간 내로 진입하는 차량의 측면을 스캔하는 복수의 차량감지센서가 구비된 제1 차량감지부(10) 및 제2 차량감지부(20)와; 상기 제1 차량감지부(10) 및 제2 차량감지부(20)에 각각 구비되는 제1 보조감지센서부(30) 및 제2 보조감지센서부(40)와; 상기 제1 차량감지부(10) 및 제2 차량감지부(20)의 복수의 차량감지센서를 순차적으로 구동시키고, 상기 제1 보조감지센서부(30) 및 제2 보조감지센서부(40)를 구동시키는 구동부와; 상기 제1 차량감지부(10) 및 제2 차량감지부(20)의 스캔정보를 근거로 차량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제1 보조감지센서부(30) 및 제2 보조감지센서부(40)의 출력신호를 근거로 차량속도를 연산하는 제어부(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3은 복수의 발광소자, 보조 발광소자가 구비된 발광함체와, 복수의 수광소자, 보조 수광소자가 구비된 수광함체를 개략적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 제1 차량감지부(10) 및 상기 제2 차량감지부(20)는 하이패스구간의 입구에 설치되어 차량의 측면을 스캔하기 위한 것으로서, 차선을 따라 일정거리 이격된 상태로 설치되고, 복수의 발광소자(112)(212)와 복수의 수광소자(132)(232)로 이루어진 복수의 차량감지센서가 각각 수직방향으로 배열설치된다.
상세하게 상기 제1 차량감지부(10) 및 상기 제2 차량감지부(20)는 도 1 및 도 3과 같이 차선의 일측에 설치되는 발광함체(IH)에 수직방향으로 배열설치된 복수의 발광소자(112)(212)로 이루어진 발광부(110)(210)와; 상기 발광함체(IH)의 맞은 편인 차선의 타측에 설치되는 수광함체(PH)에 수직방향으로 배열설치된 복수의 수광소자(132)(232)로 이루어진 수광부(130)(2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발광부(110)(210)의 발광소자(112)(212)로서는 적외선 발광소자 등의 직진성 광원을 발진하는 소자 등을 사용할 수 있고, 상기 수광부(130)(230)의 수광소자(132)(232)로서는 포토다이오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제1 차량감지부(10) 및 제2 차량감지부(20)의 복수의 발광소자(112)(212)가 순차적으로 발광하여 광 커튼을 형성하고, 상기 복수의 수광소자(132)(232)에 상기 복수의 발광소자(112)(212)로부터 발광된 광원이 수광되면 수광신호를 출력하고, 수광되지 않으면 검출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제1 보조감지센서부(30) 및 상기 제2 보조감지센서부(40)는 하이패스 구간내에 진입한 차량의 속도를 측정하기 위한 것이다.
도 3과 같이, 상기 제1 보조감지센서부(30)는 상기 제1 차량감지부(10)의 발광함체(IH)에 구비된 보조 발광소자(310)와, 상기 제1 차량감지부(10)의 수광함체(PH)에 구비된 보조 수광소자(330)로 구성되고, 상기 제2 보조감지센서부(40)는 상기 제2 차량감지부(20)의 발광함체(IH)에 구비된 보조 발광소자(410)와, 상기 제2 차량감지부(20)의 수광함체(PH)에 구비된 보조 수광소자(430)로 구성된다.
상기 제1 보조감지센서부(30) 및 상기 제2 보조감지센서부(40)는 상기 제1 차량감지부(10) 및 상기 제2 차량감지부(20)의 발광함체(IH) 및 수광함체(PH)에 각각 별도로 구비될 수 도 있으나, 상기 제1 차량감지부(10) 및 상기 제2 차량감지부(20)의 복수의 차량감지센서 중 1 또는 2이상의 차량감지센서를 선택하여 이용할 수 도 있다.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제1 차량감지부(10)의 복수의 차량감지센서, 상기 제2 차량감지부(20)의 복수의 차량감지센서, 제1 보조감지센서부(30) 및 제2 보조감지센서부(40)를 구동시키기 위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제1 차량감지부(10)의 복수의 차량감지센서 및 상기 제2 차량감지부(20)의 복수의 차량감지센서를 순차적으로 구동시켜 스캐닝하도록 구동시키고, 상기 제1 보조감지센서부(30) 및 제2 보조감지센서부(40)를 구동시킨다.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제1 차량감지부(10)의 복수의 차량감지센서를 구동하는 제1 구동부(510)와, 상기 제2 차량감지부(20)의 복수의 차량감지센서를 구동하는 제2 구동부(520)와, 상기 제1 보조감지센서부(30)를 구동하는 제1 보조구동부(515)와, 상기 제2 보조감지센서부(40)를 구동하는 제2 보조구동부(525)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제1 보조감지센서부(30) 및 상기 제2 보조감지센서부(40)를 상기 제1 보조구동부(515) 및 상기 제2 보조구동부(525)에 의해 각각 구동시킴으로서, 상기 제1 보조감지센서부(30) 및 상기 제2 보조감지센서부(40)를 응답속도가 매우 빠르도록 구동시킬 수 있어 오차율이 매우 낮은 차량속도를 계산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60)는 상기 제1 차량감지부(10) 및 상기 제2 차량감지부(20)의 복수의 수광소자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근거로 진입한 물체가 차량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차량판단부(610)와, 상기 제1 보조감지센서부(30) 및 제2 보조감지센서부(40)의 수광소자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근거로 진입한 차량의 속도를 연산하는 차속연산부(630)가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차량판단부(610)는 상기 제1 차량감지부(10)의 복수의 수광소자 및 상기 제2 차량감지부(20)의 복수의 수광소자의 신호값을 근거로 미리 저장된 기준값과 비교하여 차량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차속연산부(630)는 미리 저장된 상기 제1 차량감지부(10)와 상기 제2 차량감지부(20)의 거리와, 상기 제1 보조감지센서부(30) 및 상기 제2 보조감지센서부(40)의 검출신호의 시간차를 이용하여 하기의 수학식 1에 의해 진입한 차량의 속도를 계산한다.
[수학식 1]
Vc = L / (T±Δt)
(여기서, Vc는 차량속도, L은 제1 차량감지부(10)와 제2 차량감지부(20)의 거리, T는 제1 보조감지센서부(30) 및 상기 제2 보조감지센서부(40)의 검출신호의 시간차, Δt는 제1 보조감지센서부(30) 및 제2 보조감지센서부(40)의 응답속도임.)
상기 제1 구동부(510) 및 제2 구동부(520)가 상기 제1 차량감지부(10) 및 상기 제2 차량감지부(20)의 복수의 차량감지센서를 순차적으로 구동시켜 진입한 물체를 스캐닝함으로서 차량 여부를 정확히 판단할 수 있고, 상기 제1 보조구동부(515) 및 상기 제2 보조구동부(525)가 상기 제1 보조감지센서부(30) 및 상기 제2 보조감지센서부(40)를 별도로 구동시키기 때문에 응답속도가 매우 빨라 오차율이 낮은 차량속도를 얻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특히, 본 고안의 차량 및 차속 검출장치는 종래의 고가의 레이저 속도측정장치와 시공이 어렵고 보수가 잦은 답판센서와 달리 설치가 간편하고 제조 및 시공비용이 매우 저렴하다.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인 복수의 발광소자, 보조 발광소자가 구비된 발광함체와, 복수의 수광소자, 보조 수광소자가 구비된 수광함체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인 차량 및 차속 검출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인 차량 및 차속 검출장치는 도 3의 일실시예와 달리 상기 제1 보조감지센서부(30) 및 상기 제2 보조감지센서부(40)의 발광소자(310)(410) 및 수광소자(330)(430)가 상기 제1 차량감지부(10) 및 상기 제2 차량감지부(20)의 복수의 차량감지센서인 복수의 발광소자(112)(212) 및 복수의 수광소자(132)(232)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다.
도 4에서는 상기 제1 보조감지센서부(30) 및 상기 제2 보조감지센서부(40)가 상기 제1 차량감지부(10) 및 상기 제2 차량감지부(20)의 복수의 차량감지센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이루어졌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제1 차량감지부(10) 및 상기 제2 차량감지부(20)의 복수의 차량감지센서 중 둘 이상을 선택하여 이루어질 수 도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기 제1 보조감지센서부(30) 및 상기 제2 보조감지센서부(40)를 도 2와 같이 별도의 제1 보조구동부(515) 및 제2 보조구동부(525)를 구성하여 구동시킬 수도 있으나, 상기 구동부의 구성 등을 간소화하고 제조비용을 낮추기 위해 도 5와 같이 상기 제1 차량감지부(10) 및 상기 제2 차량감지부(20)를 순차적으로 구동시키는 제1 구동부(510) 및 제2 구동부(520)로 구동시킬 수 있다.
상기 제1 구동부(510) 및 제2 구동부(520)로 상기 제1 차량감지부(10)의 복수의 차량감지센서, 상기 제1 보조감지센서부(30) 및 상기 제2 차량감지부(20)의 복수의 차량감지센서, 상기 제2 보조감지센서부(40)를 각각 구동시킬 때 다음과 같이 구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구동부(510)의 경우 상기 제1 차량감지부(10)의 복수의 차량감지센서를 "S11, S12, S13, … S1n"이라 하고, 상기 제1 보조감지센서부(30)를 A1이라 하면, "S11→A1→S12→A1→S13→A1… S1n→A1"와 같은 순서로 구동시킨다. 상기 제2 구동부(520)의 경우 상기 제1 구동부(510)와 마찬가지로 상기 제2 차량감지부(20)의 복수의 차량감지센서를 "S21, S22, S23, … S2n"이라 하고, 상기 제2 보조감지센서부(40)를 A2이라 하면, "S21→A2→S22→A2→S23→A2… S2n→A2"와 같은 순서로 구 동시킨다.
이와 같이 상기 제1 구동부(510) 및 상기 제2 구동부(520)에 의해 상기 제1 차량감지부(10), 상기 제1 보조감지센서부(30) 및 상기 제2 차량감지부(20), 상기 제2 보조감지센서부(40)를 구동시키면, 별도의 제1 보조구동부(515) 및 제2 보조구동부(525)를 구성하지 않고 빠른 응답속도로 상기 제1 보조감지센서부(30) 및 상기 제2 보조감지센서부(40)를 구동시킬 수 있기 때문에 고속으로 하이패스구간을 통과하는 차량의 경우에도 정밀하게 차량속도를 얻을 수 있어 하이패스 구간내의 사고발생시 과실여부를 정확히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차량감지부(10)와, 제2 차량감지부(20) 사이의 거리가 1m이고, 하이패스구간 내로 차량이 100km/h로 고속진입하였고, 상기 제1 보조감지센서부(30) 및 상기 제2 보조감지센서부(40)의 응답속도가 1ms, 2ms, 3ms, 4ms, 5ms, 6ms라고 가정하면, 하기의 표 1과 같이 응답속도에 따른 오차율이 발생한다.
[표 1] 응답속도에 따른 오차율
차량속도
(km/h)
응답속도
(ms)
최대속도값
(km/h)
최소속도값
(km/h)
오차율
(%)
100 1 97.3 102.9 5.5
100 2 94.7 105.9 10.8
100 3 92.3 109.1 16.0
100 4 90.0 112.5 21.1
100 5 87.8 116.1 26.1
100 6 85.7 120.0 31.0
위 표 1과 같이 상기 제1 보조감지센서부(30) 및 상기 제2 보조감지센서부(40)의 응답속도가 하이패스구간을 통과하는 차량의 속도값에 대한 오차율과 밀접한 관계가 있어 매우 중요하기 때문에, 위와 같이 상기 제1 구동부(510) 및 상기 제2 구동부(520)로 상기 제1 보조감지센서부(30) 및 상기 제2 보조감지센서부(40) 를 구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하이패스구간용 차량 및 차속 검출장치가 설치된 도로의 일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인 하이패스구간용 차량 및 차속 검출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3은 복수의 발광소자, 보조 발광소자가 구비된 발광함체와, 복수의 수광소자, 보조 수광소자가 구비된 수광함체를 개략적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인 복수의 발광소자, 보조 발광소자가 구비된 발광함체와, 복수의 수광소자, 보조 수광소자가 구비된 수광함체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인 차량 및 차속 검출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제1 차량감지부, 20: 제2 차량감지부,
110, 210: 발광부, 112, 212: 복수의 발광소자,
130, 230: 수광부, 132, 232: 복수의 수광소자,
30: 제1 보조감지센서부, 40: 제2 보조감지센서부,
510: 제1 구동부, 515: 제1 보조구동부,
520: 제2 구동부, 525: 제2 보조구동부,
IH: 발광함체, PH: 수광함체

Claims (4)

  1. 복수의 차량감지센서가 세로로 배열형성되어 진입한 차량의 측면을 스캔하는 제1 차량감지부와 제2 차량감지부가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설치되고, 상기 제1 차량감지부 및 제2 차량감지부에 제1 보조감지센서부 및 제2 보조감지센서부가 각각 구비되고,
    상기 제1 차량감지부 및 제2 차량감지부의 복수의 차량감지센서를 순차적으로 구동시키고, 상기 제1 보조감지센서부 및 제2 보조감지센서부를 구동시키는 구동부와;
    상기 제1 차량감지부 및 제2 차량감지부의 스캔정보를 근거로 차량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제1 보조감지센서부 및 제2 보조감지센서부의 출력신호를 근거로 차량속도를 연산하는 제어부;가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패스구간용 차량 및 차속 검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제1 차량감지부의 복수의 차량감지센서를 구동하는 제1 구동부와, 상기 제2 차량감지부의 복수의 차량감지센서를 구동하는 제2 구동부와, 상기 제1 보조감지센서부를 구동하는 제1 보조구동부와, 상기 제2 보조감지센서부를 구동하는 제2 보조구동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패스구간용 차량 및 차속 검출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보조감지센서부 및 제2 보조감지센서부는 상기 제1 차량감지부 및 제2 차량감지부의 복수의 차량감지센서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패스구간용 차량 및 차속 검출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제1 차량감지부의 복수의 차량감지센서(S11, S12, S13, … S1n) 및 상기 제1 보조감지센서부(A1)를 구동시키는 제1 구동부와, 상기 제2 차량감지부의 복수의 차량감지센서(S21, S22, S23, … S2n) 및 상기 제2 보조감지센서부(A2)를 구동시키는 제2 구동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구동부는 "S11→A1→S12→A1→S13→A1… S1n→A1"와 같은 순서로 구동시키고, 상기 제2 구동부는 "S21→A2→S22→A2→S23→A2… S2n→A2"와 같은 순서로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패스구간용 차량 및 차속 검출장치.
KR2020080015605U 2008-11-25 2008-11-25 하이패스구간용 차량 및 차속 검출장치 KR20044950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5605U KR200449500Y1 (ko) 2008-11-25 2008-11-25 하이패스구간용 차량 및 차속 검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5605U KR200449500Y1 (ko) 2008-11-25 2008-11-25 하이패스구간용 차량 및 차속 검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5618U KR20100005618U (ko) 2010-06-04
KR200449500Y1 true KR200449500Y1 (ko) 2010-07-14

Family

ID=442419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15605U KR200449500Y1 (ko) 2008-11-25 2008-11-25 하이패스구간용 차량 및 차속 검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950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4635B1 (ko) * 2013-11-28 2014-08-01 대보정보통신 주식회사 차량감지장치 및 차량감지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3599B1 (ko) * 2015-01-30 2016-12-07 에스트래픽 (주) 차량진입감지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32718A (ja) 1998-10-29 2000-05-12 Mitsubishi Electric Corp ノンストップ自動料金収受システム
JP2008217514A (ja) 2007-03-06 2008-09-18 Mitsubishi Electric Corp 料金収受システム及び処理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32718A (ja) 1998-10-29 2000-05-12 Mitsubishi Electric Corp ノンストップ自動料金収受システム
JP2008217514A (ja) 2007-03-06 2008-09-18 Mitsubishi Electric Corp 料金収受システム及び処理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4635B1 (ko) * 2013-11-28 2014-08-01 대보정보통신 주식회사 차량감지장치 및 차량감지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5618U (ko) 2010-06-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59478B1 (ko) 레이저 센서를 이용한 차량 검지 장치 및 방법
KR102126118B1 (ko) 지그비통신과 높이측정을 이용한 차량 통제 시스템
RU2562040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бнаружения, отслеживания и/или управления гоночными транспортными средствами
KR200449500Y1 (ko) 하이패스구간용 차량 및 차속 검출장치
CN109518630A (zh) 山区双车道弯道主动预警式防撞护栏及偏离道路预警方法
KR20200111008A (ko) 거리 센서를 이용한 차량 검지 시스템 및 방법
CN112482265B (zh) 道闸系统、自动驾驶车辆及车辆通行道闸的方法
KR101296133B1 (ko) 레이저 빔을 이용한 차량종류 판별장치
KR100644813B1 (ko) 자동차용 주행 안전장치 및 이를 이용한 주행방법
JP3714040B2 (ja) 車軸検出装置
JP2007212223A (ja) 位置検出装置及び位置検出方法並びにその装置を有する車両
KR102270883B1 (ko) 교통 정보 수집 시스템 및 그의 구동 방법
KR101900371B1 (ko) 펄스 레이저 센서를 이용한 차량 검출장치 및 그 검출방법
CN209456943U (zh) 山区双车道弯道主动预警式防撞护栏
KR101150240B1 (ko) 차량 충돌 방지 시스템
KR100811555B1 (ko) 차량 측면 형상을 이용한 차종분류장치 및 그 방법
KR102215737B1 (ko) 지능형 무인 주차관제 시스템
KR101087610B1 (ko) 하이패스 차로 정지차량 경고 시스템 및 그 방법
DE59002970D1 (de) Geschwindigkeitsmesssystem für Strassenfahrzeuge.
JP2002367078A (ja) 車両感知装置
CN207798014U (zh) 高速公路收费口车辆超宽提示系统
CN208673538U (zh) 一种汽车防碰撞系统
JPH09161112A (ja) 自動発券機
JP2001118184A (ja) 電波測定車
KR200475289Y1 (ko) 차량 감지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2

Year of fee payment: 9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