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87737A - 차량 위험 감지 시스템 - Google Patents

차량 위험 감지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87737A
KR20150087737A KR1020140008001A KR20140008001A KR20150087737A KR 20150087737 A KR20150087737 A KR 20150087737A KR 1020140008001 A KR1020140008001 A KR 1020140008001A KR 20140008001 A KR20140008001 A KR 20140008001A KR 20150087737 A KR20150087737 A KR 201500877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sound
information
danger
ris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80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동석
이광희
Original Assignee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400080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87737A/ko
Publication of KR201500877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773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3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향수신센서를 이용하여 측정된 음향정보를 바탕으로 차량 위험감지 및 위험을 전송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차량에 설치된 다수의 음향측정센서를 통하여 음향정보를 감지, 음향측정센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향측정센서에서 측정된 음향정보의 음량 값이 기준치 이상이면, 위험상황으로 판단한다. 이때, 전방 음향측정센서들에서 측정된 음향정보의 음량 값의 평균값과 후방 음향측정센서들에서 측정된 음향정보의 음량 값의 평균값을 비교하여 제 1 위험 방향이 전방인지 후방인지를 판단하고, 제 1 위험 방향의 음향측정센서에서 측정된 음향정보의 음량 값을 비교, 제 2 위험 방향을 판단하며, 제 1 위험 방향이 차량의 전방일 경우, 사용자에게 경고 및 후방 차량에 위험정보를 전송하고, 감지된 방향이 후방일 경우, 사용자에게 경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량 위험 감지 시스템 {Vehicular Danger Detecting System}
본 발명은 차량 주변의 위험을 감지하는 차량 위험 감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 주변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음향 정보에 대한 측정을 통하여 위험 여부를 감지하며 위험 방향을 판단하여 상기 정보들을 이용하여 운전자에게 경고하거나, 후방차량에 위험 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위험 감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위험을 정확하게 감지하고 차량의 안전을 확보하는 기술은 안전한 교통환경을 확보하기 위한 중요 기술로 여겨지고 있다.
종래 개발된 차량 위험 감지 시스템은 차량 여러 곳에 장착된 센서와 카메라에서 레이더나 초음파를 보내 전방의 거리와 장애물을 감지, 수집된 정보를 분석해 운전자에게 경고를 주거나 브레이크와 조향장치 등을 직접 제어한다.
충돌예방시스템의 유형으로는 센서를 이용하여 감지된 전방 차량과의 안전거리를 유지하면서 자동으로 주행할 수 있도록 하는 차간거리제어시스템과 전방의 장애물을 감지해 충돌 위험성에 따라 운전자에게 경고하고 충돌이 불가피한 경우 모터로 안전벨트를 최적의 위치로 제어해 에어백에 의한 운전자의 충돌 상해를 경감할 수 있는 충돌피해경감시스템이 있다.
하지만 이러한 시스템들은 주로 고급차종에 옵션으로 장착되고 있어, 도로교통안전에 큰 효과를 보고 있지는 않다.
따라서, 간단한 구성으로 운전자가 위험상황을 빠르게 인지하고 위험을 회피하기 위한 신속한 대응 동작을 취할 수 있는 시스템의 개발이 그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 10-0514484호 (2005.09.06.)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 특2000-0070673호 (2000.11.25.)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서, 차량의 경적, 타이어와 도로면의 마찰, 차량 간의 충돌 등에 의해 발생하는 음향정보를 감지하는 수단을 구비함으로써 효과적으로 차량의 위험 여부 및 위험 방향을 감지하는 차량 위험 감지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차량 위험 감지 시스템은 다수의 음향 측정센서를 이용하여 차량 주변의 음향정보를 측정하는 음향측정부; 상기 음향측정부에서 측정된 음향정보의 음량 값을 이용하여 차량의 위험상태 및 위험 방향을 판단하는 위험정보판단부; 상기 위험정보판단부에 의해 위험 상태가 위험상황이라 판단된 경우, 운전자에게 위험 정보를 전달하는 경고부; 상기 위험정보판단부에 의해 위험 방향이 차량의 전방이라 판단된 경우, 후방 차량에 위험 정보를 전송하는 위험정보전송부;를 포함한다.
상기 음향측정부에 의해 측정되는 음향정보는 차량의 경적음, 차량 급정거로 인한 마찰음, 차량의 충돌로 인한 파열음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수의 음향측정센서는 차량의 전면 좌/우측에 설치된 제1 및 제2 음향측정센서와 차량의 후면의 좌/우측에 설치된 제 3 및 제 4 음향측정센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위험정보판단부는 상기 다수의 음향측정센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향측정센서에서 측정된 음향정보의 음량 값이 기준치 이상일 경우, 위험상태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위험정보판단부는 상기 제 1 및 제 2 음향측정센서에서 측정된 음향정보의 음량 값의 평균값과 상기 제 3 및 제 4 음향측정센서에서 측정된 음향정보의 음량 값의 평균값을 비교하여 상기 위험 방향이 차량의 전방인지 후방인지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위험정보판단부는 상기 위험 방향이 전방이라 판단한 경우, 상기 제 1 음향측정센서 및 제 2 음향측정센서에서 측정된 음향정보의 음량 값의 차이값과 설정값의 크기를 비교하여 위험 방향이 차량의 전방 좌측, 전방 정면, 전방 우측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지 추가적으로 판단하고, 상기 위험 방향이 후방이라 판단한 경우, 상기 제 3 음향측정센서 및 제 4 음향측정센서에서 측정된 음향정보의 음량 값의 차이값과 설정값의 크기를 비교하여 상기 위험 방향이 차량의 후방 좌측, 후방 정면, 후방 우측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지 추가적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경고부는 사용자에게 화면으로 상기 위험방향의 표시 및 경고 메세지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소리를 출력할 수 있는 스피커; 및 차량 핸들을 진동시키는 진동장치;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위험정보전송부는 적외선, 가시광, 레이더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를 이용하는 통신모듈을 통하여 위험정보를 후방 차량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위험 감지 시스템에 의하면, 차량에서 측정된 차량 주변의 음향정보를 이용하여, 차량의 위험상태 및 위험방향을 운전자에게 전달하고 운전자가 위험 상황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으며, 위험 상황의 감지 방향에 따라 차량의 위험상태를 후방 차량에 전송하여 교통사고의 방지 및 차량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위험 감지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위험 감지 시스템의 동작에 대한 순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위험 감지 시스템의 설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위험이 차량 전방에서 나타났을 경우 차량 위험 감지 시스템의 동작에 대한 예시도 및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위험이 차량 후방에서 나타났을 경우 차량 위험 감지 시스템의 동작에 대한 예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형 및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보통 차량을 주행하는 운전자는 도로상에서 위험 상황 발생시 차량에 부착된 경적을 이용하여 다른 운전자에게 위험을 전파하거나 차량을 급제동하게 되어 타이어와 도로면 사이의 마찰음 혹은 차량간 충돌로 인한 파열음 등을 발생시킨다.
이러한 도로상에서 발생하는 소리는 차량이 위험에 빠질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소리를 이용한다면 차량에 많은 센서를 부착하지 않고도 음향정보를 이용하여 간단한 구성으로 차량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위험 감지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위험 감지 시스템은 음향측정부(100); 위험정보판단부(110); 경고부(120); 및 위험정보전송부(130);를 포함한다.
상기 음향측정부(100)는 차량 주변의 음향 정보를 측정하기 위한 다수의 음향측정센서로 구성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음향측정센서(300, 310, 320, 330)는 차량 주변의 음향정보 측정 및 위험의 방향 판단을 위하여 차량의 전면 좌/우측 및 후면 좌/우측에 각각 하나씩 설치되고, 상기 음향측정센서는 전면 좌측에 설치된 음향측정센서를 제 1 음향측정센서, 전면 우측에 설치된 음향측정센서를 제 2 음향측정센서, 후면 좌측에 설치된 음향측정센서를 제 3 음향측정센서, 후면 우측에 설치된 음향측정센서를 제 4 음향측정센서로 구분한다.
이때, 음향측정센서(300, 310, 320, 330)에서 측정되는 음향정보는 차량의 잠재적인 위험을 나타내는 차량의 경적음, 차량 급정거로 인한 마찰음, 차량의 충돌로 인한 파열음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위험정보판단부(110)는 음향측정부(100)에서 전송하는 음향정보를 수신하여, 위험 상황의 판단 및 위험 방향을 판단한다.
상기 위험정보판단부(110)는 각 음향측정센서(300, 310, 320, 330)에서 측정된 음향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음향정보의 음량 값이 기준치 이상이면 위험 상황이라 판단한다.
또한, 상기 위험정보판단부(110)에서 판단하는 위험 방향은 먼저, 위험이 측정된 방향이 전방인지 후방인지를 판단하는 제 1 위험방향, 판단된 제 1 위험 방향을 기준으로 위험의 방향이 좌측, 정면 또는 우측인지 보다 구체적으로 판단하는 제 2 위험 방향으로 구분되며, 제 1 위험방향이 전방이라고 판단되는 경우, 운전자에게 경고하기 위한 제어신호 및 후방 차량에서 위험상황을 전송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경고부(120)와 위험정보전송부(130)로 전송하고, 제 1 위험방향이 후방이라고 판단되는 경우 운전자에게 경고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경고부(120)로 전송한다.
경고부(120)는 상기 위험정보판단부(110)로부터 전송된 제어신호를 수신하면, 위험 방향 및 위험 경고 메세지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350)와 소리를 출력할 수 있는 스피커, 차량 핸들을 진동시키는 진동장치를 이용하여 운전자에게 위험상황을 전달한다. 이때, 출력되는 위험 방향에 대한 정보는 앞서 상술한 제1 위험 방향 정보일 수도 있으며, 제2 위험 방향 정보일 수도 있다.
위험정보전송부(130)는 상기 위험정보판단부(110)로부터 전송된 제어신호를 수신하면 차량의 후미에 설치된 통신모듈(340)을 통하여 후방 차량에게 위험정보를 전송한다. 이때, 위험정보전송부(130)는 위험정보전송을 위해서 적외선, 가시광, 레이더 등을 이용한 통신모듈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위험정보전송부(130)에서 전송되는 위험정보는 위험상황의 발생, 위험 상황발생 차량과의 거리, 위험상황발생방향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위험 감지 시스템의 동작에 대한 순서도이다.
먼저 음향측정부(100)는 각 음향측정센서(300, 310, 320, 330)에서 차량 주변음향정보를 측정하여 위험정보판단부(110)로 전송한다(S200).
상기 위험정보판단부(110)는 수신된 음향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음향정보의 음량 값이 기준값 이상이면 위험상황이라 판단한다(S210).
상기 위험정보판단부(110)는 위험상황이라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제 1 및 제 2 음향측정센서에서 측정된 음향정보의 음량 값의 평균값과 상기 제 3 및 제 4 음향측정센서에서 측정된 음향정보의 음량 값의 평균값을 비교하여 제 1 위험 방향이 전방인지 후방인지를 판단하고(S220), 제 1 위험 방향에 위치한 음향측정센서에서 측정된 음향정보의 음량 값들의 차이를 방향을 결정하기 위한 미리 설정된 설정값과 비교하여, 제 2 위험 방향이 좌측, 정면, 또는 우측인지를 판단한다(S230).
상기 위험정보판단부(110)에서 제 1 및 제 2 위험 방향을 판단하는 방법은 도 3을 참조하여 예를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제 1 음향측정센서(300)가 측정한 음향정보의 음량 값을 A, 상기 제 2 음향측정센서(310)가 측정한 음향정보의 음량 값을 B, 상기 제 3 음향측정센서(320)가 측정한 음향정보의 음량 값을 C, 상기 제 4 음향측정센서(330)가 측정한 음향정보의 음량 값을 D로 구분한다.
상기 위험정보판단부(110)에서 위험 상황이라고 판단된 경우, 상기 제 1 음향측정센서(300)에서 측정한 음향정보의 음량 값 A와 상기 제 2 음향측정센서(310)에서 측정한 음향정보의 음량 값 B의 평균값과 상기 제 3 음향측정센서(320)에서 측정한 음향정보의 음량 값 C와 상기 제 4 음향측정센서(330)에서 측정된 음향정보의 음량 값 D의 평균값을 비교하여 제 1 위험 방향이 전방인지 후방인지를 판단한다.
만약 제 1 위험 방향이 전방이라고 판단된 경우, 상기 제 1 음향측정센서(300)에서 측정한 음향정보의 음량 값 A와 상기 제 2 음향측정센서(310)에서 측정한 음향정보의 음량 값 B를 하기 수학식 1 내지 2를 이용하여 비교하고 위험 방향을 판단한다.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2
상기 음향정보의 음량 값 A와 B가 수학식 1의 조건을 충족하면 위험의 방향은 판단된 제 1 위험방향에서 정면이라고 판단하고, 수학식 2의 조건을 충족하면 위험의 방향은 판단된 제 1 위험방향에서 좌측 또는 우측이라 판단하며, 좌측 또는 우측의 판단은 제 1 위험 방향에 위치한 음향측정센서들에서 측정된 음향정보의 음량 값 중 더 큰 음량 값이 측정된 방향으로 결정한다.
이때, 상기 수학식 1 내지 2에 기재된 X는 위험의 방향을 판단하기 위한 설정값이다.
이는, 차량의 후방에 설치된 음향센서에서 측정된 음향정보의 음량 값의 평균값이 더 높을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으며, 차량 측면의 위험검출 및 위험방향 판단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차량의 위험 방향이 판단되었다면, 제 1 위험 방향이 전방인지 후방인지에 따라서 각기 다른 제어신호를 생성한다(S240).
제 1 위험방향이 전방으로 판단되었다면, 위험정보판단부(110)는 경고부(120)의 경고 메세지 출력을 위한 제어신호와 위험정보전송부(130)의 후방 차량에 위험정보 전송을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한다(S250). 위험정보판단부(110)로부터 경고 메세지 출력을 위한 제어신호를 수신한 경고부(120)는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350)를 이용한 위험 방향의 표시 및 화면 경고, 스피커를 이용한 음성경고, 차량 핸들을 진동시키는 진동장치를 이용한 경고를 통하여 운전자에게 위험상황을 전달한다.
이와 동시에, 위험정보전송부(130)는 위험정보판단부(100)로부터 후방 차량에 위험 정보 전송을 위한 제어신호를 수신하고, 적외선, 가시광, 레이더 등을 이용한 통신모듈(340)을 이용하여 후방 차량에 위험 상황의 정보를 전송한다.
제 1 위험방향이 후방으로 판단되었다면, 위험정보판단부(110)는 경고부(120)의 경고 메세지 출력을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한다(S260). 위험정보판단부(110)로부터 경고 메세지 출력을 위한 제어신호를 수신한 경고부(120)는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350)를 이용한 위험 방향의 표시 및 화면 경고, 스피커를 이용한 음성경고, 차량 핸들을 진동시키는 진동장치를 이용한 경고를 통하여 운전자에게 위험상황을 전달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위험 감지 시스템의 설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향정보측정센서(300, 310, 320, 330)는 차량의 전방 좌/우측 및 후방 좌/우측에 각각 하나씩 설치될 수 있으며, 후방 차량에게 위험을 전송하는 통신모듈(340)은 차량 후미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차량의 내부에는 사용자에게 위험 방향의 표시 및 경고를 위한 디스플레이(350), 스피커, 핸들 진동장치 등이 설치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위험이 차량 전방에서 나타났을 경우 차량 위험 감지 시스템의 동작에 대한 예시도이다.
본 발명의 차량 위험 감지 시스템이 설치된 차량(400)의 전방 우측의 차량(410)에서 경적음이 발생하였다. 차량 위험 감지 시스템은 상기 전방 우측의 차량(410)에서 발생한 경적음의 음향정보를 차량에 설치된 음향측정센서(300, 310, 320, 330)를 통하여 측정하고, 위험정보판단부(110)로 전송한다.
상기 위험정보판단부(110)는 전송된 음향정보의 음량 값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값이 기준값 이상이면 위험상황이라 판단한다. 이때, 전송된 음향정보의 음량 값은 전방에 위치한 제1 및 제 2 음향측정센서(300, 310)가 측정한 음향 값의 평균이 더 높을 것이므로, 제 1 위험 방향은 전방이라고 판단한다.
상기 위험정보판단부(110)는 제 2 음향측정센서(310)에서 측정된 음향정보의 음량 값과 제 1 음향측정센서(300)에서 측정된 음향정보의 음량 값의 차이를 계산하여 설정값과 비교한 결과, 제 2 위험 방향이 전방 우측이라고 판단하고 운전자에게 경고 메세지를 전달하기 위한 제어신호와 후방 차량(420)에 위험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한다.
경고부(120)는 상기 위험정보판단부(110)로부터 경고 메세지를 전달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수신하고, 디스플레이(430)를 통하여 위험의 방향이 우측 전방이라는 표시와 함께 경고화면, 스피커를 이용한 음성경고, 진동장치를 이용한 차량의 핸들 진동을 통하여 사용자에게 위험상황을 전달한다.
이와 동시에, 위험정보전송부(130)는 상기 위험정보판단부(110)로부터 후방 차량(420)에 위험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수신하고, 차량의 후미의 통신모듈(340)을 이용하여 후방 차량에 위험정보를 전송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위험이 차량 후방에서 나타났을 경우 차량 위험 감지 시스템의 동작에 대한 예시도이다.
본 발명의 차량 위험 감지 시스템이 설치된 차량(500)의 후방 차량(510)에서 경적음이 발생하였다. 차량 위험 감지 시스템은 상기 후방 차량(510)에서 발생한 경적음의 음향정보를 차량에 설치된 음향측정센서(300, 310, 320, 330)를 통하여 측정하고, 위험정보판단부(110)로 전송한다.
상기 위험정보판단부(110)는 전송된 음향정보의 음량 값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값이 기준값 이상이면 위험상황이라 판단한다. 이때, 전송된 음향정보의 음량 값의 평균값은 후면에 위치한 제 3 및 제 4 음향측정센서(320, 330)에서 측정된 값이 더 클 것이므로, 제 1 위험 방향은 후방이라고 판단한다.
상기 위험정보판단부(110)는 제 3 음향측정센서(320)에서 측정된 음향정보의 음량 값과 제 4 음향측정센서(330)에서 측정된 음향정보의 음량 값의 차이와 설정값의 크기를 비교하여, 제 2 위험 방향이 후방 정면이라고 판단하고 운전자에게 경고 메세지를 전달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한다.
경고부(120)는 상기 위험정보판단부(110)로부터 경고 메세지를 전달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수신하고, 디스플레이(520)를 통하여 위험의 방향이 후방이라는 표시와 함께 경고화면, 스피커를 이용한 음성경고, 진동장치를 이용한 차량의 핸들 진동을 통하여 사용자에게 위험상황을 전달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본 발명의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한 것이고,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포괄하는 것은 아니므로,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항 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권리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0: 음향측정부
110: 위험정보판단부
120: 경고부
130: 위험정보전송부
300: 차량 전방 좌측의 제 1 음향측정센서
310: 차량 전방 우측의 제 2 음향측정센서
320: 차량 후방 좌측의 제 3 음향측정센서
330: 차량 후방 우측의 제 4 음향측정센서
340: 후방 차량에 위험상황 전송을 위한 통신모듈
350: 사용자에게 위험상황전달을 위한 디스플레이장치
400, 500: 본 발명의 차량 위험 감지 시스템이 탑재된 차량
410, 510: 경적음 발생 차량
420: 도로상의 주행 차량

Claims (8)

  1. 다수의 음향측정센서를 이용하여 차량 주변의 음향정보를 측정하는 음향측정부;
    상기 음향측정부에서 측정된 음향정보의 음량 값을 이용하여 차량의 위험상태 및 위험 방향을 판단하는 위험정보판단부;
    상기 위험정보판단부에 의해 위험상태가 위험 상황이라 판단된 경우, 사용자에게 위험 정보를 전달하는 경고부; 및
    상기 위험정보판단부에 의해 위험 방향이 차량의 전방이라 판단된 경우, 후방 차량에 위험 정보를 전송하는 위험정보전송부;
    를 포함하는 차량 위험 감지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측정부에 의해 측정되는 음향정보는,
    차량의 경적음, 차량 급정거로 인한 마찰음, 차량의 충돌로 인한 파열음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위험 감지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음향측정센서는 차량의 전면 좌/우측에 설치된 제1 및 제 2 음향측정센서와 차량의 후면의 좌/우측에 설치된 제 3 및 제 4 음향측정센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위험 감지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위험정보판단부는,
    상기 다수의 음향측정센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향측정센서에서 측정된 음향정보의 음량 값이 기준치 이상일 경우, 위험상황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위험 감지 시스템.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위험정보판단부는,
    위험상황이라 판단되는 경우, 상기 제 1 및 제 2 음향측정센서에서 측정된 음향정보의 음량 값의 평균값과 상기 제 3 및 제 4 음향측정센서에서 측정된 음향정보의 음량 값의 평균값을 비교하여 상기 위험 방향이 차량의 전방인지 후방인지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위험 감지 시스템.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위험정보판단부는,
    상기 위험 방향이 전방이라 판단한 경우, 상기 제 1 음향측정센서 및 제 2 음향측정센서에서 측정된 음향정보의 음량 값의 차이값과 설정값의 크기를 비교하여 상기 위험 방향이 차량의 전방 좌측, 전방 정면, 전방 우측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지 추가적으로 판단하고, 상기 위험 방향이 후방이라 판단한 경우, 상기 제 3 음향측정센서 및 제 4 음향측정센서에서 측정된 음향정보의 음량 값의 차이값과 설정값의 크기를 비교하여 상기 위험 방향이 차량의 후방 좌측, 후방 정면, 후방 우측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지 추가적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위험 감지 시스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경고부는,
    사용자에게 화면으로 상기 위험방향의 표시 및 경고 메세지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소리를 출력할 수 있는 스피커; 및
    차량 핸들을 진동시키는 진동장치;
    로 구성되는 차량 위험 감지 시스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위험정보전송부는,
    적외선, 가시광, 레이더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를 이용하는 통신모듈을 통하여 위험정보를 후방 차량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위험 감지 시스템.
KR1020140008001A 2014-01-22 2014-01-22 차량 위험 감지 시스템 KR2015008773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8001A KR20150087737A (ko) 2014-01-22 2014-01-22 차량 위험 감지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8001A KR20150087737A (ko) 2014-01-22 2014-01-22 차량 위험 감지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7737A true KR20150087737A (ko) 2015-07-30

Family

ID=538768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8001A KR20150087737A (ko) 2014-01-22 2014-01-22 차량 위험 감지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87737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52885A (en) * 2016-06-15 2018-02-14 Ford Global Tech Llc Training algorithm for collision avoidance using auditory data
KR101972693B1 (ko) * 2018-01-02 2019-04-25 울산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대형차량용 교통신호 및 위험상황 감지 표시 장치
US10286905B2 (en) 2015-08-03 2019-05-14 Lg Electronics Inc. Driver assistance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KR20190127063A (ko) 2018-05-03 2019-11-13 주식회사 리얼테크 이동체용 추락 및 충돌감지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286905B2 (en) 2015-08-03 2019-05-14 Lg Electronics Inc. Driver assistance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GB2552885A (en) * 2016-06-15 2018-02-14 Ford Global Tech Llc Training algorithm for collision avoidance using auditory data
KR101972693B1 (ko) * 2018-01-02 2019-04-25 울산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대형차량용 교통신호 및 위험상황 감지 표시 장치
KR20190127063A (ko) 2018-05-03 2019-11-13 주식회사 리얼테크 이동체용 추락 및 충돌감지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48669B2 (en) Method and device for supporting a lane change for a vehicle
KR102005253B1 (ko) 극도로 빠르게 접근하는 차량들에 응답하는 차선 보조 시스템
US20180096601A1 (en) Collision alert system
US749555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ar-end collision warning and accident mitigation
US20070159311A1 (en) Vehicle separation warning device
JP2009531766A (ja) 警告装置および方法
JP5748030B1 (ja) 衝突回避システム及び衝突回避方法
US20170210285A1 (en) Flexible led display for adas application
KR101303528B1 (ko) 충돌위험도에 기초한 충돌방지 시스템
CN107004364B (zh) 防撞系统以及防撞方法
US20070080793A1 (en) Auto brake alert
KR101984520B1 (ko) 차량 충돌 방지 장치 및 방법
KR20130114782A (ko) 차량 충돌 방지 시스템
KR20150087737A (ko) 차량 위험 감지 시스템
KR100771276B1 (ko) 차량용 측면 거리감지 시스템 및 그 시스템에 사용되는타이어, 타이어휠 또는 휠커버
KR102267097B1 (ko) 차량의 주행안정성 감지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110626259A (zh) 三角警示架及其撞击预警方法
TW201918407A (zh) 盲點偵測系統及盲點偵測方法
KR20120053176A (ko) 차량의 전후방 충돌 경보장치 및 이를 이용한 충돌 경보방법
KR101698586B1 (ko) 하차시 위험 알림 장치 및 방법
US20200324759A1 (en) Driving assistance apparatus
KR20110118882A (ko) 차량의 사이드미러를 대체하는 측방충돌방지 경보시스템
JP6238018B2 (ja) 車両用運転支援装置
KR20180039838A (ko) 차량 후측방 경보 제어장치 및 방법
KR20160132220A (ko) 자동차 사각지대 경보장치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