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6770B1 - 다수의 센서를 이용한 장애물 감지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다수의 센서를 이용한 장애물 감지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6770B1
KR102176770B1 KR1020130097207A KR20130097207A KR102176770B1 KR 102176770 B1 KR102176770 B1 KR 102176770B1 KR 1020130097207 A KR1020130097207 A KR 1020130097207A KR 20130097207 A KR20130097207 A KR 20130097207A KR 102176770 B1 KR102176770 B1 KR 1021767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bstacle
sensor
time difference
signal
det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972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19837A (ko
Inventor
안광호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972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6770B1/ko
Publication of KR201500198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98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67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67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3/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e.g.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waves whose nature or wavelength is irrelevant or unspecified
    • G01S13/87Combinations of radar systems, e.g. primary radar and secondary radar
    • G01S13/872Combinations of primary radar and secondary rad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3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 B60R21/0134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responsive to imminent contact with an obstacle, e.g. using radar system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3/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e.g.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waves whose nature or wavelength is irrelevant or unspecified
    • G01S13/88Radar or analogous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01S13/93Radar or analogous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for anti-collision purposes
    • G01S13/931Radar or analogous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for anti-collision purposes of land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42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sensors based on the principle of their operation
    • B60W2420/40Photo, light or radio wave sensitive means, e.g. infrared sensors
    • B60W2420/408Radar; Laser, e.g. lid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asurement Of Velocity Or Position Using Acoustic Or Ultrasonic Wa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1 주파수 대역의 제1 감지 신호를 발사하고, 상기 제1 감지 신호의 반사 신호인 상기 제1 주파수 대역의 제1 반사 신호를 수신하는 제1 센서, 제2 주파수 대역의 제2 감지 신호를 발사하고, 상기 제2 감지 신호의 반사 신호인 상기 제2 주파수 대역의 제2 반사 신호를 수신하는 제2 센서, 및 시간 차를 두고 상기 제1 및 제2 센서를 통해 상기 제1 및 제2 감지 신호를 발사하며, 상기 제1 및 제2 센서를 통해 수신되는 상기 제1 및 상기 제2 반사 신호를 이용하여 장애물이 존재하는지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다수의 센서를 이용한 장애물 감지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다수의 센서를 이용한 장애물 감지 장치 및 그 동작 방법{Device for detection of obstacle using multiple sensors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차량용 장애물 감지 기술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다수의 센서를 이용하여 장애물을 감지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 주행 시 또는 주차 시 차량의 후방이나 측방에 위치한 다른 차량이나 물체의 움직임을 운전자가 인지하기 위해서는 차량의 후방이나 측방을 볼 수 있는 차량 미러(예를 들어, 백미러 및 사이드 미러)를 이용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차량 미러로는 운전자가 차량 주변의 사각지대의 상황을 상세하게 알 수 없다. 이와 같은 이유로 최근 들어, 차량 범퍼에는 차량의 후진 또는 주차 시 장애물 또는 사람과의 충돌에 의한 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차량용 장애물 감지 장치가 구비된다. 장애물 감지 장치는 차량에 장착된 센서를 이용하여 차량 주변의 장애물 존재 여부를 감지하여 이를 경보음 또는 표시등으로 운전자에게 알린다. 이 장애물 감지 장치에는 주로 초음파 센서가 이용된다. 구체적으로, 장애물 감지 장치는 초음파 센서를 통해 특정 대역의 초음파를 송출하고, 장애물에 반사되는 특정 대역의 초음파 신호를 수신하여 차량의 후방에 존재하는 장애물의 접근 방향 및 접근 거리를 판단한다. 장애물이 일정 거리 이내에 접근하면 장애물 감지 장치는 운전자에게 장애물의 존재 정보를 제공하여 각종 접촉사고 등의 안전사고를 예방한다.
그러나, 이 초음파 센서에 이용되는 특정 대역의 주파수와 동일한 주파수 대역의 초음파를 발생시키는 소음성 노이즈가 센서 주변에 존재하면, 장애물 감지 장치는 차량 주변에 장애물이 없는 상황에서도 장애물이 존재한다고 잘못 판단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여기서, 소음성 노이즈는 에어컨 노이즈, 버스 에어 토출음, 오토바이 소음 등 차량 주변에 빈번하게 발생 가능한 노이즈일 수 있다. 즉, 차량 주변에 소음성 노이즈가 발생하면 초음파 센서를 통해 이 노이즈 신호가 수신되어, 장애물 감지 장치는 오경보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차량 주변의 장애물에 대한 감지 성능을 개선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적 방안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다수의 센서를 이용한 장애물 감지 장치는 제1 주파수 대역의 제1 감지 신호를 발사하고, 상기 제1 감지 신호의 반사 신호인 상기 제1 주파수 대역의 제1 반사 신호를 수신하는 제1 센서, 제2 주파수 대역의 제2 감지 신호를 발사하고, 상기 제2 감지 신호의 반사 신호인 상기 제2 주파수 대역의 제2 반사 신호를 수신하는 제2 센서 및 시간 차를 두고 상기 제1 및 제2 감지 신호를 발사하도록 상기 제1 및 제2 센서를 제어하며, 상기 제1 및 제2 센서를 통해 수신되는 상기 제1 및 상기 제2 반사 신호를 이용하여 장애물이 존재하는지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및 제2 감지 신호 간의 발사 시간차와 상기 제1 및 제2 반사 신호 간의 수신 시간차의 오차로 장애물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및 제2 센서 간의 장착 거리 및 온도를 고려하여 허용 오차를 기설정한다.
한편, 전술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장애물 감지 장치에 의한 다수의 센서를 이용한 장애물 감지 방법은 주변의 장애물을 감지하기 위해 제1 주파수 대역의 제1 감지 신호와 제2 주파수 대역의 제2 감지 신호가 시간차를 두고 각각 발사되도록 제1 센서 및 제2 센서를 제어하는 단계, 상기 제1 및 제2 감지 신호 각각에 대응하여 상기 제1 주파수 대역의 제1 반사 신호와 상기 제2 주파수 대역의 제2 반사 신호를 상기 제1 및 제2 센서를 통해 각각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및 제2 감지 신호 간의 발사 시간차와 상기 제1 및 제2 반사 신호 간의 수신 시간차를 비교하여 상기 발사 시간차와 상기 수신 시간차의 오차로 장애물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및 제2 센서 간의 장착 거리 및 온도를 고려하여 설정된 값인 허용 오차를 이용하여 판단한다.
본 발명은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의 센서를 이용하여 장애물의 존재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센서와 동일한 주파수 대역의 노이즈가 센서를 통해 유입되어 장애물이 없는 경우에 장애물이 존재하는 것으로 잘못 감지하는 오동작 및 오경보를 방지하여 장애물에 대한 감지 성능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창출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수의 센서를 이용한 장애물 감지 장치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수의 센서의 감지 신호 발사 및 반사 신호 수신을 나타낸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장애물 위치에 의한 다수의 센서의 신호를 나타내는 제1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장애물 위치에 의한 다수의 센서의 신호를 나타내는 제2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허용 오차 설정을 설명하기 위해 센서의 장착 거리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노이즈 유입에 의한 다수의 센서의 신호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애물 감지 장치에 의한 다수의 센서를 이용한 장애물 감지 방법 흐름도.
전술한, 그리고 추가적인 본 발명의 양상들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하여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을 이러한 실시예를 통해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수의 센서를 이용한 장애물 감지 장치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장애물 감지 장치(10)는 센서부(100) 및 제어부(200)를 포함한다.
센서부(100)는 차량 주변의 장애물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로서, 제1 센서(110) 및 제2 센서(120)를 포함한 다수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부(100)의 제1 센서(110) 및 제2 센서(120)는 차량 외부 소정 위치(예를 들어, 범퍼)에 각각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제1 센서(110) 및 제2 센서(120) 각각은 장애물을 감지하기 위해 초음파를 발사하고, 장애물에 의해 반사되는 신호를 수신하며, 그 비행시간(Time of Flight)을 산출하여 센서로부터 장애물까지의 거리 및 장애물의 위치를 추정하는데 이용되는 초음파 센서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제1 센서(110)와 제2 센서(120)는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의 초음파(감지 신호)를 발사하고 그에 대응하는 반사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센서(110)는 제1 주파수 대역(48kHz)의 감지 신호를 발사하고, 제1 주파수 대역(48kHz)의 반사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제2 센서(120)는 제2 주파수 대역(58kHz)의 감지 신호를 발사하고, 제2 주파수 대역(58kHz)의 반사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제1 센서(110)와 제2 센서(120) 각각은 매칭 회로, 증폭 회로 및 필터를 거쳐 각각의 주파수 대역의 반사 신호만을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200)는 장애물 감지 장치(10)의 전반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세서이다. 제어부(200)와 센서부(100)는 물리적으로 이격될 수 있으며, 차량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게 구현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00)는 시간 차를 두고 제1 센서(110) 및 제2 센서(120)를 통해 제1 감지 신호와 제2 감지 신호를 각각 발사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200)는 도 2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제1 센서(110)를 통해 제1 주파수 대역(48kHz)의 감지 신호 A를 발사한 후, 발사 시간차(t1)를 두고 제2 센서(120)를 통해 제2 주파수 대역(58kHz)의 감지신호 B를 발사한다.
이때, 제어부(200)는 제1 센서(110) 및 제2 센서(120) 각각을 통해 반사 신호 A_0 및 B_0를 수신할 수 있다. 반사신호 A_0 및 B_0은 감지 신호 A 및 B 발사 시 발생하는 센서의 여진 신호로서, 기설정된 여진 시간 동안 수신될 수 있다. 제어부(200)는 기설정된 여진 시간 동안 수신되는 여진 신호(반사 신호 A_0 및 B_0)는 무시할 수 있다.
제어부(200)는 여진 시간 이후 제1 센서(110) 및 제2 센서 각각을 통해 제1 주파수 대역(48kHz)의 제1 반사신호(A_1)와 제2 주파수 대역(58kHz)의 제2 반사신호(B_1)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수신된 반사 신호 A_1 및 B_1 간에는 t2 동안의 수신 시간차가 발생할 수 있다.
제어부(200)는 제1 감지 신호와 제2 감지 신호 간의 발사 시간차인 t1과 제1 반사 신호와 제2 반사 신호 간의 수신 시간차인 t2를 이용하여 장애물의 존재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00)는 감지 신호 발사 시간차인 t1과 반사 신호 수신 시간차인 t2를 비교하여 장애물의 존재 여부를 판단한다.
일 예로, 도 3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제1 센서(110) 및 제2 센서(120) 각각과 장애물 간의 거리가 같은 경우, 즉 장애물이 센서부(100)의 정면에 위치한 경우, 감지 신호 발사 시간차인 t1과 반사 신호 수신 시간차인 t2는 같은 값을 갖는다. 이러한 경우, 제어부(200)는 차량 주변에 장애물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도 4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제1 센서(110) 및 제2 센서(120) 각각과 장애물 간의 거리가 다른 경우, 즉, 장애물이 센서부(100)의 정면에 위치하지 않은 경우, 감지 신호 발사 시간차인 t1과 반사 신호 수신 시간차인 t2은 다른 값을 갖는다. 이러한 경우, 제어부(200)는 발사 시간차 t1과 수신 시간차 t2 간의 오차를 확인하여 장애물의 존재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제어부(200)는 t1과 t2 간의 오차가 기설정된 허용 오차 이하이면 장애물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허용 오차는 도 5와 같이 제1 센서(110) 및 제2 센서(120) 간의 장착 거리(d1), 현재 온도(T) 및 온도에 따른 초음파의 속도(Vair.T)를 고려하여 수학식 1을 이용하여 구해진 기설정된 값일 수 있다.
Figure 112013074285554-pat00001
Figure 112013074285554-pat00002
수학식 1에서 T는 섭씨 온도(℃), Vair.T.R은 온도 T에서의 초음파의 왕복 속도(m/s), d1는 제1 센서(110)와 제2 센서(120) 각각의 중심을 기준으로 한 센서 간의 거리(m), Terror는 허용 오차 시간(s)이다.
예를 들어, 제1 센서(110)와 제2 센서(120) 간의 장착 거리가 1.5cm 이고, 현재 온도가 25℃이라고 하면, 수학식 1을 통해 86.7us의 허용 오차 값이 획득될 수 있다. 즉, 제어부(200)는 제1 센서(110)와 제2 센서(120) 간의 장착 거리가 1.5cm 이고, 현재 온도가 25℃일 때 감지 신호의 발사 시간차 t1과 반사 신호의 수신 시간차 t2 간의 오차(|t1-t2|)가 86.7us 이하(|t1-t2|≤Terror)면 차량 주변에 장애물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200)는 장애물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차량 운전자에게 차량 주변에 장애물이 존재하는 것을 알리기 위해 차량의 경보음 발생 명령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만약, 도 6과 같이 제1 센서(110)를 통해 제1 주파수 대역의 노이즈가 유입되면, 제어부(200)는 제1 센서(110)를 통해 반사 신호 A_n을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노이즈란 차량 주변에서 발생하여 센서부(100)를 통해 유입될 수 있는 외부 잡음을 말하며, 예를 들어 에어컨 노이즈, 버스 에어 토출음, 오토바이 소음 등과 같은 소음성 노이즈와 다른 차량에 장착된 센서로부터 발사된 초음파일 수 있다.
제1 센서(110)를 통해 노이즈(A_n)가 유입되면 감지 신호 A와 B의 발사 시간차 t1와, 반사 신호 A_n과 B_1의 수신 시간차 tn 간의 오차는 기설정된 허용 오차보다 클 수 있다(|t1-tn|>Terror). 이와 같이, 발사 시간차와 수신 시간차 간의 오차가 허용 오차보다 큰 경우(|t1-t2|>Terror), 제어부(200)는 장애물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만약, 반사 신호 A_n를 수신한 후 제1 센서(110)를 통해 차후의 감지 신호를 발사하기 이전에 반사 신호(A_1)가 재수신되면, 제어부(200)는 A_1과 B_1의 수신 시간의 오차(t2)를 이용하여 장애물의 존재 여부를 재판단할 수 있다. 만약, t2와 t1 간의 오차가 기설정된 허용 오차보다 작으면(|t1-t2|≤Terror), 제어부(200)는 차량 주변에 장애물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의 센서를 이용하여 장애물의 존재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장애물이 존재하지 않은 경우에 센서와 동일한 주파수 대역의 노이즈가 센서를 통해 유입되어 장애물이 존재하는 것으로 잘못 감지하는 오동작 및 오경보를 방지하여 장애물에 대한 감지 성능을 향상시킨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애물 감지 장치에 의한 다수의 센서를 이용한 장애물 감지 방법 흐름도이다.
장애물 감지 장치(10)는 먼저 제1 센서(110)를 통해 제1 감지 신호를 발사한다(S100). 여기서, 제1 센서(110)는 제1 주파수 대역(예를 들어, 48kHz)의 제1 감지 신호를 발사하며, 장애물에 반사된 제1 주파수 대역의 제1 반사 신호를 수신하는 센서일 수 있다.
장애물 감지 장치(10)는 제1 센서(110)를 통해 제1 감지 신호를 발사하고 일정 시간(t1) 지연 후, 제2 센서(120)를 통해 제2 감지 신호를 발사한다(S200). 여기서, 제2 센서(120)는 제2 주파수 대역(예를 들어, 58kHz)의 제2 감지 신호를 발사하며, 장애물에 반사된 제2 주파수 대역의 제2 반사 신호를 수신하는 센서일 수 있다.
이후, 장애물 감지 장치(10)는 제1 센서(110) 및 제2 센서(120) 각각을 통해 제1 반사 신호 및 제2 반사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제1 반사 신호와 제2 반사 신호 간의 시간차(t2)를 확인한다(S300). 이때, 장애물 감지 장치(10)는 제1 센서(110)를 통해 제1 주파수 대역의 제1 반사 신호를 수신할 수 있으며, 제2 센서(120)를 통해 제2 주파수 대역의 제2 반사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장애물 감지 장치(10)는 제1 감지 신호와 제2 감지 신호 간의 발사 시간차(t1)와 제1 반사 신호와 제2 반사 신호 간의 수신 시간차(t2)를 이용하여 장애물의 존재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장애물 감지 장치(10)는 감지 신호의 발사 시간차(t1)와 반사 신호의 수신 시간차(t2) 간의 오차(|t1-t2|)와 기설정된 허용 오차(Terror)를 비교하여 장애물의 존재 여부를 판단한다(S400). 여기서, 허용 오차는 제1 센서(110) 및 제2 센서(120) 간의 장착 거리(d1), 현재 온도(T) 및 온도에 따른 초음파의 속도를 고려하여 수학식 1을 이용하여 구해진 기설정된 값일 수 있다.
단계 S400의 비교 결과, 감지 신호의 발사 시간차(t1)와 반사 신호의 수신 시간차(t2)의 오차(|t1-t2|)가 기설정된 허용 오차(Terror) 이하인 경우(|t1-t2|≤Terror), 장애물 감지 장치(10)는 차량 주변에 장애물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한다(S500). 장애물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장애물 감지 장치(10)는 차량 운전자에게 차량 주변에 장애물이 존재하는 것을 알리기 위한 차량 경보음을 출력할 수 있다.
단계 S400의 비교 결과, 감지 신호의 발사 시간차(t1)와 반사 신호의 수신 시간차(t2) 간의 오차(|t1-t2|)가 기설정된 허용 오차(Terror)보다 큰 경우(|t1-tn|>Terror), 장애물 감지 장치(10)는 제1 센서(110)와 제2 센서(120) 중 어느 한 센서를 통해 노이즈가 유입된 것으로 판단한다(S600). 노이즈가 유입된 것으로 판단되면, 장애물 감지 장치(10)는 장애물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며, 따라서 차량 경보음 또한 출력하지 않는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의 센서를 이용하여 장애물의 존재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장애물이 존재하지 않은 경우에 센서와 동일한 주파수 대역의 노이즈가 센서를 통해 유입되어 장애물이 존재하는 것으로 잘못 감지하는 오동작 및 오경보를 방지하여 장애물에 대한 감지 성능을 향상시킨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장애물 감지 장치 100 : 센서부
110 : 제1 센서 120 : 제2 센서
200 : 제어부

Claims (6)

  1. 제1 주파수 대역의 제1 감지 신호를 발사하고, 상기 제1 감지 신호의 반사 신호인 상기 제1 주파수 대역의 제1 반사 신호를 수신하는 제1 센서;
    제2 주파수 대역의 제2 감지 신호를 발사하고, 상기 제2 감지 신호의 반사 신호인 상기 제2 주파수 대역의 제2 반사 신호를 수신하는 제2 센서; 및
    시간 차를 두고 상기 제1 및 제2 감지 신호를 발사하도록 상기 제1 및 제2 센서를 제어하며, 상기 제1 및 제2 센서를 통해 수신되는 상기 제1 및 상기 제2 반사 신호를 이용하여 장애물이 존재하는지 판단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및 제2 감지 신호 간의 발사 시간차와 상기 제1 및 제2 반사 신호 간의 수신 시간차의 오차로 장애물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인 다수의 센서를 이용한 장애물 감지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및 제2 센서 간의 장착 거리 및 온도를 고려하여 허용 오차를 미리 설정하는 것인 다수의 센서를 이용한 장애물 감지 장치.
  4. 장애물 감지 장치에 의한 다수의 센서를 이용한 장애물 감지 방법으로서,
    주변의 장애물을 감지하기 위해 제1 주파수 대역의 제1 감지 신호와 제2 주파수 대역의 제2 감지 신호가 시간차를 두고 각각 발사되도록 제1 센서 및 제2 센서를 제어하는 단계;
    상기 제1 및 제2 감지 신호 각각에 대응하여 상기 제1 주파수 대역의 제1 반사 신호와 상기 제2 주파수 대역의 제2 반사 신호를 상기 제1 및 제2 센서를 통해 각각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및 제2 감지 신호 간의 발사 시간차와 상기 제1 및 제2 반사 신호 간의 수신 시간차를 비교하여 상기 발사 시간차와 상기 수신 시간차의 오차로 장애물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다수의 센서를 이용한 장애물 감지 방법.
  5. 삭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발사 시간차와 상기 수신 시간차의 오차로 장애물의 존재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및 제2 센서 간의 장착 거리 및 온도를 고려하여 설정된 값인 허용 오차를 이용하여 판단하는 다수의 센서를 이용한 장애물 감지 방법.
KR1020130097207A 2013-08-16 2013-08-16 다수의 센서를 이용한 장애물 감지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21767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7207A KR102176770B1 (ko) 2013-08-16 2013-08-16 다수의 센서를 이용한 장애물 감지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7207A KR102176770B1 (ko) 2013-08-16 2013-08-16 다수의 센서를 이용한 장애물 감지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9837A KR20150019837A (ko) 2015-02-25
KR102176770B1 true KR102176770B1 (ko) 2020-11-09

Family

ID=525788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97207A KR102176770B1 (ko) 2013-08-16 2013-08-16 다수의 센서를 이용한 장애물 감지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6770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16592A (ja) * 2001-06-27 2003-01-17 Yoshio Shimotori 車輌運転における警告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16592A (ja) * 2001-06-27 2003-01-17 Yoshio Shimotori 車輌運転における警告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9837A (ko) 2015-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76697B1 (ko) 충돌방지장치 및 충돌방지방법
US11148669B2 (en) Method and device for supporting a lane change for a vehicle
KR102398028B1 (ko) 자동 긴급 제동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JP4501737B2 (ja) 車両用防犯装置
WO2017067163A1 (zh) 车辆制动方法及其装置和车辆
KR20190123932A (ko) 후측방 경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US9266470B2 (en) Vehicle approach informing device
US20150097702A1 (en) Blind spot sensing apparatus and method
JP2008046862A (ja) 車両用警報装置及び警告音出力方法
KR102159528B1 (ko) 차량 주변의 초근거리 장애물을 감지하는 기능을 갖는 차량용 주차 보조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KR102176770B1 (ko) 다수의 센서를 이용한 장애물 감지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150087737A (ko) 차량 위험 감지 시스템
JP2007131092A (ja) 障害物検出装置及びこれを含む車両制動システム
KR102653265B1 (ko) 초음파센서 시스템, 초음파센서의 고장을 판단하는 방법 및 초음파센서의 물체감지방법
KR102064000B1 (ko) 잡음 감지 기능을 갖는 장애물 감지 장치와 잡음 감지 방법
KR102356480B1 (ko) 차량 사각지대 감지 장치 및 방법
JP5896062B2 (ja) 運転支援装置
KR20180007211A (ko) 차량의 후방 추돌경보시스템
KR102419095B1 (ko) 레이더센서를 이용한 제동제어장치 및 레이더센서를 이용한 제동제어방법
KR20180056391A (ko) 초음파 센서를 대상으로 하는 공격 탐지 장치 및 방법
KR20150002227A (ko) 차량의 주변 장애물 감지 장치 및 그 방법
JP5050002B2 (ja) 車両用物体検知装置
US11167755B2 (en) Method for at least partially automatically controlling a motor vehicle
KR102308785B1 (ko) 차량 사각지대 감지 장치 및 방법
KR102447977B1 (ko) 운전지원장치 및 운전지원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