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4658B1 - 슬레드 시험용 유니버설 벅 - Google Patents

슬레드 시험용 유니버설 벅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4658B1
KR101774658B1 KR1020150157011A KR20150157011A KR101774658B1 KR 101774658 B1 KR101774658 B1 KR 101774658B1 KR 1020150157011 A KR1020150157011 A KR 1020150157011A KR 20150157011 A KR20150157011 A KR 20150157011A KR 101774658 B1 KR101774658 B1 KR 1017746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unting
support plate
pillar
pillars
mounting ho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70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54184A (ko
Inventor
김희석
윤종필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570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4658B1/ko
Priority to US15/200,715 priority patent/US10036687B2/en
Priority to DE102016212133.2A priority patent/DE102016212133A1/de
Priority to CN201610548262.0A priority patent/CN106679986B/zh
Publication of KR201700541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41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46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46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7/00Testing of vehicles
    • G01M17/007Wheeled or endless-tracked vehicles
    • G01M17/0078Shock-testing of vehicl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7/00Testing of vehicles
    • G01M17/007Wheeled or endless-tracked vehicl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 Investigating Strength Of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AREA)
  • Testing Of Devices, Machine Parts, Or Other Structures Thereof (AREA)

Abstract

개시된 본 발명은, 요잉각을 조절하도록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지지플레이트와, 상기 지지플레이트에 장착된 복수의 필러부와, 상기 복수의 필러부 중에서 적어도 일부 필러부들의 상부에 장착되는 루프부와, 상기 복수의 필러부 중에서 전방 측에 배치된 필러부들과 루프부의 전방단 사이에 장착되는 윈드실드부를 구비하고, 상기 필러부, 상기 루프부, 및 상기 윈드실드부는 상기 지지플레이트 상에서 위치조절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Description

슬레드 시험용 유니버설 벅{UNIVERSAL BUCK FOR SLED TEST}
본 발명은 슬레드 시험용 유니버설 벅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선행개발 단계에서도 범용으로 활용할 수 있는 슬레드 시험용 유니버설 벅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충돌성능 개선을 위한 실차 충돌시험 전에 슬레드 시험을 수행하고, 이러한 슬레드 시험을 통해 구속장치(시트벨트, 시트, 에어백 등)의 최적화 및 더미 거동특성 등을 분석할 수 있다.
이러한 슬레드 시험은 슬레드 장비에 벅(buck)을 장착한 후에 수행하는 데, 벅(buck)은 BIW(Body In White)에서 탑승부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제거한 구조물이다. 이때, 벅에는 해당 차량에 맞는 다양한 부품들이 실차환경을 재현할 수 있도록 장착된다.
이와 같이, 슬레드 시험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벅(buck)을 제작하기 위한 차체(BIW, BODY IN WHITE)가 필요하지만, 선행개발 차량의 경우에는 아직 차체(BIW)가 존재하지 않으므로 벅 또한 없으며, 이로 인해 슬레드 시험을 하지 못하여 해석에 의존하거나 선행단계에서 슬레드 시험을 생략하는 경우가 많이 있다.
그리고, 차체가 있는 차량의 경우에도 벅에 장착되는 다양한 부품들의 재현도가 높지 않아 슬레드 시험에 의한 구속장치의 최적화 및 승객 거동 특성 등을 효과적으로 분석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다.
그 외에, 스몰 오버랩(small overlap) 시험 시에 요잉(yawing)의 거동 및 컬럼의 돌출량이 과도하여 더미의 거동 재현도가 낮은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여러단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연구개발된 것으로, 벅에 장착되는 다수의 부품들에 대한 위치조절을 용이하게 하여 다양한 차체 조건에 맞출 수 있으므로 차량의 선행개발 단계에서도 범용으로 용이하게 활용할 수 있는 슬레드 시험용 유니버설 벅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요잉각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구조를 적용함으로써 스몰 오버랩 시험의 재현을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는 슬레드 시험용 유니버설 벅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슬레드 시험용 유니버설 벅은,
요잉각을 조절하도록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지지플레이트;
상기 지지플레이트에 장착된 복수의 필러부;
상기 복수의 필러부 중에서 적어도 일부 필러들의 상부에 장착되는 루프부; 및
상기 복수의 필러부 중에서 전방 측에 배치된 필러부들과 루프부의 전방단 사이에 장착되는 윈드실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필러부, 상기 루프부, 및 상기 윈드실드부는 상기 지지플레이트 상에서 위치조절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좌우 양측에는 일정간격으로 이격된 복수의 장착공(mounting hole)이 형성되고, 상기 필러부는 상기 복수의 장착공을 통해 상기 지지플레이트에 대해 위치조절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복수의 필러부는,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전방 측에 설치되고, 좌우 대칭적으로 배치된 한 쌍의 제1필러부;
상기 제1필러부로부터 후방으로 이격되고, 좌우 대칭적으로 배치된 한 쌍의 제2필러부;
상기 제2필러부로부터 후방으로 이격되고, 좌우 대칭적으로 배치된 한 쌍의 제3필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필러부의 상단과 상기 제3필러부의 상단을 가로질러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한 쌍의 연장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연장부재는 좌우 대칭적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루프부는 상기 한 쌍의 연장부재의 상부에 장착되고, 상기 연장부재에는 일정간격으로 이격된 복수의 장착공이 형성되며, 상기 루프부는 상기 연장부재의 장착공을 통해 위치조절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복수의 필러부들 사이에 위치조절가능하게 장착되는 도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도어부는 상기 복수의 필러부들 사이에 위치조절가능하게 장착된 조절부재와, 상기 조절부재에 부착된 내측프레임과, 상기 내측프레임에 결합되는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절부재는 일정간격으로 이격된 복수의 장착공을 가지고, 상기 복수의 장착공을 통해 상기 조절부재는 상기 복수의 필러부들 사이에서 위치 조절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장부재에 위치조절가능하게 장착되는 케이블 장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케이블 장착부에는 케이블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윈드실드부는 상기 제1필러부의 상단과 상기 연장부재의 전방단부 사이에서 경사조절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케이블 장착부는 복수의 장착공이 형성된 장착플레이트와, 상기 복수의 장착공을 통해 상기 장착플레이트의 일면에 위치조절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의 장착튜브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장착튜브에 상기 케이블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복수의 장착튜브는 그 길이가 서로 다르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장착플레이트의 타면에는 복수의 결합블록이 상기 연장부재를 향해 돌출되게 마련되고, 상기 복수의 결합블록은 상기 연장부재 측에 위치조절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장부재에는 복수의 장착공이 형성된 스페이서 블록이 마련되고, 상기 복수의 장착공은 상기 연장부재 보다 낮게 배치되며, 상기 복수의 결합블록은 상기 복수의 장착공을 통해 상기 스페이서 블록에 위치조절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플레이트에 설치된 시트 장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시트 장착부에는 시트의 장착을 위한 시트 지그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시트 지그는 위플래시 시험(whiplash test)용 시트지그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슬레드 시험 시에 더미 거동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 장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카메라 장착부는 카메라의 촬영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슬레드 시험용 유니버설 벅은,
수직축선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지지플레이트;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회전을 지지하는 베이스플레이트;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설치된 복수의 필러부;
상기 복수의 필러부 중에서 일부 필러들의 상부에 설치되는 루프부; 및
상기 복수의 필러부 중에서 전방 측에 배치된 필러부들과 루프부의 전방단 사이에 설치되는 윈드실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필러부, 상기 루프부, 및 상기 윈드실드부는 상기 지지플레이트 상에서 위치조절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플레이트는 피벗부를 통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연결되고, 상기 지지플레이트는 상기 피벗부를 중심으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대해 회전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피벗부는 환형 베어링(circular bearing)을 포함하고, 상기 환형 베어링은 회전중심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전방단부 및 후방단부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한 단부에는 원호상의 슬롯이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플레이트는 상기 슬롯의 원호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형성된 복수의 체결공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벅에 장착되는 다수의 부품들에 대한 위치조절을 용이하게 하여 다양한 차체 조건에 맞출 수 있는 범용 구조를 구현함으로써, 차량의 선행개발 단계에서도 구속장치의 최적화 및 더미 거동특성 분석 등을 위한 슬레드 시험에 적극적으로 활용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지지플레이트의 회전가능한 구조를 통해 요잉각(yawing angle)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스몰 오버랩 시험의 재현도를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레드 시험용 유니버설 벅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슬레드 시험용 유니버설 벅의 지지플레이트가 베이스플레이트에 대해 회전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슬레드 시험용 유니버설 벅의 지지플레이트 및 베이스플레이트이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화살표 A 부분을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슬레드 시험용 유니버설 벅의 도어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슬레드 시험용 유니버설 벅의 케이블 장착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슬레드 시험용 유니버설 벅의 케이블 장착부에 케이블이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유니버설 벅을 이용하여 스몰 오버랩 시험을 수행하기 전, 후의 제1필러부(11)의 변형량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참고로, 본 발명을 설명하는 데 참조하는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 선의 두께 등은 이해의 편의상 다소 과장되게 표현되어 있을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설명에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한 것이므로 사용자, 운용자 의도,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이 용어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리는 것이 마땅하겠다.
도 1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레드 시험용 유니버설 벅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슬레드 시험용 유니버설 벅은 지지플레이트(10)와, 지지플레이트(10)에 장착되는 복수의 필러부(11, 12, 13)와, 복수의 필러부(11, 12, 13) 중에서 적어도 일부의 필러들의 상부에 장착되는 루프부(20)와, 복수의 필러부(11, 12, 13) 중에서 전방 측에 배치된 필러부들과 루프부(20)의 전방단 사이에 경사지게 장착되는 원드실드부(30)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플레이트(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이를 통해 요잉각(yawing angle)을 조절할 수 있다. 예컨대, 요잉각의 조절범위는 0~3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지지플레이트(10)의 요잉각이 조절가능함에 따라 스몰 오버랩(small overlap) 시험의 재현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플레이트(10)의 하부에는 베이스플레이트(50)가 배치되고, 지지프레이트(10)는 피벗부(40)를 통해 베이스플레이트(50)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으며, 이에 지지플레이트(10)는 피벗부(40)의 수직축선(V)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피벗부(40)는 지지플레이트(10)의 중간부와 베이스플레이트(50)의 중간부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피벗부(40)는 환형 베어링(41, circular bearing)을 포함하고, 환형 베어링(41)은 베이스플레이트(50)의 중간부에 설치되며, 지지플레이트(10)의 중간부에는 환형 베어링(41)의 상면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지지플레이트(10)의 전방단부 및 후방단부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의 단부에는 원호상의 슬롯(16)가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플레이트(50)의 전방단부 및 후방단부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단부에는 슬롯(16)의 원호방향을 따라 이격된 복수의 체결공(56)을 가질 수 있다. 이에, 지지플레이트(10)를 피벗부(40) 둘레로 회전시켜 그 요잉각을 적절히 조절한 후에, 슬롯(16)과 체결공(56) 상에 하나 이상의 체결구를 체결함으로써 지지플레이트(10)의 조절된 요잉각을 고정할 수 있고, 이를 통해 그 시험 도중에 파손됨이 방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요잉각이 조절된 이후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으므로 스몰 오버랩(small overlap)의 재현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복수의 필러부(11, 12, 13)는 지지플레이트(10)의 전방 측에 설치된 한 쌍의 제1필러부(11)와, 상기 제1필러부(11)로부터 후방으로 이격된 한 쌍의 제2필러부(12)와, 상기 제2필러부(12)로부터 후방으로 이격된 한 쌍의 제3필러부(13)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제1필러부(11)는 실제 차량의 A-필러(A-pillar)을 모사하기 위한 구성으로, 지지플레이트(10)에서 좌우 대칭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한 쌍의 제2필러부(12)는 실제 차량의 B-필러(B-pillar)을 모사하기 위한 구성으로, 지지플레이트(10) 상에서 좌우 대칭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한 쌍의 제3필러부(13)는 실제 차량의 C-필러(C-pillar)을 모사하기 위한 구성으로, 지지플레이트(10) 상에서 좌우 대칭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지지플레이트(10)의 좌우 양측가장자리에는 복수의 제1장착공(61)이 형성되고, 이러한 복수의 제1장착공(61)을 통해 제1필러부(11), 제2필러부(12), 제3필러부(13)는 지지플레이트(10)의 좌우 양측에서 길이방향으로 그 위치가 조절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지지플레이트(10)의 좌우 양측가장자리에는 복수의 서포트 바(71, support bar)이 마련되고, 서포트 바(71)에 복수의 제1장착공(61)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복수의 필러부(11, 12, 13)의 하단이 서포트 바(71)의 상면에 안착된 상태에서 제1장착공(61)에 체결구가 선택적으로 체결됨으로써 지지플레이트(10)의 좌우 양측에서 그 위치조절이 매우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루프부(20)는 실제 차량의 루프패널을 모사하기 위한 구성으로, 한 쌍의 제2필러부(12)와 한 쌍의 제3필러부(13)의 상부에 설치될 수 있다. 루프부(20)의 상면에는 복수의 고리(25)가 형성되고, 이러한 고리(25)들에 호이스트를 연결하여 루프부(20)의 이동 내지 장착 등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한편, 루프부(20)는 한 쌍의 연장부재(21)의 상부에 위치조절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고, 한 쌍의 연장부재(21)는 좌우 대칭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좌측의 연장부재(21)는 좌측에 위치한 제2필러부(12)의 상단과 제3필러부(13)의 상단을 가로질러 연장되며, 우측의 연장부재(21)는 우측에 위치한 제2필러부(12)의 상단과 제3필러부(13)의 상단을 가로질러 연장될 수 있다.
연장부재(21)는 일정간격으로 이격된 복수의 제2장착공(62)을 가지고, 이러한 복수의 제2장착공(62)에 체결구가 선택적으로 체결됨으로써 루프부(20)는 그 전후방향의 위치가 조절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윈드실드부(30)는 차량의 전방 윈도우 글래스 등을 모사하기 위한 구성으로, 연장부재(21)의 전방단부와 제1필러부(11) 사이에 그 경사각이 조절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한편, 연장부재(21)의 전방단부에는 제3장착공(63)이 일정간격으로 이격되게 형성되고, 제1필러부(11)의 상단에는 제4장착공(64)이 일정간격으로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윈드실드부(30)의 상단이 연장부재(21)의 제3장착공(63)을 통해 전후방향의 위치가 조절가능하게 장착되고, 윈드실드부(30)의 하단이 제1필러부(11)의 제4장착공(64)을 통해 상하방향의 위치가 조절가능하게 장착됨으로써 윈드실드부(30)의 경사각이 조절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필러부(11, 12, 13)들 사이에는 실제 차량의 도어를 모사하기 위한 도어부(80)가 위치조절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도 1, 도 2, 및 도 5에 예시된 바와 같이, 도어부(80)는 제1필러부(11)와 제2필러부(12) 사이에 설치될 수도 있다.
도어부(80)는 복수의 필러부(11, 12)들 사이에 위치조절가능하게 장착된 조절부재(81)와, 조절부재(81)에 부착된 내측프레임(82)과, 내측프레임(82)에 결합되는 패널(83)을 포함할 수 있다.
조절부재(81)는 일정간격으로 이격된 복수의 제5장착공(65)을 가지고, 이러한 복수의 제5장착공(65)에 선택적으로 체결구가 체결됨으로써 조절부재(81)는 복수의 필러부(11, 12, 13)에 대해 그 전후방향의 위치가 조절되게 장착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장부재(21)에는 실제 차량의 케이블 장착구조를 모사하기 위한 케이블 장착부(90)가 위치조절가능하게 설치되고, 케이블 장착부(90)에는 케이블(98)이 조립됨으로써 슬레드 시험 시에 A-필러에 해당하는 제1필러(11)의 변형량을 효과적으로 구현할 수 있다.
케이블 장착부(90)는 복수의 제6장착공(66)이 형성된 장착플레이트(91)와, 장착플레이트(91)의 장착공(65)들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복수의 장착튜브(92)를 포함할 수 있다.
장착플레이트(91)는 연장부재(21) 및/또는 윈드쉴드부(30)에 장착될 수 있으며, 장착플레이트(91)에는 복수의 제6장착공(66)이 패턴화된 구조로 형성될 수 있고, 이에 복수의 장착튜브(92)는 복수의 제6장착공(66)을 통해 장착플레이트(91)의 일면에 위치조절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복수의 장착튜브(92)에 케이블(98)이 조립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복수의 장착튜브(92)가 장착플레이트(91)에 그 위치가 조절되면서 결합됨으로써 케이블(98)의 배치구조에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장착튜브(92)는 서로 다른 길이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이를 통해 케이블(98)의 배치구조에 더욱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
장착플레이트(91)의 타면에는 복수의 결합블록(95)이 연장부재(21)를 향해 돌출되게 마련되고, 복수의 결합블록(95)은 연장부재(21)에 위치조절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연장부재(21) 및 윈드쉴드부(30)에는 일정간격으로 이격된 복수의 제7장착공(67)이 형성된 복수의 스페이서 블록(96)이 마련되고, 복수의 스페이서 블록(96)은 복수의 제7장착공(67)을 통해 결합블록(95)에 위치조절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복수의 제7장착공(67)은 연장부재(21) 보다 낮게 배치되며, 이를 통해 루프부(20)와 케이블(98)의 간섭이 방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지지플레이트(10)의 요잉각이 조절가능함과 더불어 케이블 장착부(90)가 유니버설 벅의 전방측에 배치됨으로써 스몰 오버랩 시험 시에 A-필러에 해당하는 제1필러부(11)의 변형량 재현이 가능하고, 이를 통해 스몰 오버랩 시험의 재현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유니버설 벅을 이용하여 스몰 오버랩 시험을 수행하기 전, 후의 제1필러부(11)의 변형량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8에서, P선은 스몰 오버랩 시험을 수행하기 전의 제1필러부(11) 형상을 나타내고, R선은 스몰 오버랩 시험을 수행한 후의 제1필러부(11) 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도 8로부터 알 수 있듯이, 스몰 오버랩 시험 시에 제1필러부(11)의 변형이 재현될 수 있으므로 더미 거동, 케이블의 전개 상황 등을 효과적으로 재현할 수 있다.
그리고, 지지플레이트(10)에는 시트 장착부(100)가 설치될 수 있고, 시트 장착부(100)에는 시트의 장착을 위한 시트 지그(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시트 지그는 위플래시 시험(whiplash test)용 시트지그로 구성될 수 있고, 이에 시트의 전후방향 이동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슬레드 시험 시에 더미 거동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가 장착되는 카메라 장착부(110)가 설치될 수 있다.
카메라 장착부(110)는 카메라의 촬영각도가 조절가능하도록 제2필러부(12)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카메라 장착부(110)에 의해, 스몰 오버랩 시험에 대한 정밀촬영 및 근접촬영이 가능함에 따라 그 분석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그외에도, 지지플레이트(10)에는 차량의 브레이크 페달, 가속페달 등을 모사하기 위한 답판부(130)가 위치조절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고, 복수의 필러부(11, 12, 13)에는 사이드 에어백을 모사하기 위한 사이드 에어백부(120)가 위치조절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필러부(11, 12, 13), 루프부(20), 윈드쉴드부(30), 도어부(80), 케이블(98) 등과 같은 다양한 부품들의 위치가 자유롭게 조절될 수 있으므로, 차량의 선행개발 단계에서도 슬레드 시험을 효과적으로 재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지지플레이트(10)의 요잉각(yawing angle)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스몰 오버랩 시험을 효과적으로 재현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이내에서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10: 지지플레이트 11: 제1필러부
12: 제2필러부 13: 제3필러부
20: 루프부 30: 윈드실드부
40: 피벗부 50: 베이스플레이트
80: 도어부

Claims (21)

  1. 요잉각을 조절하도록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지지플레이트;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좌우 양측에 대칭적으로 장착된 복수의 필러부;
    상기 복수의 필러부 중에서 적어도 일부 필러들의 상부에 장착되는 루프부;
    상기 복수의 필러부 중에서 전방 측에 배치된 필러부들과 루프부의 전방단 사이에 장착되는 윈드실드부;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좌우 양측에 대칭적으로 배치되는 한 쌍의 연장부재; 및
    상기 연장부재에 위치조절가능하게 장착되고, 케이블이 조립되는 케이블 장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필러부, 상기 루프부, 및 상기 윈드실드부는 상기 지지플레이트 상에서 위치조절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케이블 장착부는 복수의 장착공이 형성된 장착플레이트와, 상기 복수의 장착공을 통해 상기 장착플레이트의 일면에 위치조절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의 장착튜브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장착튜브에 상기 케이블이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레드 시험용 유니버설 벅.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좌우 양측에는 일정간격으로 이격된 복수의 장착공(mounting hole)이 형성되고, 상기 필러부는 상기 복수의 장착공을 통해 상기 지지플레이트에 대해 위치조절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레드 시험용 유니버설 벅.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필러부는,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전방 측에 설치되고, 좌우 대칭적으로 배치된 한 쌍의 제1필러부;
    상기 제1필러부로부터 후방으로 이격되고, 좌우 대칭적으로 배치된 한 쌍의 제2필러부; 및
    상기 제2필러부로부터 후방으로 이격되고, 좌우 대칭적으로 배치된 한 쌍의 제3필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레드 시험용 유니버설 벅.
  4. 청구항 3에 있어서,
    각 연장부재는 상기 제2필러부의 상단과 상기 제3필러부의 상단을 가로질러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레드 시험용 유니버설 벅.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루프부는 상기 한 쌍의 연장부재의 상부에 장착되고, 상기 연장부재에는 일정간격으로 이격된 복수의 장착공이 형성되며, 상기 루프부는 상기 연장부재의 장착공을 통해 위치조절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레드 시험용 유니버설 벅.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필러부들 사이에 위치조절가능하게 장착되는 도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레드 시험용 유니버설 벅.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도어부는 상기 복수의 필러부들 사이에 위치조절가능하게 장착된 조절부재와, 상기 조절부재에 부착된 내측프레임과, 상기 내측프레임에 결합되는 패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레드 시험용 유니버설 벅.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재는 일정간격으로 이격된 복수의 장착공을 가지고, 상기 복수의 장착공을 통해 상기 조절부재는 상기 복수의 필러부들 사이에서 위치 조절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레드 시험용 유니버설 벅.
  9.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윈드실드부는 상기 제1필러부의 상단과 상기 연장부재의 전방단부 사이에서 경사조절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레드 시험용 유니버설 벅.
  10. 삭제
  11. 삭제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장착튜브는 그 길이가 서로 다르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레드 시험용 유니버설 벅.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장착플레이트의 타면에는 복수의 결합블록이 상기 연장부재를 향해 돌출되게 마련되고, 상기 복수의 결합블록은 상기 연장부재 측에 위치조절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레드 시험용 유니버설 벅.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재에는 장착공들이 형성된 스페이서 블록이 마련되고, 상기 스페이서 블록의 장착공들은 상기 연장부재 보다 낮게 배치되며, 상기 복수의 결합블록은 상기 스페이서 블록의 장착공들을 통해 상기 스페이서 블록에 위치조절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레드 시험용 유니버설 벅.
  1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플레이트에 설치된 시트 장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시트 장착부에는 시트의 장착을 위한 시트 지그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레드 시험용 유니버설 벅.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시트 지그는 위플래시 시험(whiplash test)용 시트지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레드 시험용 유니버설 벅.
  17. 청구항 1에 있어서,
    슬레드 시험 시에 더미 거동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 장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카메라 장착부는 카메라의 촬영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레드 시험용 유니버설 벅.
  18. 수직축선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지지플레이트;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회전을 지지하는 베이스플레이트;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좌우 양측에 대칭적으로 설치된 복수의 필러부;
    상기 복수의 필러부 중에서 일부 필러들의 상부에 설치되는 루프부;
    상기 복수의 필러부 중에서 전방 측에 배치된 필러부들과 루프부의 전방단 사이에 설치되는 윈드실드부;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좌우 양측에 대칭적으로 배치되는 한 쌍의 연장부재; 및
    상기 연장부재에 개별적으로 위치조절가능하게 장착되고, 케이블이 조립되는 케이블 장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필러부, 상기 루프부, 및 상기 윈드실드부는 상기 지지플레이트 상에서 위치조절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케이블 장착부는 복수의 장착공이 형성된 장착플레이트와, 상기 복수의 장착공을 통해 상기 장착플레이트의 일면에 위치조절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의 장착튜브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장착튜브에 상기 케이블이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레드 시험용 유니버설 벅.
  19.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지지플레이트는 피벗부를 통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연결되고, 상기 지지플레이트는 상기 피벗부를 중심으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대해 회전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레드 시험용 유니버설 벅.
  20.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피벗부는 환형 베어링(circular bearing)을 포함하고,
    상기 환형 베어링은 회전중심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레드 시험용 유니버설 벅.
  21. 청구항 20에 있어서,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전방단부 및 후방단부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한 단부에는 원호상의 슬롯이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플레이트는 상기 슬롯의 원호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형성된 복수의 체결공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레드 시험용 유니버설 벅.
KR1020150157011A 2015-11-09 2015-11-09 슬레드 시험용 유니버설 벅 KR1017746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7011A KR101774658B1 (ko) 2015-11-09 2015-11-09 슬레드 시험용 유니버설 벅
US15/200,715 US10036687B2 (en) 2015-11-09 2016-07-01 Universal buck for sled test
DE102016212133.2A DE102016212133A1 (de) 2015-11-09 2016-07-04 Universalkäfig für einen Schlittentest
CN201610548262.0A CN106679986B (zh) 2015-11-09 2016-07-12 用于滑车试验的通用车身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7011A KR101774658B1 (ko) 2015-11-09 2015-11-09 슬레드 시험용 유니버설 벅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4184A KR20170054184A (ko) 2017-05-17
KR101774658B1 true KR101774658B1 (ko) 2017-09-04

Family

ID=585852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7011A KR101774658B1 (ko) 2015-11-09 2015-11-09 슬레드 시험용 유니버설 벅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036687B2 (ko)
KR (1) KR101774658B1 (ko)
CN (1) CN106679986B (ko)
DE (1) DE10201621213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4659B1 (ko) * 2015-11-09 2017-09-0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슬레드 시험용 유니버설 벅
KR101977338B1 (ko) * 2017-08-31 2019-05-10 지엠 글로벌 테크놀러지 오퍼레이션스 엘엘씨 슬레드 충격시험장치
CN107515091A (zh) * 2017-09-15 2017-12-26 中汽研(常州)汽车工程研究院有限公司 一种基于行人保护的风挡玻璃冲击试验台架
CN113495003A (zh) * 2020-03-18 2021-10-12 上汽通用汽车有限公司 用于约束系统匹配模拟试验的可调节车身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121014A1 (en) * 2006-08-09 2008-05-29 Ford Motor Company Sled buck testing system
CN202119612U (zh) * 2011-07-04 2012-01-18 中国汽车技术研究中心 用于侧面碰撞模拟试验的门台车夹具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64117B2 (en) * 1992-05-05 2007-01-16 Automotive Technologies International, Inc. Vehicular restraint system control system and method using multiple optical imagers
US5355716A (en) * 1990-06-01 1994-10-18 Automotive Technologies International, Inc. Generalized rotary shock and impact testing machine
US5167396A (en) * 1991-09-27 1992-12-01 Dynasauer Corp. Vibration isolating mount for vibratory pile driver and extractor
US7660437B2 (en) * 1992-05-05 2010-02-09 Automotive Technologies International, Inc. Neural network systems for vehicles
US9290146B2 (en) * 1992-05-05 2016-03-22 Intelligent Technologies International, Inc. Optical monitoring of vehicle interiors
US5611192A (en) * 1995-06-07 1997-03-18 Southpac Trust International, Inc. Apparatus for dispensing and wrapping a sheet of material about a flower pot or floral grouping
DE29622530U1 (de) * 1996-12-30 1997-03-13 Tzeng Lee Ching Längenkorrekturvorrichtung
US6178805B1 (en) * 1997-07-22 2001-01-30 Chrysler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side impact testing of motor vehicles at a sub-system level
US5929348A (en) * 1998-01-21 1999-07-27 Autoliv Asp, Inc. Micro sled impact test device
US6361035B1 (en) * 1999-12-20 2002-03-26 Truman Collins Vise plates with chain blocks
JP3919063B2 (ja) * 2000-10-31 2007-05-23 スズキ株式会社 シートのスライド構造
KR100380081B1 (ko) 2000-12-28 2003-04-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슬래드 충격 시험장치 및 그 방법
TWI234428B (en) * 2004-06-28 2005-06-11 Tatung Co Ltd Fixing structure of the sliding rail in the server frame
KR100613717B1 (ko) 2004-10-15 2006-08-21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피칭 롤링 기능이 구비된 차량 모의 충돌시험장치
JP2006138700A (ja) * 2004-11-11 2006-06-01 Mitsubishi Heavy Ind Ltd 自動車衝突模擬試験装置の簡易型ピッチング装置
US20080011047A1 (en) * 2006-07-17 2008-01-17 Toyota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Vehicle simulated crash test apparatus
KR20080026817A (ko) 2006-09-21 2008-03-26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모의충돌시험용 공용대차
DE102007056572A1 (de) * 2007-11-23 2009-05-28 Audi Ag Verfahren zur Durchführung von Crash-Schlitten-Versuchen, sowie Vorrichtung zum Durchführen des Verfahrens
US8531347B2 (en) * 2009-08-04 2013-09-10 Echostar Technologies L.L.C. Nonconductive antenna mount
EP2354777B1 (en) 2010-02-05 2018-01-31 Autoliv Development AB Sled test apparatus
JP4959821B2 (ja) * 2010-02-10 2012-06-27 三菱重工業株式会社 自動車衝突模擬試験装置
CN103776636A (zh) * 2012-10-23 2014-05-07 上海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滑车试验装置
US20150089995A1 (en) * 2013-08-02 2015-04-02 Ronald Lilley Crash test method and apparatus with yaw simulation
KR101572075B1 (ko) * 2014-04-22 2015-11-25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스폿 용접용 용접팁 교환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121014A1 (en) * 2006-08-09 2008-05-29 Ford Motor Company Sled buck testing system
CN202119612U (zh) * 2011-07-04 2012-01-18 中国汽车技术研究中心 用于侧面碰撞模拟试验的门台车夹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16212133A1 (de) 2017-05-11
US20170131182A1 (en) 2017-05-11
US10036687B2 (en) 2018-07-31
CN106679986A (zh) 2017-05-17
CN106679986B (zh) 2020-04-17
KR20170054184A (ko) 2017-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74658B1 (ko) 슬레드 시험용 유니버설 벅
JP4837454B2 (ja) 自動車用フロントフェンダの組付装置
US9976935B2 (en) Method and system for evaluating structural vehicle component performance
US20150274234A1 (en) Windshield device for saddle-ride type vehicle, and vehicle incorporating same
US20140077516A1 (en) Asymmetrical grab handle for vehicle
CN105291953B (zh) 前照灯保持支架总成
US20150352929A1 (en) Vehicle door reinforcement insert
KR100435319B1 (ko) 자동차용 충돌 시험 장치
KR20080026817A (ko) 모의충돌시험용 공용대차
US7306258B2 (en) Guide unit for guiding curtain airbag and curtain airbag device
JP2005106701A (ja) 車両拘束装置
JP2009040345A (ja) 自動車のドアヒンジ取付治具及びドアヒンジ取付方法
KR101774659B1 (ko) 슬레드 시험용 유니버설 벅
US20180086384A1 (en) Compressible stopper behind headlamp for protecting closures against damage during a low speed collision
CN103134653A (zh) 用于制动器踏板的碰撞试验的夹具
JP2002012175A (ja) 自動車のドアヒンジ取付治具及びドア建付方法
CN210027266U (zh) 用于整车碰撞试验的照相装置
KR101463379B1 (ko) 도어트림 측면충돌 시험장치
JP4272583B2 (ja) シート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7274397B2 (ja) 位置特定部材の取付構造
JP2019023032A (ja) 車両用サンバイザ
CN215448465U (zh) 滑台碰撞试验装置
KR100589254B1 (ko) 자동차 사이드 에어백 시험용 장치
KR100837925B1 (ko) 자동차의 칵핏 모듈의 처짐 방지 구조
JP2023081492A (ja) スライドドア開保持治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