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4659B1 - 슬레드 시험용 유니버설 벅 - Google Patents

슬레드 시험용 유니버설 벅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4659B1
KR101774659B1 KR1020150157012A KR20150157012A KR101774659B1 KR 101774659 B1 KR101774659 B1 KR 101774659B1 KR 1020150157012 A KR1020150157012 A KR 1020150157012A KR 20150157012 A KR20150157012 A KR 20150157012A KR 101774659 B1 KR101774659 B1 KR 1017746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r
cross member
mounting
pillar
mounting ho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70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54185A (ko
Inventor
김희석
윤종필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570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4659B1/ko
Priority to US15/187,567 priority patent/US10168251B2/en
Priority to DE102016213047.1A priority patent/DE102016213047A1/de
Priority to CN201610565585.0A priority patent/CN106679987B/zh
Publication of KR201700541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41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46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46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7/00Testing of vehicles
    • G01M17/007Wheeled or endless-tracked vehicl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7/00Testing of vehicles
    • G01M17/007Wheeled or endless-tracked vehicles
    • G01M17/0078Shock-testing of vehicles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슬레드 시험용 유니버설 벅은, 지지플레이트와, 상기 지지플레이트에 장착된 복수의 필러부와, 상기 복수의 필러부 중에서 적어도 일부 필러부들의 상부에 장착되는 루프부와, 상기 복수의 필러부 중에서 전방 측에 배치된 필러부들과 루프부의 전방단 사이에 장착되는 윈드실드부를 구비하고, 상기 필러부, 상기 루프부, 및 상기 윈드실드부는 상기 지지플레이트 상에서 위치조절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Description

슬레드 시험용 유니버설 벅{UNIVERSAL BUCK FOR SLED TEST}
본 발명은 슬레드 시험용 유니버설 벅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선행개발 단계에서도 범용으로 활용할 수 있는 슬레드 시험용 유니버설 벅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충돌성능 개선을 위한 실차 충돌시험 전에 슬레드 시험을 수행하고, 이러한 슬레드 시험을 통해 구속장치(시트벨트, 시트, 에어백 등)의 최적화 및 더미 거동특성 등을 분석할 수 있다.
이러한 슬레드 시험은 슬레드 장비에 벅(buck)을 장착한 후에 수행하는 데, 벅(buck)은 BIW(Body In White)에서 탑승부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제거한 구조물이다. 이때, 벅에는 해당 차량에 맞는 다양한 부품들이 실차환경을 재현할 수 있도록 장착된다.
이와 같이, 슬레드 시험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벅(buck)을 제작하기 위한 차체(BIW, BODY IN WHITE)가 필요하지만, 선행개발 차량의 경우에는 아직 차체(BIW)가 존재하지 않으므로 벅 또한 없으며, 이로 인해 슬레드 시험을 하지 못하여 해석에 의존하거나 선행단계에서 슬레드 시험을 생략하는 경우가 많이 있다.
그리고, 차체가 있는 차량의 경우에도 벅에 장착되는 다양한 부품들의 재현도가 높지 않아 슬레드 시험에 의한 구속장치의 최적화 및 승객 거동 특성 등을 효과적으로 분석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여러단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연구개발된 것으로, 다수의 부품을 위치조절가능하게 장착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차종에 맞출 수 있는 범용 구조를 구현하 수 있고, 이를 통해 차량의 선행개발 단계에서도 충돌개선 슬레드 시험에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슬레드 시험용 유니버설 벅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슬레드 시험용 유니버설 벅은,
지지플레이트;
상기 지지플레이트에 장착된 복수의 필러부;
상기 복수의 필러부 중에서 적어도 일부 필러부들의 상부에 장착되는 루프부; 및
상기 복수의 필러부 중에서 전방 측에 배치된 필러부들과 루프부의 전방단 사이에 장착되는 윈드실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필러부, 상기 루프부, 및 상기 윈드실드부는 상기 지지플레이트 상에서 위치조절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플레이트는 그 좌우 양측에 대칭적으로 배치된 복수의 서포트유닛을 가지고, 상기 복수의 서포트유닛은 상기 복수의 필러부를 개별적으로 슬라이딩지지하며, 각 필러부는 각 서포트유닛에 위치조절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서포트 유닛은 지지플레이트의 폭방향을 따라 이격된 한 쌍의 서포트 바와, 상기 한 쌍의 서포트 바 사이에 배치된 리니어 베어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서포트 바는 일정간격으로 이격된 복수의 장착공을 가지고, 상기 서포트 바의 장착공들을 통해 상기 필러부는 상기 서포트 바에 위치조절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리니어 베어링은 그 표면에 복수의 구름부재가 일정간격으로 이격되게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복수의 필러부는,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전방 측에 설치되고, 좌우 대칭적으로 배치된 한 쌍의 제1필러부;
상기 제1필러부로부터 후방으로 이격되고, 좌우 대칭적으로 배치된 한 쌍의 제2필러부; 및
상기 제2필러부로부터 후방으로 이격되고, 좌우 대칭적으로 배치된 한 쌍의 제3필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필러부의 상단과 상기 제3필러부의 상단을 가로질러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한 쌍의 연장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연장부재는 좌우 대칭적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루프부는 상기 한 쌍의 연장부재의 상부에 장착되고, 상기 연장부재는 일정간격으로 이격되게 형성된 복수의 장착공을 가지며, 상기 루프부는 상기 연장부재의 장착공들을 통해 위치조절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복수의 필러부들 사이에는 도어부가 위치조절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윈드실드부의 하부에 위치조절가능하게 장착되는 니 볼스터 패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니 볼스터 패널은 한 쌍의 조절블록 및 각 조절블록에 연결되는 한 쌍의 조절암에 의해 그 경사각도가 조절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한 쌍의 조절블록은 상기 윈드쉴드부의 하부에 배치된 한 쌍의 제1필러부에 개별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조절블록의 일단에는 상기 니 볼스터 패널의 상단이 피벗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조절암의 상단은 상기 조절블록의 길이방향을 따라 위치조절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조절암의 하단은 상기 니 볼스터 패널의 길이방향을 따라 위치조절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조절블록은 일정간격으로 이격된 복수의 장착공을 가지고, 상기 니 볼스터 패널은 그 양면에 일정간격으로 이격되게 형성된 복수의 장착공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슬레드 시험용 유니버설 벅은,
지지플레이트;
상기 지지플레이트에 위치조절가능하게 장착된 복수의 필러부;
상기 복수의 필러부 중에서 적어도 일부 필러부들의 상부에 위치조절가능하게 장착되는 루프부;
상기 복수의 필러부 중에서 전방 측에 배치된 필러부들과 루프부의 전방단 사이에 위치조절가능하게 장착되는 윈드실드부; 및
상기 윈드실드부의 하부에 위치조절가능하게 장착되는 카울 크로스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카울 크로스부는 제1크로스부재와, 상기 제1크로스부재에 대해 이격되게 장착되는 제2크로스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크로스부재는 그 길이가 신축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크로스부재는 메인관과, 상기 메인관의 양단에서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한 한 쌍의 보조관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한 쌍의 보조관에는 한 쌍의 연결블록이 개별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한 쌍의 연결블록은 한 쌍의 조절부재에 의해 그 위치가 독립적으로 조절가능하게 장착됨으로써 상기 제1크로스부재의 양단이 독립적으로 위치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조절부재는 일정간격으로 이격되게 형성된 복수의 장착공을 가지고, 상기 연결블록은 상기 조절부재의 장착공들을 통해 상기 조절부재에 위치조절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크로스부재의 양단부는 상기 한 쌍의 조절부재에 연결되고, 상기 한 쌍의 조절부재에는 한 쌍의 장착플레이트가 개별적으로 결합되며,
상기 장착플레이트는 패턴 구조로 형성된 복수의 장착공을 가지고, 상기 장착플레이트의 장착공들을 통해 상기 제2크로스부재의 양단은 상기 장착플레이트에 위치조절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크로스부재에는 스티어링 컬럼(steering column)의 상부장착부(upper mounting)가 결합되는 제1결합블록이 위치조절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제2크로스부재에는 스티어링 컬럼의 하부장착부가 결합되는 제2결합블록이 위치조절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카울 크로스부는 제1크로스부재와, 상기 제1크로스부재에 대해 이격되게 장착되는 제2크로스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크로스부재 및 상기 제2크로스부재는 그 길이가 신축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크로스부재는 제1메인관과, 상기 제1메인관의 양단에서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한 한 쌍의 제1보조관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한 쌍의 제1보조관에는 한 쌍의 제1연결블록이 개별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한 쌍의 제1연결블록은 한 쌍의 제1조절부재에 의해 그 위치가 독립적으로 조절가능하게 장착됨으로써 상기 제1크로스부재의 양단이 독립적으로 위치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조절부재는 일정간격으로 이격되게 형성된 복수의 장착공을 가지고, 상기 제1연결블록은 상기 제1조절부재의 장착공들을 통해 상기 제1조절부재에 위치조절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크로스부재는 제2메인관과, 상기 제2메인관의 양단에서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한 한 쌍의 제2보조관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한 쌍의 제2보조관에는 한 쌍의 제2연결블록이 개별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한 쌍의 제2연결블록은 한 쌍의 제2조절부재에 의해 그 위치가 독립적으로 조절가능하게 장착됨으로써 상기 제2크로스부재의 양단이 독립적으로 위치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조절부재는 일정간격으로 이격되게 형성된 복수의 장착공을 가지고, 상기 제2연결블록은 상기 제2조절부재의 장착공들을 통해 상기 제2조절부재에 위치조절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크로스부재 및 상기 제2크로스부재에는 스티어링 컬럼의 상부장착부 및 하부장착부가 결합되는 결합플레이트가 위치조절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결합플레이트는 상기 제1크로스부재 및 상기 제2크로스부재를 가로질러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결합플레이트는 스티어링 컬럼의 상부장착부가 결합되는 제1결합부와, 스티어링 컬럼의 하부 장착부가 결합되는 제2결합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결합부는 상기 결합플레이트의 일측에 형성된 한 쌍의 슬롯 및 한 쌍의 슬롯에 개별적으로 위치조절가능하게 장착되는 한 쌍의 제1장착블록을 가지고,
상기 제1장착블록에는 상기 스티어링 컬럼의 상부 장착부가 장착되는 장착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슬롯에 인접하여 체결공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공에는 제1장착블록의 움직임을 방지하기 위한 스토퍼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결합부는 결합플레이트의 타측에 형성된 한 쌍의 제2장착돌기를 가지고, 상기 제2장착돌기에는 스티어링 컬럼의 하부장착부를 장착하기 위한 장착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수의 부품을 위치조절가능하게 장착하는 구조를 적용함으로써 다양한 차종에 맞출 수 있는 범용 구조를 구현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차량의 선행개발 단계에서도 구속장치의 최적화 및 더미 거동특성 분석 등을 위한 슬레드 시험에 적극적으로 활용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슬레드 시험용 유니버설 벅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화살표 A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화살표 B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화살표 C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으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카울 크로스조립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4에 대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울 크로스 조립체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카울 크로스 조립체의 위치조절 상태를 예시한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5 및 도 6의 스티어링 컬럼 장착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D-D선을 따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참고로, 본 발명을 설명하는 데 참조하는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 선의 두께 등은 이해의 편의상 다소 과장되게 표현되어 있을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설명에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한 것이므로 사용자, 운용자 의도,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이 용어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리는 것이 마땅하겠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슬레드 시험용 유니버설 벅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슬레드 시험용 유니버설 벅은 지지플레이트(10)와, 지지플레이트(10)에 장착되는 복수의 필러부(11, 12, 13)와, 복수의 필러부(11, 12, 13) 중에서 적어도 일부의 필러들의 상부에 장착되는 루프부(20)와, 복수의 필러부(11, 12, 13) 중에서 전방 측에 배치된 필러부들과 루프부(20)의 전방단 사이에 경사지게 장착되는 원드실드부(30)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플레이트(10)는 그 좌우 양측에 대칭적으로 배치된 복수의 서포트유닛(70, support unit)을 가진다.
각 서포트 유닛(70)은 지지플레이트(10)의 폭방향을 따라 이격된 한 쌍의 서포트 바(71, 72)와, 서포트 바(71, 72)들 사이에 배치된 리니어 베어링(73)을 포함할 수 있다.
각 서포트 바(71, 72)에는 복수의 장착공(61)이 일정간격으로 이격되게 형성된다.
리니어 베어링(73)은 그 표면에 볼 또는 롤러와 같은 구름부재들이 일정간격으로 이격되게 배열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복수의 필러부(11, 12, 13)는 지지플레이트(10)의 전방 측에 설치된 한 쌍의 제1필러부(11)와, 상기 제1필러부(11)로부터 후방으로 이격된 한 쌍의 제2필러부(12)와, 상기 제2필러부(12)로부터 후방으로 이격된 한 쌍의 제3필러부(1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필러부(11)는 실제 차량의 A-필러(A-pillar)를 모사하기 위한 구성으로, 지지플레이트(10)에서 좌우 대칭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2필러부(12)는 실제 차량의 B-필러(B-pillar)를 모사하기 위한 구성으로, 지지플레이트(10) 상에서 좌우 대칭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3필러부(13)는 실제 차량의 C-필러(C-pillar)를 모사하기 위한 구성으로, 지지플레이트(10) 상에서 좌우 대칭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서포트유닛(70)은 복수의 필러부(11, 12, 13)에 대응하는 갯수로 이루어지고, 이에 각 서포트유닛(70)은 각 필러부(11, 12, 13)를 개별적으로 슬라이딩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필러부(11, 12, 13)는 각 서포트유닛(70)의 서포트 바(71, 72)에 안착된 이후에 리니어 베어링(73)을 따라 슬라이딩될 수 있고, 이를 통해 각 필러부(11, 12, 13)는 서포트 바(71, 72) 위에서 리니어 베어링(73)을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그 전후방향의 위치가 개별적으로 조절되고, 그 이후에 각 필러부(11, 12, 13)의 하단에 형성된 장착공과 어느 하나의 장착공(61)을 일치시킨 후에 체결구를 체결함으로써 각 필러부(11, 12, 13)는 서포트유닛(70)의 서포트 바(71, 72)에 위치조절가능하게 장착될 수 잇다.
루프부(20)는 실제 차량의 루프패널를 모사하기 위한 구성으로, 한 쌍의 제2필러부(12)와 한 쌍의 제3필러부(13)의 상부에 설치될 수 있다. 루프부(20)의 상면에는 복수의 고리(25)가 형성되고, 이러한 고리(25)들에 호이스트를 연결하여 루프부(20)의 이동 내지 장착 등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한편, 루프부(20)는 한 쌍의 연장부재(21)의 상부에 위치조절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고, 한 쌍의 연장부재(21)는 좌우 대칭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좌측의 연장부재(21)는 좌측에 위치한 제2필러부(12)의 상단과 제3필러부(13)의 상단을 가로질러 연장되며, 우측의 연장부재(21)는 우측에 위치한 제2필러부(12)의 상단과 제3필러부(13)의 상단을 가로질러 연장될 수 있다.
연장부재(21)는 일정간격으로 이격된 복수의 장착공(62)을 가지고, 이러한 복수의 장착공(62)에 체결구가 선택적으로 체결됨으로써 루프부(20)는 그 전후방향의 위치가 조절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윈드실드부(30)는 연장부재(21)의 전방단부와 제1필러부(11) 사이에 그 경사각이 조절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한편, 연장부재(21)의 전방단부에는 장착공(63)이 일정간격으로 이격되게 형성되고, 제1필러부(11)의 상단에는 장착공(64)이 일정간격으로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윈드실드부(30)의 상단이 연장부재(21)의 장착공(63)을 통해 전후방향의 위치가 조절가능하게 장착되고, 윈드실드부(30)의 하단이 제1필러부(11)의 장착공(64)을 통해 상하방향의 위치가 조절가능하게 장착됨으로써 윈드실드부(30)의 경사각이 조절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필러부(11, 12, 13)들 사이에는 도어부(80)가 위치조절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도 1에 예시된 바와 같이, 도어부(80)는 제1필러부(11)와 제2필러부(12) 사이에 설치될 수도 있다.
그리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윈드실드부(30)의 하부에는 실제 차량의 니 볼스터(knee bolster)를 모사하기 위한 니 볼스터 패널(40)이 위치조절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니 볼스터 패널(40)은 한 쌍의 조절블록(41) 및 각 조절블록(41)에 연결되는 한 쌍의 조절암(42)에 의해 그 경사각도가 조절되게 장착될 수 있다.
한 쌍의 조절블록(41)은 윈드쉴드부(30)의 하부에 배치된 한 쌍의 제1필러부(11)에 개별적으로 연결됨으로써 지지플레이트(10) 상에서 좌우 양측에 대칭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각 조절블록(41)은 길게 연장된 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고, 각 조절블록(41)에는 복수의 장착공(65)이 일정간격으로 이격되게 형성되며, 각 조절블록(41)의 일단에는 니 볼스터 패널(40)의 상단이 피벗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조절암(42)의 상단은 복수의 장착공(65)을 통해 조절블록(41)의 길이방향을 따라 위치조절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니 볼스터 패널(40)의 양면에는 복수의 장착공(66)이 일정간격으로 이격되게 형성되고, 조절암(42)의 하단은 복수의 장착공(66)을 통해 니 볼스터 패널(40)의 길이방향을 따라 위치조절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조절암(42)의 상단이 조절블록(41)의 길이방향으로 위치조절됨과 더불어 조절암(42)의 하단이 니 볼스터 패널(40)의 길이방향으로 위치조절됨으로써 니 볼스터 패널(40)의 경사각도가 매우 용이하게 조절될 수 있다.
그리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필러부(11)에 인접한 윈드실드부(30)의 하부에는 실제 차량의 카울 크로스 조립체를 모사하기 위한 카울 크로스부(50)가 위치조절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카울 크로스부(50)는 제1크로스부재(51)와, 제1크로스부재(51)에 대해 이격되게 배치된 제2크로스부재(5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크로스부재(51)는 그 길이가 신축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를 구현하기 위하여, 제1크로스부재(51)는 메인관(51a)과, 메인관(51a)의 양단에서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한 한 쌍의 보조관(51b)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메인관(51a)의 양단에서 보조관(51b)이 개별적으로 이동하여 돌출 내지 인입됨에 따라 제1크로스부재(51)의 길이가 신축가능해질 수 있다.
각 보조관(51b)에는 연결블록(53)이 개별적으로 연결됨으로써 제1크로스부재(51)의 양단에는 한 쌍의 연결블록(53)이 마련될 수 있다. 한 쌍의 연결블록(53)은 한 쌍의 조절부재(55)에 의해 그 위치가 독립적으로 조절될 수 있고, 한 쌍의 조절부재(55)는 카울 크로스부(50)의 좌우 양측에 대칭적으로 배치된다.
이와 같이, 한 쌍의 조절부재(55)에 의해 한 쌍의 연결블록(53)의 위치가 개별적으로 조절됨으로써 제1크로스부재(51)의 좌우 양단이 개별적으로 위치조절되게 장착될 수 있다. 특히 제1크로스부재(51)가 신축가능함에 따라 제1크로스부재(51)의 양단이 독립적으로 위치조절됨이 보다 유연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각 조절부재(55)에는 복수의 장착공(67)이 일정간격으로 이격되게 형성되고, 연결블록(53)은 복수의 장착공(67)을 통해 조절부재(55)에 위치조절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크로스부재(51)의 양단이 독립적으로 위치조절됨에 따라 제1크로스부재(51)는 상부에서 바라볼 때 경사지게 조절될 수 있다.
그리고, 각 조절부재(55)는 그 일측에 연결부(55a)가 형성되고, 이러한 연결부(55a)는 제1필러부(11)에 용접 등을 통해 결합될 수 있으며, 카울 크로스부(50)의 조절부재(55)에는 니 볼스터 패널(40)의 조절부재(41)가 용접 등을 통해 결합될 수도 있다. 이에, 카울 크로스부(50)의 조절부재(55) 및 니 볼스터 패널(40)의 조절부재(41)는 연결부(55a)가 제1필러부(11)에 용접됨에 따라 매우 안정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제1크로스부재(51)에는 스티어링 컬럼(steering column)의 상부장착부(upper mounting)가 결합되는 제1결합블록(81)이 위치조절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제1크로스부재(51)의 메인관(51a)에는 일정간격으로 이격된 복수의 장착공(68)이 형성될 수 있고, 복수의 장착공(68)을 통해 제1결합블록(81)은 제1크로스부재(51)의 메인관(51a)에 위치조절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제2크로스부재(52)는 그 길이가 특정된 구조로 이루어지고, 제2크로스부재(52)의 양단부는 한 쌍의 조절부재(55)에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각 조절부재(55)에는 장착플레이트(57)가 용접 등을 통해 결합됨으로써 제2크로스부재(52)의 양측에 한 쌍의 장착플레이트(57)가 배치될 수 있다.
장착플레이트(57)는 소정의 패턴 구조로 형성된 복수의 장착공(91)을 가지고, 이러한 복수의 장착공(91)을 통해 제2크로스부재(52)의 양단이 장착플레이트(57)에 위치조절가능하게 장착됨으로써 제2크로스부재(52)는 전후방향 및/또는 상하방향의 위치가 조절되면서 장착될 수 있다.
제2크로스부재(52)에는 스티어링 컬럼의 하부 장착부(lower mounting)가 결합되는 제2결합블록(82)이 위치조절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제2크로스부재(52)에는 일정간격으로 이격된 복수의 장착공(69)이 형성될 수 있고, 복수의 장착공(69)을 통해 제2결합블록(82)은 제2크로스부재(52)에 위치조절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한편, 도 5 내지 도 8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울 크로스부(50)를 도시한 도면이다.
다른 실시에에 따르면, 카울 크로스부(50)는 제1크로스부재(51)와, 제1크로스부재(51)에 대해 이격되게 배치된 제2크로스부재(5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크로스부재(51)는 그 길이가 신축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를 구현하기 위하여, 제1크로스부재(51)는 제1메인관(51a)과, 제1메인관(51a)의 양단에서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한 한 쌍의 제1보조관(51b)을 가질 수 있다. 이에, 제1메인관(51a)의 양단에서 제1보조관(51b)이 개별적으로 이동하여 돌출 내지 인입됨에 따라 제1크로스부재(51)의 길이가 신축가능해질 수 있다.
각 제1보조관(51b)에는 제1연결블록(53)이 개별적으로 연결됨으로써 제1크로스부재(51)의 양단에는 한 쌍의 제1연결블록(53)이 마련될 수 있다. 각 제1연결블록(53)은 카울 크로스부(50)의 좌우 양측에 대칭적으로 배치된 한 쌍의 제1조절부재(55)에 의해 그 좌우 양단의 위치가 개별적으로 조절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각 제1조절부재(55)에는 복수의 장착공(67)이 일정간격으로 이격되게 형성되고, 제1연결블록(53)은 복수의 장착공(67)을 통해 제1조절부재(55)에 위치조절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크로스부재(51)의 양단이 개별적으로 위치조절됨에 따라 제1크로스부재(51)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에서 바라볼 때 경사지게 조절될 수 있다.
그리고, 각 제1조절부재(55)는 그 일측에 연결부(55a)가 형성되고, 이러한 연결부(55a)는 제1필러부(11)에 용접 등을 통해 결합될 수 있으며, 제1조절부재(55)에는 니 볼스터 패널(40)의 조절부재(41)가 용접 등을 통해 결합될 수도 있다. 이에, 카울 크로스부(50)의 제1조절부재(55) 및 니 볼스터 패널(40)의 조절부재(41)는 연결부(55a)가 제1필러부(11)에 용접됨에 따라 그 위치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제2크로스부재(52)는 그 길이가 신축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를 구현하기 위하여, 제2크로스부재(52)는 제2메인관(52a)와, 제2메인관(52a)의 양단에서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한 한 쌍의 제2보조관(52b)을 가질 수 있다. 이에, 제2메인관(52a)의 양단에서 각 제2보조관(52b)이 개별적으로 이동하여 돌출 내지 인입됨에 따라 제2크로스부재(52)의 길이가 신축가능해질 수 있다.
각 제2보조관(52b)에는 제2연결블록(54)이 개별적으로 연결됨으로써 제2크로스부재(52)의 양단에는 한 쌍의 제2연결블록(54)이 마련될 수 있다. 각 제2연결블록(54)은 한 쌍의 제2조절부재(56)에 의해 그 좌우 양단의 위치가 독립적으로 조절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고, 한 쌍의 제2조절부재(56)는 카울 크로스부(50)의 좌우 양측에 대칭적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제2조절부재(56)는 제1조절부재(55)에 개별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각 제2조절부재(56)에는 복수의 장착공(92)이 일정간격으로 이격되게 형성되고, 제2연결블록(54)은 복수의 장착공(92)을 통해 제2조절부재(56)에 위치조절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크로스부재(52)의 양단이 개별적으로 위치조절됨에 따라 제2크로스부재(52)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면 상에서 바라볼 때 경사지게 조절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제1크로스부재(51) 및/또는 제2크로스부재(52)가 상부에서 바라볼 때 경사지게 조절될 수 있으므로 카울 크로스의 변형을 효과적으로 재현할 수 있다.
한편, 제1크로스부재(51)에는 스티어링 컬럼(steering column)의 상부장착부(upper mounting) 및 하부장착부(lower mounting)가 결합되는 결합블록(100)이 위치조절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제1크로스부재(51)의 제1메인관(51a)에는 일정간격으로 이격된 복수의 장착공(68)이 형성될 수 있고, 제2크로스부재(52)의 제2메인관(52a)에는 일정간격으로 이격된 복수의 장착공(69)이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및 제2 크로스부재(51, 52)의 메인관(51a, 52a)은 사각형 파이프로 이루어지고, 각 면에 복수의 장착공(68, 69)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복수의 장착공(68, 69)을 통해 결합플레이트(100)는 제1 및 제2 크로스부재(51, 52)의 제1 및 제2 메인관(51a, 52a)에 위치조절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결합플레이트(10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티어링 컬럼의 상부장착부가 결합되는 제1결합부(110)와, 스티어링 컬럼의 하부 장착부가 결합되는 제2결합부(120)을 포함한다.
제1결합부(110)는 결합플레이트(100)의 일측에서 이격된 형성된 한 쌍의 슬롯(115) 및 한 쌍의 슬롯(115)에 개별적으로 위치조절가능하게 장착되는 한 쌍의 제1장착블록(111)을 가진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장착블록(111)은 체결구(118)를 통해 슬롯(115)에 체결되고, 제1장착블록(111)의 상부에는 스티어링 컬럼의 상부 장착부를 장착하기 위한 장착홀(113)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한 쌍의 제1장착블록(111)이 각 슬롯(115)을 따라 그 위치가 조절되면서 장착될 수 있으므로, 제1결합부(110)와 제2결합부(120) 사이의 거리가 조절될 수 있고, 이를 통해 다양한 사양의 스티어링 컬럼을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다.
그리고, 슬롯(115)에 인접하여 체결공(117)이 형성되고, 이러한 체결공(117)에는 제1장착블록(111)의 움직임을 방지하기 위한 스토퍼(116)가 결합될 수 있다.
제2결합부(120)는 결합플레이트(100)의 타측에서 폭방향으로 이격된 한 쌍의 제2장착돌기(121)를 가지고, 제2장착돌기(121)에는 스티어링 컬럼의 하부장착부를 장착하기 위한 장착공(123)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스티어링 컬럼의 하부장착부는 롱볼트(long bolt)가 한 쌍의 제2장착돌기(121)의 장착공(123)을 관통하여 체결됨으로써 스티어링 컬럼의 하부장착부는 제2결합부(120)에 안정적으로 장착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필러부(11, 12, 13), 루프부(20), 윈드쉴드부(30), 니 볼스터 패널(40), 카울 크로스부(50) 등과 같은 다양한 부품들을 위치조절가능하게 장착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차량의 종류에 맞출 수 있는 범용 구조를 구현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차량의 선행개발 단계에서도 구속장치의 최적화 및 더미 거동특성 분석 등을 위한 슬레드 시험에 적극적으로 활용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이내에서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10: 지지플레이트 11: 제1필러부
12: 제2필러부 13: 제3필러부
20: 루프부 30: 윈드실드부
40: 니 볼스터 패널 50: 카울 크로스부

Claims (29)

  1. 지지플레이트;
    상기 지지플레이트에 장착된 복수의 필러부;
    상기 복수의 필러부 중에서 적어도 일부 필러부들의 상부에 장착되는 루프부; 및
    상기 복수의 필러부 중에서 전방 측에 배치된 필러부들과 루프부의 전방단 사이에 장착되는 윈드실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필러부, 상기 루프부, 및 상기 윈드실드부는 상기 지지플레이트 상에서 위치조절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지지플레이트는 그 좌우 양측에 대칭적으로 배치된 복수의 서포트유닛을 가지고, 상기 복수의 서포트유닛은 상기 복수의 필러부를 개별적으로 슬라이딩가능하게 지지하며, 각 필러부는 각 서포트유닛에 위치조절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레드 시험용 유니버설 벅.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 유닛은 지지플레이트의 폭방향을 따라 이격된 한 쌍의 서포트 바와, 상기 한 쌍의 서포트 바 사이에 배치된 리니어 베어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레드 시험용 유니버설 벅.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 바는 일정간격으로 이격된 복수의 장착공을 가지고, 상기 서포트 바의 장착공들을 통해 상기 필러부는 상기 서포트 바에 위치조절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레드 시험용 유니버설 벅.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리니어 베어링은 그 표면에 복수의 구름부재가 일정간격으로 이격되게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레드 시험용 유니버설 벅.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필러부는,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전방 측에 설치되고, 좌우 대칭적으로 배치된 한 쌍의 제1필러부;
    상기 제1필러부로부터 후방으로 이격되고, 좌우 대칭적으로 배치된 한 쌍의 제2필러부; 및
    상기 제2필러부로부터 후방으로 이격되고, 좌우 대칭적으로 배치된 한 쌍의 제3필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레드 시험용 유니버설 벅.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윈드실드부의 하부에 위치조절가능하게 장착되는 니 볼스터 패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레드 시험용 유니버설 벅.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니 볼스터 패널은 한 쌍의 조절블록 및 각 조절블록에 연결되는 한 쌍의 조절암에 의해 그 경사각도가 조절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레드 시험용 유니버설 벅.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조절블록은 상기 윈드쉴드부의 하부에 배치된 한 쌍의 제1필러부에 개별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조절블록의 일단에는 상기 니 볼스터 패널의 상단이 피벗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조절암의 상단은 상기 조절블록의 길이방향을 따라 위치조절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조절암의 하단은 상기 니 볼스터 패널의 길이방향을 따라 위치조절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레드 시험용 유니버설 벅.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조절블록은 일정간격으로 이격된 복수의 장착공을 가지고, 상기 니 볼스터 패널은 그 양면에 일정간격으로 이격되게 형성된 복수의 장착공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레드 시험용 유니버설 벅.
  11. 지지플레이트;
    상기 지지플레이트에 위치조절가능하게 장착된 복수의 필러부;
    상기 복수의 필러부 중에서 적어도 일부 필러부들의 상부에 위치조절가능하게 장착되는 루프부;
    상기 복수의 필러부 중에서 전방 측에 배치된 필러부들과 루프부의 전방단 사이에 위치조절가능하게 장착되는 윈드실드부; 및
    상기 윈드실드부의 하부에 위치조절가능하게 장착되는 카울 크로스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플레이트는 그 좌우 양측에 대칭적으로 배치된 복수의 서포트유닛을 가지고, 상기 복수의 서포트유닛은 상기 복수의 필러부를 개별적으로 슬라이딩가능하게 지지하며, 각 필러부는 각 서포트유닛에 위치조절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레드 시험용 유니버설 벅.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카울 크로스부는 제1크로스부재와, 상기 제1크로스부재에 대해 이격되게 장착되는 제2크로스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크로스부재는 그 길이가 신축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레드 시험용 유니버설 벅.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제1크로스부재는 메인관과, 상기 메인관의 양단에서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한 한 쌍의 보조관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레드 시험용 유니버설 벅.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보조관에는 한 쌍의 연결블록이 개별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한 쌍의 연결블록은 한 쌍의 조절부재에 의해 그 위치가 독립적으로 조절가능하게 장착됨으로써 상기 제1크로스부재의 양단이 독립적으로 위치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레드 시험용 유니버설 벅.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재는 일정간격으로 이격되게 형성된 복수의 장착공을 가지고, 상기 연결블록은 상기 조절부재의 장착공들을 통해 상기 조절부재에 위치조절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레드 시험용 유니버설 벅.
  16.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제2크로스부재의 양단부는 상기 한 쌍의 조절부재에 연결되고, 상기 한 쌍의 조절부재에는 한 쌍의 장착플레이트가 개별적으로 결합되며,
    상기 장착플레이트는 패턴 구조로 형성된 복수의 장착공을 가지고, 상기 장착플레이트의 장착공들을 통해 상기 제2크로스부재의 양단은 상기 장착플레이트에 위치조절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레드 시험용 유니버설 벅.
  17.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제1크로스부재에는 스티어링 컬럼(steering column)의 상부장착부(upper mounting)가 결합되는 제1결합블록이 위치조절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제2크로스부재에는 스티어링 컬럼의 하부장착부가 결합되는 제2결합블록이 위치조절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레드 시험용 유니버설 벅.
  18.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카울 크로스부는 제1크로스부재와, 상기 제1크로스부재에 대해 이격되게 장착되는 제2크로스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크로스부재 및 상기 제2크로스부재는 그 길이가 신축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레드 시험용 유니버설 벅.
  19.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제1크로스부재는 제1메인관과, 상기 제1메인관의 양단에서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한 한 쌍의 제1보조관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레드 시험용 유니버설 벅.
  20.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제1보조관에는 한 쌍의 제1연결블록이 개별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한 쌍의 제1연결블록은 한 쌍의 제1조절부재에 의해 그 위치가 독립적으로 조절가능하게 장착됨으로써 상기 제1크로스부재의 양단이 독립적으로 위치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레드 시험용 유니버설 벅.
  21. 청구항 20에 있어서,
    상기 제1조절부재는 일정간격으로 이격되게 형성된 복수의 장착공을 가지고, 상기 제1연결블록은 상기 제1조절부재의 장착공들을 통해 상기 제1조절부재에 위치조절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레드 시험용 유니버설 벅.
  22.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제2크로스부재는 제2메인관과, 상기 제2메인관의 양단에서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한 한 쌍의 제2보조관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레드 시험용 유니버설 벅.
  23. 청구항 22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제2보조관에는 한 쌍의 제2연결블록이 개별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한 쌍의 제2연결블록은 한 쌍의 제2조절부재에 의해 그 위치가 독립적으로 조절가능하게 장착됨으로써 상기 제2크로스부재의 양단이 독립적으로 위치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레드 시험용 유니버설 벅.
  24. 청구항 23에 있어서,
    상기 제2조절부재는 일정간격으로 이격되게 형성된 복수의 장착공을 가지고, 상기 제2연결블록은 상기 제2조절부재의 장착공들을 통해 상기 제2조절부재에 위치조절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레드 시험용 유니버설 벅.
  25.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제1크로스부재 및 상기 제2크로스부재에는 스티어링 컬럼의 상부장착부 및 하부장착부가 결합되는 결합플레이트가 위치조절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결합플레이트는 상기 제1크로스부재 및 상기 제2크로스부재를 가로질러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레드 시험용 유니버설 벅.
  26. 청구항 25에 있어서,
    상기 결합플레이트는 스티어링 컬럼의 상부장착부가 결합되는 제1결합부와, 스티어링 컬럼의 하부 장착부가 결합되는 제2결합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레드 시험용 유니버설 벅.
  27. 청구항 26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부는 상기 결합플레이트의 일측에 형성된 한 쌍의 슬롯 및 한 쌍의 슬롯에 개별적으로 위치조절가능하게 장착되는 한 쌍의 제1장착블록을 가지고,
    상기 제1장착블록에는 상기 스티어링 컬럼의 상부 장착부가 장착되는 장착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레드 시험용 유니버설 벅.
  28. 청구항 27에 있어서,
    상기 슬롯에 인접하여 체결공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공에는 제1장착블록의 움직임을 방지하기 위한 스토퍼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레드 시험용 유니버설 벅.
  29. 청구항 26에 있어서,
    상기 제2결합부는 결합플레이트의 타측에 형성된 한 쌍의 제2장착돌기를 가지고, 상기 제2장착돌기에는 스티어링 컬럼의 하부장착부를 장착하기 위한 장착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레드 시험용 유니버설 벅.
KR1020150157012A 2015-11-09 2015-11-09 슬레드 시험용 유니버설 벅 KR1017746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7012A KR101774659B1 (ko) 2015-11-09 2015-11-09 슬레드 시험용 유니버설 벅
US15/187,567 US10168251B2 (en) 2015-11-09 2016-06-20 Universal buck for sled test
DE102016213047.1A DE102016213047A1 (de) 2015-11-09 2016-07-18 Universalbock für Schlittentest
CN201610565585.0A CN106679987B (zh) 2015-11-09 2016-07-18 用于台车试验的通用装配架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7012A KR101774659B1 (ko) 2015-11-09 2015-11-09 슬레드 시험용 유니버설 벅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4185A KR20170054185A (ko) 2017-05-17
KR101774659B1 true KR101774659B1 (ko) 2017-09-04

Family

ID=585851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7012A KR101774659B1 (ko) 2015-11-09 2015-11-09 슬레드 시험용 유니버설 벅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168251B2 (ko)
KR (1) KR101774659B1 (ko)
CN (1) CN106679987B (ko)
DE (1) DE102016213047A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121014A1 (en) * 2006-08-09 2008-05-29 Ford Motor Company Sled buck testing system
CN202119612U (zh) * 2011-07-04 2012-01-18 中国汽车技术研究中心 用于侧面碰撞模拟试验的门台车夹具
CN203881540U (zh) * 2014-01-08 2014-10-15 上海海马汽车研发有限公司 一种用于模拟车辆的人机工程评价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5319B1 (ko) 2001-07-05 2004-06-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충돌 시험 장치
US7836749B2 (en) 2006-08-09 2010-11-23 Ford Motor Company Sled buck testing system
KR20080025947A (ko) 2006-09-19 2008-03-24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슬래드 시험장치
KR20080026817A (ko) 2006-09-21 2008-03-26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모의충돌시험용 공용대차
CN201210111Y (zh) * 2008-06-06 2009-03-18 上海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汽车系统集成测试平台框架
EP2354777B1 (en) 2010-02-05 2018-01-31 Autoliv Development AB Sled test apparatus
JP4959821B2 (ja) * 2010-02-10 2012-06-27 三菱重工業株式会社 自動車衝突模擬試験装置
CN103776636A (zh) * 2012-10-23 2014-05-07 上海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滑车试验装置
CN204128836U (zh) * 2014-10-30 2015-01-28 奇瑞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汽车电气系统测试台架
KR101774658B1 (ko) * 2015-11-09 2017-09-0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슬레드 시험용 유니버설 벅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121014A1 (en) * 2006-08-09 2008-05-29 Ford Motor Company Sled buck testing system
CN202119612U (zh) * 2011-07-04 2012-01-18 中国汽车技术研究中心 用于侧面碰撞模拟试验的门台车夹具
CN203881540U (zh) * 2014-01-08 2014-10-15 上海海马汽车研发有限公司 一种用于模拟车辆的人机工程评价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70131181A1 (en) 2017-05-11
CN106679987B (zh) 2020-08-18
US10168251B2 (en) 2019-01-01
DE102016213047A1 (de) 2017-05-11
CN106679987A (zh) 2017-05-17
KR20170054185A (ko) 2017-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76935B2 (en) Method and system for evaluating structural vehicle component performance
DE19780550C2 (de) Prüfstand zum Simulieren eines seitlichen Fahrzeugaufpralls
DE10104790B4 (de) Querträger für eine Armaturentafel eines Fahrzeugs
JP5614294B2 (ja) 衝突試験装置、車両の設計方法、及び車両
KR101774658B1 (ko) 슬레드 시험용 유니버설 벅
US1059708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ounting an enclosure for electrical devices on the roof of an autonomous vehicle
JP6505554B2 (ja) 乗物用シートのスライド位置検出装置
KR101679962B1 (ko) 차량 테스트용 대차 구조
US2018001597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ounting front end module
US20130038089A1 (en) Extend and breakaway bracket for glove box
KR101774659B1 (ko) 슬레드 시험용 유니버설 벅
KR100435319B1 (ko) 자동차용 충돌 시험 장치
JP2010151791A (ja) 衝突試験装置
DE102005020068A1 (de) Prüfstand für Kraftfahrzeugkomponenten
CN103134653A (zh) 用于制动器踏板的碰撞试验的夹具
CN209820782U (zh) 汽车模拟驾驶舱
DE102015109180B4 (de) Rückenlehne für einen Fahrzeugsitz
CN220549117U (zh) 一种仪表板横梁结构及具有其的车辆
US20180292295A1 (en) Jig for strength test of side door of motor vehicle
KR102403980B1 (ko) 차량수리용 지지장치
CN216717822U (zh) 一种适用于各型号汽车安全气囊起爆试验装置
KR101969999B1 (ko) 차량용 배선 정렬장치
KR101969995B1 (ko) 차량용 배선 정렬장치
KR101969997B1 (ko) 차량용 배선 정렬장치
KR101969998B1 (ko) 차량용 배선 정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