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1240B1 - 위상 변환 장치 - Google Patents

위상 변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1240B1
KR101771240B1 KR1020160013629A KR20160013629A KR101771240B1 KR 101771240 B1 KR101771240 B1 KR 101771240B1 KR 1020160013629 A KR1020160013629 A KR 1020160013629A KR 20160013629 A KR20160013629 A KR 20160013629A KR 101771240 B1 KR101771240 B1 KR 1017712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trate
guide
housing
fixed
ph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136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92373A (ko
Inventor
소성환
강성만
정은석
박대명
이상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Priority to KR10201600136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1240B1/ko
Priority to JP2018539845A priority patent/JP6676177B2/ja
Priority to CN201780009690.9A priority patent/CN108604730B/zh
Priority to PCT/KR2017/001085 priority patent/WO2017135680A1/ko
Priority to EP17747725.4A priority patent/EP3413395B1/en
Publication of KR201700923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23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12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1240B1/ko
Priority to US16/050,216 priority patent/US10957957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1/00Auxiliary devices
    • H01P1/18Phase-shift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1/00Auxiliary devices
    • H01P1/18Phase-shifters
    • H01P1/184Strip line phase-shift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3/00Waveguides; Transmission lin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3/02Waveguides; Transmission lines of the waveguide type with two longitudinal conductors
    • H01P3/08Microstrips; Strip lin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3/00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 H01Q3/26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varying the relative phase or relative amplitude of energisation between two or more active radiating elements; varying the distribution of energy across a radiating aperture
    • H01Q3/30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varying the relative phase or relative amplitude of energisation between two or more active radiating elements; varying the distribution of energy across a radiating aperture varying the relative phase between the radiating elements of an array
    • H01Q3/32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varying the relative phase or relative amplitude of energisation between two or more active radiating elements; varying the distribution of energy across a radiating aperture varying the relative phase between the radiating elements of an array by mechanical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5/00Arrangements for simultaneous operation of antennas on two or more different wavebands, e.g. dual-band or multi-band arrangements
    • H01Q5/20Arrangements for simultaneous operation of antennas on two or more different wavebands, e.g. dual-band or multi-band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operating waveban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01Q1/24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 H01Q1/246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base stations

Landscapes

  • Waveguide Switches, Polarizers, And Phase Shifter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Variable-Direction Aerials And Aerial Arrays (AREA)

Abstract

본 개시의 위상변환장치는 하우징의 양면에 변환부를 설치하였다. 변환부는 고정기판과 이동기판으로 이루어진다. 이동기판의 이동으로 하우징의 양면에서 동시에 위상변환신호가 출력포트로 전달된다. 따라서 위상변환장치 및 그 주변의 공간을 유효하게 활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위상 변환 장치{Phase shifting device}
본 개시는 위상 변환 장치에 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개시에 대한 배경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안테나는 수평빔이 커버리지 면에서 가장 효율적이나, 간섭이나 손실 때문에 소정 각도 예를 들면 약 5도 하향 경사지도록 설계된다. 안테나의 경사를 기계적으로 하향 설치하는 것은 작업자의 현장 방문과 작업 중 전원 차단 필요로 매우 번거롭다. 따라서, 다양한 각도의 경사각에 대응하는 배열 길이를 따라 위상 변화를 가져옴으로써 방사빔 각도를 변경시키는 전기적 방법이 활용되고 있으며, 이를 수행하는 장치가 위상 변환 장치이다. 위상 변환 장치의 입력 포트로 수신된 신호는 다수의 출력포트를 통해 안테나에 설치된 방사소자로 송신된다.
출원인은 전기적 위상 변환 장치의 예로 도 1a에 도시한 것과 같이 등록특허 제1567882호에서, 하나의 입력포트(IN)와 5개의 출력포트(P1,P2,P3,P4,P5)를 연결하는 회로패턴(114')을 구비한 고정기판(14')과, 서브기판(124')에 형성된 가변스트립(126')을 구비한 이동기판(12')을 포함하는 위상 변환 장치를 제안하였다. 고정기판(14')은 인쇄회로기판으로 제작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동기판(12')이 도면의 상하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면 가변스트립(126')과 회로패턴(114')의 접촉 길이가 변화하여 전송 선로들간 가변성 용량 결합이 발생하며, 이에 따라 각 출력포트로 전달되는 신호의 위상이 변한다. "d"는 이동기판의 이동 거리 범위이다.
이동 기구로서는 도 1b에 도시한 것과 같이, 하우징(10')과 기판이 접촉하도록 몸체의 일부로 형성된 플라스틱 재질의 비접촉 간격 유지용 볼록부(144')를 복수 개 설치하였다.
또 다른 배경기술로서, 미국특허공개 제2005/94호는 도 2a에 도시한 것과 같이, 1 개의 입력포트(IN')와 5쌍의 출력포트(a',b',c',d',e')를 구비한 고정기판(14')과 가변스트립을 구비한 이동기판(12')을 개시하고 있다. 고정기판(14')에 형성된 회로패턴은 좌우 방향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대칭이며, 따라서 이동기판(12')에도 쌍을 이루어 가변스트립이 총 4열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대칭 구조는 듀얼 안테나 배열에 적용되며, 출력포트 각각은 대향극상에서 작동하는 안테나 요소에 연결된다.
이동 기구로서는 도 2b에 도시한 것과 같이 고정기판(14')상에 이동기판(12')을 장착하고 액츄에이터 작동으로 이동기판(12')을 선형 이동시키고 있다. 슬롯(16')의 이동 범위는 볼트(18')에 의해 규정된다.
이상 기술한 배경기술은 위상변환장치의 한쪽 면에만 고정기판(14')과 이동기판(12')을 설치한 구조를 취하고 있다. 또, 이동기구가 볼록부(144')의 반복되는 마찰로 내구성이 약해지고 슬롯(16')의 길이 제한으로 이동범위 변경에 대응하기 곤란하며 장기간 사용 시 슬롯(16')의 마모를 가져올 수 있어 배경기술들의 이동기구는 내구성이 약하고 경년 변화에 상대적으로 취약한 단점이 있다.
그런데, 최근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지국이나 중계기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안테나는 다양한 대역의 서비스를 하기 위한 멀티 밴드 주파수 안테나 개발 요구에 소형화 경량화까지 요구되고 있어 이를 만족시키고자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멀티 밴드 안테나는 여러 대역 주파수의 위상을 개별적으로 조절할 필요가 있다. 하지만 그러기 위해서는 위상 변환 장치의 수량이 많아져야 하고 그에 따른 공간적인 제약이 수반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테나 내부의 공간 중 위상변환장치의 공간을 더 늘리는 방법으로 해결해 나가고는 있으나 한정된 공간이다 보니 상대적으로 안테나 요소의 공간이 줄어들게 되어 소자의 크기 및 형상 구현이 제한되는 문제를 가지고 있다.
이에 따라 현재로서는 위상변환장치의 최소 필요 공간을 제외한 나머지 공간을 소자부 공간으로 사용하다 보니 안테나 사이즈가 점점 커지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므로 본 개시는 안테나 장치 공간을 폭 넓게 활용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위상변환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본 개시는 위상변환장치의 위상변환구동을 용이하게 안내할 수 있는 가이드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개시의 일 실시예는 제1면면 및 제2면을 구비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제1면에 설치되며, 회로패턴이 형성된 고정기판과, 상기 고정기판의 회로패턴과 접촉하는 도전성의 스트립이 형성된 이동기판을 포함하는 제1변환부, 상기 하우징의 제2면에 설치되며, 회로패턴이 형성된 고정기판과, 상기 고정기판의 회로패턴과 접촉하는 도전성의 스트립이 형성된 이동기판을 포함하는 제2변환부를 포함하는 위상변환장치를 제공한다.
또, 본 개시의 실시예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상기 위상변환장치가 연결된 가이드, 상기 가이드를 선형 이동시키는 액츄에이터 및 상기 액츄에이터를 구동하는 구동원을 포함하는 안테나 장치를 제공한다.
또, 본 개시의 실시예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상기 위상변환장치를 포함하는 통신장치를 제공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의하면, 여러 대역 주파수의 위상을 개별적으로 조절해야 하는 멀티 밴드 안테나에 있어 위상 변환 장치의 수량을 줄이고 그에 따른 공간적인 제약의 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안테나 장치의 소형화 및 경량화 면에서 유리하며, 가용 공간의 증대로 컴팩트한 안테나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 본 개시의 실시예에 의하면, 가이드롤러의 회전으로 기판의 이동을 안내하므로 이동이 원활하며, 슬라이딩 면접촉 방식으로 부품의 마모를 방지하고 내구성을 높일 수 있다.
이상은 본 개시의 효과를 예시한 것이며 본 개시의 다른 효과는 이하 기술하는 실시예의 기술로부터 더욱 명료해질 것이다.
도 1a는 선행기술의 고정기판 및 이동기판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b는 위상변환장치의 이동구조를 보인 측면도이다.
도 2a는 또 다른 선행기술의 고정기판 및 이동기판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b는 도 2a의 위상변환장치의 이동구조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위상변환장치의 고정기판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위상변환장치의 이동기판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위상변환장치의 하우징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위상변환장치의 전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위상변환장치와 선행기술의 위상변환장치의 동작도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위상변환장치의 가이드부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6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개시의 위상변환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가이드부의 확대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를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실시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예의 구성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등의 부호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부호는 그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부호에 의해 해당 구성요소의 본질 또는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명세서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또는 '구비'한다고 할 때, 이는 명시적으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에 따르는 위상변환장치(1)에 대하여 설명한다. 위상변환장치(1)는 크게 고정기판(2), 이동기판(4) 및 고정 및 이동기판(2,4)이 장착되는 하우징(30)으로 이루어진다.
먼저, 도 3 및 도 4를 참조로 본 개시의 고정기판(2)과 이동기판(4)에 대하여 설명한다. 고정기판(2)과 이동기판(4)은 본 개시의 제1변환부(10)를 이룬다.
고정기판(2)은 한 축이 긴 장방형의 인쇄 회로 기판으로 제작된다. 고정기판(2)의 상면에는 에칭, 식각 등의 방법으로 회로패턴(6)이 형성된다. 회로패턴(6)은 고정기판(2)의 폭을 중심으로 대칭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듀얼 안테나 배열 적용에 적합하다. 회로패턴(6)은 다만 일례를 도시한 것이며, 안테나 사양에 맞추어 다른 대칭 또는 비대칭 패턴이 형성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고정기판(2)의 좌우 측변을 따라서는 각각 3개씩의 오목홈(8)이 형성되어 있다. 오목홈(8)은 외부를 향해 개방된 사각형 형상으로, 고정기판(2)의 길이 방향으로 상부, 중앙부 및 하부에 배열된다. 후술하는 것과 같이 오목홈(8)은 이동기판(4)의 선형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롤러의 회전축을 수용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 기능을 수행하는 한 오목홈(8)의 형상, 크기 및 설치 개수는 도시된 것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이동기판(4)은 긴 장방형으로 소정의 두께를 가지도록 제작된다. 이동기판(4)은 고정기판(2)을 덮으면서 이동되는 부재이며, 폭과 길이는 고정기판(2)보다 다소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동기판(4)의 폭방향 중심에는 전체 길이를 가로질러 볼록한 리브(60)가 강도 보강용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이동기판(4)의 양측면(62)은 외측을 향하여 테이퍼된 경사면(64)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는 후술하는 것과 같이 가이드 롤러의 접촉면과 맞닿기 위한 것이다.
이동기판(4)의 상면 소정 위치에는 서브기판(12)이 설치되어 있다. 서브기판(12)에는 도전성의 스트립(12a)이 가령 "U"자 형상으로 내삽되고, 서브기판(12)의 하면을 통해 노출되어 고정기판(2)의 회로패턴(6)과 접촉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서브기판(12)은 탄성력이 있는 판스프링 구조로서, 회로패턴(6)에 맞추어 리브(60)를 중심으로 대칭, 구체적으로 좌우에 각각 4개를 일렬로 정렬시키고 있으나, 이는 다만 일례를 도시한 것이며, 회로패턴(6)의 변경에 맞추어 달리 형성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당업자에게 알려진 것과 같이, 고정기판은 소정의 회로 패턴을 제공하고, 이동기판은 고정기판 위를 이동하면서 회로 패턴과 접촉 또는 커플링되는 도전성 스트립을 제공하면서 상기 접촉되는 길이를 가변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므로, 이 기능을 수행하는 한 본 개시의 고정기판(2)과 이동기판(4)은 상술한 예로 한정되지 않음을 유의하여야 할 것이다.
도 5에 도시한 본 개시의 위상변환장치(1)의 하우징(30)은 위상변환장치의 골격 또는 프레임을 이루며, 고정기판과 이동기판을 수용하는 부재이다.
본 개시의 여러 특징 중의 하나는 고정기판(2)과 이동기판(4)으로 이루어지는 제1변환부(10)와, 동일한 구조의 고정기판(2)과 이동기판(4)으로 이루어지는 제2변환부(20)를 위상변환장치(1)의 상하에 양면으로 형성한 것에 있다. 따라서, 하우징(30)이 두께 방향 중심선을 기준으로 상하 대칭으로 도시되어 있다.
하우징(30)은 전면에서 보아 가로 방향으로 연장된 웨브(web)의 길이가 긴 H자형의 프레임으로, 바디(34)와 바디(34)의 양단에서 상하로 기립한 한 쌍의 측벽(36)으로 이루어진다.
바디(34)는 고정기판(2)을 수용할 정도의 공간을 제공하는 평판형이며, 바디(34)에 형성된 상면(32) 및 하면(32a)에는 각각 제1변환부(10) 및 제2변환부(20)가 장착된다. 본 개시의 하우징(30)에 있어 상면(32)은 제1면, 하면(32a)은 제2면을 이룬다.
바디(34)는 인쇄회로기판의 방열을 감안한 재료로 제작된다. 이 재료로서는 내열성이 좋은 알루미늄, 붕소, 석영, 유리질 석영을 포함하는 합금 또는 세라믹 또는 PPA(Polyphthalamide)를 포함하는 나일론과 같은 플라스틱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들 수 있다.
측벽(36)은 세로 방향으로 연장된 플랜지(flange)에 해당하며, 하우징의 전체 측면을 덮도록 바디(34)와 일체로 연장되어 기립하고 있다. 측벽(36)은 도시된 예에서는 4개의 분할벽으로 나누어지고, 각각의 분할벽 사이에는 측벽가이드부(102)가 설치되어 있다.
도 6은 이상 설명한 본 개시의 하우징(30)의 상면(32)과 하면(32a) 각각에 고정기판(2)과 이동기판(4)을 부착한 위상변화장치(1)를 상면에서 바라 본 사시도이다. 하우징(30)의 상면(32)의 고정기판(2)과 이동기판(4)은 제1변환부(10)를 형성하며, 하면(32a)의 고정기판(2)과 이동기판(4)은 제2변환부(20)를 형성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위상변환장치(1)의 하면 구조는 상면 구조와 동일하므로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별도의 설명은 생략한다.
고정기판(2)은 접착 또는 적층에 의하여 하우징(30)의 상면(32)과 하면(32a)에 부착되어 고정된다. 이동기판(4)은 스트립(12a)이 회로패턴(6)과 충분히 맞닿아 선접촉을 이루어 전도성을 확보하도록 고정기판(2)을 향하여 가압되도록 설치된다.
가이드부(100)는 이동기판(4)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것으로 측벽가이드부(102), 가이드롤러(104) 및 고정기판(2)의 오목홈(8)을 포함하며, 하우징(3)의 좌우 측면에서 상부, 중앙부 및 하부에 각각 설치되어 있다.
가이드부(100)는 하면에서도 동일한 가이드롤러(104)를 설치하고 있으므로, 한쌍의 가이드롤러(104)가 회전하면 상하의 이동기판(4)이 대응하는 각각의 고정기판(2)위를 슬라이딩 이동하여 회로패턴(6)과 가변성의 용량 결합 관계를 형성하며, 회로패턴(6)의 출력포트로는 변환된 위상 신호가 동시 전송된다.
이와 같이, 본 개시에 따르면 하우징(3)의 양면에 설치된 제1변환부(10)와 제2변환부(20)가위상 변환 신호를 생성하는 효과가 있다. 그러므로, 여러 대역 주파수의 위상을 개별적으로 조절해야 하는 멀티 밴드 안테나에 있어서 위상 변환 장치의 수량을 줄일 수 있다.
이에 대하여 도 7의 안테나 패널에 탑재되는 위상변환장치의 전체 동작도를 토대로 설명한다.
도 7(a)는 본 개시의 위상변환장치(1)의 후면을 기준으로 바라 본 동작도로서, 구동모터(M)에 의해 상하 구동되는 액츄에이터의 축(S)에 연결된 두 개의 상부 및 하부가이드(G)에 위상변환장치(1)가 연결되어 있다. 위상변환장치(1)는 상부 및 하부 가이드(G)의 양편에 한 쌍씩, 총 4개 배열되어 있다. 따라서 제1변환부 및 제2변환부는 총 8개 설치된다. (A)는 위상변환장치(1)와 구동부가 설치되는 안테나패널이다.
구동모터(M)가 일방향으로 회전하면 각각의 위상변환장치(1)에 설치된 제1변환부(10) 및 제2변환부(20)의 이동기판(4)이 고정기판(2)과 접촉하면서 가이드부(100)에 의하여 안내되어 슬라이딩 이동하며, 출력포트로 위상변환신호가 전달된다. 반대로, 구동모터(M)가 역방향으로 회전하면 각각의 위상변환장치(1)에 설치된 제1변환부(10) 및 제2변환부(20)의 이동기판(4)이 고정기판(2)과 접촉하면서 반대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여 출력포트로 다른 위상변환신호가 전달된다. 지금까지의 선행기술의 위상변환장치(1')에 의하면, 위상변환장치(1')의 일면에만 고정 및 이동기판을 형성하였으므로, 본 개시의 위상변환장치(1)와 동일한 효과를 가져오기 위해서는 도 7(b)에 도시한 것과 같이 상부 및 하부가이드(G)에 각각 4개의 위상변환장치(1'), 총 8개의 위상변환장치(1')를 병렬 설치해야만 한다. 이는 구동모터(M)를 포함한 구동기구의 출력에 부담을 주는 것은 물론, 안테나 패널(A)의 공간 대부분을 점유하는 배치로 인하여 공간상의 제한 문제를 해소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본 개시의 위상변환장치(1)에 의하면 도 7(a)에 도시한 것과 같이 우측의 공간(P) 대부분을 유효하게 활용할 수 있으므로 기존 설계에 비해 50%정도의 공간을 절약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나아가, 위상변환장치(1)의 숫자를 절반으로 줄일 수 있다. 따라서, 안테나 장치의 소형화 및 경량화 면에서 유리하다.
또, 공간 내에 다른 위상변환장치(1)또는 안테나 부재를 설치하는 등 가용 공간으로 활용하면, 안테나 장치의 컴팩트화 면에서도 매우 유리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하, 본 개시의 위상변환장치(1)의 가이드부(100)를 도 8 및 도 9를 참조로 설명한다. 도 8은 도 6에서 가이드부(100)를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9는 도 6의 a-a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가이드부(100)는 하우징(3)의 상면 및 하면에서의 설치 구조가 동일하므로 상면을 기준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개시의 가이드부(100)는 상하 한 쌍의 가이드롤러(104)가 수평브래킷(106)에 체결되는 구조이다. 수평브래킷(106)은 양편에 형성된 홈(108)을 통해 가령 볼트나 핀과 같은 체결부재를 관통시켜 고정기판(2)의 상면에 고정된다.
가이드롤러(104)의 회전축(112)은 수평브래킷(106)의 중앙홈(114), 고정기판(2)의 오목홈(8) 및 하우징(3)의 측벽가이드부(102)를 통과하여 같은 구조인 반대편의 수평브래킷(106)을 통과하여 반대편의 가이드롤러(104)까지 연장되어 있다. 따라서, 회전축(112)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한쌍의 가이드롤러(104)는 동시에 회전한다. 가이드롤러(104)와 회전축(112)은 일체로 단일한 부품으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이드롤러(104)의 회전을 지지하기 위하여 중앙홈(114) 상면에는 워셔와 같은 지지부재(110)가 삽입되어 있다. 워셔(110)는 베어링과 같이 가이드롤러(104)의 회전을 수용하는 부품이다.
도 9에 잘 도시한 것과 같이, 지지부재(110)의 상면(110')과 가이드롤러(104)의 가이드면(104') 사이로 이동기판(4)의 경사면(64)이 삽입된다. 이동기판(4)이 구동모터(M)에 의하여 견인 또는 인출될 때 가이드부(100)가 이동기판(4)을 원활하게 안내하도록, 경사면(64)이 상면(110')과 가이드면(104')에 확실히 맞닿아 선 접촉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선접촉은 경사면(64)을 통해 가이드부(100)와의 접촉 면적을 최소화하는 장점이 있다.
이상의 본 개시의 가이드부(100)에 의하면 가이드롤러(104)의 회전으로 이동기판(4)의 이동을 안내하므로, 이동기판(4)의 이동이 원활하다.
상하면에 형성된 제1변환부(10)와 제2변환부(20)의 이동기판(4)의 이동을 동시에 안내하기 위해서 회전축(112)을 매개로 동시 회전하는 상하의 가이드롤러(104) 구조를 채용한 점에 본 개시의 장점이 있다.
또, 가이드롤러(104)와 이동기판(4)의 슬라이딩 면접촉이 이루어지므로, 선행 기술의 압착 방식에 비해 부품의 마모가 적으며, 내구성도 높일 수 있다.
도 10은 본 개시의 위상변환장치(1)의 가이드부(100)의 다른 실시예를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의 가이드부(100)와 다른 점은 수직브래킷(200)을 채용하고 있는 점이며, 가이드롤러(104), 회전축(112), 중앙홈(114) 및 지지부재(110)의 구성은 동일하다.
수직브래킷(200)의 바디(208) 코너에는 4개의 체결홈(202)이 형성되어 있으며 체결홈(202)을 통하여 볼트 또는 핀을 관통시켜 수직브래킷(200)을 고정기판(2)의 측면에 체결한다. 바디(208)는 제1변환부(10)와 제2변환부(20)를 모두 수용하는 높이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따라서 상대적으로 위상 변환 장치(1)의 높이 또는 두께 방향에 대하여 견고한 지지력을 제공한다. 이에 대하여 도 8의 수평브래킷(106)은 위상 변환 장치(1)의 길이 방향에 있어 상대적으로 견고한 지지력을 부여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바디(208)의 양편에서는 지지암(204)이 내부, 즉 고정기판(2)을 향해 연장되며, 지지암(204)의 선단에는 걸림돌기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대응하여, 고정기판(2)의 상면에는 슬롯(206)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걸림돌기는 슬롯(206)에 삽입되고, 바디(208)와 고정기판(2)의 체결력을 보조하여 강화하게 된다.
이상, 본 개시의 가이드부(100)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각 부재의 형상, 위치, 크기 및 개수는 적절히 변경할 수 있는 것이다. 또, 가이드롤러(104)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제1 및 제2변환부를 동시에 이동시키는 어느 구조의 가이드부도 채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 제 1 및 제 2변환부(10,20)를 동시에 이동시키는 것 외에, 어느 하나의 변환부만을 이동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에는 상하 한 쌍의 가이드 롤러(104)의 회전축(112)을 분할하여 가이드롤러(104)의 동작이 서로 연계되지 않도록 하거나 또는 가이드부(100)를 상면 또는 한면 중의 어느 한 면에 설치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이상 기술한 본 개시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다만 예시를 위한 것이고, 본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이하 기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하거나 균등하다고 인정되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2)

  1. 위상변환장치로서, 상기 위상변환장치는
    제1면 및 제2면을 구비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제1면에 설치되며, 회로패턴이 형성된 고정기판과, 상기 고정기판의 회로패턴과 커플링하는 도전성의 스트립이 형성된 이동기판을 포함하는 제1변환부; 및
    상기 하우징의 제2면에 설치되며, 회로패턴이 형성된 고정기판과, 상기 고정기판의 회로패턴과 커플링하는 도전성의 스트립이 형성된 이동기판을 포함하는 제2변환부;를 포함하되,
    상기 위상변환장치는 제1변환부 및 제2변환부 중 하나 이상의 이동기판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제1 변환부 및 제2변환부 중 하나 이상의 고정기판을 수용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바디와, 바디의 양단에서 상하로 기립하는 한 쌍의 측벽을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하우징의 측벽에 형성된 측벽가이드부, 상기 제1 변환부 및 제2변환부 중 하나 이상의 고정기판의 측면에 형성된 오목홈 및 가이드롤러를 포함하는 위상변환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고정기판의 방열을 수용하도록 내열성이 좋은 알루미늄, 붕소, 석영 또는 유리질 석영을 포함하는 합금 또는 세라믹 또는 PPA(Polyphthalamide)를 포함하는 나일론과 같은 플라스틱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제작되는 위상변환장치.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변환부 및 제2변환부에 설치된 가이드롤러는 상기 오목홈 및 상기 측벽가이드부를 통과하여 연장되는 회전축에 의하여 서로 연결되는 위상변환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제1및 제2변환부의 각각의 고정기판에 고정되는 브래킷을 더 포함하며, 회전축은 상기 브래킷의 중앙홈, 상기 오목홈 및 상기 측벽가이드부를 통과하여 연장되는 위상변환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롤러의 회전을 지지하기 위하여 중앙홈 상면에는 지지부재가 삽입되는 위상변환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의 상면과 상기 가이드롤러의 가이드면 사이로 이동기판의 측면에 형성된 경사면이 삽입되며, 상기 경사면은 상기 지지부재의 상면 및 가이드면과 맞닿아 선접촉을 이루어 경사면과 가이드부와의 접촉 면적을 최소화하도록 한 위상변환장치.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은 상기 제1 및 제2변환부의 각각의 고정기판의 상면에 체결부재를 통해 고정되는 수평브래킷 또는 제1 및 제2변환부의 각각의 고정기판의 측면에 체결부재를 통해 고정되며, 상기 제1 및 제2변환부를 수용하는 높이를 가지는 수직브래킷인 위상변환장치.
  11. 제 1항, 제 4항, 제 6항 내지 제10 항 중 어느 한 항의 위상변환장치가 연결된 가이드;
    상기 가이드를 선형 이동시키는 액츄에이터 및
    상기 액츄에이터를 구동하는 구동원을 포함하는 안테나 장치.
  12. 제 1항, 제 4항, 제 6항 내지 제10 항 중 어느 한 항의 위상변환장치를 포함하는 통신장치.
KR1020160013629A 2016-02-03 2016-02-03 위상 변환 장치 KR1017712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3629A KR101771240B1 (ko) 2016-02-03 2016-02-03 위상 변환 장치
JP2018539845A JP6676177B2 (ja) 2016-02-03 2017-02-01 位相変換装置
CN201780009690.9A CN108604730B (zh) 2016-02-03 2017-02-01 相位变换装置
PCT/KR2017/001085 WO2017135680A1 (ko) 2016-02-03 2017-02-01 위상 변환 장치
EP17747725.4A EP3413395B1 (en) 2016-02-03 2017-02-01 Phase shifting device
US16/050,216 US10957957B2 (en) 2016-02-03 2018-07-31 Phase shifter including a guide unit with a guide roller which moves movable boards relative to fixed board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3629A KR101771240B1 (ko) 2016-02-03 2016-02-03 위상 변환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2373A KR20170092373A (ko) 2017-08-11
KR101771240B1 true KR101771240B1 (ko) 2017-09-05

Family

ID=594999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3629A KR101771240B1 (ko) 2016-02-03 2016-02-03 위상 변환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957957B2 (ko)
EP (1) EP3413395B1 (ko)
JP (1) JP6676177B2 (ko)
KR (1) KR101771240B1 (ko)
CN (1) CN108604730B (ko)
WO (1) WO2017135680A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4513B1 (ko) 2021-07-08 2022-09-19 주식회사 기가레인 위상 천이기 및 위상 변환 유닛 및 위상 변환 방법
WO2023282665A1 (ko) * 2021-07-08 2023-01-12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위상 변환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통신장치
WO2023282480A1 (ko) * 2021-07-08 2023-01-12 주식회사 기가레인 위상 천이기 및 위상 변환 유닛 및 위상 변환 방법
KR102512924B1 (ko) 2022-10-13 2023-03-22 주식회사 기가레인 위상 변환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위상 천이기
US11990660B2 (en) 2021-07-08 2024-05-21 Gigalane Co., Ltd. Phase shifter including a plurality of phase transformation units comprised of overlapping circuit patterns which are moved with respect to each other by a driving unit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1222B1 (ko) * 2018-07-11 2023-07-28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위상변환장치
CN110364827B (zh) * 2019-08-01 2020-12-18 中信科移动通信技术有限公司 辐射功分电路板及大规模阵列天线
CN112803163B (zh) * 2020-12-31 2022-05-03 华南理工大学 移相电路、移相器及天线
KR20220101224A (ko) * 2021-01-11 2022-07-19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위상 변환 장치
JP7419283B2 (ja) 2021-03-12 2024-01-22 アンリツ株式会社 可変減衰器、信号解析装置、及び誘電体ブロックの固定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37603A (ja) 2000-02-23 2001-08-31 Mitsubishi Electric Corp 移相器
JP2009147442A (ja) * 2007-12-11 2009-07-02 Hitachi Cable Ltd 移相器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848A (ja) * 1983-05-25 1985-01-08 カボット・テクニカル・セラミックス・インコ−ポレ−テッド Ic装置パツケ−ジ用基板と製造法
JPH11205002A (ja) * 1998-01-14 1999-07-30 Mitsubishi Electric Corp 移相器
DE19812582A1 (de) * 1998-03-21 1999-09-23 Bosch Gmbh Robert Integriertes Wellenleiterbauelement
WO2001003233A1 (en) * 1999-05-20 2001-01-11 Andrew Corporation Variable phase shifter
JP3310260B2 (ja) * 2000-07-19 2002-08-05 日本電業工作株式会社 移相器
US6831602B2 (en) * 2001-05-23 2004-12-14 Etenna Corporation Low cost trombone line beamformer
GB0125345D0 (en) * 2001-10-22 2001-12-12 Qinetiq Ltd Antenna System
GB0215087D0 (en) 2002-06-29 2002-08-07 Alan Dick & Company Ltd A phase shifting device
GB2426635A (en) * 2005-05-27 2006-11-29 Alan Dick & Company Ltd Phase shifting arrangement
CN201387927Y (zh) * 2009-01-16 2010-01-20 摩比天线技术(深圳)有限公司 一种连续可调的移相器
KR101567882B1 (ko) * 2009-05-11 2015-11-12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수직 빔틸트 제어 안테나를 위한 다중 이상기
KR101080893B1 (ko) * 2009-06-25 2011-11-09 주식회사 에이스테크놀로지 엔포트 피딩 시스템 및 이에 포함된 페이즈 쉬프터, 지연 소자
CN203910943U (zh) * 2014-01-28 2014-10-29 京信通信技术(广州)有限公司 腔体式微波器件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37603A (ja) 2000-02-23 2001-08-31 Mitsubishi Electric Corp 移相器
JP2009147442A (ja) * 2007-12-11 2009-07-02 Hitachi Cable Ltd 移相器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4513B1 (ko) 2021-07-08 2022-09-19 주식회사 기가레인 위상 천이기 및 위상 변환 유닛 및 위상 변환 방법
KR102485773B1 (ko) 2021-07-08 2023-01-06 주식회사 기가레인 위상 천이기 및 위상 변환 유닛 및 위상 변환 방법
KR102485595B1 (ko) 2021-07-08 2023-01-06 주식회사 기가레인 위상 천이기 및 위상 변환 유닛 및 위상 변환 방법
KR102485771B1 (ko) 2021-07-08 2023-01-09 주식회사 기가레인 위상 천이기 및 위상 변환 유닛 및 위상 변환 방법
WO2023282665A1 (ko) * 2021-07-08 2023-01-12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위상 변환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통신장치
WO2023282480A1 (ko) * 2021-07-08 2023-01-12 주식회사 기가레인 위상 천이기 및 위상 변환 유닛 및 위상 변환 방법
US11990660B2 (en) 2021-07-08 2024-05-21 Gigalane Co., Ltd. Phase shifter including a plurality of phase transformation units comprised of overlapping circuit patterns which are moved with respect to each other by a driving unit
KR102512924B1 (ko) 2022-10-13 2023-03-22 주식회사 기가레인 위상 변환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위상 천이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413395A4 (en) 2019-10-09
JP2019503630A (ja) 2019-02-07
JP6676177B2 (ja) 2020-04-08
US20180337438A1 (en) 2018-11-22
CN108604730A (zh) 2018-09-28
KR20170092373A (ko) 2017-08-11
WO2017135680A1 (ko) 2017-08-10
EP3413395B1 (en) 2022-03-23
CN108604730B (zh) 2021-04-13
EP3413395A1 (en) 2018-12-12
US10957957B2 (en) 2021-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71240B1 (ko) 위상 변환 장치
US11616296B2 (en) Phase shifter assembly having rack-driven wiper supports therein
US9614281B2 (en) Phase array antenna having a movable phase shifting element and a dielectric element for changing the relative dielectric constant
CN102460824A (zh) 用于垂直波束倾斜受控的天线的多路移相器
JP7159436B2 (ja) 位相変換装置
CN111180892B (zh) 天线及移相器
CN113972493A (zh) 移相器、电调系统和基站天线
US11870157B2 (en) Phase shifter and remote electrical tilt antenna
CN110838623B (zh) 一种电调天线
CN113270721A (zh) 一种移相器、天线单元及天线
WO2021118738A1 (en) Remote electronic tilt actuators for controlling multiple phase shifters and base station antennas with remote electronic tilt actuators
JP2023174564A (ja) 多周波マルチビーム独立電気チルトアンテナ
CN113594690B (zh) 一种液晶相控阵天线
GB2426635A (en) Phase shifting arrangement
CN113871822B (zh) 一种输出模式可调的移相器以及天线
WO2021120736A1 (zh) 天线传动装置及天线
CN212810559U (zh) 电调系统和基站天线
KR20040005104A (ko) 빔틸트 가변 안테나
CN216720258U (zh) 相位变换装置
CN214754172U (zh) 一种移相器、天线单元及天线
US20230268646A1 (en) Phase shifter assembly for base station antenna
WO2018231325A1 (en) Base station antennas including serial phase shifters
GB2439761A (en) Phase shifting unit using mutually movable sections to vary path length
CN109994804B (zh) 移相器及天线
CN117497977A (zh) 移相器及天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