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5595B1 - 위상 천이기 및 위상 변환 유닛 및 위상 변환 방법 - Google Patents

위상 천이기 및 위상 변환 유닛 및 위상 변환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5595B1
KR102485595B1 KR1020220035662A KR20220035662A KR102485595B1 KR 102485595 B1 KR102485595 B1 KR 102485595B1 KR 1020220035662 A KR1020220035662 A KR 1020220035662A KR 20220035662 A KR20220035662 A KR 20220035662A KR 102485595 B1 KR102485595 B1 KR 1024855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board
moving
circuit
housing
phase conver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356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준
김대호
박은국
정희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기가레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기가레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기가레인
Priority to EP22837832.9A priority Critical patent/EP4304011A1/en
Priority to PCT/KR2022/008145 priority patent/WO2023282478A1/ko
Priority to JP2023560639A priority patent/JP2024511864A/ja
Priority to US18/554,215 priority patent/US20240186669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55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55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3/00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 H01Q3/26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varying the relative phase or relative amplitude of energisation between two or more active radiating elements; varying the distribution of energy across a radiating aperture
    • H01Q3/2682Time delay steered arrays
    • H01Q3/2694Time delay steered arrays using also variable phase-shift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36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 H01Q1/38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formed by a conductive layer on an insulating suppor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Waveguide Switches, Polarizers, And Phase Shifters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 Shaping Of Tube Ends By Bending Or Straightening (AREA)
  • Networks Using Active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위상 변환 유닛에 관한 것으로서, 복수의 제1 회로 패턴을 갖는 제1 회로 기판, 상기 복수의 제1 회로 패턴 중 어느 하나와 일부 영역이 중첩되어 연결되는 제2 회로 패턴을 갖는 복수의 제2 회로 기판, 상기 복수의 제2 회로 기판을 상기 제1 회로 기판 측으로 가압하고, 상기 제2 회로 기판을 제1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제1 회로 패턴 및 제2 회로 패턴의 중첩된 길이를 변경하여, 변경된 길이를 통해 위상을 변환하기 위한 복수의 이동 부재, 및 상기 제1 회로 기판 상에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제2 회로 기판 및 상기 복수의 이동 부재를 수용하는 하우징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위상 천이기 및 위상 변환 유닛 및 위상 변환 방법{PHASE SHIFTER AND PHASE TRANSFORMATION UNIT AND PHASE TRANSFORMATION METHOD}
본 발명은 위상 천이기 및 위상 변환 유닛 및 위상 변환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새롭게 확장된 5G 서비스가 도입됨에 따라 MIMO(Multiple-Input Multiple-Output) 안테나 기술이 부각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5G 서비스에서 MIMO 안테나 기술에는 빔포밍(beamforming) 방식이 적용되고 있다. 이러한 빔포밍 방식은 위상 천이기(phase shift)가 안테나에서 방사되는 빔의 조향 각도를 변경한다. 또한, 위상 천이기는 복수의 안테나마다 연결되어 각각의 안테나로 전송되는 신호의 위상을 천이(shift), 즉 위상을 변환하는 복수의 위상 변환 유닛을 포함한다.
한편, 5G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지국 장비의 안테나는 64개로 구성되는데, 위상 천이기의 위상 변환 유닛의 수도 이에 대응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2개의 안테나가 1개의 송수신기에 연결되는 하이브리드 빔포밍 방식(2 sub-array 방식)인 경우 위상 변환 유닛은 32개일 수 있다.
이처럼, 위상 변환 유닛의 수가 많아지면, 복수의 위상 변환 유닛을 통해 변환되는 각각의 위상이 동기화되지 않는 문제가 있다.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보다 용이하게 하기 위해 작성되었다.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에 기재된 사항들이 선행기술로 존재한다고 인정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KR10-1586424B1 (2016.01.12.) US7253782B2 (2007.08.07.) KR10-1771240B1 (2017.09.05.) KR10-1567882B1 (2015.11.04.)
본 발명은 복수의 위상 변환 유닛에 의해 변환되는 각각의 위상을 동기화할 수 있는 위상 천이기 및 위상 변환 유닛 및 위상 변환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상 변환 유닛은, 복수의 제1 회로 패턴을 갖는 제1 회로 기판; 상기 복수의 제1 회로 패턴 중 어느 하나와 일부 영역이 중첩되어 연결되는 제2 회로 패턴을 갖는 복수의 제2 회로 기판; 상기 복수의 제2 회로 기판을 상기 제1 회로 기판 측으로 가압하고, 상기 제2 회로 기판을 제1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제1 회로 패턴 및 제2 회로 패턴의 중첩된 길이를 변경하여, 변경된 길이를 통해 위상을 변환하기 위한 복수의 이동 부재; 및 상기 제1 회로 기판 상에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제2 회로 기판 및 상기 복수의 이동 부재를 수용하는 하우징;을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복수의 이동 부재가 각각 수용되는 복수의 수용부가 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수용부 사이에는 격벽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은, 상기 격벽을 관통하는 홀에 삽입되는 결합부재를 통해 상기 제1 회로 기판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이동 부재 각각은, 상기 제2 회로 기판이 배치되는 제1 이동 부분; 및 상기 제1 이동 부분에서 연장되는 제2 이동 부분;을 포함하고, 탄성 구조로 형성되며, 상기 제2 회로 기판을 상기 제1 회로 기판이 위치한 방향으로 가압함으로써 상기 제2 회로 패턴이 상기 제1 회로 패턴과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1 이동 부분은, 상기 하우징에 수용되어 측면이 상기 하우징의 내측벽에 접촉되며, 외측면이 인입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슬릿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하우징의 내측벽에 대해 탄성력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슬릿은 제1 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제1 이동 부분의 측면에는 상기 슬릿 길이의 전부 또는 일부에 대응되는 길이를 가지며, 상기 하우징의 내측벽에 접촉되는 접촉 부분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이동 부재 각각은, 상기 제1 이동 부분의 상면에 돌출된 지지 부분;을 더 포함하고, 상기 지지 부분은 상기 하우징에 지지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이동 부재 각각은, 상기 제2 이동 부분에 형성되며, 갈퀴 형상으로 돌출된 하나 이상의 클램핑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클램핑 부재는 상기 제2 회로 기판에 걸림 결합됨으로써 상기 제2 회로 기판을 상기 이동 부재에 장착시킬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이동 부재 각각은, 상기 제2 회로 기판과 상기 제1 이동 부분의 사이에 배치되는 탄성 부재; 를 더 포함하고, 상기 탄성 부재에는 단부가 양 갈래로 갈라진 형상을 가지는 복수의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이동 부재 각각은, 상기 제2 회로 기판과 상기 제1 이동 부분의 사이에 배치되는 탄성 부재;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이동 부분의 하면에는 복수의 가압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이동 부재 각각은, 복수 쌍의 외팔보 형상을 구비하는 탄성 부재;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외팔보 형상은 단부가 상기 하우징 또는 상기 제2 회로 기판에 지지될 수 있다.
상기 탄성 부재는, 금속 재질로써 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 이동 부분에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상 변환 유닛은, 제1 회로 패턴을 갖는 제1 회로 기판; 상기 제1 회로 패턴과 일부 영역이 중첩되어 연결되는 제2 회로 패턴을 갖는 제2 회로 기판; 상기 제2 회로 기판을 상기 제1 회로 기판 측으로 가압하고, 상기 제2 회로 기판을 제1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제1 회로 패턴 및 제2 회로 패턴의 중첩된 길이를 변경하여, 변경된 길이를 통해 위상을 변환하기 위한 이동부재; 및 상기 제1 회로 기판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1 회로 패턴 및 상기 제2 회로 패턴을 수용하는 하우징;을 포함하되, 상기 이동부재는, 상기 하우징에 수용되어 측면이 상기 하우징의 내측벽에 접촉되며, 외측면이 인입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슬릿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하우징의 내측벽에 대해 탄성력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상 변환 유닛은, 제1 회로 패턴을 갖는 제1 회로 기판; 상기 제1 회로 패턴과 일부 영역이 중첩되어 연결되는 제2 회로 패턴을 갖는 제2 회로 기판; 상기 제2 회로 기판을 상기 제1 회로 기판 측으로 가압하고, 상기 제2 회로 기판을 제1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제1 회로 패턴 및 제2 회로 패턴의 중첩된 길이를 변경하여, 변경된 길이를 통해 위상을 변환하기 위한 이동부재; 및 상기 제1 회로 기판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1 회로 패턴 및 상기 제2 회로 패턴을 수용하는 하우징;을 포함하되, 상기 이동 부재는, 상기 제2 회로 기판이 배치되는 제1 이동 부분; 상기 제1 이동 부분에서 연장되는 제2 이동 부분; 및 상기 제2 이동 부분에 형성되며, 갈퀴 형상으로 돌출된 하나 이상의 클램핑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클램핑 부재는 상기 제2 회로 기판에 걸림 결합됨으로써 상기 제2 회로 기판을 상기 이동 부재에 장착시킬 수 있다.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은 위상 천이기가 지지 프레임 상에서 복수의 위상 변환 유닛을 포함하고, 이와 연결된 동작부와 구동부에 의해 동시에 동작함으로써, 복수의 위상을 모두 동일하게 변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하면서도 유익한 장점과 효과는 상술한 내용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보다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상 천이기의 상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상 변환 유닛을 구성 요소 별로 순차적으로 분해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부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상 변환 유닛 내 회로 패턴의 중첩된 길이의 변경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작부의 가이드바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A 영역의 단면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상 변환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탄성 부재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1에 도시된 B 영역을 확대한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상 천이기의 동작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위상 천이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위상 천이기에 설치되는 위상 변환 유닛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위상 천이기에 설치되는 위상 변환 유닛의 하우징 내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위상 천이기에 설치되는 위상 변환 유닛 내부에 수용되는 이동 부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 18, 21, 24, 27, 30, 33, 3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위상 천이기에 설치되는 다양한 위상 변환 유닛을 구성 요소 별로 순차적으로 분해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7, 19, 22, 25, 28, 31, 34, 3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위상 천이기에 설치되는 다양한 위상 변환 유닛의 이동부재를 나타낸 저면사시도이다.
도 20은 도 18을 제2방향으로 자른 단면도이다.
도 23은 도 21을 제1방향으로 자른 단면도이다.
도 26은 도 24를 제1방향으로 자른 단면도이다.
도 29는 도 27을 제1방향으로 자른 단면도이다.
도 32는 도 30의 위상변환 유닛에서 이동부재와 제2 회로 기판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저면사시도이다.
도 35는 도 33을 제1방향으로 자른 단면도이다.
도 38은 도 36을 제1방향으로 자른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참고로, 본 발명에서 정의하는 위상 변환 유닛은 일반적으로 위상 천이기인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상 천이기의 상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위상 천이기(10)는 안테나에서 방사되는 빔의 조향 각도를 변경할 수 있는 장치로서, 복수의 위상 변환 유닛(200)을 통해 안테나로 전송되는 신호의 위상을 천이(shift), 즉 위상을 변환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위상 천이기(10)는 지지 프레임(100), 위상 변환 유닛(200), 동작부(300) 및 구동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 프레임(100) 상에는 복수의 위상 변환 유닛(200)을 배치시킬 수 있다. 지지 프레임(100)은 평면형 프레임으로 구성되며, 복수의 위상 변환 유닛(200)을 지지할 수 있는 단단한 소재, 예를 들면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지지 프레임(100)은 복수의 위상 변환 유닛(200)을 어레이 형태로 배치시키기 위한 사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지지 프레임(100)의 소재와 형상은 상술한 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복수의 위상 변환 유닛(200)은 지지 프레임(100) 상에 복수의 어레이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지지 프레임(100) 상에서 복수의 위상 변환 유닛(200)이 제2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된 어레이 형태로 배치되고, 이러한 위상 변환 유닛(200)의 어레이는 제1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된 복수의 어레이로 배치될 수 있다.
도 1에서 복수의 위상 변환 유닛(200)은 지지 프레임(100)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하, 즉 제2방향을 기준으로 양 측에 한 쌍의 어레이(AR1, AR2)가 배치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위상 변환 유닛(200)은 지지 프레임(100) 상에 셋 이상의 어레이를 이루며 배치될 수도 있다.
동작부(300)는 복수의 위상 변환 유닛(200)과 연결되어, 복수의 위상 변환 유닛(200)을 통해 변환되는 각각의 위상을 동기화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동작부(300)는 복수의 위상 변환 유닛(200) 내부에 연결된 전송선로, 즉, 안테나와 연결된 신호선 전체 길이를 변경시킴으로써, 각각의 위상을 동기화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구동부(400)는 동작부(300)를 구동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구동부(400)는 동작부(300)와의 구조적인 연동을 통해서, 동작부(300)를 구동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상 변환 유닛을 구성 요소 별로 순차적으로 분해한 분해 사시도이다. 참고로, 도 2는 우측으로 갈수록 더 많은 구성 요소가 분해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위상 변환 유닛(200) 각각은 제1 회로 기판(210), 제2 회로 기판(220), 이동 부재(230) 및 하우징(240)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1 회로 기판(210)과 제2 회로 기판(220)은 인쇄회로기판(printed circuit board, PCB)으로, 제1 회로 기판(210)은 제1 회로 패턴(211)을 가질 수 있으며, 제2 회로 기판(220)은 제2 회로 패턴(221)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제1 회로 패턴(211) 및 제2 회로 패턴(221)은 안테나로 신호를 전송하는 전송 선로의 일부로서 회로 패턴을 구성할 수 있다.
제2 회로 기판(220)은 제2 회로 패턴(221)이 제1 회로 패턴(211)과 중첩 연결될 수 있도록, 제2 회로 패턴(221)을 가지는 면이 제1 회로 기판(210)의 제1 회로 패턴(211)을 가지는 면과 대향 배치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제2 회로 패턴(221)은 제1 회로 패턴(211)과 일부 영역이 중첩 연결될 수 있다.
제2 회로 패턴(221)은 동작부(300)의 구동에 따라, 제1 회로 패턴(211)과의 중첩된 길이가 변경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회로 패턴(221)을 가진 제2 회로 기판(220)은 이동 부재(230)의 일 면에 배치될 수 있으며, 동작부(300)와 연결된 이동 부재(230)가 제1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제1 회로 패턴(211)과 제2 회로 패턴(221)의 중첩된 길이, 즉 회로 패턴의 길이가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회로 기판(220)은 이동 부재(230)와 함께 제1 방향으로 이동하는 반면에 제1 회로 기판(210)은 정지되어 있으므로, 제2 회로 기판(220)이 제1 방향을 따라 이동한 만큼 회로 패턴의 길이가 변경될 수 있다.
하우징(240)은 제1 회로 기판(210) 상에 배치되고, 제1 회로 패턴(211) 및 제2 회로 패턴(221)을 수용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이동 부재(230)와 하우징(240)은 제1 회로 패턴(211)과 제2 회로 패턴(221)을 통해 전송되는 신호를 왜곡시키지 않도록 비전도성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2에서, 제1 회로 패턴(211)이 제1 회로 기판(210)에 형성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제1 회로 패턴(211)은 하우징(240)에 형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제1 회로 기판(210)을 대신하여 하우징(240)에 하부면이 형성되고, 하우징(240)의 하부면, 즉 이동 부재(230)의 일 면과 맞닿는 면에 제1 회로 패턴(211)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회로 패턴(221)이 제2 회로 기판(220)에 형성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제2 회로 패턴(221)은 이동 부재(230)에 형성될 수도 있다. 즉, 위상 변환 유닛(200)은 제1 회로 기판(210) 및 제2 회로 기판(220) 중 하나 이상을 생략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위상 변환 유닛(200)의 제작 공수를 줄일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동작부(300)는 복수의 위상 변환 유닛(200)과 연결되어, 복수의 위상을 동기화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동작부(300)는 어레이 형태로 배치된 복수의 위상 변환 유닛(200) 각각의 일측을 연결하는 복수의 동작바(310)와 복수의 동작바(310)를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가이드바(320)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복수의 동작바(310)는 복수의 위상 변환 유닛(200)의 어레이 개수에 맞게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동작바(310)는 한 쌍의 어레이(AR1, AR2)가 배치됨에 따라, 한 쌍이 배치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가이드바(320)에는 복수의 동작바(310)가 연결되어, 복수의 동작바(310)가 동시에 제1 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가이드바(320)는 복수의 동작바(310)의 양측을 각각 연결할 수 있는 한 쌍의 가이드바(320)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한 쌍의 가이드바(320)가 동작바(310)의 양측을 각각 연결하면 동작바(310)의 일측에 연결된 가이드바(320)의 이동이 뒤틀리더라도 타측에 연결된 가이드바(320)에 의해 복수의 위상 변환 유닛(200)의 이동이 보정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도 1에서 한 쌍의 동작바(310)의 양측에 한 쌍의 가이드바(320)가 각각 연결된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필요에 따라, 한 쌍의 가이드바(320)에는 셋 이상의 동작바(310)가 연결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1 동작바(310) 양측에 연결된 한 쌍의 제1 가이드 바(320) 및 제2 가이드 바(320)는 제2 동작바(310) 및 제3 동작바(310)의 양측에 각각 연결되어 제1 가이드 바(320) 및 제2 가이드 바(320)를 통해 제1 동작바(310), 제2 동작바(310) 및 제3 동작바(310)가 동시에 제1 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하나 이상의 가이드바(320)를 통해 복수의 동작바(310)가 동시에 제1 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가이드바(320)를 통해 복수의 동작바(310)가 제1 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동안, 어느 일측이 뒤틀리지 않고 안정적으로 동시에 이동할 수 있다.
아울러, 복수의 동작바(310)들이 동시에 이동함에 따라, 동작부(300)는 복수의 위상을 동일하게 변환, 즉 동기화할 수 있다.구동부(400)는 지지 프레임(100) 상에 배치되어, 동작부(300)를 구동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구동부(400)는 복수의 동작바(310)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바(310)와 연결됨에 따라, 복수의 동작바(310)가 제1 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는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동부(400)는 액츄에이터일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상 천이기(10)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본 발명에 따르면, 위상 천이기(10)가 지지 프레임(100) 상에서 복수의 위상 변환 유닛(200)을 포함하고, 이와 연결된 동작부(300)와 구동부(400)에 의해 동시에 동작함으로써, 복수의 위상을 모두 동일하게 동기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복수의 위상 변환 유닛(200)을 동작시키기 위한, 구동부(400)의 구조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부의 사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부(400)는 모터(410) 및 복수의 기어(420)를 포함할 수 있다. 모터(410)는 회전축을 가질 수 있으며, 복수의 기어(420)는 모터(410)의 회전축에 연동되어 회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기어(420) 중 최초로 회전하는 기어는 모터(410)의 회전축과 연동되어 회전하고, 최초로 회전하는 기어와 연동된 기어가 회전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기어(420)의 회전은 복수의 동작바(310)의 이동과 연동될 수 있다. 그에 따라, 복수의 기어(420)는 모터(410)로부터 전달되는 구동력을 통해 복수의 동작바(310) 및 이와 연결된 복수의 위상 변환 유닛(200)의 이동 부재(230)를 동일하게 제1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기어(420) 중 최종으로 회전하는 기어와 복수의 동작바(310) 중 어느 하나가 볼 스크류(421)로 연결되어, 기어에서의 회전 운동이 복수의 동작바(310)의 직선 운동으로 변환될 수 있다.
한편, 기어는 복수 개로 형성되므로 모터(410)의 회전 속도가 기어비에 따라 감속될 수 있으며, 복수의 동작바(310)의 이동 속도는 필요이상으로 빠르지 않게 감속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상 변환 유닛 내 회로 패턴의 중첩된 길이의 변경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위상 변환 유닛(200) 내 제1 회로 패턴(211)과 제2 회로 패턴(221)은 빗금으로 표시된 영역에서 중첩될 수 있다. 이러한 중첩된 길이가 증가할수록 회로 패턴의 길이는 짧아지고, 중첩된 길이가 감소할수록 회로 패턴의 길이는 길어질 수 있다.
모터(410)와 복수의 기어(420)가 구동함에 따라, 복수의 동작바(310)에 의해 제1 회로 패턴(211)과 제2 회로 패턴(221)의 중첩된 길이가 변경될 수 있으며, 회로 패턴의 길이 차이 값(Y1)을 통해 위상이 변환될 수 있다.
즉, 복수의 동작바(310)의 구동 범위는 제1 회로 패턴(211) 및 제2 회로 패턴(221)의 중첩된 길이와 대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동작바(310)의 구동 범위는 0mm 내지 14mm일 수 있으며, 회로 패턴의 중첩된 길이는 0mm 내지 14mm일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부(400)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구동부(400)에서 형성된 구동력에 의해 동작하는 동작부(300)의 구조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작부의 가이드바의 사시도이다. 참고로, 도 5의 좌측 도면은 가이드바를 상측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도 5의 우측 도면은 가이드바를 하측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바(320)는 구동부(400)에 의해 제1 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으며, 제1 방향으로의 원활한 이동을 위해 일 영역에 제1 가이드 롤러(321)와 제2 가이드 롤러(32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가이드바(320)는 각각 2개의 제1 가이드 롤러(321)와 제2 가이드 롤러(323)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가이드 롤러(321)와 제2 가이드 롤러(323)의 개수는, 필요에 따라 각각 1개 또는 3개 이상을 포함할 수도 있다.
한편, 가이드바(320)는 제1 가이드 롤러(321)와 제2 가이드 롤러(323)와의 결합 구조에 의해, 제2 방향 및 제3 방향으로의 이동이 제약될 수 있으며, 제1 방향으로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A 영역의 단면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바(320)는 위상 천이기(10)의 정면(제1 방향 기준)에서 바라본 단면이 절곡된 형상을 이룰 수 있으며, 절곡된 부분을 기준으로 가이드바(320)는 제1 가이드 부분(320a), 제2 가이드 부분(320b) 및 제3 가이드 부분(320c)으로 구분될 수 있다.
제1 가이드 부분(320a)은 지지 프레임(100)과 대향 배치될 수 있으며, 제2 가이드 부분(320b)은 제1 가이드 부분(320a)에서 절곡되어 지지 프레임(100)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3 가이드 부분(320c)은 제2 가이드 부분(320b)에서 절곡되어 제1 가이드 부분(320a)과 평행하게 연장될 수 있다.
제1 가이드 롤러(321)는 제1 가이드 부분(320a)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가이드 롤러(321)는 하면이 제1 가이드 부분(320a)과 접촉하고, 측면이 제2 가이드 부분(320b)의 일 측면과 접촉할 수 있다.
제2 가이드 롤러(323)는 제3 가이드 부분(320c)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가이드 롤러(323)는 상면이 제3 가이드 부분(320c)과 접촉하고, 측면이 제2 가이드 부분(320b)의 타 측면과 접촉할 수 있다.
제1 가이드 롤러(321) 및 제2 가이드 롤러(323)는 지지 프레임(100)의 평면 상에서 가이드바(320)의 제1 방향과 수직한 제2 방향의 이동을 제한시키고, 가이드바(320)의 동일 평면 상의 제1 방향 및 제2 방향과 수직한 제3 방향의 이동을 제한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가이드 롤러(321)에 의해 제2 가이드 부분(320b)이 제2 방향 일측(제2 가이드 롤러(323)가 배치된 우측)으로의 이동이 제한되고, 제2 가이드 롤러(321)에 의해 제2 가이드 부분(320b)이 제2 방향 타측(제1 가이드 롤러(321)가 배치된 좌측)으로의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또한, 제1 가이드 롤러(321)에 의해 제1 가이드 부분(320a)이 제3 방향 일측(제1 가이드 롤러(321)가 배치된 상측)으로의 이동이 제한되고, 제2 가이드 롤러(323)에 의해 제3 가이드 부분(320c)이 제3 방향 타측(제2 가이드 롤러(323)가 배치된 하측)으로의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가이드바(320)의 일 측에 안착된 제1 가이드 롤러(321) 및 타 측에 안착된 제2 가이드 롤러(323)를 통해 가이드바(320)의 제2 방향 움직임 및 제3 방향 움직임을 제한하되, 제1 방향으로는 원활하게 움직일 수 있다.
아울러, 제1 가이드 롤러(321)에는 지지 프레임(100)의 평면 상에 위치한 회전축이 삽입되고, 제1 가이드 롤러(321)는 고정 부재(101)를 통해 회전축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제2 가이드 롤러(323)에는 지지 프레임(100)의 평면 상에 위치한 회전축이 삽입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으나, 제2 가이드 롤러(323)도 제1 가이드 롤러(321)와 동일하게 별도의 고정 부재(미도시)를 통해 회전축에 고정될 수 있다.
제1 가이드 롤러(321) 및 제2 가이드 롤러(323)는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함에 따라, 제2 방향 및 제3 방향에서 서로 대응되게 가이드바(320)의 움직임을 제한함으로써, 가이드바(320)의 제2 방향 및 제3 방향 움직임을 보다 원할하게 제한할 수 있다.
이 외에도, 제1 가이드 롤러(321) 및 제2 가이드 롤러(323)는 마찰에 의한 손상이 최소화될 수 있는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1 가이드 롤러(321) 및 제2 가이드 롤러(323)는 내열성 플라스틱과 같이 마모에 강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PPS(polyphenylene sulfide), LCP(liquid crystal polymer) 및 PPTE(Polytetrafluoroethylene)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가이드 롤러(321) 및 제2 가이드 롤러(323)가 마모에 강한 소재로 형성됨으로써, 가이드바(310)가 반복적으로 이동하는 동안 롤러의 마모로 인해 가이드바(320)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성능에 저하가 생기지 않고, 위상 천이기(10)의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작부(300)의 구조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동작부(300)의 구동에 따라 제1 회로 패턴(211) 및 제2 회로 패턴(221)의 중첩된 길이를 변경하는 위상 변환 유닛(200)의 구조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상 변환 유닛의 사시도이다. 참고로, 도 7의 상측 도면은 하우징을 포함한 도면이고 도 7의 하측 도면은 하우징을 제외한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위상 변환 유닛(200) 각각은 제1 회로 패턴(211) 및 제2 회로 패턴(221)의 중첩된 길이를 변경하기 위한 이동 부재(2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7의 (b)를 참조하면, 이동 부재(230)는 위상 천이기(10)의 측면(제2 방향)에서 바라본 단면이 절곡된 형상을 이룰 수 있으며, 절곡된 형상을 기준으로 구획된 제1 이동 부분(231) 및 제2 이동 부분(23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이동 부분(231)에는 제2 회로 기판(220)이 배치될 수 있으며, 제2 이동 부분(233)은 제1 이동 부분(231)에서 연장되며, 동작부(300)와 고정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이동 부분(233)의 돌출 부분은 동작부(300)의 홀에 삽입되어 고정 결합될 수 있다. 이때, 돌출 부분의 일단은 동작부(300)의 홀에 삽입된 후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걸림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동 부재(230)는 제2 회로 기판(220)과 함께 동작부(300)에 의해 제1 방향으로 이동되어, 제1 회로 패턴(211) 및 제2 회로 패턴(221)의 중첩된 길이를 변경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이동 부재(230)에 배치된 제2 회로 기판(220)은 제3 방향을 기준으로 제1 회로 기판(210)과 미세 간격 이격된 상태일 수 있으며, 이동 부재(230)의 탄성력을 통해 제1 회로 패턴(211)에 제2 회로 패턴(221)이 밀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동 부재(230)는 제2 회로 패턴(221)이 제1 회로 패턴(211)과 밀착 가능하도록, 제1 회로 기판(210)이 위치한 방향으로 제2 회로 기판(220)을 탄성력을 통해 가압하는 탄성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탄성 구조는 형상 또는 소재가 탄성력을 가지는 구조일 수 있다.
먼저, 이동 부재(230)의 형상이 탄성력을 가지는 구조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이동 부분(231)이 자유단으로 이루어진 외팔보 형상(CT)을 구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동 부재(230)가 제1 방향으로 이동하는 동안, 제1 이동 부분(231)에 구비된 외팔보 형상(CT)의 자유단은 하우징(240)의 내측면에 접촉하여 탄성력을 얻을 수 있다. 이러한 탄성력을 얻은 제1 이동 부분(231)은 제2 회로 기판(220)을 가압하고, 가압된 제2 회로 기판(220)의 제2 회로 패턴(221)은 제1 회로 패턴(211)에 밀착될 수 있다. 이때, 제1 이동 부분(231)은 제1 회로 패턴(211)과 제2 회로 패턴(221)의 밀착은 유지하되, 필요이상으로 가압하지는 않을 정도의 탄성력을 가질 수 있다.
제1 이동 부분(231)이 외팔보 형상(CT)을 용이하게 구비할 수 있도록 이동 부재(230)는 플라스틱 계열의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도 7에서 제1 이동 부분(231)에 구비된 외팔보 형상(CT)의 자유단은 하우징(240)의 내측면에 접촉하여 탄성력을 얻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1 이동 부분(231)에 구비된 외팔보 형상(CT)의 자유단은 제2 회로 기판(220)에 접촉하여 탄성력을 얻을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이동 부재(230)의 형상이 탄성력을 가진 구조로 형성됨으로써, 제1 회로 기판(210)과 제2 회로 기판(220)의 밀착은 유지되되, 필요이상으로 가압하지 않아서 회로 패턴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이동 부재(230)의 소재가 탄성력을 가지는 구조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탄성 부재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부재(230)는 탄성력을 제공하기 위한 탄성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탄성 부재(235)는 제2 회로 기판(220)과 제1 이동 부분(231)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제2 회로 기판(220)을 제1 회로 기판(210)이 위치한 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탄성 부재(235)는 고무, 실리콘 등과 같이 탄성 소재일 수 있다.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탄성 부재(235)의 탄성력을 낮추어 제2 회로 기판(220)의 이동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탄성 부재(235)에는 복수의 관통하는 홀이 형성될 수 있다.
도 8 및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 부재(235)는 돌기(23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돌기(237)는 제1 이동 부분(231) 또는 제2 회로 기판(220)과 접촉하는 탄성 부재(235)의 양면 중 적어도 일 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돌기(237)는 제1 이동 부분(231)과 접촉하는 탄성 부재(235)의 일 면에 배치되거나, 제1 이동 부분(231) 및 제2 회로기판(220)과 접촉하도록 탄성 부재(235)의 양면에 배치될 수도 있다.
탄성 부재(235)에 돌기(237)가 배치되면, 탄성 부재(235)의 면을 통해 제2 회로기판(200)을 전체적으로 가압하는 대신에, 돌기(237)를 통해 가압력이 부분적으로 집중되어 가압하게 되므로 가압이 보다 용이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돌기(237)의 내측으로는 제1 방향을 따라 소정의 빈 공간(GAP)이 형성되어, 가압을 용이하게 하되, 제2 회로 기판(220)으로 지나친 가압력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기(237)는 내부 영역에 소정의 빈 공간(GAP)을 가질 수 있다.
탄성 부재(235)가 탄성 소재인 경우, 제1 회로 기판(210)으로 향해지는 제2 회로 기판(220)의 가압력이 필요이상으로 높아지면 제2 회로 기판(220)의 이동을 저해할 수 있다. 그에 따라, 돌기(237)를 탄성 부재(235)에 형성하고 나가가 돌기(237)의 내부 영역을 소정의 빈 공간(GAP)으로 형성함으로써, 가압력을 낮출 수 있다. 이때, 돌기(237)를 통해 제2 회로 기판(220)이 제1 회로 기판(210)을 가압함에 따라, 돌기(237)의 빈 공간(GAP)이 압축될 수 있다. 즉, 빈 공간(GAP)은 제2 회로 기판(220)과 이동 부재(230) 사이에서 눌려져 뭉개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돌기(237)의 내부 영역에 형성된 소정의 빈 공간(GAP)이 가압력을 낮추어 밀착은 유지하되 제2 회로 기판(220)의 이동을 향상시킬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상 변환 유닛(200)과 내부 구성 요소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상술한, 위상 변환 유닛(200)의 형상과 소재는 상술한 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복수의 위상 변환 유닛(200)을 배치한 위상 천이기(10)의 내구성을 향상하기 위한 구조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0은 도 1에 도시된 B 영역을 확대한 사시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상 천이기(10)는 고정부(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500)는 지지 프레임(100)에 양 측이 고정되는 아치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지지 프레임(100)에 고정된 양측 사이에 개구부를 형성할 수 있다
복수의 동작바(310) 중 하나 이상은 지지 프레임(100)과 고정부(500) 사이에 형성된 개구부를 관통할 수 있으며, 해당 동작바(310)가 제1 방향 및 제2 방향과 수직한 제3 방향 움직임을 제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고정부(500)를 통해 동작바(310)의 제3 방향 움직임을 제한함으로써, 동작바(310)가 제1 방향으로 이동하는 동안, 동작바(310)가 제3 방향으로 들뜨지 않고 안정적인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도 1에서 고정부(500)가 복수의 동작바(310) 각각에 배치된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필요에 따라, 복수의 동작바(310) 중 구동부(400)와 직접 연결되는 동작바(310)는 고정부(500)의 배치가 제외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고정부(500)는 구동부(400)와 직접적으로 동작이 연동되지 않는 동작바(310)에 배치되어, 해당 동작바(310)의 움직임 만을 제한시킬 수 있다. 이는 구동부(400)가 고정부(500)를 대신하여 동작바(310)의 제3 방향 움직임을 제한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위상 천이기(10)의 위상을 변환하기 위한 일련의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상 천이기의 동작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위상 천이기(10)는 지지 프레임(100), 복수의 위상 변환 유닛(200), 동작부(300) 및 구동부(400)를 포함할 수 있으며, 각 구성은 앞서 도 1 내지 도 10에 도시된 위상 천이기(10)와 동일한 바,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상 천이기(10)는 위상 천이기(1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600)는 구동부(400)로 복수의 위상 변환 유닛(200)이 동작하기 위한 전기적 신호와 같은 동작 명령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이러한 동작 명령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들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매체로부터 구현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600)는 구동부(4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도록, 구동부(400)의 모터(410) 및 복수의 기어(420)의 속성 값을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20)는 복수의 기어(420)의 기어 잇수, 복수의 기어(420)의 회전비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600)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위상 천이기(10)의 동작을 제어하거나, 복수의 위상 천이기(10)와 개별 연결된 제어부(600)를 통해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600)는 관리자로부터 입력 받은 값을 기준으로 위상 천이기(10)의 위상을 변환시킬 수 있다.
먼저, 제어부(600)는 변환하고자 하는 위상에 대응되는 입력 값을 획득할 수 있다. 입력값에 대한 일 실시예로서, 제어부(600)는 위상 천이기(10)의 위상 변환 값을 입력 값으로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위상 변환 값은 0° 내지 12° Tilt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입력값에 대한 다른 실시예로서, 제어부(600)는 위상 변환 유닛(200) 내 회로 패턴의 중첩되는 길이 변경 값 또는 동작부(300)의 구동 범위 값을 입력 값으로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회로 패턴의 중첩 길이 값 및 동작부(300)의 구동 범위 값은 0mm 내지 14mm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600)는 입력 값을 획득한 이후, 입력 값과 제어부(20)에 미리 저장된 참조 값을 이용하여, 복수의 위상 변환 유닛(200)을 통해 각각의 위상을 동일하게 변환하기 위한 결과 값을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참조 값은 연산식 또는 비교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산식은 입력 값에 대한 결과 값을 생성하기 위한 연산일 수 있고, 비교 데이터는 복수의 입력 값과 이에 대한 결과 값이 미리 연산되어 나열된 테이블일 수 있다. 즉, 미리 저장된 비교 데이터는 입력 값에 따른 결과 값이 이미 도출되어 있는 바, 제어부(600)는 입력 값을 기초로 결과 값을 매칭할 수 있다.
참조 값에 대한 일 실시예로서, 제어부(600)에 저장된 참조 값은 입력 값의 변환 범위와 동작부(300)의 구동 범위를 기초로 생성되는 상대비 연산식 또는 비교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입력 값의 변환 범위는 위상 변환 유닛(200)의 위상 변환 범위(예, 0° 내지 12° Tilt)일 수 있으며, 동작부(300)의 구동 범위는 회로 패턴의 중첩 길이의 변경 범위(예, 0mm 내지 14mm)를 의미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대비 연산식은 위상이 X° 만큼 변하기 위해서, 동작부(300)가 Ymm를 이동해야 하는지에 대한 연산식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600)가 참조 값이 반영된 상대비 연산식에 빔의 기울기 각도(빔의 방향을 6° 기울임)를 입력하면, 동작부(300)의 이동 길이 값(7mm)을 출력으로 얻을 수 있다. 즉, 제어부(600)는 상대비 연산식을 통해 회로 패턴의 길이가 7mm 증가하는 출력 값을 연산할 수 있다.
참조 값에 대한 다른 실시예로서, 제어부(600)에 저장된 참조 값은 복수의 기어(420)를 기초로 생성되는 기어비 연산식 또는 비교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기어비 연산식은 기어(420)의 잇수에서 얻을 수 있는 데이터로, 제어부(600)는 복수의 기어(420)의 기어비 연산식(예, 피동기어 잇수/구동기어 잇수)을 저장하고, 입력 값에 대한 결과 값을 생성하는 연산 과정에서 기어비 연산식을 산입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600)는 결과 값을 생성 이후, 결과 값을 기초로 동작부(300) 및 구동부(400)를 구동시켜, 각각의 위상을 변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결과 값은 회로 패턴의 길이 변경, 즉, 동작부(300)의 이동 길이를 제어하기 위한, 구동부(400)의 회전량을 제어하는 동작 명령일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600)는 생성된 결과 값을 기준으로 구동부(400)를 통해서 동작부(300)를 구동할 수 있도록 제어하되, 부하 여부에 따라 구동 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결과 값은 구동부(400)를 통해서 동작부(300)를 저속 또는 고속 구동시키기 위한 연속된 값을 포함할 수 있으며, 연속된 값을 기초로 구동부(400)를 통해서 동작부(300)가 저속 또는 고속 구동될 수 있다.
제어부(600)는 결과 값에 맞게 미리 설정된 범위 만큼 구동부(400)를 통해서 동작부(300)를 저속 구동시킬 수 있으며, 만약 저속 구동 시, 미리 설정된 범위 만큼 구동하는 동안 구동부(400)에 부하가 걸리지 않는 경우, 제어부(20)는 구동부를 통해 동작부(300)를 고속 구동시킬 수 있다. 이때, '부하'란 동작부(300)가 장애물에 걸려서 구동하지 않는 상태를 뜻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어부(20)가 구동부(400)를 통해 동작부(300)를 미리 설정된 범위만큼 저속 구동시키다가 고속 구동시킴으로써, 동작부(300)가 고속 구동하다가 장애물에 의해서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동작부(300) 및 구동부(400)의 동작은 구동 속도 변화에 따라 정지하지 않고, 연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위상 천이기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위상 천이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위상 천이기에 설치되는 위상 변환 유닛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위상 변환 유닛은, 복수의 제1 회로 패턴(211)을 갖는 제1 회로 기판(210)과 복수의 제1 회로 패턴(211) 중 어느 하나와 일부 영역이 중첩되어 연결되는 제2 회로 패턴(221)을 갖는 복수의 제2 회로 기판(220)과 복수의 제2 회로 기판(220)을 제1 회로 기판(210) 측으로 가압하고, 제2 회로 기판(220)을 제1 방향으로 이동시켜, 제1 회로 패턴(211) 및 제2 회로 패턴(221)의 중첩된 길이를 변경하여, 변경된 길이를 통해 위상을 변환하기 위한 복수의 이동 부재(230), 및 제1 회로 기판(210) 상에 배치되고, 복수의 제2 회로 기판(220) 및 복수의 이동 부재(230)를 수용하는 하우징(240)을 포함한다.
즉, 하나의 이동 부재(230)가 구비되어 하나의 제2 회로 기판(220)을 제1 회로 기판(21)을 향해 가압하는 하우징(240)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상 천이기와는 달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위상 천이기에서 복수의 위상 변환 유닛(200)은 복수의 이동 부재(230)가 쌍을 이루며 하우징(240)에 수용되고, 이에 따라, 복수의 이동 부재(230) 각각이 복수의 제2 회로 기판(220)을 복수의 제1 회로 패턴(211)을 갖는 제1 회로 기판(210) 측으로 가압하여 위상 변환을 수행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위상 천이기는 하나의 하우징에 복수의 이동 부재(230)를 수용 가능함으로써, 제조 원가가 절감되고 조립 공정이 간소화될 수 있으며, 각각의 구성들이 위상 천이기에서 컴팩트하게 배치 또는 조립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위상 천이기에서 복수의 이동 부재(230) 각각은, 제2 회로 기판(220)이 배치되는 제1 이동 부분(231) 및 제1 이동 부분(231)에서 연장되는 제2 이동 부분(233)을 포함하고, 탄성 구조로 형성되며, 제2 회로 기판(220)을 제1 회로 기판(210)이 위치한 방향으로 가압함으로써 제2 회로 패턴(221)이 제1 회로 패턴(211)과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2 이동 부분(233)의 돌출 부분은 동작부(300)의 홀에 삽입되어 고정 결합될 수 있다. 이때, 돌출 부분의 일단은 동작부(300)의 홀에 삽입된 후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걸림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위상 변환 유닛(200)은 복수의 이동 부재(230)가 돌출 부분을 통해 동작부(300)와 함께 움직임으로써 위상 변환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도 14 내지 15를 참고하면, 하우징(240)에는 복수의 이동 부재(230)가 각각 수용되는 복수의 수용부(242)가 형성되며, 복수의 수용부(242) 사이에는 격벽(244)이 구비될 수 있다. 하우징(240)은, 격벽(244)을 관통하는 홀에 삽입되는 결합 부재(246)를 통해 제1 회로 기판(210)에 결합될 수 있다.
즉, 이동 부재(230)는 제2 이동 부분(233)이 동작부(300)와 함께 움직이고, 이에 따라 하우징(240)의 수용부(242)에 수용되어 격벽(244)에 의해 구획된 제1 이동 부분(231)이 위상변환을 수행하는 것이다.
또한, 결합 부재(246)는 나사, 볼트 등을 포함하며, 하우징(240) 상면에 형성된 홈에 삽입되고, 격벽(244)을 관통하여 하단의 제1 회로 기판(210)에 결합됨으로써, 하우징(240)을 제1 회로 기판(210)에 고정시키게 된다.
한편, 제1 이동 부분(231)은, 하우징(240)에 수용되어 측면이 하우징(240)의 내측벽에 접촉되며, 외측면이 인입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슬릿(250)이 형성됨으로써, 하우징(240)의 내측벽에 대해 탄성력을 가질 수 있다. 슬릿(250)은 제1 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제1 이동 부분(231)의 측면에는 슬릿(250) 길이의 전부 또는 일부에 대응되는 길이를 가지며, 하우징(240)의 내측벽에 접촉되도록 돌출되는 접촉 부분(255)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방향을 따라 슬릿(250)이 형성되고, 이에 제1 이동 부분(231)의 측면은 하우징(240)의 내측벽과의 접촉 상태에 따라 슬릿(250)으로 인입될 수 있고, 인입된 만큼 다시 복원되려는 탄성력을 가짐으로써, 그 탄성력을 통해 하우징(240)의 내측벽에 지지되어 제1 방향과 수직한 제2 방향으로의 이동을 제한함으로써, 제1 이동 부분(231)이 제1 방향으로 뒤틀림 없이 이동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제1 이동 부분(231)이 하우징(240)의 내측벽에 접촉 시 측면이 슬릿(250)으로 적절히 인입되도록 제1 이동 부분(231)의 측면에는 외측으로 돌출되는 접촉 부분(255)이 형성되어 접촉 부분(255)이 하우징(240)의 내측벽에 지지되는 것이다. 접촉 부분(255)은 돌출된 높이와 슬릿(250)의 길이에 따라 그 길이가 다양하게 조절됨으로써 제1 이동 부분(231)이 가지는 탄성력의 크기가 변화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위상 천이기의 이동 부재(230)는 제1 방향으로 뒤틀림 없이 이동됨으로써 제1 회로 패턴과 제2 회로 패턴이 안정적으로 중첩될 수 있다.
한편, 도 31은 도 30의 위상변환 유닛의 이동부재를 나타낸 저면사시도이고, 도 32는 도 30의 위상변환 유닛에서 이동부재와 제2 회로 기판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저면사시도이다.
도 30 내지 도 3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위상 천이기에서 복수의 이동 부재(230) 각각은, 제2 이동 부분(233)에 형성되며, 갈퀴 형상으로 돌출된 하나 이상의 클램핑 부재(239)를 더 포함하고, 클램핑 부재(239)는 제2 회로 기판(220)에 걸림 결합됨으로써 제2 회로 기판(220)을 이동 부재(230)에 장착시킬 수 있다.
도 30의 실시예에 따른 위상변환 유닛은, 이동 부재(230)가 도 27의 실시예에 따른 위상 변환 유닛(200)과 유사하나, 도 31 및 32의 저면사시도를 참고하면, 제2 이동 부분(233)의 하면에 갈퀴 형상의 클램핑 부재(239)가 형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클램핑 부재(239)는 일측이 다른 실시예들에 비해 연장된 형상의 제2 회로 기판(220)의 단부를 마운팅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도 30의 실시예에 따른 위상변환 유닛은 클램핑 부재(239)가 각각 제2 회로 기판(220)의 단부에 걸림 결합됨으로써, 제2 회로 기판(220)을 클램핑 부재(239)에 마운팅할 수 있는 것이고, 이에 따라, 제2 회로 기판(220)에 가압력이 가해진다 하더라도, 이동 부재(230)와 제2 회로 기판(220)의 밀착이 유지되어 미끄러짐 없이 정교하게 위상 변환을 수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아울러, 도 14 내지 15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위상 천이기에서 복수의 이동 부재(230) 각각은, 제1 이동 부분(231)의 상면 또는 하면에 돌출된 지지 부분(232)을 더 포함하고, 지지 부분(232)은 하우징(240) 또는 제2 회로 기판(220)에 지지될 수 있다. 이때, 지지 부분(232)은 제1 이동 부분(231)의 상면에 반구 형상으로 복수개가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위상 변환 유닛(200) 내에서 이동 부재(230)와 하우징(240) 또는 이동 부재(230)와 제2 회로 기판(220)이 서로 간에 뜨는 공간이 없도록 타이트하게 내장될 수 있다.
도 16, 18, 21, 24, 27, 30, 33, 3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위상 천이기에 설치되는 다양한 위상 변환 유닛을 구성 요소 별로 순차적으로 분해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17, 19, 22, 25, 28, 31, 34, 3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위상 천이기에 설치되는 다양한 위상 변환 유닛의 이동부재를 나타낸 저면사시도이다.
도 16 내지 도 38을 참고하면, 지지 부분(232)은 제1 이동 부분(231)의 상면에 반구 형상으로 복수개가 이격되어 배치된 것을 볼 수 있는데, 이를 통해 위상 변환 유닛(200) 내에서 이동 부재(230)와 하우징(240) 또는 이동 부재(230)와 제2 회로 기판(220)이 서로 간에 뜨는 공간이 없도록 타이트하게 내장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 20은 도 18을 제2방향으로 자른 단면도이다. 도 16 내지 20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위상 천이기에서 복수의 이동 부재 각각은, 제2 회로 기판(220)과 제1 이동 부분(231)의 사이에 배치되는 탄성 부재(235)를 더 포함하고, 탄성 부재(235)에는, 제1 이동 부분(231) 및 제2 회로 기판(220) 중 어느 하나와 접촉하도록 양 면 중 적어도 일 면에 배치되는 돌기(237)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탄성 부재(235)는 고무나 실리콘으로 이루어진다.
도 16의 실시예에 따른 위상 변환 유닛(200)과 도 18의 실시예에 따른 위상 변환 유닛(200)은 서로 이동 부재(230)가 유사하나, 이동 부재(230) 하단의 탄성 부재(235)에서 차이가 있다. 도 16의 실시예에 따른 위상 변환 유닛(200)은, 탄성 부재(235)에 두개의 원기둥 형상의 돌기(237)가 구비되며, 이동 부재(230)가 제2 회로 기판(220)을 가압하는 경우, 돌기(237)가 압축되며 그 복원력을 통해 제2 회로 기판(220)에 가압력을 전달하게 되는 것이다.
도 18의 실시예에 따른 위상 변환 유닛(200)은, 탄성 부재(235)에 두개의 돌기(237)가 구비되되, 돌기(237)는 단부가 두 갈래로 갈라진 형상(즉, Y자 형상)으로써, 이동 부재(230)가 제2 회로 기판(220)을 가압하는 경우 돌기(237)는 갈라진 부분의 폭이 넓어지며 그 복원력을 통해 제2 회로 기판(220)에 가압력을 전달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도 23은 도 21를 제1방향으로 자른 단면도이다. 도 21 내지 23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위상 천이기에서 도 21의 실시예에 따른 위상 변환 유닛(200)은 도 16의 실시예에 따른 위상 변환 유닛(200)과 도 18의 실시예에 따른 위상 변환 유닛(200)과 달리 이동 부재(230)에서 제1 이동 부분(231)의 하면에 복수의 가압돌기가 형성되어 있고, 탄성 부재(235)는 상하면이 돌출된 부분 없이 매끈한 형상으로써, 고무나 실리콘으로 이루어진다.
즉, 도 23을 참고하면, 도 21의 실시예에 따른 위상 변환 유닛(200)은 가압돌기가 탄성 부재(235)의 상면을 가압함에 따라, 탄성 부재(235)의 매끈한 하면이 제2 회로 기판(220)상에 밀착되고, 탄성 부재(235) 재질 자체의 탄성력을 통해 제2 회로 기판(220)에 가압력을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 26은 도 24를 제1방향으로 자른 단면도이며, 도 29는 도 27을 제1방향으로 자른 단면도이다. 도 24 내지 도 29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위상 천이기에서, 복수의 이동 부재(230) 각각은, 제1 이동 부분(231)에 일체로 형성되며, 자유단으로 이루어진 외팔보 형상을 하나 이상 구비하는 탄성 부재(235)를 더 포함하고, 탄성 부재(235)의 외팔보 형상은 단부가 제2 회로 기판(220)에 지지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24의 실시예에 따른 위상 변환 유닛(200)은, 탄성 부재(235)에 제2 방향을 따라 각각 두 쌍의 외팔보 형상이 구비되며, 각 쌍의 외팔보 형상은 중심부를 기준으로 각각 제1방향과 그 반대방향으로 연장되고 단부가 절곡되어 제2 회로 기판(220)의 상면에 지지된다. 각각의 외팔보 형상은 이동 부재(230)가 제2 회로 기판(220)을 가압하는 경우 제3 방향으로 휘어지며, 그 복원력을 통해 제2 회로 기판(220)에 가압력을 전달하게 되는 것이다.
도 27의 실시예에 따른 위상 변환 유닛(200)도 마찬가지로, 탄성 부재(235)에 제2 방향을 따라 각각 두 쌍의 외팔보 형상이 구비되며, 각 쌍의 외팔보 형상은 중심부를 기준으로 초반부는 비스듬히 연장되고 이후 절곡되어 각각 제1 방향 과 그 반대방향으로 연장되며, 단부에는 제3 방향의 반대방향을 향해 돌출된 가압돌기가 형성되어 가압돌기가 제2 회로 기판(220)의 상면에 지지된다. 이 역시 각각의 외팔보 형상은 이동 부재(230)가 제2 회로 기판(220)을 가압하는 경우 제3 방향으로 휘어지며, 그 복원력을 통해 제2 회로 기판(220)에 가압력을 전달하게 되는 것이다.
즉, 도 24의 실시예에 따른 위상 변환 유닛(200)은 탄성 부재(235)의 두 쌍의 외팔보 형상이 이동 부재(230)의 제1 이동 부분(231)의 하면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고, 도 27의 실시예에 따른 위상 변환 유닛(200)은 탄성 부재(235)의 두 쌍의 외팔보 형상이 이동 부재(230)의 제1 이동 부분(231)의 측면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는 것이다. 이때, 이동 부재(230)의 제1 이동 부분(231)은 탄성 부재(235)의 두 쌍의 외팔보 형상과 마주보는 위치에 탄성 부재(235)의 두 쌍의 외팔보 형상과 대응되는 길이로 홈이 형성되어 탄성 부재(235)의 두 쌍의 외팔보 형상의 동작 범위를 늘릴 수 있다.
한편, 도 35는 도 33을 제1방향으로 자른 단면도이다. 도 38은 도 36을 제1방향으로 자른 단면도이다. 도 33 내지 도 38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위상 천이기에서 복수의 이동 부재(230) 각각은, 제1 이동 부분(231)의 상면 또는 하면에 설치되며, 자유단으로 이루어진 외팔보 형상을 하나 이상 구비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고, 탄성 부재(235)의 외팔보 형상은 단부가 하우징(240) 또는 제2 회로 기판(220)에 지지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33의 실시예에 따른 위상 변환 유닛(200)은, 금속 재질의 판 형상으로 형성된 탄성 부재(235)가 이동 부재(230)의 제1 이동 부분(231)에 설치된다. 또한, 탄성 부재(235)는 제2 방향을 따라 각각 두 쌍의 외팔보 형상이 구비되며, 각 쌍의 외팔보 형상은 중심부를 기준으로 초반부는 비스듬히 연장되고 이후 절곡되어 각각 제1 방향 과 그 반대방향으로 연장되며, 단부가 다시 절곡되어 절곡된 부분이 제2 회로 기판(220)의 하우징(240)의 내면에 지지된다. 각각의 외팔보 형상은 하우징(240)이 이동 부재(230)를 가압하는 경우 제3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휘어지며, 그 복원력을 통해 제1 이동 부분(231)에 가압력을 제공하고, 제1 이동 부분(231) 접촉된 제2 회로 기판(220)까지 가압력을 전달하게 되는 것이다.
도 36의 실시예에 따른 위상 변환 유닛(200)은, 도 33의 실시예에 따른 위상 변환 유닛(200)과 동일하게, 금속 재질의 판 형상으로 형성된 탄성 부재(235)가 이동 부재(230)의 제1 이동 부분(231)에 설치된다. 또한, 탄성 부재(235)는 제2 방향을 따라 각각 두 쌍의 외팔보 형상이 구비되며, 각 쌍의 외팔보 형상은 중심부를 기준으로 초반부는 비스듬히 연장되고 이후 절곡되어 각각 제1 방향 과 그 반대방향으로 연장되며, 단부가 다시 절곡되어 절곡된 부분이 제2 회로 기판(220)의 제2 회로 기판(220)에 지지된다. 각각의 외팔보 형상은 하우징(240)이 이동 부재(230)를 제2 회로 기판(220)을 가압하는 경우 제3 방향으로 휘어지며, 그 복원력을 통해 제2 회로 기판(220)에 가압력을 전달하게 되는 것이다.
즉, 탄성 부재(235)가 제1 이동 부분(231) 상면에 설치되는 도 33의 실시예에 따른 위상 변환 유닛(200)과 달리, 도 36의 실시예에 따른 위상 변환 유닛(200)은 탄성 부재(235)가 제1 이동 부분(231)의 하면에 설치되는 차이가 있으며, 그 재질, 크기, 형상 등은 동일하게 구성되고, 회로 기판의 종류에 따라 설치 위치만 서로 전환되어 위상 변환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끝으로, 신호 처리 내지는 신호의 위상 변환에 필요한 다양한 기술분야에 있어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위상 천이기는 상기 기재한 다양한 실시예의 위상 변환 유닛(200)을 필요에 따라 적용할 수 있음에 따라, 그 활용도가 높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상,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다.
10, 20: 위상 천이기 100: 지지 프레임
101: 고정 부재 200: 위상 변환 유닛
210: 제1 회로 기판 211: 제1 회로 패턴
220: 제2 회로 기판 221: 제2 회로 패턴
230: 이동 부재 231: 제1 이동 부분
232: 지지 부분 233: 제2 이동 부분
235: 탄성 부재 237: 돌기
238: 가압 돌기 239: 클램핑 부재
240: 하우징 242: 수용부
244: 격벽 246: 결합 부재
250: 슬릿 255: 접촉 부분
300: 동작부 310: 동작바
320: 가이드바 320a: 제1 가이드 부분
320b: 제2 가이드 부분 320c: 제3 가이드 부분
321: 제1 가이드 롤러 323: 제2 가이드 롤러
400: 구동부 410: 모터
420: 기어 421: 볼 스크류
500: 고정부 600: 제어부
CT: 외팔보 형상 GAP: 빈공간

Claims (14)

  1. 복수의 제1 회로 패턴을 갖는 제1 회로 기판;
    상기 복수의 제1 회로 패턴 중 어느 하나와 일부 영역이 중첩되어 연결되는 제2 회로 패턴을 갖는 복수의 제2 회로 기판;
    상기 복수의 제2 회로 기판을 상기 제1 회로 기판 측으로 가압하고, 상기 제2 회로 기판을 제1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제1 회로 패턴 및 제2 회로 패턴의 중첩된 길이를 변경하여, 변경된 길이를 통해 위상을 변환하기 위한 복수의 이동 부재; 및
    상기 제1 회로 기판 상에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제2 회로 기판 및 상기 복수의 이동 부재를 수용하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위상 변환 유닛.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복수의 이동 부재가 각각 수용되는 복수의 수용부가 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수용부 사이에는 격벽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상 변환 유닛.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격벽을 관통하는 홀에 삽입되는 결합부재를 통해 상기 제1 회로 기판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상 변환 유닛.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이동 부재 각각은,
    상기 제2 회로 기판이 배치되는 제1 이동 부분; 및 상기 제1 이동 부분에서 연장되는 제2 이동 부분;을 포함하고,
    탄성 구조로 형성되며, 상기 제2 회로 기판을 상기 제1 회로 기판이 위치한 방향으로 가압함으로써 상기 제2 회로 패턴이 상기 제1 회로 패턴과 연결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상 변환 유닛.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동 부분은, 상기 하우징에 수용되어 측면이 상기 하우징의 내측벽에 접촉되며, 외측면이 인입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슬릿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하우징의 내측벽에 대해 탄성력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상 변환 유닛.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슬릿은 제1 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제1 이동 부분의 측면에는 상기 슬릿 길이의 전부 또는 일부에 대응되는 길이를 가지며, 상기 하우징의 내측벽에 접촉되는 접촉 부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상 변환 유닛.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이동 부재 각각은,
    상기 제1 이동 부분의 상면에 돌출된 지지 부분;을 더 포함하고, 상기 지지 부분은 상기 하우징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상 변환 유닛.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이동 부재 각각은,
    상기 제2 이동 부분에 형성되며, 갈퀴 형상으로 돌출된 하나 이상의 클램핑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클램핑 부재는 상기 제2 회로 기판에 걸림 결합됨으로써 상기 제2 회로 기판을 상기 이동 부재에 장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상 변환 유닛.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이동 부재 각각은,
    상기 제2 회로 기판과 상기 제1 이동 부분의 사이에 배치되는 탄성 부재; 를 더 포함하고, 상기 탄성 부재에는 단부가 양 갈래로 갈라진 형상을 가지는 복수의 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상 변환 유닛.
  10.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이동 부재 각각은,
    상기 제2 회로 기판과 상기 제1 이동 부분의 사이에 배치되는 탄성 부재;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이동 부분의 하면에는 복수의 가압 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상 변환 유닛.
  11.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이동 부재 각각은,
    복수 쌍의 외팔보 형상을 구비하는 탄성 부재;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외팔보 형상은 단부가 상기 하우징 또는 상기 제2 회로 기판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상 변환 유닛.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는, 금속 재질로써 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 이동 부분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상 변환 유닛.
  13. 제1 회로 패턴을 갖는 제1 회로 기판;
    상기 제1 회로 패턴과 일부 영역이 중첩되어 연결되는 제2 회로 패턴을 갖는 제2 회로 기판;
    상기 제2 회로 기판을 상기 제1 회로 기판 측으로 가압하고, 상기 제2 회로 기판을 제1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제1 회로 패턴 및 제2 회로 패턴의 중첩된 길이를 변경하여, 변경된 길이를 통해 위상을 변환하기 위한 이동부재; 및
    상기 제1 회로 기판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1 회로 패턴 및 상기 제2 회로 패턴을 수용하는 하우징;을 포함하되,
    상기 이동부재는, 상기 하우징에 수용되어 측면이 상기 하우징의 내측벽에 접촉되며, 외측면이 인입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슬릿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하우징의 내측벽에 대해 탄성력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상 변환 유닛.
  14. 제1 회로 패턴을 갖는 제1 회로 기판;
    상기 제1 회로 패턴과 일부 영역이 중첩되어 연결되는 제2 회로 패턴을 갖는 제2 회로 기판;
    상기 제2 회로 기판을 상기 제1 회로 기판 측으로 가압하고, 상기 제2 회로 기판을 제1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제1 회로 패턴 및 제2 회로 패턴의 중첩된 길이를 변경하여, 변경된 길이를 통해 위상을 변환하기 위한 이동부재; 및
    상기 제1 회로 기판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1 회로 패턴 및 상기 제2 회로 패턴을 수용하는 하우징;을 포함하되,
    상기 이동 부재는, 상기 제2 회로 기판이 배치되는 제1 이동 부분; 상기 제1 이동 부분에서 연장되는 제2 이동 부분; 및 상기 제2 이동 부분에 형성되며, 갈퀴 형상으로 돌출된 하나 이상의 클램핑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클램핑 부재는 상기 제2 회로 기판에 걸림 결합됨으로써 상기 제2 회로 기판을 상기 이동 부재에 장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상 변환 유닛.
KR1020220035662A 2021-07-08 2022-03-22 위상 천이기 및 위상 변환 유닛 및 위상 변환 방법 KR1024855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22837832.9A EP4304011A1 (en) 2021-07-08 2022-06-09 Phase shifter, phase conversion unit, and phase conversion method
PCT/KR2022/008145 WO2023282478A1 (ko) 2021-07-08 2022-06-09 위상 천이기 및 위상 변환 유닛 및 위상 변환 방법
JP2023560639A JP2024511864A (ja) 2021-07-08 2022-06-09 位相シフターおよび位相変換ユニットおよび位相変換方法
US18/554,215 US20240186669A1 (en) 2021-07-08 2022-06-09 Phase shifter, phase conversion unit, and phase conversion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9757 2021-07-08
KR20210089757 2021-07-0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85595B1 true KR102485595B1 (ko) 2023-01-06

Family

ID=83460714

Famil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50602A KR102444513B1 (ko) 2021-07-08 2021-11-04 위상 천이기 및 위상 변환 유닛 및 위상 변환 방법
KR1020220030208A KR102485773B1 (ko) 2021-07-08 2022-03-10 위상 천이기 및 위상 변환 유닛 및 위상 변환 방법
KR1020220030185A KR102485771B1 (ko) 2021-07-08 2022-03-10 위상 천이기 및 위상 변환 유닛 및 위상 변환 방법
KR1020220035662A KR102485595B1 (ko) 2021-07-08 2022-03-22 위상 천이기 및 위상 변환 유닛 및 위상 변환 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50602A KR102444513B1 (ko) 2021-07-08 2021-11-04 위상 천이기 및 위상 변환 유닛 및 위상 변환 방법
KR1020220030208A KR102485773B1 (ko) 2021-07-08 2022-03-10 위상 천이기 및 위상 변환 유닛 및 위상 변환 방법
KR1020220030185A KR102485771B1 (ko) 2021-07-08 2022-03-10 위상 천이기 및 위상 변환 유닛 및 위상 변환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4) KR10244451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4526312A (ja) * 2021-07-08 2024-07-17 ケーエムダブリュ・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位相変換装置およびこれを含む通信装置
KR102512924B1 (ko) * 2022-10-13 2023-03-22 주식회사 기가레인 위상 변환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위상 천이기
KR102660022B1 (ko) * 2022-10-20 2024-04-23 주식회사 에이스테크놀로지 Mimo 안테나용 페이즈 쉬프터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248494A1 (en) * 2002-06-29 2005-11-10 Christopher Davies Phase shifting device
KR20110100447A (ko) * 2010-03-04 2011-09-14 주식회사 에이스테크놀로지 엔 포트 피딩 시스템을 구동시키는 장치
KR101567882B1 (ko) 2009-05-11 2015-11-12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수직 빔틸트 제어 안테나를 위한 다중 이상기
KR101586424B1 (ko) 2015-10-23 2016-01-19 주식회사 선우커뮤니케이션 다중 편파 안테나의 위상변위기 구조
KR101771240B1 (ko) 2016-02-03 2017-09-05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위상 변환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5104A (ko) * 2002-07-08 2004-01-16 (주)하이게인안테나 빔틸트 가변 안테나
JP4780097B2 (ja) * 2007-12-11 2011-09-28 日立電線株式会社 移相器
JP5452326B2 (ja) * 2010-04-02 2014-03-26 日本放送協会 移相値算出装置、移相器制御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101150465B1 (ko) * 2011-12-06 2012-06-01 주식회사 감마누 양방향 적층 위상가변기
US20170005388A1 (en) * 2015-07-01 2017-01-05 Wha Yu Industrial Co., Ltd. Phase shifter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248494A1 (en) * 2002-06-29 2005-11-10 Christopher Davies Phase shifting device
US7253782B2 (en) 2002-06-29 2007-08-07 Alan Dick & Company Limited Phase shifting device
KR101567882B1 (ko) 2009-05-11 2015-11-12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수직 빔틸트 제어 안테나를 위한 다중 이상기
KR20110100447A (ko) * 2010-03-04 2011-09-14 주식회사 에이스테크놀로지 엔 포트 피딩 시스템을 구동시키는 장치
KR101586424B1 (ko) 2015-10-23 2016-01-19 주식회사 선우커뮤니케이션 다중 편파 안테나의 위상변위기 구조
KR101771240B1 (ko) 2016-02-03 2017-09-05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위상 변환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85773B1 (ko) 2023-01-06
KR102485771B1 (ko) 2023-01-09
KR102444513B1 (ko) 2022-09-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85595B1 (ko) 위상 천이기 및 위상 변환 유닛 및 위상 변환 방법
EP3413395B1 (en) Phase shifting device
US7172446B1 (en) Electrical connector
EP3147993B1 (en) Dielectric phase shifter
CN113972493A (zh) 移相器、电调系统和基站天线
CN110838623B (zh) 一种电调天线
KR102512924B1 (ko) 위상 변환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위상 천이기
CN109755693B (zh) 移相结构、馈电网络及双极化天线
EP4304011A1 (en) Phase shifter, phase conversion unit, and phase conversion method
CN1228801C (zh) 多方向操作开关
KR20050076651A (ko) 접속작업 중에 접촉자의 위치가 자동적으로 조절되는zif 커넥터
KR20050113248A (ko) 고밀도 전기 커넥터
US20240204404A1 (en) Phase shifter, phase transformation unit, and phase transformation method
US11990660B2 (en) Phase shifter including a plurality of phase transformation units comprised of overlapping circuit patterns which are moved with respect to each other by a driving unit
KR920007987B1 (ko) 횡 편 기
JP2014065087A (ja) フレキシブルプリント基板の取付構造
CN111490316A (zh) 移相器组件及具有移相器组件的电调基站天线
CN116491022B (zh) 移相器和天线设备
JP2020088590A (ja) 偏波回転器
CN112216988B (zh) 基站天线及其移相器
CN212810559U (zh) 电调系统和基站天线
CN210468128U (zh) 电调天线同步移相传动机构
CN212851188U (zh) 一种便于封孔的单面线路板
JP5344285B2 (ja) コネクタ装置
KR20220057412A (ko)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의 컨택트 및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