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113248A - 고밀도 전기 커넥터 - Google Patents

고밀도 전기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113248A
KR20050113248A KR1020057017811A KR20057017811A KR20050113248A KR 20050113248 A KR20050113248 A KR 20050113248A KR 1020057017811 A KR1020057017811 A KR 1020057017811A KR 20057017811 A KR20057017811 A KR 20057017811A KR 20050113248 A KR20050113248 A KR 200501132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uctive element
electrical
electrical connector
deflection
compre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178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59012B1 (ko
Inventor
립 테크 소
Original Assignee
에프씨아이 아시아 테크놀로지 피티이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프씨아이 아시아 테크놀로지 피티이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에프씨아이 아시아 테크놀로지 피티이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0501132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132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90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901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01R13/244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with a single cantilevered bea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 H01R4/4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pring, clip, or other resilient memb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55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55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 H01R12/57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surface mounting terminals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2개의 전기 장치를 상호 연결하는 압축 커넥터(1)는 탄성 편향을 허용하도록 캔틸레버 방식으로 하우징(4)에 체결되며 제1 전기 장치로의 연결을 위해 체결 단부에서 제1 접촉 영역(5)을 갖는 제1 빔 섹션(7)과, 제1 빔 섹션의 이동 가능한 단부로부터 캔틸레버 방식으로 그 제1 단부에서 연장하며 제1 단부로부터 멀리 떨어져 제1 장치와 압축 방식으로 결합하여 제1 장치에 의해 편향 가능하도록 배치된 제2 접촉 영역(6)을 갖는 제2 빔 섹션(8)을 한정하는 적어도 1개의 전도성 요소(3)를 장착하는 하우징(2)을 포함한다. 전도성 요소는 전도성 요소는 압축 결합 방향에 횡단하는 방향으로 제2 빔 섹션의 제1 접촉 영역에 의한 와이핑 작용이 빔의 기하 형상 선택에 의해 제어되도록 제1 빔 섹션에 위에 걸쳐 재차 제2 빔 섹션을 위치시키도록 평면 외부 굽힘에 의해 형성된다.

Description

고밀도 전기 커넥터 {HIGH DENSITY ELECTRICAL CONNECTOR}
본 발명은 고밀도 전기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단독은 아니지만 제거 가능하게 결합 가능한 인쇄 회로 기판과 인쇄 회로 기판 등의 압축 연결을 위한 압축 방향에 대체로 직각으로 연장하는 전도성 요소를 갖는 전기 커넥터로써 제한된 "와이핑" 거리의 전기 커넥터[즉, 제거 가능한 PCB의 전도성 부분을 따른 이동("와이핑") 거리가 최소화됨]가 제공될 수 있도록 결합 중의 그 개별 전도성 요소의 이동이 (압축 방향 이외의 방향으로) 매우 제한되는 전기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고밀도 전기 커넥터는 보통 2개의 전기 장치의 회로들 사이의 상호 연결을 각각 제공하는 복수개의 전도성 요소를 수납하는 하우징을 포함한다. 종종, 이들은 선형의 나란한 어레이의 형태를 취하는데, 어레이는 그에 평행한 길이 방향 또는 폭, 압축 치수에 평행한 높이 그리고 이들 모두에 직각인 길이를 갖는다.
보통, 2개의 전기 장치는 예컨대 전기 커넥터가 1개의 인쇄 회로 기판 상에 장착되는 인쇄 회로 기판(PCB: printed circuit board)이다. 전도성 요소는 각각 회로 기판의 전기 트레이스에 결합된다. 다른 회로 기판은 전도성 요소의 타단부에 압축 결합되어야 한다. 이동 가능한 압축 접촉 지점을 구비한 고밀도 전기 커넥터의 제공으로써, 2개의 PCB 사이의 반복 가능한 연결이 달성될 수 있다.
그러나, 어떤 분야에서, (결합 중 전도성 요소의 압축 변위의 방향에 측면 방향으로의) 커넥터의 폭은 공간 제한의 관점에서 협소할 필요가 있다. 예컨대, 하드 드라이브 내측의 PCB가 PC의 다른 회로와 결합되어야 하는 분야에서, 하드 드라이브의 케이싱을 통한 개구는 매우 협소하다. 전기 커넥터의 전도성 요소가 하드 드라이브의 케이싱의 내부 내로 도달하기 위해, 커넥터의 길이는 케이싱의 개구를 통해 끼워지도록 협소할 필요가 있다. 나아가, 이러한 전기 커넥터의 전도성 요소는 케이싱에 접촉하여 회로를 단락시킬 수 있는 것을 방지하도록 실질적으로 커넥터의 하우징의 주변부 내에 남아 있어야 한다. 예컨대, 도1을 참조하면, 종래의 전기 커넥터를 통한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PCB에 대해 편향되어 압축 결합 상태에 있는 우측 전도성 요소를 도시하고 있다. 좌측은 편향되지 않은 상태에 있는 전도성 요소를 도시하고 있다. 전도성 요소의 상부 접촉 지점의 (수평 방향으로의 그리고 압축 방향에 직각으로의) 길이를 따른 변위의 거리는 비교적 크다는 것이 관찰될 수 있는데, 이것은 "와이핑 거리"로서 불린다. 도1에 도시된 예에서, 상부 접촉 지점에서의 전도성 요소는 커넥터의 하우징의 주변부의 외측에서 돌출한다는 것이 관찰될 수 있다. 이것을 피하기 위해, 하우징은 전도성 요소의 상부 접촉 영역의 와이핑 길이를 수용하도록 더욱 큰 길이일 필요가 있을 것이다.
근본적으로, 도1의 커넥터 설계는 어떤 분야에 대해 과도하게 넓은 길이인 유효 공간을 점유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압축 방향에 직각으로) 협소한 크기이며 종래 기술의 커넥터보다 상당히 감소된 와이핑 거리를 갖는 전도성 요소를 제공하거나 공중에게 유용한 선택을 적어도 제공할 고밀도 전기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1은 종래 기술의 전기 커넥터를 통한 단면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전기 커넥터의 전도성 요소의 측면도이다.
도3은 도2의 전도성 요소를 합체하며 여기에서 PCB가 결합되며 편향된 전도성 요소를 갖는 커넥터의 단면도이다.
도4는 편향되지 않은 상태에 있는 전도성 요소를 도시하는 커넥터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전도성 요소의 예의 다양한 힘 그리고 관련된 치수를 도시하는 힘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1 태양에서, 제1 전기 장치로의 제2 전기 장치의 선택적인 전기 연결을 위한 전기 커넥터이며, a) (제1 전기 장치와의 적어도 전기 접촉을 위한) 제1 접촉 영역과, b) 제1 피벗 축에 대해 편향 가능한 제1 빔 영역과, c) 제1 빔 영역에 연결되며 제2 피벗 축에 대해 제1 빔 영역에 관련하여 편향 가능한 제2 빔 영역과, d) 제2 빔 영역에 연결된 제2 접촉 영역을 갖고, 대부분의 굽힘 편향이 제1 피벗 축에 대해 행해지는 특징을 나타내는 제1 위상의 편향과, 대부분의 굽힘 편향이 제2 피벗 축에 대해 일어나는 특징을 나타내는 제2 위상의 굽힘을 갖는 적어도 1개의 전도성 요소와; 적어도 1개의 절연 구성 요소(이하, "하우징")를 포함하고, 전도성 요소는 하우징에 의해 그리고 하우징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위치되고, 전도성 요소는 제1 비편향 상태 및 제2 편향 상태를 갖고, 제2 전기 장치에 의한 제2 접촉 영역으로의 진행 압축 인가 시의 그 중간에, 제1 위상의 편향은 제1 및 제2 빔 영역 사이의 지점이 하우징의 일부 상에서 결합할 때까지 일어나고, 그 후, 압축 방향 그리고 피벗 축들 중 적어도 1개 모두에 직각인 제2 접촉 영역의 최소 편향을 갖는 제1 및 제2 전기 장치 사이의 전기 연결을 유지하기 위해, 제2 위상의 편향만 일어나는 전기 커넥터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전기 장치는 주요 표면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하우징의 일부는 주요 표면들 중 1개에 직각이다.
바람직하게는, 주요 표면은 평행하다.
바람직하게는, 제2 위상 굽힘은 제2 피벗 축에 대해서만 일어난다.
바람직하게는, 피벗 축은 평행하다.
바람직하게는, 피벗 축은 압축 방향에 직각이며 주요 표면에 평행하다.
바람직하게는, 전도성 요소는 1 내지 3 이상의 높이 대 길이의 종횡비를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높이는 압축 방향에 평행하다.
바람직하게는, 압축 방향은 수직하다.
바람직하게는, 길이는 압축 방향 및 피벗 축 모두에 직각이다.
바람직하게는, 전도성 요소는 시트 재료로 평면 외부 굽힘에 의해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전도성 요소는 시트 재료로 형성된 금속 스트립이다.
바람직하게는, 금속은 구리 합금이다.
바람직하게는, 전도성 요소의 편향은 탄성이다.
바람직하게는, 하우징은 플라스틱 재료 성형체이다.
바람직하게는, 복수개의 전기 커넥터가 있다.
바람직하게는, 복수개의 커넥터는 나란한 선형 어레이로 배열된다.
바람직하게는, 전도성 요소는 바브 보유부와 활주 결합한 상태로 하우징 내에 위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제1 접촉 영역도 제2 전기 장치에 전기 커넥터를 기계적으로 연결한다.
본 발명의 제2 태양에서, 전기 커넥터 내에 포함되는 전도성 요소이며, a) (제1 전기 장치와의 적어도 전기 접촉을 위한) 제1 접촉 영역과, b) 제1 피벗 축에 대해 편향 가능한 제1 빔 영역과, c) 제1 빔 영역에 연결되며 제2 피벗 축에 대해 제1 빔 영역에 관련하여 편향 가능한 제2 빔 영역과, d) 제2 빔 영역에 연결된 제2 접촉 영역을 포함하고, 전도성 요소는 대부분의 굽힘 편향이 제1 피벗 축에 대해 행해지는 특징을 나타내는 제1 위상의 편향과, 대부분의 굽힘 편향이 제2 피벗 축에 대해 일어나는 특징을 나타내는 제2 위상의 굽힘을 갖고, 제1 위상의 편향은 제1 및 제2 빔 영역 사이의 지점이 하우징의 일부 상에서 정지할 때까지 일어나고, 그 후, 압축 방향 그리고 피벗 축들 중 적어도 1개 모두에 직각인 제2 접촉 영역의 최소 편향을 갖는 제1 및 제2 전기 장치 사이의 전기 연결을 유지하기 위해, 제2 위상의 편향만 일어나는 전도성 요소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제2 위상 굽힘은 제2 피벗 축에 대해서만 일어난다.
바람직하게는, 피벗 축 모두는 평행하다.
바람직하게는, 전도성 요소는 시트 재료로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전도성 요소는 시트 재료로 형성된 금속 스트립이다.
바람직하게는, 금속은 구리 합금이다.
바람직하게는, 전도성 요소는 1 내지 3 이상의 높이 대 길이의 종횡비를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높이는 압축 방향에 평행하다.
바람직하게는, 압축 방향은 수직이다.
바람직하게는, 길이는 압축 방향 및 피벗 축 모두에 직각이다.
본 발명의 추가 태양에서, 제1 전기 장치의 회로 및 제2 전기 장치의 회로의 적어도 1개의 전기 트레이스를 상호 연결하는 압축 커넥터이며, a) 하우징에 대해 제1 빔 섹션의 이동 가능한 단부의 탄성 편향을 허용하도록 캔틸레버 방식으로 하우징에 체결되고, 전기 장치로의 적어도 전기 연결을 위해 제1 빔 영역의 또 다른 (바람직하게는 이동 불가능한) 단부에서 제1 접촉 영역을 갖는 제1 빔 섹션과, b) 제1 빔 섹션의 이동 가능한 단부로부터 캔틸레버 방식으로 그 제1 단부에서 연장하고, 제1 단부로부터 멀리 떨어져 빔을 따라 제공되며 제1 전기 장치의 전기 트레이스와 압축 방식으로 결합하여 제1 전기 장치의 전기 트레이스에 의해 편향 가능하도록 배치된 제2 접촉 영역을 갖는 제2 빔 섹션을 적어도 한정하도록 평면 외부 굽힘에 의해 형성된 시트 금속 재료의 적어도 1개의 전도성 요소를 장착하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전도성 요소는 제1 빔 섹션에 위에 재차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2 빔 섹션을 위치시키도록 평면 외부 굽힘에 의해 형성되고, 제2 접촉 영역은 수직 방향으로 하우징에 대해 제1 및 제2 빔 섹션에 의해 합성 캔틸레버 방식으로 편향 가능하도록 위치되고, 압축 결합 방향에 횡단하는 방향으로 제2 빔 섹션의 제1 접촉 영역에 의해 전기 트레이스를 가로지르는 와이핑 작용은 빔의 기하 형상의 적절한 선택에 의해 소정 한계 내에서 제어되는 압축 커넥터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편향들은 동일한 평면 내에 있다.
바람직하게는, 전도성 요소는 1 내지 3 이상의 폭 대 높이의 종횡비를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높이는 압축 방향에 평행하다.
바람직하게는, 압축 방향은 수직이다.
바람직하게는, 길이는 압축 방향에 직각이며 편향 평면에 평행하다.
바람직하게는, 전도성 요소는 시트 재료로 형성된 금속 스트립이다.
바람직하게는, 금속은 구리 합금이다.
바람직하게는, 전도성 요소의 편향은 탄성이다.
바람직하게는, 하우징은 플라스틱 재료 성형체이다.
바람직하게는, 복수개의 압축 커넥터가 있다.
바람직하게는, 복수개의 압축 커넥터는 나란한 선형 어레이로 배열된다.
바람직하게는, 전도성 요소는 바브 보유부와 활주 결합한 상태로 하우징 내에 위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제1 접촉 영역도 제2 전기 장치에 전기 커넥터를 기계적으로 연결한다.
본 발명의 추가 태양에서, 실질적으로 도2 내지 도5를 참조하여 전술된 제1항 내지 제43항 중 어느 한 항의 전기 커넥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추가 태양에서, 실질적으로 도2 내지 도5를 참조하여 전술된 제1항 내지 제43항 중 어느 한 항의 전도성 요소가 제공된다.
이제,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가 도1 내지 도5를 참조하여 개시될 것이다.
도3을 참조하면, 전기 커넥터(1)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단면도는 전기 커넥터의 일반적인 긴 방향에 직각인 평면에서 취해진다. 이러한 종류의 전기 커넥터는 커넥터의 길이를 따라 연장하는 적어도 1개 그리고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은 2개의 어레이의 복수개의 전도성 요소를 포함할 것이다. 이러한 전도성 요소는 나란한 관계 또는 선형 어레이로 위치되며 각각의 어레이는 중심선 A-A에 대해 실질적으로 서로에 거울상으로서 위치된다.
전기 커넥터(1)는 보통 플라스틱 재료로 제조되는 하우징(2)을 포함하므로, 비전도성이다. 하우징(2)은 개별 전도성 요소(3)를 위치시키는 영역을 포함한다. 전도성 요소는 긴 형상 및 협소한 폭으로 되어 있다(도시되지 않음). 하우징(2)은 각각의 전도성 요소가 위치할 수 있는 공동을 포함한다. 가장 양호한 형태에서, 하우징은 각각의 전도성 요소를 위한 공동을 제공한다.
각각의 전도성 요소(3)는 전도성 금속 재료(예컨대 구리 합금 등)로 제조된다. 선택된 재료는 전도성 요소의 편향이 압축의 방향에 반대 방향으로 전도성 요소에 의해 발생되는 편의력을 초래하도록 가요성이지만 탄성이다. 전도성 요소의 재료는 응력-변형량 곡선의 탄성 영역 내에 남아 있지만, 이것은 반드시 그럴 필요는 없다.
전도성 요소(3)는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전도성 요소의 기부 영역(4)에서 영구적인 방식으로 하우징에 결합된다. 기부 영역(4)에서, 전도성 요소는 하우징(2)에 견고하게 그리고 상대적으로 고정된다. 체결은 바브 활주 결합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전도성 요소 상의 바브 특징부는 하우징(2)의 공동의 플라스틱 벽을 변형시키므로 하우징(2)에 부착되게 된다. 하우징과 각각의 전도성 요소의 결합의 대체 형태는 당업자에게 명확할 것이다.
전도성 요소(시트 재료로 제조됨)는 바람직하게는 그 형태를 제공하도록 굽혀진다. 전도성 요소는 바람직하게는 우선 원재료의 시트로부터 스탬핑되며 그 후 평면 외부 굽힘에 의해 형성된다. 스탬핑은 실질적으로 직선형이며 가는 형태의 전도성 요소 전구체를 발생시키며 그 후 평면의 외부 방향으로의 굽힘은 예컨대 도2에 도시된 곡선 형태를 제공한다.
전도성 요소의 일부를 성형하여 기부 영역(4)의 일측으로부터 위치되는 제1 접촉 영역(5)이 있다.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예에서, 제1 접촉 영역(5)은 제1 전기 장치(도시되지 않음)의 회로 트레이스에 결합될 수 있는 푸트 형상 영역이다. 제1 전기 장치로의 제1 접촉 영역(5)의 고정은 예컨대 납땜에 의해 영구적인 방식으로 행해질 수 있다. 대신에, 제1 접촉 영역(5)은 예컨대 압축 연결 결합에 의해 비영구적인 방식으로 제1 전기 장치의 전기 트레이스에 결합될 수 있다. 그러나, 도3에 도시된 예에서, 각각의 요소의 제1 접촉 영역(5)은 제1 전기 장치로의 더욱 영구적인 결합을 위해 설계된다. 기부 영역(4)으로부터 연장하여, 제1 접촉 지점(5)에 반대 방향으로, 전도성 요소의 편향 가능한 섹션이 있다. 편향 섹션은 기부 영역(4)으로부터 접촉 영역(6)으로 연장한다. 제2 접촉 영역(6)은 편향되지 않은 상태에 있을 때 (도3의 좌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의 상부 주변부로부터 연장하도록 제공된다. 제2 전기 장치(17)의 결합에 의한 편향 시의 제2 접촉 영역(6)은 하향 방향으로 이동할 것이다. 제2 접촉 영역(6)에서의 전도성 요소에 의해 발생되는 결과적인 압축력은 제2 전기 장치(17)의 압축 결합이 일어나는 방향에 반대 방향인 상향 방향으로일 것이다. 각각의 전도성 요소의 편향 가능한 섹션은 제1 빔 영역(7) 및 제2 빔 영역(8)으로 구성된다. 제1 빔 영역(7)은 기부 영역(4)으로부터 효과적으로 캔틸레버 연결된다. 선택된 재료의 고유하게 탄성이지만 편향 가능한 성질로 인해, 제1 빔 영역(7)의 편향은 기부 영역(4)에 또는 기부 영역(4)에 근접한 피벗 지점 A에 대해 행해지도록 한정될 수 있다. 제1 빔 영역(7)은 제2 빔 영역(8)이 연장하는 그 제2 말단부를 향해 대체로 상향이지만 수직선에 약간 경사진 각도로 기부 영역(4)으로부터 연장한다.
제2 빔 영역(8)은 연장하여 캔틸레버 방식으로 제1 빔 영역(7)에 결합된다. 그러나, 이러한 캔틸레버의 기부는 그 피벗 지점 A에 대한 제1 빔 영역(7)의 이동의 결과로서 변위 가능하다. 피벗 지점 A에 대한 제2 빔 영역(8)의 기부 또는 피벗 지점의 이동에 추가하여, 빔 영역 자체는 예컨대 피벗 지점 B에 대해 변위 가능하다. 제1 빔 영역(7)으로의 그 탄성 가요성 캔틸레버 결합의 결과로서의 빔 영역(8)은 피벗 지점 B에 대해 피벗될 수 있다. 이러한 피벗팅은 제2 접촉 영역(6)으로의 압력의 인가의 결과로서 유도된다.
그 제2 전도성 영역(6)에서 전도성 요소와 제2 전기 장치(17)의 결합 중, 인가되는 힘은 실질적으로 기부 영역(4)을 향한 방향이다. 전도성 요소의 기하 형상 및 강성은 하향 방향으로의 제2 전도성 영역(6)의 변위 중 제1 빔 영역(7)이 우선 그 피벗 지점 A에 대해 피벗되게 유도되도록 설계된다. 이것은 전도성 요소의 제1 위상의 편향이다. 도4의 빔의 구조적 성질의 대표 도면인 도5를 참조하면, 기부 영역(4)과 제1 빔 영역(7) 사이의 탄성 가요성 전이부(12)에 대한 편향은 적절한 기하 형상의 결과로서 제1 빔 영역(7)과 제2 빔 영역(8) 사이의 전이부(11)에 대해 제공된 것보다 적을 수 있다는 것이 관찰될 수 있다. 그 1차 피벗 지점(B)에 대한 제2 빔 영역(8)의 어떤 이동이 제1 위상의 이동 중 유도되지만, 전도성 요소의 가장 중요한 이동은 피벗 지점 A에 대한 것이다.
하우징(2)의 이동 제한 수단(16)은 전도성 요소의 편향의 제1 위상의 이동 중 제1 빔 영역(7)(또는 그 연장부)이 스톱(16)과 결합되게 되면 이러한 이동이 종료되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지점에서, 제1 빔 영역(7)은 피벗 지점 A에 대해 더 이상 편향될 수 없으며 그 회전은 정지될 것이다. 제1 빔 영역(7)의 이동의 이러한 종료는 제2 접촉 영역(6)이 제2 전기 장치(17)와 완전한 결합의 상태에 있지 않을 때 일어날 것이다. 제2 전기 장치(17)는 전도성 요소의 기부 영역(4)을 향한 방향으로 전도성 요소와 결합 상태를 위해 계속하여 진행할 것이다. 피벗 지점 A에 대한 빔 영역(7)의 회전이 정지되면, 제2 빔 영역(8)은 그 후 그 각각의 피벗 지점 B에 대해 피벗될 것이다. 이러한 제2 위상의 결합 중, 제2 접촉 영역(6)은 기부 영역(4)을 향한 하향 방향으로 계속하여 변위될 것이다.
접촉을 성립시키는 제1 위상에서, 제2 접촉 영역(6)은 피벗 지점 A에 대해 반시계 방향으로 (커넥터의 우측을 볼 때) 피벗 지점 A에 대해 효과적으로 회전한다. 피벗 지점 B에 대한 제2 빔 영역의 어떤 피벗팅이 일어날 것이지만, 이러한 제1 위상의 이동 중의 제2 접촉 영역(6)의 변위의 정미 효과는 좌측을 향해 이동하거나 하우징 및/또는 제2 전기 장치에 대해 실질적으로 정지 상태로 남아 있다는 것이다.
제2 위상의 결합 중, 피벗 지점 B에 대해 변위되는 것은 전도성 요소의 제2 빔 영역(8)일 것이다. 이 때, 이러한 지점에서, 제2 접촉 영역(6)은 하우징 및/또는 제2 전기 장치(17)에 대해 (도면에 대해 우측 접촉 요소를 볼 때) 우측을 향한 방향으로 이동하거나 적어도 (수평 방향으로) 정지 상태로 남아 있을 것이다.
기본적으로, 제2 접촉 영역(6)의 이동은 제1 위상의 이동 중 (도4에 대해) -X 방향으로 행해질 것이다. 제1 빔 영역(7)이 하우징의 스톱(16)과 접촉하면, 전도성 요소의 제2 접촉 영역(6)이 +X 방향으로 이동하는 제2 위상의 이동이 일어날 것이다. 제2 연결 지점 P의 이러한 합성 이동의 결과로서, +X 및 -X 방향으로의 그 변위는 제한될 수 있다. 적절한 기하 형상의 선택으로써, 제1 위상의 이동 중의 피벗 지점 B에 대한 제2 접촉 영역(6)의 이동은 제1 빔과 제2 빔 사이의 전이부가 기부 영역(4)과 제1 빔 영역(7) 사이의 전이부보다 그 결합 중 제2 전기 장치에 의해 인가된 힘에 효과적으로 더욱 강성인 것을 보증함으로써 제한될 수 있다. 제1 빔 및 제2 빔의 이동에 대한 상대적인 강성은 전도성 요소의 기하 형상의 결과로서 제공될 수 있다. 사실상, 제1 빔 영역 및 제2 빔 영역은 캔틸레버 빔으로서 변위 가능하므로, 빔의 길이뿐만 아니라 힘에 대한 형상 각도 모두 이동에 대한 그 강성을 지시할 것이다.
+X 및 -X 방향으로의 제한된 정도의 변위를 보증하도록 제2 접촉 영역의 변위에 합성 이동을 제공함으로써, 전도성 요소는 (+X 및 -X 방향으로의) 협소한 폭을 갖는다.
제1 빔 영역(7)은 수직선에 대해 예각으로 기부 영역(4)으로부터 연장한다. 제1 빔 영역은 0˚ 초과 그리고 45˚ 미만의 각도로 기부 영역으로부터 연장한다. 제1 빔 영역은 제1 위상의 이동 중 제1 빔 영역(7)의 회전의 (수직선에 대한) 방향으로 행해지는 각도로 기부 영역(4)으로부터 연장한다. 따라서, 제1 빔 영역(7)의 말단부는 기부 영역(4)의 일측을 향해 (수직 방향으로) 제공된다. 제1 빔 영역(7)의 말단부에서, 제2 빔 영역(8)으로의 전이부가 제공된다. 제2 빔 영역(8)은 제1 빔 영역(7)의 더욱 수직인 연장부보다 더욱 수평인 방향으로 제1 빔 영역(7)으로부터 연장한다. 제2 빔 영역(8)은 제1 빔 영역(7)으로부터 제2 접촉 영역(6)으로 연장한다. 사실상, 전도성 요소 설계의 결과로서, 2개의 빔 섹션은 변위에 대해 상이한 강성을 갖는다. 강성은 빔의 프로파일 및 기하 형상 그리고 빔들과 기부 사이의 전이부 등의 인자에 의해 결정된다. 독립적으로 작용할 때, 각각의 빔 영역은 하우징에 대해 상이한 방향으로 회전할 것이다. 힘이 접촉 영역(6)에 인가됨에 따라, 각각의 빔 영역은 힘의 평형 또는 물리 스톱(16)에 도달할 때까지 어떤 방향 및 크기로 회전한다. 힘의 평형 또는 물리 스톱이 각각의 빔 섹션에 도달하는 순서는 특정하게 설계되며 결과적으로 이동의 합성 효과가 성취되어 접촉 영역(6)의 최종 위치는 제어 및 제한된다. 물리 스톱(16)의 제공은 접촉 영역(6)의 최종 위치 및 이동의 큰 정도의 제어를 제공한다. 물리 스톱은 필수적일 필요는 없지만, 압축 중 전도성 요소의 확실한 2개의 위상 이동을 제공한다.
전도성 요소는 (압축 연결의 방향에 대해) 수직 성질을 갖는다. (압축 방향에 측면 방향으로의) 그 폭은 그 높이보다 작고, 양호한 형태에서, 높이 대 폭의 종횡비는 1.5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2를 초과한다.

Claims (45)

  1. 제1 전기 장치로의 제2 전기 장치의 선택적인 전기 연결을 위한 전기 커넥터이며,
    a) (제1 전기 장치와의 적어도 전기 접촉을 위한) 제1 접촉 영역과, b) 제1 피벗 축에 대해 편향 가능한 제1 빔 영역과, c) 제1 빔 영역에 연결되며 제2 피벗 축에 대해 제1 빔 영역에 관련하여 편향 가능한 제2 빔 영역과, d) 제2 빔 영역에 연결된 제2 접촉 영역을 갖고, 대부분의 굽힘 편향이 제1 피벗 축에 대해 행해지는 특징을 나타내는 제1 위상의 편향과, 대부분의 굽힘 편향이 제2 피벗 축에 대해 일어나는 특징을 나타내는 제2 위상의 굽힘을 갖는 적어도 1개의 전도성 요소와;
    적어도 1개의 절연 구성 요소(이하, "하우징")를 포함하며,
    전도성 요소는 하우징에 의해 그리고 하우징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위치되고,
    전도성 요소는 제1 비편향 상태 및 제2 편향 상태를 갖고, 제2 전기 장치에 의한 제2 접촉 영역으로의 진행 압축 인가 시의 그 중간에, 제1 위상의 편향은 제1 및 제2 빔 영역 사이의 지점이 하우징의 일부 상에서 결합할 때까지 일어나고,
    그 후, 압축 방향 그리고 피벗 축들 중 적어도 1개 모두에 직각인 제2 접촉 영역의 최소 편향을 갖는 제1 및 제2 전기 장치 사이의 전기 연결을 유지하기 위해, 제2 위상의 편향만 일어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각각의 전기 장치는 주요 표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3. 제2항에 있어서, 하우징의 일부는 주요 표면들 중 1개에 직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주요 표면은 평행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2 위상 굽힘은 제2 피벗 축에 대해서만 일어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피벗 축은 평행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피벗 축은 압축 방향에 직각이며 주요 표면에 평행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전도성 요소는 1 내지 3 이상의 높이 대 길이의 종횡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9. 제8항에 있어서, 높이는 압축 방향에 평행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압축 방향은 수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11. 제8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길이는 압축 방향 및 피벗 축 모두에 직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전도성 요소는 시트 재료로 평면 외부 굽힘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13. 제12항에 있어서, 전도성 요소는 시트 재료로 형성된 금속 스트립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14. 제13항에 있어서, 금속은 구리 합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전도성 요소의 편향은 탄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16.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우징은 플라스틱 재료 성형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17. 제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복수개의 전기 커넥터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18. 제17항에 있어서, 복수개의 커넥터는 나란한 선형 어레이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19. 제1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전도성 요소는 바브 보유부와 활주 결합한 상태로 하우징 내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20. 전기 커넥터 내에 포함되는 전도성 요소이며,
    a) (제1 전기 장치와의 적어도 전기 접촉을 위한) 제1 접촉 영역과,
    b) 제1 피벗 축에 대해 편향 가능한 제1 빔 영역과,
    c) 제1 빔 영역에 연결되며 제2 피벗 축에 대해 제1 빔 영역에 관련하여 편향 가능한 제2 빔 영역과,
    d) 제2 빔 영역에 연결된 제2 접촉 영역을 포함하고,
    전도성 요소는 대부분의 굽힘 편향이 제1 피벗 축에 대해 행해지는 특징을 나타내는 제1 위상의 편향과, 대부분의 굽힘 편향이 제2 피벗 축에 대해 일어나는 특징을 나타내는 제2 위상의 굽힘을 갖고,
    제1 위상의 편향은 제1 및 제2 빔 영역 사이의 지점이 하우징의 일부 상에서 정지할 때까지 일어나고,
    그 후, 압축 방향 그리고 피벗 축들 중 적어도 1개 모두에 직각인 제2 접촉 영역의 최소 편향을 갖는 제1 및 제2 전기 장치 사이의 전기 연결을 유지하기 위해, 제2 위상의 편향만 일어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성 요소.
  21. 제20항에 있어서, 제2 위상 굽힘은 제2 피벗 축에 대해서만 일어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성 요소.
  22. 제20항 또는 제21항에 있어서, 피벗 축 모두는 평행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성 요소.
  23. 제20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전도성 요소는 시트 재료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성 요소.
  24. 제20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전도성 요소는 시트 재료로 형성된 금속 스트립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성 요소.
  25. 제24항에 있어서, 금속은 구리 합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성 요소.
  26. 제20항 내지 제2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전도성 요소는 1 내지 3 이상의 높이 대 길이의 종횡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성 요소.
  27. 제26항에 있어서, 높이는 압축 방향에 평행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성 요소.
  28. 제20항 내지 제2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압축 방향은 수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성 요소.
  29. 제26항 내지 제2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길이는 압축 방향 및 피벗 축 모두에 직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성 요소.
  30. 제1 전기 장치의 회로 및 제2 전기 장치의 회로의 적어도 1개의 전기 트레이스를 상호 연결하는 압축 커넥터이며,
    a) 하우징에 대해 제1 빔 섹션의 이동 가능한 단부의 탄성 편향을 허용하도록 캔틸레버 방식으로 하우징에 체결되고, 전기 장치로의 적어도 전기 연결을 위해 제1 빔 영역의 또 다른 (바람직하게는 이동 불가능한) 단부에서 제1 접촉 영역을 갖는 제1 빔 섹션과, b) 제1 빔 섹션의 이동 가능한 단부로부터 캔틸레버 방식으로 그 제1 단부에서 연장하고, 제1 단부로부터 멀리 떨어져 빔을 따라 제공되며 제1 전기 장치의 전기 트레이스와 압축 방식으로 결합하여 제1 전기 장치의 전기 트레이스에 의해 편향 가능하도록 배치된 제2 접촉 영역을 갖는 제2 빔 섹션을 적어도 한정하도록 평면 외부 굽힘에 의해 형성된 시트 금속 재료의 적어도 1개의 전도성 요소를 장착하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전도성 요소는 제1 빔 섹션에 위에 재차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2 빔 섹션을 위치시키도록 평면 외부 굽힘에 의해 형성되고, 제2 접촉 영역은 수직 방향으로 하우징에 대해 제1 및 제2 빔 섹션에 의해 합성 캔틸레버 방식으로 편향 가능하도록 위치되고,
    압축 결합 방향에 횡단하는 방향으로 제2 빔 섹션의 제1 접촉 영역에 의해 전기 트레이스를 가로지르는 와이핑 작용은 빔의 기하 형상의 적절한 선택에 의해 소정 한계 내에서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 커넥터.
  31. 제30항에 있어서, 편향들은 동일한 평면 내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성 요소.
  32. 제30항 또는 제31항에 있어서, 전도성 요소는 1 내지 3 이상의 폭 대 높이의 종횡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성 요소.
  33. 제32항에 있어서, 높이는 압축 방향에 평행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성 요소.
  34. 제30항 내지 제3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압축 방향은 수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성 요소.
  35. 제34항에 있어서, 길이는 압축 방향에 직각이며 편향 평면에 평행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성 요소.
  36. 제30항 내지 제3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전도성 요소는 시트 재료로 형성된 금속 스트립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성 요소.
  37. 제36항에 있어서, 금속은 구리 합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성 요소.
  38. 제30항 내지 제3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전도성 요소의 편향은 탄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성 요소.
  39. 제30항 내지 제3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우징은 플라스틱 재료 성형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성 요소.
  40. 제30항 내지 제3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복수개의 압축 커넥터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성 요소.
  41. 제40항에 있어서, 복수개의 압축 커넥터는 나란한 선형 어레이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성 요소.
  42. 제30항 내지 제4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전도성 요소는 바브 보유부와 활주 결합한 상태로 하우징 내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성 요소.
  43. 제30항 내지 제4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접촉 영역도 제2 전기 장치에 전기 커넥터를 기계적으로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성 요소.
  44. 실질적으로 도2 내지 도5를 참조하여 전술된 제1항 내지 제43항 중 어느 한 항의 전기 커넥터.
  45. 실질적으로 도2 내지 도5를 참조하여 전술된 제1항 내지 제43항 중 어느 한 항의 전도성 요소.
KR1020057017811A 2003-03-25 2004-03-25 고밀도 전기 커넥터 KR10105901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SG200301490A SG118181A1 (en) 2003-03-25 2003-03-25 High density electrical connector
SG200301490-9 2003-03-25
PCT/SG2004/000070 WO2004086564A1 (en) 2003-03-25 2004-03-25 High density electrical connect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3248A true KR20050113248A (ko) 2005-12-01
KR101059012B1 KR101059012B1 (ko) 2011-08-23

Family

ID=330960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17811A KR101059012B1 (ko) 2003-03-25 2004-03-25 고밀도 전기 커넥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147477B2 (ko)
JP (1) JP2006521677A (ko)
KR (1) KR101059012B1 (ko)
CN (1) CN100511839C (ko)
SG (1) SG118181A1 (ko)
WO (1) WO200408656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G128503A1 (en) * 2005-06-17 2007-01-30 Fci Asia Technology Pte Ltd Compression connector
SG135983A1 (en) * 2006-03-09 2007-10-29 Fci Asia Technology Pte Ltd Compression connector
US7402049B2 (en) * 2006-08-24 2008-07-22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Contact for an interposer-type connector array
FI120069B (fi) * 2006-10-20 2009-06-15 Perlos Oyj Board-to-board liitin ja sovitelma kahden piirilevyn yhteydessä
CN201112688Y (zh) * 2007-03-16 2008-09-10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
US7556503B2 (en) * 2007-10-29 2009-07-07 Ardent Concepts, Inc. Compliant electrical contact and assembly
US7713069B2 (en) * 2008-05-02 2010-05-11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and assembly
JP5059712B2 (ja) * 2008-07-31 2012-10-31 オリンパスメディカルシステムズ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JP5320950B2 (ja) * 2008-10-01 2013-10-23 オムロン株式会社 コネクタ用接続端子およびこれを用いたコネクタ
US8512049B1 (en) 2011-03-25 2013-08-20 Western Digital Technologies, Inc. Solderless compression connector comprising constant width conducting elements housed substantially within a dielectric when installed
JP5935688B2 (ja) * 2012-12-28 2016-06-15 住友電装株式会社 磁気センサー、及び端子製造方法
JP7301582B2 (ja) * 2019-04-04 2023-07-03 株式会社日本マイクロニクス 電気的接触子及び電気的接続装置
TWM602744U (zh) * 2020-01-20 2020-10-11 唐虞企業股份有限公司 受力機構及其構成的連接器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3445A (en) * 1899-12-09 1900-12-11 William Kootz Girth.
US980323A (en) * 1910-06-17 1911-01-03 Peder Myrholm Hay-rack.
US3873173A (en) * 1973-10-05 1975-03-25 Itt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US3993384A (en) * 1975-05-12 1976-11-23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Connector block
US5378160A (en) * 1993-10-01 1995-01-03 Bourns, Inc. Compliant stacking connector for printed circuit boards
FR2714539B1 (fr) 1993-12-24 1996-01-26 Itt Composants Instr Connecteur électrique pour le raccordement d'une carte à mémoire électronique.
GB9513540D0 (en) * 1995-07-04 1995-09-06 Elco Europ Ltd Electrical connectors
US6077089A (en) * 1999-01-19 2000-06-20 Avx Corporation Low profile electrical connector
US6276941B1 (en) * 2000-02-22 2001-08-21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Board to board connector
US6625881B2 (en) 2001-09-11 2003-09-30 Xytrans, Inc. Solderless method for transferring high frequency, radio frequency signals between printed circuit boards
SG98466A1 (en) * 2001-12-28 2003-09-19 Fci Asia Technology Pte Ltd An electrical connector
US6663445B1 (en) 2002-08-02 2003-12-16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Electrical connector with staggered contac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SG118181A1 (en) 2006-01-27
US7147477B2 (en) 2006-12-12
JP2006521677A (ja) 2006-09-21
WO2004086564A1 (en) 2004-10-07
CN100511839C (zh) 2009-07-08
CN1765031A (zh) 2006-04-26
US20060172563A1 (en) 2006-08-03
KR101059012B1 (ko) 2011-08-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50009900B1 (ko) 전기부품용 소케트에 있어서의 접촉부
JP5000560B2 (ja) 電気コネクタ
US7306494B2 (en) Connector
KR940007695Y1 (ko) 코넥터
JP5615157B2 (ja) コネクタ及びそれに用いるコンタクト
KR100330863B1 (ko) 동축 커넥터
KR101059012B1 (ko) 고밀도 전기 커넥터
JP5135015B2 (ja) 電気コネクタ
EP1503458B1 (en) Electric connector
US9853382B2 (en) Connector
JP5941515B2 (ja) コネクタ
JP5166931B2 (ja) 電気コネクタ
US6299458B1 (en) Intermediate electrical connector
JPH10208823A (ja) 可撓性配線部材用コネクタ
KR20090067166A (ko) 가요성 케이블용 릴레이 커넥터
US7341470B2 (en) Electrical connector for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s
JP5501788B2 (ja) コネクタ
JP4576096B2 (ja) 電気コネクタ
JP2008522364A (ja) 圧縮コネクタ
JP2003045521A (ja) 電気接続用端子及びこれを用いた電気コネクタ
JP2002050423A (ja) フレキシブル基板接続用コネクタ
JP6441259B2 (ja) コネクタ
KR100815394B1 (ko) 안테나 급전구조
JP2004006192A (ja) コネクタ
JP3549851B2 (ja) 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3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