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9900B1 - 전기부품용 소케트에 있어서의 접촉부 - Google Patents

전기부품용 소케트에 있어서의 접촉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9900B1
KR950009900B1 KR1019920001883A KR920001883A KR950009900B1 KR 950009900 B1 KR950009900 B1 KR 950009900B1 KR 1019920001883 A KR1019920001883 A KR 1019920001883A KR 920001883 A KR920001883 A KR 920001883A KR 950009900 B1 KR950009900 B1 KR 9500099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spring
mounting
socket
spring porti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018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17301A (ko
Inventor
노리유끼 마쯔오까
Original Assignee
야마이찌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야마나까 가즈다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야마이찌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야마나까 가즈다까 filed Critical 야마이찌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9200173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173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99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990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01R13/11Resilient sockets
    • H01R13/112Resilient sockets forked sockets having two legs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전기부품용 소케트에 있어서의 접촉부
제1도는 본 발명의 1실시예에 따른 접촉부의 투시도.
제2도는 상기 접촉부의 측면도.
제3도는 상기 접촉부의 변위상태를 보여주는 측면도.
제4도는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접촉부의 측면도.
제5도는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접촉부의 측면도.
제6도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접촉부의 측면도.
제7도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접촉부의 측면도.
제8도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접촉부의 측면도.
제9도는 종래 접촉부의 측면도.
본 발명은 IC패키지와 같은 전기 부품의 단자와의 접촉에 사용되는 접촉부에 관한 것이다.
제9도에 보이는 IC용 소케트에서 흔히 사용되는 종래 접촉부(1)는 수평방향으로 뻗치는 지지부(2), 회로기판 또는 이와 유사한 것과 접촉하도록 지지부(2)로부터 연속적으로 하향으로 뻗치는 단자부(3), 지지부로부터 연속하여 수평의 일반적으로 U-형으로 굴곡된 방식으로 지지부위에 배치되는 스프링부(4) 및 수직 반발력을 가하기 위해 스프링부의 자유단에 형성된 그리고 IC의 외부단자를 그위에 장착하도록 되어 있는 장착접촉부(5)를 구비하며, 장착 접촉부(5)는 전기부품의 단자가 그위에 장착되어 압력이 가해질 때 U형의 스프링부(4)를 휘게하면서 하향으로 변위되는데, 그래서 장착 접촉부(5)는 반작용에 의해 전기부품위 단자와 압력접촉됩니다.
근년에는, 전자기술의 발달과 더불어 소형의 IC 소케트가 요구된다. 또한, IC소케트의 접촉부 및 IC의 외부단자의 소형화가 진행되고 있고, 그결과 그들 사이의 신뢰성있는 접촉관계의 실현이 현재 점증적으로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그들사이에 전기접촉관계를 얻기위해서 전기부품의 단자가 그위에 장착되는 형식의 종래 접촉부는 수평U형 스프링부가 접촉압력을 장착접촉부에 가하기 위해 반발력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변위될때 장착접촉부가 IC의 외부단자와 분리되는데 장착접촉부가 그 자신 하향으로 변위하면서 전방 또는 후방으로 과도하게 변위되는 성분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수평의 일반적으로 U형인 스프링부를 수용하기 위한 공간이 제한되므로, 스프링부의 형상이 장착접촉부의 전방향 및 후방향으로의 변위량을 줄이도록 변화되더라도 그 형상의 변화로 인한 장착접촉부의 전방향 및 후방향으로의 변위제어는 필연적으로 제한된다.
또한, TAB 패키지로 불리우는 종래의 IC패키지는 그 외부단자가 연한 Cu포일이므로 그 강도가 매우 약하고 접촉부의 장착접촉부가 상향 또는 하향으로 변위될때 그자신은 Cu포일과 마찰접촉되면서 전방 및 후방으로 이동되어 약하 외부단자가 변형되게 하는 결점을 가지고 있었다.
그래서 상기 언급된 결점을 제거할 수 있는 전기 부품소케이트의 접촉부를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의 일반목적이다.
본 발명의 특별 목적은 IC 또는 그와 유사한 것과 같은 전기부품의 단자가 반작용으로 인한 접촉압력을 얻도록 스프링부를 하향으로 변위시키기위해 스프링부의 말초단(distal end) 및 말초에 형성된 장착 접촉부에 장착되는데, 장착접촉부의 변위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고, 장착 접촉부가 하향으로 변위될때 장착접촉부의 전방향 및 후방향으로 변위성분이 필요한 범위내로 용이하게 제어될 수 있는 형식의 접촉부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전기부품 소케이트에서의 접촉부는 제1스프링부, 제1스프링부와 간격을 두고 떨어져 있으나 기저단(basal end) 및 말초단에서 제1스프링부에 연결되는 제1스프링부, 기저단사이의 연결부까지 연속적으로 이르고 배선기판 또는 그와 유사한 것과 접촉되도록 된 단자부 및 말초단 사이의 연결부에 형성되어 그위에 장착될 전기부품의 단자와 접촉되도록 된 장착접촉부를 포함하는데, 상기 제1 및 제2스프링부는 장착접촉부룰 하향으로 변위시키기위해 기저단 사이의 연결부 주위로 굽혀지고, 상기 장착 접촉부는 상기 제1및 제2스프링부의 반작용에 의해 그위에 장착된 전기부품의 단자와 압력접촉된다.
상기의 구성으로, 전기부품의 단자가 그위에 놓여져 하항력이 장착접촉부에 가해질때 제1 및 제2스프링부는 함께 아래로 굽혀져 장착접촉부가 하향으로 변위되도록 하고, 장착접촉부는 제1 및 제2스프링부의 반작용에 의해 그위에 장착딘 전기 부품의 단자와 압력접촉된다.
제1 및 제2스프링부가 함께 아래로 굽혀질때 또는 함께 위로 복원될때, 그들은 상호 전방향 또는 후방향이동을 제어하고, 그래서 장착접촉부는 거의 수직방향으로 하향 변위된다. 다른면으로는, 제1 및 제2스프링부의 외관, 칫수 및 배열을 적절히 결정함으로써, 장착접촉부의 전방향 또는 후방향으로의 변위량이 손쉽게 제한된 범위로 제어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서, 장착접촉부의 전방향 또는 후방향으로의 과도한 변위성분을 효과적으로 억제하거나 또는 제거함으로써, 장착접촉부가 전기부품의 미소한 단자로부터 분리되는 문제점 및 TAB 패키지의 단자가 손상되는 문제점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1실시에가 제1도 내지 제3도를 참조해서 설명될 것이다.
숫자 11은 전기부품소케트에 내장될 접촉부를 나타낸다. 접촉부(11)은 횡방향으로 뻗은 지지부(12a) 및 지지부(12a)로부터 솟아오른 수직 지지부(12b)로 형성된 역 T자모양의 지지부를 갖고 있다 횡지지부(12a)는 일반적으로 수평망향으로 뻗고, 수직지지부(12b)는 횡지지부(12a) 후단쪽으로 치우친 위치에서 일반적으로 수직방향으로 솟아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부(12)는 수직지지부(12b)로부터 동일거리만큼 횡방향으로 뻗은 제1직선 스프링부(14) 및 제2직선 스프링부(15)에 연결된다. 따라서, 제1 및 제2스프링부(14 및 15)는 수평지지부(12a)보다 높은 위치에 놓이고, 제1스프링부(14)는 제2스프링부(15)보다 높은 위치에 놓이고 제2스프링부(15)와 평형관계로 간격을 두고 떨어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및 제2스프링부(14 및 15)의 기저단은 수직지지부(12b)를 통해 상호 연결되고, 말초단은 장착접촉부(16)를 통해 상호연결된다.
따라서, 지지부(12)의 수직지지부(12b)는 제1 및 제2스프링부의 기저단 사이의 연결부를 형성하고 장착접촉부(16)는 제1 및 제2스프링부의 말초단사이의 연결부를 형성한다.
한편으로 장착접촉부(16)는 제1 및 제2스프링부(14 및 15)를 상호연결하고, 다른한편으로 그것은 수직방향으로 뻗어, 그것의 상단은 제1스프링부(14)의 전단으로부터 위로 내밀어 접촉단부(16a)를 형성하고, 접촉단부(16a)의 단면은 그위에 장착될 전기부품의 단자에 대해 장착접촉점(16c)으로서 역할한다. 따라서, 장착접촉부(16)는 하부에 제1 및 제2스프링부(14 및 15)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부(16b)를 가지고 있고, 상부에 접촉단부(16a)를 가지고 있다.
제1 및 제2스프링부(14 및 15)는 스프링의 외관으로 그리고 제1 및 제2스프링부(14 및 15)의 반발력이 동일한 단면형상으로 설계된다. 또한, 접촉지지부(12)의 수직지지부(12b)에 대한 연결형상은 접촉지지부(12)의 장착접촉부(16)에 대한 연결형상과 동일하다. 단자부(13)는 배선기판 또는 그와 유사한 것과 접촉하도록 횡지지부(12a)로부터 아래로 뻗는다. 따라서, 이를 도식적로 설명하면, 상기 제1 및 제2스프링부(14,15)간의 중심선(X)에 수직한 연결선(Y)를 따라, 말초단연결부(16b) 및 접촉단부(16a)를 갖는 장착접촉부(16)가 형성된다.
제3도에 보이는 것처럼, 전기부품의 단자 (18)가 장착접촉점(16c) 위에 장착되어 압력이 위로부터 장착접촉접(16c)에 가해질때, 제1 및 제2스프링부(제14 및 15)의 반발력에 대항해서 파선으로 나타낸 위치로부터 실선으로 나타낸 위치로 변위된다. 제1 및 제2스프링부(14 및 15)의 반작용은 장착접촉점(16c)이 전기부품의 단자(18)에 압력접촉되도록 장착접촉부(16) 즉 장착접촉부(16c)에 상향 접촉력을 가한다.
제1 및 제2스프링부(14 및 15)의 스프링 상수가 상기 변위가 주어지는 때에 동일하게 설정되는 경우에, 각 장착접촉부(16)에 대한 제1 및 제2 스프링부(14 및 15)의 각 연결부는 각 수직지지부(12b)에 대한 연결부에 대해 같은 방향으로 같은 거리만큼 변위된다. 그결과, 장착접촉부(16)는 거의 수직방향으로 변위되고, 제1 및 제2스프링부(14 및 15)의 전방향 및 후방향으로의 변위요소가 제거되거나 또는 최소화된다.
제4도 및 제5도는 다른 실시예를 보여준다.
제4에서, 제1스프링부는 제2스프링부(15)보다 짧게 형성된다. 그 결과, 장착접촉부(16)의 장착접촉부(16c)의 하향변위에서, 장차접촉부(16)에 대한 제1 및 제2스프링부(14 및 15)의 각 연결부는 상이한 방향으로 상이한 거리만큼 변위된다. 실제로, 장착접촉부(16)에 대한 제1스프링부(14)의 연결부는 장착접촉부(16)에 대한 제2스프링부(15)의 연결부보다 더큰 각도로 뒤로 변위된다. 이것은 장착접촉부(16)가 후방향 변위성분을 포함하여 하향으로 변위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결과, 장착접촉점(16c)은 장착접촉점(16c)이 하향으로 변위되는 동시에 한정된 칫수만큼 뒤로 변위된다. 이 후방향 변위량은 예를들어, 제1 및 제2스프링부의 길이를 적절하게 설정함으로써 전기부품의 단자의 면적의 범위내의 값으로 결정될 수 있다.
제5도에서, 제1스프링부(14)가 제2스프링부(15)보다 길게 형성되어 있다. 장착접촉부(16)의 장착접촉부(16c)의 하향 변위에서, 장착접촉부(16)에 대한 제1 및 제2스프링부(14 및 15)의 각 연결부는 상이한 방향으로 상이한 거리만큼 변위된다. 실제로, 장착접촉부(16)에 대한 제2스프링부(15)의 연결부는 장착접촉부(16)에 대한 제1스프링부(14)의 연결부보다 큰 각도로 후방향으로 변위된다. 이것은 장착접촉부(16)가 전방향 변위성분을 포함하여 아래 방향으로 변위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 결과, 장착접촉점(16c)은 장착접촉점(16c)이 하향으로 변위됨과 동시에 제한된 칫수만큼 전방향으로 변위된다. 이 전방향 변위량은 제1 및 제2스프링부간의 길이차를 선택함으로써 필요한 최소값까지 한정될 수 있다. 제4도 및 제5도에 보이는 실시예에서, 장착접촉점(16c)의 전방향 및 후방향으로의 과도한 변위가 억제될수 있고, 장착접촉점(16c)의 전방향 및 후방향으로의 변위량은, 위에서 언급된 저기부품의 단자(18)와의 마찰에 요구되는데, 상기 길이를 설정함으로써 제어될 수 있다.
상기 외에, 도면에 나타내지 않은 제1 및 제2스프링부(14 및 15)의 단면형상,위치관계,재질,길이등과 같은, 제1 및 제2스프링부(14 및 15)의 반발력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가지 인자를 변경함으로써, 접촉부의 크기를 증가시키지 않고, 즉 소케트의 크기를 증가시킴이 없이, 전방향 변위성분, 후방향변위성분 따위와 같은 장착접촉점(16c) 변위성분을 자유롭게 제어하면서 의도한 하향변위가 얻어질 수 있다.
제6도는 또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데, 접촉부(11)의 지지부(12)에 수직지지부(12b)가 제공되어 있지않고 제1및 제2스프링부(14 및 15)의 기저단은 횡지지부(12a)에 연결된다. 이때, 제1스프링부(14)는, 더높은 위치에 놓이는데, 제1 및 제2스프링부(14 및 15)의 스프링 길이를 가능한한 동일하게 하기위해 제6도의 가상선으로 나타낸것처럼 높은 강도를 갖는 지지편(19)이 기저단부에 제공될 수 있다. 제1및 제2스프링부(14 및 15)는 각각 기저단부에 굴곡부를 가지며, 이 굴곡부를 통해 횡지지부(12a)에 연결된다.
제7도의 또다른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스프링부(14 및 15)는 말초단부에서 상호연결되어 장착접촉부(16)에 연결된다.
또한, 제8도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데, 제1 및 제2스프링부(14 및 15)는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굴곡되어 각각 볼록곡선을 나타내고 횡방향으로 뻗는다. 이 실시예는 또한 스프링부(14 및 15)중 단하나만이 굴곡되는 구성을 포함한다. 이 실시예에서 제시하는 것처럼, 제1 및 제2스프링부(14 및 15)는 기저단부에서의 연결부와 말초단부에서의 연결부사이의 굴곡형상과 다른 여러가지 형상을 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제1도 내지 제3도에 보이는 실시예외에 제4도 내지 제8도에 보이는 실시예를 포함하고 또한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시되는 장착접촉형의 다른 변경된 실시에를 포함한다.
앞에서 기술된 것처럼, 본 발명에 따른 전기부품소케이트의 접촉부는 제1스프링부, 제1스프링부로부터 간격을 두고 떨어져 있다. 기저단 및 말초단에서 제1스프링부에 연결되는 제2스프링부, 기저단사이의 연결부에 연속하여 이르고 배선기판 또는 그와 유사한 것에 접촉되도록된 단자부, 및 말초단사이의 연결부에 형성되어 그위에 장착되는 전기부품의 단자와 접촉되도록된 장착접촉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스프링부는 장착접촉부를 하향으로 변위시키기위해 기저단 사이의 연결부 주위로 굽혀지고, 상기 장착접촉부는 상기 제1 및 제2스프링부의 반작용에 의해 그위에 장착된 전기부품의 단자와 압력 접촉된다.
따라서 제1 및 제2스프링부는 함께 하향으로 굽혀지거나 또는 함께 상향으로 복원될때 상호 전방향 또는 후방향 이동을 제어하므로, 장착접촉부는 거의 수직방향으로 하향으로 변위될 수 있다. 다른면에서는, 제1 및 제2스프링부의 길이,폭등의 차이를 형성함으로써, 전방향 또는 후방향으로의 변위량이 용이하게 제한된 범위내로 제어될 수 있다. 즉, 장착접촉부의 전방향 또는 후방향으로의 과도한 변위성분을 효과적으로 억제 또는 제거함으로써, 장착접촉부가 전기부품의 미소한 단지로부터 분리되는 문제점과 TAB 패키지의 단자가 손상되는 문제점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장착접촉점의 변위는 소케트의 크기를 증가시킴이 없이 자유롭게 제어될 수 있으며, 그결과, 소형화된 IC의 외부단자에 대해 거의 변위되지 않는 접촉부를 설계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또한, 장착접촉접의 전방향 및 후방향으로의 변위가 제어될 수 있으므로, 장착접촉접의 변위량이 필요한 범위로 제한될 수 있다. 그 결과, 안정된 전기접촉관계를 얻기위해서 와이핑 작용을 초래함로써, 장착접촉점 및 IC외부단자의 산화물 피막이 용이하게 닦여질 수 있다.

Claims (5)

  1. 전기부품을 수용하기 위한 소켓트에서 사용되는 접촉부에 있어서, 제1스프링부 ; 상기 제1스프링부로부터 간격을 두고 떨어져 있는 제2스프링부 ; 상기 제1 및 제2스프링부의 각 기저단 사이에 연결되는 기저단 연결부 ; 상기 제1 및 제2스프링부의 말초단 사이에 연결되며, 상기 제1 및 제2스프링간의 중심선(X)에 수직한 연결선(Y)를 따라연장되는 말초단 연결부 ; 기저단 연결부에 연결되며 배선기판을 비롯한 그와 유사한 것으로 접촉하게 되도록 개조된 단자부 ; 및 상기 말초단연결부상에 위치하는 접촉단부를 포함하되, 상기 접촉단부는 상기 말초단연결부로부터 상기 연결선(Y)의 방향으로 상기 중심선(X)과 수직하게 연장되며, 상기 연결선(Y)의 방향에서 상기 말초단연결부로부터 떨어져 있고, 상기 제1 및 제2스프링부를 구부리기 위해 상기 말초단 연결부쪽에서 실질적으로 상기 연결선(Y)방향으로 상기 접촉단부를 이동시키며, 자유단상에는 소켓안에 삽입되는 전기부품의 단자에 의해 접촉되도록 조절되는 장착접촉점을 갖고 있어, 구부려진 제1 및 제2스프링부의 탄성에 의해 상기 장착 접촉점과 전기부품의 단자 사이의 전기적 접촉을 완전하게 하되, 상기 장착접촉점은 실질적으로 상기 연결선(Y)과 평행하게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부품용 소케트에 있어서의 접촉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스프링부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구부려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부품용 소케트에 있어서의 접촉부.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스프링부는 일반적으로 길이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부품용 소케트에 있어서의 접촉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스프링부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구부려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부품용 소케트에 있어서의 접촉부.
  5. 전기부품을 수용하기 위한 소켓트에서 사용되는 접촉부에 있어서, 제1스프링부 ; 상기 제1스프링부로부터 간격을 두고 떨어져 있으며 상기 제1스프링부와는 상이한 길이를 갖는 제2스프링부 ; 제1 및 제2스프링부의 각 기저단 사이에 연결되는 기저단 연결부 ; 상기 제1 및 제2스프링부의 말초단 사이에 연결되며 상기 제1 및 제2스프링간의 중심선(X)에 수직한 연결선(Y)을 따라 연장되는 말초단 연결부 ; 기저단 연결부에 연결되며 배선기판을 비롯한 그와 유사한 것으로 접촉하게 되도록 개조된 단자부 ; 및 상기 말초단연결부상에 위치하는 접촉단부를 포함하되, 상기 접촉단부는 상기 말초단연결부로부터 상기 연결선(Y)의 방향으로 상기 중심선(X)과 수직하게 연장되며,상기 연결선(Y)의 방향에서 상기 말초단연결부로부터 떨어져있고, 상기 제1 및 제2스프링부를 구부리기 위해 상기 말초단 연결부쪽에서 실질적으로 상기 연결선(Y)방향으로 상기 접촉단부를 이동시키며, 자유단상에는 소켓안에 삽입되는 전기부품의 단자에 의해 접촉되도록 조절하는 장착접촉점을 갖고 있어, 구부려진 제1 및 제2스프링부의 탄성에 의해 상기 장착접촉점과 전기부품의 단자 사이의 전기적 접촉을 완전하게 하되, 상기 장착접촉점이 한정된 만큼의 전ㆍ후방향 성분을 갖고서, 의도된 하향운동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부품용 소케트에 있어서의 접촉부.
KR1019920001883A 1991-02-19 1992-02-10 전기부품용 소케트에 있어서의 접촉부 KR95000990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103656A JPH07109780B2 (ja) 1991-02-19 1991-02-19 電気部品用ソケットにおけるコンタクト
JP91-103656 1991-02-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7301A KR920017301A (ko) 1992-09-26
KR950009900B1 true KR950009900B1 (ko) 1995-09-01

Family

ID=143598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01883A KR950009900B1 (ko) 1991-02-19 1992-02-10 전기부품용 소케트에 있어서의 접촉부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5286208A (ko)
EP (1) EP0500227B1 (ko)
JP (1) JPH07109780B2 (ko)
KR (1) KR950009900B1 (ko)
CA (1) CA2060632A1 (ko)
DE (1) DE69203745D1 (ko)
MY (1) MY108180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063541B2 (en) 1997-03-17 2006-06-20 Formfactor, Inc. Composite microelectronic spring structure and method for making same
US6491968B1 (en) 1998-12-02 2002-12-10 Formfactor, Inc. Methods for making spring interconnect structures
US6672875B1 (en) * 1998-12-02 2004-01-06 Formfactor, Inc. Spring interconnect structures
KR20070087060A (ko) * 1998-12-02 2007-08-27 폼팩터, 인크. 전기 접촉 구조체의 제조 방법
US6056576A (en) * 1999-04-26 2000-05-02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ZIF socket with top loading contacts
US6794890B1 (en) 1999-07-27 2004-09-21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Test socket, method of manufacturing the test socket, test method using the test socket, and member to be tested
US6888362B2 (en) * 2000-11-09 2005-05-03 Formfactor, Inc. Test head assembly for electronic components with plurality of contoured microelectronic spring contacts
US6939474B2 (en) * 1999-07-30 2005-09-06 Formfactor, Inc. Method for forming microelectronic spring structures on a substrate
US6780001B2 (en) * 1999-07-30 2004-08-24 Formfactor, Inc. Forming tool for forming a contoured microelectronic spring mold
US7189077B1 (en) 1999-07-30 2007-03-13 Formfactor, Inc. Lithographic type microelectronic spring structures with improved contours
US6672912B2 (en) * 2000-03-31 2004-01-06 Intel Corporation Discrete device socket and method of fabrication therefor
DE10027125A1 (de) 2000-05-31 2001-12-06 Wabco Gmbh & Co Ohg Elektrischer Steckkontakt
US6633484B1 (en) 2000-11-20 2003-10-14 Intel Corporation Heat-dissipating devices, systems, and methods with small footprint
US6501655B1 (en) 2000-11-20 2002-12-31 Intel Corporation High performance fin configuration for air cooled heat sinks
WO2002041396A2 (en) * 2000-11-20 2002-05-23 Intel Corporation High performance heat sink configurations for use in high density packaging applications
US6388207B1 (en) 2000-12-29 2002-05-14 Intel Corporation Electronic assembly with trench structures and methods of manufacture
US6811406B2 (en) 2001-04-12 2004-11-02 Formfactor, Inc. Microelectronic spring with additional protruding member
US6671172B2 (en) * 2001-09-10 2003-12-30 Intel Corporation Electronic assemblies with high capacity curved fin heat sinks
US7265565B2 (en) 2003-02-04 2007-09-04 Microfabrica Inc. Cantilever microprobes for contacting electronic components and methods for making such probes
US10416192B2 (en) 2003-02-04 2019-09-17 Microfabrica Inc. Cantilever microprobes for contacting electronic components
US7265562B2 (en) * 2003-02-04 2007-09-04 Microfabrica Inc. Cantilever microprobes for contacting electronic components and methods for making such probes
US7567089B2 (en) * 2003-02-04 2009-07-28 Microfabrica Inc. Two-part microprobes for contacting electronic components and methods for making such probes
US20080106280A1 (en) * 2003-02-04 2008-05-08 Microfabrica Inc. Vertical Microprobes for Contacting Electronic Components and Method for Making Such Probes
CN100343676C (zh) 2003-05-13 2007-10-17 日本麦可罗尼克斯股份有限公司 通电试验用探针
TW200536039A (en) * 2003-12-31 2005-11-01 Microfabrica Inc Cantilever microprobes for contacting electronic components and methods for making such probes
JP4592292B2 (ja) * 2004-01-16 2010-12-01 株式会社日本マイクロニクス 電気的接続装置
CN2800519Y (zh) * 2005-04-28 2006-07-26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
JP2008196914A (ja) * 2007-02-09 2008-08-28 Micronics Japan Co Ltd プローブおよびプローブ組立体
US20090009197A1 (en) * 2007-07-02 2009-01-08 Kabushiki Kaisha Nihon Micronics Probe for electrical test
US7589547B2 (en) * 2007-09-13 2009-09-15 Touchdown Technologies, Inc. Forked probe for testing semiconductor devices
DE102008023761B9 (de) * 2008-05-09 2012-11-08 Feinmetall Gmbh Elektrisches Kontaktelement zum Berührungskontaktieren von elektrischen Prüflingen sowie entsprechende Kontaktieranordnung
US8089294B2 (en) * 2008-08-05 2012-01-03 WinMENS Technologies Co., Ltd. MEMS probe fabrication on a reusable substrate for probe card application
US7737714B2 (en) * 2008-11-05 2010-06-15 Winmems Technologies Holdings Co., Ltd. Probe assembly arrangement
US7928751B2 (en) * 2009-02-18 2011-04-19 Winmems Technologies Holdings Co., Ltd. MEMS interconnection pins fabrication on a reusable substrate for probe card application
JP4883215B1 (ja) * 2010-10-29 2012-02-22 オムロン株式会社 端子およびこれを用いたコネクタ
JP4811530B1 (ja) * 2010-11-04 2011-11-09 オムロン株式会社 端子およびこれを用いたコネクタ
JP5083427B2 (ja) * 2011-03-14 2012-11-28 オムロン株式会社 端子およびこれを用いたコネクタ
JP5083426B2 (ja) * 2011-03-14 2012-11-28 オムロン株式会社 端子およびこれを用いたコネクタ
US9702904B2 (en) 2011-03-21 2017-07-11 Formfactor, Inc. Non-linear vertical leaf spring
US9052342B2 (en) 2011-09-30 2015-06-09 Formfactor, Inc. Probe with cantilevered beam having solid and hollow sections
JP2014013184A (ja) * 2012-07-04 2014-01-23 Micronics Japan Co Ltd カンチレバー型プローブ集合体とそれを備えるプローブカード又はプローブユニット
US9086433B2 (en) 2012-12-19 2015-07-2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Rigid probe with compliant characteristics
DE102017209510A1 (de) * 2017-06-06 2018-12-06 Feinmetall Gmbh Kontaktelementsystem
EP3499653B1 (en) * 2017-12-12 2021-08-18 Rasco GmbH Contactor spring and contactor socket
US11262383B1 (en) 2018-09-26 2022-03-01 Microfabrica Inc. Probes having improved mechanical and/or electrical properties for making contact between electronic circuit elements and methods for making
US11768227B1 (en) 2019-02-22 2023-09-26 Microfabrica Inc. Multi-layer probes having longitudinal axes and preferential probe bending axes that lie in planes that are nominally parallel to planes of probe layers
JP7353859B2 (ja) * 2019-08-09 2023-10-02 株式会社日本マイクロニクス 電気的接触子及び電気的接続装置
JP2021028603A (ja) * 2019-08-09 2021-02-25 株式会社日本マイクロニクス 電気的接触子及び電気的接続装置
US11802891B1 (en) 2019-12-31 2023-10-31 Microfabrica Inc. Compliant pin probes with multiple spring segments and compression spring deflection stabilization structures, methods for making, and methods for using
US11761982B1 (en) 2019-12-31 2023-09-19 Microfabrica Inc. Probes with planar unbiased spring elements for electronic component contact and methods for making such probes
US11774467B1 (en) 2020-09-01 2023-10-03 Microfabrica Inc. Method of in situ modulation of structural material properties and/or template shape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88085A (en) * 1978-09-27 1980-02-12 Burroughs Corporation High density solder tail connector assembly for leadless integrated circuit packages
US4362353A (en) * 1980-05-27 1982-12-07 Amp Incorporated Contact clip for connecting a ceramic substrate to a printed circuit board
US4370012A (en) * 1980-11-20 1983-01-25 Amp Incorporated Electrical connector for circuit board or substrate
JPS61150249A (ja) * 1984-12-24 1986-07-08 Toshiba Corp 半導体装置用ソケツトピン
US4832617A (en) * 1988-03-31 1989-05-23 Foxx Conn International, Inc. Circuit board socket, contact and method of manufacture
CA1303175C (en) * 1988-04-27 1992-06-09 Imants R. Lauks Static-free interrogating connector for electric components
JP2602551B2 (ja) * 1989-06-13 1997-04-23 山一電機工業株式会社 バイパス片を有するコンタクト
US4995816A (en) * 1989-09-29 1991-02-26 Amp Incorporated Pivotal electrical contact
US4959029A (en) * 1989-08-18 1990-09-25 Amp Incorporated Electrical contact
US5100338A (en) * 1990-08-31 1992-03-31 Foxconn International, Inc. Contact for circuit board socke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500227A3 (en) 1992-11-25
KR920017301A (ko) 1992-09-26
EP0500227B1 (en) 1995-08-02
JPH0594856A (ja) 1993-04-16
US5286208A (en) 1994-02-15
EP0500227A2 (en) 1992-08-26
MY108180A (en) 1996-08-30
JPH07109780B2 (ja) 1995-11-22
CA2060632A1 (en) 1992-08-20
DE69203745D1 (de) 1995-09-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50009900B1 (ko) 전기부품용 소케트에 있어서의 접촉부
USRE33268E (en) Chip carrier socket having improved contact terminals
KR101919691B1 (ko) 커넥터
JP4969838B2 (ja) フローティングタイプコネクタ
US8092232B2 (en) Board-to-board connector
US6561819B1 (en) Terminals of socket connector
US5277621A (en) Electric connector terminal mount
US6039590A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relatively movable two-part housing
US7156705B2 (en) Electrical connector
US6884108B2 (en) Connector for flexible printed circuit
KR20060039930A (ko) 커넥터
EP0867979B1 (en) Connector
EP1349240B1 (en) Connector in which movement of contact portion of contact is guided by insulator
US6508675B1 (en) Electrical connector configured by wafers including moveable contacts
US7147477B2 (en) High density electrical connector
US4645277A (en) Connector for connecting boards
EP1159772B1 (en) Board-mounted connector
US4232923A (en) Electrical connector
EP1416590A1 (en) Connector efficiently forming a standoff region
JPH05251119A (ja) 保持部付きコネクタ
US5938464A (en) Circuit board electrical connector with latch
US5899756A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slider
JP3687886B2 (ja) 基板実装コネクタ
JP2717365B2 (ja) Zifコネクタ装置
KR20000005151U (ko) 플렉시블 팔레트 케이블 콘넥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