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0428B1 - 에너지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사용한 도료 - Google Patents

에너지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사용한 도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0428B1
KR101770428B1 KR1020100134886A KR20100134886A KR101770428B1 KR 101770428 B1 KR101770428 B1 KR 101770428B1 KR 1020100134886 A KR1020100134886 A KR 1020100134886A KR 20100134886 A KR20100134886 A KR 20100134886A KR 101770428 B1 KR101770428 B1 KR 1017704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rylate
energy ray
meth
resin composition
curable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348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74720A (ko
Inventor
마키 키타자와
토시유키 오니시
Original Assignee
다이이치 고교 세이야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이치 고교 세이야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이치 고교 세이야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0747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747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04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0428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3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3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9D133/1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halogen, nitrogen, sulfur or oxygen atoms in addition to the carboxy oxygen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75/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75/04Polyurethanes
    • C09D175/14Polyurethanes ha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cromonomer-Based Addition Polymer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 Polyurethanes Or Polyureas (AREA)

Abstract

부틸렌 옥사이드의 개환 중합에 의해 얻어지는 폴리에테르 사슬부분을 포함하는 폴리에테르폴리올 및/또는 폴리테트라메틸렌에테르글리콜(A)과 유기 폴리이소시아네이트(B)와 분자 내에 수산기를 함유하는 (메타)아크릴레이트(C)를 반응시켜 얻어지는 우레탄아크릴레이트이고, 상기 (메타)아크릴레이트 유래의 이중 결합 함유량이 1.8㏖/㎏ 이상인 우레탄아크릴레이트를 함유하는 에너지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사용한 도료를 제공하는 것에 의해, 내오염성, 내손상성을 양호하게 할 수 있고, 또한 저흡수성을 실현하였다.

Description

에너지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사용한 도료{ENERGY RAY-CURABLE RESIN COMPOSITION AND PAINT USING SAME}
본 발명은, 에너지선 조사에 의해 경화 가능한 에너지선 경화형 도료용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사용한 도료에 관한 것이다.
바닥이나 벽으로 대표되는 건축재료, 구조물, 기타 각종 성형물에는, 더러워지는 것을 방지하고, 베이스재의 보호 및 미관을 유지하기 위하여, 도료를 코팅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도료로서, 종래에는 합성 수지를 용제로 하여 용해한 용제 타입이 일반적이었지만, 작업 환경이나 화기에 대한 위험성 등을 배려하여, 에너지선 경화형 수지를 사용한 에너지선 경화 타입이 다양하게 개발되어, 화장판(decorative board)의 코팅, 목공용 도료, 종이 코팅, 레지스트용 재료, 접착제 등 많은 분야에서 실용화되고 있다.
이러한 코팅 용도에 대한 중요한 요구 항목으로서는, 내오염성, 내손상성, 내구성을 들 수 있다. 흠집이 잘나지않기 위해서는, 가교 밀도를 높이거나, 염료 첨가 등의 수단을 이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특허문헌 1). 또한, 부착된 오물을 제거하기 쉽게 하기 위하여, 불소계 표면 개질제를 병용한 것이나, 조성물 골격 중에 특정 구조를 갖는 것 등, 다양한 타입의 도료가 개발되고 있다(특허문헌 2, 3).
내구성을 좌우하는 요인의 하나로는 도료의 흡수성을 들 수 있고, 흡수성이 높으면 도막의 균열이나 박리의 원인이 되기 쉽다.
또한, 가교 밀도를 높이는 것에 의해, 어느 정도 내오염성을 향상시키고, 흡수성을 어느 정도 낮출 수는 있지만, 가교 밀도만으로는 한계가 있다. 또한, 가교 밀도의 상승에 동반하여, 내부 응력에 의해 도막에 균열이 쉽게 생기게 되는 문제가 발생하는 경향도 있다.
일본국 공개특허 2009-30047호 공보 일본국 공개특허 2000-34334호 공보 일본국 공개특허 h8-217840호 공보
상기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내오염성, 내손상성이 더욱 향상되고, 또한 흡수성이 낮고, 이에 따라 도막의 균열이나 박리가 쉽게 발생하지 않고, 내구성에 우수한 도막을 얻을 수 있는, 에너지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 및 도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에너지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은, 부틸렌 옥사이드의 개환 중합(ring opening polymerization)에 의해 얻어지는 폴리에테르 사슬부분을 포함하는 폴리에테르폴리올 및/또는 폴리테트라메틸렌에테르글리콜(A)과 유기 폴리이소시아네이트(B)와 분자 내에 수산기를 함유하는 (메타)아크릴레이트(C)를 반응시켜 얻어지는 우레탄아크릴레이트이고, 상기 (메타)아크릴레이트(C) 유래의 이중 결합 함유량이 1.8㏖/㎏ 이상인 우레탄아크릴레이트를 함유하는 것으로 한다.
상기에 있어서 (A) 성분과 (B) 성분의 비율은, (A) 중의 폴리에테르폴리올 및/또는 폴리테트라메틸렌에테르글리콜의 수산기 총몰수 (a)와, (B) 중의 유기 폴리이소시아네이트의 이소시아네이트기 총몰수 (b)의 몰비가, (a):(b)=1.0:1.1∼1.0:4.0 범위의 비율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에너지선 경화형 도료는, 상기 본 발명의 에너지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을 함유하여 구성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내오염성, 내손상성이 더욱 향상되고, 흡수성이 낮고, 이에 따라 도막의 균열이나 박리가 쉽게 발생하지 않고, 내구성에 우수한 도막을 얻을 수 있는, 에너지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 및 도료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A) 성분 중, 부틸렌 옥사이드의 개환 중합에 의해 얻어지는 폴리에테르 사슬부분을 포함하는 폴리에테르폴리올의 예로서는, 폴리부틸렌글리콜, 트리메틸올프로판 등의 폴리올의 부틸렌 옥사이드 부가물을 들 수 있다. 이들 폴리에테르폴리올(A)은 분자량이 200∼3000인 것이 바람직하고, 300∼1500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분자량이 200 미만이면 경화 도막의 흡수율이 높아지는 경향이 있고, 3000 이상이면 표면경도가 낮아지고, 내오염성도 악화되는 경향이 있다.
또한, 다른 (A) 성분인 폴리테트라메틸렌에테르글리콜은, 분자량이 200∼3000인 것이 바람직하고, 300∼1500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분자량이 200 미만이면 경화 도막의 흡수율이 높아지는 경향이 있고, 3000 이상이면 표면경도가 낮아지고, 내오염성도 악화되는 경향이 있다.
또한, 유기 폴리이소시아네이트(B)의 예로서는, 수소첨가 MDI(4,4'디페닐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크실릴렌 디이소시아네이트; 톨릴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을 들 수 있고, 이들을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또는 복수 종을 병용할 수 있다. 내후성의 관점에서, 수소첨가 MDI 또는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를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또는 이들을 병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수산기 함유 (메타)아크릴레이트(C)의 예로서는, 2-하이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프로필 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프로필 메타크릴레이트; 4-하이드록시부틸 아크릴레이트; 카프로락톤 변성-2-하이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 모노아크릴산 에스테르; 폴리프로필렌글리콜 모노아크릴산 에스테르; 펜타에리스리톨 트리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리톨 펜타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고, 이들을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또는 복수 종을 병용할 수 있다. 이 중에서도 2-하이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프로필 아크릴레이트 및 펜타에리스리톨 트리아크릴레이트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상기 (A) 성분과 (B) 성분의 비율은, (A) 중의 폴리에테르폴리올 및/또는 폴리테트라메틸렌에테르글리콜의 수산기 총몰수 (a)와, (B) 중의 유기 폴리이소시아네이트의 이소시아네이트기 총몰수 (b)의 몰비가, (a):(b)=1.0:1.1∼1.0:4.0 범위의 비율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0:1.2∼1.0:3.0 범위의 비율로 한다. (A) 성분의 몰비가 감소하여, (A) 성분의 중량비가 너무 작아지면, 충분한 내오염성이나 내수성을 발현할 수 없게 되고, 한편, (A) 성분의 몰비가 증가하여 분자량이 너무 커지면, 이 역시 충분한 내오염성이나 내수성을 발현할 수 없게 된다.
또한, (C) (메타)아크릴레이트는, 이 (C) 성분 유래의 이중 결합 우레탄아크릴레이트 중의 함유량이 1.8㏖/㎏ 이상, 바람직하게는 1.8㏖/㎏ 이상 10㏖/㎏ 이하의 비율로 사용한다. 이중 결합의 량이 이보다 적으면 표면경도가 낮아져, 내오염성이 악화되는 경향이 있다. 이중 결합의 량에 대해서는, 에너지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 1㎏ 중의 아크릴산 에스테르의 몰수에 의해 구해진다.
본 발명의 우레탄아크릴레이트는, 공지의 방법으로 합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소정량의 (A) 성분 및 (B) 성분을 일괄로 투입하여, 70∼80℃에서 소정의 유리 이소시아네이트 량으로 될 때까지 반응시키고, 나아가 하이드로퀴논 모노메틸에테르 등의 중합 금지제의 존재하에서, (C) 성분을 일괄로 투입하여, 70∼80℃에서 유리 이소시아네이트기가 사라질 때까지 가온/교반하는 것에 의해 합성할 수 있다. 이때, 반응을 촉진시키기 위하여, 디부틸틴디라우레이트 등의 주석계 촉매를 첨가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에너지선 경화형 도료는, 상기 우레탄아크릴레이트를 함유하는 것이고, 초산에틸, 메틸에틸케톤 등의 유기용제 또는 모노머류로 희석할 수 있다. 모노머로 희석할 때에는, 본 발명의 우레탄아크릴레이트의 함유율을 50중량%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희석에 사용하는 모노머는, 저점도 (메타)아크릴레이트화합물 등 공지 관용의 것을 사용할 수 있지만, 그 중에서도 대표적인 것으로서,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 스티렌;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아크릴로일 모르폴린; 테트라하이드로퍼퓨릴(메타)아크릴레이트; 페녹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보닐(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렌글리콜 디(메타)아크릴레이트; 프로필렌글리콜 디(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 디(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프로필렌글리콜 디(메타)아크릴레이트; 1,4-부탄디올-디(메타)아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디(메타)아크릴레이트; 1,9-노난디올-디(메타)아크릴레이트; EO(에틸렌 옥사이드, 이하 동일) 변성 비스페놀 디(메타)아크릴레이트; PO(프로필렌 옥사이드, 이하 동일) 변성 비스페놀 디(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EO 변성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PO 변성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 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스((메타)아크릴옥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 디펜타에리스리톨 헥사(메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리톨 펜타(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복수 종을 병용해도 좋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는 활성 에너지선에 의한 중합 개시제를 필요에 따라 첨가한다. 여기서 말하는 "활성 에너지선에 의한 중합 개시제"는, 광중합 개시제와 자외선 등의 활성 에너지선에 의한 중합 개시제 모두를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광중합 개시제로서는, 예를 들면, 벤조페논 등의 방향족 케톤류, 안트라센(anthracene), α-클로로메틸 나프탈렌 등의 방향족 화합물, 디페닐 설파이드, 티오카바메이트 등의 황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가시광 이외의 자외선 등 활성 에너지선에 의한 중합 개시제로서는, 예를 들면, 아세토페논; 아세토페논 벤질케탈; 1-하이드록시 시클로헥실 페닐케톤; 2,2-디메톡시-1,2-디페닐에탄-1-온; 크산톤; 플루오레논; 벤즈알데히드; 플루오렌; 안트라퀴논; 트리페닐아민; 카바졸; 3-메틸아세토페논; 4-클로로벤조페논; 4,4'디메톡시벤조페논; 4,4'디아미노벤조페논; 벤조인 프로필 에테르; 벤조인 에틸에테르; 벤질디메틸케탈; 1-(4-이소프로필페닐)-2-하이드록시-2-메틸프로판-1-온; 2-하이드록시-2-메틸-1-페닐프로판-1-온; 티오크산톤; 디에틸 티오크산톤; 2-이소프로필 티오크산톤; 2-클로로 티오크산톤; 2-메틸-1-[4-(메틸티오)페닐]-2-모르폴리노프로판-1-온; 2-벤질-2-디메틸 아미노-1-(4-모르폴리노페닐)-부타논-1,4-(2-하이드록시에톡시)페닐(2-하이드록시-2-프로필)케톤; 2,4,6-트리메틸벤조일 디페닐포스핀 옥사이드; 비스-(2,6-디메톡시벤조일)-2,4,4-트리메틸 펜틸포스핀 옥사이드; 올리고(2-하이드록시-2-메틸-1-(4-(1-메틸 비닐)페닐)프로파논); 등을 들 수 있다.
활성 에너지선에 의한 중합 개시제의 시판품으로서는, 예를 들면, "CIBA SPECIALTY CHEMICALS"사에서 제조한 상품명: IRGACURE 184, 369, 651, 500, 819, 907, 784, 2959, 1000, 1300, 1700, 1800, 1850, DAROCUR 1116, 1173, "BASF"사에서 제조한 상품명: Lucirin TPO, "UCB"사에서 제조한 상품명: Ubecryl P36, "FRATELLI LAMBERTI"사에서 제조한 상품명: Esacure KIP150, KIP100F, KT37, KT55, KTO46, TZT, KIP75LT, "Nippon Kayaku"사에서 제조한 상품명: KAYACURE DETX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활성 에너지선 개시제에 래디컬 중합 개시제를 병용할 수도 있다. 래디컬 중합 개시제로서는, 예를 들면, 과산화 벤조일; 메틸 시클로헥사논 퍼옥사이드; 큐멘하이드로 퍼옥사이드; 디이소프로필벤젠 퍼옥사이드; 디-t-부틸 퍼옥사이드; t-부틸 퍼옥시벤조에이트; 디이소프로필 퍼옥시카보네이트; t-부틸 퍼옥시이소프로필모노카보네이트; 등의 유기과산화물, 2,2'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AIBN) 등의 아조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중합 개시제의 함유량은 그 종류 등에 의해 다르지만, 목표로서는 우레탄아크릴레이트 100중량부에 대하여 1∼8중량부이다. 함유량이 너무 적으면 활성 에너지선 감도가 불충분해지고, 너무 많으면 도막의 깊은 부분까지, 활성 에너지선이 충분히 도달하지 않아, 도막의 깊은 부분의 경화성이 저하하는 경향이 있다.
본 발명의 에너지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 또는 도료는, 상기 우레탄아크릴레이트, 유기용제 또는 모노머류, 각종 개시제 이외에, 염료 및 도료조성물에 통상 포함되는 각종 첨가제를 필요에 따라 첨가할 수 있다. 첨가제의 예로서는, 광안정제, 자외선 흡수제, 촉매, 레벨링제, 소포제(antifoaming agent), 중합 촉진제, 산화 방지제, 난연제(flame retarder), 적외선 흡수제 등을 들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사용한 도료를 경화시키는 에너지선원은 특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로서는, 고압 수은 램프, 전자선, γ선, 카본 아크 램프, 크세논 램프, 메탈 할라이드 램프 등을 들 수 있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및 비교예에 의해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 이하에 있어서 "부" 및 "%"는, 특히 한정하지 않는 한, 모두 중량기준인 것으로 한다.
1. 부틸렌 옥사이드의 개환 중합에 의해 얻어지는 폴리에테르 사슬부분을 포함하는 폴리에테르폴리올의 제조예 [폴리부틸렌글리콜(분자량 400)의 제조] 스테인리스강으로 제조된 오토클레이브(autoclave)에 1,3-부틸렌글리콜 90g(1몰), 1,2-부틸렌 옥사이드 310g(4.3몰), 수산화 칼륨 0.45g을 첨가한 후, 오토클레이브 내를 질소 치환하였다. 이어서, 온도를 120℃까지 승온하고, 이 온도에서 압력 0.1㎫으로 유지하여, 12시간 반응시켰다. 반응 종료 후, 감압 의해 미반응 1,2-부틸렌 옥사이드를 제거하고, 폴리부틸렌글리콜(분자량 400)을 얻었다.
[폴리부틸렌글리콜(분자량 1000)의 제조] 1,2-부틸렌 옥사이드 310g(4.3몰)을 910g(12.6몰)으로 변경한 이외에는 상기와 동일하게 반응시켜, 폴리부틸렌글리콜(분자량 1000)을 얻었다.
[폴리부틸렌글리콜(분자량 3000)의 제조] 1,2-부틸렌 옥사이드 310g(4.3몰)을 2910g(40.3몰)으로 변경한 이외에는 상기와 동일하게 반응시켜, 폴리부틸렌글리콜(분자량 1000)을 얻었다.
[트리메틸올프로판의 부틸렌 옥사이드 7몰 부가체의 제조] 1,3-부틸렌글리콜 90g(1몰)을 트리메틸올프로판 134.1g(1몰)으로 변경하고, 1,2-부틸렌 옥사이드 310g(4.3몰)을 507.7g(7몰)으로 변경한 이외에는 상기와 동일하게 반응시켜, 트리메틸올프로판의 부틸렌 옥사이드 7몰 부가체를 얻었다.
2. 우레탄아크릴레이트의 합성예 [합성예 1] 플라스크에 트리메틸올프로판의 부틸렌 옥사이드 7몰 부가체(TMP-7B0) 638g(1몰),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IPDI) 666g(3몰)을 투입하고, 70∼80℃에서 약 3시간 반응시켰다. 유리 이소시아네이트 량이 9.7±0.3%로 되어 있음을 확인하고, 하이드로퀴논 모노메틸에테르 0.8g, 2-하이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HEA) 348g(3.1몰)을 투입하고, 나아가 70∼80℃에서 유리 이소시아네이트 량이 0.1%이하가 될 때까지 반응시켜, 우레탄아크릴레이트 A를 얻었다.
[합성예 2] TMP-7BO 638g(1몰)을 폴리부틸렌글리콜(PBG-400, 분자량 400) 400g(1몰)으로 변경하고, 2-하이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 348g(3몰)을 펜타에리스리톨 트리아크릴레이트(PET-3) 255.2g(2.2몰)으로 변경하고,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IPDI) 666g(3몰)을 444g(2몰)으로 변경한 이외에는 합성예 1과 동일하게 반응시켜, 우레탄아크릴레이트 B를 얻었다.
[합성예 3] 펜타에리스리톨 트리아크릴레이트 255.2g(2.2몰)을 2-하이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 229.0g(2.04몰)으로 변경한 이외에는 합성예 2와 동일하게 반응시켜, 우레탄아크릴레이트 C를 얻었다.
[합성예 4] 폴리부틸렌글리콜(분자량 400) 400g(1몰)을 폴리부틸렌글리콜(PBG-1000, 분자량 1000) 1000g(1몰)으로 변경한 이외에는 합성예 2와 동일하게 반응시켜, 우레탄아크릴레이트 D를 얻었다.
[비교 합성예 1] 펜타에리스리톨 트리아크릴레이트 255.2g(2.2몰)을 2-하이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 243.6g(2.1몰)으로 변경한 이외에는 합성예 4와 동일하게 반응시켜, 우레탄아크릴레이트 E를 얻었다.
[비교 합성예 2] 폴리부틸렌글리콜(분자량 1000) 1000g(1몰)을 폴리부틸렌글리콜(PBG-3000, 분자량 3000) 3000g(1몰)으로 변경하고, 2-하이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 243.6g(2.1몰)을 255.2g(2.2몰)으로 변경한 이외에는 비교 합성예 1과 동일하게 반응시켜, 우레탄아크릴레이트 F를 얻었다.
[비교 합성예 3] 폴리부틸렌글리콜(분자량 400) 400g(1몰)을 폴리프로필렌글리콜(분자량 1000) 1000g(1몰)으로 변경한 이외에는 합성예 3과 동일하게 반응시켜, 우레탄아크릴레이트 G를 얻었다.
[비교 합성예 4] 폴리부틸렌글리콜(분자량 400) 400g(1몰)을 폴리에틸렌글리콜(PEG-600, 분자량 600) 600g(1몰)으로 변경한 이외에는 합성예 3과 동일하게 반응시켜, 우레탄아크릴레이트 H를 얻었다.
[비교 합성예 5] 폴리부틸렌글리콜(분자량 400) 400g(1몰)을 폴리에틸렌글리콜(PEG-1500, 분자량 1500) 1500g(1몰)으로 변경하고,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 444g(2몰)을 톨릴렌 디이소시아네이트 348g(2몰)으로 변경한 이외에는 합성예 2와 동일하게 반응시켜, 우레탄아크릴레이트 I를 얻었다.
[비교 합성예 6] 폴리부틸렌글리콜(분자량 400) 400g(1몰)을 폴리테트라메틸렌글리콜(PTMG-1000, 분자량 1000) 1000g(1몰)으로 변경한 이외에는 합성예 3과 동일하게 반응시켜, 우레탄아크릴레이트 J를 얻었다.
3.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 조성물의 조제 및 평가 상기 합성예, 비교 합성예에서 얻어진 우레탄아크릴레이트 A∼J 각 100부에 대하여, 광중합 개시제("CIBA SPECIALTY CHEMICALS"사에서 제조한 IRGACURE 184)를 3부 각각 배합하고, 용해하였다. 이를 유리판 상에 막 두께가 약 100㎛가 되도록 도포하고, 고압 수은 램프 80W/㎝를 이용하여, 적산 조도(積算照度) 200mJ/㎠로 조사하여 경화시켰다. 얻어진 각 경화물에 대해, 이하의 방법으로 내오염성, 내약품성, 흡수율, 연필경도를 체크 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내오염성: JIS K5400에 근거하여 평가하였다. 즉, 경화 도막 상에 표에 나타낸 오염물질을 올리고, 실온에서 약 18시간 방치하였다. 물로 닦기 또는 이소프로필 알코올로 닦기를 각각 행하고, 닦은 후를 육안으로 관찰하여, 오염물질이 도막에 남아있는 것 또는 도막에 변화가 있는 것을 ×, 도막에 변화는 있지만 경미한 것을 △, 오염물질이 남아있지 않고 도막에 변화도 없는 것을 ○으로 하였다.
내약품성: JIS K5400에 근거하여 평가하였다. 즉, 경화 도막 상에 표에 나타낸 약품을 각각 몇 방울 떨어뜨리고, 실온에서 약 18시간 방치하였다. 물세척 후, 도막을 육안으로 관찰하고, 변화가 있는 것을 ×, 변화는 있지만 경미한 것을 △, 도막에 변화가 없는 것을 ○으로 하였다.
흡수율: 경화 도막을 유리판으로부터 벗겨내고, 증류수(23℃)에 24시간 침지하였다. 표면의 물을 닦아낸 직후에 측정한 중량 (A)와, 105℃에서 3시간 오븐으로 건조시킨 후에 측정한 중량 (B)으로부터 다음의 식에 의해 구하였다.
흡수율(%)={(A-B)/B}×100
연필경도: JIS K5400에 근거하여, 연필경도 시험기(Pencil Hardness Tester)로 하중 1㎏을 가하여 긁어 흠집이 생기지 않는 가장 단단한 연필경도로 하였다. (표에 있어서 "<6B"는 "6B"보다 무른 경도를 나타낸다.)
Figure 112010085834700-pat00001
본 발명의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 조성물은 경화성이 양호하고, 이를 경화시켜 얻어지는 도막은 양호한 내오염성, 내약품성을 발현하여, 내손상성이 우수하고, 흡수성이 낮기 때문에, 도막의 균열이나 박리가 쉽게 발생하지 않고, 내구성도 양호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에너지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은, 각종 건축재료, 구조물, 성형물용 도료에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상세하게, 또한 특정의 실시형태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이나 수정을 가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 있어서 자명하다. 본 출원은, 2009년 12월 25일 출원된 일본국 특허출원(특원 2009-294672)에 근거하는 것이고, 그 내용은 본 명세서에 참조로 도입한다.

Claims (4)

  1. 부틸렌 옥사이드의 개환 중합에 의해 얻어지는 폴리에테르 사슬부분을 포함하는 폴리에테르폴리올(A)과 유기 폴리이소시아네이트(B)와 분자 내에 수산기를 함유하는 (메타)아크릴레이트(C)를 반응시켜 얻어지는 우레탄아크릴레이트이고, 상기 (메타)아크릴레이트(C) 유래의 이중 결합 함유량이 1.8㏖/㎏ 이상인 우레탄아크릴레이트를 함유하는 에너지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A) 성분과 (B) 성분의 비율이, (A) 중의 폴리에테르폴리올의 수산기 총몰수 (a)와, (B) 중의 유기 폴리이소시아네이트의 이소시아네이트기 총몰수 (b)의 몰비가, (a):(b)=1.0:1.1∼1.0:4.0 범위의 비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
  3. 제 1항에 기재의 에너지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을 함유하여 구성되는 에너지선 경화형 도료.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우레탄아크릴레이트의 함유율이 50중량%이상이고,
    광중합 개시제를 함유하는 에너지선 경화형 도료.
KR1020100134886A 2009-12-25 2010-12-24 에너지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사용한 도료 KR10177042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9294672A JP5456460B2 (ja) 2009-12-25 2009-12-25 エネルギー線硬化型塗料
JPJP-P-2009-294672 2009-12-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4720A KR20110074720A (ko) 2011-07-01
KR101770428B1 true KR101770428B1 (ko) 2017-08-22

Family

ID=442655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34886A KR101770428B1 (ko) 2009-12-25 2010-12-24 에너지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사용한 도료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5456460B2 (ko)
KR (1) KR101770428B1 (ko)
CN (1) CN102127295B (ko)
TW (1) TWI45322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067235B2 (ja) * 2012-03-06 2017-01-25 第一工業製薬株式会社 ウレタン(メタ)アクリレート及びそれを含有する硬化性樹脂組成物
JP6467122B2 (ja) * 2012-12-28 2019-02-06 第一工業製薬株式会社 フィルム形成用コーティング剤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硬化物の製造方法
JP6087187B2 (ja) * 2013-03-27 2017-03-01 第一工業製薬株式会社 エネルギー線硬化型樹脂組成物
JP6644434B2 (ja) * 2014-09-25 2020-02-12 第一工業製薬株式会社 硬化性樹脂組成物、硬化物、および積層体
EP3904422A4 (en) 2018-12-25 2022-09-07 Adeka Corporation URETHANE POLYMER AND OILY COMPOSITION CONTAINING THIS POLYMER
CN113956784A (zh) * 2021-10-18 2022-01-21 丽水学院 一种生态合成革用水性可见光驱动成膜涂饰剂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23178A (ja) * 2005-07-19 2007-02-01 Dainippon Ink & Chem Inc 活性エネルギー線硬化型水性ウレタン樹脂分散体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07084A (en) * 1984-06-11 1986-08-19 Celanese Specialty Resins, Inc. Radiation curable acrylated polyurethane oligomer compositions
JPS61227948A (ja) * 1985-03-29 1986-10-11 Nitto Electric Ind Co Ltd 光学ガラスフアイバ用被覆材料
JPH01161010A (ja) * 1987-12-17 1989-06-23 Dainippon Printing Co Ltd 電子線硬化型樹脂組成物
JPH02135211A (ja) * 1988-11-15 1990-05-24 Yokohama Rubber Co Ltd:The 紫外線硬化型樹脂組成物
JP2781611B2 (ja) * 1989-08-15 1998-07-30 横浜ゴム株式会社 ゲル基材
JP3305822B2 (ja) * 1993-07-07 2002-07-24 電気化学工業株式会社 硬化性樹脂組成物、それを用いた接着剤およびシール剤
JP3332286B2 (ja) * 1994-04-28 2002-10-07 電気化学工業株式会社 硬化性樹脂組成物
JPH11279240A (ja) * 1998-03-30 1999-10-12 Hitachi Chem Co Ltd 光硬化性樹脂組成物及び塗料
JP2001199748A (ja) * 2000-01-12 2001-07-24 Dainippon Ink & Chem Inc 光ファイバー被覆用樹脂組成物及び被覆心線
JP2001276279A (ja) * 2000-04-04 2001-10-09 Sumitomo Rubber Ind Ltd ゴルフボール用塗料及びこれを用いたゴルフボール
JP2005162908A (ja) * 2003-12-03 2005-06-23 Natoko Kk 活性エネルギー線硬化性ウレタン(メタ)アクリレート、それを含有する活性エネルギー線硬化性組成物及びそれらを用いた機能性部材
JP5209310B2 (ja) * 2005-05-12 2013-06-12 日本化薬株式会社 感光性樹脂組成物、その硬化物及びそれを含有するフィルム
JP2007023177A (ja) * 2005-07-19 2007-02-01 Dainippon Ink & Chem Inc 活性エネルギー線硬化型水性ウレタン樹脂分散体
KR100790849B1 (ko) * 2006-01-27 2008-01-0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폴리우레탄 바인더, 이를 포함하는 전극 및 상기 전극을채용한 리튬 전지
CN100368455C (zh) * 2006-03-22 2008-02-13 中国科学技术大学 一种可紫外光固化水性聚氨酯树脂的制备方法
CN101177524B (zh) * 2007-04-04 2011-06-01 上纬(上海)精细化工有限公司 一种抗震耐压不饱和聚酯树脂及其用途
CN101608010A (zh) * 2008-06-17 2009-12-23 上海富臣化工有限公司 聚醚型聚氨酯丙烯酸酯及其制备方法
KR20110127137A (ko) * 2009-02-04 2011-11-24 니폰 가야꾸 가부시끼가이샤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하드코트용 수지 조성물과 그의 용도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23178A (ja) * 2005-07-19 2007-02-01 Dainippon Ink & Chem Inc 活性エネルギー線硬化型水性ウレタン樹脂分散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127295A (zh) 2011-07-20
TWI453227B (zh) 2014-09-21
TW201125883A (en) 2011-08-01
JP5456460B2 (ja) 2014-03-26
JP2011132410A (ja) 2011-07-07
KR20110074720A (ko) 2011-07-01
CN102127295B (zh) 2016-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37150B1 (ko) 우레탄 (메타)아크릴레이트 및 이를 함유하는 경화성 수지 조성물
KR101770428B1 (ko) 에너지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사용한 도료
KR101549294B1 (ko)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조성물
KR102108579B1 (ko) 우레탄(메트)아크릴레이트 혼합물 및 우레탄(메트)아크릴레이트 조성물
KR20180095687A (ko)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에멀젼 조성물 및 코팅제 조성물
JP4750473B2 (ja) 活性エネルギー線硬化型樹脂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コーティング剤
JP7408910B2 (ja) 活性エネルギー線硬化性樹脂組成物及びコーティング剤
KR20160130732A (ko) 경화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코팅용 조성물
KR101624213B1 (ko)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수성 수지 조성물,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수성 도료, 및 당해 도료로 도장된 물품
US9206117B2 (en) Urethane acrylate, and reactive composition containing same
KR102445218B1 (ko)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 조성물 및 코팅제
CN107286320B (zh) 活性能量射线固化型组合物
KR102645100B1 (ko)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 조성물 및 코팅제
JP7242369B2 (ja) 活性エネルギー線硬化型組成物
KR20180093878A (ko)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230155558A (ko) 점착제 조성물 및 보호 시트
KR20240011805A (ko) 에틸렌성 불포화기 함유 우레탄 폴리머, 그 제조 방법 및 점착제 조성물
KR20020056022A (ko) 광경화형 도료 조성물 및 이를 도장한 플라스틱 성형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