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0273B1 - 도자기 성형용 흙관 토출기 - Google Patents

도자기 성형용 흙관 토출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0273B1
KR101770273B1 KR1020150164853A KR20150164853A KR101770273B1 KR 101770273 B1 KR101770273 B1 KR 101770273B1 KR 1020150164853 A KR1020150164853 A KR 1020150164853A KR 20150164853 A KR20150164853 A KR 20150164853A KR 101770273 B1 KR101770273 B1 KR 1017702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ing
hole
main body
accommodating chamber
c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48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60425A (ko
Inventor
염승한
정현식
Original Assignee
(주)대원도재
염승한
정현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원도재, 염승한, 정현식 filed Critical (주)대원도재
Priority to KR10201501648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0273B1/ko
Publication of KR201700604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04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02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02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00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 B28B1/02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turning or jiggering in moulds or moulding surfaces on rotatable suppo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1/00Apparatus or processes for treating or working the shaped or preshaped articles
    • B28B11/14Apparatus or processes for treating or working the shaped or preshaped articles for dividing shaped articles by cut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9/00Machines or methods for applying the material to surfaces to form a permanent layer thereon
    • B28B19/0053Machines or methods for applying the material to surfaces to form a permanent layer thereon to tiles, bricks or the like
    • B28B19/0061Means for arranging or fixing the tiles, bricks or the like in the mould
    • B28B19/0084Means for arranging or fixing the tiles, bricks or the like in the mould using pressurized elements for fixing the tiles, brick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Devices For Post-Treatments, Processing, Supply, Discharge, And Other Processes (AREA)
  • Press-Shaping Or Shaping Using Conveyers (AREA)

Abstract

도자기 성형용 흙관 토출기가 제공된다. 제공된 도자기 성형용 흙관 토출기는 본체; 상기 본체의 상부에 설치되며, 외부 전원이 인가시 승강 이동하는 로드가 구비된 가압유닛; 상기 가압유닛의 인접한 하부에 설치되며, 내부에 성형 소재를 담기 위한 수용홀이 형성되고, 하부 양단에 체결홀이 마련된 수용챔버; 상기 수용챔버의 하단에 설치되며, 상기 가압유닛의 힘에 의해 수용챔버를 통과하는 성형 소재를 흙관의 형상을 성형하는 성형틀; 및 상기 성형틀에 의해 성형된 흙관이 안착될 수 있도록 본체의 하부에 승강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받침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도자기 생산에 소요되는 작업시간 단축을 통해 제품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사용자가 원하는 장소로 장치를 이동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도자기 성형용 흙관 토출기{Plastic ware for discharge machine}
본 발명은 관 형상의 성형물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도자기 제조과정에서 우선적으로 흙관을 대량 생산한 후 흙관의 간편한 마무리작업으로 도자기를 성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시간 단축을 통해 제품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함은 물론, 하부에 캐스터가 부착된 대차를 설치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장소로 장치를 이동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도자기 성형용 흙관 토출기에 관한 것이다.
도자기는 도기(陶器)와 자기(磁器)를 포함하는 용어로서, 이러한 도자기에는 점토, 장석, 규석, 납석, 도석 등의 원료가 주로 사용되며, 점토의 종류, 성형과정, 소성과정, 소성온도, 유약의 종류, 장식기법, 산지명칭 및 용도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된다.
그 구체적인 일 예를 살펴보면, 청자, 백자, 옹기 및 고려자기 등과 같이 점토의 성분과 소성결과에 의한 분류가 있으며(이는 또한 자기의 발달사와도 관련이 있다), 유약이나 장식방법에 의한 분류로써 화금청자, 청화백자, 천목, 진사 및 철화 등의 분류가 있고, 도자기의 색상으로 구분할 경우 백자, 청자, 분청 및 옹기로 분류할 수 있으며, 소성온도에 의하여 연질자기 및 경질자기 등으로 분류할 수 있고, 소성방법에 의하여 식염소성, 노천소성 및 장작가마소성 등의 명칭이 붙어서 불리기도 하며, 용도에 따라서는 식기, 위생도기, 타일 등의 산업도자기와 애자, 전자부품, 화학용기 등의 공업도자기로 구분되기도 한다.
또한, 이러한 도자기의 성형방법에 의한 구분을 살펴보면, 압착 성형법, 물레 성형법 및 주입 성형법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분류되는 도자기의 제조과정은 도토(陶土), 성형(成形), 1차 소성(燒成), 시문(施紋), 시유(施釉) 및 본소성(本燒成)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토도(陶土)는 도자기의 원료인 규석, 장석, 고령토 및 가소성 점토 등을 조합 및 분쇄하고 토련하여 원통형으로 말아 습기가 스며들지 않도록 비닐에 싸서 운반·보관하는 작업을 말한다.
상기 성형(成形)은 도자기의 외형을 만드는 것으로, 이러한 성형에는 여러 방법이 있으며, 그 중 물레를 이용하여 손으로 성형하는 물레성형과 주입 성형이 주를 이루고 있다.
상기 1차 소성(燒成)은 일반적으로 겉구이 또는 초벌구이라 하며, 800-900℃ 정도의 온도에서 작업이 이루어진다.
상기 시문(施紋)은 다음과 같은 3가지 방법이 있다.
첫째 하회(下繪, under glaze)시문으로 시유(施釉)하기 전에 소성된 제품에 그림을 그려 넣거나(핸드페인팅 작업), 하회 전사지를 부착하는 방법을 말한다.
둘째 중회(中繪, inglaze)시문으로 생유약 위에 전사지를 부착하여 소성시 문양이 유약이 안으로 스며들게 하는 방법을 말한다.
셋째 상회(上繪, overglaze)시문은 본 소성이 끝난 제품(무지)에 상회 전사지를 부착하여 전기가마(상회소성)에 750℃~850℃에 굽는 방법을 말한다.
쉽게 표현하자면 하회는 유약 밑에서 우러나는 느낌이 들도록 하는 방법이고, 중회는 유약이 안에 스며들어가도록 하는 방법이며, 상회는 유약의 표면 위에서 문양이 나타나도록 하는 방법을 말한다.
상기 시유(施釉)는 1차 소성한 제품에 유약을 입히는 과정으로, 경우에 따라 1차 소성하기 전에 제품을 완전히 자연 건조한 후, 시유하는 경우도 있다.
상기 본소성(本燒成)은 본구이 및 재벌구이라고도 하며, 시유를 거친 제품을 열판(붕판) 또는 갑발에 넣어 적재를 하여 1250~1300℃에 소성하는 공정을 말한다.
이러한 도자기 제조 방법에 대한 국내 특허출원 기술을 살펴보면,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제10-0602522호에는 도자기몸체를 형성하는 조성물과 유약성분에 황토를 첨가하므로 이로인한 원적외선 방사효과와 항균, 탈취, 정화등으로 쾌적한 실내주거 환경을 추구하는 기능성 도자기의 제조방법이 개재되어있다.
또한,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제10-0574846호에는 몸체소재로 성형된 항아리,대접, 컵으로 성형된 기물에 별도로 적황토를 수작업으로 덧붙여 무늬를 형성화는 장식성을 추구하는 도자기 제조방법이 개재되어 있다.
또한,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제10-2006-0112397호에는 "유약처리된 도자기 표면에 균열사이로 연기에 의한 무늬를 새기는 방식으로 무늬를 형성하는 도자기 제조방법"이 개재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 기술들은 예술성 및 장식적인 기능을 추구하고 있는 도자기라 할 수 있으나, 이를 성형하기 위해서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는 물레에 의하여 수공으로 성형하기 때문에 생산성이 떨어져 대량 생산에 어려움이 있다.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제10-0602522호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제10-0574846호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제10-2006-0112397호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은 도자기의 외형을 이루는 흙관을 압출성형을 통해 대량 생산한 후 이를 이용한 간편한 마무리 작업을 통해 도자기 성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시간 단축을 통해 제품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도자기 성형용 흙관 토출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도자기의 외부 형상을 결정하는 성형 틀의 간편한 교체과정을 통해 다양한 도자기의 형상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형상의 제품을 용이하게 생산할 수 있도록 한 도자기 성형용 흙관 토출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압출성형을 통해 생산된 흙관이 안착되는 받침대의 높이조절을 통해 다양한 높이의 흙관 및 이를 이용한 도자기를 용이하게 생산할 수 있도록 한 도자기 성형용 흙관 토출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도자기 성형용 흙관 토출기의 구조 개선을 통해 장치의 편리한 이동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성형용 흙관 토출기를 제공한다.
상기한 과제해결을 위한 본 발명은
본체;
상기 본체의 상부에 설치되며, 외부 전원이 인가시 승강 이동하는 로드가 구비된 가압유닛;
상기 가압유닛의 인접한 하부에 설치되며, 내부에 성형 소재를 담기 위한 수용홀이 형성되고, 하부 양단에 체결홀이 마련된 수용챔버;
상기 수용챔버의 하단에 설치되며, 상기 가압유닛의 힘에 의해 수용챔버를 통과하는 성형 소재를 흙관의 형상을 성형하는 성형틀; 및
상기 성형틀에 의해 성형된 흙관이 안착될 수 있도록 본체의 하부에 승강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받침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가압유닛은 로드의 승강 이동에 필요한 동력을 제공하는 공압실린더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성형틀은,
양단에 상기 체결홀과 연통되어 볼트체결되는 결속홀이 형성되고, 내측에 평단면이 관 형상인 성형홀을 마련하되,
상기 성형홀은 도자기의 외형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받침유닛은
상기 성형틀의 하방에 위치하는 받침대;
상기 받침대를 본체에 형성된 가이드홀에 연결할 수 있도록 상기 받침대와 가이드홀 사이에 연결되며, 일측에 상기 받침대의 하부에 체결되는 결속편이 형성되고, 상기 결속편의 단부에 결합홀을 갖는 연장편이 마련된 설치브래킷 및
상기 설치브래킷을 가이드홀의 원하는 위치에 고정할 수 있도록 상기 가이드홀에 걸림연결되어 단부가 상기 결합홀에 삽입되며, 상기 결합홀을 관통한 단부에 고정너트가 체결된 연결핀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본체에는 성형틀을 통해 토출된 흙관을 절단하기 위한 커팅유닛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커팅유닛은
상기 성형틀의 바닥면 측으로 힌지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와이어칼날과 상기 와이어칼날을 동작하기 위한 손잡이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본체는 그 하부에 캐스터가 부착된 대차가 더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흙관을 이용한 간편한 마무리 작업을 통해 도자기 성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시간 단축 및 이를 통한 제품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장치에 기동성을 부가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장소에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도자기의 외부 형상을 결정하는 성형 틀의 간편한 교체과정을 통해 다양한 도자기의 형상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형상의 제품을 용이하게 생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흙관이 안착되는 받침대의 높이조절을 통해 다양한 높이의 흙관 및 이를 이용한 도자기를 용이하게 생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자기 성형용 흙관 토출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자기 성형용 흙관 토출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자기 성형용 흙관 토출기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자기 성형용 흙관 토출기 중 성형틀을 나타낸 요부확대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자기 성형용 흙관 토출기의 동작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자기 성형용 흙관 토출기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자기 성형용 흙관 토출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자기 성형용 흙관 토출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자기 성형용 흙관 토출기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자기 성형용 흙관 토출기 중 성형틀을 나타낸 요부확대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도자기 성형용 흙관 토출기(100)는 본체(110), 상기 본체의 상부에 설치된 가압유닛(120), 상기 가압유닛(120)의 인접한 하부의 본체(110)에 설치된 수용챔버(130), 상기 수용챔버(130)의 하단에 설치된 성형틀(140) 및 상기 본체(110)의 하부에 설치된 받침유닛(1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본체(110)는 본 발명의 토출기(100)에 대한 기본 틀 역할을 수행하는 구성수단이다.
상기 본체(110)는 수직 지주의 형상으로 그 하부에 가이드홀(111)이 형성되며, 하단에 캐스터(C)가 부착된 대차(170)가 더 설치된다. 이에, 본 발명은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장소로 편리하게 이동하여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가압유닛(120)은 흙관(P)의 압출성형시 소요되는 동력을 제공하기 위한 역할을 수행하는 구성수단이다.
상기 가압유닛(120)은 상기 본체(110)의 상부에 설치되며, 외부 전원이 인가시 로드(121)가 승강이동한다.
이때, 상기 가압유닛(120)은 승강 동작을 하는 수단이면 어떠한 것이든 적용 가능하나, 본 발명의 구체적은 수단으로는 공압실린더를 채용하였다.
한편, 상기 수용챔버(130)는 흙관(P) 성형에 소요되는 성형소재를 담기 위한 역할을 수행하는 구성수단이다.
상기 수용챔버(130)는 상기 가압유닛(120)의 인접한 하부에 설치되며, 상,하방으로 개구된 관 형상으로 그 내부에 성형소재를 담기 위한 수용홀(131)이 형성되고, 하부 양단에 체결홀(133)이 마련된다.
한편, 상기 성형틀(140)은 성형소재를 이용하여 흙관(P)의 형상을 성형하는 구성수단이다.
상기 성형틀(140)은 상기 수용챔버(130)의 하단에 설치되며, 상기 가압유닛(120)의 힘에 의해 수용챔버(130)를 통과하는 성형소재를 흙관(P)의 형상을 성형한다.
상기 성형틀(140)은 그 양단에 상기 체결홀(133)과 연통되어 볼트체결되는 결속홀(141)이 형성되고, 내측에 평단면이 관 형상인 성형홀(143)이 마련된다.
이때, 상기 성형홀(143)은 그 형상이 원형 관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나, 그 실시예에 따라 삼각, 사각 및 오각 등 다양한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받침유닛(150)은 상기 성형틀(140)에 의해 성형된 흙관(P)이 안착될 수 있도록 공간을 제공하는 구성수단이다.
상기 받침유닛(150)은 상기 본체(110)의 하부에 승강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받침유닛(150)은 상기 성형틀(140)의 하방에 위치하는 받침대(151)와 상기 받침대(151)를 본체(110)에 형성된 가이드홀(111)에 연결할 수 있도록 상기 받침대(151)와 가이드홀(111) 사이에 연결된 설치브래킷(153) 및 상기 설치브래킷(153)을 가이드홀(111)의 원하는 위치에 고정하는 연결핀(157)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설치브래킷(153)은 그 일측에 상기 받침대(151)의 하부에 체결되는 결속편(154)이 형성되고, 상기 결속편(154)의 단부에 결합홀(156)을 갖는 연장편(155)이 마련된다.
상기 연결핀(157)은 상기 가이드홀(111)에 걸림연결되어 단부가 상기 결합홀(156)에 삽입되며, 상기 결합홀(156)을 관통한 단부에 고정너트(N)가 체결된다.
한편, 상기 본체(110)에는 성형틀(140)을 통해 토출된 흙관(P)을 절단하기 위한 커팅유닛(160)이 더 구비된다.
상기 커팅유닛(160)은 상기 성형틀(140)의 바닥 측으로 힌지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와이어칼날(161)과 상기 와이어칼날(161)을 동작하기 위한 손잡이(163)로 구성된다.
이에, 상기와 같은 결합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도자기 성형용 흙관 토출기는 도자기의 외형을 이루는 흙관을 압출성형을 통해 대량 생산한 후 이를 이용한 간편한 마무리 작업을 통해 도자기 성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시간 단축을 통해 제품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함은 물론, 편리한 이동이 가능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장소에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이에 따른 동작관계 및 작용효과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자기 성형용 흙관 토출기의 동작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수용챔버(130)의 수용홀(131)에 성형소재를 충진한 후, 상기 가압유닛(120)에 외부전원을 인가하여 로드(121)가 수용홀(131) 내부를 가압한다.
상기 로드(121)가 수용홀(131) 내부를 가압하면, 상기 수용홀(131) 내의 성형소재는 로드(121)의 가압하는 힘에 의해 그 조직이 치밀해진 상태에서 상기 성형틀(140)의 성형홀(143)을 통과함과 동시에 성형홀(143)과 동일한 평면형상을 갖는 흙관(P)이 압출성형된다.
이때, 상기 받침유닛(150)의 받침대(151)는 사용자가 원하는 흙관(P)의 높이와 동일한 위치가 되도록 승강이동한다.
이후, 성형틀(140)을 통해 압출성형된 흙관(P)이 상기 받침대(151)에 안착되면, 상기 가압유닛(120)의 동작을 정지한다.
이후, 상기 커팅유닛(160)의 와이어칼날(161)을 손잡이(163)를 이용하여 힌지회전시켜 흙관(P)을 절단한다.
본 발명은 이렇게 성형된 흙관을 이용하여 간편한 마무리 작업을 더 수행하여 도자기 성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시간 단축을 통해 제품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도자기 성형을 위한 마무리 작업으로는 흙관의 하부를 마감하는 받침을 성형하여 흙관에 부착하는 작업과, 손잡이를 성형하여 흙관에 부착하는 작업 및 토출구를 형성하는 작업등과 같이 사용자가 원하는 제품에 따라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그 하부에 캐스터가 부착된 대차가 더 설치함으로써, 편리한 이동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110 : 본체 120 : 가압유닛
130 : 수용챔버 140 : 성형틀
150 : 받침유닛 160 : 커팅유닛
170 : 대차 P : 흘관
C : 캐스터 N : 고정너트

Claims (7)

  1. 본체(110)와, 상기 본체(110)의 상부에 설치되며, 외부 전원이 인가시 승강 이동하는 로드(121)가 구비된 가압유닛(120)과, 상기 가압유닛(120)의 인접한 하부에 설치되며, 내부에 성형 소재를 담기 위한 수용홀(131)이 형성되고, 하부 양단에 체결홀(133)이 마련된 수용챔버(130)와, 상기 수용챔버(130)의 하단에 설치되며, 상기 가압유닛(120)의 힘에 의해 수용챔버(130)를 통과하는 성형 소재를 흙관(P)의 형상을 성형하는 성형틀(140)과, 상기 성형틀(140)에 의해 성형된 흙관(P)이 안착될 수 있도록 본체(110)의 하부에 승강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받침유닛(150)을 포함하여 구성된 도자기 성형용 흙관 토출기에 있어서;
    상기 받침유닛(150)은, 상기 성형틀(140)의 하방에 위치하는 받침대(151)와;
    상기 받침대(151)를 본체(110)에 형성된 가이드홀(111)에 연결할 수 있도록 상기 받침대(151)와 가이드홀(111) 사이에 연결되며, 일측에 상기 받침대(151)의 하부에 체결되는 결속편(154)이 형성되고, 상기 결속편(154)의 단부에 결합홀(156)을 갖는 연장편(155)이 마련된 설치브래킷(153)과;
    상기 설치브래킷(153)을 가이드홀(111)의 원하는 위치에 고정할 수 있도록 상기 가이드홀(111)에 걸림연결되어 단부가 상기 결합홀(156)에 삽입되며, 상기 결합홀(156)을 관통한 단부에 고정너트(N)가 체결된 연결핀(157)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도자기 성형용 흙관 토출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유닛(120)은 로드(121)의 승강 이동에 필요한 동력을 제공하는 공압실린더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도자기 성형용 흙관 토출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틀(140)은,
    양단에 상기 체결홀(133)과 연통되어 볼트체결되는 결속홀(141)이 형성되고, 내측에 평단면이 관 형상인 성형홀(143)을 마련하되,
    상기 성형홀(143)은 도자기의 외형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구현됨을 특징으로 하는 도자기 성형용 흙관 토출기.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10)는 성형틀(140)을 통해 토출된 흙관(P)을 절단하기 위한 커팅유닛(160)을 더 구비하되, 상기 커팅유닛(160)은 성형틀(140)의 바닥면 측으로 힌지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와이어칼날(161)과, 상기 와이어칼날(161)을 동작하기 위한 손잡이(163)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도자기 성형용 흙관 토출기.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10)는 그 하부에 캐스터(C)가 부착된 대차(170)가 더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도자기 성형용 흙관 토출기.
KR1020150164853A 2015-11-24 2015-11-24 도자기 성형용 흙관 토출기 KR1017702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4853A KR101770273B1 (ko) 2015-11-24 2015-11-24 도자기 성형용 흙관 토출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4853A KR101770273B1 (ko) 2015-11-24 2015-11-24 도자기 성형용 흙관 토출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0425A KR20170060425A (ko) 2017-06-01
KR101770273B1 true KR101770273B1 (ko) 2017-08-22

Family

ID=592219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4853A KR101770273B1 (ko) 2015-11-24 2015-11-24 도자기 성형용 흙관 토출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027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9162B1 (ko) 2018-11-19 2020-09-23 박밀양 도자 성형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94425A (ja) * 1998-09-17 2000-04-04 Noritake Co Ltd 押出成形機に装着される素材定寸切断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94425A (ja) * 1998-09-17 2000-04-04 Noritake Co Ltd 押出成形機に装着される素材定寸切断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0425A (ko) 2017-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60188B1 (ko) 도자기 성형용 마감처리장치
KR100774295B1 (ko) 도자기의 양각 문양 성형 방법
KR101770273B1 (ko) 도자기 성형용 흙관 토출기
US20100032086A1 (en) Decoration Method of Ceramics
CN202698012U (zh) 一种太阳伞支撑底座
JP5173208B2 (ja) 無機質焼成体の製造方法
CN206485947U (zh) 一种全自动高安全性90度翻转翻坯机
CN103271597B (zh) 一种大规格陶瓷寄花和彩绘装饰的镜框生产方法
CN107243982B (zh) 一种陶瓷印花烘干一体机械
KR101909912B1 (ko) 도자기 성형용 석고 몰드를 이용한 도자기의 제조방법
KR101688035B1 (ko) 각 떡가래 성형 기법을 이용한 도자기 제조방법
KR100895495B1 (ko) 황토 상감타일 제조방법 및 장치
CN108275977A (zh) 一种抛光砖的制备方法
KR20160085576A (ko) 블록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블록
CN113858379A (zh) 一种陶瓷双口杯的制备方法及装置
KR101783630B1 (ko) 도자기 성형을 위한 물레용 받침유닛
KR101683265B1 (ko) 도자기 손잡이 제조방법
CN109291206A (zh) 一种陶瓷印花圆柱形灯柱及其成型工艺
KR200207189Y1 (ko) 통기성이 양호한 도자기 용기 성형용 금형장치
KR20200088011A (ko) 건축물 내외장재용 콘크리트 타일의 제조 방법 및 제조 장치
KR20100048839A (ko) 도자기의 양각 문양 성형용 프레스 금형
KR200435951Y1 (ko) 압축 원단
KR20040005551A (ko) 소지용기 성형용 형틀과 이 형틀을 채택한 소지용기성형장치 및 성형방법
KR20110139910A (ko) 문양이 새겨진 도자기의 제조방법
ES2224884B1 (es) Procedimiento para la fabricacion de manufacturados en forma de placa de aspecto vitreo y manufacturados en forma de placa resultant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