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05551A - 소지용기 성형용 형틀과 이 형틀을 채택한 소지용기성형장치 및 성형방법 - Google Patents

소지용기 성형용 형틀과 이 형틀을 채택한 소지용기성형장치 및 성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05551A
KR20040005551A KR1020020050402A KR20020050402A KR20040005551A KR 20040005551 A KR20040005551 A KR 20040005551A KR 1020020050402 A KR1020020050402 A KR 1020020050402A KR 20020050402 A KR20020050402 A KR 20020050402A KR 20040005551 A KR20040005551 A KR 200400055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
container
frame
side wall
for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504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62725B1 (ko
Inventor
정화영
Original Assignee
정화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화영 filed Critical 정화영
Priority to KR10-2002-00504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62725B1/ko
Publication of KR200400055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055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27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2725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7/00Moulds; Cores; Mandrels
    • B28B7/0061Moulds, cores or mandrels specially adapted for mechanically working moulding surfaces during moulding or demoulding, e.g. smoothing by means of mould walls driven during moulding or of parts acting during demou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00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 B28B1/26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slip-casting, i.e. by casting a suspension or dispersion of the material in a liquid-absorbent or porous mould, the liquid being allowed to soak into or pass through the walls of the mould; Moulds therefor ; specially for manufacturing articles starting from a ceramic slip; Moulds therefor
    • B28B1/28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slip-casting, i.e. by casting a suspension or dispersion of the material in a liquid-absorbent or porous mould, the liquid being allowed to soak into or pass through the walls of the mould; Moulds therefor ; specially for manufacturing articles starting from a ceramic slip; Moulds therefor involving rotation of the mould about a centrifugal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7/00Moulds; Cores; Mandrels
    • B28B7/0097Press moulds; Press-mould and press-ram assembl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Moulds, Cores, Or Mandrels (AREA)
  • Producing Shaped Articles From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지로 냄비, 솥, 접시 등의 용기를 성형하는 형틀에 용기의 상단 가장자리부를 파형 등의 문양을 자동적으로 성형할 수 있는 소지용기 성형용 형틀과 이 형틀을 채택한 소지용기 성형장치 및 성형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소지용기 성형용 형틀과 이 형틀을 채택한 소지용기 성형장치 및 성형방법{pottery vessel molding, molding apparatus and molding method}
본 발명은 소지로 냄비, 솥, 접시 등의 용기를 성형하는 형틀에 용기의 상단 가장자리부를 파형 등의 문양을 자동적으로 성형할 수 있는 소지용기 성형용 형틀과 이 형틀을 채택한 소지용기 성형장치 및 성형방법에 관한 것이다.
소지는 도자기 재료로서, 백자토, 청자토, 분청토, 옹기토, 산청토, 내열토, 조형토, 산백토, 슈퍼화이트 및 밀양도토 등 질이 우수한 점토이다.
이러한 소지를 이용하여 냄비, 솥, 접시 등과 같이 물건을 담을 수 있는 용기를 성형하는 소지용기 성형장치로서, 예컨대 본 출원인이 선출한 등록실용신안 제195747호의 공보에 개시된 것이 제안되고 있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소지용기 성형장치는 크게 소지용기 성형용 석고형틀(3), 석고형틀(3)을 지지하는 지지통체(30), 지지통체(30)를 회전시키는 회전구동부(50), 헤드(70) 및 헤드(70)를 승강/회전시키는 헤드조작부(90)로 구성된다.
전술한 구성에서, 석고형틀(3)은 소지용기의 외측을 성형하는 형틀로서, 바닥을 성형하는 바닥형틀과 측벽을 형성하는 측벽형틀로 구성되어 있다. 이 석고형틀(3)은 측벽형틀을 분할하여 하형틀(5)과 상형틀(4)로 구성되어 있다. 이 하형틀(5)과 상형틀(4)의 사이에는 용기(1)의 손잡이(250)를 성형하는 손잡이성형홈(25a,25b)이 대향되게 형성되어 있다.
이 석고형틀(3)의 바닥형틀에 소지를 놓고 회전하는 헤드(70)로 누른 후 지지통체(30)를 헤드(70)와 동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소지가 석고형틀(3)과 헤드(70) 사이의 소지용기성형공동부(401)로 유동하게 된다. 이 유동하는 소지가 측벽형틀의 상단까지 유동되어 오면, 회전을 정지시켜, 소지용기가 형성된다. 이 소지용기는 건조 후 석고형틀에서 탈형(분리)된 후 가마에서 가열된 내열도자기용 용기(1)가 최종적으로 완성되게 된다.
그런데, 측벽형틀의 상단 부분이 헤드(70)의 측면과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러한 형틀(3)에서 대량 생산되는 용기(1)의 상단 가장자리부(2)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문양이 없는 민자 형상을 취하고 있어, 단순히 공장에서 찍어낸 용기로만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측벽형틀의 상단 부분으로 유동되어 나오는 소지가 저항을 받지 않고 외부로 유동되기 때문에, 소지의 상단 가장자리부(2)의 밀도나 두께 등이 불균일하게 성형되는 트러블이 발생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소지의 상단 가장자리부에 문양을 자동으로 성형하여 수작업으로 빚은 느낌을 줄 수 있을 뿐 아니라 문양이 성형될 때 저항도 가해져 트러블을 해소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소지용기 성형용 형틀과 이 형틀이 채택된 소지용기 성형장치 및 그 성형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출원인이 선출한 소지용기 성형장치를 도시한 개략도.
도 2는 도 1의 장치에 의해 성형 완성된 용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소지용기 성형용 형틀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3의 형틀에 헤드가 삽입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도 4의 작용에 의해 생산된 용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지용기 성형방법을 도시한 플로차트.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지용기 성형용 형틀을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형틀을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9는 도 7의 형틀에 헤드가 삽입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10은 도 9의 작용에 의해 생산된 용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20 : 용기형틀11 : 바닥형틀
13,23 : 측벽형틀15 : 가장자리문양형틀
30 : 지지통체31 : 안착베이스
33 : 고정/해제부재35 : 연결부재
50 : 회전구동부70 : 헤드
90 : 헤드조작부401 : 소지용기성형공동부
MC : 형틀 중심선HC : 헤드 중심선
e : 편심량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소지용기 성형장치는 도자기 재료인 소지로 제조되는 용기의 바닥 외측을 성형하는 바닥형틀, 상기 용기의 측벽 외측을 성형하도록 상기 바닥형틀에서 상방향으로 연장되는 측벽형틀, 상기 측벽의 상단 가장자리부에 문양을 성형하도록 상기 측벽형틀의 상부측에서 내측을 향해 연장되는 가장자리문양형틀로 구성된 용기형틀; 상기 용기형틀을 지지하는 지지통체; 상기 지지통체를 회전시키는 회전구동부; 상기 용기형틀에 삽입되어 상기 용기의 내측을 성형하는 헤드; 상기 헤드를 회전 및 승강시키는 헤드조작부의 구성을 채택 결합하고 있다.
이 구성을 통하여, 소지의 상단 가장자리부에 문양을 자동으로 성형하여 수작업으로 빚은 느낌을 줄 수 있을 뿐 아니라 문양이 성형될 때 저항도 가해져 트러블을 해소할 수 있다.
상기 헤드의 측면에는 재치부성형홈이 형성되어, 상기 용기에 뚜껑이 재치되는 재치부가 손쉽게 성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헤드의 측면에는 여유홈이 형성되어, 상기 가장자리문양형틀의하면을 통과한 여분의 소지가 외부로 유동됨으로써, 용기형틀에 무리한 압력을 가하지 않게 된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지지통체는 상기 회전구동부에 연결되며 상기 바닥형틀이 안착되는 안착베이스와, 상기 안착베이스의 주위에 소정간격마다 배치되며 상기 용기형틀을 고정/해제시키는 고정/해제부재와, 상기 고정/해제부재를 상기 안착베이스에 연결시키는 연결부재로 이루어지되, 상기 고정/해제부재는 암, 상기 암을 상기 연결부재에 결합시키는 힌지축, 상기 안착베이스의 회전에 따른 원심력에 의해 바깥쪽을 향해 벌어지는 외향성을 갖도록 상기 암의 하부에 형성된 무게가 큰 질량체, 상기 질량체의 외향성에 의해 안쪽을 향해 오므려드는 내향성으로 상기 용기형틀을 홀딩하도록 상기 암의 상부에 형성된 홀더로 구성됨으로써, 용기형틀의 고정/해제가 자연스럽게 조작될 수 있다.
상기 용기형틀은 상기 바닥형틀과 상기 측벽형틀 하부를 포함하는 하형틀과, 상기 측벽형틀 상부와 상기 가장자리형틀을 포함하는 상형틀로 분할되되, 상기 하형틀과 상기 상형틀 사이에는 손잡이성형홈이 형성되고, 상기 하형틀의 상면에는 복수의 요홈이 설치되고, 상기 상형틀의 하면에는 이 요홈에 삽입되는 돌기가 설치됨으로써, 상기 용기에 형성되는 손잡이의 성형이 손쉽게 얻어지고 회전시 상/하형틀 간에 움직임을 방지한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용기형틀은 석고의 재질로 이루어짐으로써, 소지의 수분 흡수율이 높아 소지의 유동과 탈형을 촉진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른 소지용기 성형용 형틀은 도자기 재료인 소지로제조되는 용기의 바닥 외측을 성형하는 바닥형틀; 상기 용기의 측벽 외측을 성형하도록 상기 바닥형틀에서 상방향으로 연장되는 측벽형틀; 상기 측벽의 상단 가장자리부에 문양을 성형하도록 상기 측벽형틀의 상부측에서 내측을 향해 연장되는 가장자리문양형틀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른 소지용기 성형방법은 도자기 재료인 소지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소지를 용기 성형용 형틀에 놓는 단계; 상기 소지를 가압 회전시켜 상기 소지의 유동에 의해 용기의 바닥과 측벽을 성형하는 단계; 상기 유동하는 소지가 가압되어 측벽의 상단 가장자리에 문양을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는데, 종래의 것과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실시예 1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1에 따른 소지용기 성형용 형틀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형틀에 헤드가 삽입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작용에 의해 생산된 용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 1에 따른 소지용기 성형용 형틀(10)은 크게, 바닥형틀(11), 바닥형틀(11)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는 측벽형틀(13) 및 측벽형틀(13)의 상단 가장자리부에 설치된 가장자리문양형틀(15)로 이루어진다.
바닥형틀(11)은 용기(100) 바닥(110)의 외측을 성형하는 부분이며,측벽형틀(13)은 용기 측벽(130)의 외측을 성형하는 부분이다. 이 측벽형틀(13)에는 다양한 문양이 형성되도록 하면, 도 5의 문양(230)이 새겨져 용기(100)의 외관을 미려하게 할 수 있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가장자리문양형틀(15)은 측벽형틀(13)의 상단에서 안쪽을 향해 거의 수평하게 돌출되며, 그 하면(15a)에는 소정형상의 문양(본 실시예에서는 파형)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형틀(10)의 내측과 후술된 헤드(70)의 외측 사이로 유동되는 소지는 가장자리문양형틀(15)에 의해 임시적으로 정지하게 된다. 이 정지 시점에서 소지의 상단 가장자리부(150)에는 문양이 자연적으로 성형되게 된다. 따라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 1의 용기(100)가 대량생산되면서 단순한 주방용기로 보이지 않고 옛날 고려청자나 백자와 같은 고풍을 줄 수 있다. 또한, 소지가 가장자리문양형틀(15)에 의해 소정의 압력을 받게 되어, 용기(100)의 상단 가장자리부의 품질이 양호한 소지용기를 얻을 수 있다.
이러한 형틀(10)은 석고, 금속, 비금속 등으로 제작될 수 있으나, 석고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석고가 소지의 수분을 흡수하는 비율이 높아 소지의 수축을 촉진시켜 소지용기가 완성된 후 형틀(10)로부터 쉽게 탈형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하, 소지용기 성형용 형틀을 채택한 소지용기 성형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소지용기 성형장치는 전술한 가장자리문양형틀(15)이 설치된 용기형틀(10), 용기형틀(10)을 지지하는 지지통체(30), 지지통체(30)를 회전시키는 회전구동부(50), 용기형틀(10)에 삽입되어 용기의 내측을 성형하는 헤드(70) 및 헤드(70)를 회전 및 승강시키는 헤드조작부(90)로 구성되어 있다.
지지통체(30)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구동부(50)에 연결되며 바닥형틀(11)이 안착되는 안착베이스(31)와, 이 안착베이스(31)의 주위에 소정간격마다 배치되며 용기형틀(10)을 고정/해제시키는 고정/해제부재(33)와, 이 고정/해제부재(33)를 안착베이스(31)에 연결시키는 연결부재(35)로 이루어진다.
고정/해제부재(33)는 암(33a), 이 암(33a)을 연결부재(35)에 결합시키는 힌지축(33b), 안착베이스(31)의 회전에 따른 원심력에 의해 바깥쪽을 향해 벌어지는 외향성을 갖도록 암(33a)의 하부에 형성된 무게가 큰 질량체(33c), 이 질량체(33c)의 외향성에 의해 반대로 안쪽을 향해 오므려드는 내향성으로 용기형틀(10)을 홀딩하도록 암(33a)의 상부에 형성된 홀더(33d)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안착베이스(31)의 회전함에 따라 원심력과 그 힘의 차이로 인해 용기형틀(10)이 자동적으로 고정되고 회전이 멈추면 자동적으로 고정이 해제되게 된다. 이때, 용기형틀(10)이 석고인 경우에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안착베이스(31)와 바닥형틀(11)의 접면에 완충부재(6)(7)를 개재하고, 홀더(33d)의 내면에는 고무(9) 등을 피복하고 고무(9)에 접촉되는 형틀(10)에는 보강철링(8)이 설치됨으로써, 형틀(10)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헤드(70)는 소지용기의 내측을 성형하는 부분으로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측면에는 재치부성형홈(71)이 형성되고, 재치부성형홈(71)의 상방에는 여유홈(73)이 형성되어 있다.
재치부성형홈(71)은 용기(100)에 뚜껑(100a)이 재치될 수 있는 재치부(170)를 성형하는 홈이며, 여유홈(73)은 가장자리문양형틀(15)을 통과한 여분의 소지가 외부로 유동되도록 하여 형틀(10) 특히 석고형틀에 무리한 압력을 가하는 것을 해소시킬 수 있다. 이 여유홈(73)의 위치는 용기의 두께나 측벽의 높이에 따라 가장자리문양형틀(15)과 거의 같은 위치 또는 그 상방에 두어질 있다.
헤드조작부(90)는 헤드(70)의 회전(자전 또는 공전)과 이동(전후좌우 또는 승강)을 조작하는 것으로, 헤드(70) 자체의 회전(자전)은 소지의 유동과 성형을 도우며, 승강으로 용기형틀(10)의 내부로 안내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공전이나 전후좌우 이동은 형틀(10)의 위치에 따라 헤드(70)를 안내한다.
이와 같은 소지용기 성형장치로부터 성형방법을 설명한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먼저, 도자기 재료인 소지를 준비한다. 이 준비된 소지를 일정량 떼어내어 지지통체(30)에 배치된 형틀(10)의 바닥형틀(11)에 놓아둔다.
그 다음, 자전하는 헤드(70)의 중심선(HC)과 형틀(10)의 중심선(MC)이 거의 일치된 상태에서 헤드(70)가 형틀(10) 내부로 하강된다. 하강되는 헤드(70)의 하면이 소지를 누른 후 헤드(70)의 중심선(HC)을 형틀 중심선(MC)과 편심(e)되도록 헤드(70)를 후진시킨다.
헤드(70)와 형틀(10)의 중심을 편심시키면 한쪽 측면 부분이 소지용기성형공동부(401)를 형성하게 된다. 그런 후 지지통체(30)를 헤드(70)와 동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소지는 소지용기성형공동부(401)를 따라 위로 유동하는 동시에 회전에 의해 반대측 성형공동부로 유동되게 된다. 이때, 지지통체(30)가 회전하면 고정/해제부재(33)가 작동하여 형틀(10)을 자동적으로 지지함으로써, 형틀(10)이 안정적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와 같이 유동되는 소지에는 용기(100)의 바닥(110)과 측벽(130) 및 재치부(170)가 성형되게 된다. 재치부성형홈(71)을 통과한 소지가 가장자리문양형틀(15)에 도달되면 이 형틀(15)에 의해 가압되어 측벽(130)의 상단 가장자리(150)에 문양이 성형되어 진다.
상단 가장자리부(150)에 문양이 성형된 소지는 건조를 한 후에 헤드(70)를 형틀(10)의 중심선(MC)으로 후진하고 상승시킨다. 그러면 헤드(70)는 형틀(10) 내에서 빠져 나오고 성형소지를 형틀(10)에서 분리시킨다. 분리된 성형소지에 유약 등을 바른 후 가마에 넣어 구어 내열도자기재 용기(100)가 완성되게 된다.
이와 같이, 용기 상단의 가장자리부(150)에 문양이 간단히 형성됨으로써, 제조가 용이하고 청자나 백자와 같은 느낌을 줄 수 있다.
실시예 2
실시예 2는 실시예 1과 그 구조나 장치 및 방법이 거의 유사하지만, 실시예 2의 형틀()은 실시예 1의 형틀()과 달리, 용기의 손잡이 부분을 성형할 수 있도록 구현되어 있다는 점에 차이가 있다.
즉, 도 7 내지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시예 2의 용기형틀(20)은 바닥형틀(11)과 측벽형틀(23)의 하부(23a)를 포함하는 하형틀(21a)과, 가장자리형틀(15)과 측벽형틀(23)의 상부(23b)를 포함하는 상형틀(21b)로 분할되어 있다. 그리고, 하형틀(21a)과 상형틀(21b) 사이에는 용기(200)에 형성되는손잡이(250)를 성형하는 손잡이성형홈(25a,25b)이 대향되게 형성되어 있다.
이 구성을 통하여, 용기의 손잡이가 용이하게 얻어질 수 있게 된다.
한편, 용기형틀(20)이 하형틀(21a)과 상형틀(21b)로 분할되어 있어서, 전술한 바와 같이 용기형틀(20)이 회전될 때 하형틀(21a)과 상형틀(21b)이 서로 움직일 수 있다. 따라서,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형틀(21a)의 상면에는 대향하는 요홈(27a)이 설치되고, 상형틀(21b)의 하면에는 요홈(27a)에 삽입되는 돌기(27b)가 설치되어 서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소지용기 성형용 형틀과 이 형틀을 채택한 성형장치 및 그 방법은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예컨대, 재치부가 없는 용기인 경우에는 형틀 내에서 헤드의 제거가 용이하기 때문에 헤드 중심선(HC)과 형틀 중심선(MC)을 일치시킨 상태에서 작업을 하여도 무방할 것이다.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용기형틀에서 측벽형틀의 상단에 설치된 가장자리문양형틀에 의해 유동하는 소지의 상단 가장자리부분이 차단되도록 하였기 때문에, 손쉽게 소지의 상단 가장자리부에 문양이 성형되어 용기의 품격을 높이고 제조가 용이하며, 가장자리부분이 충분히 충만되어 품질이 우수한 제품을 대량 생산할 수 있다.

Claims (10)

  1. 도자기 재료인 소지로 제조되는 용기의 바닥 외측을 성형하는 바닥형틀, 상기 용기의 측벽 외측을 성형하도록 상기 바닥형틀에서 상방향으로 연장되는 측벽형틀, 상기 측벽의 상단 가장자리부에 문양을 성형하도록 상기 측벽형틀의 상부측에서 내측을 향해 연장되는 가장자리문양형틀로 구성된 용기형틀;
    상기 용기형틀을 지지하는 지지통체;
    상기 지지통체를 회전시키는 회전구동부;
    상기 용기형틀에 삽입되어 상기 용기의 내측을 성형하는 헤드;
    상기 헤드를 회전 및 승강시키는 헤드조작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소지용기 성형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의 측면에는, 상기 용기에 뚜껑이 재치되는 재치부가 성형되는 재치부성형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지용기 성형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의 측면에는, 상기 가장자리문양형틀의 하면을 통과한 여분의 소지가 외부로 유동될 있는 여유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지용기 성형장치.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통체는 상기 회전구동부에 연결되며 상기 바닥형틀이 안착되는 안착베이스와, 상기 안착베이스의 주위에 소정간격마다 배치되며 상기 용기형틀을 고정/해제시키는 고정/해제부재와, 상기 고정/해제부재를 상기 안착베이스에 연결시키는 연결부재로 이루어지되,
    상기 고정/해제부재는 암, 상기 암을 상기 연결부재에 결합시키는 힌지축, 상기 안착베이스의 회전에 따른 원심력에 의해 바깥쪽을 향해 벌어지는 외향성을 갖도록 상기 암의 하부에 형성된 무게가 큰 질량체, 상기 질량체의 외향성에 의해 안쪽을 향해 오므려드는 내향성으로 상기 용기형틀을 홀딩하도록 상기 암의 상부에 형성된 홀더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지용기 성형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형틀은 상기 바닥형틀과 상기 측벽형틀 하부를 포함하는 하형틀과, 상기 측벽형틀 상부와 상기 가장자리형틀을 포함하는 상형틀로 분할되되,
    상기 하형틀과 상기 상형틀 사이에는 상기 용기에 형성되는 손잡이를 성형하는 손잡이성형홈이 형성되고,
    상기 하형틀의 상면에는 복수의 요홈이 설치되고, 상기 상형틀의 하면에는 이 요홈에 삽입되는 돌기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지용기 성형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형틀은 석고의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지용기 성형장치.
  7. 도자기 재료인 소지로 제조되는 용기의 바닥 외측을 성형하는 바닥형틀;
    상기 용기의 측벽 외측을 성형하도록 상기 바닥형틀에서 상방향으로 연장되는 측벽형틀;
    상기 측벽의 상단 가장자리부에 문양을 성형하도록 상기 측벽형틀의 상부측에서 내측을 향해 연장되는 가장자리문양형틀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소지용기 성형용 형틀.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형틀은 상하로 분할되어, 상기 바닥형틀을 포함하는 하형틀과 상기 가장자리형틀을 포함하는 상형틀로 이루어지되,
    상기 하형틀과 상기 상형틀 사이에는 상기 용기에 형성되는 손잡이를 성형하는 손잡이성형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지용기 성형용 형틀.
  9. 제 7항 또는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형틀들은 석고의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지용기 성형용 형틀.
  10. 도자기 재료인 소지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소지를 용기 성형용 형틀에 놓는 단계;
    상기 소지를 가압 회전시켜 상기 소지의 유동에 의해 용기의 바닥과 측벽을 성형하는 단계;
    상기 유동하는 소지가 가압되어 측벽의 상단 가장자리에 문양을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지용기 성형방법.
KR10-2002-0050402A 2002-08-26 2002-08-26 소지용기 성형용 형틀과 이 형틀을 채택한 소지용기성형장치 및 성형방법 KR1004627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0402A KR100462725B1 (ko) 2002-08-26 2002-08-26 소지용기 성형용 형틀과 이 형틀을 채택한 소지용기성형장치 및 성형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0402A KR100462725B1 (ko) 2002-08-26 2002-08-26 소지용기 성형용 형틀과 이 형틀을 채택한 소지용기성형장치 및 성형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05551A true KR20040005551A (ko) 2004-01-16
KR100462725B1 KR100462725B1 (ko) 2004-12-20

Family

ID=373158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50402A KR100462725B1 (ko) 2002-08-26 2002-08-26 소지용기 성형용 형틀과 이 형틀을 채택한 소지용기성형장치 및 성형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6272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3497B1 (ko) * 2009-04-20 2009-12-23 김명규 조립식 도자기 뚜껑 성형틀
KR102035426B1 (ko) * 2018-07-09 2019-11-08 김경선 지압기능을 갖는 도자기 다기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4751B1 (ko) * 2008-05-10 2009-08-31 최광호 도자기 밀폐 용기 제조방법
KR20190023790A (ko) 2017-08-30 2019-03-08 주식회사 킹센스 축대칭 용기 성형장치 및 성형방법
KR102350584B1 (ko) 2020-09-11 2022-01-12 주식회사 킹센스 대형용기 제작 스피닝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50833Y2 (ko) * 1973-06-29 1976-12-07
KR970005674Y1 (ko) * 1994-12-21 1997-06-10 엄기현 도자기 성형기
JP4143151B2 (ja) * 1997-11-25 2008-09-03 直美 沓名 陶磁器成形方法
KR200176433Y1 (ko) * 1998-01-13 2000-04-15 백경호 도자기 성형틀
KR200195747Y1 (ko) * 2000-04-06 2000-09-15 정화영 도자기재 용기 성형장치의 성형부 구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3497B1 (ko) * 2009-04-20 2009-12-23 김명규 조립식 도자기 뚜껑 성형틀
KR102035426B1 (ko) * 2018-07-09 2019-11-08 김경선 지압기능을 갖는 도자기 다기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62725B1 (ko) 2004-1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62725B1 (ko) 소지용기 성형용 형틀과 이 형틀을 채택한 소지용기성형장치 및 성형방법
KR100774295B1 (ko) 도자기의 양각 문양 성형 방법
DE60206327D1 (de) Verfahren zum Füllen der Fliesenpressformen, Ausführungsmittel dafür und so hergestellte Fliesen
WO2007066840A1 (en) Decoration method of ceramics
KR20190009442A (ko) 도자기용 양각부조, 이를 가지는 도자기 및 이들의 제조방법
JP2008023925A (ja) 盤上に垂直軸と係止機構を備え、垂直軸に浮動コテを取り付けたろくろ回転盤と、該回転盤による石膏型および実作品の制作方法
CA2363998A1 (en) Mold for producing depressions in the sides of a molded block
KR200176433Y1 (ko) 도자기 성형틀
US5609804A (en) Process for decorating ceramic tiles
JP2009154430A (ja) コンクリート製品成型方法とコンクリート製品成型型枠とコンクリート製品成型装置とコンクリート製品成型型枠用可動壁
US2334307A (en) Process of manufacturing decorated chinaware and pottery
JP2854196B2 (ja) 陶磁器製の器物成形装置
CN212490656U (zh) 一种整体骨灰盒结构
JPH09123139A (ja) レリーフ成形用型
EP0020064B1 (en) Mould for casting ceramic material
KR20170060425A (ko) 도자기 성형용 흙관 토출기
CN219987959U (zh) 树脂混凝土一体式排水沟模具
CN210126160U (zh) 一种用于固定陶罐胚体成型的石膏模具
KR200178333Y1 (ko) 황토벽돌 성형제조기
CN209534025U (zh) 一种具有铰链式倒扣支撑结构的托盘模具
JPH0716405Y2 (ja) 飾り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成形用型枠
JP3005021U (ja) 縁石ブロック製造用のプレス型
JP5647826B2 (ja) 多色化粧料の製造方法
JPH0585609U (ja) 発泡成形型
JPH08132428A (ja) 象嵌模様原料の供給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