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0584B1 - 대형용기 제작 스피닝 장치 - Google Patents

대형용기 제작 스피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0584B1
KR102350584B1 KR1020200116796A KR20200116796A KR102350584B1 KR 102350584 B1 KR102350584 B1 KR 102350584B1 KR 1020200116796 A KR1020200116796 A KR 1020200116796A KR 20200116796 A KR20200116796 A KR 20200116796A KR 102350584 B1 KR102350584 B1 KR 1023505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stock
base
base material
molding die
tailst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67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준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킹센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킹센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킹센스
Priority to KR10202001167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058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05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05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22/00Shaping without cutting, by stamping, spinning, or deep-drawing
    • B21D22/14Spinning
    • B21D22/18Spinning using tools guided to produce the required profi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37/00Tools as parts of machines covered by this subclass
    • B21D37/04Movable or exchangeable mountings for t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37/00Tools as parts of machines covered by this subclass
    • B21D37/16Heating or coo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1/00Making hollow objects
    • B21D51/16Making hollow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the objects
    • B21D51/18Making hollow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the objects vessels, e.g. tubs, vats, tanks, sink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haping Metal By Deep-Drawing,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형용기 제작 스피닝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대형 용기 스피닝 제작시 회전축과 가압 로울러 사이의 거리가 큰 이유로 발생되는 진동으로 인해 가공물과 가압 로울러 사이의 공차가 커져 불량 용기가 발생되는 것을 예방하도록, 주축대부, 심압대부, 가압롤러부, 이동무게부 및 제어부가 포함되는 대형용기 제작 스피닝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대형용기 제작 스피닝 장치 { SPINNING APPARATUS FOR THE MANUFACTURE OF LARGE SIZE CYLINDRICAL CONTAINERS }
본 발명은 대형용기 제작 스피닝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대형 용기 스피닝 제작시 회전축과 가압 로울러 사이의 거리가 큰 이유로 발생되는 진동으로 인해 가공물과 가압 로울러 사이의 공차가 커져 불량 용기가 발생되는 것을 예방하도록, 주축대부, 심압대부, 가압롤러부, 이동무게부 및 제어부가 포함되는 대형용기 제작 스피닝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박판의 금속재로 제조된 원통형 용기는 활용 범위와 쓰임새가 상당히 넓어서 각종 기계 장치의 부품을 비롯하여 일상 생활에 접할 수 있는 여러 제품들에 적용되고 있는데, 특히 원통형 용기는 재질의 특성상 위생적이고 청결한 유지관리가 용이한 편이기에, 냄비, 국통, 전자제품의 몸체 도는 쓰레기통과 같은 여러 생활용품으로 사용된다.
이러한 원통형 용기는 벤딩, 용접, 스피닝 등의 공정을 거쳐 제조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이 중 스피닝 공정의 경우 낮은 생산성과 원통형 용기의 형상적 특성으로 인해 작업자의 수작업이 개입되어 생산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최근 인건비 절감 및 제품의 고품질화를 위해 스피닝 공정의 자동화 및 반자동화가 적극 추진되고 있으나, 아직도 대부분의 원통형 용기의 제조가 수작업으로 이루어지고 있어 제품의 생산성 및 품질이 작업자의 숙련도에 따라 크게 좌우되고 있는 실정이며, 아울러 국내 여건 상 숙련된 작업자가 점점 줄어들고, 숙련된 작업자의 경우에도 높은 인건비 대비 품질의 균일함을 기대하기는 힘들어 이를 해결할 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심지어 자동화 또는 반자동화 공정이 가능하도록 개발된 종래 스피닝장치의 경우, 특정 제품군이나 한정된 모델의 스피닝 가공만이 가능하도록 설계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새로운 규격의 제품을 가공하기 위해서는 형틀을 다시 제작하거나 제어 설계를 재구축하는 등의 재설계 작업이 요구되었다.
이처럼 종래 스피닝장치의 떨어지는 범용성은 생산자로 하여금 생산성과 비용 측면에서 큰 부담으로 작용하였고, 다양한 규격의 제품을 가공할 수 있는 생산 라인을 구축하는데 걸림돌이 되고 있다.
또한, 항공기 부품, 국통등과 같이 대형이며 정밀을 요하는 용기를 제작하는데 있어서는 주축부에서 발생되는 회전 진동을 적절히 제어하지 않는 경우 생산된 제품에 균열이 생기거나 제품 생산 도중에 금속이 파편화 되어 작업자의 안전에 심각한 위험을 초래하는 것이다.
여기에, 최적의 회전 속도와 금속재 가열 온도 및 가압 로울러의 가압력과 이동 속도등은 다양한 시험 생산을 통해서만 도출해 낼 수가 있는데, 수집된 다양한 시험 데이터의 적절한 사용과 그 조합이 작업자의 경험에만 의존하게 되어 현장에서 대형 용기 제작 착수시 망설이게되는 큰 이유인 것이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 스피닝 공정 및 스피닝장치가 갖고 있는 대형 용기 제작의 문제점들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스피닝장치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0462725호(20041210), 소지용기 성형용 형틀과 이 형틀을 채택한 소지용기 성형장치 및 성형방법.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 내지는 필요성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원통형, 원뿔형등을 이루는 대형 용기를 스피닝으로 제작하는데 있어서 주축부등에서 발생되는 진동을 최대한 억제하고 가압 로울러의 가압력, 가압 속도등을 수치제러하며 그 데이터와 가열 온도 및 금속재로 부터 측정되는 온도를 수집하여 최적의 생산 데이터를 도출하여 최적의 데이터를 스피닝 장치에 반영할 수 있는 대형용기 제작 스피닝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고정 설치된 제 1 베이스(110)에 지지되어 수평축 회전하고 회전단에는 상기 베이스재(A)의 내부면과 대응되는 형상의 성형면(121)을 갖는 성형금형(120)이 탈착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주축대부(100)와 상기 베이스재(A)를 사이에 두고 상기 주축대부(100)와 대향 배치되며, 고정 설치된 제 2 베이스(210)에 지지되어 상기 주축대부(100) 방향으로 전후방 이동하며 상기 성형금형(120)에 상기 베이스재(A)의 중앙부를 가압하며 회전하도록 구비되는 심압대부(200)와 상기 베이스재(A)를 상기 성형금형(120) 측으로 가압하여 내부면이 상기 성형면(121)과 동일하도록 구비되는 가압롤러부(300)로 작업자의 개입을 최소화할 수 있는 대형용기 제작 스피닝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심압대부(200)의 직하에서 상기 주축대부(100)의 직하 위치까지 상기 심압대부(200)와 상기 가압롤러부(300)의 위치에 따라 제어부(500)의 위치 제어 신호에 따라 전후방으로 이동되도록 구비되는 이동무게부(400)로 주축대와 심압대부 및 가압로울러부에서 발생되는 진동을 최소화하도록 하는 대형용기 제작 스피닝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주축대부(100)가 상기 제 1 베이스(110)와 구동수단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상기 제 1 베이스(110)에 대하여 수평축 회전하는 회전판(130)이 구비되고 상기 회전판(130)에 일측이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체결판(140) 및 상기 체결판(140)의 타측에 장착되는 금형판(150)을 포함하되 상기 성형금형(120)은 상기 금형판(150)에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어 다양한 성형금형을 통해 다양한 형태의 금속용기를 제작할 수 있는 대형용기 제작 스피닝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제 2 베이스(210)와 상기 제 1 베이스(110)에 장착되는 실린더(220)와, 상기 실린더(220)로부터 상기 성형금형(120)을 향하여 신축동작하는 상부로드(230)와 상기 상부로드(230)의 단부에 고정된 고정부(240) 및 용기의 바닥면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고정부(240)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함께 신축 동작하며 상기 베이스재(A)의 중앙부를 상기 성형금형(120)에 밀착시키는 가압판(250)으로 구비되어 성형금형의 변경에 유연하게 대응되는 대형용기 제작 스피닝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가열부(600)가 신축 동작하며 단부가 상기 성형금형(120)에 밀착된 상기 베이스재(A)의 둘레 표면과 선택적으로 접촉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제어부(500)에는 상기 베이스재(A) 가공시 상기 베이스재(A)의 온도를 측정하도록 온도수집수단(610)이 더 구비되어 상기 온도수집수단(610)이 수집한 온도와 사전에 설정된 온도 수치를 서로 비교하여 상기 가열부(600)의 가열 온도 또는 상기 가열부(600)의 위치를 조절하도록 상기 가열부(600)에 제어 신호를 전달하도록 구비되어 시험 데이터 중에서 최적의 금속온도를 유지하도록 하여 금속 가공 오류를 최소화 할 수 있는 대형용기 제작 스피닝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이동무게부(400)가 제 4 베이스(410)에 일측이 고정되고 상기 주축대부(100) 방향으로 전후방 이동 가능하게 상기 상부로드(230)와 평행하게 하부로드(420)이 구비되며, 상기 하부로드(420)의 전단에는 무게수단(430)이 배치되며 상기 무게수단(430)의 저면에는 상기 무게수단(430)이 상기 하부로드(420)의 가압력으로 전후방으로 이동되도록 바닥에 설치되는 레일(B)에 치합되는 레일수용부(440)이 구비되어 주축대부와 심압대부 및 가압로울러부의 진동을 억제하는 대형용기 제작 스피닝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예와 관련된 대형용기 제작 스피닝 장치는 먼저, 고정 설치된 제 1 베이스(110)에 지지되어 수평축 회전하고 회전단에는 상기 베이스재(A)의 내부면과 대응되는 형상의 성형면(121)을 갖는 성형금형(120)이 탈착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주축대부(10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재(A)를 사이에 두고 상기 주축대부(100)와 대향 배치되며, 고정 설치된 제 2 베이스(210)에 지지되어 상기 주축대부(100) 방향으로 전후방 이동하며 상기 성형금형(120)에 상기 베이스재(A)의 중앙부를 가압하며 회전하도록 구비되는 심압대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 상기 베이스재(A)를 상기 성형금형(120) 측으로 가압하여 내부면이 상기 성형면(121)과 동일하도록 구비되는 가압롤러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심압대부(200)의 직하에서 상기 주축대부(100)의 직하 위치까지 상기 심압대부(200)와 상기 가압롤러부(300)의 위치에 따라 제어부(500)의 위치 제어 신호에 따라 전후방으로 이동되도록 구비되는 이동무게부(400); 및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축대부(100) 또는 상기 심압대부(200) 중 어느 하나에 회전 제어 신호를 전달하고, 상기 심압대부(200), 상기 가압롤러부(300) 또는 상기 이동무게부(400)에 이동 제어 신호를 전달하도록 구비되는 상기 제어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주축대부(100)는 상기 제 1 베이스(110)와 구동수단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상기 제 1 베이스(110)에 대하여 수평축 회전하는 회전판(130)이 구비되고 상기 회전판(130)에 일측이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체결판(140) 및 상기 체결판(140)의 타측에 장착되는 금형판(150)을 포함하되 상기 성형금형(120)은 상기 금형판(150)에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심압대부(200)는 상기 제 2 베이스(210)와 상기 제 1 베이스(110)에 장착되는 실린더(220)와, 상기 실린더(220)로부터 상기 성형금형(120)을 향하여 신축동작하는 상부로드(230)와 상기 상부로드(230)의 단부에 고정된 고정부(240) 및 용기의 바닥면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고정부(240)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함께 신축 동작하며 상기 베이스재(A)의 중앙부를 상기 성형금형(120)에 밀착시키는 가압판(250)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성형금형(120)을 사이에 두고 상기 가압롤러부(300)와 대향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베이스재(A)의 둘레를 가열하는 가열부(600);를 더 포함하되, 상기 가열부(600)는 신축 동작하며 단부가 상기 성형금형(120)에 밀착된 상기 베이스재(A)의 둘레 표면과 선택적으로 접촉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제어부(500)에는 상기 베이스재(A) 가공시 상기 베이스재(A)의 온도를 측정하도록 온도수집수단(610)이 더 구비되어 상기 온도수집수단(610)이 수집한 온도와 사전에 설정된 온도 수치를 서로 비교하여 상기 가열부(600)의 가열 온도 또는 상기 가열부(600)의 위치를 조절하도록 상기 가열부(600)에 제어 신호를 전달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이동무게부(400)는 제 4 베이스(410)에 일측이 고정되고 상기 주축대부(100) 방향으로 전후방 이동 가능하게 상기 상부로드(230)와 평행하게 하부로드(420)이 구비되며, 상기 하부로드(420)의 전단에는 무게수단(430)이 배치되며 상기 무게수단(430)의 저면에는 상기 무게수단(430)이 상기 하부로드(420)의 가압력으로 전후방으로 이동되도록 바닥에 설치되는 레일(B)에 치합되는 레일수용부(440)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레일수용부(440)는 복수 개로 형성되며 상기 레일수용부(440)는 상기 무게수단(430)의 저면에서 상기 레일(B)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무게수단(430)과 일체로 형성되되 단면이 반원형이 만곡종단(441)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가압롤러부(300)는 제 3 베이스(310)의 상부에는 로울러로드(330)를 회전 이동하도록 회동부(320)가 구비되고, 상기 회동부(320)로부터 상기 주축대부(100)의 상기 성형금형(120) 주변에서 전 후방으로 직선 이동하도록 상기 로울러로드(330)가 구비되고, 상기 로울러로드(330)의 종단에 가압롤러(340)가 구비되며, 상기 회동부(320) 및 로울러로드(330)는 상기 제어부(500)의 제어 신호로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주축대부(100)는 상기 성형금형(120)의 직상 위치에서 상기 주축대부(100)를 상부에서 하부로 감싸는 형상으로 커버부(160)가 더 포함되며, 상기 커버부(160)는 상기 주축대부(100)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여 좌우를 감싸도록 중심(161), 좌날개(162) 및 우날개(163)로 구비되되, 상기 커버부(160)의 내부면에는 흡진재(164)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흡진재(134)는 불연 재질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은 대형용기 제작 스피닝 장치를 제공하여,
첫째, 원통형, 원뿔형등을 이루는 대형 용기를 스피닝으로 제작하는데 있어서 주축부등에서 발생되는 진동을 최대한 억제하고 가압 로울러의 가압력, 가압 속도등을 수치제러하며 그 데이터와 가열 온도 및 금속재로 부터 측정되는 온도를 수집하여 최적의 생산 데이터를 도출하여 최적의 데이터를 스피닝 장치에 반영 및 적용할 수 있다.
둘째, 고정 설치된 제 1 베이스(110)에 지지되어 수평축 회전하고 회전단에는 상기 베이스재(A)의 내부면과 대응되는 형상의 성형면(121)을 갖는 성형금형(120)이 탈착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주축대부(100)와 상기 베이스재(A)를 사이에 두고 상기 주축대부(100)와 대향 배치되며, 고정 설치된 제 2 베이스(210)에 지지되어 상기 주축대부(100) 방향으로 전후방 이동하며 상기 성형금형(120)에 상기 베이스재(A)의 중앙부를 가압하며 회전하도록 구비되는 심압대부(200)와 상기 베이스재(A)를 상기 성형금형(120) 측으로 가압하여 내부면이 상기 성형면(121)과 동일하도록 구비되는 가압롤러부(300)로 작업자의 개입을 최소화할 수 있다.
셋째, 상기 심압대부(200)의 직하에서 상기 주축대부(100)의 직하 위치까지 상기 심압대부(200)와 상기 가압롤러부(300)의 위치에 따라 제어부(500)의 위치 제어 신호에 따라 전후방으로 이동되도록 구비되는 이동무게부(400)로 주축대와 심압대부 및 가압로울러부에서 발생되는 진동을 억제하여 최소화한다.
넷째, 상기 주축대부(100)가 상기 제 1 베이스(110)와 구동수단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상기 제 1 베이스(110)에 대하여 수평축 회전하는 회전판(130)이 구비되고 상기 회전판(130)에 일측이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체결판(140) 및 상기 체결판(140)의 타측에 장착되는 금형판(150)을 포함하되 상기 성형금형(120)은 상기 금형판(150)에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어 다양한 성형금형을 통해 다양한 형태의 금속용기를 제작할 수 있다.
다섯째, 상기 제 2 베이스(210)와 상기 제 1 베이스(110)에 장착되는 실린더(220)와, 상기 실린더(220)로부터 상기 성형금형(120)을 향하여 신축동작하는 상부로드(230)와 상기 상부로드(230)의 단부에 고정된 고정부(240) 및 용기의 바닥면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고정부(240)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함께 신축 동작하며 상기 베이스재(A)의 중앙부를 상기 성형금형(120)에 밀착시키는 가압판(250)으로 구비되어 성형금형의 변경에 유연하게 적용할 수 있다.
여섯째, 가열부(600)가 신축 동작하며 단부가 상기 성형금형(120)에 밀착된 상기 베이스재(A)의 둘레 표면과 선택적으로 접촉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제어부(500)에는 상기 베이스재(A) 가공시 상기 베이스재(A)의 온도를 측정하도록 온도수집수단(610)이 더 구비되어 상기 온도수집수단(610)이 수집한 온도와 사전에 설정된 온도 수치를 서로 비교하여 상기 가열부(600)의 가열 온도 또는 상기 가열부(600)의 위치를 조절하도록 상기 가열부(600)에 제어 신호를 전달하도록 구비되어 시험 데이터 중에서 최적의 금속온도를 유지하도록 하여 금속 가공 오류를 최소화할 수 있다.
일곱째, 상기 이동무게부(400)가 제 4 베이스(410)에 일측이 고정되고 상기 주축대부(100) 방향으로 전후방 이동 가능하게 상기 상부로드(230)와 평행하게 하부로드(420)이 구비되며, 상기 하부로드(420)의 전단에는 무게수단(430)이 배치되며 상기 무게수단(430)의 저면에는 상기 무게수단(430)이 상기 하부로드(420)의 가압력으로 전후방으로 이동되도록 바닥에 설치되는 레일(B)에 치합되는 레일수용부(440)이 구비되어 주축대부와 심압대부 및 가압로울러부의 진동을 억제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대형용기 제작 스피닝 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시스템 3D도면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대형용기 제작 스피닝 장치의 주축대부를 설명하기 위한 3D도면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대형용기 제작 스피닝 장치의 주축대부의 커버부를 설명하기 위한 3D도면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대형용기 제작 스피닝 장치의 심압대부를 설명하기 위한 3D도면이다.
도 5 및 6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대형용기 제작 스피닝 장치의 가압로울러부를 설명하기 위한 3D도면이다.
도 7 내지 9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대형용기 제작 스피닝 장치의 이동무게부를 설명하기 위한 3D도면이다.
도 10 내지 13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대형용기 제작 스피닝 장치의 동작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3D도면이다.
도 14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대형용기 제작 스피닝 장치의 제어부를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형태들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경들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들을 가질 수 있으므로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들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대형용기 제작 스피닝 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시스템 3D도면이고, 도 2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대형용기 제작 스피닝 장치의 주축대부를 설명하기 위한 3D도면이며, 도 3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대형용기 제작 스피닝 장치의 주축대부의 커버부를 설명하기 위한 3D도면이고, 도 4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대형용기 제작 스피닝 장치의 심압대부를 설명하기 위한 3D도면이며, 도 5 및 6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대형용기 제작 스피닝 장치의 가압로울러부를 설명하기 위한 3D도면이고, 도 7 내지 9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대형용기 제작 스피닝 장치의 이동무게부를 설명하기 위한 3D도면이며, 도 10 내지 13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대형용기 제작 스피닝 장치의 동작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3D도면이고, 도 14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대형용기 제작 스피닝 장치의 제어부를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이다.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원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대형용기 제작 스피닝 장치는 먼저,
원판형의 금속재로 구비되는 베이스재(A)를 스피닝 가공하여 용기를 성형하도록 고정 설치된 제 1 베이스(110)에 지지되어 수평축 회전하고 회전단에는 상기 베이스재(A)의 내부면과 대응되는 형상의 성형면(121)을 갖는 성형금형(120)이 탈착 가능하도록 주축대부(100)가 구비된다.
여기에, 상기 베이스재(A)를 사이에 두고 상기 주축대부(100)와 대향 배치되며, 고정 설치된 제 2 베이스(210)에 지지되어 상기 주축대부(100) 방향으로 전후방 이동하며 상기 성형금형(120)에 상기 베이스재(A)의 중앙부를 가압하며 회전하도록 심압대부(200)가 구성되며, 상기 베이스재(A)를 상기 성형금형(120) 측으로 가압하여 내부면이 상기 성형면(121)과 동일하게 성형되도록 가압롤러부(300)가 구성되는 것이다.
즉, 상기 베이스재(A)를 상기 주축대부(100)의 상기 성형금형(120)에 상기 심압대부(200)으로 중심을 압박하고 상기 가압로울러부(300)의 가압을 통해서 용기가 성형되도록 하는 것이다.
여기에, 상기 심압대부(200)의 직하에서 상기 주축대부(100)의 직하 위치까지 상기 심압대부(200)와 상기 가압롤러부(300)의 위치에 따라 제어부(500)의 위치 제어 신호에 따라 전후방으로 이동되도록 이동무게부(400)가 구비되어 상기 주축대부(100), 상기 심압대부(200) 및 상기 가압로울러부(300)의 회전에서 발생되는 진동을 억제하도록 하는 것이다.
여기에, 상기 주축대부(100) 또는 상기 심압대부(200) 중 어느 하나에 회전 제어 신호를 전달하고, 상기 심압대부(200), 상기 가압롤러부(300) 또는 상기 이동무게부(400)에 이동 제어 신호를 전달하도록 상기 제어부(500)가 구성되어 상기 주축대부(100), 상기 심압대부(200), 상기 가압로울러부(300)의 회전, 가압력 및 이동무게부(400)의 위치를 종합적으로 제어하여 발생되는 진동을 억제하도록 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주축대부(100)는 상기 제 1 베이스(110)와 구동수단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상기 제 1 베이스(110)에 대하여 수평축 회전하는 회전판(130)이 구비되고 상기 회전판(130)에 일측이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체결판(140) 및 상기 체결판(140)의 타측에 장착되는 금형판(150)을 포함하되 상기 성형금형(120)은 상기 금형판(150)에 탈착 가능하게 구비어 다양한 형상의 용기 제작이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심압대부(200)는 상기 제 2 베이스(210)와 상기 제 1 베이스(110)에 장착되는 실린더(220)와, 상기 실린더(220)로부터 상기 성형금형(120)을 향하여 신축동작하는 상부로드(230)와 상기 상부로드(230)의 단부에 고정된 고정부(240) 및 용기의 바닥면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고정부(240)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함께 신축 동작하며 상기 베이스재(A)의 중앙부를 상기 성형금형(120)에 밀착시키는 가압판(250)으로 구비되어 상기 주축재부(100)와 마찬가지로 다양한 상기 성형금형(120)에 대응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성형금형(120)을 사이에 두고 상기 가압롤러부(300)와 대향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베이스재(A)의 둘레를 가열하는 가열부(600)가 더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가열부(600)는 신축 동작하며 단부가 상기 성형금형(120)에 밀착된 상기 베이스재(A)의 둘레 표면과 선택적으로 접촉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제어부(500)에는 상기 베이스재(A) 가공시 상기 베이스재(A)의 온도를 측정하도록 온도수집수단(610)이 더 구비되어 상기 온도수집수단(610)이 수집한 온도와 사전에 설정된 온도 수치를 서로 비교하여 상기 가열부(600)의 가열 온도 또는 상기 가열부(600)의 위치를 조절하도록 상기 가열부(600)에 제어 신호를 전달하도록 구비되어 금속의 재질, 성형 크기, 회전 속도에 다르는 최적의 가열 온도를 시험 생산시 도출하여 도출된 온도가 상기 제어부(500)을 통해 제아되도록 구비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이동무게부(400)는 제 4 베이스(410)에 고정되고 상기 제 3 베이스(310)에 일측이 고정되고 상기 주축대부(100) 방향으로 전후방 이동 가능하게 상기 상부로드(230)와 평행하게 하부로드(420)이 구비되며, 상기 하부로드(420)의 전단에는 무게수단(430)이 배치되며 상기 무게수단(430)의 저면에는 상기 무게수단(430)이 상기 하부로드(420)의 가압력으로 전후방으로 이동되도록 바닥에 설치되는 레일(B)에 치합되는 레일수용부(440)로 지면에 단단하게 고정되어 전후방 이동되어 진동을 억제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레일수용부(440)는 복수 개로 형성되며 상기 레일수용부(440)는 상기 무게수단(430)의 저면에서 상기 레일(B)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무게수단(430)과 일체로 형성되되 단면이 반원형이 만곡종단(441)로 구비되어 지면 고정력을 더 높이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가압롤러부(300)는 제 3 베이스(310)에 고정되어 상기 주축대부(100)의 상기 성형금형(120) 주변에서 전 후방으로 직선 이동하도록 로울러로드(320)가 구비되고 종단에 가압롤러(320)가 구비되며, 상기 로울러로드(320)의 이동은 상기 제어부(500)의 제어 신호로 제어되어 시험 생산시 최적으로 도출된 이동 속도가 실제 생산에 적용되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주축대부(100)는 상기 성형금형(120)의 직상 위치에서 상기 주축대부(100)를 상부에서 하부로 감싸는 형상으로 커버부(160)가 더 포함되며, 상기 커버부(160)는 상기 주축대부(100)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여 좌우를 감싸도록 중심(161), 좌날개(162) 및 우날개(163)로 구비되며 상기 커버부(160)의 내부면에는 흡진재(164)가 더 구비된다.\
이때, 상기 흡진재(164)는 불연 재질로 상기 주축대부(100)의 상부를 감싸는 형상으로 다수의 흡진모듈(164a)가 상기 주축대부(100)를 중심 방향으로 감싸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된 일 실시 예에 따르는 대형용기 제작 스피닝 장치를 이용하면, 원통형, 원뿔형등을 이루는 대형 용기를 스피닝으로 제작하는데 있어서 주축부등에서 발생되는 진동을 최대한 억제하고 가압 로울러의 가압력, 가압 속도등을 수치제러하며 그 데이터와 가열 온도 및 금속재로 부터 측정되는 온도를 수집하여 최적의 생산 데이터를 도출하여 최적의 데이터를 스피닝 장치에 반영 및 적용할 수 있으며, 고정 설치된 제 1 베이스(110)에 지지되어 수평축 회전하고 회전단에는 상기 베이스재(A)의 내부면과 대응되는 형상의 성형면(121)을 갖는 성형금형(120)이 탈착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주축대부(100)와 상기 베이스재(A)를 사이에 두고 상기 주축대부(100)와 대향 배치되며, 고정 설치된 제 2 베이스(210)에 지지되어 상기 주축대부(100) 방향으로 전후방 이동하며 상기 성형금형(120)에 상기 베이스재(A)의 중앙부를 가압하며 회전하도록 구비되는 심압대부(200)와 상기 베이스재(A)를 상기 성형금형(120) 측으로 가압하여 내부면이 상기 성형면(121)과 동일하도록 구비되는 가압롤러부(300)로 작업자의 개입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상기 심압대부(200)의 직하에서 상기 주축대부(100)의 직하 위치까지 상기 심압대부(200)와 상기 가압롤러부(300)의 위치에 따라 제어부(500)의 위치 제어 신호에 따라 전후방으로 이동되도록 구비되는 이동무게부(400)로 주축대와 심압대부 및 가압로울러부에서 발생되는 진동을 억제하여 최소화하며, 상기 주축대부(100)가 상기 제 1 베이스(110)와 구동수단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상기 제 1 베이스(110)에 대하여 수평축 회전하는 회전판(130)이 구비되고 상기 회전판(130)에 일측이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체결판(140) 및 상기 체결판(140)의 타측에 장착되는 금형판(150)을 포함하되 상기 성형금형(120)은 상기 금형판(150)에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어 다양한 성형금형을 통해 다양한 형태의 금속용기를 제작할 수 있으며, 상기 제 2 베이스(210)와 상기 제 1 베이스(110)에 장착되는 실린더(220)와, 상기 실린더(220)로부터 상기 성형금형(120)을 향하여 신축동작하는 상부로드(230)와 상기 상부로드(230)의 단부에 고정된 고정부(240) 및 용기의 바닥면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고정부(240)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함께 신축 동작하며 상기 베이스재(A)의 중앙부를 상기 성형금형(120)에 밀착시키는 가압판(250)으로 구비되어 성형금형의 변경에 유연하게 적용할 수 있으며, 가열부(600)가 신축 동작하며 단부가 상기 성형금형(120)에 밀착된 상기 베이스재(A)의 둘레 표면과 선택적으로 접촉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제어부(500)에는 상기 베이스재(A) 가공시 상기 베이스재(A)의 온도를 측정하도록 온도수집수단(610)이 더 구비되어 상기 온도수집수단(610)이 수집한 온도와 사전에 설정된 온도 수치를 서로 비교하여 상기 가열부(600)의 가열 온도 또는 상기 가열부(600)의 위치를 조절하도록 상기 가열부(600)에 제어 신호를 전달하도록 구비되어 시험 데이터 중에서 최적의 금속온도를 유지하도록 하여 금속 가공 오류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상기 이동무게부(400)가 제 4 베이스(410)에 일측이 고정되고 상기 주축대부(100) 방향으로 전후방 이동 가능하게 상기 상부로드(230)와 평행하게 하부로드(420)이 구비되며, 상기 하부로드(420)의 전단에는 무게수단(430)이 배치되며 상기 무게수단(430)의 저면에는 상기 무게수단(430)이 상기 하부로드(420)의 가압력으로 전후방으로 이동되도록 바닥에 설치되는 레일(B)에 치합되는 레일수용부(440)이 구비되어 주축대부와 심압대부 및 가압로울러부의 진동을 억제한다.
이상 본 발명은 바람직한 일실시 예를 통하여 설명하였는데, 상술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가 가능함은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보호범위는 특정 실시예가 아니라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도응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 되어야 될 것이다.
100 ... 주축대부
110 ... 제 1 베이스
120 ... 성형금형
121 ... 성형면
130 ... 회전판
140 ... 체결판
150 ... 금형판
160 ... 커버부
161 ... 중심
162 ... 좌날개
163 ... 우날개
164 ... 흡진재
200 ... 심압대부
210 ... 제 2 베이스
220 ... 실린더
230 ... 상부로드
240 ... 고정부
250 ... 가압판
300 ... 가압롤러부
310 ... 제 3 베이스
320 ... 회동부
330 ... 로울러로드
340 ... 가압롤러
400 ... 이동무게부
410 ... 제 4 베이스
420 ... 하부로드
430 ... 무게수단
440 ... 레일수용부
441 ... 만곡종단
500 ... 제어부
600 ... 가열부
610 ... 온도수집수단
A ... 베이스재
B ... 레일

Claims (8)

  1. 원판형의 금속재로 구비되는 베이스재(A)를 스피닝 가공하여 용기를 성형하는 스피닝 머신에 있어서,
    고정 설치된 제 1 베이스(110)에 지지되어 수평축 회전하고 회전단에는 상기 베이스재(A)의 내부면과 대응되는 형상의 성형면(121)을 갖는 성형금형(120)이 탈착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주축대부(100);
    상기 베이스재(A)를 사이에 두고 상기 주축대부(100)와 대향 배치되며, 고정 설치된 제 2 베이스(210)에 지지되어 상기 주축대부(100) 방향으로 전후방 이동하며 상기 성형금형(120)에 상기 베이스재(A)의 중앙부를 가압하며 회전하도록 구비되는 심압대부(200);
    상기 베이스재(A)를 상기 성형금형(120) 측으로 가압하여 내부면이 상기 성형면(121)과 동일하게 성형되도록 구비되는 가압롤러부(300);
    상기 심압대부(200)의 직하에서 상기 주축대부(100)의 직하 위치까지 상기 심압대부(200)와 상기 가압롤러부(300)의 위치에 따라 제어부(500)의 위치 제어 신호에 따라 전후방으로 이동되도록 구비되는 이동무게부(400); 및
    상기 주축대부(100) 또는 상기 심압대부(200) 중 어느 하나에 회전 제어 신호를 전달하고,
    상기 심압대부(200), 상기 가압롤러부(300) 또는 상기 이동무게부(400)에 이동 제어 신호를 전달하도록 구비되는 상기 제어부(500);를 포함하되,
    상기 주축대부(100)는 상기 제 1 베이스(110)와 구동수단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상기 제 1 베이스(110)에 대하여 수평축 회전하는 회전판(130)이 구비되고 상기 회전판(130)에 일측이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체결판(140) 및 상기 체결판(140)의 타측에 장착되는 금형판(150)을 포함하되 상기 성형금형(120)은 상기 금형판(150)에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심압대부(200)는 상기 제 2 베이스(210)와 상기 제 1 베이스(110)에 장착되는 실린더(220)와, 상기 실린더(220)로부터 상기 성형금형(120)을 향하여 신축동작하는 상부로드(230)와 상기 상부로드(230)의 단부에 고정된 고정부(240) 및 용기의 바닥면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고정부(240)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함께 신축 동작하며 상기 베이스재(A)의 중앙부를 상기 성형금형(120)에 밀착시키는 가압판(250)으로 구비되며,
    상기 성형금형(120)을 사이에 두고 상기 가압롤러부(300)와 대향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베이스재(A)의 둘레를 가열하는 가열부(600);를 더 포함하되,
    상기 가열부(600)는 신축 동작하며 단부가 상기 성형금형(120)에 밀착된 상기 베이스재(A)의 둘레 표면과 선택적으로 접촉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500)에는 상기 베이스재(A) 가공시 상기 베이스재(A)의 온도를 측정하도록 온도수집수단(610)이 더 구비되어 상기 온도수집수단(610)이 수집한 온도와 사전에 설정된 온도 수치를 서로 비교하여 상기 가열부(600)의 가열 온도 또는 상기 가열부(600)의 위치를 조절하도록 상기 가열부(600)에 제어 신호를 전달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용기 제작 스피닝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무게부(400)는,
    제 4 베이스(410)에 고정되고 제 3 베이스(310)에 일측이 고정되고 상기 주축대부(100) 방향으로 전후방 이동 가능하게 상기 상부로드(230)와 평행하게 하부로드(420)이 구비되며, 상기 하부로드(420)의 전단에는 무게수단(430)이 배치되며 상기 무게수단(430)의 저면에는 상기 무게수단(430)이 상기 하부로드(420)의 가압력으로 전후방으로 이동되도록 바닥에 설치되는 레일(B)에 치합되는 레일수용부(440)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용기 제작 스피닝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수용부(440)는 복수 개로 형성되며,
    상기 레일수용부(440)는 상기 무게수단(430)의 저면에서 상기 레일(B)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무게수단(430)과 일체로 형성되되 단면이 반원형이 만곡종단(441)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용기 제작 스피닝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롤러부(300)는,
    제 3 베이스(310)에 고정되어 상기 주축대부(100)의 상기 성형금형(120) 주변에서 전 후방으로 직선 이동하도록 로울러로드(320)가 구비되고 종단에 가압롤러(320)가 구비되며,
    상기 로울러로드(320)의 이동은 상기 제어부(500)의 제어 신호로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용기 제작 스피닝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축대부(100)는,
    상기 성형금형(120)의 직상 위치에서 상기 주축대부(100)를 상부에서 하부로 감싸는 형상으로 커버부(160)가 더 포함되며,
    상기 커버부(160)는 상기 주축대부(100)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여 좌우를 감싸도록 중심(161), 좌날개(162) 및 우날개(163)로 구비되되,
    상기 커버부(160)의 내부면에는 흡진재(164)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용기 제작 스피닝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흡진재(164)는 불연 재질로 상기 주축대부(100)의 상부를 감싸는 형상으로 다수의 흡진모듈(164a)가 상기 주축대부(100)를 중심 방향으로 감싸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용기 제작 스피닝 장치.

KR1020200116796A 2020-09-11 2020-09-11 대형용기 제작 스피닝 장치 KR1023505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6796A KR102350584B1 (ko) 2020-09-11 2020-09-11 대형용기 제작 스피닝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6796A KR102350584B1 (ko) 2020-09-11 2020-09-11 대형용기 제작 스피닝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50584B1 true KR102350584B1 (ko) 2022-01-12

Family

ID=793394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6796A KR102350584B1 (ko) 2020-09-11 2020-09-11 대형용기 제작 스피닝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0584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9626U (ko) * 1994-09-30 1996-04-12 신태식 벽걸이식 화분
KR20010088023A (ko) * 2000-03-10 2001-09-26 박윤소 초대형 고압가스용기(점보용기)의 성형기술 및 성형기계
KR100462725B1 (ko) 2002-08-26 2004-12-20 정화영 소지용기 성형용 형틀과 이 형틀을 채택한 소지용기성형장치 및 성형방법
KR100492817B1 (ko) * 2003-02-05 2005-05-30 코리아프랜트 주식회사 대형 고압용기의 성형장치
KR100530900B1 (ko) * 2003-05-16 2005-11-23 주식회사 엔케이 고압가스용 점보용기 성형장치
JP5860076B2 (ja) * 2013-03-04 2016-02-16 ▲キン▼港企業有限公司 スピニング加工機用ローラーアクチュエーター駆動装置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9626U (ko) * 1994-09-30 1996-04-12 신태식 벽걸이식 화분
KR20010088023A (ko) * 2000-03-10 2001-09-26 박윤소 초대형 고압가스용기(점보용기)의 성형기술 및 성형기계
KR100462725B1 (ko) 2002-08-26 2004-12-20 정화영 소지용기 성형용 형틀과 이 형틀을 채택한 소지용기성형장치 및 성형방법
KR100492817B1 (ko) * 2003-02-05 2005-05-30 코리아프랜트 주식회사 대형 고압용기의 성형장치
KR100530900B1 (ko) * 2003-05-16 2005-11-23 주식회사 엔케이 고압가스용 점보용기 성형장치
JP5860076B2 (ja) * 2013-03-04 2016-02-16 ▲キン▼港企業有限公司 スピニング加工機用ローラーアクチュエーター駆動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2877841U (zh) 全自动多工位螺母铆压机
CN104070674B (zh) 一种贯流风叶焊接机器人
CN102284580B (zh) 一种大型波纹管成型机
CN110587168B (zh) 一种用于厚板焊接的反变形装置
CN110508878B (zh) 一种自动龙门式数控切割机
CN102950789A (zh) 一种实现粉体高密度振压成形的设备
CN103071726A (zh) 金属板材单点纵向振动可控式渐进成形系统
CN104526147B (zh) 电热锅锅体隔离帽自动安装焊接机
KR102350584B1 (ko) 대형용기 제작 스피닝 장치
CN203449566U (zh) 一种镶件注塑用机械手生产线及其机械手
CN204602935U (zh) 一种变曲率大半径钢管弯曲成形装置
KR100968213B1 (ko) 빌렛 단조성형장치 및 빌렛 단조성형방법
CN204054652U (zh) 一种贯流风叶焊接机器人
CN210847789U (zh) 变曲率带料绕制成型机构
CN210527776U (zh) 一种多工位转盘自动下料装置及自下料多工位转盘
CN103361478A (zh) 一种膜片弹簧淬火线自动出料装置
CN207788230U (zh) 一种铁芯焊接机
KR20110053894A (ko) 빌렛 단조성형장치
CN211889524U (zh) 一种箍耳自动焊机
CN110640971B (zh) 一种高性能核心基础部件高效优质的智能制造装备及系统
CN209062105U (zh) 一种连杆式高速取出机
CN110202049B (zh) 一种集压力控制与位移补偿为一体的工具头及控制方法
CN208730410U (zh) 碳纤维材料贴合自动化机器人
CN203109036U (zh) 金属板材单点纵向振动可控式渐进成形系统
CN207656021U (zh) 具有隔热功能的高精度数控滚齿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