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0085B1 - 차량용 팝업 후드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팝업 후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0085B1
KR101770085B1 KR1020167018226A KR20167018226A KR101770085B1 KR 101770085 B1 KR101770085 B1 KR 101770085B1 KR 1020167018226 A KR1020167018226 A KR 1020167018226A KR 20167018226 A KR20167018226 A KR 20167018226A KR 101770085 B1 KR101770085 B1 KR 1017700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m
cylinder
hood
rod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182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96159A (ko
Inventor
가츠야 이노우에
요시노리 우오즈미
Original Assignee
도요타 지도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요타 지도샤(주) filed Critical 도요타 지도샤(주)
Publication of KR201600961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61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00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00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34Protecting non-occupants of a vehicle, e.g. pedestrians
    • B60R21/38Protecting non-occupants of a vehicle, e.g. pedestrians using means for lifting bonn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10Bonnets or lids, e.g. for trucks, tractors, busses, work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10Bonnets or lids, e.g. for trucks, tractors, busses, work vehicles
    • B62D25/12Parts or detail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Superstructure Of Vehicle (AREA)
  • Actuator (AREA)

Abstract

차량용 팝업 후드 장치 (10) 에서는, 액츄에이터 (60) 가 요동 아암 (40) 에 차량 상측으로 상대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액츄에이터 (60) 가 힌지 아암 (50) 을 밀어 올림 위치로 밀어 올리면, 후드 (12) 에 발생하는 진동에 의해 액츄에이터 (60) 가 밀어 올림 위치로부터 상승 위치로 이동한다. 또, 상승 위치에서는, 액츄에이터 (60) 의 걸어맞춤편이 요동 아암 (40) 의 연결축 유닛 (84) 에 걸어맞춰지고, 액츄에이터 (60) 가 상승 위치에 유지된다. 이 때의 후드 (12) 의 진폭은 액츄에이터 (60) 의 밀어 올림량의 약 2 배가 된다. 이로써, 만일 액츄에이터 (60) 가 힌지 아암 (50) 을 상승 위치까지 밀어 올리는 경우와 비교하여, 액츄에이터 (60) 의 밀어 올림량이 작아지기 때문에, 후드 (12) 의 진동의 진폭을 작게 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팝업 후드 장치{POP-UP HOOD DEVICE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팝업 후드 장치에 관한 것이다.
하기 특허문헌 1 에 기재된 차량용 팝업 후드 장치에서는, 액츄에이터에 의해 밀어 올려진 (일으켜진) 후드가, 밀어 올려진 위치 (밀어 올림 위치) 보다 상측의 최대 일으킴 위치 (상승 위치) 까지 일시적으로 변위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밀어 올려진 후드는 최대 일으킴 위치에 있어서 진동하고, 후드가 최종적으로 후드 지지 위치에서 액츄에이터에 의해 지지된다. 이로써, 후드를 밀어 올렸을 때의 후드와 엔진룸 내의 구조물 사이의 클리어런스가 확보된다. 또한, 차량용 팝업 후드 장치로는, 하기 특허문헌 2 ∼ 특허문헌 5 에 기재된 것이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9-67303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9-45965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5-225392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9-202871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11-263191호
그러나, 상기 차량용 팝업 후드 장치에서는, 후드가 밀어 올려졌을 때의 후드와 엔진룸 내의 구조물 사이의 클리어런스에 대해서는 고려되어 있지만, 후드에 발생하는 진동의 진폭을 작게 하는 것에 대해서는 고려되어 있지 않다.
본 발명은, 상기 사실을 고려하여 후드의 밀어 올림시에 발생하는 후드의 진동의 진폭을 작게 할 수 있는 차량용 팝업 후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제 1 양태에 관련된 차량용 팝업 후드 장치는, 후드의 차폭 방향 양단부에 고정된 아암과, 일부가 차체에 고정된 베이스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또한 타부에 상기 아암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됨으로써, 상기 베이스와 상기 아암을 연결하는 요동 아암과, 작동함으로써 상기 아암을 밀어 올림 위치로 밀어 올리는 액츄에이터와, 상기 액츄에이터가 상기 아암을 밀어 올림으로써 상기 후드에 발생하는 진동에 의해 상기 요동 아암에 대해 회동되어 상기 밀어 올림 위치보다 차량 상측의 상승 위치로 변위된 상기 아암을 유지하는 유지 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제 1 양태에 관련된 차량용 팝업 후드 장치에서는, 차체에 고정된 베이스에 아암이 연결되어 있고, 아암은 후드의 차폭 방향 양단부에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액츄에이터가 작동함으로써, 아암 (즉 후드의 차폭 방향 양단부) 이 밀어 올림 위치로 밀어 올려진다. 이 때문에, 차량 전후 방향에서 보았을 때, 후드의 차폭 방향 양단부 (아암) 가 마디 (節) 가 되고, 후드의 차폭 방향 중앙부가 배 (復) 가 되도록, 후드가 상하 방향으로 진동하려고 한다.
여기서, 액츄에이터가 아암을 밀어 올림으로써 후드에 발생하는 진동에 의해 밀어 올림 위치보다 차량 상측의 상승 위치로 변위된 아암 (즉 후드의 차폭 방향 양단부) 이 유지 기구에 의해 유지된다. 이 때문에, 후드의 차폭 방향 양단부가 상승 위치에 있어서 유지되기 때문에, 후드의 차체에 대한 상승량이 확보된다. 또, 후드의 차폭 방향 양단부가 상승 위치에 유지된 상태에서는, 후드가 상승 위치를 기점으로 진동하지만, 이 때의 후드의 진동에 있어서의 진폭은 액츄에이터의 밀어 올림량의 약 2 배가 된다. 이로써, 제 1 양태에 관련된 차량용 팝업 후드 장치에서는, 만일 액츄에이터가 아암 (후드의 차폭 방향 양단부) 을 상승 위치까지 밀어 올리도록 구성한 경우와 비교하여, 액츄에이터의 밀어 올림량이 작아지기 때문에, 후드의 밀어 올림시에 발생하는 후드의 진동의 진폭을 작게 할 수 있다.
제 2 양태에 관련된 차량용 팝업 후드 장치는, 제 1 양태에 있어서, 상기 액츄에이터는, 상기 요동 아암에 연결된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아암에 연결되고 또한 상기 실린더 내에 공급되는 가스에 의해 상기 밀어 올림 위치로 상승되는 로드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밀어 올림 위치로 상승된 상기 로드가 상기 요동 아암에 대해 차량 상측으로 상대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제 2 양태에 관련된 차량용 팝업 후드 장치에서는, 베이스에 요동 아암이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이 요동 아암에 아암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또, 액츄에이터는, 아암에 연결된 로드와, 요동 아암에 연결된 실린더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요컨대, 액츄에이터가 요동 아암과 아암 사이에 걸쳐져 있다.
그리고, 밀어 올림 위치로 상승된 로드가, 요동 아암에 차량 상측으로 상대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이로써, 밀어 올림 위치로 밀어 올려진 아암을, 요동 아암에 대해 상승 위치측으로 상대 회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아암이 요동 아암을 개재하여 베이스에 연결되는 경우에도, 후드의 밀어 올림시에 발생하는 후드의 진동의 진폭을 작게 할 수 있다.
제 3 양태에 관련된 차량용 팝업 후드 장치는, 제 2 양태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가 상기 요동 아암에 차량 상측으로 상대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유지 기구는, 상기 실린더에 형성된 걸어맞춤부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상승 위치에 있어서 상기 걸어맞춤부가 상기 요동 아암에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걸어맞춰짐으로써 상기 실린더가 상기 상승 위치에 유지된다.
제 3 양태에 관련된 차량용 팝업 후드 장치에서는, 실린더가 요동 아암에 차량 상측으로 상대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이로써, 로드가 아암을 밀어 올림 위치로 밀어 올린 후에 실린더가 요동 아암에 대해 차량 상측으로 상대 이동함으로써, 밀어 올림 위치로 상승된 로드가 요동 아암에 대해 차량 상측으로 상대 이동한다. 그 결과, 아암이 밀어 올림 위치로부터 상승 위치로 변위된다.
또한, 유지 기구는, 실린더에 형성된 걸어맞춤부를 가지고 있고, 상승 위치에 있어서 걸어맞춤부가 요동 아암에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걸어맞춰짐으로써, 실린더가 상승 위치에 유지된다. 이로써, 아암을 밀어 올리는 액츄에이터를 활용하여, 아암을 상승 위치에 유지할 수 있다.
제 4 양태에 관련된 차량용 팝업 후드 장치는, 제 3 양태에 있어서, 상기 요동 아암 및 상기 실린더의 일방에는, 상기 요동 아암 및 상기 실린더의 타방측으로 돌출된 축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요동 아암 및 상기 실린더의 타방에는, 상기 축부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삽입되어, 상기 실린더를 상기 요동 아암에 차량 상측으로 상대 이동 가능하게 연결시키는 장공 (長孔) 이 형성되어 있다.
제 5 양태에 관련된 차량용 팝업 후드 장치는, 제 4 양태에 있어서, 상기 액츄에이터의 비작동 상태에서는, 상기 축부가 상기 장공의 길이 방향 일방측의 단부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실린더가 상기 상승 위치에 유지된 상태에서는, 상기 축부가 상기 장공의 길이 방향 타방측의 단부에 배치된다.
제 4 및 제 5 양태에 관련된 차량용 팝업 후드 장치에서는, 로드가 밀어 올림 위치로 상승된 후에, 실린더가 요동 아암에 대해 차량 상측으로 상대 이동하도록 축부가 장공 내를 슬라이드함으로써, 로드가 요동 아암에 대해 차량 상측으로 상대 이동한다. 그 결과, 아암이 밀어 올림 위치로부터 상승 위치로 변위된다. 그리고, 상승 위치에 있어서 축부를 장공의 내주부에 맞닿게 함으로써, 아암을 상승 위치에 양호한 정밀도로 배치할 수 있다.
제 6 양태에 관련된 차량용 팝업 후드 장치는, 제 4 또는 제 5 양태에 있어서, 상기 축부의 상기 장공에 대한 슬라이드량이, 상기 밀어 올림 위치로 상승되는 상기 로드의 상승량에 비해 작게 설정되어 있다.
제 6 양태에 관련된 차량용 팝업 후드 장치에서는, 축부의 장공에 대한 슬라이드량이, 밀어 올림 위치로 상승되는 로드의 상승량에 비해 작게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액츄에이터에 의해 후드를 밀어 올림 위치로 밀어 올렸을 때 발생하는 후드의 진동에 의해, 후드를 상승 위치에 양호하게 변위시킬 수 있다.
제 7 양태에 관련된 차량용 팝업 후드 장치는, 제 3 ∼ 제 6 양태 중 어느 하나의 양태에 있어서, 상기 걸어맞춤부는 탄성 변형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고, 상기 걸어맞춤부가 상기 요동 아암에 직접적 또는 다른 부재를 개재하여 맞닿아 탄성 변형됨으로써, 상기 실린더가 상기 상승 위치에 유지된다.
제 7 양태에 관련된 차량용 팝업 후드 장치에서는, 걸어맞춤부가 탄성 변형된 상태에서, 걸어맞춤부와 요동 아암 또는 다른 부재가 맞닿아 있다. 이 때문에, 걸어맞춤부와 요동 아암 또는 다른 부재 사이에 발생하는 마찰력에 의해, 아암을 상승 위치에 유지할 수 있다.
제 8 양태에 관련된 차량용 팝업 후드 장치는, 제 2 양태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에는, 상기 로드가 상기 밀어 올림 위치로 상승됨으로써 상기 실린더 내에 공급된 가스를 상기 실린더 외로 방출하는 가스 빼냄부가 형성되고, 상기 유지 기구는, 상기 실린더의 내주부에 형성된 걸어맞춤부와, 상기 로드에 형성된 피걸어맞춤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상승 위치에 있어서 상기 피걸어맞춤 부재가 상기 걸어맞춤부에 걸어맞춰짐으로써 상기 로드가 상기 상승 위치에 유지된다.
제 9 양태에 관련된 차량용 팝업 후드 장치는, 제 8 양태에 있어서, 상기 가스 빼냄부는, 상기 실린더의 내주연부에 형성된 가스 빼냄 홈이 되고, 상기 가스 빼냄 홈이 상기 실린더의 축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
제 8 및 제 9 양태에 관련된 차량용 팝업 후드 장치에서는, 실린더에 가스 빼냄부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로드가 밀어 올림 위치로 상승되면, 실린더 내에 공급된 가스가 가스 빼냄부에 의해 실린더 외로 방출된다. 이로써, 상승된 로드가 밀어 올림 위치에 일단 정지한다.
그리고, 후드에 발생하는 진동에 의해 아암과 함께 로드가 밀어 올림 위치로부터 상승 위치로 상승하면, 로드에 형성된 피걸어맞춤 부재가, 실린더의 내주부에 형성된 걸어맞춤부에 걸어맞춰지고, 로드 (즉 아암) 가 상승 위치에 유지된다. 따라서, 액츄에이터의 작동 후에, 실린더 내의 가스를 빼내면서, 로드를 상승 위치로 상승시킬 수 있다.
제 10 양태에 관련된 차량용 팝업 후드 장치는, 제 2 양태에 있어서, 상기 로드는, 제 1 로드와 제 2 로드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고, 상기 제 1 로드는, 통상을 이루는 통상부를 갖고, 상기 제 2 로드는, 상기 아암에 연결됨과 함께, 상기 액츄에이터의 축 방향으로 상대 이동 가능하게 상기 통상부에 수용되고, 상기 유지 기구는, 상기 통상부의 내주부에 형성된 걸어맞춤부와, 상기 제 2 로드에 형성된 피걸어맞춤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상승 위치에 있어서 상기 피걸어맞춤 부재가 상기 걸어맞춤부에 걸어맞춰짐으로써 상기 제 2 로드가 상기 상승 위치에 유지된다.
제 10 양태에 관련된 차량용 팝업 후드 장치에서는, 로드가 제 1 로드와 제 2 로드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고, 제 2 로드가 아암에 연결되어 있다. 또, 제 2 로드는, 액츄에이터의 축 방향으로 상대 이동 가능하게 통상부에 수용되어 있다. 요컨대, 로드가 2 중 구조로 되어 있고, 제 2 로드가 제 1 로드에 대해 상대 이동함으로써, 밀어 올림 위치로 상승된 제 2 로드가 요동 아암에 대해 차량 상측으로 상대 이동한다. 그 결과, 아암이 밀어 올림 위치로부터 상승 위치로 변위된다.
그리고, 제 2 로드가 상승 위치로 상승하면, 제 2 로드에 형성된 피걸어맞춤 부재가, 통상부의 내주부에 형성된 걸어맞춤부와 걸어맞춰져, 제 2 로드 (즉 아암) 가 상승 위치에 유지된다. 따라서, 액츄에이터의 축 방향의 대형화를 억제하면서, 제 2 로드를 요동 아암에 대해 차량 상측으로 상대 이동시킬 수 있다.
제 11 양태에 관련된 차량용 팝업 후드 장치는, 제 1 양태에 있어서, 상기 유지 기구는, 상기 요동 아암에 형성된 걸어맞춤부와, 일단부가 상기 아암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피걸어맞춤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아암의 요동 아암에 대한 상대 회동에 수반하여 상기 피걸어맞춤 부재가 회동되고, 상기 피걸어맞춤 부재의 타단부가 상기 걸어맞춤부에 걸어맞춰짐으로써, 상기 아암이 상기 상승 위치에 유지된다.
제 11 양태에 관련된 차량용 팝업 후드 장치에서는, 베이스에 요동 아암이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요동 아암에 아암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또, 아암에는, 피걸어맞춤 부재의 일단부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후드에 발생하는 진동에 의해 아암이 요동 아암에 대해 밀어 올림 위치로부터 상승 위치로 상대 회동하면, 피걸어맞춤 부재가 회동하고, 요동 아암에 형성된 걸어맞춤부에 피걸어맞춤 부재의 타단부가 걸어맞춤되어, 아암이 상승 위치에 유지된다. 따라서, 아암이 요동 아암을 개재하여 베이스에 연결되는 경우에 있어서, 아암을 상승 위치에 간이한 구성으로 유지할 수 있다.
제 1 양태에 관련된 차량용 팝업 후드 장치에 의하면, 후드의 밀어 올림시에 발생하는 후드의 진동의 진폭을 작게 할 수 있다.
제 2 양태에 관련된 차량용 팝업 후드 장치에 의하면, 아암이 요동 아암을 개재하여 베이스에 연결되는 경우에도, 후드의 밀어 올림시에 발생하는 후드의 진동의 진폭을 작게 할 수 있다.
제 3 양태에 관련된 차량용 팝업 후드 장치에 의하면, 후드를 밀어 올리는 액츄에이터를 활용하여, 아암을 상승 위치에 유지할 수 있다.
제 4 및 제 5 양태에 관련된 차량용 팝업 후드 장치에 의하면, 아암을 상승 위치에 양호한 정밀도로 배치할 수 있다.
제 6 양태에 관련된 차량용 팝업 후드 장치에 의하면, 액츄에이터에 의해 후드를 밀어 올림 위치로 밀어 올렸을 때에 발생하는 후드의 진동에 의해, 후드를 상승 위치에 양호하게 변위시킬 수 있다.
제 7 양태에 관련된 차량용 팝업 후드 장치에 의하면, 걸어맞춤부와 요동 아암 또는 다른 부재 사이에 발생하는 마찰력에 의해, 아암을 상승 위치에 유지할 수 있다.
제 8 및 제 9 양태에 관련된 차량용 팝업 후드 장치에 의하면, 액츄에이터의 작동 후에, 실린더 내의 가스를 빼내면서, 로드를 상승 위치로 상승시킬 수 있다.
제 10 양태에 관련된 차량용 팝업 후드 장치에 의하면, 액츄에이터의 축 방향의 대형화를 억제하면서, 제 2 로드를 요동 아암에 대해 차량 상측으로 상대 이동시킬 수 있다.
제 11 양태에 관련된 차량용 팝업 후드 장치에 의하면, 아암이 요동 아암을 개재하여 베이스에 연결되는 경우에 있어서, 아암을 상승 위치에 간이한 구성으로 유지할 수 있다.
도 1 은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차량용 팝업 후드 장치에 있어서의 차량 우측에 배치된 팝업 기구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차폭 방향 내측에서 본 일부 파단된 측면도이다.
도 2 는 도 1 에 나타내는 차량용 팝업 후드 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a 는 도 1 에 나타내는 요동 아암과 실린더의 연결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 의 3A-3A 선 확대 단면도) 이다.
도 3b 는 도 3a 에 나타내는 상태로부터 실린더가 상승 위치로 상승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a 는 도 1 에 나타내는 상태로부터 로드가 힌지 아암을 밀어 올림 위치로 밀어 올린 상태를 나타내는 일부 파단된 측면도이다.
도 4b 는 도 4a 에 나타내는 상태로부터 힌지 아암이 상승 위치로 상승된 상태를 나타내는 일부 파단된 측면도이다.
도 5 는 도 1 에 나타내는 로드가 힌지 아암을 밀어 올렸을 때의 후드 후단부의 차폭 방향 중앙부에 있어서의 거동을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도 6a 는 도 1 에 나타내는 로드가 힌지 아암을 밀어 올렸을 때의, 후드 후단부의 차폭 방향 중앙부 및 후드 전단부의 차폭 방향 중앙부에 있어서의 진동 파형을 비교예와 비교하여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6b 는 도 6a 의 6B 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7a 는 제 2 실시형태에 사용되는 연결 기구 및 유지 기구를 나타내는 도 3a 에 대응하는 단면도이다.
도 7b 는 도 7a 에 나타내는 상태로부터 실린더가 상승 위치로 상승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 3b 에 대응하는 단면도이다.
도 8a 는 제 3 실시형태에 사용되는 액츄에이터의 내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b 는 도 8a 에 나타내는 상태로부터 로드가 밀어 올림 위치로 상승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c 는 도 8b 에 나타내는 상태로부터 로드가 상승 위치로 상승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9a 는 제 4 실시형태에 사용되는 액츄에이터의 내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9b 는 도 9a 에 나타내는 상태로부터 제 1 로드 및 제 2 로드가 밀어 올림 위치로 상승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9c 는 도 9b 에 나타내는 상태로부터 제 2 로드가 상승 위치로 상승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9d 는 도 9c 에 있어서 C 링이 걸어맞춤 홈에 걸어맞춰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9c 의 9D 부 확대도) 이다.
도 10a 는 제 5 실시형태에 관련된 차량용 팝업 후드 장치의 로드가 힌지 아암을 밀어 올림 위치로 밀어 올린 상태를 나타내는 일부 파단된 측면도이다.
도 10b 는 도 10a 에 나타내는 상태로부터 힌지 아암이 상승 위치로 상승된 상태를 나타내는 일부 파단된 측면도이다.
도 11a 는 제 5 실시형태에 관련된 차량용 팝업 후드 장치의 별례에 있어서 로드가 힌지 아암을 밀어 올림 위치로 밀어 올린 상태를 나타내는 일부 파단된 측면도이다.
도 11b 는 도 11a 에 나타내는 상태로부터 힌지 아암이 상승 위치로 상승된 상태를 나타내는 일부 파단된 측면도이다.
(제 1 실시형태)
이하, 도 1 ∼ 도 6 을 사용하여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차량용 팝업 후드 장치 (10) 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도면에 있어서 적절히 나타내는 화살표 FR 은 차량 전방을 나타내고, 화살표 UP 는 차량 상방을 나타내며, 화살표 RH 는 차량 우측을 나타내고 있다.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차량용 팝업 후드 장치 (10) 는, 엔진룸 (파워 유닛실) (ER) 을 개폐하는 후드 (12) 에 형성된 1 쌍의 팝업 기구부 (30) 를 주요부로 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 팝업 기구부 (30) 는, 후드 (12) 의 후단부에 있어서의 차폭 방향 양단부에 각각 배치 형성되어 있고, 좌우의 팝업 기구부 (30) 는 모두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이하의 설명에서는 차량 우측에 배치된 팝업 기구부 (30) 에 대해 설명하고, 차량 좌측에 배치된 팝업 기구부 (30) 의 설명은 생략한다.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팝업 기구부 (30) 는, 후드 (12) 를 개폐 가능하게 지지하는 후드 힌지 (32) 와, 보행자 등의 충돌체와의 충돌시에 작동하는 액츄에이터 (60) 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또, 팝업 기구부 (30) 에서는, 후드 힌지 (32) 를 구성하는 요동 아암 (40) 에 액츄에이터 (60) 가 연결 기구 (80) 에 의해 연결되어 있고, 차량 상측으로 상승된 후드 (12) 를 유지 기구 (90) (도 3a 및 도 3b 참조) 에 의해 유지하도록 되어 있다. 이하, 먼저 후드 (12) 에 대해 설명하고, 이어서 상기 각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후드 (12) 는, 차량 외측에 배치되어 의장면을 구성하는 후드 아우터 패널 (14) 과, 엔진룸 (ER) 측에 배치됨과 함께 후드 아우터 패널 (14) 을 보강하는 후드 이너 패널 (16) 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양자의 단말부가 헤밍 가공에 의해 결합되어 있다. 또, 후드 (12) 가 엔진룸 (ER) 을 닫은 상태 (도 1 에 나타내는 상태) 에서는, 후드 (12) 의 전단부가, 도시되지 않은 후드 로크에 의해 차체에 고정되어 있다.
또, 후드 이너 패널 (16) 의 후단측 (후부측) 에는, 팽출부 (18) 가 형성되어 있다. 팽출부 (18) 는 후드 이너 패널 (16) 에 대해 차량 하측 (엔진룸 (ER)) 측으로 팽출되어 있고, 팽출부 (18) 의 바닥벽 (18A) 이, 측단면에서 보았을 때 후드 아우터 패널 (14) 과 대략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또, 바닥벽 (18A) 의 상면에는, 후술하는 힌지 아암 (50) 을 고정시키기 위한 1 쌍의 웰드 너트 (20) 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바닥벽 (18A) 에는, 삽통공 (18B) 이 관통 형성되어 있고, 삽통공 (18B) 은 웰드 너트 (20) 와 동축 상에 배치되어 있다.
(후드 힌지 (32) 에 대해)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후드 힌지 (32) 는, 차체에 고정된 「베이스」로서의 힌지 베이스 (34) 와, 힌지 베이스 (34) 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요동 아암 (40) 과, 후드 (12) 에 고정된 「아암」으로서의 힌지 아암 (50) 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힌지 베이스 (34) 는, 차량 정면에서 보았을 때 대략 역 L 자 형상으로 형성됨과 함께, 차폭 방향 내측에서 본 측면에서 보았을 때 차량 상측 대각선 전방으로 개방된 대략 V 자 형상 (상세하게는, 도 4a 및 도 4b 참조) 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힌지 베이스 (34) 는, 차량 전후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판상의 장착부 (34A) 를 구비하고 있다. 장착부 (34A) 는, 판두께 방향을 대략 차량 상하 방향으로 하여, 차체측 구성 부재인 카울 톱사이드 (24) 의 상면부 (24A) 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카울 톱사이드 (24) 는, 후드 (12) 의 후단측과 윈드실드 유리의 하단부 사이에 차폭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카울의 양사이드에 형성되어 있다. 또, 장착부 (34A) 에는, 1 쌍의 도시되지 않은 장착공이 관통 형성되어 있고, 이 장착공 내에 장착 볼트 (26) 가 삽입되어, 장착부 (34A) 가 장착 볼트 (26) 에 의해 상면부 (24A) 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힌지 베이스 (34) 는 지지부 (34B) 를 구비하고 있고, 지지부 (34B) 는, 장착부 (34A) 의 차폭 방향 내측의 단부로부터 차량 상방측으로 굴곡되어, 판두께 방향을 대략 차폭 방향으로 한 판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요동 아암 (40) 은, 힌지 베이스 (34) 의 차폭 방향 내측에 배치됨과 함께, 측면에서 보았을 때 대략 역삼각형 판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요동 아암 (40) 은, 측면에서 보았을 때, 하단부 (40A) 와, 하단부 (40A) 의 차량 전방측 또한 차량 상방측에 배치된 전단부 (40B) 와, 하단부 (40A) 의 차량 후방측 또한 차량 상방측에 배치된 후단부 (40C) 를 정점으로 한 대략 역삼각형 판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요동 아암 (40) 의 후단부 (40C) 는, 차폭 방향을 축 방향으로 한 힌지핀 (42) 에 의해 힌지 베이스 (34) 의 지지부 (34B) 의 상단부에 힌지 결합되어 있다. 이로써, 요동 아암 (40) 은, 힌지핀 (42) 을 회동 중심으로 하여 차량 상하 방향 (도 1 의 화살표 A 방향 및 화살표 B 방향) 으로 회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또한, 요동 아암 (40) 의 외주부에는, 전단부 (40B) 와 후단부 (40C) 를 연결하는 상변을 제외한 부분에 있어서, 플랜지부 (44) 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플랜지부 (44) 는 요동 아암 (40) 으로부터 차폭 방향 내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힌지 아암 (50) 은, 요동 아암 (40) 의 차폭 방향 내측에 배치됨과 함께, 대략 차량 전후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힌지 아암 (50) 은, 요동 아암 (40) 에 대해 대략 평행하게 배치된 측벽부 (52) 를 구비하고 있다. 이 측벽부 (52) 의 전단부는, 차폭 방향을 축 방향으로 한 힌지핀 (56) 에 의해 요동 아암 (40) 의 전단부 (40B) 에 힌지 결합되어 있다. 이로써, 힌지 아암 (50) 은, 힌지핀 (56) 을 회동 중심으로 하여 차량 상하 방향 (도 1 의 화살표 C 방향 및 화살표 D 방향) 으로 요동 아암 (40) 에 대해 상대 회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또, 힌지 아암 (50) 은 정벽부 (54) 를 구비하고 있다. 정벽부 (54) 는, 측벽부 (52) 의 상단부로부터 차폭 방향 내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됨과 함께, 후드 (12) 의 팽출부 (18) 의 하면을 따라 대략 차량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 정벽부 (54) 에는, 전술한 웰드 너트 (20) 와 대향한 위치에 있어서, 도시되지 않은 장착공이 관통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힌지 볼트 (22) 가 차량 하측으로부터 당해 장착공 및 팽출부 (18) 의 삽통공 (18B) 내에 삽입되어 웰드 너트 (20) 에 나사 결합됨으로써, 정벽부 (54) 가 팽출부 (18) 에 체결 (고정) 되어 있다. 이로써, 힌지 베이스 (34) 와 후드 (12) (의 팽출부 (18)) 가, 힌지 아암 (50) 및 요동 아암 (40) 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또한, 힌지 아암 (50) 에 있어서의 측벽부 (52) 의 후단부에는, 후술하는 액츄에이터 (60) 의 로드 (70) 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축 (58) 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 연결축 (58) 은 대략 원주상으로 형성되고, 측벽부 (52) 로부터 차폭 방향 내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또한, 후드 힌지 (32) 는, 본래적으로는 후드 (12) 를 바디 (차체) 에 개폐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힌지 부품으로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힌지 아암 (50) 과 요동 아암 (40) 이, 도시되지 않은 쉐어핀 등에 의해 결합되어 있고, 후드 (12) 가 엔진룸 (ER) 을 개폐하는 경우에는, 힌지 아암 (50) 의 요동 아암 (40) 에 대한 상대 회동이 규제된 상태에서, 요동 아암 (40) 이 힌지핀 (42) 을 회동 중심으로 하여 회동하도록 되어 있다.
(액츄에이터 (60) 에 대해)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액츄에이터 (60) 는, 대략 원주상으로 형성됨과 함께, 요동 아암 (40) 의 차폭 방향 내측에 배치되어 있다. 또, 액츄에이터 (60) 는, 힌지 아암 (50) 의 후단부와 요동 아암 (40) 의 하단부 (40A) 를 걸치도록 배치되고, 측면에서 보았을 때 차량 상측을 향함에 따라 차량 후측으로 경사져 있다. 또한, 액츄에이터 (60) 는, 실린더 (62) 와 실린더 (62) 내에 수용된 로드 (70) 를 가지고 있다.
실린더 (62) 는, 차량 상측으로 개방된 대략 바닥이 있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실린더 (62) 의 하단부는 연결부 (64) 로 되어 있고, 실린더 (62) 가, 연결부 (64) 에 있어서, 후술하는 연결 기구 (80) 에 의해 요동 아암 (40) 에 연결되어 있다. 또, 액츄에이터 (60) 의 실린더 (62) 의 내부에는, 도시되지 않은 가스 발생 장치가 수용되어 있다. 이 가스 발생 장치는, 도시되지 않은 ECU (제어 수단) 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고, ECU 는, 보행자 등의 충돌체와의 충돌을 검지하는 충돌 검지 센서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로드 (70) 는 대략 둥근 봉상으로 형성되고, 실린더 (62) 와 동축 상에 배치됨과 함께, 실린더 (62) 내에 수용되어 있다. 또, 로드 (70) 의 하단부에는, 피스톤 (72) 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 피스톤 (72) 은, 대략 원주상으로 형성됨과 함께, 로드 (70) 와 동축 상에 배치되어 있다. 또, 피스톤 (72) 의 외주면과 실린더 (62) 의 내주면 사이가 시일된 상태로, 피스톤 (72) 이 실린더 (62) 내에 수용되어 있다. 그리고, 가스 발생 장치에 의해 발생된 가스가 실린더 (62) 내에 공급되면, 실린더 (62) 내의 가스압에 의해 피스톤 (72) (로드 (70)) 이 실린더 (62) 의 축 방향을 따라 상승하도록 되어 있다. 또, 이 때의 로드 (70) 의 상승량이 L1 로 되어 있다.
또, 로드 (70) 의 상단부에는, 로드 연결부 (74) 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로드 연결부 (74) 는, 차폭 방향을 축 방향으로 한 대략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로드 연결부 (74) 내에, 힌지 아암 (50) 의 연결축 (58) 이 삽입되고, 로드 (70) 의 상단부가 힌지 아암 (50) 에 대해 상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액츄에이터 (60) 의 비작동 상태 (도 1 에 나타내는 상태) 에서 액츄에이터 (60) 가 작동하면, 피스톤 (72) 의 상승에 수반하여 로드 (70) 가 차량 상측으로 이동한다. 이로써, 로드 (70) 의 로드 연결부 (74) 에 의해 힌지 아암 (50) 의 후단부가 차량 상측으로 밀어 올려지고, 후드 (12) 가 밀어 올림 위치 (도 4a 에 나타내는 위치) 에 배치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이 때에는, 힌지 아암 (50) 과 요동 아암 (40) 을 결합하는 쉐어핀이 파단되어, 힌지 아암 (50) 이 힌지핀 (56) 을 회동 중심으로 하여 요동 아암 (40) 에 대해 차량 상측 (도 1 의 화살표 C 방향측) 으로 상대 회동된다. 또, 힌지 아암 (50) 의 회동에 연동하여, 요동 아암 (40) 이 힌지핀 (42) 을 회동 중심으로 하여 힌지 베이스 (34) 에 대해 차량 상측 (도 1 의 화살표 A 방향측) 으로 상대 회동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밀어 올림 위치에서는, 피스톤 (72) 이, 도시되지 않은 로크 기구에 의해 실린더 (62) 에 로크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연결 기구 (80) 에 대해)
도 1 및 도 3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연결 기구 (80) 는, 액츄에이터 (60) 의 실린더 (62) 와 요동 아암 (40) 을 연결하는 부분에 적용되어 있다. 또, 연결 기구 (80) 는, 실린더 (62) 의 연결부 (64) 에 형성된 장공 (82) 과, 요동 아암 (40) 에 형성된 「축부」로서의 연결축 유닛 (84) 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장공 (82) 은, 차폭 방향으로 관통 형성됨과 함께, 측면에서 보았을 때 액츄에이터 (60) (실린더 (62)) 의 축 방향을 길이 방향으로 한 단면 대략 트랙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장공 (82) 은, 측면에서 보았을 때 차량 상측을 향함에 따라 차량 후측으로 경사져 있다. 그리고, 장공 (82) 의 길이 방향의 길이가 L2 로 되어 있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L2 가 L1 의 0.6 배로 설정되어 있다.
도 3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연결축 유닛 (84) 은, 연결 볼트 (86) 및 연결 너트 (88) 를 가지고 있다. 연결 볼트 (86) 는, 요동 아암 (40) 의 하단부 (40A) 의 주변부에 일체로 형성된 볼트 기부 (86A) 와, 볼트 기부 (86A) 로부터 차폭 방향 내측으로 돌출된 대략 원주상의 나사부 (86B) 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 나사부 (86B) 의 외경 치수는 장공 (82) 의 폭 치수보다 약간 작게 설정되어 있고, 실린더 (62) 의 장공 (82) 내에 나사부 (86B) 가 삽입되어 있다. 또, 나사부 (86B) 의 외주부에는 수나사가 형성되어 있고, 나사부 (86B) 의 선단부에 연결 너트 (88) 가 나사 결합되고, 연결 너트 (88) 가 접착제 등에 의해 나사부 (86B) 에 로크되어 있다. 또한, 이 상태에서는, 연결축 유닛 (84) 의 축 방향에 있어서 연결 너트 (88) 와 실린더 (62) 의 연결부 (64) 사이에 약간의 간극이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실린더 (62) 의 하단부가, 요동 아암 (40) 에 대해 연결 볼트 (86) 의 축 둘레로 상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됨과 함께, 요동 아암 (40) 에 대해 장공 (82) 의 길이 방향에 상대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또한, 액츄에이터 (60) 의 비작동 상태에서는, 장공 (82) 의 상단부에 연결 볼트 (86) 가 배치되어 있다 (도 3a 참조). 이로써, 로드 (70) 가 힌지 아암 (50) 을 밀어 올림 위치로 밀어 올린 후에, 액츄에이터 (60) (실린더 (62)) 가 연결축 유닛 (84) (요동 아암 (40)) 에 대해 차량 상측으로 상대 이동함으로써 (요컨대, 연결축 유닛 (84) 이 액츄에이터 (60) 의 장공 (82) 의 상단부에서 하단부로 상대 이동함으로써), 액츄에이터 (60) 와 함께 힌지 아암 (50) (후드 (12) 의 차폭 방향 양단부) 이 밀어 올림 위치보다 차량 상측으로 변위되도록 되어 있다 (도 3b 참조). 그리고, 도 4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연결축 유닛 (84) 이 장공 (82) 의 하단부에 배치된 위치가 상승 위치로 되어 있고, 상승 위치에서는, 연결축 유닛 (84) 의 나사부 (86B) 가 장공 (82) 의 하단부에 있어서의 내주부에 맞닿도록 되어 있다.
(유지 기구 (90) 에 대해)
도 3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지 기구 (90) 는 「걸어맞춤부」로서의 걸어맞춤편 (92) 을 가지고 있고, 걸어맞춤편 (92) 은 실린더 (62) 의 연결부 (64) 에 있어서의 하단부에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실린더 (62) 의 연결부 (64) 에, 실린더 (62) 의 하단측에 개방된 슬릿 (94) 이 형성되어 있고, 슬릿 (94) 은 실린더 (62) 의 폭 방향으로 관통되어 있다. 그리고, 연결부 (64) 에 있어서의 슬릿 (94) 에 대해 차폭 방향 내측의 부분이 걸어맞춤편 (92) 으로 되어 있고, 걸어맞춤편 (92) 은 차폭 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이 걸어맞춤편 (92) 의 차폭 방향 내측면은, 실린더 (62) 의 폭 방향에서 보았을 때 실린더 (62) 의 하단측을 향함에 따라 차폭 방향 내측 (연결 너트 (88) 측) 으로 경사져 있다. 또, 걸어맞춤편 (92) 의 하단부가 맞닿음부 (92A) 로 되어 있고, 맞닿음부 (92A) 는 연결부 (64) 보다 차폭 방향 내측 (연결 너트 (88) 측) 으로 돌출되어 있다. 그리고, 액츄에이터 (60) 가 밀어 올림 위치로부터 상승 위치로 요동 아암 (40) 에 대해 상대 이동하면, 걸어맞춤편 (92) 의 맞닿음부 (92A) 가 연결 너트 (88) 에 맞닿고, 걸어맞춤편 (92) 이 차폭 방향 외측으로 탄성 변형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3b 참조). 또한, 걸어맞춤편 (92) 이 차폭 방향 외측으로 탄성 변형되고, 걸어맞춤편 (92) 과 연결축 유닛 (84) 이 걸어맞춰짐으로써, 액츄에이터 (60) 의 로드 (70) 에 연결된 힌지 아암 (50) 및 후드 (12) 가 상승 위치에 유지되도록 되어 있다.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도 1 에 나타내는 상태가 차량용 팝업 후드 장치 (10) 의 비작동 상태이다. 이 상태일 때에는, 액츄에이터 (60) 가 비작동 상태에 있기 때문에, 로드 (70) 의 대부분이 액츄에이터 (60) 의 실린더 (62) 내에 수용되어 있다. 또, 로드 (70) 의 로드 연결부 (74) (상단부) 가, 힌지 아암 (50) 의 연결축 (58) (후단부) 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보행자 등의 충돌체와 차량이 전면 충돌하면, 충돌체와 전면 충돌했던 것이 충돌 검지 수단에 의해 검지되어, ECU 에 충돌 신호가 출력된다. ECU 에서는, 입력된 충돌 신호에 기초하여 차량용 팝업 후드 장치 (10) 를 작동시켜야 할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차량용 팝업 후드 장치 (10) 를 작동시켜야 한다고 판단하면, 액츄에이터 (60) 에 작동 신호가 출력된다. 이로써, 액츄에이터 (60) 의 가스 발생 장치가 작동하여, 실린더 (62) 내에 가스가 공급된다.
실린더 (62) 내에 가스가 공급되면, 실린더 (62) 내의 가스압에 의해 로드 (70) 의 피스톤 (72) 이 실린더 (62) 내를 상승함과 함께, 로드 (70) 가 차량 상측으로 축 방향 이동한다. 로드 (70) 가 차량 상측을 향하여 축 방향 이동하면, 로드 (70) 가 힌지 아암 (50) 의 후단부를 차량 상측으로 밀어 올리고, 후드 (12) 의 차폭 방향 양단부가 밀어 올림 위치로 밀어 올려진다 (도 4a 참조). 이 때에는, 힌지 아암 (50) 과 요동 아암 (40) 사이를 결합하는 쉐어핀이 파단되고, 힌지 아암 (50) 이 요동 아암 (40) 에 대해 차량 상측으로 상대 회동됨과 함께, 요동 아암 (40) 이 힌지 베이스 (34) 에 대해 차량 상측으로 상대 회동된다.
다음으로, 액츄에이터 (60) 가 힌지 아암 (50) (후드 (12)) 을 밀어 올릴 때의 후드 (12) 의 거동에 대해, 도 5 에 나타내는 그래프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이 그래프에서는, 액츄에이터 (60) 가 작동했을 때의 후드 (12) 후단부의 차폭 방향 중앙부에 있어서의 이론상의 변위가 나타나 있다. 또, 도 5 의 그래프에서는 가로축이 시간으로 되어 있고, 세로축이 변위로 되어 있다. 또한, 도 5 의 굵은 선이 액츄에이터 (60) 에 있어서의 로드 (70) 의 변위를 나타내고, 얇은 선이 후드 (12) 후단부의 차폭 방향 중앙부에 있어서의 변위를 나타내고 있다.
이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로드 (70) 가 힌지 아암 (50) (후드 (12) 후단부의 차폭 방향 양단부) 을 밀어 올릴 때에는 (도 5 의 a 점에서 b 점까지의 기간), 후드 (12) 후단부의 차폭 방향 중앙부에 관성력이 작용한다. 이 때문에, 후드 (12) 후단부의 차폭 방향 중앙부가 후드 (12) 후단부의 차폭 방향 양단부보다 늦게 차량 상측으로 변위된다. 그리고, 로드 (70) 가 밀어 올림 위치로 상승하면, 도시되지 않은 로크 기구에 의해 로드 (70) 가 실린더 (62) 에 로크된다. 이로써, 힌지 아암 (50) 에 대한 로드 (70) 가 밀어 올림이 완료되어, 힌지 아암 (50) 에는 로드 (70) 에 의한 밀어 올리는 힘이 작용하지 않게 된다 (도 5 의 b 점에서 c 점까지의 기간을 참조). 이 때문에, 차량 후측에서 보아, 후드 (12) 의 차폭 방향 양단부 (힌지 아암 (50)) 가 마디가 되고, 후드 (12) 의 차폭 방향 중앙부가 배가 되도록, 후드 (12) 가 상하 방향으로 진동하려고 한다.
그리고, 후드 (12) 후단부의 차폭 방향 중앙부가 밀어 올림 위치에 도달한 상태 (도 5 의 c 점에 도달한 상태) 에서는, 후드 (12) 는 차량 상측으로의 속도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후드 (12) 가 밀어 올림 위치에 대해 차량 상측으로 변위하려고 한다. 요컨대, 후드 (12) 후단부의 차폭 방향 양단부가 차량 상측으로 변위하려고 한다. 이 때문에, 후드 (12) 후단부의 차폭 방향 양단부에 고정된 힌지 아암 (50), 및 힌지 아암 (50) 에 연결된 액츄에이터 (60) 도 차량 상측으로 변위하려고 한다.
여기서, 액츄에이터 (60) (실린더 (62)) 의 하단부가, 연결 기구 (80) 에 의해 요동 아암 (40) 에 차량 상측으로 상대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실린더 (62) 의 연결부 (64) 에 장공 (82) 이 형성되어 있고, 장공 (82) 은 액츄에이터 (60) 의 축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또, 요동 아암 (40) 에는, 연결축 유닛 (84) 이 형성되어 있고, 연결축 유닛 (84) 이, 실린더 (62) 의 장공 (82) 내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삽입됨과 함께, 장공 (82) 의 상단부에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액츄에이터 (60) 가 차량 상측으로 변위하려고 하면, 실린더 (62) 의 장공 (82) 이 요동 아암 (40) 의 연결축 유닛 (84) 에 대해 차량 상측으로 슬라이드됨으로써, 액츄에이터 (60) 가 요동 아암 (40) 에 대해 차량 상측으로 상대 이동한다. 이로써, 힌지 아암 (50) 및 후드 (12) 후단부의 차폭 방향 양단부가 밀어 올림 위치보다 차량 상측의 상승 위치 (도 5 의 d 점의 위치) 로 변위된다. 즉, 후드 (12) 에 발생하는 진동의 마디가 되는 후드 (12) 의 차폭 방향 양단부가 상승 위치로 변위된다.
또, 실린더 (62) 의 연결부 (64) 에는, 유지 기구 (90) 를 구성하는 걸어맞춤편 (92) 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실린더 (62) 가 상승 위치로 이동하면, 걸어맞춤편 (92) 의 맞닿음부 (92A) 가 연결축 유닛 (84) 의 연결 너트 (88) 에 맞닿아, 걸어맞춤편 (92) 이 차폭 방향 외측으로 탄성 변형된다. 이로써, 걸어맞춤편 (92) 과 연결축 유닛 (84) 이 걸어맞춰지고, 상승 위치로 이동한 액츄에이터 (60) (실린더 (62)) 가 유지된다. 그 결과, 힌지 아암 (50) 및 후드 (12) 의 차폭 방향 양단부가 상승 위치에 유지되고, 후드 (12) 의 차체에 대한 상승량이 확보된다. 또, 후드 (12) 의 차폭 방향 양단부가 상승 위치에 유지된 상태에서는, 후드 (12) 가 상승 위치를 기점으로 진동하지만, 이 때의 후드 (12) 의 진동의 진폭 (W) (도 5 의 화살표 W 참조) 은 액츄에이터 (60) 의 밀어 올림량 L1 의 약 2 배가 된다.
한편, 제 1 실시형태에 대한 비교예로서, 만일 액츄에이터 (60) 의 로드 (70) 가 힌지 아암 (50) (후드 (12) 후단부의 차폭 방향 양단부) 을 상승 위치까지 밀어 올리도록 구성한 경우에는, 로드 (70) 에 의한 후드 (12) 의 밀어 올림량이 L1 + L2 가 된다. 이 때문에, 비교예에서는, 상승 위치를 기점으로 한 후드 (12) 의 진동의 진폭이, 밀어 올림량 (L1 + L2) 의 약 2 배가 된다. 이로써, 제 1 실시형태의 차량용 팝업 후드 장치 (10) 에 의하면, 상기 비교예와 비교하여, 로드 (70) 에 의한 후드 (12) 의 밀어 올림량을 작게 하면서, 후드 (12) 를 상승 위치까지 상승시킬 수 있음과 함께, 후드 (12) 를 상승 위치에서 유지할 수 있다. 그 결과, 후드 (12) 의 밀어 올림시에 발생하는 후드 (12) 의 진동의 진폭을 작게 할 수 있다.
이하, 이 점에 대한 상기 비교예와 비교한 데이터를 도 6a 에 나타낸다. 도 6a 에는, 후드 (12) 후단부의 차폭 방향 양단부를 밀어 올렸을 때의, 후드 (12) 후단부의 차폭 방향 중앙부 및 후드 (12) 전단부의 차폭 방향 중앙부에 있어서의 진동 파형이 상기 비교예와 비교하여 나타나 있다. 그리고, 도 6a 에서는, 실선으로 나타낸 진동 파형 S1 이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후드 (12) 후단부의 차폭 방향 중앙부의 진동 파형이고, 실선으로 나타낸 진동 파형 S2 가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후드 (12) 전단부의 차폭 방향 중앙부의 진동 파형이다. 또, 파선으로 나타낸 진동 파형 S3 이 비교예에 있어서의 후드 (12) 후단부의 차폭 방향 중앙부의 진동 파형이며, 파선으로 나타낸 진동 파형 S4 가 비교예에 있어서의 후드 (12) 전단부의 차폭 방향 중앙부의 진동 파형 데이터이다. 또한, 도 6b 는, 도 6a 의 일점쇄선으로 둘러싸인 6B 부를 확대하여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6a 및 도 6b 에 나타내는 그래프에서는 가로축이 시간으로 되어 있고, 세로축이 변위로 되어 있다.
그리고, 도 6a 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후드 (12) 의 후단부에 발생하는 진동 초기에 있어서, 제 1 실시형태의 진폭 (도 6a 의 화살표 Wr 참조) 이, 비교예의 진폭에 비해 대폭 작게 되어 있다. 또, 도 6b 에도 나타내는 바와 같이, 후드 (12) 전단부에 발생하는 진동 초기에 있어서도, 제 1 실시형태의 진폭 (도 6a 의 화살표 Wf 참조) 이, 비교예의 진폭에 비해 대폭 작게 되어 있다. 이상으로부터, 후드 (12) 의 밀어 올림시에 발생하는 후드 (12) 의 진동의 진폭을 작게 할 수 있다.
또,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연결 기구 (80) 에 의해 액츄에이터 (60) (의 실린더 (62)) 가 요동 아암 (40) 에 대해 차량 상측으로 상대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힌지 아암 (50) 이 밀어 올림 위치로부터 상승 위치로 변위된다. 또한,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유지 기구 (90) 를 구성하는 걸어맞춤편 (92) 이 실린더 (62) 에 형성되고, 상승 위치에서 걸어맞춤편 (92) 이 연결축 유닛 (84) 의 연결 너트 (88) 에 걸어맞춰짐으로써, 힌지 아암 (50) 이 상승 위치에 유지된다. 이로써, 후드 (12) (힌지 아암 (50)) 를 밀어 올리는 액츄에이터 (60) 를 활용하여, 후드 (12) (힌지 아암 (50)) 를 상승 위치로 변위시키면서 상승 위치에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연결 기구 (80) 는, 요동 아암 (40) 에 형성된 연결축 유닛 (84) 과, 실린더 (62) 에 형성된 장공 (82) 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실린더 (62) 가 밀어 올림 위치로부터 상승 위치로 요동 아암 (40) 에 대해 상대 이동할 때에는, 연결축 유닛 (84) 이, 장공 (82) 의 상단부에서 하단부로 슬라이드되어, 장공 (82) 의 하단부의 내주부에 맞닿는다. 이 때문에, 실린더 (62) (힌지 아암 (50)) 를 상승 위치에 양호한 정밀도로 배치할 수 있다.
또, 걸어맞춤편 (92) 은, 연결축 유닛 (84) 의 축 방향 (차폭 방향) 으로 탄성 변형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걸어맞춤편 (92) 의 맞닿음부 (92A) 가 연결축 유닛 (84) 의 연결 너트 (88) 와 맞닿아, 걸어맞춤편 (92) 이 차폭 방향 외측으로 탄성 변형됨으로써, 걸어맞춤편 (92) 과 연결축 유닛 (84) 이 걸어맞춰된다. 이 때문에, 걸어맞춤편 (92) 과 연결축 유닛 (84) 사이에 발생하는 마찰력에 의해, 액츄에이터 (60) (힌지 아암 (50)) 를 상승 위치에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제 1 실시형태에서는, 로드 (70) 가 힌지 아암 (50) 을 밀어 올리는 밀어 올림량이 상기 비교예와 비교하여 작게 설정되어 있다. 이로써, 상기 비교예와 비교하여, 차량용 팝업 후드 장치 (10) 에 의해 후드 (12) 의 후단부를 차량 상측으로 밀어 올릴 때, 후드 (12) 의 전단부를 조기에 차량 상측으로 밀어 올릴 수 있다. 이 점에 대해, 이하에 설명한다.
차량용 팝업 후드 장치 (10) 에 의해 후드 (12) 의 후단부를 차량 상측으로 밀어 올릴 때에는, 측면에서 보았을 때 후드 (12) 가 자신의 무게 중심을 중심으로 회동하려고 한다. 요컨대, 후드 (12) 의 전단부가 차량 하측으로 변위하려고 한다. 한편, 후드 (12) 의 전단부는 후드 로크에 의해 차체에 로크되어 있기 때문에, 후드 (12) 의 전단부의 차량 하측으로의 변위가 제한되어 있다. 이 때문에, 후드 (12) 가 휨 변형되면서 후드 (12) 의 후단부가 밀어 올려진다. 그리고, 로드 (70) 에 의한 밀어 올림이 완료된 시점에서 로드 (70) 에 의한 후드 (12) 로의 밀어 올리는 힘이 작용하지 않게 되기 때문에, 후드 (12) 의 복원력에 의해 후드 (12) 가 복원되어 후드 (12) 의 전단부가 차량 상측으로 밀어 올려진다.
여기서,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제 1 실시형태에서는, 힌지 아암 (50) 에 대한 로드 (70) 의 밀어 올림량이 비교예와 비교하여 작게 설정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제 1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비교예와 비교하여, 로드 (70) 가 힌지 아암 (50) (후드 (12) 의 차폭 방향 양단부) 을 밀어 올리는 시간이 짧아지고, 그 결과, 복원력에 의해 후드 (12) 의 전단부가 복원되는 시간도 빨라진다 (도 6b 에 나타내는 Δt 참조). 이로써, 비교예와 비교하여 후드 (12) 의 전단부를 조기에 차량 상측으로 밀어 올릴 수 있다.
또한, 제 1 실시형태에서는, 장공 (82) 이 액츄에이터 (60) 의 실린더 (62) 에 형성되어 있고, 연결축 유닛 (84) 이 요동 아암 (40) 에 형성되어 있지만, 장공 (82) 을 요동 아암 (40) 에 형성하고, 연결축 유닛 (84) 을 실린더 (62) 에 형성해도 된다. 이 경우에는, 상승 위치에 있어서, 액츄에이터 (60) 의 걸어맞춤편 (92) 이 요동 아암 (40) 에 직접 걸어맞춤되도록 구성해도 된다.
또, 제 1 실시형태에서는, 걸어맞춤편 (92) 이 실린더 (62) 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지만, 걸어맞춤편 (92) 과 실린더 (62) 와 별체로 구성해도 된다. 이 경우에는, 스프링성을 갖는 판재로 걸어맞춤편 (92) 을 구성하고, 걸어맞춤편 (92) 을 실린더 (62) 에 고정시키도록 구성해도 된다.
(제 2 실시형태)
이하, 도 7a 및 도 7b 를 사용하여 제 2 실시형태에 관련된 차량용 팝업 후드 장치 (100) 에 대해 설명한다. 제 2 실시형태의 차량용 팝업 후드 장치 (100) 는, 이하에 나타내는 점을 제외하고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다.
즉, 제 2 실시형태에서는, 유지 기구 (90) 가, 대략 원환상으로 형성된 스프링 와셔 (102) (넓은 의미로는, 「피걸어맞춤 부재」로서 파악되는 요소이다) 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스프링 와셔 (102) 내에 연결축 유닛 (84) 의 나사부 (86B) 가 삽입되고, 연결축 유닛 (84) 의 연결 너트 (88) 와 액츄에이터 (60) 의 실린더 (62) 사이에 스프링 와셔 (102) 가 배치되어 있다.
또, 제 2 실시형태에서는, 제 1 실시형태의 걸어맞춤편 (92) 이 생략되어 있고, 실린더 (62) 의 연결부 (64) 에는, 「걸어맞춤부」로서의 걸어맞춤 오목부 (104) 가 형성되어 있다. 이 걸어맞춤 오목부 (104) 는, 실린더 (62) 의 폭 방향에서 보아 단차상으로 형성되고, 차폭 방향 내측 및 실린더 (62) 의 하단측으로 개방되어 있다. 또한, 실린더 (62) 에 형성된 장공 (82) 의 하단부가 걸어맞춤 오목부 (104) 내에 배치되어 있고, 실린더 (62) 가 상승 위치로 이동했을 때에는, 스프링 와셔 (102) 가 걸어맞춤 오목부 (104) 내에 배치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도 7b 참조).
그리고,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액츄에이터 (60) 가 작동하면, 실린더 (62) 내에 가스가 공급되고, 로드 (70) 가 밀어 올림 위치로 상승됨과 함께, 힌지 아암 (50) 이 밀어 올림 위치로 밀어 올려진다. 그리고, 후드 (12) 에 발생하는 진동에 의해 후드 (12) 의 차폭 방향 양단부가 차량 상측으로 변위하려고 하면, 요동 아암 (40) 에 형성된 연결축 유닛 (84) 에 대해, 실린더 (62) 의 장공 (82) 이 슬라이드되어, 액츄에이터 (60) (실린더 (62) 및 로드 (70)) 가 요동 아암 (40) 에 대해 차량 상측으로 상대 이동한다. 이로써, 힌지 아암 (50) 및 후드 (12) 의 차폭 방향 양단부가 밀어 올림 위치보다 차량 상측의 상승 위치로 변위된다.
또, 액츄에이터 (60) 가 상승 위치로 이동했을 때에는, 스프링 와셔 (102) 가 자신의 스프링성에 의해 차폭 방향 외측으로 이동하여 걸어맞춤 오목부 (104) 내에 배치된다. 이로써, 스프링 와셔 (102) 와 걸어맞춤 오목부 (104) 가 걸어맞춰된다 (도 7b 참조). 그 결과, 액츄에이터 (60) 가 상승 위치에 유지됨과 함께, 힌지 아암 (50) 및 후드 (12) 의 차폭 방향 양단부가 상승 위치에 유지된다. 따라서,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한 작용 및 효과를 나타낸다.
(제 3 실시형태)
이하, 도 8a ∼ 도 8c 를 사용하여 제 3 실시형태에 관련된 차량용 팝업 후드 장치 (200) 에 대해 설명한다. 제 3 실시형태의 차량용 팝업 후드 장치 (200) 에서는, 이하에 나타내는 점을 제외하고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다.
즉, 제 3 실시형태에서는,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밀어 올림 위치에 있어서 로드 (70) 를 실린더 (62) 에 로크하는 로크 기구가 생략되어 있다. 또, 제 3 실시형태에서는, 연결 기구 (80) 가 생략되어 있고, 실린더 (62) 의 하단부가, 차폭 방향을 축 방향으로 한 힌지핀 (202) 에 의해, 요동 아암 (40) (도 8a ∼ 도 8c 에서는 도시되지 않음) 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또, 실린더 (62) 의 상단부에 있어서의 내주연부에는, 복수 (본 실시형태에서는 4 개 지점) 의 「가스 빼냄부」로서 가스 빼냄 홈 (204) 이 형성되어 있다. 이 가스 빼냄 홈 (204) 은 차량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고, 실린더 (62) 의 직경 방향 내측으로 개방됨과 함께, 실린더 (62) 의 둘레 방향에 소정 간격마다 (90 ° 마다) 배치되어 있다. 또한, 가스 빼냄 홈 (204) 은, 밀어 올림 위치로 상승된 로드 (70) 의 피스톤 (72) 의 직경 방향 외측에 배치되어 있다 (도 8b 참조). 이 때문에, 피스톤 (72) 이 밀어 올림 위치로 상승되었을 때에는, 가스가 공급된 실린더 (62) 의 내부와, 실린더 (62) 의 외부가 가스 빼냄 홈 (204) 에 의해 연통되도록 되어 있다. 이로써, 실린더 (62) 내에 공급된 가스가 가스 빼냄 홈 (204) 으로부터 실린더 (62) 외로 방출되고, 로드 (70) (피스톤 (72)) 가, 밀어 올림 위치에 있어서 일단 정지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실린더 (62) 의 가스 빼냄 홈 (204) 이 형성된 부분에서는, 피스톤 (72) 의 실린더 (62) 에 대한 상대 이동이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또, 제 3 실시형태에서는,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걸어맞춤편 (92) 이 생략되어 있고, 유지 기구 (90) 가, 「피걸어맞춤 부재」로서의 C 링 (206) 과, 「걸어맞춤부」로서의 걸어맞춤 홈 (208) 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C 링 (206) 은, 일부 개방된 대략 원환상으로 형성되고, 로드 (70) 의 하단부를 구성하는 피스톤 (72) 의 외주부에 형성되어 있다. 또, C 링 (206) 은, 자신의 직경 방향에 있어서 탄성 변형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C 링 (206) 의 직경 치수가 작아지도록 C 링 (206) 이 탄성 변형된 상태에서, 피스톤 (72) 에 형성된 수용구 (210) 내에 C 링 (206) 이 수용되어 있다.
걸어맞춤 홈 (208) 은, 실린더 (62) 의 상단부에 있어서의 내주부에 형성됨과 함께, 실린더 (62) 의 둘레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또, 걸어맞춤 홈 (208) 은, 밀어 올림 위치로 상승된 피스톤 (72) 보다 실린더 (62) 의 상단측에 배치됨과 함께, 상승 위치로 상승된 피스톤 (72) 에 대응하여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도 8c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로드 (70) (피스톤 (72)) 가 상승 위치로 상승되었을 때에는, C 링 (206) 이 직경 방향 외측으로 탄성 변형되어 걸어맞춤 홈 (208) 에 걸어맞춤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로써, 상승 위치에 있어서 로드 (70) 의 실린더 (62) 에 대한 상대 이동이 저지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액츄에이터 (60) 가 작동하면, 실린더 (62) 내에 가스가 공급되고, 로드 (70) 가 밀어 올림 위치로 상승한다 (도 8b 참조). 이로써, 힌지 아암 (50) 이 밀어 올림 위치로 밀어 올려진다. 또, 이 때에는, 로드 (70) 의 피스톤 (72) 이 실린더 (62) 의 가스 빼냄 홈 (204) 에 대해 실린더 (62) 의 직경 방향 내측에 배치된다. 이 때문에, 실린더 (62) 내에 공급된 가스가, 가스 빼냄 홈 (204) 으로부터 실린더 (62) 외로 방출된다. 이로써, 로드 (70) 에 의한 힌지 아암 (50) 으로의 밀어 올림이 밀어 올림 위치에서 일단 정지한다.
그리고, 후드 (12) 에 발생하는 진동에 의해 후드 (12) 의 차폭 방향 양단부가 차량 상측으로 변위하려고 하면, 로드 (70) 가 실린더 (62) (요동 아암 (40)) 에 대해 상승 위치측으로 상승한다 (도 8c 참조). 이로써, 힌지 아암 (50) 및 후드 (12) 의 차폭 방향 양단부가 상승 위치로 변위된다.
또, 로드 (70) 가 상승 위치로 상승되었을 때에는, 피스톤 (72) 에 형성된 C 링 (206) 이, 피스톤 (72) 의 직경 방향 외측으로 탄성 변형되고, 실린더 (62) 의 걸어맞춤 홈 (208) 에 걸어맞춰된다. 그 결과, 로드 (70) 가 상승 위치에 유지되고, 힌지 아암 (50) 및 후드 (12) 의 차폭 방향 양단부가 상승 위치에 유지된다. 따라서, 제 3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후드 (12) 의 밀어 올림시에 발생하는 후드 (12) 의 진동의 진폭을 작게 할 수 있다.
또, 제 3 실시형태에서는, 로드 (70) 가 밀어 올림 위치로 상승되면, 실린더 (62) 에 공급된 가스가 가스 빼냄 홈 (204) 에 의해 실린더 (62) 외로 방출된다. 따라서, 액츄에이터 (60) 의 작동 후에, 실린더 (62) 내의 가스를 빼내면서, 로드 (70) 를 상승 위치로 상승시킬 수 있다.
(제 4 실시형태)
이하, 도 9a ∼ 도 9d 를 사용하여 제 4 실시형태에 관련된 차량용 팝업 후드 장치 (300) 에 대해 설명한다. 제 4 실시형태의 차량용 팝업 후드 장치 (300) 에서는, 이하에 나타내는 점을 제외하고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다.
즉, 제 4 실시형태에서는,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연결 기구 (80) 가 생략되어 있고, 제 3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실린더 (62) 의 하단부가, 차폭 방향을 축 방향으로 한 힌지핀 (202) 에 의해, 요동 아암 (40) (도 9a ∼ 도 9d 에서는 도시되지 않음) 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또, 제 4 실시형태에서는, 로드 (70) 가 제 1 로드 (302) 와 제 2 로드 (304) 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즉, 로드 (70) 가 소위 2 중 구조로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로드 (70) 의 피스톤 (72) 이 제 1 로드 (302) 의 하단부를 구성하고 있다. 또, 제 1 로드 (302) 는, 통상을 이루는 「통상부」로서의 수용부 (302A) 를 가지고 있고, 수용부 (302A) 는, 피스톤 (72) 으로부터 차량 상측으로 연장 형성됨과 함께, 피스톤 (72) 과 동축 상에 배치되어 있다.
제 2 로드 (304) 는, 대략 둥근 봉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제 2 로드 (304) 는, 제 1 로드 (302) 와 동축 상에 배치됨과 함께, 제 1 로드 (302) 에 대해 차량 상측으로 상대 이동 가능하게 수용부 (302A) 내에 수용되어 있다. 또한, 제 2 로드 (304) 의 하단부에는, 대략 원주상의 피스톤부 (304A) 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제 2 로드 (304) 의 상단부에는, 로드 연결부 (74) 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 1 로드 (302) 가 밀어 올림 위치로 상승된 상태(도 9b 에 나타내는 상태) 에서, 제 2 로드 (304) 가 제 1 로드 (302) 에 대해 차량 상측으로 상대 이동함으로써, 제 2 로드 (304) 가 상승 위치에 배치되도록 되어 있다 (도 9c 참조). 이로써, 힌지 아암 (50) 이 상승 위치에 변위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제 4 실시형태에서는,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걸어맞춤편 (92) 이 생략되어 있고, 유지 기구 (90) 가, 도 9d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피걸어맞춤 부재」로서의 C 링 (306) 과 「걸어맞춤부」로서의 걸어맞춤 홈 (308) 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C 링 (306) 은, 일부 개방된 대략 원환상으로 형성되고, 제 2 로드 (304) 의 피스톤부 (304A) 의 외주부에 형성되어 있다. 또, C 링 (306) 은, 자신의 직경 방향에서 탄성 변형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C 링 (306) 의 직경 치수가 작아지도록 C 링 (306) 이 탄성 변형된 상태에서, 제 2 로드 (304) 에 형성된 수용 홈 (310) 내에 C 링 (306) 이 수용되어 있다.
걸어맞춤 홈 (308) 은, 제 1 로드 (302) 의 수용부 (302A) 의 상단부에 있어서의 내주부에 형성됨과 함께, 수용부 (302A) 의 둘레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또, 걸어맞춤 홈 (308) 은, 상승 위치로 상승된 제 2 로드 (304) 의 피스톤부 (304A) 에 대응하여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승 위치로 제 2 로드 (304) 가 상승되었을 때에는, C 링 (306) 이 피스톤부 (304A) 의 직경 방향 외측으로 탄성 변형되어 걸어맞춤 홈 (308) 에 걸어맞춤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로써, 상승 위치에 있어서, 제 2 로드 (304) 의 제 1 로드 (302) (실린더 (62)) 에 대한 상대 이동이 저지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액츄에이터 (60) 가 작동하면, 실린더 (62) 내에 가스가 공급되고, 제 1 로드 (302) 및 제 2 로드 (304) 가 밀어 올림 위치로 상승한다 (도 9b 참조). 이로써, 힌지 아암 (50) 이 밀어 올림 위치로 밀어 올려진다. 또, 이 때에는, 도시되지 않은 로크 기구에 의해 제 1 로드 (302) 가 실린더 (62) 에 대해 로크된다.
이 상태에서 후드 (12) 에 발생하는 진동에 의해 후드 (12) 의 차폭 방향 양단부가 차량 상측으로 변위하려고 하면, 제 2 로드 (304) 가 제 1 로드 (302) (요동 아암 (40)) 에 대해 상승 위치측으로 상승한다 (도 9c 참조). 이로써, 힌지 아암 (50) 및 후드 (12) 의 차폭 방향 양단부가 밀어 올림 위치보다 차량 상측의 상승 위치로 변위된다.
또, 제 2 로드 (304) 가 상승 위치로 상승되었을 때에는, 제 2 로드 (304) 의 피스톤부 (304A) 에 형성된 C 링 (306) 이, 피스톤부 (304A) 의 직경 방향 외측으로 탄성 변형되고, 제 1 로드 (302) 의 수용부 (302A) 에 형성된 걸어맞춤 홈 (308) 에 걸어맞춰된다 (도 9d 참조). 그 결과, 제 2 로드 (304) 가 상승 위치에 유지되고, 힌지 아암 (50) 및 후드 (12) 의 차폭 방향 양단부가 상승 위치에 유지된다. 따라서, 제 4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후드 (12) 의 밀어 올림시에 발생하는 후드 (12) 의 진동의 진폭을 작게 할 수 있다.
또, 제 4 실시형태에서는, 로드 (70) 가 제 1 로드 (302) 와 제 2 로드 (304) 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고, 제 2 로드 (304) 가 제 1 로드 (302) 에 대해 차량 상측으로 상대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액츄에이터 (60) 의 축 방향의 대형화를 억제하면서, 제 2 로드 (304) (힌지 아암 (50)) 를 요동 아암 (40) 에 대해 차량 상측으로 상대 이동시킬 수 있다.
(제 5 실시형태)
이하, 도 10a 및 도 10b 를 사용하여 제 5 실시형태에 관련된 차량용 팝업 후드 장치 (400) 에 대해 설명한다. 제 5 실시형태의 차량용 팝업 후드 장치 (400) 에서는, 이하에 나타내는 점을 제외하고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다.
즉, 제 5 실시형태에서는,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연결 기구 (80) 가 로드 (70) 와 힌지 아암 (50) 의 연결 부분에 적용되어 있다. 그리고, 제 3 실시형태 및 제 4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실린더 (62) 의 하단부가, 차폭 방향을 축 방향으로 한 힌지핀 (202) 에 의해, 요동 아암 (40) 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연결 기구 (80) 를 구성하는 장공 (82) 은, 힌지 아암 (50) 의 후단부에 형성됨과 함께, 액츄에이터 (60) 의 축 방향을 따르도록 측면에서 보았을 때 차량 상측을 향함에 따라 차량 후측으로 경사져 있다. 또한, 연결 기구 (80) 를 구성하는 연결축 유닛 (84) 은, 로드 (70) 의 로드 연결부 (74) 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연결축 유닛 (84) 의 나사부 (86B) 가 장공 (82) 내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삽입되어 있다. 그리고, 액츄에이터 (60) 의 비작동 상태에서는, 연결축 유닛 (84) 이 장공 (82) 의 상단부에 배치되어 있다.
또, 제 5 실시형태에서는,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걸어맞춤편 (92) 이 생략되어 있고, 유지 기구 (90) 가, 「피걸어맞춤 부재」로서의 걸어맞춤 아암 (402) 과 걸어맞춤 홈 (408) 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걸어맞춤 아암 (402) 은, 대략 사각형 판상으로 형성되고, 차폭 방향을 판두께 방향으로 하여 힌지 아암 (50) 의 차폭 방향 내측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걸어맞춤 아암 (402) 의 일단부가, 차폭 방향을 축 방향으로 한 핀 (404) 에 의해 힌지 아암 (50) 의 길이 방향 중간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또, 걸어맞춤 아암 (402) 의 타단부에는, 대략 원주 형상의 유지핀 (406) 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유지핀 (406) 은 걸어맞춤 아암 (402) 으로부터 차폭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걸어맞춤 홈 (408) 은, 요동 아암 (40) 에 형성되어 있다. 걸어맞춤 홈 (408) 은, 측면에서 보았을 때 차량 후측을 향함에 따라 차량 상측으로 경사짐과 함께, 차량 후측 대각선 하방으로 볼록해지는 대략 원호상으로 만곡되어 있다. 또, 걸어맞춤 홈 (208) 의 후단부는, 측면에서 보았을 때 차량 후측 대각선 하방으로 굴곡되어 있고, 이 부분이 걸어맞춤부 (410) 로 되어 있다. 그리고, 걸어맞춤 홈 (408) 내에는, 걸어맞춤 아암 (402) 의 유지핀 (406) 이 슬라이드 가능하게 삽입되어 있고, 액츄에이터 (60) 의 비작동 상태에서는, 유지핀 (406) 이 걸어맞춤 홈 (408) 의 전단부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액츄에이터 (60) 가 작동하면, 실린더 (62) 내에 가스가 공급되어, 로드 (70) 가 밀어 올림 위치로 상승하고, 힌지 아암 (50) 이 밀어 올림 위치로 밀어 올려진다. 이 때에는, 도시되지 않은 로크 기구에 의해 로드 (70) 가 실린더 (62) 에 대해 로크된다 (도 10a 참조).
이 상태로부터 후드 (12) 에 발생하는 진동에 의해 후드 (12) 의 차폭 방향 양단부가 차량 상측으로 변위하려고 하면, 힌지 아암 (50) 의 후단부가 로드 (70) 에 대해 상승 위치측으로 상대 이동한다. 요컨대, 힌지 아암 (50) 에 형성된 장공 (82) 이, 로드 (70) 에 형성된 연결축 유닛 (84) 에 대해 차량 상측으로 상대 이동한다. 이로써, 후드 (12) 의 차폭 방향 양단부가 밀어 올림 위치보다 차량 상측의 상승 위치로 변위된다 (도 10b 참조).
또, 힌지 아암 (50) 이 상승 위치로 변위될 때에는, 힌지 아암 (50) 이 요동 아암 (40) 에 대해 상대 회동된다. 이 때, 걸어맞춤 아암 (402) 이 핀 (404) 의 축 둘레로 회동하고, 걸어맞춤 아암 (402) 의 유지핀 (406) 이 걸어맞춤 홈 (408) 의 전단부로부터 후단부로 이동한다. 그리고, 유지핀 (406) 이 걸어맞춤 홈 (408) 의 후단부에 도달하면, 유지핀 (406) 이 걸어맞춤 홈 (408) 의 걸어맞춤부 (410) 와 걸어맞춰된다. 그 결과, 힌지 아암 (50) 이 상승 위치에서 유지됨과 함께, 후드 (12) 의 차폭 방향 양단부가 상승 위치에 유지된다 (도 10b 참조). 따라서, 제 5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후드 (12) 의 밀어 올림시에 발생하는 후드 (12) 의 진동의 진폭을 작게 할 수 있다.
또, 제 5 실시형태에서는, 힌지 아암 (50) 에 걸어맞춤 아암 (402) 이 회동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힌지 아암 (50) 이 상승 위치로 변위되었을 때, 걸어맞춤 아암 (402) 의 유지핀 (406) 이, 요동 아암 (40) 에 형성된 걸어맞춤 홈 (408) 의 걸어맞춤부 (410) 에 걸어맞춰짐으로써, 힌지 아암 (50) 이 상승 위치에 유지된다. 이로써, 힌지 아암 (50) 을 상승 위치에 간이한 구성으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제 5 실시형태에서는, 액츄에이터 (60) 의 실린더 (62) 가 요동 아암 (40) 에 연결되고, 액츄에이터 (60) 의 로드 (70) 가 힌지 아암 (50) 을 밀어 올림 위치로 밀어 올리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대신에, 도 11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액츄에이터 (60) 의 실린더 (62) 를 차체에 고정시키고, 액츄에이터 (60) 의 로드 (70) 가 요동 아암 (40) 의 하단부 (40A) 를 밀어 올림 위치로 밀어 올리도록 구성해도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있어서의 「아암을 밀어 올림 위치로 밀어 올린다」란, 액츄에이터 (60) 가 힌지 아암 (50) 을 다른 부재를 개재하여 밀어 올리는 경우도 포함하고 있다.
그리고, 이 경우에는, 액츄에이터 (60) 의 로드 (70) 가 요동 아암 (40) 을 밀어 올릴 때, 힌지 아암 (50) 과 요동 아암 (40) 을 결합하는 샤핀이 파단되어, 밀어 올림 위치에 있어서 힌지 아암 (50) 이 요동 아암 (40) 에 대해 차량 상측으로 상대 회동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이로써, 후드 (12) 에 발생하는 진동에 의해, 후드 (12) 가 밀어 올림 위치로부터 차량 상측으로 변위하려고 하면, 힌지 아암 (50) 이 요동 아암 (40) 에 대해 상승 위치측으로 상승한다. 그리고, 도 11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걸어맞춤 아암 (402) 의 유지핀 (406) 이 걸어맞춤 홈 (408) 의 걸어맞춤부 (410) 와 걸어맞춤되어, 힌지 아암 (50) 이 상승 위치에 유지된다.
또, 제 1 실시형태 ∼ 제 5 실시형태에서는, 팝업 기구부 (30) 가 후드 (12) 의 후단부에 있어서의 차폭 방향 양단부에 형성되어 있지만, 각종 차량의 사양 등에 대응하여, 팝업 기구부 (30) 를 후드 (12) 의 전단부에 있어서의 차폭 방향 양단부에 형성해도 된다. 이 경우에는, 예를 들어, 후드 로크의 로크 해제와 연동하여, 후드 (12) 와 힌지 아암 (50) 의 고정이 해제되도록 구성해도 된다.

Claims (11)

  1. 후드의 차폭 방향 양단부에 고정된 아암과,
    일부가 차체에 고정된 베이스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또한 타부에 상기 아암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됨으로써, 상기 베이스와 상기 아암을 연결하는 요동 아암과,
    작동함으로써 상기 아암을 밀어 올림 위치로 밀어 올리는 액츄에이터와,
    상기 액츄에이터가 상기 아암을 밀어 올림으로써 상기 후드에 발생하는 진동에 의해 상기 요동 아암에 대해 회동되어 상기 밀어 올림 위치보다 차량 상측의 상승 위치로 변위된 상기 아암을 유지하는 유지 기구를 구비한 차량용 팝업 후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액츄에이터는, 상기 요동 아암에 연결된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아암에 연결되고 또한 상기 실린더 내에 공급되는 가스에 의해 상기 밀어 올림 위치로 상승되는 로드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밀어 올림 위치로 상승된 상기 로드가 상기 요동 아암에 대해 차량 상측으로 상대 이동 가능하게 된 차량용 팝업 후드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가 상기 요동 아암에 차량 상측으로 상대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유지 기구는, 상기 실린더에 형성된 걸어맞춤부를 가지고 있고, 상기 상승 위치에 있어서 상기 걸어맞춤부가 상기 요동 아암에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걸어맞춰짐으로써 상기 실린더가 상기 상승 위치에 유지되는 차량용 팝업 후드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요동 아암 및 상기 실린더의 일방에는, 상기 요동 아암 및 상기 실린더의 타방측으로 돌출된 축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요동 아암 및 상기 실린더의 타방에는, 상기 축부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삽입되어 상기 실린더를 상기 요동 아암에 차량 상측으로 상대 이동 가능하게 연결시키는 장공이 형성된 차량용 팝업 후드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액츄에이터의 비작동 상태에서는, 상기 축부가 상기 장공의 길이 방향 일방측의 단부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실린더가 상기 상승 위치에 유지된 상태에서는, 상기 축부가 상기 장공의 길이 방향 타방측의 단부에 배치되는 차량용 팝업 후드 장치.
  6.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축부의 상기 장공에 대한 슬라이드량이, 상기 밀어 올림 위치로 상승되는 상기 로드의 상승량에 비해 작게 설정되어 있는 차량용 팝업 후드 장치.
  7. 제 3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걸어맞춤부는 탄성 변형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고,
    상기 걸어맞춤부가 상기 요동 아암에 직접적 또는 다른 부재를 개재하여 맞닿아 탄성 변형됨으로써, 상기 실린더가 상기 상승 위치에 유지되는 차량용 팝업 후드 장치.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에는, 상기 로드가 상기 밀어 올림 위치로 상승됨으로써 상기 실린더 내에 공급된 가스를 상기 실린더 외로 방출하는 가스 빼냄부가 형성되고,
    상기 유지 기구는, 상기 실린더의 내주부에 형성된 걸어맞춤부와, 상기 로드에 형성된 피걸어맞춤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상승 위치에 있어서 상기 피걸어맞춤 부재가 상기 걸어맞춤부에 걸어맞춰짐으로써 상기 로드가 상기 상승 위치에 유지되는 차량용 팝업 후드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 빼냄부는, 상기 실린더의 내주연부에 형성된 가스 빼냄 홈이 되고, 상기 가스 빼냄 홈이 상기 실린더의 축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는 차량용 팝업 후드 장치.
  10.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는, 제 1 로드와 제 2 로드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고,
    상기 제 1 로드는, 통상을 이루는 통상부를 갖고,
    상기 제 2 로드는, 상기 아암에 연결됨과 함께, 상기 액츄에이터의 축 방향으로 상대 이동 가능하게 상기 통상부에 수용되고,
    상기 유지 기구는, 상기 통상부의 내주부에 형성된 걸어맞춤부와, 상기 제 2 로드에 형성된 피걸어맞춤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상승 위치에 있어서 상기 피걸어맞춤 부재가 상기 걸어맞춤부에 걸어맞춰짐으로써 상기 제 2 로드가 상기 상승 위치에 유지되는 차량용 팝업 후드 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기구는, 상기 요동 아암에 형성된 걸어맞춤부와, 일단부가 상기 아암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피걸어맞춤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아암의 상기 요동 아암에 대한 상대 회동에 수반하여 상기 피걸어맞춤 부재가 회동되고, 상기 피걸어맞춤 부재의 타단부가 상기 걸어맞춤부에 걸어맞춰짐으로써, 상기 아암이 상기 상승 위치에 유지되는 차량용 팝업 후드 장치.
KR1020167018226A 2014-01-20 2014-12-04 차량용 팝업 후드 장치 KR10177008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4008011A JP5907182B2 (ja) 2014-01-20 2014-01-20 車両用ポップアップフード装置
JPJP-P-2014-008011 2014-01-20
PCT/JP2014/082177 WO2015107793A1 (ja) 2014-01-20 2014-12-04 車両用ポップアップフード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6159A KR20160096159A (ko) 2016-08-12
KR101770085B1 true KR101770085B1 (ko) 2017-08-21

Family

ID=535426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18226A KR101770085B1 (ko) 2014-01-20 2014-12-04 차량용 팝업 후드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708010B2 (ko)
EP (1) EP3098117B1 (ko)
JP (1) JP5907182B2 (ko)
KR (1) KR101770085B1 (ko)
CN (1) CN105934371B (ko)
WO (1) WO201510779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794818A (zh) * 2014-09-05 2017-05-31 捷豹路虎有限公司 发动机罩移位机构
US9283924B1 (en) * 2014-09-23 2016-03-15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Hinge for a vehicle hood
DE102014015998A1 (de) * 2014-10-29 2016-05-04 Audi Ag Kraftfahrzeug, umfassend eine Frontklappe, die über zwei Scharniergelenke schwenkbar an einer Karosserie angeordnet ist
JP6413986B2 (ja) * 2015-09-04 2018-10-3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ポップアップフード装置
JP6477376B2 (ja) * 2015-09-15 2019-03-0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ポップアップフード装置
JP6555072B2 (ja) * 2015-10-16 2019-08-07 株式会社デンソー 保護制御装置
JP6565764B2 (ja) * 2016-03-30 2019-08-28 豊田合成株式会社 アクチュエータ
DE102016215377B4 (de) * 2016-08-17 2024-04-25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Scharnieranordnung
US10315612B2 (en) * 2016-08-24 2019-06-11 Honda Motor Co., Ltd. Vehicle hood lift system
CN107901871A (zh) * 2017-10-20 2018-04-13 芜湖市鸿坤汽车零部件有限公司 一种发动机罩抬升装置
EP3521111B1 (en) * 2018-02-05 2020-11-11 Volvo Car Corporation Hinge arrangement
US11383672B2 (en) * 2018-11-27 2022-07-12 Magna Closures Inc. Active pedestrian hood hinge with integrated latch assembly
JP7143237B2 (ja) * 2019-03-11 2022-09-28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フードポップアップ構造
US11447989B2 (en) * 2019-11-05 2022-09-20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Hood prop rod assembly for vehicles
DE102020118957A1 (de) 2020-07-17 2022-01-20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Aktuator zur verstellung einer fronthaube von einer normallage in eine schutzlage
USD1004520S1 (en) * 2021-04-30 2023-11-14 Sheri Madison Set of automotive display props
US20240010161A1 (en) * 2022-07-05 2024-01-11 Hyundai Motor Company Active Hood System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02871A (ja) 2008-02-28 2009-09-10 Dr Ing Hcf Porsche Ag 歩行者保護装置を備えたエンジンフード用ヒンジ構造
JP4410823B2 (ja) 2008-01-25 2010-02-03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ポップアップフード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63191A (ja) 1988-07-25 1990-03-02 Sony Corp 樹脂製止め具構造
JP3674296B2 (ja) 1998-03-19 2005-07-20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自動車のフード跳ね上げ装置
JP3320681B2 (ja) * 1999-07-19 2002-09-03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用フード装置
JP3828342B2 (ja) * 2000-07-26 2006-10-04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用フード装置
US6513617B2 (en) 2000-07-26 2003-02-04 Honda Giken Kogyo Kabushiki Kaisha Vehicle hood apparatus
JP4306485B2 (ja) 2004-02-13 2009-08-05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跳ね上げ式フード
JP2006290297A (ja) * 2005-04-14 2006-10-26 Nissan Motor Co Ltd 跳ね上げ式フード構造及びフード跳ね上げ方法
GB2451622B (en) * 2007-08-06 2011-12-07 Ford Global Tech Llc A hinge mechanism
JP5239253B2 (ja) * 2007-08-14 2013-07-17 日産自動車株式会社 フード跳ね上げ装置
GB2452333B (en) * 2007-09-01 2012-02-15 Wild Mfg Group Ltd Hinge assembly
JP4973412B2 (ja) 2007-09-14 2012-07-11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自動車のフード跳ね上げ装置及びフード跳ね上げ方法
DE102009040415B4 (de) 2009-09-07 2020-08-06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Fahrzeug-Sicherheitseinrichtung mit einem ersten und einem zweiten Scharnierteil
JP5765267B2 (ja) * 2012-02-27 2015-08-1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ポップアップフード装置
CN102582567B (zh) * 2012-02-29 2014-04-02 华南理工大学 一种有利于行人保护的发动机罩弹起装置
WO2014013937A1 (ja) * 2012-07-18 2014-01-23 日産自動車株式会社 フード跳ね上げ装置のフード支持構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10823B2 (ja) 2008-01-25 2010-02-03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ポップアップフード装置
JP2009202871A (ja) 2008-02-28 2009-09-10 Dr Ing Hcf Porsche Ag 歩行者保護装置を備えたエンジンフード用ヒンジ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6159A (ko) 2016-08-12
CN105934371A (zh) 2016-09-07
JP5907182B2 (ja) 2016-04-26
US20160339963A1 (en) 2016-11-24
US9708010B2 (en) 2017-07-18
JP2015136956A (ja) 2015-07-30
CN105934371B (zh) 2018-07-10
EP3098117A1 (en) 2016-11-30
WO2015107793A1 (ja) 2015-07-23
EP3098117B1 (en) 2018-05-02
EP3098117A4 (en) 2017-0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70085B1 (ko) 차량용 팝업 후드 장치
KR101747280B1 (ko) 차량용 팝업 후드 장치
US9764711B2 (en) Vehicle pop-up hood device
US8052162B2 (en) Vehicle step apparatus and extending and retracting device therefor
US20170050610A1 (en) Vehicle pop-up hood device
US20170057458A1 (en) Vehicle pop-up hood device
JP2009173213A (ja) 車両用ポップアップフード装置
EP3396090B1 (en) Vehicle door handle device
JP6003848B2 (ja) 車両用ポップアップフード装置
JP6032191B2 (ja) 車両用ポップアップフード装置
JP5799994B2 (ja) 車両用ポップアップフード装置
CN111376987A (zh) 发动机罩支承结构
JP2008120117A (ja) 車両のフード跳ね上げ装置
JP5765267B2 (ja) 車両用ポップアップフード装置
JP5994743B2 (ja) 車両用ポップアップフード装置
JP6248893B2 (ja) 車両用ポップアップフード装置
JP6477376B2 (ja) 車両用ポップアップフード装置
JP2004330911A (ja) 自動車用安全装置
JP6413986B2 (ja) 車両用ポップアップフード装置
JP2017100678A (ja) 車両用ポップアップフード装置
JP2004352125A (ja) 閉鎖部材の開放操作装置
JP2020117086A (ja) 車両のポップアップフード装置
JP2002263322A (ja) 遊戯機扉のヒンジ機構
KR20180069337A (ko) 회전식 스트라이커 구조
KR20080008102A (ko) 차량용 후드 리프트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