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9914B1 - 청각 감도 조정 장치 - Google Patents

청각 감도 조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9914B1
KR101759914B1 KR1020167008928A KR20167008928A KR101759914B1 KR 101759914 B1 KR101759914 B1 KR 101759914B1 KR 1020167008928 A KR1020167008928 A KR 1020167008928A KR 20167008928 A KR20167008928 A KR 20167008928A KR 101759914 B1 KR101759914 B1 KR 1017599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ricle
grip
auditory sensitivity
sound
pin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089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51876A (ko
Inventor
요스케 구마가와
Original Assignee
요스케 구마가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요스케 구마가와 filed Critical 요스케 구마가와
Publication of KR201600518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18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99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99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1/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ars or hearing sense; Non-electric hearing aids; Methods or devices for enabling ear patients to achieve auditory perception through physiological senses other than hearing sense; Protective devices for the ear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11/30Non-electric hearing aids, e.g. ear trumpets, sound amplifiers or ear-shells
    • A61F11/008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1/00Methods or devices for transmitting, conducting or directing sound in 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18Methods or devices for transmitting, conducting or directing sound
    • G10K11/26Sound-focusing or directing, e.g. scann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5/00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 H04R25/02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adapted to be supported entirely by ea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5/00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 H04R25/70Adaptation of deaf aid to hearing loss, e.g. initial electronic fit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1/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ars or hearing sense; Non-electric hearing aids; Methods or devices for enabling ear patients to achieve auditory perception through physiological senses other than hearing sense; Protective devices for the ear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1/00Methods or devices for transmitting, conducting or directing sound in 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18Methods or devices for transmitting, conducting or directing soun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Psyc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Neurosurgery (AREA)
  • Multimedia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 Headphones And Earphones (AREA)

Abstract

임의의 방향에 대한 집중력이나 주의력을 높이는데 바람직한 청각 감도 조정 장치를 제공한다. 청각 감도 조정 장치(100)는 귓바퀴(50)를 파지하는 그랩 파트(32a, 32b)와, 그랩 파트(32a, 32b)로 파지된 귓바퀴(50)를 신장 방향으로 인장하는 힘을 그랩 파트(32a, 32b)에 부여하는 스프링(22)과, 그랩 파트(32a, 32b)로 파지된 귓바퀴(50)를 비틀도록 회동하는 기체(38)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청각 감도 조정 장치{AUDITORY SENSITIVITY REGULATING DEVICE}
본 발명은 사람 또는 동물의 청각 감도를 조정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임의의 방향에 대한 집중력이나 주의력을 높이는데 바람직한 청각 감도 조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사람은 귓바퀴에 의해 외부의 소리를 집음하여 외이도를 통해 고막에 전달 함으로써 소리를 지각하고 있다. 사람의 청각은 집중력이나 주의력에 영향을 주며, 집음 효과를 높이거나 하여 청각 감도를 높이면, 사람의 집중력이나 주의력이 높아지는 것이 알려져 있다(특허문헌 1). 또한, 전방에서의 소리를 효율적으로 집음할 수 있는 헤드폰형 집음기도 알려져 있다(특허문헌 2).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5-266729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2-83374호
그러나,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기술에 있어서는 전방에서의 소리 및 자신의 목소리가 측부 차폐판에서 반향되어 귀에 집음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동문헌 [0020]), 전방에서의 소리 및 자신의 목소리 밖에 집음할 수 없다. 또한, 특허문헌 2에 기재된 기술에 있어서는 전방에서의 소리가 귀 커버에서 반향되어 귀에 집음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동문헌 [0009]), 전방에서의 소리 밖에 집음할 수 없다. 예를 들면, 후방에서의 소리에 대한 청각 감도를 높이면, 후방에 대한 집중력이나 주의력이 높아진다. 좌측에서의 소리, 우측에서의 소리, 상방에서의 소리, 하방에서의 소리, 그 밖의 방향에서의 소리에 대해서도 동일하지만, 특허문헌 1 및 2에 기재된 기술에 있어서는 모두 특정 방향(전방 등)에서의 소리에 대한 집음 효과를 높이는 기술이므로, 임의의 방향에 대한 집중력이나 주의력을 높이는 것이 곤란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 기술이 갖는 미해결 과제에 주목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임의의 방향에 대한 집중력이나 주의력을 높이는데 바람직한 청각 감도 조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발명 1]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발명 1의 청각 감도 조정 장치는 사람 또는 동물의 청각 감도를 조정하는 청각 감도 조정 장치로서, 사람 또는 동물의 귓바퀴를 파지하는 귓바퀴 파지 수단과, 상기 귓바퀴 파지 수단으로 파지된 귓바퀴를 신장 방향으로 인장하는 귓바퀴 인장 수단과, 상기 귓바퀴 파지 수단으로 파지된 귓바퀴를 비틀거나 또는 요동시키는 귓바퀴 동작 수단을 구비한다.
이러한 구성이면, 귓바퀴 파지 수단에 의해 귓바퀴를 파지하고, 귓바퀴 인장 수단에 의해, 파지된 귓바퀴가 신장 방향으로 인장된다. 또한, 귓바퀴 동작 수단에 의해, 파지된 귓바퀴를 비틀거나 또는 요동시킨다. 즉, 귓바퀴 동작 수단에 의해 귓바퀴를 움직임으로써, 임의의 방향에서의 소리에 대한 청각 감도를 높일 수 있다. 예를 들면, 후방에서의 소리에 대한 청각 감도를 높이려면, 귓바퀴의 표면이 후방을 향하도록 귓바퀴를 움직이면 된다.
여기서, 「청각 감도를 조정」하는 것이란, 본 발명에 의해 귓바퀴를 움직임으로써 사람 또는 동물이 소리를 지각하는 정도를 조정하는 것을 말하며, 사람 또는 동물이 본래 갖고 있는 청각 기능을 조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발명 1의 청각 감도 조정 장치에 의하면, 귓바퀴 동작 수단에 의해 귓바퀴를 움직임으로써, 임의의 방향에서의 소리에 대한 청각 감도를 높일 수 있으므로, 종래에 비교하여, 임의의 방향에 대한 집중력이나 주의력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청각 감도 조정 장치(100)를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청각 감도 조정 장치(100)를 상방에서 본 수평 방향의 단면도이다.
도 3은 그랩 파트(32a, 32b)를 하방에서 본 평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우선, 본 실시형태에 따른 청각 감도 조정 장치(100)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1은 청각 감도 조정 장치(100)를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청각 감도 조정 장치(100)를 상방에서 본 수평 방향의 단면도이다. 도 3은 그랩 파트(32a, 32b)를 하방에서 본 평면도이다.
청각 감도 조정 장치(100)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보울형으로 형성된 하우징(10)과, 하우징(10)의 대좌가 되는 쿠션 부재(20)와, 사람의 귓바퀴(50)를 파지하는 귓바퀴 파지부(30)를 가지고 구성되어 있다.
하우징(10)은 외부로부터의 소리가 투과되기 쉬운 부재로 구성되어 있다. 또는 외부로부터의 소리가 투과되도록 하나 또는 복수의 작은 구멍이나 창을 하우징(10)에 형성해도 된다.
쿠션 부재(20)는 쿠션 등의 탄성 부재로 이루어지고, 하우징(10)의 바닥부를 따라 고리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쿠션 부재(20)는 복수의 스프링(22)을 개재하여 하우징(10)의 바닥부에 장착되어 있다. 스프링(22)은 귓바퀴 파지부(30)로 파지된 귓바퀴(50)를 신장 방향으로 인장하는 탄성력을 부여한다.
귓바퀴 파지부(30)는 기체(38)와, 귓바퀴(50)를 파지하는 한 쌍의 그랩 파트(32a, 32b)를 가지고 구성되어 있다.
그랩 파트(32a)는 신장 방향으로 L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데 비해, 그랩 파트(32b)는 그랩 파트(32a)와 대칭으로 신장 방향으로 역L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랩 파트(32a, 32b)는 그랩 파트(32a)의 말단(34a)이 그랩 파트(32b)의 선단(귓바퀴(50)를 파지하는 측의 단부)과 대향하도록, 또한, 그랩 파트(32b)의 말단(34b)이 그랩 파트(32a)의 선단(귓바퀴(50)를 파지하는 측의 단부)과 대향하도록 서로 교차하여 조합되어 있다. 그랩 파트(32a)의 말단(34a)의 내측부와 그랩 파트(32b)의 말단(34b)의 내측부 사이에는 스프링(36)이 설치되어 있다. 스프링(36)은 그랩 파트(32a, 32b)의 선단끼리를 접근시키는 탄성력 및 그랩 파트(32a, 32b)의 말단(34a, 34b)끼리를 이간시키는 탄성력을 부여한다.
그랩 파트(32a, 32b) 및 스프링(36)은 기체(38)에 장착되어 있고, 그랩 파트(32a)의 말단(34a)이 기체(38)의 측방 개구부로부터 돌출되고, 그랩 파트(32b)의 말단(34b)이 기체(38)의 반대측의 측방 개구부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기체(38)로부터 돌출된 그랩 파트(32a, 32b)의 말단(34a, 34b)을 장착자가 누름으로써 그랩 파트(32a, 32b)의 선단이 열리고, 그랩 파트(32a, 32b)의 말단(34a, 34b)을 누르는 것을 해제함으로써 그랩 파트(32a, 32b)의 선단이 스프링(36)의 탄성력에 의해 닫힌다.
하우징(10)의 꼭대기부에는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기체(38)의 바닥부에는 하우징(10)의 꼭대기부 개구부보다 약간 직경이 작은 통형상의 축부재(40)가 형성되고, 축부재(40)의 선단에는 하우징(10)의 꼭대기부 개구부보다 직경이 큰 플랜지가 형성되어 있다. 축부재(40)가 하우징(10)의 꼭대기부 개구부에 끼워 넣어짐으로써, 귓바퀴 파지부(30)가 하우징(10)에 장착된다. 그리고, 귓바퀴 파지부(30)는 축부재(40)의 플랜지에 의해 하우징(10)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도록 걸림과 함께, 축부재(40)를 축으로 하여 하우징(10)에 대해 회동 가능해진다.
그랩 파트(32a)의 선단은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사람의 엄지 손가락을 본뜬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그랩 파트(32b)의 선단은 손을 말아 쥐었을 때의 집게 손가락(제1 내지 제3 관절을 구부려 집게 손가락을 둥글게 만 상태)을 본뜬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랩 파트(32a)의 선단이 귓바퀴(50)의 이면측으로부터, 그랩 파트(32b)의 선단이 귓바퀴(50)의 표면측으로부터, 각각 귓바퀴(50)를 사이에 끼우도록 하고, 스프링(36)의 탄성력에 의해 그랩 파트(32a, 32b)가 귓바퀴(50)를 파지한다. 엄지 손가락과 말아 쥔 집게 손가락 사이에 귓바퀴(50)를 파지하므로, 사람의 손으로 파지하고 있는 감각을 장착자에게 주어, 장착의 위화감을 저감시킬 수 있다. 이러한 이유에서, 그랩 파트(32a, 32b)의 선단은 사람의 손가락과 동등한 탄성을 갖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의 동작을 설명한다.
장착자는, 우선, 그랩 파트(32a, 32b)의 말단(34a, 34b)을 눌러, 그랩 파트(32a, 32b)의 선단이 열린 상태로 청각 감도 조정 장치(100)를 유지한다. 이어서, 쿠션 부재(20)를 귓바퀴(50)측을 향하게 해 귓바퀴(50)를 덮도록 하여 청각 감도 조정 장치(100)를 장착한다. 이 때, 그랩 파트(32a)의 선단과 그랩 파트(32b)의 선단 사이에 귓바퀴(50)가 위치하도록 청각 감도 조정 장치(100)를 장착한다. 그리고, 그랩 파트(32a, 32b)의 말단(34a, 34b)을 누르는 것을 해제하면, 그랩 파트(32a, 32b)의 선단이 스프링(36)의 탄성력에 의해 닫혀, 귓바퀴(50)는 그랩 파트(32a, 32b)로 파지됨과 함께 스프링(22)의 탄성력에 의해 신장 방향으로 인장된다.
예를 들면, 상방에서의 소리에 대한 청각 감도를 높이려면, 귓바퀴 파지부(30)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시키면 된다. 귓바퀴 파지부(30)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시키면, 이에 수반하여 그랩 파트(32a, 32b)로 파지된 귓바퀴(50)가 반시계 방향으로 비틀어지거나, 귓바퀴(50)의 표면이 약간 상방을 향하기 때문에, 상방에서의 소리에 대한 청각 감도가 높아진다.
또한, 예를 들면, 하방에서의 소리에 대한 청각 감도를 높이려면, 귓바퀴 파지부(30)를 시계 방향으로 회동시키면 된다. 귓바퀴 파지부(30)를 시계 방향으로 회동시키면, 이에 수반하여 그랩 파트(32a, 32b)로 파지된 귓바퀴(50)가 시계 방향으로 비틀어지거나, 귓바퀴(50)의 표면이 약간 하방을 향하기 때문에, 하방에서의 소리에 대한 청각 감도가 높아진다.
이와 같이 하여, 본 실시형태에서는 청각 감도 조정 장치(100)는 귓바퀴(50)를 파지하는 그랩 파트(32a, 32b)와, 그랩 파트(32a, 32b)로 파지된 귓바퀴(50)를 신장 방향으로 인장하는 힘을 그랩 파트(32a, 32b)에 부여하는 스프링(22)과, 그랩 파트(32a, 32b)로 파지된 귓바퀴(50)를 비틀도록 회동하는 기체(38)를 구비한다.
이로써, 임의의 방향에서의 소리에 대한 청각 감도를 높일 수 있으므로, 종래에 비교하여, 임의의 방향에 대한 집중력이나 주의력을 높일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스프링(22)은 발명 1의 귓바퀴 인장 수단에 대응하고, 그랩 파트(32a, 32b)는 발명 1의 귓바퀴 파지 수단에 대응하며, 기체(38)는 발명 1의 귓바퀴 동작 수단에 대응하고 있다.
[다른 변형예]
한편,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귓바퀴(50)를 비틀도록 구성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귓바퀴(50)가 붙어있는 부분을 지지점으로 하여 귓바퀴(50)를 요동 시키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기체(38)를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하는 기구(이하, 「슬라이드 기구」라고 한다)를 설치하면 된다. 또한, 귓바퀴(50)를 비틀거나 또는 요동시키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기체(38)를 하우징(10)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하는 기구 및 슬라이드 기구를 설치하면 된다. 또한, 슬라이드 기구의 경우, 전후 방향에 한정되지 않고, 상하 방향 그 밖의 임의의 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킬 수 있고, 직선상에 한정되지 않고 곡선상으로 슬라이드시킬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 및 그 변형예에 있어서는, 수동으로 그랩 파트(32a, 32b)의 개폐를 행하도록 구성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엑추에이터 등의 구동 수단을 이용하여 그랩 파트(32a, 32b)의 개폐를 자동으로 행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동일하게, 기체(38)의 회동도 수동이 아니라, 자동으로 할 수 있다. 슬라이드 기구의 경우는 기체(38)의 슬라이드도 수동이 아니라, 자동으로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자동화 기구를 채용했을 경우, 예를 들면, 마이크 등으로 외부 소리를 집음하고, 소리의 발신원을 특정하여, 특정한 발신원의 방향으로 귓바퀴(50)의 표면이 향하도록, 기체(38)의 회동 또는 슬라이드를 제어하는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 및 그 변형예에 있어서는, 그랩 파트(32a, 32b)로 귓바퀴(50)를 인장하도록 구성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그랩 파트(32a, 32b)와는 다른 부재로 귓바퀴(50)를 인장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즉, 귓바퀴(50)를 인장하는 직접 부재는 그랩 파트(32a, 32b) 또는 이와는 별도의 부재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 및 그 변형예에 있어서는, 그랩 파트(32a, 32b)로 귓바퀴(50)를 비틀도록 구성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그랩 파트(32a, 32b)와는 다른 부재로 귓바퀴(50)를 비틀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귓바퀴(50)를 요동시키는 구성에 대해서도 동일하다. 즉, 귓바퀴(50)를 비틀거나 또는 요동시키는 직접적인 부재는 그랩 파트(32a, 32b) 또는 이와는 다른 부재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 및 그 변형예에 있어서는, 사람의 귓바퀴(50)를 파지하는 경우에 대해 본 발명을 적용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동물의 귓바퀴를 파지하는 경우에 대해 적용할 수도 있다.
100…청각 감도 조정 장치, 10…하우징, 20…쿠션 부재, 22…스프링, 30…귓바퀴 파지부, 32a, 32b…그랩 파트, 34a, 34b…그랩 파트의 말단, 36…스프링, 38…기체, 40…축부재, 50…귓바퀴

Claims (2)

  1. 사람 또는 동물의 청각 감도를 조정하는 청각 감도 조정 장치로서,
    사람 또는 동물의 귓바퀴를 파지하는 귓바퀴 파지 수단과,
    상기 귓바퀴 파지 수단으로 파지된 귓바퀴를 신장 방향으로 인장하는 귓바퀴 인장 수단과,
    상기 귓바퀴 인장 수단에 의해 인장된 상태로 상기 귓바퀴 파지 수단으로 파지된 귓바퀴를 비틀거나 또는 요동시키는 귓바퀴 동작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각 감도 조정 장치.
  2. 사람 또는 동물의 청각 감도를 조정하는 청각 감도 조정 장치로서,
    사람 또는 동물의 귓바퀴를 파지하는 귓바퀴 파지 수단과,
    상기 귓바퀴 파지 수단으로 파지된 귓바퀴를 신장 방향으로 인장하는 제1 스프링과,
    상기 귓바퀴 파지 수단으로 파지된 귓바퀴를 비틀거나 또는 요동시키는 귓바퀴 동작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귓바퀴 파지 수단은 제1 및 제2 그랩 파트, 및 상기 제1 및 제2 그랩 파트 사이의 제2 스프링을 구비하고, 상기 제2 스프링은 상기 귓바퀴를 파지하기 위해 상기 제1 및 제2 그랩 파트가 서로 접근하는 탄성력을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각 감도 조정 장치.
KR1020167008928A 2013-10-17 2014-10-17 청각 감도 조정 장치 KR10175991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3216040A JP5830074B2 (ja) 2013-10-17 2013-10-17 聴覚感度調整装置
JPJP-P-2013-216040 2013-10-17
PCT/JP2014/077657 WO2015056773A1 (ja) 2013-10-17 2014-10-17 聴覚感度調整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1876A KR20160051876A (ko) 2016-05-11
KR101759914B1 true KR101759914B1 (ko) 2017-07-20

Family

ID=528282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08928A KR101759914B1 (ko) 2013-10-17 2014-10-17 청각 감도 조정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2) US9717632B2 (ko)
EP (1) EP3058906A4 (ko)
JP (1) JP5830074B2 (ko)
KR (1) KR101759914B1 (ko)
CN (1) CN105722482B (ko)
CA (1) CA2926548C (ko)
WO (1) WO201505677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830074B2 (ja) * 2013-10-17 2015-12-09 陽介 熊川 聴覚感度調整装置
CN109044377B (zh) * 2018-09-13 2021-06-18 尹志军 一种注意力测试装置及心理测试设备

Family Cites Families (4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76991C (de) * 1929-05-28 Robert Seipt Schallfaenger
US30688A (en) * 1860-11-20 Charles g
US845383A (en) * 1905-08-25 1907-02-26 Gen Acoustic Company Ear-massage apparatus.
DE322912C (de) 1919-06-11 1920-07-12 Hugo Bennewiz Vorrichtung zur Erleichterung des Hoerens
US1708257A (en) * 1927-11-19 1929-04-09 Campbell Walter Sound-wave catcher
US1820107A (en) * 1930-04-22 1931-08-25 Alfred W Agee Acoustic device
US2537201A (en) * 1948-11-29 1951-01-09 Amfitheatrof Daniele Sound gatherer
US3030688A (en) 1959-03-30 1962-04-24 Fmc Corp Molding apparatus
US3618698A (en) * 1969-10-30 1971-11-09 Burglar Blast Inc Acoustic device
US3658150A (en) * 1971-03-05 1972-04-25 William A Turner Hearing augmentation device
US3938616A (en) * 1973-11-27 1976-02-17 Brownfield Swayze W Sound multiplier
JPS57211557A (en) 1981-06-24 1982-12-25 Fujitsu Ltd Cell sorter
US4574912A (en) * 1984-11-14 1986-03-11 Fuss Gary E Ear muff hearing aid
JPH0796994B2 (ja) 1987-06-26 1995-10-18 松下冷機株式会社 フィン付熱交換器
JPS646700U (ko) * 1987-07-02 1989-01-13
US4997056A (en) * 1989-01-31 1991-03-05 Riley Michael D Ear-focused acoustic reflector
US5020629A (en) * 1989-12-11 1991-06-04 Edmundson Paul G Listening enhancement device
USD341885S (en) * 1991-07-22 1993-11-30 Hara Rex N Listening aid
US5965850A (en) * 1997-07-10 1999-10-12 Fraser Sound Scoop, Inc. Non-electronic hearing aid
US6229901B1 (en) * 1998-03-05 2001-05-08 Nils Peter Mickelson Auditory feedback device
US5851177A (en) * 1998-04-21 1998-12-22 Koch; Craig S. Otoscope and rhinoscope device
CA2378365A1 (en) * 1999-07-27 2001-02-01 Michael Miravet Sorribes A device for non-invasively correcting the shape of a human external ear
JP2003189398A (ja) * 2001-12-13 2003-07-04 Naoki Kanzaki 耳殻起こし補聴器
JP2005266729A (ja) * 2004-03-19 2005-09-29 Tadashi Mukasa 集中力を高める学習補助具
US20080123884A1 (en) * 2006-08-22 2008-05-29 David Donenfeld Passive hearing aid device
US20100059078A1 (en) * 2008-09-08 2010-03-11 David Winters Method and means for pinning back protruding ears
JP5024715B2 (ja) 2010-09-16 2012-09-12 勝 鈴木 耳カバー型集音器
US8220585B2 (en) * 2010-11-08 2012-07-17 Barry Vogel Non-electronic hearing aid
US8122995B1 (en) * 2010-11-29 2012-02-28 Michael D. Riley Ear-mounted lenticular acoustic reflector
US8360198B2 (en) 2011-01-21 2013-01-29 Jo Ann Lederman Hearing assistance device
US8371418B2 (en) 2011-01-21 2013-02-12 Jo Ann Lederman Hearing assistance device
US8424634B2 (en) 2011-01-21 2013-04-23 Jo Ann Lederman Hearing assistance device
US8230965B1 (en) * 2011-01-21 2012-07-31 Joann Lederman Hearing assistance device
US9027698B2 (en) 2011-01-21 2015-05-12 Jag Hearing, Llc. Hearing assistance device and method
US8657063B2 (en) 2011-01-21 2014-02-25 Jo Ann Lederman Hearing assistance device
US20120186898A1 (en) 2011-01-21 2012-07-26 Joann Lederman Hearing assistance device
CN203089538U (zh) * 2012-12-28 2013-07-31 卢同斌 耳廓模托
JP6145942B2 (ja) * 2013-04-23 2017-06-14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耳刺激装置
US20140316456A1 (en) 2013-04-23 2014-10-23 Panasonic Corporation Ear stimulating apparatus
JP6250950B2 (ja) * 2013-04-25 2017-12-20 京セラ株式会社 音響機器
JP5830074B2 (ja) * 2013-10-17 2015-12-09 陽介 熊川 聴覚感度調整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058906A4 (en) 2017-06-28
US9717632B2 (en) 2017-08-01
US20170246037A1 (en) 2017-08-31
US20160262939A1 (en) 2016-09-15
CA2926548C (en) 2018-09-18
JP5830074B2 (ja) 2015-12-09
CN105722482B (zh) 2017-09-08
KR20160051876A (ko) 2016-05-11
JP2015077260A (ja) 2015-04-23
CA2926548A1 (en) 2015-04-23
EP3058906A1 (en) 2016-08-24
WO2015056773A1 (ja) 2015-04-23
US10383770B2 (en) 2019-08-20
CN105722482A (zh) 2016-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5281106B2 (en) Spectacle type communication device
JP5531605B2 (ja) 骨伝導スピーカ及び骨伝導ヘッドホン装置
JP3556151B2 (ja) 骨伝導スピーカを用いた送受話装置
JP3838072B2 (ja) ヘッドホン
US10045114B2 (en) Ear attachment apparatus
EP3422741B1 (en) Hearing aid device having battery drawer
CN207968810U (zh) 新型骨传导耳机
KR101759914B1 (ko) 청각 감도 조정 장치
US10382856B2 (en) Electrical device comprising an earphone
WO2019142461A1 (ja) 聴音装置
WO2019104494A1 (zh) 一种可灵活调节骨传导耳机位置的太阳眼镜
US8867774B2 (en) Portable audio output device
JP6055891B2 (ja) 聴覚感度調整装置
JPH05300207A (ja) 片耳装着型送受話器
KR101899044B1 (ko) 안경 착탈용 이어폰
CN207968813U (zh) 新型骨传导佩戴耳塞
JPH0580098U (ja) 補聴器保持装置
US11526033B2 (en) Hearing device
JP7448922B2 (ja) 会話補助装置
JP2015103841A (ja) イヤホン
US20230362527A1 (en) Raised feature on earbud body
KR200295330Y1 (ko) 타이핀 마이크로폰
KR20110006823U (ko) 청음보조기구
JP2005348934A (ja) 髪止め具
JPH04177997A (ja) 耳装着型送受話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