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9044B1 - 안경 착탈용 이어폰 - Google Patents

안경 착탈용 이어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9044B1
KR101899044B1 KR1020170184459A KR20170184459A KR101899044B1 KR 101899044 B1 KR101899044 B1 KR 101899044B1 KR 1020170184459 A KR1020170184459 A KR 1020170184459A KR 20170184459 A KR20170184459 A KR 20170184459A KR 101899044 B1 KR101899044 B1 KR 1018990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sound output
attaching
detachable
support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844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지 문 장
Original Assignee
(주)시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시선 filed Critical (주)시선
Priority to KR10201701844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904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90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90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5Earpiece supports, e.g. ear hoo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60/00Details of hearing devices, i.e. of ear- or headphones covered by H04R1/10 or H04R5/033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their subgroups, or of hearing aids covered by H04R25/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460/13Hearing devices using bone conduction transduc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착탈부가 안경다리에 끼워진 상태에서 음출력부를 통해 사운드를 골전도 방식으로 청취함으로써, 고막을 통해 주변에서 발생된 사운드를 감지하여 외부 위험 요소를 사전에 인지할 수 있게 하는 안경 착탈용 이어폰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안경 착탈용 이어폰은 안경다리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착탈부 및 상기 착탈부에 연결되어 외부로부터 입력된 사운드를 출력하는 음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안경 착탈용 이어폰{EARPHONE FOR GLASSES DETACHMNET}
본 발명은 안경 착탈용 이어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착탈부가 안경다리에 끼워진 상태에서 음출력부를 통해 사운드를 골전도 방식으로 청취함으로써, 고막을 통해 주변에서 발생된 사운드를 감지하여 외부 위험 요소를 사전에 인지할 수 있게 하는 안경 착탈용 이어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청력에 이상이 있는 사람들은 소리를 증폭시켜주는 보조 장치(보청기)를 착용하게 되는데, 대부분의 보청기의 경우 입력된 소리를 증폭시켜주는 본체를 신체의 임의의 부위에 착용한 상태에서 이로부터 음성출력부위를 리드하여 귀에 꽂아 사용하게 되므로 그 부피가 너무 크고, 리드선이 길수록 치렁치렁하여 보기에 좋지 않은 문제가 있다.
최근에는 본체로부터 곧바로 음성출력부위가 인출되는 형상의 보청기가 개발되어 이를 통째로 귀에 걸어 사용하고 있으나, 이런 경우 그 무게에 의해 귀에 통증이 유발되는 문제가 있으며, 특히 난청을 가지면서 눈도 나빠 안경을 낄 수밖에 없는 사람의 경우 안경테의 귀걸이 부분과 보청기가 귀의 위쪽에 같이 위치될 수밖에 없어 사용이 매우 불편한 단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관련 배경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0416313호(2006년05월08일, 명칭: 보청기 일체형 안경)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창출된 것으로서, 착탈부가 안경다리에 끼워진 상태에서 음출력부를 통해 사운드를 골전도 방식으로 청취함으로써, 고막을 통해 주변에서 발생된 사운드를 감지하여 외부 위험 요소를 사전에 인지할 수 있게 하는 안경 착탈용 이어폰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안경 착탈용 이어폰은 안경다리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착탈부 및 상기 착탈부에 연결되어 외부로부터 입력된 사운드를 출력하는 음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착용자의 목에 착용되고, 상기 음출력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음출력부를 제어하는 넥조작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착탈부 또는 상기 넥조작부에는 외부에서 발생된 사운드를 입력받는 음입력부가 구비되고, 상기 음출력부는 상기 음입력부에 입력된 사운드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음출력부는 위치조절부에 의해 높이와 각도가 조절되고, 착용자 귀의 트라거스 부분 또는 후이각근 부분에 선택적으로 접하여 골전도 방식으로 사운드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착탈부는 상기 음출력부를 지지하는 지지부재 및 상기 지지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안경다리에 슬라이드 방식으로 끼워지는 끼움공간부를 형성하는 공간형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끼움공간부는 상기 안경다리에 끼워진 상태에서 마찰력을 부여하는 마찰패드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착탈부는 상기 음출력부를 지지하는 지지부재 및 상기 지지부재에 탄성 가압력을 발휘하도록 상기 지지부재에 힌지 연결되는 탄성가압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안경 착탈용 이어폰은 착탈부가 안경다리에 끼워진 상태에서 음출력부를 통해 사운드를 골전도 방식으로 청취하는 구조를 가짐에 따라, 착용자가 안경을 벗지 않고서도 장착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주변에서 발생된 사운드와 음출력부에서 출력된 사운드를 모두 청취할 수 있으므로, 외부의 소리를 듣지 못하여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경 착탈용 이어폰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경 착탈용 이어폰에서 착탈부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작동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경 착탈용 이어폰에서 위치조절부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작동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경 착탈용 이어폰에서 착탈부의 변형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착탈부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작동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경 착탈용 이어폰을 설명하도록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경 착탈용 이어폰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경 착탈용 이어폰에서 착탈부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작동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경 착탈용 이어폰에서 위치조절부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작동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경 착탈용 이어폰에서 착탈부의 변형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착탈부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작동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경 착탈용 이어폰은 착탈부(10) 및 음출력부(20)를 포함한다.
착탈부(10)는 안경다리(G)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러한 착탈부(10)는 안경다리(G)에 결합시 착용자가 음출력부(20)를 통해 외부로부터 입력된 사운드를 청취하도록 음출력부(20)를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착탈부(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재(11) 및 공간형성부재(12)를 포함한다.
지지부재(11)는 음출력부(20)를 지지한다.
공간형성부재(12)는 지지부재(11)에 연결되어 안경다리(G)에 슬라이드 방식으로 끼워지는 끼움공간부(12a)를 형성한다.
이때, 공간형성부재(12)는 자체 탄성력을 가지며, 외력을 통해 끼움공간부(12a)의 진입측을 확장시킬 수 있도록 단부에 파지부(12b)가 연장 형성된다. 이에 따라, 착탈부(10)는 끼움공간부(12a)의 폭보다 큰 두께를 갖는 안경다리(G)에도 슬라이드 방식으로 끼워질 수 있게 된다.
또한, 끼움공간부(12a)는 안경다리(G)에 끼워진 상태에서 마찰력을 부여하는 마찰패드(13)를 구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착탈부(10)는 안경다리(G)의 길이 방향을 따라 임의적으로 이동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착탈부(10)는 경우에 따라 도 4 내지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재(11) 및 탄성가압부재(13)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지지부재(11)는 음출력부(20)를 지지한다.
탄성가압부재(13)는 지지부재(11)에 탄성 가압력을 발휘하도록 지지부재(11)에 힌지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탄성가압부재(13)는 접촉부(13a), 누름부(13b) 및 힌지연결부(13c)를 포함한다.
접촉부(13a)는 지지부재(11)에 탄성 복원력으로 접촉되도록 지지부재(11)에 접촉된다.
누름부(13b)는 힌지연결부(13c)에 의해 접촉부(13a)와 힌지 연결되고, 외력에 의한 누름력으로 접촉부(13a)를 이격시켜 지지부재(11)와 접촉부(13a)의 사이에 안경다리(G)가 개재되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로써, 착탈부(10)는 안경다리(G)의 두께에 관계없이 안경다리(G)에 결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안경다리(G)의 길이 방향을 따라 임의적으로 이동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그리고, 음출력부(20)는 착탈부(10)에 연결되어 외부로부터 입력된 사운드를 출력한다.
이러한 음출력부(20)는 위치조절부(21)에 의해 높이와 각도가 조절되고, 착용자 귀의 트라거스 부분 또는 후이각근 부분에 선택적으로 접하여 골전도 방식으로 사운드를 출력할 수 있다.
즉, 음출력부(20)는 착용자 귀의 트라거스 부분 또는 후이각근 부분에 접한 상태에서 사운드를 출력하면, 착용자 귀 주변의 피부 표면에 가해지는 음의 진동이 두개골을 통하여 직접 청각 신경에 전달됨으로써 고막이나 이소골(耳小骨)에 이상이 있는 난청자라도 청각 신경이 정상이라면 피부를 통한 골전도로 확실하게 소리를 들을 수 있게 된다.
이때, 위치조절부(21)는 착탈부(10)와 음출력부(20)의 사이에 구비되어 자바라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위치조절부(21)는 착탈부(10)가 안경다리(G)에 고정된 상태에서 음출력부(20)가 착용자 귀의 트라거스 부분 또는 후이각근 부분에 선택적으로 접하도록 음출력부(20)의 위치를 자유롭게 조절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물론, 위치조절부(21)는 도면에 자바라 형상으로 도시되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음출력부(20)의 높이와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면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로써, 음출력부(20)는 위치조절부(21)에 의해 착용하는 사람에 따라 귀의 트라거스 부분 또는 후이각근 부분에 적절하게 배치될 수 있으므로 장시간 착용하더라도 신체에 무리가 가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음출력부(20)는 착용자 귀의 트라거스 부분 또는 후이각근 부분에 배치시 고막이 항상 개방되어 주변에서 발생하는 사운드를 함께 청취할 수 있으므로 외부의 소리를 듣지 못하여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고, 사운드 출력시 사운드에서 발생되는 진동을 통해 청취 효율을 높아지게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안경 착탈용 이어폰은 착용자의 목에 착용되고, 음출력부(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음출력부(20)를 제어하는 넥조작부(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넥조작부(30)는 전선에 의해 음출력부(20)와 연결될 수도 있고, 무선통신을 통해 음출력부(20)와 연결될 수도 있다.
이때, 넥조작부(30)에는 외부의 전자기기와 연결되는 블루투스모듈(31)이 탑재되고, 음출력부(20)에서 출력되는 볼륨을 조절하는 볼륨조절부(32)가 구비된다.
한편, 착탈부(10) 또는 넥조작부(30)에는 외부에서 발생된 사운드를 입력받는 음입력부(40)가 구비되고, 음출력부(20)는 음입력부(40)에 입력된 사운드를 출력한다.
이때, 음입력부(40)는 외부에서 발생된 사운드를 전기 펄스로 변환하는 마이크로 이루어지고, 외부의 사운드를 입력받아 음출력부(20)에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음입력부(40)는 평상시 주변에서 발생되는 사운드를 입력하여 음출력부(20)에 전송하다가 블루투스모듈(31)를 통해 휴대폰과 연동될 경우 착용자의 음성을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착탈부 11: 지지부재
12: 공간형성부재 12a: 끼움공간부
12b: 파지부 12c: 마찰패드
13: 탄성가압부재 13a: 접촉부
13b: 누름부 20: 음출력부
21: 위치조절부 30: 넥조작부
31: 블루투스모듈 32: 볼륨조절부
40: 음입력부

Claims (7)

  1. 안경다리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착탈부;
    상기 착탈부에 연결되어 외부로부터 입력된 사운드를 출력하는 음출력부; 및
    착용자의 목에 착용되고, 상기 음출력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음출력부를 제어하는 넥조작부;를 포함하고,
    상기 착탈부는 상기 음출력부를 지지하는 지지부재 및 상기 지지부재에 탄성 가압력을 발휘하도록 상기 지지부재에 힌지 연결되는 탄성가압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탄성가압부재는 상기 지지부재에 탄성적으로 복원 가능하게 접촉되는 접촉부와, 상기 접촉부를 외력에 의한 누름력으로 상기 지지부재에서 이격시키는 누름부 및 상기 접촉부와 상기 누름부를 힌지 연결하는 힌지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착탈용 이어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부 또는 상기 넥조작부에는 외부에서 발생된 사운드를 입력받는 음입력부가 구비되고,
    상기 음출력부는 상기 음입력부에 입력된 사운드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착탈용 이어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출력부는 위치조절부에 의해 높이와 각도가 조절되고, 착용자 귀의 트라거스 부분 또는 후이각근 부분에 선택적으로 접하여 골전도 방식으로 사운드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착탈용 이어폰.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170184459A 2017-12-29 2017-12-29 안경 착탈용 이어폰 KR1018990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4459A KR101899044B1 (ko) 2017-12-29 2017-12-29 안경 착탈용 이어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4459A KR101899044B1 (ko) 2017-12-29 2017-12-29 안경 착탈용 이어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99044B1 true KR101899044B1 (ko) 2018-09-14

Family

ID=635994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84459A KR101899044B1 (ko) 2017-12-29 2017-12-29 안경 착탈용 이어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904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3458B1 (ko) * 2019-10-21 2020-10-07 에스텍 주식회사 탈부착용 스피커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5514B1 (ko) * 2005-03-29 2006-09-20 삼신이노텍 주식회사 귀걸이형 이어폰
KR101053760B1 (ko) * 2010-09-20 2011-08-02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여행용 디지털 목베개
KR20160128086A (ko) * 2015-04-28 2016-11-07 홍순민 무선헤드셋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5514B1 (ko) * 2005-03-29 2006-09-20 삼신이노텍 주식회사 귀걸이형 이어폰
KR101053760B1 (ko) * 2010-09-20 2011-08-02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여행용 디지털 목베개
KR20160128086A (ko) * 2015-04-28 2016-11-07 홍순민 무선헤드셋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3458B1 (ko) * 2019-10-21 2020-10-07 에스텍 주식회사 탈부착용 스피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53248B1 (ko) 사운드 입출력 기능을 갖는 안경
JP4118934B2 (ja) メガネ型通信装置
JPWO2009116272A1 (ja) 骨伝導スピーカ及びそれを用いた聴取装置
KR20080014774A (ko) 안경에 부착 가능한 오디오 기기
US11212610B2 (en) Hearing device
WO2019142461A1 (ja) 聴音装置
KR101827535B1 (ko) 스마트폰으로 제어되는 안경 탈부착식 골도 보청기 및 안경다리 모듈형 골도 및 기도 보청기
CN105425425A (zh) 具有骨传导功能的智能眼镜
JP7018205B2 (ja) 聴音装置
KR101899044B1 (ko) 안경 착탈용 이어폰
WO2019104494A1 (zh) 一种可灵活调节骨传导耳机位置的太阳眼镜
US20030147545A1 (en) Receiver
JP6263791B1 (ja) 骨伝導を利用した聴音構造及びその構造を備えた骨伝導を利用した聴音装置
CN105050016A (zh) 入耳式助听器控制系统
KR102033767B1 (ko) 안경 착탈형 골전도 이어폰
WO2019104503A1 (zh) 一种带有骨传导耳机的太阳眼镜
US20210084399A1 (en) Hearing device using bone conduction
CN209821540U (zh) 一种可调节骨传导耳机位置的眼镜
KR20180136167A (ko) 골전도 안경
JP2021162657A (ja) めがね
JP7448922B2 (ja) 会話補助装置
KR101524764B1 (ko) 귀걸이형 이어폰 거치 장치
JP7204223B2 (ja) 聴音装置、聴音装置用クレードル
CN207601447U (zh) 一种带有骨传导扬声器的眼镜
CN209823953U (zh) 一种护耳式骨传导耳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