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6823U - 청음보조기구 - Google Patents

청음보조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6823U
KR20110006823U KR2020090017062U KR20090017062U KR20110006823U KR 20110006823 U KR20110006823 U KR 20110006823U KR 2020090017062 U KR2020090017062 U KR 2020090017062U KR 20090017062 U KR20090017062 U KR 20090017062U KR 20110006823 U KR20110006823 U KR 2011000682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ear
collecting means
present
s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1706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용진
Original Assignee
이용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용진 filed Critical 이용진
Priority to KR202009001706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06823U/ko
Publication of KR2011000682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6823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1/00Methods or devices for transmitting, conducting or directing sound in 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18Methods or devices for transmitting, conducting or directing sound
    • G10K11/26Sound-focusing or directing, e.g. scanning
    • G10K11/28Sound-focusing or directing, e.g. scanning using reflection, e.g. parabolic reflec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1/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ars or hearing sense; Non-electric hearing aids; Methods or devices for enabling ear patients to achieve auditory perception through physiological senses other than hearing sense; Protective devices for the ear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11/30Non-electric hearing aids, e.g. ear trumpets, sound amplifiers or ear-shel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5Earpiece supports, e.g. ear hoo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83Reduction of ambient nois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iophysics (AREA)
  • Multimedia (AREA)
  • Psyc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강의를 듣거나 영화를 보거나 청해 시험을 칠 때 소리를 집중해서 들을 수 있도록 도와주는 기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한 청음보조기구는, 사용자 머리에 착용하는 헤드밴드와; 상기 헤드밴드의 양단에 연결되어 사용자의 귀에 착용되는 한 쌍의 음향수집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음향수집수단은 사용자의 전방으로부터 전달되는 음향을 사용자에게 집중 전달하기 위하여 사용자 귀의 전방은 개방되고 사용자 귀의 후방은 차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음, 음향, 강의, 리스닝, 시험

Description

청음보조기구{LISTENING SUPPORT APPARATUS}
본 고안은 청음보조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강의를 듣거나 영화를 보거나 청해 시험을 칠 때 소리를 집중해서 들을 수 있도록 도와주는 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상 생활에서는 강의를 듣거나 영화를 보거나 청해 시험을 칠 때 소리를 집중해서 들어야 할 필요가 있다. 특히 집중력이 약한 학생들이 강의를 듣는 경우 학습 효과를 증대시키기 위해서는 강의에만 집중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보조수단이 필요하다. 그리고 영화를 볼 때 주변에서 잡담을 하는 경우 영화에 집중할 수 없는 문제점도 있다. 또한 TOEIC, TOEFL 등과 같은 각종 영어 시험에서는 청해 시험도 치고 있는데 청해 시험에서 고득점을 하기 위해서는 스피커의 음향을 집중해서 들어야 될 필요가 있다.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종래기술로는 출원번호 제10-1998-0030178호의 음향수집기가 있다. 그러나 종래의 음향 수집기는 복잡한 전자식 구성을 포함하기 때문에 생산하는데 비용이 많이 든다. 또한 종래의 음향 수집기는 간단 명료하지 못하기 때문에 사용 방법에 있어서도 불편한 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강의를 듣거나 영화를 보거나 청해 시험을 칠 때 소리를 집중해서 들을 수 있도록 도와주는 간결 명확한 청음보조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에 의한 청음보조기구는, 사용자 머리에 착용하는 헤드밴드와; 상기 헤드밴드의 양단에 연결되어 사용자의 귀에 착용되는 한 쌍의 음향수집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음향수집수단은 사용자의 전방으로부터 전달되는 음향을 사용자에게 집중 전달하기 위하여 사용자 귀의 전방은 개방되고 사용자 귀의 후방은 차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한 청음보조기구에서, 상기 음향수집수단은 1/4구 형태로 구성되어 사용자 귀의 전방은 개방되고 사용자 귀의 후방은 차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한 청음보조기구는, 상기 음향수집수단의 사용자 접촉표면에 패드가 부착되고, 상기 음향수집수단이 상기 헤드밴드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에 의한 청음보조기구에 의하면, 강의를 듣거나 영화를 보거나 청해 시험을 칠 때 소리를 집중해서 들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즉, 본 고안은 귓바퀴의 역할을 증대시키므로 사용자가 소리를 더 잘 들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한 청음보조기구에 의하면, 사용자 귀의 후방을 차단하기 때문에 사용자의 뒤에서 들려오는 방해음을 차단하여 집중력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고안에 따른 다양한 실시예들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본 고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기술 및 그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 요소에 대하여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청음보조장치는, 사용자 머리에 착용하는 헤드밴드(100)와; 상기 헤드밴드(100)의 양단에 연결되어 사용자의 귀에 착용되는 한 쌍의 음향수집수단(200);을 포함하되, 상기 음향수집수단(200)은 사용자의 전방으로부터 전달되는 음향을 사용자에게 집중 전달하기 위하여 사용자 귀의 전방은 개방되고 사용자 귀의 후방은 차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음향수집수단(200)은 귓바퀴의 기능을 증대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음향수집수단(200)을 사용하면 귓바퀴가 더욱 커진 것처럼 되므로 전방에서 전해지는 소리를 집중 전달할 수 있게 된다.
음향수집수단(200)은 토끼 귀 모양이나 코끼리 귀 모양과 같은 동물의 귀 모 양으로 구성하여 심미적인 효과와 상품 가치를 높일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음향수집수단(200)은 1/4구 형태로 구성할 수도 있다. 여기서 1/4구란 반구를 2등분 한 것을 말한다. 이처럼 1/4구 형태로 구성하면 사용자 귀의 전방은 개방하면서 후방을 뒤덮는 형상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청음보조기구를 사용상태도로서, 도 2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음향수집수단(200)이 귀를 덮으면서 귀의 전방부가 개방될 수 있도록 착용하기만 하면 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한 청음보조기구는, 음향수집수단(200)과 사용자의 피부가 접촉하는 부분에서 긁힘 등이 발생하지 않도록 상기 음향수집수단(200)의 사용자 접촉표면에 패드(210)를 더 부착할 수 있다.
여기서 패드(210)는 일반적으로 이어폰이나 헤드셋의 이어패드에서 사용되는 스펀지나 고무 등의 소재를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사람들마다 귀와 귀 사이의 거리가 일정하지 않고 귀가 돌출된 각도가 상이하기 때문에 사이즈를 조절할 필요가 있다. 음향수집수단(200)을 헤드밴드(10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하면 착용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헤드밴드(100)의 길이를 조절 가능하게 구성하면 사이즈 조절을 할 수도 있다.
이상,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로 설명하였다. 여기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청음보조기구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청음보조기구의 사용상태도.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한 청음보조기구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00: 헤드밴드
200: 음향수집수단 210: 패드

Claims (3)

  1. 사용자 머리에 착용하는 헤드밴드와;
    상기 헤드밴드의 양단에 연결되어 사용자의 귀에 착용되는 한 쌍의 음향수집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음향수집수단은 사용자의 전방으로부터 전달되는 음향을 사용자에게 집중 전달하기 위하여 사용자 귀의 전방은 개방되고 사용자 귀의 후방은 차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음보조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수집수단은 1/4구 형태로 구성되어 사용자 귀의 전방은 개방되고 사용자 귀의 후방은 차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음보조기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수집수단의 사용자 접촉표면에 패드가 부착되고,
    상기 음향수집수단이 상기 헤드밴드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음보조기구.
KR2020090017062U 2009-12-30 2009-12-30 청음보조기구 KR20110006823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7062U KR20110006823U (ko) 2009-12-30 2009-12-30 청음보조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7062U KR20110006823U (ko) 2009-12-30 2009-12-30 청음보조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6823U true KR20110006823U (ko) 2011-07-07

Family

ID=455684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17062U KR20110006823U (ko) 2009-12-30 2009-12-30 청음보조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06823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3066A (ko) * 2014-08-21 2016-03-03 조희은 사용자의 후방 안전을 지원하는 이어폰 구조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3066A (ko) * 2014-08-21 2016-03-03 조희은 사용자의 후방 안전을 지원하는 이어폰 구조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56071B2 (en) System and method for improving hearing
US9301057B2 (en) Hearing assistance system
US9380374B2 (en) Hearing assistance systems configured to detect and provide protection to the user from harmful conditions
Choudhury Earable computing: A new area to think about
US20150319546A1 (en) Hearing Assistance System
EP3275207B1 (en) Intelligent switching between air conduction speakers and tissue conduction speakers
JPWO2009116272A1 (ja) 骨伝導スピーカ及びそれを用いた聴取装置
CN205176414U (zh) 带有骨传导耳机的运动型太阳眼镜
CN103067809A (zh) 一种头戴耳机调整装置及一种头戴耳机
JP7203775B2 (ja) コミュニケーションサポートシステム
WO2017092166A1 (zh) 具有骨传导功能的智能眼镜
CN203840496U (zh) 头戴式耳机
WO2021258545A1 (zh) 一种挂耳式耳机
WO2019104494A1 (zh) 一种可灵活调节骨传导耳机位置的太阳眼镜
CN105050016A (zh) 入耳式助听器控制系统
KR20110006823U (ko) 청음보조기구
WO2019104503A1 (zh) 一种带有骨传导耳机的太阳眼镜
CN106899906A (zh) 包括心率测量单元的耳机
KR101899044B1 (ko) 안경 착탈용 이어폰
CN206181311U (zh) 一种睡眠耳机
CN208227269U (zh) 一种颈挂式耳机
CN208754503U (zh) 一种透气防耳鸣耳塞
CN206481430U (zh) 一种日语听力设备
CN110896508A (zh) 一种实时翻译通讯耳机
JP2018125784A (ja) 音声出力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