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8746B1 - 천공 가능성이 개선된 음료 컨테이너 - Google Patents

천공 가능성이 개선된 음료 컨테이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8746B1
KR101758746B1 KR1020157005887A KR20157005887A KR101758746B1 KR 101758746 B1 KR101758746 B1 KR 101758746B1 KR 1020157005887 A KR1020157005887 A KR 1020157005887A KR 20157005887 A KR20157005887 A KR 20157005887A KR 101758746 B1 KR101758746 B1 KR 1017587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dge
perforation opening
welding edge
beverage
perfo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058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41077A (ko
Inventor
카르스텐 카이식
토마스 스텀프
에르하르트 슈바르츠
Original Assignee
도이취 시시-베르케 베트리브스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6967926&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758746(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도이취 시시-베르케 베트리브스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도이취 시시-베르케 베트리브스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500410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10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87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87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2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 A47G19/2205Drinking glasses or vessels
    • A47G19/2222Straw holder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18Drinking straws or the like
    • A47G21/181Drinking straws or the like combined with cutlery or other eating utens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acks or bags
    • B65D33/16End- or aperture-closing arrangements or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008Standing pouches, i.e. "Standbeut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52Details
    • B65D75/58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31/00Means for facilitating the complete expelling of the contents
    • B65D2231/02Precut holes or weakened zones
    • B65D2231/022Precut holes or weakened zones for permitting the insertion of a tubular contents-removing device, e.g. a drinking straw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s (AREA)
  • Cartons (AREA)
  • Containers Opened By Tearing Frangible Portion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Abstract

음료용 빨대(5)에 의하여 천공되는 천공 개구부(2)가 제공되어 있는 음료 컨테이너(1), 특히 음료 파우치가 제공되는바, 상기 천공 개구부(2)는 펀칭되고, 외측으로 노출된 밀봉 호일이 용접부(7)에 의하여 상기 천공 개구부(2) 둘레에서 내측에 고정되어 기밀성 폐쇄가 형성되며, 상기 용접부(7)의 내측 용접 에지(3)와 상기 천공 개구부(2)의 하측 에지(2b) 사이에는 상기 음료 컨테이너(1)의 재료와 상기 밀봉 호일이 서로 연결되지 않는 백(6)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천공 가능성이 개선된 음료 컨테이너{Beverage container with improved puncture possibility}
본 발명은 음료용 빨대에 의한 천공을 위한 천공 개구부를 구비한 음료 컨테이너, 특히 음료 파우치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음료 컨테이너, 특히 음료 파우치는, 종래 기술에 의하여 공지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직립형 저부를 갖는다. 음료 파우치는 예를 들어 단일재료(monomaterial) 또는 다층 복합 재료들로 이루어진 호일(foil)로 만들어질 수 있다.
위와 같은 음료 컨테이너, 특히 음료 파우치에 있어서, 음료용 빨대를 음료 컨테이너에 꼽는(천공하는) 때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특히, 유연성 음료 파우치인 경우에는 음료용 빨대에 의한 천공 중에 압력으로 인하여 액체가 흘러나올 수 있다. 또한, 과도한 압력이 가해지면, 천공 구멍뿐만이 아니라 음료 컨테이너의 다른 측부도 뚫릴 수 있다.
동시에, 그와 같은 음료 컨테이너는 환경친화적이어야 하는바, 주위 환경으로 버려질 수 있는 호일이 사용되지 않도록 되어야 한다.
그와 같은 천공 개구부를 구비한 음료 컨테이너는 예를 들어 EP 0 600 502 A2 에 공지되어 있다.
본 발명은 천공 가능성이 개선된 음료 컨테이너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은 청구항 1 에 기재된 음료 컨테이너에 의하여 달성된다. 유리한 실시예들은 종속항들에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음료 컨테이너, 특히 직립형 호일 파우치와 같은 음료 파우치(beverage pouch)는 음료용 빨대에 의하여 천공되는 천공 개구부(puncture opening)를 포함한다. 상기 천공 개구부는 음료 컨테이너 안으로 펀칭(punching)되되 통상적으로는 음료 컨테이너의 총 벽 두께만큼 펀칭되는데, 이것은 예를 들어 음료 파우치의 호일 두께 전체가 관통되도록 펀칭됨을 의미한다. 상기 음료 컨테이너의 내측에서는 외측으로 노출된 밀봉 호일(sealing foil)이 용접부(weld)에 의하여 상기 천공 개구부 둘레에서 고정된다. 여기에서 노출되었다는 의미는, 외측에 다른 밀봉 호일, 밀봉용 종이 등이 부착되지 않음을 의미한다.
(상기 천공 개구부를 향하는 용접 측에서) 내측 용접 에지(inner welding edge)와 외측 용접 에지를 포함하는 상기 용접부에 의하여 기밀성 폐쇄(tight closure)가 형성되어서, 음료가 누설되지 않고서 음료 컨테이너 안으로 채워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그와 같은 음료 컨테이너에서 상기 천공 개구부의 하측 에지와 상기 내측 용접 에지 사이에 백(bag)이 형성되고, 상기 백에서는 음료 컨테이너의 재료와 밀봉 호일이 서로 연결되지 않는다.
여기에서, 천공 개구부는 상측 에지와 하측 에지를 포함하고, 상기 상측 에지와 하측 에지 사이의 천이 부위(transition area)들에서 상측 에지와 하측 에지가 서로 연결되되 예를 들어 둥근 방식으로 연결되거나 모서리에 의하여 연결된다는 점에 유의한다. 상기 하측 에지는 예를 들어 직선형 섹션을 포함하거나 직선형 섹션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서 설계된 상기 백은 상기 음료 컨테이너의 천공과 음료용 빨대의 도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특히 그것은 음료용 빨대를 올바른 천공 방향으로 안내하는데 도움이 되어서, 음료 컨테이너의 반대측 측부를 관통시킬 가능성을 저감시킨다.
예를 들어, 음료용 빨대가 상기 백 안으로 삽입되는 때에, 상기 음료용 빨대는 상기 천공 개구부의 하측 에지 및/또는 상기 백에 의하여 안정화되거나 사전방위결정(preorientation)(이것은, 천공 개구부에 대해 대칭적으로 배치됨을 의미함)될 수 있고, 이로써 밀봉 호일의 통제된 천공이 가능하게 된다.
통상적으로, 외측으로 노출된 밀봉 호일은 음료 컨테이너의 재료보다 더 쉽게 천공될 수 있는 재료로 만들어진다. 특히, 상기 노출된 밀봉 호일은 상기 음료 컨테이너가 아닌 다른 재료로 만들어지고 그리고/또는 상기 음료 컨테이너보다 더 얇게 되도록 설계될 수 있다. 그러나, 그것은 상기 음료 컨테이너에 채택되는 재료들과 동일하게 마련되는 동일한 재료 또는 상이한 조합의 재료로 만들어질 수 있고, 상기 음료 컨테이너와 동일 또는 상이한 두께를 가질 수 있다. 특히, 그와 같은 밀봉 호일 및/또는 음료 컨테이너의 호일은 수개의 층(layer)들을 구비하도록 설계될 수 있는바, 여기에서 적어도 하나의 층이 산소 격벽(oxygen barrier)을 구성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밀봉 호일 및/또는 상기 음료 컨테이너는 단일 재료로 만들어질 수도 있다.
상기 천공 개구부는 상기 음료 컨테이너의 상측 영역에 배치되는 것이 통상적이다. 그것은 음료 컨테이너의 상측 1/3 위치, 특히 상측 1/4 위치, 특히 상측 1/5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그것은 상기 음료 컨테이너의 수평 표면에 배치되거나 측부면에 배치될 수 있다. 호일 파우치의 경우, 상기 천공 개구부는 측부면에 펀칭되는 것이 통상적이다.
이 맥락에서, 천공 개구부가 음료 컨테이너의 상측 영역(특히, 상측 절반부)(상측 영역은 "상부"로 호칭되기도 함)에 배치되도록 음료 컨테이너가 배치된 때에는 상기 음료 컨테이너가 직립해 있다고 불리우는 것이 통상적이고, 만일 예를 들어 직립용 저부와 같은 선택적인 저부가 제공되어 있다면 그 저부는 수평적으로 배치될 것인바, 이것은 곧 상기 파우치가 세워져 있음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상부" 및 "저부", "상측 에지", "하측 에지", "수평" 및 "수직", 그리고 대칭에 관한 추가적인 공간에 관한 기재 등, 음료 컨테이너의 자세를 필요로 하는 기재들은 달리 기재되지 않은 한 직립의 음료 컨테이너를 기준으로 한다.
아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는바, 여기에서는 마무리처리에서의 있을 수 있는 부정확도로 인한 개별 편차들에 대해서는 명시적으로 기술하지 않는다. 마무리처리의 정확도보다 작은 (설명된 사항들로부터의) 편차도 하기의 설명에 내재적으로 포함된다. 특히, 기술된 사항들로부터의 편차가 마무리처리의 정확도(finishing accuracy) 내에 있는 음료 컨테이너도 하기의 설명 및 청구범위에 포함된다. 특히, 상기 마무리처리의 정확도는 1mm보다 작을 수 있고, 특히 0.5mm보다 작을 수 있으며, 특히 예를 들어 0.2mm보다 작을 수 있다. 마무리처리의 부정확도는 특히 용접부에 대한 천공 개구부의 위치와 관련하여 발생할 수 있는데, 왜냐하면 상기 용접부와 천공 개구부가 상이한 기계 부분들에서 형성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상기 천공 개구부 자체의 형상 및 용접부 자체의 형상은 0.1mm 또는 0.2mm 미만의 매우 작은 마무리처리 부정확도만을 가질 뿐인데, 그 이유는 이들이 고정된 공구틀(tool dies)에 의하여 만들어지기 때문이다. 특히, 상기 백의 형성에 있어서는 상기 백의 위와 아래에서의 마무리처리의 부정확도가 0.5mm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0.5mm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천공 개구부의 하측 에지와 내측 용접 에지 사이의 거리가 상기 천공 개구부의 상측 에지와 내측 용접 에지 사이의 거리보다 길다.
여기에서 상기 거리들은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이 결정될 수 있다. 직립형 음료 컨테이너에서는 상기 천공 개구부의 하측 에지의 각 지점과 상기 내측 용접 에지의 가장 가까운 지점 사이의 거리가 결정된다. 이렇게 결정된 거리들 중의 최대값이 상기 하측 에지와 내측 용접 에지 사이의 거리이다. 유사하게, 상기 천공 개구부의 상측 에지의 지점들과 내측 용접 에지의 개별의 가장 가까운 지점 사이의 거리가 결정된다. 이 거리들의 크기 중 최대의 것이 상기 상측 에지와 내측 용접 에지 사이의 거리이다.
특히, 상기 천공 개구부의 하측 에지와 내측 용접 에지 사이의 거리는, 상기 천공 개구부의 상측 에지와 내측 용접 에지 사이의 거리보다 20% 이상, 특히 50% 이상, 특히 100% 이상, 특히 200% 이상, 특히 300% 이상 더 길 수 있다. 또한, 상기 내측 용접 에지는 용접부를 향하는 예를 들어 깔대기 형태나 삼각형 또는 사각형 요부의 형태인 새김눈(indentation)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것은 상기 백에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음료용 빨대를 위한 천공 방향이 미리 결정될 수 있다. 또한, 내측 용접 에지 및 외측 용접 에지를 구비한 용접부는 상기 백의 영역과 상기 천공 개구부 아래의 영역에 추가적인 새김눈을 포함할 수 있는바, 상기 백은 하향의 추가적인 새김눈을 가지게 되고, 이것은 빨대의 끝부분을 수평 방향으로, 예를 들어 천공 개구부에 대해 수평으로 중심을 잡도록 지향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천공 개구부의 하측 에지가 천공 개구부를 둘러싸는 원보다 더 편평하게 설계되거나, 또는 상기 천공 개구부의 하측 에지가 상기 천공 개구부를 둘러싸는 원보다 더 편평, 예를 들어 덜 만곡되어 있는(less bent)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천공 개구부를 둘러싸는 원은, 특히 상기 천공 개구부를 완전히 둘러싸는 최소의 원일 수 있다. 후자는 상기 천공 개구부의 각 형상에 대해 명확히 결정될 수 있다. 전술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둘러싸는 원의 만곡은 하측 에지의 일부분 또는 하측 에지의 만곡보다 더 크다. 하측 에지는 예를 들어, 상기 천공 개구부를 둘러싸는 최소의 원보다 더 작은 만곡을 갖는 일정한 만곡을 갖는 원호를 포함할 수 있다. 이것은, 예를 들어 직선형 섹션으로서 구현되는 하측 에지 또는 직선형 섹션을 포함하는 하측 에지에서도 자동적으로 올바른 설명이 된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천공 개구부는 수직 평면에 대해 대칭적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상기 내측 용접 에지 및/또는 외측 용접 에지는 동일 또는 다른 수직 평면에 대해 대칭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이것은 상기 마무리처리 정확도 내에서 이와 같은 특징을 오직 갖는 음료 컨테이너들에도 해당된다는 점에 다시 유의한다.
특히, 수직 평면에 대해 대칭적인 천공 개구부 및/또는 수직 평면에 대해 대칭적인 내측 용접 에지가 있는 경우에는, 상기 백이 그 대칭 평면에서 또는 그 대칭 평면들 중 하나에서 최대 확장(largest expansion)의 영역을 가질 수 있다. 특히, 상기 천공 개구부의 하측 에지 상의 지점과 내측 용접 에지 상의 가장 가까운 지점 사이의 연결선으로서, 상기 하측 에지의 모든 지점들의 연결선들 중에서도 상기 내측 용접 에지와 천공 개구부의 상기 조합에서 얻어지는 상기 거리의 최대값에 이르는 연결선은 상기 대칭 평면 또는 상기 대칭 평면들 중 하나에 놓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천공 개구부는 각각의 수평 평면에 대해서 비대칭을 이루도록 설계될 수 있다. 여기에서 수평 평면은 음료 컨테이너가 직립으로 유지된 때에 수평으로 연장된 평면으로 정의된다.
이와 같은 특징은 상기 천공 개구부가 정밀하게 원형이 아니라, 예를 들어 수직 방향에서 대칭을 이룬다는 것을 의미한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상기 천공 개구부의 하측 에지가 편평한 것으로 구현된다. 이것은 특히, 하측 영역이 상기 상측 에지의 일 영역 또는 모든 영역들, 또는 상기 천공 개구부의 다른 부분들의 만곡보다 더 작은 만곡을 갖는 영역을 포함한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천공 개구부가 상부에서보다 저부에서 더 큰 폭을 갖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것은 특히, 예를 들어 직선형 섹션으로서 구현되는 하측 에지에서 폭이 가장 큰 영역이 저부에 구비됨을 의미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는 이것이, 폭이 가장 큰 영역이 상기 천공 개구부의 하측 절반부, 하측 1/3 부분, 하측 1/5 부분, 또는 하측 1/10 부분에 구비됨을 의미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맥락에서, 하측 비율(lower fraction)/상측 비율(upper fraction) 각각은 상기 천공 개구부/컨테이너의 비율로서 고려될 수 있는바, 이것은 상기 하측 에지에 있는 최저 지점 또는 최저 지점들 중의 하나와 상기 상측 에지에 있는 최고 지점 또는 최고 지점들 중의 하나 사이에 직선형 섹션이 배치되는 방식으로 결정된다. 그러면 원하는 천공 개구부/컨테이너의 비율에 해당되는 상기 섹션의 비율이 결정된다. 그 다음, 하측 비율/상측 비율을 위하여, 상기 섹션이 상기 섹션을 따라서 저부로부터/상부로부터 (머리속에서) 표시된다. 이 지점을 통과하는 직립형 컨테이너를 통하는 (머리속의) 수평 평면은 천공 개구부/음료 컨테이너를 분할할 것이고, 음료 컨테이너의 하측 비율/상측 비율 각각을 결정할 것이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드에서는, 상기 천공 개구부의 에지가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만곡되어 있고 그리고/또는 비원형이다. 특히, 그와 같은 천공 개구부의 에지는 예를 들어 하나의 원호, 두 개의 원호들, 또는 둘 이상의 원호들을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천공 개구부의 에지가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직선형 섹션에 의하여 한정되는바, 이 경우에 상기 천공 개구부는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직선형 섹션에 의하여 한정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천공 개구부의 에지는 다각형으로서 구현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특히 이등변 삼각형, 직각 삼각형, 또는 정삼각형과 같은 삼각형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천공 개구부의 에지를 구성하는 부분들, 예를 들어 상기 상측 에지 및 하측 에지 또는 상기 상측 에지 및 하측 에지를 구성하는 부분들 각각은, 각도를 이루거나 또는 둥근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다각형은 예를 들어 둥근 모서리를 가질 수 있다 (이것은 직선형 섹션들이 둥근 방식으로 연결됨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상기 천공 개구부는 초승달 형상을 가질 수 있는데, 이 경우 보통 상기 직선형 섹션은 수평적이고 만곡된 부분은 상기 컨테이너가 직립한 채로 유지되는 때에 상기 직선형 섹션의 위에 배치된다. 상기 천공 개구부의 에지의 상기 만곡된 부분과 직선형 섹션은 각도를 이루도록 또는 둥근 방식으로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만곡된 부분은 예를 들어 원호의 형태로 구현되거나, 또는 장원(oval)의 호(arc)들을 포함하거나, 또는 반원 또는 반장원(semioval)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음료 컨테이너에서, 상기 내측 용접 에지 및/또는 외측 용접 에지는 천공 개구부의 상측 측부에서 천공 개구부(예를 들어, 상측 에지)의 형상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하측 측부에서는, 상기 내측 용접 에지 및/또는 외측 용접 에지가 천공 개구부(예를 들어, 하측 에지)의 하측 에지의 형상과 상이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로써 상기 백이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음료 컨테이너에서, 상기 내측 용접 에지 및/또는 외측 용접 에지는 만곡된 형태 및/또는 반원형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특히, 상기 내측 용접 에지 및/또는 외측 용접 에지는, 예를 들어 장원형이거나, 또는 하나의 원호 또는 상이한 만곡을 가지고 둥근 방식으로 연결되는 둘 이상의 원호들을 포함할 수 있는바, 둥근 방식으로 연결된다는 것은 연결되는 천이부가 각도를 이루도록(뾰족하게) 구현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원호들의 일부 또는 전부가 각도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음료 컨테이너의 내측 용접 에지 및/또는 외측 용접 에지가 저부에서 편평하게 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그것은 하측 영역(저부)에 각 용접 에지의 다른 영역, 예를 들어 상측 영역 및/또는 측방 영역에서보다 만곡이 더 작은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이것은 곧, 내측 용접 에지의 다른 영역에서보다 내측 용접 에지의 하측 영역에서의 만곡이 더 작거나, 또는 외측 용접 에지의 다른 영역에서보다 외측 용접 에지의 하측 영역에서의 만곡이 더 작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예를 들어 하측 에지의 아래에 위치한 내측 용접 에지 및/또는 외측 용접 에지의 영역은, 상측 에지의 위에 위치한 각각의 용접 에지의 영역, 및/또는 각각의 용접 에지의 측방 영역들 중 하나 또는 모두보다 덜 만곡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내측 용접 에지 및/또는 외측 용접 에지의 만곡은, 각 용접 에지의 상측 부분의 만곡 또는 각 용접 에지의 상측 부분의 영역들에서의 모든 만곡들, 및/또는 각 용접 에지가 내접할 수 있는 최소 원의 만곡보다, 하측 측부, 예를 들어 하측 절반부, 하측 1/3 부분, 하측 1/5 부분, 또는 특히 각 용접 에지의 하측 1/10 부분에서 더 작을 수 있다. 특히 상기 원은 각각의 용접 에지가 내접할 수 있는 최소 원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음료 컨테이너는 예를 들어 음료 컨테이너와 함께 제공될 수 있는 음료용 빨대를 구비할 수 있다. 이것은 특히, 음료 컨테이너가 음료용 빨대와 함께 판매됨을 의미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음료용 빨대는 예를 들어 음료 컨테이너에 고정될 수 있다. 대안으로서, 이 음료 컨테이너들을 위해 적합한 다수의 음료용 빨대들(예를 들어, 음료 컨테이너의 높이에 해당되거나 그보다 더 높은 음료용 빨대들)이 수 개의 상기 음료 컨테이너들을 포함하는 패키지(package) 안에 포함되거나, 또는 상기 음료 컨테이너를 개방시킬 수 있는 음료용 빨대들이 음료 컨테이너와 함께 제공될 가능성도 있을 수 있다. 상기 음료용 빨대는 (개별적으로) 포장되거나 또는 포장되어 있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하나의 포장재 안에 수 개의 음료용 빨대들이 포장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다수의 음료용 빨대들을 구비한 하나(또는 수 개)의 포장재가 수 개의 음료 컨테이너들을 구비한 패키지 안에 포함될 수 있다. 특히, 수 개의 음료 컨테이너들을 구비한 패키지 안에 있는 하나 이상의 포장재 안에 포함되어 있는 음료용 빨대들의 총 개수는 통상적으로 그 패키지 안에 있는 음료 컨테이너들의 개수와 같거나 그보다 더 크다.
본 발명에 따른 음료 컨테이너에 있어서는 통상적으로, 음료용 빨대의 직경이 천공 개구부의 최소 직경보다 더 작다. 이것은, 그러한 음료용 빨대를 예를 들어 납작하게 하는 등, 압축시킬 필요없이 그 음료용 빨대가 상기 천공 개구부를 관통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다른 한편으로는, 상기 음료용 빨대의 직경이 천공 개구부의 최소 직경과 같거나 또는 (약간, 예를 들어 최대 15%, 특히 최대 10%, 특히 최대 5%) 더 클 수도 있다. 이것은 예를 들어, 관통 후 액체의 누설 가능성을 감소시킨다는 점에서 유리할 수 있다.
여기에서는, 상기 음료용 빨대의 직경이, 음료용 빨대를 통해 음료가 빨려나올 수 있게 되는 방향의 축에 대해서 직각으로 음료용 빨대를 볼 때에 음료용 빨대가 내접할 수 있는 최소 원의 직경인 것으로 고려된다. 음료용 빨대를 통해서 음료가 빨려나올 수 있게 되는 방향의 축에 대해서 직각으로 장원형의 단면을 갖는 음료용 빨대인 경우에는, 그 직경이 예를 들어 그 장원의 긴 대칭축의 길이로 된다.
선택적으로, 위와 같은 음료용 빨대는 음료 컨테이너 안으로의 보다 용이한 도입 또는 천공을 가능하게 하도록 일 측부에 뾰족한 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밀봉 호일은 예를 들어 뾰족한 단부를 구비한 음료용 빨대에 의하여 보다 용이하게 천공되어 개방될 수 있는데, 이는 상기 백이, 그리고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예를 들어 편평한 영역을 포함하는 천공 개구부의 하측 에지도 함께, 사전방위결정(preorientation)을 도모하여, 그 끝부분이 밀봉 호일과 대칭적으로 만나서 밀봉 호일을 보다 쉽게 관통할 수 있게 되기 때문이다.
일부 음료 컨테이너들에서는, 저부를 향한 상기 백의 최대 길이가 적어도 1mm, 특히 적어도 2mm, 그리고 특히 예를 들어 적어도 3mm 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상기 저부를 향한 상기 백의 최대 길이는 음료용 빨대의 직경의 1/5, 특히 1/3, 특히 1/2보다 클 수 있다. 상기 음료용 빨대는 뾰족한 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천공 개구부를 둘러싸는 용접부와 관련하여, 내측 용접 에지 및/또는 외측 용접 에지는 만곡된 부분을 포함하는데, 이 만곡은 일 방향(천공 개구부의 중앙을 향하는 내측 방향)만을 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내측 용접 에지 및/또는 외측 용접 에지가 외측으로(즉, 천공 개구부로부터 멀리) 만곡된 영역은 제공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거나, 또는 둘 이상보다 많지 않은 영역에서만 제공됨이 바람직하다. 외측으로 향하는 만곡을 갖는 영역은, 예를 들어 백의 영역 안에서 천공 개구부의 아래에 상기 백의 추가적인 새김눈(indentation)이 제공되도록 하기 위하여 제공될 수 있는데, 상기 추가적인 새김눈은 상기 천공 개구부의 중앙 아래에 중심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천공 개구부는 비-원형이다. 예를 들어, 상기 천공 개구부의 에지는 상이한 만곡을 갖는 적어도 두 개의 영역들을 포함할 수 있는바, 예를 들면 적어도 일 영역에서 제1 만곡 부분을 포함하는 상측 에지와, 적어도 일 영역에서 제2 만곡 부분을 포함하는 하측 에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측 에지의 고려되는 영역에서의 만곡이 상기 상측 에지의 고려되는 영역에서의 만곡보다 더 작다. 특히, 상기 만곡은 상측 에지의 각 영역에서보다 하측 에지의 각 지점에서 더 작을 수 있는데, 이것은 하측 에지의 임의의 영역에서의 최대 만곡이 상측 에지의 영역에서의 최소 만곡보다 더 작을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음료용 빨대를 위한 안내는 이미 상기 천공 개구부에 의하여 제공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천공 개구부의 에지는 하나, 둘, 또는 그 이상의 만곡된 영역들과, 하나, 둘, 또는 그 이상의 직선형 영역들을 포함할 수 있는데, 이것도 음료용 빨대를 안내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상측 에지 및 하측 에지는 천이 영역들 각각에서 만날 수 있고, 상기 천이 영역은 예를 들어 둥근 형태 및/또는 각을 이룬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측 에지 및/또는 하측 에지의 일부분들은, 각도를 이루거나 둥근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 천이 영역들에서 만날 수 있다. 이 천이 영역들은 상기 상측 에지 및/또는 하측 에지의 만곡의 판별과 관련하여서는 무시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천공 개구부의 폭이 상기 천공 개구부의 높이보다 더 크다. 여기에서, 상기 천공 개구부의 에지의 두 지점들 간의 수평 방향으로의 최대 거리가 천공 개구부의 폭으로 여겨지며, 상기 천공 개구부의 에지 상의 두 지점들 간의 수직 방향으로의 최대 거리가 천공 개구부의 높이로 여겨진다. 이것은, 예를 들어 충분한 폭에 걸쳐서 음료용 빨대의 천공 및 안내를 위한 공간이 존재하기 때문에 유리할 수 있다. 이것은 특히, 음료용 빨대가 위로부터 보다는 옆으로부터 천공 개구부 안으로 더 잘 삽입될 수 있다는 사실로 귀결된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서, 외측 용접 에지의 높이에 대한 외측 용접 에지의 폭의 비율은 내측 용접 에지의 높이에 대한 내측 용접 에지의 폭의 비율보다 더 높다. 여기에서, 내측/외측 용접 에지에서의 두 지점들 간의 수평 방향으로의 최대 거리는 내측/외측 용접 에지의 폭으로서 고려된다. 내측/외측 용접 에지에서의 두 지점들 간의 수직 방향으로의 최대 거리는 내측/외측 용접 에지의 높이로서 고려된다. 이것은 천공 개구부의 측방 영역에서의 용접부의 안정성을 증가시킬 수 있기 때문에 유리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외측 용접 에지 및/또는 내측 용접 에지는 비-원형으로 구현되되, 상이한 만곡을 갖는 적어도 두 개의 영역들을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용접 에지의 형상은 천공 개구부의 형상에 맞게 적합화될 수 있다. 이로써, 채움시 상기 천공 개구부를 통한 산소의 도입이 최소화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백의 최대 길이 부분이 상기 음료 컨테이너 및/또는 상기 내측 및/또는 외측 용접 에지 및/또는 상기 천공 개구부의 대칭 평면에 위치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최대 길이가 대칭 평면에서만 얻어진다. 이것은, 음료용 빨대가 대칭 평면을 따라서 안내될 수 있게 되기 때문에 유리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백의 최대 길이가 하나의 대칭 평면에서만 얻어지지는 않는다. 보통의 경우, 상기 내측 용접 에지와 상기 천공 개구부의 상측 에지 사이의 최대 거리가 상기 백의 최대 길이보다 더 작다. 이것도 음료용 빨대의 안내에 도움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 및 예시들은 하기의 도면들에 도시되어 있다.
도 1 에는 본 발명에 따른 음료 컨테이너의 모습이 도시되어 있는바, 이 경우에서는 예로서 음료 파우치가 도시되어 있다.
도 2 에는 내측 용접 에지를 구비한 천공 개구부의 다양한 실시예들이 도시되어 있다.
도 3 에는 본 발명에 따른 음료 컨테이너의 두 가지의 가능하고 상이한 실시예들의 상세 모습들이 도시되어 있다.
도 1 에는 음료 파우치(1)의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이와 같은 음료 파우치는 도시된 바와 같이, 둘러싸고 있는 내측 용접 에지(3)를 구비한 천공 개구부(2)를 상측 영역에 구비할 수 있다. 도면에서, 예를 들어 천공 개구부(2), 내측 용접 에지(3), 및 음료용 빨대(5)는 도시된 컨테이너와 관련하여 정확한 크기 비율로 도시된 것은 아니다.
상기 천공 개구부와 내측 용접 에지의 가능한 구체적인 실시예들은 도 2a 내지 도 2c 에 도시되어 있다.
외측 용접 에지 및 용접부는 도 1 및 도 2 에 도시되어 있지 않다. 상기 내측 용접 에지와 관련된 상기 외측 용접 에지 및 용접부의 가능한 구성들은 도 3a 및 도 3b, 그리고 그에 해당되는 하기의 설명 부분에서 기술될 것이다. 여기에서 도시된 모든 실시예들은 도 1 에 도시되고 여기에서 설명되는 음료 컨테이너(1) 및/또는 도 2 에 도시되고 여기에서 설명되는 (내측 용접 에지를 구비한) 천공 개구부와 조합될 수 있다.
위와 같은 음료 파우치는 에지들에 밀봉 솔기(sealing seam; 4)를 포함할 수 있다. 만일 상기 파우치가 직립형 파우치라면, 그 파우치는 통상적으로 직립용 저부(미도시)를 포함한다. 그와 같은 음료 파우치에 음료용 빨대(5)가 고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음료용 빨대(5)는 예를 들어 상기 파우치에 접착되는 등의 방법으로 파우치에 고정된다. 그러나, 상기 음료용 빨대(5)는 임의의 다른 방식으로 파우치에 연결되거나 또는 상기 파우치와 함께 주어질 수도 있다. 상기 음료용 빨대는 예를 들어 투명하거나 불투명한 플라스틱 커버인 추가적인 포장재 안에 포장될 수 있는데, 이 때 상기 추가적인 포장재는 (예를 들어, 접착에 의하여) 상기 음료 파우치에 고정될 수 있다(미도시). 보통의 경우, 이와 같은 음료용 빨대는 뾰족한 단부(5a)를 구비하는데, 이것은 음료 컨테이너를 천공하는 데에 도움이 될 수 있다. 음료 컨테이너로부터 음료를 마시기 위하여는, 상기 음료용 빨대를 분리하고, 음료용 빨대가 포장되어 있다면 포장을 푼 다음에, 음료용 빨대가 밀봉 호일을 관통하도록 천공 개구부(2)를 뚫는다. 그 후에 상기 음료용 빨대를 통해서 음료가 빨려 나올 수 있다.
도 2a 내지 도 2c 에는 음료 컨테이너에 제공되어 있는 천공 개구부(2)들의 가능한 실시예들이 도시되어 있는데, 이들은 각각 둘러싸고 있는 내측 용접 에지(2)를 구비한다. 각각의 도면에는 상기 내측 용접 에지와 천공 개구부의 하측 에지 사이에 형성된 백(bag; 6)이 도시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도 2a 에는 초승달 형상을 갖는 천공 개구부(2)가 도시되어 있다. 이것은 예를 들어, 원의 일 세그먼트(segment)일 수 있다. 이 예에서, 상기 상측 에지(2a)는 원호를 포함하고 하측 에지(2b)는 직선형 섹션을 포함하거나, 또는 그들이 그와 유사하게 구현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직선형 에지가 저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천공 개구부(2)가 본 발명에 따른 음료 컨테이너에 배치된다. 이로써, 상기 백(6)은 하향으로 뻗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직선형 섹션과 원호 사이의 연결부는 각지거나 둥글게 구현될 수 있다 (미도시).
상기 천공 개구부에 내접될 수 있는 직경을 통상적으로 갖는 음료용 빨대가 천공 개구부 안으로 도입될 때, 상기 음료용 빨대의 끝부분이 밀봉 호일과 만나서 밀봉 호일을 천공할 수 있도록, 예를 들어 여기에 도시된 바와 같은 직선형 섹션인 하측 에지(2b)에 의해 사전방위결정(preorientation)될 수 있다.
동시에, 음료용 빨대는 상기 백(6) 안으로 안내되는데, 상기 백(6)은 음료용 빨대를 컨테이너의 표면에 대해 직각으로 뚫음으로 인하여 음료 컨테이너의 후면이 천공될 가능성을 감소시킬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음료용 빨대는 상기 천공 개구부(2)의 상측 에지(2a)를 통해 안내될 수도 있는바, 이 영역은 보통 음료용 빨대를 천공 개구부(2)의 (이 예에서 존재한다면) 대칭축의 방향으로 안내한다.
도시된 예에서 도 2a 의 내측 용접 에지(3)는, 둥근 방식으로 연결된 원의 두 개의 원호들을 포함하는 포함하는 것으로서 예시될 수 있다.
특히, 상기 내측 용접 에지는 상기 천공 개구부의 상측 에지에서 상기 천공 개구부의 상측 에지의 형상을 대략적으로 추종할 수 있는바, 이로써 상기 내측 용접 에지와 원호의 형상을 갖는 천공 개구부의 경계 사이의 거리가 대략적으로 동일하게 유지된다.
상기 천공 개구부의 하측 에지에서는, 상기 내측 용접 에지(3)가 이 예에서처럼 예를 들어 직선형 섹션으로서 설계된 하측 에지(2b)의 형상과 상이한 에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여기에 도시된 예에서는 상기 내측 용접 에지가 만곡되어 있다. 그러나, 예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내측 용접 에지의 만곡은 상기 내측 용접 에지의 측방 영역들 및/또는 상측 영역에서의 만곡보다, 도시된 예의 하측 영역에서 덜 뚜렷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상기 내측 및/또는 외측 용접 에지들은 모서리를 갖지 않는데, 왜냐하면 모서리는 예를 들어 변형(또는 손상)되기 쉽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특히 상이한 만곡을 갖는 상기 내측 및/또는 외측 용접 에지들의 부분들은 보통 둥근 방식으로 연결된다.
도 2b 에는 삼각형의 천공 개구부(2)가 도시되어 있다. 여기에서, 본 예의 경우에 대략적으로 등각인 상기 삼각형의 일 측부는 저부 측에 배치된다. 도시된 예에서 상기 내측 용접 에지(3)는, 저부에서의 백(6)이 삼각형의 상측 측부 옆에 형성된 백들보다 더 크게 되도록 구현된다. 특히,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 용접 에지(3)는 등각 삼각형 둘레에서 원형의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는데, 여기에서 그 원은 백(6)이 저부에 형성되도록 하향으로 쉬프트(shift)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내측 용접 에지(3)와 하측 에지(2b) 사이의 거리가 내측 용접 에지(3)와 상측 에지(2a) 사이의 거리보다 더 크다. 따라서, 백(6)이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형성된다. 특히, 상기 내측 용접 에지(3)와 하측 에지(2b) 사이의 거리는 상기 내측 용접 에지(3)와 상측 에지(2a) 사이의 거리보다 적어도 10%, 특히 적어도 20%, 특히 적어도 50%, 특히 적어도 100%만큼 더 클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상기 내측 (및/또는 외측) 용접 에지는 둥근 방식으로 연결된 수 개의 원호들에 의해서 구현될 수도 있다. 특히, 상기 내측 (및/또는 외측) 용접 에지의 하측 영역(저부)은 다른 개별의 용접 에지의 영역들, 또는 하나 또는 수개 또는 모든 원호들보다 상대적으로 편평하도록(즉, 덜 만곡되어 있는 형태로) 설계될 수 있다.
천공 개구부는 이등변삼각형 또는 다른 삼각형(미도시)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어떤 경우들에서는, 삼각형이 둥근 모서리를 가질 수 있다.
도 2c 에는 다른 내측 용접 에지(3)를 구비한 다른 천공 개구부(2)가 도시되어 있다. 특히, 이 경우에서 천공 개구부(2)는 두 개의 원호들(2a, 2b)에 의하여 한정된다. 이 예에서, 하측 영역(예를 들어, 하측 에지(2b)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하측 에지(2b)로 구현됨)을 한정하는 원호는 상측 원호(예를 들어, 상측 에지(2a)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상측 에지(2a)로 구현됨)보다 상대적으로 편평한 것으로 도시되어 있는데, 이것은 하측 영역의 원호가 덜 뚜렷하게 만곡되어 있음을 의미한다. 도 2c 에 도시된 예에서, 원호들은 모서리들을 형성하도록 만난다. (도시되지 않은) 다른 실시예에서는, 천공 개구부(2)의 에지의 원호들이 만나는 영역들도 예를 들어 내측 용접 에지(3)와 관련하여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둥글게 되어 있을 수 있다.
도 2c 에 도시된 내측 용접 에지(3)도 상이한 만곡을 갖는 두 개의 원호들에 의해서 한정된 것으로 설명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다시 설명하자면, 하측 영역의 만곡은 상측 (및/또는 측방) 영역(들)의 만곡보다 더 편평하다. 도시된 예에서, 두 개의 원호들은 둥근 방식으로 연결되어 있어서, 내측 용접 에지(3)에서의 변형(또는 손상)을 증가시킬 수 있는 모서리들이 형성되지 않는다. 외측 용접 에지의 경우에서도, 용접 에지를 구성하는 두 개의 원호들이 둥근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는바, 이로써 모서리가 형성되지 않는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내측 (및/또는 외측) 용접 에지(3)도 둥글게 또는 장원형(oval)으로서 설계될 수 있다.
상기 내측 및/또는 외측 용접 에지는 각각, 하나 이상의 평면들(예를 들어, 수직 평면 및/또는 수평 평면)에 대하여 대칭을 이룰 수 있다.
도 2c 에 도시된 예에서, 천공 개구부의 하측 에지는 (약간) 볼록하게 만곡되어 있거나, 또는 (약간) 볼록하게 만곡된 영역을 포함한다. 다른 예들에서는, 그것이 (약간) 오목하게 만곡되어 있거나, 또는 (약간) 오목하게 만곡된 영역을 포함할 수도 있다.
도 3a 및 도 3b 에는 파우치의 내부에 밀봉 호일을 고정시키는 두 개의 대안적인 방안들이 도시되어 있다. 이 두 개의 예들에서는 천공 개구부(2)가 도시되어 있으나, 다른 실시예(예를 들어, 밀봉 호일(9)이 불투명한 실시예)에서는 도시된 방향에서 볼 때 천공 개구부가 보이지 않을 수도 있다.
도 3a 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스트립(strip) 형태의 밀봉 호일(9)이 파우치에 부착된다. 여기에서, 상기 밀봉 호일 스트립의 두 개의 단부들은 보통 호일 파우치의 에지 밀봉부(밀봉 솔기)(4)에 고정되는바, 이로써 용접부(7), 특히 최종 음료 컨테이너의 외측 용접 에지(8)와 내측 용접 에지(3)에 적은 힘이 작용하게되는데, 이는 그것이 추가적인 지지력 없이도 밀봉 호일(9)을 유지할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통상적으로, 내측 용접 에지(3) 및 외측 용접 에지(8)를 구비한 용접부(7)와 천공 개구부(2)는 밀봉 호일의 중앙부에 부착된다. 그러나, 내측 용접 에지(3) 및 외측 용접 에지(8)를 구비한 용접부(7), 및/또는 천공 개구부(2)는 중앙이 아닌 밀봉 호일(9)의 다른 지점에 부착될 수도 있다. 밀봉 호일은 대칭축들을 포함할 수 있지만 반드시 그래야 하는 것은 아니다. 백(6)은 천공 개구부(2)의 하측 에지와 내측 용접 에지 사이에 형성된다.
도 3a 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내측 용접 에지(3) 및 외측 용접 에지(8)는, 상기 용접부(7)의 측방 영역들에서의 폭이 상기 용접부의 상측 영역 및 하측 영역에서의 폭보다 더 크도록 구현된다. 이것은 예를 들어 제조의 관점에서, 밀봉 호일로 음료 컨테이너 재료를 용접하는 동안에 음료 컨테이너 재료(예를 들어, 파우치용 호일)와 밀봉 호일(9)의 측방(측방이라 함은, 최종 파우치에서의 측방향을 지칭하는 방향을 의미함) 이송이 수행되는 때에 유리할 수 있는바, 상측 및 하측 영역에서보다 용접부의 측부에 더 높은 힘이 작용할 것이다. 이 때에는 (지지 작용을 하는) 밀봉 솔기(4)들이 존재하지 않을 것이기 때문에 위와 같은 구성이 유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밀봉 호일 및/또는 음료 컨테이너 재료가 릴(reel)로부터 풀려져야 하거나 또는 작업 중에 견인력에 의하여 이동되어야 할 때에, 상기 용접부(7)의 측방 영역들에 대한 힘이 발생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는, 내측 용접 에지(3)와 외측 용접 에지(8)가 서로에 대해 일정한 거리를 갖거나, 또는 측방 영역이 아닌 다른 영역에서 서로에 대한 최대의 거리를 가질 수 있다.
도 3a 에 도시된 예에서, 천공 개구부(2)는 내측 용접 에지(3)를 구비한 초승달 형상을 갖는데, 상기 내측 용접 에지(3)는 둥근 방식으로 연결되어 있는 두 개의 사이한 원호들로서 설명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천공 개구부(2) 및 내측 용접 에지(3)는 위에서 설명된 다른 실시예들 중 어느 하나의 형태를 포함할 수도 있다.
도 3b 에는 밀봉 호일(9)이 용접부(7)에 의하여 유지되는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내측 용접 에지(3) 및 외측 용접 에지(8)도 도시되어 있다. 여기에서, 두 개의 용접 에지들(3, 8) 사이의 거리는 일정하거나 달라지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두 개의 용접 에지들(3, 8) 사이의 거리는, 예를 들어 도 3a 과 관련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용접부의 상측 영역 및 하측 영역에서보다 측방 영역들에서 더 클 수 있다. 내측 용접 에지(3) 및 외측 용접 에지(8)가 측방 영역들이 아닌 다른 지점에서 최대 거리를 갖는 다른 실시예도 가능하다.
또한, 외측 용접 에지는 밀봉 호일(9)의 에지까지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연장될 수 있다. 밀봉 호일(9)은 하나 이상의 대칭을 갖거나 또는 대칭을 전혀 가지지 않을 수 있다.
밀봉 호일이 패치(patch)로서 음료 컨테이너, 특히 음료 파우치에 고정되는 실시예에서, 상기 패치는 예를 들어 사각형, 정사각형, 장원형, 둥근 형태, 또는 다른 어떤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패치의 두 개의 측부들은 서로에 대해 평행할 수 있고, 상기 패치의 다른 경계부들은 임의의 형상을 갖거나, 특히 찢어져 있거나 불규칙적으로 날카롭게 되어 있을 수 있다.
어떤 실시예들에서, 그러한 패치는 외측 용접 에지의 모든 영역들에서 외측 용접 에지를 넘어 연장된다. 다른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패치가 외측 용접 에지의 일부 영역들에서 외측 용접 에지를 넘어 연장되되 그 외의 영역들에서는 외측 용접 에지와 함께 끝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외측 용접 에지가 패치의 에지까지 함께 연장될 수 있다.
밀봉 호일(9)이 용접부(7)에 의하여 유지되는 실시예는, 개별의 밀봉 호일을 위한 재료가 적게 필요하기 때문에 유리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밀봉 호일이 패치로서 호일에 고정되기 때문에, 그 패치가 용접부(7)에 의해서 유지된다. 또한, 여기에서도 천공 개구부(2)와 백(6)이 존재한다. 이 경우에서 천공 개구부(2)는 초승달 형상으로서 도시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서도, 도 3a 에서와 같이, 위에서 설명된 모든 다른 천공 개구부 및 용접 에지의 형상이 내측 용접 에지(3) 및 외측 용접 에지(8)에 대하여 사용될 수 있다.
도 3a 및 도 3b 와 관련하여 설명된 실시예들 모두에서, 천공 개구부가 제공되지 않는 내측 용접 에지의 측부에 위치하는 밀봉 호일이 파우치에 편평하게 용접될 수 있다.

Claims (21)

  1. 음료용 빨대(5)에 의하여 천공되는 천공 개구부(puncture opening; 2)가 제공되어 있는 음료 컨테이너(1)로서,
    상기 천공 개구부(2)는 펀칭(punching)되고, 외측으로 노출된 밀봉 호일(sealing foil)이 내측 용접 에지(3)와 외측 용접 에지(8)를 구비한 용접부(weld; 7)에 의하여 상기 천공 개구부(2) 둘레에서 내측에 고정되어 기밀성 폐쇄(tight closure)가 형성되며,
    상기 용접부(7)의 내측 용접 에지(inner welding edge; 3)와 상기 천공 개구부(2)의 하측 에지(2b) 사이에는 상기 음료 컨테이너(1)의 재료와 상기 밀봉 호일이 서로 연결되지 않는 백(bag; 6)이 형성되고, 상기 하측 에지(2b)는 상기 천공 개구부(2)를 완전히 둘러싸는 최소 원보다 더 편평하게, 즉 덜 만곡되게 구현된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천공 개구부의 폭이 가장 큰 영역은 상기 천공 개구부의 하측 절반부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컨테이너(1).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천공 개구부(2)의 하측 에지(lower edge; 2b)와 상기 내측 용접 에지(3) 사이의 거리는 상기 천공 개구부(2)의 상측 에지(upper edge; 2a)와 상기 내측 용접 에지(3) 사이의 거리보다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컨테이너(1).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천공 개구부(2), 상기 내측 용접 에지(3), 상기 외측 용접 에지(outer welding edge; 8) 중 적어도 하나는 수직 평면에 대해 대칭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컨테이너(1).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백(6)은 대칭 평면(plane of symmetry)에서 최대 길이(largest extension)의 영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컨테이너(1).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천공 개구부(2)는 각 수평 평면에 대하여 비대칭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컨테이너(1).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천공 개구부(2)의 저부는 편평하게 구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컨테이너(1).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천공 개구부(2)는 상부에서보다 저부에서의 폭이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컨테이너(1).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천공 개구부(2)는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만곡되어 있거나 비-원형(non-circular)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컨테이너(1).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천공 개구부(2)는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직선형 섹션(straight section)들에 의하여 한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컨테이너(1).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천공 개구부(2)는 초승달(crescent)의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컨테이너(1).
  11.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용접 에지(3)는 내측 용접 에지(3)의 상측 측부에서 상기 천공 개구부(2)의 에지의 형상을 따르되, 내측 용접 에지(3)의 하측 측부에서는 상기 천공 개구부(2)의 하측 에지와 상이한 에지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컨테이너(1).
  12.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용접 에지(3) 및 상기 외측 용접 에지(8) 중 적어도 하나는 만곡되어 있거나 비-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컨테이너(1).
  1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용접 에지(3) 및 외측 용접 에지(8) 중 적어도 하나는 측방 또는 상측 영역보다 더 편평한 저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컨테이너(1).
  1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음료 컨테이너(1)는, 음료 컨테이너(1)에 고정되는 음료용 빨대(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컨테이너(1).
  1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음료용 빨대(5)의 직경은, 최소 직경 지점에서 천공 개구부(2)의 직경보다 작거나 상기 천공 개구부(2)의 직경과 같거나 상기 천공 개구부(2)의 직경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컨테이너(1).
  1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저부를 향한 상기 백(6)의 최대 길이는 적어도 1mm 이거나, 저부를 향한 상기 백(6)의 최대 길이는 상기 음료용 빨대(5)의 직경의 1/5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컨테이너(1).
  1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용접 에지 및 상기 외측 용접 에지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천공 개구부의 중앙을 향하여 내향으로 만곡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컨테이너(1).
  1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용접 에지는 상기 천공 개구부의 중앙을 향하여 내향으로 만곡되어 있고, 상기 내측 용접 에지의 1 또는 2개의 영역이 상기 천공 개구부로부터 멀리 만곡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컨테이너(1).
  1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용접 에지의 높이에 대한 상기 외측 용접 에지의 폭의 비율은, 상기 내측 용접 에지의 높이에 대한 상기 내측 용접 에지의 폭의 비율보다 더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컨테이너(1).
  2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천공 개구부는 비-원형이고, 또한 두 가지의 상이한 만곡을 갖는 적어도 두 개의 상이한 영역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컨테이너(1).
  21.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용접 에지 및 상기 외측 용접 에지 중 적어도 하나는 비-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컨테이너(1).
KR1020157005887A 2012-08-10 2013-07-29 천공 가능성이 개선된 음료 컨테이너 KR10175874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2180091 2012-08-10
EP12180091.6 2012-08-10
PCT/EP2013/065875 WO2014023594A1 (de) 2012-08-10 2013-07-29 Getränkebehälter mit verbesserter einstichmöglichkeit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19013A Division KR101882434B1 (ko) 2012-08-10 2013-07-29 천공 가능성이 개선된 음료 컨테이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1077A KR20150041077A (ko) 2015-04-15
KR101758746B1 true KR101758746B1 (ko) 2017-07-17

Family

ID=4696792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19013A KR101882434B1 (ko) 2012-08-10 2013-07-29 천공 가능성이 개선된 음료 컨테이너
KR1020157005887A KR101758746B1 (ko) 2012-08-10 2013-07-29 천공 가능성이 개선된 음료 컨테이너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19013A KR101882434B1 (ko) 2012-08-10 2013-07-29 천공 가능성이 개선된 음료 컨테이너

Country Status (34)

Country Link
US (1) US20150208837A1 (ko)
EP (2) EP2882663B1 (ko)
JP (1) JP5990648B2 (ko)
KR (2) KR101882434B1 (ko)
CN (1) CN104718137B (ko)
AR (1) AR092087A1 (ko)
AU (2) AU2013301717B2 (ko)
BR (2) BR122020004103B1 (ko)
CA (1) CA2879776C (ko)
CL (1) CL2015000307A1 (ko)
CY (1) CY1117497T1 (ko)
DK (2) DK3048063T3 (ko)
EA (1) EA029192B1 (ko)
ES (2) ES2648888T3 (ko)
HK (1) HK1208657A1 (ko)
HR (2) HRP20160653T1 (ko)
HU (2) HUE029315T2 (ko)
MA (1) MA37898B1 (ko)
MD (1) MD20150021A2 (ko)
ME (1) ME02466B (ko)
MX (2) MX364345B (ko)
NO (1) NO3048063T3 (ko)
NZ (2) NZ730623A (ko)
PE (1) PE20150522A1 (ko)
PH (1) PH12015500141A1 (ko)
PL (2) PL3048063T3 (ko)
PT (2) PT2882663T (ko)
RS (2) RS56518B1 (ko)
SI (2) SI3048063T1 (ko)
SM (1) SMT201600167B (ko)
TW (1) TWI570037B (ko)
UA (1) UA112910C2 (ko)
WO (1) WO2014023594A1 (ko)
ZA (1) ZA20150089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021903A (zh) * 2019-06-04 2020-12-04 立翔硅利光科技有限公司 吸饮装置
USD979424S1 (en) 2021-03-09 2023-02-28 Antrim Acres, Ltd. Beverage pouch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056744A1 (en) * 2004-09-10 2006-03-16 Berman Ronald H Sealed beverage container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45604A (en) * 1969-01-23 1970-12-08 Conn Med Corp Package
US3792798A (en) * 1969-04-14 1974-02-19 First Dynamics Inc Combination liquid container and drinking straw
DE7526045U (de) * 1975-08-16 1975-12-11 Hoechst Ag Beutel mit Einstichstelle
JPS60134761U (ja) * 1984-02-17 1985-09-07 東洋製罐株式会社 ストロ−タブ付包装容器
US4762514A (en) * 1985-11-01 1988-08-09 Fujimori Kogyo Co., Ltd. Method of making beverage packaging bag
US5052614A (en) * 1990-10-09 1991-10-01 Jialuo Xuan Straw and straw hole structure
US5782404A (en) * 1991-03-04 1998-07-21 Combibloc, Inc. Package opening
DE4244843C2 (de) * 1992-12-02 1999-07-15 Sisi Werke Gmbh Standbeutel mit verbesserter Einstichöffnung
US5722561A (en) * 1996-03-13 1998-03-03 Aluminum Company Of America Drink straw can
CA2256436C (en) * 1996-06-03 2005-08-09 Kraft Foods, Inc. Easy-access beverage pouch
US5782344A (en) * 1997-02-28 1998-07-21 Glopak Inc. Liquid plastic film pouch with inner straw
US5873656A (en) * 1997-05-21 1999-02-23 Kraft Foods, Inc. Straw-access system for flexible beverage pouch
US6076967A (en) * 1997-06-05 2000-06-20 Beaudette; Susan A. Fillable disposable drink bag
US5833368A (en) * 1997-06-12 1998-11-10 Kraft Foods, Inc. Pull tab opening system for beverage container
TW374070B (en) * 1997-09-01 1999-11-11 Sumitomo Bakelite Co Self-supporting bag and self-supporting package and method for producing them
US5997177A (en) * 1997-11-25 1999-12-07 Kraft Foods, Inc. Tamper-evident opening system for beverage container
US20020114543A1 (en) * 2001-02-20 2002-08-22 Murray R. Charles Straw pierceable flexible pouch
CA2387692C (en) * 2002-05-28 2006-07-11 Urban Pouch-Pack Ltd. Flexible stand-up liquid pouch with internalized straw
US20040057637A1 (en) * 2002-09-25 2004-03-25 Akira Nishibe Pouch with a straw hol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D582790S1 (en) * 2005-04-19 2008-12-16 Huhtamaki Ronsberg, Zweigniederlassung Der Huhtamaki Deutschland Gmbh & Co. Kg Foil package
US8523440B2 (en) * 2005-06-02 2013-09-03 Bevi Corporation Disposable seal and lock beverage pouch
US20060285782A1 (en) * 2005-06-02 2006-12-21 Eileen Walker Disposable seal and lock foil beverage pouch and the operating machinery to manufacture such product
US20060280391A1 (en) * 2005-06-09 2006-12-14 Joseph Buggs Z&G system
US7648023B2 (en) * 2006-04-27 2010-01-19 Cygnus Medical Llc Endoscope pre-clean kit
US9242779B1 (en) * 2014-03-20 2016-01-26 Chai Holdings, Llc Resealing label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056744A1 (en) * 2004-09-10 2006-03-16 Berman Ronald H Sealed beverage contain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SI2882663T1 (sl) 2016-06-30
US20150208837A1 (en) 2015-07-30
EP2882663A1 (de) 2015-06-17
HUE029315T2 (en) 2017-03-28
WO2014023594A1 (de) 2014-02-13
CL2015000307A1 (es) 2015-07-17
MX364345B (es) 2019-04-23
NO3048063T3 (ko) 2018-03-10
HK1208657A1 (zh) 2016-03-11
HRP20160653T1 (hr) 2016-07-15
MA37898A1 (fr) 2016-03-31
TWI570037B (zh) 2017-02-11
MD20150021A2 (ro) 2015-08-31
PL3048063T3 (pl) 2018-03-30
JP2015528421A (ja) 2015-09-28
KR20170084353A (ko) 2017-07-19
SI3048063T1 (en) 2018-01-31
MA37898B1 (fr) 2016-10-31
BR112015002529B1 (pt) 2021-02-23
NZ705402A (en) 2017-04-28
EP3048063B1 (de) 2017-10-11
ES2648888T3 (es) 2018-01-08
RS55051B1 (sr) 2016-12-30
AU2013301717B2 (en) 2015-11-26
AU2013301717A1 (en) 2015-03-19
EP2882663B1 (de) 2016-04-27
ES2574524T3 (es) 2016-06-20
MX350694B (es) 2017-09-13
DK3048063T3 (en) 2018-01-15
HUE038090T2 (hu) 2018-09-28
PT3048063T (pt) 2018-01-02
SMT201600167B (it) 2016-07-01
BR112015002529A2 (pt) 2018-05-22
MX2015001827A (es) 2015-05-08
KR101882434B1 (ko) 2018-07-26
HRP20171945T1 (hr) 2018-01-26
PH12015500141B1 (en) 2015-04-20
EP3048063A1 (de) 2016-07-27
CN104718137B (zh) 2017-04-26
DK2882663T3 (en) 2016-08-01
PH12015500141A1 (en) 2015-04-20
TW201406619A (zh) 2014-02-16
JP5990648B2 (ja) 2016-09-14
EA029192B1 (ru) 2018-02-28
ZA201500894B (en) 2016-01-27
ME02466B (me) 2017-02-20
CA2879776A1 (en) 2014-02-13
BR122020004103B1 (pt) 2021-07-20
UA112910C2 (uk) 2016-11-10
PT2882663T (pt) 2016-08-03
CA2879776C (en) 2016-12-20
CN104718137A (zh) 2015-06-17
NZ730623A (en) 2017-09-29
AU2016200481A1 (en) 2016-02-18
AU2016200481B2 (en) 2017-08-10
RS56518B1 (sr) 2018-02-28
PL2882663T3 (pl) 2016-11-30
KR20150041077A (ko) 2015-04-15
EA201590147A1 (ru) 2015-07-30
AR092087A1 (es) 2015-03-25
PE20150522A1 (es) 2015-04-29
CY1117497T1 (el) 2017-04-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137390B1 (en) Sealed single-dose break-open package suited to be opened vertically
JP5027306B2 (ja) 飲料用容器の蓋
CN111712441A (zh) 用于制造密封破开式包装的制造方法和相应的密封破开式包装
CN105102339A (zh) 柔性膜包装袋
KR101758746B1 (ko) 천공 가능성이 개선된 음료 컨테이너
JP7382738B2 (ja) ガゼット袋および内容物収納体
ES2394055T3 (es) Procedimiento de fabricación de conjuntos de cierre que comprenden unas aberturas, procedimiento de formación de bolsas, banda de conjuntos y bolsas correspondientes
JP5309308B2 (ja) 注出具
EP2006216A1 (en) Package formed from at least one flexible film
JP2015117062A (ja) 易開封性包装袋
OA17252A (en) Beverage container with improved piercing possibility.
JP2016016867A (ja) 収納用袋
JP6167101B2 (ja) 経皮治療システムまたは投与形態向けのフィルム形態の単回用量パッケージ
ES2899377T3 (es) Tapa para un contenedor de líquidos
JP2011121607A (ja) 紙容器
JP5340063B2 (ja) 液体食品用容器のストロー用開口装置
JP4918293B2 (ja) 容器陳列構造体及びそれに使用する包装用袋
JP2011195143A (ja) 蓋開封具
ITMI940735U1 (it) Confezione monouso per sostanze liquid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