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2234B1 - 웨빙 권취 장치 - Google Patents

웨빙 권취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2234B1
KR101752234B1 KR1020130076726A KR20130076726A KR101752234B1 KR 101752234 B1 KR101752234 B1 KR 101752234B1 KR 1020130076726 A KR1020130076726 A KR 1020130076726A KR 20130076726 A KR20130076726 A KR 20130076726A KR 101752234 B1 KR101752234 B1 KR 1017522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ool
sensor
main body
axial direction
placement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767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05091A (ko
Inventor
타카시 요시다
아키라 스미야시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도카이리카덴키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도카이리카덴키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도카이리카덴키 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1400050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50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22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22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34Belt retractors, e.g. reels
    • B60R22/36Belt retractors, e.g. reels self-locking in an emergenc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34Belt retractors, e.g. reels
    • B60R22/36Belt retractors, e.g. reels self-locking in an emergency
    • B60R22/40Belt retractors, e.g. reels self-locking in an emergency responsive only to vehicle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34Belt retractors, e.g. reels
    • B60R22/46Reels with means to tension the belt in an emergency by forced winding u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12Seats or part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4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for non integrated articles
    • B60R2011/005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 B60R2011/0052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using screws, bolts, rivet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34Belt retractors, e.g. reels
    • B60R22/36Belt retractors, e.g. reels self-locking in an emergency
    • B60R22/40Belt retractors, e.g. reels self-locking in an emergency responsive only to vehicle movement
    • B60R2022/401Belt retractors, e.g. reels self-locking in an emergency responsive only to vehicle movement with adjustable sensor
    • B60R2022/402Belt retractors, e.g. reels self-locking in an emergency responsive only to vehicle movement with adjustable sensor automatically adjustable to keep a vertical position, e.g. irrespective of seat or vehicle til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4Acceleration 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장치 본체에 대한 가속도 센서의 회동의 축방향과, 이 축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의 관성 질량체의 전동 감도의 차이를 줄일 수 있는 웨빙 권취 장치를 얻는 것을 과제로 한다.
일반면(98)이 원추 형상으로 이루어진 재치면(96)에 규제면(100, 102)이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센서구(110)가 회동축(142, 152)의 축방향으로 전동하면, 센서구(110)는 규제면(100) 또는 규제면(102)에 맞닿는다. 이 상태에서 센서구(110)가 회동축(142, 152)의 축방향으로 더 전동하려면 일반면(98)보다 경사 각도가 큰 규제면(100) 또는 규제면(102) 위를 센서구(110)가 올라가도록 해야만 한다. 이에 대해, 평면시에서 회동축(142, 152)의 축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센서구(110)가 전동하려면, 일반면(98) 위를 전동하기만 하면 된다.

Description

웨빙 권취 장치{WEBBING TAKE-UP DEVICE}
본 발명은 차량의 시트 벨트 장치를 구성하는 웨빙 권취 장치에 관한 것이며, 특히 차량에 탑재되는 리클라이닝 기구가 부착된 시트의 시트 백에 내장하는 타입에 적합한 웨빙 권취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평10-157569호에 개시된 웨빙 권취 장치에서는, 가속도 검출 수단(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평10-157569호에서는 가속도 센서라고 함)의 브래킷 위에 관성 질량체(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평10-157569호에서는 센서볼이라고 함)가 재치된다. 이 브래킷은 행거에 스풀의 축방향과 동일한 방향을 축방향으로 하는 축 주위에 회동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이에 따라, 스풀의 축방향과 동일한 방향을 축방향으로 하는 축 주위로 리트렉터 베이스(retractor base)가 경사진 경우에는, 리트렉터 베이스에 대해 브래킷이 상대적으로 회동하여, 브래킷은 리트렉터 베이스가 회동하기 전의 상태와 동일한 자세를 유지하고자 한다.
그런데, 브래킷은 상기한 바와 같이 리트렉터 베이스에 대해 회동할 수 있는 구성이다. 따라서, 차량 급감속 시에 브래킷이 회동해도 관성 질량체가 전동하도록 관성 질량체가 재치되는 면의 경사 각도를 작게 하고 있다. 그러나, 브래킷은 그 회동 축방향(주로 차량 좌우 방향)으로는 회동하지 않는다. 따라서, 관성 질량체는 브래킷의 회동 축방향으로 용이하게 전동해버려, 회동의 축방향과 이 축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주로 차량 전후 방향)에서 관성 질량체가 전동하는 감도가 상이해져버린다.
본 발명은 상기 사실을 고려하여, 장치 본체에 대한 가속도 센서의 회동의 축방향과, 이 축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의 관성 질량체의 전동 감도의 차이를 줄일 수 있는 웨빙 권취 장치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양태 1에 기재된 본 발명에 관한 웨빙 권취 장치는, 중심 축선 주위의 일방(一方)인 권취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외주부(外周部)에 웨빙을 그 길이 방향 기단(基端)측으로부터 감는 스풀을 구비한 장치 본체와, 상기 장치 본체의 경사이동에 따라 상기 장치 본체가 경사이동하기 전의 상태와 동일한 자세를 유지하도록 소정 방향을 축방향으로 하는 축 주위로 상기 장치 본체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상기 장치 본체에 설치되며, 상방을 향해 개구된 오목 형상으로 형성되고 구형상의 관성 질량체가 재치(載置)되는 재치면이 형성되어 차량 감속 시에 상기 관성 질량체가 관성에 의해 상기 재치면 위를 전동(轉動)하는 동시에, 상기 재치면을 내주(內周) 형상이 상방을 향해 개구된 일반면과, 상기 재치면의 개구 방향측에서 본 평면시(平面視)에서 상기 재치면의 중앙보다 차량 좌우 방향 적어도 일방측에 형성되고, 수평 방향에 대한 경사 각도가 수평 방향에 대한 상기 일반면의 경사 각도보다 큰 규제면을 포함하여 구성하며, 상기 재치면 위에서의 차량 전후 방향보다 차량 좌우 방향으로의 상기 관성 질량체의 전동이 규제된 가속도 검출 수단과, 상기 가속도 검출 수단의 상기 관성 질량체가 상기 재치면 위를 전동한 상태에서 상기 스풀이 상기 권취 방향과는 반대인 인출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작동하며, 작동함에 따라 상기 인출 방향으로의 상기 스풀의 회전을 규제하는 로크(lock)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양태 1에 기재된 웨빙 권취 장치에서는, 장치 본체의 스풀로부터 인출된 웨빙을 탑승자가 장착한 상태에서 차량이 급감속하면, 가속도 검출 수단의 관성 질량체가 재치면 위를 관성 이동한다. 이 상태에서, 차량 전방으로 관성 이동하고자 하는 탑승자의 신체가 웨빙을 끌어당겨, 스풀을 인출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로크 수단이 작동하여 스풀의 인출 방향으로의 회전을 규제한다. 이에 따라, 스풀로부터의 웨빙의 인출이 규제되어, 차량 전방으로 관성 이동하고자 하는 탑승자의 신체를 웨빙에 의해 효과적으로 구속할 수 있다.
한편, 본 웨빙 권취 장치는, 차량의 시트 백의 경사이동(리클라이닝)에 따라 장치 본체가 경사이동하면, 가속도 검출 수단의 축부를 중심으로 가속도 검출 수단이 장치 본체에 대해 회동하여, 가속도 검출 수단은 장치 본체가 경사이동하기 전의 자세를 유지하고자 한다. 그에 따라, 상기한 바와 같이 장치 본체가 경사이동해도, 가속도 검출 수단의 자세의 변화가 없거나, 이런 변화가 작기 때문에, 장치 본체가 경사이동해도, 경사이동 전과 마찬가지로 가속도 검출 수단을 기능시킬 수 있다.
여기서, 이 재치면의 일반면은 내주 형상이 상방으로 개구된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차량이 감속했을 때의 가속도(감속도)가 소정의 크기를 초과하고 있으면, 일반면에서의 경사면을 관성 질량체가 전동하면서 올라가며, 이 상태에서 스풀이 인출 방향으로 회전하면, 로크 기구가 작동한다.
단, 평면시에서의 재치면의 중앙보다 차량 좌우 방향 적어도 일방측에는 규제면이 형성된다. 규제면은 수평 방향에 대한 경사 각도가 일반면의 경사 각도보다 크다. 규제면측으로 관성 질량체가 전동하려면 일반면보다 경사 각도가 큰 규제면을 올라가야만 하며, 이 때문에 규제면측으로의 관성 질량체의 전동이 억제된다.
이 때문에, 관성 질량체는 차량 전후 방향에 대해 차량 좌우 방향으로 전동하기 어려워진다. 환언하면, 급감속 시에 있어서의 관성 질량체의 감도(전동의 용이함)는, 차량 좌우 방향보다 차량 전후 방향에서 높아진다(전동하기 쉬워진다). 따라서, 차량이 급감속한 경우에 가속도 검출 수단이 차량 좌우 방향을 축방향으로 하는 축 주위로 회동한 경우(이 경우, 관성 질량체는, 차량 전후 방향으로는 전동하기 어려운 한편, 차량 좌우 방향으로는 전동하기 쉬움), 차량 전후 방향으로의 관성 질량체의 감도를, 가속도 검출 수단의 회동 방향과는 상이한 차량 좌우 방향으로의 관성 질량체의 감도와 동일한 정도로 할 수 있다.
양태 2에 기재된 본 발명에 관한 웨빙 권취 장치는, 양태 1에 기재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평면시에서의 상기 재치면의 중앙보다 좌우 양측에 상기 규제면을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규제면을 상기 재치면의 개구측에 대해 상기 평면시에서의 상기 재치면의 중앙측으로 경사진 면으로 하며, 상기 평면시에서의 상기 재치면의 중앙에 상기 관성 질량체를 재치한 상태에서는, 상기 규제면보다 하측에서 상기 일반면에 상기 관성 질량체가 접하도록 상기 규제면을 설정하고 있다.
양태 2에 기재된 웨빙 권취 장치는, 규제면이 평면시에서의 재치면 중앙의 좌우 양측에 형성된다. 여기서, 양 규제면은 재치면의 개구측에 대해 평면시에서의 재치면의 중앙측으로 경사진 면이 되며, 평면시에서의 재치면의 중앙에 관성 질량체를 재치한 상태에서는, 규제면보다 하측에서 일반면에 접한다. 참고로, 상기 양태에 있어서, 일반면은 바람직하게는 원추 형상을 갖는다. 일반면은 원추 형상이기 때문에 구형상의 관성 질량체와 일반면과의 접촉 부분은 원환(圓環) 형상이 된다. 이에 따라, 부주의하게 관성 질량체가 이동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양태에 있어서, 규제면은 평면인 것이 가능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관한 웨빙 권취 장치는, 장치 본체에 대한 가속도 센서의 회동의 축방향과, 이 축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의 관성 질량체의 전동 감도의 차이를 줄일 수 있다.
하기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웨빙 권취 장치의 전체 구성을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웨빙 권취 장치의 주요부를 확대한 사시도이다.
도 3의 (A)는 재치부를 회동의 축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자른 단면도이며, (B)는 재치부를 회동의 축방향으로 자른 단면도이다.
도 4는 장치 본체가 경사이동하기 전의 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5는 장치 본체가 경사이동한 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본 실시형태의 구성>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웨빙 권취 장치(10)의 구성의 개략이 분해 사시도에 의해 도시되어 있다. 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웨빙 권취 장치(10)는 장치 본체(12)를 구비하고 있으며, 이 장치 본체(12)는 프레임(14)을 구비하고 있다. 프레임(14)은 차량의 시트를 구성하는 시트 백(seat back) 내측에 설치되어 있으며, 이 시트 백의 프레임(시트 백의 골격) 등에 볼트 등에 의해 일체적으로 체결 고정되어 있다.
이 프레임(14)은 한 쌍의 레그 플레이트(16, 18; leg plate)를 구비하고 있다. 레그 플레이트(16, 18) 각각은 두께 방향이 시트 백의 폭 방향을 따른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시트 백의 폭 방향으로 서로 대향하고 있다. 이 레그 플레이트(16)와 레그 플레이트(18)의 사이에는 스풀(20)이 설치되어 있다. 스풀(20)은 축방향이 레그 플레이트(16)와 레그 플레이트(18)의 대향 방향을 따른 중공(中空)의 축 부재로 되어 있다.
이 스풀(20)에는 웨빙(22)의 길이 방향 기단측이 걸림고정되어 있다. 웨빙(22)은 폭 방향이 스풀(20)의 축방향을 따른 길이가 긴 띠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스풀(20)이 그 중심 축선 주위의 일방인 권취(take-up, 권취(卷取) 방향으로 회전하면 웨빙(22)이 그 길이 방향 기단측으로부터 스풀(20)의 외주부에 감겨 수납되며, 웨빙(22)을 그 선단측으로 끌어당기면, 스풀(20)에 감겨져 있던 웨빙(22)이 인출되는 동시에 스풀(20)이 권취 방향과는 반대인 인출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 레그 플레이트(18)의 외측(레그 플레이트(18)의 레그 플레이트(16)와는 반대측)에서는 스프링 케이스(26)가 레그 플레이트(18)에 부착되어 있다. 스프링 케이스(26)의 내측에는, 스풀 가압(付勢) 수단으로서의 스파이럴 스프링(spiral spring)이 수용되어 있다. 이 스파이럴 스프링의 스파이럴 방향 외측단은 스프링 케이스(26)에 걸림고정되며, 스파이럴 방향 내측단은 레그 플레이트(18)를 통과하여 스프링 케이스(26)에 들어간 스풀(20)의 레그 플레이트(18)측의 단부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걸림고정되어 있다. 스풀(20)이 인출 방향으로 회전하면, 스파이럴 스프링이 단단하게 감겨 스풀(20)을 권취 방향으로 가압한다.
여기에 스풀(20)의 레그 플레이트(16)측의 부분에는 스풀(20)의 외주면으로 개구된 폴(pawl) 수용부(36)가 형성되어 있다. 이 폴 수용부(36)의 내측에는 로크 폴(38; lock pawl)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스풀(20)에서 폴 수용부(36)가 형성된 부분은 레그 플레이트(16)에 형성된 래칫 구멍(40)을 관통하고 있어, 폴 수용부(36)로부터 로크 폴(38)의 일부가 빠져나오면, 로크 폴(38)의 선단측에 형성된 래칫 톱니(ratchet teeth)가 래칫 구멍(40)의 래칫 톱니에 맞물린다. 이에 따라 스풀(20)의 인출 방향으로의 회전이 규제된다.
한편, 레그 플레이트(16)의 외측(레그 플레이트(16)의 레그 플레이트(18)와는 반대측)에서는 레그 플레이트(16)에 센서 홀더(52)가 부착되어 있다. 센서 홀더(52)는 일부가 레그 플레이트(16)측을 향해 개구된 바닥이 있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그 내측에는 V 기어(54)가 설치되어 있다. V 기어(54)에 대응하여 상술한 스풀(20)로부터 축부(56)가 센서 홀더(52)측을 향해 연장되어 있다. 축부(56)는 스풀(20)에 대해 동축적으로 설치되어 있으며, 이 축부(56)에 V 기어(54)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V 기어(54)에는 도시하지 않은 스프링이 설치되어 있다. 이 스프링의 일부는 스풀(20)에 걸림결합되어 있어, 스풀(20)이 인출 방향으로 회전하면 스풀(20)에 스프링이 가압되며, 또한 이 스프링이 V 기어(54)를 인출 방향으로 가압한다. 따라서, V 기어(54)는 스풀(20)에 추종하여 인출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단, 스프링을 탄성 변형시킴으로써 스풀(20)은 V 기어(54)에 대해 상대적으로 인출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로크 폴(38)은 일부가 V 기어(54)에 걸림결합되어 있어, V 기어(54)에 대한 스풀(20)의 인출 방향으로의 상대 회전에 연동하여 폴 수용부(36)로부터 빠져나오는 방향으로 로크 폴(38)이 이동하며 래칫 구멍(40)의 래칫 톱니에 맞물리도록 되어 있다.
센서 홀더(52)의 레그 플레이트(16)와는 반대측에는 센서 커버(58)가 설치되어 있다. 센서 커버(58)는 레그 플레이트(16)측을 향해 개구된 바닥이 있는 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레그 플레이트(16)에 부착되어 있다. 이 센서 커버(58)의 내측에는 가속도 센서(72)가 설치되어 있다. 가속도 센서(72)는 행거(74)를 구비하고 있다. 행거(74)는 바닥벽(76)을 구비하고 있으며, 이 바닥벽(76)의 둘레 가장자리로부터 둘레벽(78)이 세워 설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행거(74)는 전체적으로 바닥벽(76)과는 반대측이 개구된 박스 형상으로 형성되며, 행거(74)의 바닥벽(76)이 프레임(14)의 레그 플레이트(16)에 고정된다. 이 행거(74)의 바닥벽(76)은 지지벽(80, 82)을 구비하고 있다. 지지벽(80)과 지지벽(82)은, 스풀(20)의 축방향과 동일한 방향, 또는 스풀(20)의 축방향을 따른 일방측이 타방측이 시트 상하 방향으로 경사진 소정의 방향으로 서로 대향한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행거(74)의 지지벽(80)과 지지벽(82)의 사이에는, 예를 들어 전체적으로 합성 수지재를 성형함으로써 형성된 하우징으로서의 센서 하우징(92)이 설치되어 있다. 센서 하우징(92)은 재치부(94)를 구비하고 있다. 재치부(94)에는 재치면(96)이 형성되어 있다. 이 재치면(96)은 재치부(94)의 두께 방향 상방을 향해 개구되어 있다. 이 재치면(96)은 일반면(98)을 구비하고 있다. 일반면(98)의 내주 형상은 재치면(96)의 수평 방향에 대해 각도(θ1)로 경사진 바람직하게는 원추 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한, 재치면(96)은 한쌍의 규제면(100, 102)을 구비하고 있다. 규제면(100)은 재치면(96)의 내측에서 재치면(96)의 중심보다 지지벽(80)측에 형성되어 있으며, 규제면(102)은 재치면(96)의 내측에서 재치면(96)의 중심보다 지지벽(82)측에 형성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일반면(98)의 내주 형상은 원추 형상이며, 따라서 일반면(98)의 내주면은 원추형의 중심 축선을 곡률의 중심으로 하여 만곡(彎曲)되어 있다.
그러나, 규제면(100, 102)은 재치면(96)의 개구측에 대해 중심 축선측으로 경사진 평면으로 되어 있다. 또한, 재치면(96)의 수평 방향에 대한 규제면(100)이 이루는 각도(θ2)는 상기의 각도(θ1)보다 더 크게 설정되어 있으며, 재치면(96)의 수평 방향에 대한 규제면(102)이 이루는 각도(θ3)도 상기의 각도(θ1)보다 더 크게 설정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의 각도(θ2)와 각도(θ3)가 동일하게 설정되어 있다.
이 재치면(96) 위에는 관성 질량체로서의 센서구(sensor ball, 110)가 재치되어 있다. 센서구(110)의 중심이 상기의 원추(일반면(98)의 내주면)의 중심 축선에 일치한 상태에서 외주면이 규제면(100, 102)보다 하측에서 일반면(98)에(본 실시형태에서는 일반면(98)에만) 접하도록 센서구(110)의 외경 치수나 규제면(100, 102)의 형성 범위가 설정되어 있다.
또한, 재치부(94)의 지지벽(82)측의 단부로부터는 세로벽(114)이 상방을 향해 세워 설치되어 있으며, 재치부(94)의 지지벽(80)측의 단부로부터는 세로벽(118)이 상방을 향해 세워 설치되어 있다. 이 세로벽(118)의 폭 방향 양단으로부터는 세로벽(114)측을 향해 가로벽(120, 122)이 연장되어 있다. 가로벽(120, 122)의 상단부 근방에는 지지 샤프트(124)가 설치되어 있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 샤프트(124)는 축방향이 가로벽(120)과 가로벽(122)의 대향 방향을 따른 축 부재이며, 그 일단은 가로벽(120)에 지지되고 타단은 지지 샤프트(124)에 지지되어 있다.
또한, 가로벽(120)과 가로벽(122)의 사이에는 센서 레버(130)가 설치되어 있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센서 레버(130)는 베이스부(132)를 구비하고 있으며, 이 베이스부(132)를 상기 지지 샤프트(124)가 관통하고 있다. 이에 따라, 센서 레버(130)가 지지 샤프트(124) 주위로 회동(回動)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센서 레버(130)는 해트부(134; 笠部, hat portion)를 구비하고 있다. 해트부(134)는 외관이 편평한 원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해트부(134)의 바닥면은 원추의 헤드부와는 반대측을 향해 개구된 오목 형상의 만곡면 또는 경사면으로 되어 있으며, 이 바닥면이 재치부(94)에서의 재치면(96) 위에 재치된 센서구(110)로 덮여 있다.
이 때문에, 센서구(110)가 재치면(96)의 둘레부를 향해 재치면(96) 위를 올라가면, 해트부(134)가 지지 샤프트(124) 주위로 상승하도록 회동한다. 이 해트부(134)에는 가압 돌기(136)가 대략 상방(즉, 해트부(134)의 바닥면과는 반대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어, 해트부(134)가 지지 샤프트(124) 주위로 상승하도록 회동하면 가압 돌기(136)가 후술하는 V 폴(180)을 상방으로 밀어 올린다.
한편, 상술한 세로벽(118)의 상단부 근방에서는, 세로벽(118)의 세로벽(114)과는 반대측의 면으로부터 회동축(142)이 돌출 형성되어 있다. 회동축(142)에 대응하여 행거(74)의 지지벽(80)에는 베어링 홈(146)이 형성되어 있다. 이 베어링 홈(146)은 지지벽(80)의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고 있는 동시에 지지벽(80)의 상단부에서 개구되어 있다. 베어링 홈(146)은 그 중간부에서 대략 L자 형상으로 굴곡 또는 만곡되어 있으며, 지지벽(80)의 상단부에서의 베어링 홈(146)의 개구단으로부터 베어링 홈(146)의 내측으로 들어간 회동축(142)은, 베어링 홈(146)에서의 개구단과는 반대측의 단부까지 도달하여, 축부(144)(회동축(142))는 그 중심 축선 주위로 회동 가능하게 베어링 홈(146)에 지지된다.
한편, 상술한 세로벽(114)의 상단부 근방에서는, 세로벽(114)의 세로벽(118)과는 반대측의 면으로부터 회동축(152)이 돌출 형성되어 있다. 이 회동축(152)에 대응하여 행거(74)의 지지벽(82)에는 베어링 홈(156)이 형성되어 있다. 이 베어링 홈(156)은 지지벽(82)의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고 있는 동시에 지지벽(82)의 상단부에서 개구되어 있다. 베어링 홈(156)은 지지벽(82)의 두께 방향에서 봤을 때 대략 L자 형상으로 굴곡 또는 만곡되어 있으며, 지지벽(82)의 상단부에서의 베어링 홈(156)의 개구단으로부터 베어링 홈(156)의 내측으로 들어간 회동축(152)은, 베어링 홈(156)에서의 개구단과는 반대측의 단부까지 도달하여, 축부(154)(회동축(152))는 그 중심 축선 주위로 회동 가능하게 베어링 홈(156)에 지지된다.
또한, 세로벽(118)에서의 회동축(142)의 형성 위치보다 하측에서는 세로벽(118)의 세로벽(114)과는 반대측의 면으로부터 가이드 핀(162)이 돌출 형성되어 있다. 세로벽(118)으로부터의 가이드 핀(162)의 돌출 방향은 회동축(142)에서의 축부(144)의 축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되어 있으며, 행거(74)의 지지벽(80)에 형성된 가이드 구멍(164)에 들어가 있다.
가이드 구멍(164)은 베어링 홈(146)의 소정 위치를 곡률의 중심이 되도록 만곡한 긴 구멍으로 되어 있다. 이 가이드 구멍(164)의 내측에 가이드 핀(162)이 들어감으로써 가이드 구멍(164)의 길이 방향 일단에 가이드 핀(162)이 맞닿는 위치로부터 가이드 구멍(164)의 길이 방향 타단에 가이드 핀(162)이 맞닿는 위치까지의 사이로 회동축(142) 주위의 센서 하우징(92)의 회동 범위가 한정되어 있다.
한편, 센서 홀더(52)로부터는 레그 플레이트(16)와는 반대측을 향해 지지 샤프트(178)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지지 샤프트(178)는 축방향이 스풀(20)의 축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설정되어 있으며, V 폴(180)의 베이스부(182)가 지지 샤프트(178) 주위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 V 폴(180)은 판 형상의 수압판(184; 受壓板)을 구비하고 있다. 이 수압판(184)은 센서 레버(130)의 가압 돌기(136)의 상측에 위치하고 있는 동시에, 가이드 구멍(164)의 일단에 가이드 핀(162)이 맞닿은 상태로부터 가이드 구멍(164)의 타단에 가이드 핀(162)이 맞닿은 상태 사이의 회동축(142) 주위의 센서 하우징(92)의 회동 범위 내에서 수압판(184)의 하측의 면이 가압 돌기(136)와 대향하도록 가압 돌기(136)의 크기가 설정되어 있다.
또한, V 폴(180)은 걸림결합 클로(186; engagement claw)를 구비하고 있다. 이 걸림결합 클로(186)에 대응하여 센서 홀더(52)에는 도시하지 않은 개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개구를 통해 센서 홀더(52)에서 V 기어(54)를 수용하는 부분과 센서 홀더(52)의 외측이 연통되어 있다. 지지 샤프트(124) 주위로 상승하도록 센서 레버(130)가 회동하여, 가압 돌기(136)가 수압판(184)을 상방으로 가압하면, 걸림결합 클로(186)가 V 기어(54)의 외주부에 형성된 래칫 톱니에 맞물린다. 이와 같이 걸림결합 클로(186)가 V 기어(54)의 래칫 톱니에 맞물리면 V 기어(54)의 인출 방향으로의 회전이 규제된다.
<본 실시형태의 작용, 효과>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본 웨빙 권취 장치(10)에서는, 차량이 급감속하면 가속도 센서(72)에서의 센서 하우징(92)의 재치부(94)에 형성된 재치면(96) 위를 센서구(110)가 재치면(96)의 가장자리부측을 향해 전동하면서 올라간다. 이와 같이 전동한 센서구(110)는 해트부(134)의 바닥면을 상방으로 가압하여, 지지 샤프트(124) 주위로 센서 레버(130)를 상방을 향해 회동시킨다.
이와 같이 센서 레버(130)가 회동하면 해트부(134)에 형성된 가압 돌기(136)가 V 폴(180)의 수압판(184)의 하면을 상방으로 가압하여, 지지 샤프트(178) 주위로 V 폴(180)을 회동시킨다. 이와 같이 회동한 V 폴(180)은 걸림결합 클로(186)가 상승하여, V 기어(54)의 외주부에 형성된 래칫 톱니에 맞물린다. 이에 따라, V 기어(54)의 인출 방향으로의 회전이 규제된다.
한편, 차량이 급감속함으로써 웨빙(22)을 장착한 탑승자가 차량 전방으로 관성 이동하면 웨빙(22)이 끌어 당겨진다. 웨빙(22)이 끌어 당겨지면 스풀(20)이 인출 방향으로 회전한다.
여기에서, 상기와 같이 V 폴(180)의 걸림결합 클로(186)가 V 기어(54)의 래칫 톱니에 맞물림으로써 V 기어(54)의 인출 방향으로의 상대 회전이 규제된 상태에서 스풀(20)이 인출 방향으로 회전하면, V 기어(54)에 대한 스풀(20)의 상대적인 인출 방향으로의 회전이 발생한다. 이러한 상대 회전이 V 기어(54)와 스풀(20)의 사이에서 발생하면, 스풀(20)에 형성된 폴 수용부(36)로부터 로크 폴(38)의 일부가 돌출되도록 로크 폴(38)이 이동하며, 이에 따라 레그 플레이트(16)에 형성된 래칫 구멍(40)의 래칫 톱니에 로크 폴(38)의 선단측의 래칫 톱니가 맞물린다.
이와 같이 래칫 구멍(40)의 래칫 톱니에 로크 폴(38)의 래칫 톱니가 맞물림으로써 스풀(20)의 인출 방향으로의 회전이 규제된다. 이에 따라 스풀(20)로부터의 웨빙(22)의 인출이 규제되어, 웨빙(22)에 의해 차량 전방으로 관성 이동하는 탑승자의 신체를 효과적으로 구속할 수 있다.
그런데, 본 웨빙 권취 장치(10)는 상술한 바와 같이 리클라이닝(reclining) 기구가 부착된 시트의 시트 백에 내장된다. 시트 백이 시트 쿠션에 대해 경사이동하면, 시트 백에 내장된 웨빙 권취 장치(10)가 시트 백의 경사이동축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경사진다.
여기에서, 본 웨빙 권취 장치(10)에서는, 가속도 센서(72)의 센서 하우징(92)은 회동축(142, 152)이 행거(74)의 지지벽(80, 82)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따라서 웨빙 권취 장치(10)의 장치 본체(12)는 시트 백과 함께 경사지지만, 가속도 센서(72)는 그 자세를 장치 본체(12)의 경사이동 전의 상태와 동일한 자세를 유지하고자 하여, 행거(74)(즉, 장치 본체(12))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동한다.
이에 따라, 도 4에 도시된 상태로부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 본체(12)가 경사져도, 가속도 센서(72)의 센서 하우징(92)은 그 자세가 달라지지 않고, 재치면(96)의 개구 방향이 상방을 향한 상태가 된다. 이에 따라, 장치 본체(12)가 경사져도, 가속도 센서(72)의 기능이 달라지는 일이 없으며, 상기와 같이, 차량이 급감속한 경우에 재치면(96) 위에서 센서구(110)를 전동시켜, 로크 기구(32)를 작동시킬 수 있다.
한편, 본 실시형태에서는, 일반면(98)이 원추 형상으로 이루어진 재치면(96)에 규제면(100, 102)이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센서구(110)가 회동축(142, 152)의 축방향으로 전동하면, 센서구(110)는 규제면(100) 또는 규제면(102)에 맞닿는다. 이 상태로부터 센서구(110)가 회동축(142, 152)의 축방향으로 더 전동하려면 일반면(98)보다 경사 각도가 큰 규제면(100) 또는 규제면(102) 위를 센서구(110)가 올라가야만 한다.
이에 대해, 평면시에서 회동축(142, 152)의 축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센서구(110)가 전동하려면, 일반면(98) 위를 전동하기만 하면 된다.
예를 들면, 차량이 급감속하면, 센서 하우징(92)은 관성에 의해 회동축(142, 152) 주위로 회동한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 센서구(110)는 평면시에서 회동축(142, 152)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의 전동은 어렵다. 이에 대해, 이러한 경우에도, 회동축(142, 152)의 축방향으로는 센서 하우징(92)은 회동하지 않기 때문에, 회동축(142, 152)의 축방향으로는 센서구(110)가 전동하기 쉽다.
여기서, 상기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회동축(142, 152)의 축방향으로 센서구(110)가 회동하기 어려운 구조로 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차량 급감속 시에 관성에 의해 센서 하우징(92)이 회동축(142, 152) 주위로 회동한 경우에 평면시에서 회동축(142, 152)의 축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과, 회동축(142, 152)의 축방향에서 센서구(110)의 전동의 용이함(전동의 감도)의 차이를 줄일 수 있다.
게다가, 센서구(110)가 전동하기 전의 상태에서 센서구(110)는 일반면(98) 위에 위치하고 있다. 일반면(98)은 원추 형상이므로, 센서구(110)와 일반면(98)의 접촉 부분은 원환 형상이 된다. 따라서 평상시에 센서구(110)를 안정시킬 수 있다.
참고로, 본 실시형태에서는, 규제면(100, 102)을 평면으로 했지만, 규제면(100, 102)을 곡면(曲面)으로 해도 된다. 단, 재치면(96)을 포함하여 센서 하우징(92)의 성형성을 고려한 경우, 규제면(100)이나 규제면(102)은 평면인 것이 성형이 용이하다는 이점이 있다.
10 : 웨빙 권취 장치
12 : 장치 본체
20 : 스풀
22 : 웨빙
32 : 로크 기구(로크 수단)
72 : 가속도 센서
96 : 재치면
98 : 일반면
100 : 규제면
102 : 규제면

Claims (4)

  1. 중심 축선 주위의 일방(一方)인 권취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외주부(外周部)에 웨빙을 그 길이 방향 기단(基端)측으로부터 감는 스풀을 구비한 장치 본체와,
    상기 장치 본체의 경사이동에 따라 상기 장치 본체가 경사이동하기 전의 상태와 동일한 자세를 유지하도록 소정 방향을 축방향으로 하는 축 주위로 상기 장치 본체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상기 장치 본체에 설치되며, 상방을 향해 개구된 오목 형상으로 형성되고 구형상의 관성 질량체가 재치(載置)되는 재치면이 형성되어 차량 감속 시에 상기 관성 질량체가 관성에 의해 상기 재치면 위를 전동(轉動)하는 동시에, 상기 재치면을 내주(內周) 형상이 상방을 향해 개구된 일반면과, 상기 재치면의 개구 방향측에서 본 평면시(平面視)에서 상기 재치면의 중앙보다 차량 좌우 방향 적어도 일방측에 형성된 규제면을 포함하여 구성하는 가속도 검출 수단과,
    상기 가속도 검출 수단의 상기 관성 질량체가 상기 재치면 위를 전동한 상태에서 상기 스풀이 상기 권취 방향과는 반대인 인출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작동하며, 작동함에 따라 상기 인출 방향으로의 상기 스풀의 회전을 규제하는 로크(lock)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재치면을 상기 가속도 검출 수단의 축방향으로 자른 단면에 있어서 수평방향에 대한 상기 규제면의 경사각도(θ2)가 상기 재치면을 상기 축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자른 단면에 있어서 수평방향에 대한 상기 일반면의 경사각도(θ1)보다 커서, 그 결과 상기 재치면 위에서 차량 전후 방향보다 차량 좌우 방향으로의 상기 관성 질량체의 전동이 크게 규제되는,
    웨빙 권취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평면시에서의 상기 재치면의 중앙보다 좌우 양측에 상기 규제면을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규제면은 상기 재치면의 개구측에 대해 상기 평면시에서의 상기 재치면의 중앙측으로 경사진 면이며, 상기 평면시에서의 상기 재치면의 중앙에 상기 관성 질량체를 재치한 상태에서는, 상기 규제면보다 하측에서 상기 일반면에 상기 관성 질량체가 접하도록 상기 규제면을 설정한, 웨빙 권취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일반면은 원추 형상을 갖는, 웨빙 권취 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규제면은 평면인, 웨빙 권취 장치.
KR1020130076726A 2012-07-04 2013-07-01 웨빙 권취 장치 KR10175223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2150904A JP5738808B2 (ja) 2012-07-04 2012-07-04 ウェビング巻取装置
JPJP-P-2012-150904 2012-07-0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5091A KR20140005091A (ko) 2014-01-14
KR101752234B1 true KR101752234B1 (ko) 2017-06-29

Family

ID=487938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76726A KR101752234B1 (ko) 2012-07-04 2013-07-01 웨빙 권취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358950B2 (ko)
EP (1) EP2682314B1 (ko)
JP (1) JP5738808B2 (ko)
KR (1) KR101752234B1 (ko)
CN (1) CN10352297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059301B2 (en) * 2011-08-29 2018-08-28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Sensor assembly for a vehicle occupant protection device
DE102013220946B4 (de) * 2013-10-16 2017-02-23 Autoliv Development Ab Gurtaufroller mit einer selbstausrichtenden fahrzeugbeschleunigungssensitiven Sensoreinrichtung
CN104192092B (zh) * 2014-07-22 2016-08-31 常州市东晨车辆部件有限公司 安全带收卷装置
DE102018113177A1 (de) * 2018-03-27 2019-10-02 Adient Engineering and IP GmbH Längseinsteller und Fahrzeugsitz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41743A (ja) 1999-11-12 2001-05-25 Tokai Rika Co Ltd 車両用加速度センサ装置
US6957790B2 (en) 2002-06-21 2005-10-25 Trw Occupant Restraint Systems Gmbh & Co. Kg Sensor for a belt retractor
US20090033084A1 (en) * 2007-08-01 2009-02-05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Sensor assembly for a vehicle occupant protection device
JP2011116284A (ja) 2009-12-04 2011-06-16 Tokai Rika Co Ltd ウエビング巻取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402921A1 (de) * 1974-01-22 1975-08-28 Artur Foehl Traegheitssteuerung
JPS5428731Y2 (ko) * 1974-04-09 1979-09-14
JPS5621415Y2 (ko) * 1977-06-10 1981-05-20
DE2729301A1 (de) * 1977-06-29 1979-01-04 Autoflug Gmbh Gurtaufroller fuer kraftfahrzeug- sicherheitsgurte
DE3008177A1 (de) * 1980-03-04 1981-09-17 Naamloze Vennootschap Klippan S.A., 3044 Leeuwen Verriegelungsvorrichtung fuer einen gurtaufroller bei sicherheitsgurten
US4314680A (en) * 1980-06-20 1982-02-09 Juichiro Takada Inertia responsive actuating device for safety belt retractors
FR2515049B1 (fr) * 1981-10-28 1985-06-07 Autoliv Ab Enrouleur pour ceinture de securite perfectionne
JPS59146775U (ja) * 1983-03-22 1984-10-01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加速度センサ−
DE9110281U1 (ko) * 1991-08-20 1991-10-17 Trw Repa Gmbh, 7077 Alfdorf, De
DE9402320U1 (de) * 1994-02-11 1994-03-31 Trw Repa Gmbh Trägheitssensor
WO1996003295A1 (en) * 1994-07-21 1996-02-08 Alliedsignal Inc. Seat belt retractor and improved sensing mechanism
DE19532781C2 (de) * 1995-09-06 1998-01-29 Autoliv Dev Sicherheitsgurtaufroller mit zwei fahrzeugsensitiven Sensoren mit unterschiedlicher Ansprechschwelle
JP3258584B2 (ja) * 1996-12-03 2002-02-18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車両用加速度センサ装置
JPH10181526A (ja) * 1996-12-20 1998-07-07 Tokai Rika Co Ltd 車両用加速度センサ装置
JPH10278737A (ja) * 1997-02-05 1998-10-20 Nippon Seiko Kk シートベルト用車体加速度センサー
US5882084A (en) * 1997-10-24 1999-03-16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Tilt locking seat belt retractor
CA2361712C (en) * 1999-02-16 2007-10-23 Kabushiki Kaisha Tokai-Rika-Denki-Seisakusho Webbing take-up device
US6216974B1 (en) * 1999-05-27 2001-04-17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Orientation apparatus for an emergency locking mechanism in a vehicle seat belt retractor
KR100751773B1 (ko) * 2007-01-24 2007-08-23 주식회사 삼송 시트벨트 리트랙터
WO2009011325A1 (ja) * 2007-07-18 2009-01-22 Autoliv Development Ab シートベルトリトラクタ
US20110240787A1 (en) * 2008-12-08 2011-10-06 Kuo-Hao Lee Locking mechanism for a seat belt
US10059301B2 (en) * 2011-08-29 2018-08-28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Sensor assembly for a vehicle occupant protection device
US9434347B2 (en) * 2012-12-10 2016-09-06 Autoliv Asp, Inc. Low noise, debris tolerant retractor inertial senso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41743A (ja) 1999-11-12 2001-05-25 Tokai Rika Co Ltd 車両用加速度センサ装置
US6957790B2 (en) 2002-06-21 2005-10-25 Trw Occupant Restraint Systems Gmbh & Co. Kg Sensor for a belt retractor
US20090033084A1 (en) * 2007-08-01 2009-02-05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Sensor assembly for a vehicle occupant protection device
JP2011116284A (ja) 2009-12-04 2011-06-16 Tokai Rika Co Ltd ウエビング巻取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522979B (zh) 2017-10-24
JP2014012476A (ja) 2014-01-23
KR20140005091A (ko) 2014-01-14
EP2682314B1 (en) 2016-04-27
US9358950B2 (en) 2016-06-07
JP5738808B2 (ja) 2015-06-24
CN103522979A (zh) 2014-01-22
EP2682314A1 (en) 2014-01-08
US20140008479A1 (en) 2014-0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78025B2 (ja) ウェビング巻取装置
JP5961396B2 (ja) ウェビング巻取装置
KR101752234B1 (ko) 웨빙 권취 장치
JP4627229B2 (ja) シートベルト用リトラクター
JP5965922B2 (ja) シートベルトリトラクタ
JP4488598B2 (ja) シートベルトガイド
JP5784557B2 (ja) ウェビング巻取装置
KR102439218B1 (ko) 차량 센서 장치 및 그가 적용된 시트벨트 리트랙터
JP2018197009A (ja) シートベルトリトラクタ
US9688239B2 (en) Webbing take-up device
KR102573808B1 (ko) 차량 센서 장치 및 그가 적용된 시트벨트 리트랙터
CN114667243B (zh) 具有车辆传感器的安全带卷收器
JP2011148387A (ja) ウエビング巻取装置
US9067758B2 (en) Webbing take-up device
JP3957111B2 (ja) 加速度センサ
KR102521551B1 (ko) 차량 센서 장치 및 그가 적용된 시트벨트 리트랙터
US20090126489A1 (en) Acceleration sensor
JP2013052730A (ja) シートベルト装置
JP5501138B2 (ja) ウェビング巻取装置
JP2012240430A (ja) シートベルトリトラクタ用ビークルセンサの取付部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