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1097B1 - 반추 동물의 유량 및/또는 유질 향상제, 주산기병 예방 또는 치료제, 그리고 번식 효율 개선제 - Google Patents

반추 동물의 유량 및/또는 유질 향상제, 주산기병 예방 또는 치료제, 그리고 번식 효율 개선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1097B1
KR101751097B1 KR1020137020623A KR20137020623A KR101751097B1 KR 101751097 B1 KR101751097 B1 KR 101751097B1 KR 1020137020623 A KR1020137020623 A KR 1020137020623A KR 20137020623 A KR20137020623 A KR 20137020623A KR 101751097 B1 KR101751097 B1 KR 1017510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cashew nut
flow rate
nut shell
fe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206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35883A (ko
Inventor
고이치 가네다
마사미 모치즈키
Original Assignee
이데미쓰 고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데미쓰 고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이데미쓰 고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0358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58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10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10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50/0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 A23K50/1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for rumina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30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plant origin, e.g. roots, seeds or hay; from material of fungal origin, e.g. mushrooms
    • A23K10/37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plant origin, e.g. roots, seeds or hay; from material of fungal origin, e.g. mushrooms from waste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23K20/10Organic substances
    • A23K20/111Aromat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045Hydroxy compounds, e.g. alcohols; Salts thereof, e.g. alcoholates
    • A61K31/05Phen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85Acids; Anhydrides, halides or salts thereof, e.g. sulfur acids, imidic, hydrazonic or hydroximic acids
    • A61K31/19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 A61K31/192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having aromatic groups, e.g. sulindac, 2-aryl-propionic acids, ethacrynic ac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60Salicylic acid;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2Anacardiaceae (Sumac family), e.g. smoketree, sumac or poison oa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2Inorgan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16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for liver or gallbladder disorders, e.g. hepatoprotective agents, cholagogues, litholy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6Antihyperlipidem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8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12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electrolyte homeostasis
    • A61P3/14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electrolyte homeostasis for calcium homeostasi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80Food processing, e.g. use of renewable energies or variable speed drives in handling, conveying or stacking
    • Y02P60/87Re-use of by-products of food processing for fodder produc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pidemiolog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Zo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Diabetes (AREA)
  • Microbi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Hematology (AREA)
  • Obesity (AREA)
  • Endocrinology (AREA)
  • Bird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hysi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Rheumatology (AREA)
  • Fodder In General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생산용 반추 동물의 유량 및/또는 유질을 향상시키는 것, 반추 동물의 주산기병을 예방 또는 치료하는 것, 그리고 반추 동물의 번식 효율을 개선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캐슈너트 외피유, 가열 처리 캐슈너트 외피유, 아나카르드산, 카르다놀 및/또는 카르돌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추 동물의 유량 및/또는 유질 향상제. 캐슈너트 외피유, 가열 처리 캐슈너트 외피유, 아나카르드산, 카르다놀 및/또는 카르돌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추 동물의 주산기병의 예방 또는 치료제. 캐슈너트 외피유, 가열 처리 캐슈너트 외피유, 아나카르드산, 카르다놀 및/또는 카르돌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추 동물의 번식 효율 개선제.

Description

반추 동물의 유량 및/또는 유질 향상제, 주산기병 예방 또는 치료제, 그리고 번식 효율 개선제 {AGENT FOR IMPROVING MILK YIELD AND/OR MILK QUALITY OF RUMINANTS, PREVENTIVE OR THERAPEUTIC AGENT FOR PERINATAL DISEASE, AND AGENT FOR IMPROVING REPRODUCTIVE EFFICIENCY}
본 발명은 유생산용 반추 동물의 유량 및/또는 유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제 (劑) 및 사료, 그리고 이들을 사용하는 유량 및/또는 유질을 향상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 반추 동물의 주산기병 (周産期病) 을 예방 또는 치료하기 위한 제 및 사료, 그리고 이들을 사용하여 반추 동물의 주산기병을 예방 또는 치료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반추 동물의 번식 효율을 개선하기 위한 제 및 사료, 그리고 이들을 사용하여 반추 동물의 번식 효율을 개선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반추 동물을 가축으로서 사용하는 경우, 그 생산성을 향상시키려면, 축산물의 양과 질의 향상이나 번식 효율의 향상, 질병 대책이 중요한 요소가 된다. 이들 대책을 위해서, 항생 물질, 생균제, 올리고당, 및 식물 추출물 등이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항생 물질인 모넨신 등의 이오노포어류는 육생산에 있어서의 사육 효율 개선 효과 (비특허문헌 1) 나 유생산에 있어서의 유량 증가 효과 (비특허문헌 2) 가 있다.
그러나 최근, 항생 물질 내성균 출현의 문제로부터, 항생 물질의 사료에 대한 첨가는 엄격하게 제한되도록 되고 있으며, 유럽에서는 2006년 1월까지 성장 촉진을 목적으로 한 항생 물질의 사용이 금지되고 있다. 또, 소비자로부터도 항생 물질을 사용하지 않는 안전한 축산물에 대한 요망은 강하며, 항생 물질의 대체물의 요구는 커지고 있다.
그래서, 항생 물질 대체 기술로서 식물 추출물의 이용 등이 검토되고 있다 (비특허문헌 3). 그러나, 이들 기술의 상당수는 효과가 안정적이지 않고, 사료로서의 등록이 인정되지 않는다는 등의 과제가 남겨져 있어 실용화에는 이르지 않았다.
캐슈너트 외피유에는, 항균 작용 (비특허문헌 4) 이나 콕시듐증 경감 작용 (특허문헌 1) 이 알려져 있다. 반추 동물에 대한 효과에 관해서는, 캐슈너트 외피유의 한 성분인 아나카르드산을 사용한 시험관 시험 결과에서의 메탄 억제 효과를 시사한 보고가 있다 (비특허문헌 5). 또, 실제의 반추 동물을 사용한 보고로서 아시도시스의 방제가 있다 (특허문헌 2). 그러나, 지금까지 캐슈너트 외피유에 의한 반추 동물의 유량 및 유질과 같은 유생산성의 향상에 관해서는 전혀 지견이 없다.
또, 소의 주산기병은 젖소의 사망·폐용 사유의 반 이상을 차지하며, 경제적으로도 정신적으로도 농가에 다대한 손해를 가져온다. 주산기병은 저칼슘혈증 (유열 (乳熱)) 이나 지방간, 케토시스, 제 4 위 변위 등 분만 전후의 주산기에 일어나기 쉬운 질병의 총칭이다. 이 중, 제 4 위 변위는 제 4 위가 통상적인 위치로부터 좌측 또는 우측으로 변위하여 식욕 부진 등의 증상을 나타내는 질병이다. 우측 변위의 경우에는 염전 (捻轉) 을 수반하는 경우가 많고, 심한 증상을 나타낸다. 특히 분만 후의 젖소에 많은 병이다. 주로 외과적인 수술에 의한 치료법밖에 없고, 소의 소모나 치료비의 증대 등 생산자의 부담이 큰 질병이다.
종래의 제 4 위 변위의 예방이나 치료에는 외과 수술 외에 생균제 (특허문헌 3) 나 카테킨류를 포함하는 제 (특허문헌 4), 브롬화프리피늄 (특허문헌 5), 메토클로프라미드 (특허문헌 5) 등에 의한 내과 치료도 실시되어 왔다. 그러나 정맥이나 근육에 대한 주사에 의해 소에 스트레스를 주는 점이나 치유까지 1 주일 이상 걸리는 점, 그 치유율이 좋지 않은 점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 명확한 예방 효과에 대해서는 분명하지 않았다. 그리고, 지금까지 캐슈너트 외피유에 의한 반추 동물의 주산기병의 예방이나 치료에 관해서는 전혀 지견이 없다.
또한, 육우, 젖소 중 어느 것에 있어서도, 번식 효율의 개선은 생산성, 수익성으로 직결되는 매우 큰 과제로서 인식되고 있다. 수정에서 건유, 분만 기간에 큰 질병을 일으키지 않고, 효율적으로 반복함으로써, 젖소에서는 인공 수정 횟수의 저감, 사육 관리비의 저감, 생애 유량의 증가 등이 얻어지고, 육우에서는 산자 (産子) 수의 향상, 사육 관리비의 저감 등이 얻어진다고 생각되며, 이들은 모두 농가의 수입 향상에 크게 공헌한다.
종래의 번식 효율의 개선에는, 건물 (乾物) 섭취량의 확보나, 에너지·단백질의 충족과 같은 영양학적인 관리의 철저 외에, 비타민 A 나 비타민 D·비타민 E 등의 비타민류, 칼슘·인·마그네슘·나트륨·칼륨·염소·황 등의 매크로미네랄류, 그리고 구리·코발트·아연·망간·셀렌 등의 미크로미네랄류와 같은 첨가물의 급여가 이루어져 왔다 (비특허문헌 6). 나아가서는 불포화 지방산 (리놀레산, 에이코사펜타에노산, 도코사헥사에노산 등) 의 첨가에 의해서도, 번식 효율의 개선이 얻어진다는 보고가 있다 (비특허문헌 7).
그러나 분만 전후의 식체 등의 영향으로 설계대로의 영양소를 급여할 수 없거나, 번식 효율의 개체 차가 크기 때문에 효과가 불명확한 여러 문제점이 있어, 그 과제를 충분히 달성하고 있다고는 할 수 없는 상황이었다. 또한, 우군 (牛群) 전체에 있어서의 무발정우의 증가, 발정 발견율의 저하, 수태율의 저하와 같은 우군 단위의 문제점도 있으며, 그들의 과제 해결을 향해 업계 전체가 시행 착오를 반복하고 있는 것이 현상황이다 (비특허문헌 8). 그리고, 지금까지 캐슈너트 외피유에 의한 반추 동물의 번식 효율의 개선에 관해서는 전혀 지견이 없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8-231410호 국제 공개 WO2010/053085호 팜플렛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7-109224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10-226643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1-190630호
R. D. Goodrich, et al., Journal of Animal Science, 58, 1484-1498 (1984) S. BecKett, et al., Journal of Dairy Science, 81 (6), 1563-1573 (1998) Benchaar, et al., Can. Journal of Animal Science, 86, 91-96 (2006) H. Muroi, et al., Bioorganic & Medicinal Chemistry, 12, 583-587 (2004) C. J. Van Nevel., et al., Applied Microbiology, 21, 365-366 (1971) D. M. Amaral-Phillips et al., University of Kentucky Cooperative Extension Service, ASC-138 (1997) R. Mattos et al., Reviews of Reproduction, 5, 38-45 (2000) 도우치 오사무, 축산 기술, 2009년 6월호, 649, 7-12 (2009)
본 발명은 유생산용 반추 동물의 유량 및/또는 유질을 향상시키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또, 반추 동물의 주산기병을 예방 또는 치료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또한, 반추 동물의 번식 효율을 개선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예의 연구를 실시한 결과, 캐슈너트 외피유 (이하, CNSL 로 약기하는 경우도 있다) 를 유생산용 반추 동물에게 투여함으로써, 유량 및 유질이 향상되는 것을 알아내었다. 또한, 캐슈너트 외피유를 반추 동물에게 투여함으로써, 주산기병을 예방 또는 치료하고, 번식 효율을 개선할 수 있는 것을 알아내었다.
본 발명자들은 이와 같이 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은 이하와 같다.
(1) 캐슈너트 외피유 (캐슈너트 외피 그 자체이어도 된다, 이하 동일), 가열 처리 캐슈너트 외피유 (가열 처리 캐슈너트 껍질 그 자체이어도 된다, 이하 동일), 아나카르드산, 카르다놀 및/또는 카르돌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추 동물의 유량 및/또는 유질 향상제.
(2) 조 (粗) 사료와 농후 사료의 중량의 합계에 대한 조 사료의 중량의 비율이 0.3 이상 1.0 이하인 사료를 투여하여 사육된 반추 동물에 대해 투여되는 (1) 에 기재된 유량 및/또는 유질 향상제.
(3) 캐슈너트 외피유, 가열 처리 캐슈너트 외피유, 아나카르드산, 카르다놀 및/또는 카르돌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추 동물의 유량 및/또는 유질 향상용 사료.
(4) 조 사료와 농후 사료의 중량의 합계에 대한 조 사료의 중량의 비율이 0.3 이상 1.0 이하인 (3) 에 기재된 사료.
(5) 캐슈너트 외피유, 가열 처리 캐슈너트 외피유, 아나카르드산, 카르다놀 및/또는 카르돌을 반추 동물에게 투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추 동물의 유량 및/또는 유질을 향상시키는 방법.
(6) 상기 반추 동물이 조 사료와 농후 사료의 중량의 합계에 대한 조 사료의 중량의 비율이 0.3 이상 1.0 이하인 사료를 투여하여 사육된 반추 동물인 (5) 에 기재된 방법.
(7) 캐슈너트 외피유, 가열 처리 캐슈너트 외피유, 아나카르드산, 카르다놀 및/또는 카르돌을 0.01 ∼ 500 g/마리/일 투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5) 또는 (6) 에 기재된 방법.
(8) 반추 동물의 유량 및/또는 유질 향상제의 제조를 위한 캐슈너트 외피유, 가열 처리 캐슈너트 외피유, 아나카르드산, 카르다놀 및/또는 카르돌의 사용.
(9) 반추 동물의 유량 및/또는 유질 향상용 사료의 제조를 위한 캐슈너트 외피유, 가열 처리 캐슈너트 외피유, 아나카르드산, 카르다놀 및/또는 카르돌의 사용.
(10) 캐슈너트 외피유, 가열 처리 캐슈너트 외피유, 아나카르드산, 카르다놀 및/또는 카르돌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추 동물의 주산기병의 예방 또는 치료제.
(11) 캐슈너트 외피유, 가열 처리 캐슈너트 외피유, 아나카르드산, 카르다놀 및/또는 카르돌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추 동물의 주산기병 예방 또는 치료용 사료.
(12) 캐슈너트 외피유, 가열 처리 캐슈너트 외피유, 아나카르드산, 카르다놀 및/또는 카르돌을 반추 동물에게 투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추 동물의 주산기병을 예방 또는 치료하는 방법.
(13) 반추 동물의 주산기병의 예방제 또는 치료제의 제조를 위한 캐슈너트 외피유, 가열 처리 캐슈너트 외피유, 아나카르드산, 카르다놀 및/또는 카르돌의 사용.
(14) 반추 동물의 주산기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사료의 제조를 위한 캐슈너트 외피유, 가열 처리 캐슈너트 외피유, 아나카르드산, 카르다놀 및/또는 카르돌의 사용.
(15) 캐슈너트 외피유, 가열 처리 캐슈너트 외피유, 아나카르드산, 카르다놀 및/또는 카르돌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추 동물의 번식 효율 개선제.
(16) 캐슈너트 외피유, 가열 처리 캐슈너트 외피유, 아나카르드산, 카르다놀 및/또는 카르돌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추 동물의 번식 효율 개선용 사료.
(17) 캐슈너트 외피유, 가열 처리 캐슈너트 외피유, 아나카르드산, 카르다놀 및/또는 카르돌을 반추 동물에게 급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추 동물의 번식 효율을 개선하는 방법.
(18) 캐슈너트 외피유, 가열 처리 캐슈너트 외피유, 아나카르드산, 카르다놀 및/또는 카르돌을 0.01 ∼ 500 g/마리/일 급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7) 에 기재된 방법.
(19) 반추 동물의 번식 효율 개선제의 제조를 위한 캐슈너트 외피유, 가열 처리 캐슈너트 외피유, 아나카르드산, 카르다놀 및/또는 카르돌의 사용.
(20) 반추 동물의 번식 효율 개선용 사료의 제조를 위한 캐슈너트 외피유, 가열 처리 캐슈너트 외피유, 아나카르드산, 카르다놀 및/또는 카르돌의 사용.
본 발명의 캐슈너트 외피유, 가열 처리 캐슈너트 외피유, 아나카르드산, 카르다놀, 및/또는 카르돌을 함유하는 제 또는 사료를 유생산용 반추 동물에게 투여함으로써, 유량 및/또는 유질 (유단백질분, 무지유고형분, 유지방분 등) 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분만 후, 유량이 증가되어 가는 과정에서 이들을 급여함으로써 유량 증가율이 커진다.
무지유고형분이나 유지방분이 기준치보다 낮으면 높은 평가를 받을 수 없는 경우가 있지만, 본 발명의 유질 향상제에 의해, 유가 (생산자로부터의 매입액) 가 내려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질 향상제에 의해, 유단백질분, 무지유고형분, 및 유지방분 등의 유성분치를 기준치보다 높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유가가 유질의 평가에 의해 결정되는 경우, 유가가 올라서 생산자에게 보다 이익이 나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의 캐슈너트 외피유, 가열 처리 캐슈너트 외피유, 아나카르드산, 카르다놀, 및/혹은 카르돌을 함유하는 제 또는 사료를 반추 동물에게 투여함으로써, 제 4 위 변위 등의 주산기병을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다. 이로써, 반추 동물의 분만 전후의 사망이나 폐용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캐슈너트 외피유, 가열 처리 캐슈너트 외피유, 아나카르드산, 카르다놀, 및/혹은 카르돌을 함유하는 제 또는 사료를 반추 동물에게 급여함으로써, 교배 횟수의 저감이나 공태 (空胎) 일수의 단축과 같은 번식 효율의 개선이 얻어진다. 이로써, 효율적으로 산자를 얻을 수 있음과 동시에, 생애 유생산량 등의 증대에 의해, 결과적으로 큰 생산성의 향상이 얻어진다.
이상으로부터, 본 발명의 캐슈너트 외피유, 가열 처리 캐슈너트 외피유, 아나카르드산, 카르다놀, 및/혹은 카르돌을 함유하는 제 또는 사료를 유생산용 반추 동물에게 투여함으로써, 분만 후에 주산기병을 예방 또는 치료하면서 유량을 증가시킬 수 있으므로, 젖소 등의 반추 동물의 사육에 매우 유용하다. 또한, 분만 후 일수가 경과하면, 주산기병의 확률은 감소하지만, 그 이후에도 유량을 증가시키고, 유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나아가서는 번식 효율을 개선시킴으로써, 효율적인 산자의 취득, 인공 수정 비용의 저감, 사육 관리 비용의 저감이 얻어지므로, 장기적인 연산이나 생산성의 향상 등을 가능하게 한다.
도 1 은 CNSL 급여구와 대조구에 있어서의 산후 일수와 유량 증가율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
도 2 는 CNSL 급여구와 대조구에 있어서의 제 4 위 변위 발증율을 나타내는 도면.
도 3 은 제 4 위 변위에 대한 CNSL 의 치료 효과를 나타내는 도면.
도 4 는 O 목장 및 M 목장에 있어서의 CNSL 급여에 의한 3.5 FCM 의 변화와 동 시기의 서열 (暑熱) 스트레스 지수를 나타내는 도면.
도 5 는 K 목장에 있어서의 CNSL 급여에 의한 3.5 FCM 의 변화와 동 시기의 서열 스트레스 지수를 나타내는 도면.
도 6 은 제 4 위 변위에 대한 CNSL 의 치료 효과를 나타내는 도면.
본 발명의 반추 동물의 유량 및/또는 유질 향상제는 캐슈너트 외피유 (CNSL), 가열 처리 캐슈너트 외피유, 아나카르드산, 카르다놀 및/또는 카르돌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유량이란, 1 회의 착유로 짜지는 젖의 양을 말하고, 유량의 향상이란, 유량의 개선 및 증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유질이란, 유단백질분, 무지유고형분, 유지방분 등의 지표를 포함하고, 유단백질분, 무지유고형분, 및 유지방분은 많을수록 좋다. 본 발명에 있어서, 유질의 향상이란, 유질의 개선 및 증가를 포함하는 것으로, 특히, 유단백질분, 무지유고형분, 및 유지방분의 개선 및 증가를 말한다.
본 발명의 반추 동물의 주산기병의 예방 또는 치료제는 캐슈너트 외피유 (CNSL), 가열 처리 캐슈너트 외피유, 아나카르드산, 카르다놀 및/또는 카르돌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주산기병이란, 분만 후의 반추 동물에게 발생하는 병을 말하며, 구체적으로는, 저칼슘혈증 (유열), 지방간, 케토시스, 제 4 위 변위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번식 효율 개선제는 캐슈너트 외피유 (CNSL), 가열 처리 캐슈너트 외피유, 아나카르드산, 카르다놀 및/또는 카르돌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번식 효율의 개선이란, 교배 횟수의 저감, 공태 일수의 단축, 수태율의 향상, 실공태 일수의 단축 등에 의해, 효율적으로 산자를 얻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사용하는 캐슈너트 외피유는 캐슈너트 트리 (Anacardium occidentale L.) 의 열매 껍질에 포함되는 유상의 액체이다. 캐슈너트 외피유는 그 성분으로서 아나카르드산, 카르다놀, 카르돌을 함유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나카르드산은 가열 처리함으로써 카르다놀로 변환되지만, 가열 처리에 의해 카르다놀과 카르돌만으로 이루어진 캐슈너트 외피유이어도 된다.
캐슈너트의 껍질을 압착함으로써 추출된 비가열 캐슈너트 외피유는, J. Agric. Food Chem. 2001, 49, 2548-2551 에 기재된 바와 같이, 아나카르드산을 55 ∼ 80 질량%, 카르다놀을 5 ∼ 20 질량%, 카르돌을 5 ∼ 30 질량% 포함하는 것이다.
비가열 캐슈너트 외피유를 130 ℃ 이상에서 가열 처리한 가열 캐슈너트 외피유는 비가열 캐슈너트 외피유의 주성분인 아나카르드산이 탈탄산되어 카르다놀로 변환되고, 아나카르드산을 0 ∼ 10 질량%, 카르다놀을 55 ∼ 80 질량%, 카르돌을 5 ∼ 30 질량% 포함하는 것이 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캐슈너트 외피유는 캐슈너트의 껍질을 압착함으로써 추출한 식물유로서 얻을 수 있다. 또,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캐슈너트 외피유는, 가열 또는 추출에 의해, 예를 들어 캐슈너트 껍질을 건류 또는 용제 추출하여 얻을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캐슈너트 외피유는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8-231410호에 기재되어 있는 방법에 의해 얻을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캐슈너트 외피유는 그 밖에도 가열 살균 처리유, 캐슈너트의 껍질을 분쇄·파쇄하여 얻어진 것이어도 된다. 또, 껍질 그 자체이어도 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캐슈너트 외피유는 시판품을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캐슈너트 외피유는 상기와 같이 하여 얻어진 캐슈너트 외피유를, 70 ℃ 이상, 바람직하게는 130 ℃ 이상으로 가열함으로써 얻은 가열 캐슈너트 외피유이어도 된다. 또한, 가열 처리 캐슈너트 외피유를 사용하는 경우, 가열 캐슈너트 외피유 중의 아나카르드산과 카르다놀의 질량비는 바람직하게는 0 : 100 ∼ 20 : 80 이다.
본 발명의 유량 및/또는 유질 향상제, 주산기병의 예방 또는 치료제, 그리고 번식 효율 개선제는, 캐슈너트 외피유 대신에, 아나카르드산, 카르다놀 및/또는 카르돌 그 자체를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아나카르드산으로는, 천연물 아나카르드산, 합성 아나카르드산, 그들의 유도체를 들 수 있다. 또, 시판되는 아나카르드산을 사용해도 된다. 아나카르드산은,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8-231410호에 기재된 바와 같이, 캐슈너트의 껍질을 유기 용제로 추출 처리하여 얻어진 캐슈너트유를, 예를 들어 실리카 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사용하여 n-헥산, 아세트산에틸 및 아세트산의 혼합 용매의 비율을 바꾸어 용출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3-240721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3-240716호 등).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카르다놀로는, 천연물 카르다놀, 합성 카르다놀, 그들의 유도체를 들 수 있다. 또,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카르다놀은 캐슈너트 외피유의 주성분인 아나카르드산을 탈탄산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카르돌로는, 천연물 카르돌, 합성 카르돌, 그들의 유도체를 들 수 있다. 또,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카르돌은 캐슈너트 외피유로부터 정제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유량 및/또는 유질 향상제, 주산기병의 예방 또는 치료제, 그리고 번식 효율 개선제에 있어서의 캐슈너트 외피유, 가열 처리 캐슈너트 외피유, 아나카르드산, 카르다놀 및/또는 카르돌의 함유량은, 상기 제의 전체량 기준으로, 0.1 질량% ∼ 100 질량% 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5 질량% ∼ 95 질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1 질량% ∼ 90 질량% 이다. 0.1 질량% 이상이면, 유량 및/또는 유질이 향상되는 것, 주산기병의 예방 또는 치료 효과, 그리고 번식 효율 개선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0.5 질량%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1 질량% 이상이면, 그 경향은 현저해져 바람직하다. 한편, 100 질량% 이어도 유량 및/또는 유질을 향상시킬 수 있고, 또 주산기병의 예방 또는 치료를 할 수 있으며, 또한 번식 효율을 개선할 수 있지만, 95 질량%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90 질량% 이하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캐슈너트 외피유, 가열 처리 캐슈너트 외피유, 아나카르드산, 카르다놀 및/또는 카르돌의 원액을 직접 경구 투여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캐슈너트 외피유, 가열 처리 캐슈너트 외피유, 아나카르드산, 카르다놀, 및/또는 카르돌을 직접 투여하는 경우, 캐슈너트 외피유, 가열 처리 캐슈너트 외피유, 아나카르드산, 카르다놀 및/또는 카르돌의 투여량은 바람직하게는 0.01 ∼ 500 g/마리/일, 보다 바람직하게는 0.1 ∼ 200 g/마리/일, 가장 바람직하게는 1 ∼ 100 g/마리/일이다. 0.01 g/마리/일 이상이면, 유량 및/또는 유질이 향상되는 것, 주산기병의 예방 또는 치료 효과, 그리고 번식 효율 개선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0.1 g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1 g 이상이면, 그 경향은 현저해져 바람직하다. 한편, 1,000 g 이하이어도 유량 및/또는 유질을 향상시킬 수 있고, 또 주산기병의 예방 또는 치료를 할 수 있으며, 또한 번식 효율을 개선할 수 있지만, 200 g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100 g 이하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유량 및/또는 유질 향상제, 주산기병의 예방 또는 치료제, 그리고 번식 효율 개선제는, 캐슈너트 외피유, 가열 처리 캐슈너트 외피유, 아나카르드산, 카르다놀 및/또는 카르돌 외에, 예를 들어 유당, 백당, D-만니톨, α 전분, 전분, 콘 스타치, 결정 셀룰로오스, 벤토나이트, 실리카 겔, 경질 무수 규산 등의 사료 또는 의약품 또는 식품에 사용할 수 있는 부형제이면 어떠한 것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또, 본 발명의 유량 및/또는 유질 향상제, 주산기병의 예방 또는 치료제, 그리고 번식 효율 개선제는, 캐슈너트 외피유, 가열 처리 캐슈너트 외피유, 아나카르드산, 카르다놀 및/또는 카르돌 외에, 반추 동물의 성장 촉진에 유효한 성분, 영양 보조 성분, 보존 안정성을 높이는 성분, 피복제 성분 등의 임의 성분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이어도 된다. 이와 같은 임의 성분으로는, 밀기울, 알팔파, 티모시 등의 사료의 원료나 사료 첨가물, 식품 원료나 식품 첨가물, 의약품 원재료, 동물용 서플리먼트 (이하, 서플리먼트라고 한다) 에 사용되는 다른 서플리먼트 성분 등을 들 수 있다. 예를 들어, 엔테로코커스속 세균, 바실루스속 세균, 비피더스균 등의 생균제 ; 아밀라아제, 리파아제 등의 효소 ; L-아스코르브산, 염화콜린, 이노시톨, 엽산 등의 비타민 ; 염화칼륨, 시트르산철, 산화마그네슘, 인산염류 등의 미네랄, DL-알라닌, DL-메티오닌, L-리신 등의 아미노산 ; 푸마르산, 부티르산, 락트산, 아세트산 등의 유기산 및 그들의 염 ; 에톡시킨, 디부틸하이드록시톨루엔, 부틸하이드록시아니솔, 페룰산, 비타민 C, 비타민 E 등의 항산화제 ; 프로피온산칼슘 등의 곰팡이 방지제 ; 카르복실메틸셀룰로오스 (CMC), 카세인나트륨, 폴리아크릴산나트륨 등의 점결제 ; 레시틴,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등의 유화제 ; 아스탁산틴, 칸탁산틴 등의 색소 ; 각종 에스테르, 에테르, 케톤류 등의 착향료를 들 수 있다. 서플리먼트의 종류나, 캐슈너트 외피유, 가열 처리 캐슈너트 외피유, 아나카르드산, 카르다놀 및/또는 카르돌 이외의 성분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유량 및/또는 유질 향상제, 주산기병의 예방 또는 치료제, 그리고 번식 효율 개선제는 산화마그네슘, 스테아르산염, 탤크, 제올라이트, 규조토 및 실리카 등의 흡유제를 함유하고 있어도 되고, 흡유제는 입자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흡유제로는, 100 g 당 50 ∼ 300 g 의 기름을 흡착하는 흡유제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입경이 300 ㎛ 를 초과하면 입자가 거칠어져서 분리되기 때문에, 입경이 2 ∼ 300 ㎛ 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유량 및/또는 유질 향상제, 주산기병의 예방 또는 치료제, 그리고 번식 효율 개선제에 있어서, 흡유제와, 캐슈너트 외피유 (CNSL), 가열 처리 캐슈너트 외피유, 아나카르드산, 카르다놀 및/또는 카르돌의 바람직한 질량비는 100 : 20 ∼ 100 : 180 이다. 또, 흡유제와 캐슈너트 껍질 분쇄물의 경우의 바람직한 질량비는 15 : 100 ∼ 60 : 100 이다.
본 발명의 유량 및/또는 유질 향상제, 주산기병의 예방 또는 치료제, 그리고 번식 효율 개선제의 제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어, 액제, 분제, 고체, 정제, 캡슐제, 유제, 펠릿제, 정제, 피복제 등 임의의 형태를 들 수 있지만, 액제, 분제, 캡슐제, 펠릿제, 정제가 바람직하다.
액제로는, 캐슈너트 외피유, 가열 처리 캐슈너트 외피유, 아나카르드산, 카르다놀 및/또는 카르돌을 그대로 사용해도 되고, 캐슈너트 외피유, 가열 처리 캐슈너트 외피유, 아나카르드산, 카르다놀 및/또는 카르돌을 에탄올 등의 용매에 용해시켜도 되며, 혹은 상기 부형제 또는 임의 성분을 첨가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또, 이하의 분제, 캡슐제, 펠릿제, 타블렛제를 액 중에 현탁·부유시켜도 된다.
분제로는, 캐슈너트 외피유, 가열 처리 캐슈너트 외피유, 아나카르드산, 카르다놀 및/또는 카르돌에 상기 부형제를 첨가하고, 분말화할 수도 있다.
캡슐제로는, 캐슈너트 외피유, 가열 처리 캐슈너트 외피유, 아나카르드산, 카르다놀 및/또는 카르돌을 그대로 캡슐에 채워도 되고, 혹은 상기 부형제 또는 임의 성분을 첨가해도 된다.
펠릿제로는, 캐슈너트 외피유, 가열 처리 캐슈너트 외피유, 아나카르드산, 카르다놀 및/또는 카르돌에 상기 부형제를 첨가하고, 조립 (造粒) 하여, 펠릿화할 수도 있다.
정제로는, 캐슈너트 외피유, 가열 처리 캐슈너트 외피유, 아나카르드산, 카르다놀 및/또는 카르돌에 상기 부형제를 첨가하고, 조립하여, 정제화할 수도 있다.
또한, 실리카 등의 흡유제를 함유하는 경우에는, 분제나 정제나 펠릿제로서 제제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유량 및/또는 유질 향상제, 주산기병의 예방 또는 치료제, 그리고 번식 효율 개선제는, 캐슈너트 외피유, 가열 처리 캐슈너트 외피유, 아나카르드산, 카르다놀 및/또는 카르돌 및 필요에 따라 부형제 또는 임의 성분을 혼합하여, 제제화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제의 형태에 따라서는, 상기한 캐슈너트 껍질의 분쇄·파쇄물, 혹은 어떠한 처리도 하지 않고 캐슈너트 껍질을 그대로 다른 임의 성분과 혼합시켜 본 발명의 유량 및/또는 유질 향상제, 주산기병의 예방 또는 치료제, 그리고 번식 효율 개선제로 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임의 성분과 혼합시키지 않고, 분쇄·파쇄물 그 자체 또는 캐슈너트 껍질 그 자체를 유량 및/또는 유질 향상제, 주산기병의 예방 또는 치료제, 그리고 번식 효율 개선제로 할 수 있고, 상기 유량 및/또는 유질 향상제, 주산기병의 예방 또는 치료제, 그리고 번식 효율 개선제 그 자체를 사료로 할 수도 있다. 또, 캐슈너트 외피유, 가열 처리 캐슈너트 외피유, 아나카르드산, 카르다놀 및/또는 카르돌을 에탄올 등의 용매에 용해시켜, 이것을 사료에 혼합 흡수시킬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유량 및/또는 유질 향상제, 주산기병의 예방 또는 치료제, 그리고 번식 효율 개선제는 유효량의 캐슈너트 외피유, 가열 처리 캐슈너트 외피유, 아나카르드산, 카르다놀 및/또는 카르돌을 함유한다.
본 발명의 사료 첨가제는 캐슈너트 외피유, 가열 처리 캐슈너트 외피유, 아나카르드산, 카르다놀 및/또는 카르돌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사료 첨가제에 있어서의 캐슈너트 외피유, 가열 처리 캐슈너트 외피유, 아나카르드산, 카르다놀 및/또는 카르돌의 함유량은, 사료에 첨가되었을 때에 사료의 건물 질량당 전체량 기준으로, 5 ∼ 500,000 질량 ppm 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 300,000 질량 ppm, 특히 바람직하게는 500 ∼ 100,000 질량 ppm 이다. 5 질량 ppm 이상이면, 유량 및/또는 유질이 향상되는 것, 주산기병의 예방 또는 치료 효과, 그리고 번식 효율 개선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50 질량 ppm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500 질량 ppm 이상이면, 그 경향은 현저해져 바람직하다. 한편, 500,000 질량 ppm 이어도 유량 및/또는 유질을 향상시킬 수 있고, 또 주산기병의 예방 또는 치료를 할 수 있으며, 또한 번식 효율을 개선할 수 있지만, 300,000 질량 ppm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100,000 질량 ppm 이하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사료 첨가제를 섭취시키는 동물의 종류는 유생산용 및 번식용의 반추 동물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사료 첨가제는 소, 물소, 산양, 양, 야크 등의 반추 동물의 사육에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우종으로는, 암컷의 홀스타인종, 저지종, 흑모화종, 일본 단각종, 애버딘·앵거스종을 들 수 있다. 섭취시키는 사료의 양은 동물의 종류, 체중, 연령, 성별, 건강 상태, 사료의 성분 등에 따라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료 첨가제의 사용량은 캐슈너트 외피유, 가열 처리 캐슈너트 외피유, 아나카르드산, 카르다놀 및/또는 카르돌의 양으로서, 바람직하게는 0.1 ∼ 500 g/마리/일, 보다 바람직하게는 1 ∼ 200 g/마리/일,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 100 g/마리/일이다. 또, 사료를 섭취시키는 소의 체중의 범위는 통상적으로 500 ∼ 900 ㎏ 이므로, 소의 체중 1 ㎏ 당 하루에 주는 사료에 함유되는 캐슈너트 외피유 등의 양으로는, 0.00011 g ∼ 1 g, 바람직하게는 0.0011 g ∼ 0.4 g, 보다 바람직하게는 0.001 g ∼ 0.2 g 이다.
본 발명의 사료는 캐슈너트 외피유, 가열 처리 캐슈너트 외피유, 아나카르드산, 카르다놀 및/또는 카르돌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사료에 있어서의 캐슈너트 외피유, 가열 처리 캐슈너트 외피유, 아나카르드산, 카르다놀 및/또는 카르돌의 함유량은, 사료의 건물 질량당 전체량 기준으로, 0.5 ∼ 500,000 질량 ppm 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 ∼ 300,000 질량 ppm, 특히 바람직하게는 50 ∼ 100,000 질량 ppm 이다. 0.5 질량 ppm 이상이면, 유량 및/또는 유질이 향상되는 것, 주산기병의 예방 또는 치료 효과, 그리고 번식 효율 개선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5 질량 ppm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50 질량 ppm 이상이면, 그 경향은 현저해져 바람직하다. 한편, 500,000 질량 ppm 이어도 유량 및/또는 유질을 향상시킬 수 있고, 또 주산기병의 예방 또는 치료를 할 수 있으며, 또한 번식 효율을 개선할 수 있지만, 300,000 질량 ppm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100,000 질량 ppm 이하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사료에 있어서 본 발명의 제와 배합되는 사료 성분의 종류나 배합 비율 등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각각의 동물에 대해 종래부터 급여되고 있는 사료이면 되며, 예를 들어, 옥수수 입자, 옥수수 분말, 마일로, 밀기울, 콩깻묵, 메귀리, 소맥분 쇼트, 소맥 조분 (粗粉), 알팔파, 티모시, 클로버, 탈지 미강, 북양밀, 연안밀, 효모, 당밀, 육편, 본밀, 탄산칼슘, 제 2 인산칼슘, 옐로우 그리스, 비타민류, 미네랄류 등을 사용하여 조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료는 캐슈너트 외피유, 가열 처리 캐슈너트 외피유, 아나카르드산, 카르다놀 및/또는 카르돌을 그대로, 혹은 캐슈너트 외피유, 가열 처리 캐슈너트 외피유, 아나카르드산, 카르다놀 및/또는 카르돌을 함유하는 본 발명의 유량 및/또는 유질 향상제, 주산기병의 예방 혹은 치료제, 혹은 번식 효율 개선제를 사료 성분에 첨가하고, 혼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이 때, 분말상, 고형상의 제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혼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액체 담체를 사용하여, 제를 액상 또는 겔상의 형태로 해도 된다. 이 경우에는, 물, 식물유, 액체 동물유, 광물유, 합성유, 수용성 고분자 화합물 등의 유동성 액체를 액체 담체로서 사용할 수 있다. 또, 사료 중에 있어서의 캐슈너트 외피유, 가열 처리 캐슈너트 외피유, 아나카르드산, 카르다놀 및/또는 카르돌의 균일성을 유지하기 위해서, 알긴산, 알긴산나트륨, 잔탄검,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α 전분, 카세인나트륨, 아라비아 고무, 구아검, 타마린드 종자 다당류 등의 수용성 다당류를 배합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사료를 섭취시키는 동물의 종류는 유생산용 및 번식용의 반추 동물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사료는 소, 물소, 산양, 양, 야크 등의 반추 동물의 사육에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우종으로는, 암컷의 홀스타인종, 저지종, 흑모화종, 일본 단각종, 애버딘·앵거스종을 들 수 있다. 섭취시키는 사료의 양은 동물의 종류, 체중, 연령, 성별, 건강 상태, 사료의 성분 등에 따라 적절히 조절할 수 있고, 이 때 사료에 함유되는 캐슈너트 외피유 등이 바람직하게는 0.01 ∼ 500 g/마리/일, 보다 바람직하게는 0.1 ∼ 200 g/마리/일, 더욱 바람직하게는 1 ∼ 100 g/마리/일이다. 또, 사료를 섭취시키는 소의 체중의 범위는 통상적으로 500 ∼ 900 ㎏ 이므로, 소의 체중 1 ㎏ 당 하루에 주는 사료에 함유되는 캐슈너트 외피유 등의 양으로는, 0.000011 g ∼ 1 g, 바람직하게는 0.00011 g ∼ 0.4 g, 보다 바람직하게는 0.0011 g ∼ 0.2 g 이다.
본 발명의 사료는 조 농비 (조 사료와 농후 사료의 중량비) 가 조 사료와 농후 사료의 중량의 합계에 대한 조 사료의 중량의 비율 (조 사료/조 사료 + 농후 사료) 로서, 0.3 이상 1.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0.3 이상 0.9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0.3 이상 0.8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조 사료란, 가축에게 급여하는 사료 중에서, 생초, 사일리지, 건초, 짚류 등을 가리킨다. 반추 가축에 있어 조 사료는 반추위의 기능을 유지하기 위해 불가결하고, 주요한 에너지, 영양소 보급원이 된다.
또, 농후 사료란, 옥수수·보리·밀·쌀 등의 곡물의 종부, 대두 등의 콩류, 또 기름을 짠 후의 깻묵 등이 많이 이용되는 단백질 함유량이나 지방분이 높은 사료이다.
본 발명의 유량 및/또는 유질 향상용 사료는 유생산에 적합한 월령의 젖소 (통상은 20 ∼ 144 개월령, 바람직하게는 20 ∼ 132 개월령,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 108 개월령) 에게 급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주산기병의 예방 또는 치료제는 주산기의 소 (바람직하게는 분만 전 60 일 ∼ 분만 후 30 일, 보다 바람직하게는 분만 전 30 일 ∼ 분만 후 30 일) 에게 급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번식 효율의 개선제로는, 번식에 적합한 월령의 소 (통상은 14 개월 ∼ 144 개월령, 바람직하게는 14 ∼ 132 개월령, 보다 바람직하게는 14 ∼ 108 개월령) 에게 급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조 사료와 농후 사료의 중량의 합계에 대한 조 사료의 중량의 비율이 0.3 이상 1.0 이하 (바람직하게는 0.3 이상 0.8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3 이상 0.7 이하) 인 사료를 2 일간 이상, 바람직하게는 3 일간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9 일간 이상 급여하여 사육된 반추 동물에 대해, 캐슈너트 외피유, 가열 처리 캐슈너트 외피유, 아나카르드산, 카르다놀 및/또는 카르돌을 투여하는 것에 의해서도 유량 및/또는 유질 향상 효과, 주산기병의 예방 또는 치료 효과, 그리고 번식 효율 개선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실시예
제조예 1
카슈·트레이딩 (주) 으로부터 입수한 캐슈너트의 껍질 220 ㎏ 을 압착함으로써 캐슈너트 외피유 67 ㎏ 을 제조하였다. 또, 130 ℃ 에서 가열 처리함으로써 아나카르드산을 카르다놀로 변환한 가열 처리 캐슈너트 외피유를 카슈·트레이딩 (주) 으로부터 입수하였다 (콜드 프레스 오일 (인도산)).
캐슈너트 외피유의 조성은 이하의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즉, HPLC (Waters600, 닛폰 워터스 (주)), 검출기 (Waters490E, 닛폰 워터스 (주)), 프린터 (크로마토팩 C-R6A, 시마즈 제작소), 칼럼 (SUPELCOSIL LC18, SUPELCO 사) 을 사용하였다. 아세토니트릴 : 물 : 아세트산이 80 : 20 : 1 (용량비) 인 용매를 사용하고, 유속은 2 ㎖/분으로 하였다. 280 ㎚ 의 흡광도로 검출하였다.
캐슈너트 외피유에는 아나카르드산이 61.8 질량%, 카르다놀이 8.2 질량%, 카르돌이 19.9 질량%, 가열 처리 캐슈너트 외피유에는 아나카르드산이 0.0 질량%, 카르다놀이 71.4 질량%, 카르돌이 14.4 질량% 함유되어 있었다.
캐슈너트 외피유 1,000 g 에 대해 무수 규산 (에보닉 데구사 재팬 (주) 제조, Sipernat22) 1,000 g 을 혼합하여 캐슈너트 외피유 함유 실리카를 제조하였다. 캐슈너트 외피유 함유 실리카 1,000 g 에 대해, 쌀겨 1,330 g, 소맥분 1,165 g, 알팔파밀 1,000 g, 당밀 흡착 사료 500 g, 착향료 5 g 을 혼합하고, 펠릿화하여 캐슈너트 외피유 함유 펠릿제 (유량 및/또는 유질 향상제) (제 전체에 대한 기름의 함유율 10 %) 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 : 유량 및 유질 향상 효과의 평가
시험은 평균 착유 마리수 38 마리/일의 목장에서 실시하고, 암컷의 홀스타인 성우 (成牛) (평균 57.5 개월령, 범위 25 개월령 ∼ 90 개월령) 를 시험에 공시 (供試) 하였다. 급여 사료 (사료 조 농비 1 : 2) 는 1 일당 알팔파 3 ㎏, 티모시 3 ㎏, 유용 소사육용 배합 사료 (쿄오도 사료 (주) 제조) 8 ㎏, 유용 소사육용 배합 사료 (유키지루시 종묘 (주) 제조) 4 ㎏ 의 설계로 하였다.
캐슈너트 외피유 함유 펠릿제 급여 전에 유량 및 유성분 (유지방분, 무지유고형분, 유단백질분, 및 유중 요소태질소) 을 측정하였다. 유량은 시험 목장에서 착유된 전체 유즙의 양을 착유 마리수로 나눈 값을 채용하고, 유성분치는 전체 유즙으로부터 분취하여 분석하였다. 캐슈너트 외피유 함유 펠릿제를 1 마리당 100 g/일 (캐슈너트 외피유 환산으로 10 g/일) 급여를 개시하고, 급여 개시 전, 급여 개시 9 일째에 유량 측정 및 유질 분석을 실시하였다.
유지방분, 무지유고형분, 유단백질분의 측정에 대해서는,
「유 및 유제품의 성분 규격 등에 관한 성령」
(1951년 12월 27일 후생성령 제 52 호)
최종 개정 : 2007년 10월 30일 후생 노동성령 제 132 호
별표
2 유 등의 성분 규격 그리고 제조, 조리 및 보존 방법의 기준
(7) 유 등의 성분 규격의 시험법
에 기재된 측정 방법에 따라 측정하였다. 시험 결과를 표 1 에 나타냈다.
Figure 112013070607660-pct00001
캐슈너트 외피유 함유 펠릿을 급여함으로써, 9 일째에 있어서 유량이 1.7 ℓ 증가하여 유량 향상 효과가 관찰되었다. 또, 유지방분이 0.10 %, 무지유고형분이 0.11 %, 유단백질분이 0.14 % 증가하여 유질 향상 효과가 관찰되었다. 또한, 유중 요소태질소의 감소가 관찰되었다. 이것은 질소분이 효율적으로 유단백질로 변환됨으로써 유단백질분이 증가했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실시예 2 : 유량 향상 효과의 평가
암컷의 홀스타인 성우를 시험에 공시하였다. 분만일부터 5 일간, 제조예 1 의 제를 1 일 100 g (CNSL 로서 10 g) 부여하였다. CNSL 급여구는 11 마리 (초산 5 마리, 2 산 1 마리, 3 산 4 마리, 5 산 1 마리), CNSL 을 부여하지 않은 대조구 (CNSL 비급여구) 는 12 마리 (초산 5 마리, 3 산 4 마리, 4 산 1 마리, 5 산 2 마리) 로 실시하였다. 급여 사료는 소의 상태에 맞춰서 변화시켰지만, 평균을 내면 1 일당 티모시 7 ㎏, 농후 사료 2 ∼ 3 ㎏ 의 설계로 하였다. 유량은 분만으로부터 5 일간 측정하여 증가율을 산출하였다. 결과를 도 1 및 표 2, 표 3 에 나타냈다.
Figure 112013070607660-pct00002
Figure 112013070607660-pct00003
어느 산차수에 있어서도 대조구와 비교하여 CNSL 을 급여함으로써 유량의 증가 비율이 커졌다. CNSL 을 급여하는 것에 의한 분만 후의 유량 증가가 관찰되었다.
실시예 3 : 제 4 위 변위 예방 효과의 평가
암컷의 홀스타인 성우를 시험에 공시하였다. 분만일부터 5 일간, 제조예 1 의 제를 1 일 100 g (CNSL 로서 10 g) 부여하였다. CNSL 급여구는 16 마리, CNSL 을 부여하지 않은 대조구는 15 마리로 실시하였다. 급여 사료는 소의 상태에 맞춰서 변화시켰지만, 대략적으로 1 일당 티모시 7 ㎏, 농후 사료 2 ∼ 3 ㎏ 의 설계로 하였다.
제 4 위 변위의 발증 및 치유는 수의의 소견에 의하였다. 시험 결과를 도 2 에 나타냈다. CNSL 급여구에서는 제 4 위 변위를 발병한 소는 관찰되지 않았지만, 대조구에서는 6.7 % 의 소에서 제 4 위 변위를 발병하였다. CNSL 을 급여하는 것에 의한 제 4 위 변위 예방 효과가 관찰되었다.
제조예 2
카슈·트레이딩 (주) 으로부터 입수한 캐슈너트의 껍질 220 ㎏ 을 압착함으로써 캐슈너트 외피유 67 ㎏ 을 제조하였다. 캐슈너트 외피유 455 g 에 대해, 무수 규산 (에보닉 데구사 재팬 (주) 제조, Sipernat22) 394 g, 벤토나이트 91 g 을 혼합하여 캐슈너트 외피유 함유 실리카를 제조하였다. 그 후, 성형기로 캐슈너트 외피유 함유 실리카의 타블렛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4 : 제 4 위 변위 치료 효과의 평가
암컷의 홀스타인 성우를 시험에 공시하였다. 제 4 위 변위 발증에서 치유까지 제조예 2 의 제를 1 일 3 입자 (CNSL 로서 21.5 g) 부여하였다. 7 증례에 대해 시험을 실시하였다. 제 4 위 변위의 발증 및 치유는 수의의 소견에 의하였다. 시험 결과를 도 3 에 나타냈다.
또, 각 증례에 있어서의 수의의 소견을 표 4 ∼ 표 9 에 나타냈다. 또한, 복부의 팽창 상태는 4 단계 평가로 하고, 1 : 매우 팽만, 2 : 팽만, 3 : 약간 팽만 경향, 4 : 정상으로 하였다. 청타진음은 4 단계 평가로 하고, 1 : 금속음, 2 : 박수음 (拍手音), 3 : 복명음, 4 : 정상음으로 하였다. 식욕과 유량, 활력은 5 단계 평가로 하고, 1 : 매우 나쁘다, 2 : 나쁘다, 3 : 보통, 4 : 양호, 5 : 매우 양호로 하였다. 분변 성상은 5 단계 평가로 하고, 1 : 혈변, 2 : 수양변, 3 : 이상변, 4 : 연변, 5 : 정상변으로 하였다.
Figure 112013070607660-pct00004
Figure 112013070607660-pct00005
Figure 112013070607660-pct00006
Figure 112013070607660-pct00007
Figure 112013070607660-pct00008
Figure 112013070607660-pct00009
7 증례 중, 5 증례에서 제 4 위 변위가 치유되었다. 또, 식욕의 향상이나 유량의 증가, 분변 성상의 개선 등 회복 징후는 2 ∼ 3 일에서 관찰되며, 2 ∼ 4 일째에는 완전하게 제 4 위 변위가 치유되었다. CNSL 에 의한 제 4 위 변위 치료 효과가 관찰되었다.
실시예 5 : 서열 스트레스하에 있어서의 유량 향상 효과의 평가
시험은 6월 6일 ∼ 9월 21일의 서열 스트레스가 가해지는 시기에 동 낙농협관 내의 2 지점의 목장에서 실시하였다. O 목장에 있어서는, 급여 사료는 조 농비를 대략 44 : 56 으로 하고, 1 일당 건물 섭취량은 20.1 ∼ 22.8 ㎏ 의 설계로 하였다. 캐슈너트 외피유 함유 펠릿제 급여 전에 유량 및 유성분을 측정하였다. 유량은 시험 목장에서 착유된 전체 유즙의 양을 착유 마리수로 나눈 값을 채용하고, 유성분치는 전체 유즙으로부터 분취하여 분석하였다. 또, 유량을 유지방량으로 보정하고, 유지방분 3.5 % 로 환산한 유량을 3.5 FCM 으로 하였다. 계산식은 하기와 같다.
3.5 FCM = 0.432 × 실유량 + 16.23 × (실유량 × 실유지방율)
서열 스트레스의 지표는 일반적으로 온습 지수 (THI ; Temperature-Humidity Index) 에 의해 평가되며, 소의 경우에는 72 이하에서 쾌적, 73 ∼ 80 에서 약간 덥고, 80 ∼ 90 에서 덥고, 90 ∼ 98 에서 매우 덥고, 그리고 98 이상에서 위험하다고 되어 있다. THI 가 73 을 초과하면, 소는 스트레스를 느껴 유량 및 유질의 저하가 일어나고, 1 ∼ 2 할의 유량 저하가 일어나는 경우도 있다. 본 시험에 있어서도, THI 를 사용하여 서열 스트레스를 평가하였다. 계산식은 하기와 같다. 단, T 는 온도 (℃), H 는 상대습도 (%) 를 나타낸다.
THI = 0.8 T + 0.01 H (T - 14.3) + 46.3
시험은 스위치 백 방식으로 실시하였다. 요컨대, 제조예 1 에 기재하는 캐슈너트 외피유 함유 펠릿제를 1 마리당 50 g/일 (캐슈너트 외피유 환산으로 5 g/일) 급여를 개시하고, 시험 (1) 에서는 20 일간의 급여 (급여기) 후 21 일간의 급여 정지 (휴급여기) 를 실시하고, 시험 (2) 에서는 다시 21 일간의 급여와 21 일간의 급여 정지를 반복하였다. 유량 측정 및 유질 분석은 급여 전 및 각 시험 기간의 마지막 날에 실시하였다.
M 목장에 있어서는 급여 사료는 조 농비를 대략 45 : 55 로 하고, 1 일당 건물 섭취량은 22.0 ∼ 22.46 ㎏ 의 설계로 하였다. O 목장과 동일한 시험 조건으로, 캐슈너트 외피유 함유 펠릿제 급여, 및 유량·유성분의 측정을 실시하였다. 결과를 표 10, 표 11 및 도 4 에 나타냈다.
단, 유지방분, 무지고형분, 유단백질의 측정에 대해서는,
「유 및 유제품의 성분 규격 등에 관한 성령」
(1951년 12월 27일 후생성령 제 52 호)
최종 개정 : 2007년 10월 30일 후생 노동성령 제 132 호
별표
2 유 등의 성분 규격 그리고 제조, 조리 및 보존 방법의 기준
(7) 유 등의 성분 규격의 시험법
에 기재된 측정 방법에 따라 측정하였다.
Figure 112013070607660-pct00010
Figure 112013070607660-pct00011
캐슈너트 외피유 함유 펠릿제를 급여함으로써, 양 목장 모두 서열 스트레스하에 있어서도 유량 저하를 저감시키는 효과가 관찰되었다. 또, 동등한 서열 스트레스 조건인 시험 (1) 의 휴급여기와 시험 (2) 의 급여기를 비교하면, 관 내 평균은 유량이 저하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캐슈너트 외피유 함유 펠릿제 급여 목장에서는 오히려 유량의 상승이 관찰되고, 유질도 안정적이었다.
실시예 6 : 서열 스트레스하에 있어서의 유량 향상 효과의 평가
시험은 7월 21일 ∼ 9월 27일에 실시예 5 와 동 낙농협관 내의 K 목장에서 실시하였다. K 목장에 있어서는, 급여 사료는 조 농비를 대략 43 : 57 로 하고, 1 일당 건물 섭취량은 22.2 ∼ 23.64 ㎏ 의 설계로 하였다. 캐슈너트 외피유 함유 펠릿제 급여 전에 유량 및 유성분을 측정하였다. 유량은 시험 목장에서 착유된 전체 유즙의 양을 착유 마리수로 나눈 값을 채용하고, 유성분치는 전체 유즙으로부터 분취하여 분석하였다. 3.5 FCM 및 THI 에 대해서는 실시예 5 와 동일하게 산출하였다.
시험은 스위치 백 방식으로 실시하였다. 시험 (1) 에 있어서는, 제조예 1 에 기재하는 캐슈너트 외피유 함유 펠릿제를 1 마리당 100 g/일 (캐슈너트 외피유 환산으로 10 g/일) 의 급여를 실시하고, 28 일간의 급여 후, 6 일간 급여를 정지하였다. 시험 (2) 에 있어서는, 캐슈너트 외피유 함유 펠릿제를 1 마리당 50 g/일 (캐슈너트 외피유 환산으로 5 g/일) 의 급여를 실시하고, 19 일간의 급여 후, 시험을 종료하였다. 유량 측정 및 유질 분석은 급여 전 및 각 시험 기간의 마지막 날에 실시하였다. 결과를 표 12, 표 13 및 도 5 에 나타냈다.
단, 유지방분, 무지고형분, 유단백질의 측정에 대해서는,
「유 및 유제품의 성분 규격 등에 관한 성령」
(1951년 12월 27일 후생성령 제 52 호)
최종 개정 : 2007년 10월 30일 후생 노동성령 제 132 호
별표
2 유 등의 성분 규격 그리고 제조, 조리 및 보존 방법의 기준
(7) 유 등의 성분 규격의 시험법
에 기재된 측정 방법에 따라 측정하였다.
Figure 112013070607660-pct00012
Figure 112013070607660-pct00013
K 목장에 있어서는, 캐슈너트 외피유 함유 펠릿제를 급여함으로써, 서열 스트레스하에 있어서도 유량 저하를 저감시키는 효과가 관찰되었다. 특히 시험 (1) 에서는, 급격하게 서열 스트레스가 증가하여, 관 내 평균 유량이 크게 저하되었음에도 불구하고, K 목장에 있어서는 유량의 큰 증가가 관찰되고, 유질도 안정적이었다. 시험 (2) 에서도 K 목장에서는 관 내 평균 유량과 비교해도 유량의 큰 증가가 관찰되었다.
실시예 7 : 유질 향상 효과의 평가
시험은 평균 착유 마리수 50 마리/일의 목장에서 실시하고, 암컷의 홀스타인 성우를 시험에 공시하였다. 사료는 분리 급여로 하고, 조 농비는 0.45 ∼ 0.60 으로 상태에 맞춰서 미조정을 실시하였다. 1 일당 건물 섭취량은 23 ∼ 25 ㎏ 의 설계로 하였다.
캐슈너트 외피유 함유 펠릿제 급여 전에 유량 및 유성분을 측정하였다. 유량은 시험 목장에서 착유된 전체 유즙의 양을 착유 마리수로 나눈 값을 채용하고, 유성분치는 전체 유즙으로부터 분취하여 분석하였다. 캐슈너트 외피유 함유 펠릿제의 급여 전 11 일간의 유량 및 유질을 대조로 하고, 그 후, 제조예 1 에 기재하는 캐슈너트 외피유 함유 펠릿제를 1 마리당 50 g/일 (캐슈너트 외피유 환산으로 5 g/일) 을 21 일간 급여하여 유량 및 유질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유지방분, 무지고형분, 유단백질의 측정에 대해서는,
「유 및 유제품의 성분 규격 등에 관한 성령」
(1951년 12월 27일 후생성령 제 52 호)
최종 개정 : 2007년 10월 30일 후생 노동성령 제 132 호
별표
2 유 등의 성분 규격 그리고 제조, 조리 및 보존 방법의 기준
(7) 유 등의 성분 규격의 시험법
에 기재된 측정 방법에 따라 측정하였다. 시험 결과를 표 14 에 나타냈다.
Figure 112013070607660-pct00014
캐슈너트 외피유 함유 펠릿제를 급여함으로써, 서열 스트레스하에 있어서도 현저한 유량의 저하가 관찰되지 않고, 유질은 전체 항목에서 보다 향상되어 있는 것이 관찰되었다. 특히, 무지고형분과 유단백질의 향상은 현저하고, 반대로 요소태질소 (MUN) 는 저감되어 있었다. 이것은 전술한 바와 같이, 체내에서 질소분이 효율적으로 유단백질로 변화됨으로써, 유단백질이 향상되어, 유리형 질소인 MUN 의 저감이 얻어진 것이라고 생각된다.
일반적으로, 과잉인 MUN 은 유단백질이나 유당과 같은 유질의 저하 원인이 될 뿐만 아니라, 공태 일수나 수정 횟수의 증가와 같은 번식 효율의 저하의 원인이 된다고 생각되고 있다. 따라서, 산업 동물인 젖소에 있어서, 유량 및 유질의 향상과 번식 효율의 저하 방지는 매우 중요한 항목이며, 서열 스트레스하에 있어서도 그 양방에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캐슈너트 외피유 함유 펠릿제는 산업적으로도 가치가 있다고 생각된다.
제조예 3
카슈·트레이딩 (주) 으로부터 입수한 캐슈너트의 껍질 220 ㎏ 을 압착함으로써 캐슈너트 외피유 67 ㎏ 을 제조하였다. (주) 테크노 파우달톤에서 캐슈너트 외피유에 대해, 셀룰로오스, 무수 규산, 맥아당, 무수 시트르산, 인산이수소나트륨을 혼합하여, 캐슈너트 외피유 함유 타블렛제를 제조하였다. 또, 사용 용이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그 타블렛제를 오블라토 (전분) 로 포장하였다.
실시예 8 : 제 4 위 변위 치료 효과의 평가
암컷의 홀스타인 성우를 시험에 공시하였다. 제 4 위 변위 발증에서 치유까지 제조예 3 의 제를 1 일 16 입자 (CNSL 로서 10 g) 부여하였다. 4 증례에 대해 시험을 실시하고, 그 결과를 표 15 ∼ 18 및 도 6 에 나타냈다. 제 4 위 변위의 발증 및 치유는 수의의 소견에 의하였다.
각 증례에 있어서의 수의의 소견을 표 1 ∼ 4 에 나타냈다. 또한, 복부의 팽창 상태는 4 단계 평가로 하고, 1 : 매우 팽만, 2 : 팽만, 3 : 약간 팽만 경향, 4 : 정상으로 하였다. 청타진음은 4 단계 평가로 하고, 1 : 금속음, 2 : 박수음, 3 : 복명음, 4 : 정상음으로 하였다. 식욕과 유량, 활력은 5 단계 평가로 하고, 1 : 매우 나쁘다, 2 : 나쁘다, 3 : 보통, 4 : 양호, 5 : 매우 양호로 하였다. 분변 성상은 5 단계 평가로 하고, 1 : 혈변, 2 : 수양변, 3 : 이상변, 4 : 연변, 5 : 정상변으로 하였다.
Figure 112013070607660-pct00015
Figure 112013070607660-pct00016
Figure 112013070607660-pct00017
Figure 112013070607660-pct00018
4 증례 중, 3 증례에서 제 4 위 변위가 치유되었다. 또, 식욕의 향상이나 유량의 증가, 분변 성상의 개선 등 회복 징후는 2 ∼ 3 일에서 관찰되며, 2 ∼ 4 일째에는 완전하게 제 4 위 변위가 치유되었다. 이들 결과로부터, CNSL 에 의한 제 4 위 변위 치료 효과가 명확하게 관찰되었다. 또한, 실시예 4 와 비교하여, 보다 소량의 CNSL 급여에 의해, 제 4 위 변위 치료 효과가 얻어졌다.
본 시험에 있어서는, 캐슈너트 외피유 함유 타블렛제를 제 4 위 변위 발증 후에 급여하여 그 영향을 검증했지만, 주산기병은 특히 건유기의 사육 관리에 의해, 분만 후에 질병이 발병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실시예 3 에서 주산기병 발증 전에 예방적으로 급여하는 것이 유효했던 점에서 생각하면, 건유기부터 급여함으로써 종합적으로 주산기병을 제어할 수 있다고 생각된다.
실시예 9 : 번식 효율 개선 효과의 평가
암컷의 홀스타인 성우를 시험에 공시하였다. 분만을 끝낸 개체로부터 무작위로 시험구와 대조구로 나누고, 시험구의 개체에는 분만일부터 5 일간, 제조예 1 의 제를 1 일 100 g (CNSL 로서 10 g) 부여하였다. 단, 1 산의 소는 분만 전후의 관리가 상이했기 때문에,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통계에 포함하지 않았다. 시험구 (CNSL 급여) 는 9 마리 (2 산 2 마리, 3 산 4 마리, 4 산 1 마리, 5 산 1 마리, 6 산 1 마리), CNSL 을 부여하지 않은 대조구 (CNSL 비급여) 는 5 마리 (3 산 5 마리) 로 실시하였다. 급여 사료는 소의 상태에 맞춰서 변화시켰지만, 평균을 내면 1 일당 티모시 7 ㎏, 농후 사료 2 ∼ 3 ㎏ 의 설계로 하였다.
번식 효율은 일반적인 지표로 여겨지는 교배 횟수, 공태 일수, 실공태 일수, 첫회 수태 일수, 첫회 수정 수태율, 수태율 및 발정 발견율에 의해 평가하였다. 공태 일수에 있어서는, 양호하다고 여겨지는 90 일 이하의 개체 비율과, 양호하지 않다고 여겨지는 120 일 이상의 개체 비율도 산출하였다. 시험 결과는 표 19 에 나타냈다.
Figure 112013070607660-pct00019
교배 횟수 = 인공 수정 횟수
공태 일수 = 최종 수정일 - 전회 분만일
첫회 수정 일수 = 분만 후, 처음으로 수정이 성립한 날
첫회 수정 수태율 = 첫회 수정에 의해 수정이 성립한 비율
수태율 = 수정이 확립한 개체수 (군 전체)/전체의 인공 수정 횟수 × 100
실공태 일수 = 첫회 수정으로부터 최종 수정 (공태 일수) 까지의 일수
첫회 수정일 = 분만 후, 처음으로 인공 수정을 실시한 날
최종 수정일 = 최근의 인공 수정일
발정 발견율 (군 전체) = 평균 수정 횟수 ÷ (평균 실공태 일수 ÷ 21 + 1) × 100
캐슈너트 외피유 함유 펠릿제 급여에 의해, 대부분의 항목에서 대조구보다 양호한 결과가 얻어졌다. 특히 교배 횟수의 저감, 공태 일수의 단축, 수태율의 향상, 실공태 일수의 단축에서는 현저한 효과가 관찰되었다. 또, CNSL 급여에 의해, 수태율은 목표치로 여겨지는 50 ∼ 60 % 를, 발정 발견율은 목표치로 여겨지는 70 % 이상을 초과할 수 있었다. 이 결과로부터, 캐슈너트 외피유 함유 펠릿제 급여에 의해, 개체 레벨의 번식 효율의 대폭적인 향상이 관찰되고, 대체로 군 레벨의 발정 발견율이나 수태율의 대폭적인 번식 효율 개선이 관찰되었다.
산업상의 이용가능성
본 발명에 의하면, 반추 동물의 유량 및 유질을 향상시킬 수 있고, 또한 주산기병을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기 때문에, 축산 분야에 있어서 유용하다. 나아가서는 번식 효율을 개선함으로써, 효율적인 산자의 취득, 인공 수정 횟수의 저감 등이 얻어지고, 생산성 및 수익성을 크게 높일 수 있으므로, 산업적인 이용성은 매우 높다.

Claims (20)

  1. 비가열 캐슈너트 외피유 또는 가열 처리 캐슈너트 외피유를 함유하고, 조 사료와 농후 사료의 중량의 합계에 대한 조 사료의 중량의 비율이 0.3 이상 1.0 이하인 사료에 배합하여 반추 동물에게 투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추 동물의 유량, 유질, 또는 유량 및 유질 향상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가열 캐슈너트 외피유는, 아나카르드산을 55 ∼ 80 질량%, 카르다놀을 5 ∼ 20 질량%, 카르돌을 5 ∼ 30 질량% 함유하는 반추 동물의 유량, 유질, 또는 유량 및 유질 향상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 처리 캐슈너트 외피유는, 비가열 캐슈너트 외피유를 70 ℃ 이상에서 가열함으로써 얻어진 것인 반추 동물의 유량, 유질, 또는 유량 및 유질 향상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 캐슈너트 외피유는, 비가열 캐슈너트 외피유를 130 ℃ 이상에서 가열 처리한 것이고, 아나카르드산을 0 ~ 10 질량%, 카르다놀을 55 ~ 80 질량%, 카르돌을 5 ~ 30 질량% 함유하는 반추 동물의 유량, 유질, 또는 유량 및 유질 향상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추가로 흡유제를 함유하는 반추 동물의 유량, 유질, 또는 유량 및 유질 향상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흡유제가 산화마그네슘, 스테아르산염, 탤크, 제올라이트, 규조토 및 실리카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반추 동물의 유량, 유질, 또는 유량 및 유질 향상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흡유제가 100 g 당 50 ~ 300 g 의 기름을 흡착하는 흡유제인 반추 동물의 유량, 유질, 또는 유량 및 유질 향상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질 향상은, 유단백질분, 무지유고형분 및 유지방분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증가를 포함하는 반추 동물의 유량, 유질, 또는 유량 및 유질 향상제.
  9. 삭제
  10. 비가열 캐슈너트 외피유 또는 가열 처리 캐슈너트 외피유를 함유하는 반추 동물의 유량, 유질, 또는 유량 및 유질 향상제를 포함하고, 조 사료와 농후 사료의 중량의 합계에 대한 조 사료의 중량의 비율이 0.3 이상 1.0 이하인, 반추 동물의 유량, 유질, 또는 유량 및 유질 향상용 사료.
  11. 삭제
  12. 비가열 캐슈너트 외피유 또는 가열 처리 캐슈너트 외피유를, 조 사료와 농후 사료의 중량의 합계에 대한 조 사료의 중량의 비율이 0.3 이상 1.0 이하인 사료를 투여하여 사육된 반추 동물(아시도시스가 발증된 반추 동물을 제외한다)에게 투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추 동물의 유량, 유질, 또는 유량 및 유질을 향상시키는 방법.
  13. 삭제
  14. 제 12 항에 있어서,
    비가열 캐슈너트 외피유 또는 가열 처리 캐슈너트 외피유를 0.01 ∼ 500 g/마리/일 투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KR1020137020623A 2011-01-07 2011-11-30 반추 동물의 유량 및/또는 유질 향상제, 주산기병 예방 또는 치료제, 그리고 번식 효율 개선제 KR10175109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1001711 2011-01-07
JPJP-P-2011-001711 2011-01-07
JP2011042631 2011-02-28
JPJP-P-2011-042631 2011-02-28
PCT/JP2011/077694 WO2012093533A1 (ja) 2011-01-07 2011-11-30 反芻動物の乳量及び/または乳質向上剤、周産期病予防または治療剤、並びに繁殖効率改善剤

Related Child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31393A Division KR101931009B1 (ko) 2011-01-07 2011-11-30 반추 동물의 유량 및/또는 유질 향상제, 주산기병 예방 또는 치료제, 그리고 번식 효율 개선제
KR1020177014944A Division KR101865525B1 (ko) 2011-01-07 2011-11-30 반추 동물의 유량 및/또는 유질 향상제, 주산기병 예방 또는 치료제, 그리고 번식 효율 개선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5883A KR20140035883A (ko) 2014-03-24
KR101751097B1 true KR101751097B1 (ko) 2017-06-26

Family

ID=46457395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31393A KR101931009B1 (ko) 2011-01-07 2011-11-30 반추 동물의 유량 및/또는 유질 향상제, 주산기병 예방 또는 치료제, 그리고 번식 효율 개선제
KR1020137020623A KR101751097B1 (ko) 2011-01-07 2011-11-30 반추 동물의 유량 및/또는 유질 향상제, 주산기병 예방 또는 치료제, 그리고 번식 효율 개선제
KR1020177014944A KR101865525B1 (ko) 2011-01-07 2011-11-30 반추 동물의 유량 및/또는 유질 향상제, 주산기병 예방 또는 치료제, 그리고 번식 효율 개선제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31393A KR101931009B1 (ko) 2011-01-07 2011-11-30 반추 동물의 유량 및/또는 유질 향상제, 주산기병 예방 또는 치료제, 그리고 번식 효율 개선제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14944A KR101865525B1 (ko) 2011-01-07 2011-11-30 반추 동물의 유량 및/또는 유질 향상제, 주산기병 예방 또는 치료제, 그리고 번식 효율 개선제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4) US8697148B2 (ko)
EP (3) EP3466437B1 (ko)
JP (3) JP5651195B2 (ko)
KR (3) KR101931009B1 (ko)
CN (4) CN104288196A (ko)
AR (1) AR084802A1 (ko)
AU (1) AU2011353949B2 (ko)
BR (3) BR122018076100B1 (ko)
CA (1) CA2823891C (ko)
DK (2) DK3466437T3 (ko)
ES (3) ES2687416T3 (ko)
NZ (1) NZ612611A (ko)
TR (1) TR201815353T4 (ko)
WO (1) WO201209353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328192A1 (en) 2015-07-29 2018-06-06 Genus Plc Method of breeding cows for improved milk yield
KR20180114118A (ko) * 2016-02-12 2018-10-17 이데미쓰 고산 가부시키가이샤 기능성 사료
CN106962620A (zh) * 2017-03-22 2017-07-21 上林县山水牛畜牧业有限公司 一种肉牛围产期饲料
CN108522863A (zh) * 2018-04-20 2018-09-14 灵武市欣兴饲草产业有限公司 一种反刍动物饲料及其制备方法
JP2020130001A (ja) * 2019-02-15 2020-08-31 ネオファーマジャパン株式会社 泌乳牛の乳におけるタンパク質含量増加剤
JP2020184958A (ja) * 2019-05-16 2020-11-19 雪印種苗株式会社 乾乳期乳牛用飼料の添加剤および飼料
CN113133502B (zh) * 2020-06-10 2022-11-11 中国农业大学 一种饲喂围产期奶牛的复合添加剂及其制备方法和应用
WO2024075706A1 (ja) * 2022-10-03 2024-04-11 株式会社エス・ディー・エス バイオテック 反芻動物のメタン産生抑制剤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35833A1 (ja) 2008-09-29 2010-04-01 出光興産株式会社 反芻動物の鼓脹症治療剤
WO2010053085A1 (ja) * 2008-11-04 2010-05-14 出光興産株式会社 反芻動物のアシドーシス防除剤
WO2010113886A1 (ja) 2009-03-30 2010-10-07 出光興産株式会社 家畜の増体促進剤、増体促進飼料および増体促進方法
WO2010143627A1 (ja) * 2009-06-08 2010-12-16 出光興産株式会社 コクシジウム症防除剤およびそれを含有する飼料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86542B2 (ja) 1988-01-25 1997-03-05 藤沢薬品工業株式会社 牛の第四胃変位の治療剤
US5153174A (en) 1989-10-30 1992-10-06 Union Carbide Chemicals & Plastics Inc. Polymer mixtures useful in skin care
JP2613301B2 (ja) 1990-02-20 1997-05-28 御木本製薬株式会社 口腔用組成物
JP2965440B2 (ja) * 1993-01-29 1999-10-18 武田薬品工業株式会社 反芻動物用飼料およびそれを用いた飼育方法
JPH08780B2 (ja) 1993-10-12 1996-01-10 ミヤリサン株式会社 反芻家畜の前胃機能障害及び脂肪酸代謝機能障害の治療剤及び治療方法
JPH08231410A (ja) 1995-02-23 1996-09-10 Takasago Internatl Corp コクシジウム症軽減剤及びそれを含有する飼料
JP4064487B2 (ja) 1997-02-15 2008-03-19 太陽化学株式会社 家畜用予防剤及び治療剤
JP4680339B2 (ja) * 1999-11-26 2011-05-11 日清丸紅飼料株式会社 コクシジウム症の予防および/または治療用飼料
KR20040102964A (ko) * 2003-05-30 2004-12-08 신학수 적석지를 함유한 동물용 사료 조성물
WO2008149992A1 (ja) * 2007-06-08 2008-12-11 Idemitsu Kosan Co., Ltd. ルーメン発酵改善剤
US20090285931A1 (en) * 2008-02-04 2009-11-19 Shelby Nancy J Feed supplement for animals for reducing methane production
US9730971B2 (en) 2008-12-12 2017-08-15 Idemitsu Kosan Co., Ltd. Feed for preventing and/or treating diseases caused by clostridium bacterium in livestock, and agent against clostridium
JP2010238083A (ja) 2009-03-31 2010-10-21 Nec Corp 画面表示装置、画面表示方法、及び、プログラム
WO2012144519A1 (ja) * 2011-04-18 2012-10-26 出光興産株式会社 液体投与型粒剤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35833A1 (ja) 2008-09-29 2010-04-01 出光興産株式会社 反芻動物の鼓脹症治療剤
WO2010053085A1 (ja) * 2008-11-04 2010-05-14 出光興産株式会社 反芻動物のアシドーシス防除剤
WO2010113886A1 (ja) 2009-03-30 2010-10-07 出光興産株式会社 家畜の増体促進剤、増体促進飼料および増体促進方法
WO2010143627A1 (ja) * 2009-06-08 2010-12-16 出光興産株式会社 コクシジウム症防除剤およびそれを含有する飼料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122018076097B1 (pt) 2019-10-22
KR20160132136A (ko) 2016-11-16
US20130316031A1 (en) 2013-11-28
EP3848042B1 (en) 2023-03-29
US9694041B2 (en) 2017-07-04
JP5651195B2 (ja) 2015-01-07
JPWO2012093533A1 (ja) 2014-06-09
AR084802A1 (es) 2013-06-26
KR101931009B1 (ko) 2018-12-19
EP2661969A1 (en) 2013-11-13
ES2687416T3 (es) 2018-10-25
AU2011353949B2 (en) 2015-08-06
US20140170252A1 (en) 2014-06-19
EP3848042A1 (en) 2021-07-14
DK2661969T3 (en) 2018-10-29
CN104288195A (zh) 2015-01-21
WO2012093533A1 (ja) 2012-07-12
US20160082060A1 (en) 2016-03-24
US20140308380A1 (en) 2014-10-16
EP2661969B1 (en) 2018-08-01
KR20140035883A (ko) 2014-03-24
US9238048B2 (en) 2016-01-19
EP3466437B1 (en) 2021-11-10
CN103313608A (zh) 2013-09-18
CA2823891C (en) 2021-07-06
JP2014239690A (ja) 2014-12-25
CN104288196A (zh) 2015-01-21
EP2661969A4 (en) 2014-08-27
BR122018076100B1 (pt) 2020-07-14
ES2943679T3 (es) 2023-06-15
TR201815353T4 (tr) 2018-11-21
ES2899427T3 (es) 2022-03-11
JP5853067B2 (ja) 2016-02-09
CN103313608B (zh) 2015-02-18
CA2823891A1 (en) 2012-07-12
CN104382970A (zh) 2015-03-04
KR20170064566A (ko) 2017-06-09
JP2014210808A (ja) 2014-11-13
JP5914591B2 (ja) 2016-05-11
NZ612611A (en) 2014-07-25
BR112013016346A2 (pt) 2018-06-19
US8697148B2 (en) 2014-04-15
US8859015B2 (en) 2014-10-14
AU2011353949A1 (en) 2013-07-18
DK3466437T3 (da) 2022-01-31
EP3466437A1 (en) 2019-04-10
KR101865525B1 (ko) 2018-06-07
BR112013016346B1 (pt) 2019-03-06
CN104288195B (zh) 2019-07-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51097B1 (ko) 반추 동물의 유량 및/또는 유질 향상제, 주산기병 예방 또는 치료제, 그리고 번식 효율 개선제
JP5611203B2 (ja) コクシジウム症防除剤およびそれを含有する飼料
Soltan Effect of essential oils supplementation on growth performance, nutrient digestibility, health condition of Holstein male calves during pre-and post-weaning periods
Hao et al. Replacing soybean meal with flax seed meal: Effects on nutrient digestibility, rumen microbial protein synthesis and growth performance in sheep
WO2015056729A1 (ja) 機能性飼料
AU2015252032B2 (en) Agent for improving milk yield and/or milk quality of ruminants, preventive or therapeutic agent for perinatal disease, and agent for improving reproductive efficiency
AU2016204291B2 (en) Agent for improving milk yield and/or milk quality of ruminants, preventive or therapeutic agent for perinatal disease, and agent for improving reproductive efficiency
Swanson Effects of diet and probiotic supplementation on stress during weaning in Thoroughbred foals
WO2021085584A1 (ja) 反芻動物のインスリン抵抗性抑制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