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2507B1 - 전자부품 분류장치 - Google Patents

전자부품 분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2507B1
KR101742507B1 KR1020100047627A KR20100047627A KR101742507B1 KR 101742507 B1 KR101742507 B1 KR 101742507B1 KR 1020100047627 A KR1020100047627 A KR 1020100047627A KR 20100047627 A KR20100047627 A KR 20100047627A KR 101742507 B1 KR101742507 B1 KR 1017425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tube
receiving
electronic
tr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76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28035A (ko
Inventor
박준모
김윤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탑 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탑 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탑 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1000476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2507B1/ko
Priority to TW099124540A priority patent/TW201142321A/zh
Priority to CN2010102765989A priority patent/CN102247951A/zh
Publication of KR201101280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80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25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25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2851Testing of integrated circuits [IC]
    • G01R31/2893Handling, conveying or loading, e.g. belts, boats, vacuum fing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6Testing of individual semiconductor devices
    • G01R31/2601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6Testing of individual semiconductor devices
    • G01R31/2607Circuits therefor
    • G01R31/2632Circuits therefor for testing diodes
    • G01R31/2635Testing light-emitting diodes, laser diodes or photodiod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2801Testing of printed circuits, backplanes, motherboards, hybrid circuits or carriers for multichip packages [MCP]
    • G01R31/281Specific types of tests or tests for a specific type of fault, e.g. thermal mapping, shorts testing
    • G01R31/2813Checking the presence, location, orientation or value, e.g. resistance, of components or condu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00Testing or measuring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Reliability measurements, i.e. testing of parts without further processing to modify the parts as such; Structural arrangements therefor
    • H01L22/30Structural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esting or measuring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r specially adapted for reliability measur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Sorting Of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전자부품 분류장치는, 전자부품을 각 특성 별로 분별하는 분별유닛이, 전자부품이 토출되는 토출구를 반구형으로 3차원상에서 변위시키면서 전자부품의 배출방향을 결정하는 제1분별장치와, 토출구의 각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 위치되어 토출구로부터 배출되는 전자부품이 유입되는 복수의 관통홀이 형성되는 제2분별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전자부품을 분류하는 작업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전자부품 분류장치 {APPARATUS FOR SORTING ELECTRONIC PARTS}
본 발명은 전자부품을 분류하는 전자부품 분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발광다이오드(LED)와 같은 전자부품은 제작이 완료된 후 각각의 특성을 판별하기 위하여 검사되며, 검사가 완료된 전자부품은 각 특성 별로 분류되는데, 전자부품을 각 특성 별로 분류하기 위한 전자부품 분류장치가 사용된다.
전자부품 분류장치는, 전자부품을 반송하는 반송유닛과, 전자부품이 반송되는 경로상에 설치되어 전자부품의 특성을 검사하는 검사유닛과, 검사유닛의 검사결과를 기준으로 전자부품을 특성 별로 분별하는 분별유닛과, 분별유닛에 의하여 분별된 전자부품이 특성 별로 수납되는 수납통이 구비되는 수납유닛으로 구성된다.
종래의 경우, 분별유닛은 검사유닛에 의하여 검사가 완료된 후 검사유닛으로부터 순차적으로 유입되는 전자부품을 수평방향으로 이동시켜 하나의 축을 따라 순차적으로 배열된 복수의 수납통에 전자부품을 투입하는 과정을 통하여 전자부품을 특성 별로 분별하는 작업을 수행하였다, 따라서, 종래의 경우에는, 전자부품이 수평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되어야 했으므로, 분별유닛의 전체적인 크기가 커져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전자부품을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긴 시간이 요구되었으므로, 전자부품 분류장치의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각 수납통에 수납된 전자부품은 작업자가 수납통을 수납유닛으로부터 분리하여 다음의 작업을 위한 장치로 운반하게 되는데, 이러한 과정에서 작업자가 요구하는 특성에 해당하는 전자부품이 어느 수납통에 수납되어 있는지를 판단하여야 하는 과정이 요구된다. 그러나, 종래의 전자부품 분류장치는 작업자가 수납유닛으로부터 어느 곳에 위치한 수납통이 작업자가 요구하는 특성을 가지는 전자부품이 수납된 수납통인지를 판단하는 작업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검사유닛에 의하여 검사가 완료된 전자부품이 특성 별로 신속하게 정확하게 분류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전자부품 분류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자부품이 수납되는 복수의 수납통 중 작업자가 요구하는 특성을 가지는 전자부품이 수납된 수납통의 위치를 작업자가 신속하고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는 전자부품 분류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전자부품 분류장치는, 전자부품을 반송하는 반송유닛과, 상기 반송유닛에 의하여 반송되는 전자부품의 반송경로상에 설치되어 상기 전자부품의 특성을 검사하는 검사유닛과, 상기 검사유닛의 검사결과에 따라 상기 전자부품을 특성 별로 분별하는 분별유닛과, 상기 분별유닛에 의하여 분별된 전자부품이 특성 별로 나뉘어 수납되는 수납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분별유닛은, 상기 전자부품이 토출되는 토출구를 구비하고 상기 토출구의 위치를 반구형으로 3차원상에서 변위시키면서 상기 전자부품의 배출방향을 결정하는 제1분별장치와, 상기 제1분별장치를 향하여 오목한 반구면을 가지며, 상기 제1분별장치의 토출구의 각 위치와 대응되는 위치에 위치되어 상기 제1분별장치로부터 배출된 전자부품이 유입되는 복수 관통홀이 형성되는 제2분별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제1분별장치는, 상기 전자부품이 유입되는 투입구를 가지는 제1튜브와, 상기 제1튜브와 연통되고 상기 제1튜브의 연장축에 수직인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동이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토출구가 구비되는 제2튜브와, 상기 제1튜브를 상기 제1튜브의 연장축을 중심으로 회동시키는 제1구동장치와, 상기 제2튜브를 상기 제1튜브에 대하여 상기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동시키는 제2구동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수납유닛은 상기 전자부품이 특성 별로 나뉘어 수납되는 복수의 수납통을 구비하고, 본 발명에 따른 전자부품 분류장치는 상기 복수의 수납통 중 요구되는 특성에 해당하는 전자부품이 수납된 수납통의 위치를 알려주는 알림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납유닛은 상기 복수의 수납통이 수납된 트레이를 이동시키는 이동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자부품 분류장치는 상기 각 수납통에 수납된 전자부품의 수량을 측정하는 수량측정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수량측정유닛은 상기 각 수납통의 무게를 측정하는 무게측정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부품 분류장치는, 전자부품을 각 특성 별로 분별하는 분별유닛이, 전자부품이 토출되는 토출구를 반구형으로 3차원상에서 변위시키면서 전자부품의 배출방향을 결정하는 제1분별장치와, 토출구의 각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 위치되어 토출구로부터 배출되는 전자부품이 유입되는 복수의 관통홀이 형성되는 제2분별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전자부품을 분류하는 작업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자부품 분류장치는, 전자부품이 각 특성 별로 나뉘어 수납되는 복수의 수납통 중 작업자에게 요구되는 특성에 해당하는 전자부품이 수납된 수납통의 위치를 알려주는 알림유닛이 구비됨으로써, 작업자가 요구하는 수납통의 위치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자부품 분류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전자부품 분류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전자부품 분류장치의 분별유닛이 도시된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분별유닛이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의 분별유닛의 동작상태가 도시된 개략도이다.
도 6은 도 1의 전자부품 분류장치의 수납유닛 및 알림유닛이 도시된 측면도이다.
도 7은 도 1의 전자부품 분류장치의 제어블럭도이다.
도 8은 도 1은 전자부품 분류장치의 수납유닛이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1의 전자부품 분류장치에서 트레이의 분리여부를 감지하는 감지유닛이 도시된 개략도이다.
도 10은 도 9의 감지유닛의 동작상태가 도시된 개략도이다.
도 11은 도 1의 전자부품 분류장치에서 트레이의 분리여부를 감지하는 감지유닛의 다른 예가 도시된 개략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감지유닛의 동작상태가 도시된 개략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전자부품 분류장치의 수납유닛이 도시된 측면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전자부품 분류장치의 제어블럭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전자부품 분류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16은 도 15의 전자부품 분류장치의 제어블럭도이다.
도 17 및 도 18은 도 15의 전자부품 분류장치의 디스플레이장치에 표시되는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전자부품 분류장치의 수납유닛이 도시된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자부품 분류장치에 관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자부품 분류장치는, 전자부품(P)을 공급하는 공급유닛(10)과, 공급유닛(10)에 의하여 공급되는 전자부품(P)을 반송하는 반송유닛(20)과, 반송유닛(20)에 의하여 전자부품(P)이 반송되는 경로상에 설치되어 전자부품(P)의 특성을 검사하는 검사유닛(30)과, 검사유닛(30)의 검사결과에 따라 전자부품(P)을 특성 별로 선별하여 분배하는 분별유닛(40)과, 분별유닛(40)에 의하여 분별된 전자부품(P)이 특성 별로 나뉘어 수납되는 수납유닛(50)과, 요구되는 특성에 해당하는 전자부품(P)이 수납된 위치를 알려주는 알림유닛(60)과, 전자부품(P)을 분류하는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유닛(7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공급유닛(10)은 복수의 전자부품(P)이 수용되어 회전되는 볼피더(bowl feeder)(11)와, 볼피더(11)의 일측에 배치되며 볼피더(11) 내의 전자부품(P)이 반송유닛(20) 쪽으로 이송되는 것을 안내하는 컨베이어(1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볼피더(11) 내로 복수의 전자부품(P)이 반입되면, 볼피더(11) 내의 전자부품(P)은 볼피더(11)의 회전에 의하여 볼피더(11)의 원주방향으로 이동되다가 컨베이어(12)에 안내되어 순차적으로 반송유닛(20) 쪽으로 이송된다.
반송유닛(20)은 회전되는 턴테이블(21)과, 턴테이블(21)의 둘레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며 전자부품(P)이 안착되는 패드(22)와, 공급유닛(10)의 컨베이어(12)로 이송된 전자부품(P)을 픽업하여 패드(22)상에 안착시키는 이송장치(2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공급유닛(10)의 컨베이어(12)에 의하여 안내되어 반송유닛(20) 쪽으로 이송된 전자부품(P)은 이송장치(23)의 동작에 의하여 턴테이블(21)상의 패드(22)상에 안착된다. 그리고, 패드(22)상에 안착된 전자부품(P)은 턴테이블(21)의 회전에 의하여 턴테이블(21)의 원주방향으로 이동하면서 검사유닛(30)에 의하여 검사가 수행된다.
한편, 반송유닛(20)의 이송장치(23)는, 예를 들어, 흡착노즐(231) 및 흡착노즐(231)과 연결되는 부압장치(미도시)로 구성되어, 부압장치의 동작에 의한 흡인력에 의하여 흡착노즐(231)에 전자부품(P)을 부착시킨 후 흡착노즐(231)을 회전 및/또는 이동시키는 것에 의하여 전자부품(P)을 공급유닛(10)으로부터 반송유닛(20)으로 이송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검사유닛(30)은 턴테이블(21)의 회전에 의하여 턴테이블(21)의 원주방향으로 이동하는 전자부품(P)의 특성을 검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전자부품(P)이 발광다이오드가 되는 경우, 검사유닛(30)은 발광다이오드에 전류를 인가한 후 발광다이오드에서 발광되는 광의 휘도를 측정하는 제1검사부(31)와, 발광다이오드에 전류를 인가한 후 발광다이오드에서 발광되는 광의 색도를 측정하는 제2검사부(32)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1검사부(31) 및 제2검사부(32)에 의하여 검사된 복수의 발광다이오드는 그 휘도 및 색도의 특성에 따라 분류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별유닛(40)은, 검사유닛(30)에 의하여 검사가 완료된 전자부품(P)을 턴테이블(21)상의 패드(22)로부터 분리시키는 분리장치(41)와, 턴테이블(21)의 일측에 설치되며 분리장치(41)에 의하여 분리된 전자부품(P)이 유입되는 제1도관(42)과, 제1도관(42)과 연통되어 전자부품(P)이 토출되는 토출구(434)의 위치를 3차원상에서 변위하면서 전자부품(P)의 배출방향을 결정하는 제1분별장치(43)와, 제1분별장치(43)의 변위에 따른 제1분별장치(43)의 토출구(434)의 위치와 대응되는 위치에 복수의 관통홀(441)이 형성되는 제2분별장치(44)와, 제2분별장치(44)의 복수의 관통홀(441)과 각각 연결되는 복수의 제2도관(45)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1분별장치(43)는, 제1도관(42)과 연통되며 전자부품(P)이 유입되는 투입구(431)를 가지는 제1튜브(432)와, 제1튜브(432)와 연통되고 제1튜브(432)의 연장축(A)에 수직인 힌지축(433)(B)을 중심으로 회동이 가능하게 설치되며, 전자부품(P)이 토출되는 토출구(434)를 가지는 제2튜브(435)와, 제1튜브(432)를 제1튜브(432)의 연장축(A)을 중심으로 회동시키는 제1구동장치(436)와, 제2튜브(435)를 제1튜브(432)에 대하여 힌지축(433)(B)을 중심으로 회동시키는 제2구동장치(437)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2분별장치(44)는 제1분별장치(43)를 향하여 오목하게 형성되며 복수의 관통홀(441)이 관통되는 반구면(442)를 가진다.
제1분별장치(43)는 전자부품(P)의 특성에 따라 전자부품(P)이 토출되는 토출구(434)의 위치를 변경하며, 이에 따라, 제2분별장치(44)의 복수의 관통홀(441) 각각에는 전자부품(P)이 특성 별로 나뉘어 유입될 수 있다.
제1분별장치(43)가 전자부품(P)를 배출하는 방향을 조절하기 위하여, 제1구동장치(436)에 의하여 제1튜브(432)가 제1튜브(432)의 연장축(A)을 중심으로 회동될 수 있고, 제2튜브(435)가 제1튜브(432)와 연결되는 힌지축(433)(B)을 중심으로 회동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튜브(432)가 제1튜브(432)의 연장축(A)을 중심으로 회동되는 경우에는 제1분별장치(43)의 토출구(434)는 제1튜브(432)의 연장축(A)을 중심으로 공전한다. 그리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튜브(435)가 힌지축(433)(B)을 중심으로 회동되는 경우에는 제1분별장치(43)의 토출구(434)는 힌지축(433)(B)을 중심으로 공전한다. 이와 같은 두 개의 축(연장축(A) 및 힌지축(433)(B))을 중심으로 하는 제1분별장치(43)의 토출구(434)의 공전운동에 의하여, 제1분별장치(43)의 토출구(434)는 제2분별장치(44)의 반구면(442)의 상측에서 반구형으로 3차원적으로 변위되면서 제2분별장치(44)의 어느 하나의 관통홀(441)에 대응되도록 위치될 수 있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구동장치(436)는, 구동모터(436a)와, 구동모터(436a)와 연결되는 구동축(436b)과, 제1튜브(432)의 연장축(A)과 동심으로 연결되는 종동축(436c)과, 구동축(436b)과 종동축(436c)을 연결하는 벨트(436d)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2구동장치(437)는, 구동모터(437a)와, 구동모터(437a)와 연결되는 구동축(437b)과, 제2튜브(435)와 연결되는 힌지축(433)(B)과 동심으로 연결되는 종동축(437c)과, 구동축(437b)과 종동축(437c)을 연결하는 벨트(437d)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1튜브(432) 및 제2튜브(435)를 회동시키기 위한 구성으로, 구동모터(436a)(437a)의 구동력을 벨트(436d)(437d)를 통하여 전달하는 구조를 제시하고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구동모터(436a)(437a)의 구동력을 전달하기 위하여 링크, 기어 등이 구비되는 구성 등 제1튜브(432) 및 제2튜브(435)를 회동시키기 위한 다양한 구성이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턴테이블(21)의 원주방향으로 이동하면서 검사유닛(30)에 의하여 검사가 완료된 전자부품(P)이 분리장치(41)로 이동되면, 분리장치(41)는 전자부품(P)을 턴테이블(21)상의 패드(22)로부터 분리시켜 제1도관(42)으로 유입시킨다. 여기에서, 분리장치(41)는 전자부품(P)에 제1도관(42)의 입구를 향하는 방향으로 압력유체를 분사하여 전자부품(P)을 패드(22)로부터 분리시킴과 동시에 제1도관(42)으로 유입시키는 구성이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전자부품(P)이 제1도관(42)을 통하여 제1분별장치(43)로 유입되기 전에, 제1분별장치(43)는 그 출구가 제2분별장치(44)의 복수의 관통홀(441) 중 해당 전자부품(P)이 유입될 제2분별장치(44)의 관통홀(441)을 향하도록 변위한다. 제1분별장치(43)의 변위는 검사유닛(30)의 검사결과에 따라 이루어지며, 이에 따라, 제1도관(42)을 통하여 제1분별장치(43)로 유입되고 제1분별장치(43)의 출구로부터 배출되는 전자부품(P)은 각 특성 별로 나뉘어져 제2분별장치(44)의 관통홀(441)로 분류되어 유입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분별유닛(40)은, 토출구(434)가 복수의 관통홀(441) 중 어느 하나의 관통홀(441)을 향하는 위치에 위치될 수 있도록 제2분별장치(44)의 반구면(442)상에서 제1분별장치(43)의 제1튜브(432)와 제2튜브(435)가 각각 회동된다. 따라서, 토출구(434)의 위치는 반구면의 형태로 3차원적으로 변위되므로, 토출구(434)의 위치를 수평면의 형태로 2차원적으로 변위시키는 것에 비하여 토출구(434)의 위치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변위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1튜브(432)는 제1튜브(432)의 연장축(A)을 중심으로 회동되고, 제2튜브(435)는 제1튜브(432)의 연장축(A)에 수직인 힌지축(433)(B)을 중심으로 회동되는 구성이므로, 토출구(434)의 위치를 수평면의 형태로 2차원적으로 변위시키는 것에 비하여 토출구(434)의 위치를 변위시키기 위한 구성을 단순화할 수 있고 크기를 축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1분별장치(43)가 제1튜브(432)와 제2튜브(435)로 나뉘어 구성되고 제1튜브(432)와 제2튜브(435)가 동시에 회동되면서 토출구(434)의 위치를 각 관통홀(441)의 위치에 대응되도록 신속하게 변위시킬 수 있으므로, 전자부품(P)을 각 특성 별로 분별하는 과정을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2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납유닛(50)은 수납유닛(50)에 마련되는 수용공간(51) 내에 배치되며 복수의 제2도관(45)이 연결되는 연결플레이트(53)와, 연결플레이트(53)를 통하여 제2도관(45)과 각각 연결되는 복수의 수납통(54)과, 복수의 수납통(54)을 수용하는 트레이(55)와, 트레이(55)를 수납유닛(50)의 수용공간(51)으로 삽입시키는 방향 및 수납유닛(50)의 수용공간(51)으로부터 제거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장치(56)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검사유닛(30)의 검사결과에 따라 제1분별장치(43) 및 제2분별장치(44)에 의하여 분별되어 복수의 제2도관(45)으로 유입된 전자부품(P)은 각 특성 별로 복수의 수납통(54)에 나뉘어 수납된다.
연결플레이트(53)는 복수의 제2도관(45)을 지지하는 것과 아울러 복수의 수납통(54)이 수용된 트레이(55)가 수납유닛(50)의 수용공간(51)에 삽입되는 경우 복수의 제2도관(45)과 복수의 수납통(54)이 서로 연통될 수 있도록 트레이(55)의 이동을 안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작업자가 요구하는 특성을 가지는 전자부품(P)을 추후의 작업을 위하여 반송하고자 하는 경우, 작업자는 전자부품 분류장치에 의한 전자부품(P)의 분류동작을 중지시키고 트레이(55)를 수납유닛(50)의 수용공간(51)으로부터 제거하고 복수의 수납통(54) 중 요구되는 특성을 가지는 전자부품(P)이 수납된 수납통(54)을 트레이(55)로부터 제거한 후 그 수납통(54)을 추후의 작업을 위하여 반송하는 과정으로 진행된다.
알림유닛(60)은 작업자가 요구하는 특성을 가지는 전자부품(P)을 선택하면 트레이(55)에 수용된 복수의 수납통(54) 중 요구되는 특성을 가지는 전자부품(P)이 수납된 수납통(54)의 위치를 작업자에게 알려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를 위하여 알림유닛(60)은 복수의 수납통(54)에 각각 배치되어 수납통(54)을 승강시키는 승강장치(61)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승강장치(61)는 복수의 수납통(54)에 각각 연결되어 복수의 수납통(54)을 개별적으로 승강시키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승강장치(61)는 각 수납통(54)의 일측에 배치되는 유압식 실린더, 공압식 실린더, 볼스크류 장치, 리니어모터와 같이 수납통(54)을 승강시킬 수 있는 기계식 및/또는 전기식 장치 등 다양한 구성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유닛(70)은 작업자에 의하여 요구되는 특성에 해당하는 전자부품(P)이 수납된 수납통(54)의 위치를 표시하라는 신호가 입력되는 입력부(71)와, 입력부(71)로의 입력신호에 따라 승강장치(61)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7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어유닛(70)의 입력부(71)는 컴퓨터와 연결된 키보드나 마우스가 될 수 있으며, 기타 요구하는 특성에 해당하는 전자부품(P)이 수납된 수납통(54)의 위치를 표시하라는 신호를 입력할 수 있는 다양한 구성이 적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작업자가 요구되는 특성에 해당하는 전자부품(P)이 수납된 수납통(54)의 위치를 표시하라는 신호를 입력부(71)로 입력하면, 입력부(71)로의 입력신호에 의하여 제어부(72)는 복수의 수납통(54) 중 요구되는 전자부품(P)이 수납된 수납통(54)과 연결된 승강장치(61)를 동작시켜 요구되는 전자부품(P)이 수납된 수납통(54)을 상승시키거나 하강시키도록 한다. 이에 따라, 요구되는 전자부품(P)이 수납된 수납통(54)의 높이는 다른 수납통(54)들에 비하여 높거나 낮아지게 되므로 작업자가 해당 수납통(54)의 위치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다. 즉, 도 6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가 요구하는 수납통(54)이 승강장치(61)의 동작에 의하여 상승하는 경우에는, 해당 수납통(54)의 높이가 다른 수납통(54)들에 비하여 높아지게 되므로 작업자가 해당 수납통(54)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발견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작업자가 해당 수납통(54)에 수납된 전자부품(P)을 추후의 작업을 위한 위치로 신속하고 용이하게 반송할 수 있다.
한편, 제어유닛(70)은 트레이(55)를 이동시키는 이동장치(56)와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작업자가 요구되는 특성에 해당하는 전자부품(P)이 수납된 수납통(54)의 위치를 표시하라는 신호를 입력부(71)로 입력하면, 입력부(71)로의 입력신호에 따라 제어부(72)는 이동장치(56)를 동작하여 트레이(55)를 수납유닛(50)의 수용공간(51)으로부터 분리시키는 동작을 제어한 이후 또는 동시에 승강장치(61)를 동작하여 요구되는 특성을 가지는 전자부품(P)이 수납된 수납통(54)을 상승시키거나 하강시키는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6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의 입력신호에 의하여 트레이(55)가 수납유닛(50)의 수용공간(51)으로부터 자동으로 분리된 상태에서 작업자가 요구하는 수납통(54)이 상승되거나 하강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작업자가 해당 수납통(54)을 트레이(55)로부터 제거하여 수납통(54)에 수납된 전자부품(P)을 추후의 작업을 위한 위치로 반송시키는 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도 9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레이(55)가 수납유닛(50)의 수용공간(51)으로부터 분리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유닛(90)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지유닛(90)은, 트레이(55)의 적어도 일면에서 돌출되는 돌출부재(91)와, 트레이(55)의 이동에 따른 돌기(91)의 이동경로상에 배치되는 회전부재(92)와, 회전부재(92)의 회전을 감지하는 센서(9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회전부재(92) 및 센서(93)는 트레이(55)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되는 지지프레임(59)상에 설치될 수 있으며, 회전부재(92)는 트레이(55)가 수납유닛(50)의 수용공간(51)으로부터 완전히 분리될 때 돌출부재(91)의 이동에 의하여 회전될 수 있는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레이(55)가 수납유닛(50)의 수용공간(51)으로부터 완전히 분리되는 경우 회전부재(92)는 돌출부재(91)의 이동에 의하여 회전되며, 회전부재(92)의 회전을 센서(93)가 감지하는 것을 통하여 트레이(55)가 수납유닛(50)의 수용공간(51)으로부터 분리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지유닛(90)은, 트레이(55)에 배치되는 제1센서(94)와, 트레이(55)의 이동에 따른 제1센서(94)의 이동경로상에 배치되는 제2센서(9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2센서(95)는 트레이(55)가 수납유닛(50)의 수용공간(51)으로부터 완전히 분리될 때 제1센서(94)를 감지할 수 있는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제1센서(94) 및 제2센서(95) 중 어느 하나는 발광센서가 될 수 있으며, 다른 하나는 수광센서가 될 수 있다. 제1센서(94) 및 제2센서(95)가 광학센서로 이루어지는 구성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음파센서 등 다양한 구성이 적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레이(55)가 수납유닛(50)의 수용공간(51)으로부터 완전히 분리되는 경우 제1센서(94)와 제2센서(95)가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위치됨에 따라 트레이(55)가 수납유닛(50)의 수용공간(51)으로부터 분리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구성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감지유닛(90)으로 다양한 기계식, 광학식, 전기식 또는 전자식 장치가 구성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자부품 분류장치는 전자부품(P)이 각 특성 별로 나뉘어 수납되는 복수의 수납통(54) 중 작업자가 요구하는 특성을 가지는 전자부품(P)이 수납된 수납통(54)을 상승시키거나 하강시키는 것을 통하여 작업자가 요구하는 수납통(54)의 위치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전자부품 분류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에서 설명한 부분과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전자부품 분류장치는, 수납통(54)에 수납된 전자부품(P)의 수량을 측정하는 수량측정유닛(8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수량측정유닛(80)은, 트레이(55)에 수용된 복수의 수납통(54)과 각각 연결되어 각 수납통(54)의 무게를 측정하는 무게측정센서(81)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무게측정센서(81)는 각 수납통(54)의 하측에 배치되어 수납통(54)으로부터 가해진 하중에 따른 변형량을 전기신호로 검출하고, 검출된 전기신호를 근거로 가해진 하중을 측정하는 로드셀(load cell)로 구성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무게측정센서(81)가 로드셀로 구성되는 것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무게측정센서(81)로 각 수납통(54) 및 각 수납통(54)에 수납된 전자부품(P)의 무게를 측정할 수 있는 기계식, 전기식 또는 전자식 센서 등 다양한 구성이 적용될 수 있다.
제어유닛(70)은 무게측정센서(81)에서 측정된 전자부품(P)을 포함한 수납통(54)의 무게로부터 수납통(54)의 자체의 무게를 감산하고, 감산된 무게를 전자부품(P)의 단위무게로 나누어 각 수납통(54)에 수납된 전자부품(P)의 수량을 측정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수량측정유닛(80)이 무게측정센서(81)를 포함하는 구성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수량측정유닛(80)으로, 검사유닛(30)과 연결되어 특정의 특성을 가지는 전자부품(P)의 수량을 측정하는 장치, 분별유닛(40)과 연결되어 분별유닛(40)에 의하여 특정 수납통(54)으로 분배되는 전자부품(P)의 수량을 측정하는 장치, 분별유닛(40)의 복수의 제2도관(45)에 연결되어 각각의 제2도관(45)을 통과하는 전자부품(P)의 수량을 측정하는 장치 등 각 수납통(54)에 수납되는 전자부품(P)의 수량을 측정할 수 있는 다양한 장치가 적용될 수 있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유닛(70)은 작업자에 의하여 요구되는 특성에 해당하는 전자부품(P)이 수납된 수납통(54)의 위치를 표시하라는 신호가 입력되는 입력부(71)와, 입력부(71)로의 입력신호에 따라 알림유닛(6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7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어유닛(70)은 알림유닛(60)을 동작을 제어하여 작업자의 입력신호에 의하여 복수의 수납통(54) 중 작업자가 요구하는 전자부품(P)이 수납된 수납통(54)의 위치를 작업자에게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수납통(54)의 수납용적은 소정의 한계가 있으므로, 소정의 수량의 전자부품(P)이 수납된 후에는 전자부품(P)이 수납통(54)에 수납될 수 없고, 해당 전자부품(P)을 수납하기 위해서는 수납통(54)의 교체가 필요하다. 따라서, 작업자에 의한 입력부(71)로의 별도의 입력신호가 없는 경우에도, 제어유닛(70)은 수량측정유닛(80)에 의하여 측정된 수량을 미리 설정된 기준수량과 비교하여, 측정된 수량이 기준수량과 일치하는 경우에는 전자부품 분류장치의 동작을 멈추고, 알림유닛(60)의 동작을 제어하여 작업자로 하여금 전자부품(P)이 기준수량으로 수납된 수납통(54)의 위치를 알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제어유닛(70)은 트레이(55)를 이동시키는 이동장치(56)와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유닛(70)은, 수량측정유닛(80)에 의하여 측정된 수납통(54)에 수용된 전자부품(P)의 수량이 기준수량과 일치하는 경우, 트레이(55)가 수납유닛(50)의 수용공간(51)으로부터 자동적으로 분리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수납유닛(50)의 수용공간(51)으로부터 분리된 트레이(55)로부터 알림유닛(60)에 의하여 표시된 수납통(54)을 제거하고 빈 수납통(54)를 트레이(55)에 장착하는 단순한 교체과정을 통하여 전자부품(P)이 기준수량으로 수납된 수납통(54)을 용이하고 신속하게 교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전자부품 분류장치는, 수납통(54)의 무게 및 수납통(54)에 수납된 전자부품(P)의 무게를 측정하는 무게측정센서(81)를 구비하고, 무게측정센서(81)에 의하여 측정된 무게로부터 각 수납통(54)에 수납된 전자부품(P)의 수량을 측정함으로써, 수납통(54)에 수납된 전자부품(P)의 수량을 보다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전자부품 분류장치는, 수량측정유닛(80)에 의하여 측정된 수납통(54)에 수납된 전자부품(P)의 수량이 미리 설정된 기준수량과 일치하는 경우에 알림유닛(60)이 동작하도록 함으로써, 수납통(54)의 교체를 용이하고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도 15 내지 도 1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전자부품 분류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에서 설명한 부분과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전자부품 분류장치는, 알림유닛(60)이 복수의 수납통(54)의 위치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장치(6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장치(62)는 일반적인 모니터가 적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장치(62)는 트레이(55)에 수용된 복수의 수납통(54)의 위치를 작업자가 알 수 있도록 표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유닛(70)은 작업자에 의하여 요구되는 특성에 해당하는 전자부품(P)이 수납된 수납통(54)의 위치를 표시하라는 신호가 입력되는 입력부(71)와, 입력부(71)로의 입력신호에 따라 디스플레이장치(62)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7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작업자가 요구되는 특성에 해당되는 전자부품(P)이 수납된 수납통(54)의 위치를 표시하라는 신호를 입력부(71)로 입력하면, 입력부(71)로의 입력신호에 따라 제어부(72)는 디스플레이장치(62)에 요구되는 특성에 해당하는 전자부품(P)이 수납된 수납통(54)의 위치를 다른 수납통(54)의 위치와 시각적으로 식별되도록 표시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장치(62)의 동작을 제어한다.
여기에서, 요구되는 특성에 해당하는 전자부품(P)이 수납된 수납통(54)의 위치와 다른 수납통(54)의 위치가 시각적으로 식별되도록 하는 디스플레이장치(62)의 동작은, 예를 들면, 복수의 수납통(54)의 이미지(541)(542)를 표시한 화면상에서 요구되는 전자부품(P)이 수납된 수납통(54)의 이미지(542)의 색깔을 다른 수납통(54)의 이미지(541)의 색깔과 다른 색깔로 변경하는 동작, 요구되는 전자부품(P)이 수납된 수납통(54)의 이미지(542)만을 깜빡이도록 표시하는 동작, 또는, 트레이(55)에 복수의 수납통(54)이 직교좌표상으로 배치된 경우 요구되는 전자부품(P)이 수납된 수납통(54)의 좌표를 표시하는 동작 등 다양한 동작이 적용될 수 있다. 도 17은 디스플레이장치(62)에 복수의 수납통(54)의 각 위치에 대응되도록 복수의 수납통(54)의 이미지(541)(542)가 표시되고, 복수의 수납통(54) 중 사용자가 요구하는 특성을 가지는 전자부품(P)이 수납된 수납통(54)의 이미지(542)가 깜빡이는 동작상태를 예로서 도시한 것이다.
한편,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장치(62)는 수량측정유닛(80)을 이용하여 측정한 각 수납통(54)에 수납된 전자부품(P)의 수량을 각 수납통(54) 별로 표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전자부품(P)의 분류과정 중 전자부품(P)이 미리 설정된 기준수량과 일치하는 수량으로 수납된 수납통(54)을 다른 수납통(54)과 시각적으로 식별되도록 표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장치(62)는 각 수납통(54)의 식별번호(1 에서 128)를 표시하고, 각 식별번호에 대응되는 수납통(54)에 수납된 전자부품(P)의 수량을 작업자가 알 수 있도록 하나의 표로서 표시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전자부품 분류장치는, 작업자가 추후의 작업을 위하여 소정의 특성을 가지는 전자부품(P)만이 수납된 수납통(54)을 수납유닛(50)의 수용공간(51)으로부터 제거하고자 하는 경우, 해당 수납통(54)을 표시하라는 입력신호를 입력부(71)에 입력하면, 디스플레이장치(62)는 해당 수납통(54)의 이미지(542)를 다른 수납통(54)의 이미지(541)와 식별되도록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가 디스플레이장치(62)를 육안으로 확인하여 트레이(55)에 수용된 복수의 수납통(54) 중 해당 수납통(54)의 위치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다.
이하, 도 1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전자부품 분류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 내지 제3실시예에서 설명한 부분과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전자부품 분류장치는, 알림유닛(60)이 복수의 수납통(54)에 각각 배치되어 수납통(54)에 광(L)을 조사하는 복수의 발광장치(6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어유닛(70)은 작업자에 의하여 요구되는 특성에 해당하는 전자부품(P)이 수납된 수납통(54)의 위치를 표시하라는 신호가 입력되는 입력부(71)와, 입력부(71)로의 입력신호에 따라 발광장치(63)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7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발광장치(63)는, 복수의 수납통(54)에 개별적으로 광(L)을 조사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발광장치(63)는 각 수납통(54)의 일측에 배치되는 전구, 발광다이오드, 레이저광발생기 등 수납통(54)에 광(L)을 조사할 수 있는 다양한 구성이 적용될 수 있다. 수납통(54)은 발광장치(63)로부터 발광된 광(L)에 의하여 시각적으로 색깔이 변화될 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작업자가 요구되는 특성에 해당하는 전자부품(P)이 수납된 수납통(54)의 위치를 표시하라는 신호를 입력부(71)로 입력하면, 입력부(71)로의 입력신호에 의하여 제어부(72)는 복수의 수납통(54) 중 요구되는 전자부품(P)이 수납된 수납통(54)에 인접하게 배치된 발광장치(63)를 동작시켜 요구되는 전자부품(P)이 수납된 수납통(54)에 광(L)을 조사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요구되는 전자부품(P)이 수납된 수납통(54)은 발광장치(63)로부터 조사되는 광(L)에 의하여 색깔이 변화되어 다른 수납통(54)과 시각적으로 식별될 수 있으므로, 작업자가 해당 수납통(54)의 위치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작업자가 요구되는 전자부품(P)이 수납된 수납통(54)을 용이하게 식별해낼 수 있도록, 발광장치(63)는 간헐적으로 깜빡이는 광을 발광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연속적인 광을 발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어유닛(70)은 트레이(55)를 이동시키는 이동장치(56)와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작업자가 요구되는 특성에 해당하는 전자부품(P)이 수납된 수납통(54)의 위치를 표시하라는 신호를 입력부(71)로 입력하면, 입력부(71)로의 입력신호에 따라 제어부(72)는 이동장치(56)를 동작하여 트레이(55)를 수납유닛(50)의 수용공간(51)으로부터 분리시키는 동작한 이후 또는 동시에 발광장치(63)를 동작하여 요구되는 특성을 가지는 전자부품(P)이 수납된 수납통(54)에 광을 조사하는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작업자의 입력신호에 의하여 트레이(55)가 수납유닛(50)의 수용공간(51)으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 작업자가 요구하는 수납통(54)이 발광장치(63)로부터 발광되는 광에 의하여 색깔이 변한 상태를 유지하므로, 작업자가 해당 수납통(54)을 트레이(55)로부터 제거하여 수납통(54)에 수납된 전자부품(P)을 추후의 작업을 위한 위치로 반송시키는 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전자부품 분류장치는 전자부품(P)이 각 특성 별로 나뉘어 수납되는 복수의 수납통(54) 중 작업자가 요구하는 특성을 가지는 전자부품(P)이 수납된 수납통(54)에 광을 조사하는 것을 통하여 작업자가 요구하는 수납통(54)의 위치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설명한 기술적 사상들은 각각 독립적으로 실시될 수 있으며, 서로 조합되어 실시될 수 있다.
10: 공급유닛 20: 반송유닛
30: 검사유닛 40: 분별유닛
43: 제1분별장치 44: 제2분별장치

Claims (6)

  1. 전자부품을 반송하는 반송유닛과,
    상기 반송유닛에 의하여 반송되는 전자부품의 반송경로상에 설치되어 상기 전자부품의 특성을 검사하는 검사유닛과,
    상기 검사유닛의 검사결과에 따라 상기 전자부품을 분별하는 분별유닛과,
    상기 분별유닛에 의하여 분별된 전자부품이 나뉘어 수납되는 복수의 수납통, 상기 복수의 수납통을 수용하는 트레이, 상기 트레이가 수용공간으로 삽입되는 방향 및 상기 수용공간으로부터 분리되는 방향으로 상기 트레이를 이동시키는 이동장치를 포함하는 수납유닛과,
    상기 각 수납통에 수납되는 전자부품의 수량을 측정하는 수량측정유닛과,
    상기 복수의 수납통을 개별적으로 승강시키도록 구성되는 승강장치를 포함하는 알림유닛과,
    상기 수량측정유닛에 의하여 측정된 상기 수납통에 수용된 전자부품의 수량이 기준수량과 일치하는 경우, 상기 이동장치를 제어하여 상기 트레이를 상기 수납유닛의 수용공간으로부터 자동으로 분리시키고, 상기 승강장치를 제어하여 상기 수납통을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제어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부품 분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별유닛은,
    상기 전자부품이 토출되는 토출구를 구비하고, 상기 토출구의 위치를 반구형으로 3차원상에서 변위시키면서 상기 전자부품의 배출방향을 결정하는 제1분별장치; 및
    상기 제1분별장치를 향하여 오목한 반구면을 가지며, 상기 제1분별장치의 토출구의 각 위치와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제1분별장치로부터 배출된 전자부품이 유입되는 복수의 관통홀이 형성되는 제2분별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부품 분류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분별장치는,
    상기 전자부품이 유입되는 투입구를 가지는 제1튜브;
    상기 제1튜브와 연통되고 상기 제1튜브의 연장축에 수직인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동이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토출구가 구비되는 제2튜브;
    상기 제1튜브를 상기 제1튜브의 연장축을 중심으로 회동시키는 제1구동장치; 및
    상기 제2튜브를 상기 제1튜브에 대하여 상기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동시키는 제2구동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부품 분류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유닛의 수용공간으로부터의 상기 트레이의 분리여부를 감지하는 감지유닛을 포함하는 전자부품 분류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수량측정유닛은 상기 각 수납통의 무게를 측정하는 무게측정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부품 분류장치.
  6. 삭제
KR1020100047627A 2010-05-20 2010-05-20 전자부품 분류장치 KR1017425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7627A KR101742507B1 (ko) 2010-05-20 2010-05-20 전자부품 분류장치
TW099124540A TW201142321A (en) 2010-05-20 2010-07-26 Apparatus for sorting electronic parts
CN2010102765989A CN102247951A (zh) 2010-05-20 2010-09-06 用于对电子部件进行分类的设备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7627A KR101742507B1 (ko) 2010-05-20 2010-05-20 전자부품 분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8035A KR20110128035A (ko) 2011-11-28
KR101742507B1 true KR101742507B1 (ko) 2017-06-02

Family

ID=449757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7627A KR101742507B1 (ko) 2010-05-20 2010-05-20 전자부품 분류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1742507B1 (ko)
CN (1) CN102247951A (ko)
TW (1) TW201142321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1200B1 (ko) * 2012-09-28 2018-12-24 (주)큐엠씨 전자부품 검사 및 분류장치
TWI555584B (zh) * 2014-03-04 2016-11-01 All Ring Tech Co Ltd Sorting machine shunt discharge pipe quick release method and device
CN104117488A (zh) * 2014-03-27 2014-10-29 深圳市良机自动化设备有限公司 一种半导体器件的高速测试分选设备
TWI590876B (zh) * 2015-10-23 2017-07-11 All Ring Tech Co Ltd Electronic component classification method and device
TWI576220B (zh) * 2016-04-22 2017-04-01 All Ring Tech Co Ltd Material to undertake the collection device
CN106824827A (zh) * 2017-02-17 2017-06-13 浙江工业大学 球形物料送检分类装置的分类机构
CN106670125A (zh) * 2017-02-17 2017-05-17 诸暨市奇剑智能科技有限公司 珍珠送检分类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19002A (ja) 2004-02-06 2005-08-18 Unitec:Kk 素子分別収納装置
JP2006078347A (ja) * 2004-09-09 2006-03-23 Shibuya Kogyo Co Ltd 電子部品の分類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03342A (ja) * 2005-06-23 2007-01-11 Ueno Seiki Kk 電子部品の検査分類装置
US7973259B2 (en) * 2007-05-25 2011-07-05 Asm Assembly Automation Ltd System for testing and sorting electronic components
CN201454870U (zh) * 2009-07-22 2010-05-12 咸阳文林机电设备制造有限公司 一种全自动led芯片分选机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19002A (ja) 2004-02-06 2005-08-18 Unitec:Kk 素子分別収納装置
JP2006078347A (ja) * 2004-09-09 2006-03-23 Shibuya Kogyo Co Ltd 電子部品の分類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247951A (zh) 2011-11-23
TW201142321A (en) 2011-12-01
KR20110128035A (ko) 2011-1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42507B1 (ko) 전자부품 분류장치
KR20110128052A (ko) 전자부품 분류장치
JP4805285B2 (ja) 電子部品を検査し、且つ選別するためのシステム
CN201235348Y (zh) 电子元件检测包装机
KR101251462B1 (ko) 농산물 선별 장치
CN112623674B (zh) 一种基于ccd相机外观检测的输送设备
WO2009102964A2 (en) Apparatus for testing containers, tray for holding cylinders and suction-basedchuck for robotic arm
KR101960662B1 (ko) 물품분류장치 및 그 운전방법
KR20180070468A (ko) 칩 부품 반송 장치
CN117133690B (zh) 全自动切割分选一体划片机
CN220160595U (zh) 基于视觉检测的质量检验分拣设备
KR20010000374A (ko) 발광 다이오드의 검사장치
KR20020076553A (ko) 반도체 패키지의 마킹장치
KR101931200B1 (ko) 전자부품 검사 및 분류장치
KR101450444B1 (ko) 소팅된 반도체 패키지의 임시 저장 장치, 이를 포함하는 반도체 패키지 적재 장치 및 그 반도체 패키지 적재 장치의 구동 방법
KR20100045230A (ko) 발광소자 테스트 핸들러
JPH10279067A (ja) ハンドラのトレイ搬送装置
JP2014024623A (ja) ワークの分類装置
CN220547302U (zh) 筛料装置
CN220005011U (zh) 一种摄像头电路板电性自动检测设备
CN220574070U (zh) 一种产品外观缺陷检测装置
KR100403828B1 (ko) 엘이디용 전자부품 케이스 자동정렬장치 및 그 방법
KR20110125965A (ko) 전자부품 분류장치
JP5154158B2 (ja) 搬送装置およびピッキング設備
CN113654731A (zh) 测量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