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7403B1 - 다점 지지구조의 럼버 서포트 장치 - Google Patents

다점 지지구조의 럼버 서포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7403B1
KR101737403B1 KR1020160056853A KR20160056853A KR101737403B1 KR 101737403 B1 KR101737403 B1 KR 101737403B1 KR 1020160056853 A KR1020160056853 A KR 1020160056853A KR 20160056853 A KR20160056853 A KR 20160056853A KR 101737403 B1 KR101737403 B1 KR 1017374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ck plate
support frame
angle
plate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68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재열
허철
신세길
남향모
이상호
최호영
김영환
김민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금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금창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금창
Priority to KR10201600568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740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74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74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64Back-rests or cushions
    • B60N2/66Lumbar supports
    • B60N2/666Lumbar supports vertically adjus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64Back-rests or cushions
    • B60N2/66Lumbar suppo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25/00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cams, cam-followers and screw-and-nut mechanisms
    • F16H25/18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cams, cam-followers and screw-and-nut mechanisms for conveying or interconverting oscillating or reciprocating motions
    • F16H25/20Screw mechanis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등받이 시트 내부에 설치되어 승객의 요추를 지지하는 등판 플레이트의 지지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럼버 서포트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차량의 등받이 시트의 내부 중 차량의 시트 프레임에 고정설치되는 지지프레임 및 상기 지지프레임의 전방에 설치되고, 상단부가 상기 지지프레임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등판 플레이트 및 상기 지지프레임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등판 플레이트의 폭 방향의 다수의 지점에 지지되어 상기 등판 플레이트의 하단부 일측을 가압 또는 가압해제함에 따라 상기 등판 플레이트의 회동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 조절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등판 플레이트의 지지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 조절부가 등판 플레이트의 다수 지점에 지지되어 승객의 하중이 분산 지지됨에 따라 각도 조절부에 과중한 하중이 부가되지 않아 이에 따른 럼버 서포트 장치의 내구성이 크게 향상된다.

Description

다점 지지구조의 럼버 서포트 장치{lumber support device with multi point supporting structure}
본 발명은 차량의 등받이 시트 내부에 설치되어 승객의 요추를 지지하는 등판 플레이트의 지지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럼버 서포트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등판 플레이트의 지지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 조절부가 등판 플레이트의 다수 지점에 지지되어 승객의 하중을 분산 지지하는 구조로 인해 내구성이 크게 향상된 다점 지지구조의 럼버 서포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시트(Seat)는 차량의 내부에 탑승한 승객이 안전하고 편안하게 위치할 수 있도록 승객의 신체 조건에 따라 시트의 위치나 각도 등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시트는 승객의 등받이 부분으로서 시트 백(Seat back)을 포함하며, 시트 백은 패드(Pad)로서 승객의 등을 편안하게 감싸주는 기능을 함과 동시에 승객의 요추부분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사람의 요추부분은 일반적으로 사람의 등 표면보다 안쪽으로 함몰된 형상을 가짐에 따라 이러한 사람의 신체조건에 맞게 시트 백 역시 일정한 굴곡이 요구되는 바, 이러한 사람의 신체조건에 부합되도록 시트 백의 형상을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 차량용 럼버 서포트 장치이다.
한국등록특허 제 0462492호에는 승객의 허리를 지지할 수 있도록 판 형상으로 형성된 요추지지판(11)과, 상기 요추지지판(11)의 후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고정되어 중앙에서 양쪽 후방으로 각각 경사지게 배치된 ‘ㄷ’자 형상의 와이어(12a, 12b)와 상기 와이어(12a, 12b)의 선단이 상하로 대칭 형상인 홀부(15a)에 끼움 고정되고, 회전축(18)의 좌우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작동수단인 가이드 블록(14a, 14b)과, 상기 가이드 블록(14a, 14b)의 스크류홀(15c)과 치합될 수 있도록 나사산이 형성된 스크류(16a, 16b)와, 덮개 형상으로 시트백 프레임(20)에 고정되며, 상기 가이드 블록(14a, 14b)의 회전을 구속하여 그 가이드 블록(14a, 14b)이 상기 스크류(16a, 16b)를 따라 좌우 왕복 이동 가능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 브라켓(19a, 19b)과, 사이드 브라켓(30)에 수평으로 관통되고, 상기 스크류(16a, 16b)가 각각 양측 소정부위에 형성되며, 일단의 작동 레버(17)에 의해 회전작동을 하는 회전축(18)을 포함하는 차량용 럼버서포트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한국등록특허 제 0462492호는 판 형상으로 형성된 요추지지판(11)에 승객의 허리가 지지되는 구조로 인해 승객의 하중이 다방향으로 분산되지 않고, 요추지지판(11)에 집중적으로 인가됨에 따라 요추지지판(11)이 버틸 수 있는 하중의 한계를 초과하여 쉽게 파손되는 등 내구성에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한국등록특허 제 0462492호 “자동차용 럼버서포트 장치”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등판 플레이트의 지지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 조절부가 등판 플레이트에 다수 지점에 지지되어 승객의 하중을 분산 지지하는 구조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 다점 지지구조의 럼버 서포트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의 등받이 시트의 내부 중 차량의 시트 프레임에 고정설치되는 지지프레임 및 상기 지지프레임의 전방에 설치되고, 상단부가 상기 지지프레임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등판 플레이트 및 상기 지지프레임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등판 플레이트의 폭 방향의 다수의 지점에 지지되어 상기 등판 플레이트의 하단부 일측을 가압 또는 가압해제함에 따라 상기 등판 플레이트의 회동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 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점 지지구조의 차량용 럼버 서포트 장치가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각도 조절부가 지지되는 상기 등판 플레이트의 일측에는 상기 등판 플레이트의 폭 방향을 따라 보강 플레이트가 더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각도 조절부는 봉 형상으로서 상기 지지프레임의 폭 방향을 따라 설치되되, 외주면에 일정 간격 이격되게 설치되고, 서로 다른 회전방향을 가지는 나사산이 각각 형성된 한 쌍의 스크류부를 1조로 하여 복수 조가 일정 간격 이격되게 형성되는 회전봉 및 상기 회전봉을 관통하여 상기 한 쌍의 스크류부에 각각 나사결합되는 한 쌍의 이송블럭을 1조로하는 복수 조의 이송블럭부 및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중앙이 상기 등판 플레이트의 하단부 일측에 지지되고, 상호 대향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되는 양단이 상기 한 쌍의 이송블럭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개의 각도 조절플레이트 및 상기 회전봉 일측에 결합되고, 상기 회전봉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회전력 제공수단을 포함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등판 플레이트의 지지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 조절부가 등판 플레이트의 다수 지점에 지지되어 승객의 하중이 분산 지지됨에 따라 각도 조절부에 과중한 하중이 부가되지 않아 이에 따른 럼버 서포트 장치의 내구성이 크게 향상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점 지지구조의 차량용 럼버 서포트 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을 A방향에서 바라본 각도 조절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3a, 도 3b,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점 지지구조의 차량용 럼버 서포트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점 지지구조의 차량용 럼버 서포트 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을 A방향에서 바라본 각도 조절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점 지지구조의 럼버 서포트 장치(1)는 차량의 등받이 시트의 내부에 설치되고, 차량에 탑승하는 승객의 허리를 안정적으로 지지함과 동시에 다양한 각도로 조절되어 차량의 등받이 시트의 굴곡이 조절됨에 따라 승객이 최적의 편안한 자세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지지프레임(10), 등판 플레이트(20) 및 각도 조절부(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지지프레임(10)는 금속 재질의 환봉을 절곡하여 대략 직사각형 형상의 틀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차량의 등받이 시트 내부에 설치되되, 하단이 차량의 시트 프레임에 고정설치되며, 양측 하단부 일측에는 폭 방향을 따라 설치 플레이트(11)의 양단이 고정 설치된다.
그리고, 설치 플레이트(11)에는 폭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되게 관통공(12a)이 형성된 한 쌍의 설치 브라켓(12)이 설치된다.
여기서, 지지프레임(10)은 럼버 서포트 장치를 안정적으로 지지함과 아울러 후술하는 등판 플레이트(20)의 설치영역을 제공하고, 설치 플레이트(11)는 후술하는 각도 조절부(30)의 설치 영역을 제공하며, 설치 브라켓(12)은 후술하는 각도 조절부(30)의 회전봉(31)이 설치되는 영역을 제공한다.
등판 플레이트(20)는 대략 직사각형의 플레이트 형상으로서 지지프레임(10)의 전방에 배치되되, 상단 일측에 형성된 한 쌍의 결합홈(21)이 지지프레임(10)의 상단부에 삽입되어 하단부가 지지프레임(10)의 전방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등판 플레이트(20)는 후술하는 각도 조절부(30)가 지지되는 일측에 폭 방향을 따라 보강 플레이트(22)가 더 설치되며, 이러한 보강 플레이트(22)는 등판 플레이트(20)에 지지되어 등판 플레이트(20)를 전방으로 가압 또는 가압해제하는 각도 조절부(30)에 의해 등판 플레이트(20)에 휨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위와 같은 등판 플레이트(20)는 차량에 탑승하는 승객의 요추를 지지하는 기능을 제공함과 아울러 후술하는 각도 조절부(30)에 의해 하단부의 회동 각도가 조절됨에 따라 등받이 시트의 굴곡을 조절함으로써, 승객에게 신체조건에 맞는 편안한 자세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각도 조절부(30)는 등판 플레이트(20)의 회동 각도를 조절하여 등받이 시트의 굴곡이 조절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회전봉(31), 이송블럭부(32), 각도 조절 플레이트(33) 및 회전력 제공수단(34)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회전봉(31)은 지지프레임(10)에 설치된 설치 브라켓(12)의 관통공(12a)을 통해 삽입되어 양단이 설치 브라켓(1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외주면에 서로 다른 회전방향을 가지는 나사산이 각각 형성된 한 쌍의 스크류부(31a, 31b)를 1조로 하여 복수 조가 일정 간격 이격되게 형성된다.
이송블럭부(32)는 회전봉(31)을 관통하여 회전봉(31)의 외주면에 형성된 한 쌍의 스크류부(31a, 31b)에 각각 나사결합되는 한 쌍의 이송블럭(32a, 32b)을 1조로 복수 조가 형성된다.
각도 조절 플레이트(33)는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중앙이 등판 플레이트(20)에 설치된 보강 플레이트(22)의 일측에 지지되고, 상호 대향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되는 양단이 한 쌍의 이송블럭(32ㅁ, 32b)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복수개가 보강 플레이트(22)의 폭 방향을 따라 형성된 다수개의 지점에 지지된다.
회전력 제공수단(34)은 회전봉(31)의 일측에 결합되고, 회전봉(31)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회전봉(31)에 큰 힘의 토크가 발생될 수 있도록 감속모터가 사용될 수 있다.
위와 같은 각도 조절부(30)는 한 쌍의 스크류부(31a, 31b)에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이송블럭(32a, 32b)이 회전봉(31)이 회전함에 따라 상호 간격이 좁아지거나 넓어지면서 각각의 각도 조절 플레이트(33)의 양단부의 이격거리를 좁아지거나 넓어지도록 함으로써, 회전봉(31)과 보강 플레이트(22)에 지지되는 복수개의 각도 조절 플레이트(33)의 중앙 간의 높이를 조절하게 된다.
이로 인해 지지프레임(10)에 대한 등판 플레이트(20)의 하단부 회동 각도가 조절됨에 따라 등받이 시트의 굴곡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도 3a, 도 3b,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점 지지구조의 차량용 럼버 서포트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점 지지구조의 럼버 서포트 장치(1)의 동작을 살펴보면, 도 3a의 A-A' 단면인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도 조절부(30)의 회전봉(31)과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각도 조절 플레이트(33)의 중앙 간의 거리가 d1인 경우,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프레임(10)에 대한 등판 플레이트(20)의 각도가 D1으로 설정됨에 따라 등받이 시트의 굴곡이 완만한 형태를 이루게 된다.
이 때, 차량에 탑승한 승객이 본인의 신체에 적합한 굴곡으로 등받이 시트의 굴곡을 조절하고자 하는 경우, 도 4a의 B-B' 단면인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력 제공수단(34)을 통해 한 쌍의 이송블럭(32a, 32b) 간의 간격이 좁아지는 방향으로 회전봉(31)을 회전시키면, 한 쌍의 이송블럭(32a, 32b) 간의 간격이 좁아지면서 경사 조절 플레이트의 양단부의 이격거리가 좁아짐에 따라 회전봉과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각도 조절 플레이트(33)의 중앙 간의 거리가 d2로 증가하게 된다.
이에 따라, 등판 플레이트(20)의 하단부가 지지프레임(10)의 전방으로 회동되어 지지프레임(10)에 대한 등판 플레이트(20)의 회동 각도가 D2로 증가하게 되며, 이에 따라 등받이 시트의 굴곡은 전방으로 더 돌출된 상태가 된다.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지지프레임(10)에 대한 등판 플레이트(20)의 회동 각도를 증가시켜 등받이 시트의 굴곡을 전방으로 더 돌출시키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지지프레임(10)에 대한 등판 플레이트(20)의 회동 각도를 감소시켜 등받이 시트의 굴곡을 완만하게 하는 경우는 전술한 실시예의 반대로 실시하면 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점 지지구조의 럼버 서포트 장치(1)는 지지프레임(10)에 대한 등판 플레이트(20)의 회동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 조절부(30)가 등판 플레이트(20)의 폭방향의 다수의 지점을 지지하는 구조로 인해 등판 플레이트(20)에 인가되는 승객의 하중이 분산 지지됨에 따라 각도 조절부(30)에 과중한 하중이 부가되지 않아 이에 따른 럼버 서포트 장치의 내구성이 크게 향상된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바람직한 실시 예들과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 청구범위는 본 발명의 요지에 속하는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
1 : 다점 지지구조의 럼버 서포트 장치
10 : 지지프레임 11 : 설치 플레이트
12 : 설치 브라켓 12a : 관통공
20 : 등판 플레이트 21 : 결합홈
22 : 보강 플레이트 30 : 각도 조절부
31 : 회전봉 31a, 31b : 스크류부
32 : 이송블럭부 32a, 32b : 이송블럭
33 : 각도 조절 플레이트 34 : 회전력 제공수단

Claims (3)

  1. 차량의 등받이 시트의 내부 중 차량의 시트 프레임에 고정설치되는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의 전방에 설치되고, 상단부가 상기 지지프레임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등판 플레이트와;
    상기 지지프레임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등판 플레이트의 폭 방향의 다수의 지점에 지지되어 상기 등판 플레이트의 하단부 일측을 가압 또는 가압해제함에 따라 상기 등판 플레이트의 회동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 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점 지지구조의 차량용 럼버 서포트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 조절부가 지지되는 상기 등판 플레이트의 일측에는 상기 등판 플레이트의 폭 방향을 따라 보강 플레이트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점 지지구조의 차량용 럼버 서포트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 조절부는
    봉 형상으로서 상기 지지프레임의 폭 방향을 따라 설치되되, 외주면에 일정 간격 이격되게 설치되고, 서로 다른 회전방향을 가지는 나사산이 각각 형성된 한 쌍의 스크류부를 1조로 하여 복수 조가 일정 간격 이격되게 형성되는 회전봉과;
    상기 회전봉을 관통하여 상기 한 쌍의 스크류부에 나사결합되는 한 쌍의 이송블럭을 1조로하는 복수 조의 이송블럭부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중앙이 상기 등판 플레이트의 하단부 일측에 지지되고, 상호 대향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되는 양단이 상기 한 쌍의 이송블럭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개의 각도 조절플레이트와;
    상기 회전봉 일측에 결합되고, 상기 회전봉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회전력 제공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점 지지구조의 차량용 럼버 서포트 장치.
KR1020160056853A 2016-05-10 2016-05-10 다점 지지구조의 럼버 서포트 장치 KR1017374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6853A KR101737403B1 (ko) 2016-05-10 2016-05-10 다점 지지구조의 럼버 서포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6853A KR101737403B1 (ko) 2016-05-10 2016-05-10 다점 지지구조의 럼버 서포트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37403B1 true KR101737403B1 (ko) 2017-05-18

Family

ID=590489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6853A KR101737403B1 (ko) 2016-05-10 2016-05-10 다점 지지구조의 럼버 서포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740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0051A (ko) * 2017-11-02 2019-05-10 (주) 아산금창 렉 엔 피니언을 이용한 벨트 신축형 차량 시트용 럼버서포트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60500A1 (ko) 2010-11-04 2012-05-10 (주)디에스시 럼버 서포트 어셈블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60500A1 (ko) 2010-11-04 2012-05-10 (주)디에스시 럼버 서포트 어셈블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0051A (ko) * 2017-11-02 2019-05-10 (주) 아산금창 렉 엔 피니언을 이용한 벨트 신축형 차량 시트용 럼버서포트 장치
KR101986536B1 (ko) 2017-11-02 2019-06-07 주식회사 금창 렉 엔 피니언을 이용한 벨트 신축형 차량 시트용 럼버서포트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04559B2 (en) 4-way lumbar support
US10239421B2 (en) Vehicle seat
JP5041510B2 (ja) 車両用シート
US4565406A (en) Lumbar support device
US6511130B2 (en) Head restraint for a vehicle seat
KR101664697B1 (ko) 럼버 서포트 어셈블리
US20160339820A1 (en) Seat cushion adjusting apparatus
JP2015058929A (ja) 車両用チャイルドシート
KR101576377B1 (ko) 헤드레스트 리클라이닝 모듈
KR101725414B1 (ko) 차량 시트용 레그 레스트 장치
KR101737403B1 (ko) 다점 지지구조의 럼버 서포트 장치
KR100636402B1 (ko) 자동차용 럼버서포트 장치
KR101470213B1 (ko) 차량의 시트 사이드 볼스터 장치
KR20130139584A (ko) 자동차용 시트쿠션의 전방 이송장치
KR101725413B1 (ko) 차량용 시트 사이드 볼스터 장치
US20080265647A1 (en) Rotating Armrest Mechanism
KR20180061582A (ko) 자동차 시트의 4웨이 등받이 프레임
EP2862746A1 (en) Vehicle seat
KR20130131476A (ko) 차량 시트용 조정 수단
EP2913038B1 (en) Wheelchair backrest having position adjustment
WO2018016134A1 (ja) 車両用シート
US9150121B2 (en) Adjusting mechanism, in particular in the interior fittings area of a motor vehicle
KR20160082857A (ko) 시트백 볼스터 조절장치
KR101779758B1 (ko) 위성기어를 이용한 캠 타입 럼버 서포트 장치
KR101994880B1 (ko) 시트 쿠션 듀얼 익스텐션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