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61582A - 자동차 시트의 4웨이 등받이 프레임 - Google Patents
자동차 시트의 4웨이 등받이 프레임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80061582A KR20180061582A KR1020160160911A KR20160160911A KR20180061582A KR 20180061582 A KR20180061582 A KR 20180061582A KR 1020160160911 A KR1020160160911 A KR 1020160160911A KR 20160160911 A KR20160160911 A KR 20160160911A KR 20180061582 A KR20180061582 A KR 2018006158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racket
- frame
- lifting
- lift
- coupled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64—Back-rests or cushions
- B60N2/66—Lumbar supports
- B60N2/667—Lumbar supports having flexible support member bowed by applied forces
- B60N2/6673—Lumbar supports having flexible support member bowed by applied forces with motor driven adjustmen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64—Back-rests or cushions
- B60N2/66—Lumbar supports
- B60N2/666—Lumbar supports vertically adjust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트의 등받이 상측, 하측, 좌측, 우측부를 이루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상측에 상단이 결합되고, 상기 프레임의 정면에 위치되어, 시트에 착석하는 착석자의 등을 지지하는 등지지판과, 상기 프레임의 하측부를 따라 가로로 결합고정되는 제1승강브라켓과, 상기 프레임의 중간에 가로로 배치되고, 상기 프레임 중 좌, 우측부가 좌, 우측에 각각 관통 결합되어, 상기 프레임의 좌, 우측부를 따라 선택적으로 상,하 승강 이동하는 제2승강브라켓과, 하단은 상기 제1승강브라켓에 결합되고, 상단은 상기 제2승강브라켓에 결합되어, 상기 제2승강브라켓의 승강 위치에 따라 만곡 정도가 가변하는 한 쌍의 판스프링, 및 상기 프레임의 상측에 구비되어, 상기 제2승강브라켓을 선택적으로 승강 이동시키는 승강수단을 포함하여, 착석자의 요추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판스프링의 만곡(탄성 제공)으로 충분한 쿠션을 확보할 수 있어 착석감과 충격 흡수 기능이 향상되고, 전동모터의 회전력에 의해 상, 하방향으로 승강하는 제2승강브라켓의 승강 위치에 따라 판스프링의 만곡 정도를 가변하도록 해 승차자세의 유지와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고, 다양한 허리 형상을 지지할 수 있는 자동차 시트의 4웨이 등받이 프레임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자동차 시트의 4웨이 등받이 프레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착석자의 착석 자세를 고려하여 착석자의 요추를 지지하는 요추부의 변형 및 쿠션을 판스프링을 통해 제공하고, 상기 판스프링을 만곡시켜 착석자의 요추부를 지지하도록 함으로써, 장시간의 착석으로 발생될 수 있는 허리의 통증 유발을 방지하고, 판스프링의 전,후 만곡 정도 및 상, 하 방향 이동으로, 승차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자동차 시트의 4웨이 등받이 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내부에서 착석자가 앉는 공간인 시트에는 착석자의 편의를 위한 다양한 형태의 편의장치들이 구비되는 것이다.
특히, 차량을 운행하는 운전자가 앉는 운전석의 경우에는 다른 착석자의 시트에 비해 더욱 많은 편의장치가 설치되는 것이다.
즉, 차량을 운행하기 위해 운전자가 운전석에 앉을 경우, 운전자의 체형은 모두 다르기 때문에 운전자의 체형에 맞는 운전요건을 갖추기 위해서 운전석 시트를 상하로 조절하거나 또는 전후로 조절하여 운전자가 안전운전을 할 수 있도록 운전석 시트를 조절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차량의 시트에는 또 하나의 중요한 장치인 요추지지대가 구비되어 있어서, 운전자 및 착석자가 시트에 앉을 경우 운전자 및 착석자가 직접 요추지지대를 조절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 요추지지대에 관련된 선행기술로는 등록특허 제10-0492228호(2005.05.20)에서 제공한다.
이러한 종래의 기술은 차량 시트백의 시트백 사이드 프레임의 측면에 구비되는 요추지지대 작동레버를 운전자 및 착석자가 일정거리만큼 회전시키게 되면, 시트백 내부에 설치되는 요추지지대가 운전자 및 착석자 방향으로 이동하여 운전자 및 착석자의 요추를 받쳐주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운전자 및 착석자가 요추지지대 작동레버를 원위치로 복귀시키게 되면, 시트백 내부에 설치되는 요추지지대가 시트백 방향으로 이동하여 운전자 및 착석자의 요추를 받치던 것이 해제되는 것이다.
하지만, 이와 같은 자동차용 시트백의 요추지지대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즉, 차량의 시트백 내부의 요추지지부에 구비되는 요추지지대가 단일 판으로 형성되어 있어서 운전자 및 착석자가 요추지지대를 운전자 및 착석자 방향으로 이동시킬 경우, 요추지지대가 운전자 및 착석자의 체형에 관계없이 일정부위만을 지지함으로써 다양한 체형의 운전자 및 착석자를 만족시키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착석자의 요추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판스프링의 만곡(탄성 제공)으로 충분한 쿠션을 확보할 수 있어 착석감과 충격 흡수 기능이 향상되고, 전동모터의 회전력으로 작동하는 링크부재로 판스프링의 상, 하방향 승강 및 판스프링의 만곡 정도를 가변하도록 해 승차자세의 유지와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고, 다양한 허리(요추) 형상을 지지할 수 있는 자동차 시트의 4웨이 등받이 프레임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시트의 4웨이 등받이 프레임은 시트의 등받이 상측, 하측, 좌측, 우측부를 이루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상측에 상단이 결합되고, 상기 프레임의 정면에 위치되어, 시트에 착석하는 착석자의 등을 지지하는 등지지판과, 상기 프레임의 하측부에 가로로 배치되고, 상기 프레임 중 좌측부 및 우측부가 좌, 우측에 각각 관통 결합되어, 상기 프레임의 좌측부 및 우측부를 따라 선택적으로 상, 하 승강 이동하는 제1승강브라켓과, 상기 프레임의 중간에 가로로 배치되고, 상기 프레임 중 좌측부 및 우측부가 좌, 우측에 각각 관통 결합되어, 상기 프레임의 좌측부 및 우측부를 따라 선택적으로 상, 하 승강 이동하는 제2승강브라켓과, 하단은 상기 제1승강브라켓에 결합되고, 상단은 상기 제2승강브라켓에 결합되어, 상기 제1승강브라켓 및 제2승강브라켓의 이격 거리에 따라 만곡 정도를 가변하는 한 쌍의 판스프링, 및 상기 프레임의 상측에 구비되어, 상기 제1승강브라켓 및 제2승강브라켓을 선택적으로 승강 이동시키는 승강수단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승강수단은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 가로로 배치되어, 상기 프레임의 좌, 우측부 상단에 좌, 우측단을 각각 결합고정하는 제1브라켓과, 상기 제1브라켓의 좌, 우측단 중 어느 한 편에 제1기어박스에 의해 고정 결합되고, 외부에서 인가되는 신호에 따라 선택적으로 정방향 또는 역방향의 회전력을 발생하는 제1전동모터와, 상기 제1전동모터의 제1기어박스에 연결되어, 상기 제1브라켓 내부에 가로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제1전동모터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선택적으로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하여, 중심을 기준하여 한 쌍의 제1너트부재를 외향으로 이송하거나, 내향으로 이송하는 제1이송스크류와, 한 쌍으로 'X'자 형태로 교차 배치되고, 하단은 제2승강브라켓의 좌, 우측에 각각 결합되며, 상단은 상기 한 쌍의 너트부재에 각각 결합되어, 한 쌍의 너트부재가 외향으로 이송되거나, 내향으로 이송됨에 따라 벌려다 오므리는 것으로 제1승강브라켓 및 제2승강브라켓을 상, 하로 승강 이동시키는 제1링크부재를 포함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시트의 4웨이 등받이 프레임은 상기 제1승강브라켓과 제2승강브라켓 사이에 구비되어, 선택적으로 상기 제1승강브라켓과 제2승강브라켓의 이격 거리를 가변하는 전후만곡수단을 포함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전후만곡수단은 상기 프레임에 가로로 배치되어, 상기 프레임의 좌, 우측부에 좌, 우측단을 각각 결합고정하는 제2브라켓과, 상기 제2브라켓의 좌, 우측단 중 어느 한 편에 제2기어박스에 의해 고정 결합되고, 외부에서 인가되는 신호에 따라 선택적으로 정방향 또는 역방향의 회전력을 발생하는 제2전동모터와, 상기 제2전동모터의 제2기어박스에 연결되어, 상기 제2브라켓 내부에 가로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제2전동모터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선택적으로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하여, 중심을 기준하여 한 쌍의 제2너트부재를 외향으로 이송하거나, 내향으로 이송하는 제2이송스크류와, 한 쌍이 상기 제2브라켓을 기준하여 상측에 각각 배치되면서 하단이 상기 제2너트부재에 각각 결합되고, 대향진 상단은 각각 제2승강브라켓에 각각 결합하는 제2상측링크부재, 및 한 쌍이 상기 제2브라켓을 기준하여 하측에 각각 배치되면서 상단이 상기 제2너트부재에 각각 결합되고, 대향진 하단은 각각 제1승강브라켓에 각각 결합하는 제2하측링크부재를 포함하여, 상기 한 쌍의 제2너트부재가 외향으로 이송되거나, 내향으로 이송됨에 따라 제2상측링크부재 및 제2하측링크부재가 벌려다 오므리는 것으로 상기 제1승강브라켓과 제2승강브라켓의 이격 거리를 가변시킨다.
본 발명의 일 실시에 따른 자동차 시트의 4웨이 등받이 프레임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첫째, 착석자의 요추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판스프링의 만곡(탄성 제공)으로 충분한 쿠션을 확보할 수 있어 착석감과 충격 흡수 기능이 향상되는 효과를 가진다.
둘째, 전동모터의 회전력으로 작동하는 링크부재로 판스프링의 상, 하방향 승강 및 판스프링의 만곡 정도를 가변하도록 해 승차자세의 유지와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고, 다양한 허리(요추) 형상을 지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셋째, 판스프링의 승강 좌표 및 만곡 정도를 데이터화하여 저장하고 필요 시 호출하여 적용되도록 해(메모리 기능), 요추지지부를 일일이 재설정할 필요 없어, 사용자들의 승차자세의 유지와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고, 시트 자체의 품질과 성능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등 다양한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시트의 4웨이 등받이 프레임을 보인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시트의 4웨이 등받이 프레임을 보인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시트의 4웨이 등받이 프레임을 보인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시트의 4웨이 등받이 프레임을 보인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시트의 4웨이 등받이 프레임을 보인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들은 대체할 수 있는 균등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은 착석자의 착석 자세를 고려하여 착석자의 요추를 지지하는 요추부의 변형 및 쿠션을 판스프링을 통해 제공하고, 상기 판스프링을 만곡시켜 착석자의 요추부를 지지하도록 함으로써, 장시간의 착석으로 발생될 수 있는 허리의 통증 유발을 방지하고, 판스프링의 전,후 만곡 정도 및 상, 하 방향 이동으로, 승차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자동차 시트의 4웨이 등받이 프레임에 관한 것으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시트의 4웨이 등받이 프레임(100)은 등지지판(200), 제1승강브라켓(300), 제2승강브라켓(400), 판스프링(500), 승강수단(600) 및 을 전후만곡수단(700)을 포함한다.
먼저, 상기 프레임(100)은 시트 중 등받이의 뼈대를 이루는 것으로, 단면이 원형인 와이어(101)를 '└┘'자 형상으로 절곡하여 상기 등받이 프레임(100)의 하측부(110) 및 좌측부(120), 우측부(130)를 이루고, 상기 와이어(101) 상측에 해당형상의 연결구(102)를 결합한 후 보조와이어(103)를 결합해 상기 등받이 프레임(100)의 상측부(140)를 이룬다.
이때 상기 프레임(100)의 상측부(140)에는 등지지판(200)이 고정되는데, 상기 등지지판(200)은 그 상단이 보조와이어(103)에 억지끼움으로 결합되고, 상기 등지지판(200)이 프레임(100)의 정면에 위치하는데, 상기 등지지판(200)은 합성수지재질로 이루어진 판 상으로 상기 프레임(100)의 정면에 위치되어, 시트에 착석하는 착석자의 등을 지지한다.
그리고 상기 등지지판(200)은 그 결합부가 보조와이어(103)에 억지끼움으로 결합되어 있어, 상기 보조와이어(103)를 축으로 하여 상기 등지지판(200)이 일정 각도로 회전가능하고, 상기 등지지판(200)은 착석자의 요추가 위치하는 부분은 주름을 형성하여 만곡 형상에 대응하는 플렉시블한 만곡면을 이룰 수도 있다.
상기 프레임(100)의 하측부(110)에는 바 형상의 제1승강브라켓(300)을 가로 상으로 배치하는데, 이때 상기 프레임(100)의 좌측부(120) 및 우측부(130)는 상기 제1승강브라켓(300)의 좌, 우측에 각각 관통 결합되어, 상기 제1승강브라켓(300)이 상기 프레임(100)의 좌측부(120) 및 우측부(130)를 따라 선택적으로 상, 하 승강 이동 가능하다.
또한, 상기 프레임(100)의 중간에는 제2승강브라켓(400)을 가로 상으로 배치하는데, 이때 상기 프레임(100)의 좌측부(120) 및 우측부(130)는 상기 제2승강브라켓(400)의 좌, 우측에 각각 관통 결합되어, 상기 제2승강브라켓(400)이 상기 프레임(100)의 좌측부(120) 및 우측부(130)를 따라 선택적으로 상, 하 승강 이동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프레임(100)의 하측부(110)에 결합되는 제1승강브라켓(300)과, 상기 프레임(100)의 중간에 구비되는 제2승강브라켓(400)과는 일정한 이격 거리를 두고 서로 평행을 이루고 선택적으로 제1승강브라켓(300) 및 제2승강브라켓(400)은 상, 하 승강 이동 가능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시트의 4웨이 등받이 프레임은 착석자의 요추를 지지하는 지지력은 판스프링(500)에서 제공하는데, 상기 판스프링(500)은 한 쌍으로 상기 프레임(100)의 좌측부(120) 및 우측부(130)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판스프링(500)의 하단은 상기 제1승강브라켓(300)에 결합되고, 상단은 상기 제2승강브라켓(400)에 결합되어, 상기 제2승강브라켓(400)의 승강 위치에 따라 상기 판스프링(500)의 전후방향으로 만곡 정도가 가변되어 착석자의 요추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요추부가 형성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판스프링(500)의 상단 및 하단은 상기 제1승강브라켓(300) 및 제2승강브라켓(400)의 길이방향을 따라 내부에 구비되는 고정로드(미부호)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져 결합한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100)의 상측에는 승강수단(600)을 구비하여, 상기 승강수단(600)의 작동으로 제1승강브라켓(300) 및 제2승강브라켓(400)을 선택적으로 승강 이동시킨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수단(600)을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승강수단(600)은 상기 프레임(100)의 상부에 가로로 배치되는 제1브라켓(610)을 포함하는데, 상기 제1브라켓(610)은 상기 프레임(100)의 좌측부(120) 및 우측부(130) 상단에 좌, 우측단을 각각 결합고정한다.
그리고 상기 제1브라켓(610)의 좌, 우측단 중 어느 한 편에는 제1기어박스(621)를 통해 제1전동모터(620)을 고정 결합하는데, 상기 제1전동모터(620)는 외부에서 인가되는 신호에 따라 선택적으로 정방향 또는 역방향의 회전력을 발생한다.
따라서 상기 제1전동모터(620)에 의해 발생된 회전력은 제1기어박스(621)를 통해 출력되는데, 이때 출력되는 회전력으로 제1이송스크류(630)가 회전한다.
상기 제1이송스크류(630)는 상기 제1전동모터(620)의 제1기어박스(621)에는 연결되어, 상기 제1브라켓(610) 내부에 가로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제1전동모터(620)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선택적으로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하여, 한 쌍의 제1너트부재(631,632)를 외향으로 이송하거나, 내향으로 이송한다.
이때 상기 제1이송스크류(630)는 중심을 기준하여 좌, 우측을 구획하고, 구획된 좌, 우측에는 나사산을 각각 서로 다른 방향으로 형성(어느 한 측이 오른방향으로 나사산을 형성하며, 다른 하나는 왼방향으로 나사산을 형성함.)하여, 한 쌍의 제1너트부재(631,632)가 상기 제1이송스크류(630)의 회전에 의해 중심을 기준하여 외향으로 이송하거나, 내향으로 이송한다.
그리고 제1링크부재(640)는 한 쌍으로 'X'자 형태로 교차 배치되고, 상기 제1링크부재(640)의 하단은 제2승강브라켓(400)의 좌, 우측에 각각 결합되며, 상단은 상기 한 쌍의 너트부재(631, 632)에 각각 결합한다.
따라서 상기 제1이송스크류(630)의 회전에 의해 한 쌍의 너트부재(631, 632)가 외향으로 이송되거나, 내향으로 이송됨에 따라 벌려다 오므리는 것으로 제1승강브라켓(300) 및 제2승강브라켓(400)을 승강 이동시켜 상기 판스프링(500)의 상, 하방향 승강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시트의 등받이 프레임은 상기 제1승강브라켓(300)과 제2승강브라켓(400) 사이에 전후만곡수단(700)을 구비할 수 있는데, 상기 전후만곡수단(700)은 상기 승강수단(600)과 연동하여 상기 제2승강브라켓(400)을 선택적으로 승강 이동시킨다.
상기 전후만곡수단(700)은 상기 프레임(100) 중 상기 제1승강브라켓(300)과 제2승강브라켓(400) 사이에 가로로 배치되는 제2브라켓(710)을 포함하는데, 상기 제2브라켓(710)은 상기 프레임(100)의 좌측부(120) 및 우측부(130)에 좌, 우측단을 각각 결합고정한다.
그리고 상기 제2브라켓(710)의 좌, 우측단 중 어느 한 편에는 제2기어박스(721)를 통해 제2전동모터(720)를 고정 결합하는데, 상기 제2전동모터(720)는 외부에서 상기 제1전동모터(620)로 인가되는 신호와 연동하여 선택적으로 정방향 또는 역방향의 회전력을 발생한다.
따라서 상기 제2전동모터(720)에 의해 발생된 회전력은 제2기어박스(721)를 통해 출력되는데, 이때 출력되는 회전력으로 제2이송스크류(730)가 회전한다.
상기 제2이송스크류(730)는 상기 제2전동모터(720)의 제2기어박스(721)에 연결되어, 상기 제2브라켓(710) 내부에 가로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제2전동모터(720)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선택적으로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하여, 중심을 기준하여 한 쌍의 제2너트부재(731, 732)를 외향으로 이송하거나, 내향으로 이송한다.
이때 상기 제2이송스크류(730)는 중심을 기준하여 좌, 우측을 구획하고, 구획된 좌, 우측에는 나사산을 각각 서로 다른 방향으로 형성(어느 한 측이 오른방향으로 나사산을 형성하며, 다른 하나는 왼방향으로 나사산을 형성함.)하여, 한 쌍의 제2너트부재(731, 732)가 상기 제2이송스크류(730)의 회전에 의해 중심을 기준하여 외향으로 이송하거나, 내향으로 이송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후만곡수단(700)은 제2상측링크부재(740) 및 제2하측링크부재(750)를 포함하는데, 상기 제2상측링크부재(740)는 한 쌍으로 상기 제2브라켓(710)을 기준하여 상측에 각각 배치되면서 하단이 상기 제2너트부재(731, 732)에 각각 결합하고, 대향진 상단은 각각 제2승강브라켓(400)에 각각 결합한다.
상기 제2하측링크부재(750) 역시 한 쌍으로 상기 제2브라켓(710)을 기준하여 하측에 각각 배치되면서 상단이 상기 제2너트부재(731, 732)에 각각 결합되고, 대향진 하단은 각각 제1승강브라켓(300)에 각각 결합한다.
따라서 상기 제2이송스크류(730)의 회전에 의해 한 쌍의 제2너트부재(731, 732)가 외향으로 이송되거나, 내향으로 이송됨에 따라 제2상측링크부재(740) 및 제2하측링크부재(750)가 벌려다 오므리는 것으로 제1승강브라켓(300) 및 제2승강브라켓(400)의 이격 거리를 조절하여 상기 판스프링(500)의 만곡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일예로 상기 제2너트부재(731, 732)가 제2이송스크류(730)의 회전에 의해 외향으로 갈수록 제2상측링크부재(740) 및 제2하측링크부재(750)는 수직에 가깝게 벌어져, 상기 제1승강브라켓(300) 및 제2승강브라켓(400)의 이격 거리는 멀어져 판스프링(500)의 만곡 정도가 작아지고, 상기 제2너트부재(731, 732)가 제2이송스크류(730)의 회전에 의해 내향으로 갈수록 제2상측링크부재(740) 및 제2하측링크부재(750)는 경사지면서 오므라져, 상기 제1승강브라켓(300) 및 제2승강브라켓(400)의 이격 거리는 좁아져 판스프링(500)의 만곡 정도가 커진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프레임
101: 와이어
102: 연결구
103: 보조와이어 110: 하측부 120: 좌측부
130: 우측부 140: 상측부 200: 등지지판
300: 제1승강브라켓 400: 제2승강브라켓 500: 판스프링
600: 승강수단 610: 제1브라켓 620: 제1전동모터
621: 제1기어박스 630: 제1이송스크류 640: 제1링크부재
700: 전후만곡수단 710: 제2브라켓 720: 제2전동모터
721: 제2기어박스 730: 제2이송스크류 740: 제2상측링크부재
750: 제2하측링크부재
103: 보조와이어 110: 하측부 120: 좌측부
130: 우측부 140: 상측부 200: 등지지판
300: 제1승강브라켓 400: 제2승강브라켓 500: 판스프링
600: 승강수단 610: 제1브라켓 620: 제1전동모터
621: 제1기어박스 630: 제1이송스크류 640: 제1링크부재
700: 전후만곡수단 710: 제2브라켓 720: 제2전동모터
721: 제2기어박스 730: 제2이송스크류 740: 제2상측링크부재
750: 제2하측링크부재
Claims (4)
- 시트의 등받이 상측, 하측, 좌측, 우측부를 이루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상측에 상단이 결합되고, 상기 프레임의 정면에 위치되어, 시트에 착석하는 착석자의 등을 지지하는 등지지판;
상기 프레임의 하측부에 가로로 배치되고, 상기 프레임 중 좌측부 및 우측부가 좌, 우측에 각각 관통 결합되어, 상기 프레임의 좌측부 및 우측부를 따라 선택적으로 상, 하 승강 이동하는 제1승강브라켓;
상기 프레임의 중간에 가로로 배치되고, 상기 프레임 중 좌측부 및 우측부가 좌, 우측에 각각 관통 결합되어, 상기 프레임의 좌측부 및 우측부를 따라 선택적으로 상, 하 승강 이동하는 제2승강브라켓;
하단은 상기 제1승강브라켓에 결합되고, 상단은 상기 제2승강브라켓에 결합되어, 상기 제1승강브라켓 및 제2승강브라켓의 이격 거리에 따라 만곡 정도를 가변하는 한 쌍의 판스프링; 및
상기 프레임의 상측에 구비되어, 상기 제1승강브라켓 및 제2승강브라켓을 선택적으로 승강 이동시키는 승강수단을 포함하는 자동차 시트의 4웨이 등받이 프레임.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승강수단은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 가로로 배치되어, 상기 프레임의 좌, 우측부 상단에 좌, 우측단을 각각 결합고정하는 제1브라켓과;
상기 제1브라켓의 좌, 우측단 중 어느 한 편에 제1기어박스에 의해 고정 결합되고, 외부에서 인가되는 신호에 따라 선택적으로 정방향 또는 역방향의 회전력을 발생하는 제1전동모터와;
상기 제1전동모터의 제1기어박스에 연결되어, 상기 제1브라켓 내부에 가로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제1전동모터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선택적으로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하여, 중심을 기준하여 한 쌍의 제1너트부재를 외향으로 이송하거나, 내향으로 이송하는 제1이송스크류와;
한 쌍으로 'X'자 형태로 교차 배치되고, 하단은 제2승강브라켓의 좌, 우측에 각각 결합되며, 상단은 상기 한 쌍의 너트부재에 각각 결합되어, 한 쌍의 너트부재가 외향으로 이송되거나, 내향으로 이송됨에 따라 벌려다 오므리는 것으로 제1승강브라켓 및 제2승강브라켓을 상, 하로 승강 이동시키는 제1링크부재;를 포함하는 자동차 시트의 4웨이 등받이 프레임.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승강브라켓과 제2승강브라켓 사이에 구비되어, 선택적으로 상기 제1승강브라켓과 제2승강브라켓의 이격 거리를 가변하는 전후만곡수단을 포함하는 자동차 시트의 4웨이 등받이 프레임.
-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전후만곡수단은
상기 프레임에 가로로 배치되어, 상기 프레임의 좌, 우측부에 좌, 우측단을 각각 결합고정하는 제2브라켓과;
상기 제2브라켓의 좌, 우측단 중 어느 한 편에 제2기어박스에 의해 고정 결합되고, 외부에서 인가되는 신호에 따라 선택적으로 정방향 또는 역방향의 회전력을 발생하는 제2전동모터와;
상기 제2전동모터의 제2기어박스에 연결되어, 상기 제2브라켓 내부에 가로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제2전동모터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선택적으로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하여, 중심을 기준하여 한 쌍의 제2너트부재를 외향으로 이송하거나, 내향으로 이송하는 제2이송스크류와;
한 쌍이 상기 제2브라켓을 기준하여 상측에 각각 배치되면서 하단이 상기 제2너트부재에 각각 결합되고, 대향진 상단은 각각 제2승강브라켓에 각각 결합하는 제2상측링크부재, 및 한 쌍이 상기 제2브라켓을 기준하여 하측에 각각 배치되면서 상단이 상기 제2너트부재에 각각 결합되고, 대향진 하단은 각각 제1승강브라켓에 각각 결합하는 제2하측링크부재를 포함하여, 상기 한 쌍의 제2너트부재가 외향으로 이송되거나, 내향으로 이송됨에 따라 제2상측링크부재 및 제2하측링크부재가 벌려다 오므리는 것으로 상기 제1승강브라켓과 제2승강브라켓의 이격 거리를 가변하는 자동차 시트의 4웨이 등받이 프레임.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60911A KR20180061582A (ko) | 2016-11-30 | 2016-11-30 | 자동차 시트의 4웨이 등받이 프레임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60911A KR20180061582A (ko) | 2016-11-30 | 2016-11-30 | 자동차 시트의 4웨이 등받이 프레임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61582A true KR20180061582A (ko) | 2018-06-08 |
Family
ID=625999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160911A KR20180061582A (ko) | 2016-11-30 | 2016-11-30 | 자동차 시트의 4웨이 등받이 프레임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80061582A (ko)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E102019207955A1 (de) | 2018-05-30 | 2019-12-05 | Mando Corporation | Elektronisches bremssystem |
KR102068075B1 (ko) * | 2018-11-13 | 2020-01-20 | 주식회사 대동시스템 | 자동차 시트용 룸바 서포트 유닛 |
KR102088708B1 (ko) * | 2018-12-17 | 2020-03-13 | 주식회사 대동시스템 | 구조 간소화 및 응답성이 개선된 자동차 시트용 룸바 서포트 유닛 |
US11660990B1 (en) * | 2021-12-10 | 2023-05-30 | Gumchang Co., Ltd. | Lumbar support for vehicle seat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2218481A (ja) * | 2011-04-05 | 2012-11-12 | Shiroki Corp | シートバック支持装置 |
KR101664697B1 (ko) * | 2015-06-02 | 2016-10-10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럼버 서포트 어셈블리 |
-
2016
- 2016-11-30 KR KR1020160160911A patent/KR20180061582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2218481A (ja) * | 2011-04-05 | 2012-11-12 | Shiroki Corp | シートバック支持装置 |
KR101664697B1 (ko) * | 2015-06-02 | 2016-10-10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럼버 서포트 어셈블리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E102019207955A1 (de) | 2018-05-30 | 2019-12-05 | Mando Corporation | Elektronisches bremssystem |
KR102068075B1 (ko) * | 2018-11-13 | 2020-01-20 | 주식회사 대동시스템 | 자동차 시트용 룸바 서포트 유닛 |
KR102088708B1 (ko) * | 2018-12-17 | 2020-03-13 | 주식회사 대동시스템 | 구조 간소화 및 응답성이 개선된 자동차 시트용 룸바 서포트 유닛 |
US11660990B1 (en) * | 2021-12-10 | 2023-05-30 | Gumchang Co., Ltd. | Lumbar support for vehicle seat |
US20230182630A1 (en) * | 2021-12-10 | 2023-06-15 | Gumchang Co,Ltd. | Lumbar support for vehicle seat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410521B1 (ko) | 차량용 릴렉스 시트 | |
US10086728B2 (en) | Adjustable seat | |
US9981569B2 (en) | Reclinable seat | |
KR20180061582A (ko) | 자동차 시트의 4웨이 등받이 프레임 | |
US20130134756A1 (en) | Seat-cushion shell unit and shell seat for vehicle | |
CN108528293B (zh) | 用于仰卧式机动车辆座椅总成的机构 | |
JP2010057824A (ja) | 車両用シート構造 | |
CN110494323B (zh) | 车辆座椅托架、车辆座椅以及车辆 | |
CN102029927B (zh) | 车辆座椅以及调节座椅深度的方法 | |
US11618351B2 (en) | Device for tilting seat cushion of fold and dive seat | |
JP3607861B2 (ja) | シート | |
CN113335157A (zh) | 车辆座椅 | |
KR20220032304A (ko) | 숄더 조절 장치를 포함하는 시트 백 | |
CN205930348U (zh) | 一种汽车座椅 | |
JP2021046006A (ja) | 着座用シートのアームレスト装置 | |
JP5935627B2 (ja) | シートフレーム | |
EP4067164B1 (en) | Support driver for seat and support assembly including same | |
JP4488854B2 (ja) | 車両用シート | |
US9119472B2 (en) | Movable seat insert | |
JP2002283900A (ja) | 車両用シート | |
KR20030017727A (ko) | 자동차용 시트 | |
KR20240087061A (ko) | 자동차용 시트볼스터 조절장치 | |
KR20030021087A (ko) | 자동차의 상하 조절용 요추 지지장치 | |
KR20130047017A (ko) | 자동차용 시트의 시트쿠션 높낮이 조절장치 | |
JP2009240373A (ja) | シート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