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39584A - 자동차용 시트쿠션의 전방 이송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시트쿠션의 전방 이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39584A
KR20130139584A KR1020120063160A KR20120063160A KR20130139584A KR 20130139584 A KR20130139584 A KR 20130139584A KR 1020120063160 A KR1020120063160 A KR 1020120063160A KR 20120063160 A KR20120063160 A KR 20120063160A KR 20130139584 A KR20130139584 A KR 201301395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er
guide bar
seat
guide
seat cush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31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53959B1 (ko
Inventor
강재훈
Original Assignee
존슨콘트롤즈 오토모티브 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존슨콘트롤즈 오토모티브 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존슨콘트롤즈 오토모티브 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631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3959B1/ko
Publication of KR201301395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95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39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39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284Adjustable seat-cushion leng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62Thigh-res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시트쿠션의 전방 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운전자를 포함한 탑승자의 체형 및 취향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시트쿠션의 전방에 보조쿠션을 적용하고, 이를 시트위치조정수단을 통해 전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자동차용 시트쿠션의 전방 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시트쿠션의 쿠션 프레임 상에 고정된 시트팬의 상부에 고정되며, 시트의 전후방향으로 가이드바 장착부 및 슬라이더 가이드홈부를 구비한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슬라이더 가이드홈부에 삽입되어 이를 따라 안내되는 슬라이더와; 상기 슬라이더 상부에 고정되는 캐리어팬과; 상기 캐리어팬에 수용, 지지되는 보조쿠션과; 상기 베이스에 수용되는 동시에 슬라이더에 연결되어 상기 슬라이더의 이동을 선택적으로 록 또는 언록시키는 시트위치조정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자동차용 시트쿠션의 전방 이송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시트쿠션의 전방 이송장치{Auxiliary seat extension apparatus for automobile seat cushion}
본 발명은 자동차용 시트쿠션의 전방 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운전자를 포함한 탑승자의 체형 및 취향에 따라 시트쿠션의 일부분, 즉 보조 시트쿠션을 전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자동차용 시트쿠션의 전방 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플로어(floor)에는 운전자 및 승객이 앉을 수 있는 프론트 시트와 리어 시트가 설치된다.
상기 프론트 시트는 운전석과 조수석이 별개로 구성된 분리식을 채용하는 반면, 리어 시트는 좌, 우측 좌석이 일체로 결합된 벤치식을 채용하고 있다.
종래의 자동차용 프론트 시트의 전체적인 구성을 보면, 플로어에 설치된 가이드 레일을 따라 전후로 이동하는 수평 프레임상에 고정된 시트쿠션과, 상기 수평 프레임과 일정한 각도로 배치되는 수직 프레임에 고정된 시트백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시트백의 상부에는 후방 충돌사고 시에, 탑승자의 머리 부분을 보호함과 동시에 머리를 기대고 쉴 수 있는 헤드레스트(headrest)가 수납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더불어, 탑승자의 체형에 따라 전체 시트의 위치를 조절하는 길이 조절레버가 시트쿠션의 하단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시트의 측면부에는 등받이 부분인 시트 백의 경사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각도 조절레버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시트 백의 양 측면부에는 차량이 급선회하는 경우에 탑승자의 허리 부분을 지지하면서 원심력에 의해 자세가 흐트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허리 보호용의 사이드 가드(side guard) 등이 형성되어 있다.
그런데, 종래의 자동차용 시트의 시트쿠션은 그 전,후 길이가 일정한 길이로 세팅되어 있어 탑승자의 다양한 하체 길이에 대응하지 못하여 하체 길이가 긴 탑승자가 착석할 경우, 무릎과 허벅지 사이에 지지되지 않는 공간이 발생하게 됨으로써, 시트에 장시간 착석 시 편안한 자세를 보장해 줄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종래의 자동차 시트쿠션에 관해서 한국등록특허 제10-205891호의 기술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자동차의 시트쿠션 전방으로 인출되는 별도의 보조쿠션을 적용함으로써, 상대적으로 신체가 큰 운전자를 포함한 탑승자의 허벅지 함몰감을 개선하여 편안한 자세로 시트에 착석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차용 시트쿠션의 전방 이송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은 시트쿠션의 쿠션 프레임 상에 고정된 시트팬의 상부에 고정되며 슬라이더 가이드부를 구비한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상부에 장착되어 상기 슬라이더 가이드부를 따라 이동하는 슬라이더와, 상기 슬라이더 상부에 고정되는 캐리어팬과, 상기 캐리어팬에 의해 지지되는 보조쿠션 및 상기 베이스에 대한 상기 슬라이더의 이동을 선택적으로 록 또는 언록시키는 시트위치조정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자동차용 시트쿠션의 전방 이송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상기 시트위치조정수단은 상기 슬라이더에 설치되는 가이드바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에는 상기 가이드바가 설치되는 가이드바 장착부가 더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바와 상기 가이드바 장착부의 사이에는 록킹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바 장착부의 일측에는 상기 록킹부재가 록 또는 언록될 수 있도록 록킹홈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상기 베이스는 상기 캐리어팬이 안내되는 캐리어팬 가이드부가 더 형성되고, 상기 캐리어팬 가이드부에는 상기 캐리어팬에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부재가 상기 캐리어팬을 가압하도록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상기 시트위치조정수단은 상기 슬라이더의 전방에 상방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힌지수단에 의해 힌지 고정되는 플레이트 형상의 작동레버와, 상기 베이스의 가이드바 장착부에 설치되어 안내되며 상기 작동레버와 축연결되는 제2힌지축을 구비한 가이드바 및 상기 가이드바의 후방 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가이드홈에 삽입되어 안내되면서 상기 가이드바 장착부의 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록킹홈에 대하여 록 또는 언록되는 록킹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상기 힌지수단은 상기 작동레버와 상기 슬라이더가 서로 공유하면서 상기 작동레버가 상기 슬라이더에 대해 회전 가능하도록 축고정된 제1힌지축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상기 힌지수단은 상기 작동레버와 상기 가이드바가 서로 공유하면서 상기 작동레버가 상기 가이드바에 대해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가이드바에 일체로 축고정된 제2힌지축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상기 가이드홈은 상기 시트의 측면방향으로 절곡된 'U'자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상기 가이드바의 상부에 탄성부재수용홈이 형성되고 상기 탄성부재수용홈에는 상기 작동레버가 작동 후 원상태로 복귀되도록 탄성부재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시트쿠션의 전방 이송장치에 의하면, 시트쿠션의 전방으로 보조쿠션이 인출된 상태를 유지토록 하여 탑승자의 다양한 하체 길이에 대응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보조쿠션의 적용으로 탑승자의 허벅지 함몰감을 개선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베이스의 캐리어팬 가이드부에 설치된 제1압축스프링에 의해 보조쿠션을 전방으로 밀어내는 탄성력이 제공됨으로써 작동레버를 조작하면 보조시트가 자동적으로 전방으로 인출되도록 하여 보조시트의 인출시 더욱 편리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시트쿠션의 전방 이송장치가 적용된 자동차용 시트쿠션을 나타내는 사진이고,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시트쿠션의 전방 이송장치의 구성을 위에로 아래로 내려다 본 하향 분해사시도 및 아래에서 위로 올려다 본 상향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시트쿠션의 전방 이송장치를 위에로 아래로 내려다 본 또 다른 하향 분해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시트쿠션의 전방 이송장치를 위에서 아래로 내려다 본 평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시트쿠션의 전방 이송장치에서 슬라이더를 제거한 상태를 위에서 아래로 내려다 본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시트쿠션의 전방 이송장치에서 제1힌지축 및 제2힌지축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시트쿠션의 전방 이송장치에서 슬라이더를 생략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시트쿠션의 전방 이송장치에서 가이드바의 이동에 따른 록킹부재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시트쿠션의 전방 이송장치에서 슬라이더의 전방이송의 전후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시트쿠션의 전방 이송장치의 구성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하체 길이가 긴 탑승자가 착석할 경우, 무릎과 허벅지 사이에 지지되지 않는 공간이 발생하는 문제를 개선하기 위하여 시트쿠션(2)에 별도의 보조쿠션(10)을 장착하고, 상기 보조쿠션(10)과 연결된 시트위치조정수단(100)을 매개로 전방으로 인출 가능토록 하여 허벅지 함몰감을 방지하는데 그 주안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시트쿠션의 전방 이송장치가 적용된 자동차용 시트쿠션을 나타내는 사진이고,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시트쿠션의 전방 이송장치의 구성을 위에로 아래로 내려다 본 하향 분해사시도 및 아래에서 위로 올려다 본 상향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시트쿠션의 전방 이송장치를 위에로 아래로 내려다 본 또 다른 하향 분해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시트쿠션의 전방 이송장치를 위에서 아래로 내려다 본 평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시트쿠션의 전방 이송장치에서 슬라이더를 제거한 상태를 위에서 아래로 내려다 본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시트쿠션의 전방 이송장치에서 제1힌지축 및 제2힌지축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시트쿠션의 전방 이송장치에서 슬라이더를 생략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시트쿠션의 전방 이송장치에서 가이드바의 이동에 따른 록킹부재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시트쿠션의 전방 이송장치에서 슬라이더의 전방이송의 전후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시트쿠션의 전방 이송장치는 시트쿠션(2)의 전방부에 보조쿠션(10)이 구비되어 있는 바, 상기 보조쿠션(10)은 그 하단부에 설치된 시트위치조정수단(100)을 통해 전방으로 일정 거리만큼 인출된다.
여기서, 상기 시트위치조정수단(100)은 시트쿠션(2)의 쿠션 프레임 상에 고정되어 있는 시트팬(seat pan)(3)의 상측 전방부위에 베이스(200), 슬라이더(300) 및 캐리어팬(400)을 구비하여 보조쿠션(10)을 인출되도록 하는 별도의 조정 기능을 갖는다.
상기 시트팬(3)의 상부에는 시트(1)의 전후방향으로 가이드바 장착부(210) 및 슬라이더 가이드홈부(220)를 구비하고 있는 플레이트 형상의 베이스(200)가 볼트 고정되어 있다.
가이드바 장착부(210)는 후술하는 시트위치조정수단(100)의 가이드바(120)가 시트(1)의 전후방향으로 원활하게 안내될 수 있도록 소정의 폭을 갖도록 형성되며, 가이드바 장착부(210)의 일측면에는 후술하는 시트위치조정수단(100)의 록킹부재(130)가 시트(1)의 좌우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록(lock) 또는 언록(unlock)될 수 있도록 복수의 록킹홈(211)들이 일렬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베이스(200)의 가이드바 장착부(210)의 양측으로는, 후술하는 슬라이더(300)에 결합된 캐리어팬(400)에 대하여 지속적으로 탄성력을 부여하기 위한 탄성부재인 제1압축스프링(221)이 장착되는 캐리어팬 가이드부(220)가 구비되어 있다. 제1압축스프링(221)은 후단이 베이스(200)의 캐리어팬 가이드부(220)에 지지되고 전단이 슬라이더(300)에 결합된 캐리어팬(400)의 걸림부(410)에 지지되어 슬라이더(300)가 결합된 캐리어팬(400)을 베이스(200)의 전방으로 가압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베이스(200) 상에서 상기 슬라이더(300)는 자동차용 시트(1)의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되어 안내된다. 슬라이더(300)는 좌우 양측의 하단에 가이드부(310)가 구비되어 베이스(200)의 슬라이더 가이드홈부(230)에 삽입된 상태로 제1압축스프링(221)의 탄성력에 의해 슬라이더(300)가 결합된 캐리어팬(400)의 걸림부(410)가 가압됨으로써 슬라이더 가이드홈부(230)를 따라 안내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부(310)의 하단의 내측으로 돌출된 부분이 슬라이더 가이드홈부(230)의 내측으로 들어간 부분에 끼워지기 때문에 슬라이더(300)가 베이스(200)에 결합된 후 슬라이더(300)는 베이스(200)의 위로 들려지지 않는다.
더불어, 상기 슬라이더(300)에는 그 상부에 보조쿠션(10)을 수용하여 지지하는 캐리어팬(carrier pan)(400)이 고정되어 있는 한편, 가이드부(310)의 전방으로 시트위치조정수단(100)인 작동레버(110)와 더불어, 제1힌지축(111)을 서로 공유하면서 그 제1힌지축(111)을 중심으로 작동레버(110)가 회전 가능하도록 돌출 형성된 힌지부(320)가 구비되어 있다.
이때, 슬라이더(300)와 캐리어팬(400)은 견고한 고정을 위해 4점 고정방식으로 볼트고정된다.
이와 같이 상측에 캐리어팬(400)이 고정된 슬라이더(300)는 시트위치조정수단(100)에 의해 시트쿠션(2)의 전후방으로 이동되어 록 또는 언록된다.
시트위치조정수단(100)은 슬라이더(300)의 전방에 상방으로 회전 가능한 플레이트 형상의 작동레버(110)와 베이스(200)의 가이드바 장착부(210)에 설치되어 안내되는 가이드바(120)를 구비한다.
가이드바(120)는 전방으로 하향 연장된 부분에 작동레버(110)의 힌지부(112)에 축연결되는 제2힌지축(122)이 형성되고 가이드바(120)의 후단에는 록킹부재(130)를 이동시키기 위한 가이드홈(121)이 형성된다. 록킹부재(130)는 가이드바(120)의 가이드홈(121)에 삽입되어 안내되면서 록킹부재(130)의 록킹구(132)가 가이드바 장착부(210)의 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록킹홈(211)과 결합 또는 해제되면서 베이스(200)에 대하여 록 또는 언록된다.
여기서, 작동레버(110)와, 가이드바(120) 및 슬라이더(300)의 힌지 연결 관계에 대해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레버(110)는 제1힌지축(111)이 구비되며 작동레버(110)의 제1힌지축(111)이 슬라이더(300)의 힌지부(320)에 힌지고정됨으로써 슬라이더(300)에 대하여 회전이 가능하도록 연결되며, 또한 작동레버(110)는 힌지부(112)를 구비하여 힌지부(112)가 가이드바(120)에 일체로 형성된 제2힌지축(122)과 결합됨으로써 가이드바(120)에 대하여 회전이 가능하도록 힌지고정된다.
제1힌지축(111) 및 제2힌지축(122)은 작동레버(110)에 대하여 각각 하측과 상측에 위치하여 일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있다. 작동레버(110)를 상방으로 들어 올리면서 회전시킬 경우 슬라이더(300)는 록킹부재(130)에 의해 베이스(200)에 고정된 상태에 있기 때문에 제1힌지축(111)은 제자리를 유지하며, 이때 제2힌지축(122)은 작동레버(110)의 회전에 따라 제1힌지축(111)을 중심으로 호를 그리면서 이동하여 제2힌지축(122)을 통해 힌지고정된 가이드바(120)를 베이스(200)에 대하여 후방으로 밀어 이동시킨다. 구체적으로 작동레버(110)의 힌지부(112)는 제2힌지축(122)과 밀착하는 전방면이 평면에 가까운 면으로서 아래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기 때문에 작동레버(110)가 회전시에 제2힌지축(122)은 힌지부(112)의 전방면을 따라 아래방향으로 다소 미끄러져 내려가면서 가이드바(120)를 직선상으로 밀어주게 된다. 따라서 작동레버(110)의 회전운동이 가이드바(120)의 직선운동으로 무리없이 변환되게 된다.
가이드바(120)의 상면에 형성된 탄성부재수용홈(124)에는 탄성부재인 제2압축스프링(123)이 설치되며, 제2압축스프링(123)의 후단이 슬라이더(300)의 하부에 형성된 스프링지지바(330)에 탄성지지되기 때문에 제2압축스프링(123)은 가이드바(120)를 전방으로 밀어내는 탄성력을 부여한다. 따라서 가이드바(120)는 제2압축스프링(123)의 복원력에 의해 전방으로 복귀하려하기 때문에 작동레버(110)에서 외력을 제거하면 가이드바(120)가 전방으로 이동하고 가이드바(120)에 힌지고정된 작동레버(110)는 다시 아래로 회전하면서 원위치로 복귀한다.
베이스(200)의 가이드바 장착부(210)를 따라 시트(1)의 전후방향으로 가이드바(120)가 이동하면, 가이드바(120)의 가이드홈(121)에 의해 안내되는 가이드돌기(131)를 구비한 록킹부재(130)는 가이드돌기(131)가 가이드홈(121)을 따라 일정한 궤적을 그리면서 시트(1)의 측면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록킹부재(130)가 슬라이더(300)에 대하여 전후방향으로는 이동하지 않고 측방향으로만 안내되어 이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록킹부재(130)의 상부에는 한 쌍의 직선형돌기(134)들이 형성되고, 슬라이더(300)의 하부에는 록킹부재(130)의 직선형돌기(134)들이 삽입되는 한 쌍의 장공(340)들이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가이드바(120)의 가이드홈(121)은 시트(1)의 측면방향으로 절곡된 'U'자 형상으로 상기 록킹부재(130)의 가이드돌기(131)가 이를 따라 안내될 경우, 록킹부재(130)가 시트(1)의 측면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레버(110)의 작동에 의해 가이드바(120)가 후방으로 이동할 경우 록킹부재(130)는 슬라이더(300)에 대하여 전후방향으로는 움직이지 않고 시트(1)의 측면방향으로만 이동하여 록킹부재(130)의 록킹구(132)가 가이드바 장착부(210)의 록킹홈(211)에서 이탈하면서 슬라이더(300)가 베이스(200)로부터 언록된다.
즉 작동레버(110)를 상방으로 들어 올리면서 후방으로 밀게 될 경우, 록킹부재(130)가 록킹홈(211)에서 해제되어 보조쿠션이 전방으로 이동 가능한 상태가 되는 것이다.
록킹부재(130)는 슬라이더(300)에 대하여 전후방향으로는 이동하지 못하기 때문에 가이드바(120)와 작동레버(110)가 원상태로 복귀할 때에 록킹부재(130)는 전방으로는 이동하지 않고 가이드홈(121)에 의해 측면방향으로만 이동하여 록킹구(132)가 가이드바 장착부(210)의 록킹홈(211)에 결합되고 따라서 슬라이더(300)가 베이스(200)에 대하여 움직이지 못하는 록킹된 상태가 된다.
슬라이더(300)가 베이스(200)에 대하여 전후방으로 자유롭게 이동 가능하도록 시트위치조정수단(100)이 언록 상태에 있는 경우, 슬라이더(200)의 캐리어팬 가이드부(220)에 구비된 제1압축스프링(221)이 캐리어팬(400)을 전방으로 밀어내게 되고 이 때 캐리어팬(400)에 고정된 슬라이더(300) 역시 슬라이더 가이드홈부(230)를 따라 전방으로 이동하며, 슬라이더(300)와 캐리어팬(400)의 상부에 설치된 보조쿠션(10)이 일정 거리만큼 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작동레버(110)와 가이드바(120) 및 록킹부재(130)도 슬라이더(300)와 함께 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제1압축스프링(221)에 의해 자동으로 슬라이더(300) 및 캐리어팬(400)이 전방으로 이동할 수 있지만, 탑승자가 보조쿠션(10)을 전방으로 잡아당기는 경우 슬라이더(300) 및 캐리어팬(400)의 전방이동은 더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운전자를 포함한 탑승자의 신체조건 및 취향에 따라 시트쿠션(2)의 일부, 즉 보조쿠션(10)을 전방으로 이동시킨 후, 시트위치조정수단(100)의 록킹부재(130)를 록킹홈(211)에 록 시킬 때에는 상방으로 들어 올렸던 작동레버(110)를 놓으면 된다. 상방으로 들어 올렸던 작동레버(110)를 놓게되면 가이드바(120)에 수용되어 있는 제2압축스프링(123)의 복원력에 의해 가이드바(120)가 전방으로 이동하며, 가이드바(120)의 가이드홈(121)에 의해 록킹부재(130)는 측면방향으로 이동하여 가이드바 장착부(210)의 록킹홈(211)에 록킹되며, 가이드바(120)가 작동레버(110)를 밀어내면서 작동레버(110)는 원상태(하방으로 회전)로 복귀된다.
가이드바(120)가 전방으로 이동하여 록킹부재(130)가 록킹홈(211)에 록킹되어 고정되면 슬라이더(300) 및 캐리어팬(400) 역시 조절된 위치에서 베이스(200)에 고정된 상태가 된다.
위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탑승자의 다양한 하체 길이에 대응할 수 있도록 자동차용 시트쿠션(2)에 별도의 보조쿠션(10)을 적용하고 시트위치조정수단(100)을 통해 보조쿠션(10)이 선택적으로 인출되도록 함으로써, 탑승자가 시트(1)에 착석하였을 때에 최적의 편안한 자세를 확보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작동레버(110)는 제1힌지축(111)을 슬라이더(300)의 힌지부(320)에 삽입한 후 작동레버(110)의 힌지부(112)를 가이드바(120)의 제2힌지축(122)에 걸어서 결합시키면 작동레버(110)가 슬라이더(300)와 가이드바(120)로부터 빠져서 이탈하지 않는 구조이므로, 작동레버(110)를 별도의 고정수단을 사용하지 않고도 슬라이더(300) 및 가이드바(120)에 결합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베이스의 캐리어팬 가이드부(220)에 제1압축스프링(221)을 설치하였기 때문에 슬라이더(300)가 베이스(200)에 대하여 전후이동하는 행정거리를 크게 할 수 있다. 만약 슬라이더 가이드홈부(230)에 제1압축스프링을 설치하게 되면 슬라이더 가이드홈부(230)의 공간에서 슬라이더(300)의 가이드부(310)의 뒤쪽으로 제1압축스프링이 차지하는 공간만큼 슬라이더(300)가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이 감소되므로 슬라이더(300)의 전후이송가능한 거리가 짧아진다. 그러나 본 발명은 제1압축스프링(221)을 슬라이더보다 외측에 위치한 베이스(200)의 캐리어팬 가이드부(220)에 설치하고 제1압축스프링(221)의 전단이 걸리게 되는 걸림부(410)를 캐리어팬(400)의 앞쪽에 형성하였기 때문에 베이스(200)에 대한 슬라이더(300)의 행정거리를 최대한 크게 확보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된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기재된 청구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10 : 보조쿠션 100 : 시트위치조정수단
110 : 작동레버 120 : 가이드바
130 : 록킹부재 200 : 베이스
210 : 가이드바 장착부 211 : 록킹홈
220 : 캐리어팬 가이드부 300 : 슬라이더
400 : 캐리어팬

Claims (8)

  1. 시트쿠션의 쿠션 프레임 상에 고정된 시트팬의 상부에 고정되며 슬라이더 가이드부를 구비한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상부에 장착되어 상기 슬라이더 가이드부를 따라 이동하는 슬라이더;
    상기 슬라이더 상부에 고정되는 캐리어팬;
    상기 캐리어팬에 의해 지지되는 보조쿠션; 및
    상기 베이스에 대한 상기 슬라이더의 이동을 선택적으로 록 또는 언록시키는 시트위치조정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자동차용 시트쿠션의 전방 이송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위치조정수단은 상기 슬라이더에 설치되는 가이드바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에는 상기 가이드바가 설치되는 가이드바 장착부가 더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바와 상기 가이드바 장착부의 사이에는 록킹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바 장착부의 일측에는 상기 록킹부재가 록 또는 언록될 수 있도록 록킹홈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시트쿠션의 전방 이송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상기 캐리어팬이 안내되는 캐리어팬 가이드부가 더 형성되고,
    상기 캐리어팬 가이드부에는 상기 캐리어팬에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부재가 상기 캐리어팬을 가압하도록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시트쿠션의 전방 이송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위치조정수단은
    상기 슬라이더의 전방에 상방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힌지수단에 의해 힌지 고정되는 플레이트 형상의 작동레버;
    상기 베이스의 가이드바 장착부에 설치되어 안내되며 상기 작동레버와 축연결되는 제2힌지축을 구비한 가이드바; 및
    상기 가이드바의 후방 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가이드홈에 삽입되어 안내되면서 상기 가이드바 장착부의 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록킹홈에 대하여 록 또는 언록되는 록킹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시트쿠션의 전방 이송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수단은 상기 작동레버와 상기 슬라이더가 서로 공유하면서 상기 작동레버가 상기 슬라이더에 대해 회전 가능하도록 축고정된 제1힌지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시트쿠션의 전방 이송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수단은 상기 작동레버와 상기 가이드바가 서로 공유하면서 상기 작동레버가 상기 가이드바에 대해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가이드바에 일체로 축고정된 제2힌지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시트쿠션의 전방 이송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홈은 상기 시트의 측면방향으로 절곡된 'U'자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시트쿠션의 전방 이송장치.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바의 상부에 탄성부재수용홈이 형성되고 상기 탄성부재수용홈에는 상기 작동레버가 작동 후 원상태로 복귀되도록 탄성부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시트쿠션의 전방 이송장치.
KR1020120063160A 2012-06-13 2012-06-13 자동차용 시트쿠션의 전방 이송장치 KR1013539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3160A KR101353959B1 (ko) 2012-06-13 2012-06-13 자동차용 시트쿠션의 전방 이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3160A KR101353959B1 (ko) 2012-06-13 2012-06-13 자동차용 시트쿠션의 전방 이송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9584A true KR20130139584A (ko) 2013-12-23
KR101353959B1 KR101353959B1 (ko) 2014-01-23

Family

ID=499847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3160A KR101353959B1 (ko) 2012-06-13 2012-06-13 자동차용 시트쿠션의 전방 이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53959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14053A (ko) * 2014-03-31 2015-10-12 주식회사다스 자동차 시트의 쿠션부 확장장치
KR101685927B1 (ko) * 2016-06-09 2016-12-13 (주)디에스시 수동형 시트쿠션 익스텐션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시트
US9821682B2 (en) 2014-11-25 2017-11-21 Hyundai Motor Company Seat cushion extension apparatus
CN108248463A (zh) * 2018-02-13 2018-07-06 上海沃雨电子科技有限公司 儿童座椅及其腿托机构
GB2565089A (en) * 2017-08-01 2019-02-06 Jaguar Land Rover Ltd Vehicle seat
KR20190057904A (ko) * 2017-11-21 2019-05-29 주식회사다스 매뉴얼 쿠션 익스텐션 장치의 힌지 구조
DE102019216331A1 (de) * 2019-10-23 2021-04-29 Brose Fahrzeugteile SE & Co. Kommanditgesellschaft, Coburg Sitztiefenverstelleinrichtung für einen Fahrzeugsitz
CN115042688A (zh) * 2022-06-20 2022-09-13 浙江俱进汽摩配件有限公司 一种汽车座椅腿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3849Y1 (ko) * 1997-12-29 2001-03-02 정몽규 자동차용 시트 쿠션 길이 자동 조절 장치
KR101559181B1 (ko) * 2009-08-03 2015-10-12 주식회사다스 시트쿠션 익스텐션 장치
KR101516224B1 (ko) * 2009-08-12 2015-04-30 주식회사다스 시트쿠션 익스텐션 장치
FR2958889A1 (fr) 2010-04-20 2011-10-21 Faurecia Sieges D Automobiles Dispositif de reglage de la longueur d'assise pour un siege d'automobile, et siege comportant un tel dispositif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14053A (ko) * 2014-03-31 2015-10-12 주식회사다스 자동차 시트의 쿠션부 확장장치
US9821682B2 (en) 2014-11-25 2017-11-21 Hyundai Motor Company Seat cushion extension apparatus
KR101685927B1 (ko) * 2016-06-09 2016-12-13 (주)디에스시 수동형 시트쿠션 익스텐션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시트
GB2565089A (en) * 2017-08-01 2019-02-06 Jaguar Land Rover Ltd Vehicle seat
GB2565089B (en) * 2017-08-01 2020-05-20 Jaguar Land Rover Ltd Vehicle seat
US10696190B2 (en) 2017-08-01 2020-06-30 Jaguar Land Rover Limited Vehicle seat
KR20190057904A (ko) * 2017-11-21 2019-05-29 주식회사다스 매뉴얼 쿠션 익스텐션 장치의 힌지 구조
CN108248463A (zh) * 2018-02-13 2018-07-06 上海沃雨电子科技有限公司 儿童座椅及其腿托机构
DE102019216331A1 (de) * 2019-10-23 2021-04-29 Brose Fahrzeugteile SE & Co. Kommanditgesellschaft, Coburg Sitztiefenverstelleinrichtung für einen Fahrzeugsitz
CN115042688A (zh) * 2022-06-20 2022-09-13 浙江俱进汽摩配件有限公司 一种汽车座椅腿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53959B1 (ko) 2014-0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53959B1 (ko) 자동차용 시트쿠션의 전방 이송장치
US6273511B1 (en) Seat and headrest arrangement for a vehicle
CN107054176B (zh) 带中央垫体和控制台扶手的车辆座椅
US20140145476A1 (en) Vehicle seat
CN108725280A (zh) 用于汽车座椅的扶手模块
KR20170122699A (ko) 위치 조절형 자동차 시트 받침대
CN111746366B (zh) 车辆结构
JP5508790B2 (ja) 自動車のチャイルドシート用の安全装置
CN108819809A (zh) 包含旋转扶手模块的座椅
KR101724915B1 (ko) 차량용 시트의 리클라이닝 장치
KR101746457B1 (ko) 차량용 시트의 리클라이닝 장치
KR101372108B1 (ko) 시트 높이 조절 연동형 슬라이딩 레버장치
KR100494550B1 (ko) 자동차용 럼버서포트 장치 연동형 등판 지지구조
KR20100048956A (ko) 차량 시트, 특히 자동차 시트
JP6527555B2 (ja) 車両用シート
KR20160013405A (ko) 암레스트용 높이 조절장치
JP6366446B2 (ja) シートのハーネス支持構造
KR0128699Y1 (ko) 자동차의 아암 레스트구조
CN111016752B (zh) 车辆用座椅
JP2019010906A (ja) 車両用シート
KR100444664B1 (ko) 자동차용 프론트 시트쿠션의 후방 이동 장치
KR20230166436A (ko) 2열 수동 릴렉션시트
KR19980046731U (ko) 자동차용 시트의 높이 조절장치
JP5445911B2 (ja) 車両用シートの構造
KR100223250B1 (ko) 자동차용 시트의 위치조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