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5007B1 - 주름 저항성이 우수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관 - Google Patents

주름 저항성이 우수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5007B1
KR101735007B1 KR1020150184675A KR20150184675A KR101735007B1 KR 101735007 B1 KR101735007 B1 KR 101735007B1 KR 1020150184675 A KR1020150184675 A KR 1020150184675A KR 20150184675 A KR20150184675 A KR 20150184675A KR 101735007 B1 KR101735007 B1 KR 1017350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pipe
stainless steel
less
austenitic stainless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846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형구
김상석
전종진
송병준
정한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501846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5007B1/ko
Priority to EP16879328.9A priority patent/EP3396000A4/en
Priority to JP2018529542A priority patent/JP6761863B2/ja
Priority to US16/065,036 priority patent/US20180371591A1/en
Priority to MYPI2018000970A priority patent/MY198801A/en
Priority to TR2018/06998T priority patent/TR201806998T1/tr
Priority to CN201680070066.5A priority patent/CN108291288A/zh
Priority to PCT/KR2016/015015 priority patent/WO2017111461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50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50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5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more than 1.5% by weight of manganese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6/00Heat treatment of ferrous alloys
    • C21D6/004Heat treatment of ferrous alloys containing Cr and Ni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9/00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 C21D9/08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for tubular bodies or pipe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01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silico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manganese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4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copp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9/00Rigid pipes
    • F16L9/02Rigid pipes of metal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2211/00Microstructure comprising significant phases
    • C21D2211/001Austenite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2211/00Microstructure comprising significant phases
    • C21D2211/005Ferrite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2211/00Microstructure comprising significant phases
    • C21D2211/008Martensite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1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tubular bodies
    • C21D8/105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tubular bodies of ferrous alloy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Heat Treatment Of Steel (AREA)
  • Rigid Pipes And Flexible Pipes (AREA)
  • Bending Of Plates, Rods, And Pipes (AREA)
  • Heat Treatment Of Sheet Steel (AREA)

Abstract

주름 저항성이 우수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관이 개시된다. 개시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관은, 중량%로, 실리콘(Si): 0.1 내지 0.65%, 망간(Mn): 0.2 내지 3.0%, 니켈(Ni): 6.5 내지 12.0%, 크롬(Cr): 14.5 내지 20.5%, 구리(Cu): 6.0%이하(0은 제외), 탄소(C)+질소(N): 0.13% 이하(0은 제외), 나머지는 Fe 및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며, 강관의 외경(D) 및 강관의 두께(t)에 관한 하기 식 (1)을 만족하며, 항복강도가 195MPa 이하이다.
D/t≥20 …… 식 (1)

Description

주름 저항성이 우수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관{AUSTENITIC STAINLESS STEEL PIPE HAVING EXCEELENT WRINKLE RESISTANCE}
본 발명은 주름 저항성이 우수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관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강관을 인력으로 쉽게 굽혀서 사용 가능할 뿐만 아니라 강관의 굽힘 가공시 굽혀진 부분에 주름이 발생하지 않는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관에 관한 것이다.
종래 가정용 및 자동차용 에어컨 냉매 배관으로 스테인리스강을 적용하고자 하는 시도가 있었다. 스테인리스강은 타 소재 대비 내식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비교적 소재 비용이 저렴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에어컨 냉매 배관 시공 시 설치 공간에 제약을 받기 때문에, 많은 경우 배관을 시공함에 있어 인력으로 배관을 구부리는 등의 작업이 필수적으로 수반되는데, 종래의 동관 또는 알루미늄관은 그 재질이 충분이 연하여 문제가 없으나, 일반적인 스테인리스강은 배관 시공 시 필수적으로 구비되어야 하는 가요성을 구비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금속재료는 인장 또는 압축 등 변형을 받으면 가공경화가 발생하여 변형을 받을수록 더욱 강해지는 특성이 있다. 배관을 구부리는 것은 인장과 압축의 복합적인 작용으로 구부리는 정도가 심해짐에 따라 소재는 더욱 경질화된다. 특히,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으로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304강은 가공경화의 정도가 심해 에어컨 배관 시공을 해야 하는 공간 내에서 인력으로 배관을 구부리는 것은 매우 곤란하다.
뿐만 아니라, 오스테나이계 스테인리스강은 배관의 굽힘 가공 시에 주름과 같은 형상 변화가 발생하는 문제를 갖고 있다. 이러한, 주름은 미관상 좋지 않아 제거 대상이며, 이를 연마를 통한 제거하게 되면 추가적인 비용 및 시간이 소모되는 문제점이 있다.
일본 공개특허문헌 제10-2003-268503호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인력으로 쉽게 굽혀서 사용 가능할 뿐만 아니라 강관의 굽힘 가공시 굽혀진 부분에 주름이 발생하지 않는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관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름 저항성이 우수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관은, 중량%로, 실리콘(Si): 0.1 내지 0.65%, 망간(Mn): 0.2 내지 3.0%, 니켈(Ni): 6.5 내지 12.0%, 크롬(Cr): 14.5 내지 20.5%, 구리(Cu): 6.0%이하(0은 제외), 탄소(C)+질소(N): 0.13% 이하(0은 제외), 나머지는 Fe 및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며, 강관의 외경(D) 및 강관의 두께(t)에 관한 하기 식 (1)을 만족하며, 항복강도가 195MPa 이하이다.
D/t≥20 …… 식 (1)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ASTM 결정입도 번호가 8 이하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강관은 페라이트 상분율 또는 마르텐사이트 상분율이 1% 미만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을 이용하여 제조된 강관을 사용하여, 종래 가정용 및 자동차용 에어컨 냉매 배관 용도로 사용되던 동관 또는 알루미늄관을 스테인리스관으로 대체할 수 있으며, 기존 배관에 비하여 내식성 뿐만 아니라 소재의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배관의 굽힘 가공에도 주름 등의 형상적인 문제가 발생하지 않아 큰 어려움 없이 인력에 의하여 용이하게 배관의 굽힘 가공이 가능하다.
도 1은 종래의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관을 90° 굽힌 모습을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관을 90° 굽힌 모습을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관의 외경(D) 및 두께(t)의 비율과 항복강도와의 상관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관의 항복강도와 입도와의 상관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충분히 전달하기 위해 제시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여기서 제시한 실시 예만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도면은 본 발명을 명확히 하기 위해 설명과 관계 없는 부분의 도시를 생략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구성요소의 크기를 다소 과장하여 표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름 저항성이 우수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관은, 중량%로, 실리콘(Si): 0.1 내지 0.65%, 망간(Mn): 0.2 내지 3.0%, 니켈(Ni): 6.5 내지 12.0%, 크롬(Cr): 14.5 내지 20.5%, 구리(Cu): 6.0%이하(0은 제외), 탄소(C)+질소(N): 0.13% 이하(0은 제외), 나머지는 Fe 및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주름 저항성이 우수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관을 구성하는 성분들의 수치한정 이유에 대하여 설명한다.
실리콘(Si)은 0.1 내지 0.65 중량% 범위 내에서 조절하여 첨가한다.
실리콘(Si)은 탈산을 위해 필수적으로 첨가되는 원소이며, 그 함량을 너무 낮은 양으로 제어하려면 제강 공정에 있어서 비용이 많이 소요되므로 이므로, 0.1% 이상으로 한정한다.
그러나 과도하게 높은 함량의 Si를 첨가하는 경우 Si은 고용 강화 원소로서 강도가 높아져 소재가 경질화되는 바,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항복강도 195 MPa 이하를 달성하기 쉽지 않다. 뿐만 아니라, 산소와 결합하여 개재물을 형성함으로써 내식성이 저하되므로 그 상한을 0.65%로 제한한다.
망간(Mn)은 0.2 내지 3.0 중량%의 범위 내에서 조절하여 첨가한다.
망간(Mn)은 탈산을 위해 필수적으로 첨가 될 뿐만 아니라 오스테나이트상의 안정화도를 증가시키며 강관의 페라이트 혹은 마르텐사이트 생성량을 줄여 주는 원소로서, 오스테나이트 밸런스 유지를 위해서는 1.0% 이상을 첨가한다.
그러나, Mn은 고용 강화 원소로서, 과도하게 높은 함량의 Mn 첨가는 강관의 강도 증가의 우려가 있어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항복강도 195 MPa 이하를 달성하기 쉽지 않다. 뿐만 아니라, 소재의 내식성을 저하시키므로 그 상한은 3.0%로 제한한다.
니켈(Ni)은 6.5 내지 12.0 중량%의 범위 내에서 조절하여 첨가한다.
니켈(Ni)은 크롬(Cr)과 복합 첨가함으로써 내공식성과 같은 내식성의 개선에 효과적일 뿐만 아니라, 그 함유량이 증가하면 오스테나이트강의 연질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니켈(Ni)은 오스테나이트상의 안정화도를 증가시키며 강관의 페라이트 혹은 마르텐사이트 생성량을 줄여 주는 원소로서, 오스테나이트 밸런스 유지를 위하여 6.5% 이상을 첨가한다.
그러나, 과도하게 높은 함량의 니켈(Ni) 첨가는 강 비용의 상승을 초래하므로 상한을 12.0%로 제한한다.
크롬(Cr)은 14.5 내지 20.5 중량% 범위 내에서 조절하여 첨가한다.
크롬(Cr)은 스테인리스강의 내식성을 향상시키는 필수적인 원소로서 범용으로 사용되기 위해서는 14.5% 이상이 첨가되어야 한다.
그러나, Cr은 고용 강화 원소로서, 과도하게 높은 함량의 Cr 첨가는 강관의 강도 증가의 우려가 있어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항복강도 195 MPa 이하를 달성하기 쉽지 않다. 뿐만 아니라, 비용의 상승을 초래하므로 상한을 20.5%로 제한한다.
구리(Cu)는 6.0 중량% 이하(0은 제외) 범위 내에서 조절하여 첨가한다.
구리(Cu)는 오스테나이트강의 연질화를 야기할 수 있으며, 강관의 페라이트 혹은 마르텐사이트 생성량을 줄여 주는 원소로서, 이를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과도하게 높은 함량의 구리(Cu) 첨가는 열간 가공성을 저하시키고, 오히려 오스테나이트상을 경질화시킬 수 있으며, 비용의 상승 및 제조 난이도를 상승 시키므로 그 상한을 6.0%로 제한한다.
탄소(C)+질소(N)는 0.13 중량% 이하(0은 제외)로 첨가되어야 한다.
탄소(C)와 질소(N)는 침입형 고용강화 원소로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을 경질화 시킬 뿐만 아니라, 그 함량이 높으면 가공 시 발생하는 변형유기 마르텐사이트를 경질화하여 소재의 가공 경화도가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탄소(C) 및 질소(N)의 함량을 제한할 필요성이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C+N의 함량을 0.13% 이하로 제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름 저항성이 우수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관은, 강관의 외경(D) 및 강관의 두께(t)에 관한 하기 식 (1)을 만족한다.
D/t≥20 …… 식 (1)
강관의 외경(D) 및 강관의 두께(t)의 비인 D/t 비율이 20 미만인 영역에서는, 누구나 용이하게 주름을 발생시키지 않고 강관의 굽힘 가공이 가능하다.
그러나 강관의 외경(D) 및 강관의 두께(t)의 비인 D/t 비율이 20 이상인 영역에서는, 강관의 굽힘 가공시 주름이 발생하여 가공이 쉽지 않다.
다만,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바와 같이 강관의 외경(D) 및 강관의 두께(t)의 비인 D/t 비율이 20 이상인 것, 그리고 강관의 항복강도가 195MPa 이하인 것의 조합으로 주름 없이 용이하게 굽힘 가공이 가능하다.
상기 스테인리스 강관의 항복강도가 195MPa 이하이다.
강관의 외경(D) 및 강관의 두께(t)의 비인 D/t 비율이 20 미만인 영역에서는, 상기 스테인리스 강관의 항복강도와 무관하게 누구나 용이하게 주름을 발생시키지 않고 강관의 굽힘 가공이 가능하다.
강관의 외경(D) 및 강관의 두께(t)의 비인 D/t 비율이 20 이상인 영역에서, 상기 스테인리스 강관의 항복강도가 195MPa 초과인 경우, 강관의 강도가 과도하여, 인력으로 굽힘 가공을 수행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굽힘 가공시 주름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관을 90° 굽힌 모습을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관을 90° 굽힌 모습을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관의 외경(D) 및 두께(t)의 비율과 항복강도와의 상관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도 2의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은 본 발명의 강관의 외경(D) 및 두께(t)의 비율과 항복강도를 만족하는 것으로서, 굽힘 가공시 주름이 발생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도 3은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성분을 갖는 강관을 사용하여 강관의 외경(D) 및 두께(t)의 비율(D/t)와 강관의 항복강도에 따라, 배관을 굽힘 가공 시에 주름이 발생하는지 여부를 나타낸 것이다. 검은색 원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로서, 강관의 굽힘 가공 시 주름이 발생하지 않은 경우이며, 흰색 원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벗어난 경우로서, 강관의 굽힘 가공 시 주름이 발생한 경우이다.
강관의 외경(D) 및 두께(t)의 비율(D/t)이 20 미만인 영역에서는 강관의 항복강도에 구애 받지 않고 주름이 발생하지 않는 것을 알 수 있다.
반면 강관의 외경(D) 및 두께(t)의 비율(D/t)이 20 이상인 영역에서는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바와 같이 반드시 항복강도 195MPa 이하로 강관을 제조하여야 주름이 발생하지 않는 강관을 얻을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배관의 항복강도는 ASTM_A370법을 따라 측정하였으나 다른 방법으로 해도 무방하다.
예를 들어, 상기 스테인리스 강관의 ASTM 결정입도 번호가 8 이하일 수 있다. 상기 결정입도는 상기 스테인리스 강관의 길이방향 단면에서 측정한 결정입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관의 항복강도와 입도와의 상관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결정입도 범위로 항복강도 195MPa 이하가 되도록 양호하게 제조할 수 있을 보여준다. 도 4를 참조하면, 결정입도가 감소할수록 강관의 항복강도가 감소하는 경향이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원 발명의 항복강도 195MPa 이하를 만족하기 위하여는, 결정입도를 8 이하로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상기 강관은 페라이트 상분율이 1% 미만일 수 있으며, 상기 강관은 마르텐사이트 상분율이 1% 미만일 수 있다.
상기 강관은 자화 방식으로 측정한 페라이트 또는 마르텐사이트 분율이 1% 미만이다.
이하, 실시예들을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실시예
하기 표 1의 발명예1 내지 발명예19, 그리고 비교예1 내지 비교예11의 성분을 포함하는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 슬라브를 연속 주조하여 제조하였다. 이후, 열간 압연 및, 50% 총압하율로 냉간 압연을 거쳐, 냉연 강판을 제조하였다. 냉연 강판을 이용하여 강관을 제조하였다.
이후, 강관의 입도, 항복강도 등의 물성을 측정하였으며, 강관을 90° 굽힌 후 주름의 발생여부를 육안으로 확인하였다.
성분
C Si Mn Ni Cr Cu N
발명예1 0.012 0.3 0.7 7.8 16.9 3.01 0.008
발명예2 0.010 0.3 1.2 9.6 16.8 0.00 0.010
발명예3 0.010 0.3 1.2 8.7 16.9 3.00 0.010
발명예4 0.010 0.3 1.2 9.6 16.9 2.98 0.010
발명예5 0.009 0.6 1.2 7.5 17.0 2.98 0.010
발명예6 0.010 0.3 1.8 7.6 16.8 3.00 0.010
발명예7 0.010 0.3 1.1 7.6 17.2 3.03 0.010
발명예8 0.010 0.3 2.2 7.6 16.9 3.00 0.010
발명예9 0.012 0.3 0.7 7.8 16.9 3.01 0.008
발명예10 0.010 0.3 1.2 9.6 16.8 0.00 0.010
발명예11 0.010 0.3 1.2 9.6 16.9 2.98 0.010
발명예12 0.009 0.6 1.2 7.5 17.0 2.98 0.010
발명예13 0.010 0.3 1.2 8.7 16.9 3.00 0.010
발명예14 0.010 0.3 1.2 9.6 19.0 0.00 0.010
발명예15 0.010 0.3 2.2 7.6 16.9 3.00 0.010
발명예16 0.010 0.3 1.8 7.6 16.8 3.00 0.010
발명예17 0.010 0.3 1.1 7.6 17.2 3.03 0.010
발명예18 0.010 0.3 1.2 9.6 19.0 2.90 0.010
발명예19 0.010 0.3 1.2 9.6 16.8 0.00 0.010
비교예1 0.012 0.3 0.7 7.8 16.9 3.01 0.008
비교예2 0.010 0.3 1.2 9.6 19.0 0.00 0.010
비교예3 0.010 0.3 1.2 9.6 16.9 2.98 0.010
비교예4 0.010 0.3 1.2 8.7 16.9 3.00 0.010
비교예5 0.010 0.3 1.8 7.6 16.8 3.00 0.010
비교예6 0.009 0.6 1.2 7.5 17.0 2.98 0.010
비교예7 0.010 0.3 1.2 9.6 19.0 2.90 0.010
비교예8 0.010 0.3 2.2 7.6 16.9 3.00 0.010
비교예9 0.010 0.3 1.1 7.6 17.2 3.03 0.010
비교예10 0.010 0.3 1.2 9.6 19.0 0.00 0.010
비교예11 0.010 0.3 1.2 9.6 19.0 2.90 0.010
입도 (ASTM) 항복강도 (MPa)
발명예1 5.8 169
발명예2 5.7 171
발명예3 6.0 172
발명예4 6.0 172
발명예5 6.5 176
발명예6 6.2 177
발명예7 6.1 178
발명예8 6.4 180
발명예9 6.6 181
발명예10 6.5 182
발명예11 6.8 182
발명예12 7.4 183
발명예13 6.8 185
발명예14 7.4 187
발명예15 7.0 188
발명예16 6.8 188
발명예17 6.9 189
발명예18 7.9 192
발명예19 7.5 195
비교예1 8.0 196
비교예2 7.9 201
비교예3 7.9 202
비교예4 8.3 202
비교예5 8.3 203
비교예6 8.7 205
비교예7 8.5 206
비교예8 8.2 207
비교예9 8.5 208
비교예10 8.8 220
비교예11 9.4 227
상기 표 1 및 표 2, 그리고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표 1은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성분 및 입도의 역할을 알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조성을 만족하더라도, 결정입도 및 항복강도가 본 발명의 범위를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 강관의 굽힘 가공시 주름이 발생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결정입도 범위로 항복강도 195MPa 이하가 되도록 양호하게 제조할 수 있을 보여준다. 도 4를 참조하면, 결정입도가 감소할수록 강관의 항복강도가 감소하는 경향이 있음을 알 수 있다.
상술한 바에 있어서,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다음에 기재하는 특허청구범위의 개념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3)

  1. 중량%로, 실리콘(Si): 0.1 내지 0.65%, 망간(Mn): 0.2 내지 3.0%, 니켈(Ni): 6.5 내지 12.0%, 크롬(Cr): 14.5 내지 20.5%, 구리(Cu): 6.0%이하(0은 제외), 탄소(C)+질소(N): 0.13% 이하(0은 제외), 나머지는 Fe 및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고,
    강관의 외경(D) 및 강관의 두께(t)에 관한 하기 식 (1)을 만족하며,
    ASTM 결정입도 번호가 8 이하를 만족하여 항복강도가 195MPa 이하인 주름 저항성이 우수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관.
    D/t≥20 …… 식 (1)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강관은 페라이트 상분율 또는 마르텐사이트 상분율이 1% 미만인 주름 저항성이 우수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관.

KR1020150184675A 2015-12-23 2015-12-23 주름 저항성이 우수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관 KR1017350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4675A KR101735007B1 (ko) 2015-12-23 2015-12-23 주름 저항성이 우수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관
EP16879328.9A EP3396000A4 (en) 2015-12-23 2016-12-21 AUSTENITIC STAINLESS STEEL TUBE HAVING EXCELLENT WRINKLE RESISTANCE
JP2018529542A JP6761863B2 (ja) 2015-12-23 2016-12-21 シワ抵抗性に優れたオーステナイト系ステンレス鋼管
US16/065,036 US20180371591A1 (en) 2015-12-23 2016-12-21 Austenitic stainless steel pipe exhibiting excellent wrinkle resistance
MYPI2018000970A MY198801A (en) 2015-12-23 2016-12-21 Austenitic stainless steel pipe exhibiting excellent wrinkle resistance
TR2018/06998T TR201806998T1 (tr) 2015-12-23 2016-12-21 Mükemmel kirişiklik dayanimi gösteren osteni̇tli̇ paslanmaz çeli̇k boru
CN201680070066.5A CN108291288A (zh) 2015-12-23 2016-12-21 表现出优异抗皱性的奥氏体不锈钢管
PCT/KR2016/015015 WO2017111461A1 (ko) 2015-12-23 2016-12-21 주름 저항성이 우수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4675A KR101735007B1 (ko) 2015-12-23 2015-12-23 주름 저항성이 우수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35007B1 true KR101735007B1 (ko) 2017-05-15

Family

ID=587395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4675A KR101735007B1 (ko) 2015-12-23 2015-12-23 주름 저항성이 우수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관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180371591A1 (ko)
EP (1) EP3396000A4 (ko)
JP (1) JP6761863B2 (ko)
KR (1) KR101735007B1 (ko)
CN (1) CN108291288A (ko)
MY (1) MY198801A (ko)
TR (1) TR201806998T1 (ko)
WO (1) WO2017111461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647683A4 (en) * 2017-06-26 2021-03-24 LG Electronics Inc. GAS HEAT PUMP SYSTEM
WO2022270814A1 (ko) * 2021-06-21 2022-12-29 주식회사 포스코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 및 그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200771B (zh) * 2016-03-28 2021-02-12 Lg电子株式会社 不锈钢及由所述不锈钢构成的配管
KR20180104508A (ko) * 2017-03-13 2018-09-21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 조화기
KR20180111416A (ko) * 2017-03-31 2018-10-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연성 스테인리스 강관
KR102364389B1 (ko) * 2017-09-27 2022-02-17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 조화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69423A (ja) * 2007-01-10 2008-07-24 Nisshin Steel Co Ltd 曲げ加工用オーステナイト系ステンレス鋼板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42358A (ja) * 1986-08-05 1988-02-23 Sumitomo Metal Ind Ltd 給湯,給水用ステンレス鋼管及びその製造方法
JPH01104748A (ja) * 1987-10-15 1989-04-21 Kawasaki Steel Corp 非酸化性環境における耐食性に優れたオーステナイト系ステンレス鋼
JPH01287249A (ja) * 1988-12-27 1989-11-17 Nkk Corp オーステナイトステンレス鋼管およびその製造法
JPH04309402A (ja) * 1991-04-08 1992-11-02 Sumitomo Metal Ind Ltd オーステナイト系ステンレス継目無鋼管の製造方法
JP2000297354A (ja) * 1999-04-13 2000-10-24 Sanyo Special Steel Co Ltd 熱間加工性に優れた高耐食性を有する熱交換器用オーステナイト系ステンレス鋼管
EP1847749B1 (en) * 2000-08-01 2010-04-14 Nisshin Steel Co., Ltd. Stainless steel fuel filler tube
JP4425504B2 (ja) * 2001-09-14 2010-03-03 新日鐵住金ステンレス株式会社 軟質オーステナイト系ステンレス鋼
JP3827986B2 (ja) * 2001-10-16 2006-09-27 日新製鋼株式会社 ステンレス鋼製フレキシブル管又はダクト管
JP3632672B2 (ja) 2002-03-08 2005-03-23 住友金属工業株式会社 耐水蒸気酸化性に優れたオーステナイト系ステンレス鋼管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4277767A (ja) * 2003-03-13 2004-10-07 Nisshin Steel Co Ltd 自動車の給油管および燃料タンク用オーステナイト系ステンレス鋼並びに自動車の給油管および燃料タンク
DE602004030812D1 (de) * 2003-06-23 2011-02-10 Sumitomo Metal Ind Herstellungsverfahre für rohrmaterial zur herstellung von nahtlosen stahlrohren
JP4314903B2 (ja) * 2003-06-30 2009-08-19 住友金属工業株式会社 溶接施工性に優れたステンレス鋼を用いた溶接継手
CN100485077C (zh) * 2007-06-13 2009-05-06 陈卫东 超薄合金材料软管及其制造方法
JP5448023B2 (ja) * 2008-02-12 2014-03-19 独立行政法人物質・材料研究機構 塑性加工性に優れた鋼細線又は薄帯鋼板
EP2610362B1 (en) * 2010-08-26 2017-10-11 Nippon Steel & Sumitomo Metal Corporation Cr-containing austenite alloy tube
RU2507294C2 (ru) * 2011-11-18 2014-02-20 Сумитомо Метал Индастриз, Лтд. Аустенитная нержавеющая сталь
JP6244939B2 (ja) * 2014-01-24 2017-12-13 新日鐵住金株式会社 オーステナイト系ステンレス鋼管
CN104480409B (zh) * 2014-12-10 2017-05-03 无锡鑫常钢管有限责任公司 一种06Cr17Ni12Mo2Ti奥氏体不锈钢管及生产工艺
KR101550738B1 (ko) * 2015-04-29 2015-09-08 성기천 연성이 우수한 스테인리스강 및 이를 이용한 냉매 배관용 스테인리스 파이프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69423A (ja) * 2007-01-10 2008-07-24 Nisshin Steel Co Ltd 曲げ加工用オーステナイト系ステンレス鋼板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647683A4 (en) * 2017-06-26 2021-03-24 LG Electronics Inc. GAS HEAT PUMP SYSTEM
US11460223B2 (en) 2017-06-26 2022-10-04 Lg Electronics Inc. Gas heat pump system
WO2022270814A1 (ko) * 2021-06-21 2022-12-29 주식회사 포스코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111461A1 (ko) 2017-06-29
CN108291288A (zh) 2018-07-17
JP2019502021A (ja) 2019-01-24
EP3396000A4 (en) 2019-01-23
MY198801A (en) 2023-09-27
TR201806998T1 (tr) 2018-07-23
EP3396000A1 (en) 2018-10-31
US20180371591A1 (en) 2018-12-27
JP6761863B2 (ja) 2020-09-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35007B1 (ko) 주름 저항성이 우수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관
KR101659186B1 (ko) 가요성이 우수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
JP2867626B2 (ja) 板ばねホースバンド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20220010392A1 (en) Nonmagnetic austenitic stainless stee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EP3080311B1 (en) Method for producing high-strength duplex stainless steel
CN112805398B (zh) 具有优异的扩管性和时效裂纹抗力的奥氏体不锈钢
KR101964314B1 (ko) 가공성 및 내시효균열성이 우수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 및 이를 이용한 드로잉 가공품
US11952649B2 (en) High-strength stainless steel
US20220403491A1 (en) Austenitic stainless steel having increased yield ratio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5950653B2 (ja) 耐加工肌荒れ性に優れるフェライト系ステンレス鋼板
KR20190066734A (ko) 내식성이 우수한 고경도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
JP2009052108A (ja) 建材用極低炭極薄冷延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EP3851552A1 (en) High-strength ferritic stainless steel for clamp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KR101938588B1 (ko) 리징성이 우수한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의 제조방법
KR101379139B1 (ko) 고강도와 연성이 우수한 린 듀플렉스 스테인리스강 및 그 제조방법
KR101756701B1 (ko) 가공성이 향상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
KR101820526B1 (ko) 굽힘 가공성이 우수한 린 듀플렉스 스테인리스강
KR101379076B1 (ko) 린 듀플렉스 스테인리스강 및 그의 제조방법
US20230287549A1 (en) Austenitic stainless steel with improved deep drawing
KR20140083169A (ko) 듀플렉스 스테인리스강 및 그 제조방법
JP3799868B2 (ja) ロール成形性および耐座屈性に優れた高張力冷延鋼板
JP7298777B2 (ja) 熱延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2492644B1 (ko) 지연파괴 저항성이 향상된 선재, 부품 및 그 제조방법
KR101379063B1 (ko) 린 듀플렉스 스테인리스강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449126B1 (ko) 성형성이 우수한 가공용 열연강판 및 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