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83169A - 듀플렉스 스테인리스강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듀플렉스 스테인리스강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83169A
KR20140083169A KR1020120152449A KR20120152449A KR20140083169A KR 20140083169 A KR20140083169 A KR 20140083169A KR 1020120152449 A KR1020120152449 A KR 1020120152449A KR 20120152449 A KR20120152449 A KR 20120152449A KR 20140083169 A KR20140083169 A KR 201400831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stainless steel
duplex stainless
present
tungst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524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수찬
김봉운
백종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201524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83169A/ko
Publication of KR201400831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8316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01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4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copper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4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molybdenum or tungsten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2211/00Microstructure comprising significant phases
    • C21D2211/001Austenite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2211/00Microstructure comprising significant phases
    • C21D2211/005Ferrit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t Treatment Of Stee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듀플렉스 스테인리스강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크롬(Cr): 24~26%, 니켈(Ni): 6.0~8.0%, 몰리브덴(Mo): 3.0~4.0%, 텅스텐(W): 0.5~1.0%, 구리(Cu): 0.5~1.0%, 질소(N): 0.24~0.32%를 함유하고, 나머지 철(Fe) 및 불가피한 불순물로 이루어지며, (Mo+W) 함량은 4.1~4.6 범위에 포함되는 오스테나이트 및 페라이트 상으로 구성된 듀플렉스 스테인리스강 및 그 제조방법이 개시된다.

Description

듀플렉스 스테인리스강 및 그 제조방법{DUPLEX STAINLESS STEE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듀플렉스 스테인리스강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텅스텐을 함유한 슈퍼 듀플렉스 스테인리스강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크롬, 몰리브덴, 텅스텐 및 질소 등을 다량 함유한 슈퍼 듀플렉스 스테인리스 강은 페라이트 및 오스테나이트 상을 각각 50% 정도 함유하여 강도 및 내식성이 우수하여 해수 파이프 및 피팅류 등에 널리 사용되고 있으나 합금원소 함유량이 높아 열간가공성이 열위하여 열간압연시 엣지 및 표면균열이 쉽게 발생하고, 650℃~1000℃ 구간에서 유지시 금속간 화합물인 시그마(σ)상 및 카이(χ)상이 쉽게 생성되어 충격인성 및 내식성이 저하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열간가공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열간압연중 보온 가열로를 갖는 스테켈 밀을 주로 활용하거나 소재의 고온연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JP1990-258956, US5298093 특허 등은 불순물 원소(S, O)를 극저로 제어하거나 Ca 및 희토류(Ru, Ce) 원소를 첨가하여 황(S)를 낮게 관리하여 열간 가공성을 개선하였다.
또한, 내식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US4640817 및 US2003-0155046에서는 크롬 또는 질소 함량 증가, W을 2% 이상 첨가하거나 Cu를 부가적으로 첨가하였다.
그러나, 상기 기술 및 특허들은 불순물 제어를 위하여 제강조업시 정련시간이 과다하게 소요되어 생산성이 저하되고 합금원소 첨가량이 증가하여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합금원소의 추가적인 첨가나 불순물의 극저 정련없이 통상의 조업에서도 슬라브 가열온도를 제어하여 델타 페라이트 함량을 제어하고, 가열로 내 슬라브 벤딩을 저감하여 열간압연을 용이하게 진행하면서 Mo+W 함량을 제어하는 듀플렉스 스테인리스강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하나 또는 다수의 실시예에서는 크롬(Cr): 24~26%, 니켈(Ni): 6.0~8.0%, 몰리브덴(Mo): 3.0~4.0%, 텅스텐(W): 0.5~1.0%, 구리(Cu): 0.5~1.0%, 질소(N): 0.24~0.32%를 함유하고, 나머지 철(Fe) 및 불가피한 불순물로 이루어지며, 하기 식 (1) 및 (2)를 만족하는 오스테나이트 및 페라이트 상으로 구성된 듀플렉스 스테인리스강이 제공될 수 있다.
40≤PREN = Cr+3.3x(%Mo+0.5x%W)+16x(%N)≤45 ----------------(1)
RA(Reduction of Area) = 115+0.249(%δ)-120(%Mo)-9.2(%W) ≥ 75 -----(2)
단, 상기 PREN은 내공식성 지수(Pitting Resistance Equivalent Number)이이고, 단, 상기 식에서 RA는 열간가공성을 나타내는 지수이다.
상기 듀플렉스 스테인리스강은, 하기 식 (3)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CPT = 10.8 - 0.36(%δ) + 24.7(%Mo) + 17.8(%W) ≥ 90 ----------------(3)
단, 상기 CPT는 내식성을 나타내는 임계공식온도(Critical Pitting Temperature)이다.
상기 듀플렉스 스테인리스강은, 델타 페라이트 함량(%δ)이 (Mo+W) 함량 변화에 따라 하기 식 (4)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δ = 20.2 + 6.95(%Mo) + 8.44(%W) -------------------(4)
상기 (Mo+W) 함량은 4.1~4.6 범위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하나 또는 다수의 실시예에서는 크롬(Cr): 24~26%, 니켈(Ni): 6.0~8.0%, 몰리브덴(Mo): 3.0~4.0%, 텅스텐(W): 0.5~1.0%, 구리(Cu): 0.5~1.0%, 질소(N): 0.24~0.32%를 함유하고, 나머지 철(Fe) 및 불가피한 불순물로 이루어지며, 슬라브를 1260~1280℃의 온도 범위에서 가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플렉스 스테인리스강 제조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텅스텐을 함유한 슈퍼 듀플렉스 스테인리스강을 열간압연시 슬라브 가열온도를 제어하고, 열간가공성을 나타내는 RA값과, 내식성을 나타내는 임계공식온도값을 제어함으로써 엣지균열(edge crack)이 저감되면서 내식성이 우수한 텅스텐 함유 슈퍼 듀플렉스 스테인리스강을 제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열온도에 따른 델타 페라이트 함량 및 가열로 내 슬라브 처짐량 변화 거동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Mo+W 함량 변화에 따른 델타 페라이트 함량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Mo+W 함량 변화에 따른 1100℃에서 열간가공성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Mo+W 함량 변화에 임계공식온도(CPT)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간 가공성 및 내식성이 우수한 제조조건 범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텅스텐(W)을 함유하는 슈퍼 듀플렉스 스테인리스강에 관한 것으로, 중량%로, 크롬(Cr): 24~26%, 니켈(Ni): 6.0~8.0%, 몰리브덴(Mo): 3.0~4.0%, 텅스텐(W): 0.5~1.0%, 구리(Cu): 0.5~1.0%, 질소(N): 0.24~0.32% 함유하고, 나머지 철(Fe) 및 불가피한 불순물로 이루어지며, Cr+3.3*(%Mo+0.5%*W)+16*(%N)으로 정의되는 내공식성 지수(PREN: Pitting Resistance Equivalent Number) 값이 40~45 사이인 오스테나이트 및 페라이트 상으로 구성된 열간가공성 및 내식성이 우수한 슈퍼 듀플렉스 스테인리스강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는 슈퍼 듀플렉스 스테인리스강(S32760강)의 열간압연을 위한 슬라브의 가열로 온도 및 적정한 (Mo+W) 함량을 제어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의 성분 함량의 수치 한정 이유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하에서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함량의 단위는 중량%이다.
크롬(Cr): 24~26%
크롬(Cr)은 대부분의 부식에 대한 내식성을 증가시키는데 매우 유효한 원소이다. 만약, Cr 함량이 높은 경우, 재료에서의 질소의 용해도가 매우 양호해지므로, 내식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Cr 함량을 24% 이상 첨가하나, Cr 함량이 26%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금속간 석출의 경향이 증가하므로, Cr 함량은 26%를 상한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의 크롬의 함량은 상기 범위로 한정한다.
니켈(Ni): 6.0~8.0%
니켈(Ni)은 오스테나이트 안정화 원소로서 사용되고, 바람직한 페라이트 함량을 얻도록 적절한 양으로 첨가되어야 한다. 오스테아니트와 페라이트 상 사이에 바람직한 관계를 얻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에에서는 니켈을 6.1~8.0%를 첨가한다.
몰리브덴(Mo): 3.0~4.0%
몰리브덴(Mo)은 염화물 환경 특히, 환원성 산에서 내식성을 향상시키는 원소이다. 만약, 매우 큰 Mo 함량과 매우 큰 Cr 함량과 함께 사용되면, 금속간 석출 양이 증가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의 몰리브덴의 함량은 3.0~4.0%로 한정한다.
텅스텐(W): 0.5~1.0%
텅스텐(W)은 점부식 및 틈새부식에 대한 내식성을 증가시킨다. Cr 및 Mo 양이 많은 경우 텅스텐을 너무 많이 첨가하면, 금속간 석출의 위험이 증가하므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는 텅스텐 함량은 0.5~1.0중량%로 한정한다.
구리(Cu): 0.5~1.0%
구리(Cu)는 황산과 같은 산 환경에서의 일반적인 내식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첨가된다. Cu 는 또한 조직 안정성에 영향을 미친다. 그러나, Cu 의 양이 커지면, 고용도가 지나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의 구리의 함량은 0.5~1.0%로 한정한다.
질소(N): 0.24~0.32%
질소(N)는 재료의 내식성, 조직 안정성 및 강도를 증가시키는 매우 유효한 원소이다. 또한, 질소의 양이 많아지면, 용접 후 오스테나이트의 재생이 증가하여 양호한 특성을 지닌 양호한 용접 접합부가 얻어진다. 질소의 우수한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0.24 중량% 이상을 첨가해야 한다. N 함량이 높고 크롬 량이 동시에 매우 높은 경우 질화 크롬이 석출될 수 있으므로, 0.32% 이하로 한정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의 질소의 함량은 0.24~0.32%로 한정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텅스텐 첨가 슈퍼 듀플렉스 S32760강의 성분에서 하기 표 1의 성분을 갖는 소재를 사용하였다.
성분 C Si Mn P Cr Ni Mo W Cu N
중량% 0.03
이하
0.03
이하
0.03
이하
0.035
이하
24.0
~26.0
6.0
~8.0
3.0
~4.0
0.5
~1.0
0.5
~1.0
0.2
~0.3
[슈퍼 듀플렉스 S32760강의 화학성분 (wt.%)]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는 텅스텐 첨가 슈퍼 듀플렉스강을 열간압연시 슬라브 가열온도 및 (Mo+W) 함량을 적정하게 제어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열온도에 따른 델타 페라이트 함량 및 가열로내 슬라브 처짐량 변화 거동을 나타내는 그래프인데, 도 1을 참조하면, 열간압연을 실시하기 위하여 슬라브 재가열시 열간압연 온도 확보 및 적정 델타 페라이트 함량 확보를 위하여 가열온도는 1260℃ 이상이어야 하고, 슬라브 벤딩을 저감하기 위해서 1280℃ 이하로 제어해야 함을 알 수 있다.
만약, 가열온도를 1260℃보다 낮게 하면 열간압연 중 두께가 얇아짐에 따라 온도 저하가 발생하여 압연온도 확보가 곤란하여 판의 평탄도가 나빠지고, 가열온도가 1280℃ 보다 높으면 슬라브 벤딩(처짐량)이 급격히 증가하여 가열로에서 슬라브 추출이 불가능하여 열간압연 조업이 불가능하게 되므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의 슬라브 가열온도를 1260~1280℃로 한정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는 텅스텐을 첨가한 슈퍼 듀플렉스 스테인리스강의 성분이 내공식 지수(PREN 값)가 식 (1)에서와 같이 40~45 범위이면서, 델타 페라이트 함량이 식 (2)와 같이 표시되고, 엣지 및 표면균열을 저감하기 위하여 식 (3)으로 표시되는 열간가공성(Reduction of Area, 단면감소율, RA)을 75 이상, 내식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식 (4)로 표시되는 임계공식온도(Critical Pitting Temperature, CPT) 값이 90 이상이 되도록 몰리브덴(Mo) 및 텅스텐(W) 함량을 제어하여 최종적으로 열간 가공성 및 내식성이 우수한 텅스텐 함유 슈퍼 듀플렉스강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PREN = %Cr + 3.3(%Mo+0.5%W) + 16(%N) (40≤PREN≤45) ----- (1)
%δ = 20.2 + 6.95(%Mo) + 8.44(%W) --------------- (2)
RA = 115 + 0.249(%δ) - 120(%Mo) - 9.2(%W) ≥ 75 ------------- (3)
CPT = 10.8 - 0.36(%δ) + 24.7(%Mo) + 17.8(%W) ≥ 90 ----------- (4)
본 발명에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와 같은 가열로 조건 및 성분제어를 적용하면 엣지균열이 30~50mm 이상 발생하는 기존의 통상적인 방법으로 실시한 경우와 비교하여 내식성이 우수하면서 엣지균열이 1/3 수준으로 매우 작게 발생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작용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상기 표 1의 성분을 갖는 텅스텐 함유 슈퍼 듀플렉스강 슬라브를 재가열 후 열간압연하는 경우 도 1에 나타낸 것과 같이 가열온도가 1260℃ 보다 낮은 경우 열간압연 중 두께가 얇아지면 최종 온도 확보가 곤란하여 평탄도 불량이 발생하기 쉽고, 가열온도가 1280℃ 보다 높은 경우 가열로 내에서 슬라브 처짐량이 급격히 증가하여 가열로에서 슬라브 추출이 불가능하여 압연이 곤란하다. 따라서, 텅스텐 첨가 슈퍼 듀플렉스 스테인리스강은 가열온도를 1260~1280℃ 범위로 제어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표 2에 나타낸 실시예 조건에서 가열온도 1260~1280℃로 슬라브 가열 후 변형온도 1100℃ 에서 열간가공성을 평가하고, 최종 압연된 소재에 대하여 적정 소둔열처리를 실시하여 ASTM G150 방법으로 내식성을 나타내는 지수의 일종인 임계공식온도(CPT)를 측정하여 열간가공성 및 내식성이 우수한 텡스턴 첨가 슈퍼 듀플렉스강의 적정한 제조조건을 도출하였다.
조건 합금조성 가열온도 열간가공성 내식성 엣지균열 크기
비교예1 Mo+W=3.85 1260~1280℃ ⊙(양호) X (열위) 10~15mm
발명예1 Mo+W=4.25 1260~1280℃ ⊙(양호) ⊙(우수) 10~15mm
발명예2 Mo+W=4.3 1260~1280℃ ⊙(양호) ⊙(우수) 10~15mm
발명예3 Mo+W=4.35 1260~1280℃ ⊙(양호) ⊙(우수) 10~15mm
비교예2 Mo+W=4.75 1260~1280℃ X (불량) ⊙(우수) 40~50mm
종래예1 Mo+W≤4.3 1250℃ △(보통) △(보통) 30~40mm
종래예2 Mo+W≥4.3 1280~1290℃ △(보통) ⊙(우수) 30~50mm
[ Mo+W 성분 변화에 따른 열간가공성 및 임계공식온도 평가 실시예 ]
상기 표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실험결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종래예 1의 경우 (Mo+W) 함량이 낮은 경우 가열온도를 1250℃로 낮게 적용하여 열간가공성이 저하하여 엣지균일이 크게 발생하고, 내식성 확보도 용이하지 않다. 종래예 2의 경우 (Mo+W) 함량이 높은 경우 가열온도를 1280~1290℃로 높게 적용하는 경우 가열로내 슬라브 처짐량이 증가하고, 경우에 따라 합금원소가 많은 경우 열간가공성이 저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비교예 1의 경우 가열온도를 1260~1280℃로 적용하지만 (Mo+W) 함량이 낮아 내식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고, 비교예 2의 경우는 (Mo+W) 함량이 높아 내식성은 우수하지만 열간가공성이 저하하여 엣지균열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Mo+W 함량 변화에 따른 델타 페라이트 함량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인데, 도 2를 참조하면, (Mo+W)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델타 페라이트의 양이 증가하고, 이때 델타 페라이트 함량은 아래의 식(2)로 표기될 수 있다.
%δ = 20.2 + 6.95(%Mo) + 8.44(%W) --------------- (2)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 우수한 열간가공성과 내식성을 확보하는 발명예 1, 2 및 3의 경우는 열간가공성을 나타내는 RA 값이 식 (3)에서와 같이 75이상이 되도록 하고, 내식성 지수인 임계공식온도 CPT 값은 식 (4)에서와 같이 90 이상을 갖는 성분계를 갖도록 한다.
RA = 115 + 0.249(%δ) - 120(%Mo) - 9.2(%W) ≥ 75 ------------- (3)
CPT = 10.8 - 0.36(%δ) + 24.7(%Mo) + 17.8(%W) ≥ 90 ----------- (4)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Mo+W 함량 변화에 따른 1100℃에서 열간가공성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Mo+W 함량 변화에 임계공식온도(CPT)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Mo+W)의 값이 증가함에 따라 RA 값은 감소하는 반면, CPT 값은 증가한 것을 알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간 가공성 및 내식성이 우수한 제조조건 범위를 나타내는 그래프인데, 도 3 및 도 4를 합하여 하나의 그래프상에 나타낸 것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는 슬라브 가열온도를 1260~1280℃를 적용하고 발명예 1, 2 및 3의 경우를 표시하면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다. 이때, (Mo+W) 함량은 주로 4.1~4.6 범위에 포함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이때 발생하는 엣지균열은 기존 대비 1/3 수준인 10~15mm 이내로 낮아지는 특징이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경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6)

  1. 크롬(Cr): 24~26%, 니켈(Ni): 6.0~8.0%, 몰리브덴(Mo): 3.0~4.0%, 텅스텐(W): 0.5~1.0%, 구리(Cu): 0.5~1.0%, 질소(N): 0.24~0.32%를 함유하고, 나머지 철(Fe) 및 불가피한 불순물로 이루어지며,
    하기 식 (1) 및 (2)를 만족하는 오스테나이트 및 페라이트 상으로 구성된 듀플렉스 스테인리스강.
    40≤PREN = Cr+3.3x(%Mo+0.5x%W)+16x(%N)≤45 ----------------(1)
    RA(Reduction of Area) = 115+0.249(%δ)-120(%Mo)-9.2(%W) ≥ 75 -----(2)
    단, 상기 PREN은 내공식성 지수(Pitting Resistance Equivalent Number)이이고, 단, 상기 식에서 RA는 열간가공성을 나타내는 지수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듀플렉스 스테인리스강은, 하기 식 (3)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플렉스 스테인리스강.
    CPT = 10.8 - 0.36(%δ) + 24.7(%Mo) + 17.8(%W) ≥ 90 ---------------(3)
    단, 상기 CPT는 내식성을 나타내는 임계공식온도(Critical Pitting Temperature)이다.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듀플렉스 스테인리스강은, 델타 페라이트 함량(%δ)이 (Mo+W) 함량 변화에 따라 하기 식 (4)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플렉스 스테인리스강.
    %δ = 20.2 + 6.95(%Mo) + 8.44(%W) -------------------(4)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Mo+W) 함량은 4.1~4.6 범위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플렉스 스테인리스강.
  5. 크롬(Cr): 24~26%, 니켈(Ni): 6.0~8.0%, 몰리브덴(Mo): 3.0~4.0%, 텅스텐(W): 0.5~1.0%, 구리(Cu): 0.5~1.0%, 질소(N): 0.24~0.32%를 함유하고, 나머지 철(Fe) 및 불가피한 불순물로 이루어지며,
    슬라브를 1260~1280℃의 온도 범위에서 가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플렉스 스테인리스강 제조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Mo+W) 함량은 4.1~4.6 범위에 포함되는 듀플렉스 스테인리스강 제조방법.
KR1020120152449A 2012-12-24 2012-12-24 듀플렉스 스테인리스강 및 그 제조방법 KR2014008316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2449A KR20140083169A (ko) 2012-12-24 2012-12-24 듀플렉스 스테인리스강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2449A KR20140083169A (ko) 2012-12-24 2012-12-24 듀플렉스 스테인리스강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3169A true KR20140083169A (ko) 2014-07-04

Family

ID=517336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52449A KR20140083169A (ko) 2012-12-24 2012-12-24 듀플렉스 스테인리스강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8316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80316A (ko) * 2014-12-26 2016-07-08 주식회사 포스코 항복강도 및 충격인성이 우수한 슈퍼 듀플렉스 스테인리스강 및 그 제조방법
WO2017109501A1 (en) * 2015-12-23 2017-06-29 Goodwin Plc A steel, a welding consumable, a cast, forged or wrought product, a method of welding, a welded product and a method of heat treating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80316A (ko) * 2014-12-26 2016-07-08 주식회사 포스코 항복강도 및 충격인성이 우수한 슈퍼 듀플렉스 스테인리스강 및 그 제조방법
WO2017109501A1 (en) * 2015-12-23 2017-06-29 Goodwin Plc A steel, a welding consumable, a cast, forged or wrought product, a method of welding, a welded product and a method of heat treating
JP2019505677A (ja) * 2015-12-23 2019-02-28 グッドウィン ピーエルシーGoodwin Plc 鋼、溶接消耗材、鋳造または鍛造または展伸された製品、溶接方法、溶接製品、および熱処理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010392A1 (en) Nonmagnetic austenitic stainless stee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JP7117369B2 (ja) 熱間加工性および耐水素脆性に優れた低Niオーステナイト系ステンレス鋼
KR101532857B1 (ko) 내압 강도가 높고 가공성이 우수한 에어로졸 캔 보텀용 강판 및 그 제조 방법
EP3559295B1 (en) An object comprising a duplex stainless steel and the use thereof
KR20110130974A (ko) 변형시효 충격 특성이 우수한 인장강도 400㎫급 후판 제조방법
JP7108143B2 (ja) 高強度ステンレス鋼
KR20140083169A (ko) 듀플렉스 스테인리스강 및 그 제조방법
EP3699314A1 (en) Utility ferritic stainless steel having excellent hot workabilit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EP3699312A1 (en) Ferrite-based stainless steel having excellent impact toughness,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KR101844573B1 (ko) 열간가공성이 우수한 듀플렉스 스테인리스강 및 그 제조방법
KR102403849B1 (ko) 생산성 및 원가 절감 효과가 우수한 고강도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695758B1 (ko) 가공성이 향상된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326046B1 (ko) 고온 특성 및 성형성이 향상된 저Cr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 및 그 제조방법
KR102170945B1 (ko) 피로수명이 우수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 및 그 제조방법
KR20190066734A (ko) 내식성이 우수한 고경도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
KR20140082491A (ko) 듀플렉스강의 냉간압연 방법
KR20140032061A (ko) 후열처리를 이용한 2상 스테인리스강 제조 방법
KR20220131742A (ko) 내식성이 향상된 항균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 및 그 제조 방법
KR20170075925A (ko) 용접성이 우수한 파이프용 강재,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용접강관의 제조방법
JP7271789B2 (ja) 衝撃靭性及び熱間加工性に優れた高耐食オーステナイト系ステンレス鋼
CN115341147B (zh) 电梯面板用中铬铁素体不锈钢及其制备方法
KR20130046920A (ko) 열연강판 및 그 제조 방법
KR101379076B1 (ko) 린 듀플렉스 스테인리스강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991000B1 (ko) 고내식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 및 그 제조방법
KR20090052958A (ko) 연신율이 우수한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