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4599B1 - 폴리올레핀계 복합 수지 구상 입자, 도료 조성물 및 도장물 - Google Patents

폴리올레핀계 복합 수지 구상 입자, 도료 조성물 및 도장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4599B1
KR101734599B1 KR1020127008594A KR20127008594A KR101734599B1 KR 101734599 B1 KR101734599 B1 KR 101734599B1 KR 1020127008594 A KR1020127008594 A KR 1020127008594A KR 20127008594 A KR20127008594 A KR 20127008594A KR 101734599 B1 KR101734599 B1 KR 1017345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olefin
resin
mass
coating
based composi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085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58606A (ko
Inventor
유헤이 후나비키
도시아키 후지와라
히로후미 후지타
Original Assignee
스미또모 세이까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또모 세이까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또모 세이까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0586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86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45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4599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1/00Compositions of polyeth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71/02Polyalkylene ox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3/00Processes of treating or compound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3/12Powdering or granul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3/00Processes of treating or compound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3/12Powdering or granulating
    • C08J3/126Polymer particles coated by polymer, e.g. core shell structur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2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23/02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9D1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9D123/08Copolymers of ethene
    • C09D123/0846Copolymers of ethene with unsaturated hydrocarbons containing other atoms than carbon or hydrogen atoms
    • C09D123/0853Vinylacet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42Gloss-reducing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5Additives macromolecul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2602/00Organic fi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5/00Processe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to obtain special surface effects, finishes or structures
    • B05D5/06Processe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to obtain special surface effects, finishes or structures to obtain multicolour or other optical effects
    • B05D5/061Special surface effec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2650/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2650/28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characterised by the polymer type
    • C08G2650/58Ethylene oxide or propylene oxide copolymers, e.g. pluronic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2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23/02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 treatment
    • C08J23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J2323/08Copolymers of 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666/00Composition of polymers characterized by a further compound in the blend, be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natural resins, waxes or and bituminous materials,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inorganic substances or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 in the composition
    • C08L2666/02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natural resins, waxes or and bituminous materials
    • C08L2666/04Macromolecular compounds according to groups C08L7/00 - C08L49/00, or C08L55/00 - C08L57/00; Derivatives thereof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Processes Of Treat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AREA)

Abstract

도료에 사용함으로써, 윤기 제거 효과 및 소프트감을 갖고, 또한 내흠집성이 우수한 도포막을 얻을 수 있는 폴리올레핀계 복합 수지 구상 입자를 제공한다. 또, 그 폴리올레핀계 복합 수지 구상 입자와 도료 수지를 함유하는 도료 조성물 및 그 도료 조성물을 기재에 도장하여 이루어지는 도장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폴리올레핀계 수지 100 질량부와, 물 40 ∼ 1500 질량부와, 중량 평균 분자량 4000 ∼ 30000 의 에틸렌옥사이드/프로필렌옥사이드 공중합체 3 ∼ 30 질량부를 혼합하고, 상기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최고 융점 이상의 온도에서 유화시킨 후, 상기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최고 결정화 온도보다 적어도 25 ℃ 높은 온도에서 상기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최저 결정화 온도보다 적어도 25 ℃ 낮은 온도까지, 0.2 ℃/min 이상의 속도로 냉각시킴으로써 얻어지는 구상 입자로서, 상기 폴리올레핀계 수지는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부분 비누화물을 5 ∼ 70 질량% 함유하는 복합 수지인 폴리올레핀계 복합 수지 구상 입자이다.

Description

폴리올레핀계 복합 수지 구상 입자, 도료 조성물 및 도장물{POLYOLEFIN-BASED COMPOSITE RESIN SPHERICAL PARTICLES, COATING COMPOSITION AND COATED OBJECT}
본 발명은, 도료에 사용함으로써, 윤기 제거 효과 및 소프트감을 갖고, 또한 내흠집성이 우수한 도포막을 얻을 수 있는 폴리올레핀계 복합 수지 구상 입자에 관한 것이다. 또, 본 발명은 그 폴리올레핀계 복합 수지 구상 입자와 도료 수지를 함유하는 도료 조성물 및 그 도료 조성물을 기재에 도장하여 이루어지는 도장물에 관한 것이다.
종래, 가정용품, 자동차 내장 부품, OA 기기, 건축 재료, 전기 제품 등의 기재에는, 윤기 제거 효과나 고급감을 부여하거나 질감을 향상시키거나 할 목적으로 도료가 사용되고 있고, 예를 들어, 자동차의 내장 부품의 플라스틱 성형품이나 금속 제품 등의 표면 도장에는, 비닐계 수지, 알키드계 수지, 폴리올레핀계 수지 등이 사용되고 있다.
도포막에 윤기 제거 효과나 고급감을 부여하는 방법으로서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에는, 바니시, 컬러 폴리머 비즈, 실리카 및/또는 폴리에틸렌 왁스의 미분말을 도료에 첨가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고, 특허문헌 2 에는, 특정 물성을 갖는 폴리올레핀 미립자를 도료에 첨가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고, 특허문헌 3 에는, 평균 입자직경이 300 ㎛ 이하인 구상 셀룰로오스를 도료에 첨가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소프트감을 부여하여 질감을 향상시키는 방법으로서, 예를 들어, 특허문헌 4 에는, 라놀린 부착 폴리우레탄 수지 미립자를 도료에 첨가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고, 특허문헌 5 에는, 발포 폴리우레탄 수지 분말을 도료에 첨가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 ∼ 5 에 개시되어 있는 방법에 의해 얻어지는 도료 조성물은 얻어지는 도포막의 윤기 제거 효과 및 소프트감을 충분히 만족시킬 수 있는 것은 아니었다.
이에 대하여, 특허문헌 6 에는, 폴리올레핀계 수지와 에틸렌옥사이드/프로필렌옥사이드 공중합체와 물을, 특정 조건에서 유화 및 냉각시킴으로써 제조되는 폴리올레핀계 수지 입자가 개시되어 있다. 한편으로, 최근에는 또한, 마찰 등에 의해, 도포막 표면으로부터 입자가 탈락됨으로써, 흠집 지점이 하얗게 되어, 흠집으로서 눈에 띄는 문제가 발생되고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에 대해, 도포막 표면으로부터 입자가 탈락되기 어렵고, 흠집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내흠집성이 우수하다고도 한다) 도포막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었다.
(특허문헌 1)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3-17164호
(특허문헌 2) 일본 공개특허공보 소59-187027호
(특허문헌 3)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3-162465호
(특허문헌 4)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3-212947호
(특허문헌 5) 일본 공개특허공보 소62-149767호
(특허문헌 6)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6-45295호
본 발명은, 도료에 사용함으로써, 윤기 제거 효과 및 소프트감을 갖고, 또한 내흠집성이 우수한 도포막을 얻을 수 있는 폴리올레핀계 복합 수지 구상 입자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그 폴리올레핀계 복합 수지 구상 입자와 도료 수지를 함유하는 도료 조성물 및 그 도료 조성물을 기재에 도장하여 이루어지는 도장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항 1. 폴리올레핀계 수지 100 질량부와, 물 40 ∼ 1500 질량부와, 중량 평균 분자량 4000 ∼ 30000 의 에틸렌옥사이드/프로필렌옥사이드 공중합체 3 ∼ 30 질량부를 혼합하고, 상기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최고 융점 이상의 온도에서 유화시킨 후, 상기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최고 결정화 온도보다 적어도 25 ℃ 높은 온도에서 상기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최저 결정화 온도보다 적어도 25 ℃ 낮은 온도까지, 0.2 ℃/min 이상의 속도로 냉각시킴으로써 얻어지는 구상 입자로서, 상기 폴리올레핀계 수지는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부분 비누화물을 5 ∼ 70 질량% 함유하는 복합 수지인 폴리올레핀계 복합 수지 구상 입자,
항 2. 폴리올레핀계 수지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에틸렌/(메트)아크릴산 공중합체 및 에틸렌/(메트)아크릴산메틸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을 함유하는 항 1 에 기재된 폴리올레핀계 복합 수지 구상 입자,
항 3.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부분 비누화물은 아세트산비닐에서 유래하는 세그먼트의 함유 비율이 0.5 ∼ 20 질량% 이고, 또한 아세트산비닐에서 유래하는 세그먼트의 비누화도가 30 ∼ 98 몰% 인 항 1 또는 2 에 기재된 폴리올레핀계 복합 수지 구상 입자,
항 4. 항 1, 2 또는 3 에 기재된 폴리올레핀계 복합 수지 구상 입자와 도료 수지를 함유하는 도료 조성물,
항 5. 항 4 에 기재된 도료 조성물을 기재에 도장하여 이루어지는 도장물
에 관한 것이다.
이하에 본 발명을 상세히 서술한다.
본 발명자들은,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부분 비누화물을 특정량 함유하는 폴리올레핀계의 복합 수지와 물과 에틸렌옥사이드/프로필렌옥사이드 공중합체를 혼합하고, 특정 조건에서 유화 및 냉각시킴으로써 얻어지는 폴리올레핀계 복합 수지 구상 입자를 함유하는 도료 조성물을 사용한 경우, 윤기 제거 효과 및 소프트감을 갖고, 또한 내흠집성이 우수한 도포막을 얻을 수 있는 것을 알아내어, 본 발명을 완성시키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의 폴리올레핀계 복합 수지 구상 입자는, 후술하는 폴리올레핀계 수지, 물 및 에틸렌옥사이드/프로필렌옥사이드 공중합체의 소정량을 분산조 중에서 혼합하고, 그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최고 융점 이상의 온도에서 교반하여 유화시키고, 또한 후술하는 방법으로 냉각시킴으로써 얻어진다.
상기 폴리올레핀계 수지는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부분 비누화물을 5 ∼ 70 질량% 함유하는 복합 수지이다.
상기 폴리올레핀계 수지 중에 있어서의 상기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부분 비누화물의 함유량이 5 질량% 미만이면, 얻어지는 도포막이 내흠집성이 낮은 것이 된다. 상기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부분 비누화물의 함유량이 70 질량% 를 초과하면, 입자 자체의 내용제성이 저하되어, 흠집이 발생되기 쉬워진다. 상기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부분 비누화물의 함유량의 바람직한 하한은 7 질량%, 바람직한 상한은 65 질량% 이고, 보다 바람직한 하한은 10 질량%, 보다 바람직한 상한은 60 질량% 이다.
상기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부분 비누화물에 있어서의, 아세트산비닐에서 유래하는 세그먼트의 함유 비율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바람직한 하한은 0.5 질량%, 바람직한 상한은 20 질량% 이다. 상기 아세트산비닐에서 유래하는 세그먼트의 함유 비율이 0.5 질량% 미만이면, 요구되는 도포막 성분과의 접착 성능이 발휘되지 않는 경우가 있다. 상기 아세트산비닐에서 유래하는 세그먼트의 함유 비율이 20 질량% 를 초과하면, 열안정성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상기 아세트산비닐에서 유래하는 세그먼트의 함유 비율의 보다 바람직한 하한은 1 질량%, 보다 바람직한 상한은 18 질량% 이다.
상기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부분 비누화물에 있어서의, 아세트산비닐에서 유래하는 세그먼트의 비누화도의 바람직한 하한은 30 몰%, 바람직한 상한은 98 몰% 이다. 상기 비누화도가 30 몰% 미만이면, 얻어지는 도포막의 내흠집성이 불충분해지는 경우가 있다. 상기 비누화도가 98 몰% 를 초과해도 내흠집성에 대해 추가적인 효과는 얻어지지 않는다. 상기 비누화도의 보다 바람직한 하한은 35 몰% 이다.
상기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부분 비누화물과 복합되는 그 밖의 폴리올레핀계 수지로는, 예를 들어, 폴리올레핀 수지, 올레핀과 다른 모노머의 공중합체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올레핀의 단독중합체, 상이한 올레핀의 공중합체 및 이들의 산 변성물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올레핀의 단독중합체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상이한 올레핀의 공중합체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에틸렌/1-부텐 공중합체, 에틸렌/1-옥텐 공중합체, 에틸렌/1-헥센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올레핀의 단독중합체나 상기 상이한 올레핀의 공중합체의 산 변성물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무수 말레산 변성 폴리에틸렌, 무수 말레산 변성 폴리프로필렌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올레핀과 다른 모노머의 공중합체 수지를 구성하는 올레핀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에틸렌, 프로필렌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다른 모노머는 상기 올레핀과 공중합 가능한 모노머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비닐에스테르, α,β-불포화 카르복실산, α,β-불포화 카르복실산 무수물, α,β-불포화 카르복실산의 금속염, α,β-불포화 카르복실산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비닐에스테르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아세트산비닐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α,β-불포화 카르복실산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메트)아크릴산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α,β-불포화 카르복실산 무수물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무수 말레산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α,β-불포화 카르복실산의 금속염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메트)아크릴산의 나트륨염이나 마그네슘염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α,β-불포화 카르복실산에스테르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 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글리시딜(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메트)아크릴」 는 「아크릴」또는 「메타크릴」을 의미한다.
상기 올레핀과 다른 모노머의 공중합체 수지는, 구체예로는 예를 들어,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에틸렌/(메트)아크릴산 공중합체, 에틸렌/무수 말레산 공중합체, 프로필렌/무수 말레산 공중합체, 에틸렌/(메트)아크릴산메틸 공중합체, 에틸렌/(메트)아크릴산글리시딜 공중합체, 에틸렌/(메트)아크릴산글리시딜/(메트)아크릴산메틸 공중합체, 에틸렌/(메트)아크릴산글리시딜/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에틸렌/(메트)아크릴산메틸/무수 말레산 공중합체 및 이들의 금속염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상기 다른 폴리올레핀계 수지로는, 저렴하고 가공하기 쉽다는 점에서,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에틸렌/(메트)아크릴산 공중합체, 에틸렌/(메트)아크릴산메틸 공중합체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상기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부분 비누화물과 상기 그 밖의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복합하는 방법으로는, 수지 용융 상태에서 혼련할 수 있으면 되고, 예를 들어, 2 축 롤, 단축 압출기, 2 축 압출기 등을 사용하는 공지된 방법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보다 균일하게 수지를 복합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2 축 압출기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상기 물은 분산매로서의 역할을 갖는다. 상기 물의 배합량은, 상기 폴리올레핀계 수지 100 질량부에 대해, 하한이 40 질량부, 상한이 1500 질량부이다. 상기 물의 배합량이 40 질량부 미만이면, 상기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유화시키는 것이 곤란해진다. 상기 물의 배합량이 1500 질량부를 초과하면, 용적 효율이 악화되어, 생산성이 저하된다. 상기 물의 배합량의 바람직한 하한은 75 질량부, 바람직한 상한은 500 질량부이다.
상기 에틸렌옥사이드/프로필렌옥사이드 공중합체는 주로 유화를 위한 계면활성제로서의 역할을 갖는다.
상기 에틸렌옥사이드/프로필렌옥사이드 공중합체의 중량 평균 분자량의 하한은 4000, 상한은 30000 이다. 상기 에틸렌옥사이드/프로필렌옥사이드 공중합체의 중량 평균 분자량이 4000 미만이면, 상기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유화시키는 것이 곤란해진다. 상기 중량 평균 분자량이 30000 을 초과하면 에틸렌옥사이드/프로필렌옥사이드 공중합체는 입수가 곤란하여, 실용적이지 않다. 상기 에틸렌옥사이드/프로필렌옥사이드 공중합체의 중량 평균 분자량의 바람직한 하한은 6000, 바람직한 상한은 20000 이고, 보다 바람직한 하한은 8000, 보다 바람직한 상한은 16000 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상기 중량 평균 분자량은 겔 퍼미에이션 크로마토그래피 (GPC) 로 측정을 실시하고, 폴리스티렌 환산에 의해 구해지는 값이다. GPC 에 의해 폴리스티렌 환산에 의한 중량 평균 분자량을 측정할 때의 칼럼으로는, 예를 들어, TSK GEL HHR (토소사 제조)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에틸렌옥사이드/프로필렌옥사이드 공중합체의 배합량은, 상기 폴리올레핀계 수지 100 질량부에 대해, 하한이 3 질량부, 상한이 30 질량부이다. 상기 에틸렌옥사이드/프로필렌옥사이드 공중합체의 배합량이 3 질량부 미만이면, 상기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유화시키는 것이 곤란해진다. 상기 에틸렌옥사이드/프로필렌옥사이드 공중합체의 배합량이 30 질량부를 초과해도, 배합량에 걸맞는 정도의 효과는 얻어지지 않아 효율적이지 않다. 상기 에틸렌옥사이드/프로필렌옥사이드 공중합체의 배합량의 바람직한 하한은 5 질량부, 바람직한 상한은 20 질량부이다.
상기 에틸렌옥사이드/프로필렌옥사이드 공중합체 중의 에틸렌옥사이드에서 유래하는 세그먼트의 함유 비율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바람직한 하한은 40 질량%, 바람직한 상한은 95 질량% 이다. 상기 에틸렌옥사이드에서 유래하는 세그먼트의 함유 비율이 40 질량% 미만 또는 95 질량% 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유화시키는 것이 곤란해지는 경우가 있다. 상기 에틸렌옥사이드에서 유래하는 세그먼트의 함유 비율의 보다 바람직한 하한은 45 질량%, 보다 바람직한 상한은 90 질량% 이다.
상기 분산조는 상기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최고 융점 이상의 온도로까지 가열할 수 있는 적당한 가열 수단과, 내용물에 충분한 전단력을 부여할 수 있는 교반 수단을 구비한 내압 용기이면 되고, 예를 들어, 교반기가 장착된 내압 오토클레이브나 내압 호모게나이저, 2 축 압출기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폴리올레핀계 수지는 상기 분산조 중에서 최고 융점 이상으로 가열되어 용융되고, 교반에 의한 전단력을 받아 진구 (眞球) 상으로 미립자화된다.
상기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최고 융점이란, 시차열 분석계로 융점으로서 1 또는 2 이상 나타나는 흡열 피크값의 보다 높은 값을 나타내는 온도를 말한다.
상기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유화시킨 후, 냉각시킴으로써, 폴리올레핀계 복합 수지 구상 입자의 수분산액이 얻어진다. 상기 냉각시, 상기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최고 결정화 온도보다 적어도 25 ℃ 높은 온도에서 상기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최저 결정화 온도보다 적어도 25 ℃ 낮은 온도까지의 범위를 0.2 ℃/분 이상의 속도로 냉각시킴으로써, 폴리올레핀계 복합 수지 구상 입자의 응집을 억제할 수 있다. 얻어진 폴리올레핀계 복합 수지 구상 입자의 수분산액을, 여과, 세정, 건조시킴으로써 진구상의 폴리올레핀계 복합 수지 구상 입자를 얻을 수 있다. 또, 용도에 따라서는, 폴리올레핀계 복합 수지 구상 입자의 수분산액인 채로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최고 결정화 온도란, 시차열 분석계로 결정화 온도로서 1 또는 2 이상 나타나는 발열 피크값의 보다 높은 값을 나타내는 온도를 말하고, 상기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최저 결정화 온도란, 시차열 분석계로 결정화 온도로서 1 또는 2 이상 나타나는 발열 피크값의 보다 낮은 값을 나타내는 온도를 말한다.
본 발명의 폴리올레핀계 복합 수지 구상 입자의 체적 평균 입자직경의 바람직한 하한은 3 ㎛, 바람직한 상한은 50 ㎛ 이다. 상기 체적 평균 입자직경이 3 ㎛ 미만이면, 얻어지는 도포막 중에 폴리올레핀계 복합 수지 구상 입자가 매몰되기 쉬워져, 윤기 제거 효과 및 소프트감이 발현되지 않는 경우가 있다. 상기 체적 평균 입자직경이 50 ㎛ 를 초과하면, 얻어지는 도포막의 표면이 거칠어져, 도포막의 외관이나 촉감이 나빠지는 경우가 있다. 상기 체적 평균 입자직경의 보다 바람직한 하한은 5 ㎛, 보다 바람직한 상한은 30 ㎛ 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의 체적 평균 입자직경이란, 전기 검지식 입도 분포 측정 장치 (벡크만 쿨터사 제조, 쿨터 멀티사이저) 에 의해 측정된 체적 평균 입자직경이다.
본 발명의 폴리올레핀계 복합 수지 구상 입자와 도료 수지를 함유하는 도료 조성물도 또한, 본 발명 중 하나이다.
본 발명의 도료 조성물은, 본 발명의 폴리올레핀계 복합 수지 구상 입자를 함유함으로써, 윤기 제거 효과, 소프트감을 부여함과 함께, 내흠집성도 우수한 도포막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도료 조성물 중에 있어서의 본 발명의 폴리올레핀계 복합 수지 구상 입자의 배합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도료 조성물 중의 도료 수지 100 질량부에 대해, 바람직한 하한은 1 질량부, 바람직한 상한은 50 질량부이다. 본 발명의 폴리올레핀계 복합 수지 구상 입자의 배합량이 1 질량부 미만이면, 얻어지는 도포막의 표면에 노출되는 폴리올레핀계 복합 수지 구상 입자가 적어져, 윤기 제거 효과 및 소프트감의 부여가 불충분해지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의 폴리올레핀계 복합 수지 구상 입자의 배합량이 50 질량부를 초과하면, 얻어지는 도포막의 외관이나 촉감이 나빠짐과 함께, 도포막 강도가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의 폴리올레핀계 복합 수지 구상 입자의 배합량의 보다 바람직한 하한은 2 질량부, 보다 바람직한 상한은 30 질량부이다.
상기 도료 수지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셀룰로오스계 수지, 알키드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에폭시계 수지, 염화비닐계 수지, 우레탄계 수지, 아크릴실리콘계 수지, 불소계 수지, 아세트산비닐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아크릴우레탄계 수지, 폴리비닐부티랄계 수지, 멜라민계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도료 수지 중에서도, 얻어지는 도포막의 소프트감이 향상되기 때문에 우레탄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아크릴우레탄계 수지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이들 도료 수지는 각각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 종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본 발명의 도료 조성물 중에 있어서의 상기 도료 수지의 농도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얻어지는 도료 조성물의 점도나, 얻어지는 도포막 두께의 관점에서, 바람직한 하한은 5 질량%, 바람직한 상한은 99 질량% 이다. 상기 도료 수지의 농도가 5 질량% 미만이면, 얻어지는 도료 조성물의 점도가 저하되고, 기재에 도장할 때에 액 쳐짐, 크레이터링 등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상기 도료 수지의 농도의 보다 바람직한 하한은 10 질량% 이다.
본 발명의 도료 조성물은 여러 가지 형태의 도료에 적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아크릴 래커나 니트로셀룰로오스 래커와 같은 용제가 증발하여 도포막을 형성하는 휘발 건조형 도료;아크릴 에멀션 도료 (수성, 용제성) 와 같은 용제가 증발할 때에 수지 입자가 응집, 융착되는 융합 건조형 도료;습기 경화형 우레탄 수지 도료나 아크릴실리콘 수지 도료와 같은 공기 중에 존재하는 수분과 반응하면서 경화되는 습기 경화형 도료;2 액형 우레탄 도료나 2 액형 에폭시 도료와 같은 주제와 경화제가 반응하여 도포막을 형성하는 중합 건조형 도료;열경화성 우레탄 수지 도료;열 경화 아크릴 수지 도료;분체 도료;전착 도료와 같은 가열에 의한 용제의 휘발이나 수지의 반응에 의해 경화되는 고온 반응 경화형 도료;모노머, 올리고머, 자외선 개시제를 함유한 아크릴 화합물을 자외선 경화시키는 자외선 경화형 도료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도료 조성물은, 도장시의 작업성의 관점에서, 용제를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상기 용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방향족 탄화수소계 용제, 지방족 탄화수소계 용제, 에스테르계 용제, 케톤계 용제, 알코올계 용제, 에테르계 용제 등을 들 수 있다. 또, 상기 융합 건조형 도료에 적용하는 경우, 분산매로는, 물 및/또는 수용성 유기 용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수용성 유기 용제로는, 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등의 수용성 알코올류나, 글리콜류나, 글리콜에테르류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도료 조성물에는, 본 발명의 목적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수지, 폴리프로필렌 수지, 아크릴 수지, 우레탄 수지, 실리콘 수지 등으로 이루어지는 수지 입자, 실리카, 탤크, 산화아연, 산화티탄 등의 무기 입자, 안료, 염료, 레벨링제, 젖음제, 고분자 분산제, 증점제 등을 첨가시켜도 된다.
본 발명의 도료 조성물을 기재에 도장하여 이루어지는 도장물도 또한, 본 발명 중 하나이다.
상기 기재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금속, 목재, 종이, 필름 제품, 플라스틱 성형품, 엘라스토머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금속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스테인리스, 알루미늄, 구리, 놋쇠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필름 제품 및 상기 플라스틱 성형품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전체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수지, 에폭시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스티렌, ABS,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아세탈, 셀룰로오스, 폴로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염화비닐, 폴리아미드, 폴리페닐렌옥사이드, 폴리우레탄, 불포화 폴리에스테르로 이루어지는 것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엘라스토머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천연 고무, 클로로프렌 고무, 우레탄 고무, 불소 고무, 실리콘 고무, 플루오로실리콘 고무 등의 열가황 고무나, 올레핀계, 스티렌계, 우레탄계,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아미드계 등의 열가소성의 엘라스토머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도료 조성물을 상기 기재에 도장하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브러시칠, 롤러 도포, 스프레이 도포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도장 효율을 향상시킬 목적으로, 정전 스프레이 도포, 커튼 도포, 롤코터 도포, 침지 도포 등을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도장물의 도장 막두께로는, 본 발명의 폴리올레핀계 복합 수지 구상 입자가 도포막의 표면에 노출되면 되는데, 바람직한 하한은 5 ㎛, 바람직한 상한은 100 ㎛ 이며, 보다 바람직한 상한은 50 ㎛ 이다. 상기 도장 막두께는, 공지된 도장 방법에 의해, 상기 바람직한 범위 내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도료 조성물에 의해 본 발명의 도장물에 얻어지는 도포막이 윤기 제거 효과 및 소프트감을 갖고, 또한 내흠집성이 우수한 이유는 분명하지 않지만, 이하의 이유에 기초하는 것으로 추측된다.
즉, 도료 수지에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부분 비누화물과 그 밖의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복합한 폴리올레핀계 복합 수지 구상 입자를 배합함으로써 소프트감이 발현되고, 또한 표면에 요철을 갖는 도포막이 형성됨으로서 적당한 껄끔거림이 발현되는 것이라고 생각된다. 또, 형성한 도포막 표면을 향해 조사된 광의 일부가 도포막 표면에서 난반사됨으로써, 광택이 억제되어 윤기 제거 효과가 얻어지는 것이라고 생각된다. 또한,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의 부분 비누화된 하이드록실기부가 도포막 성분과 친숙해짐으로써 폴리올레핀계 복합 수지 구상 입자가 도포막과 결착되어 탈리되기 어려워져, 내흠집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라고 생각된다.
한편으로, 본 발명의 폴리올레핀계 복합 수지 구상 입자 대신에,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부분 비누화물로 이루어지는 구상 입자와 다른 폴리올레핀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구상 입자를, 각각을 소정의 비율로 블렌드한 입자 혼합물을 도료 조성물에 첨가하여, 도포막을 형성시켰을 경우, 윤기 제거 효과 및 소프트감은 나타내지만, 내흠집성은 떨어지는 것이 된다. 이것은,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복합이 진행되지 않음으로써, 도포막과의 밀착성이 개질되어 있지 않은 것에 의한 것이라고 생각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도료에 사용함으로써, 윤기 제거 효과 및 소프트감을 갖고, 또한 내흠집성이 우수한 도포막을 얻을 수 있는 폴리올레핀계 복합 수지 구상 입자를 제공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그 폴리올레핀계 복합 수지 구상 입자와 도료 수지를 함유하는 도료 조성물 및 그 도료 조성물을 기재에 도장하여 이루어지는 도장물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는다.
(아크릴 수지 도료의 조제)
아크릴 수지 도료 (무사시 도료사 제조, 「플라에이스」) 100 질량부와 합성 수지 시너 (무사시 도료사 제조, 「플라에이스 시너」) 40 질량부를 혼합하여, 아크릴계 도료 수지를 25 질량% 함유하는 아크릴 수지 도료를 조제하였다.
(아크릴우레탄 수지 도료의 조제)
아크릴우레탄 수지 도료 (DIC 사 제조, 「아크리딕 A-801P」) 100 질량부와 아세트산부틸 28 질량부와 톨루엔 72 질량부를 혼합하여, 아크릴우레탄계 도료 수지를 25 질량% 함유하는 아크릴우레탄 수지 도료를 조제하였다.
(폴리올레핀계 복합 수지 구상 입자 A 의 조제)
폴리에틸렌 (스미토모 화학사 제조, 「스미카센 G-807」, 수지 융점 105 ℃, 결정화 온도 90 ℃) 과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부분 비누화물 (토소사 제조, 「메르센 H6822X」, 아세트산비닐에서 유래하는 세그먼트의 함유량 5.5 질량%, 비누화도 80 몰%, 수지 융점 100 ℃, 결정화 온도 86 ℃) 을,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부분 비누화물의 함유량이 30 질량% 가 되도록 블렌드한 수지에 대해, 2 축 압출기 (테크노벨사 제조, 「KZW-15TW」) 를 사용하여 용융 혼련을 실시하여, 복합 수지를 제작하였다.
직경 50 ㎜ 의 터빈형 교반 날개 2 장을 구비한 내경 94 ㎜, 높이 230 ㎜ 의 내용적 1.6 ℓ 의 내압 오토클레이브에, 얻어진 복합 수지 0.16 ㎏, 물 0.216 ㎏ 및 중량 평균 분자량 15500 의 에틸렌옥사이드/프로필렌옥사이드 공중합체 (ADEKA사 제조, 「플루로닉 F108」, 에틸렌옥사이드 함유 비율 80 질량%) 0.024 ㎏ 을 주입하고 밀폐하였다. 계속해서, 오토클레이브 외부로부터 가열을 실시하여, 오토클레이브 내부의 온도를 수지 융점 이상인 160 ℃ 까지 승온시키고, 터빈형 교반 날개를 사용하여 200 rpm 으로 30 분간 교반하여 수지를 유화시켰다. 이어서, 내온이 120 ℃ 에서 60 ℃ 가 되는 범위의 냉각 속도를 0.4 ℃/분이 되도록 조정하여 냉각시켰다. 얻어진 폴리올레핀계 복합 수지 구상 입자의 수분산액을, 여과, 건조시켜 폴리올레핀계 복합 수지 구상 입자 A 를 얻었다.
(폴리올레핀계 복합 수지 구상 입자 B 의 조제)
복합 수지에 있어서의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부분 비누화물의 함유량을 10 질량% 가 되도록 한 것 이외에는 폴리올레핀계 복합 수지 구상 입자 A 와 동일하게 하여, 폴리올레핀계 복합 수지 구상 입자 B 를 얻었다.
(폴리올레핀계 복합 수지 구상 입자 C 의 조제)
복합 수지에 있어서의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부분 비누화물의 함유량을 5 질량% 가 되도록 한 것 이외에는 폴리올레핀계 복합 수지 구상 입자 A 와 동일하게 하여, 폴리올레핀계 복합 수지 구상 입자 C 를 얻었다.
(폴리올레핀계 복합 수지 구상 입자 D 의 조제)
복합 수지에 있어서의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부분 비누화물의 함유량을 70 질량% 가 되도록 한 것 이외에는 폴리올레핀계 복합 수지 구상 입자 A 와 동일하게 하여, 폴리올레핀계 복합 수지 구상 입자 D 를 얻었다.
(폴리올레핀계 복합 수지 구상 입자 E 의 조제)
폴리에틸렌 (스미토모 화학사 제조, 「스미카센 G-807」) 과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부분 비누화물 (토소사 제조, 「메르센 H6410M」, 아세트산비닐 함유량 17.5 질량%, 비누화도 36.4 몰%, 수지 융점 75 ℃, 결정화 온도 71 ℃) 을,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부분 비누화물의 함유량이 30 질량% 가 되도록 블렌드한 것 이외에는 폴리올레핀계 복합 수지 구상 입자 A 와 동일하게 하여, 복합 수지를 얻었다. 얻어진 복합 수지에 대해, 냉각 속도를 조정하는 온도 범위를 120 ℃ ∼ 45 ℃ 로 한 것 이외에는, 폴리올레핀계 복합 수지 구상 입자 A 와 동일하게 하여 미립자화를 실시하여, 폴리올레핀계 복합 수지 구상 입자 E 를 얻었다.
(폴리올레핀계 복합 수지 구상 입자 F 의 조제)
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 (니혼 폴리에틸렌사 제조, 「렉스펄 EAA A210M」, 수지 융점 100 ℃, 결정화 온도 90 ℃) 와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부분 비누화물 (토소사 제조, 「메르센 H6822X」, 아세트산비닐 함유량 5.5 질량%, 비누화도 80 몰%) 을,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부분 비누화물의 함유량이 30 질량% 가 되도록 블렌드한 것 이외에는 폴리올레핀계 복합 수지 구상 입자 A 와 동일하게 하여, 복합 수지를 얻었다. 얻어진 복합 수지에 대해, 유화시의 오토클레이브 내부의 온도를 190 ℃ 로 한 것 이외에는, 폴리올레핀계 복합 수지 구상 입자 A 와 동일하게 하여 미립자화를 실시하여, 폴리올레핀계 복합 수지 구상 입자 F 를 얻었다.
(폴리올레핀계 복합 수지 구상 입자 G 의 조제)
에틸렌/메타크릴산메틸 공중합체 (스미토모 화학사 제조, 「아크리프트 WD-301」, 수지 융점 100 ℃, 결정화 온도 82 ℃) 와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부분 비누화물 (토소사 제조, 「메르센 H6822X」, 아세트산비닐 함유량 5.5 질량%, 비누화도 80 몰%) 을,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부분 비누화물의 함유량이 30 질량% 가 되도록 블렌드한 것 이외에는 폴리올레핀계 복합 수지 구상 입자 A 와 동일하게 하여, 복합 수지를 얻었다. 얻어진 복합 수지에 대해, 유화시의 오토클레이브 내부의 온도를 190 ℃ 로 하고, 냉각 속도를 조정하는 온도 범위를 120 ℃ ∼ 55 ℃ 로 한 것 이외에는, 폴리올레핀계 복합 수지 구상 입자 A 와 동일하게 하여 미립자화를 실시하여, 폴리올레핀계 복합 수지 구상 입자 G 를 얻었다.
(폴리올레핀계 복합 수지 구상 입자 H 의 조제)
복합 수지에 있어서의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부분 비누화물의 함유량이 3 질량% 가 되도록 한 것 이외에는 폴리올레핀계 복합 수지 구상 입자 A 와 동일하게 하여, 폴리올레핀계 복합 수지 구상 입자 H 를 얻었다.
(폴리올레핀계 복합 수지 구상 입자 I 의 조제)
복합 수지에 있어서의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부분 비누화물의 함유량이 75 질량% 가 되도록 한 것 이외에는 폴리올레핀계 복합 수지 구상 입자 A 와 동일하게 하여, 폴리올레핀계 복합 수지 구상 입자 I 를 얻었다.
(폴리올레핀계 복합 수지 입자 J 의 조제)
유화시킨 후, 내온이 120 ℃ 에서 60 ℃ 가 되는 범위의 냉각 속도를 0.1 ℃ /분이 되도록 조정하여 냉각시킨 것 이외에는 폴리올레핀계 복합 수지 구상 입자 A 와 동일하게 하여 조작을 실시했지만, 얻어진 수분산액 중의 입자는 응집되어 있어, 여과를 할 수 없었기 때문에, 고체상의 입자를 취득할 수 없었다.
(폴리올레핀계 복합 수지 구상 입자의 입자직경 및 입자 형상)
얻어진 폴리올레핀계 복합 수지 구상 입자 A ∼ I 0.1 g 을, 각각 물 10 g 에 분산시켜, 전기 검지식 입도 분포 측정 장치 (벡크만 쿨터사 제조, 「쿨터 멀티사이저」) 에 의해 체적 평균 입자직경을 측정하였다.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또, 주사형 전자 현미경 (니혼 전자사 제조, 「JSM-6390LA」) 을 사용하여 50 ∼ 300 배의 배율로 입자 형상을 관찰한 결과, 폴리올레핀계 복합 수지 구상 입자 A ∼ I 는 모두 진구상이었다.
(실시예 1)
조제한 아크릴 수지 도료 10 g 에, 폴리올레핀계 복합 수지 구상 입자 A 를 0.25 g 첨가하고 혼합하여, 아크릴계 수지 도료 조성물을 조제하였다.
(실시예 2)
폴리올레핀계 복합 수지 구상 입자 A 대신에, 폴리올레핀계 복합 수지 구상 입자 B 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아크릴계 수지 도료 조성물을 조제하였다.
(실시예 3)
폴리올레핀계 복합 수지 구상 입자 A 대신에, 폴리올레핀계 복합 수지 구상 입자 C 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아크릴계 수지 도료 조성물을 조제하였다.
(실시예 4)
폴리올레핀계 복합 수지 구상 입자 A 대신에, 폴리올레핀계 복합 수지 구상 입자 D 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아크릴계 수지 도료 조성물을 조제하였다.
(실시예 5)
폴리올레핀계 복합 수지 구상 입자 A 대신에, 폴리올레핀계 복합 수지 구상 입자 E 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아크릴계 수지 도료 조성물을 조제하였다.
(실시예 6)
폴리올레핀계 복합 수지 구상 입자 A 대신에, 폴리올레핀계 복합 수지 구상 입자 F 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아크릴계 수지 도료 조성물을 조제하였다.
(실시예 7)
폴리올레핀계 복합 수지 구상 입자 A 대신에, 폴리올레핀계 복합 수지 구상 입자 G 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아크릴계 수지 도료 조성물을 조제하였다.
(실시예 8)
조제한 아크릴우레탄 수지 도료 10 g 에, 폴리올레핀계 복합 수지 구상 입자 A 를 0.25 g 및 경화제로서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DIC 사 제조, 「바녹 DN980」) 을 0.5 g 첨가하고 혼합하여, 아크릴우레탄계 수지 도료 조성물을 조제하였다.
(실시예 9)
폴리올레핀계 복합 수지 구상 입자 A 대신에, 폴리올레핀계 복합 수지 구상 입자 B 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8 과 동일하게 하여, 아크릴우레탄계 수지 도료 조성물을 조제하였다.
(실시예 10)
폴리올레핀계 복합 수지 구상 입자 A 대신에, 폴리올레핀계 복합 수지 구상 입자 C 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8 과 동일하게 하여, 아크릴우레탄계 수지 도료 조성물을 조제하였다.
(실시예 11)
폴리올레핀계 복합 수지 구상 입자 A 대신에, 폴리올레핀계 복합 수지 구상 입자 D 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8 과 동일하게 하여, 아크릴우레탄계 수지 도료 조성물을 조제하였다.
(실시예 12)
폴리올레핀계 복합 수지 구상 입자 A 대신에, 폴리올레핀계 복합 수지 구상 입자 E 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8 과 동일하게 하여, 아크릴우레탄계 수지 도료 조성물을 조제하였다.
(실시예 13)
폴리올레핀계 복합 수지 구상 입자 A 대신에, 폴리올레핀계 복합 수지 구상 입자 F 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8 과 동일하게 하여, 아크릴우레탄계 수지 도료 조성물을 조제하였다.
(실시예 14)
폴리올레핀계 복합 수지 구상 입자 A 대신에, 폴리올레핀계 복합 수지 구상 입자 G 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8 과 동일하게 하여, 아크릴우레탄계 수지 도료 조성물을 조제하였다.
(비교예 1)
폴리올레핀계 복합 수지 구상 입자 A 대신에, 입자직경 11 ㎛ 인 폴리에틸렌 입자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아크릴계 수지 도료 조성물을 조제하였다.
(비교예 2)
폴리올레핀계 복합 수지 구상 입자 A 대신에, 입자직경 9 ㎛ 인 폴리메타크릴산메틸 입자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아크릴계 수지 도료 조성물을 조제하였다.
(비교예 3)
폴리올레핀계 복합 수지 구상 입자 A 대신에, 입자직경 8 ㎛ 인 우레탄 입자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아크릴계 수지 도료 조성물을 조제하였다.
(비교예 4)
폴리올레핀계 복합 수지 구상 입자 A 대신에, 입자직경 8 ㎛ 인 폴리에틸렌 입자와 입자직경 9 ㎛ 인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부분 비누화물 입자를,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부분 비누화물의 함유량이 30 질량% 가 되도록 블렌드한 입자 혼합물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아크릴계 수지 도료 조성물을 조제하였다.
(비교예 5)
폴리올레핀계 복합 수지 구상 입자 A 대신에, 폴리올레핀계 복합 수지 구상 입자 H 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아크릴계 수지 도료 조성물을 조제하였다.
(비교예 6)
폴리올레핀계 복합 수지 구상 입자 A 대신에, 폴리올레핀계 복합 수지 구상 입자 I 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아크릴계 수지 도료 조성물을 조제하였다.
(비교예 7)
폴리올레핀계 복합 수지 구상 입자 A 대신에, 입자직경 11 ㎛ 인 폴리에틸렌 입자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8 과 동일하게 하여, 아크릴우레탄계 수지 도료 조성물을 조제하였다.
(비교예 8)
폴리올레핀계 복합 수지 구상 입자 A 대신에, 입자직경 9 ㎛ 인 폴리메타크릴산메틸 입자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8 과 동일하게 하여, 아크릴우레탄계 수지 도료 조성물을 조제하였다.
(비교예 9)
폴리올레핀계 복합 수지 구상 입자 A 대신에, 입자직경 8 ㎛ 인 우레탄 입자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8 과 동일하게 하여, 아크릴우레탄계 수지 도료 조성물을 조제하였다.
(비교예 10)
폴리올레핀계 복합 수지 구상 입자 A 대신에, 입자직경 8 ㎛ 인 폴리에틸렌 입자와 입자직경 9 ㎛ 인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부분 비누화물 입자를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부분 비누화물의 함유량이 30 질량% 가 되도록 블렌드한 입자 혼합물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8 과 동일하게 하여, 아크릴우레탄계 수지 도료 조성물을 조제하였다.
(비교예 11)
폴리올레핀계 복합 수지 구상 입자 A 대신에, 폴리올레핀계 복합 수지 구상 입자 H 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8 과 동일하게 하여, 아크릴우레탄계 수지 도료 조성물을 조제하였다.
(비교예 12)
폴리올레핀계 복합 수지 구상 입자 A 대신에, 폴리올레핀계 복합 수지 구상 입자 I 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8 과 동일하게 하여, 아크릴우레탄계 수지 도료 조성물을 조제하였다.
<평가>
(평가용 도장물의 조제)
아크릴판 (미츠비시 레이온사 제조, 「아크릴라이트」) 을 7 ㎝ × 10 ㎝ 로 잘라, 아세톤을 사용하여 탈지를 실시한 것을 기재로 하였다.
베이커식 어플리케이터 (닛폰 시더스 서비스사 제조, 「No-B-2」) 를 사용하여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아크릴계 도료 조성물, 그리고 아크릴우레탄계 수지 도료 조성물을, 건조 후의 도포막층이 20 ㎛ 가 되도록 기재에 균일하게 도장하고, 실온 (약 25 ℃) 에서 24 시간 건조시켜, 평가용 도장물을 조제하였다.
얻어진 평가용 도장물에 대해, 이하의 평가를 실시하였다. 결과를 표 2, 3 에 나타낸다.
(1) 윤기 제거 효과
얻어진 평가용 도장물에 대해, 핸디 글로스미터 (닛폰 전색 공업사 제조, 「PG-1M」) 를 사용하여, JIS Z 8741-1997 에 준한 방법에 의해 60 도 광택도를 측정함으로써, 도포막의 윤기 제거 효과를 평가하였다.
또한, 60 도 광택도가 30 도 이하이면, 윤기 제거 효과가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2) 소프트감 (매끈매끈함)
얻어진 평가용 도장물의 도포막 표면을 손으로 만졌을 때의 촉감에 대해, 양호한 소프트감이 있는 경우를 「2」, 약간 소프트감이 있는 경우를 「1」, 소프트감이 없는 경우를 「0」 으로 하여 10 명의 피험자가 판정하고, 그 평균값을 구해 도포막의 소프트감을 평가하였다.
(3) 내흠집성
얻어진 평가용 도장물의 도포막 표면을 손톱으로 문지르고, 도포면의 각도를 바꾸어도 흠집 지점을 알 수 없는 경우를 「2」, 도포면의 각도를 바꾸지 않으면 흠집 지점을 알 수 없는 경우를 「1」, 흠집 지점이 희게 변색되어 눈에 띄는 경우를 「0」 으로 하여 10 명의 피험자가 판정하고, 그 평균값을 구해 도포막의 내흠집성을 평가하였다.
Figure 112012026568217-pct00001
Figure 112012026568217-pct00002
Figure 112012026568217-pct00003
표 2, 3 으로부터, 실시예의 도료 조성물에 의한 도포막은 윤기 제거 효과, 소프트감을 가질 뿐만 아니라, 내흠집성도 우수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본 발명에 의하면, 도료에 사용함으로써, 윤기 제거 효과 및 소프트감을 갖고, 또한 내흠집성이 우수한 도포막을 얻을 수 있는 폴리올레핀계 복합 수지 구상 입자를 제공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그 폴리올레핀계 복합 수지 구상 입자와 도료 수지를 함유하는 도료 조성물 및 그 도료 조성물을 기재에 도장하여 이루어지는 도장물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5)

  1. 폴리올레핀계 수지 100 질량부와, 물 40 ∼ 1500 질량부와, 중량 평균 분자량 4000 ∼ 30000 의 에틸렌옥사이드/프로필렌옥사이드 공중합체 3 ∼ 30 질량부를 혼합하고, 상기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최고 융점 이상의 온도에서 유화시킨 후, 상기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최고 결정화 온도보다 적어도 25 ℃ 높은 온도에서 상기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최저 결정화 온도보다 적어도 25 ℃ 낮은 온도까지, 0.2 ℃/min 이상의 속도로 냉각시킴으로써 얻어지는 구상 입자로서,
    상기 폴리올레핀계 수지는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부분 비누화물을 5 ∼ 70 질량% 함유하는 복합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올레핀계 복합 수지 구상 입자.
  2. 제 1 항에 있어서,
    폴리올레핀계 수지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에틸렌/(메트)아크릴산 공중합체 및 에틸렌/(메트)아크릴산메틸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올레핀계 복합 수지 구상 입자.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부분 비누화물은 아세트산비닐에서 유래하는 세그먼트의 함유 비율이 0.5 ∼ 20 질량% 이고, 또한 아세트산비닐에서 유래하는 세그먼트의 비누화도가 30 ∼ 98 몰%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올레핀계 복합 수지 구상 입자.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기재된 폴리올레핀계 복합 수지 구상 입자와 도료 수지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료 조성물.
  5. 제 4 항에 기재된 도료 조성물을 기재에 도장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장물.
KR1020127008594A 2009-09-04 2010-09-02 폴리올레핀계 복합 수지 구상 입자, 도료 조성물 및 도장물 KR10173459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9204583 2009-09-04
JPJP-P-2009-204583 2009-09-04
PCT/JP2010/065015 WO2011027818A1 (ja) 2009-09-04 2010-09-02 ポリオレフィン系複合樹脂球状粒子、塗料組成物、及び、塗装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8606A KR20120058606A (ko) 2012-06-07
KR101734599B1 true KR101734599B1 (ko) 2017-05-11

Family

ID=436493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08594A KR101734599B1 (ko) 2009-09-04 2010-09-02 폴리올레핀계 복합 수지 구상 입자, 도료 조성물 및 도장물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546491B2 (ko)
EP (1) EP2474567B1 (ko)
JP (1) JP5656844B2 (ko)
KR (1) KR101734599B1 (ko)
CN (1) CN102498160B (ko)
TW (1) TWI498374B (ko)
WO (1) WO201102781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575882B1 (en) 2010-06-02 2017-11-01 Dana-Farber Cancer Institute, Inc. Humanized monoclonal antibodies and methods of use
JP6103986B2 (ja) * 2013-02-27 2017-03-29 ユニチカ株式会社 ポリエステル樹脂組成物、およびそれから得られる塗膜
EP3039071B1 (en) 2013-08-28 2019-04-10 SABIC Global Technologies B.V. Soft touch compositions and articles thereof
US11242476B2 (en) * 2013-12-16 2022-02-08 Sumitomo Seika Chemicals Co., Ltd. Epoxy resin adhesive agent
US20170166752A1 (en) * 2014-02-03 2017-06-15 Bemis Company, Inc. Anti-glare, texture coating for packaging
JPWO2016088556A1 (ja) * 2014-12-02 2017-09-28 住友精化株式会社 α−オレフィン−(メタ)アクリル酸エステル系ゴム粒子の水性分散体、その製造方法、成形体、及び、レゾルシン−ホルマリン−ラテックス接着剤
JP6372371B2 (ja) * 2015-01-23 2018-08-15 豊田合成株式会社 圧力容器用樹脂組成物及び圧力容器
KR101648406B1 (ko) * 2015-09-24 2016-08-16 주식회사 투에이취켐 열가소성 구형 분체 도료 및 그 형성 방법
TWI822705B (zh) * 2017-11-08 2023-11-21 日商東洋紡股份有限公司 聚乙烯系樹脂膜
US20200392320A1 (en) * 2019-06-14 2020-12-17 3D Systems, Inc. Polypropylene-based particles for additive manufacturing
WO2022125245A1 (en) 2020-12-08 2022-06-16 Dow Global Technologies Llc Coated articl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40908A (en) 1980-11-10 1984-04-03 National Distillers And Chemical Corporation Finely divided ionomer coated thermoplastic resin
WO1998055540A1 (en) 1997-06-05 1998-12-10 Dsm N.V. Process for preparing porous polyolefin particles
JP2006045295A (ja) 2004-08-03 2006-02-16 Sumitomo Seika Chem Co Ltd ポリオレフィン系樹脂粒子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49210B2 (ja) 1978-05-11 1985-10-31 三井・デュポン ポリケミカル株式会社 合成樹脂粉末の製造方法
JPS59187027A (ja) 1983-04-06 1984-10-24 Mitsubishi Chem Ind Ltd ポリオレフイン微粒子およびポリオレフイン微粒子よりなる塗料用補助剤
JPS60212430A (ja) * 1984-04-06 1985-10-24 Seitetsu Kagaku Co Ltd ポリオレフインの微粉末化方法
JPS62149767A (ja) 1985-12-24 1987-07-03 Ohashi Kagaku Kogyo Kk 発泡性塗料組成物
JPH0662901B2 (ja) 1989-06-14 1994-08-17 株式会社アサヒペン スエード調多彩模様エアゾル塗料組成物
JPH03162465A (ja) 1989-11-20 1991-07-12 Kanebo Ltd 塗料用配合剤
JP3217188B2 (ja) * 1993-06-21 2001-10-09 住友精化株式会社 熱可塑性樹脂の微粒子化方法
US6596782B1 (en) * 1996-04-05 2003-07-22 Kaneka Corporation Hydrous polyolefin resin composition, preexpanded particles produced therefrom,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and expanded molding
JP2000129166A (ja) 1998-10-22 2000-05-09 Sumitomo Seika Chem Co Ltd ポリオレフィン系粉体塗料組成物
JP3706971B2 (ja) 2001-01-29 2005-10-19 大橋化学工業株式会社 低温硬化型好触感塗料組成物
US7456241B2 (en) * 2003-06-05 2008-11-25 Equistar Chemicals, Lp Microfine adhesive powders and proces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40908A (en) 1980-11-10 1984-04-03 National Distillers And Chemical Corporation Finely divided ionomer coated thermoplastic resin
WO1998055540A1 (en) 1997-06-05 1998-12-10 Dsm N.V. Process for preparing porous polyolefin particles
JP2006045295A (ja) 2004-08-03 2006-02-16 Sumitomo Seika Chem Co Ltd ポリオレフィン系樹脂粒子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111431A (en) 2011-04-01
CN102498160B (zh) 2013-11-27
KR20120058606A (ko) 2012-06-07
US20120208926A1 (en) 2012-08-16
EP2474567B1 (en) 2016-02-17
WO2011027818A1 (ja) 2011-03-10
JP5656844B2 (ja) 2015-01-21
TWI498374B (zh) 2015-09-01
US8546491B2 (en) 2013-10-01
EP2474567A1 (en) 2012-07-11
CN102498160A (zh) 2012-06-13
JPWO2011027818A1 (ja) 2013-02-04
EP2474567A4 (en) 2013-1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34599B1 (ko) 폴리올레핀계 복합 수지 구상 입자, 도료 조성물 및 도장물
JP5437225B2 (ja) 二酸化チタンを含まない多層コーティングシステム
EP1970418B1 (en) Water-based one-pack-type coating composition and coated article
CN110330855B (zh) 成型体
CA2044216C (en) Curable composition comprising a crystallisable polymer
KR102571294B1 (ko) 문 개체
JP2006045510A (ja) 水性塗料組成物およびその用途
JP2012007177A (ja) 顔料分散性に優れた共重合体
EP2138547B1 (en) Resin composition for aqueous coating material,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and aqueous coating material
US10590289B2 (en) Use of polyhydroxyalkanoates as additives in coating compositions
CN106232628A (zh) 制备丙烯酸系粉末涂料树脂体系的方法
JP2012131928A (ja) 成膜性を有する有機−無機複合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2188547A (ja) 有機−無機複合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H09216921A (ja) グラフト重合体の水分散体及びその製造方法
CN110461912B (zh) 球状聚酯类树脂粒子及其制造方法
JP2010189550A (ja) 塗料組成物
JP5230507B2 (ja) 塗装方法
JP2003321643A (ja) 熱硬化性粉体塗料組成物
CN109749109A (zh) 涂膜
JP2000017222A (ja) 塗料用樹脂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塗料組成物
TWI665219B (zh) 製造丙烯酸粉末塗佈樹脂系統之方法
JP2002069144A (ja) 顔料分散性に優れた共重合体
JPH10120944A (ja) 粉体塗料組成物
JP2003183573A (ja) 熱硬化型艶消し粉体塗料
JP5631795B2 (ja) 磁性体フレーク含有塗膜形成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