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2033B1 - 양갱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양갱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2033B1
KR101732033B1 KR1020150150792A KR20150150792A KR101732033B1 KR 101732033 B1 KR101732033 B1 KR 101732033B1 KR 1020150150792 A KR1020150150792 A KR 1020150150792A KR 20150150792 A KR20150150792 A KR 20150150792A KR 101732033 B1 KR101732033 B1 KR 1017320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xture
heating
bean jelly
sweet bean
sug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07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미라
Original Assignee
김미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미라 filed Critical 김미라
Priority to KR10201501507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203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20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20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3/00Sweetmeats; Confectionery; Marzipan; Coated or filled products
    • A23G3/34Sweetmeats, confectionery or marzipan;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 A23G3/36Sweetmeats, confectionery or marzipan;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 A23G3/48Sweetmeats, confectionery or marzipan;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containing plants or parts thereof, e.g. fruits, seeds,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3/00Sweetmeats; Confectionery; Marzipan; Coated or filled products
    • A23G3/0002Processes of manufacture not relating to composition and compounding ingredients
    • A23G3/0063Coating or filling sweetmeats or confectionery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3/00Sweetmeats; Confectionery; Marzipan; Coated or filled products
    • A23G3/34Sweetmeats, confectionery or marzipan;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 A23G3/343Products for covering, coating, finishing, decorat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2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gelling or thickening agents
    • A23L29/206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gelling or thickening agents of vegetable orig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3/00Sealing or packing elements; Sealings formed by liquid or plastics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10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 B65D77/20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by applying separate lids or covers, i.e. flexible membrane or foil-like covers
    • B65D77/2024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by applying separate lids or covers, i.e. flexible membrane or foil-like covers the cover being welded or adhered to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22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6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sweets or like confectionery produ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2200/00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e.g. synthetic flavouring agents
    • A23G2200/14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e.g. synthetic flavouring agents containing fruits, nuts, e.g. almonds, seeds, plants, plant extracts, essential o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Botan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onfectione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갱, 그 제조방법 및 양갱 포장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a) 한천, 설탕 및 소금을 물에 혼합하여 가열하는 단계와, (b) 상기 (a)의 혼합물에 앙금을 첨가하여 가열하는 단계와, (c) 상기 (b)의 혼합물에 곤약 가루를 첨가하면서 가열, 교반하는 단계와, (d) 양갱 모양틀의 내부에 표면 코팅액을 코팅하는 단계와, (e) 상기 (d)의 양갱 모양틀에 상기 (c)의 혼합물 투입하여 성형 및 표면 코팅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표면 코팅액은 한천, 설탕 및 소금을 물에 혼합하여 가열하여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양갱의 식감, 표면 광택성을 개선하여 그 기호도를 높임으로써, 양갱의 소비를 촉진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양갱 포장의 디자인성을 높여 양갱의 소비를 촉진하며, 포장체를 밀봉하여 양갱의 보존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양갱, 그 제조방법 및 양갱 포장체{Sweet jell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and the packaged goods}
본 발명은 양갱, 그 제조방법 및 양갱 포장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곤약 가루를 첨가하여 양갱을 제조하고, 양갱의 표면을 코팅액으로 코팅함으로써, 식감이 우수하고 표면 광택이 우수한 양갱, 그 제조방법 및 양갱 포장체에 관한 것이다.
양갱(羊羹)은 한문에서 그 뜻이 내포하듯 육류 스프를 사용한 것으로 중국에서 일본으로 전해진 것으로, 성분과 제조방법에 따라 증양갱, 연양갱, 수양갱으로 구분된다.
증양갱 밀가루, 쌀가루, 소금을 탄력이 생길 때까지 잘 개어서 설탕을 섞어 찐 것으로 수분이 많고 당분이 적어서 부패가 쉽고, 연양갱은 한천, 설탕 및 팥소를 잘 개어가면서 조려 굳힌 것으로, 수분이 적고 설탕이 많이 첨가되어 저장성이 높은 장점이 있으며, 수양갱은 연양갱과 제법은 같은데 수분이 많고 염분이 첨가되어 있다.
국내에서 양갱은 같은 간식용 식품인 과자류나 파이류에 밀려 시장 규모가 그리 크지 않다. 전통적으로 연양갱은 팥앙금을 주원료로 한천, 당류를 첨가하여 조려서 제조하고 있으나, 최근 웰빙 등의 건강을 생각하는 소비자들의 욕구로 쑥, 밤, 고구마, 호박, 녹차, 홍삼 등을 이용한 다양한 종류의 양갱이 상품화되고 출시되고 있다. 그러나 이들 첨가 원료들이 포함된 양갱은 첨가제품의 기호성 등이 팥앙금을 사용한 기존의 양갱에 비해 좋지 않아 제품의 개발 및 판매가 한정되어 있는 실정이다.
또한, 양갱의 관능은 그 맛은 물론, 모양, 색, 향, 식감 등을 포함하여 전체적인 기호도를 통해 결정되는데, 종래 양갱은 모양, 색, 향, 식감 등에 큰 변화가 없어 그 소비가 촉진되지 못하였다.
이러한 양갱의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2-0090903호의 '커피양갱 및 이의 제조방법',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12401호의 '한약 젤리가 함유된 양갱 및 이의 제조방법',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01016호의 '통뿌리 식품을 함유하는 양갱 및 그 제조방법' 등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선행기술들은 모두 양갱의 기능성에만 초점을 맞춰 그 맛과 식감이 좋지 못하고, 그 모양, 향 등도 개선되지 못해 소비자들의 기호도를 상승시킬 만한 요소가 없었다.
KR 10-2012-0090903 A KR 10-1312401 B1 KR 10-1401016 B1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곤약 가루를 첨가하여 양갱을 제조하고, 양갱의 표면을 표면 코팅액으로 코팅함으로써, 영양이 풍부하고, 맛이 우수한 것은 물론, 그 식감이 쫄깃하고, 표면에 광택성 및 윤기를 부여하여 양갱의 관능성을 높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양갱 포장체의 디자인성을 높여 양갱의 소비를 촉진하는 것은 물론, 밀폐를 통해 양갱의 보존성을 높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양갱 제조방법은, (a) 한천, 설탕 및 소금을 물에 혼합하여 가열하는 단계와, (b) 상기 (a)의 혼합물에 앙금을 첨가하여 가열하는 단계와, (c) 상기 (b)의 혼합물에 곤약 가루를 첨가하면서 가열, 교반하는 단계와, (d) 양갱 모양틀의 내부에 표면 코팅액을 코팅하는 단계와, (e) 상기 (d)의 양갱 모양틀에 상기 (c)의 혼합물 투입하여 성형 및 표면 코팅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표면 코팅액은 한천, 설탕 및 소금을 물에 혼합하여 가열하여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c) 단계는, 올리고당에 곤약 가루를 혼합한 후, 상기 올리고당과 혼합된 곤약 가루를 (b)의 혼합물에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표면 코팅액은 천연 색소 또는 천연 향신료를 더 포함하되, 상기 천연 색소는 비트, 치자, 단호박, 시금치, 뽕잎 중 1종 이상의 것이고, 상기 천연 향신료는 계피, 오레가노, 레몬필, 허브, 커피, 녹차 중 1종 이상의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양갱은 상기한 제조방법을 통해 제조됨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양갱 포장체는, 양갱이 안착되는 안착부가 구비된 트레이와, 상향으로 돌출된 형태로서, 상기 트레이의 테두리에 안착되며 투명 재질의 플라스틱으로 되는 뚜껑과, 상기 트레이의 안착부에 안착되는 상기한 양갱으로 구성되되, 상기 뚜껑의 테두리가 상기 트레이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연장형성되어 상기 뚜껑의 저면이 필름으로 밀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양갱의 식감, 표면 광택성을 개선하여 그 기호도를 높임으로써, 양갱의 소비를 촉진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양갱 포장의 디자인성을 높여 양갱의 소비를 촉진하며, 포장체를 밀봉하여 양갱의 보존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양갱 포장체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양갱 포장체의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양갱 포장체의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종래 양갱은 그 기능성에 초점을 맞춰 개발함으로써, 그 맛 및 풍미가 개선되지 못한 것은 물론, 모양이나 표면 광택성, 식감 등이 좋지 못해 관능성이 개선되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기술의 단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양갱의 식감을 개선하고, 표면 광택성, 윤기 등을 부여하여 관능성을 개선함으로써, 그 소비를 촉진하고자 하는 것이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양갱의 제조방법을 그 단계별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양갱 제조방법은, (a) 한천, 설탕 및 소금을 물에 혼합하여 가열하는 단계와, (b) 상기 (a)의 혼합물에 앙금을 첨가하여 가열하는 단계와, (c) 상기 (b)의 혼합물에 곤약 가루를 첨가하면서 가열, 교반하는 단계와, (d) 양갱 모양틀의 내부에 표면 코팅액을 코팅하는 단계와, (e) 상기 (d)의 양갱 모양틀에 상기 (c)의 혼합물 투입하여 성형 및 표면 코팅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표면 코팅액은 한천, 설탕 및 소금을 물에 혼합하여 가열하여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 한천, 설탕 및 소금을 물에 혼합하여 가열하는 단계
먼저, 한천과 물을 혼합하고 이를 가열한 후, 설탕과 소금을 가하고 계속해서 가열한다. 이때, 상기 가열온도는 70~100℃이며, 가열시간은 5~30분 정도가 바람직하다. 이는 한천과 물만을 가열한 시간과, 설탕과 소금을 가한 후 가열한 시간을 모두 합한 시간으로, 먼저 한천을 물에 침지시키고, 그 침지된 한천과 침지수를 90~100℃에서 투명해질 때까지 2~20분간 가열한다. 그리고 한천과 침지수가 투명해지면, 설탕과 소금을 투입하여 70~90℃의 온도에서 점도가 높아질 때까지 졸이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한천 가열물의 제조시 그 재료의 사용량은, 물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물 100중량부, 한천 3~5중량부, 설탕 50~100중량부, 소금 0.1~1중량부임이 바람직하다. 이는 한천의 사용량이 너무 많거나 적으면 양갱의 점도가 높거나 낮아 그 식감 및 성형성이 좋지 못하고, 설탕의 양이 상기 혼합비에서 벗어나면 당도가 맞지 않아 그 맛이 떨어지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소금은 항균과 약간의 짠맛을 위한 것으로, 그 혼합비가 너무 적으면 항균성이 없고, 과량일 경우 짠맛이 강해져 양갱의 전체적인 맛이 떨어지기 때문이다.
(b) 상기 (a)의 혼합물에 앙금을 첨가하여 가열하는 단계.
다음으로, 상기 (a)의 가열된 혼합물에 앙금을 첨가하여 다시 가열한다.
이때, 앙금으로는 통상 양갱의 제조시 사용되는 팥 앙금은 물론, 콩 앙금, 고구마 앙금, 완두콩 앙금, 호박 앙금 등 종래 양갱의 제조 분야에서 공지된 다양한 종류의 앙금을 사용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앙금의 사용량은 (a)의 혼합물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앙금 200~300중량부를 사용한다. 여기서, 가열시 앙금의 혼합을 용이하게 하고, 전체적인 점도를 맞추기 위하여 물 40~60중량부를 함께 투입하여 60~100℃에서 약 5~30분간 가열함이 바람직한데, 필요에 따라 물의 양은 가감할 수 있다.
(c) 상기 (b)의 혼합물에 곤약 가루를 첨가하면서 가열, 교반하는 단계.
상기 (b) 단계가 완료되면, (b)의 혼합물에 다시 곤약 가루를 첨가하면서 60~80℃의 온도에서 약 2~5분간 가열, 교반한다. 상기 곤약 가루는 양갱의 식감을 쫄깃하게 해주는 것은 물론, 씹힘성, 목넘김을 부드럽게 해준다. 또한, 양갱에 윤기를 부여하고 색상을 선명하게 해주어 관능성 역시 높여준다.
상기 곤약 가루는, 글루코만난 등의 이름으로 시판되는 다양한 종류의 것을 모두 사용 가능한 것으로, 이는 이미 식품분야에서 충분히 공지되어 사용중이므로, 곤약 가루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곤약 가루는 상기 (b) 단계에서 사용된 (a)의 혼합물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2~3중량부만큼 사용함이 바람직한데, 곤약 가루의 사용량이 너무 적으면, 식감, 윤기, 색상 등의 개선이 어렵고, 3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과량이 되어 풍미가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이때, 상기 곤약 가루는 수분을 흡수하여 뭉치는 성질이 있으므로, 곤약 가루를 단독으로 투입하는 것보다 올리고당 10~15중량부에 곤약 가루 2~3중량부를 투입, 혼합하여 풀어주고, 올리고당과 곤약 가루의 혼합물을 상기 (b)의 혼합물에 풀어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곤약 가루를 단독으로 투입할 경우 곤약 가루의 뭉침 현상이 발생하나, 올리고당에 풀어서 투입할 경우 뭉침 현상 없이 고른 혼합이 가능하다.
(d) 양갱 모양틀의 내부에 표면 코팅액을 코팅하는 단계.
상기와 같이 (a), (b), (c) 단계를 수행하면서, 양갱의 표면을 코팅할 표면 코팅액을 준비한다. 상기 표면 코팅액은 양갱의 표면을 코팅하여 양갱에 윤기 및 광택을 부여함으로써, 외관을 미려하게 하는 것은 물론, 식감 역시 쫄깃하게 도와주는 역할을 한다. 또한, 양갱의 외부를 코팅하는 것이므로, 내부의 수분 등이 쉽게 증발되지 않아 양갱의 저장기간을 연장할 수 있다.
상기 표면 코팅액으로는 한천, 설탕 및 소금을 물에 혼합하여 가열하여서 되는 것을 사용하는데, 이는 앞서 (a) 단계와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된다. 즉, (a) 단계의 수행시, 양갱을 구성할 혼합물과 표면 코팅액으로 사용할 혼합물을 함께 제조하고, 표면 코팅액으로 사용될 분량을 따로 담아두면 그 공정이 더욱 효율적이다.
상기 (a) 단계를 통해 제조된 표면 코팅액은 점성을 띄는 것으로, 표면 코팅시 매끄럽고, 광택 및 윤기를 부여하며, 쫄깃하면서 바삭한 형태의 식감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표면 코팅액은 양갱을 성형 후, 그 표면에 직접 도포할 수도 있으나, 양갱 모양틀의 내부에 표면 코팅액을 코팅한 후, 상기 양갱 모양틀에 상기 준비된 (c)의 혼합물을 투입하여 (c)의 혼합물, 즉 양갱의 표면에 표면 코팅액이 코팅되도록 하는 것이 효율성의 측면에서 더욱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표면 코팅액을 양갱 모양틀의 내부에 코팅하는 방법은, 상기 제조된 표면 코팅액을 양갱 모양틀에 부어준 후, 코팅액을 양갱 모양틀에서 제거하여 주면, 코팅액의 점성으로 인해 양갱 모양틀의 내부에 코팅액이 코팅된 상태가 되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양갱 모양틀은 그 모양 및 종류를 제한하지 않으나, 가열된 상태의 코팅액와 혼합물을 사용하므로 내열성 모양틀을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e) 상기 (d)의 양갱 모양틀에 상기 (c)의 혼합물 투입하여 성형 및 표면 코팅하는 단계.
다음으로, 상기 (d)의 양갱 모양틀, 즉 코팅액이 도포된 양갱 모양틀에 상기 (c)의 혼합물을 투입하여 성형하면, 양갱의 표면에는 상기 코팅액이 코팅된 상태로 성형된다.
이때, 상기 코팅액을 양갱 모양틀에 코팅한 후, 약 30~60초 이내에 성형 작업이 이루어져야 하는데, 60초 이상 시간이 경과하게 되면 코팅액이 굳기 시작하여 모양틀로부터 밀려나거나 양갱과 분리될 수 있어 상품성이 떨어지기 때문이다.
그리고 상기 성형작업이 완료되면, 이를 그대로 냉각한 후, 양갱 모양틀을 분리한다. 상기 냉각이란, (c)의 혼합물이 투입된 양갱 모양틀을 실온(20~30℃)에 방치하면서 식히는 정도면 족하며, 그 시간은 10~30분 정도가 적당하다. 그리고 상기 식힌 양갱을 수분이 증발되지 않도록 냉장실(0~5℃)에서 1~5시간 굳히고, 모양틀을 제거하여 그 제조를 완료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표면 코팅액은 천연 색소 또는 천연 향신료를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천연 색소를 더 포함할 경우 양갱의 색도를 선명하게 하여 그 관능성을 더욱 개선할 수 있다. 상기 천연 색소로는 비트, 치자, 단호박, 시금치, 뽕잎 중 1종 이상의 것을 사용할 수 있는데, 양갱의 제조시 사용된 앙금의 색상을 고려하여 천연 색소를 결정하며, 상기 천연 색소는 (a) 단계를 통해 제조된 코팅액 100중량부에 0.5~1중량부의 범위로 사용가능하다.
또한, 상기 천연 향신료는 계피, 오레가노, 레몬필, 허브, 커피, 녹차 중 1종 이상의 것을 분말 또는 즙의 형태로 사용 가능하며, 이 역시 양갱에 향을 더해 그 풍미를 우수하게 하기 위한 것이므로, 소비자의 기호에 따라 선택적으로 추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천연 향신료 역시 (a) 단계를 통해 제조된 코팅액 100중량부에 0.5~1중량부의 범위로 사용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양갱은 그 표면이 매끄럽고, 광택이 나며, 윤기가 있어 소비자들로 하여금 기호도가 상승한다. 아울러, 곤약 가루의 사용으로 그 식감이 우수해짐으로써, 그 기호도가 더욱 상승한다.
한편, 이러한 양갱은 개별포장을 통해 그 디자인을 미려하게 함으로써, 관능성을 더욱 개선할 수 있는데, 상기 개별포장이란 도 1 내지 도 3과 같이, 양갱이 안착되는 안착부(21)를 구비하는 트레이(2)와, 상향으로 돌출된 형태로서 상기 트레이(2)의 테두리에 안착되며 투명 재질의 플라스틱으로 되는 뚜껑(1)으로 양갱을 포장하는 것이다.
이를 자세히 설명하면, 앞서 제조한 양갱(A)을 상기 트레이(2)의 안착부(21)에 안착시킨 후, 상향으로 돌출되어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된 뚜껑(1)을 트레이(2)의 테두리에 안착시킨다. 이때, 상기 뚜껑(1)의 테두리에는 단턱(12)이 형성되어 상기 트레이(2) 가장자리에 단턱(12)이 안착되도록 형성되며, 단턱(12)의 끝단부가 트레이(2)와 수평하게 연장형성된다. 즉 뚜껑(1)의 테두리(11)가 연장형성되어 트레이(2)의 외부로 돌출된 형태이다. 그리고 상기 포장체가 밀폐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뚜껑(1)의 저면을 필름(3)으로 밀봉하는 것인바, 상기 돌출된 테두리(11)에 필름(3)이 열접합됨으로써, 밀봉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필름(3)은 식품 포장용 필름으로서, PE 또는 PP의 것을 사용하면 족하다. 그리고 플라스틱 재질의 뚜껑(1)과 트레이(2) 역시 그 종류를 한정하지 않는다. 다만, 상기 뚜껑(1)은 내부의 양갱(A)이 보여야 하므로 투명재질을 이용한다.
즉, 상기와 같이 포장된 양갱 포장체는 양갱(A)이 트레이(1)에 안착된 형태이고, 상기 트레이(2)에 안착된 양갱(A)이 뚜껑(1)과 필름(3)을 통해 밀폐된 상태로서, 상기 트레이(2)는 뚜껑(1)에 형성된 단턱(12)과 저면의 필름(3)에 의해 고정되어 상, 하로 움직이지 않고 고정된다.
그리고 이러한 포장체를 취식하기 위해서는 포장체를 뒤집어 저면의 필름(3)을 제거하고, 그 상태에서 트레이(2)를 제거하거나 다시 포장체를 뒤집어 바르게 놓은 상태에서 뚜껑(1)을 제거하여 취식한다. 이때, 상기 필름(3)의 제거를 위하여 포장체를 뒤집어야 하므로, 상기 뚜껑(1)의 상면 중앙에는 내부를 향해 돌출된 돌출부(13)를 마련함으로써, 포장체를 뒤집은 상태에서 양갱(A)과 뚜껑(1)과의 접촉을 최소화하여, 양갱의 형태 변형이 없도록 한다.
아울러, 개별 포장시 트레이(2)의 안착부(21)에 별도의 포장지를 위치시킨 상태에서 양갱(A)을 안착시킬 수도 있고, 포장된 형태의 식품 제습제(B)나 방부제를 위치시킨 상태에서 양갱(A)을 안착시킬 수도 있는 것으로 그 형태를 제한하지 않는다.
상기와 같이 포장된 포장체는 그 디자인성이 우수하여 소비자들로 하여금 기호도가 높아져, 양갱의 수요를 촉진할 수 있게 된다.
이하,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1)
물 3000cc에 한천 130g을 약 30분간 침지시키고, 그 침지시킨 물과 한천을 90℃ 정도에서 5분간 가열하여 투명해지도록 하였다. 그리고 이에 설탕 2kg, 소금 15g을 넣고 약 80℃ 정도에서 10분간 추가 가열하여 점성을 갖도록 하였다.
다음으로, 상기와 같이 제조된 한천 가열물 400cc에 팥 앙금 1kg을 넣고 80℃ 정도로 10분간 가열한 후 점도가 생기면, 올리고당 45g과 곤약 가루 10g을 혼합하여 그 혼합물을 가열물에 투입한 후, 70℃ 정도에서 3분간 추가 가열하였다.
그리고 앞서 준비해둔 한천 가열물을 내열성 양갱 모양틀에 붓고, 다시 가열물을 모양틀로 부터 제거하여 코팅액이 모양틀 내부에 코팅되도록 한 후, 상기 팥 앙금을 넣어 가열해둔 가열물을 모양틀에 채워넣었다. 상기 모양틀을 25℃의 실온에서 10분간 방치하고, 4℃의 냉장실에서 4시간 방치하여 굳힌 후, 모양틀을 제거함으로써, 양갱의 제조를 완료하였다.
(실시예 2)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곤약 가루를 8g만 사용하였다.
(실시예 3)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곤약 가루를 12g 사용하였다.
(비교예 1)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코팅액을 사용하지 않았다.
(비교예 2)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코팅액과 곤약 가루를 사용하지 않았다.
(시험예 1)
상기한 양갱에 대하여 9점 척도법(1점 좋지 않음. 9점 매우 좋음.)을 사용하여 관능검사를 실시하였다. 평가는 숙련된 평가요원 2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향, 맛, 식감, 외관, 전체적인 기호도에 대하여 평가하고, 구입의향을 조사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시험예 1의 결과.
구분 외관 식감 전체적 기호도 구입의향
실시예 1 5.2 7.8 8.0 7.3 7.3 7.5
실시예 2 5.3 7.5 8.0 7.2 7.4 7.0
실시예 3 5.1 7.5 8.2 7.8 7.6 8.0
비교예 1 5.0 6.0 5.5 6.1 5.7 3.0
비교예 2 4.9 6.9 5.2 5.0 5.1 5.0
상기 표 1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 내지 3은 맛, 식감, 외관, 기호도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으며, 구입의향 역시 높음을 확인하였다. 이에 반해, 비교예 1, 2의 경우 맛, 외관, 식감 및 기호도에서 낮은 평가를 받았음은 물론, 구입의향 역시 낮았다. 다만, 향에 있어서는 실시예 1 내지 3과 비교예 1, 2에서 큰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1: 뚜껑 2: 트레이
3: 필름 11: 테두리
12: 단턱 13: 돌출부
21: 안착부

Claims (5)

  1. (a) 한천, 설탕 및 소금을 물에 혼합하여 가열하는 단계와,
    (b) 상기 (a)의 혼합물에 앙금을 첨가하여 가열하는 단계와,
    (c) 상기 (b)의 혼합물에 곤약 가루를 첨가하면서 가열, 교반하는 단계와,
    (d) 양갱 모양틀의 내부에 표면 코팅액을 코팅하는 단계와,
    (e) 상기 (d)의 양갱 모양틀에 상기 (c)의 혼합물 투입하여 성형 및 표면 코팅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표면 코팅액은 한천, 설탕 및 소금을 물에 혼합하여 가열하여서 되고,
    상기 표면 코팅액은 천연 색소 또는 천연 향신료를 더 포함하되,
    상기 천연 색소는 비트, 치자, 시금치, 뽕잎 중 1종 이상의 것이고,
    상기 천연 향신료는 계피, 오레가노, 레몬필, 허브, 커피, 녹차 중 1종 이상의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양갱의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올리고당에 곤약 가루를 혼합한 후, 상기 올리고당과 혼합된 곤약 가루를 (b)의 혼합물에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갱의 제조방법.
  3. 삭제
  4. 제 1항 또는 제 2항의 방법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갱.




  5. 삭제
KR1020150150792A 2015-10-29 2015-10-29 양갱 제조방법 KR1017320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0792A KR101732033B1 (ko) 2015-10-29 2015-10-29 양갱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0792A KR101732033B1 (ko) 2015-10-29 2015-10-29 양갱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32033B1 true KR101732033B1 (ko) 2017-05-02

Family

ID=587429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0792A KR101732033B1 (ko) 2015-10-29 2015-10-29 양갱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203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5891B1 (ko) * 2018-08-03 2019-04-03 서현정 당귀를 이용한 기능성 양갱제조방법
KR102155636B1 (ko) * 2020-03-12 2020-09-14 김선미 양갱 케익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양갱 케익
KR20210001638A (ko) * 2019-06-28 2021-01-06 하선혜 홍삼 양갱 및 그의 조리방법
KR20230092426A (ko) 2021-12-17 2023-06-26 주식회사 아테나공동체 무궁화 양갱 제조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올 추석에도 홈메이드 양갱. 네이버블로그, [online], 2015.09.30.,[2016.01.11.검색], 인터넷:<url: http://blog.naver.com/kha0866/220494861711>*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5891B1 (ko) * 2018-08-03 2019-04-03 서현정 당귀를 이용한 기능성 양갱제조방법
KR20210001638A (ko) * 2019-06-28 2021-01-06 하선혜 홍삼 양갱 및 그의 조리방법
KR102312790B1 (ko) 2019-06-28 2021-10-15 하선혜 홍삼 양갱 및 그의 조리방법
KR102155636B1 (ko) * 2020-03-12 2020-09-14 김선미 양갱 케익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양갱 케익
KR20230092426A (ko) 2021-12-17 2023-06-26 주식회사 아테나공동체 무궁화 양갱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569104C (zh) 一种糯米糍粑及其制造方法
KR101732033B1 (ko) 양갱 제조방법
KR102318003B1 (ko) 기능성 단백질을 함유한 누룽지의 제조방법
CN102919693B (zh) 一种糯米茶糕的制作方法
CN109567064A (zh) 一种真空冷冻干燥蔬菜鸡蛋制品及制备方法
KR101517757B1 (ko) 과일 한과의 제조방법
KR101872814B1 (ko) 기능성 커피 원두 및 이의 제조 방법
WO2019093989A2 (en) A ready to drink sahlep and production method thereof
CN109007192A (zh) 一种焦糖海盐味的巧克力及其制备方法
KR101883059B1 (ko) 비자나무 열매를 이용한 강정의 제조방법
CN107549427B (zh) 一种炭烧咖啡糖及其制备方法
KR101401016B1 (ko) 통뿌리 식품을 함유하는 양갱 및 그 제조방법
KR20160116134A (ko) 당절임 감귤 과피를 용기로 이용한 복합 초콜릿
CN110063401A (zh) 一种抹茶绿豆冰糕配方
US20100047395A1 (en) Composition and uses thereof
KR20160072439A (ko) 저염·저당 고추장의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된 고추장
CN104207057A (zh) 一种营养全面的山药粗粮粉条
KR20180102726A (ko) 국내농산물을 이용한 초콜릿 코팅방법
KR101341114B1 (ko) 커피 잼의 제조방법
CN109619452A (zh) 一种采用冻干技术制备的水果鸡蛋食品及方法
KR100351327B1 (ko) 흑미즉석죽 및 그 제조방법
US20220087296A1 (en) Flavored melt formulation
JP2003092990A (ja) 抹茶の物性改善方法及び物性改善された抹茶製剤
KR20170115025A (ko) 홍삼 모나카 및 그 제조방법
JP2011135811A (ja) あん入り被覆冷菓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