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0341B1 - 전력 관리 시스템, 화상처리장치, 그것의 제어 방법, 및 기억매체 - Google Patents

전력 관리 시스템, 화상처리장치, 그것의 제어 방법, 및 기억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0341B1
KR101730341B1 KR1020140160550A KR20140160550A KR101730341B1 KR 101730341 B1 KR101730341 B1 KR 101730341B1 KR 1020140160550 A KR1020140160550 A KR 1020140160550A KR 20140160550 A KR20140160550 A KR 20140160550A KR 101730341 B1 KR101730341 B1 KR 1017303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processing
maintenance
processing apparatus
power consumption
notif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605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62950A (ko
Inventor
히로노부 나카이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0629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29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03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03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02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chieve a particular effect
    • G06F3/1218Reducing or saving of used resources, e.g. avoiding waste of consumables or improving usage of hardware resources
    • G06F3/1221Reducing or saving of used resources, e.g. avoiding waste of consumables or improving usage of hardware resources with regard to power consump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06Monitoring of events, devices or parameters that trigger a change in power modality
    • G06F1/3209Monitoring remote activity, e.g. over telephone lines or network conne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06Monitoring of events, devices or parameters that trigger a change in power modality
    • G06F1/3215Monitoring of peripheral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30Monitoring
    • G06F11/3003Monitor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to the computing system or computing system component being monitored
    • G06F11/3013Monitor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to the computing system or computing system component being monitored where the computing system is an embedded system, i.e. a combina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dedicated to perform a certain function in mobile devices, printers, automotive or aircraft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30Monitoring
    • G06F11/3058Monitoring arrangements for monitoring environmental properties or parameters of the computing system or of the computing system component, e.g. monitoring of power, currents, temperature, humidity, position, vibrations
    • G06F11/3062Monitoring arrangements for monitoring environmental properties or parameters of the computing system or of the computing system component, e.g. monitoring of power, currents, temperature, humidity, position, vibrations where the monitored property is the power consump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78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dopt a particular infrastructure
    • G06F3/1285Remote printer device, e.g. being remote from client or ser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885Power supply means, e.g.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power supply to the apparatus or components thereof
    • H04N1/00888Control thereof
    • H04N1/00891Switching on or off, e.g. for saving power when not in us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885Power supply means, e.g.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power supply to the apparatus or components thereof
    • H04N1/00888Control thereof
    • H04N1/00896Control thereof using a low-power mode, e.g. standb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error detection, to error correction, and to monitoring
    • G06F2201/87Monitoring of transa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ccessory Devices And Overall Control Thereof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 Power Sources (AREA)
  • Control Or Security For Electrophotography (AREA)
  •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Of Power-Distribution Networks (AREA)

Abstract

복수의 화상처리장치의 각각은, 메인티넌스를 실행하는 것을 관리 서버에 통지한다. 화상처리장치는 응답을 받으면, 통신을 절단해서 메인티넌스를 시작한다. 화상처리장치는, 메인티넌스가 종료하면, 통신을 확립해서 메인티넌스의 완료를 관리 서버에 통지한다. 관리 서버는, 메인티넌스 대상의 장치를, 상기 화상처리장치의 최대 소비 전력으로 운용하는 것으로 해서 메인티넌스 대상의 장치를 포함하는 복수의 화상처리장치의 소비 전력을, 미리 설정된 총 전력 이하가 되도록 산출한다. 관리 서버는, 상기 통지에 대한 응답으로서, 메인티넌스 대상의 장치가 메인티넌스의 실행을 허가하기 위한 허가 통지를 메인티넌스 대상의 장치에 보낸다.

Description

전력 관리 시스템, 화상처리장치, 그것의 제어 방법, 및 기억매체{POWER MANAGEMENT SYSTEM, IMAGE PROCESSING APPARATUS, CONTROL METHODS THEREFOR AND STORAGE MEDIUM}
본 발명은 메인티넌스가 이루어지는 화상처리장치를 포함하는 전력 관리 시스템, 화상처리장치, 전력 관리 시스템 및 화상처리장치의 제어방법, 및 기억매체에 관한 것이다.
최근, 환경 및 에너지에 대한 의식이 높아짐에 따라, 여러 가지 전자기기에 전력계를 구비하고, 전력계로 계측한 정보를 유선이나 무선 LAN(Local Area Network)을 통해 정보를 수집하여, 전력소비의 최적화를 제어하는 시도가 널리 보급되어 왔다. 오피스에 설치된 프린터 및 복합기 등의 기기는, 토너 화상을 용지 위에 열정착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전자기기 중에서도 전력의 사용량이 비교적 큰 그룹으로 분류된다.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 2003-32397호 및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 2006-227691호에서는, 네트워크에 접속된 복수의 화상처리장치의 이용 상황의 감시를 행하고, 복수의 기기의 총 소비 전력을 계측하며, 상한의 소비 전력에 따라 장치를 전력 절약 모드로 전환하는 기술이 제안되어 있다.
그렇지만, 상기 종래기술에는 이하의 문제가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종래기술은, 기기가 네트워크에 접속되고, 네트워크에 접속된 관리 서버가 기기의 전력상태를 파악하여 기기의 전력 모드를 전환할 수 있다는 전제에 의거한 제어방식이다. 한편, 화상처리장치에 대해서 서비스 메인티넌스(부품 교환, 기기의 조정, 청소 등)를 행할 경우, 네트워크로부터의 잡 수신 등으로 갑자기 기기가 동작하지 않도록 LAN 케이블이나 전화선의 접속을 끊고나서 메인티넌스를 실행하는 경우가 있다.
계획적인 정전이 예정되어 있는 시간대나, 전력사용이 현저하게 제한되는 시간대 등, 기기의 통상 가동을 정지하는 시간대에, 서비스 메인티넌스를 행하여, 보통 업무의 시간대에 지장 없이 기기를 가동시키고 싶다고 하는 요구도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에서는, 전력 관리 시스템이 LAN 케이블의 접속을 끊은 상태에서 기기의 전력상태를 파악하거나 전력 억제 지시를 행할 수 없다. 부품 교환 후의 동작 확인 등, 메인티넌스 작업의 일환으로서 기기의 주전원이 투입되어, 갑자기 풀 통전 상태가 되는 경우도 있다. 이러한 경우, 제한된 사용 전력을 초과해버릴 가능성이 있다.
본 발명은 서비스 메인티넌스 중에 있어서도 시스템 내에서 예측된 소비 전력을 관리하여, 제한된 사용 전력의 상한이 초과하는 것을 방지하는 구조를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국면은, 복수의 화상처리장치와, 상기 복수의 화상처리장치의 소비 전력을 관리하도록 구성된 관리 서버를 포함하는 전력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고, 상기 복수의 화상처리장치의 각각은, 메인티넌스를 실행하는 것을 상기 관리 서버에 통지하도록 구성된 통지 유닛과,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통지 유닛에 의한 통지에 대한 응답을 받으면, 통신을 절단해서 메인티넌스를 시작하고, 상기 메인티넌스가 종료하면, 통신을 확립해서 메인티넌스의 완료를 상기 관리 서버에 통지하도록 구성된 실행 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통지 유닛에 의한 통지에 따라, 메인티넌스 대상의 화상처리장치를 상기 화상처리장치의 최대 소비 전력으로 운용하는 것으로 해서, 상기 메인티넌스 대상의 화상처리장치를 포함하는 상기 복수의 화상처리장치의 소비 전력을, 미리 설정된 총 전력 이하가 되게 산출하도록 구성된 산출 유닛과, 상기 산출 유닛에 의한 산출 결과를 메인티넌스 대상이 아닌 화상처리장치에 통지하고, 상기 메인티넌스 대상이 아닌 화상처리장치가 상기 산출 결과에 따른 전력 제어로 이행했다는 통지를, 상기 메인티넌스 대상이 아닌 화상처리장치로부터 받으면, 상기 통지 유닛에 의한 통지에 대한 응답으로서, 메인티넌스 대상의 화상처리장치가 메인티넌스의 실행을 허가하기 위한 허가 통지를 상기 메인티넌스 대상의 화상처리장치에 보내도록 구성된 제어 유닛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국면은, 접속된 기기의 소비 전력을 관리하도록 구성된 관리 서버와 통신가능한 화상처리장치를 제공하고, 상기 화상처리장치는, 메인티넌스를 실행하는 것을 상기 관리 서버에 통지하도록 구성된 통지 유닛과,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통지 유닛에 의한 통지에 대한 응답을 받으면, 통신을 절단해서 메인티넌스를 시작하고, 상기 메인티넌스가 종료하면, 통신을 확립해서 메인티넌스의 완료를 상기 관리 서버에 통지하도록 구성된 실행 유닛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국면은, 복수의 화상처리장치의 소비 전력을 관리하는 관리 서버를 제공하고,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복수의 화상처리장치의 하나로부터 메인티넌스를 실행하는 것을 나타내는 통지에 따라, 메인티넌스 대상의 화상처리장치를 상기 화상처리장치의 최대 소비 전력으로 운용하는 것으로 해서, 상기 메인티넌스 대상의 화상처리장치를 포함하는 상기 복수의 화상처리장치의 소비 전력을, 미리 설정된 총 전력 이하가 되게 산출하도록 구성된 산출 유닛과, 상기 산출 유닛에 의한 산출 결과를 메인티넌스 대상이 아닌 화상처리장치에 통지하고, 상기 메인티넌스 대상이 아닌 화상처리장치가 상기 산출 결과에 따른 전력 제어로 이행했다는 통지를, 상기 메인티넌스 대상이 아닌 화상처리장치로부터 받으면, 상기 통지에 대한 응답으로서, 상기 메인티넌스 대상의 화상처리장치가 메인티넌스의 실행을 허가하기 위한 허가 통지를 상기 메인티넌스 대상의 화상처리장치에 보내도록 구성된 제어 유닛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국면은, 복수의 화상처리장치와, 상기 복수의 화상처리장치의 소비 전력을 관리하도록 구성된 관리 서버를 포함하는 전력 관리 시스템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고, 상기 복수의 화상처리장치의 각각은, 통지 유닛이, 메인티넌스를 실행하는 것을 상기 관리 서버에 통지하는 단계와, 실행 유닛이,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통지 유닛에 의한 통지 단계에서 응답을 받으면, 통신을 절단해서 메인티넌스를 시작하고, 상기 메인티넌스가 종료하면, 통신을 확립해서 메인티넌스의 완료를 상기 관리 서버에 통지하는 단계를 실행하고,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통지 유닛에 의한 통지 단계에서의 통지에 따라, 메인티넌스 대상의 화상처리장치를 화상처리장치의 최대 소비 전력으로 운용하는 것으로 해서 상기 메인티넌스 대상의 화상처리장치를 포함하는 상기 복수의 화상처리장치의 소비 전력을, 미리 설정된 총 전력 이하가 되도록 산출하는 단계와, 상기 산출 단계에서의 산출 결과를 메인티넌스 대상이 아닌 화상처리장치에 통지하고, 상기 메인티넌스 대상이 아닌 화상처리장치가 상기 산출 결과에 따른 전력 제어로 이행했다는 통지를 상기 메인티넌스 대상이 아닌 화상처리장치로부터 받으면, 상기 통지에 대한 응답으로서, 상기 메인티넌스 대상의 화상처리장치가 메인티넌스의 실행을 허가하기 위한 허가 통지를 상기 메인티넌스 대상의 화상처리장치에 보내는 단계를 실행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국면은, 접속된 기기의 소비 전력을 관리하도록 구성된 관리 서버와 통신가능한 화상처리장치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고, 이 방법은 메인티넌스를 실행하는 것을 상기 관리 서버에 통지하는 단계와,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통지 단계에서의 통지에 대한 응답을 받으면, 통신을 절단해서 메인티넌스를 시작하고, 상기 메인티넌스가 종료하면, 통신을 확립해서 메인티넌스의 완료를 상기 관리 서버에 통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국면은, 복수의 화상처리장치의 소비 전력을 관리하도록 구성된 관리 서버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고, 상기 방법은 상기 복수의 화상처리장치 중의 하나로부터 메인티넌스를 실행하는 것을 나타내는 통지에 따라, 메인티넌스 대상의 화상처리장치를 화상처리장치의 최대 소비 전력으로 운용하는 것으로 해서 상기 메인티넌스 대상의 화상처리장치를 포함하는 상기 복수의 화상처리장치의 소비 전력을, 미리 설정된 총 전력 이하가 되도록 산출하는 단계와, 상기 산출 단계에서의 산출 결과를 메인티넌스 대상이 아닌 화상처리장치에 통지하고, 상기 메인티넌스 대상이 아닌 화상처리장치가 상기 산출 결과에 따른 전력 제어로 이행했다는 통지를 상기 메인티넌스 대상이 아닌 화상처리장치로부터 받으면, 상기 통지에 대한 응답으로서, 상기 메인티넌스 대상의 화상처리장치가 메인티넌스의 실행을 허가하기 위한 허가 통지를 상기 메인티넌스 대상의 화상처리장치에 보내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국면은 화상처리장치로서 컴퓨터를 기능시키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억하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억매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국면은 관리 서버로서 컴퓨터를 기능시키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억하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억매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그 밖의 특징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설명으로부터 밝혀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전력 관리 시스템의 구성도의 개략도 1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전력 관리 시스템의 구성도의 개략도 2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있어서의 화상처리장치의 메인 콘트롤러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화상처리장치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a 및 5b는, 제1 실시예에 있어서의 전력 관리 시스템의 플로차트이다.
도 6은, 제1 실시예에 있어서의 전력 관리 서버에서의 전력 제어 테이블의 예를 나타내는 테이블이다.
도 7a 및 7b는, 제2 실시예에 있어서의 처리 시스템의 플로차트이다.
도 8a 및 8b는, 제2 실시예에 있어서의 메인티넌스 예약 정보 테이블의 예를 나타내는 테이블이다.
도 9는, 제2 실시예에 있어서의 원격 진단 서버와의 접속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제1 실시예>
<시스템 구성>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력 관리 시스템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낸다. 또한, 도면에 나타내지 않았지만, 일반적인 인쇄 잡의 투입을 행하는 복수의 호스트 PC은 하나의 전력 관리 시스템 내에 존재한다. 전력 관리 서버(102)는, 정보처리장치의 일례이며, 소위 CPU, RAM, ROM 등을 포함하는 콘트롤러와, 표시장치, 입력 디바이스, 기억장치 등을 구비한다.
또한, 전력 관리 서버(102)는, 소정의 OS 하에서, 소정의 어플리케이션을 기동하고, 다양한 데이터 처리를 행한다. 한층 더, 전력 관리 서버(102)에는, 상기 데이터 처리에 의해 작성된 데이터를 (후술하는) 화상처리장치에 출력하기 위한 드라이버, 스캐너를 기동하는 드라이버 등이, 미리 외부기억장치에 인스톨되어 있다. 전력 관리 서버(102)에서의 처리 시스템은 소정의 어플리케이션의 하나로서 처리를 행한다. 또한, 전력 관리 서버(102)는, 네트워크상의 기기와 소정의 프로토콜(예를 들면, TCP/IP, UDP/IP, IPX 등)으로 통신하기 위한 통신 모듈도 구비하고 있다.
도 1 및 도 2에 있어서, 참조번호 103∼107은 화상처리장치를 나타낸다. 화상처리장치 103∼107은, 메인 콘트롤러부, 유저 인터페이스인 조작부, 화상 입력 디바이스인 스캔부, 화상 출력 디바이스인 프린터부, 및 통신기능을 구비하고, 각종의 화상 입출력의 처리를 행한다. 전력 관리 서버(102)와 화상처리장치 103∼107은, LAN(Local Area Network)(101)을 통해서, 소정의 프로토콜을 사용해서 통신 가능하게 접속된다.
참조번호 108은, 전력 소비량(W:와트)을 나타낸다. 각 바는 파선으로 바와 관련된 화상처리장치의 전력 소비 상태를 나타낸다. 참조번호 109는, 화상처리장치(105)의 스캔부가 가동했을 때의 전력 소비량을 나타내고, 참조번호 110은, 화상처리장치(107)의 프린터부가 가동했을 때의 전력 소비량을 나타내며, 참조번호 111은, 전력 관리 서버(102)가, 예시한 상태의 복수의 화상처리장치 103∼107의 동작 상황에 의거해 파악한 사용 전력과, 피크 시에 허용되어 있는 소비 전력의 예를 나타낸다. 도 1에서는, 피크 시의 소비 전력이 3,000W인 것을 나타내고, 각 프린터부 및 각 스캔부의 소비 전력의 소계도 나타나 있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상태에서, 화상처리장치(103)가 메인티넌스를 실행하기 위해서, 참조번호 201로 나타낸 바와 같이 LAN(101)의 접속을 절단한 상태를 나타낸다. 참조번호 202로 나타낸 바와 같이, 화상처리장치(103)의 전력 소비의 상태는, 통신이 차단되기 때문에, 전력관리 서버(102)로부터는 파악할 수 없게 된다. 그 결과, 메인티넌스의 작업 항목으로서 프린터부와 스캔부를 동시에 동작시켰을 경우, 이 예에서는 프린터부의 800W와 스캔부의 150W를 더해서 얻은 합계 950W의 전력을 파악할 수 없다. 전력 관리 서버(102)는, 전술의 상황 하에서, 피크 시에 허용되어 있는 소비 전력을 메인티넌스 대상이 아닌 화상처리장치 104∼107에만, 할당했을 경우, 참조번호 203으로 나타낸 것처럼, 합계 2,850W의 소비 전력을 관리하는 가능성이 있다. 이 예에서는, 참조번호 204로 나타낸 바와 같이, 화상처리장치(105)에 대하여 프린터부의 구동을 허용하고 있다. 그 결과, 도 2에서 예시한 경우에 있어서 화상처리장치(103)의 소비 전력을 고려하면, 실제의 소비 전력이 950W(화상처리장치 103) + 2850W = 3800W이 되어, 피크 시에 허용되어 있는 소비 전력을 초과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에 관하여 설명한다.
<화상처리장치/콘트롤러부>
다음에, 도 3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화상처리장치(103)의 메인 콘트롤러부의 구성을 설명한다. 화상처리장치 전체를 제어하는 메인 콘트롤러(326)는, 스캐너(327) 및 프린터(328)를 제어하는 한편, LAN(101) 및 공중 회선망과 접속된다. 그리고, LAN(101)이나 공중 회선망을 통해서 외부기기와의 사이에서 화상정보, 화상처리장치의 상태 및 정보, 파일 등의 입출력을 행한다. 메인 콘트롤러(326)는, 주제어부로서 기능하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301)를 포함한다.
CPU(301)는, 시스템 버스(307)를 통해서 RAM(Random Access Memory)(302), ROM(Read Only Memory)(303), 및 플래쉬 메모리(304)와 접속된다. 한층 더, CPU(301)는, 이미지 버스 I/F(305), 조작부 I/F(306), LAN I/F(308), 및 모뎀부(309)와 접속된다. RAM(302)은, CPU(301)의 작업 영역을 제공하기 위해 사용되고, 필요에 따라 판독 및 기록가능한 메모리다. RAM(302)은, 화상 데이터를 일시 기억하기 위한 화상 메모리로서도 사용된다. ROM(303)은, 부트(boot) ROM이며, 시스템의 부트 프로그램(boot program)을 기억한다. 플래쉬 메모리(304)는, 불휘발성 메모리이며, 화상처리장치(103)의 전원 차단 후에도 유지가 필요한 시스템 소프트웨어, 설정 값 데이터 등을 기억한다.
조작부 I/F(306)는, 조작부(325)와의 사이에서 입출력을 행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다. 조작부 I/F(306)는, 조작부(325)에 대하여 표시해야 할 묘화(drawing) 데이터를 출력하고, 또한 유저가 조작부(325)를 통해 입력한 정보를, CPU(301)에 전송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LAN I/F(308)은, LAN(101)과 접속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이며, LAN(101)에 대하여 정보의 입출력을 행한다.
모뎀부(309)는, 공중 회선망과 접속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이며, 공중 회선망에 대하여 정보의 입출력을 행한다. 이미지 버스 I/F(305)는, 시스템 버스(307)와 화상 데이터를 고속으로 전송하는 화상 버스(310)를 접속하는 인터페이스이며, 데이터 구조를 변환하는 버스 브리지로서 동작한다. 화상 버스(310)에는, RIP(Raster Image Processor)(311), 디바이스 I/F(312), 스캐너 화상처리부(313), 프린터 화상처리부(314), 화상 회전부(315), 및 화상 압축부(316)가 접속된다. RIP(311)은, LAN(101)로부터 수신한 PDL(Page Description Language) 데이터를 비트맵 이미지로 전개한다.
디바이스 I/F(312)는, 스캐너(327) 및 프린터(328)와 메인 콘트롤러(326)를 접속하는 인터페이스이며, 화상 데이터의 동기계/비동기계의 변환을 행한다. 스캐너 화상 처리부(313)는, 스캐너(327)가 판독한 입력 화상 데이터에 대하여, 보정, 가공, 편집 등의 처리를 행한다. 프린터 화상 처리부(314)는, 프린터(328)에 출력하는 프린트 출력 화상 데이터에 대하여, 색 변환, 필터 처리, 해상도 변환 등의 처리를 행한다. 화상 회전부(315)는, 화상 데이터를 회전시킨다. 화상 압축부(316)는, 다치 화상 데이터에 대하여는 JPEG 압축/신장 처리를 행하고, 이치 화상 데이터에 대하여는 JBIG, MMR, 혹은 MH 압축/신장 처리를 행한다. HDD(Hard Disk Drive)(317)는, 불휘발성 데이터 기억장치이며, 화상 데이터, 주소록 데이터, 잡 로그, 및 유저의 개별 데이터 등의 각종 데이터를 보유한다. 또한, 메인 콘트롤러(326)가, HDD(317)를 접속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전술의 각종 데이터는 플래쉬(304)에 보유된다는 점에 유념한다.
전원 제어부(318)는, 전력 공급을 행하는 전원장치(319)로부터 전력 공급 라인(320)을 통해 수신한 DC 전원을, 전력 공급 라인 321, 322를 통해 메인 콘트롤러(326)의 소정의 회로 요소에 공급한다. 전원 제어부(318)는, LAN I/F(308)로부터 제어 신호선(323)을 통해 수신한 제어신호, 및 CPU(301)로부터 제어 신호선(324)을 통해 수신한 제어신호에 의거하여 전력 공급 라인 321, 322의 전력 공급을 제어한다. 전력 공급 라인(321)은, CPU(301), ROM(303), 플래쉬(304), 이미지 버스 I/F(305), 및 HDD(317)에 접속된다. 한층 더, 전력 공급 라인(321)은, RIP(311), 디바이스 I/F(312), 스캐너 화상 처리부(313), 프린터 화상 처리부(314), 화상 회전부(315), 및 화상 압축부(316)에 접속된다. 전력 공급 라인(322)은, RAM(302), 조작부 I/F(306), LAN I/F(308) 및 모뎀부(309)에 접속된다.
<화상처리장치/내부구성>
다음에,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화상처리장치 103∼107의 내부 구성에 관하여 설명한다. 메인 콘트롤러(326)는, (도면에 나타내지 않은) 호스트 PC나 조작부(325)를 통해서 유저로부터 접수한 지시에 근거하여, 스캐너(327) 및 프린터(328)를 제어해서 원고를 판독하고 용지에의 인쇄를 행한다. 도 4를 사용해서 스캐너(327)에 의한 스캔 처리와 프린터(328)에 의한 프린트 처리의 개략적인 동작을 순차적으로 설명한다.
스캔 처리에서는, 원고 자동 반송장치(442)는, 유저가 놓은 원고를 원고대 글래스(401)에 순차 반송한다. 원고 조명 램프(402)는, 예를 들면 할로겐 램프로 구성되는 원고를 조명하기 위한 램프이며, 원고대 글래스(401)에 놓인 원고를 노광한다. 주사 미러 403, 404, 405는, (도면에 나타내지 않은) 광학 주사 유닛에 수용되고, 원고로부터의 반사광을 CCD 유닛(406)으로 안내한다. CCD 유닛(406)은, CCD(Charge Coupled Device) 촬상소자(408)에 원고로부터의 반사광을 결상시키는 결상 렌즈(407), 및 CCD 촬상소자(408)를 구동하는 CCD 드라이버(409)로 구성된다. 원고의 판독은, CCD 촬상소자(408)로부터 출력된 화상 신호가, 예를 들면 8비트의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된 후, 메인 콘트롤러(326)에 화상 데이터로서 입력될 때 행해진다.
프린트 처리에서는, 전노광 램프(412)는 감광 드럼(410)으로부터의 전하를 화상 형성을 위해 제거한다. 일차 대전기(413)는, 감광 드럼(410)을 균일하게 대전시킨다. 노광부(417)는, 예를 들면 반도체 레이저 등으로 구성되어, 메인 콘트롤러(326)로 처리된 화상 데이터에 의거하여 감광 드럼(410)을 노광하여, 정전 잠상을 형성한다. 현상기(418)에는, 현상제의 토너가 수용되어 있다. 전사전 대전기(419)는, 감광 드럼(410) 위에 현상된 토너 상을 용지에 전사하기 전에 고압을 가한다.
급지 유닛 420, 422, 424, 442, 444(급지 유닛 420은 수동 급지 유닛이다)은, 용지의 급지를 행하는 유닛이다. 각 급지 유닛은 급지 롤러 421, 423, 425, 443, 445의 대응하는 하나를 구동시켜서, 장치에 용지를 반송한다. 급지 유닛 420, 422, 424, 442, 444의 각각으로부터 반송된 용지는, 레지스트 롤러(426)의 설치 위치에서 일단 정지하고, 감광 드럼(410)에 형성된 화상의 기록 타이밍과 동기해서 재반송된다. 전사 대전기(427)는, 감광 드럼(410)에 현상된 토너 상을 반송되는 용지에 전사한다. 분리 대전기(428)는, 전사 동작이 종료한 용지를 감광 드럼(410)으로부터 분리한다. 전사되지 않고 감광 드럼(410) 위에 남은 토너는 클리너(411)에 의해 회수된다. 반송 벨트(429)는, 전사 프로세스가 종료한 용지를 정착기(430)에 반송한다.
정착기(430)는 (도면에 나타내지 않은) 히터에 의해 가열되어, 열에 의해 용지에 토너를 정착한다. 플래퍼(flapper;431)는, 정착 프로세스가 종료한 용지의 반송 패스를, 배지 트레이(432) 또는 중간 트레이(437)의 배치 위치에 제어한다. 반송 롤러 433, 434, 435, 436은, 정착 프로세스가 일단 종료한 용지를 중간 트레이(437)에 용지를 반전(다중) 또는 비반전(양면)해서 반송한다. 재반송 롤러(438)는, 중간 트레이(437)에 놓은 용지를, 레지스트 롤러(426)의 설치 위치까지 다시 반송한다. 용지에의 인쇄는, 전술한 화상 형성 처리에 의해 배지 트레이(432) 위에 인쇄된 용지가 배출될 때 완료한다.
<화상처리장치/전력 동작 모드>
도 3을 참조하여, 화상처리장치의 전력 동작 모드에 관하여 설명한다. 화상처리장치 103∼107의 각각은, 장치의 가동 상태에 따라 전력상태가 서로 다른 통상전력 모드와 전력 절약 모드로 대별되는 2개의 전력 모드를 구비한다. 보통 전력 모드 또는 전력 절약 모드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전원장치(319)는, 전력 공급 라인(320)을 통해 전원 제어부(318)에 전력을 공급한다. 보통 전력 모드에서는, CPU(301)는, 전력 공급 라인 321 및 322에 대한 전력공급이 유효가 되도록 전원 제어부(318)를 제어한다. 이 처리에 따라, 통상 전력 모드에서는, CPU(301)와 LAN I/F(308)의 쌍방에 전원장치(319)로부터 전력이 공급된다.
한편, 전력 절약 모드에서는, CPU(301)는, 전력 공급 라인 321에의 전력공급이 무효가 되고, 또 전력 공급 라인 322에의 전력 공급이 유효가 되도록 전원 제어부(318)를 제어한다. 이때, 메인 콘트롤러(326)의 CPU(301)를 포함하는 주회로 요소에 대한 전력공급은 차단된다. 그 결과, 전력 절약 모드에서는, 보통 전력 모드와 비교해서 화상처리장치 103∼107의 소비 전력을 대폭 저감할 수 있다.
LAN I/F(308)가 LAN(101) 상의 (도면에 나타내지 않은) 호스트 PC로부터 인쇄 잡 등의 데이터를 수신했을 경우에는, LAN I/F(308)이 전원 제어부(318)를 제어하여 전력 절약 모드로부터 보통 전력 모드로 복귀한다. 전력 절약 모드에서는, 전원장치(319)는 RAM(302)에 대하여 전력을 공급하기 때문에, RAM(302)은 셀프 리플레쉬 동작에 의해 시스템 프로그램을 백업하면서 저소비 전력의 상태가 된다. 또한, LAN I/F(308)와 RAM(302) 사이의 데이터 입출력은, LAN I/F(308)에 포함된 (도면에 나타내지 않은) DMA(Direct Memory Access) 제어부를 사용한 DMA 전송으로 행할 수 있다. 또한, 전력 절약 모드에서는, CPU(301)에 대한 전력 공급은 차단된다는 점에 유념한다. 그렇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기타의 형태로서, CPU(301)에 대한 전력공급을 보통 전력 모드보다 저감시켜, CPU(301)의 동작 주파수를 하강시킨 상태를 전력 절약 모드로 설정해도 된다. 또한, 보통 전력 모드에 있어서도, 스캐너(327) 또는 프린터(328)의 동작이 불필요한 상태에서는, CPU(301)로부터의 지시에 응답해 디바이스 I/F(312)을 통해, 스캐너(327) 또는 프린터(328)가 수신하는 전력을 억제하여, 불필요한 전력의 소비를 억제할 수 있다.
<동작 모드의 변경 제어>
다음에,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화상처리장치(103)의 메인티넌스의 실행시의 전력 관리 서버(102)와 메인티넌스 대상이 아닌 화상처리장치 104∼107의 각각의 처리 내용에 관하여 설명한다. 본 플로차트는, ROM(303)에 기억된 프로그램에 따라 메인 콘트롤러(326)의 CPU(301)가 전원 제어부(318) 및 디바이스 I/F(312)을 통해서 프린터(328) 및 스캐너(327)를 제어함으로써 실현된다. 또한, 전력 관리 서버(102)의 처리 시스템은, 전력 관리 서버의 소정의 어플리케이션의 하나로서 처리를 행한다.
스텝 S511에 있어서, 전력 관리 서버(102)는, LAN(101)에 접속된 전력 관리 대상의 복수의 화상처리장치에 대하여 소비 전력을 감시해서, 미리 설정된 총 전력 이하의 소비 전력이 되도록 제어 처리를 시작 및 실행한다. 한편, 스텝 S502에 있어서, 메인티넌스 대상인 화상처리장치(103)는, 조작부(325)를 통해서 메인티넌스 실행자로부터 접수한 메인티넌스 요구를, 메인 콘트롤러(326)에 통지한다. 한층 더, 통지를 받은 메인 콘트롤러(326)는, LAN I/F(308)을 통해서, 전력 관리 서버(102)에 메인티넌스 요구를 통지한다.
스텝 S512에 있어서, LAN(101)을 통해서 화상처리장치(103)로부터 메인티넌스 요구를 접수한 전력 관리 서버(102)는, 메인티넌스 요구를 수신한 화상처리장치(103)가 그것의 소비 전력을 최대 소비 전력으로 설정함으로써 운용되어 있는 상태를 인식한다. 스텝 S513에 있어서, 전력 관리 서버(102)는, 스텝 S512의 인식에 근거하여, 관리 대상의 화상처리장치 103∼107의 소비 전력을 재계산한다. 전력 관리 서버(102)는, 재계산의 결과에 의거하여, 메인티넌스 대상이 아니라 전력 관리 대상인 복수의 화상처리장치 104∼107에 대하여 전력 제어의 지시를 행하여, 화상처리장치(103)를 포함하는 화상처리장치의 소비 전력이, 미리 설정된 총 전력 이하가 된다.
한편, 스텝 S519에 있어서, 메인티넌스 대상이 아닌 화상처리장치 104∼107의 각각은, 스텝 S513에 발행된 전력 제어 지시를 수신하면, 지시된 소비 전력 이하로 구동하도록, 각각의 화상처리장치의 전력 소비 모드의 전환 처리를 행한다. 각 화상처리장치 104~107은, 해당 전력 제어를 메인티넌스 대상의 화상처리장치(103)의 메인티넌스에 대해서 행하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조작부(325)에 표시해도 된다. 스텝 S520에 있어서, 메인티넌스 대상이 아닌 화상처리장치 104∼107의 각각은, 전력 소비 모드의 전환이 완료한 취지를 전력 관리 서버(102)에 통지한다. 그 후에, 메인티넌스 대상이 아닌 화상처리장치 104∼107의 각각은 처리를 종료한다.
스텝 S514에 있어서, 전력 관리 서버(102)는, 스텝 S513에 발행된 전력 제어 지시에 근거해서, 메인티넌스 대상이 아닌 화상처리장치 104∼107의 각각의 전력 소비 모드의 전환 완료 통지를 대기한다. 전력 관리 서버(102)는, 시스템 전체의 전력 소비 모드의 이행이 완료하면, 스텝 S515로 진행된다. 스텝 S515에 있어서, 전력 관리 서버(102)는, 메인티넌스 대상의 화상처리장치(103)에 대하여, 메인티넌스 실행 허가의 통지를 한다.
스텝 S503에 있어서, 전력 관리 서버(102)로부터의 메인티넌스 실행 허가의 통지를 수신한 메인티넌스 대상의 화상처리장치(103)는, 메인티넌스의 시작이 가능하게 되었다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조작부(325)에 표시하는 동시에, 메인티넌스 모드로 이행한다. 스텝 S504에 있어서, 화상처리장치(103)에서는, 조작부(325)의 표시에 근거하여, 메인티넌스 실행자가 LAN I/F(308)로부터 접속 케이블을 제거해서, 통신을 차단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메인티넌스 실행자가 케이블을 제거했지만, 스텝 S504에 있어서 메인티넌스 대상의 화상처리장치(103)가 LAN I/F(308)의 기능을 정지시켜도 된다. 이 경우에, 동시에 조작부(325)에 LAN 접속이 해제되었다는 것을 통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텝 S505에 있어서, 메인티넌스 실행자로부터의 메인티넌스 동작의 지시를 받은 조작부(325)는, 메인티넌스 동작의 지시를 메인 콘트롤러(326)에 통지한다. 메인티넌스 동작의 지시를 받은 메인 콘트롤러(326)는, 메인티넌스 동작용의 처리 프로그램을 ROM(303)으로부터 판독하고, CPU(301)로 처리를 실행한다. 스텝 S506에 있어서, 화상처리장치(103)의 메인 콘트롤러(326)는, 메인티넌스가 완료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메인티넌스의 완료는, 메인티넌스 실행자에게서 메인티넌스의 종료를 접수한 조작부(325)가, 메인 콘트롤러(326)에 종료 통지를 행함으로써 판정된다. 메인 콘트롤러(326)는, 메인티넌스가 완료했다고 판정하면, 처리를 스텝 S507로 이행시킨다.
스텝 S507에 있어서, 화상처리장치(103)는, 메인티넌스가 완료했다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조작부(325)에 표시한다. 스텝 S507의 조작부(325)의 표시에 의거하여, 메인티넌스 실행자는, LAN I/F(308)에의 접속 케이블의 장착을 행하고, 화상처리장치(103)는, LAN(101)에의 접속을 재개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메인티넌스 실행자가 케이블을 장착했다는 점에 유념한다. 그렇지만, 상기한 바와 같이, 스텝 S504의 처리에서는, 화상처리장치(103)가 LAN I/F(308)의 기능을 정지시킨다. 이 경우에, 스텝 S507에 있어서, 화상처리장치(103)가 LAN I/F(308)의 기능을 재개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텝 S508에 있어서, 화상처리장치(103)는, 메인티넌스 작업이 완료했다는 것을, LAN(101)을 통해서 전력 관리 서버(102)에 통지한다. 그 후에, 화상처리장치(103)는, 처리를 종료한다. 스텝 S516에 있어서, 전력 관리 서버(102)는, 화상처리장치(103)로부터의 메인티넌스 완료 통지를 받고, 일반적인 전력 감시/제어 모드로 이행한다. 즉, 전력 관리 서버(102)는, 화상처리장치(103)가 보통 모드에서 운용되는 것으로 가정하여, 소비 전력을 재산출하고, 해당 산출 결과에 의거하여 소비 전력을 제어한다. 그 후에, 전력 관리 서버(102)는, 처리를 종료한다.
<관리 테이블>
다음에, 도 6을 참조하여, 도 5a의 스텝 S513에서 전력 관리 서버(102)가 전력을 재계산했을 때의 관리 테이블에 관하여 설명한다. 참조번호 601은, 전력 관리 서버(102)의 전력 감시/제어 대상으로서의 화상처리장치 103∼107의 각각을 나타내는 열이고, 참조번호 602는, 참조번호 601로 나타낸 개개의 화상처리장치의 상태를 나타내는 열이다. 열 602는, 장치가 메인티넌스 상태 혹은 보통 기동 상태라는 것을 나타낸다. 참조번호 603은, 각 화상처리장치의 최대의 소비 전력을 나타낸다.
도 6의 관리 테이블에 있어서, 참조번호 604로 나타낸 것처럼, 전술한 스텝 S502에서의 화상처리장치(103)로부터의 메인티넌스 요구를 받아, 장치 A가 메인티넌스 상태에 있다. 또한, 참조번호 605로 나타낸 것처럼, 전술한 스텝 S512의 처리에 있어서, 화상처리장치의 소비 전력을 최대의 소비 전력인 950W로 설정한다. 참조번호 606은, 전술한 스텝 S513에서, 전력 관리 서버(102)로 소비 전력을 재계산한 결과로서 얻은 합계의 최대 소비 전력을 나타낸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전력 관리 시스템은, 복수의 화상처리장치와, 복수의 화상처리장치의 소비 전력을 관리하는 관리 서버를 포함한다. 각 화상처리장치는, 메인티넌스를 실행하는 것을 관리 서버에 통지한다. 화상처리장치는, 관리 서버로부터 응답을 받으면, 통신을 절단해서 메인티넌스를 시작한다. 한층 더, 화상처리장치는, 메인티넌스가 종료하면, 통신을 확립해서 메인티넌스의 완료를 관리 서버에 통지한다. 관리 서버는, 통지에 따라, 메인티넌스 대상의 화상처리장치를, 해당 화상처리장치의 최대 소비 전력으로 운용된다고 가정하여, 메인티넌스 대상의 화상처리장치를 포함하는 복수의 화상처리장치의 소비 전력을 미리 설정된 총 전력 이하가 되도록 산출한다. 한층 더, 관리 서버는, 산출 결과를 메인티넌스 대상이 아닌 화상처리장치에 통지한다. 메인티넌스 대상이 아닌 화상처리장치가 산출 결과에 따른 전력 제어로 이행한다는 통지를, 각 메인티넌스 대상이 아닌 화상처리장치로부터 받으면, 관리 서버는 메인티넌스의 실행을 허가하는 통지를 메인티넌스 대상의 화상처리장치에 통지한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에서는, 소정의 화상처리장치의 서비스 메인티넌스 중에도, 메인티넌스 시의 소비 전력을 고려하여, 시스템 내에서 예측되는 소비 전력을 관리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 의하면, 시스템 내의 어느 하나의 화상처리장치가 메인티넌스 중이어도, 제한된 사용 전력의 상한이 초과하는 것을 바람직하게 방지할 수 있다.
<제2 실시예>
이하에서는,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화상처리장치 103∼107의 각각이, 원격 진단 서버(904)와 정기적으로 그것의 상태를 통신하는 상황 하에서 전력 제어를 행하는 경우를 나타낸다. 본 실시예에서는, 화상처리장치(103)의 메인티넌스 스케줄과 메인티넌스 내용을, 미리 원격 진단 서버(904)에 등록함으로써, 사전에 전력 관리 서버(102)에 통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각 화상처리장치의 구성은, 상기 제1 실시예에 있어서의 화상처리장치 103∼107의 각각과 같기 때문에, 원격 진단 서버(904)와 관련된 처리의 차분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동작 모드의 변경 제어>
상기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본 실시예에 있어서도, 화상처리장치 103∼107의 각각은, 화상처리장치의 가동 상태에 따라 전력 상태가 서로 다른 통상 전력 모드와 전력 절약 모드로 대별되는 2개의 전력 모드를 구비한다. 도 7a 및 7b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화상처리장치(103)의 메인티넌스 실행에 있어서의 각 장치의 처리 시퀀스에 관하여 설명한다. 본 플로차트는 ROM(303)에 기억된 프로그램에 따라, 메인 콘트롤러(326)의 CPU(301)가 전원 제어부(318) 및 디바이스 I/F(312)을 통해서 프린터(328) 및 스캐너(327)를 제어함으로써 실현된다. 또한, 전력 관리 서버(102)의 처리 시스템은 전력 관리 서버(102)의 소정의 어플리케이션의 하나로서 처리를 행한다. 원격 진단 서버(904)의 처리 시스템도 원격 진단 서버(904)의 소정의 어플리케이션의 하나로서 처리를 행한다.
스텝 S718에 있어서, 전력 관리 서버(102)는, LAN(101)에 접속된 전력 관리 대상의 복수의 화상처리장치에 대하여, 소비 전력을 감시하고, 미리 설정된 총 전력 이하의 소비 전력이 되도록 제어 처리를 시작 및 실행한다. 스텝 S707에 있어서, 메인티넌스 대상의 화상처리장치(103)는, 원격 진단 서버(904)에 대하여 정기적으로 그것의 장치 상태를 송신한다. 또한, 화상처리장치(103)는, 이 장치 상태를 정기적으로 송신하는 처리 중에 메인티넌스 스케줄을 전력 관리 서버(102)에 등록하거나, 이 송신 처리와는 별도로 등록 통지를 송신해도 된다. 스텝 S702에 있어서, 원격 진단 서버(904)는, 화상처리장치(103)로부터의 상태 통지를 수신한다. 스텝 S703에 있어서, 원격 진단 서버(904)는, (후술하는) 도 8a 및 8b에 나타낸 메인티넌스 스케줄에 화상처리장치(103)가 포함되어 있을 경우, 스텝 S702에서 통지에 대한 회신 데이터로서 스케줄 정보 및 메인티넌스 시의 조정 항목 및 작업을 부여해서 회신처리를 행한다. 해당 스케줄 정보에 포함되는 메인티넌스 시의 조정 항목 및 작업 항목 이외의 항목의 실행이 제한된다.
스텝 S708에 있어서, 화상처리장치(103)는, 스텝 S707의 통지에 대한 회신 데이터로서, 원격 진단 서버(904)로부터 메인티넌스의 스케줄 정보를 수신한다. 스텝 S709에 있어서, 화상처리장치(103)는, LAN(101)을 통해서, 전력 관리 서버(102)에 대하여 메인티넌스 스케줄을 등록하는 처리를 행한다. 스텝 S719에 있어서, 전력 관리 서버(102)는, 화상처리장치(103)로부터 통지된 메인티넌스 스케줄을 수신한다.
스텝 S720에 있어서, 전력 관리 서버(102)는, 스텝 S719에서 수신한 화상처리장치(103)의 메인티넌스 일시에 도달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스텝 S720에서 전력 관리 서버(102)가 화상처리장치(103)의 메인티넌스 일시에 도달했다고 판정하면, 처리를 스텝 S721로 이행시킨다. 그 후에, 전력 관리 서버(102)는, 메인티넌스 시의 조정 항목 및 작업 항목을 고려해서, 메인티넌스 작업 중의 최대 소비 전력을 산출하고, 화상처리장치(103)의 메인티넌스 실행 중의 소비 전력으로서, 관리 테이블에 등록한다. 스텝 S722에 있어서, 전력 관리 서버는, 스텝 S721의 인식에 근거하여 관리 대상의 화상처리장치 103∼107의 소비 전력을 재계산한다. 전력 관리 서버(102)는, 재계산의 결과에 근거해서, 메인티넌스 대상이 아니라 전력 관리 대상인 복수의 화상처리장치 104∼107에, 메인티넌스 대상의 화상처리장치(103)를 포함하고 있는 화상처리장치의 소비 전력이 미리 설정된 총 전력 이하가 되도록 전력 제어를 지시한다.
스텝 S728에 있어서, 메인티넌스 대상이 아닌 화상처리장치 104∼107의 각각은, 스텝 S722에 발행된 전력 제어 지시를 수신하고, 각각의 화상처리장치의 전력 소비 모드를 전환하는 처리를 행한다. 스텝 S729에 있어서, 메인티넌스 대상이 아닌 화상처리장치 104∼107의 각각은, 전력 소비 모드의 전환이 완료했다는 것을 전력 관리 서버(102)에 통지한다. 그 후에, 메인티넌스 대상이 아닌 화상처리장치 104∼107의 각각은 처리를 종료한다.
스텝 S723에 있어서, 전력 관리 서버(102)는, 스텝 S722에서 발행된 전력 제어 지시에 근거여, 메인티넌스 대상이 아닌 화상처리장치 104∼107의 각각의 전력 소비 모드의 전환 완료 통지를 대기한다. 전력 관리 서버(102)는, 시스템 전체의 전력 소비 모드의 이행이 완료하면, 스텝 S724로 처리를 이행한다. 스텝 S724에 있어서, 전력 관리 서버(102)는, 메인티넌스 대상의 화상처리장치(103)에 대하여, 메인티넌스 실행 허가의 통지를 행한다.
스텝 S710에 있어서, 전력 관리 서버(102)로부터의 메인티넌스 실행 허가의 통지를 수신한 메인티넌스 대상의 화상처리장치(103)는, 메인티넌스의 시작이 가능하게 되었다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조작부(325)에 표시하는 동시에, 메인티넌스 모드로 이행한다. 스텝 S711에 있어서, 화상처리장치(103)에서는, 메인티넌스 실행자가 조작부(325)의 표시에 근거하여 LAN I/F(308)로부터 접속 케이블을 제거하여, 통신을 차단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메인티넌스 실행자가 케이블을 제거했지만, 스텝 S711에 있어서 메인티넌스 대상의 화상처리장치(103)가 LAN I/F(308)의 기능을 정지시켜도 된다는 점에 유념한다. 이 경우에, LAN 접속이 해제되었다는 것을 동시에 조작부(325)에 통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텝 S712에 있어서, 메인티넌스 실행자로부터의 메인티넌스 동작의 지시를 받은 조작부(325)는, 메인티넌스 동작의 지시를 메인 콘트롤러(326)에 통지한다. 메인티넌스 동작의 지시를 받은 메인 콘트롤러(326)는, 메인티넌스 동작용의 처리 프로그램을 ROM(303)로부터 판독하고, CPU(301)로 처리를 실행한다. 또한, 메인티넌스 동작의 지시를 받은 메인 콘트롤러(326)는, 그 지시가 전술한 스텝 S709에서 전력 관리 서버(102)에 등록을 행한 메인티넌스 시의 조정 항목 및 작업 항목 이외의 항목에 대한 지시인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메인 콘트롤러(326)는, 그 지시가 메인티넌스 시의 조정 항목 및 작업 항목 이외의 항목에 대한 지시라고 판정하면, 지시된 작업이 실행 불가능하다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조작부(325)에 표시하고, 예상 밖의 전력 소비의 상황을 허용시키지 않는다. 즉, 메인 콘트롤러(326)는, 메인티넌스의 일부의 조정 항목이 제한되어 있는 상태를, 조작부(325)에 표시한다.
스텝 S713에 있어서, 화상처리장치(103)의 메인 콘트롤러(326)는, 메인티넌스가 완료했다고 판정한다. 메인티넌스의 완료는, 메인티넌스 실행자로부터 메인티넌스의 종료를 접수한 조작부(325)가, 메인 콘트롤러(326)에 종료 통지를 행할 때 판정된다. 메인 콘트롤러(326)는, 메인티넌스가 완료했다고 판정하면, 처리를 스텝 S714로 이행시킨다. 스텝 S714에 있어서, 화상처리장치(103)는, 메인티넌스가 완료했다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조작부(325)에 표시한다. 스텝 S714의 조작부(325)의 표시에 의거하여, 메인티넌스 실행자는 LAN I/F(308)에 접속 케이블을 장착하고, 화상처리장치(103)는 LAN(101)에의 접속을 재개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메인티넌스 실행자가 케이블을 장착했다는 점에 유념한다. 그렇지만, 상술한 바와 같이, 스텝 S711의 처리에서는, 화상처리장치(103)가 LAN I/F(308)의 기능을 정지시켜도 된다. 이 경우, 스텝 S714에 있어서, 화상처리장치(103)가 LAN I/F(308)의 기능을 재개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텝 S715에 있어서, 화상처리장치(103)는, 메인티넌스 작업이 완료했다는 것을, LAN(101)을 통해서 전력 관리 서버(102) 및 원격 진단 서버(904)에 통지한다. 그 후에, 화상처리장치(103)는, 처리를 종료한다. 스텝 S725에 있어서, 전력 관리 서버(102)는, 화상처리장치(103)로부터의 메인티넌스 완료 통지를 받고, 일반적인 전력 감시/제어 모드로 이행하면서, 스텝 S719에서 수신한 스케줄 정보로부터 화상처리장치(103)의 스케줄 정보를 삭제하는 처리를 행한다. 그 후에, 전력 관리 서버(102)는, 처리를 스텝 S726로 이행시켜, 처리를 완료한다. 한편, 원격 진단 서버(904)는, 스텝 S704에서 화상처리장치(103)로부터의 메인티넌스 완료 통지를 받고, 도 8에 예시한 메인티넌스/스케줄의 대상으로부터 화상처리장치(103)를 삭제하여, 처리를 종료한다.
<메인티넌스 스케줄 정보>
다음에, 도 8a 및 8b을 참조하여, 전술한 도 7a의 스텝 S703에 있어서, 원격 진단 서버(904)가 화상처리장치(103)로부터의 스텝 S702에서의 수신에 응답한 회신 데이터로서 부여한 메인티넌스 스케줄 정보에 관하여 설명한다. 참조번호 801은 원격 관리 서버(904)의 상태 관리 대상으로서 각 화상처리장치에 개별적으로 할당되어 있는 직렬 번호 등의 기체를 유일하게 식별하기 위한 고유의 번호정보를 나타내고, 참조번호 802 및 803은, 고유의 번호정보 801로 나타낸 화상처리장치에 대하여, 기기의 메인티넌스 실행자가 기기 설치 장소에 방문할 예정의 일시를 나타낸다. 메인티넌스 스케줄 정보의 800 및 810은, 각각의 기기에 대해서 다른 일시의 정보를 나타낸다. 또한, 메인티넌스 스케줄 정보 810의 기기는, 어떤 데크(deck) 또는 피니셔(finisher)도 포함하지 않는다.
참조번호 804는, 화상처리장치의 전력 제어부로 제어 가능한 통전 포인트를 나타내는 열이고, 참조번호 805는, 통전 포인트에 대응한 사용 전력을 나타내는 열이다. 통전 포인트와, 그 통전 포인트에 대응하는 사용 전력은, 화상처리장치의 모델(예를 들면, 컬러기 또는 흑백기), 프린트 속도, 스캔 속도, 정착 방식(롤러 정착 또는 온디맨드(on-demand) 정착)에 따라 다르고, 또한 같은 모델에 대해서도 옵션의 장착 상황에 따라 다르다.
참조번호 806은, 고유의 번호정보 801로 나타낸 화상처리장치의 모든 보수 항목의 각각을 나타내는 열이고, 참조번호 807은, 데이터 802에 메인티넌스 실행자가 방문할 때에 작업을 행하는 화상처리장치의 조정 및 작업 항목을 나타낸다. 심볼 "○"은 대응하는 항목이 작업 항목으로서 포함되는 것을 나타내고, "×"은 대응하는 항목이 작업 항목으로서 포함되지 않는 것을 나타낸다. 화상처리장치의 메인티넌스를 실행할 때는, 항상 모든 조정 및 작업 항목을 행할 필요가 없다. 이 때문에, 도 8a 및 8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다수의 메인티넌스 메뉴 중에서, 메인티넌스 실행자가 이번에 방문할 때 실행되어야 하는 작업 항목을 미리 결정해 두는 것이 가능하다.
참조번호 808은, 각 조정 항목에 대해서 열 804로 나타낸 통전 포인트의 동시 동작이 필요한지 아닌지를 나타내는 열을 나타낸다. 예를 들면, 카피 기능의 화질 조정에 대해서는, 스캔 동작과 프린트 동작을 동시에 동기 동작시키는 조정 항목과, 스캔 동작과 프린트 동작을 비동기로 행해서 조정가능한 항목이 존재한다. 동기 동작이 필요한 조정 항목에 관해서 메인티넌스 실행을 행하는 경우에는, 최대 소비 전력으로서는, 비동기 동작에 의한 조정에 비해서 소비 전력의 피크가 높아진다.
참조번호 809는, 각 조정 항목의 실행에 필요한 최대 소비 전력을 나타내는 열을 나타낸다. 화상처리장치(103)에서는 전술한 스텝 S712의 메인티넌스의 실행시에 열 806이 나타낸 조정 항목 이외의 동작을 금지하여, 예기치 않은 전력 소비에 연결되지 않도록 보호가 가능하다. 또한, 전력 관리 서버(102)는, 전술한 스텝 S721에서의 소비 전력의 산출시에, 열 806 및 809에 따라 산출을 행한다.
<배치 관계>
다음에, 도 9를 참조하여, 원격 진단 서버(904), 전력 관리 서버(102), 및 화상처리장치 103∼107 간의 배치 관계에 관하여 설명한다. 구성소자 101∼107은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것과 같기 때문에, 여기에서는 그것의 설명을 생략한다.
참조번호 901은, LAN(101)과 라우터(902)에 접속되는 파이어월(firewall)을 나타낸다. 파이어월(901)은, 도 9에서의 인터넷 903을 통해서 LAN(101)의 컴퓨터 네트워크에 외부로부터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장치다. 라우터(902)는, 상이한 네트워크를 상호접속한다. 인터넷(903)은, 외부의 네트워크이다. 원격 진단 서버(904)는, 인터넷(903) 등의 외부 네트워크를 통해서, LAN(101)에 접속된 화상처리장치와 통신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파이어월이 존재하는 구성에서는, 원격 진단 서버(904)는 직접적으로 LAN(101)상의 화상처리장치에 데이터를 송신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그 때문에, 화상처리장치는, 정기적인 간격으로 원격 진단에 필요한 데이터를 원격 진단 서버(904)에 송신한다. TCP/IP 데이터 송신에 있어서는, 수신 확인을 위한 ACK 응답이 필요하다. 이 ACK 응답 데이터에, 원격 진단 서버(904)로부터 LAN(101)에 접속되어 있는 화상처리장치에 보내고 싶은 데이터를 부여함으로써, 본 실시예에 기재된 메인티넌스 스케줄 정보를 보내는 것이 가능하다. 원격 진단 서버(904)는, LAN(101)으로 나타낸 단일 네트워크상의 기기뿐만 아니라, (도면에 나타내지 않은) 복수의 상이한 컴퓨터 네트워크와도 접속된다.
그 밖의 실시예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행하도록 기억매체(예를 들면, 비일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억매체) 상에 기록된 컴퓨터 실행가능한 명령들을 판독 및 실행하는 시스템 또는 장치의 컴퓨터에 의해서 실현될 수 있고, 또 예를 들면, 상술한 실시예(들) 중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행하도록 기억매체로부터 컴퓨터 실행가능한 명령들을 판독 및 실행함으로써 시스템 또는 장치의 컴퓨터에 의해 행해지는 방법에 의해서도 실현될 수 있다. 이 컴퓨터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MPU(Micro Processing Unit), 또는 다른 회로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을 구비할 수도 있고, 독립된 컴퓨터 또는 독립된 컴퓨터 프로세서의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 컴퓨터 실행가능한 명령들은 예를 들면, 네트워크 또는 기억매체로부터 컴퓨터에 제공될 수도 있다. 이 기억매체는 예를 들면, 하드 디스크, RAM(random-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분산 컴퓨팅 시스템의 스토리지, 광디스크(컴팩트 디스크(CD), DVD(digital versatile disc), Blue-ray Disc(BD)TM 등), 플래시 메모리 디바이스, 메모리 카드 중 어느 하나 또는 그 이상을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예시적인 실시 예를 참조하면서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은 이 개시된 예시적인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의 범주는 모든 변형 및 균등구조 및 기능을 포함하도록 가장 넓게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7)

  1. 복수의 화상처리장치와, 상기 복수의 화상처리장치의 총 소비 전력을 관리하도록 구성된 관리 서버를 포함하는 전력 관리 시스템으로서,
    상기 복수의 화상처리장치의 각각은,
    메인티넌스를 실행하는 것을 상기 관리 서버에 통지하도록 구성된 통지 유닛과,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통지 유닛에 의한 통지에 대한 응답을 받으면, 통신을 절단해서 메인티넌스를 시작하고, 상기 메인티넌스가 종료하면, 통신을 확립해서 메인티넌스의 완료를 상기 관리 서버에 통지하도록 구성된 실행 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복수의 화상처리장치의 각각에 대하여 현재의 소비 전력을 감시하도록 구성된 감시 유닛과,
    상기 통지 유닛에 의한 통지에 따라, 메인티넌스 대상의 화상처리장치가 상기 화상처리장치의 최대 소비 전력으로 운용될 때, 가정된 소비 전력 및 상기 복수의 화상처리장치 중에서, 메인티넌스 대상이 아닌 화상처리장치의 각각의, 상기 감시 유닛에 의해 감시된, 상기 현재의 소비 전력에 근거하여, 상기 메인티넌스 대상의 화상처리장치를 포함하는 상기 복수의 화상처리장치의 총 소비 전력을, 미리 설정된 총 전력 이하가 되게 산출하도록 구성된 산출 유닛과,
    상기 산출 유닛의 산출 결과를 상기 메인티넌스 대상이 아닌 화상처리장치에 통지하고, 상기 메인티넌스 대상이 아닌 화상처리장치가 상기 산출 결과에 따른 전력 제어로 이행했다는 통지를, 상기 메인티넌스 대상이 아닌 화상처리장치로부터 받으면, 상기 통지 유닛에 의한 통지에 대한 응답으로서, 상기 메인티넌스 대상의 화상처리장치가 메인티넌스의 실행을 허가하기 위한 허가 통지를 상기 메인티넌스 대상의 화상처리장치에 보내도록 구성된 제어 유닛을 구비하는, 전력 관리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산출 유닛은, 상기 실행 유닛으로부터 메인티넌스의 완료 통지를 받으면, 상기 메인티넌스 대상의 화상처리장치를 보통 모드에서 운용하는 것으로 해서 상기 복수의 화상처리장치의 총 소비 전력을 산출하는, 전력 관리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티넌스 대상이 아닌 화상처리장치는, 상기 제어 유닛으로부터 상기 산출 결과의 통지를 받으면, 상기 산출 결과에 따라 전력 소비 모드를 전환하고, 상기 메인티넌스 대상이 아닌 화상처리장치는, 전환이 완료하면, 상기 메인티넌스 대상이 아닌 화상처리장치가 상기 산출 결과에 따른 전력 제어로 이행했다는 것을 상기 관리 서버에 통지하는, 전력 관리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복수의 화상처리장치의 총 소비 전력과, 보통 모드 및 메인티넌스 모드 중 하나를 나타내는 동작 모드를 관리하도록 구성된 관리 테이블을 더 포함하는, 전력 관리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화상처리장치의 각각이 정기적으로 상태의 통지를 받아, 메인티넌스 스케줄을 상기 메인티넌스 대상의 화상처리장치에 송신하도록 구성된 원격 진단 서버를 더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화상처리장치의 각각은, 상기 원격 진단 서버에 정기적으로 상태를 통지하고, 상기 메인티넌스 스케줄을 등록하도록 구성된 등록 유닛을 더 구비하고,
    상기 원격 진단 서버는, 상기 화상처리장치로부터 정기적으로 통지된 상태 통지에 대한 응답으로서, 상기 화상처리장치의 메인티넌스 스케줄을 상기 메인티넌스 대상의 화상처리장치를 통해서 상기 관리 서버에 사전에 통지하는, 전력 관리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산출 유닛은, 상기 메인티넌스 스케줄에 의거하여 상기 복수의 화상처리장치의 총 소비 전력을 산출하는, 전력 관리 시스템.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티넌스 스케줄에는, 각 화상처리장치를 식별하기 위한 고유의 번호와, 메인티넌스 일시와, 화상처리장치에 포함되는 통전 포인트 및 그 통전 포인트의 사용 전력과, 조정 항목과, 상기 조정 항목의 메인티넌스를 실행할 때에 필요한 최대 소비 전력에 관한 정보가 포함되는, 전력 관리 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화상처리장치의 각각은, 상기 메인티넌스 스케줄에 포함된 조정 항목 이외의 동작을 제한하도록 구성된 제한 유닛을 더 구비하는, 전력 관리 시스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처리장치가 상기 메인티넌스 대상의 화상처리장치인 경우에, 상기 제한 유닛에 의해 일부의 메인티넌스 조정 항목이 제한되는 상태를, 조작부에 표시하는, 전력 관리 시스템.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처리장치가 상기 메인티넌스 대상이 아닌 화상처리장치인 경우에, 전력 제어를 상기 메인티넌스 대상의 화상처리장치의 메인티넌스에 대해서 행하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조작부에 표시하는, 전력 관리 시스템.
  11. 접속된 기기의 총 소비 전력을 관리하도록 구성된 관리 서버와 통신가능한 화상처리장치로서,
    메인티넌스를 실행하는 것을 상기 관리 서버에 통지하도록 구성된 통지 유닛과,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통지 유닛에 의한 통지에 대한 응답을 받으면, 통신을 절단해서 메인티넌스를 시작하고, 상기 메인티넌스가 종료하면, 통신을 확립해서 메인티넌스의 완료를 상기 관리 서버에 통지하도록 구성된 실행 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응답은, 산출 결과로서, 메인티넌스 대상의 화상처리장치를 포함하는 복수의 화상처리장치의 총 소비 전력을 포함하며, 상기 총 소비 전력은, 상기 통지 유닛에 의한 통지에 따라, 상기 메인티넌스 대상의 화상처리장치가 상기 화상처리장치의 최대 소비 전력으로 운용될 때, 가정된 소비 전력 및 상기 복수의 화상처리장치 중에서, 메인티넌스 대상이 아닌 화상처리장치의 각각의, 상기 관리 서버의 감시 유닛에 의해 감시된, 현재의 소비 전력에 근거하여, 미리 설정된 총 전력 이하가 되도록 산출되며,
    상기 산출 결과는 상기 메인티넌스 대상이 아닌 화상처리장치에 보내지고, 상기 메인티넌스 대상이 아닌 화상처리장치가 상기 산출 결과에 따른 전력 제어로 이행했다는 통지를, 상기 관리 서버가 상기 메인티넌스 대상이 아닌 화상처리장치로부터 받으면, 상기 메인티넌스 대상의 화상처리장치가 메인티넌스의 실행을 허가하기 위한 허가 통지와 함께 상기 메인티넌스 대상의 화상처리장치에 보내지는, 화상처리장치.
  12. 복수의 화상처리장치의 총 소비 전력을 관리하는 관리 서버로서,
    상기 복수의 화상처리장치의 각각에 대하여 현재의 소비 전력을 감시하도록 구성된 감시 유닛과,
    상기 복수의 화상처리장치의 하나로부터 메인티넌스를 실행하는 것을 나타내는 통지에 따라, 메인티넌스 대상의 화상처리장치가 상기 화상처리장치의 최대 소비 전력으로 운용될 때, 가정된 소비 전력 및 상기 복수의 화상처리장치 중에서, 메인티넌스 대상이 아닌 화상처리장치의 각각의, 상기 감시 유닛에 의해 감시된, 상기 현재의 소비 전력에 근거하여, 상기 메인티넌스 대상의 화상처리장치를 포함하는 상기 복수의 화상처리장치의 총 소비 전력을, 미리 설정된 총 전력 이하가 되게 산출하도록 구성된 산출 유닛과,
    상기 산출 유닛의 산출 결과를 상기 메인티넌스 대상이 아닌 화상처리장치에 통지하고, 상기 메인티넌스 대상이 아닌 화상처리장치가 상기 산출 결과에 따른 전력 제어로 이행했다는 통지를, 상기 메인티넌스 대상이 아닌 화상처리장치로부터 받으면, 상기 통지에 대한 응답으로서, 상기 메인티넌스 대상의 화상처리장치가 메인티넌스의 실행을 허가하기 위한 허가 통지를 상기 메인티넌스 대상의 화상처리장치에 보내도록 구성된 제어 유닛을 구비하는, 관리 서버.
  13. 복수의 화상처리장치와, 상기 복수의 화상처리장치의 총 소비 전력을 관리하도록 구성된 관리 서버를 포함하는 전력 관리 시스템의 제어 방법으로서,
    상기 복수의 화상처리장치의 각각은,
    통지 유닛이, 메인티넌스를 실행하는 것을 상기 관리 서버에 통지하는 단계와,
    실행 유닛이,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통지 유닛에 의한 통지 단계에서 응답을 받으면, 통신을 절단해서 메인티넌스를 시작하고, 상기 메인티넌스가 종료하면, 통신을 확립해서 메인티넌스의 완료를 상기 관리 서버에 통지하는 단계를 실행하고,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복수의 화상처리장치의 각각에 대하여 현재의 소비 전력을 감시하는 단계와,
    상기 통지 유닛에 의한 통지 단계에서의 통지에 따라, 메인티넌스 대상의 화상처리장치가 상기 화상처리장치의 최대 소비 전력으로 운용될 때, 가정된 소비 전력 및 상기 복수의 화상처리장치 중에서, 메인티넌스 대상이 아닌 화상처리장치의 각각의, 감시 유닛에 의해 감시된, 상기 현재의 소비 전력에 근거하여, 상기 메인티넌스 대상의 화상처리장치를 포함하는 상기 복수의 화상처리장치의 총 소비 전력을, 미리 설정된 총 전력 이하가 되게 산출하는 단계와,
    상기 산출 단계에서의 산출 결과를 상기 메인티넌스 대상이 아닌 화상처리장치에 통지하고, 상기 메인티넌스 대상이 아닌 화상처리장치가 상기 산출 결과에 따른 전력 제어로 이행했다는 통지를 상기 메인티넌스 대상이 아닌 화상처리장치로부터 받으면, 상기 통지에 대한 응답으로서, 상기 메인티넌스 대상의 화상처리장치가 메인티넌스의 실행을 허가하기 위한 허가 통지를 상기 메인티넌스 대상의 화상처리장치에 보내는 단계를 실행하는, 전력 관리 시스템의 제어 방법.
  14. 접속된 기기의 총 소비 전력을 관리하도록 구성된 관리 서버와 통신가능한 화상처리장치의 제어 방법으로서,
    메인티넌스를 실행하는 것을 상기 관리 서버에 통지하는 단계와,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통지 단계에서의 통지에 대한 응답을 받으면, 통신을 절단해서 메인티넌스를 시작하고, 상기 메인티넌스가 종료하면, 통신을 확립해서 메인티넌스의 완료를 상기 관리 서버에 통지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응답은, 산출 결과로서, 메인티넌스 대상의 화상처리장치를 포함하는 복수의 화상처리장치의 총 소비 전력을 포함하며, 상기 총 소비 전력은, 통지 유닛에 의한 통지에 따라, 상기 메인티넌스 대상의 화상처리장치가 상기 화상처리장치의 최대 소비 전력으로 운용될 때, 가정된 소비 전력 및 상기 복수의 화상처리장치 중에서, 메인티넌스 대상이 아닌 화상처리장치의 각각의, 상기 관리 서버의 감시 유닛에 의해 감시된, 현재의 소비 전력에 근거하여, 미리 설정된 총 전력 이하가 되도록 산출되며,
    상기 산출 결과는 상기 메인티넌스 대상이 아닌 화상처리장치에 보내지고, 상기 메인티넌스 대상이 아닌 화상처리장치가 상기 산출 결과에 따른 전력 제어로 이행했다는 통지를, 상기 관리 서버가 상기 메인티넌스 대상이 아닌 화상처리장치로부터 받으면, 상기 메인티넌스 대상의 화상처리장치가 메인티넌스의 실행을 허가하기 위한 허가 통지와 함께 상기 메인티넌스 대상의 화상처리장치에 보내지는, 화상처리장치의 제어 방법.
  15. 복수의 화상처리장치의 총 소비 전력을 관리하도록 구성된 관리 서버의 제어 방법으로서,
    상기 복수의 화상처리장치의 각각에 대하여 현재의 소비 전력을 감시하는 단계와,
    상기 복수의 화상처리장치 중의 하나로부터 메인티넌스를 실행하는 것을 나타내는 통지에 따라, 메인티넌스 대상의 화상처리장치가 상기 화상처리장치의 최대 소비 전력으로 운용될 때, 가정된 소비 전력 및 상기 복수의 화상처리장치 중에서, 메인티넌스 대상이 아닌 화상처리장치의 각각의, 감시 유닛에 의해 감시된, 상기 현재의 소비 전력에 근거하여, 상기 메인티넌스 대상의 화상처리장치를 포함하는 상기 복수의 화상처리장치의 총 소비 전력을, 미리 설정된 총 전력 이하가 되게 산출하는 단계와,
    상기 산출 단계에서의 산출 결과를 상기 메인티넌스 대상이 아닌 화상처리장치에 통지하고, 상기 메인티넌스 대상이 아닌 화상처리장치가 상기 산출 결과에 따른 전력 제어로 이행했다는 통지를 상기 메인티넌스 대상이 아닌 화상처리장치로부터 받으면, 상기 통지에 대한 응답으로서, 상기 메인티넌스 대상의 화상처리장치가 메인티넌스의 실행을 허가하기 위한 허가 통지를 상기 메인티넌스 대상의 화상처리장치에 보내는 단계를 포함하는, 관리 서버의 제어 방법.
  16. 청구항 11에 기재된 화상처리장치로서 컴퓨터를 기능시키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억하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억매체.
  17. 청구항 12에 기재된 관리 서버로서 컴퓨터를 기능시키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억하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억매체.
KR1020140160550A 2013-11-29 2014-11-18 전력 관리 시스템, 화상처리장치, 그것의 제어 방법, 및 기억매체 KR10173034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3-248335 2013-11-29
JP2013248335A JP2015106299A (ja) 2013-11-29 2013-11-29 電力管理システム、画像処理装置、それら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2950A KR20150062950A (ko) 2015-06-08
KR101730341B1 true KR101730341B1 (ko) 2017-04-27

Family

ID=519515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0550A KR101730341B1 (ko) 2013-11-29 2014-11-18 전력 관리 시스템, 화상처리장치, 그것의 제어 방법, 및 기억매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335810B2 (ko)
EP (1) EP2879015A1 (ko)
JP (1) JP2015106299A (ko)
KR (1) KR101730341B1 (ko)
CN (1) CN104683637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397223B2 (ja) 2014-06-02 2018-09-26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2017107357A (ja) * 2015-12-09 2017-06-15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制御装置、制御装置の制御方法、サーバー、及び、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JP2017217774A (ja) * 2016-06-03 2017-12-14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印刷装置、印刷装置の制御方法、制御装置、及び、メンテナンスシステム
US20220132020A1 (en) * 2016-12-14 2022-04-28 UR-Take, Inc. Systems and methods for capturing and displaying media during an event
JP2019015883A (ja) * 2017-07-07 2019-01-31 株式会社東芝 電源off装置
JP6915426B2 (ja) * 2017-07-26 2021-08-04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
JP7003767B2 (ja) * 2018-03-22 2022-01-21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27061A (ja) * 2005-02-15 2006-08-31 Canon Inc 画像形成システムおよび電力制御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が読み取り可能なプログラムを格納した記憶媒体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8259087A (ja) * 2007-04-09 2008-10-23 Sharp Corp 画像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US20130083340A1 (en) * 2011-09-30 2013-04-04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Storage medium in which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is stored,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32397A (ja) 2001-07-11 2003-01-31 Canon Inc 省電力制御方法および省電力サーバ
JP2006227691A (ja) 2005-02-15 2006-08-31 Canon Inc 入出力システムおよび電力制御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が読み取り可能なプログラムを格納した記憶媒体およびプログラム
US20110216359A1 (en) * 2010-03-03 2011-09-08 Kabushiki Kaisha Toshiba Maintenance scheduling system and maintenance schedule creating method
JP5236701B2 (ja) * 2010-08-11 2013-07-17 株式会社バッファロー サーバ装置、消費電力制御方法、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KR101764612B1 (ko) * 2011-01-27 2017-08-14 삼성전자주식회사 전기기기, 전력 관리기, 그를 가지는 전력 관리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JP2012162037A (ja) * 2011-02-08 2012-08-30 Canon Inc デバイス管理システム及びデバイス
JP5536740B2 (ja) 2011-11-14 2014-07-02 シャープ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27061A (ja) * 2005-02-15 2006-08-31 Canon Inc 画像形成システムおよび電力制御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が読み取り可能なプログラムを格納した記憶媒体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8259087A (ja) * 2007-04-09 2008-10-23 Sharp Corp 画像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US20130083340A1 (en) * 2011-09-30 2013-04-04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Storage medium in which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is stored,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5106299A (ja) 2015-06-08
CN104683637A (zh) 2015-06-03
KR20150062950A (ko) 2015-06-08
US9335810B2 (en) 2016-05-10
EP2879015A1 (en) 2015-06-03
US20150153808A1 (en) 2015-06-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30341B1 (ko) 전력 관리 시스템, 화상처리장치, 그것의 제어 방법, 및 기억매체
US7864348B2 (en) Printing apparatus printing based on a degree of urgency
JP4364220B2 (ja) 画像処理システム
KR102006520B1 (ko) 화상 형성 장치 및 제어 방법
JP5457424B2 (ja) 画像形成システム
US20080174819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0565480B2 (en) Printing control apparatus, control method for the printing control apparatus, and printing system for shifting a printing apparatus from a first power state to a second power state
JP5341630B2 (ja) データ処理装置及びデータ処理方法
JP2009151537A (ja) データ処理装置及びデータ処理方法
US9942431B2 (en) Imaging forming apparatus, control method of image forming apparatus, and recording medium
JP2013239921A (ja) データ通信装置、データ通信装置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CN102088532B (zh) 图像形成装置及其控制方法
US20150147079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charge control method
US20140160513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control method for image forming apparatus, and program
JP6160931B2 (ja) 画像形成装置及びジョブ処理制御方法並びにジョブ処理制御プログラム
JP5318266B2 (ja) データ処理装置、データ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1133515A (ja) 電圧供給装置
JP2009265255A (ja) 画像形成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EP2660660A2 (en) Image forming apparatus, output order setting method, and computer program
JP2019043008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装置における電力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5093477A (ja) 画像形成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2007281901A (ja) 画像処理装置
JP5821406B2 (ja) 画像処理装置、省電力制御方法及び省電力制御プログラム
JP2019062405A (ja) 画像形成装置、ジョブ処理方法及びジョブ処理制御プログラム
JP2015215523A (ja) 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