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0154B1 - 인조잔디 충전재 분리장치 - Google Patents
인조잔디 충전재 분리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730154B1 KR101730154B1 KR1020160043006A KR20160043006A KR101730154B1 KR 101730154 B1 KR101730154 B1 KR 101730154B1 KR 1020160043006 A KR1020160043006 A KR 1020160043006A KR 20160043006 A KR20160043006 A KR 20160043006A KR 101730154 B1 KR101730154 B1 KR 10173015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iller
- separator
- sand
- rubber chip
- water
- Prior art date
Links
- 244000025254 Cannabis sativa Species 0.000 title abstract description 24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7
- 239000004576 sand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4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3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9
- 239000000945 fill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87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8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9000008400 supply wat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12535 impurity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2250 progress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12216 screen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claims 1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claims 1
- 238000004064 recycl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XEEYBQQBJWHFJM-UHFFFAOYSA-N Iron Chemical compound [Fe] XEEYBQQBJWHFJ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6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2699 was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29910052742 ir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873 siev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174 ascend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912 environmental pol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26 management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084 recover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2976 tar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3/00—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 B07B13/04—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according to siz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B—SEPARATING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 B03B7/00—Combinations of wet processes or apparatus with other processes or apparatus, e.g. for dressing ores or garbag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3/00—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 B07B13/14—Details or accessories
- B07B13/16—Feed or discharge arrangements
-
- B08B1/002—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 B08B1/1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leaning tool
- B08B1/12—Brushe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20—Waste processing or separation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62—Plastics recycling; Rubber recycling
-
- Y02W30/68—
Landscapes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 Combined Means For Separation Of Soli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조잔디 충전대 분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품질이 저하된 인조잔디를 철거하고, 그 철거된 인조잔디에 포함된 충전재를 구성하고 있는 모래와 탄성고무칩을 각각 분리하여 재활용할 수 있도록 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인조잔디 충전재 분리장치는, 내부 수용공간에 폐기된 인조잔디의 충전재가 저장된 충전재저장수단(110)과, 상기 충전재저장수단(110)으로부터 배출되는 충전재를 충전재분리대(200)까지 공급하기 위해 설치된 충전재이송수단(120)으로 구성된 충전재공급부(100); 상기 충전재이송수단(120)으로부터 충전재를 공급받도록 상부가 개방되고 바닥면에 요철이 형성된 분리대몸체(210)와, 상기 분리대몸체(210)의 일측에 형성된 탄성고무칩배출구(220)와, 상기 탄성고무칩배출구(220)의 하부에 일정각도로 경사지게 설치된 고무칩거름망(230)과, 상기 분리대몸체(210)의 타측에 형성된 모래배출구(240)로 구성되어, 상기 모래배출구(240)측으로 일정각도 상향 경사지도록 설치된 충전재분리대(200); 상기 충전재분리대(200)의 하부 또는 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충전재분리대(200)를 진동시키는 진동부(300); 상기 충전재분리대(200)의 상부에 위치되게 설치되어 충전재의 분리에 사용되는 물을 공급하도록 모래(20)가 배출되는 진행방향으로 다수개 설치된 물공급부(400); 상기 탄성고무칩배출구(220)의 하부에 위치되게 설치되어, 충전재의 분리에 사용된 후 배출되는 물을 저장하는 물탱크부(500); 상기 물탱크부(500)의 전방에 위치되게 설치되어, 모래(20)와 분리되어 상기 고무칩거름망(230)의 경사면을 따라 배출되는 탄성고무칩(10)을 저장하고, 상부 일측에는 물배출구(610)가 형성된 고무칩저장부(600); 상기 모래배출구(240)의 하부에 위치되게 설치되어, 그 모래배출구(240)를 통해 배출되는 모래(20)를 저장하도록 형성된 모래저장부(700);로 형성되며, 상기 고무칩거름망(230)의 상부에는 그 고무칩거름망(230)의 상부면에 누적된 불순물을 제거하기 위해, 외주면에 다수개의 인조모로 이루어진 청소용브러쉬(261)가 형성되고 일단에 롤러구동모터(262)가 설치된 거름망청소롤러(260)가 상하 이동이 가능하도록 청소롤러승하강수단(263)에 연결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인조잔디 충전재 분리장치는, 내부 수용공간에 폐기된 인조잔디의 충전재가 저장된 충전재저장수단(110)과, 상기 충전재저장수단(110)으로부터 배출되는 충전재를 충전재분리대(200)까지 공급하기 위해 설치된 충전재이송수단(120)으로 구성된 충전재공급부(100); 상기 충전재이송수단(120)으로부터 충전재를 공급받도록 상부가 개방되고 바닥면에 요철이 형성된 분리대몸체(210)와, 상기 분리대몸체(210)의 일측에 형성된 탄성고무칩배출구(220)와, 상기 탄성고무칩배출구(220)의 하부에 일정각도로 경사지게 설치된 고무칩거름망(230)과, 상기 분리대몸체(210)의 타측에 형성된 모래배출구(240)로 구성되어, 상기 모래배출구(240)측으로 일정각도 상향 경사지도록 설치된 충전재분리대(200); 상기 충전재분리대(200)의 하부 또는 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충전재분리대(200)를 진동시키는 진동부(300); 상기 충전재분리대(200)의 상부에 위치되게 설치되어 충전재의 분리에 사용되는 물을 공급하도록 모래(20)가 배출되는 진행방향으로 다수개 설치된 물공급부(400); 상기 탄성고무칩배출구(220)의 하부에 위치되게 설치되어, 충전재의 분리에 사용된 후 배출되는 물을 저장하는 물탱크부(500); 상기 물탱크부(500)의 전방에 위치되게 설치되어, 모래(20)와 분리되어 상기 고무칩거름망(230)의 경사면을 따라 배출되는 탄성고무칩(10)을 저장하고, 상부 일측에는 물배출구(610)가 형성된 고무칩저장부(600); 상기 모래배출구(240)의 하부에 위치되게 설치되어, 그 모래배출구(240)를 통해 배출되는 모래(20)를 저장하도록 형성된 모래저장부(700);로 형성되며, 상기 고무칩거름망(230)의 상부에는 그 고무칩거름망(230)의 상부면에 누적된 불순물을 제거하기 위해, 외주면에 다수개의 인조모로 이루어진 청소용브러쉬(261)가 형성되고 일단에 롤러구동모터(262)가 설치된 거름망청소롤러(260)가 상하 이동이 가능하도록 청소롤러승하강수단(263)에 연결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인조잔디 충전재 분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품질이 저하된 인조잔디를 철거하고, 그 철거된 인조잔디에 포함된 충전재를 구성하고 있는 모래와 탄성고무칩을 각각 분리하여 재활용할 수 있도록 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인조잔디는 천연잔디의 대용으로 사용되는 것으로서, 천연잔디를 사용하였을 경우와 비교하여 시공비와 유지 및 관리비용이 저렴하기 때문에 근래에는 체육경기를 수행하는 축구장, 야구장 등의 운동장이나 산책로 또는 주택의 마당 및 건물의 옥상정원 등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인조잔디는 잔디카펫, 그리고 탄성고무칩과 모래로 구성되어 잔디카펫 내에 충전시키는 충전재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인조잔디를 운동장(경기장)용으로 사용하였을 경우, 경기성을 확보하기 위해서 인조잔디 잔디카펫 높이의 약 60~80%는 탄성고무칩 및 모래로 충전하여 사용하게 되는데, 시간의 경과 또는 사용빈도에 따라, 평균적으로 2~3년이 경과되는 시점부터 인조잔디로서의 기능이 저하되기 시작한다.
상기와 같이 기능이 저하된 인조잔디는 철거되어 폐기되는 것이 일반적이고, 따라서 엄청난 양의 폐기물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인조잔디를 철거하며 발생되는 폐기물의 양을 감소시키기 위해, 폐기된 인조잔디를 재활용하는 방안이 강구되어 왔다.
인조잔디를 재활용하는 장치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100325호(2011.12.22, 인조잔디 회수기)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기술은 인조잔디를 회수하는 회수기에 있어서, 인조잔디를 따라 이동하는 대차; 상기 대차의 일측에 결합되고, 대차의 이동에 의해 인조잔디를 부상시키면서 지면으로부터 분리하여 철거하는 철거부; 상기 철거부에 인접 설치되어 부상되는 인조잔디를 후방으로 이송하는 이송부; 상기 이송부의 후방에 설치되어 이송되는 인조잔디를 분쇄하는 분쇄부; 및 상기 이송부의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분쇄부로 이송되는 인조잔디로부터 과립형태의 충전재를 공급받아서 모래칩 및 고무칩으로 분리하는 분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철거부는 상기 인조잔디를 지면으로부터 경사상태로 부상시켜서 상기 이송부에 제공하며, 상기 분쇄부는, 상기 대차에 설치되어 상기 철거부에 인접하고, 상기 인조잔디를 절단하여 조각으로 분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분리부는 상기 분쇄부로 이송되는 인조잔디로부터 모래칩 및 고무칩으로 이루어진 충전재가 낙하되어 공급되는 진동판; 상기 진동판을 진동하는 바이브레이터; 상기 진동판에 설치되어 충전재의 고무칩을 포집하여 배출시키는 호퍼; 및 상기 진동판의 진동에 의해 진동판을 따라 이동하는 충전재의 고무칩을 상기 호퍼로 안내하는 가이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인조잔디 회수기의 구성중 진동판과 바이브레이터 호퍼로 이루어진 분리부는 모래칩 및 고무칩으로 이루어진 충전재를 각각 분리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설치되어진 것이지만, 진동을 발생시켜 재질간의 상이한 무게차를 이용하여 모래칩과 고무칩을 각각 분리하는 방식으로, 분리하는 과정에 있어 재차 걸러주는 등의 단계가 없어, 그 효과가 매우 미미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품질이 저하된 인조잔디를 철거하고, 그 철거된 인조잔디에 포함된 충전재를 구성하고 있는 모래와 탄성고무칩을 각각 분리하여 재활용할 수 있도록 한 장치를 제공하되, 모래와 탄성고무칩을 보다 효율적으로 분리할 수 있도록 구성을 개선한 인조잔디 충전재 분리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인조잔디 충전재 분리장치는, 내부 수용공간에 폐기된 인조잔디의 충전재가 저장된 충전재저장수단(110)과, 상기 충전재저장수단(110)으로부터 배출되는 충전재를 충전재분리대(200)까지 공급하기 위해 설치된 충전재이송수단(120)으로 구성된 충전재공급부(100); 상기 충전재이송수단(120)으로부터 충전재를 공급받도록 상부가 개방되고 바닥면에 요철이 형성된 분리대몸체(210)와, 상기 분리대몸체(210)의 일측에 형성된 탄성고무칩배출구(220)와, 상기 탄성고무칩배출구(220)의 하부에 일정각도로 경사지게 설치된 고무칩거름망(230)과, 상기 분리대몸체(210)의 타측에 형성된 모래배출구(240)로 구성되어, 상기 모래배출구(240)측으로 일정각도 상향 경사지도록 설치된 충전재분리대(200); 상기 충전재분리대(200)의 하부 또는 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충전재분리대(200)를 진동시키는 진동부(300); 상기 충전재분리대(200)의 상부에 위치되게 설치되어 충전재의 분리에 사용되는 물을 공급하도록 모래(20)가 배출되는 진행방향으로 다수개 설치된 물공급부(400); 상기 탄성고무칩배출구(220)의 하부에 위치되게 설치되어, 충전재의 분리에 사용된 후 배출되는 물을 저장하는 물탱크부(500); 상기 물탱크부(500)의 전방에 위치되게 설치되어, 모래(20)와 분리되어 상기 고무칩거름망(230)의 경사면을 따라 배출되는 탄성고무칩(10)을 저장하고, 상부 일측에는 물배출구(610)가 형성된 고무칩저장부(600); 상기 모래배출구(240)의 하부에 위치되게 설치되어, 그 모래배출구(240)를 통해 배출되는 모래(20)를 저장하도록 형성된 모래저장부(700);로 형성되며, 상기 고무칩거름망(230)의 상부에는 그 고무칩거름망(230)의 상부면에 누적된 불순물을 제거하기 위해, 외주면에 다수개의 인조모로 이루어진 청소용브러쉬(261)가 형성되고 일단에 롤러구동모터(262)가 설치된 거름망청소롤러(260)가 상하 이동이 가능하도록 청소롤러승하강수단(263)에 연결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인조잔디 충전재 분리장치에 따르면, 탄성고무칩배출구에 고무칩거름망을 설치하고, 충전재를 분리하는데 도움을 주도록 충전재분리대의 상부에 물공급부를 설치하여 물을 공급함으로서, 보다 효율적으로 모래와 탄성고무칩을 각각 분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 인조잔디 충전재 분리장치를 나타낸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 인조잔디 충전재 분리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 인조잔디 충전재 분리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충전재분리대 및 진동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충전재분리대 및 진동부를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고무칩저장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분리대거름망을 나타낸 사시도,
도 8a는 본 발명의 거름망청소롤러를 나타낸 사시도,
도 8b는 본 발명의 거름망청소롤러를 나타낸 부분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물공급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인조잔디 충전재 분리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 인조잔디 충전재 분리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충전재분리대 및 진동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충전재분리대 및 진동부를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고무칩저장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분리대거름망을 나타낸 사시도,
도 8a는 본 발명의 거름망청소롤러를 나타낸 사시도,
도 8b는 본 발명의 거름망청소롤러를 나타낸 부분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물공급부를 나타낸 사시도.
천연잔디를 대체하여 사용되는 인조잔디는 그 성능이 저하되면 폐기하게 되며, 이때 발생하는 폐기물의 양을 감소시키기 위해 폐기되는 인조잔디를 재활용 하기 위한 방법이 강구되어 왔다.
인조잔디는 크게 잔디카펫, 탄성고무칩과 모래로 이루어진 충전재로 구성되며, 본 발명은 상기 잔디카펫에서 분리된 충전재를 각각 탄성고무칩과 모래로 분리하여 재활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인조잔디 충전재 분리장치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인조잔디 충전재 분리장치는 충전재공급부(100), 충전재분리대(200), 진동부(300), 물공급부(400), 물탱크부(500), 고무칩저장부(600), 모래저장부(700)를 포함하여 형성된 것이며, 진동부(300)에서 발생시키는 진동과, 물공급부(400)에서 공급되는 물을 사용하여 탄성고무칩(10)과 모래(20)로 분리하는 것이다.
상기 충전재공급부(100)는 내부에 수용공간이 확보되어 그 수용공간에 폐기된 인조잔디의 충전재를 저장할 수 있도록 형성된 충전재저장수단(110)과, 상기 충전재저장수단(110)으로부터 배출되는 충전재를 상기 충전재분리대(200)까지 공급하기 위해 설치된 충전재이송수단(120)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충전재저장수단(110)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단의 배출구를 통해 저장된 충전재를 배출할 수 있도록 형성된 호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충전재이송수단(120)은 관내에 설치된 이송스크류에 의해 투입된 이송물을 배출시키는 이송스크류를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그 이외에 이송컨베이어를 사용하거나, 상기 충전재저장수단(110)에 저장된 충전재를 상기 충전재분리대(200)로 이송시킬 수 있는 어느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상기 충전재분리대(200)는 상기 충전재이송수단(120)에 의해 이송되어진 충전재를 탄성고무칩(10)과 모래(20)로 분리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충전재이송수단(120)으로부터 충전재를 공급받도록 상부가 개방되고 바닥면에 요철(211)이 형성된 분리대몸체(210)와, 상기 분리대몸체(210)의 일측에 형성된 탄성고무칩배출구(220)와, 상기 탄성고무칩배출구(220)의 하부에 일정각도로 경사지게 설치된 고무칩거름망(230)과, 상기 분리대몸체(210)의 타측에 형성된 모래배출구(240)로 구성되며, 분리되어진 탄성고무칩(10)과 모래(20)가 각각 반대방향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상기 모래배출구(240)측으로 일정각도 상향 경사지도록 설치된 것이다.
이때, 상기 충전재분리대(200)에는 상기와 같이 다수개 설치된 물공급부(400)와 일정거리 이격되어 각각 분리대거름망(250)을 설치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설치된 분리대거름망(250)은 물과 진동에 의해 분리되어 이송되어지는 모래(20)에 아직 남아 섞여있는 탄성고무칩(10)을 재차 걸러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각각의 상기 분리대거름망(250)을 모래(20)가 배출되는 진행방향으로 갈수록 직조된 망의 간격이 좁아지도록 형성하게 되면 그 효율을 한층 높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고무칩거름망(230)의 상부에는 그 고무칩거름망(230)의 상부면에 누적된 불순물을 제거하기 위해, 외주면에 다수개의 인조모로 이루어진 청소용브러쉬(261)가 형성되고 일단에 롤러구동모터(262)가 설치된 거름망청소롤러(260)가 상하 이동이 가능하도록 청소롤러승하강수단(263)에 연결 설치할 수 있으며, 상기 고무칩거름망(230)의 청소를 할 때는 상기 청소용브러쉬(261)를 하향이동 시키고, 청소가 완료되면 상기 청소용브러쉬(261)를 상향이동 하면 되는 것이다.
이때, 롤러구동모터(262)와 거름망청소롤러(260)를 동축으로 직접 연결하여도 무방하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벨트와 같은 별도의 구동력전달수단(262a)을 사용하여도 된다.
또한, 상기 청소롤러승하강수단(263)은 길이가 가변되는 어떠한 수단을 사용하여도 무방하지만, 피스톤로드를 갖는 실린더로 구성하는 것이 설치함에 있어서 가장 용이하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형성된 상기 거름망청소롤러(260)는 내부가 중공되고, 외주면에는 다수개의 에어배출공(264)이 형성되도록 구성하여, 타단에 에어주입수단(265)이 설치한 후 그 에어주입수단(265)를 통해 에어를 주입하게 되면 상기 에어배출공(264)를 통해 에어가 배출되면서 고무칩거름망(230)의 청소를 한층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진동부(300)는 충전재분리대(200)의 하부 또는 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충전재분리대(200)를 진동시킬 수 있는 것으로, 하기와 같이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진동부(300)의 바람직한 구성으로는 진동을 발생시키기 위한 진동모터(310)와, 상기 진동모터(310)와 상기 충전재분리대(200)를 상호 연결하도록 설치되는 진동브라켓(320)으로 구성되어, 상기 진동모터(310)의 동작시 상기 충전재분리대(200)를 진동시키는 것이다.
이때, 상기 진동브라켓(320)의 구성은 상기 진동모터(310)와 연결되어 진동을 발생하기 위해, 일단이 상기 진동모터(310)와 편심결합되고 타탄 역시, 상기 분리대몸체(210)의 하부에 편심으로 결합 되어야 상기 진동모터(310)가 구동되었을 때, 그 회전에 의해 상기 충전재분리대(200)의 길이방향 전후로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진동브라켓(320)만으로 상기 충전재분리대(200)를 지지하기 어려울 경우, 또는 진동브라켓(320)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하여, 지면에 프레임으로 이루어진 지지대(330)를 설치하고, 그 지지대(330)와 충전재분리대(200)를 상호 연결하여 설치하되 그 양단이 회동 가능하게 된 보조브라켓(321)을 설치할 수도 있다.
상기 물공급부(400)는 상기 충전재분리대(200)의 상부에 위치되게 설치되어 충전재의 분리에 사용되는 물을 공급하도록, 충전재분리대(200)의 길이방향 또는 모래(20)가 배출되는 진행방향으로 일정거리 이격되어 다수개 설치되는 것이다.
이때, 각각 설치된 물공급부(400)로 물을 공급하는 장치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모터펌프(미도시)를 사용할 수 있고, 그 모터펌프와 물공급부(400)는 물공급이 가능한 어떠한 관으로 상호 연결하여도 무방하지만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진동 및 유격에 쉽게 파손되지 않도록 연성의 합성수지로 된 관 또는 호스 등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모터펌프에 의해 충전재분리대(200)로 공급되는 물은 수도관 등을 통해 물을 공급하거나, 일차로 공급되어 충전재의 분리에 사용된 후 상기 물탱크부(500)에 저장된 물을 모터펌프로 끌어올려 반복 사용하면 된다.
상기 물공급부(400)의 형상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봉형으로 형성되며 하부에 다수개의 물공급노즐(410)을 형성할 수도 있으며,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물공급노즐(410)을 대신하여 하부에 다수개의 구멍을 형성할 수도 있다.
아울러, 물공급부(400)는 상기 충전재분리대(200)의 길이방향으로 전후 위치이동이 가능하게 설치하여,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그 위치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물공급부(400)의 위치를 조정하는 방법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같이 물공급부고정판(420)이 상기 분리대몸체(210)의 상부에 고정되고, 그 물공급부고정판(420)에 다수개의 고정홈(421)을 형성하여 U형볼트와 너트를 사용하여 고정설치하거나,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장공형의 구멍을 형성하여 상기 고정홈(421)을 대신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물탱크부(500)는 상기 탄성고무칩배출구(220)의 하부에 위치되게 설치되어, 충전재의 분리에 사용된 후 배출되는 물을 저장하는 것이다.
이때, 배출되어 저장된 물은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물공급부(400)를 통해 충전재분리대(200)로 공급되어지고, 다시 탄성고무칩배출구(220)를 통해 배출되어 물탱크부(500)로 저장되는 순서로 순환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고무칩저장부(600)는 상기 물탱크부(500)의 전방에 위치되게 설치되어, 모래(20)와 분리되어 상기 고무칩거름망(230)의 경사면을 따라 배출되는 탄성고무칩(10)을 저장하는 것이며, 상부 일측에는 탄성고무칩(10)과 함께 유입되는 물이 일정 수위이상 저장되었을 경우 배출시키기 위해 물배출구(610)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물배출구(610)를 통해 배출된 물을 저장할 수 있도록 제2물탱크부(620)를 설치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제2물탱크(620)의 상부에는 물과 함께 배출되는 탄성고무칩(10)을 재차 걸러내도록 망을 설치할 수도 있다.
상기 모래저장부(700)는 상기 모래배출구(240)의 하부에 위치되게 설치되어, 그 모래배출구(240)를 통해 배출되는 모래(20)를 저장하도록 형성된 것이다.
이때, 모래저장부(700)는 내부에 수용공간을 갖도록 형성된 일체의 모래저장수단(710)으로 구성하거나, 상기 충전재이송수단(120)과 같은 이송스크류로 구성된 모래이송수단(720)을 모래배출구(240)와 모래저장수단(710)의 사이에 배치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형성된 인조잔디 충전재 분리장치에 의해 충전재가 분리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상기 충전재저장수단(110)에 저장된 충전재가 충전재이송수단(120)에 의해 상기 충전대분리대(200)로 이송되며, 이송되어진 충전재를 탄성고무칩(10)과 모래(20)로 각각 분리시키기 위해 진동부(300)를 작동하게되면 분리대몸체(210)가 진동하게 된다.
진동과 분리대몸체(210)의 바닥에 형성된 요철에 의해 탄성고무칩(10)과 모래(20)는 1차로 분리되고, 물공급부(400)에서 물이 공급되면 부력에 의해 탄성고무칩(10)이 모래(20)보다 위로 떠오르며 2차로 분리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분리된 탄성고무칩(10)과 모래(20)는 각각 탄성고무칩배출구(220)와, 모래배출구(240)로 이동하게 되는데 이때, 마저 분리되지 못하고 모래(10)와 섞여 있는 탄성고무칩(10)은 분리대거름망(250)에 의해 또한번 걸러지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인조잔디 충전재 분리장치에 따르면, 보다 효율적으로 모래와 탄성고무칩을 각각 분리할 수 있게 되며, 따라서, 폐기물의 양산을 억제하고 분리된 모래와 탄성고무칩을 재활용함으로서, 환경오염 예방에도 효과가 있다.
100 : 충전재공급부 110 : 충전재저장수단
120 : 충전재이송수단 200 : 충전재분리대
210 : 분리대몸체 220 : 탄성고무칩배출구
230 : 고무칩거름망 240 : 모래배출구
300 : 진동부 400 : 물공급부
500 : 물탱크부 600 : 고무칩저장부
700 : 모래저장부
120 : 충전재이송수단 200 : 충전재분리대
210 : 분리대몸체 220 : 탄성고무칩배출구
230 : 고무칩거름망 240 : 모래배출구
300 : 진동부 400 : 물공급부
500 : 물탱크부 600 : 고무칩저장부
700 : 모래저장부
Claims (7)
- 내부 수용공간에 폐기된 인조잔디의 충전재가 저장된 충전재저장수단(110)과, 상기 충전재저장수단(110)으로부터 배출되는 충전재를 충전재분리대(200)까지 공급하기 위해 설치된 충전재이송수단(120)으로 구성된 충전재공급부(100);
상기 충전재이송수단(120)으로부터 충전재를 공급받도록 상부가 개방되고 바닥면에 요철이 형성된 분리대몸체(210)와, 상기 분리대몸체(210)의 일측에 형성된 탄성고무칩배출구(220)와, 상기 탄성고무칩배출구(220)의 하부에 일정각도로 경사지게 설치된 고무칩거름망(230)과, 상기 분리대몸체(210)의 타측에 형성된 모래배출구(240)로 구성되어, 상기 모래배출구(240)측으로 일정각도 상향 경사지도록 설치된 충전재분리대(200);
상기 충전재분리대(200)의 하부 또는 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충전재분리대(200)를 진동시키는 진동부(300);
상기 충전재분리대(200)의 상부에 위치되게 설치되어 충전재의 분리에 사용되는 물을 공급하도록 모래(20)가 배출되는 진행방향으로 다수개 설치된 물공급부(400);
상기 탄성고무칩배출구(220)의 하부에 위치되게 설치되어, 충전재의 분리에 사용된 후 배출되는 물을 저장하는 물탱크부(500);
상기 물탱크부(500)의 전방에 위치되게 설치되어, 모래(20)와 분리되어 상기 고무칩거름망(230)의 경사면을 따라 배출되는 탄성고무칩(10)을 저장하고, 상부 일측에는 물배출구(610)가 형성된 고무칩저장부(600);
상기 모래배출구(240)의 하부에 위치되게 설치되어, 그 모래배출구(240)를 통해 배출되는 모래(20)를 저장하도록 형성된 모래저장부(700);로 형성되며,
상기 고무칩거름망(230)의 상부에는 그 고무칩거름망(230)의 상부면에 누적된 불순물을 제거하기 위해, 외주면에 다수개의 인조모로 이루어진 청소용브러쉬(261)가 형성되고 일단에 롤러구동모터(262)가 설치된 거름망청소롤러(260)가 상하 이동이 가능하도록 청소롤러승하강수단(263)에 연결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조잔디 충전재 분리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재분리대(200)에는 다수개 설치된 상기 물공급부(400)와 일정거리 이격되어 각각 분리대거름망(250)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조잔디 충전재 분리장치. - 제 2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분리대거름망(250)은 모래(20)가 배출되는 진행방향으로 갈수록 직조된 망의 간격이 좁아지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조잔디 충전재 분리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부(300)는 진동을 발생시키기 위한 진동모터(310)와, 상기 진동모터(310)와 상기 충전재분리대(200)를 상호 연결하도록 설치되는 진동브라켓(320)으로 구성되어, 상기 진동모터(310)의 동작시 상기 충전재분리대(200)를 진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조잔디 충전재 분리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물공급부(400)는 상기 충전재분리대(200)의 길이방향으로 전후 위치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조잔디 충전재 분리장치. - 삭제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거름망청소롤러(260)는 내부가 중공되고, 외주면에는 다수개의 에어배출공(264)이 형성되며, 타단에는 에어주입수단(265)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조잔디 충전재 분리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43006A KR101730154B1 (ko) | 2016-04-07 | 2016-04-07 | 인조잔디 충전재 분리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43006A KR101730154B1 (ko) | 2016-04-07 | 2016-04-07 | 인조잔디 충전재 분리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730154B1 true KR101730154B1 (ko) | 2017-04-25 |
Family
ID=587033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043006A KR101730154B1 (ko) | 2016-04-07 | 2016-04-07 | 인조잔디 충전재 분리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730154B1 (ko)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GB2595904A (en) * | 2020-06-11 | 2021-12-15 | Henry Coulton Richard | Method and apparatus for separating synthetic turf infill material |
KR102369502B1 (ko) | 2021-08-02 | 2022-03-07 | 주식회사 엘킹덤 | 인조잔디폐기물용 분류장치 |
CN114982980A (zh) * | 2022-06-17 | 2022-09-02 | 江西喜果生物科技有限公司 | 一种红豆杉果仁护肤精油提取前预处理设备 |
CN115041427A (zh) * | 2022-06-13 | 2022-09-13 | 华清(扬州)织物有限公司 | 一种基于视觉定位系统的草坪加工分选装置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035285A (ja) * | 1999-07-19 | 2001-02-09 | Japan Electric Cable Technology Center Inc | 電線被覆廃材からの銅の除去装置 |
-
2016
- 2016-04-07 KR KR1020160043006A patent/KR101730154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035285A (ja) * | 1999-07-19 | 2001-02-09 | Japan Electric Cable Technology Center Inc | 電線被覆廃材からの銅の除去装置 |
Cited B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GB2595904A (en) * | 2020-06-11 | 2021-12-15 | Henry Coulton Richard | Method and apparatus for separating synthetic turf infill material |
WO2021250411A1 (en) * | 2020-06-11 | 2021-12-16 | Richard Henry Coulton | Method and apparatus for separating synthetic turf infill material |
KR102369502B1 (ko) | 2021-08-02 | 2022-03-07 | 주식회사 엘킹덤 | 인조잔디폐기물용 분류장치 |
CN115041427A (zh) * | 2022-06-13 | 2022-09-13 | 华清(扬州)织物有限公司 | 一种基于视觉定位系统的草坪加工分选装置 |
CN115041427B (zh) * | 2022-06-13 | 2023-08-25 | 华清(扬州)织物有限公司 | 一种基于视觉定位系统的草坪加工分选装置 |
CN114982980A (zh) * | 2022-06-17 | 2022-09-02 | 江西喜果生物科技有限公司 | 一种红豆杉果仁护肤精油提取前预处理设备 |
CN114982980B (zh) * | 2022-06-17 | 2024-05-31 | 江西喜果生物科技有限公司 | 一种红豆杉果仁护肤精油提取前预处理设备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730154B1 (ko) | 인조잔디 충전재 분리장치 | |
US8464801B2 (en) | Apparatus for collecting artificial turf for recycling | |
KR100872744B1 (ko) | 다단형 골재 밀도 선별장치 | |
KR101146954B1 (ko) | 이물질 막힘 제거가 우수한 이중 스크린망 원통선별기 | |
KR101061166B1 (ko) | 매립쓰레기의 감량화 선별시스템 및 선별방법 | |
CN208758077U (zh) | 建筑垃圾干式分选系统 | |
KR100694234B1 (ko) | 폐기물 선별기의 스크린망 막힘 방지장치 | |
KR101227633B1 (ko) | 경사 컨베이어와 비중차를 이용한 건설폐기물의 순환골재 처리장치 | |
US7775371B2 (en) | Device for the separation of waste materials in accordance with their densities | |
KR101556664B1 (ko) | 토사내 다용도골재 선별이 우수한 스마트 키질스크린 장치 | |
CN104245143A (zh) | 用于对包含于人造草坪的填充材料进行重复利用的筛选方法及筛选装置 | |
CN117358573B (zh) | 一种筛沙分选装置及其操作方法 | |
CN208437219U (zh) | 一种建筑工地自动筛沙装置 | |
CN207709362U (zh) | 一种塑料颗粒筛选机 | |
KR20120001484A (ko) | 트로멜 및 이 트로멜을 포함하는 폐기물 선별기 | |
KR101528308B1 (ko) | 물 분사방식을 이용한 골재 선별시스템 및 방법 | |
CN209918281U (zh) | 一种防堵筛分机 | |
KR101333904B1 (ko) | 인조잔디 재활용방법 | |
KR100971723B1 (ko) | 폐기물 선별분리 시스템 | |
CN104710088A (zh) | 污泥处理系统中的干扰物分离装置 | |
KR200348078Y1 (ko) | 골재 선별장치 | |
CN213792650U (zh) | 一种房屋建设用滚筒筛沙机 | |
CN104096401A (zh) | 分离淋洗修复污染土壤产生泥浆水中的砂砾、腐殖质的设备及其分离方法 | |
JPH1057834A (ja) | アスファルト廃材から骨材を再生する方法 | |
CN209254832U (zh) | 一种改良型市政园林土壤修复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