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9502B1 - 인조잔디폐기물용 분류장치 - Google Patents

인조잔디폐기물용 분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9502B1
KR102369502B1 KR1020210101247A KR20210101247A KR102369502B1 KR 102369502 B1 KR102369502 B1 KR 102369502B1 KR 1020210101247 A KR1020210101247 A KR 1020210101247A KR 20210101247 A KR20210101247 A KR 20210101247A KR 102369502 B1 KR102369502 B1 KR 1023695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um
artificial turf
waste
sorting
me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12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인혜
박충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킹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킹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킹덤
Priority to KR10202101012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950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95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95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18Drum screens
    • B07B1/22Revolving dru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46Constructional details of screens in general; Cleaning or heating of screens
    • B07B1/4609Constructional details of screens in general; Cleaning or heating of screens constructional details of screening surfaces or meshes
    • B07B1/4636Regulation of screen aper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46Constructional details of screens in general; Cleaning or heating of screens
    • B07B1/50Cleaning
    • B07B1/52Cleaning with brushes or scrapers
    • B07B1/522Cleaning with brushes or scrapers with brus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9/00Combinations of apparatus for screening or sifting or for 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using gas currents; General arrangement of plant, e.g. flow sheets
    • B07B9/02Combinations of similar or different apparatus for 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using gas curr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11/0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with movement which is non-progressive
    • F26B11/02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with movement which is non-progressive in moving drums or other mainly-closed receptacles
    • F26B11/04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with movement which is non-progressive in moving drums or other mainly-closed receptacle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or slightly-inclined axi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5/00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not covered by group F26B21/00 or F26B23/00
    • F26B25/04Agitating, stirring, or scrap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18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duction, i.e. the heat is conveyed from the heat source, e.g. gas flam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direct conta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조잔디폐기물에 혼합된 인조잔디조각, 규사, 고무칩을 분류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인조잔디폐기물을 저장 및 이송하는 공급부; 상기 공급부에서 이송된 인조잔디폐기물이 투입되는 것으로서,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되 전방이 높고 후방이 낮게 배치되도록 경사지게 설치되며, 각각 상이한 크기의 메쉬를 갖도록 구비되어 상호 전후로 연결된 둘 이상의 메쉬드럼을 포함하는 분류드럼; 상기 분류드럼의 각 메쉬드럼 하측에 각각 설치된 둘 이상의 분류호퍼; 및 상기 분류드럼과 연결되어 분류드럼을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인조잔디폐기물용 분류장치를 개시한다.

Description

인조잔디폐기물용 분류장치{Sorting apparatus for artificial turf waste}
본 발명은 인조잔디폐기물용 분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인조잔디폐기물에 혼합된 인조잔디조각, 규사, 고무칩을 분류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인조잔디폐기물용 분류장치에 관한 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30154호(이하, '선행기술'이라고 함)에 '인조잔디 충전재 분리장치'가 제시되어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내부 수용공간에 폐기된 인조잔디의 충전재가 저장된 충전재저장수단과, 상기 충전재저장수단으로부터 배출되는 충전재를 충전재분리대까지 공급하기 위해 설치된 충전재이송수단으로 구성된 충전재공급부; 상기 충전재이송수단으로부터 충전재를 공급받도록 상부가 개방되고 바닥면에 요철이 형성된 분리대몸체와, 상기 분리대몸체의 일측에 형성된 탄성고무칩배출구와, 상기 탄성고무칩배출구의 하부에 일정각도로 경사지게 설치된 고무칩거름망과, 상기 분리대몸체의 타측에 형성된 모래배출구로 구성되어, 상기 모래배출구 측으로 일정각도 상향 경사지도록 설치된 충전재분리대; 상기 충전재분리대의 하부 또는 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충전재분리대를 진동시키는 진동부; 상기 충전재분리대의 상부에 위치되게 설치되어 충전재의 분리에 사용되는 물을 공급하도록 모래가 배출되는 진행방향으로 다수개 설치된 물공급부; 상기 탄성고무칩배출구의 하부에 위치되게 설치되어, 충전재의 분리에 사용된 후 배출되는 물을 저장하는 물탱크부; 상기 물탱크부의 전방에 위치되게 설치되어, 모래와 분리되어 상기 고무칩거름망의 경사면을 따라 배출되는 탄성고무칩을 저장하고, 상부 일측에는 물배출구가 형성된 고무칩저장부; 상기 모래배출구의 하부에 위치되게 설치되어, 그 모래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모래를 저장하도록 형성된 모래저장부;로 형성되며, 상기 고무칩거름망의 상부에는 그 고무칩거름망의 상부면에 누적된 불순물을 제거하기 위해, 외주면에 다수개의 인조모로 이루어진 청소용브러쉬가 형성되고 일단에 롤러구동모터가 설치된 거름망청소롤러가 상하 이동이 가능하도록 청소롤러승하강수단에 연결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조잔디 충전재 분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탄성고무칩배출구에 고무칩거름망을 설치하고, 충전재를 분리하는데 도움을 주도록 충전재분리대의 상부에 물공급부를 설치하여 물을 공급함으로써 모래와 탄성고무칩을 더욱 효율적으로 분리할 수 있도록 한 기술이다.
[문헌 1]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30154호(2017.04.19. 등록)
본 발명은 인조잔디폐기물에 혼합된 인조잔디조각, 규사, 고무칩을 더욱 원활하고 정교하게 분류할 수 있도록 한 인조잔디폐기물용 분류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는다. 언급하지 않은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이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실시예에 의한 인조잔디폐기물용 분류장치는, 인조잔디폐기물을 저장 및 이송하는 공급부; 상기 공급부에서 이송된 인조잔디폐기물이 투입되는 것으로서,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되 전방이 높고 후방이 낮게 배치되도록 경사지게 설치되며, 각각 상이한 크기의 메쉬를 갖도록 구비되어 상호 전후로 연결된 둘 이상의 메쉬드럼을 포함하는 분류드럼; 상기 분류드럼의 각 메쉬드럼 하측에 각각 설치된 둘 이상의 분류호퍼; 및 상기 분류드럼과 연결되어 분류드럼을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분류드럼은, 중앙에 설치된 샤프트; 상기 샤프트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설치된 다수의 휠; 상기 휠을 감싸도록 설치되며, 상호 전후로 연결되되 전방에서 후방에서 갈수록 큰 면적의 메쉬를 갖도록 구비된 둘 이상의 메쉬드럼; 및 상기 각 메쉬드럼 중 최전방 메쉬드럼의 전방에 설치되며, 원통형의 판재로 이루어진 히팅드럼;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히팅드럼의 하측에는 히팅드럼을 가열하여 히팅드럼의 내부에 투입된 인조잔디폐기물을 건조하기 위한 히터가 설치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히팅드럼의 내주면에는 상기 분류드럼의 회전시 히팅드럼의 바닥에 놓인 인조잔디폐기물을 받치어 인조잔디폐기물이 히팅드럼과 함께 회전하여 상승한 후 낙하되게 하는 교반플레이트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히팅드럼의 전방에는 상기 공급부에서 히팅드럼으로 투입되는 인조잔디폐기물에 바람을 가하여 비중이 낮은 폐기물을 상기 분류드럼의 후방으로 날려보내는 송풍기가 설치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분류장치는, 상기 분류드럼의 외측에 분류드럼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설치된 공기배관과, 상기 공기배관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배열된 다수의 공기노즐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각 메쉬드럼의 내측을 향해 압축공기를 분사하는 공기분사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분류장치는, 상기 분류드럼의 외측에 상기 각 메쉬드럼의 외주면과 접하도록 설치되어 각 메쉬드럼의 외주면에 묻은 폐기물 및 이물질을 쓸어내는 브러시유닛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브러시유닛은 중앙에 상기 분류드럼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설치된 회전축을 갖는 원통형의 브러시로 이루어지고, 상기 구동부는, 구동모터; 상기 구동모터와 상기 분류드럼의 샤프트를 연결하는 제1전동부; 및 상기 분류드럼의 샤프트와 상기 브러시유닛의 회전축을 연결하는 제2전동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2전동부는 상기 브러시유닛을 상기 분류드럼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인조잔디폐기물용 분류장치에 의하면, 분류드럼에 투입된 인조잔디폐기물이 분류드럼의 회전시 각 메쉬드럼을 통과하며 작은 입자 크기의 폐기물부터 큰 입자 크기의 폐기물로 분류됨으로써 인조잔디폐기물에 혼합된 인조잔디조각, 규사, 고무칩을 더욱 원활하고 정교하게 분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히팅드럼 및 히터가 구비되어 인조잔디폐기물을 건조할 수 있음으로써 젖은 상태의 인조잔디폐기물도 원활하게 분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히팅드럼에 인조잔디폐기물을 상승시킨 후 떨어트리게 되는 교반플레이트가 형성됨에 따라 인조잔디폐기물을 더욱 효율적으로 건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송풍기가 구비되어 비중이 낮은 폐기물을 분류드럼의 후방으로 날려보내게 됨으로써 인조잔디폐기물을 더욱 원활하고 정교하게 분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공기분사부 및 브러시유닛이 구비되어 각각 메쉬드럼의 내주면 및 외주면에 묻은 폐기물을 제거할 수 있음으로써 인조잔디폐기물을 더욱 원활하게 분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인조잔디폐기물용 분류장치의 정면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인조잔디폐기물용 분류장치의 측면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인조잔디폐기물용 분류장치에서 분류드럼, 공기분사부, 브러시유닛 및 구동부에 대한 평면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인조잔디폐기물용 분류장치에서 분류드럼, 공기분사부 및 브러시유닛에 대한 측면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인조잔디폐기물용 분류장치에서 히팅드럼에 대한 단면 구성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표현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인조잔디폐기물용 분류장치의 정면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인조잔디폐기물용 분류장치의 측면 구성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인조잔디폐기물용 분류장치에서 분류드럼, 공기분사부, 브러시유닛 및 구동부에 대한 평면 구성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인조잔디폐기물용 분류장치에서 분류드럼, 공기분사부 및 브러시유닛에 대한 측면 구성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인조잔디폐기물용 분류장치에서 히팅드럼에 대한 단면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인조잔디폐기물용 분류장치는 인조잔디폐기물에 혼합된 인조잔디조각, 규사, 고무칩을 분류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공급부(100), 분류드럼(200), 분류호퍼(300), 송풍기(600), 공기분사부(700), 브러시유닛(800) 및 구동부(4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공급부(100)는 인조잔디폐기물을 저장 및 이송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공급부(10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조잔디폐기물이 저장되는 호퍼(110)와, 상기 호퍼(110)에서 떨어지는 인조잔디폐기물을 상기 분류드럼(200)으로 이송하는 벨트컨베이어(120)로 구성될 수 있다. 공급부(100)는 상기한 구조 외에도 호퍼와 스크루 컨베이어가 조합된 구조로 이루어지는 등 인조잔디폐기물을 저장 및 이송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분류드럼(200)은 상기 공급부(100)에서 이송된 인조잔디폐기물이 투입되는 것으로서,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에 설치된 샤프트(210); 상기 샤프트(2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설치된 다수의 휠(220); 상기 휠(220)을 감싸도록 설치되며, 상호 전후로 연결되되 전방에서 후방에서 갈수록 큰 면적의 메쉬를 갖도록 구비된 둘 이상의 메쉬드럼(230); 및 상기 각 메쉬드럼(230) 중 최전방 메쉬드럼(230A)의 전방에 설치되며, 원통형의 판재로 이루어진 히팅드럼(2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분류드럼(200)은 케이싱(900)의 내측 상부에 설치됨으로써 분류드럼(200)의 하측에 상기 분류호퍼(300) 및 이 분류호퍼(300)에서 떨어지는 폐기물이 담기는 포대(10)나 용기 등이 놓일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케이싱(9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형강이 결합되어 구성된 프레임(910)과, 상기 분류드럼(200)을 감싸도록 상기 프레임(910)의 상부에 결합된 커버패널(9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커버패널(920)은 상기 분류드럼(200)의 측면 및 상면을 감싸도록 설치됨으로써 분류드럼(200)의 각 메쉬드럼(230)을 빠져나온 폐기물이 외부로 비산되지 않고 상기 분류호퍼(300)로 낙하될 수 있게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싱(900)의 후단부에는 상기 분류드럼(200)을 전후 방향으로 통과한 폐기물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부(930)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케이싱(900)에는 상기 분류드럼(200)의 샤프트(210) 및 후술될 브러시유닛(800)의 회전축(810)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베어링하우징(미도시)과, 후술될 구동모터(410)를 지지하기 위한 브래킷(미도시)이 장착된다. 결국, 상기 케이싱(900)은 상기 분류드럼(200), 구동부(400) 및 브러시유닛(800)을 지지하게 된다.
상기 분류드럼(200)은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되 전방이 높고 후방이 낮게 배치되도록 경사지게 설치된다. 즉, 분류드럼(200)은 전방에서 투입된 인조잔디폐기물이 후방으로 미끄러져 이송될 수 있도록 경사지게 설치된다.
상기 분류드럼(200)은 상기 구동부(400)에 의해 회전됨에 따라, 분류드럼(200)의 내부에 투입된 인조잔디폐기물에서 규사 성분이 상기 메쉬드럼(230)의 메쉬를 통과하여 분류될 수 있게 한다.
상기 샤프트(210)는 상기 케이싱(90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휠(220)은 다수가 구비되어 상기 샤프트(2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열됨으로써 상기 메쉬드럼(230) 및 히팅드럼(240)이 원형을 유지할 수 있도록 이들을 지지하게 된다.
상기 메쉬드럼(230)은 둘 이상이 구비되되 각각 상이한 크기의 메쉬(mesh)를 갖도록 구비된다. 각 메쉬드럼(230)은 상호 전후로 연결되되,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큰 면적의 메쉬를 갖는 것이 배치되도록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제1 내지 제3 메쉬드럼(230A)(230B)(230C)이 연결된 구조가 개시됨으로써 총 3개의 메쉬드럼(230)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각 메쉬드럼(230)은 인조잔디폐기물에 혼합된 성분 중 규사는 선택적으로 통과할 수 있되 고무칩은 통과할 수 없는 메쉬 크기를 갖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각 메쉬드럼(230)은 제1메쉬드럼(230A)에서 제3메쉬드럼(230C) 측으로 갈수록 큰 입경의 규사가 통과할 수 있는 메쉬 크기를 갖는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메쉬드럼(230A)의 메쉬는 약 1.4㎜의 직경 또는 너비를 갖도록 형성되고, 제2메쉬드럼(230B)의 메쉬는 약 1.45㎜의 직경 또는 너비를 갖도록 형성되며, 제3메쉬드럼(230C)의 메쉬는 약 1.55㎜의 직경 또는 너비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상기 제1 및 제2 메쉬드럼(230A)(230B)의 메쉬를 통과하여 분류된 규사는 주물사(molding sand) 또는 유리 제작용 모래로써 재활용할 수 있으며, 상기 제3메쉬드럼(230C)의 메쉬를 통과하여 분류된 규사는 콘크리트나 모르타르에 배합되는 모래로써 재활용할 수 있다.
한편, 인조잔디폐기물에서 고무칩은 상기 각 메쉬드럼(230)의 메쉬를 통과하지 못하고 최후방의 메쉬드럼(230), 즉 제3메쉬드럼(230C)의 후방으로 배출됨으로써 상기 케이싱(900)의 배출부(930)를 통해 하측의 포대(10) 또는 용기에 담기게 된다. 이렇게 분류된 고무칩은 연료로 재활용되거나, 녹여서 다른 물건의 재료로 재활용될 수 있다.
상기 히팅드럼(240)은 인조잔디폐기물을 가열 건조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열전도성이 우수하되 인조잔디폐기물이 통과하지 못하도록 원형의 철판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히팅드럼(240)의 하측에는 히팅드럼(240)을 가열하여 히팅드럼(240)의 내부에 투입된 인조잔디폐기물을 건조하기 위한 히터(500)가 설치된다.
상기 히터(500)는 가스 가열기, 보일러, 전기히터 등 상기 히팅드럼(240)을 가열할 수 있는 다양한 장치가 적용될 수 있다.
상기 히팅드럼(240) 및 히터(500)에 의하면 젖은 상태로 투입된 인조잔디폐기물을 건조할 수 있음으로써, 인조잔디폐기물 중 특히 규사 성분이 수분에 의해 뭉쳐져 원활하게 분류되지 못하거나, 인조잔디조각이 수분에 의해 메쉬드럼(230)의 내벽에 부착되어 메쉬를 막음으로써 규사 성분이 원활하게 분류되지 못하는 현상을 해소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히팅드럼(240)의 내주면에는 상기 분류드럼(200)의 회전시 히팅드럼(240)의 바닥에 놓인 인조잔디폐기물을 받치어 인조잔디폐기물이 히팅드럼(240)과 함께 회전하여 상승한 후 낙하되게 하는 교반플레이트(250)가 형성된다. 상기 교반플레이트(250)는 히팅드럼(240)에 투입된 인조잔디폐기물을 상승시킨 후 떨어트리게 됨으로써 인조잔디폐기물이 더욱 원활하게 건조될 수 있게 한다. 상기 교반플레이트(250)는 필요에 따라 하나 또는 둘 이상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히팅드럼(240)의 외측에는 히팅드럼(240)을 감싸는 구조로 설치된 단열커버(100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단열커버(1000)는 하부가 개방되어 히팅드럼(240)의 하부를 제외한 외주면을 감싸도록 설치됨으로써 히팅드럼(240)과 단열커버(1000)의 사이에 고온의 공기가 머무를 수 있게 하여 상기 히터(500)에 의한 열효율이 상승될 수 있게 한다.
상기 분류호퍼(3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각 메쉬드럼(230)과 상응하는 개수가 구비되어 각 메쉬드럼(230)의 하측에 각각 설치된다.
상기 각 분류호퍼(300)는 상기 케이싱(900)의 내측에 설치된다. 상기 각 분류호퍼(300)는 상기 각 메쉬드럼(230)의 메쉬를 통과하여 분류된 규사를 모아 하측의 포대(10) 또는 용기로 떨어트리게 된다.
상기 송풍기(6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분류드럼(200)의 전방에 설치되어 분류드럼(200)의 내측으로 바람을 가하게 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송풍기(600)는 상기 공급부(100)에서 히팅드럼(240)으로 투입되는 인조잔디폐기물과, 상기 교반플레이트(250)에 의해 낙하되는 인조잔디폐기물에 바람을 가하여 비중이 낮은 폐기물을 상기 분류드럼(200)의 후방으로 날려보내게 된다.
결국, 상기 숭풍기(600)는 인조잔디폐기물에서 비중에 낮은 인조잔디조각을 분류드럼(200)의 후방으로 날려보내게 됨으로써 인조잔디조각이 각 메쉬드럼(230)의 메쉬를 막아 규사가 원활하게 분류되지 못하는 현상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공기분사부(700)는 상기 각 메쉬드럼(230)을 향해 압축공기를 분사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분류드럼(200)의 외측에 분류드럼(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설치된 공기배관(710)과, 상기 공기배관(710)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배열된 다수의 공기노즐(7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공기배관(710)은 컴프레서를 포함하는 별도의 압축공기발생장치와 연결되어 상기 각 공기노즐(720)에 압축공기를 공급하게 된다.
상기 각 공기노즐(720)은 상기 각 메쉬드럼(230)의 내측을 향해 압축공기를 분사함으로써 각 메쉬드럼(230)의 내주면에 묻어 메쉬를 막는 폐기물을 제거하게 된다.
상기 브러시유닛(800)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분류드럼(200)의 외측에 상기 각 메쉬드럼(230)의 외주면과 접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브러시유닛(800)은 중앙에 상기 분류드럼(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설치된 회전축(810)을 갖는 원통형의 브러시로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브러시유닛(800)은 상기 각 메쉬드럼(230)의 외주면에 묻은 폐기물 및 이물질을 쓸어내어 제거하게 된다.
상기 구동부(4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분류드럼(200) 및 브러시유닛(800)과 연결되어 이들을 회전시키게 되는 것으로서, 구동모터(410); 상기 구동모터(410)와 상기 분류드럼(200)의 샤프트(210)를 연결하는 제1전동부(420); 및 상기 분류드럼(200)의 샤프트(210)와 상기 브러시유닛(800)의 회전축(810)을 연결하는 제2전동부(4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제1전동부(420)와 제2전동부(430)는 상기 구동모터(410)의 회전력을 상기 분류드럼(200)의 샤프트(210)와 브러시유닛(800)의 회전축(810)에 각각 전달하기 위한 것으로서, 체인 및 스프로킷의 조합, 벨트 및 풀리의 조합, 기어의 조합 등 공지의 다양한 전동(傳動)장치가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전동부(430)는 상기 브러시유닛(800)을 상기 분류드럼(200)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에 의하면 상기 브러시유닛(800)의 단부가 상기 각 메쉬드럼(230)의 외주면과 교차하며 접촉됨으로써 브러시유닛(800)이 각 메쉬드럼(230)의 외주면에 묻은 폐기물 및 이물질을 더욱 원활하게 제거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는 점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의 기재 및 그 균등 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 공급부 110 : 호퍼
120 : 벨트컨베이어 200 : 분류드럼
210 : 샤프트 220 : 휠
230 : 메쉬드럼 240 : 히팅드럼
250 : 교반플레이트 300 : 분류호퍼
400 : 구동부 410 : 구동모터
420 : 제1전동부 430 : 제2전동부
500 : 히터 600 : 송풍기
700 : 공기분사부 710 : 공기배관
720 : 공기노즐 800 : 브러시유닛
810 : 회전축 900 : 케이싱
910 : 프레임 920 : 커버패널
930 : 배출부 1000 : 단열커버

Claims (7)

  1. 인조잔디폐기물에 혼합된 인조잔디조각, 규사, 고무칩을 분류하기 위한 것으로서,
    인조잔디폐기물을 저장 및 이송하는 공급부(100);
    상기 공급부(100)에서 이송된 인조잔디폐기물이 투입되는 것으로서,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되 전방이 높고 후방이 낮게 배치되도록 경사지게 설치되며, 각각 상이한 크기의 메쉬를 갖도록 구비되어 상호 전후로 연결된 둘 이상의 메쉬드럼(230)을 포함하는 분류드럼(200);
    상기 분류드럼(200)의 각 메쉬드럼(230) 하측에 각각 설치된 둘 이상의 분류호퍼(300); 및
    상기 분류드럼(200)과 연결되어 분류드럼(200)을 회전시키는 구동부(400);를 포함하되,
    상기 분류드럼(200)은,
    중앙에 설치된 샤프트(210);
    상기 샤프트(2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설치된 다수의 휠(220);
    상기 휠(220)을 감싸도록 설치되며, 상호 전후로 연결되되 전방에서 후방에서 갈수록 큰 면적의 메쉬를 갖도록 구비된 둘 이상의 메쉬드럼(230); 및
    상기 각 메쉬드럼(230) 중 최전방 메쉬드럼(230A)의 전방에 설치되며, 원통형의 판재로 이루어진 히팅드럼(2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히팅드럼(240)의 하측에는 히팅드럼(240)을 가열하여 히팅드럼(240)의 내부에 투입된 인조잔디폐기물을 건조하기 위한 히터(500)가 설치되며,
    상기 히팅드럼(240)의 외측에는 히팅드럼(240)을 감싸는 구조의 단열커버(1000)가 설치되되, 상기 단열커버(1000)는 하부가 개방되어 상기 히팅드럼(240)의 하부를 제외한 외주면을 감싸도록 설치됨으로써 히팅드럼(240)과 단열커버(1000)의 사이에 고온의 공기가 머무를 수 있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조잔디폐기물용 분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히팅드럼(240)의 내주면에는 상기 분류드럼(200)의 회전시 히팅드럼(240)의 바닥에 놓인 인조잔디폐기물을 받치어 인조잔디폐기물이 히팅드럼(240)과 함께 회전하여 상승한 후 낙하되게 하는 교반플레이트(25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조잔디폐기물용 분류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히팅드럼(240)의 전방에는 상기 공급부(100)에서 히팅드럼(240)으로 투입되는 인조잔디폐기물에 바람을 가하여 비중이 낮은 폐기물을 상기 분류드럼(200)의 후방으로 날려보내는 송풍기(600)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조잔디폐기물용 분류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분류드럼(200)의 외측에 분류드럼(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설치된 공기배관(710)과, 상기 공기배관(710)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배열된 다수의 공기노즐(720)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각 메쉬드럼(230)의 내측을 향해 압축공기를 분사하는 공기분사부(70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조잔디폐기물용 분류장치.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분류드럼(200)의 외측에 상기 각 메쉬드럼(230)의 외주면과 접하도록 설치되어 각 메쉬드럼(230)의 외주면에 묻은 폐기물 및 이물질을 쓸어내는 브러시유닛(800)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조잔디폐기물용 분류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브러시유닛(800)은 중앙에 상기 분류드럼(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설치된 회전축(810)을 갖는 원통형의 브러시로 이루어지고,
    상기 구동부(400)는,
    구동모터(410);
    상기 구동모터(410)와 상기 분류드럼(200)의 샤프트(210)를 연결하는 제1전동부(420); 및
    상기 분류드럼(200)의 샤프트(210)와 상기 브러시유닛(800)의 회전축(810)을 연결하는 제2전동부(430);를 포함하되,
    상기 제2전동부(430)는 상기 브러시유닛(800)을 상기 분류드럼(200)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조잔디폐기물용 분류장치.
  7. 삭제
KR1020210101247A 2021-08-02 2021-08-02 인조잔디폐기물용 분류장치 KR1023695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1247A KR102369502B1 (ko) 2021-08-02 2021-08-02 인조잔디폐기물용 분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1247A KR102369502B1 (ko) 2021-08-02 2021-08-02 인조잔디폐기물용 분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69502B1 true KR102369502B1 (ko) 2022-03-07

Family

ID=808173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1247A KR102369502B1 (ko) 2021-08-02 2021-08-02 인조잔디폐기물용 분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9502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4641U (ko) * 1998-01-23 1999-08-25 정병해 구형금속의 선별 건조기
KR100420902B1 (ko) * 2002-12-31 2004-03-04 주식회사 남부환경개발 건설폐기물 선별장치
KR20110064275A (ko) * 2009-12-07 2011-06-15 코오롱건설주식회사 트로멜
CN204429688U (zh) * 2014-12-26 2015-07-01 刘运武 一种滚动筛防堵刷
KR101730154B1 (ko) 2016-04-07 2017-04-25 (주)태승 인조잔디 충전재 분리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4641U (ko) * 1998-01-23 1999-08-25 정병해 구형금속의 선별 건조기
KR100420902B1 (ko) * 2002-12-31 2004-03-04 주식회사 남부환경개발 건설폐기물 선별장치
KR20110064275A (ko) * 2009-12-07 2011-06-15 코오롱건설주식회사 트로멜
CN204429688U (zh) * 2014-12-26 2015-07-01 刘运武 一种滚动筛防堵刷
KR101730154B1 (ko) 2016-04-07 2017-04-25 (주)태승 인조잔디 충전재 분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7956873U (zh) 火力发电用煤炭输送装置
CZ306651B6 (cs) Sušící komora, sušící jednotka, sušička recyklátu a způsob sušení mokrého abraziva
KR101223668B1 (ko) 건축폐기물에서 순환골재와 이물질의 선별 분리장치
KR101742163B1 (ko) 유기성 폐기물의 쓰레기 파쇄 및 선별장치
KR101780798B1 (ko) 폐 스티로폼의 재활용을 위한 재생처리장치
US2006007627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orting out shredder waste
KR20130054337A (ko) 건조장치 및 건조방법
KR101136047B1 (ko) 토사와 골재에 혼재된 이물질 분리 선별장치
US8870104B2 (en) Method for separating carpet fibers
KR102369502B1 (ko) 인조잔디폐기물용 분류장치
KR101644400B1 (ko) 재생아스콘 플랜트용 드라이어
KR101387427B1 (ko) 냉각용 필러의 재활용을 위한 파쇄장치
CN107830722A (zh) 一种颗粒物料烘干机
KR101341277B1 (ko) 재활용 폐비닐 건조장치
KR101346354B1 (ko) 매립토사의 이물질 선별시스템
KR100671955B1 (ko) 고온 열풍건조 선별 장치
KR20130109642A (ko) 냉각용 필러의 재활용을 위한 파쇄장치
CN105344471A (zh) 一种具有振动给料及磁选功能的垃圾处理系统
KR101213220B1 (ko) 쿨링타워 필러의 재활용을 위한 파쇄장치
KR200450648Y1 (ko) 건설폐기물의 이물질 분리기
JP2002138379A (ja) 回収紙コップ、牛乳パック等の細片の洗浄脱水機及び再生処理装置
CN207815933U (zh) 一种颗粒物料烘干机
CA2684270A1 (en) Particle separator and system for sorting particles of matter from a mixture
JP7157436B2 (ja) 透明カバー層分離回収装置
CN208146551U (zh) 一种大米清洗包装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