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7633B1 - 경사 컨베이어와 비중차를 이용한 건설폐기물의 순환골재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경사 컨베이어와 비중차를 이용한 건설폐기물의 순환골재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7633B1
KR101227633B1 KR1020120061587A KR20120061587A KR101227633B1 KR 101227633 B1 KR101227633 B1 KR 101227633B1 KR 1020120061587 A KR1020120061587 A KR 1020120061587A KR 20120061587 A KR20120061587 A KR 20120061587A KR 101227633 B1 KR101227633 B1 KR 1012276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veyor
lower conveyor
aggregate
specific gravity
construction was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15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홍락
임춘락
박남서
김기돈
이소영
Original Assignee
흥진환경 주식회사
주성건설환경(주)
(주)대신환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흥진환경 주식회사, 주성건설환경(주), (주)대신환경 filed Critical 흥진환경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615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763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76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76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3/00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 B07B13/14Details or accessories
    • B07B13/16Feed or discharge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1/00Arrangement of accessories in apparatus for 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using gas currents
    • B07B11/02Arrangement of air or material conditioning accesso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3/00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 B07B13/08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according to weigh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9/00Combinations of apparatus for screening or sifting or for 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using gas currents; General arrangement of plant, e.g. flow sheets
    • B07B9/02Combinations of similar or different apparatus for 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using gas curr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5/00Supplying, feeding, arranging or orientating articles to be packaged
    • B65B35/10Feeding, e.g. conveying, single articles
    • B65B35/24Feeding, e.g. conveying, single articles by endless belts or chai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bined Means For Separation Of Solids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설폐기물로부터 생산된 순환골재를 처리하여 이물질과 재활용 골재로 분리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공기 분사에 의한 1차적인 비중선별 분리와 상방 이송 경사 컨베이어에 의한 2차적인 반발력선별 분리를 통해 2중으로 효과적인 이물질의 분리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건설폐기물의 순환골재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건설폐기물의 순환골재 처리장치는, 경사 배치되어 상방으로 이송시키는 하부컨베이어; 상기 하부컨베이어 위에 배치되도록 마련되며, 순환골재가 투입되면 이송시키면서 상기 하부컨베이어로 낙하시키는 상부컨베이어; 상기 상부컨베이어의 이송 말단에 위치하도록 마련되며, 상기 상부컨베이어에 의해 이송되어 낙하하는 순환골재를 향해 공기를 분사시키는 공기 분사노즐; 상기 하부컨베이어의 이송 말단에 배치되는 제1회수장치; 상기 하부컨베이어의 이송 선단에 배치되는 제2회수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경사 컨베이어와 비중차를 이용한 건설폐기물의 순환골재 처리장치{Recycled Aggregate Disposal Plant}
본 발명은 건설폐기물로부터 생산된 순환골재를 처리하여 이물질과 재활용 골재로 분리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공기 분사에 의한 1차적인 비중선별 분리와 상방 이송 경사 컨베이어에 의한 2차적인 반발력선별 분리를 통해 2중으로 효과적인 이물질의 분리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건설폐기물의 순환골재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순환골재는 건설폐기물을 물리적 또는 화학적 처리과정을 거쳐 소정의 품질기준에 적합하게 한 것을 말한다. 건설폐기물에는 골재, 콘크리트는 물론 종이, 나무, 플라스틱 등 다양한 재료가 혼합되어 있기 때문에 소정의 처리과정을 거쳐 재사용이 가능한 골재를 순환골재로 회수하는 것이다.
도 1은 4차례에 걸쳐 순환골재가 생산되는 건설폐기물의 중간처리 과정을 예시한다. 보는 바와 같이 파쇄와 선별과정을 반복적으로 거쳐 순환골재를 생산하는데, 중간 중간의 선별과정에서 크기별로 순환골재로 회수한다. 하지만 회수한 순환골재는 종이, 목재, 플라스틱 등 여러 이물질이 여전히 포함되거나 굵은 골재, 잔골재, 미분 등이 혼합되어 크기별로 제대로 분류되기 못한 상태이기 쉽다. 이에 따라 회수한 순환골재는 추가적인 분리작업이 필요하다.
종래 순환골재의 대표적인 분리방법으로는 수중 침지, 폭기조 설치, 물의 흔들림 제어, 수중 물 분사, 바닥 진동판 설치 등을 통해 순환골재가 가지고 있는 이물질과 미분을 분리하는 방법이 있다. 하지만 이 방법은 수중 침지 공정에 따른 폐수 발생과 이를 처리하기 위한 추가비용 발생으로 경제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순환골재의 분리를 위한 다른 방법으로 진동 스크린 및 경사각을 가진 메쉬망 등을 이용하면서 이물질을 제거하고 골재를 입도별 분리하는 방법이 있다. 이 방법은 스크린에 이물질과 골재가 끼기 쉬어 효율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순환골재의 분리를 위한 또 다른 방법으로는 고압의 공기를 분사하여 비중 차이에 따라 분리하는 방법이 있다. 이 방법은 고압의 공기 분사를 위한 많은 양의 공기 유량 확보를 위해 고가의 대형 장비 사용이 불가피하고, 그리고 종래 공기 분사장비가 노즐부위 위치에 따라 분사되는 공기의 유량이 일정하지 않아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종래 건설폐기물로부터 생산된 순환골재 처리방법의 단점을 개선하고자 개발된 것으로서, 순환골재 속에 포함된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함과 동시에 골재를 입도별도 분리할 수 있는 새로운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경사 배치되어 상방으로 이송시키는 하부컨베이어; 상기 하부컨베이어 위에 배치되도록 마련되며, 순환골재가 투입되면 이송시키면서 상기 하부컨베이어로 낙하시키는 상부컨베이어; 상기 상부컨베이어의 이송 말단에 위치하도록 마련되며, 상기 상부컨베이어에 의해 이송되어 낙하하는 순환골재를 향해 공기를 분사시키는 공기 분사노즐; 상기 하부컨베이어의 이송 말단에 배치되는 제1회수장치; 상기 하부컨베이어의 이송 선단에 배치되는 제2회수징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폐기물의 순환골재 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른 순환골재 처리장치는 상방 이송 컨베이어를 향해 공기를 분사시키는 구조이기 때문에, 이와 같은 처리장치를 이용한다면 이물질, 다양한 입도의 골재 등 여러 재료를 포함하고 있는 순환골재를 더욱 효과적으로 분리할 수 있다. 순환골재를 분리함에 있어 공기 분사에 의해 1차적으로 비중차이에 따른 분리작업을 수행할 수 있고 아울러 상방 이송 경사 컨베이어에 의해 2차적으로 반발력 차이에 따른 분리작업을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2중으로 효과적인 분리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둘째, 다양한 입도의 순환골재를 입도별로 굵은골재, 잔골재, 미분으로 분리 회수할 수 있기 때문에, 순환골재를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다.
셋째, 건설폐기물로부터 생산된 순환골재에 포함된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분리할 수 있기 때문에 순환골재를 유리하게 재활용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이물질 포함으로 인해 매립되는 건설폐기물량을 줄이고 환경오염 문제를 줄일 수 있다.
도 1은 순환골재의 생산과정을 보여주는 생산과정 촬영 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건설폐기물의 순환골재 처리장치의 제1실시예에 대한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건설폐기물의 순환골재 처리장치의 제2실시예에 대한 구성도이다.
도 4a 내지 도 4c는 도 3에서 롤링세퍼레이터, 표면고르기 장치, 스크린 장치에 대한 상세도이다.
도 5a와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건설폐기물의 순환골재 처리장치에서 스톱배플의 설치상세도와 경사각에 대한 개요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건설폐기물의 순환골재 처리장치에서 교축관형 코안다노즐에 대한 개요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 및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건설폐기물의 순환골재 처리장치의 제1실시예에 대한 구성도이다.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건설폐기물의 순환골재 처리장치는, 순환골재 속에 포함된 이물질을 분리하기 위한 장치로서, 공기 분사에 의한 1차적인 비중선별 분리와 상방 이송 경사 컨베이어에 의한 2차적인 반발력선별 분리를 통해 2중으로 분리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는데 특징이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경사 배치되어 상방으로 이송시키는 하부컨베이어(110); 하부컨베이어(110) 위에 배치되도록 마련되며, 순환골재가 투입되면 이송시키면서 하부컨베이어(110)로 낙하시키는 상부컨베이어(120); 상부컨베이어(120)의 이송 말단에 위치하도록 마련되며, 상부컨베이어(120)를 따라 이송되어 낙하하는 순환골재를 향해 공기를 분사시키는 공기 분사노즐(130); 하부컨베이어(110)의 이송 말단에 배치되는 제1회수장치(140); 하부컨베이어(110)의 이송 선단에 배치되는 제2회수장치(1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하부컨베이어(110)는 벨트 컨베이어가 바람직하고, 상부컨베이어(120)는 벨트 컨베이어는 물론 다른 방식도 가능하다.
위와 같은 구성에 따라 분리할 순환골재를 상부컨베이어(120)에 투입하면 순환골재가 이송되면서 하부컨베이어(110)로 낙하하고, 이 과정에서 공기 분사노즐(130)에 의해 공기가 분사되면 낙하하는 순환골재는 비중 차이에 따라 비중이 가벼운 성분들(종이, 나뭇조각 등 이물질, 잔골재, 미분 등)은 분사 공기에 의해 날리면서 앞으로 낙하하는 한편 무거운 성분들(굵은골재 등)은 그대로 낙하하게 되는데, 비중이 가벼운 성분들은 낙하에 의한 반발력이 작기 때문에 하부컨베이어(110)에 쉽게 안착하여 상방 경사 이송하는 하부컨베이어(110)를 따라 이송 말단의 제1회수장치(140)로 회수되는 반면, 비중이 무거운 성분들은 낙하에 의한 반발력이 크기 때문에 하부컨베이어(110)를 타고 쉽게 굴러 내려가거나 튕겨 내려가면서 이송 선단의 제2회수장치(150)로 회수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건설폐기물의 순환골재 처리장치를 하나의 일체화된 시스템 장비로 제안된 예가 되는데, 그 결과 하부컨베이어(110), 상부컨베이어(120) 및 제1회수장치(140)는 적절한 지지대(310, 320, 340)에 고정 설치되고 공기 분사노즐(130)은 상부컨베이어(120)의 이송 말단에 고정 장착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더불어 지지대(310, 320, 340)에는 이동바퀴를 장치하여 이동성을 확보하고 있다.
또한 도 2에서는 롤링세퍼레이터(210), 각도조절기(230), 진동기(240), 에어커버(280)가 더 장치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롤링세퍼레이터(210)는 공기 분사에 의한 1차 분리작업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구성으로 도 2에서는 세퍼레이팅 롤러만으로 구성된 롤링세퍼레이터(210)를 확인할 수 있는데, 세러페이팅 롤러는 다각형 또는 별(☆)형 단면의 봉재로 마련되어 공기 분사노즐(130) 바로 아래 위치에서 하부컨베이어(110)의 표면 위를 가로지르도록 배치된 채 하부컨베이어(110)에 고정 설치된다. 세퍼레이팅 롤러는 하부컨베이어(110)에 안착된 성분들이 하부컨베이어(110)에 의해 상방으로 이송될 때 비중이 작은 성분들은 쓸어 올려 상방 이송을 가속하는 한편, 비중이 큰 성분들은 밀어내려 아래로 굴러 떨어지게 한다. 여기서 세퍼레이팅 롤러는 하부컨베이어(110) 위에서 설치높이가 조절될 수 있게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4a 참조).
각도조절기(230)는 하부컨베이어(110)의 경사 배치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구성이 된다. 진동기(240)는 상부컨베이어(120)의 말단을 경계로 하부컨베이어(110)의 이송 선단부에 장치되어 하부컨베이어(110)에 진동을 가하는 구성이 되는데, 진동기(240)에 의해 하부컨베이어(110)의 이송 선단부에 반발력을 추가하여 부여할 수 있기 때문에, 비중이 무거운 성분들의 분리 회수를 효과적으로 이끌 수 있다. 에어커버(250)는 분리 작업 과정에서 분진의 비산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한편 도 2에서는 제1,2회수장치(140, 150)가 거름망(141, 151)이 장치된 용기 형태로 마련되고 있는데, 거름망(141, 151)에 의해 제1,2회수장치(140, 150)로 회수되는 성분들을 추가적으로 분리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건설폐기물의 순환골재 처리장치의 제2실시예에 대한 구성도이고, 도 4a 내지 도 4c는 도 3에서 주요 부분에 대한 상세도이다. 제2실시예는 제1실시예와 비교할 때 기본적인 구조는 동일하며, 다만 롤링세퍼레이터(210)와 제1,2회수장치(140, 150)의 형태에서 차이가 있고, 스크린 장치(250), 표면고르기 장치(260), 호퍼(270)가 추가 구성되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도 3에서와 같이 제2실시예는 롤링세퍼레이터(210) 2개가 설치된 예가 되는데, 2개의 롤링세퍼레이터(210)는 공기 분사노즐(130)을 사이에 두고 설치된다. 공기 분사노즐(130) 선위의 롤링세퍼레이터(210)는 공기 분사노즐(130)의 분사 공기에 의해 날리면서 앞으로 낙하하는 비중이 가벼운 성분들을 쓸어 올려 하부컨베이어(110)의 이송 말단으로 재빨리 이송시키기 위함이며, 공기 분사노즐(130) 선위의 롤링세퍼레이터(210)는 공기 분사노즐(130)의 분사 공기에 영향을 받지 않고 그대로 낙하하는 무거운 성분들을 쓸어 내려 하부컨베이어(110)의 이송 선단으로 재빨리 떨어뜨리기 위함이다. 이러한 역할을 위해 선위의 롤링세퍼레이터(210)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구조로 마련되는 반면, 후위의 롤링세퍼레이터(210)는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구조로 마련된다. 특히 도 4a에서는 벨트스위퍼 타입의 롤링세퍼레이터(210)를 확인할 수 있는데, 이러한 롤링세퍼레이터(210)는 하부컨베이어(110)의 표면 위를 폭방향으로 가로지르도록 앞뒤로 배치되어 하부컨베이어(110)에 고정 설치되는 한 쌍의 벨트이송 롤러(211); 상기 한 쌍의 벨트이송 롤러(211)를 동시에 둘러 감도록 설치되어 롤러의 회전에 따라 이동하는 이송벨트(212); 상기 이송벨트(212) 표면에서 돌출된 돌기(213);로 구성된다. 여기서 벨트이송 롤러(211)는 하부컨베이어(110)에 고정 설치된 고정대(214)에 높낮이가 조절 가능하도록 장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돌기(213)는 섬모형태로 마련하면 적당하다.
스크린 장치(250)는 하부컨베이어(110)의 이송 말단에 장치되어 하부컨베이어(110)를 따라 이송된 순환골재를 밭치면서 추가 분리하는 구성이 된다. 도 3과 도 4b에서는 회전망 구조의 스크린 장치(250)를 확인할 수 있는데, 구체적으로 회전망 구조의 스크린 장치(250)는 하부컨베이어(110)의 이송 말단에 하부컨베이어(110)의 폭방향으로 가로지르도록 고정 설치되는 회전축(251); 회전축(251)에 방사형으로 고정 설치되는 메시날개(252);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스크린 장치(250)는 회전축(251)의 회전에 따라 메시(mesh)날개(252)가 회전하면서 하부컨베이어(110)의 이송 말단에서 떨어지는 순환골재를 받아 거르게 된다. 스크린 장치(250) 아래에는 제1회수장치(140)가 마련되는데, 이 경우 제1회수장치(140)는 도 3에서와 같이 2개로 구분하여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메시날개(252) 바로 아래에 있는 선위의 제1회수장치(140a)는 메시날개(252)를 통과하는 성분을 수집하기 위한 것이고, 그 뒤에 있는 후위의 제1회수장치(140b)는 메시날개(252)를 통과하지 못한 성분을 수집하기 위한 것이다. 다만 메시날개(252)를 통과하지 못한 성분이 그대로 자유 낙하하여 선위의 제1회수장치(140a)로 수집되지 않게 하는 것이 중요한데, 이를 위해 메시날개(252)의 회전속도를 적절하게 조절할 필요가 있고 더불어 공기 분사노즐(253)을 더 장착하여 공기를 분사시킬 필요가 있다.
표면고르기 장치(260)는 상부컨베이어(120)의 표면 위로 소정거리 이격되게 장치되며, 상부컨베이어(120)에 투입된 순환골재의 표면을 고르기 위한 구성이 된다. 상부컨베이어(120)로 투입되는 순환골재를 상부컨베이어(120)의 폭방향으로 고르게 펼치기 위한 것이다. 도 4c와 도 4d에서는 한 쌍의 표면고르기 롤러(261)로 마련된 표면고르기 장치(260)를 예시하고 있는데, 표면고르기 롤러(261)는 다각형 또는 별(☆)형 단면의 봉재로 마련되거나 앞뒤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스크류로 마련되어 한 쌍이 하부컨베이어(110)의 표면 위 소정거리 이격한 위치에서 하부컨베이어(110)의 폭방향으로 가로지르도록 앞뒤로 배치된 채 하부컨베이어(110)에 고정 설치된다. 나아가 표면고르기 롤러(261)는 도 4d에서와 같이 상부컨베이어(120)에 고정 설치된 고정대(264)에 높낮이가 조절 가능하게 장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호퍼(270)는 하부컨베이어(110) 위로 연결 설치되어 순환골재의 투입구가 된다. 도 4c에서와 같이 호퍼(270) 출구에는 한 쌍의 간격조절 롤러(271)가 사이 간격이 조절되게 장치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한 쌍의 간격조절 롤러(271)의 사이 간격을 조절하는 것으로 상부컨베이어(120)로 투입하는 순환골재의 투하량을 조절할 수 있다.
한편 도 3의 제2실시예에서는 제2회수장치(150)가 컨베이어 타입으로 마련되고 있는데, 그 결과 하부컨베이어(110)의 이송 선단부로 떨어지는 성분들을 회수하여 적절한 장소로 이송할 수 있다. 컨베이어 타입의 제2회수장치(150)도 지지대(350)로 적절하게 지지한다. 나아가 도 3의 제2실시예에서는 에어커버(280)가 본 발명에 따른 순환골재 처리장치의 전체 구성을 덮을 수 있도록 마련되고 있다.
도 5a와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건설폐기물의 순환골재 처리장치에서 스톱배플(220)의 설치상세도와 경사각에 대한 개요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건설폐기물의 순환골재 처리장치는, 하부컨베이어(110)가 벨트 컨베이어로 마련될 때, 하부컨베이어(110)의 표면 중간에 폭방향으로 가로지르게 부착 설치되는 스톱배플(220);이 더 부가될 수 있다. 스톱배플(220)을 더 부가하여 하부컨베이어(110)를 경사 마찰벨트로 구성함으로써 추가적인 분리를 도모한 것이다. 다시 말해 비중이 작은 성분 중에서 나뭇가지 등 크기가 큰 성분들은 하부컨베이어(110)에 쉽게 안착하지 못하고 하부컨베이어(110)의 경사를 따라 굴러 내려가기 쉬운데, 하부컨베이어(110)에 적절한 스톱배플(220)을 부가하여 스톱배플(220)에서 더 이상 굴러 내려가지 못하고 멈추게 함으로써 제1회장치(140)로 회수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다만 이 경우 비중이 무거운 성분(굵은골재 등)은 낙하시의 반발력에 의해 계속해서 굴러 내려가 제2회수장치(150)로 회수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한데, 이를 위해서는 스톱배플(220)이 적절한 각도로 설치되거나 진동기(240)가 더 장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스톱배플(220)은 삼각막대 부재로 마련되어 하부컨베이어(110)의 표면에 부착 설치하면 적당하다. 한편 도 5b에서와 같이 하부컨베이어(110)는 표면 경사각이 설치바닥에 대해 25~27°의 각도를 가지도록 경사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각 성분의 비중 차이에 따라 반발력 차이를 적절하기 유도하기 위함이다. 하부컨베이어(110)의 배치각도는 각도조절기(230)로 적절하게 조절하도록 한다. 아울러 도 5b에서는 스톱배플(220)이 하부컨베이어(110)의 표면에 대해 10~12°의 각도로 설치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는데. 이러한 각도는 실험을 통해 덜 무거운 성분의 반발력을 완화시켜 적절히 멈추게 하는데 유리한 각도로 확인되었다. 이 경우 스톱배플(220)은 한 내각이 10~12°의 각도를 가지는 삼각막대 부재로 마련하면 간편하게 적용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건설폐기물의 순환골재 처리장치에서 공기 분사노즐(130)로 바람직하게 제안하는 교축관형 코안다노즐에 대한 개요도이다. 교축관형 코안다노즐은 오리피스(oriffice) 노즐효과와 코안다(coanda) 효과를 접목시킨 공기증폭구조의 노즐인데, 보는 바와 같이 압축공기가 분사노즐(130) 측면의 오리피스(131)에서도 공급되게 함으로써 압축공기가 분사노즐(130)의 내벽을 타고 배출되면서 주변의 공기를 흡입하여 15∼30배 정도 증대시키는 구조로 구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동일한 공기 유입량을 가지고도 공기 배출량을 극대화할 수 있으며, 그 결과 낙하하는 순환골재의 1차 분리작업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구체적인 실시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되었으나,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치환, 부가 및 변형된 실시 형태들 역시 아래에 첨부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하여지는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10: 하부컨베이어
120: 상부컨베이어
130, 253: 공기 분사노즐
131: 오리피스
140, 140a, 140b: 제1회수장치
150: 제2회수장치
210: 롤링세퍼레이터
211: 벨트이송 롤러
212: 이송벨트
213: 돌기
214, 264: 고정대
220: 스톱배플
230: 각도조절기
240: 진동기
250: 스크린 장치
251: 회전축
252: 메시날개
260: 표면고르기 장치
261: 표면고르기 롤러
270: 호퍼
271: 간격조절 롤러
280: 에어커버
310, 320, 340, 350: 지지대

Claims (12)

  1. 순환골재 속에 포함된 이물질을 분리하기 위한 장치로서,
    경사 배치되어 상방으로 이송시키는 하부컨베이어(110);
    상기 하부컨베이어(110) 위에 배치되도록 마련되며, 순환골재가 투입되면 이송시키면서 상기 하부컨베이어(110)로 낙하시키는 상부컨베이어(120);
    상기 상부컨베이어(120)의 이송 말단에 위치하도록 마련되며, 상기 상부컨베이어(120)를 따라 이송되어 낙하하는 순환골재를 향해 공기를 분사시키는 공기 분사노즐(130);
    상기 하부컨베이어(110)의 이송 말단에 배치되는 제1회수장치(140);
    상기 하부컨베이어(110)의 이송 선단에 배치되는 제2회수장치(150);
    상기 하부컨베이어(110)의 표면 위로 장치되어 하부컨베이어(110) 표면 위에 놓인 순환골재를 쓸면서 이송시키는 롤링세퍼레이터(21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 컨베이어와 비중차를 이용한 건설폐기물의 순환골재 처리장치.
  2. 제1항에서,
    상기 공기 분사노즐(130)은, 교축관형 코안다노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 컨베이어와 비중차를 이용한 건설폐기물의 순환골재 처리장치.
  3. 삭제
  4. 제1항 또는 제2항에서,
    상기 롤링세퍼레이터(210)는,
    상기 하부컨베이어(110)의 표면 위를 가로지르도록 배치되어 하부컨베이어(110)에 고정 설치되되, 다각형 또는 별형 단면의 봉재로 마련된 세퍼레이팅 롤러;로 구성된 것이거나,
    상기 하부컨베이어(110)의 표면 위를 폭방향으로 가로지르도록 앞뒤로 배치되어 하부컨베이어(110)에 고정 설치되는 한 쌍의 벨트이송 롤러(211); 상기 한 쌍의 벨트이송 롤러(211)를 동시에 둘러 감도록 설치되어 롤러의 회전에 따라 이동하는 이송벨트(212); 상기 이송벨트(212) 표면에서 돌출된 돌기(213);로 구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 컨베이어와 비중차를 이용한 건설폐기물의 순환골재 처리장치.
  5. 제1항 또는 제2항에서,
    상기 하부컨베이어(110)는 벨트 컨베이어이며,
    상기 하부컨베이어(110)의 표면 중간에 폭방향으로 가로지르게 부착 설치되는 스톱배플(220);
    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 컨베이어와 비중차를 이용한 건설폐기물의 순환골재 처리장치.
  6. 제5항에서,
    상기 하부컨베이어(110)는, 표면 경사각이 설치바닥에 대해 25~27°의 각도를 가지도록 경사 배치되며,
    상기 스톱배플(220)은, 한 내각이 10~12°의 각도를 가지는 삼각막대 부재로 마련되어 상부면이 하부컨베이어(110)의 표면과 10~12°의 각도를 가지도록 부착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 컨베이어와 비중차를 이용한 건설폐기물의 순환골재 처리장치.
  7. 제1항 또는 제2항에서,
    상기 하부컨베이어(110)에 장치되어 하부컨베이어(110)의 경사 배치각도를 조절하는 각도조절기(230);
    상기 상부컨베이어(120)의 말단을 경계로 하부컨베이어(110)의 이송 선단부에 장치되어 하부컨베이어(110)에 진동을 가하는 진동기(240);
    상기 하부컨베이어(110)의 이송 말단에 장치되어 하부컨베이어(110)를 따라 이송된 순환골재를 밭치는 스크린 장치(250);
    중에서 하나 이상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 컨베이어와 비중차를 이용한 건설폐기물의 순환골재 처리장치.
  8. 제7항에서,
    상기 스크린 장치(250)는, 하부컨베이어(110)의 이송 말단에 하부컨베이어(110)의 폭방향으로 가로지르도록 고정 설치되는 회전축(251); 회전축(251)에 방사형으로 고정 설치되는 메시날개(252);로 구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 컨베이어와 비중차를 이용한 건설폐기물의 순환골재 처리장치.
  9. 제1항 또는 제2항에서,
    상기 상부컨베이어(120)의 표면 위로 소정거리 이격되게 장치되어 상부컨베이어(120)에 투입된 순환골재의 표면을 고르는 표면고르기 장치(260);
    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 컨베이어와 비중차를 이용한 건설폐기물의 순환골재 처리장치.
  10. 제9항에서,
    상기 표면고르기 장치(260)는,
    상기 하부컨베이어(110)의 표면 위 소정거리 이격한 위치에서 하부컨베이어(110)의 폭방향으로 가로지르도록 앞뒤로 배치되어 하부컨베이어(110)에 고정 설치되되, 다각형 또는 별형 단면의 봉재로 마련되거나 앞뒤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스크류로 마련된 한 쌍의 표면고르기 롤러(261);로 구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 컨베이어와 비중차를 이용한 건설폐기물의 순환골재 처리장치.
  11. 제1항 또는 제2항에서,
    상기 하부컨베이어(110) 위로 연결 설치되는 호퍼(270);
    가 더 포함되어 상기 호퍼(270)를 통해 하부컨베이어(110)에 순환골재가 투입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 컨베이어와 비중차를 이용한 건설폐기물의 순환골재 처리장치.
  12. 제11항에서,
    상기 호퍼(270)는, 출구에 한 쌍의 간격조절 롤러(271)가 사이 간격이 조절되게 장치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 컨베이어와 비중차를 이용한 건설폐기물의 순환골재 처리장치.
KR1020120061587A 2012-06-08 2012-06-08 경사 컨베이어와 비중차를 이용한 건설폐기물의 순환골재 처리장치 KR1012276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1587A KR101227633B1 (ko) 2012-06-08 2012-06-08 경사 컨베이어와 비중차를 이용한 건설폐기물의 순환골재 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1587A KR101227633B1 (ko) 2012-06-08 2012-06-08 경사 컨베이어와 비중차를 이용한 건설폐기물의 순환골재 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27633B1 true KR101227633B1 (ko) 2013-01-30

Family

ID=478427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1587A KR101227633B1 (ko) 2012-06-08 2012-06-08 경사 컨베이어와 비중차를 이용한 건설폐기물의 순환골재 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7633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1991B1 (ko) * 2013-11-29 2014-05-07 동부이엔티 주식회사 순환골재 강제 탄산화 장치
KR101504433B1 (ko) 2013-11-18 2015-03-19 류한웅 폐 플라스틱병 재활용을 위한 이물질 제거 장치
KR101734470B1 (ko) * 2016-06-30 2017-05-12 주식회사 태평양 석산의 쇄석파쇄 및 선별 자동 시스템
KR101952538B1 (ko) 2018-06-01 2019-02-26 이영우 건축 자재용 골재 생산을 위한 파쇄 플랜트 시스템
CN110064594A (zh) * 2019-05-21 2019-07-30 广西得力木业开发有限公司 树皮杂质剔除装置
US11278913B1 (en) * 2021-07-13 2022-03-22 SA Recycling LLC Systems for separating copper from shredder residu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56209A (ja) * 1994-03-18 1995-10-09 Miike Tekkosho:Kk 選別機
JP2001225017A (ja) * 2000-02-18 2001-08-21 Nippon Steel Corp 風力選別機
KR100688123B1 (ko) * 2005-06-28 2007-03-02 태성개발(주) 건설폐기물의 선별 처리방법 및 그 장치
JP2011088114A (ja) 2009-10-26 2011-05-06 Miike Iron Works Co Ltd 揺動選別機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56209A (ja) * 1994-03-18 1995-10-09 Miike Tekkosho:Kk 選別機
JP2001225017A (ja) * 2000-02-18 2001-08-21 Nippon Steel Corp 風力選別機
KR100688123B1 (ko) * 2005-06-28 2007-03-02 태성개발(주) 건설폐기물의 선별 처리방법 및 그 장치
JP2011088114A (ja) 2009-10-26 2011-05-06 Miike Iron Works Co Ltd 揺動選別機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4433B1 (ko) 2013-11-18 2015-03-19 류한웅 폐 플라스틱병 재활용을 위한 이물질 제거 장치
KR101391991B1 (ko) * 2013-11-29 2014-05-07 동부이엔티 주식회사 순환골재 강제 탄산화 장치
KR101734470B1 (ko) * 2016-06-30 2017-05-12 주식회사 태평양 석산의 쇄석파쇄 및 선별 자동 시스템
KR101952538B1 (ko) 2018-06-01 2019-02-26 이영우 건축 자재용 골재 생산을 위한 파쇄 플랜트 시스템
CN110064594A (zh) * 2019-05-21 2019-07-30 广西得力木业开发有限公司 树皮杂质剔除装置
US11278913B1 (en) * 2021-07-13 2022-03-22 SA Recycling LLC Systems for separating copper from shredder residue
US11697123B2 (en) 2021-07-13 2023-07-11 SA Recycling LLC Systems for separating copper from shredder residu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27633B1 (ko) 경사 컨베이어와 비중차를 이용한 건설폐기물의 순환골재 처리장치
KR101236205B1 (ko) 혼합폐기물 분리 선별장치
US8562832B2 (en) Three-stage slurry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KR101805768B1 (ko) 오염토양을 세척, 파쇄 및 선별하는 습식 정량 공급시스템
KR101806725B1 (ko) 토사이물질 정밀선별장치
JP2525270B2 (ja) 構築廃材の水力利用選別方法及び構築廃材の水力利用選別装置
KR101136047B1 (ko) 토사와 골재에 혼재된 이물질 분리 선별장치
KR100953665B1 (ko) 폐기물의 이물질 선별분류장치
KR100876542B1 (ko) 공기 분사식 쓰레기 선별장치
JP3966426B1 (ja) 振動篩装置、篩の網、及び、振動篩方法
KR101952538B1 (ko) 건축 자재용 골재 생산을 위한 파쇄 플랜트 시스템
EP3263230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parating contaminants from compost and other recyclable materials
KR101346354B1 (ko) 매립토사의 이물질 선별시스템
GB2521827A (en) Separating waste materials
US832253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parating fines from rock
CN106076855B (zh) 垃圾自动分选成套设备
CN207981401U (zh) 建筑垃圾轻物质分离设备
CN1226103C (zh) 中型垃圾分类回收方法及装置
KR101576989B1 (ko) 혼합 물체의 입자 분리 시스템
CN112221712B (zh) 一种从生活垃圾焚烧炉渣中回收金属的生产系统
KR100971723B1 (ko) 폐기물 선별분리 시스템
CN114849871A (zh) 一种多用途建筑垃圾智能粉碎设备
KR101285361B1 (ko) 골재 선별장치
CN205183169U (zh) 一种塑料除砂机
CN106076852A (zh) 生活垃圾网链振动分选输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3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