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6989B1 - 혼합 물체의 입자 분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혼합 물체의 입자 분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6989B1
KR101576989B1 KR1020140050069A KR20140050069A KR101576989B1 KR 101576989 B1 KR101576989 B1 KR 101576989B1 KR 1020140050069 A KR1020140050069 A KR 1020140050069A KR 20140050069 A KR20140050069 A KR 20140050069A KR 101576989 B1 KR101576989 B1 KR 1015769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lecting
conveyor
separating
coars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00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23546A (ko
Inventor
정광화
김중곤
한덕우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1400500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6989B1/ko
Publication of KR201501235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35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69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69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9/00Combinations of apparatus for screening or sifting or for 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using gas currents; General arrangement of plant, e.g. flow sheets
    • B07B9/02Combinations of similar or different apparatus for 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using gas curr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46Constructional details of screens in general; Cleaning or heating of screens
    • B07B1/4609Constructional details of screens in general; Cleaning or heating of screens constructional details of screening surfaces or mes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3/00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 B07B13/04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according to siz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3/00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 B07B13/08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according to weigh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3/00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 B07B13/14Details or accessories
    • B07B13/16Feed or discharge arrangements

Landscapes

  • Combined Means For Separation Of Solids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분리용 혼합 물체를 분리 수집하기 위한 입자 분리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분리용 혼합 물체가 상기 입자 분리시스템의 회전 중심부를 향하여 투입되는 물체 투입부; 상기 입자 분리시스템의 상부에서 상기 투입되는 혼합 물체에 수직 운동력을 가중시키는 송풍부; 상기 송풍부와 대면하는 위치에서 상기 물체 투입부의 하부측에 설치되며, 상기 수직 운동력을 받아 낙하되는 혼합 물체를 회전에 의하여 비산시키는 원형 회전판과 복수의 비산날개가 일정 간격의 방사상으로 형성된 원심회전 비산부; 및 상기 원심회전 비산부에 의하여 비산되는 혼합 물체를 비산 궤적에 따라 분리하여 수집하는 복수의 수직 원통형 수집통을 포함하는 수집부; 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수집통의 외벽은 중심으로부터 서로 일정한 간격을 가지고 이격되는 원통형의 외벽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자 분리 시스템이 제공된다.

Description

혼합 물체의 입자 분리 시스템{mixture particle separating system}
본 발명은 환경관련기술 분야에 해당되는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가축분뇨퇴비나 토양 등과 같이 각기 다른 입경을 가진 물질이 혼합된 물체를 대상으로 하여 입자 크기 또는 비중에 따라 분리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요식업소에서 발생되는 음식물 쓰레기나 농가에서 수거되는 가축분뇨는 별도로 수거하여 적당한 량의 톱밥 등과 함께 발효를 위한 미생물을 투입한 후 이를 일정기간 동안 발효시켜 주는 숙성공정을 거침으로서 퇴비로 일부 재생되어 사용되고 있다.
음식물 쓰레기 또는 가축분뇨로 만들어진 일부의 퇴비 중에는 돌멩이나 플라스틱 등의 불순물이 포함되는 경우가 있는데, 불순물이 포함된 퇴비가 농가에 유통되어 퇴비 품질뿐만 아니라 환경오염의 문제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퇴비나 토양은 서로 다른 크기를 가진 불순물이 포함된 입자들이 혼재해 있다.
따라서, 산업현장의 필요에 따라서 입자 크기 별로 분리해 낼 수 있는 장치의 필요성이 발생한다. 퇴비의 경우를 예로 들면 퇴비의 품질 향상을 위해 퇴비 중에서 돌이나 나무 조각 등과 같은 불순물을 분리해 내는 작업을 필요하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한국공개특허 제2014-0003332호 [퇴비 불순물 선별장치]에 개시되어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2014-0003332호 [퇴비 불순물 선별장치]
본 발명은 혼합된 물체군으로부터 입자의 크기 또는 비중에 따라 입자를 분리하여 수집할 수 있는 입자 분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퇴비 중에 포함되어 있는 금속류 및 조대물을 포함하는 불순물을 분리할 수 있는 입자 분리 시스템을 효율적으로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분리용 혼합 물체를 분리 수집하기 위한 입자 분리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분리용 혼합 물체가 상기 입자 분리시스템의 회전 중심부를 향하여 투입되는 물체 투입부; 상기 입자 분리시스템의 상부에서 상기 투입되는 혼합 물체에 수직 운동력을 가중시키는 송풍부; 상기 송풍부와 대면하는 위치에서 상기 물체 투입부의 하부측에 설치되며, 상기 수직 운동력을 받아 낙하되는 혼합 물체를 회전에 의하여 비산시키는 원형 회전판과 복수의 비산날개가 일정 간격의 방사상으로 형성된 원심회전 비산부; 및 상기 원심회전 비산부에 의하여 비산되는 혼합 물체를 비산 궤적에 따라 분리하여 수집하는 복수의 수집통을 포함하는 수집부; 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수집통의 외벽은 서로 일정한 간격을 가진 원통형의 외벽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자 분리 시스템이 제공된다.
또한, 상기 복수의 수집통의 외벽은 외측으로 갈수록 높이가 크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원형 회전판은 하향으로 경사진 원뿔 형태미며, 상기 비산날개는 상기 회전판 표면에 비하여 상향 방향으로 형성된 날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원형 회전판은 표면에 홈 또는 굴곡부를 더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복수의 수집통의 외벽은 각각 높이가 가변되는 구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집부는 각 수집통 사이의 내, 외측 벽에 부착되는 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긁개와 브러시 장치를 더 포함하되, 상기 긁개는 회전식 입자 분리시스템의 중심부를 회전 중심으로 회전 작동하는 교반로드의 일측에 연결되어 복수의 수집통의 사이를 일정 주기로 회전 이동하면서 내, 외측 벽에 부착된 물질을 제거하며, 상기 브러시 장치는 상기 교반로드의 일측에 구동장치에 의해 연결된 회전용 축에 연결되며, 복수의 수집통 사이에서 브러시가 회전하면서 부착 물질을 제거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원심회전 비산부는 원형 회전판의 원주상에 방사상으로 연장하여 길게 형성되는 복수의 타격날개를 더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타격날개는 회전중심부를 중심으로 상하 경사각을 가지는 다단으로 형성하되, 상단부의 타격날개는 하단부의 타격날개보다 적은 하향 경사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단부의 타격날개는 하단부의 타격날개보다 더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단부의 타격날개는 하단부의 타격날개보다 각 날개 간격이 크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분리용 혼합물체는, 조대물이 투입되어 이송되는 제1 조대물 분리 컨베이어, 상기 제1 조대물 분리 컨베이어의 일측 하부에 설치되며 제1 매쉬망으로 형성된 제1 조대물 분리 플레이트 및 상기 제 조대물 플레이트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제1 매쉬망을 통과하는 제1차 조대물을 수집하는 제1 조대물 수집 호퍼를 포함하는 제1차 조대물 컨베이어 분리장치; 에 의하여 분리된 상기 제1차 조대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차 조대물은 상기 제1차 조대물 수집 호퍼의 하부로부터 제1차 조대물을 제1 이송컨베이어에 의하여 상기 물체 투입부의 입구부로 이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1 이송컨베이어의 후단 회전축의 휠부를 자화된 자성체로 하거나 자성체를 포함하도록 자성부를 형성하고 상기 자성부에 의하여 상기 제1차 조대물로부터 금속체를 분리하여 상기 휠부와 이송컨베이어 벨트가 이격되는 하부 지점에서 수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분리용 혼합물체는, 조대물이 투입되어 이송되는 제1 조대물 분리 컨베이어, 상기 제1 조대물 분리 컨베이어의 일측 하부에 설치되며 제1 매쉬망으로 형성된 제1 조대물 분리 플레이트 및
상기 제 조대물 플레이트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제1 매쉬망을 통과하는 제1차 조대물을 수집하는 제1 조대물 수집 호퍼를 포함하는 제1차 조대물 컨베이어 분리장치; 상기 제1차 조대물 수집 호퍼의 하부로부터 제1차 조대물을 제2 조대물 분리장치로 이송하여 제2 조대물 분리 컨베이어의 투입 위치에 투입시키는 제2 이송컨베이어; 상기 제2 조대물 분리 컨베이어의 일측 하부에 설치되며 제2 매쉬망으로 형성된 제2 조대물 분리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조대물 분리 플레이트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2 매쉬망을 통과하는 제2차 조대물을 수집하는 제2 조대물 수집 호퍼를 포함하는 제2차 조대물 컨베이어 분리장치; 에 의하여 분리된 상기 제2 차 조대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분리용 혼합물체는, 조대물이 투입되어 이송되는 제1 조대물 분리 컨베이어, 상기 제1 조대물 분리 컨베이어의 일측 하부에 설치되며 제1 매쉬망으로 형성된 제1 조대물 분리 플레이트 및 상기 제 조대물 플레이트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제1 매쉬망을 통과하는 제1차 조대물을 수집하는 제1 조대물 수집 호퍼를 포함하는 제1차 조대물 컨베이어 분리장치; 상기 제1차 조대물 수집 호퍼의 하부로부터 제1차 조대물을 제2 조대물 분리장치로 이송하여 제2 조대물 분리 컨베이어의 투입 위치에 투입시키는 제2 이송컨베이어, 상기 제2 조대물 분리 컨베이어의 일측 하부에 설치되며 제2 매쉬망으로 형성된 제2 조대물 분리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조대물 분리 플레이트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2 매쉬망을 통과하는 제2차 조대물을 수집하는 제2 조대물 수집 호퍼를 포함하는 제2차 조대물 컨베이어 분리장치; 상기 제2 조대물 수집 호퍼의 하부로부터 제2차 조대물을 제3 조대물 분리장치로 이송하여 제3 조대물 분리 컨베이어의 투입 위치에 투입시키는 제2 이송컨베이어, 상기 제3 조대물 분리 컨베이어의 일측 하부에 설치되며 제3 매쉬망으로 형성된 제3 조대물 분리 플레이트 및 상기 제3 조대물 분리 플레이트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3 매쉬망을 통과하는 제3차 조대물을 수집하는 제3 조대물 수집 호퍼를 포함하는 제2차 조대물 컨베이어 분리장치; 에 의하여 분리된 상기 제3차 조대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 매쉬망의 구멍 크기는 상기 제1 매쉬망의 구멍 크기보다 작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3 매쉬망의 구멍 크기는 상기 제2 매쉬망의 구멍 크기보다 작고, 상기 제2 매쉬망의 구멍 크기는 상기 제1 매쉬망의 구멍 크기보다 작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조대물 분리 플레이트 또는 상기 제2 조대물 플레이트의 입구측 또는 출구측에는 상하, 또는 불규칙 진동을 발생시키는 바이브레이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 1 이송컨베이어 또는 상기 제2 이송컨베이어의 후단 회전축의 휠부를 자화된 자성체로 하거나 자성체를 포함하도록 자성부를 형성하고 상기 자성부에 의하여 상기 제1차 조대물 또는 제2차 조대물로부터 금속체를 분리하여 상기 휠부와 이송컨베이어 벨트가 이격되는 하부 지점에서 수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1 이송컨베이어 또는 제2 이송컨베이어의 일측에 컨베이어벨트를 상, 하에서 밀착시켜서 덩어리진 물체를 깨트리는 기능을 가진 압착 롤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혼합된 물체를 크기 및 비중에 따라 세밀하고 효과적으로 분리 선별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퇴비에 포함되어 있는 조대물 및 금속을 세밀하고 효과적으로 분리하고 분리된 물질은 각각의 용도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퇴비나 토양 등의 이용효과를 높일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대물을 분리하기 위한 컨베이어식 입자 분리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2 내지 4는 도 1의 컨베이어식 입자 분리 장치 중 조대물 컨베이어 분리장치의 유형을 도시한 것이다.
도 5,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회전식 입자 분리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입자 분리장치의 실시 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제1, 제2 등과 같은 용어는 동일 또는 상응하는 구성 요소들을 구별하기 위한 식별 기호에 불과하며, 동일 또는 상응하는 구성 요소들이 제1, 제2 등의 용어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대물을 분리하기 위한 컨베이어식 입자 분리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조대물(coarse)은 퇴비 등에 포함되어 있는 소형 입자상 물질 중에 포함된 철물 및 일정한 크기이상의 자갈, 흙덩어리, 돌덩어리 및 건설 폐자재 등을 포함하는 선별용 조대성 입자들의 집합체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입자 분리 시스템은 제1차 조대물 컨베이어 분리장치(401), 제2차 조대물 컨베이어 분리 장치(402) 및 제3차 조대물 컨베이어 분리장치(403) 등으로 이루어지는 다수의 조대물 컨베이어 분리장치를 포함하며, 다수의 조대물 컨베이어 분리장치 사이를 컨베이어(301, 321, 331)로 이송하는 다단 컨베이어 입자분리장치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입자 분리 시스템의 투입 호퍼로부터 분리를 요하는 조대물이 제1차 조대물 컨베이어 분리장치(401)의 조대물 분리 플레이트(720)에 투입된다.
제1차 조대물 컨베이어 분리장치(401)에서 입경의 크기가 30㎜ 이상 되는 제1차 조대물이 분리 배출되어 제1차 조대물 적재부에 적재되고, 제1차 조대물 컨베이어 분리장치(401)에서 분리된 제1차 소입자물은 제1 이송 컨베이어(301)의 투입부 상면으로 낙하되어 제2차 조대물 컨베이어 분리장치(401)로 이송된다.
예를 들면, 제1 이송컨베이어(301)는 제1 조대물 수집 호퍼의 하부로부터 제1차 조대물을 제2 조대물 분리장치로 이송하여 제2조대물 분리 컨베이어(321)의 투입 위치에 투입시킨다. 또한, 제2 이송컨베이어는 제2 조대물 수집 호퍼의 하부로부터 제2차 조대물을 제3 조대물 분리장치로 이송하여 제3 조대물 분리 컨베이어(331)의 투입 위치에 투입시킨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내지 3 이송컨베이어 장치는 투입측의 전단 회전축의 휠부와 배출측의 후단 회전축의 휠부가 이송컨베이어(301, 321, 331)에 의하여 연결되는 무한 궤도 형식으로 장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순차적으로 다단 조대물 컨베이어 분리장치를 거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후단 회전축은 전단 회전축보다 높게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 내지 3 이송컨베이어 장치는 제1 내지 3 이송컨베이어의 후단 회전축의 휠부(311, 322, 332)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에서는 후단 회전축 휠부를 자화된 자성체로 하거나 자성체를 포함하는 자화부를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자화된 자성체는 영구 자석 또는 전자석일 수 있다.
후단 회전축의 휠부(311, 322, 332)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에서 자성체가 장착되면, 비자성체로 이루어진 소입자물은 후단 회전축의 휠부(311, 322, 332)의 수평지점인 자유 낙하 지점에서 먼저 낙하하게 되고, 금속체는 후단 회전축의 휠부(311, 322, 332)를 따라서 더 이동되다가 후단 회전축의 휠부(311, 322, 332)와 컨베이어 벨트(301, 321, 331)가 이격되어 자력이 소멸되는 부분에서 낙하하게 된다.
즉, 후단 회전축의 휠부(311, 322, 332)에 자성을 띠도록 하면, 비자성체로 이루어진 소입자물과 금속류와 서로 다른 궤적으로 낙하하게 되므로 컨베이어 벨트(301, 321, 331)가 수평 전환점을 통과하여 방향을 바꾼 후에 자력이 미치지 않는 거리가 되면 분리되어 수거통에 모아지는 형태로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의하면, 이송컨베이어의 상단부 일측에 상기 컨베이어벨트를 상, 하에서 밀착시키는 압착 롤러(312)가 더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압착 롤러(312)에 의하여 덩어리진 소물질을 깨트려서 고형분의 분말화를 촉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2차 조대물 컨베이어 분리장치(402)에서 입경의 크기가 20 ~ 30㎜ 범위의 제2차 조대물이 분리 배출되어 제2차 조대물 적재부에 적재되고, 제2차 조대물 컨베이어 분리장치(401)에서 분리된 제2차 소입자물은 제2 이송 컨베이어(301)의 이송컨베이어의 투입부 상면으로 낙하되어 제3차 조대물 컨베이어 분리장치(403)로 이송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3차 조대물 컨베이어 분리장치(403)에서 입경의 크기가 10 ~ 20㎜ 범위의 제3차 조대물이 분리 배출되어 제3차 조대물 적재부에 적재되고, 제3차 조대물 컨베이어 분리장치(403)에서 분리된 제3차 소입자물은 또 다른 단계의 조대분리장치로 이송되어 분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분리 이송컨베이어 장치를 여러 개 병렬로 운영되며, 후단부로 갈수록 좀 더 미세한 분말이 분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일정 규격의 간극을 지닌 컨베이어에 올려진 퇴비나 토양 등이 이송되는 과정에서 컨베이어 간극보다 큰 물질인 조대성 입자와 작은 입자와 같은 물체들이 크기 별로 다단으로 분리될 수 있다.
도 2 내지 4는 도 1의 조대물 컨베이어 분리장치의 유형을 도시한 것이다.
도 2 내지 4를 참조하면, 조대물의 서로 다른 입자 크기의 입자들을 분리하기 위하여 조대물 컨베이어 분리장치에서 조대물 분리 플레이트(720)에 입자분리를 선별하기 위한 조대물이 투입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조대물 분리 플레이트(720)는 일정한 크기의 공간을 가지는 매쉬망 또는 복수의 구멍이 형성된 다공판을 포함하여 형성된다. 조대물 분리 플레이트(720) 상부 공간에는 이송용 가이드(750)가 장착된 조대물 컨베이어(760)가 일정한 속도로 조대물을 이송시킨다.
조대물 분리 플레이트(720)에 조대물이 투입되면, 조대물은 조대물 분리 플레이트(720)를 통과하면서 일정 크기 이하의 분리 입자들은 소입자 수집 호퍼(700) 내부로 낙하되어 분리 수집되고 나머지는 조대물 배출부(830)로 이송된다.
상기 조대물 분리 플레이트(720)까지 이송시키는 조대물 컨베이어(760)의 나머지 이송 구간의 하부는 좌우에 안내벽을 가지며 하부가 밀폐된 안내 플레이트로 형성된다.
안내 플레이트를 거쳐서 이송된 조대물은 조대물 분리 플레이트(720)의 매쉬망을 통하여 일정 크기 이하의 조대물들이 분리하여 낙하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2차 조대물 컨베이어 분리장치는 제1차 조대물 컨베이어 분리장치보다 상기 조대물 분리 플레이트(720)의 매쉬망 공간 크기 또는 구멍의 크기가 작게 형성되며, 제3차 조대물 컨베이어 분리장치는 제2차 조대물 컨베이어 분리장치보다 상기 조대물 분리 플레이트(720)의 매쉬망 공간 크기 또는 구멍의 크기가 작게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퇴비 또는 퇴비 펠렛의 경우 제1차 조대물 컨베이어 분리장치의 조대물 분리 플레이트 매쉬망의 일측 변은 30 ~ 50 ㎜, 제2차 조대물 컨베이어 분리장치의 조대물 분리 플레이트 매쉬망의 일측 변은 20 ~ 35㎜, 제1차 조대물 컨베이어 분리장치의 조대물 분리 플레이트 매쉬망의 일측 변은 10mm ~ 25㎜ 범위의 사각 매쉬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소입자 수집 호퍼(700) 하단에는 이송컨베이어의 투입부가 위치되도록 이송컨베이어(701)가 설치된다.
소입자 수집 호퍼(700)에서 수집 분리된 소입자들은 이송컨베이어의 투입부 상면으로 낙하되어 다음 단계로 이송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이송컨베이어의 투입부 상면으로 낙하되어 이송된 소입자들은 다시 2차 분리과정으로 이송될 수 있다.
조대물 분리 플레이트(720)의 매쉬 공간보다 큰 조대물은 조대물 컨베이어(760)의 이송용 가이드(761)에 의하여 조대물 분리 플레이트(720)의 상부를 통과하여 조대물 배출부(830)로 이송된다.
도 2, 3에 따르면, 조대물 배출부(830)는 상부 공간에는 조대물 컨베이어(760)의 궤도 가이드가 형성되고 그 하부에는 조대물 수집호퍼(800)가 설치된다.
도 4에 따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조대물 배출부는 조대물 컨베이어(760)의 외측 하부에 형성되고 그 하부에는 조대물 수집 호퍼(800)가 설치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조대물 분리 플레이트(720)의 후단부에 후단 가이드롤러 또는 후단 가이드기어(901)가 설치되며, 조대물 컨베이어(760)는 후단 가이드 롤러 또는 가이드 기어(901)에서 방향이 하단 가이드 롤러 또는 가이드 기어(903)측으로 전환되도록 형성된다. 하단 가이드 롤러 또는 가이드 기어(903)측을 통과한 조대물 컨베이어(760)는 전단 가이드 롤러 또는 가이드 기어(903)를 거쳐서 조대물 분리 플레이트(720) 측으로 회전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조대물 분리 플레이트(720) 입구측과 출구측에는 조대물의 낙하를 돕기 위하여 상하, 또는 불규칙 진동을 발생시키는 바이브레이터(710 vibrator)가 포함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조대물 분리 플레이트(720)의 매쉬 공간보다 큰 조대물은 조대물 컨베이어(760)의 이송용 가이드(761)에 의하여 조대물 분리 플레이트(720)의 상부를 통과한 후, 후단 가이드 롤러 또는 가이드 기어(901)에서 방향이 전환되어 조대물 컨베이어(760)의 외측 하부로 낙하가게 된다.
조대물 컨베이어(760)의 후단 가이드 롤러 또는 가이드 기어(901)의 외측 하부에는 조대물 수집 호퍼(800)가 설치되어 낙하되는 조대물이 수집된다.
조대물 수집 호퍼(800)에서 수집된 조대물은 배출 컨베이어(801)로 이송되어 적재되거나 배출될 수 있다.
도 2, 3을 참조하면 조대물 컨베이어(760)는 폐회로를 이루는 궤도 형식의 체인 또는 벨트 타입으로 형성되며 각 방향전환 지점에는 가이드롤러 또는 가이드기어 (711 ~ 714)가 설치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가이드롤러 또는 가이드기어 (711 ~ 714) 중 어느 하나는 구동장치와 연결된 구동기어이거나, 구동기어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가이드 기어 (711 ~ 714)는 체인기어 또는 벨트기어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조대물 컨베이어(760)의 궤도 일측에는 부착된 이물질이나 노끈 등의 불순물을 제거하기 위하여 회전 또는 직선운동으로 조대물 컨베이어(760)의 벨트를 쓸어서 털어주는 브러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조대물 분리 플레이트(720) 입구측과 조대물 배출부 출구측에는 조대물의 낙하를 돕기 위하여 상하, 또는 불규칙 진동을 발생시키는 바이브레이터(vibrator)을 포함한다.
도 2 내지 4를 참조하면, 분리된 조대물을 배출하는 조대물 배출부는 조대물 컨베이어의 회전반경 내에 있거나 아니면 회전 반경 바깥에 위치하게 구성될 수 있다.
도 2, 3은 조대물 컨베이어의 회전반경 내에 조대물 수집부가 위치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 3을 참조하면, 조대물 컨베이어 상단에 조대물 수집부가 위치되며, 도 3은 조대물 컨베이어 하단에 조대물 수집부가 위치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조대물 컨베이어의 회전반경의 바깥에 조대물 수집부가 위치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회전식 입자 분리시스템을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퇴비와 같이 가벼운 물질을 대상으로 하여 좀 더 작은 분말을 분리해 내기 위해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회전식 분리시스템이 채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차 조대물 컨베이어 분리장치, 제2차 조대물 컨베이어 분리장치 및 제3차 조대물 컨베이어 분리장치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공정에 의하여 분리된 분리용 혼합물체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회전식 분리시스템에 의하여 선별적으로 다시 분리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차, 제2차 또는 제3차 조대물은 상기 제1차, 제2차 또는 제3차 조대물 수집 호퍼의 하부로부터 각 차별 조대물을 이송컨베이어에 의하여 회전식 입자 분리 시스템의 물체투입부(110)의 입구부로 이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회전식 입자 분리시스템은 분리용 물체 투입부(110), 수직 풍력을 발생시키는 송풍부(21) 분리용 물체를 회전에 의하여 비산시키는 원심회전 비산부, 비산되는 입자물을 분리하여 수집하기 위하여 는 다수개의 수집통(61, 62, 63, 64)으로 구성된 수집부 및 분리 수집된 입자물을 배출시키는 배출부(51 ~ 54)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다수개의 수집통은 제1 내지 제4 수집통으로 구성되며, 제4 수집통은 최외곽 수집통(61)을 의미하며, 제1 수집통은 중심부에 위치한 중앙 수집통(64)을 의미한다.
제 1 내지 제4 수집통의 외벽은 중심으로부터 일정한 간격을 가지고 이격되는 원통형의 외벽으로 형성된다.
분리용 혼합 물체 투입부(110)는 분리하고자 하는 혼합 물체를 회전식 입자 분리시스템의 중앙부 측으로 투입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송풍부(21)는 수직 하방으로 풍력을 발생시켜서 분리하고자 하는 물체 중 가벼운 물질은 중앙에 위치한 중앙 수집통(64)으로 빨리 낙하하도록 하며, 분리하고자 하는 물체에 수직 하방으로 낙하하는 수직력을 가속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송풍부(21)의 송풍팬은 외곽에 고정된 지지 프레임에 부착된 지지베어링에 의하여 지지되는 송풍축에 연결되며 송풍축에 연결된 모터에 의하여 구동력이 전달된다.
원심회전 비산부는 하향으로 경사진 원형 회전판(22)과 다수개의 비산날개(29)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회전판(22) 표면에는 홈이나 굴곡부를 더 포함하여 회전에 의한 원심력이 잘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회전판(22)에 부착된 비산날개는 회전판 표면에 비하여 상향의 날개를 갖는 다수개의 비산날개(29)를 포함한다.
또는 원심회전 비산부는 회전판(22)에 원형의 링을 다수 개 형성하고 원형의 링 표면에 상향의 각도를 갖는 다수개의 비산날개를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분리할 물질이 중심쪽에서 외곽 수집통의 수집벽면 측으로 비산되도록 경사지게 형성하고, 비틀림각을 주어 일방향으로 회전하며 진행하도록 형성할 수 있다.
비산날개는 하강하는 물체 및 회전판으로부터 반사되는 물체를 타격하여 원심력을 가지면서 비산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분리용 물체 투입부(110)에서 중앙부로 투입되는 분리용 혼합 물체는 송풍부(21)에서 수직 하방으로 발생시키는 수직력과 원심회전 비산부의 회전판(22)과 비산날개(29)에 의하여 발생되는 원심력이 더해진다.
혼합 물체들은 수직력과 원심력에 의하여 질량이 큰 물질일수록 회전반경이 크게 발생되고 질량이 작은 물체일수록 회전반경이 작게 발생되어, 중심부에는 미세한 분말들이 낙하되고 중심부에서 멀어질수록 질량이 점점 커지는 물체들이 회전 비산하면서 낙하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회전식 입자 분리시스템의 수집부는, 혼합물체가 질량별로 분리되어 비산 낙하되는 입자들을 분리하여 수집하기 위하여 외곽벽의 직경 및 높이를 달리하도록 구성된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다수 개의 수집통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중앙부에는 가벼운 물질 및 미세 분말들을 수집할 수 있는 원통형으로 형성된 제1 수집통(64)이 설치된다.
제1 수집통(64)의 외측에는 제1수집통의 외벽과 일정한 간격을 가지고 형성되며, 제1수집통의 외벽의 높이 이상의 높이를 가지는 원통형의 제2수집벽으로 형성된 제2수집통(63)이 설치된다.
즉, 제2수집벽은 제1수집통의 외벽과 같거나 높게 설치될 수 있다.
제2수집통(63)은 제1수집통(64)으로 낙하되는 물체보다 질량이 무거운 입자가 비산 낙하되어 수집된다.
제2수집통(63)의 외측에는 제2수집벽과 일정한 간격을 가지고 형성되며 제2수집벽보다 큰 높이를 가지는 원통형의 제3수집벽으로 형성된 제3수집통(62)이 설치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3수집통(62)은 제2수집통(63)으로 낙하되는 물체보다 질량이 무겁고, 제4수집통(61)으로 낙하되는 물체보다 질량이 가벼운 입자가 비산 낙하되어 수집될 수 있다.
제3수집통(62)의 외측에는 제3수집벽과 일정한 간격을 가지고 형성되며 제3 수집벽보다 큰 높이를 가지는 원통형의 제4수집벽으로 형성된 제4수집통(61)이 설치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2 내지 제4 수집벽은 높이가 상하로 가변될 수 있도록 가변구조를 채택함으로써, 혼합 물체의 종류에 따른 비산 궤적에 맞추어 효율적으로 분리 수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회전식 입자 분리시스템은, 중앙 수집통에는 비중이 가벼운 입자가 수집되고 외측 수집통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비중이 무거운 물체들이 수집됨으로써, 혼합물체들을 비중에 따라 효율적으로 분리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회전식 입자 분리시스템의 수집부는 각 수집통의 내측 벽에 부착되는 고형물을 제거하기 위한 긁개와 브러시를 더 포함한다.
긁개는 회전식 입자 분리시스템의 중심부를 회전 중심으로 회전 작동하는 교반로드(68)의 일측에 연결되며, 제2 내지 제4 수집통의 내부를 일정 주기로 회전 이동하면서 긁개는 내부벽에 고형물이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브러시 장치(65)는 교반로드(68)의 일측에 구동장치에 의해 연결된 회전용 축에 연결되며, 제2 내지 제4 수집벽 사이에 부착되는 고형물을 브러시가 회전하면서 제거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브러시 장치(65)는 제2 내지 제4 수집벽 사이를 이동해 가면서 홈의 벽에 부착된 고형물을 떼어내고 홈의 바닥에 쌓여진 고형물을 쓸어서 이동시킨다,
또한, 브러시 하단부에는 제2 내지 제4 수집통의 바닥과 나란한 방향으로 또 다른 긁개가 부착되어 있어 제2 내지 제4 수집통의 바닥에 쌓여진 고형물을 긁어서 이동시킬 수 있다.
제1 내지 제4 수집통의 바닥의 일부분에는 분리 수집된 입자들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구(51 ~ 54)가 형성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회전식 입자 분리시스템을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도 6의 회전식 입자 분리 시스템은 도 5의 회전식 입자 분리시스템과 동일한 구조이나, 원심회전 비산부의 구조만 달리 채택한 것이다.
도 6은 도 5의 회전식 입자 분리시스템의 원심회전 비산부와 동일한 형상의 회전판(250) 및 비산날개(290)를 가지며 회전판(250)의 원주상에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타격날개를 연장하여 길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단부의 타격날개(210)는 수평면보다 작은 경사 각도를 가지고 중단부(220) 또는 하단부(230)의 타격날개는 하단부측으로 갈수록 높은 경사각도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타격날개의 경사각도에 의해 하단부의 타격날개에 부딪히는 물체는 비산 궤적 거리가 작게 되고 상단부에 부딪히는 물체는 비산 궤적 거리가 길게 될 수 있다.
또한, 도 6, 7을 참조하면, 원심회전 비산부의 하단부는 방사상으로 다수개의 타격날개(210, 220, 230)가 형성된다.
또한, 원심회전 비산부의 하단부에서 상단부로 갈수록 각 비산날개 사이의 좁은 간격이 넓어지며, 회전판으로부터 연장되는 타격날개의 길이가 길어지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하단부에 형성된 간격이 좁은 타격날개(230)에 부딪히는 물체는 상단부에 형성된 간격이 넓은 타격날개로부터 빠져나온 입자일 수 있다.
즉, 상단부의 타격날개(210)는 작은 입자들이 빠져나갈 수 있도록 중단부(220) 또는 하단부의 타격날개(230)보다 넓은 간격을 가지고 크기가 큰 물체가 타격시 멀리 비산되는 궤적을 가지도록 수평면과의 경사각도를 중단부 또는 하단부의 타격날개(220, 230)보다 작게 하고 날개 길이를 길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타격날개의 길이가 길수록 타격속도가 높아져서 비산 궤적이 더 멀리까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3수집통(62)은 제2수집통(63)으로 낙하되는 물체보다 질량이 무겁고 크기가 큰 입자가 수집되며, 제4수집통(61)으로 낙하되는 물체보다 질량이 가볍고 크기가 작은 입자가 수집될 수 있다.
도 6,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회전식 입자 분리시스템은 비중뿐이 아니고 크기까지 선별하여 분리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회전식 입자 분리시스템은, 중앙 수집통에는 비중이 가볍고 크기가 작은 입자가 수집되고 외측 수집통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비중이 무겁고 크기가 큰 물체들이 수집됨으로써, 혼합물체들을 비중 및 크기에 따라 효율적으로 분리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회전식 입자 분리시스템은 독립적으로 혼합 물체를 분리하기 위하여 설치되거나, 또는 도 1에 따른 컨베이어식 입자 분리 시스템의 후단에서 분리된 소입자 들을 분리 수집하기 위하여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회전식 입자 분리시스템은 도 1에 따른 컨베이어식 입자 분리 시스템의 제1 내지 제3차 조대물 컨베이어 분리장치 중 어느 한 단계에서 분리된 소입자물을 다시 분리 수집하기 위하여 제1 내지 제3차 조대분리장치 중 어느 한 단계와 조합하여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컨베이어식 입자 분리 시스템에서 크기가 큰 조대성 입자와 금속류 등을 분리하고 남은 소입자 들을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 5 또는 도 6의 회전식 입자 분리시스템을 적용하여 분리된 소입자물을 비중 또는 크기에 따라 분리 수집할 수 있다.
10, 20: 회전식 입자 분리 시스템
21: 송풍부
22, 250: 회전판
29, 290: 비산날개
51, 52, 53, 54: 배출부
61, 62, 63, 64: 수집통
65: 브러시 장치
68: 교반로드
100: 컨베이어식 입자 분리 시스템
110: 물체 투입부
210, 220, 230: 타격날개
301, 321, 331: 이송컨베이어
311, 322, 332: 휠부
312: 압착롤러
401, 402, 403: 조대물 컨베이어 분리 장치
700, 800: 수집호퍼
720: 조대물 분리 플레이트
760: 조대물 분리 컨베이어
830: 배출부

Claims (20)

  1. 분리용 혼합 물체를 분리 수집하기 위한 입자 분리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분리용 혼합 물체가 상기 입자 분리 시스템의 회전 중심부를 향하여 투입되는 물체 투입부;
    상기 입자 분리 시스템의 상부에서 상기 투입되는 혼합 물체에 수직 운동력을 가중시키는 송풍부;
    상기 송풍부와 대면하는 위치에서 상기 물체 투입부의 하부측에 설치되며, 상기 수직 운동력을 받아 낙하되는 혼합 물체를 회전에 의하여 비산시키는 원형 회전판과 복수의 비산날개가 일정 간격의 방사상으로 형성된 원심회전 비산부; 및
    상기 원심회전 비산부에 의하여 비산되는 혼합 물체를 비산 궤적에 따라 분리하여 수집하는 복수의 수집통을 포함하는 수집부; 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수집통의 외벽은 중심으로부터 일정한 간격을 가지고 이격되는 원통형의 외벽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중심으로부터 외측으로 갈수록 높이가 더 크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자 분리 시스템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원형 회전판은 하향으로 경사진 원뿔 형태미며, 상기 비산날개는 상기 회전판 표면에 비하여 상향 방향으로 형성된 날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자 분리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원형 회전판은 표면에 홈 또는 굴곡부를 더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자 분리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수집통의 외벽은 각각 높이가 가변되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자 분리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집부는 각 수집통 사이의 내, 외측 벽에 부착되는 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긁개와 브러시 장치를 더 포함하되,
    상기 긁개는 상기 입자 분리시스템의 중심부를 회전 중심으로 회전 작동하는 교반로드의 일측에 연결되어 복수의 수집통의 사이를 일정 주기로 회전 이동하면서 내, 외측 벽에 부착된 물질을 제거하며, 상기 브러시 장치는 상기 교반로드의 일측에 구동장치에 의해 연결된 회전용 축에 연결되며, 상기 복수의 수집통 사이에서 브러시가 회전하면서 부착 물질을 제거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자 분리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심회전 비산부는 상기 원형 회전판의 원주상에 방사상으로 연장하여 길게 형성되는 복수의 타격날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자 분리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타격날개는 회전중심부를 중심으로 상하 경사각을 가지는 다단으로 형성하되, 상단부의 타격날개는 하단부의 타격날개보다 적은 하향 경사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자 분리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부의 타격날개는 하단부의 타격날개보다 더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자 분리 시스템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부의 타격날개는 하단부의 타격날개보다 각 날개 간격이 크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자 분리 시스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용 혼합물체는,
    조대물이 투입되어 이송되는 제1 조대물 분리 컨베이어,
    상기 제1 조대물 분리 컨베이어의 일측 하부에 설치되며 제1 매쉬망으로 형성된 제1 조대물 분리 플레이트 및
    상기 제 조대물 플레이트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제1 매쉬망을 통과하는 제1차 조대물을 수집하는 제1 조대물 수집 호퍼를 포함하는 제1차 조대물 컨베이어 분리장치; 에 의하여 분리된 상기 제1차 조대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자 분리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차 조대물은 상기 제1차 조대물 수집호퍼의 하부로부터 제1차 조대물을 제1 이송컨베이어에 의하여 상기 물체 투입부의 입구부로 이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자 분리 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이송컨베이어의 후단 회전축의 휠부를 자화된 자성체로 하거나 자성체를 포함하도록 자성부를 형성하고 상기 자성부에 의하여 상기 제1차 조대물로부터 금속체를 분리하여 상기 휠부와 이송컨베이어 벨트가 이격되는 하부 지점에서 수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자 분리 시스템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용 혼합물체는,
    조대물이 투입되어 이송되는 제1 조대물 분리 컨베이어,
    상기 제1 조대물 분리 컨베이어의 일측 하부에 설치되며 제1 매쉬망으로 형성된 제1 조대물 분리 플레이트 및
    상기 제 조대물 플레이트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제1 매쉬망을 통과하는 제1차 조대물을 수집하는 제1 조대물 수집 호퍼를 포함하는 제1차 조대물 컨베이어 분리장치;
    상기 제1차 조대물 수집 호퍼의 하부로부터 제1차 조대물을 제2 조대물 분리장치로 이송하여 제2 조대물 분리 컨베이어의 투입 위치에 투입시키는 제2 이송컨베이어;
    상기 제2 조대물 분리 컨베이어의 일측 하부에 설치되며 제2 매쉬망으로 형성된 제2 조대물 분리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조대물 분리 플레이트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2 매쉬망을 통과하는 제2차 조대물을 수집하는 제2 조대물 수집 호퍼를 포함하는 제2차 조대물 컨베이어 분리장치; 에 의하여 분리된 상기 제2 차 조대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자 분리 시스템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용 혼합물체는,
    조대물이 투입되어 이송되는 제1 조대물 분리 컨베이어,
    상기 제1 조대물 분리 컨베이어의 일측 하부에 설치되며 제1 매쉬망으로 형성된 제1 조대물 분리 플레이트 및
    상기 제 조대물 플레이트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제1 매쉬망을 통과하는 제1차 조대물을 수집하는 제1 조대물 수집 호퍼를 포함하는 제1차 조대물 컨베이어 분리장치;
    상기 제1차 조대물 수집 호퍼의 하부로부터 제1차 조대물을 제2 조대물 분리장치로 이송하여 제2 조대물 분리 컨베이어의 투입 위치에 투입시키는 제2 이송컨베이어,
    상기 제2 조대물 분리 컨베이어의 일측 하부에 설치되며 제2 매쉬망으로 형성된 제2 조대물 분리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조대물 분리 플레이트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2 매쉬망을 통과하는 제2차 조대물을 수집하는 제2 조대물 수집 호퍼를 포함하는 제2차 조대물 컨베이어 분리장치;
    상기 제2 조대물 수집 호퍼의 하부로부터 제2차 조대물을 제3 조대물 분리장치로 이송하여 제3 조대물 분리 컨베이어의 투입 위치에 투입시키는 제2 이송컨베이어,
    상기 제3 조대물 분리 컨베이어의 일측 하부에 설치되며 제3 매쉬망으로 형성된 제3 조대물 분리 플레이트 및 상기 제3 조대물 분리 플레이트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3 매쉬망을 통과하는 제3차 조대물을 수집하는 제3 조대물 수집 호퍼를 포함하는 제2차 조대물 컨베이어 분리장치; 에 의하여 분리된 상기 제3차 조대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자 분리 시스템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매쉬망의 구멍 크기는 상기 제1 매쉬망의 구멍 크기보다 작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자 분리 시스템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매쉬망의 구멍 크기는 상기 제2 매쉬망의 구멍 크기보다 작고, 상기 제2 매쉬망의 구멍 크기는 상기 제1 매쉬망의 구멍 크기보다 작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자 분리 시스템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조대물 분리 플레이트 또는 상기 제2 조대물 플레이트의 입구측 또는 출구측에는 상하, 또는 불규칙 진동을 발생시키는 바이브레이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자 분리 시스템
  19.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이송컨베이어 또는 상기 제2 이송컨베이어의 후단 회전축의 휠부를 자화된 자성체로 하거나 자성체를 포함하도록 자성부를 형성하고 상기 자성부에 의하여 상기 제1차 조대물 또는 제2차 조대물로부터 금속체를 분리하여 상기 휠부와 이송컨베이어 벨트가 이격되는 하부 지점에서 수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자 분리 시스템
  20.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이송컨베이어 또는 제2 이송컨베이어의 일측에 컨베이어벨트를 상, 하에서 밀착시켜서 덩어리진 물체를 깨트리는 기능을 가진 압착 롤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자 분리 시스템

KR1020140050069A 2014-04-25 2014-04-25 혼합 물체의 입자 분리 시스템 KR1015769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0069A KR101576989B1 (ko) 2014-04-25 2014-04-25 혼합 물체의 입자 분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0069A KR101576989B1 (ko) 2014-04-25 2014-04-25 혼합 물체의 입자 분리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3546A KR20150123546A (ko) 2015-11-04
KR101576989B1 true KR101576989B1 (ko) 2015-12-14

Family

ID=546000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0069A KR101576989B1 (ko) 2014-04-25 2014-04-25 혼합 물체의 입자 분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7698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2677B1 (ko) * 2019-05-30 2019-12-05 최중경 고철더스트에서 부착된 이물질을 분리하는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474559A (zh) * 2020-11-06 2021-03-12 贲伟 一种玉米粒选种用清理装置
CN116698527B (zh) * 2023-06-05 2024-04-26 北京哈泰克工程技术有限公司 一种大气污染治理用污染物采样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57843A (ja) * 2002-07-24 2004-02-26 Ricoh Co Ltd 分級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るトナーの製造方法
US7473407B2 (en) * 2004-11-19 2009-01-06 Solvay Chemicals Magnetic separation process for trona
KR101195616B1 (ko) * 2012-06-13 2012-10-30 (주)모악환경산업 파쇄와 이물질 박리를 이용한 순환골재 제조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57843A (ja) * 2002-07-24 2004-02-26 Ricoh Co Ltd 分級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るトナーの製造方法
US7473407B2 (en) * 2004-11-19 2009-01-06 Solvay Chemicals Magnetic separation process for trona
KR101195616B1 (ko) * 2012-06-13 2012-10-30 (주)모악환경산업 파쇄와 이물질 박리를 이용한 순환골재 제조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2677B1 (ko) * 2019-05-30 2019-12-05 최중경 고철더스트에서 부착된 이물질을 분리하는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3546A (ko) 2015-1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81916B2 (en) Rotary aggregate washing and classification system
US4940187A (en) Systematic equipments for recycling raw materials from waste wires
CN207343271U (zh) 旋转对齿式生活垃圾分选机
KR101223668B1 (ko) 건축폐기물에서 순환골재와 이물질의 선별 분리장치
US4851110A (en) Air pump separator method and apparatus
CN102921703A (zh) 厨余垃圾预处理工艺及系统
KR101290108B1 (ko) 토사내 이물질 분리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폐기물 선별 시스템
KR101464647B1 (ko) 골재-미분말 선별 생산 장치
KR101017248B1 (ko) 혼합고철폐기물 성상별 선별장치
KR101136047B1 (ko) 토사와 골재에 혼재된 이물질 분리 선별장치
KR101576989B1 (ko) 혼합 물체의 입자 분리 시스템
KR20170008305A (ko) 폐기물의 혼합물을 분류하는 기계 및 연관된 분류 방법
CN213967041U (zh) 一种土壤检测用快速土壤筛分装置
KR100771660B1 (ko) 참빗살 콘베이어를 이용한 토사 이물질 선별장치
JP3342851B2 (ja) 混合廃棄物の分別処理システム
CN202270655U (zh) 弹射式重力分选机
JP2007061737A (ja) 廃プラスチックの選別装置および選別方法
CN113102023A (zh) 一种具有粉碎和磁力分选功能的建筑垃圾加工装置
RU2395352C1 (ru) Устройство первичной сортировки бытового мусора
KR102006454B1 (ko) 건식모래선별장치
KR100904303B1 (ko) 비중 차를 이용한 폐 플라스틱류 습식 선별방법
CN212142836U (zh) 固体废弃物自动筛选粉碎装置
WO2023087078A1 (en) Processes and apparatus for separating target material from particulate mixture
CN115672734A (zh) 一种用于陈腐垃圾的三级筛分系统
KR100639826B1 (ko) 참빗살을 이용한 토사 이물질 선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