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33904B1 - 인조잔디 재활용방법 - Google Patents

인조잔디 재활용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33904B1
KR101333904B1 KR20110061657A KR20110061657A KR101333904B1 KR 101333904 B1 KR101333904 B1 KR 101333904B1 KR 20110061657 A KR20110061657 A KR 20110061657A KR 20110061657 A KR20110061657 A KR 20110061657A KR 101333904 B1 KR101333904 B1 KR 1013339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tificial turf
collecting
waste
grass
waste artific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100616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00873A (ko
Inventor
이선건
Original Assignee
필드터프승목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필드터프승목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필드터프승목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100616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3904B1/ko
Publication of KR201300008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08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39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39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2Separating plastics from other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4Disintegrating plastics, e.g. by milling
    • B29B17/0412Disintegrating plastics, e.g. by milling to large particles, e.g. beads, granules, flakes, sl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2Separating plastics from other materials
    • B29B2017/0213Specific separating techniques
    • B29B2017/0217Mechanical separating techniques; devices therefor
    • B29B2017/0227Vibratory or shaking ta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732Floor covering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52Mechanical processing of waste for the recovery of materials, e.g. crushing, shredding, separation or disassembl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62Plastics recycling; Rubber recyc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조잔디 재활용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폐인조잔디를 수거하는 수거단계; 상기 수거단계에서 수거된 폐인조잔디를 충전재와 잔디카펫으로 분리하는 폐인조잔디 분리단계; 및 상기 폐인조잔디 분리단계에서 얻어지는 충전재로부터 규사와 고무칩을 선별해서 분리하는 충전재 분리단계;로 이루어지며, 종래에 잔디카펫 내에 충전되어 잔디카펫과 함께 전량 폐기처분되었던 규사와 고무칩들이 효율적으로 분리되어 회수가 될 수 있게 되고, 위의 규사와 고무칩은 잔디카펫내에 충전되었던 최초의 상태와 비교하여 손상된 것이 거의 없이 최초의 원형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고 있으므로 폐인조잔디에서 선별되어 회수되는 규사와 고무칩을 다시 그대로 재활용할 수가 있게 되므로 자원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해준다.

Description

인조잔디 재활용방법{METHOD FOR RECYCLING ARTIFICIAL TURF}
본 발명은 인조잔디 재활용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인조잔디 운동장에서 수거되는 폐인조잔디를 효율적으로 수거 및 선별하여 잔디카펫과 충전재를 다시 재활용하도록 하는 인조잔디 재활용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조잔디는 천연잔디의 생육이 곤란한 지역이나, 일조시간이 극히 제한된 고층건물의 북쪽에 접한 옥외지역과 같은 곳에 사용될 목적으로 개발되었으며, 천연잔디에 비하여 시공 후 관리가 용이하고, 유지비용이 저렴하며, 계절의 영향 없이 사계절 푸르름을 유지할 수 있고, 운동하기 적합하도록 표면이 고른 장점 등으로 인하여 최근 인조잔디를 이용하여 운동장을 조성하는 사례가 많아지고 있다.
그러나, 위의 인조잔디는 시공된 이후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인조잔디의 인조모가 마모되거나 갈라짐, 꼬임, 압축, 변색 등의 현상을 나타내면서 점차로 인조잔디로서의 수명을 다하게 되므로 수명이 다하게 된 인조잔디는 새로운 인조잔디의 설치를 위하여 철거를 하게 된다.
그런데, 폐인조잔디를 운동장에서 철거하기 위해서는 먼저 폐인조잔디를 일정폭으로 재단을 한 다음, 재단된 폐인조잔디를 소정 장소로 운반하기 위하여 롤 형태로 감아야 하는데, 이러한 모든 철거관련 작업들이 모두 수작업으로 진행되어야 하기 때문에 철거 관련 작업이 매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장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 수거되는 폐인조잔디들은 인조모가 식모된 잔디카펫 내에 규사와 고무칩으로 이루어지는 충전재가 뒤섞여서 충전된 상태로 있는데, 이들 충전재를 인조모가 식모된 잔디카펫 내에서 효율적으로 선별해서 분리하는 것이 용이하지 아니하므로 이들 폐인조잔디를 모두 폐기처리하고 있어 환경을 오염시키게 되고, 또 자원을 낭비할 수 있는 문제점도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폐인조잔디를 운동장에서 간편하게 수거하여, 폐인조잔디를 충전재와 잔디카펫으로 분리하여 얻어지는 상기 잔디카펫을 재활용할 수 있는 폐인조잔디 재활용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폐인조잔디를 충전재와 잔디카펫으로 분리하여 얻어지는 충전재를 다시 규사와 고무칩으로 선별 분리하여 상기 규사와 고무칩을 다시 재활용할 수 있는 폐인조잔디 재활용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인조잔디 재활용방법은 폐인조잔디를 수거하는 수거단계; 상기 수거단계에서 수거된 폐인조잔디를 충전재와 잔디카펫으로 분리하는 폐인조잔디 분리단계; 및 상기 폐인조잔디 분리단계에서 얻어지는 충전재로부터 규사칩와 고무칩을 선별해서 분리하는 충전재 분리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인조잔디 재활용방법은 폐인조잔디를 수거하는 수거단계; 상기 수거단계에서 수거된 폐인조잔디를 충전재와 잔디카펫으로 분리하는 폐인조잔디 분리단계; 상기 폐인조잔디 분리단계에서 얻어지는 잔디카펫을 조각형태로 파쇄하는 파쇄단계; 상기 파쇄단계에서 파쇄된 잔디카펫을 용융하는 용융단계; 상기 용융단계에서 용융된 용융물에서 녹지 않는 소재를 분리하는 필터링단계; 및 상기 필터링단계를 거친 잔디카펫의 용융물을 성형틀에 투입하여 성형물로 성형하는 성형물성형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인조잔디 재활용방법은, 운동장에서 수거한 폐인조잔디를 충전재와 잔디카펫으로 분리하고, 이때 얻어지는 잔디카펫을 이용하여 배수블럭과 같은 인조잔디 기반 조성용 성형품으로 성형하므로 자원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인조잔디 재활용방법은, 폐인조잔디에서 분리된 충전재에서 규사와 고무칩으로 분리하여 상기 고무칩과 규사를 다시 재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인조잔디 재활용방법은, 폐인조잔디를 운동장에서 철거할 때, 폐인조잔디를 재단과 동시에 재단된 폐인조잔디를 지면에서 이격시켜서 인조잔디의 수거가 매우 간편하게 이루어지므로 인조잔디 수거작업의 작업성이 향상되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인조잔디 재활용방법에서 수거단계를 설명하는 설명도.
도 2는 본 발명의 인조잔디 재활용방법에서 롤형태로 감긴 폐인조잔디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인조잔디 재활용방법에서 수거기와 선별분리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설명도.
도 4는 본 발명의 인조잔디 재활용방법에서 폐인조잔디 분리단계를 설명하는 설명도.
도 5는 본 발명의 인조잔디 재활용방법에서 폐인조잔디 분리단계를 설명하는 설명도.
도 6은 본 발명의 인조잔디 재활용방법에서 선별분리기를 도시한 구성도
도 7은 인조잔디 재활용방법에서 선별분리기의 진동판을 도시한 구성도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진동판의 종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인조잔디 재활용방법에서 파쇄단계를 설명하는 설명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인조잔디 재활용방법에서 용융 및 성형단계를 설명하는 설명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인조잔디 재활용방법을 첨부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인조잔디 재활용방법은, 수명이 다한 폐인조잔디(1)를 수거하여 폐인조잔디(1) 내에 충전된 충전재(1b)를 재활용하기 위한 것으로서, 수거단계와, 폐인조잔디 분리단계와, 충전재 분리단계로 이루어진다.
상기 수거단계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동장에서 수명이 다한 폐인조잔디(1)를 지면(100)에서 이격시켜 수거하는 단계로서, 재단단계와, 이격단계와, 이송단계로 이루어진다.
상기 재단단계에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잔디형태의 인조모(11a)가 식모되고, 충전재(1b)가 충전된 잔디카펫(1a)을 운동장의 지면(100)에서 분리할 수 있도록 폐인조잔디(1)를 설정된 폭과 길이로 재단한다.
상기 이격단계에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재단단계에서 정해진 폭과 길이로 재단된 폐인조잔디(1)의 단부를 들어올려서 상기 폐인조잔디(1)를 지면(100)이나 배수블럭에서 박리하여 이격시킨다.
상기 이송단계에서는, 상기 이격단계에서 지면(100)과 박리되어 이격된 폐인조잔디(1)를 잔디카펫(1a)과 충전재(1b)로 분리될 수 있도록 이송하는 단계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롤 형태로 감아서 후술하는 폐인조잔디 분리단계로 이송되도록 할 수도 있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베어를 통하여 폐인조잔디 분리단계로 이송되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수거단계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수거기를 이용하면, 폐인조잔디(1)의 수거를 효율적으로 진행할 수 있으며, 도 3에 도시된 폐인조잔디 수거기는 대차(10)와, 스크리퍼(SC)와, 이송부(40)로 이루어진다.
상기 대차(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하면에 다수의 바퀴(12)가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부 일측에는 구동엔진(11)이 설치된다. 상기 구동엔진(11)은 통상의 내연기관이나 모터 등으로 구현될 수 있고, 상기 구동엔진(11)과 바퀴(12)의 연결은 통상적인 차량의 동력전달방식으로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대차(10)는 인조잔디를 따라 이동한다.
상기 스크리퍼(SC)는 운동장에서 폐인조잔디(1)를 분리하여 철거하는 철거부이다. 이러한 스크리퍼(SC)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대차(10)의 선단 하부에 경사설치되는 판재이며, 단부가 폐인조잔디(1)의 하부로 삽입되어 대차(10)의 이동에 의해 폐인조잔디(1)를 경사상태로 부상시켜서 후술하는 이송부(40)에 제공한다.
상기 이송부(40)는 대차(10)의 선단부에 설치되어 철거부의 스크리퍼(SC)와 인접한다. 이송부(40)는 대차(10)상에 경사를 이루면서 일렬로 정렬되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다수의 구동롤러(42) 및 이송롤러(43)로 구성된다. 구동롤러(42)는 대차(10)에 설치된 구동모터(41)에 의해 회전 구동되면서 체인(C)이나 벨트와 같은 전동부재를 통해 이송롤러(43)를 회전시킨다. 즉, 구동롤러(42)는 이송롤러(43)와 연동한다.
이러한 구동롤러(42) 및 이송롤러(43)는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외주면에 다수의 돌기가 돌출형성된다. 이러한 돌기는 송곳형 핀으로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구동롤러(42) 및 이송롤러(43)는 폐인조잔디(1)가 핀에 걸리므로 회전되면서 폐인조잔디(1)를 이송한다. 이러한 구동롤러(42) 및 이송롤러(43)는 도시된 바와 같이 송곳형 핀으로 돌기가 형성된 롤러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와 달리 미도시된 스프로킷이나 톱니바퀴로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폐인조잔디 분리단계는, 상기 수거단계에서 수거되어 이송된 폐인조잔디를 잔디카펫(1a)과 충전재(1b)로 분리하는 단계로서,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방법으로 분리되도록 할 수가 있다
먼저, 도 3에 도시된 방법은 상기 수거단계에서 수거된 폐인조잔디(1)를 콘베어의 단부에서 수작업에 의해서 또는 미도시된 가이드에 의해서 만곡시켜서 폐인조잔디(1)의 이송방향을 변경함으로써 충전재(1b)를 낙하시키는 낙하단계와, 상기 낙하단계에서 낙하된 충전재(1b)를 수거통에 수집하는 수집단계로 구성된다.
도 4에 도시된 방법은 상기 충전재(1b)가 수거되는 수거통(20)을 준비하는 수거통 준비단계와, 상기 수거단계에서 수거된 폐인조잔디(1)를 상기 수거통(20)의 개방구 위쪽에서 뒤집는 터닝단계와, 상기 수거통(20)의 개방구의 상부에서 뒤집어진 상기 폐인조잔디(1)를 털어서 상기 충전재(1b)를 수거통(20)에 수거하는 털기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5에 도시된 방법은 상기 수거단계에서 수거된 폐인조잔디(1)를 펼쳐서 전개하는 전개단계와, 상기 전개단계에서 전개된 폐인조잔디(1)를 따라 흡입기를 이동시키면서 충전재(1b)를 흡입하여 흡입기와 연결된 수거통(20)에 수집하는 수집단계로 구성된다.
상기 충전재 분리단계는, 상기 폐인조잔디 분리단계에서 얻어진 충전재(1b)를 규사칩(S)과 고무칩(R)으로 선별하여 분리하는 단계로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폐인조잔디 분리단계에서 얻어지는 상기 충전재(1b)를 선별분리기(70)에 공급하는 공급단계와, 상기 공급단계에서 선별분리기(70)에 공급되는 충전재(1b)를 규사칩(S)와 고무칩(R)으로 선별하여 분리하도록 하는 선별단계와, 상기 선별단계에서 선별되는 고무칩(R)과 규사칩(S)를 제각기 모아서 포집하는 포집단계로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충전재 분리단계는,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선별분리기(70)를 이용하면, 규사와 고무칩을 효율적으로 선별 분리할 수 있으며,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선별분리기(7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송부(40)의 단부에서 낙하되는 충전재(1b)를 공급받을 수 있도록 상기 이송부(40)의 단부에 연속하여 설치하게 되면, 연속작업이 가능하게 되며, 이때, 상기 선별분리기(70)는 도 3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폐인조잔디(1)의 충전재(1b)를 포집하는 다수의 진동판(71)이 설치된다.
상기 진동판(71)은 단수로 구성될 수도 있고, 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로 구성되어 서로 반대방향으로 경사진 상태로 진동가능하게 이격되어 적층 설치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각 진동판(71)은 진동수단으로서 바이브레이터(74)가 구성되며, 하나의 바이브레이터(74)가 공용으로 구성될 수 있고, 또는 각 진동판(71)에 각각의 바이브레이터가 구성되어 각 진동판(71)을 별개로 작동시킬 수도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각 진동판(71)에 하나의 바이브레이터(74)가 소정의 링크수단(미도시)을 통해 연결되어 각 진동판(71)을 동시에 작동시키도록 구성한 것을 그 일 예로 설명한다.
상기 각 진동판(71)은 진동에 의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전재(1b)의 규사칩(S) 및 고무칩(R)을 상부 및 하부로 분리한다. 이때, 규사칩(S)은 자중에 의해 진동판(71)의 바닥에 깔리고, 고무칩(R)은 규사칩(S) 보다 가벼운 자중에 의해 약하게 튀어 오르면서 규사칩(S)의 상부쪽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규사칩(S) 및 고무칩(R)은 진동판(71) 상에서 상부 및 하부로 분리된다.
진동판(71)은 도시된 바와 같이 규사칩(S)의 상부에 적층되는 고무칩(R)을 회수하기 위한 호퍼(73)가 각각 연통 설치된다. 이러한 호퍼(73)는 하나의 관으로서 각 진동판(71)에 대응한 위치에서 각각의 유입구가 분기되어 각 진동판(71)에 연통 설치된다.
이때, 상기 각 진동판(71)에 연통 설치된 호퍼(73)는 도면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진동판(71)의 진동을 흡수할 수 있도록 벨로우즈관 형태로 형성할 수 있고, 또는 각 진동판(71)과 호퍼(73) 사이에 고무판과 같은 진동 흡수용 댐퍼를 별도로 설치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진동판(71)은 내측면에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규사칩(S)의 상부에 적층되는 고무칩(R)을 호퍼(73)의 입구로 안내하여 투입시키는 판상의 가이드(72)가 설치된다. 이러한 가이드(72)는 진동판(71)의 바닥면과 이격된 상태로 진동판(71)의 내측에 설치된다. 이때, 가이드(72)는 진동판(71)의 내측을 경사상태로 가로질러 판재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이드(72)는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되거나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와 구조로 다양하게 변경되어 실시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호퍼(73)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입구가 가이드(72)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가이드(72)와 근접한 상태로 진동판(71)에 설치된다. 상기 유입구(72)는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와 달리 사각형이나 나팔관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충전재(1b)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동판(71)의 진동과 경사에 의해서 진동판(71)을 따라 이동되면서, 규사칩(S) 보다 가벼운 고무칩(R)이 진동판(71)의 진동에 의해 규사칩(S)의 상부로 적층된 후 가이드(72)에 부딪쳐 호퍼(73)로 유입된 다음 미도시된 수집통으로 배출되고, 고무칩(R)보다 무거운 규사칩(S)이 가이드(72)의 하부를 그대로 통과하여 하부의 진동판(71)으로 떨어진다. 이때, 하부의 진동판(71)은 호퍼(73)로 미회수됨에 따라 소량의 고무칩(R)이 혼합된 충전재(1b)를 상부의 진동판(71)으로부터 공급받는다.
최 하단의 진동판(71)은 미도시된 수집통으로 소량의 고무칩(R)이 혼합된 충전재(1b)를 공급할 수 있다. 하지만, 최 하단의 진동판(71)은 도 6과 같이 하부에 분리탱크(80)가 설치될 경우 분리탱크(80)로 소량의 고무칩(R)이 혼합된 충전재(1b)를 공급한다.
상기 분리탱크(8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부의 상부에 소량의 고무칩(R)과 규사칩(S)이 혼합된 충전재(1b)가 유입되는 유입구(82)가 형성되며, 하부의 양단에는 규사칩(S)이 배출되는 규사칩 배출구(83a)과, 고무칩(R)이 배출되는 고무칩 배출구(83)가 각각 형성된다. 이러한 분리탱크(80)는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의 일단부에서 타단부로 갈수록 순차적인 단차를 갖는 단차부(81)가 형성된다. 상기 각 단차부(81)는 유입구(82) 측에서 배출구(83) 측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를 갖는다.
분리탱크(8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유입구(82)측에 유입구(82)측의 반대편으로 공기를 송풍시키기 위한 송풍팬(84)이 설치된다. 이러한 송풍팬(84)은 분리탱크(80)에 유입된 고무칩(R)을 반대편으로 이송한다. 이때, 고무칩(R)은 규사칩(S) 보다 자중이 가벼움에 따라 반대편으로 비산된다. 따라서, 고무칩(R)은 분리탱크(80)의 내부에서 반대편으로 비산되어 분리탱크(80)의 측벽에 부딪힌 후 고무칩 배출구(83)를 통해 배출된다.
결론적으로, 상기 분리탱크(80)로 유입된 규사칩(S)은 무게에 의해 송풍팬(84)의 바람에 날리지 않고 분리탱크(80)의 규사칩 배출구(83a)로 배출되고, 고무칩(R)은 송풍팬(84)의 풍압에 의해 고무칩 배출구(83) 측으로 이동된 후 고무칩 배출구(83)로 배출된다. 물론, 약간의 규사칩(S)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풍팬(84)의 풍압에 의해 고무칩 배출구(83) 측으로 이동할 수 있으나, 자중에 의해 고무칩 배출구(83)와 인접한 부위까지 비산되지 못하고 분리탱크(80)의 단차부(81)에 쌓인다. 이렇게 쌓이는 규사칩(S)은 송풍팬(84)이 정지된 후 작업자에 의해 고무칩 배출구(83)로 배출된다.
여기서, 전술한 규사칩 배출구(83a) 및 고무칩 배출구(83)는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탱크(80)의 하부에 설치된 회수통(90)에 회수된다. 회수통(90)은 규사칩 배출구(83a) 및 고무칩 배출구(83)에 대응하도록 도시된 바와 같이 길게 형성될 수 있으나, 이와 달리 분리되어 규사칩 배출구(83a) 및 고무칩 배출구(83)의 하부에 제각기 설치될 수도 있다.
한편, 분리탱크(8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풍팬(84)의 반대편에 배출덕트(86)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배출덕트(86)는 분리탱크(80)의 내부 공기를 흡입하는 흡기팬(85)이 설치될 수 있다. 흡기팬(85)은 분리탱크(80)의 공기를 흡기하여 고무칩(R)의 이동이 가속화시킬 뿐만 아니라, 고무칩(R)에 섞여 있는 먼지나 잔디형태의 인조모 등과 같은 이물질을 고무칩(R)으로부터 흡입하여 배출덕트(86)로 배출시킨다. 이때, 이물질은 고무칩(R) 보다 자중이 가벼우므로 배출덕트(86)로 흡입된다. 따라서, 상기 분리탱크(80)는 충전재(1b)에 혼합된 이물질을 완전히 제거된 순수한 규사칩(S) 및 고무칩(R)만을 회수한다.
여기서, 전술한 배출덕트(86)는 분리탱크(80)에서 분리된 먼지나 인조모 등과 같은 이물질을 포집하여 저장하는 물탱크(87)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위와 같은 단계를 거쳐서 이루어지는 인조잔디 재활용 방법에 의하면, 종래에 잔디카펫 내에 충전되어 잔디카펫과 함께 전량 폐기처분되었던 규사(S)와 고무칩(R)들이 효율적으로 분리되어 회수가 될 수 있게 되고, 위의 규사와 고무칩은 잔디카펫 내에 충전되었던 최초의 상태와 비교하여 손상된 것이 거의 없이 최초의 원형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고 있으므로 폐인조잔디(1)에서 선별되어 회수되는 규사칩(S)과 고무칩(R)을 다시 그대로 재활용할 수가 있게 되므로 자원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해준다.
한편,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인조잔디 재활용방법은, 상기 폐인조잔디 분리단계에서 얻어지는 잔디카펫을 재활용하기 위한 것으로서, 수거단계와, 폐인조잔디 분리단계와, 파쇄단계와, 용융단계와, 필터링단계와, 성형물성형단계로 이루어진다.
상기 수거단계와 상기 폐인조잔디 분리단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인조잔디 재활용방법에서 설명한 수거단계와 폐인조잔디 분리단계와 동일한 단계이므로 이들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고, 나머지 차이점이 있는 단계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파쇄단계는 상기 폐인조잔디 분리단계에서 얻어진 잔디카펫(1a)을 조각형태로 파쇄하는 단계로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커터(51)와 상부커터(52)가 서로 교합되는 한쌍의 커터(50)가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커터(50)는 외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격자형태로 형성된 다수의 커터날(51a, 52a)이 표면에 마련되며, 한쌍의 커터(50) 사이로 공급되는 잔디카펫(1)을 조각형태의 조각잔디카펫(53)으로 잘게 파쇄한다.
상기 용융단계는, 상기 파쇄된 조각잔디카펫(53)을 용융하는 단계로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파쇄단계에서 파쇄된 조각잔디카펫(53)을 용융기(54)에 공급하여 용융시키며, 이때, 상기 조각잔디카펫(53) 중에서 섬유기포지와 같은 소재는 용융기(54)에서 용융되지 않으므로 이들 녹지 않는 섬유기포지와 같은 소재를 필터링단계에서 걸러낸다.
상기 성형물성형단계는, 상기 필터링단계를 거친 조각잔디카펫(53)의 용융물을 성형틀(55)에 투입하여 성형물로 성형하는 단계로서, 상기 성형물은 인조잔디의 하부에 배치되는 배수블럭이나 또는 충격흡수재와 같은 인조잔디 기반 조성용 성형품 등으로 재활용된다.
위와 같은 단계를 거쳐서 이루어지는 인조잔디 재활용 방법에 의하면, 종래에 잔디카펫 내에 충전된 충전재와 함께 전량 폐기처분되었던 잔디카펫이 효율적으로 분리되어 회수가 될 수 있게 되고, 회수가 된 잔디카펫은 용융기에서 용융된 후 배수블럭과 같은 인조잔디 기반 조성용 성형품으로 다시 재활용할 수가 있게 되므로 자원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해준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인조잔디 재활용 방법에 의하면, 폐인조잔디를 간편하면서도 매우 효율적으로 수거해서 이들 폐인조잔디를 다시 충전재와 잔디카펫으로 일관공정에 의해서 신속하고도 용이하게 분리하게 되므로 작업능률의 향상을 도모할 수도 있는 유용한 방법이다.
전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적용 범위는 이와 같은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동일 사상의 범주내에서 적절한 변경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나타난 각 구성 요소의 형상 및 구조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으므로, 이러한 형상 및 구조의 변형은 첨부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 폐인조잔디 1a: 잔디카펫
1b: 충전재 10 : 대차
11: 구동엔진 12 : 바퀴
20: 수거통 71: 진동판
72: 가이드 73 : 호퍼
R : 고무칩 S: 규사칩
SC : 스크리퍼

Claims (9)

  1. 삭제
  2. 폐인조잔디(1)를 수거하는 수거단계;
    상기 수거단계에서 수거된 폐인조잔디(1)를 충전재(1b)와 잔디카펫(1a)으로 분리하는 폐인조잔디 분리단계;
    상기 폐인조잔디 분리단계에서 얻어지는 잔디카펫(1a)을 조각형태로 파쇄하는 파쇄단계;
    상기 파쇄단계에서 파쇄된 잔디카펫(1a)을 용융하는 용융단계;
    상기 용융단계에서 용융된 용융물에서 녹지 않는 소재를 분리하는 필터링단계; 및
    상기 필터링단계를 거친 잔디카펫(1a)의 용융물을 성형틀에 투입하여 성형물로 성형하는 성형물성형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조잔디 재활용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수거단계는,
    폐인조잔디(1)를 설정된 폭과 길이로 재단하는 재단단계;
    상기 재단단계에서 재단된 폐인조잔디(1)를 지면(100)이나 배수블럭에서 박리하여 이격시키는 이격단계; 및
    상기 이격단계에서 이격된 폐인조잔디(1)를 상기 충전재(1b)와 잔디카펫(1a)으로 분리될 수 있는 위치로 이송하는 이송단계;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조잔디 재활용방법.
  4. 제 2 항에 있어서,상기 폐인조잔디 분리단계는,
    상기 충전재(1b)가 수거되는 수거통(20)을 준비하는 수거통 준비단계;
    상기 수거단계에서 수거된 폐인조잔디(1)를 상기 수거통(20)의 개방구 위쪽에서 뒤집는 터닝단계; 및
    상기 수거통(20)의 개방구의 상부에서 뒤집어진 상기 폐인조잔디(1)를 털어서 상기 충전재(1b)를 수거통(20)에 수거하는 털기단계;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조잔디 재활용방법.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폐인조잔디 분리단계는,
    상기 수거단계에서 수거된 폐인조잔디(1)를 만곡시켜서 충전재(1b)를 낙하시키는 낙하단계; 및
    상기 낙하단계에서 낙하된 충전재(1b)를 수거통에 수집하는 수집단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조잔디 재활용방법.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폐인조잔디 분리단계는,
    상기 수거단계에서 수거된 폐인조잔디(1)를 펼쳐서 전개하는 전개단계; 및
    상기 전개단계에서 전개된 폐인조잔디(1)를 따라 흡입기를 이동시키면서 충전재(1b)를 흡입하여 흡입기와 연결된 수거통(20)에 수집하는 수집단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조잔디 재활용방법.
  7. 삭제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파쇄단계는,
    상기 폐인조잔디 분리단계에서 얻어진 상기 잔디카펫(1a)을, 한 쌍의 롤커터나, 프레스 커터를 이용하여 파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조잔디 재활용방법.
  9.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물성형단계는,
    상기 필터링단계를 거친 용융물을 칩으로 만들어서 배수블럭 또는 충격흡수재와 같은 인조잔디 기반 조성용 성형품으로 성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조잔디 재활용방법.
KR20110061657A 2011-06-24 2011-06-24 인조잔디 재활용방법 KR1013339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10061657A KR101333904B1 (ko) 2011-06-24 2011-06-24 인조잔디 재활용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10061657A KR101333904B1 (ko) 2011-06-24 2011-06-24 인조잔디 재활용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0873A KR20130000873A (ko) 2013-01-03
KR101333904B1 true KR101333904B1 (ko) 2013-11-27

Family

ID=478342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10061657A KR101333904B1 (ko) 2011-06-24 2011-06-24 인조잔디 재활용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3390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052707A (zh) * 2015-09-02 2015-11-18 江苏农林职业技术学院 一种无土草毯生长基质及应用
KR20160139695A (ko) * 2015-05-28 2016-12-07 이정민 인조잔디 회수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936297B1 (en) * 2020-07-10 2022-08-17 FormaTurf GmbH Method for processing artificial turf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08314A (ja) * 1998-06-23 2000-01-11 Toray Ind Inc 敷設済み砂入り人工芝生の回収方法および装置
KR20040027795A (ko) * 2004-03-05 2004-04-01 김승래 낙하와 바람을 이용한 폐기물 선별방법
KR200434303Y1 (ko) 2006-09-29 2006-12-19 주식회사 유경하이테크 사출금형의 노즐 유니트
KR20110077796A (ko) * 2009-12-30 2011-07-07 필드터프승목(주) 인조잔디 회수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08314A (ja) * 1998-06-23 2000-01-11 Toray Ind Inc 敷設済み砂入り人工芝生の回収方法および装置
KR20040027795A (ko) * 2004-03-05 2004-04-01 김승래 낙하와 바람을 이용한 폐기물 선별방법
KR200434303Y1 (ko) 2006-09-29 2006-12-19 주식회사 유경하이테크 사출금형의 노즐 유니트
KR20110077796A (ko) * 2009-12-30 2011-07-07 필드터프승목(주) 인조잔디 회수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39695A (ko) * 2015-05-28 2016-12-07 이정민 인조잔디 회수기
KR101703426B1 (ko) * 2015-05-28 2017-02-06 이정민 인조잔디 회수기
CN105052707A (zh) * 2015-09-02 2015-11-18 江苏农林职业技术学院 一种无土草毯生长基质及应用
CN105052707B (zh) * 2015-09-02 2018-03-09 江苏农林职业技术学院 一种无土草毯生长基质及应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0873A (ko) 2013-0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00325B1 (ko) 인조잔디 회수기
KR101479188B1 (ko) 폐건축물에서 발생된 폐골재에 섞인 이물질 선별장치
KR101479187B1 (ko) 흡입원심배출장치를 구비한 폐건축물에서 발생된 폐골재에 섞인 이물질 선별장치
KR20110074042A (ko) 건식 모래 생산방법 및 장치
CN108686960B (zh) 建筑垃圾干式分选系统
JP5836046B2 (ja) 人工芝のリサイクル工法とリサイクルシステム
KR101333904B1 (ko) 인조잔디 재활용방법
CN204412616U (zh) 一种轻物质风选分离装置
KR20120084825A (ko) 건축폐기물 순환골재 생산용 고압풍력식 이물질 분리장치 시스템
CN112371698A (zh) 土建施工分类装置
CN207915829U (zh) 一种胶鞋残次品的胶料回收系统
CN108607671B (zh) 一种建筑垃圾干式分类分离方法
CN206996798U (zh) 一种移动式建筑垃圾分拣机
CN214107394U (zh) 一种杂物去除装置及再生骨料生产线
CN106076855B (zh) 垃圾自动分选成套设备
KR101703426B1 (ko) 인조잔디 회수기
KR100434799B1 (ko) 건설 폐기물의 재활용을 통한 재생 모래의 제조 방법 및그 장치
KR100423207B1 (ko) 폐기물 흡입 분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폐기물 선별 시스템
KR200450648Y1 (ko) 건설폐기물의 이물질 분리기
KR20170015429A (ko) 인조잔디 회수기
CN205056461U (zh) 振动风力分选机
KR20100011223A (ko) 폐기물 선별분리 시스템
KR20090041483A (ko) 건설폐기물의 이물질 분리기
KR200381990Y1 (ko) 건설 폐기물 처리 장치
CN208020550U (zh) 一种胶鞋残次品破碎料回收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