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3426B1 - 인조잔디 회수기 - Google Patents

인조잔디 회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3426B1
KR101703426B1 KR1020150075037A KR20150075037A KR101703426B1 KR 101703426 B1 KR101703426 B1 KR 101703426B1 KR 1020150075037 A KR1020150075037 A KR 1020150075037A KR 20150075037 A KR20150075037 A KR 20150075037A KR 101703426 B1 KR101703426 B1 KR 1017034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tificial turf
filler
component
discharge
crus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750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39695A (ko
Inventor
이정민
이선건
Original Assignee
이정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정민 filed Critical 이정민
Priority to KR10201500750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3426B1/ko
Publication of KR201601396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96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34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34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3/00Auxiliary methods or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crushing or disintegrating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groups or not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covered by a single preceding group
    • B02C23/08Separating or sorting of material, associated with crushing or disintegr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4/00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roller mills
    • B02C4/02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roller mills with two or more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28Moving scree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swinging, reciprocating, rocking, tilting or wobbling screens
    • B07B1/36Moving scree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swinging, reciprocating, rocking, tilting or wobbling screens jigging or moving to-and-fro in more than one direction

Abstract

본 발명은 인조잔디 회수기에 관한 것으로, 이동 가능한 상태로 기부를 이루는 대차부(3); 상기 대차부(3) 일측에 장착되어, 바닥에 시공된 인조잔디(T)를 바닥으로부터 떼어내는 철거부(5); 상기 철거부(5)에 의해 바닥에서 분리된 상기 인조잔디(T)를 분쇄하기 위해 이송하는 이송부(7); 상기 이송부(7)를 따라 이송되어 온 상기 인조잔디(T)를 분쇄하는 분쇄부(9); 및 상기 분쇄부(9)에서 분쇄된 상기 인조잔디 칩(A,B)을 성분에 따라 분류하는 칩 분류부(11);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따라서 시공면에서 분리된 인조잔디를 분쇄부로 투입하기 전에, 충전재 수거부에 의해 인조잔디로부터 충전재를 빠짐없이 제거하고, 분쇄부에서 분쇄되어 나온 인조잔디 칩을 그 성분에 따라 분류하여 개별적으로 용융시키므로, 용융되어 보관되는 인조잔디 칩의 순도를 크게 높일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인조잔디 회수기{Artificial Turf Reclaimer}
본 발명은 인조잔디 회수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인조잔디를 시공면에서 분리, 수거하고, 분쇄하여, 성분 별로 분류한 뒤 용융시켜 보관하는 일련의 과정을 일관 처리할 수 있도록 한 인조잔디 회수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조잔디는 그 길이가 수십 미터 정도로 감겨 있는 롤에 의해 운동장에 설치된다. 이러한 인조잔디는 잔디형태의 인조모가 식모된 잔디카펫 및 인조모에 충전되는 알갱이 형태의 규사칩 및 고무칩으로 이루어진 충전재로 구성된다. 잔디카펫은 예컨대, PP, PVC 등과 같은 열가소성 화학섬유에 의해 부직포 형태로 제조되며, 인조모에 충전재가 충전된 후 운동장의 지면에 설치된 요철형의 배수블록에 깔린다.
이와 같은 인조잔디는 폐기 시 수작업에 의해 운동장에서 철거된 후 차량으로 운반되어 분쇄된 후 폐기된다. 이때, 잔디카펫은 충전재가 충전된 상태 그대로 롤형태로 다시 감겨져서 운반된다. 그런데, 이렇게 인조잔디를 폐기할 경우 인조잔디의 잔디카펫을 작업자가 롤형태로 감아야 하므로 작업이 매우 힘들 뿐만 아니라 장시간의 작업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충전재의 경우 규사칩과 고무칩을 잔디카펫에서 분리하기가 매우 난해하기 때문에 잔디카펫과 함께 전량 폐기할 수밖에 없으며, 특히 충전재에 먼지나 잔디형태의 인조모와 같은 이물질이 혼합됨에 따라 충전재를 전량 폐기하고 있는 실정이다. 즉, 충전재를 규사칩 및 고무칩으로 분리하기가 매우 어렵고, 전술한 바와 같은 이물질을 규사칩 및 고무칩에서 빼내기가 사실상 불가능하기 때문에 충전재를 잔디카펫과 함께 전량 폐기하고 있다.
따라서, 재활용이 가능한 잔디카펫 및 충전재를 전량 폐기하여야 하므로, 환경오염이 야기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뿐만 아니라, 자원을 낭비하게 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본 출원인은 인조잔디 회수기(등록특허 제10-1100325호)를 제안한 바 있다.
이 인조잔디 회수기는 도 1에 도면부호 101로 도시된 바와 같이, 기부를 이루며 인조잔디(T)가 시공된 지면 위를 이동하는 대차(103), 지면에서 인조잔디(T)를 떼어내는 철거부(105), 철거부(105)에 의해 지면에서 분리된 인조잔디(T)를 분쇄부(109)로 이송하는 이송부(107), 이송부(107)에 의해 이송되어 온 인조잔디(T)를 분쇄하는 분쇄부(109), 그리고 분쇄 전 인조잔디(T)에서 분리된 충전재(T2)를 성분별로 분리하는 분리부(111)로 구성된다.
따라서, 인조잔디 회수기(101)가 동작을 개시하면, 대차(103)가 지면을 이동하는 동안, 철거부(105)는 지면에 시공된 인조잔디(T)를 지면에서 분리하며, 이송부(107)는 분리된 인조잔디(T)를 분쇄부(109)로 이송한다. 분쇄부(109)로 투입된 인조잔디(T)는 투입 직전에 충전재가 분리된 상태로 커터(113) 사이를 통과하면서, 잘게 분쇄되어 인조잔디 칩(TC)이 되며, 인조잔디 칩(TC)은 다시 컨베이어(115)에 의해 용융기(117)로 옮겨져 용융, 보관된다. 한편, 분쇄 전 인조잔디(T)에서 분리된 충전재는 분리부(111)로 투입되어, 무게 별로 분리된다.
그런데, 위와 같은 종래의 인조잔디 회수기(101)는 분쇄부(109)로 투입되기 전 인조잔디(T)에서 충전재가 완벽하게 분리되지 않으므로, 인조잔디 칩(TC)에 충전재가 혼입됨으로써, 용융기(117)에서 용융된 인조잔디 칩(TC) 성분의 순도가 크게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분쇄부(109)로 투입되는 인조잔디(T) 즉, 잔디카펫은 그 부위에 따라 구성 성분이 상이한 바, 예컨대 잎사귀는 폴리에틸렌으로, 배판은 폴리프로필렌으로 제조되기 때문에, 용융기(117)에서 용융되어 나오는 인조잔디 칩(TC) 성분의 순도가 더욱 크게 저하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KR 10-1100325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종래의 인조잔디 회수기가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대차형 인조잔디 회수기에 의해 바닥면에 시공된 인조잔디를 분리, 수거하고, 분쇄, 용융시켜 보관하는 일련의 과정을 일관하여 처리함에 있어, 분리 및 분쇄되는 과정에서 인조잔디 칩의 순도를 높임으로써, 인조잔디 회수기의 성능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인조잔디의 몸체를 이루는 잔디카펫이 부위에 따라 예컨대, 배판은 폴리프로필렌으로, 잎사귀는 폴리에틸렌으로 되어 성분이 크게 두 종류로 구분되는 바, 인조잔디 칩을 위 성분에 따라 종류 별로 분할 수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회수된 인조잔디의 순도를 높이고자 하는 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더욱이, 위와 같이 인조잔디 칩을 분할 수용함에 있어 각 성분의 무게차를 이용하여 간단하게 분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인조잔디 칩 분류 작업의 효율성을 높이고자 하는 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아울러, 위와 같이 성분 별로 분류된 인조잔디 칩을 즉석에서 용융하여 보관함으로써, 인조잔디의 회수를 위한 수거 및 보관 등 후처리 작업에 대한 효율성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끝으로, 인조잔디를 분쇄하기 전에 별도의 장치에 의해 잔디카펫으로부터 충전재를 제거함으로써, 이후 분쇄 과정을 거쳐 분류되는 인조잔디 칩에 충전재가 혼힙되지 않도록 하여, 분류된 인조잔디 칩의 순도를 높이고자 하는 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이동 가능한 상태로 기부를 이루는 대차부; 상기 대차부 일측에 장착되어, 바닥에 시공된 인조잔디를 바닥으로부터 떼어내는 철거부; 상기 철거부에 의해 바닥에서 분리된 상기 인조잔디를 분쇄하기 위해 이송하는 이송부; 상기 이송부를 따라 이송되어 온 상기 인조잔디를 분쇄하는 분쇄부; 및 상기 분쇄부에서 분쇄된 상기 인조잔디 칩을 성분에 따라 분류하는 칩 분류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인조잔디 회수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칩 분류부는, 상기 분쇄부의 출구 측에 일단이 연결되어, 상기 출구로부터 상기 인조잔디 칩을 배출시키는 관로수단; 상기 관로수단의 상기 출구 측에 설치되어, 상기 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상기 인조잔디 칩을 이송하는 이송수단; 및 상기 관로수단의 타단에 연결되어, 상기 관로수단을 따라 상기 이송수단에 의해 이송되어 온 상기 인조잔디 칩을 2 이상의 종류로 나누어 수용하는 분할용기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관로수단은 배출덕트이고, 상기 이송수단은 송풍팬이며, 상기 분할용기수단은, 상기 송풍팬에 의해 상기 배출덕트를 따라 압송된 상기 인조잔디 칩 중, 상대적으로 무게가 무거운 성분을 수용하도록 상기 배출덕트의 배출 측에서 상대적으로 가까이 위치하는 제1 용기; 및 상대적으로 무게가 가벼운 성분을 수용하도록 상기 배출덕트의 배출 측에서 상대적으로 멀리 위치하는 제2 용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용기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제1 및 제2 용기로부터 배출되는 상기 인조잔디 칩을 용융시키는 칩 용융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이송부의 배출 측에 설치되어, 상기 인조잔디가 상기 분쇄부로 투입되기 전에 상기 인조잔디에서 분리되는 충전재를 성분에 따라 분류하는 충전재 분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충전재 분류부는, 지그재그로 경사지게 적층되어, 상기 이송부에서 배출된 상기 충전재를 자중에 의해 아래로 이동시킨 뒤 외부로 배출하는 복수의 진동판; 상기 진동판을 진동시키는 진동기; 각각의 상기 진동판 위에 설치되어, 상기 진동판의 진동에 따라 아래로 이동하는 상기 충전재가 이동 도중 밀도차로 인해 성분 별로 상하 분류된 때, 상대적으로 밀도가 낮은 위쪽의 성분을 걷어내는 포집대; 및 상기 진동판 일측에 상기 포집대와 인접하게 설치되어, 상기 포집대에 의해 걷어내어진 상기 저밀도 성분을 상기 진동판 밖으로 배출시키는 호퍼;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충전재 투입구에 인접 설치되어, 상기 충전재 분류부에서 낙하하는 상기 충전재를 비산시키는 송풍팬; 상기 송풍팬 아래에 상기 충전재 비산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되는 받이판; 및 상기 받이판을 통과하면서 분류된 충전재 성분과 충전재 성분을 별도로 수용하는 회수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충전재 분류용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받이판은, 상기 충전재 중 상기 송풍팬에 의해 비산되지 않고 낙하하는 상대적으로 무게가 가장 무거운 성분을 상기 회수통으로 토출하도록 상기 투입구 직하방에 형성된 제1 토출구; 상기 충전재 중 최대로 비산된 상대적으로 무게가 가장 가벼운 성분을 상기 회수통으로 토출하도록 상기 투입구에서 최대로 이격되어 형성된 제2 토출구; 및 상기 제1 토출구와 상기 제2 토출구 사이로 비산되는 상대적으로 무게가 덜 무거운 성분과 상대적으로 무게가 덜 가벼운 성분을 수용하도록 상기 제1 토출구와 상기 제2 토출구 사이에 배치되는 판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이송부 배출 측과 상기 충전재 분류부 투입 측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인조잔디가 상기 분쇄부로 투입되기 전에 상기 인조잔디에서 상기 충전재를 분리시키는 충전재 수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인조잔디 회수기에 따르면, 시공면에서 분리된 인조잔디를 분쇄부로 투입하기 전에, 충전재 수거부에 의해 인조잔디로부터 충전재를 빠짐없이 제거하므로, 분쇄부에 의해 분쇄되는 인조잔디 칩의 순도를 높일 수 있게 된다.
더욱이, 분쇄부에서 분쇄되어 나온 인조잔디 칩을 또한 그 성분에 따라 분류한 다음, 각각의 칩 용융수단에 의해 개별적으로 용융시키므로, 용융되어 보관되는 인조잔디 칩의 순도를 더욱 높일 수 있게 된다.
또한, 인조잔디 칩을 분류함에 있어 인조잔디 칩을 비산시켜 성분 별로 차이가 나는 무게를 이용하여 분류하므로, 분류에 따른 작업 효율성을 일층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위와 같이 분류된 인조잔디 칩을 대차 위에서 즉각 용융 처리하여 보관하므로, 수거된 인조잔디의 후처리를 위한 작업의 효율성을 크게 높일 수 있게 된다.
물론, 인조잔디를 시공면에서 자동으로 분리시켜 분쇄할 수 있고, 인조잔디로부터 충전재를 회수할 수 있으며, 회수된 충전재를 성분 별로 분류할 수 있고, 분쇄된 인조잔디 칩을 대차 상에서 즉각 용융 처리할 수 있으므로, 인조잔디 회수와 관련된 작업의 편의성이나 작업 효율성은 물론 자원 활용도를 일층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인조잔디 회수기를 도시한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조잔디 회수기의 정면도.
도 3은 도 2의 평면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인조잔디와 이송롤러를 확대 도시한 정면도.
도 5는 도 2에 도시된 분쇄부의 확대 사시도.
도 6은 도 2에 도시된 충전재 분류부와 충전재 분류용기를 확대하여 도시한 정면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충전재 분류부의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조잔디 회수기를 첨부 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인조잔디 회수기는 도 2 및 도 3에 도면부호 1로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대차부(3), 철거부(5), 이송부(7), 분쇄부(9) 및 칩 분류부(11)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충전재 분류부(13), 충전재 분류용기(15), 및 충전재 수거부(17)를 더 포함한다.
여기에서, 먼저 상기 대차부(3)는 인조잔디 회수기(1)의 기부를 이루는 부분으로, 저면에 복수의 구름용 바퀴(21)가 장착되어, 인조잔디 회수기(1)가 인조잔디를 따라 원하는 위치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대차부(3)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단에 구동엔진(23)이 장착되는데, 이 구동엔진(23)에는 앞 바퀴(21) 또는 뒷바퀴(21)의 구동축이 체인 등의 전동 부품에 의해 연결되며, 구동엔진(23)으로는 내연기관이나 모터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철거부(5)는 바닥에 시공된 인조잔디(T)를 떼어내는 예컨대 스크리퍼와 같은 공구 부분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에 인접하도록 대차부(3) 선단에 장착되는 바, 바닥면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되어 대차부(3)의 이동에 따라 인조잔디의 하부로 삽입됨으로써, 쐐기작용에 의해 바닥에 부착된 인조잔디를 떼내어 이송부(7)로 전달한다.
상기 이송부(7)는 위와 같이 철거부(5)에 의해 바닥에서 분리된 인조잔디(T)를 분쇄부(9)로 이송하는 부분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차부(3) 앞쪽에서 철거부(5) 위에 연결된다. 즉, 이송부(7)는 대차부(3) 위에 경사지게 설치된 컨베이어로서, 예컨대 분쇄부(9)를 향해 일렬로 정렬된 복수의 이송롤러(25)와, 이송롤러(25)를 감싸는 컨베이어벨트(27)로 이루어지는 바, 이송롤러(25)의 회전에 따라 철거부(5)에서 올라오는 인조잔디(T)를 투입라인(33)을 통해 차례로 분쇄부(9)에 전달한다. 이때, 각각의 이송롤러(25)는 도 4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외주면에 다수의 돌기(29)가 돌출되는데, 이 돌기(29)는 송곳 모양으로 형성됨으로써 인조잔디(T)를 찍어 올리게 된다. 다만, 이송롤러(25)는 돌기(29) 외에 스프로킷이나 톱니바퀴의 형태로 제작될 수도 있다.
상기 분쇄부(9)는 인조잔디(T)를 분쇄하는 부분으로,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이송부(7)의 아래쪽에 배치되어, 이송부(7)를 따라 이송되어 온 인조잔디(T) 중 도 4에 도시된 충전재(T2)를 제거하고 잔디카펫(T1) 만을 칩 상태로 분쇄한다. 이를 위해, 분쇄부(9)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교합되는 한 쌍의 절단롤(28,29)과 피딩롤(30)로 이루어진다. 이때, 절단롤(28)은 주 절삭구로서 상대적으로 큰 직경을 가지며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절단롤(29)은 보조 절삭구로서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을 가지며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또한, 절단롤(28,29)은 각각의 원통형 외주면에 격자 형태로 된 절단날(31)이 형성되므로, 절단날(31) 사이로 인입되는 잔디카펫(T1)을 절단날(31)의 격자 형태 데로 잘게 분쇄시킨다. 이때, 피딩롤(30)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절단롤(29)과의 사이에서 잔디카펫(T1)을 잡아 주는 역할을 한다. 다만, 피딩롤(30)도 절단롤(29)과 함께 잔디카펫(T1)을 크게 자를 수 있도록 격자 형태의 절단날(31)을 갖는다.
상기 칩 분류부(11)는 위 분쇄부(9)에서 분쇄된 인조잔디 칩(A,B)을 성분 등 특정 조건에 따라 분류하는 분류기로서,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다시 관로수단(35), 이송수단(36), 그리고 분할용기수단(37)으로 이루어지며, 칩 용융수단(4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관로수단(35)은 분쇄부(9)에서 분쇄된 인조잔디 칩(A,B)을 분할용기수단(37)으로 유도하는 배출덕트와 같은 관체로서,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위 분쇄부(9)의 출구(41) 측에 한 끝이 연결되고, 다른 쪽 끝은 분할용기수단(37) 위로 연결된다. 따라서, 관로수단(35)은 출구(41)를 통해 분쇄부(9)에서 배출된 인조잔디 칩(A,B)을 분할용기수단(37)까지 전달한다.
또한, 상기 이송수단(36)은 위와 같은 관로수단(35)을 통해 인조잔디 칩(A,B)을 이송하는 송풍팬과 같은 이송장치로서,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관로수단(35)의 출구(41) 측에 축선을 따라 설치되는 바, 분쇄부(9)에서 출구(41)를 통해 배출되는 인조잔디 칩(A,B)을 강한 바람으로 분할용기수단(37)까지 압송한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는 이송수단(36)으로서 송풍팬이 사용되나, 송풍팬 외에도 이송스크류 등과 같은 여러 다른 이송장비가 이송수단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끝으로, 상기 분할용기수단(37)은 위의 관로수단(35) 및 이송수단(36)과 함께 인조잔디 칩(A,B)을 종류 별로 분류하는 용기로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조잔디 칩(A,B)을 분류하고자 하는 수에 따라 종류 별로 즉, 본 실시예의 경우 2 종류로 나누어 수용한다. 이를 위해, 분할용기수단(37)은 그 상단에 관로수단(35)의 타단이 연결되며, 전체적으로 제1 용기(371)와 제2 용기(372)로 분할된다.
따라서, 분쇄부(9)에서 토출된 인조잔디 칩(A,B)은 이송수단(36)에 의해 관로수단(35)을 따라 분할용기수단(37)으로 압송된다. 이때, 인조잔디(T)의 잔디카펫(T1)은 부위 별로 성분 즉, 재료가 서로 다르다. 즉, 잔디카펫(T1)은 크게 배판과 잎사귀로 구별되는데, 배판은 폴리프로필렌으로, 잎사귀는 폴리에틸렌으로 각각 제조되는 바, 분쇄부(9)에서 분쇄된 인조잔디 칩(A,B)도 상대적으로 무게가 무거운 배판이 분쇄된 폴리프로필렌 성분(A)과, 상대적으로 무게가 가벼운 잎사귀가 분쇄된 폴리에틸렌 성분(B)으로 나뉜다. 따라서, 송풍팬과 같은 이송수단(36)에 의해 관로수단(35)을 따라 압송된 인조잔디 칩(A,B)은 무거운 성분(A)이 먼저 가라앉아, 관로수단(35)의 배출 측에서 상대적으로 가까운 제1 용기(371)에 수용되고, 가벼운 성분(B)이 나중에 가라앉아, 관로수단(35)의 배출 측에서 상대적으로 먼 제2 용기(372)에 수용되어, 자연스럽게 성분 별로 분류된다.
한편, 칩 분류부(11)는 위와 같이 제1 및 제2 용기(371,372)로 분할 수용된 인조잔디 칩(A,B)을 그대로 보관할 수 있지만, 그보다는 성분 별로 녹여 보관하는 것이 회수기(1)의 소형화 측면에서 더 유리한다. 이를 위해, 칩 분류부(11)는 칩 용융수단(43)을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이 칩 용융수단(43)은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제1 및 제2 용기(371,372)에 각각 연결되어, 컨베이어(45) 등을 통해 용기(371,372)에 수용된 서로 다른 인조잔디 칩(A,B)을 각각 구분하여 공급 받는다. 즉, 칩 용융수단(43)은 격벽 등으로 분할되어 각 용기(371,372)에 수용된 인조잔디 칩(A,B)을 따로 모아 녹인다.
상기 충전재 분류부(11)는 충전재(T2)를 성분 별로 즉, 충전재(T2) 입자의 크기 별로 분류하는 부분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부(7)의 배출 측에 설치되어, 인조잔디(T)를 분쇄부(9)로 투입하기 전에 인조잔디(T)에서 분리된 충전재(T2)를 분류한다.
이를 위해, 충전재 분류부(11)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시 복수의 진동판(51), 진동기(53), 포집대(55), 및 호퍼(57)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상기 복수의 진동판(51)은 완만한 경사 각도로 연속해서 설치한 적층 구조의 슈트(chute)로서,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동판(51) 각각이 경사진 상태에서 지그재그로 적층되어 설치된다. 따라서, 복수의 진동판(51)은 외부에서 즉, 이송부(7) 배출 측에서 인조잔디(T)로부터 낙하한 충전재(T2)가 최상단의 진동판(51) 상측단으로 투입된다. 이렇게 투입된 충전재(T2)는 자중에 의해 최상단 진동판(51)으로부터 미끄러져 내려 한 칸 밑의 진동판(51)으로 낙하하여 이동하며, 계속해서 최후에서는 최하단 진동판(51)의 하측단에서 낙하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칩 분류부(11)로 재 투입된다.
또한, 상기 진동기(53)는 위 복수의 진동판(51)을 진동시켜 충전재(T2)의 미끄럼 이동을 좀 더 원활하게 하는 수단으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전재 분류부(13) 케이스에 장착되어 하나로 전체 진동판(51)을 진동시킬 수 있고, 아니면 각 진동판(51)마다 별도로 부착하여 진동판(51)을 개별적으로 진동시킬 수도 있다. 이때, 진동판(51)에 가해지는 진동은 위와 같이 충전재(T2)의 미끄럼 이동을 촉진할 뿐 아니라, 충전재(T2) 중 상대적으로 밀도가 높고 무거운 규사칩과 같은 충전재 성분(C)은 진동판(51) 바닥에 깔리도록 하고, 상대적으로 밀도가 낮은 가벼운 고무칩과 같은 충전재 성분(D)은 충전재 성분(C) 위로 올라오도록 함으로써, 충전재(T2)를 일차적으로 밀도차에 따라 상하 분류한다.
또한, 상기 포집대(55)는 진동판(51) 위의 충전재(T2) 중 일부를 걷어내는 수단으로,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진동판(51) 위에서 길이방향으로 중간 정도 되는 지점에 설치된다. 따라서, 포집대(55)는 진동판(51)을 따라 아래로 이동하는 충전재(T2) 중 밀도차로 인해 위로 올라온 가벼운 충전재 성분(D)을 걷어낸다. 이때, 포집대(55)는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평면 상에서 볼 때도 호퍼(57)를 향해 기울어짐으로써, 충전재 성분(D)의 배출을 더욱 원활하게 한다.
끝으로, 상기 호퍼(57)는 위와 같이 포집대(55)로 걸러진 저밀도의 충전재 성분(D)을 진동판(51) 밖으로 배출시키는 관로 수단으로서,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동판(51) 일측에 포집대(55)와 인접하도록 설치된다. 특히, 포집대(55) 하단 측마다 투입관(59)이 연결되어, 전체 진동판(51)으로부터 동시에 충전재 성분(D)을 배출시킨다.
상기 충전재 분류용기(15)는 위 충전재 분류부(13)를 거친 충전재(T2)를 최종적으로 분류하여 수용하는 용기수단으로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풍팬(61), 받이판(63), 및 회수통(6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송풍팬(61)은 충전재 분류부(13)에서 낙하하는 충전재(T2)를 풍압에 의해 비산시키는 송풍수단으로서,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충전재(T2) 투입구(66)와 인접하여 설치되는 바, 투입구(66)를 통해 유입되는 충전재(T2)를 비산시켜 무게차에 따라 달라지는 비산거리를 이용하여 최종적으로 분류한다.
또한, 상기 받이판(63)은 송풍팬(61)에 의해 비산한 충전재(T2)가 내려앉을 수 있는 자리를 만드는 부분으로,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송풍팬(61) 아래쪽에서 충전재(T2)가 비산하는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도록 배치되는 바, 다시 제1 토출구(67), 제2 토출구(68), 및 판체(69)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제1 토출구(41)는 투입구(66)를 통해 투입되는 충전재(T2) 중 상대적으로 무게가 가장 무거운 성분(C)이 토출되는 구멍으로, 충전재 성분(C)은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송풍팬(61)에 의해서 일부가 거의 비산되지 않고 직하방으로 낙하하여 제1 토출구(41)를 통해 회수통(65)으로 수용된다. 나머지 일부는 자체의 무게차에 따라 비산 거리가 달라지면서 판체(69) 위에 넓게 분산된다. 이때, 제1 토출구(41)는 비산되지 않는 충전재 성분(C)을 통과시키도록 투입구(66)와 동일선 상에 배치된다.
반대로, 상기 제2 토출구(41)는 투입구(66)로부터 투입되는 충전재(T2) 중 상대적으로 무게가 가장 가벼운 성분(D)이 토출되는 구멍으로, 충전재 성분(D)은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송풍팬(61)에 의해 비산되되, 대부분 제2 토출구(41)까지 비산되나, 일부 무게가 무거운 성분은 제2 토출구(41) 앞쪽에 떨어진다. 이때, 제2 토출구(41)로 비산된 충진재 성분(D)은 충진재 성분(C)과 분리된 채로 회수통(65)에 수용된다.
끝으로, 상기 판체(69)는 제1 토출구(41)와 제2 토출구(41) 사이에 배치되는 받이판(63)의 몸체로서, 투입구(66)를 통해 충전재 분류용기(15)로 투입된 충전재(T2) 중에서 상대적으로 무게가 덜 무거운 성분(C)과 상대적으로 무게가 덜 가벼운 성분(D)과 같이 어중간한 무게로 인해 위 제1 및 제2 토출구(41)를 통해 회수통(65)으로 수용되지 못하고 남은 충전재(T2)를 수용한다. 이때, 판체(69)는 예컨대 도시된 것처럼 두 개의 단차(71)를 가지는 바, 충전재(T2)가 이 단차(71)에 의해 비산 거리차에 따라 성분 별로 보다 명확하게 분리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충전재 수거부(17)는 인조잔디(T) 분쇄부(9)로 투입되기 전에 인조잔디(T)로부터 충전재(T2)를 분리시키는 부분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전재 분류부(13) 투입 측의 위에서 이송부(7) 배출 측에 인접하여 설치된다. 따라서, 충전재 수거부(17)는 인조잔디(T)의 잎사귀 사이에 끼워져 있는 알갱이 형태의 충전재(T2)를 쉽게 빼낼 수 있도록 도시된 것처럼 원통형의 회전형 브러시(73) 형태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도시된 것처럼 브러시(73)와 인조잔디(T)의 접촉 부위를 향하도록 공기노즐(74)을 설치하여, 고압 공기에 의해 충전재(T2)의 분리가 더욱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인조잔디 회수기(1)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인조잔디(T)를 회수하기 위해 인조잔디 회수기(1)를 동작시키면, 인조잔디 회수기(1)는 대차부(3)에 의해 지면을 따라 이동하다가 만나는 인조잔디(T)를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철거부(5)에 의해 지면으로부터 떼어낸다.
위와 같이 지면에서 떼어내진 인조잔디(T)는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이송부(7)의 컨베이어벨트(27) 등에 의해 상승하여 이송부(7) 배출 측에서 브러시(73)와 공기노즐(74)에 의해 잎사귀 사이에 끼워져 있던 충전재(T2) 즉, 충전재 성분(C,D)을 충전재 분류부(13) 투입 측으로 분리시킨다. 이렇게 해서 충전재(T2)가 분리되고 남은 잔디카펫(T1)은 투입라인(33)을 통해 분쇄부(9)로 전달된다.
분쇄부(9)로 전달된 잔디카펫(T1)은 분쇄부(9)에 투입되어 도 5에 도시된 절단롤(28,29) 사이로 통과하면서 절단날(31)에 의해 인조잔디 칩(A,B)으로 잘게 분쇄되어, 출구(41)를 통해 관로수단(35)으로 투입된다. 관로수단(35)으로 투입된 인조잔디 칩(A,B)은 송풍팬과 같은 이송수단(36)에 의해 칩 분류부(11)로 이송된다.
예컨대, 비산되는 방식으로 칩 분류부(11)에 이송된 인조잔디 칩(A,B)은 칩(A,B)의 성분 즉, 무게 차에 따라 제1 용기(371)와 제2 용기(372)로 나뉘어 수용됨으로써 동일 또는 유사한 성분끼리 분류된다. 이렇게 분류된 인조잔디 칩(A,B)은 각각 컨베이어(45) 등을 통해 칩 용융수단(43)으로 투입된 뒤, 동일 또는 유사한 성분끼리 모여 하나로 용융된다.
한편, 이송부(7)의 배출 측에서 충전재 수거부(17)에 의해 인조잔디(T)로부터 분리된 충전재(T2)는 도 2 및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충전재 분류부(13)로 투입된다. 충전재 분류부(13)로 투입된 충전재(T2)는 진동에 의해 진동판(51)을 따라 경사 하방으로 이동한다. 이때, 충전재(T2) 중 상대적으로 밀도가 높은 즉, 무게가 무거운 성분(C)은 아래로 깔리고, 상대적으로 밀도가 낮은 즉, 무게가 가벼운 성분(D)은 위로 올라간다. 따라서, 포집대(55)를 만난 위쪽의 성분(C)은 호퍼(57)를 통해 충전재 분류부(13) 외부로 토출되어 분류된다.
이와 같이, 진동판(51)을 거치면서 충전재(T2) 중 경량의 성분(D)은 상당 부분 외부로 토출되어 분류된다. 이때, 분류되지 않고 남은 성분(D)은 충전재(T2)가 충전재 분류용기(15)로 투입된 때 최종적으로 분류되는 바, 충전재 투입구(66)를 통해 충전재 분류용기(15)로 투입된 충전재(T2)는 송풍팬(61)에 의해 비산되는데, 대부분의 무거운 성분(C)은 거의 비산되지 않고 대부분 받이판(63)의 제1 토출구(67)를 통해 회수통(65)으로 수용되며, 일부만이 다양한 거리로 비산되어 받이판(63)의 판체(69) 위에 넓게 분포한다. 한편, 충전재(T2)에 남아 있던 최소한의 성분(D)는 받이판(63)의 제2 토출구(41)를 통해 회수통(65)으로 투입, 수용된다. 일부만이 제2 토출구(41) 앞쪽에 적층된다.
이렇게 해서 분류된 채로 회수통(65)에 수용된 충전재(T2)는 격벽(75)에 의해 구획됨으로써 두 개의 성분(C,D)으로 분리가 완료된다. 다만, 충전재 분류용기(15)의 케이스에 송풍팬(61)과 대향하여 설치된 흡기팬(19)은 송풍팬(61)으로 인해 발생한 먼지 등을 빨아들여 물탱크(77)로 통과시킴으로써, 인조잔디 회수기(1) 동작 시 충전재 분류용기(15)에서 발생하는 각종 먼지를 제거한다.
1 : 인조잔디 회수기 3 : 대차부
5 : 철거부 7 : 이송부
9 : 분쇄부 11 : 칩 분류부
13 : 충전재 분류부 15 : 충전재 분류용기
17 : 충전재 수거부 19 : 흡기팬
23 : 엔진 25 : 이송롤러
31 : 절단날 35 : 관로수단
36 ; 이송수단 37 : 분할용기수단
41 : 출구 43 : 칩 용융수단
51 : 진동판 53 : 진동기
55 : 포집대 57 : 호퍼
59 : 투입관 61 : 송풍팬
63 : 받이판 65 : 회수통
66 : 투입구 67 : 제1 토출구
68 : 제2 토출구 69 : 판체
71 : 단차 73 : 브러시
77 : 물탱크 371, 372 : 제1 및 제2 용기
T : 인조잔디 T1 : 잔디카펫
T2 : 충전재

Claims (8)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이동 가능한 상태로 기부를 이루는 대차부(3);
    상기 대차부(3) 일측에 장착되어, 바닥에 시공된 인조잔디(T)를 바닥으로부터 떼어내는 철거부(5);
    상기 철거부(5)에 의해 바닥에서 분리된 상기 인조잔디(T)를 분쇄하기 위해 이송하는 이송부(7);
    상기 이송부(7)를 따라 이송되어 온 상기 인조잔디(T)를 분쇄하는 분쇄부(9); 및
    상기 분쇄부(9)에서 분쇄된 상기 인조잔디 칩(A,B)을 성분에 따라 분류하는 칩 분류부(11);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칩 분류부(11)는,
    상기 분쇄부(9)의 출구(41) 측에 일단이 연결되어, 상기 출구(41)로부터 상기 인조잔디 칩(A,B)을 배출시키는 관로수단(35);
    상기 관로수단(35)의 상기 출구(41) 측에 설치되어, 상기 출구(41)를 통해 배출되는 상기 인조잔디 칩(A,B)을 이송하는 이송수단(36); 및
    상기 관로수단(35)의 타단에 연결되어, 상기 관로수단(35)을 따라 상기 이송수단(36)에 의해 이송되어 온 상기 인조잔디 칩(A,B)을 2 이상의 종류로 나누어 수용하는 분할용기수단(37);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관로수단(35)은 배출덕트이고,
    상기 이송수단(36)은 송풍팬이며,
    상기 분할용기수단(37)은,
    상기 송풍팬에 의해 상기 배출덕트를 따라 압송된 상기 인조잔디 칩(A,B) 중, 상대적으로 무게가 무거운 성분(A)을 수용하도록 상기 배출덕트의 배출 측에서 상대적으로 가까이 위치하는 제1 용기(371); 및
    상대적으로 무게가 가벼운 성분(B)을 수용하도록 상기 배출덕트의 배출 측에서 상대적으로 멀리 위치하는 제2 용기(372);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1 및 제2 용기(371,372)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제1 및 제2 용기(371,372)로부터 배출되는 상기 인조잔디 칩(A,B)을 용융시키는 칩 용융수단(43);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조잔디 회수기.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7)의 배출 측에 설치되어, 상기 인조잔디(T)가 상기 분쇄부(9)로 투입되기 전에 상기 인조잔디(T)에서 분리되는 충전재(T2)를 성분에 따라 분류하는 충전재 분류부(13);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조잔디 회수기.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충전재 분류부(13)는,
    지그재그로 경사지게 적층되어, 상기 이송부(7)에서 배출된 상기 충전재(T2)를 자중에 의해 아래로 이동시킨 뒤 외부로 배출하는 복수의 진동판(51);
    상기 진동판(51)을 진동시키는 진동기(53);
    각각의 상기 진동판(51) 위에 설치되어, 상기 진동판(51)의 진동에 따라 아래로 이동하는 상기 충전재(T2)가 이동 도중 밀도차로 인해 성분 별로 상하 분류된 때, 상대적으로 밀도가 낮은 위쪽의 성분(D)을 걷어내는 포집대(55); 및
    상기 진동판(51) 일측에 상기 포집대(55)와 인접하게 설치되어, 상기 포집대(55)에 의해 걷어내어진 상기 저밀도 성분(D)을 상기 진동판(51) 밖으로 배출시키는 호퍼(57);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조잔디 회수기.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충전재(T2)를 투입하는 투입구(66)에 인접 설치되어, 상기 충전재 분류부(13)에서 낙하하는 상기 충전재(T2)를 비산시키는 송풍팬(61);
    상기 송풍팬(61) 아래에 상기 충전재(T2) 비산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되는 받이판(63); 및
    상기 받이판(63)을 통과하면서 분류된 충전재 성분(C)과 충전재 성분(D)을 별도로 수용하는 회수통(65);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충전재 분류용기(15)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받이판(63)은,
    상기 충전재(T2) 중 상기 송풍팬(61)에 의해 비산되지 않고 낙하하는 상대적으로 무게가 가장 무거운 성분(C)을 상기 회수통(65)으로 토출하도록 상기 투입구(66) 직하방에 형성된 제1 토출구(41);
    상기 충전재(T2) 중 최대로 비산된 상대적으로 무게가 가장 가벼운 성분(D)을 상기 회수통(65)으로 토출하도록 상기 투입구(66)에서 최대로 이격되어 형성된 제2 토출구(41); 및
    상기 제1 토출구(41)와 상기 제2 토출구(41) 사이로 비산되는 상대적으로 무게가 덜 무거운 성분(C)과 상대적으로 무게가 덜 가벼운 성분(D)을 수용하도록 상기 제1 토출구(41)와 상기 제2 토출구(41) 사이에 배치되는 판체(69);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조잔디 회수기.
  8.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7) 배출 측과 상기 충전재 분류부(13) 투입 측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인조잔디(T)가 상기 분쇄부(9)로 투입되기 전에 상기 인조잔디(T)에서 상기 충전재(T2)를 분리시키는 충전재 수거부(17)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조잔디 회수기.
KR1020150075037A 2015-05-28 2015-05-28 인조잔디 회수기 KR1017034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5037A KR101703426B1 (ko) 2015-05-28 2015-05-28 인조잔디 회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5037A KR101703426B1 (ko) 2015-05-28 2015-05-28 인조잔디 회수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2913A Division KR20170015429A (ko) 2017-01-26 2017-01-26 인조잔디 회수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9695A KR20160139695A (ko) 2016-12-07
KR101703426B1 true KR101703426B1 (ko) 2017-02-06

Family

ID=575728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5037A KR101703426B1 (ko) 2015-05-28 2015-05-28 인조잔디 회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342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5761A (ko) 2020-07-07 2022-01-14 이준환 소정크기로 재단된 잔디 수거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371286A (zh) * 2020-10-21 2021-02-19 冠鸿光电科技(武汉)有限公司 一种冲压设备金属废料的预处理设备及其处理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2416B1 (ko) * 2012-02-14 2012-09-13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인조잔디 구조체의 재생방법 및 재생장치
KR101333904B1 (ko) * 2011-06-24 2013-11-27 필드터프승목 주식회사 인조잔디 재활용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0325B1 (ko) * 2009-12-30 2011-12-30 필드터프승목(주) 인조잔디 회수기
KR20130039281A (ko) * 2011-10-11 2013-04-19 김종진 관을 이용한 진공흡입 에어 컨베이어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3904B1 (ko) * 2011-06-24 2013-11-27 필드터프승목 주식회사 인조잔디 재활용방법
KR101182416B1 (ko) * 2012-02-14 2012-09-13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인조잔디 구조체의 재생방법 및 재생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5761A (ko) 2020-07-07 2022-01-14 이준환 소정크기로 재단된 잔디 수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9695A (ko) 2016-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00325B1 (ko) 인조잔디 회수기
US8464801B2 (en) Apparatus for collecting artificial turf for recycling
EP2186942A1 (en) Method of replacing artificial lawn and artificial lawn disposal apparatus
KR101556406B1 (ko) 작업효율성을 향상시킨 재활용쓰레기 선별시스템
KR101888458B1 (ko) 에어펄스 백필터를 이용한 사이클론 다중 선별장치
CN108686960B (zh) 建筑垃圾干式分选系统
JP2525270B2 (ja) 構築廃材の水力利用選別方法及び構築廃材の水力利用選別装置
KR102392207B1 (ko) 비철금속의 파분쇄에 의한 선별 분리장치 및 그 분리방법
KR101703426B1 (ko) 인조잔디 회수기
US20120181361A1 (en) System and method for separating carpet fibers
KR101346354B1 (ko) 매립토사의 이물질 선별시스템
CN102119785A (zh) 烟草加工工业振动输送斗中的纸去除
KR20170015429A (ko) 인조잔디 회수기
CN106956385A (zh) 一种塑料粉碎分尘一体机
CN101838864A (zh) 一种地毯表面纤维的回收方法及其生产流水线
KR101333904B1 (ko) 인조잔디 재활용방법
KR100434799B1 (ko) 건설 폐기물의 재활용을 통한 재생 모래의 제조 방법 및그 장치
WO2018084329A1 (ko) 인조잔디 회수기
KR100904303B1 (ko) 비중 차를 이용한 폐 플라스틱류 습식 선별방법
KR101391444B1 (ko) 자동차 폐플라스틱류의 재활용 처리시스템
KR100971723B1 (ko) 폐기물 선별분리 시스템
AU2005201346B2 (en) Water bath separator
CA2763399A1 (en) Carpet reclamation system
EP416485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parating synthetic turf infill material
CN207857529U (zh) 装修垃圾资源化再利用处置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