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00325B1 - 인조잔디 회수기 - Google Patents

인조잔디 회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00325B1
KR101100325B1 KR20090134457A KR20090134457A KR101100325B1 KR 101100325 B1 KR101100325 B1 KR 101100325B1 KR 20090134457 A KR20090134457 A KR 20090134457A KR 20090134457 A KR20090134457 A KR 20090134457A KR 101100325 B1 KR101100325 B1 KR 1011003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tificial turf
diaphragm
unit
chip
fi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901344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77796A (ko
Inventor
이선건
Original Assignee
필드터프승목(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필드터프승목(주) filed Critical 필드터프승목(주)
Priority to KR200901344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00325B1/ko
Priority to PCT/KR2010/009348 priority patent/WO2011081375A2/ko
Publication of KR201100777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777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03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03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4/00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ubjecting their mixture to gas currents
    • B07B4/02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ubjecting their mixture to gas currents while the mixtures fall
    • B07B4/025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ubjecting their mixture to gas currents while the mixtures fall the material being slingered or fled out horizontally before falling, e.g. by dispers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3/00Auxiliary methods or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crushing or disintegrating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groups or not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covered by a single preceding group
    • B02C23/08Separating or sorting of material, associated with crushing or disintegrating
    • B02C23/10Separating or sorting of material, associated with crushing or disintegrating with separator arranged in discharge path of crushing or disintegrating zo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28Moving scree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swinging, reciprocating, rocking, tilting or wobbling screens
    • B07B1/36Moving scree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swinging, reciprocating, rocking, tilting or wobbling screens jigging or moving to-and-fro in more than one dir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2Separating plastics from other material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3/00Pavings or foundations specially adapted for playgrounds or sports grounds; Drainage, irrigation or heating of sports grounds
    • E01C13/08Surfaces simulating grass ; Grass-grown sports grou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2Separating plastics from other materials
    • B29B2017/0213Specific separating techniques
    • B29B2017/0217Mechanical separating techniques; devices therefor
    • B29B2017/0224Screens, sie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2Separating plastics from other materials
    • B29B2017/0213Specific separating techniques
    • B29B2017/0217Mechanical separating techniques; devices therefor
    • B29B2017/0227Vibratory or shaking ta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732Floor covering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52Mechanical processing of waste for the recovery of materials, e.g. crushing, shredding, separation or disassembl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62Plastics recycling; Rubber recycling

Abstract

본 발명은 인조잔디 회수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인조잔디를 따라 이동하는 대차; 상기 대차에 설치되어 인조잔디를 지면으로부터 철거하는 철거부; 상기 철거부에서 부상되는 인조잔디를 이송하는 이송부; 상기 이송부에서 이송되는 인조잔디를 분쇄하는 분쇄부 및; 상기 분쇄부로 이송되는 인조잔디에서 규사칩 및 고무칩을 분리하는 분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철거부는, 상기 인조잔디를 지면으로부터 경사상태로 부상시켜서 상기 이송부에 제공하며, 상기 분쇄부는, 상기 인조잔디를 절단하여 조각으로 분쇄하며, 상기 분리부는, 상기 분쇄부로 이송되는 인조잔디로부터 규사칩 및 고무칩으로 이루어진 충전재가 낙하되어 공급되는 진동판; 상기 진동판을 진동하는 바이브레이터; 상기 진동판에 설치되어 충전재의 고무칩을 포집하여 배출시키기는 호퍼; 및 상기 진동판을 따라 이동하는 고무칩을 상기 호퍼로 안내하는 가이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운동장에서 인조잔디를 용이하게 분리하여 철거할 수 있으며, 재활용을 위해 재질별로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Figure R1020090134457
인조, 이동, 대차, 분쇄, 커터

Description

인조잔디 회수기{reclaimer for artificial turf}
본 발명은 인조잔디 회수기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인조잔디를 운동장에서 용이하게 분리하여 철거할 수 있으며, 인조잔디의 철거와 동시에 인조잔디의 잔디카펫 및 충전재를 재활용이 가능한 상태로 가공할 수 있는 인조잔디 회수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조잔디는 그 길이가 수십 미터 정도로 감겨 있는 롤에 의해 운동장에 설치된다. 이러한 인조잔디는 잔디형태의 인조모가 식모된 잔디카펫 및 인조모에 충진되는 과립형태의 규사칩 및 고무칩으로 이루어진 충전재로 구성된다. 잔디카펫은 열가소성 화학섬유(예: PP, PVC 등)에 의해 부직포 형태로 제조되며, 인조모에 충전재가 충전된 후 운동장의 지면에 설치된 요철형의 배수블록에 깔린다.
이와 같은 인조잔디는 폐기시 수작업에 의해 운동장에서 철거된 후 차량으로 운반되어 분쇄된 후 폐기된다. 이때, 전술한 잔디카펫은 충전재가 충진된 상태에서 롤형태로 다시 감겨져서 운반된다.
그러나, 이렇게 인조잔디를 폐기할 경우 인조잔디의 잔디카펫을 작업자가 롤 형태로 감아야 하므로 작업이 매우 힘들 뿐만 아니라 장시간의 작업시간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
또, 재활용이 가능한 잔디카펫 및 충전재를 전량 폐기하여야 하므로 환경오염의 문제가 있을 뿐만 아니라 자원을 낭비하는 문제도 있다.
여기서, 충전재의 경우 규사칩과 고무칩을 잔디카펫에서 분리하기가 매우 난해하기 때문에 잔디카펫과 함께 전량 폐기하고 있으며, 특히 충전재에 먼지나 잔디형태의 인조모와 같은 이물질이 혼합됨에 따라 충전재를 전량 폐기하고 있는 실정이다. 즉, 충전재를 규사칩 및 고무칩으로 분리하기가 매우 어렵고, 전술한 바와 같은 이물질을 규사칩 및 고무칩에서 추출하기가 사실상 불가능하기 때문에 충전재를 잔디카펫과 함께 전량 폐기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인조잔디를 운동장에서 자동으로 분리하여 분쇄할 수 있으며, 분리된 인조잔디에서 충전재를 고무칩 및 규사칩을 서로 분리하여 회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진동을 이용하여 충진재에서 고무칩을 따로 포집할 수 있는 인조잔디 회수기를 제공하기 위함이 그 목적이다.
특히, 인조잔디를 따라가면서 인조잔디를 지면에서 경사상태로 부상시키면서 인조잔디를 운동장에서 자동으로 분리하여 조각으로 분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인조잔디에 충전된 충전재에서 규사칩 및 고무칩을 분리할 수 있는 인조잔디 회수기를 제공하기 위함이 그 목적이다.
또, 인조잔디의 잔디카펫을 일정한 크기의 조각 형태로 커팅하여 파쇄할 수 있는 인조잔디 회수기를 제공하기 위함이 다른 목적이다.
삭제
아울러, 풍압을 이용하여 충진재에서 규사칩 및 고무칩을 분리할 수 있는 인조잔디 회수기를 제공하기 위함이 또 다른 목적이다.
게다가, 충진재에 혼합된 이물질을 따로 분리하여 배출할 수 있는 인조잔디 회수기를 제공하기 위함이 또 다른 목적이다.
이에 더하여, 분쇄된 인조잔디의 잔디카펫을 분쇄 즉시 용융할 수 있는 인조잔디 회수기를 제공하기 위함이 또 다른 목적이다.
상술한 목적은, 인조잔디를 회수하는 회수기에 있어서, 인조잔디를 따라 이동하는 대차; 상기 대차의 일측에 결합되고, 대차의 이동에 의해 인조잔디를 부상시키면서 지면으로부터 분리하여 철거하는 철거부; 상기 철거부에 인접 설치되어 부상되는 인조잔디를 후방으로 이송하는 이송부; 상기 이송부의 후방에 설치되어 이송되는 인조잔디를 분쇄하는 분쇄부 및; 상기 이송부의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분쇄부로 이송되는 인조잔디로부터 과립형태의 충전재를 공급받아서 규사칩 및 고무칩으로 분리하는 분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철거부는, 상기 인조잔디를 지면으로부터 경사상태로 부상시켜서 상기 이송부에 제공하며, 상기 분쇄부는, 상기 대차에 설치되어 상기 철거부에 인접하고, 상기 인조잔디를 절단하여 조각으로 분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철거부는, 상기 대차에 경사설치되고, 단부가 인조잔디의 하부로 삽입되어 대차의 이동에 의해 인조잔디를 경사상태로 부상시켜서 상기 이송부에 제공하는 판상의 스크리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분쇄부는 인조잔디를 분쇄하는 한쌍의 커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분리부는, 상기 분쇄부로 이송되는 인조잔디로부터 규사칩 및 고무칩으로 이루어진 충전재가 낙하되어 공급되는 진동판; 상기 진동판을 진동하는 바이브레이터; 상기 진동판에 설치되어 충전재의 고무칩을 포집하여 배출시키기는 호퍼 및; 상기 진동판의 진동에 의해 진동판을 따라 이동하는 충전재의 고무칩을 상기 호퍼로 안내하는 가이드;를 포함한다.
상기 진동판은 복수로 구성되어 이격상태로 적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진동판으로부터 충전재가 유입되는 유입구가 마련되고, 일측 및 타측에 규사칩을 배출하는 규사칩 배출구 및 고무칩을 배출하는 고무칩 배출 구가 제각기 형성되어 규사칩 및 고무칩을 분리하여 배출하는 분리탱크 및; 상기 분리탱크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공기를 송풍하는 송풍팬;을 더 포함한다.
상기 분리탱크는 일측에서 타측으로 단차를 갖는 단차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분리탱크에 유입된 이물질을 분리탱크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덕트 및; 상기 배출덕트에 설치되어 상기 분리탱크의 내부로 유입된 이물질을 흡입하는 흡기팬;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은, 상기 분쇄부로부터 분쇄된 인조잔디 분쇄물을 공급받아서 용융하는 용융기;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인조잔디 회수기는, 철거부가 대차의 이동시 운동장의 인조잔디를 경사상태로 부상시켜서 자동으로 분리하여 철거하고, 대차에 설치된 분쇄부가 이송부에 의해 연속적으로 이송되는 인조잔디를 이송 즉시 분쇄하므로 인조잔디를 운동장에서 매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분리와 동시에 분쇄하여 인조잔디의 부피를 대폭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으며, 분리부가 인조잔디에 충전된 충전재에서 규사칩 및 고무칩을 분리하므로 고무칩 및 규사칩을 재활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분리부의 진동판 및 가이드가 진동 및 자중 차이를 이용하여 충전재에서 규사칩 및 고무칩을 분리하므로 규사칩 및 고무칩을 좀더 세분화하여 선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대차가 인조잔디를 따라 이동하므로 인조잔디를 연속적으로 회수할 수 있으며, 인조잔디의 철거 및 회수가 매우 간편하게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인조잔디가 대차에 마련된 분쇄부에 의해 대차에서 조각으로 분쇄되므로 인조잔디 회수작업의 작업성이 향상되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또, 철거부가 판재형태의 스크리퍼로 구성되므로 철거부를 단순하게 구성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분쇄부의 커터가 인조잔디를 작은 조각으로 분쇄하므로 인조잔디를 커팅과 동시에 용융이 용이한 형태로 전처리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아울러, 진동판을 복수개로 적층하여 구성할 경우 다단계에 걸쳐서 규사칩 및 고무칩을 분리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분리부의 분리탱크 및 송풍팬이 풍압을 이용하여 규사칩 및 고무칩을 분리하므로 규사칩 및 고무칩을 더욱 세분화하여 선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분리탱크에 단차부를 마련할 경우 규사칩이 풍압에 의해 고무칩과 혼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게다가, 배출덕트 및 흡기팬이 충전재에서 먼지나 인조모와 같은 이물질을 분리하므로 규사칩 및 고무칩을 순수한 상태로 분리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더욱이, 용융기가 분쇄기에서 분쇄된 인조잔디를 곧바로 용융하므로 철거된 인조잔디의 부피를 더더욱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도면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인조잔디 회수기의 구성을 보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인조잔디 회수기(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차(20)에 설치된 스크리퍼(SC), 이송부(40), 분쇄부(50), 분리부(70), 분리탱크(80), 회수 통(9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대차(20)는 그 하면에 구름되게 설치된 다수의 바퀴(22)에 의해서 이동가능하게 구성된다. 상기 대차(20)는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엔진(21)이 설치되고, 상기 구동엔진(21)에는 앞바퀴(22) 또는 뒷바퀴(22)의 축이 체인 등으로 동력전달가능하게 연결된다. 이때, 상기 구동엔진(21)은 통상의 내연기관이나 또는 모터 등으로 구현될 수 있고, 상기 구동엔진(21)과 앞바퀴(22) 또는 뒷바퀴(22)의 연결은 통상적인 차량의 동력전달방식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대차(20)는 인조잔디를 따라 이동한다.
상기 스크리퍼(SC)는 운동장에서 인조잔디(1)를 분리하여 철거하는 철거부이다. 즉, 스크리퍼(SC)는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잔디형태의 인조모가 식모되고, 인조모에 과립형태의 규사칩 및 고무칩으로 이루어진 충전재가 충전된 열가소성 화학섬유재 잔디카펫(1a)을 운동장에서 분리하여 철거한다. 이러한 스크리퍼(SC)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대차(20)의 선단 하부에 경사설치되는 판재이다. 스크리퍼(SC)는 도시된 바와 같이 단부가 인조잔디(1)의 하부로 삽입되어 대차(20)의 이동에 의해 인조잔디(1)를 경사상태로 부상시켜서 상기 이송부(40)에 제공한다.
상기 이송부(40)는, 대차(20)의 선단부에 설치되어 철거부의 스크리퍼(SC)와 인접한다. 이송부(40)는 대차(20)상에 경사를 이루면서 분쇄부(50)를 향해 일렬로 정렬되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다수의 구동롤러(42) 및 이송롤러(43)로 구성된다. 구동롤러(42)는 대차(20)에 설치된 구동모터(41)에 의해 회전 구동되면서 체인(C)이나 벨트와 같은 전동부재를 통해 이송롤러(43)를 회전시킨다. 즉, 구동롤 러(42)는 이송롤러(43)와 연동한다.
이러한 구동롤러(42) 및 이송롤러(43)는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외주면에 다수의 돌기가 돌출형성된다. 이러한 돌기는 송곳형 핀으로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구동롤러(42) 및 이송롤러(43)는 인조잔디(1)가 핀에 걸리므로 회전되면서 인조잔디(1)를 후방의 분쇄부(50)로 이송한다. 이러한 구동롤러(42) 및 이송롤러(43)는 도시된 바와 같이 송곳형 핀으로 돌기가 형성된 롤러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와 달리 미도시된 스프로킷이나 톱니바퀴로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분쇄부(50)는 이송부(40)에 의해서 이송되어 온 인조잔디(1)의 잔디카펫(1a)을 잘게 분쇄하는 부분으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교합되는 한쌍의 커터(51)로 구성된다.
상기 한쌍의 커터(51)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격자형태로 형성된 다수의 커터날(51a)이 표면에 마련된다. 따라서, 분쇄부(50)는 커터(51)들 사이로 삽입되는 인조잔디(1)의 잔디카펫(1a)을 조각형태로 잘게 분쇄한다.
한편, 상기 대차(20)의 일측에는 커터(51)에서 분쇄된 잔디카펫(1a)의 분쇄물이 투입되어 용융되는 용융기(30)가 설치된다. 융용기(3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컨베이어(60)에 의해 분쇄물을 공급받을 수 있다. 용융기(30)는 분쇄물이 저장된 저장용기가 히터에 의해 가열되면서 열가소성 화학섬유재 잔디카펫(1a)을 용융시킨다. 이러한 용융기(30)는 열가소성 수지를 용융시키는 통상의 멜팅기로 구성할 수 있으므로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와 같이 용융기(30)에서 용융된 용융물은 차후 성형공장으로 운송된 후 미도시된 인조잔디(1)의 하부에 배치되는 미도시된 배수블록으로 제조되어 재활용된다. 이러한 배수블록은 표면이 요철형태로 형성되어 인조잔디(1)의 하부를 지지하면서 우수를 배수하는 판상의 부재이다.
여기서, 전술한 분쇄물은 전술한 바와 같이 용융기(30)에서 곧바로 녹여질 수 있으나, 대차(20)에 용융기가 미설치될 경우 미도시된 포집통에 모아져서 미도시된 재활용 공장 내부의 용융기로 운반된 후 용융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이송부(40)에서 분쇄부(50)로 공급되는 인조잔디(1)는 운동장에 깔린 상태에서 작업자에 의해 커터(51)의 폭에 대응되는 크기로 절단된 후, 작업자에 의해 도 1과 같이 대략 "V" 형태로 꺾여 방향 전환된 상태로 커터(51)에 공급된다. 따라서, 인조잔디(1)는 커터(51)의 회전에 의해 커터(51)의 내부로 빨려들어가고, 이송부(40)의 구동롤러(42) 및 이송롤러(43)에 의해 지속적으로 커터(51)에 공급된다. 이러한 인조잔디(1)는 커터(51)에 삽입되기 전에 이송부(40)의 상단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V" 형태로 꺾이므로 충전재(1b)의 규사칩 및 고무칩은 하부로 낙하되면서 분리부(70)에 공급된다. 즉, 따라서, 인조잔디(1)는 분쇄부(50)로 공급되기 전에 분리부(70) 측으로 충전재(1b)를 공급한다.
분리부(7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부(40)의 하부에 설치되어 분쇄부(50)와 인접한 상태로 인조잔디(1)의 충전재(1b)를 회수한다. 상기 분리부(7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조잔디(1)의 충전재를 포집하는 다수의 진동판(71)이 설치된다. 진동판(71)은 단수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보다는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로 구성되어 대차(20) 상에서 서로 반대방향으로 경사진 상태로 진동가능하게 이격되어 적층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각 진동판(71)은 진동수단으로서 바이브레이터(74)가 구성되되, 하나의 바이브레이터(74)가 공용으로 구성될 수 있고, 또는 각 진동판(71)에 각각의 바이브레이터가 구성되어 각 진동판(71)을 별개로 작동시킬 수도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각 진동판(71)에 하나의 바이브레이터(74)가 소정의 링크수단(미도시)을 통해 연결되어 각 진동판(71)을 동시에 작동시키도록 구성한 것을 그 일 예로 설명한다.
상기 각 진동판(71)은 진동에 의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전재(1b)의 규사칩(S) 및 고무칩(R)을 상부 및 하부로 분리한다. 이때, 규사칩(S)은 자중에 의해 진동판(71)의 바닥에 깔리고, 고무칩(R)은 규사칩(S) 보다 가벼운 자중에 의해 약하게 튀어 오르면서 규사칩(S)의 상부에 깔린다. 따라서, 규사칩(S) 및 고무칩(R)은 진동판(71)상에서 상부 및 하부로 분리된다.
진동판(71)은 도시된 바와 같이 규사칩(S)의 상부에 적층되는 고무칩(R)을 회수하기 위한 호퍼(73)가 각각 연통 설치된다. 이러한 호퍼(73)는 하나의 관으로서 각 진동판(71)에 대응한 위치에서 각각의 유입구가 분기되어 각 진동판(71)에 연통 설치된다.
이때, 상기 각 진동판(71)에 연통 설치된 호퍼(73)는 도면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진동판(71)의 진동을 흡수할 수 있도록 벨로우즈관(일명 '자바라') 형태로 형성할 수 있고, 또는 각 진동판(71)과 호퍼(73) 사이에 고무판과 같은 진동 흡 수용 댐퍼를 별도로 설치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진동판(71)은 내측면에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규사칩(S)의 상부에 적층되는 고무칩(R)을 호퍼(73)의 입구로 안내하여 투입시키는 판상의 가이드(72)가 설치된다. 이러한 가이드(72)는 도면에서와 같이 진동판(71)의 바닥면과 이격된 상태로 진동판(71)의 내측에 설치된다. 이때, 가이드(72)는 도시된 바와 같이 진동판(71)의 내측을 경사상태로 가로질러 설치된다. 이러한 가이드(72)는 도시된 바와 같은 판재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이드(72)는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되거나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와 구조로 다양하게 변경되어 실시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호퍼(73)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입구가 가이드(72)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즉, 호퍼(73)는 유입구가 가이드(72)와 근접한 상태로 진동판(71)에 설치된다. 호퍼(73)는 유입구가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와 달리 사각형이나 나팔관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충전재(1b)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동판(71)의 진동과 경사에 의해서 진동판(71)을 따라 이동되면서, 규사칩(S) 보다 가벼운 고무칩(R)이 진동판(71)의 진동에 의해 규사칩(S)의 상부로 적층된 후 가이드(72)에 부딪쳐 호퍼(73)로 유입된 다음 미도시된 수집통으로 배출되고, 고무칩(R)보다 무거운 규사칩(S)이 가이드(72)의 하부를 그대로 통과하여 하부의 진동판(71)으로 떨어진다. 이때, 하부의 진동판(71)은 호퍼(73)로 미회수됨에 따라 소량의 고무칩(R)이 혼합된 충전재(1b)를 상부의 진동판(71)으로부터 공급받는다.
최 하단의 진동판(71)은 미도시된 수집통으로 소량의 고무칩(R)이 혼합된 충전재(1b)를 공급할 수 있다. 하지만, 최 하단의 진동판(71)은 도 3과 같이 하부에 분리탱크(80)가 설치될 경우 분리탱크(80)로 소량의 고무칩(R)이 혼합된 충전재(1b)를 공급한다.
상기 분리탱크(8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부의 상부에 충전재(1b)가 유입되는 유입구(82)가 형성된다. 물론, 유입구(82)는 소량의 고무칩(R) 및 규사칩(S)이 혼합된 충전재(1b)가 유입된다.
또, 분리탱크(8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의 양단에 규사칩(S)이 배출되는 규사칩 배출구(83a) 및 고무칩(R)이 배출되는 고무칩 배출구(83)가 각각 형성된다. 이러한 분리탱크(80)는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의 일단부에서 타단부로 갈수록 순차적인 단차를 갖는 단차부(81)가 형성된다. 상기 각 단차부(81)는 도시된 바와 같이 유입구(82) 측에서 배출구(83) 측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를 갖는다.
분리탱크(8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유입구(82)측에 송풍팬(84)이 설치된다. 송풍팬(84)은 유입구(82)측의 반대편으로 공기를 송풍한다. 이러한 송풍팬(84)은 분리탱크(80)에 유입된 고무칩(R)을 반대편으로 이송한다. 이때, 고무칩(R)은 규사칩(S) 보다 자중이 가벼움에 따라 반대편으로 비산된다. 따라서, 고무칩(R)은 분리탱크(80)의 내부에서 반대편으로 비산되어 분리탱크(80)의 측벽에 부딪힌 후 고무칩 배출구(83)를 통해 배출된다.
결론적으로, 상기 분리탱크(80)로 유입된 규사칩(S)은 무게에 의해 송풍팬(84)의 바람에 날리지 않고 분리탱크(80)의 규사칩 배출구(83a)로 배출되고, 고 무칩(R)은 송풍팬(84)의 풍압에 의해 고무칩 배출구(83) 측으로 이동된 후 고무칩 배출구(83)로 배출된다. 물론, 약간의 규사칩(S)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풍팬(84)의 풍압에 의해 고무칩 배출구(83) 측으로 이동할 수 있으나, 자중에 의해 고무칩 배출구(83)와 인접한 부위까지 비산되지 못하고 분리탱크(80)의 단차부(81)에 쌓인다. 이렇게 쌓이는 규사칩(S)은 송풍팬(84)이 정지된 후 작업자에 의해 고무칩 배출구(83)로 배출된다.
여기서, 전술한 규사칩 배출구(83a) 및 고무칩 배출구(83)는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탱크(80)의 하부에 설치된 회수통(90)에 회수된다. 즉, 분리탱크(80)는 하부에 회수통(90)이 설치될 수 있다. 회수통(90)은 규사칩 배출구(83a) 및 고무칩 배출구(83)에 대응하도록 도시된 바와 같이 길게 형성될 수 있으나, 이와 달리 분리되어 규사칩 배출구(83a) 및 고무칩 배출구(83)의 하부에 제각기 설치될 수도 있다.
한편, 분리탱크(8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풍팬(84)의 반대편에 배출덕트(86)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배출덕트(86)는 분리탱크(80)의 내부 공기를 흡입하는 흡기팬(85)이 설치될 수 있다. 흡기팬(85)은 분리탱크(80)의 공기를 흡기하여 고무칩(R)의 이동이 가속화시킬 뿐만 아니라, 고무칩(R)에 섞여 있는 먼지나 잔디형태의 인조모 등과 같은 이물질을 고무칩(R)으로부터 흡입하여 배출덕트(86)로 배출시킨다. 이때, 이물질은 고무칩(R) 보다 자중이 가벼우므로 배출덕트(86)로 흡입된다. 따라서, 상기 분리탱크(80)는 충전재(1b)에 혼합된 이물질을 완전히 제거된 순수한 규사칩(S) 및 고무칩(R)만을 회수한다.
여기서, 전술한 배출덕트(86)는 분리탱크(80)에서 분리된 먼지나 인조모 등과 같은 이물질을 포집하여 저장하는 물탱크(87)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인조잔디 회수기의 작동을 설명한다.
먼저, 커터(51)의 폭에 대응되도록 절단된 운동장의 인조잔디(1)를 들어올린다. 그리고, 인조잔디(1)의 잔디카펫(1a)을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부(40)의 구동롤러(42) 및 이송롤러(43)상에 안착시킨 후 잔디카페(1a)의 단부를 한쌍의 커터(51)들 사이로 삽입한다. 이어서, 구동엔진(21)을 구동시켜서 절단된 인조잔디(1)를 따라 대차(20)를 이동시킨다. 이때, 스크리퍼(SC)는 인조잔디(1)의 잔디카펫(1a) 하부로 단부가 삽입되어 잔디카펫(1a)을 상부로 부상시키면서 인조잔디(1)를 지면으로부터 분리하여 철거한다.
구동롤러(42)는 구동엔진(21)에 의해 구동하면서 체인(C)을 통해 이송롤러(43)를 회전시킨다. 따라서, 이송부(40)는 충전재(1b)가 충전된 인조잔디(1)의 잔디카펫(1a)을 분쇄부(50)의 커터(51)로 이송시킨다. 즉, 잔디카펫(1a) 및 충전재(1b)로 구성된 인조잔디(1)는 연속적으로 커터(51)에 공급된다.
커터(51)는 회전하면서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잔디카펫(1a)을 조각상태로 절단하여 분쇄한 후 컨베이어(60)로 잔디카펫(1a)의 조각을 공급한다. 컨베이어(60)는 공급되는 조각들을 용융기(30)로 이송하여 용융시킨다.
한편, 인조잔디(1)의 충전재(1b)는 분리부(70)의 진동판(71)으로 떨어져 공급된다. 진동판(71)은 바이브레이터(74)의 진동에 의해 진동하면서 충전재(1b)를 규사칩(S) 및 고무칩(R)으로 분리한다. 이때, 진동판(71)은 규사칩(S) 및 고무 칩(R)을 상부 및 하부로 분리한다. 이러한 진동판(71)은 가이드(72)를 통해 상부의 고무칩(R)을 호퍼(73)로 안내한다. 따라서, 고무칩(R)은 호퍼(73)를 통해 진동판(71)의 외부로 배출된다.
진동판(71)은 가이드(72)의 하부로 나머지 충전재(1b)를 통과시킨다. 이때, 나머지 충전재(1b)는 고무칩(R)의 하부에 적층된 규사칩(S) 및 호퍼(73)로 배출되지 못한 소량의 고무칩(R)이다. 이러한 진동판(71)은 나머지 충전재(1b) 즉, 소량의 고무칩(R)이 혼합된 규사칩(S)을 하부의 진동판(71)으로 공급한다. 하부의 진동판(71)은 전술한 바와 동일한 방법으로 규사칩(S)에서 고무칩(R)을 분리한 후 잔여 충전재(1b)를 분리탱크(80)의 유입구(82)로 공급한다. 이때, 잔여 충전재(1b)는 규사칩(S) 및 하부의 진동판(71)에 설치된 호퍼(73)로 배출되지 못한 소량의 고무칩(R)이다.
분리탱크(80)는 송풍팬(84)을 통해 유입구(82)로 유입되는 잔여 충전재(1b)에 바람을 송풍한다. 이때, 잔여 충전재(1b)의 규사칩(S)은 자중에 의해 비산되지 않고 대부분이 규사칩 배출구(83a)로 배출된 후 회수통(90)의 일측에 적치된다. 그리고, 잔여 충전재(1b)의 고무칩(R)은 자중에 의해 비산되면서 분리탱크(80)의 유입구(82) 측 반대편으로 비산된 후 고무칩 배출구(83)로 배출되어 회수통(90)의 타측에 적치된다. 따라서, 규사칩(S) 및 고무칩(R)은 분리상태로 회수통(90)에 수집된다.
한편, 송풍팬(84)의 풍압에 의해 비산되는 약간량의 규사칩(S)은 자중에 의해 고무칩 배출구(83)로 비산되지 못하고 분리탱크(80)의 단차부(81)에 적치된 후 작업자에 의해 회수된다.
다른 한편, 흡기팬(85)은 분리탱크(80)의 충전재(1b)에 혼합된 먼지나 인조모와 같은 이물질을 배출덕트(86)로 흡입한다. 배출덕트(86)는 흡입된 이물질을 물탱크(87)로 배출시킨다. 물탱크(87)는 이물질을 침수시켜서 비산을 방지한다. 따라서, 잔여 충전재(1b)는 분리탱크(80)의 내부에서 이물질이 걸러진 순수한 규사칩(S) 및 고무칩(R)으로 분리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인조잔디 회수기는, 철거부가 대차(20)의 이동시 운동장의 인조잔디(1)를 경사상태로 부상시켜서 자동으로 분리하여 철거하고, 대차(10)에 설치된 분쇄부(50)가 이송부(40)에 의해 연속적으로 이송되는 인조잔디(1)를 이송 즉시 분쇄하므로 인조잔디(1)를 운동장에서 매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분리와 동시에 분쇄하여 인조잔디(1)의 부피를 대폭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으며, 분리부(70)가 인조잔디(1)에 충전된 충전재(1b)에서 규사칩(S) 및 고무칩(R)을 분리하므로 고무칩(R) 및 규사칩(S)을 재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대차(20)가 인조잔디(1)를 따라 이동하므로 인조잔디(1)를 연속적으로 회수할 수 있으며, 인조잔디(1)의 철거 및 회수가 매우 간편하게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인조잔디가 대차에 마련된 분쇄부에 의해 대차에서 조각으로 분쇄되므로 인조잔디 회수작업의 작업성이 향상되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또, 철거부가 판재형태의 스크리퍼(SC)로 구성되므로 철거부를 단순하게 구성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분쇄부(50)의 커터(51)가 인조잔디(1)를 작은 조각으로 분쇄하므로 인조잔디(1)를 커팅과 동시에 용융이 용이한 형태로 전처리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아울러, 분리부(70)의 진동판(71) 및 가이드(72)가 진동 및 자중 차이를 이용하여 충전재(1b)에서 규사칩(S) 및 고무칩(R)을 분리하므로 규사칩(S) 및 고무칩(R)을 좀더 세분화하여 선별할 수 있으며, 이에 더하여 진동판(71)을 복수개로 구성할 경우 다단계에 걸쳐서 규사칩(S) 및 고무칩(R)을 분리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분리부(70)의 분리탱크(80) 및 송풍팬(84)이 풍압을 이용하여 규사칩(S) 및 고무칩(R)을 분리하므로 규사칩(S) 및 고무칩(R)을 더욱 세분화하여 선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분리탱크(80)에 단차부(81)를 마련할 경우 규사칩(S)이 풍압에 의해 고무칩(R)과 혼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게다가, 배출덕트(86) 및 흡기팬(85)이 충전재(1b)에서 먼지나 인조모와 같은 이물질을 분리하므로 규사칩(S) 및 고무칩(R)을 순수한 상태로 분리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더욱이, 용융기(30)가 분쇄부(50)에서 분쇄된 인조잔디(1)를 곧바로 용융하므로 철거된 인조잔디(1)의 부피를 더더욱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인조잔디 회수기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분쇄부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회수기의 분리부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칩분리부의 진동판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진동판의 종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인조잔디 회수기
20 : 대차
40 : 이송부
50 : 분쇄부
70 : 분리부
80 : 분리탱크
90 : 회수통

Claims (10)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인조잔디를 회수하는 회수기에 있어서,
    인조잔디를 따라 이동하는 대차;
    상기 대차의 일측에 결합되고, 대차의 이동에 의해 인조잔디를 부상시키면서 지면으로부터 분리하여 철거하는 철거부;
    상기 철거부에 인접 설치되어 부상되는 인조잔디를 후방으로 이송하는 이송부;
    상기 이송부의 후방에 설치되어 이송되는 인조잔디를 분쇄하는 분쇄부; 및
    상기 이송부의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분쇄부로 이송되는 인조잔디로부터 과립형태의 충전재를 공급받아서 규사칩 및 고무칩으로 분리하는 분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철거부는,
    상기 인조잔디를 지면으로부터 경사상태로 부상시켜서 상기 이송부에 제공하며,
    상기 분쇄부는,
    상기 대차에 설치되어 상기 철거부에 인접하고, 상기 인조잔디를 절단하여 조각으로 분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분리부는,
    상기 분쇄부로 이송되는 인조잔디로부터 규사칩 및 고무칩으로 이루어진 충전재가 낙하되어 공급되는 진동판;
    상기 진동판을 진동하는 바이브레이터;
    상기 진동판에 설치되어 충전재의 고무칩을 포집하여 배출시키기는 호퍼; 및
    상기 진동판의 진동에 의해 진동판을 따라 이동하는 충전재의 고무칩을 상기 호퍼로 안내하는 가이드;를 포함하는 인조잔디 회수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판은 복수로 구성되어 이격상태로 적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조잔디 회수기.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판으로부터 충전재가 유입되는 유입구가 마련되고, 일측 및 타측에 규사칩을 배출하는 규사칩 배출구 및 고무칩을 배출하는 고무칩 배출구가 제각기 형성되어 규사칩 및 고무칩을 분리하여 배출하는 분리탱크; 및
    상기 분리탱크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공기를 송풍하는 송풍팬;을 더 포함하는 인조잔디 회수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탱크는 일측에서 타측으로 단차를 갖는 단차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조잔디 회수기.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탱크에 유입된 이물질을 분리탱크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덕트; 및
    상기 배출덕트에 설치되어 상기 분리탱크의 내부로 유입된 이물질을 흡입하는 흡기팬;을 더 포함하는 인조잔디 회수기.
  10.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분쇄부로부터 분쇄된 인조잔디 분쇄물을 공급받아서 용융하는 용융기;를 더 포함하는 인조잔디 회수기.
KR20090134457A 2009-12-30 2009-12-30 인조잔디 회수기 KR1011003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90134457A KR101100325B1 (ko) 2009-12-30 2009-12-30 인조잔디 회수기
PCT/KR2010/009348 WO2011081375A2 (ko) 2009-12-30 2010-12-27 인조잔디 회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90134457A KR101100325B1 (ko) 2009-12-30 2009-12-30 인조잔디 회수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7796A KR20110077796A (ko) 2011-07-07
KR101100325B1 true KR101100325B1 (ko) 2011-12-30

Family

ID=442269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90134457A KR101100325B1 (ko) 2009-12-30 2009-12-30 인조잔디 회수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100325B1 (ko)
WO (1) WO2011081375A2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2416B1 (ko) * 2012-02-14 2012-09-13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인조잔디 구조체의 재생방법 및 재생장치
KR101441550B1 (ko) * 2012-12-13 2014-09-17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커팅장치
KR20160139695A (ko) 2015-05-28 2016-12-07 이정민 인조잔디 회수기
KR20170015429A (ko) 2017-01-26 2017-02-08 이정민 인조잔디 회수기
WO2018084329A1 (ko) * 2016-11-01 2018-05-11 이정민 인조잔디 회수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3904B1 (ko) * 2011-06-24 2013-11-27 필드터프승목 주식회사 인조잔디 재활용방법
KR101168686B1 (ko) * 2011-09-23 2012-07-30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섬유구조체를 포함하는 인조잔디의 재활용장치
KR101175234B1 (ko) * 2011-09-23 2012-08-22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섬유구조체를 포함하는 인조잔디의 재활용방법
KR101355804B1 (ko) * 2012-03-19 2014-01-24 김동현 친환경 충전식 폐인조잔디매트용 분리장치
WO2014157990A1 (ko) 2013-03-28 2014-10-02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인조잔디에 포함되는 충진재를 리사이클하기 위한 선별방법 및 선별장치
HUE049355T2 (hu) * 2013-10-21 2020-09-28 Re Match Uk Ltd Eljárás mesterséges gyeptermékbõl kinyert töltõanyag elválasztására
CN108357023B (zh) * 2018-04-18 2019-06-14 沙洋林达科技有限公司 塑料分选设备
EP3936297B1 (en) 2020-07-10 2022-08-17 FormaTurf GmbH Method for processing artificial turf
CN112619843B (zh) * 2020-12-28 2022-06-24 浙江天造环保科技有限公司 防水砂浆制造用预处理破碎筛分设备及防水砂浆制备方法
EP4215329A1 (de) * 2022-01-24 2023-07-26 Strabag Sportstättenbau GmbH Verfahren zur wiederverwertung von kunststoffrasensystem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08314A (ja) * 1998-06-23 2000-01-11 Toray Ind Inc 敷設済み砂入り人工芝生の回収方法および装置
JP2007132116A (ja) 2005-11-11 2007-05-31 Assist International Kk 砂入り人工芝の回収、再利用方法
JP2008068177A (ja) 2006-09-13 2008-03-27 Assist International Kk 充填材入り人工芝の回収処理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185646A3 (en) * 1984-12-17 1987-09-09 Monsanto Company Process for handling artificial turf
JP4194615B2 (ja) * 2006-08-08 2008-12-10 有限会社大場組 人工芝充填材の分別方法、分別装置及び分別回収装置
SE532514C2 (sv) * 2008-06-19 2010-02-16 Ingemar Joensson Med Sydvac Fa Anordning och förfarande för upptagning av en på ett underlag anordnad konstgräsmatta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08314A (ja) * 1998-06-23 2000-01-11 Toray Ind Inc 敷設済み砂入り人工芝生の回収方法および装置
JP2007132116A (ja) 2005-11-11 2007-05-31 Assist International Kk 砂入り人工芝の回収、再利用方法
JP2008068177A (ja) 2006-09-13 2008-03-27 Assist International Kk 充填材入り人工芝の回収処理方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2416B1 (ko) * 2012-02-14 2012-09-13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인조잔디 구조체의 재생방법 및 재생장치
KR101441550B1 (ko) * 2012-12-13 2014-09-17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커팅장치
KR20160139695A (ko) 2015-05-28 2016-12-07 이정민 인조잔디 회수기
WO2018084329A1 (ko) * 2016-11-01 2018-05-11 이정민 인조잔디 회수기
KR20170015429A (ko) 2017-01-26 2017-02-08 이정민 인조잔디 회수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1081375A2 (ko) 2011-07-07
KR20110077796A (ko) 2011-07-07
WO2011081375A3 (ko) 2011-1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00325B1 (ko) 인조잔디 회수기
JP4219962B1 (ja) 人工芝の張替え方法及び人工芝処理装置
KR20130138626A (ko) 폐건축물에서 발생된 폐골재에 섞인 이물질 선별장치
JP5836046B2 (ja) 人工芝のリサイクル工法とリサイクルシステム
KR20080081875A (ko) 가연성 폐기물의 자원화를 위한 분리선별 장치와 그 방법
CN101658853B (zh) 城市垃圾分类回收方法及其装置
KR20120084825A (ko) 건축폐기물 순환골재 생산용 고압풍력식 이물질 분리장치 시스템
KR20060042265A (ko) 파쇄기의 파쇄된 건축폐기물용 이물질 분리장치
KR101333904B1 (ko) 인조잔디 재활용방법
KR101346354B1 (ko) 매립토사의 이물질 선별시스템
KR101703426B1 (ko) 인조잔디 회수기
CN106956385A (zh) 一种塑料粉碎分尘一体机
KR200418149Y1 (ko) 건축폐기물의 재활용 처리장치
KR100494579B1 (ko) 폐기물선별장치
KR100931471B1 (ko) 물과 가압공기를 이용하여 건설폐기물로부터 가연물을 선별 분리하는 장치 및 방법
KR20170015429A (ko) 인조잔디 회수기
WO2018084329A1 (ko) 인조잔디 회수기
KR200450648Y1 (ko) 건설폐기물의 이물질 분리기
KR20220045526A (ko) 폐나무를 포함하는 축폐기물의 재활용 처리장치
KR20140047264A (ko) 인조잔디 회수장치
KR100749830B1 (ko) 건축폐기물의 재활용 처리장치
KR20090041483A (ko) 건설폐기물의 이물질 분리기
CN206870194U (zh) 一种废旧塑料瓶挑选及盖瓶分离装置
KR20080075242A (ko) 비중 차를 이용한 폐 플라스틱류 습식 선별방법
CN220478932U (zh) 一种建筑材料回收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2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