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68686B1 - 섬유구조체를 포함하는 인조잔디의 재활용장치 - Google Patents

섬유구조체를 포함하는 인조잔디의 재활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68686B1
KR101168686B1 KR20110096518A KR20110096518A KR101168686B1 KR 101168686 B1 KR101168686 B1 KR 101168686B1 KR 20110096518 A KR20110096518 A KR 20110096518A KR 20110096518 A KR20110096518 A KR 20110096518A KR 101168686 B1 KR101168686 B1 KR 1011686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tificial turf
silica sand
elastic body
filler
ro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100965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곽동헌
공경록
김종필
Original Assignee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100965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68686B1/ko
Priority to PCT/KR2011/007044 priority patent/WO2013042816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86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86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08B1/2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3/00Auxiliary methods or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crushing or disintegrating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groups or not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covered by a single preceding group
    • B02C23/08Separating or sorting of material, associated with crushing or disintegr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3/00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3/00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 B07B13/10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using momentum effects
    • B07B13/11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using momentum effects involving travel of particles over surfaces which separate by centrifugal force or by relative friction between particles and such surfaces, e.g. helical sor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9/00Combinations of apparatus for screening or sifting or for 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using gas currents; General arrangement of plant, e.g. flow sheets
    • B08B1/3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7/00Cleaning by method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ther subclass or a single group in this subclass
    • B08B7/02Cleaning by method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ther subclass or a single group in this subclass by distortion, beating, or vibration of the surface to be clean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2Separating plastics from other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732Floor covering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62Plastics recycling; Rubber recycling

Abstract

본 발명은 충전재가 포함된 인조잔디에서 상기 충전재와 인조잔디를 분리 회수하는 섬유구조체를 포함하는 인조잔디의 재활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충전재가 포함된 인조잔디를 공급하는 공급부; 상기 인조잔디의 비파괴 상태에서 상기 인조잔디로부터 상기 충전재를 분리하는 분리부; 상기 충전재가 분리된 인조잔디를 회수하는 회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인조잔디에서 충전재를 완벽하게 분리하여 인조잔디를 구성하는 인조잔디 원사와 기재 및 충전재를 재활용하여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섬유구조체를 포함하는 인조잔디의 재활용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섬유구조체를 포함하는 인조잔디의 재활용장치{Recycling apparatus of artificial turf comprising fiber structure}
본 발명은 섬유구조체를 포함하는 인조잔디의 재활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인조잔디에 포함된 충전재를 효율적으로 분리할 수 있는 섬유구조체를 포함하는 인조잔디의 재활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인조잔디는 천연잔디에 비해 유지 관리가 용이하여 각종 실외 경기장이나 학교 운동장에 널리 이용될 뿐만 아니라 각종 조경 및 장식 등의 용도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인 인조잔디(10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펫 형태의 기재(110)와, 인조모로서 기재(110) 상에 식모되는 다수의 원사들에 의해 형성되는 잔디층(120)을 가지고 있으며, 잔디층(120) 내에 충전재(130)가 충전되어 있다.
여기서, 기재(110)는 원사가 식모되는 것으로서 기포지와, 식모된 원사가 빠지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백코팅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인조잔디는 기재(110)와 잔디층(120)을 구성하는 원사는 섬유구조체로서 열가소성 화학섬유를 이용하여 제조되며, 충전재(130)로서 미립자의 규사(131)와 고무나 실리콘 입자 등의 탄성체(133)가 잔디층에 충전되는 형태로 제조된다.
이러한 인조잔디는 시공 후 수년이 경과하게 되면 그 수명이 다하게 되어 교체가 불가피하다.
이렇게 수명이 다한 인조잔디는 사용 기간 동안 충전재가 잔디층에 강력하게 답압되기 때문에, 인조잔디에서 충전재를 분리하기가 매우 어려운 실정이다. 이에 따라, 인조잔디를 구성하는 재료들이 재활용 가능한 것임에도 불구하고, 수명이 다한 인조잔디는 수거 후 전량 소각 폐기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로 인해, 자원의 낭비와 환경오염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인조잔디에서 충전재를 완벽하게 분리하여 인조잔디를 구성하는 인조잔디 원사와 기재 및 충전재를 재활용하여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섬유구조체를 포함하는 인조잔디의 재활용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서, 충전재가 포함된 인조잔디에서 상기 충전재와 인조잔디를 분리 회수하는 섬유구조체를 포함하는 인조잔디의 재활용장치에 있어서, 상기 충전재가 포함된 인조잔디를 공급하는 공급부; 상기 인조잔디의 비파괴 상태에서 상기 인조잔디로부터 상기 충전재를 분리하는 분리부; 상기 충전재가 분리된 인조잔디를 회수하는 회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구조체를 포함하는 인조잔디의 재활용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공급부는 인조잔디가 권취된 공급롤을 회전 가능하게 거치하는 공급롤거치대와, 상기 공급롤에서 상기 인조잔디를 권취해제하여 상기 분리부로 공급하는 공급수단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공급수단은 상기 공급롤거치대의 하부 영역에 설치되어 상기 공급롤에 권취된 인조잔디에 밀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밀착롤과, 상기 공급롤거치대와 상기 분리부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공급롤에서 상기 인조잔디를 권취해제하여 상기 분리부로 공급하는 권취해제기를 포함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그리고, 상기 공급롤거치대는 상기 공급롤을 자중에 의해 하향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충전재는 탄성체이며; 상기 분리부는 상기 탄성체를 상기 인조잔디로부터 분리하는 탄성체분리수단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충전재는 규사이며; 상기 분리부는 상기 규사를 상기 인조잔디로부터 분리하는 규사분리수단을 포함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한편, 상기 충전재는 규사와 탄성체이며; 상기 분리부는 상기 탄성체를 상기 인조잔디로부터 분리하는 탄성체분리수단과, 상기 규사를 상기 인조잔디로부터 분리하는 규사분리수단을 포함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분리부는 상기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인조잔디의 잔디층이 상방을 향하다가 하방을 향하도록 상기 인조잔디의 방향을 반전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반전롤과, 상기 반전롤에서 상기 회수부를 향하는 인조잔디를 가이드하는 회수가이드롤을 포함하며; 상기 탄성체분리수단은 상기 반전롤 인접영역에 설치되어 탄성체를 분리하는 것이 보다 효과적이다.
그리고, 상기 탄성체분리수단은 상기 인조잔디에 포함된 탄성체를 분리하는 적어도 하나의 브러쉬와, 상기 브러쉬를 구동시키는 브러쉬구동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탄성체분리수단은 상기 인조잔디에 대해 공기를 흡입하거나 분사하는 공기분리기를 더 포함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또한, 상기 브러쉬에 부착되는 탄성체를 분리하는 스크래퍼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분리부는 상기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인조잔디의 잔디층이 상방을 향하다가 하방을 향하도록 상기 인조잔디의 방향을 반전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반전롤과, 상기 반전롤에서 상기 회수부를 향하는 인조잔디를 가이드하는 회수가이드롤을 포함하며; 상기 규사분리수단은 상기 반전롤과 상기 회수가이드롤 사이 영역에 설치되어 규사를 분리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여기서, 상기 규사분리수단은 인조잔디를 타격하는 타격체와, 상기 타격체를 구동시키는 타격구동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규사분리수단의 인접 영역에 마련되는 잔여규사분리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이때, 상기 잔여규사분리수단은 브러쉬 또는 공기분리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분리부 하부 영역에 마련되어 상기 인조잔디에서 분리된 충전재를 외부로 배출하는 충전재배출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이때, 상기 충전재배출수단은 상기 분리부에서 분리되는 충전재를 수령하는 충전재수집호퍼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충전재수집호퍼의 하부에는 개폐 가능한 충전재배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효과적이다.
또한, 충전재수집호퍼에서 배출되는 충전재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컨베이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충전재배출수단은 상기 탄성체분리수단에 의해 분리되는 탄성체를 수령하는 탄성체수집호퍼와, 상기 규사분리수단에 의해 분리되는 규사를 수령하는 규사수집호퍼를 포함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탄성체수집호퍼와 상기 규사수집호퍼의 하부에는 각각 개폐 가능한 탄성체배출구와 규사배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효과적이다.
또한, 상기 탄성체수집호퍼와 상기 규사수집호퍼에서 배출되는 탄성체와 규사를 외부로 분리 배출하는 배출컨베이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배출컨베이어는 상기 탄성체수집호퍼와 상기 규사수집호퍼 하부 영역으로부터 외부를 향해 연장된 적어도 하나의 컨베이어로 마련되며, 상기 배출컨베이어의 폭 방향 중앙부에는 연장방향을 따라 구획판을 배치하여 탄성체배출영역과 규사배출영역으로 구획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한편, 상기 탄성체분리수단과 상기 탄성체수집호퍼에 사이에 마련되어 분리 낙하되는 탄성체에 포함된 규사를 분리하는 규사필터링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규사필터링수단은 상기 배출컨베이어의 탄성체배출영역을 상기 탄성체가 걸러지는 망상체 컨베이어로 구성하고, 상기 탄성체배출영역 하부에 상기 탄성체배출영역을 통과한 규사를 외부로 배출하는 규사배출컨베이어를 설치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효과적이다.
한편, 상기 규사분리수단과 상기 규사수집호퍼에 사이에 마련되어 분리 낙하되는 규사에 포함된 탄성체를 분리하는 탄성체필터링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탄성체필터링수단은 상기 규사수집호퍼로 낙하 하는 규사에 포함된 탄성체를 상기 탄성체수집호퍼로 송풍하는 송풍기인 것이 효과적이다.
한편, 상기 공급부 또는 상기 공급부와 분리부 사이 영역에 마련되어 상기 인조잔디에 살수하는 살수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회수부는 충전재가 분리된 인조잔디를 권취 회수하는 원단회수롤과, 상기 원단회수롤을 회전시키는 회수롤구동기를 포함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인조잔디에서 충전재를 완벽하게 분리하여 인조잔디를 구성하는 인조잔디 원사와 기재 및 충전재를 재활용하여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섬유구조체를 포함하는 인조잔디의 재활용장치가 제공된다.
도 1은 일반적인 인조잔디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섬유구조체를 포함하는 인조잔디의 재활용장치의 간략한 장치 구성도,
도 3은 도 2의 Ⅲ-Ⅲ선에 따른 배출컨베이어 영역 단면도,
도 4는 도 2의 Ⅳ-Ⅳ선에 따른 배출컨베이어 영역 단면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섬유구조체를 포함하는 인조잔디의 재활용장치(1)는 수명이 다한 인조잔디(A)를 공급하는 공급부(10)와, 공급부(10)에서 공급되는 인조잔디(A)에 포함된 충전재를 분리하는 분리부(20)와, 충전재가 분리된 인조잔디 원단을 회수하는 회수부(30)를 포함한다.
공급부(10)는 인조잔디(A)를 분리부(20)로 공급하기 위한 부분으로서, 권취된 인조잔디(A)를 권취해제하면서 분리부(20)로 공급한다. 이를 위해서 공급부(10)에는 인조잔디(A)가 권취된 공급롤(11)이 회전 가능하게 거치되는 공급롤거치대(12)와, 공급롤거치대(12)에 거치된 공급롤(11)에서 인조잔디(A)를 권취해제하면서 분리부(20)로 공급시키는 공급수단(13)이 구비될 수 있다.
공급롤거치대(12)는 공급롤(11)의 중심축 양측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한다. 이때, 공급롤거치대(12)에는 공급롤(11)의 중심축을 회전 및 상하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가이드(12a)가 형성되는데, 이 지지가이드(12a)는 공급롤(11)이 자중에 의해 하향 이동하는 것을 가이드한다.
공급수단(13)은 공급롤거치대(12)의 하부 영역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공급롤(11)에 권취된 인조잔디(A)에 밀착되는 복수의 밀착롤(14)과, 공급롤거치대(12)와 분리부(20) 사이에 배치되어 공급롤(11)에서 인조잔디(A)를 권취해제하는 권취해제기(15)로 구성될 수 있다.
밀착롤(14)들은 공급롤(11)의 자중에 의해 항상 공급롤(11)에 권취된 인조잔디(A)에 밀착된다. 이에 따라, 공급롤(11)에 권취된 인조잔디(A)가 권취해제 과정에서 일정한 장력을 유지하면서 권취해제 될 수 있다.
권취해제기(15)는 인조잔디(A)의 양면에 밀착되는 한 쌍의 권취해제롤(16)과, 양 권취해제롤(16) 중 어느 하나를 인조잔디(A)의 권취해제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권취해제모터(17)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공급롤거치대(12)는 지지가이드(12a)의 구조 없이 단순히 공급롤(11)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형태일 수 있다. 이때, 공급수단(13)은 밀착롤(14)의 구성을 생략하고 공급롤거치대(12)와 분리부(20) 사이에 배치되는 권취해제기(15)만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공급부(10) 또는 공급부(10)와 분리부(20) 사이 영역에는 공급부(10)로부터 분리부(20)로 공급되는 인조잔디(A)에 살수하는 살수기(18)가 구비될 수 있다. 이 살수기(18)는 규사가 수분을 흡수할 경우 그 무게가 증가되어 규사가 답압되는 것을 고려한 것으로서, 이러한 규사의 답압에 의해 탄성체의 분리 효율이 증대될 수 있다.
분리부(20)는 공급부(10)로부터 회수부(30)를 향해 반전되는 충전재분리구간을 형성하는 분리구간형성롤(21)과, 충전재분리구간 중 반전 영역에 마련되어 인조잔디(A)에 포함된 충전재 중 탄성체(B)를 분리하는 탄성체분리수단(23)과, 충전재분리구간 중 탄성체분리수단(23)과 회수부(30) 사이 구간에 마련되어 인조잔디(A)에 포함된 충전재 중 규사(C)를 분리하는 규사분리수단(25)과, 탄성체분리수단(23)과 규사분리수단(25)에서 분리된 탄성체(B)와 규사(C)를 외부로 배출하는 충전재배출수단(26)을 포함한다.
분리구간형성롤(21)은 공급부(10)로부터 인조잔디(A)의 잔디층이 상방을 향하도록 공급되다가 잔디층이 하방을 향하도록 인조잔디(A)를 반전시키는 반전롤(21a)과, 탄성체분리수단(23)과 규사분리수단(25)을 거쳐 회수부(30)를 향하는 인조잔디(A)를 가이드하는 회수가이드롤(21b)을 가지고 있다.
반전롤(21a)은 공급부(10)의 권취해제기(15)에 대해 수평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자유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회수가이드롤(21b)은 반전롤(21a)과 수병방향 이격된 위치에서 권취해제기(15) 하부 영역에 자유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에 의해, 공급부(10)와 반전롤(21a) 사이 구간은 인조잔디(A)의 잔디층이 상방을 향하는 상향이동구간으로 형성되고, 반전롤(21a)과 회수가이드롤(21b) 사이 구간은 인조잔디(A)의 잔디층이 하방을 향하는 하향이동구간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반전롤(21a)은 잔디층이 반전되는 반전구간이 적어도 일영역에서 굴곡되는 구간을 갖도록 복수로 마련될 수 있으며, 회수가이드롤(21b) 역시, 반전된 인조잔디(A)의 하향이동구간이 적어도 일영역에서 굴곡되는 구간을 갖도록 복수로 마련될 수도 있다.
탄성체분리수단(23)은 반전롤(21a)에 인접한 영역에 마련되어 인조잔디(A)의 잔디층에 포함된 탄성체(B)를 브러싱하여 분리하는 적어도 하나의 브러쉬(23a)와, 브러쉬(23a)를 회전 구동시키는 브러쉬구동기(23b)를 가지고 있다. 이 중 브러쉬(23a)는 반전롤(21a)에 인접한 영역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는 것으로서, 인조잔디(A)의 잔디층 높이와 밀도 및 탄성체(B)의 입도와 비중 및 충진량에 적절히 대응할 수 있는 브러쉬(23a)솔의 크기 및 굵기와 간격 및 재질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인조잔디(A)의 종류 및 규격에 따라 적절한 브러쉬(23a)를 선택하여 탄성체(B)를 분리할 수 있다. 이때, 브러쉬(23a)는 보다 효과적인 탄성체(B)의 분리를 위해서 반전 영역에 복수로 마련될 수도 있는데, 이 경우 각 브러쉬(23a)의 크기 및 굵기와 간격 및 재질 등은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브러쉬(23a)가 복수로 마련될 경우, 브러쉬구동기(23b)는 브러쉬(23a)에 대응하는 수로 각각 구비되거나, 단일의 브러쉬구동기(23b)로 복수의 브러쉬(23a)를 연동시킬 수도 있다. 브러쉬(23a)에 의해 잔디층에서 분리된 탄성체(B)는 충전재배출수단(26)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그리고, 브러쉬(23a)에 인접한 영역에는 브러쉬(23a)에 부착된 탄성체(B)를 분리할 수 있는 스크래퍼(23c)가 마련될 수 있다. 스크래퍼(23c)에 의해 브러쉬(23a)로부터 분리된 탄성체(B)는 충전재배출수단(26)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또한, 탄성체분리수단(23)은 브러쉬(23a)에 의해 분리된 탄성체(B)가 잔디층 내에서 보다 원활하게 외부로 이탈될 수 있도록 공기분리기(23d)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공기분리기(23d)는 공기흡입형태나 공기분사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공기분리기(23d)에 의해 잔디층에서 분리된 탄성체(B)는 충전재배출수단(26)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또한, 도시하지 않았지만, 탄성체분리수단(23)은 정전기력에 의해 탄성체(B)를 보다 효율적으로 분리할 수 있도록 정전선별기(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물론, 탄성체분리수단(23)은 브러쉬(23a) 형태와 공기분리기(23d) 형태와 정전선별기(미도시) 형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적절히 선택하거나 복수의 형태를 선택하여 복합적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인조잔디에 포함되는 충전재는 탄성체(B) 또는 규사(C) 중 어느 하나만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는데, 충전재가 규사(C)로만 이루어질 경우, 도시하지 않았지만, 분리부(20)에서 탄성체분리수단(23)의 구성은 생략될 수 있다.
규사분리수단(25)은 인조잔디(A)의 하향이동구간 일영역에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타격체(25a)와, 타격체(25a)를 구동시키는 타격구동기(25b)를 가지고 있다.
타격체(25a)는 정역회동에 의해 인조잔디(A)를 타격하는 형태일 수 있는데, 이때, 타격구동기(25b)는 타격체(25a)를 정역 구동시키는 정역모터일 수 있다. 여기서, 규사분리수단(25)은 전원공급에 의해 자체 진동하는 바이브레이터 방식이나 초음파진동 방식의 타격체(25a)만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규사분리수단(25)에 의해 분리된 규사(C)는 충전재배출수단(26)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규사분리수단(25)은 전술한 잔디층에 남아 있는 잔여 규사를 보다 효과적으로 분리할 수 있도록 잔여규사분리수단(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잔여규사분리수단(미도시)은 브러쉬 형태이거나, 공기분리기(미도시)로서 공기흡입형태나 공기분사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물론, 잔여규사분리수단(미도시)은 브러쉬 형태와 공기흡입형태 및 공기분사형태 중 적절히 선택하여 복합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잔여규사분리수단(미도시)에 의해 분리된 규사는 충전재배출수단(26)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여기서, 인조잔디에 포함되는 충전재는 탄성체(B) 또는 규사(C) 중 어느 하나만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는데, 충전재가 탄성체(B)로만 이루어질 경우, 도시하지 않았지만, 분리부(20)에서 규사분리수단(25)의 구성은 생략될 수 있다.
한편, 충전재배출수단(26)은 탄성체분리수단(23)에서 분리 낙하되는 탄성체(B)를 수령하는 탄성체수집호퍼(27)와, 규사분리수단(25)에서 분리 낙하되는 규사(C)를 수령하는 규사수집호퍼(28)와, 탄성체수집호퍼(27) 및 규사수집호퍼(28)에서 배출되는 탄성체(B)와 규사(C)를 외부로 분리 배출하는 배출컨베이어(29)를 갖는다.
탄성체수집호퍼(27)는 탄성체분리수단(23) 하부 영역에 설치되어 탄성체분리수단(23)의 구동에 의해 인조잔디(A)에서 낙하하는 탄성체(B)를 수령한다. 이 탄성체수집호퍼(27)는 상부의 탄성체유입구(27a)가 탄성체분리수단(23)의 하측에 인접하게 위치하며, 하부의 탄성체배출구(27b)가 후술할 배출컨베이어(29)의 탄성체배출영역(29a)을 향해 개방되어 있다. 이때, 탄성체배출구(27b)는 개폐수단(미도시)에 의해 개폐될 수도 있다.
여기서, 인조잔디에 포함되는 충전재는 전술한 바와 같이, 탄성체(B) 또는 규사(C) 중 어느 하나만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는데, 충전재가 규사(C)로만 이루어질 경우, 도시하지 않았지만, 충전재배출수단(26)에서 탄성체수집호퍼(27)의 구성은 생략될 수 있다.
규사수집호퍼(28)는 규사분리수단(25) 하부 영역에 설치되어 규사분리수단(25)의 구동에 의해 인조잔디(A)에서 낙하하는 규사(C)를 수령한다. 이 규사수집호퍼(28)는 상부의 규사유입구(28a)가 규사분리수단(25)의 하측에 인접하게 위치하며, 하부의 규사배출구(28b)가 후술할 배출컨베이어(29)의 규사배출영역(29b)을 향해 개방되어 있다. 이때, 규사배출구(28b)는 개폐수단(미도시)에 의해 개폐될 수도 있다.
이때, 탄성체수집호퍼(27)와 규사수집호퍼(28)는 단일의 호퍼 내부를 구획판에 의해 구획한 형태로 마련될 수 있으며, 각각 별개의 호퍼로 마련될 수도 있다.
여기서, 인조잔디에 포함되는 충전재는 탄성체(B) 또는 규사(C) 중 어느 하나만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는데, 충전재가 탄성체(B)로만 이루어질 경우, 도시하지 않았지만, 충전재배출수단(26)에서 규사수집호퍼(28)의 구성은 생략될 수 있다.
배출컨베이어(29)는 탄성체수집호퍼(27)와 규사수집호퍼(28) 하부 영역으로부터 외부를 향해 연장된 단일의 컨베이어로 마련되며, 폭 방향 중앙부가 연장방향을 따라 구획판에 의해 구획되어 탄성체배출영역(29a)과 규사배출영역(29b)을 갖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물론, 배출컨베이어(29)는 탄성체배출컨베이어와 규사배출컨베이어가 각각 별개의 컨베이어로 마련되는 구조일 수도 있다.
배출컨베이어(29)에 의해 외부로 배출되는 탄성체(B)와 규사(C)는 각각 탄성체회수팩(P1)과 규사회수팩(P2)에 분리 회수된다.
여기서, 배출컨베이어(29)는 경우에 따라 그 구성이 생략될 수도 있다. 예컨대, 탄성체수집호퍼(27)와 규사수집호퍼(28) 하부에 충분한 공간을 마련하고, 탄성체수집호퍼(27)의 탄성체배출구(27b)와 규사수집호퍼(28)의 규사배출구(28b)를 개폐 가능한 구조로 하여 인조잔디(A)에서 분리된 탄성체(B)와 규사(C)를 각각 탄성체수집호퍼(27)와 규사수집호퍼(28)에 저장하였다가 적절한 시기에 탄성체배출구(27b)와 규사배출구(28b)를 개방하여 탄성체회수팩(P1)과 규사회수팩(P2)에 탄성체(B)와 규사(C)를 분리 회수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인조잔디에 포함되는 충전재는 탄성체(B) 또는 규사(C) 중 어느 하나만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는데, 이 경우 도시하지 않았지만, 배출컨컨베이어는 단일의 컨베이어로 마련될 수 있다.
한편, 규사분리수단(25)과 후술할 규사수집호퍼(28)에 사이에는 분리 낙하하는 규사(C)에 포함된 탄성체(B)를 분리하는 탄성체필터링수단(25c)이 마련될 수 있다.
이 탄성체필터링수단(25c)은 낙하되는 규사(C)에 포함된 탄성체가 비중이 낮은 것을 고려하여 송풍기(미도시)로 마련될 수 있다. 즉, 송풍기의 송풍력을 적절히 조절하면 규사(C)는 그대로 규사수집호퍼(28)로 낙하하고, 낙하하는 규사에 포함된 탄성체는 탄성체수집호퍼(27)로 송풍되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탄성체분리수단(23)으로부터 후술할 탄성체수집호퍼(27)로 분리 낙하하는 탄성체(B)들에 포함된 규사를 분리하는 규사필터링수단(미도시)이 마련될 수 있다. 이 규사필터링수단(29c)은 배출컨베이어(29)의 탄성체배출영역(29b)을 탄성체가 걸러지는 망상체의 컨베이어로 구성하고, 그 하부에 탄성체배출영역(29b)을 통과한 규사를 수령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규사배출컨베이어(29c)를 설치하는 것으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회수부(30)는 충전재가 분리된 인조잔디를 권취 회수하는 원단회수롤(31)과, 원단회수롤(31)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회수롤거치대(33)와, 원단회수롤(31)을 권취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회수롤구동기(35)를 가지고 있다.
원단회수롤(31)은 회수롤구동기(35)로부터 회전력을 전달 받을 수 있도록 회수롤거치대(33)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인조잔디의 권취 회수가 완료된 원단회수롤(31)은 회수롤거치대(33)에서 분리되어 외부로 반출되고, 회수롤거치대(33)에는 새로운 원단회수롤(31)이 거치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섬유구조체를 포함하는 인조잔디의 재활용장치(1)를 이용하여 기재와 원사로 구성된 인조잔디 원단과 충전재의 분리 회수 과정을 살펴본다.
충진재를 포함하고 있는 인조잔디(A)가 권취된 공급롤(11)은 공급부(10)의 공급롤거치대(12)에 거치된다. 이 상태에서 공급롤(11)에 권취된 인조잔디(A)는 권취해제기(15)의 권취해제롤(16)의 권취해제 구동에 의해 공급롤(11)에서 권취해제되면서 분리부(20)로 이동한다.
이때, 공급롤(11) 하부에 설치된 밀착롤(14)들은 공급롤(11)의 자중에 의해 항상 공급롤(11)에 권취된 인조잔디(A)에 밀착됨으로써, 공급롤(11)에 권취된 인조잔디(A)가 권취해제 과정에서 일정한 장력을 유지하면서 권취해제된다.
분리부(20)로 공급되는 인조잔디(A)는 공급부(10)에서 반전롤(21a)을 향해 잔디층의 상방을 향하도록 이동하다가 반전롤(21a)에서 잔디층이 하방을 향하도록 반전된다. 이때, 반전롤(21a) 일측에 인접하게 설치된 탄성체분리수단(23)의 브러쉬(23a) 구동에 의해 인조잔디(A)의 잔디층에 충진되어 있는 탄성체(B)가 분리되어 탄성체수집호퍼(27)로 낙하된다.
이때, 인조잔디(A)에서 분리된 탄성체(B) 중 일부의 탄성체(B)가 브러쉬(23a)에 부착될 수 있는데, 이렇게 브러쉬(23a)에 부착된 탄성체(B)는 스크래퍼(23c)에 의해 브러쉬(23a)로부터 분리되어 탄성체수집호퍼(27)로 낙하된다.
탄성체수집호퍼(27)로 낙하된 탄성체(B)는 탄성체배출구(27b)를 통해 배출컨베이어(29)의 탄성체배출영역(29a)으로 낙하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외부로 배출되는 탄성체(B)는 탄성체회수팩(P1)에 담아 재활용 처리를 위해 반출된다.
탄성체분리수단(23)에서 탄성체(B)가 분리된 인조잔디(A)는 회수부(30)를 향해 이동하는 과정에서 탄성체분리수단(23)과 회수가이드롤(21b) 사이에 설치된 규사분리수단(25)의 구동에 의해 인조잔디(A)의 잔디층에 충진된 규사(C)가 분리되어 규사수집호퍼(28)로 낙하된다.
규사수집호퍼(28)로 낙하된 규사(C)는 규사배출구(28b)를 통해 배출컨베이어(29)의 규사배출영역(29b)으로 낙하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외부로 배출되는 규사(C)는 규사회수팩(P2)에 담아 재활용 처리를 위해 반출된다.
한편, 분리부(20)에서 충전재인 탄성체(B)와 규사(C)가 분리된 인조잔디는 회수가이드롤(21b)을 거쳐 회수부(30)의 회수롤거치대(33)에 거치된 원단회수롤(31)에 권취된다.
그리고, 충전재가 분리된 인조잔디의 권취 회수가 완료된 원단회수롤(31)은 회수롤거치대(33)에서 분리되어 외부로 반출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섬유구조체를 포함하는 인조잔디의 재활용장치는 인조잔디의 잔디층에 포함된 탄성체와 규사를 분리부의 탄성체분리수단과 규사분리수단에서 효율적으로 분리하고, 충전재가 분리된 인조잔디 원단을 분리 회수함으로써, 인조잔디를 구성하는 인조잔디 원단과 탄성체 및 규사를 추후 재활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자원의 재활용과 환경오염 방지에 기여한다.
10 : 공급부 11 : 공급롤
14 : 밀착롤 15 : 권취해제기
20 : 분리부 21 : 분리구간형성롤
23 : 탄성체분리수단 25 : 규사분리수단
26 : 충전재배출수단 27 : 탄성체수집호퍼
28 : 규사수집호퍼 29 : 배출컨베이어
30 : 회수부 31 : 원단회수롤

Claims (30)

  1. 충전재가 포함된 인조잔디에서 상기 충전재와 인조잔디를 분리 회수하는, 섬유구조체를 포함하는 인조잔디의 재활용장치에 있어서,
    상기 충전재가 포함된 인조잔디를 공급하는 공급부(10)와;
    상기 공급되는 인조잔디에 살수하는 살수기(18)와;
    상기 인조잔디로부터 상기 충전재를 분리하는 분리부(20)와;
    상기 충전재가 분리된 인조잔디를 회수하는 회수부(30)를 포함하고,
    상기 분리부(20)는, 상기 인조잔디의 잔디층이 상방을 향하다가 하방을 향하도록 상기 인조잔디의 방향을 반전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반전롤(21a), 상기 반전롤(21a)에서 상기 회수부를 향하는 인조잔디를 가이드하는 회수가이드롤(21b), 상기 충전재에 포함된 탄성체를 상기 인조잔디로부터 분리하는 탄성체분리수단(23) 및, 상기 충전재에 포함된 규사를 상기 인조잔디로부터 분리하는 규사분리수단(25)을 포함하고,
    상기 탄성체분리수단(23)은 상기 반전롤(21a) 인접영역에 위치하고, 상기 규사분리수단(25)은 상기 반전롤(21a)과 상기 회수가이드롤(21b) 사이에 위치하는 것인 섬유구조체를 포함하는 인조잔디의 재활용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부(10)는
    인조잔디가 권취된 공급롤(11)을 회전 가능하게 거치하는 공급롤거치대(12)와,
    상기 공급롤에서 상기 인조잔디를 권취해제하여 상기 분리부(20)로 공급하는 공급수단(1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구조체를 포함하는 인조잔디의 재활용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수단(13)은
    상기 공급롤거치대(12)의 하부 영역에 설치되어 상기 공급롤(11)에 권취된 인조잔디에 밀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밀착롤(14)과,
    상기 공급롤거치대(12)와 상기 분리부(20)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공급롤(11)에서 상기 인조잔디를 권취해제하여 상기 분리부(20)로 공급하는 권취해제기(1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구조체를 포함하는 인조잔디의 재활용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롤거치대(12)는 상기 공급롤(11)을 자중에 의해 하향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구조체를 포함하는 인조잔디의 재활용장치.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분리수단(23)은
    상기 인조잔디에 포함된 탄성체를 분리하는 적어도 하나의 브러쉬(23a)와,
    상기 브러쉬를 구동시키는 브러쉬구동기(23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구조체를 포함하는 인조잔디의 재활용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분리수단(23)은 상기 인조잔디에 대해 공기를 흡입하거나 분사하는 공기분리기(23d)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구조체를 포함하는 인조잔디의 재활용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브러쉬에 부착되는 탄성체를 분리하는 스크래퍼(23c)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구조체를 포함하는 인조잔디의 재활용장치.
  12. 삭제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규사분리수단(25)은
    인조잔디를 타격하는 타격체(25a)와,
    상기 타격체를 구동시키는 타격구동기(25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구조체를 포함하는 인조잔디의 재활용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규사분리수단의 인접 영역에 마련되는 잔여규사분리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구조체를 포함하는 인조잔디의 재활용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잔여규사분리수단은 브러쉬 또는 공기분리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구조체를 포함하는 인조잔디의 재활용장치.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부 하부 영역에 마련되어 상기 인조잔디에서 분리된 충전재를 외부로 배출하는 충전재배출수단(26)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구조체를 포함하는 인조잔디의 재활용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재배출수단(26)은
    상기 분리부에서 분리되는 충전재를 수령하는 충전재수집호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구조체를 포함하는 인조잔디의 재활용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충전재수집호퍼의 하부에는 개폐 가능한 충전재배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구조체를 포함하는 인조잔디의 재활용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충전재수집호퍼에서 배출되는 충전재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컨베이어(29)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구조체를 포함하는 인조잔디의 재활용장치.
  2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부 하부 영역에 마련되어 상기 인조잔디에서 분리된 탄성체와 규사를 외부로 배출하는 충전재배출수단(26)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구조체를 포함하는 인조잔디의 재활용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재배출수단(26)은
    상기 탄성체분리수단에 의해 분리되는 탄성체를 수령하는 탄성체수집호퍼(27)와,
    상기 규사분리수단에 의해 분리되는 규사를 수령하는 규사수집호퍼(2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구조체를 포함하는 인조잔디의 재활용장치.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수집호퍼(27)와 상기 규사수집호퍼(28)의 하부에는 각각 개폐 가능한 탄성체배출구(27b)와 규사배출구(28b)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구조체를 포함하는 인조잔디의 재활용장치.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수집호퍼(27)와 상기 규사수집호퍼(28)에서 배출되는 탄성체와 규사를 외부로 분리 배출하는 배출컨베이어(29)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구조체를 포함하는 인조잔디의 재활용장치.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컨베이어(29)는 상기 탄성체수집호퍼(27)와 상기 규사수집호퍼(28) 하부 영역으로부터 외부를 향해 연장된 적어도 하나의 컨베이어로 마련되며, 상기 배출컨베이어의 폭 방향 중앙부에는 연장방향을 따라 구획판을 배치하여 탄성체배출영역과 규사배출영역으로 구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구조체를 포함하는 인조잔디의 재활용장치.
  25.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분리수단(23)과 상기 탄성체수집호퍼(27)에 사이에 마련되어 분리 낙하되는 탄성체에 포함된 규사를 분리하는 규사필터링수단(29c)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구조체를 포함하는 인조잔디의 재활용장치.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규사필터링수단(29c)은 상기 배출컨베이어의 탄성체배출영역을 상기 탄성체가 걸러지는 망상체 컨베이어로 구성하고, 상기 탄성체배출영역 하부에 상기 탄성체배출영역을 통과한 규사를 외부로 배출하는 규사배출컨베이어를 설치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구조체를 포함하는 인조잔디의 재활용장치.
  27.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규사분리수단(25)과 상기 규사수집호퍼(28)에 사이에 마련되어 분리 낙하되는 규사에 포함된 탄성체를 분리하는 탄성체필터링수단(25c)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구조체를 포함하는 인조잔디의 재활용장치.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필터링수단(25c)은 상기 규사수집호퍼(28)로 낙하 하는 규사에 포함된 탄성체를 상기 탄성체수집호퍼(27)로 송풍하는 송풍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구조체를 포함하는 인조잔디의 재활용장치.
  29. 삭제
  3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수부(30)는 충전재가 분리된 인조잔디를 권취 회수하는 원단회수롤(31)과,
    상기 원단회수롤을 회전시키는 회수롤구동기(3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구조체를 포함하는 인조잔디의 재활용장치.
KR20110096518A 2011-09-23 2011-09-23 섬유구조체를 포함하는 인조잔디의 재활용장치 KR1011686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10096518A KR101168686B1 (ko) 2011-09-23 2011-09-23 섬유구조체를 포함하는 인조잔디의 재활용장치
PCT/KR2011/007044 WO2013042816A1 (ko) 2011-09-23 2011-09-26 섬유구조체를 포함하는 인조잔디의 재활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10096518A KR101168686B1 (ko) 2011-09-23 2011-09-23 섬유구조체를 포함하는 인조잔디의 재활용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4499A Division KR20130032819A (ko) 2012-07-09 2012-07-09 섬유구조체를 포함하는 인조잔디의 재활용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68686B1 true KR101168686B1 (ko) 2012-07-30

Family

ID=467174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10096518A KR101168686B1 (ko) 2011-09-23 2011-09-23 섬유구조체를 포함하는 인조잔디의 재활용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168686B1 (ko)
WO (1) WO201304281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131068B2 (en) 2018-04-02 2021-09-28 Columbia Insurance Company Shock pad for synthetic turf and methods for making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02013009251U1 (de) * 2013-04-15 2014-07-18 Smg Sportplatzmaschinenbau Gmbh Füllmaterialentleerungs- und Aufrollvorrichtung für gebrauchte Kunstrasenplätze
ES2706548A1 (es) * 2017-09-29 2019-03-29 Pedros Juan Bautista Vidal Máquina limpiadora de telas de filtros de taladrina de automoción
IT201900014517A1 (it) * 2019-08-09 2021-02-09 Sabbie Di Parma S R L Macchina per impianti di smaltimento e riciclo di campi in erba sintetica
GB201913006D0 (en) * 2019-09-10 2019-10-23 Wrights Recycling Machinery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recycling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41347A (ja) 2007-08-10 2009-02-26 Kuriyama Kk 人工芝の張替え方法及び人工芝処理装置
US20100319510A1 (en) 2009-06-20 2010-12-23 Bearden John H Apparatus for collecting artificial turf for recycling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94615B2 (ja) * 2006-08-08 2008-12-10 有限会社大場組 人工芝充填材の分別方法、分別装置及び分別回収装置
KR101100325B1 (ko) * 2009-12-30 2011-12-30 필드터프승목(주) 인조잔디 회수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41347A (ja) 2007-08-10 2009-02-26 Kuriyama Kk 人工芝の張替え方法及び人工芝処理装置
US20100319510A1 (en) 2009-06-20 2010-12-23 Bearden John H Apparatus for collecting artificial turf for recycling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131068B2 (en) 2018-04-02 2021-09-28 Columbia Insurance Company Shock pad for synthetic turf and methods for making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3042816A1 (ko) 2013-03-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68686B1 (ko) 섬유구조체를 포함하는 인조잔디의 재활용장치
JP4598694B2 (ja) 洗浄装置及び洗浄方法
US7854648B2 (en) Cleaning medium and dry cleaning apparatus using the same
CN106567671B (zh) 驻极体防微尘窗纱及其制备方法
CN101573493B (zh) 用于清洁具有填充物的人造草皮的地面的装置
EP2796034A1 (en) Infill removal device for removing infill from a strip of artificial turf
JPH05295626A (ja) 集塵・除塵装置におけるフィルターの清掃装置
CN1951300A (zh) 真空吸尘器
KR20180083624A (ko) 골재선별기용 스크린 청소장치
JPH08509042A (ja) プレイ面を修復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KR20130032819A (ko) 섬유구조체를 포함하는 인조잔디의 재활용장치
CN101676453A (zh) 纤维机械用管道和具有该管道的纤维机械
US9975216B2 (en) Device and method for dispensing dry ice snow
KR101880733B1 (ko) 사금 채취 장치
CN104245143A (zh) 用于对包含于人造草坪的填充材料进行重复利用的筛选方法及筛选装置
US11198087B2 (en) Collection device, collection method, and fibrous feedstock recycling device
CN108435716A (zh) 海绵泡沫加工装置
US4622713A (en) Fly removing system in textile machine
CN100507172C (zh) 用于从在沟道中流动的流体中清除筛分物的装置
KR101345111B1 (ko) 강판표면 이물질 제거공정의 브러시모 제거장치
KR101240298B1 (ko) 사과세척장치
KR101333904B1 (ko) 인조잔디 재활용방법
KR20090089509A (ko) 건설폐기물의 선별장치
CN213855637U (zh) 一种高效筛沙机
CN210252971U (zh) 一种防水卷材覆砂及余砂回收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1

Year of fee payment: 8